[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038626A - Bispecific antibody specifically targeting SARS-CoV-2 - Google Patents

Bispecific antibody specifically targeting SARS-CoV-2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8626A
KR20230038626A KR1020220091379A KR20220091379A KR20230038626A KR 20230038626 A KR20230038626 A KR 20230038626A KR 1020220091379 A KR1020220091379 A KR 1020220091379A KR 20220091379 A KR20220091379 A KR 20220091379A KR 20230038626 A KR20230038626 A KR 20230038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ody
amino acid
acid sequence
seq
cov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13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석묵
김지웅
허균
조예빈
김현정
최혜림
양하림
신하경
Original Assignee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30038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8626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0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viruses
    • C07K16/1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viruses from RNA viru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0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viruses
    • C07K16/1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viruses from RNA viruses
    • C07K16/1002Coronaviridae
    • C07K16/1003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 or Covid-19]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A61K2039/507Comprising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separate anti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3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aspects of specificity or valency
    • C07K2317/31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aspects of specificity or valency multispecific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6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non-natural combinations of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62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non-natural combinations of immunoglobulin fragments comprising only variable region components
    • C07K2317/622Single chain antibody (scFv)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6Antagonist effect on antigen, e.g. neutralization or inhibition of bin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9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pharmaco)kinetic aspects or by stability of the immunoglobulin
    • C07K2317/92Affinity (KD), association rate (Ka), dissociation rate (Kd) or EC50 val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ulmo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specific antibody specifically binding to SARS-CoV-2, and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SARS-CoV-2 infection comprising the same. The bispecific antibody against the SARS-CoV-2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therapeutic efficacy against a wide range of SARS-CoV-2 variants to be usefully used as a therapeutic agent for SARS-CoV-2 infections.

Description

SARS-CoV-2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이중특이적 항체 {Bispecific antibody specifically targeting SARS-CoV-2}Bispecific antibody specifically targeting SARS-CoV-2 {Bispecific antibody specifically targeting SARS-CoV-2}

본 발명은 SARS-CoV-2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이중특이적 항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bispecific antibodies that specifically bind to SARS-CoV-2.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 2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이하 SARS-CoV-2)는 2019년 말에 처음 등장한 새로운 고 전염성 병원성 베타 코로나바이러스이다. SARS-CoV-2는 코로나바이러스 질병 2019 (COVID-19)라는 급성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여 전 세계적인 대유행을 초래했다. 2022년 6월 초 현재 전 세계적으로 약 5억 3200만 명이 COVID-19에 감염되었으며 확인된 사망자는 630만 명에 달한다. COVID-19 대유행은 사회경제적 위기와 함께 전 세계 의료 시스템에 전례 없는 수준의 스트레스를 초래하였다. 이에 여러 백신과 치료적 방법이 개발되었지만 SARS-CoV-2 변이체의 급속한 출현은 COVID-19를 통제함에 있어 지속적인 도전이 되고 있다. 따라서 코로나19 치료를 위한 새로운 치료제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 is a novel highly contagious pathogenic beta coronavirus that first appeared in late 2019. SARS-CoV-2 caused an acute respiratory illness called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resulting in a global pandemic. As of early June 2022, approximately 532 million people worldwide have been infected with COVID-19, with 6.3 million confirmed deaths. The COVID-19 pandemic, coupled with a socioeconomic crisis, has caused an unprecedented level of stress on healthcare systems around the world. Although several vaccines and therapeutic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he rapid emergence of SARS-CoV-2 variants continues to be a challenge in controlling COVID-19.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new therapeutic agents for the treatment of COVID-19 is urgently needed.

본 발명자들은 SARS-CoV-2에 대한 새로운 치료제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SARS-CoV-2에 대한 이중항체를 개발하고, 이러한 이중항체가 다양한 범위의 SARS-CoV-2 변이체에 대해 치료적 효능을 나타냄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The present inventors have made intensive research efforts to develop a new therapeutic agent for SARS-CoV-2.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developing a bispecific antibody against SARS-CoV-2 and identifying that the bispecific antibody exhibits therapeutic efficacy against a wide range of SARS-CoV-2 variant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SARS-CoV-2에 대한 이중항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abody against SARS-CoV-2.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SARS-CoV-2에 대한 이중항체를 포함하는 SARS-CoV-2 감염증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SARS-CoV-2 infection comprising a bispecific antibody against SARS-CoV-2.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SARS-CoV-2에 대한 이중항체를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abody against SARS-CoV-2.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이중항체는 다음을 포함하는 SARS-CoV-2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이중항체이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body is a diabody that specifically binds to SARS-CoV-2, including:

(a)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상보성 결정영역 1 (heavy chain 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1, H-CDR1),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상보성 결정영역 1 (light chain 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1, L-CDR1), 서열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번호 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 (a) heavy chain 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1 (H-CDR1)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H-CDR2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2, and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3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n H-CDR3 comprising; and light chain 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1 (L-CDR1)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4, L-CDR2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5, and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6. An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comprising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n L-CDR3;

(b)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1,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1, 서열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번호 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b)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H-CDR1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H-CDR2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2, and H-CDR3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3; And an antibody comprising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L-CDR1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4, L-CDR2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5, and L-CDR3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6 or an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or

(c) 이들의 조합.(c) any combination thereof.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다음을 포함하는 SARS-CoV-2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이중항체를 제공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abody specifically binding to SARS-CoV-2 comprising:

(a)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1,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1, 서열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번호 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 및(a)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H-CDR1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H-CDR2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2, and H-CDR3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3; And an antibody comprising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L-CDR1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4, L-CDR2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5, and L-CDR3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6 or an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and

(b)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1,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1, 서열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번호 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b)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H-CDR1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H-CDR2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2, and H-CDR3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3; And an antibody comprising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L-CDR1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4, L-CDR2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5, and L-CDR3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6 or an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a) 및 (b)의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선별한 모노클로날 항체 클론 K102.1 및 K102.2로부터 유래한 것이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bodies (a) and (b) or antigen-binding fragments thereof are each derived from monoclonal antibody clones K102.1 and K102.2 selected in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상기 SARS-CoV-2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은 SARS-CoV-2 Spike 단백질의 RBD(receptor binding domain)에 결합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specifically binding to SARS-CoV-2 of the present invention binds to the receptor binding domain (RBD) of SARS-CoV-2 Spike protein.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상기 SARS-CoV-2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은 SARS-CoV-2 S 단백질의 S1 도메인에 결합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specifically binding to SARS-CoV-2 of the present invention binds to the S1 domain of the SARS-CoV-2 S protein.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상기 SARS-CoV-2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은 SARS-CoV-2 S 단백질의 전장 스파이크 단백질(full-length spike protein)에 결합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specifically binding to SARS-CoV-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ull-length spike protein of the SARS-CoV-2 S protein (full-length spike protein) combine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상기 상기 SARS-CoV-2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은 SARS-CoV-2의 S 단백질에 돌연변이가 발생한 변이 바이러스에 특이적으로 결합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that specifically binds to SARS-CoV-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pecifically for a mutant virus in which the S protein of SARS-CoV-2 is mutated. combine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상기 이중항체는 각각의 항체 또는 항원 결합 단편이 연결된 이량체 또는 다량체 형태이다. 상기 본 발명의항체 또는 항원 결합 단편은 서로 공유결합으로 연결되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이중항체는 융합 단백질(fused protein) 또는 컨쥬게이트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은 화학적 컨쥬게이션(유기 화학 방법으로 알려진) 또는 다른 수단(예를 들어, 복합체를 융합 단백질로서 발현하거나, 직접적으로 또는 링커(예컨대, 아미노산 링커))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double antibody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form of a dimer or multimer in which each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is linked. The antibodies or antigen-binding frag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valently linked to each other, an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uble antibody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fused protein or conjugate. Thus, the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may be chemically conjugated (known as organic chemistry methods) or other means (e.g., expressing the complex as a fusion protein,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through a linker (e.g., an amino acid linker)). can be connected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이중항체를 이루는 각 항체 또는 항원 결합 단편은 적어도 하나의 링커로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링커는 일반식 (GnSm)p 또는 (SmGn)p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constituting the double antibody is connected by at least one linker. In this case, the linker may consist of an amino acid sequence represented by the general formula (GnSm)p or (SmGn)p:

여기에서 상기 n, m 및 p는 독립적으로,wherein n, m and p are independently

n은 1 내지 7의 정수이고;n is an integer from 1 to 7;

m은 0 내지 7의 정수이며;m is an integer from 0 to 7;

n과 m의 합은 8이하의 정수이고; 및the sum of n and m is an integer of 8 or less; and

p는 1 내지 7의 정수이다.p is an integer from 1 to 7;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링커는 n = 1 내지 5이고, m = 0 내지 5이다. 보다 구체적인 구현예의 경우, n = 4이고, m = 1이다. 보다 더 구체적인 구현예의 경우, 상기 링커는 (GGGGS)3 이다. 또 다른 구현예의 경우, 상기 링커는 GGGGS이다. 또 다른 구체적인 구현예의 경우, 상기 링커는 VDGS이다. 또 다른 구체적인 구현예의 경우, 상기 링커는 ASGS이다.According to another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nker is n = 1 to 5, m = 0 to 5. In a more specific embodiment, n = 4 and m = 1. In an even more specific embodiment, the linker is (GGGGS) 3 . In another embodiment, the linker is GGGGS. In another specific embodiment, the linker is VDGS. In another specific embodiment, the linker is ASGS.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a)의 중쇄가변영역은 서열번호 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vy chain variable region of (a) includes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7.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a)의 경쇄가변영역은 서열번호 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chain variable region of (a) includes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8.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b)의 중쇄가변영역은 서열번호 1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vy chain variable region of (b) includes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7.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b)의 경쇄가변영역은 서열번호 1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chain variable region of (b) includes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8.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a)의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은 서열번호 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of (a) includes a heavy chain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9.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a)의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은 서열번호 1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는 것인, 이중항체.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body of (a) or an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is a double antibody comprising a light chain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0.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b)의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은 서열번호 1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scFv이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body of (b) or an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is a scFv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9.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a) 또는 (b)의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은 (b) 또는 (a)의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의 중쇄 C-말단에 결합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body of (a) or (b)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binds to the heavy chain C-terminus of the antibody of (b) or (a)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이중항체에서 상기 (b)의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은 (a)의 중쇄 C-말단에 결합된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ouble antibody, the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of (b) is bound to the C-terminus of the heavy chain of (a),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a) 또는 (b)의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은 (b) 또는 (a)의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의 경쇄 N-말단 또는 경쇄 C-말단에 결합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body of (a) or (b)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binds to the light chain N-terminus or light chain C-terminus of the antibody of (b) or (a)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do.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b)의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은 (a)의 경쇄 N-말단에 결합된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of (b) is bound to the N-terminus of the light chain of (a),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b)의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은 (a)의 경쇄 C-말단에 결합된 것인, 이중항체.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of (b) is bound to the C-terminus of the light chain of (a), a dual antibody.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a)의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 및 (b)의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은 각각 SARS-CoV-2 Spike 단백질의 수용체 결합 도메인(receptor binding domain, RBD)의 서로 다른 에피토프에 결합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of (a) and the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of (b) are each a receptor binding domain (RBD) of SARS-CoV-2 Spike protein. ) binds to different epitopes of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이중항체는 SARS-CoV-2 Spike 단백질의 RBD와 숙주세포의 안지오텐신 변환 효소(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2, ACE2)와의 결합을 억제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uble antibody inhibits the binding between RBD of SARS-CoV-2 Spike protein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2 (ACE2) of host cells.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a)의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 및 (b)의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은 IgG1, 또는 IgG4 형태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of (a) and the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of (b) are in the form of IgG1 or IgG4,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a)의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은 IgG1, 또는 IgG4 형태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of (a) is in the form of IgG1 or IgG4,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a)의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은 IgG1, 또는 IgG4 형태이고, (b)의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은 scFv인, 이중항체.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of (a) is in the form of IgG1 or IgG4, and the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of (b) is scFv.

본 명세서에서, 용어 “항체(antibody)”는 SARS-CoV S 단백질에 대한 특이 항체로서, 완전한 항체 형태뿐만 아니라 항체 분자의 항원 결합 단편(antigen binding fragment)을 포함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antibody” is a specific antibody against SARS-CoV S protein, and includes antigen binding fragments of antibody molecules as well as complete antibody forms.

완전한 항체는 2개의 전체 길이의 경쇄 및 2개의 전체 길이의 중쇄를 가지는 구조이며 각각의 경쇄는 중쇄와 다이설파이드 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다. 중쇄 불변 영역은 감마(γ), 뮤(μ), 알파(α), 델타(δ) 및 엡실론(ε) 타입을 가지고 서브클래스로 감마1(γ1), 감마2(γ2), 감마3(γ3), 감마4(γ4), 알파1(α1) 및 알파2(α2)를 가진다. 경쇄의 불변영역은 카파(kappa) 및 람다(lambda) 타입을 가진다 (Cellular and Molecular Immunology, Wonsiewicz, M. J., Ed., Chapter 45, pp. 41-50, W. B. Saunders Co. Philadelphia, PA(1991); Nisonoff, A., Introduction to Molecular Immunology, 2nd Ed., Chapter 4,pp. 45-65, sinauer Associates, Inc., Sunderland, MA (1984)). A complete antibody has a structure having two full-length light chains and two full-length heavy chains, and each light chain is linked to the heavy chain by disulfide bonds. The heavy chain constant region has gamma (γ), mu (μ), alpha (α), delta (δ), and epsilon (ε) types, and subclasses include gamma 1 (γ1), gamma 2 (γ2), and gamma 3 (γ3). ), gamma 4 (γ4), alpha 1 (α1) and alpha 2 (α2). The constant region of the light chain has kappa and lambda types (Cellular and Molecular Immunology, Wonsiewicz, M. J., Ed., Chapter 45, pp. 41-50, W. B. Saunders Co. Philadelphia, PA (1991); Nisonoff, A., Introduction to Molecular Immunology, 2nd Ed., Chapter 4, pp. 45-65, Sinauer Associates, Inc., Sunderland, MA (1984)).

본 명세서에서, 용어 "항원 결합 단편"은 항원 결합 기능을 보유하고 있는 단편을 의미하며, Fab, F(ab'), F(ab')2, 화학적으로 연결된 F(ab')2 및 Fv 등을 포함한다. 항체 단편 중 Fab는 경쇄 및 중쇄의 가변영역과 경쇄의 불변 영역 및 중쇄의 첫 번째 불변 영역(CH1)을 가지는 구조로 1개의 항원 결합 부위를 가진다. Fab'는 중쇄 CH1 도메인의 C-말단에 하나 이상의 시스테인 잔기를 포함하는 힌지 영역(hinge region)을 가진다는 점에서 Fab와 차이가 있다. F(ab')2 항체는 Fab'의 힌지 영역의 시스테인 잔기가 다이설파이드 결합을 이루면서 생성된다. Fv는 중쇄 가변부위 및 경쇄 가변부위만을 가지고 있는 최소의 항체조각으로 Fv 단편을 생성하는 재조합 기술은 PCT 국제 공개특허출원 WO 88/10649, WO 88/106630, WO 88/07085, WO 88/07086 및 WO 88/09344에 개시되어 있다. 이중쇄 Fv(two-chain Fv)는 비공유 결합으로 중쇄 가변부위와 경쇄 가변부위가 연결되어 있고 단쇄 Fv(single-chain Fv)는 일반적으로 펩타이드 링커를 통하여 중쇄의 가변 영역과 단쇄의 가변 영역이 공유 결합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C-말단에서 바로 연결되어 있어서 이중쇄 Fv와 같이 다이머와 같은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항체 단편은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를 이용해서 얻을 수 있고(예를 들어, 전체 항체를 파파인으로 제한 절단하면 Fab를 얻을 수 있고 펩신으로 절단하면 F(ab')2 단편을 얻을 수 있다), 또는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통하여 제작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antigen-binding fragment" refers to a fragment having an antigen-binding function, such as Fab, F(ab'), F(ab') 2 , chemically linked F(ab') 2 and Fv, etc. includes Among antibody fragments, Fab has a structure having variable regions of light and heavy chains, constant regions of light chains, and a first constant region (CH1) of heavy chains, and has one antigen-binding site. Fab' differs from Fab in that it has a hinge region containing one or more cysteine residues at the C-terminus of the heavy chain CH1 domain. The F(ab') 2 antibody is produced by forming a disulfide bond between cysteine residues in the hinge region of Fab'. Fv is a minimal antibody fragment having only the heavy chain variable region and the light chain variable region. Recombinant technology for generating Fv fragments is described in PCT International Publication Patent Applications WO 88/10649, WO 88/106630, WO 88/07085, WO 88/07086 and WO 88/09344. In two-chain Fv, the heavy chain variable region and the light chain variable region are connected by a non-covalent bond, and in single-chain Fv, the heavy chain variable region and the short chain variable region are generally shared through a peptide linker. They are linked by bonds or directly linked at the C-terminus, so that they can form a dimer-like structure like double-chain Fv. Such antibody fragments can be obtained using proteolytic enzymes (eg, restriction digestion of whole antibodies with papain yields Fab and digestion with pepsin yields F(ab') 2 fragments), or It can be produced through genetic recombination technology.

본 발명에서 항체는 구체적으로 scFv 형태이거나 완전한 항체 형태이다. 또한, 중쇄 불변 영역은 감마(γ), 뮤(μ), 알파(α), 델타(δ) 또는 엡실론(ε) 중의 어느 한 이소타입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불변영역은 감마1(IgG1), 감마 2(IgG2), 감마 3(IgG3) 및 감마 4(IgG4)이고, 가장 구체적으로는 감마 4(IgG4) 이소타입이다. 경쇄 불변 영역은 카파 또는 람다 형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카파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항체는 카파(kappa) 경쇄와 감마4(gamma 4) 중쇄를 가지는 scFv 형태 또는 IgG4 형태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body is specifically scFv form or complete antibody form. In addition, the heavy chain constant region may be selected from any one isotype of gamma (γ), mu (μ), alpha (α), delta (δ) or epsilon (ε). Preferably, the constant regions are gamma 1 (IgG1), gamma 2 (IgG2), gamma 3 (IgG3) and gamma 4 (IgG4), most specifically the gamma 4 (IgG4) isotype. The light chain constant region may be of kappa or lambda type, preferably kappa type. Accordingly, specific antibodi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cFv type or IgG4 type having kappa light chain and gamma 4 heavy chain,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본 명세서에서, 용어 “중쇄”는 항원에 특이성을 부여하기 위한 충분한 가변 영역 서열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가변 영역 도메인 VH 및 3 개의 불변 영역 도메인 CH1, CH2 및 CH3를 포함하는 전체길이 중쇄 및 이의 단편을 모두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용어“경쇄”는 항원에 특이성을 부여하기 위한 충분한 가변영역 서열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가변 영역 도메인 VL 및 불변 영역 도메인 CL을 포함하는 전체길이 경쇄 및 이의 단편을 모두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heavy chain" refers to a full-length heavy chain comprising a variable region domain VH and three constant region domains CH1, CH2 and CH3 comprising an amino acid sequence having sufficient variable region sequence for conferring specificity to an antigen and a full-length heavy chain thereof I mean all fragments. In addition, the term "light chain" as used herein refers to both a full-length light chain and fragments thereof comprising a variable region domain V L and a constant region domain CL comprising an amino acid sequence having sufficient variable region sequence to impart specificity to an antigen. do.

본 명세서에서, 용어 “CDR(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은 면역글로불린 중쇄 및 경쇄의 고가변 영역(hypervariable region)의 아미노산 서열을 의미한다(Kabat et al., Sequences of Proteins of Immunological Interest, 4th Ed.,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1987)). 중쇄(CDR-H1, CDR-H2 및 CDR-H3) 및 경쇄(CDR-L1, CDR-L2 및 CDR-L3)에는 각각 3개의 CDR이 포함되어 있다. CDR은 항체가 항원 또는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데 있어서 주요한 접촉 잔기를 제공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CDR)" refers to the amino acid sequence of the hypervariable region of immunoglobulin heavy and light chains (Kabat et al., Sequences of Proteins of Immunological Interest, 4th Ed.,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1987)). The heavy chains (CDR-H1, CDR-H2, and CDR-H3) and light chains (CDR-L1, CDR-L2, and CDR-L3) each contain three CDRs. CDRs provide key contact residues for antibody binding to an antigen or epitope.

본 명세서에서 상기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전장 또는 원래 그대로의 폴리클로날 또는 모노클로날 항체뿐만 아니라, 이의 항원 결합 단편들(예를 들어, Fab, Fab', F(ab')2, Fab3, Fv 및 이의 변이체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항체 부분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 인간항체, 인간화 항체, 키메라 항체, 미니바디, 다이아바디, 트리아바디, 테트라바디, 선형 항체, 단일 체인 항체(scFv), scFv-Fc, 이중특이적 항체, 다중특이적 항체, 필요한 특이성의 항원 인식 부위를 포함하는 면역 글로불린 분자의 다른 변형된 배열형태로서 항체의 글리코실화 변이체, 항체의 아미노산 서열 변이체 및 공유결합으로 변형된 항체를 포함한다. 변형된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의 구체적인 예에는 나노바디, AlbudAbs, DARTs(dual affinity re-targeting), BiTEs(bispecific T-cell engager), TandAbs(tandem diabodies), DAFs(dual acting Fab), two-in-one antibodies, SMIPs(small modular immunopharmaceuticals), FynomAbs(fynomers fused to antibodies), DVD-Igs(dual variable domain immunoglobulin), CovX-bodies(peptide modified antibodies), 듀오바디 및 triomAbs이 포함된다. 이와 같은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들의 목록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refers to a full-length or intact polyclonal or monoclonal antibody, as well as antigen-binding fragments thereof (eg, Fab, Fab', F(ab')2, Fab3 , Fv and variants thereof), fusion proteins comprising one or more antibody portions, human antibodies, humanized antibodies, chimeric antibodies, minibodies, diabodies, triabodies, tetrabodies, linear antibodies, single chain antibodies (scFv) , scFv-Fc, bispecific antibodies, multispecific antibodies, glycosylation variants of antibodies, amino acid sequence variants of antibodies and other modified configurations of immunoglobulin molecules containing antigen recognition sites of the necessary specificity, and covalent modifications containing antibodies. Specific examples of modified antibodies and antigen-binding fragments thereof include nanobodies, AlbudAbs, dual affinity re-targeting (DARTs), bispecific T-cell engagers (BiTEs), tandem diabodies (TandAbs), dual acting Fabs (DAFs), two- These include in-one antibodies, small modular immunopharmaceuticals (SMIPs), fynomers fused to antibodies (FynomAbs), dual variable domain immunoglobulins (DVD-Igs), peptide modified antibodies (CovX-bodies), duobodies and triomAbs. The list of such antibodies and antigen-binding fragments thereof is not limited to the above.

본 명세서에서, 용어 "프레임 워크(Framework)" 또는 "FR"은 초가변 영역 (hypervariable region, HVR) 잔기 이외의 가변 도메인 잔기를 나타낸다. 가변 도메인의 FR은 일반적으로 4 개의 FR 도메인 FR1, FR2, FR3 및 FR4로 구성된다. 따라서, HVR 및 FR 서열은 일반적으로 VH (또는 VL/Vk)에서 다음의 순서로 나타난다: As used herein, the term "framework" or "FR" refers to variable domain residues other than hypervariable region (HVR) residues. The FRs of a variable domain generally consist of four FR domains FR1, FR2, FR3 and FR4. Thus, HVR and FR sequences generally appear in the following order in VH (or VL/Vk):

(a) FRH1(Framework region 1 of Heavy chain)-CDRH1 (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1 of Heavy chain)-FRH2-CDRH2-FRH3-CDRH3-FRH4; 및 (a) Framework region 1 of heavy chain (FRH1)-CDRH1 (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1 of heavy chain)-FRH2-CDRH2-FRH3-CDRH3-FRH4; and

(b) FRL1(Framework region 1 of Light chain)-CDRL1(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1 of Light chain)-FRL2-CDRL2-FRL3-CDRL3-FRL4.(b) Framework region 1 of light chain (FRL1)-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1 of light chain (CDRL1)-FRL2-CDRL2-FRL3-CDRL3-FRL4.

본 명세서에서, 용어 "가변 영역(variable region)" 또는 "가변 도메인(variable domain)"은 항체를 항원에 결합시키는 것과 관련되는 항체 중쇄 또는 경쇄의 도메인을 의미한다. Native 항체의 중쇄 및 경쇄의 가변 도메인(각각 VH 및 VL)은 일반적으로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각 도메인은 4 개의 보존된 프레임워크 영역 (framework regions, FR) 및 3 개의 초가변 영역 (hypervariable regions, HVR)을 포함한다. (Kindt et al., Kuby Immunology, 제 6 판, W.H. Freeman and Co., page 91 (2007)). 단일 VH 또는 VL 도메인은 항원-결합 특이성을 부여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항원에 결합하는 항체는, 항원과 결합하여 각각 상보적인 VL 또는 VH 도메인의 라이브러리를 스크리닝하는 항체로부터, VH 또는 VL 도메인을 사용하여 분리될 수 있다. As used herein, the term "variable region" or "variable domain" refers to the domain of an antibody heavy or light chain that is involved in binding the antibody to an antigen. The variable domains of the heavy and light chains of native antibodies (VH and VL, respectively) generally have similar structures, each domain having four conserved framework regions (FR) and three hypervariable regions (HVR) ). (Kindt et al., Kuby Immunology, 6th edition, W.H. Freeman and Co., page 91 (2007)). A single VH or VL domain may be sufficient to confer antigen-binding specificity. In addition, an antibody that binds to a particular antigen can be separated using a VH or VL domain from an antibody that binds the antigen and screens a library of complementary VL or VH domains, respectively.

본 명세서에서, 용어 "특이적으로 결합한다" 또는 이와 같은 것은,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scFv와 같은 다른 구성물이 생리적 조건 하에서 비교적 안정한 항원과 복합체를 형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이적 결합은 적어도 약 1 x 10-6 M 이하(예컨대, 9 x 10-7 M, 8 x 10-7 M, 7 x 10-7 M, 6 x 10-7 M, 5 x 10-7 M, 4 x 10-7 M, 3 x 10-7 M, 2 x 10-7 M, 또는 1 x 10-7 M), 바람직하게는 1 x 10-7 M 이하(예컨대, 9 x 10-8 M, 8 x 10-8 M, 7 x 10-8 M, 6 x 10-8 M, 5 x 10-8 M, 4 x 10-8 M, 3 x 10-8 M, 2 x 10-8 M, 또는 1 x 10-8 M), 보다 바람직하게는 1 x 10-8 M 이하(예컨대, 9 x 10-9 M, 8 x 10-9 M, 7 x 10-9 M, 6 x 10-9 M, 5 x 10-9 M, 4 x 10-9 M, 3 x 10-9 M, 2 x 10-9 M, 또는 1 x 10-9 M)의 평형 해리 상수 (예를 들어, 이보다 작은 KD는 보다 단단한 결합을 나타냄)로 특성화될 수 있다. 2 개의 분자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은 당 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어 평형 투석, 표면 플라스몬 공명 등을 포함한다. As used herein, the term "specifically binds" or the like means that an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or other construct such as an scFv, forms a complex with an antigen that is relatively stable under physiological conditions. Specific binding is at least about 1 x 10 -6 M or less (eg, 9 x 10 -7 M, 8 x 10 -7 M, 7 x 10 -7 M, 6 x 10 -7 M , 5 x 10 -7 M , 4 x 10 -7 M, 3 x 10 -7 M, 2 x 10 -7 M, or 1 x 10 -7 M), preferably 1 x 10 -7 M or less (eg 9 x 10 -8 M , 8 x 10 -8 M, 7 x 10 -8 M, 6 x 10 -8 M, 5 x 10 -8 M, 4 x 10 -8 M, 3 x 10 -8 M, 2 x 10 -8 M , or 1 x 10 -8 M), more preferably 1 x 10 -8 M or less (eg, 9 x 10 -9 M, 8 x 10 -9 M, 7 x 10 -9 M, 6 x 10 -9 M , 5 x 10 -9 M, 4 x 10 -9 M, 3 x 10 -9 M, 2 x 10 -9 M, or 1 x 10 -9 M) equilibrium dissociation constants (eg, K D smaller than indicates a tighter bond). Methods for determining whether two molecules specifically bind are well known in the art and include, for example, equilibrium dialysis, surface plasmon resonance, and the like.

본 명세서에서, 용어 "친화도(Affinity)"는 분자(예를 들어, 항체)의 단일 결합 부위와 그 결합 파트너 (예를 들어, 항원) 사이의 비공유 상호 작용의 총합의 강도를 의미한다.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결합 친화력(binding affinity)"은 결합 쌍 (예를 들어, 항체 및 항원)의 구성원 간의 1:1 상호 작용을 반영하는 내인성(intrinsic) 결합 친화력을 나타낸다. 분자 Y와 그의 파트너 Y의 친화도는 일반적으로 해리 상수 (Kd)로 나타낼 수 있다. 친화도는 본원에 기술된 것들을 포함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As used herein, the term "Affinity" refers to the strength of the sum of non-covalent interactions between a single binding site of a molecule (eg antibody) and its binding partner (eg antigen). As used herein, unless otherwise specified, “binding affinity” refers to an intrinsic binding affinity that reflects a 1:1 interaction between members of a binding pair (e.g., antibody and antigen). indicates The affinity of a molecule Y with its partner Y can generally be represented by the dissociation constant (Kd). Affinity can be measured by common methods known in the art, including those described herein.

또한 본 명세서에서 용어, "인간 항체(human antibody)"는 인간 또는 인간 세포에 의해 생성된 항체, 또는 인간 항체 레퍼토리(repertoires) 또는 다른 인간 항체 코딩 서열을 이용하는 비인간 근원으로부터 유래된 항체의 아미노산 서열에 상응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보유한다. 인간 항체의 이러한 정의는 비인간 항원 결합 잔기를 포함하는 인간화(humanized) 항체를 배제한다.Also used herein, the term “human antibody” refers to an amino acid sequence of an antibody produced by a human or a human cell, or an antibody derived from a non-human source that utilizes human antibody repertoires or other human antibody coding sequences. It has the corresponding amino acid sequence. This definition of a human antibody excludes humanized antibodies comprising non-human antigen-binding moieties.

본 명세서에서 용어, "키메라(chimeric)" 항체는 중쇄 및/또는 경쇄의 일부가 특정 근원(source) 또는 종(species)으로부터 유래되고, 중쇄 및/또는 경쇄의 나머지가 상이한 근원 또는 종에서 유래한 항체를 의미한다.As used herein, a "chimeric" antibody is one in which a portion of the heavy and/or light chain is from a particular source or species and the remainder of the heavy and/or light chain is from a different source or species. means antibody.

본 명세서에서 용어 "인간화 항체"란, 비-인간(예를 들어, 마우스) 항체의 비-인간 면역글로불린으로부터 유래된 최소 서열을 함유하는 키메릭 면역글로불린, 그의 면역글로불린 쇄 또는 단편(예를 들어 Fv, Fab, Fab', F(ab')2 또는 항체의 다른 항원-결합 하위서열)이다. 대부분의 경우에, 인간화 항체는 수용자의 상보성-결정 영역(CDR)의 잔기가, 목적하는 특이성, 친화성 및 능력을 갖는 비-인간 종(공여자 항체), 예를 들어 마우스, 래트 또는 토끼의 CDR의 잔기에 의해 대체된 인간 면역글로불린(수용자 항체)이다. 일부의 경우에, 상기 인간 면역글로불린의 Fv 프레임워크 영역(framework region, FR) 잔기는 상응하는 비-인간 잔기에 의해 대체된다. 또한, 인간화 항체는 수용자 항체에서도 또는 수입된 CDR 또는 프레임워크 서열에서도 발견되지 않는 잔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항체 성능을 추가로 개선 및 최적화하기 위해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상기 인간화된 항체는 적어도 하나, 및 전형적으로 2개의 실질적으로 모든 가변 도메인을 포함할 것이며, 상기 도메인에서 상기 CDR 영역의 전부 또는 실질적 전부는 비-인간 면역글로불린의 CDR 영역에 상응하고, 상기 FR 영역의 전부 또는 실질적 전부는 인간 면역글로불린의 FR 영역의 서열을 가진다. 상기 인간화 항체는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Fc region)의 적어도 일부 내지 실질적인 인간 면역글로불린의 불변 영역(Fc region)서열을 포함한다. As used herein, the term "humanized antibody" refers to a chimeric immunoglobulin containing minimal sequence derived from a non-human immunoglobulin of a non-human (e.g., mouse) antibody, an immunoglobulin chain or fragment thereof (e.g., Fv, Fab, Fab', F(ab')2 or other antigen-binding subsequence of an antibody). In most cases, a humanized antibody is a CDR in which residues of a complementarity-determining region (CDR) of the recipient are from a non-human species (donor antibody), such as mouse, rat, or rabbit, having the desired specificity, affinity, and capacity. is a human immunoglobulin (recipient antibody) replaced by residues of In some cases, Fv framework region (FR) residues of the human immunoglobulin are replaced by corresponding non-human residues. In addition, humanized antibodies may contain residues found neither in the recipient antibody nor in the imported CDR or framework sequences. These modifications are made to further improve and optimize antibody performance. In general, the humanized antibody will comprise substantially all of at least one, and typically two, variable domains in which all or substantially all of the CDR regions correspond to CDR regions of a non-human immunoglobulin; All or substantially all of the FR region has the sequence of the FR region of a human immunoglobulin. The humanized antibody includes at least a portion of an immunoglobulin constant region (Fc region) to substantially a human immunoglobulin constant region (Fc region) sequence.

상기 변이체는 "실질적 유사성"을 가지는 것으로, 2개의 펩타이드 서열이 디폴트 갭 가중치를 사용하는 프로그램 GAP 또는 BESTFIT에 의해서와 같이 최적으로 정렬되는 경우에 적어도 약 90%의 서열 동일성,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95%, 98% 또는 99%의 서열 동일성을 공유함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동일하지 않은 잔기 위치는 보존적 아미노산 치환에 의해 상이하다. "보존적 아미노산 치환"은 아미노산 잔기가 유사한 화학적 특성(예: 전하 또는 소수성)을 갖는 측쇄(R 기)를 갖는 또 다른 아미노산 잔기에 의해 치환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존적 아미노산 치환은 단백질의 기능성을 실질적으로 변화시키지 않는다. 2개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이 보존적 치환에 의해 서로 상이한 경우에, 유사성의 퍼센트 또는 정도는 치환의 보존적 성질을 보정하기 위해 상향 조절될 수 있다.Such variants have "substantial similarity", i.e. at least about 90% sequence identity, more preferably at least about It means sharing 95%, 98% or 99% sequence identity. Preferably, residue positions that are not identical differ by conservative amino acid substitutions. A "conservative amino acid substitution" is one in which an amino acid residue is replaced by another amino acid residue having a side chain (R group) with similar chemical properties (eg, charge or hydrophobicity). In general, conservative amino acid substitutions do not substantially alter the functionality of the protein. Where two or more amino acid sequences differ from each other by conservative substitutions, the percentage or degree of similarity can be adjusted up to correct for the conservative nature of the substitutions.

이러한 아미노산 변이는 아미노산 곁사슬 치환체의 상대적 유사성, 예컨대, 소수성, 친수성, 전하, 크기 등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아미노산 곁사슬 치환체의 크기, 모양 및 종류에 대한 분석에 의하여, 아르기닌, 라이신과 히스티딘은 모두 양전하를 띤 잔기이고; 알라닌, 글라이신과 세린은 유사한 크기를 갖으며; 페닐알라닌, 트립토판과 타이로신은 유사한 모양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고려 사항에 기초하여, 아르기닌, 라이신과 히스티딘; 알라닌, 글라이신과 세린; 그리고 페닐알라닌, 트립토판과 타이로신은 생물학적으로 기능 균등물이라 할 수 있다.Such amino acid variations are made based on the relative similarity of amino acid side chain substituents, such as hydrophobicity, hydrophilicity, charge, size, etc. Analysis of the size, shape and type of amino acid side chain substituents revealed that arginine, lysine and histidine are all positively charged residues; Alanine, glycine and serine have similar sizes; It can be seen that phenylalanine, tryptophan and tyrosine have similar shapes. Accordingly, based on these considerations, arginine, lysine and histidine; alanine, glycine and serine; And phenylalanine, tryptophan and tyrosine are biologically functional equivalents.

변이를 도입하는 데 있어서, 아미노산의 소수성 인덱스(hydropathic idex)가 고려될 수 있다. 각각의 아미노산은 소수성과 전하에 따라 소수성 인덱스가 부여되어 있다: 아이소루이신(+4.5); 발린(+4.2); 루이신(+3.8); 페닐알라닌(+2.8); 시스테인/시스타인(+2.5); 메티오닌(+1.9); 알라닌(+1.8); 글라이신(-0.4); 쓰레오닌(-0.7); 세린(-0.8); 트립토판(-0.9); 타이로신(-1.3); 프롤린(-1.6); 히스티딘(-3.2); 글루타메이트(-3.5); 글루타민(-3.5); 아스파르테이트(-3.5); 아스파라긴(-3.5); 라이신(-3.9); 및 아르기닌(-4.5).In introducing mutations, the hydropathic index of amino acids can be considered. Each amino acid is given a hydrophobicity index according to its hydrophobicity and charge: Isoleucine (+4.5); valine (+4.2); leucine (+3.8); phenylalanine (+2.8); cysteine/cysteine (+2.5); methionine (+1.9); alanine (+1.8); glycine (-0.4); threonine (-0.7); serine (-0.8); tryptophan (-0.9); Tyrosine (-1.3); proline (-1.6); histidine (-3.2); glutamate (-3.5); glutamine (-3.5); aspartate (-3.5); asparagine (-3.5); Lysine (-3.9); and arginine (-4.5).

단백질의 상호적인 생물학적 기능(interactive biological function)을 부여하는 데 있어서 소수성 아미노산 인덱스는 매우 중요하다. 유사한 소수성 인덱스를 가지는 아미노산으로 치환하여야 유사한 생물학적 활성을 보유할 수 있다는 것은 공지된 사실이다. 소수성 인덱스를 참조하여 변이를 도입시키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 2 이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 1 이내,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 0.5 이내의 소수성 인덱스 차이를 나타내는 아미노산 사이에서 치환을 한다.The hydrophobic amino acid index is very important in conferring the interactive biological function of proteins. It is a known fact that amino acids having similar hydrophobicity indexes should be substituted to retain similar biological activities. When a mutation is introduced with reference to the hydrophobicity index, substitution is made between amino acids showing a difference in hydrophobicity index, preferably within ± 2, more preferably within ± 1, even more preferably within ± 0.5.

한편, 유사한 친수성 값(hydrophilicity value)을 가지는 아미노산 사이의 치환이 균등한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단백질을 초래한다는 것도 잘 알려져 있다. 미국 특허 제4,554,10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다음의 친수성 값이 각각의 아미노산 잔기에 부여되어 있다: 아르기닌(+3.0); 라이신(+3.0); 아스팔테이트(+3.0± 1); 글루타메이트(+3.0± 1); 세린(+0.3); 아스파라긴(+0.2); 글루타민(+0.2); 글라이신(0); 쓰레오닌(-0.4); 프롤린(-0.5 ± 1); 알라닌(-0.5); 히스티딘(-0.5); 시스테인(-1.0); 메티오닌(-1.3); 발린(-1.5); 루이신(-1.8); 아이소루이신(-1.8); 타이로신(-2.3); 페닐알라닌(-2.5); 트립토판(-3.4).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well known that substitution between amino acids having similar hydrophilicity values results in proteins having equivalent biological activity. As disclosed in U.S. Patent No. 4,554,101, the following hydrophilicity values have been assigned to each amino acid residue: arginine (+3.0); lysine (+3.0); Asphaltate (+3.0±1); glutamate (+3.0±1); serine (+0.3); asparagine (+0.2); glutamine (+0.2); glycine (0); threonine (-0.4); proline (-0.5 ± 1); alanine (-0.5); histidine (-0.5); cysteine (-1.0); methionine (-1.3); valine (-1.5); Leucine (-1.8); isoleucine (-1.8); Tyrosine (-2.3); phenylalanine (-2.5); Tryptophan (-3.4).

친수성 값을 참조하여 변이를 도입시키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 2 이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 1 이내,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 0.5 이내의 친수성 값 차이를 나타내는 아미노산 사이에서 치환을 한다.When a mutation is introduced by referring to the hydrophilicity value, substitution is preferably made between amino acids exhibiting a difference in hydrophilicity value within ± 2, more preferably within ± 1, even more preferably within ± 0.5.

분자의 활성을 전체적으로 변경시키지 않는 단백질에서의 아미노산 교환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H. Neurath, R.L.Hill, The Proteins, Academic Press, New York, 1979). 가장 통상적으로 일어나는 교환은 아미노산 잔기 Ala/Ser, Val/Ile, Asp/Glu, Thr/Ser, Ala/Gly, Ala/Thr, Ser/Asn, Ala/Val, Ser/Gly, Thy/Phe, Ala/Pro, Lys/Arg, Asp/Asn, Leu/Ile, Leu/Val, Ala/Glu, Asp/Gly 간의 교환이다.Amino acid exchanges in proteins that do not entirely alter the activity of the molecule are known in the art (H. Neurath, R.L. Hill, The Proteins, Academic Press, New York, 1979). The most commonly occurring exchanges are amino acid residues Ala/Ser, Val/Ile, Asp/Glu, Thr/Ser, Ala/Gly, Ala/Thr, Ser/Asn, Ala/Val, Ser/Gly, Thy/Phe, Ala/ Exchange between Pro, Lys/Arg, Asp/Asn, Leu/Ile, Leu/Val, Ala/Glu, Asp/Gly.

본 발명의 SARS-CoV-2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은 상술한 아미노산 서열에 대하여 소폭의 변화, 즉, 3차 구조 및 항체의 기능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변형을 포함하는 SARS-CoV-2 S 단백질에 대한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을 포함한다. 따라서 어떤 구현예의 경우 상술한 서열과 일치하지 않더라도 적어도 100%, 93%, 95%, 96%, 97%, 또는 98% 이상의 유사성을 가질 수 있다. The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that specifically binds to SARS-CoV-2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light change in the above-described amino acid sequence, that is, a modification that has little effect on the tertiary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antibody. Antibodies against the SARS-CoV-2 S protein or antigen-binding fragments thereof. Thus, in some embodiments, even if they do not match the sequence described above, they may have at least 100%, 93%, 95%, 96%, 97%, or 98% similarity.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SARS-CoV-2 S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은 상술한 서열의 CDR을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 및 경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단일클론 항체, 이중특이적 항체, 다중특이적 항체, 인간 항체, 인간화 항체, 키메라 항체, 단일 체인 항체(scFv), Fab 단편, F(ab')단편, 다이설파이드-결합 Fvs(sdFV) 및 항-이디오타입(항-Id) 항체, 그리고 상기 항체들의 에피토프-결합 단편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SARS-CoV-2 S 단백질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은 scFv이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RS-CoV-2 S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noclonal antibody, a bispecific antibody comprising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and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the CDRs of the above-described sequence. Antibodies, multispecific antibodies, human antibodies, humanized antibodies, chimeric antibodies, single chain antibodies (scFv), Fab fragments, F(ab')fragments, disulfide-linked Fvs (sdFV) and anti-idiotypic (anti-idiotype) Id) antibodies, and epitope-binding fragments of the antibodies,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RS-CoV-2 S protein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cFv.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에 포함되는 중쇄가변영역 및 경쇄가변영역은 (Gly-Ser)n, (Gly2-Ser)n, (Gly3-Ser)n 또는 (Gly4-Ser)n 등의 링커에 의해 연결된다. 여기서 n은 1 내지 6의 정수이고, 구체적으로는 3 내지 4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scFv의 경쇄가변영역 및 중쇄가변영역은 예를 들어 다음의 배향으로 존재할 수 있다: 경쇄가변영역-링커-중쇄가변영역 또는 중쇄가변영역-링커-경쇄가변영역. In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vy chain variable region and the light chain variable region included in the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are (Gly-Ser)n, (Gly 2 -Ser)n, (Gly 3 -Ser)n or ( linked by a linker such as Gly 4 -Ser)n. Here, n is an integer of 1 to 6, specifically 3 to 4,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light chain variable region and heavy chain variable region of the scFv may exist, for example, in the following orientation: light chain variable region-linker-heavy chain variable region or heavy chain variable region-linker-light chain variable region.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술한 SARS-CoV-2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이중항체를 인코딩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포함하는 핵산 분자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ucleic acid molecule comprising a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above-described double antibody specifically binding to SARS-CoV-2.

본 명세서에서 용어 "핵산 분자”는 DNA(gDNA 및 cDNA) 그리고 RNA 분자를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의미를 가지며, 핵산 분자에서 기본 구성 단위인 뉴클레오타이드는 자연의 뉴클레오타이드뿐만 아니라, 당 또는 염기 부위가 변형된 유사체(analogue)도 포함한다(Scheit, Nucleotide Analogs, John Wiley, New York(1980); Uhlman 및 Peyman, Chemical Reviews, 90:543-584(1990)). As used herein, the term "nucleic acid molecule" has the meaning of comprehensively including DNA (gDNA and cDNA) and RNA molecules, and nucleotides, which are the basic structural units in nucleic acid molecules, are not only natural nucleotides, but also analogs having modified sugar or base sites. (analogue) is also included (Scheit, Nucleotide Analogs , John Wiley, New York (1980); Uhlman and Peyman, Chemical Reviews , 90:543-584 (1990)).

본 발명의 상기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를 인코딩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은 상기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을 구성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인코딩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인 것으로 족하며, 어느 특정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fficient to be a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amino acid sequence constituting the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and is not limited to any specific nucleotide sequence. .

이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의 변이가 발생하더라도 변이된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단백질로 발현하면 단백질 서열에서 변화를 가져오지 않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이를 코돈의 축퇴성(degeneracy)이라고 한다. 따라서 상기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은 기능적으로 균등한 코돈 또는 동일한 아미노산을 코딩하는 코돈 (예를 들어, 코돈의 축퇴성에 의해, 아르기닌 또는 세린에 대한 코돈은 여섯 개이다), 또는 생물학적으로 균등한 아미노산을 코딩하는 코돈을 포함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포함한다.This is because, even if a nucleotide sequence is mutated, expression of the mutated nucleotide sequence as a protein may not result in a change in the protein sequence. This is called codon degeneracy. Thus, the nucleotide sequence may be a functionally equivalent codon or a codon encoding the same amino acid (e.g., by codon degeneracy, there are six codons for arginine or serine), or a codon encoding a biologically equivalent amino acid. It includes a nucleotide sequence comprising a.

상술한 생물학적 균등 활성을 갖는 변이를 고려한다면, 상기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을 구성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본 발명의 핵산 분자는 이와 실질적인 동일성(substantial identity)을 나타내는 서열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상기의 실질적인 동일성은, 상기한 본 발명의 서열과 임의의 다른 서열을 최대한 대응되도록 얼라인(align)하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얼라인된 서열을 분석한 경우에, 최소 60% 이상의 상동성(예컨대 61%, 62%, 63%, 64%, 65%, 66%, 67%, 68%, 또는 69%), 보다 구체적으로는 70% 이상의 상동성(예컨대 71%, 72%, 73%, 74%, 75%, 76%, 77%, 78%, 또는 79%),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80% 이상의 상동성(예컨대 81%, 82%, 83%, 84%, 85%, 86%, 87%, 88%, 또는 89%), 보다 더욱더 구체적으로는 90% 이상의 상동성(예컨대 91%, 92%, 93%, 94%, 95%, 96%, 97%, 98%, 또는 99%), 가장 구체적으로는 95% 이상의 상동성(예컨대 95%, 96%, 97%, 98%, 또는 99%)을 나타내는 서열을 의미한다. 상기 60% 이상 100% 이하의 모든 정수 및 이 사이에 존재하는 소수는 % 상동성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Considering the mutations having the above-described biologically equivalent activity, the nucleic acid molecule of the present invention encoding the amino acid sequence constituting the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is interpreted to include a sequence exhibiting substantial identity therewith. The above substantial identity is at least when the sequ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y other sequence described above are aligned so as to correspond as much as possible, and the aligned sequence is analyzed using an algorithm commonly used in the art. 60% or greater homology (eg 61%, 62%, 63%, 64%, 65%, 66%, 67%, 68%, or 69%), more specifically 70% or greater homology (eg 71%, 72%, 73%, 74%, 75%, 76%, 77%, 78%, or 79%), even more specifically greater than or equal to 80% homology (e.g., 81%, 82%, 83%, 84%, 85%, 86%, 87%, 88%, or 89%), even more specifically greater than or equal to 90% homology (such as 91%, 92%, 93%, 94%, 95%, 96%, 97%, 98%, or 99%), most specifically a sequence that exhibits at least 95% homology (eg, 95%, 96%, 97%, 98%, or 99%). All integers of 60% or more and 100% or less and minor numbers existing therebetween ar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 homology.

서열비교를 위한 얼라인먼트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얼라인먼트에 대한 다양한 방법 및 알고리즘은 Smith and Waterman, Adv. Appl. Math. 2:482(1981); Needleman and Wunsch, J. Mol. Bio. 48:443(1970); Pearson and Lipman, Methods in Mol. Biol. 24: 307-31(1988); Higgins and Sharp, Gene 73:237-44(1988); Higgins and Sharp, CABIOS 5:151-3(1989); Corpet et al., Nuc. Acids Res. 16:10881-90(1988); Huang et al., Comp. Appl. BioSci. 8:155-65(1992) and Pearson et al., Meth. Mol. Biol. 24:307-31(1994)에 개시되어 있다. NCBI 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BLAST)(Altschul et al., J. Mol. Biol. 215:403-10(1990))은 NBCI(National Center for Biological Information) 등에서 접근 가능하며, 인터넷 상에서 blastp, blastn, blastx, tblastn 및 tblastx와 같은 서열 분석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이용할 수 있다. BLAST는 ncbi 웹사이트의 BLAST 페이지를 통하여 접속 가능하다. 이 프로그램을 이용한 서열 상동성 비교 방법은 ncbi 웹사이트의 BLAST help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Alignment methods for sequence comparison are known in the art. Various methods and algorithms for alignment are described in Smith and Waterman, Adv. Appl. Math. 2:482 (1981) ; Needleman and Wunsch, J. Mol. Bio. 48:443 (1970); Pearson and Lipman, Methods in Mol. Biol. 24: 307-31 (1988); Higgins and Sharp, Gene 73:237-44 (1988); Higgins and Sharp, CABIOS 5:151-3 (1989); Corpet et al., Nuc. Acids Res. 16:10881-90 (1988); Huang et al., Comp. Appl. BioSci. 8:155-65 (1992) and Pearson et al., Meth. Mol. Biol. 24:307-31 (1994). The NCBI 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 (BLAST) (Altschul et al., J. Mol. Biol. 215:403-10 (1990)) is accessible from the National Center for Biological Information (NBCI), etc., and blastp, blastn, It can be used in conjunction with sequence analysis programs such as blastx, tblastn and tblastx. BLAST is accessible through the BLAST page on the ncbi website. The sequence homology comparison method using this program can be found on the BLAST help page of the ncbi website.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본 발명의 SARS-CoV-2 S 단백질에 대한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의 중쇄 CDR, 경쇄 CDR, 중쇄 가변영역, 경쇄 가변영역, 중쇄, 또는 경쇄를 이루는 폴리펩티드와 이를 인코딩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은 본 명세서의 첨부된 서열목록에 수록되어 있다.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vy chain CDR, light chain CDR, heavy chain variable region, light chain variable region, heavy chain, or polypeptide constituting the light chain of the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against the SARS-CoV-2 S protei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it is listed in the sequence listing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술한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combinant vector comprising the nucleic acid molecule described above.

본 명세서에서 용어 "벡터"는 숙주 세포에서 목적 유전자를 발현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플라스미드 벡터; 코즈미드 벡터; 그리고 박테리오파아지 벡터,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레트로바이러스 벡터 및 아데노-연관 바이러스 벡터 같은 바이러스 벡터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used herein, the term "vector" refers to a plasmid vector as a means for expressing a gene of interest in a host cell; cosmid vector; and viral vectors such as bacteriophage vectors, adenoviral vectors, retroviral vectors, and adeno-associated viral vector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벡터에서 중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핵산 분자 및 경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핵산 분자는 프로모터와 작동적으로 결합(operatively linked)되어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v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 nucleic acid molecule encoding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and a nucleic acid molecule encoding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are operatively linked to a promoter.

본 명세서에서, 용어 "작동적으로 결합된(operatively linked)"은 핵산 발현 조절 서열(예: 프로모터, 시그널 서열, 또는 전사조절인자 결합 위치의 어레이)과 다른 핵산 서열사이의 기능적인 결합을 의미하며, 이에 의해 상기 조절 서열은 상기 다른 핵산 서열의 전사 및/또는 해독을 조절하게 된다.As used herein, the term "operatively linked" refers to a functional linkage between a nucleic acid expression control sequence (eg, a promoter, signal sequence, or array of transcriptional regulator binding sites) and another nucleic acid sequence, and , whereby the regulatory sequence controls the transcription and/or translation of the other nucleic acid sequence.

본 발명의 재조합 벡터 시스템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구축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은 Sambrook et al.,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2001)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 문헌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삽입된다. The recombinant vecto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structed through various methods known in the art, and specific methods thereof are disclosed in Sambrook et al.,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2001), , this document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본 발명의 벡터는 전형적으로 클로닝을 위한 벡터 또는 발현을 위한 벡터로서 구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벡터는 원핵 세포 또는 진핵 세포를 숙주로 하여 구축될 수 있다. Vec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typically be constructed as vectors for cloning or vectors for expression. In addition, the v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structed using a prokaryotic cell or a eukaryotic cell as a host.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벡터가 발현 벡터이고, 진핵 세포를 숙주로 하는 경우에는, 포유동물 세포의 지놈으로부터 유래된 프로모터(예: 메탈로티오닌 프로모터, beta-액틴 프로모터, 사람 헤로글로빈 프로모터 및 사람 근육 크레아틴 프로모터) 또는 포유동물 바이러스로부터 유래된 프로모터(예: 아데노바이러스 후기 프로모터, 백시니아 바이러스 7.5K 프로모터, SV40 프로모터,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프로모터, HSV의 tk 프로모터, 마우스 유방 종양 바이러스(MMTV) 프로모터, HIV의 LTR 프로모터, 몰로니 바이러스의 프로모터 엡스타인 바 바이러스(EBV)의 프로모터 및 로우스 사코마 바이러스(RSV)의 프로모터)가 이용될 수 있으며, 전사 종결 서열로서 폴리아데닐화 서열을 일반적으로 갖는다.For example, when the v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pression vector and a eukaryotic cell is used as a host, a promoter derived from the genome of a mammalian cell (e.g., metallotionine promoter, beta-actin promoter, human hemoglobin promoter, human muscle creatine promoter) or a promoter derived from a mammalian virus (e.g. adenovirus late promoter, vaccinia virus 7.5K promoter, SV40 promoter, cytomegalovirus promoter, tk promoter of HSV, mouse mammary tumor virus (MMTV) promoter, The LTR promoter of HIV, the promoter of Moloney virus, the promoter of Epstein Barr virus (EBV) and the promoter of Rouss sarcoma virus (RSV) can be used, and usually have a polyadenylation sequence as a transcription termination sequence.

본 발명의 벡터는 그로부터 발현되는 항체의 정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다른 서열과 융합될 수도 있다. 융합되는 서열은 예컨대, 글루타티온 S-트랜스퍼라제(Pharmacia, USA), 말토스 결합 단백질(NEB, USA), FLAG(IBI, USA) 및 6x His(hexahistidine; Quiagen, USA) 등이 있다.Vec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used with other sequences to facilitate purification of antibodies expressed therefrom. Sequences to be fused include, for example, glutathione S-transferase (Pharmacia, USA), maltose binding protein (NEB, USA), FLAG (IBI, USA) and 6x His (hexahistidine; Quiagen, USA).

또한, 본 발명의 벡터에 의해 발현되는 단백질이 항체이기 때문에, 정제를 위한 추가적인 서열 없이도, 발현된 항체는 단백질 A 컬럼 등을 통하여 용이하게 정제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otein expressed by the v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ntibody, the expressed antibody can be easily purified through a protein A column or the like without an additional sequence for purification.

한편, 본 발명의 발현 벡터는 선택표지로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항생제 내성 유전자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암피실린, 겐타마이신, 카베니실린, 클로람페니콜, 스트렙토마이신, 카나마이신, 제네티신, 네오마이신 및 테트라사이클린에 대한 내성 유전자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xpression v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n antibiotic resistance gene commonly used in the art as a selection marker, for example, ampicillin, gentamicin, carbenicillin, chloramphenicol, streptomycin, kanamycin, geneticin, neo There are genes for resistance to mycin and tetracyclines.

선택적으로, 상기 벡터는 리포터 분자(예: 루시퍼라아제 및 -글루쿠로니다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추가적으로 운반할 수 있다. Optionally, the vector may additionally carry genes encoding reporter molecules (eg, luciferase and -glucuronidase).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발현 벡터는 상기 항-SARS-CoV-2 S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을 인코딩하는 핵산 분자가 삽입된 벡터로서, 상기 핵산 분자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에 작동적으로 결합(operatively linked)되어 있고 숙주세포에서 RNA 분자를 형성시키는 프로모터 및 숙주세포에서 작용하여 RNA 분자의 3'-말단의 폴리아데닐화를 야기시키는 폴리 A 시그널 서열을 포함하는 숙주세포 발현용 재조합 벡터이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ression vector is a vector into which a nucleic acid molecule encoding the anti-SARS-CoV-2 S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is inserted, and operably binds to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e nucleic acid molecule It is a recombinant vector for host cell expression that is operatively linked and contains a promoter that forms RNA molecules in host cells and a poly A signal sequence that acts in host cells to cause polyadenylation at the 3'-end of RNA molecules.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재조합 벡터를 포함하는 단리된 숙주 세포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solated host cell comprising a recombinant vector is provided.

본 발명의 벡터를 안정되면서 연속적으로 클로닝 및 발현시킬 수 있는 숙주 세포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어떠한 숙주 세포도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벡터의 적합한 진핵세포 숙주 세포는 이스트(Saccharomyce cerevisiae), 곤충 세포, 원숭이 신장 세포7(COS7: monkey kidney cells), NSO 세포, SP2/0, 차이니즈 햄스터 난소(CHO: Chinese hamster ovary) 세포, W138, 어린 햄스터 신장(BHK: baby hamster kidney) 세포, MDCK, 골수종 세포주, HuT 78 세포 및 HEK-293 세포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ny host cell capable of stably and continuously cloning and expressing the v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ny host cell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suitable eukaryotic host cells for the vector are yeast (Saccharomyce cerevisiae), insect cells , monkey kidney cells 7 (COS7), NSO cells, SP2/0, Chinese hamster ovary (CHO) cells, W138, baby hamster kidney (BHK) cells, MDCK, myeloma cell line , HuT 78 cells and HEK-293 cells.

본 명세서에서 용어 "형질전환된", "형질도입된" 또는 "형질감염된”은 외인성 핵산이 숙주세포 내로 전달되거나 도입되는 과정을 지칭한다. "형질전환된”, "형질도입된" 또는 "형질감염된" 세포는 외인성 핵산으로 형질전환, 형질도입 또는 형질감염된 세포이며, 상기 세포는 당해 세포 및 그의 계대 배양으로 인한 자손 세포를 포함한다.As used herein, the terms "transformed", "transduced" or "transfected" refer to the process by which an exogenous nucleic acid is transferred or introduced into a host cell. "Transformed", "transduced" or "transfected" An "infected" cell is a cell that has been transformed, transduced or transfected with an exogenous nucleic acid, including the cell and progeny cells resulting from its passage.

본 발명의 벡터를 숙주 세포 내로 운반하는 방법은, 숙주세포가 진핵 세포인 경우에는, 미세 주입법(Capecchi, M.R., Cell, 22:479(1980)), 칼슘 포스페이트 침전법(Graham, F.L. et al., Virology, 52:456(1973)), 전기 천공법(Neumann, E. et al., EMBO J., 1:841(1982)), 리포좀-매개 형질감염법(Wong, T.K. et al., Gene, 10:87(1980)), DEAE-덱스트란 처리법(Gopal, Mol. Cell Biol., 5:1188-1190(1985)), 및 유전자 밤바드먼트(Yang et al., Proc. Natl. Acad. Sci., 87:9568-9572(1990)) 등에 의해 벡터를 숙주 세포 내로 주입할 수 있다.Methods for delivering the v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to a host cell, when the host cell is a eukaryotic cell, include a microinjection method (Capecchi, M.R., Cell, 22:479 (1980)), a calcium phosphate precipitation method (Graham, F.L. et al. , Virology, 52:456 (1973)), electroporation (Neumann, E. et al., EMBO J., 1:841 (1982)), liposome-mediated transfection (Wong, T.K. et al., Gene , 10:87 (1980)), DEAE-dextran treatment (Gopal, Mol. Cell Biol., 5:1188-1190 (1985)), and gene bombardment (Yang et al., Proc. Natl. Acad. Sci., 87:9568-9572 (1990)), etc., vectors can be injected into host cells.

본 발명에서 숙주세포 내로 주입된 재조합 벡터는 숙주 세포 내에서 재조합된 상기의 이중항체를 발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다량의 이중항체를 얻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발현 벡터가 lac 프로모터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숙주 세포에 IPTG를 처리하여 유전자 발현을 유도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mbinant vector injected into the host cell can express the recombinant double antibody in the host cell, and in this case, a large amount of double antibody is obtained. For example, when the expression vector includes a lac promoter, gene expression can be induced by treating host cells with IPTG.

상기 배양은 통상적으로 진탕 배양 또는 회전기에 의한 회전에 의한 것과 같은 호기성 조건하에서 행한다. 배양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의 범위에서 행하고, 배양시간은 일반적으로 5 시간 내지 7 일간 행한다. 배지의 pH는 배양 중에서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0의 범위를 유지한다. 배지의 pH는 무기 또는 유기산, 알칼리 용액, 우레아, 칼슘 카보네이트, 암모니아 등으로 조절할 수 있다. 배양 중에는 필요한 경우 재조합 벡터의 유지 및 발현을 위해 암피실린, 스트렙토마이신, 클로람페니콜, 카나마이신 및 테트라사이클린과 같은 항생제를 첨가할 수 있다. 유도(induction) 가능한 프로모터를 갖는 재조합 발현 벡터로 형질전환된 숙주세포를 배양하는 경우 필요하다면 배지에 적합한 유도제(inducer)를 첨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현 벡터가 lac 프로모터를 함유하는 경우 IPTG (isopropyl-beta-D-thiogalactopyranoside)를 첨가하고, trp 프로모터를 포함하는 경우 인돌아크릴산(indoleacrylic acid)을 배지에 첨가할 수 있다.The culturing is usually carried out under aerobic conditions, such as by shaking culturing or rotation by a rotator. The incubation temperature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0 to 40°C, and the incubation time is generally 5 hours to 7 days. The pH of the medium is preferably maintained in the range of 3.0 to 9.0 during culture. The pH of the medium can be adjusted with inorganic or organic acids, alkaline solutions, urea, calcium carbonate, ammonia, and the like. During cultivation, antibiotics such as ampicillin, streptomycin, chloramphenicol, kanamycin, and tetracycline may be added to maintain and express the recombinant vector, if necessary. When culturing a host cell transformed with a recombinant expression vector having an inducible promoter, a suitable inducer may be added to the medium if necessary. For example, if the expression vector contains the lac promoter, IPTG (isopropyl-beta-D-thiogalactopyranoside) may be added, and if the expression vector contains the trp promoter, indoleacrylic acid may be added to the medium.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술한 이중항체 및 이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SARS-CoV-2 감염증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SARS-CoV-2 infection comprising the above-described bispecific antibody and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thereof is provided.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SARS-CoV-2는 RBD의 아미노산 서열에 N354D/D364Y, V367F, W436R, R408I, G476S, V483A, V341I, F342L, A435S,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돌연변이가 있는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안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RS-CoV-2 has a mutation consisting of N354D / D364Y, V367F, W436R, R408I, G476S, V483A, V341I, F342L, A435S, or a combination thereof in the amino acid sequence of RBD.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SARS-CoV-2는 야생형, 알파 변이체, 베타 변이체, 감마 변이체, 델타 변이체, 및 카파 변이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RS-CoV-2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ild type, alpha mutant, beta mutant, gamma mutant, delta mutant, and kappa muta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술한 본 발명의 SARS-CoV-2에 대한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을 유효성분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이 둘 사이에 공통된 내용은 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그 기재를 생략한다.Since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above-described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against SARS-CoV-2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the common content between the two is to avoid excessive complexity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omit the description.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included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monly used in formulation, and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starch, gum acacia, calcium phosphate, alginate, gelatin,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calcium silicat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cellulose, water, syrup, methyl cellulose,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it is not going to be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ubricant, a wetting agent, a sweetening agent, a flavoring agent, an emulsifying agent, a suspending agent, a preservative, and the like 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nents. Suitabl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and agents are described in detail in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예컨대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흉골내 주입, 국소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및 직장내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orally or parenterally, such as intravenous injection, subcutaneous injection, intramuscular injection, intraperitoneal injection, intrasternal injection, topical administration, intranasal administration, intrapulmonary administration, and intrarectal administration. can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0.0001-100 ㎎/㎏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약제학적 유효량”은 상술한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The suitable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es depending on factors such as formulation method, administration method, patient's age, weight, sex, medical condition, food, administration time, route of administration, excretion rate and reaction sensitivity, A ordinarily skilled physician can readily determine and prescribe dosages effective for the desired treatment or prophylaxi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ily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0.0001-100 mg/kg. As used herein, the term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means an amount sufficient to prevent or treat the above-mentioned diseases.

본 명세서에서 용어 “예방”은 질환 또는 질환 상태의 방지 또는 보호적인 치료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치료”는 질환상태의 감소, 억제, 진정 또는 근절을 의미한다. As used herein, the term "prophylaxis" refers to preventive or protective treatment of a disease or condition. As used herein, the term "treatment" means reduction, suppression, sedation or eradication of a disease state.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 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산제, 좌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in unit dosage form by formulation using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and/or excipient according to a method that can be easily perform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r it may be prepared by incorporating into a multi-dose container. At this time, the formulation may be in the form of a solution, suspension or emulsion in an oil or aqueous medium, or may be in the form of an extract, powder, suppository, powder, granule, tablet or capsule, and may additionally contain a dispersing agent or stabilizer.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ummarized as follows:

(a) 본 발명은 SARS-CoV-2에 대한 이중항체를 제공한다. (a)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ispecific antibody against SARS-CoV-2.

(b) 본 발명은 SARS-CoV-2에 대한 이중항체를 포함하는 SARS-CoV-2 감염증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b)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SARS-CoV-2 infection comprising a bispecific antibody against SARS-CoV-2.

본 발명의 SARS-CoV-2에 대한 이중항체는 다양한 범위의 SARS-CoV-2 변이체에 대해 치료적 효능을 나타내므로, SARS-CoV-2 감염증 치료제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Since the bispecific antibody against SARS-CoV-2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therapeutic efficacy against a wide range of SARS-CoV-2 variants, it can be usefully used as a treatment for SARS-CoV-2 infection.

도 1은 분리된 항체들이 서로 독립적인 SARS-CoV-2 RBD 에피토프를 인식함을 확인하기 위하여, 경쟁적 ELISA 분석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항체 K102.1 및 K102.2로 제작가능한 세 가지 형태의 이중항체의 구조 및 이를 발현시키기 위한 벡터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항체(K102.1 및 K102.2) 및 이중항체(K202.A, K202.B 및 K202.C)의 세포에서 발현량을 측정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항체(K102.1 및 K102.2) 및 이중항체(K202.A, K202.B 및 K202.C)가 높은 순도로 발현됨을 웨스턴 블랏을 통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항체 및 이중항체의 SARS-CoV-2의 야생형 및 알파, 베타, 감마, 델타 및 카파 변이체에 대한 결합 친화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SPR 분석을 수행한 결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이중항체가 2개의 서로 다른 독립적인 에피토프를 인식함을 확인하기 위하여 SPR을 이용하여 경쟁분석을 수행한 결과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이중항체의 hACE2와 SARS-CoV-2 야생형 및 변이체의 RBD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중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항체의 농도별 결합 억제효능을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이중항체의 hACE2와 N354D/D364Y, V367F, W436R, R408I, G476S, V483A, V341I, F342L, 또는 A435S 돌연변이가 있는 RBD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중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항체의 농도별 결합 억제효능을 나타낸 도이다.
도 11은 hACE2를 과발현하는 293T 안정 세포주(293T/hACE2 세포)를 확립하였음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SARS-CoV-2 야생형 및 변이체의 슈도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항체의 중화 활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이중항체 K202.B의 존재 여부에 따른 다양한 SARS-CoV-2 야생형 및 변이체의 슈도바이러스 감염율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이중항체 K202.B의 약동학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이중항체 K202.B의 SARS-CoV-2 야생형에 대한 생체 내 효능을 분석하기 위한 실험의 개요를 나타낸 도이다.
도 16 내지 도 20는 본 발명의 이중항체 K202.B의 생체 내 효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SARS-CoV-2 야생형 바이러스 및 항체의 처리에 따른 일별 체중변화(도 16), 임상 점수(도 17), 바이러스 유래 유전자의 발현 수준(도 18, 도 19), 및 폐 병리학 검사 결과(도 20)를 나타낸 도이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이중항체 K202.B의 시험관 내 독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내피 세포에 처리시의 세포 생존율(도 21) 및 세포접착분자의 발현 정도(도 22)를 나타낸 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이중항체 K202.B의 생체 내 독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마우스에 K202.B를 투여하고 혈청으로부터 간 및 신장 독성을 나타내는 생화학 검사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이중항체 K202.B의 SARS-CoV-2 델타 변이체에 대한 생체 내 효능을 분석하기 위한 실험의 개요를 나타낸 도이다.
도 25 내지 도 29는 본 발명의 이중항체 K202.B의 생체 내 효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SARS-CoV-2 델타 변이체형 바이러스 및 항체의 처리에 따른 일별 체중변화(도 25), 임상 점수(도 26), 바이러스 유래 유전자의 발현 수준(도 27, 도 28), 및 폐 병리학 검사 결과(도 29)를 나타낸 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performing competitive ELISA analysis to confirm that the isolated antibodies recognize SARS-CoV-2 RBD epitopes independent of each other.
2 to 4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the structures of three types of bispecific antibodies that can be prepared with the antibodies K102.1 and K102.2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tructures of vectors for expressing them.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measurement of the expression level in cells of the antibodies (K102.1 and K102.2) and double antibodies (K202.A, K202.B and K202.C)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rough Western blot that the antibodies (K102.1 and K102.2) and the double antibodies (K202.A, K202.B and K202.C)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pressed with high purity.
7 shows the results of SPR analysis to confirm the binding affinity of the antibodies and diabodie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wild type and alpha, beta, gamma, delta and kappa variants of SARS-CoV-2.
8 is a result of competition analysis using SPR to confirm that the double anti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two different independent epitopes.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the binding inhibitory effect of each antibody concentration in order to confirm the neutralizing activity for the interaction between hACE2 of the double anti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BD of SARS-CoV-2 wild type and mutant.
Figure 10 shows the antibody concentration to confirm the neutralizing activity of the interaction between hACE2 of the diabodi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BDs with N354D/D364Y, V367F, W436R, R408I, G476S, V483A, V341I, F342L, or A435S mutations. It is a diagram showing the star binding inhibitory effect.
11 is a diagram showing that a 293T stable cell line (293T/hACE2 cells) overexpressing hACE2 was established.
12 is a diagram showing the neutralizing activity of antibodies against pseudovirus infection of SARS-CoV-2 wild-type and variants.
13 is a diagram showing changes in pseudovirus infectivity of various SARS-CoV-2 wild-type and variant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double antibody K202.B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pharmacokinetic analysis of the double antibody K202.B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diagram showing the outline of an experiment to analyze the in vivo efficacy of the double antibody K202.B of the present invention against SARS-CoV-2 wild type.
16 to 20 are daily weight changes (FIG. 16) and clinical scores (FIG. 17) according to treatment of SARS-CoV-2 wild-type virus and antibody, in order to analyze the in vivo efficacy of the bispecific antibody K202.B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xpression level of virus-derived genes (FIGS. 18 and 19), and the lung pathology test results (FIG. 20).
21 and 22 are diagrams showing the cell viability (FIG. 21) and the expression level of cell adhesion molecules (FIG. 22) when endothelial cells were treated in order to analyze the in vitro toxicity of the double antibody K202.B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biochemical tests showing liver and kidney toxicity from serum after K202.B was administered to mice in order to analyze the in vivo toxicity of the double antibody K202.B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diagram showing the outline of an experiment to analyze the in vivo efficacy of the double antibody K202.B of the present invention against the SARS-CoV-2 delta variant.
25 to 29 are daily weight changes according to treatment of SARS-CoV-2 delta variant virus and antibody (FIG. 25), clinical scores (FIG. 26), expression levels of virus-derived genes (FIGS. 27 and 28), and lung pathology test results (FIG. 29).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amples. These examples are only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according to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

실시예Example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 %이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unless otherwise specified, "%" used to indicate the concentration of a particular substance is (weight/weight) % for solids/solids, (weight/volume) % for solids/liquids, and Liquid/liquid is (volume/volume) %.

실시예 1: bsAbs의 설계, 생성 및 특성 확인Example 1: Design, gene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sAbs

본 발명자들은 파지 디스플레이 기술을 사용하여 인간 합성 scFv 라이브러리에서 뚜렷한 상보성 결정 영역(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CDR) 서열을 가진 4개의 SARS-CoV-2 RBD 특이적 인간 scFv를 분리하였다. 내인성 IgG4로 교환된 반 분자(half molecule)에 의해 항체의 원치 않는 이종 혼합물을 초래하는 Fab arm exchange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S228P 돌연변이[IgG4(S228P)]가 있는 IgG4 기반 mAb를 제작하였다. We isolated four SARS-CoV-2 RBD-specific human scFvs with distinct 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CDR) sequences from a human synthetic scFv library using phage display technology. To prevent Fab arm exchange resulting in unwanted heterogeneous mixtures of antibodies by half molecules exchanged for endogenous IgG4, we constructed an IgG4-based mAb with the S228P mutation [IgG4(S228P)].

본 발명자들은 이 항체들 중에서 경쟁적 ELISA 분석법을 사용하여 SARS-CoV-2 RBD의 독립적인 에피토프를 인식하는 비경쟁 mAb 쌍인 K102.1과 K102.2를 확인하였다(도 1).Among these antibodies, the present inventors identified K102.1 and K102.2, which are non-competitive mAb pairs that recognize independent epitopes of SARS-CoV-2 RBD, using a competitive ELISA assay (FIG. 1).

이러한 부모 mAb를 기반으로 K202.A(도 2), K202.B(도 3) 및 K202.C(도 4)와 같은 구조의 세 가지 IgG4(S228P)-(scFv)2의 이중항체(bispecific antibody, bsAb)를 디자인하였다. 상기 세 가지 구조의 이중항체를 세포에서 발현시킨 결과, K202.C 구조의 이중항체는 발현율이 상당히 낮게 나타났다(도 5).Based on these parental mAbs, three IgG4(S228P)-(scFv)2 bispecific antibodies with the same structure as K202.A (Fig. 2), K202.B (Fig. 3) and K202.C (Fig. 4) , bsAb) was designed. As a result of expressing the bispecific antibody of the above three structures in cells, the expression rate of the bispecific antibody of the K202.C structure was quite low (FIG. 5).

설계한 이중항체의 구조 중 K202.A 및 K202.B 두 가지 IgG4(S228P)-(scFv)2 형태의 bsAb를 90% 이상의 순도로 생성하였다(도 6). 그런 다음 표면 플라즈몬 공명(SPR) 분석을 수행하여 SARS-CoV-2의 야생형 및 알파, 베타, 감마, 델타 및 카파 변이체의 정제된 RBD에 대한 bsAbs의 결합 친화도와 mAb의 결합 친화도를 비교하였다. 결과는 도 7에 나타내었다.Among the structures of the designed double antibody, two types of IgG4(S228P)-(scFv)2 bsAbs, K202.A and K202.B, were produced with a purity of 90% or more (FIG. 6). Then, surface plasmon resonance (SPR) analysis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binding affinity of bsAbs to purified RBDs of wild-type and alpha, beta, gamma, delta, and kappa variants of SARS-CoV-2 and the binding affinity of mAbs.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7 .

도 7 및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K202.B는 SARS-CoV-2 야생형에 대한 모 mAb과 견줄 수 있을 만큼, 서브나노몰 범위에서 시험된 모든 SARS-CoV-2 변이체의 RBD에 대한 강한 결합을 나타내었다. As shown in Figure 7 and Table 1, K202.B exhibited strong binding to the RBD of all tested SARS-CoV-2 variants in the sub-nanomolar range, comparable to the parental mAb against SARS-CoV-2 wild type. showed

본 발명자들은 K202.B가 SARS-CoV-2 RBD의 두 개의 독립적인 에피토프를 인식할 수 있는지 여부를 추가로 확인하기 위해 SPR을 사용하여 경쟁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는 도 8에 나타내었다. We performed a competition assay using SPR to further confirm whether K202.B can recognize two independent epitopes of SARS-CoV-2 RBD. Results are shown in FIG. 8 .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K202.B는 K102.1 또는 K102.2로 포화된 후에도 RBD에 결합할 수 있었다(도 8, A 및 B). 이와 대조적으로, K102.1과 K102.2는 모두 K202.B로 포화된 후 RBD에 결합하지 않았으며(도 8, C 및 D), 이는 bsAb K202.B가 2개의 독립적인 결합 부위를 특이적으로 인식함을 나타낸다.As shown in Figure 8, K202.B was able to bind to RBD even after being saturated with K102.1 or K102.2 (Figure 8, A and B). In contrast, both K102.1 and K102.2 did not bind to RBD after being saturated with K202.B (Fig. 8, C and D), indicating that bsAb K202.B has two independent binding sites specific. indicates recognition.

SARS-CoV-2의 야생형 및 변이체의 RBD에 대한 모 mAb 및 bsAb의 평형해리상수Equilibrium dissociation constants of parental mAbs and bsAbs for RBDs of wild-type and variants of SARS-CoV-2 RBD typeRBD type K102.1K102.1 K102.2K102.2 Ka (M-1)K a (M -1 ) Kd (M-1S-1)K d (M -1 S -1 ) KD (nM)K D (nM) Ka (M-1)K a (M -1 ) Kd (M-1S-1)K d (M -1 S -1 ) KD (nM)K D (nM) Wild-typeWild-type 1.61 × 105 1.61 × 10 5 2.76 × 10-4 2.76 × 10 -4 1.721.72 1.97 × 105 1.97 × 10 5 4.34 × 10-4 4.34 × 10 -4 2.202.20 B.1.1.7B.1.1.7 2.06 × 105 2.06 × 10 5 1.93 × 10-4 1.93 × 10 -4 0.940.94 1.54 × 105 1.54 × 10 5 5.57 × 10-4 5.57 × 10 -4 3.623.62 B.1.351B.1.351 0.93 × 105 0.93 × 10 5 2.95 × 10-4 2.95 × 10 -4 3.183.18 4.92 × 105 4.92 × 10 5 7.88 × 10-4 7.88 × 10 -4 1.601.60 P.1P.1 0.70 × 105 0.70 × 10 5 3.15 × 10-4 3.15 × 10 -4 4.514.51 4.54 × 105 4.54 × 10 5 9.39 × 10-4 9.39 × 10 -4 2.072.07 B.1.617.2B.1.617.2 2.11 × 105 2.11 × 10 5 2.98 × 10-4 2.98 × 10 -4 1.411.41 3.33 × 105 3.33 × 10 5 5.11 × 10-4 5.11 × 10 -4 1.531.53 B.1.617.1B.1.617.1 0.95 × 105 0.95 × 10 5 3.17 × 10-4 3.17 × 10 -4 3.343.34 4.07 × 105 4.07 × 10 5 6.83 × 10-4 6.83 × 10 -4 1.681.68 RBD type RBD type K202.AK202.A K202.BK202.B Ka (M-1)K a (M -1 ) Kd (M-1S-1)K d (M -1 S -1 ) KD (nM)K D (nM) Ka (M-1)K a (M -1 ) Kd (M-1S-1)K d (M -1 S -1 ) KD (nM)K D (nM) Wild-typeWild-type 1.65 × 105 1.65 × 10 5 1.29 × 10-4 1.29 × 10 -4 0.810.81 1.47 × 105 1.47 × 10 5 9.98 × 10-4 9.98 × 10 -4 0.680.68 B.1.1.7B.1.1.7 1.89 × 105 1.89 × 10 5 1.08 × 10-4 1.08 × 10 -4 0.570.57 8.31 × 105 8.31 × 10 5 7.93 × 10-4 7.93 × 10 -4 0.950.95 B.1.351B.1.351 0.78 × 105 0.78 × 10 5 2.49 × 10-4 2.49 × 10 -4 3.173.17 2.22 × 105 2.22 × 10 5 2.00 × 10-4 2.00 × 10 -4 0.900.90 P.1P.1 2.03 × 105 2.03 × 10 5 3.81 × 10-4 3.81 × 10 -4 1.661.66 0.87 × 105 0.87 × 10 5 1.86 × 10-4 1.86 × 10 -4 2.152.15 B.1.617.2B.1.617.2 2.47 × 105 2.47 × 10 5 2.26 × 10-4 2.26 × 10 -4 0.920.92 1.50 × 105 1.50 × 10 5 1.17 × 10-4 1.17 × 10 -4 0.780.78 B.1.617.1B.1.617.1 2.48 × 105 2.48 × 10 5 2.82 × 10-4 2.82 × 10 -4 1.141.14 2.78 × 105 2.78 × 10 5 1.60 × 10-4 1.60 × 10 -4 0.580.58

Ka, Association constantK a , Association constant

Kd, Dissociation constantK d , Dissociation constant

KD, Equilibrium dissociation constantK D , Equilibrium dissociation constant

실시예 2: 시험관 내 hACE2-RBD 상호작용, SARS-CoV-2 슈도바이러스, 및 생바이러스 감염에서 bsAbs의 중화 활성Example 2: Neutralizing activity of bsAbs in hACE2-RBD interaction in vitro, SARS-CoV-2 pseudovirus, and live virus infection

2-1. hACE2-RBD 상호작용에서 bsAbs의 중화 활성2-1. Neutralizing activity of bsAbs in hACE2-RBD interaction

hACE2-RBD 상호작용에서 bsAbs의 중화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SARS-CoV-2 야생형 및 Alpha, Beta, Gamma, Delta 및 Kappa 변이체의 각 재조합 RBD 단백질을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에 고정시켜, ELISA 기반 중화 분석을 수행하였다.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는 모 mAb, 모 mAb를 함께 포함하는 mAb 칵테일, 또는 bsAbs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 재조합 hACE2와 함께 개별적으로 인큐베이션되었다. 결과는 도 9 및 표 2에 나타내었다.In order to evaluate the neutralizing activity of bsAbs in the hACE2-RBD interaction, the present inventors immobilized each recombinant RBD protein of SARS-CoV-2 wild type and Alpha, Beta, Gamma, Delta and Kappa mutants on a microtiter plate and performed ELISA Based neutralization assay was performed. Microtiter plates were individually incubated with recombinant hACE2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parental mAbs, mAb cocktails containing parental mAbs together, or bsAbs. The results are shown in Figure 9 and Table 2.

SARS-CoV-2 야생형 및 변이체 RBD와 hACE2 사이의 직접 상호작용에 있어서 본 발명의 항체의 IC50 IC 50 values of the antibodi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irect interaction between SARS-CoV-2 wild-type and variant RBD and hACE2 RBD typeRBD type IC50 (nM)IC 50 (nM) K102.1K102.1 K102.2K102.2 K102.1
+ K102.2
K102.1
+ K102.2
K202.AK202.A K202.BK202.B
Wild-typeWild-type 1.33 ± 0.041.33 ± 0.04 4.94 ± 0.064.94 ± 0.06 1.55 ± 0.071.55 ± 0.07 1.57 ± 0.201.57 ± 0.20 1.85 ± 0.091.85 ± 0.09 B.1.1.7B.1.1.7 23.10 ± 0.0623.10 ± 0.06 NDND 16.79 ± 0.1616.79 ± 0.16 2.04 ± 0.072.04 ± 0.07 1.21 ± 0.101.21 ± 0.10 B.1.351B.1.351 NDND 0.86 ± 0.060.86 ± 0.06 1.94 ± 0.061.94±0.06 0.75 ± 0.030.75 ± 0.03 0.45 ± 0.150.45 ± 0.15 P.1P.1 NDND 3.23 ± 0.163.23 ± 0.16 5.52 ± 0.135.52 ± 0.13 1.19 ± 0.121.19 ± 0.12 1.73 ± 0.101.73±0.10 B.1.617.2B.1.617.2 1.83 ± 0.091.83 ± 0.09 1.14 ± 0.111.14 ± 0.11 1.08 ± 0.081.08 ± 0.08 0.73 ± 0.090.73 ± 0.09 0.18 ± 0.120.18 ± 0.12 B.1.617.1B.1.617.1 24.32 ± 0.0924.32 ± 0.09 0.40 ± 0.100.40 ± 0.10 0.71 ± 0.060.71 ± 0.06 0.34 ± 0.080.34 ± 0.08 0.19 ± 0.110.19 ± 0.11

ND, Not determined ND, not determined

도 9 및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야생형 RBD에 결합하는 hACE2의 경우, 항체들은 모두 유사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모든 변이체의 RBD에 대해 K202.B 이중항체는 mAb 또는 mAb 칵테일보다 더 강력하게 hACE2 결합을 억제하였다. 특히, 베타, 델타 및 카파 변이체의 RBD에 대한 hACE2 결합에 대한 K202.B의 IC50은 서브나노몰 범위에서 K202.A의 것과 비교하여 약간 유리한 억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As shown in FIG. 9 and Table 2, in the case of hACE2 binding to wild-type RBD, all antibodies showed similar inhibitory effects. However, for all variants of the RBD, the K202.B diabody inhibited hACE2 binding more strongly than either the mAb or mAb cocktail. In particular, the IC 50 of K202.B on hACE2 binding to RBD of the beta, delta and kappa variants was shown to have a slightly advantageous inhibitory effect compared to that of K202.A in the sub-nanomolar range.

또한, K202.B는 N354D/D364Y, V367F, W436R, R408I, G476S, V483A, V341I, F342L, 또는 A435S 돌연변이가 있는 RBD에 대한 hACE2 결합에 대해 강력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도 10 참조).In addition, K202.B showed a strong inhibitory effect on hACE2 binding to RBDs with N354D/D364Y, V367F, W436R, R408I, G476S, V483A, V341I, F342L, or A435S mutations (see FIG. 10).

2-2. SARS-CoV-2 슈도바이러스2-2. SARS-CoV-2 pseudovirus 감염에 대한 bsAbs의 중화 활성Neutralizing activity of bsAbs against infection

SARS-CoV-2 슈도바이러스 감염에서 본 발명의 bsAbs의 중화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부모 mAb, mAb 칵테일 및 bsAb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hACE2를 과발현하는 293T 안정 세포주(293T/hACE2 세포)(도 11)에 대해 SARS-CoV-2 슈도바이러스 중화 분석을 수행하였다.To evaluate the neutralizing ability of the bsAb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ARS-CoV-2 pseudovirus infection, we tested a 293T stable cell line (293T/hACE2 cells) overexpressing hACE2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parental mAb, mAb cocktail and bsAb ( SARS-CoV-2 pseudovirus neutralization assay was performed for FIG. 11).

결과는 도 12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The results are shown in Figure 12 and Table 3.

SARS-CoV-2 야생형 및 변이체의 슈도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항체의 IC50IC 50 values of antibodies against pseudovirus infection of SARS-CoV-2 wild-type and variants Pseudovirus
type
Pseudovirus
type
IC50 (nM)IC 50 (nM)
K102.1K102.1 K102.2K102.2 K102.1
+ K102.2
K102.1
+ K102.2
K202.AK202.A K202.BK202.B
Wild-typeWild-type 1.94 ± 0.071.94±0.07 NDND 1.96 ± 0.081.96 ± 0.08 0.27 ± 0.070.27 ± 0.07 0.16 ± 0.040.16 ± 0.04 B.1B.1 2.22 ± 0.092.22 ± 0.09 NDND 2.05 ± 0.142.05 ± 0.14 0.39 ± 0.140.39 ± 0.14 0.12 ± 0.110.12 ± 0.11 B.1.1.7B.1.1.7 6.16 ± 0.086.16 ± 0.08 NDND 3.12 ± 0.073.12 ± 0.07 0.18 ± 0.030.18 ± 0.03 0.15 ± 0.030.15 ± 0.03 B.1.351B.1.351 NDND NDND NDND 0.46 ± 0.040.46 ± 0.04 0.10 ± 0.040.10 ± 0.04 P.1P.1 NDND NDND NDND 1.74 ± 0.101.74±0.10 1.04 ± 0.091.04 ± 0.09 B.1.617.2B.1.617.2 4.48 ± 0.104.48 ± 0.10 NDND 3.04 ± 0.083.04 ± 0.08 1.83 ± 0.131.83 ± 0.13 0.13 ± 0.090.13 ± 0.09 B.1.617.1B.1.617.1 NDND NDND 15.63 ± 0.0815.63 ± 0.08 0.24 ± 0.040.24 ± 0.04 0.05 ± 0.040.05 ± 0.04

ND, Not determinedND, not determined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모 항체 K102.1이 나노몰 범위에서 야생형, B.1(D614G), 알파 및 델타 변이체 슈도바이러스의 감염을 유의하게 억제했지만, 다른 변이체는 억제하지 않았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한편, K102.2는 테스트된 모든 슈도바이러스에 대해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As shown in Figure 12, we found that the parental antibody K102.1 of the present invention significantly inhibited the infection of wild-type, B.1 (D614G), alpha and delta variant pseudoviruses in the nanomolar range, but inhibited other variants. observed that it did not. On the other hand, K102.2 showed no effect on all pseudoviruses tested.

반면, 이중항체 K202.B는 대부분 서브나노몰 또는 나노몰 농도의 IC50 값을 갖는 모 mAb 또는 mAb 칵테일보다 모든 슈도바이러스에 대해 더 강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중항체 K202.A는 이중항체 K202.B와 유사하거나 약간 약한 억제 효과를 보였다(도 12, 표 3).On the other hand, the diabody K202.B showed a stronger inhibitory effect against all pseudoviruses than the parental mAb or mAb cocktail with IC 50 values of mostly subnanomolar or nanomolar concentrations. The diabody K202.A showed a similar or slightly weaker inhibitory effect to that of the diabody K202.B (FIG. 12, Table 3).

2-3. 생바이러스 감염에서 bsAbs의 중화 활성2-3. Neutralizing activity of bsAbs in live viral infection

다음으로 본 발명자들은 허용성 세포(293T/hACE2) 및 Fc 감마 수용체 보유 세포(293T, K562 및 THP-1 세포 포함)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이중항체 K202.B가 항체 의존성 향상(antibody-dependent enhancement, ADE)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K202.B의 존재 여부에 따른 다양한 SARS-CoV-2 야생형 및 변이체의 슈도바이러스 감염율의 변화를 모니터링하였다. Next, the present inventors used permissive cells (293T/hACE2) and Fc gamma receptor-bearing cells (including 293T, K562 and THP-1 cells) to demonstrate that the diabody K202.B of the present invention enhances antibody-dependent enhancement. , ADE) were evaluated. The present inventors monitored changes in pseudovirus infectivity of various SARS-CoV-2 wild-type and variant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K202.B.

결과는 도 13에 나타내었다.Results are shown in FIG. 13 .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K202.B의 존재 여부에 따라 슈도바이러스 감염율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본 발명의 이중항체 K202.B가 생체 내에서 ADE를 유도하지 않음을 나타낸다.As shown in Figure 13, no significant change was observed in the pseudovirus infection rate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K202.B. This indicates that the double antibody K202.B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induce ADE in vivo.

실시예 3: 야생형 SARS-CoV-2 감염 동물 모델에서 이중항체 K202.B의 생체 내 효능 및 독성 평가Example 3: In vivo efficacy and toxicity evaluation of bispecific antibody K202.B in wild-type SARS-CoV-2 infected animal model

3-1. 생체 내 혈청 약동학 분석3-1. Serum pharmacokinetic analysis in vivo

본 발명자들은 이중항체 K202.B의 약동학을 조사하기 위하여 ICR 마우스에 5 mg/kg K202.B의 정맥 주사를 한 후 시간대별로 혈액 샘플을 수집하고, ELISA를 이용하여 K202.B의 혈청 내 수준을 분석하였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harmacokinetics of the double antibody K202.B, the present inventors intravenously injected 5 mg/kg K202.B into ICR mice, collected blood samples over time, and measured the serum level of K202.B using ELISA. analyzed.

결과는 도 14에 나타내었다. Results are shown in FIG. 14 .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K202.B는 마우스에서 약 78시간의 생체 내 반감기를 나타내었다.As shown in Figure 14, K202.B showed an in vivo half-life of about 78 hours in mice.

3-2. 생체 내 효능 분석3-2. In vivo efficacy assay

다음으로, 본 발명자들은 이중항체 K202.B의 야생형 SARS-CoV-2에 대한 생체 내 효능을 분석하였다.Next, the present inventors analyzed the in vivo efficacy of the double antibody K202.B against wild-type SARS-CoV-2.

구체적으로 야생형 SARS-CoV-2 바이러스를 K18-hACE2 형질전환(TG) 마우스에 비강 투여하였다. 3시간 후, 마우스에 2회 용량(5 및 30 mg/kg)의 K202.B를 정맥 내 주사하였다. 모 mAb 대조군으로 30 mg/kg의 K102.1을 정맥 내 주사하였다. 6일 후 마우스를 희생하여 이하의 분석을 수행하였다(도 15)Specifically, wild-type SARS-CoV-2 virus was intranasally administered to K18-hACE2 transgenic (TG) mice. After 3 hours, mice were intravenously injected with two doses (5 and 30 mg/kg) of K202.B. As a parental mAb control, 30 mg/kg of K102.1 was intravenously injected. After 6 days, the mice were sacrificed and the following analysis was performed (FIG. 15).

결과는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었다.Results are shown in FIGS. 16 and 17 .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중항체 K202.B를 투여한 야생형 SARS-CoV-2 감염 마우스는 관찰 기간 내내 유의한 체중 감소를 나타내지 않은 반면, PBS 및 K102.1 처리 마우스는 감염 후 6일(dpi)에서 뚜렷한 체중 감소를 나타내었다.As shown in FIG. 16, wild-type SARS-CoV-2-infected mice administered with the double antibody K202.B did not show significant weight loss throughout the observation period, whereas PBS and K102.1-treated mice 6 days after infection (dpi ) showed significant weight loss.

또한,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6dpi에서 각 K202.B 처리 그룹은 ≤1점(대부분 0점)의 임상 중증도 점수를 나타낸 반면, PBS 또는 K102.1 처리 그룹은 매우 거친 피모, 약간 감긴 눈 및/또는 빈사 상태를 특징으로 하는 3보다 큰 점수를 나타내었다.Also, as shown in Figure 17, at 6 dpi, each K202.B-treated group showed a clinical severity score of ≤1 (mostly 0), whereas the PBS or K102.1-treated groups had very coarse coat, slightly closed eyes and and/or a score greater than 3 characterizing moribund state.

또한, 본 발명자들은 6 dpi에서 희생된 모든 마우스의 폐 샘플을 RT-qPCR에 적용하여 바이러스 E 및 RNA-의존성 RNA 중합효소(RdRp) 유전자의 상대적 발현을 확인하였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ors subjected lung samples of all mice sacrificed at 6 dpi to RT-qPCR to confirm the relative expression of virus E and RNA-dependent RNA polymerase (RdRp) genes.

결과는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었다.Results are shown in Figures 18 and 19.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PBS 처리군과 비교할 때 각각의 이중항체 K202.B 처리군에서 두 바이러스 유전자의 발현이 용량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된 것으로 관찰되었다. 그러나, K102.1 처리군(도면 16, 17)에서는 약간의 감소만을 나타내었다.As shown in FIGS. 18 and 19 , it was observed that the expression of two viral gene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each of the diabody K202.B-treated groups when compared to the PBS-treated group. However, only a slight decrease was shown in the K102.1 treated group (Figures 16 and 17).

또한, 6 dpi에서 감염된 마우스의 폐에 대한 병리학 검사를 수행하여 도 20 및 표 4에 나타내었다.In addition, pathological examination was performed on the lungs of the infected mice at 6 dpi and is shown in FIG. 20 and Table 4.

야생형 SARS-CoV-2 감염 마우스의 폐 병리 점수 분석Lung pathology score analysis of wild-type SARS-CoV-2 infected mice Pathological scorePathological score Number of specimen (n = 7)Number of specimens (n = 7) PBSPBS K102.1 (30 mg/kg)K102.1 (30 mg/kg) K202.B (5 mg/kg)K202.B (5 mg/kg) K202.B (30 mg/kg)K202.B (30 mg/kg) 00 00 00 2 (28.57%)2 (28.57%) 3 (42.86%)3 (42.86%) 0.50.5 00 00 00 00 1One 2 (28.57%)2 (28.57%) 3 (42.86%)3 (42.86%) 1 (14.29%)1 (14.29%) 4 (57.14%)4 (57.14%) 1.51.5 3 (42.86%)3 (42.86%) 4 (57.14%)4 (57.14%) 00 00 22 2 (28.57%)2 (28.57%) 00 4 (57.14%)4 (57.14%) 00 Mean*Mean* 1.431.43 1.071.07 1.291.29 0.570.57

*Mean = (pathological score Х numbers of specimen)/total numbers of specimenPathological score = (0, 0%; 1, ≤ 10%; 2, 10%-50%; 3, ≥ 50%; +0.5, pulmonary edema or alveolar hemorrhage)*Mean = (pathological score Х numbers of specimen)/total numbers of specimenPathological score = (0, 0%; 1, ≤ 10%; 2, 10%-50%; 3, ≥ 50%; +0.5, pulmonary edema or alveolar hemorrhage)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PBS 및 K102.1 처리된 마우스는 유의한 폐 병변으로 인해 ≥1 또는 2의 점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K202.B 처리군의 경우, 높은 비율로 5 및 30 mg/kg 용량 모두에서 0점을 나타냈다. As shown in Table 4, PBS and K102.1 treated mice appeared to score ≧1 or 2 due to significant lung lesion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K202.B treatment group, 0 points were shown at both 5 and 30 mg/kg doses at a high rate.

또한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추가 조직병리학적 분석은 K202.B 처리된 폐에서 정상적인 특징을 나타내었으나, PBS 및 K102.1 처리된 마우스는 심각한 폐부종 또는 폐포 출혈을 나타내었다.As also shown in Figure 20, further histopathological analysis revealed normal features in the K202.B treated lungs, but PBS and K102.1 treated mice showed severe pulmonary edema or alveolar hemorrhage.

3-3. 시험관 내 독성 분석3-3. In vitro toxicity assay

본 발명의 이중항체의 시험관 내 독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내피세포에 20μg/ml K202.B 또는 36μg/ml 5-fluorouracil을 처리하고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도 21에 나타내었다.To analyze the in vitro toxicity of the double anti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endothelial cells were treated with 20 μg/ml K202.B or 36 μg/ml 5-fluorouracil, and cell viability was measured. Results are shown in FIG. 21 .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중항체 K202.B 처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내피 세포 생존 및 활성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아 심각한 내피 독성이 없었다. As shown in Figure 21,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n endothelial cell survival and activation in the bispecific antibody K202.B-treated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resulting in no serious endothelial toxicity.

또한, 본 발명자들은 이중항체의 내피세포 활성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hTNF-α) 또는 이중항체 K202.B를 처리하고, 세포접착분자(ICAM-1, VCAM-1)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결과는 도 22에 나타내었다.In addition, in order to confirm the endothelial cell activation effect of the double antibody, the present inventors treated inflammatory cytokine (hTNF-α) or double antibody K202.B and measured the expression of cell adhesion molecules (ICAM-1, VCAM-1). Confirmed. Results are shown in FIG. 22 .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hTNF-α를 처리한 군에서는 세포접착분자(ICAM-1, VCAM-1)의 발현이 활성화되었으나, 본 발명의 이중항체 K202.B를 처리한 군에서는 세포접착분자(ICAM-1, VCAM-1)의 발현에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중항체 K202.B는 내피세포 활성화 효과가 없어 내피 독성을 야기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As shown in FIG. 22, the expression of cell adhesion molecules (ICAM-1, VCAM-1) was activated in the group treated with hTNF-α, but in the group treated with the double antibody K202.B of the present invention, cell adhesion molecules ( There was no change in the expression of ICAM-1 and VCAM-1).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double antibody K202.B of the present invention did not cause endothelial toxicity due to no endothelial cell activating effect.

3-4. 생체 내 독성 분석3-4. In vivo toxicity assay

본 발명자들은 이중항체 K202.B의 생체 내 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마우스에 K202.B를 정맥주사하고 혈청으로부터 간 및 신장 독성을 평가하였다. In order to confirm the in vivo toxicity of the double antibody K202.B, the present inventors intravenously injected K202.B into mice and evaluated liver and kidney toxicity from serum.

결과는 도 23에 나타내었다. Results are shown in FIG. 23 .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중 변화가 없었고, 간 및 신장 독성을 나타내는 생화학 지표에도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이중항체 K202.B는 생체 내 독성을 야기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As shown in FIG. 23, there was no change in body weight and no change was observed in biochemical indicators representing liver and kidney toxicity. From the abov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double antibody K202.B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cause toxicity in vivo.

실시예 4: SARS-CoV-2 델타 변이체형 감염 동물 모델에서 이중항체 K202.B의 생체 내 효능 및 독성 평가Example 4: In vivo efficacy and toxicity evaluation of bispecific antibody K202.B in an animal model infected with SARS-CoV-2 delta variant

4-1. 생체 내 효능 분석4-1. In vivo efficacy assay

본 발명자들은 이중항체 K202.B의 SARS-CoV-2 델타 변이체형에 대한 생체 내 효능을 분석하였다. SARS-CoV-2 Delta 변이체에 대한 K202.B의 치료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비강내로 SARS-CoV-2 Delta 변이체 바이러스를 공격접종하고 3시간 후, K18-hACE2 TG 마우스에 5 또는 30 mg/kg K202.B를 정맥 내 주사하였다(도 24).The present inventors analyzed the in vivo efficacy of the double antibody K202.B against the delta variant of SARS-CoV-2. In order to evaluate the therapeutic efficacy of K202.B against SARS-CoV-2 Delta variant, 5 or 30 mg/kg of K18-hACE2 TG mice were challenged intranasally with SARS-CoV-2 Delta variant virus and 3 hours later. K202.B was injected intravenously (FIG. 24).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중항체 K202.B 처리군은 PBS 처리군에 비해 극적인 체중 감소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이는 6 dpi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급격한 체중 감소를 나타냈다.As shown in FIG. 25, no dramatic weight loss was observed in the double antibody K202.B-treated group compared to the PBS-treated group, which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apid weight loss at 6 dpi.

또한,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중항체 K202.B 처리된 마우스는 임상적 중증도에 대해 평균 점수가 1 점 이하(대부분의 마우스는 0점)를 나타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6, the mice treated with the double antibody K202.B showed an average score of 1 point or less (0 point for most mice) for clinical severity.

또한, 본 발명자들은 6 dpi에서 희생된 모든 마우스의 폐 샘플을 RT-qPCR에 적용하여 바이러스 E 및 RNA-의존성 RNA 중합효소(RdRp) 유전자의 상대적 발현을 확인하였다. 도 27 및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PBS 처리군과 비교하여 K202.B 처리군에서 RT-qPCR 결과는 바이러스 E 및 RdRp 유전자 모두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0 mg/kg K202.B 처리군에서는 6 dpi에서 바이러스 유전자 발현이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ors subjected lung samples of all mice sacrificed at 6 dpi to RT-qPCR to confirm the relative expression of virus E and RNA-dependent RNA polymerase (RdRp) genes. As shown in FIGS. 27 and 28 , RT-qPCR results in the K202.B treated group compared to the PBS treated group showed that the expression of both virus E and RdRp genes was effectively reduced. In particular, in the 30 mg/kg K202.B treated group, viral gene expression was hardly detected at 6 dpi.

또한, 6 dpi에서 감염된 마우스의 폐에 대한 병리학 검사를 수행한 결과를 표 5 및 도 29에 나타내었다.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K202.B 처리군에서는 용량 의존적으로 0점의 병리학적 점수가 증가한 반면, PBS 처리군에서는 폐 병변이 있는 1-2점(대부분 점수 2)의 점수가 관찰되었다.In addition, the results of pathology examination on the lungs of infected mice at 6 dpi are shown in Table 5 and FIG. 29. As shown in Table 5, in the K202.B-treated group, the pathological score of 0 was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whereas in the PBS-treated group, scores of 1-2 (mostly 2) with lung lesions were observed.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직병리학적 분석 결과는 K202.B 처리된 폐에서는 정상 소견을 보인 반면, PBS 처리된 마우스에서는 뚜렷한 폐부종 또는 폐포 출혈 소견을 보였다.As shown in FIG. 29 , histopathological analysis showed normal findings in the K202.B-treated lungs, whereas clear pulmonary edema or alveolar hemorrhage was observed in PBS-treated mice.

SARS-CoV-2 델타 변이체 감염 마우스의 폐에서 병리학적 점수 분석Analysis of pathological scores in the lungs of SARS-CoV-2 delta variant-infected mice Pathological score Pathological score Numbers of specimen (n = 7)Numbers of specimen (n = 7) PBSPBS K202.B (5 mg/kg)K202.B (5 mg/kg) K202.B (30 mg/kg)K202.B (30 mg/kg) 00 0 0 2 (28.57%)2 (28.57%) 5 (71.43%)5 (71.43%) 0.50.5 00 00 00 1One 2 (28.57%)2 (28.57%) 5 (71.43%)5 (71.43%) 2 (28.58%)2 (28.58%) 1.51.5 1 (14.29%)1 (14.29%) 00 00 22 4 (57.14%)4 (57.14%) 00 00 Mean*Mean* 1.571.57 0.710.71 0.290.29

*Mean = (pathological score Х numbers of specimen)/total numbers of specimenPathological score = (0, 0%; 1, ≤ 10%; 2, 10%-50%; 3, ≥ 50%; +0.5, pulmonary edema or alveolar hemorrhage) *Mean = (pathological score Х numbers of specimen)/total numbers of specimenPathological score = (0, 0%; 1, ≤ 10%; 2, 10%-50%; 3, ≥ 50%; +0.5, pulmonary edema or alveolar hemorrhage)

실험재료 및 방법Experiment materials and methods

1. 세포배양1. Cell culture

293T, K562 및 THP-1 세포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ATCC, Rockville, MD, USA)에서 구입했으며, CHOZN-GS 세포(CHO-K1에서 파생되었으며 무혈청 및 현탁 배양 조건에 적응됨)는 Merck(Merck, Whitehouse Station, NJ, USA)에서 구입하였다. Expi293 세포는 Thermo Fisher Scientific(Waltham, MA, USA)에서, 인간 제대 정맥 내피 세포(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는 Lonza(Basel, Switzerland)에서 구입하였다. 293T 세포는 DMEM 배지(Thermo Fisher Scientific)에서 배양한 반면, K562 및 THP-1 세포는 10%(v/v) FBS (Thermo Fisher Scientific) 및 100 U/ml의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Thermo Fisher Scientific)이 보충된 RPMI 배지 (Thermo Fisher Scientific)에서 37℃ 및 5% CO2 조건 하에서 배양되었다. HUVEC는 EGM-2 배지(Lonza)에서 유지되었다. Expi293 세포는 진탕 배양기에서 Expi293 발현 배지를 이용하여 37℃, 125rpm 및 8% CO2 조건 하에서 배양되었다. CHOZN-GS 세포는 마이크로 스케일 생물 반응기 Ambr®15 (Sartorius, Gφttingen, Germany)에서 37℃의 EX-CELL Advanced CHO Fed-batch medium (Sigma-Aldrich, Burlington, MA, USA)에서 배양되었다.293T, K562 and THP-1 cells were purchased from the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Rockville, MD, USA), and CHOZN-GS cells (derived from CHO-K1 and adapted to serum-free and suspension culture conditions) were purchased from Merck ( Merck, Whitehouse Station, NJ, USA). Expi293 cells were purchased from Thermo Fisher Scientific (Waltham, MA, USA), and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 were purchased from Lonza (Basel, Switzerland). 293T cells were cultured in DMEM medium (Thermo Fisher Scientific), whereas K562 and THP-1 cells were cultured in 10% (v/v) FBS (Thermo Fisher Scientific) and 100 U/ml penicillin-streptomycin (Thermo Fisher Scientific). cultured at 37° C. and 5% CO 2 in this supplemented RPMI medium (Thermo Fisher Scientific). HUVECs were maintained in EGM-2 medium (Lonza). Expi293 cells were cultured at 37° C., 125 rpm and 8% CO 2 using Expi293 expression medium in a shaking incubator. CHOZN-GS cells were cultured in EX-CELL Advanced CHO Fed-batch medium (Sigma-Aldrich, Burlington, MA, USA) at 37 °C in a microscale bioreactor Ambr ® 15 (Sartorius, Gφttingen, Germany).

2. 표면 플라즈몬 공명 (Surface plasmon resonance, SPR)2. Surface plasmon resonance (SPR)

SARS-CoV-2 RBD에 대한 항체의 결합 동역학(binding kinetics)은 실온에서 iMSPR-mini instrument (iCLUEBIO, 성남, 대한민국)장비에 10 mM HEPES pH 7.4, 700 mM NaCl, 2 mM CaCl2, 1 mM MnCl2, 및 0.005%(v/v) Tween-20을 러닝 버퍼로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재조합 SARS-CoV-2 RBD [야생형 및 변이체에는 B.1.1.7(알파), B.1.351(베타), P.1(감마), B.1.617.2(델타) 또는 B. 1.617 (카파)를 포함함]는 표준 아민 커플링을 통해 최대 500 응답 단위까지 COOH-Au 칩(iCLUEBIO) 표면에 공유 결합적으로 고정화되었다. 항체들(8, 16, 32, 64, 128 nM)을 센서 칩 표면에 50 ㎕/min의 유속으로 주입하였다. 1:1 결합 모델을 사용하여 동역학 평가 데이터를 얻었다. The binding kinetics of antibodies to SARS-CoV-2 RBD were measured at room temperature on an iMSPR-mini instrument (iCLUEBIO, Seongnam, Korea) in 10 mM HEPES pH 7.4, 700 mM NaCl, 2 mM CaCl 2 , and 1 mM MnCl. 2 , and 0.005% (v/v) Tween-20 as running buffer. Recombinant SARS-CoV-2 RBD [B.1.1.7 (alpha), B.1.351 (beta), P.1 (gamma), B.1.617.2 (delta) or B. 1.617 (kappa) for wild-type and variants with up to 500 response units were covalently immobilized on the surface of a COOH-Au chip (iCLUEBIO) via standard amine coupling. Antibodies (8, 16, 32, 64, 128 nM) were injected onto the surface of the sensor chip at a flow rate of 50 μl/min. Kinetic evaluation data were obtained using a 1:1 binding model.

RBD의 다른 영역에 결합하는 K202.B의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경쟁 실험을 수행하였다. COOH-Au 칩의 표면에 5nM WT-RBD-His를 고정화한 후, 고농도(512nM)의 K102.1 또는 K102.2 항체를 첨가하여 RBD의 해당 결합 부위를 포화시켰다. 그 다음, 128 nM K202.B를 첨가하였다. 반대로, 재조합 WT-RBD-His-고정화된 센서 칩의 표면에 512nM K202.B를 첨가한 후, 256nM K102.1 또는 K102.2를 후속적으로 첨가하였다. 곡선 피팅 및 데이터 분석은 iMSPR 분석 소프트웨어(Tracedrawer; iCLUEBIO)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Competi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ability of K202.B to bind to different regions of the RBD. After immobilizing 5 nM WT-RBD-His on the surface of the COOH-Au chip, a high concentration (512 nM) of K102.1 or K102.2 antibody was added to saturate the corresponding binding site of RBD. Then 128 nM K202.B was added. Conversely, after adding 512 nM K202.B to the surface of the recombinant WT-RBD-His-immobilized sensor chip, 256 nM K102.1 or K102.2 was subsequently added. Curve fitting and data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iMSPR analysis software (Tracedrawer; iCLUEBIO).

3. SARS-CoV-2 RBD-인간 ACE2 중화 분석3. SARS-CoV-2 RBD-human ACE2 neutralization assay

SARS-CoV-2 RBD와 hACE2의 상호작용을 억제하는 항체의 능력은 ELISA를 사용하여 조사되었다. 50 ng의 정제된 Fc 태그가 붙은 hACE2(hACE2-Fc)(R&D Systems, Minneapolis, MN, USA)를 96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코팅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이뮤노버퍼 (BPS Bioscience, San Diego, CA, USA)로 세척한 후,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블로킹 버퍼(BPS bioscience)로 블로킹하였다. 동시에, 25 nM의 정제된 SARS-CoV-2 WT- 또는 변이체-RBD-His(알파, 베타, 감마, 델타 및 카파)(Sino Biological)를 mAb 또는 bsAbs의 존재(0.006, 0.024, 0.097, 0.39, 1.56, 6.25, 25 및 100 nM) 또는 부재 하에 RT에서 1시간 동안 사전 인큐베이션하였다.The ability of the antibody to inhibit the interaction of SARS-CoV-2 RBD with hACE2 was investigated using ELISA. 50 ng of purified Fc-tagged hACE2 (hACE2-Fc) (R&D Systems, Minneapolis, Minn., USA) was coated on each well of a 96-well plate and incubated for 2 hours at room temperature. After washing with immunobuffer (BPS Bioscience, San Diego, CA, USA), the plate was blocked with blocking buffer (BPS bioscience) for 1 hour at room temperature. Simultaneously, 25 nM of purified SARS-CoV-2 WT- or variant-RBD-His (alpha, beta, gamma, delta and kappa) (Sino Biological) was tested in the presence of mAbs or bsAbs (0.006, 0.024, 0.097, 0.39, 1.56, 6.25, 25 and 100 nM) or without pre-incubation for 1 hour at RT.

4. hACE2 과발현 293T 안정 세포주 확립(293T/hACE2 세포주)4. Establishment of hACE2 overexpressing 293T stable cell line (293T/hACE2 cell line)

안정적인 293T/hACE2 세포주를 생성하기 위해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Lipofectamine 2000(Invitrogen)을 사용하여 pUNO1-hACE2 플라스미드(InvivoGen, San Diego, CA, USA)를 293T 세포에 형질감염시켰다. 48시간 동안 형질감염시킨 후, 세포를 20 ㎍/ml 블라스티시딘(InvivoGen)을 함유하는 배지에서 배양하여 양성 세포 집단을 선택하였다. hACE2의 발현은 면역블롯 및 면역세포화학적 분석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면역블롯 분석을 위해, 293T 및 293T/hACE2 세포주를 SDS 샘플 완충액으로 용해시키고 폴리클로날 항-hACE2 항체(R&D Systems)를 사용하여 면역블롯 분석을 실시하였다. 세포막에서 hACE2의 분포는 면역세포화학적 분석을 통해 연구되었다. 간단히 말해서, 293T 및 293T/hACE2 세포를 폴리-L-리신(0.1 mg/ml)으로 코팅된 Nunc® Lab-Tek® II 챔버 슬라이드(Thermo Fisher Scientific)(Sigma-Aldrich, St. Louis, MO, USA)에 플레이팅하였다. 24시간 후, 세포를 4% 포름알데히드로 10분간 고정하고 PBS로 2회 세척하였다.To generate a stable 293T/hACE2 cell line, the pUNO1-hACE2 plasmid (InvivoGen, San Diego, CA, USA) was transfected into 293T cells using Lipofectamine 2000 (Invitrogen)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After transfection for 48 hours, cells were cultured in medium containing 20 μg/ml blasticidin (InvivoGen) to select positive cell populations. Expression of hACE2 was determined using immunoblot and immunocytochemical analysis. For immunoblot analysis, 293T and 293T/hACE2 cell lines were lysed with SDS sample buffer and subjected to immunoblot analysis using a polyclonal anti-hACE2 antibody (R&D Systems). The distribution of hACE2 in cell membranes was studied by immunocytochemical analysis. Briefly, 293T and 293T/hACE2 cells were plated on Nunc ® Lab-Tek ® II chamber slides (Thermo Fisher Scientific) coated with poly-L-lysine (0.1 mg/ml) (Sigma-Aldrich, St. Louis, MO, USA). ) were plated on. After 24 hours, cells were fixed with 4% formaldehyde for 10 minutes and washed twice with PBS.

세포를 1%(w/v) BSA를 함유하는 PBS를 사용하여 블로킹하고 다클론 항-hACE2 항체와 함께 4℃에서 밤새 인큐베이션하였다. PBS로 3회 세척한 후, 세포를 Alexa Fluor 488-표지된 anti-goat 이차 항체(Invitrogen)와 함께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한 다음, 마운팅 용액(Dako North America, Carpinteria, CA, USA)으로 마운팅하였다. 염색된 세포는 공초점 현미경(LSM510; Carl Zeiss, Oberkochen, Germany)을 사용하여 이미지화되었다.Cells were blocked using PBS containing 1% (w/v) BSA and incubated overnight at 4° C. with a polyclonal anti-hACE2 antibody. After washing three times with PBS, cells were incubated with Alexa Fluor 488-labeled anti-goat secondary antibody (Invitrogen) for 1 hour at room temperature, followed by mounting with mounting solution (Dako North America, Carpinteria, CA, USA). did Stained cells were imaged using a confocal microscope (LSM510; Carl Zeiss, Oberkochen, Germany).

5. SARS-CoV-2 슈도바이러스 중화 분석5. SARS-CoV-2 pseudovirus neutralization assay

제조업체(Takara Bio, Kusatsu, 일본)의 지침에 따라 Lenti-XTM SARS-CoV-2 패키징 믹스를 사용하여 야생형 또는 D614G 변이체 및 firefly luciferase reporter 유전자를 보유하는 SARS-CoV-2 스파이크(S) 단백질을 갖는 Pseudotyped replication-deficient lentiviral particle을 제조하였다. 간단히 말해서, 패키징 믹스는 ExpiFectamine 293 시약을 사용하여 Expi293 세포에 일시적으로 형질감염되었다. 72시간 동안 배양한 후, 슈도바이러스를 함유하는 상등액을 수집하고 세포 파편을 제거하기 위해 잠시 원심분리(500Хg 10분 동안)하였다. 바이러스 적정은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Lenti-X GoStix Plus(Takara Bio)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알파, 베타, 감마, 델타 또는 카파 변이체를 갖고 firefly luciferase reporter 유전자를 발현하는 SARS-CoV-2 S 단백질을 가진 pseudotyped replication-deficient Moloney murine leukemia virus (MLV) particle는 eEnzyme(Gaithersburg, MD, 미국)에서 수득하였다.SARS-CoV-2 spike (S) protein carrying the wild-type or D614G variant and firefly luciferase reporter gene was isolated using Lenti-X TM SARS-CoV-2 packaging mix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of the manufacturer (Takara Bio, Kusatsu, Japan). Pseudotyped replication-deficient lentiviral particles with Briefly, the packaging mix was transiently transfected into Expi293 cells using ExpiFectamine 293 reagent. After incubation for 72 hours, the supernatant containing the pseudovirus was collected and briefly centrifuged (500 g for 10 minutes) to remove cell debris. Virus titers were determined using Lenti-X GoStix Plus (Takara Bio)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A pseudotyped replication-deficient Moloney murine leukemia virus (MLV) particle with a SARS-CoV-2 S protein that has alpha, beta, gamma, delta or kappa variants and expresses a firefly luciferase reporter gene was generated from eEnzyme (Gaithersburg, MD, USA). obtained.

슈도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mAb 또는 bsAb의 중화 활성을 결정하기 위해, 50 ㎕ 배양 배지 중 1×104 293T/hACE2 세포를 96웰 조직 배양 플레이트에 밤새 접종하였다. 항체의 연속 희석액을 50μl의 슈도바이러스(1 x 107 PFU/ml)와 함께 RT에서 10분 동안 사전 인큐베이션한 후 혼합물을 24시간 동안 세포와 함께 인큐베이션했다. firefly luciferase reporter 유전자 발현(바이러스 존재를 나타냄)은 ONE-Glo 루시퍼라제 기질(Promega, Madison, WI, USA)을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다음으로, 배양 배지를 제거하고 100 ㎕의 ONE-Glo 기질과 함께 배양하였다. 5분 후, 70 ㎕ 상청액을 흰색 평평한-바닥 96웰 분석 플레이트(Corning)로 옮기고 발광 신호를 Synergy H1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기록된 상대 발광 단위는 항체 부재 하에 SARS-CoV-2 슈도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에서 유래된 단위로 정규화되었다. IC50 값에 대한 용량-반응 곡선은 비선형 회귀(GraphPad Prism 8)에 의해 결정되었다.To determine the neutralizing activity of mAbs or bsAbs against pseudovirus infection, 1×10 4 293T/hACE2 cells in 50 μl culture medium were seeded in 96-well tissue culture plates overnight. Serial dilutions of antibody were pre-incubated with 50 μl of pseudovirus (1×10 7 PFU/ml) for 10 min at RT and then the mixture was incubated with cells for 24 h. Firefly luciferase reporter gene expression (indicating viral presence) was measured using ONE-Glo luciferase substrate (Promega, Madison, WI, USA). Next, the culture medium was removed and incubated with 100 μl of ONE-Glo substrate. After 5 minutes, 70 μl supernatant was transferred to a white flat-bottom 96-well assay plate (Corning) and the luminescence signal was measured using a Synergy H1 microplate reader. Relative luminescence units recorded were normalized to units derived from cells infected with SARS-CoV-2 pseudovirus in the absence of antibody. Dose-response curves for IC 50 values were determined by non-linear regression (GraphPad Prism 8).

6. 생체 내 마우스 연구6. In vivo mouse studies

생체 내 효능 연구를 위해 8주령 암컷 B6.Cg-Tg(K18-ACE2)2Prlmn/J(hACE2) 마우스 (The Jackson Laboratory, CA, USA)를 인증된 A/BSL3 시설 (Korea Zoonosis Research Institute, Iksan, Republic of Korea)에 수용하였다. 모든 절차는 KOTUS 기관동물관리위원회(제22-KE-0076호)의 승인을 받았고, 생물안전이 필요한 모든 실험 프로토콜은 전북대학교 기관생물안전위원회(승인번호: JBNU 2020-11-003-003)의 승인을 받았으며, 전북대학교 한국동물성감염병연구소 BL3 및 ABL3 시설의 생물안전 캐비닛에서 수행되었다. For in vivo efficacy studies, 8-week-old female B6.Cg-Tg(K18-ACE2)2Prlmn/J(hACE2) mice (The Jackson Laboratory, CA, USA) were used in a certified A/BSL3 facility (Korea Zoonosis Research Institute, Iksan, Korea). Republic of Korea). All procedures were approved by the KOTUS Institutional Animal Care Committee (No. 22-KE-0076), and all experimental protocols requiring biosafety were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Biosafety Committee of Chonbuk National University (approval number: JBNU 2020-11-003-003). approved, and performed in a biosafety cabinet at the BL3 and ABL3 facilities of the Korea Institute of Animal Infectious Disease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ACE2-트랜스제닉(hACE2-TG) 마우스(n = 7)는 마취 하에 30㎕의 야생형 또는 델타 변이체 바이러스(1Х104 PFU)를 비강내 접종하였다. 감염 3시간 후, PBS, mAb 또는 bsAb를 정맥내 주사하였다. hACE2-transgenic (hACE2-TG) mice (n = 7) were inoculated intranasally with 30 μl of wild-type or delta mutant virus (1Х10 4 PFU) under anesthesia. Three hours after infection, PBS, mAb or bsAb was injected intravenously.

하기 기준에 기초하여 체중 변화 및 임상적 중증도에 대해 마우스를 매일 모니터링하였다:Mice were monitored daily for weight change and clinical severity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ScoreScore DescriptionDescription Appearance & MobilityAppearance & Mobility 00 HealthyHealthy No observable sign of diseaseNo observable sign of disease 1One Slightly ruffledSlightly ruffled Slightly ruffled coatSlightly ruffled coat 22 RuffledRuffled Ruffled coat throughout the body and a wet appearanceRuffled coat throughout the body and a wet appearance 33 SickSick Very ruffled coat and slightly closed, inset eyesVery ruffled coat and slightly closed, inset eyes 44 Very sickvery sick Very ruffled coat; closed, inset eyes; and moribund stateVery ruffled coat; closed, inset eyes; and moribund state

폐 조직에서 SARS-CoV-2 부담은 RT-qPCR을 통해 결정되었다. SARS-CoV-2 야생형 또는 Delta 변이체 감염 6일 후 hACE2-TG 마우스로부터 폐 조직을 채취하고 Wizol Reagent(Wizbiosolutions, 한국 성남)를 사용하여 채취한 조직에서 전체 RNA를 추출하였다. 샘플은 CFX96 실시간 PCR 검출 시스템(Bio-Rad Laboratories, Hercules, CA, USA)을 사용하여 RT-qPCR에 적용되었다.SARS-CoV-2 burden in lung tissue was determined via RT-qPCR. Lung tissues were collected from hACE2-TG mice 6 days after SARS-CoV-2 wild type or Delta mutant infection, and total RNA was extracted from the collected tissues using Wizol Reagent (Wizbiosolutions, Seongnam, Korea). Samples were subjected to RT-qPCR using the CFX96 real-time PCR detection system (Bio-Rad Laboratories, Hercules, CA, USA).

High-Capacity cDNA Reverse Transcription Kit (Applied Biosystems, Foster, CA, USA)를 사용하여 총 RNA를 역전사 후, 반응 혼합물(총 20μl)은 2μl의 주형 cDNA, 10μl의 2X Premix Ex Taq, 200 nM 프라이머 및 프로브(E 유전자: 정방향 프라이머 5'-ACAGGTACGTTAATAGTTAATAGCGT-3', 역방향 프라이머 5'-ATATTGCAGCAGTACGCACACA-3', 프로브 5'-FAM-ACACTAGCCATCCTTACTGCGC TTCG-BHQ1-3'; RdRp 유전자: 정방향 프라이머 5'-ATGAGCTTAGTCCTGTTG-3', 역방향 프라이머 5'-CTCCCTTTGTTGTGTTGT-3', 프로브 5'-HEX-AGATTGTCTTGTGCTGCCGGTA-BHQ1-3')를 포함하였다. 이러한 반응은 95℃ 에서 30초 동안 변성된 다음 95℃에서 5초 및 60℃에서 20초의 45주기를 거쳤다. 반응 사이클이 완료된 후 온도를 65℃에서 95℃까지 0.2℃/15초의 속도로 증가시키고, 형광을 5초마다 측정하여 용융 곡선을 구성하였다. 주형 DNA가 없는 대조군 샘플을 각 분석과 함께 실행하였다. 모든 측정은 재현성을 보장하기 위해 이중으로 수행되었다. 증폭된 산물의 진위는 용융 곡선 분석을 사용하여 결정되었다. 모든 데이터는 Bio-Rad CFX Manager 분석 소프트웨어 버전 2.1(Bio-Rad Laboratories)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바이러스 부담(viral burden)은 표준 cDNA 주형과 비교하여 바이러스 RNA의 절대 카피 수를 계산한 후 총 RNA의 나노그램당 바이러스 RNA의 카피 수로 표현하였다.After reverse transcription of total RNA using the High-Capacity cDNA Reverse Transcription Kit (Applied Biosystems, Foster, CA, USA), the reaction mixture (20 μl total) contained 2 μl of template cDNA, 10 μl of 2X Premix Ex Taq, 200 nM primers and probes. ( E gene : forward primer 5'-ACAGGTACGTTAATAGTTAATAGCGT-3', reverse primer 5'-ATATTGCAGCAGTACGCACACA-3', probe 5'-FAM-ACACTAGCCATCCTTACTGCGC TTCG-BHQ1-3'; RdRp gene : forward primer 5'-ATGAGCTTAGTCCTGTTG-3' , reverse primer 5'-CTCCCTTTGTTGTGTTGT-3', probe 5'-HEX-AGATTGTCTTGTGCTGCCGGTA-BHQ1-3'). The reaction was denatured at 95 °C for 30 sec followed by 45 cycles of 95 °C for 5 sec and 60 °C for 20 sec. After the reaction cycle was complete, the temperature was increased from 65 °C to 95 °C at a rate of 0.2 °C/15 sec, and the fluorescence was measured every 5 sec to construct a melting curve. A control sample without template DNA was run with each assay. All measurements were performed in duplicate to ensure reproducibility. The authenticity of the amplified products was determined using melting curve analysis. All data were analyzed using Bio-Rad CFX Manager analysis software version 2.1 (Bio-Rad Laboratories). Viral burden was expressed as the number of copies of viral RNA per nanogram of total RNA after calculating the absolute copy number of viral RNA compared to a standard cDNA template.

조직학histology

절제된 마우스 폐 조직을 PBS 중 4%(v/v) 파라포름알데히드(PFA)로 고정하고 파라핀 포매를 위해 처리하였다. 마이크로톰(HistoCore MULTICUT R; Leica, Germany)을 사용하여 파라핀 블록을 3 μm 두께로 절단하고 실란 코팅된 유리 슬라이드(5116-20F; Muto, Tokyo, Japan)에 마운팅하였다. Hematoxylin과 eosin, periodic acid-Schiff, 및 modified Masson's trichrome stain을 사용하여 모든 장기의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폐 조직의 조직 병리학은 광학 현미경(Axio Scope A1; Carl Zeiss)을 사용하여 관찰되었다. 병리학적 점수는 다음 점수 시스템을 사용하여 각 그룹의 각 섹션에 대한 염증 영역의 백분율을 기반으로 결정되었다. 0, 병리학적 변화 없음; 1, 영향을 받는 지역(≤ 10%); 2, 영향을 받는 지역(10%~50%); 3, 영향을 받는 지역(≥50%); 폐부종 및/또는 폐포 출혈이 관찰된 경우 0.5점이 추가되었다.Excised mouse lung tissue was fixed with 4% (v/v) paraformaldehyde (PFA) in PBS and processed for paraffin embedding. Paraffin blocks were cut to 3 μm thickness using a microtome (HistoCore MULTICUT R; Leica, Germany) and mounted on silane-coated glass slides (5116-20F; Muto, Tokyo, Japan). Histopathological changes in all organs were confirmed using hematoxylin, eosin, periodic acid-Schiff, and modified Masson's trichrome stain. Histopathology of lung tissue was observed using an optical microscope (Axio Scope A1; Carl Zeiss). Pathological scores were determined based on the percentage of inflammatory area for each section in each group using the following scoring system. 0, no pathological changes; 1, affected area (≤ 10%); 2, area affected (10% to 50%); 3, affected area (≥50%); If pulmonary edema and/or alveolar hemorrhage were observed, 0.5 points were added.

7. 시험관 내 항체 의존성 향상 분석7. In vitro antibody-dependent enhancement assay

50 마이크로리터의 SARS-CoV-2 슈도바이러스(1 x 107 PFU/ml)를 배양액에서 다양한 농도의 K202.B(0.044, 0.138, 0.42, 1.24, 3.7, 11.1, 33.3, 100mM)와 함께 사전 배양하였다. 실온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혼합물을 293T, 293T/hACE2, K562 또는 THP-1 세포(96웰 플레이트에서 1×104 세포)에 첨가하였다. 세포를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감염된 세포의 루시퍼라제 활성을 "SARS-CoV-2 슈도바이러스 중화 분석"에 설명된 대로 측정하였다.50 microliters of SARS-CoV-2 pseudovirus (1 x 10 7 PFU/ml) was pre-incub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K202.B (0.044, 0.138, 0.42, 1.24, 3.7, 11.1, 33.3, 100 mM) in culture medium. did After incubation at room temperature for 30 minutes, the mixture was added to 293T, 293T/hACE2, K562 or THP-1 cells (1×10 4 cells in a 96-well plate). The cells were cultured for 24 hours and the luciferase activity of the infected cells was measured as described in "SARS-CoV-2 Pseudovirus Neutralization Assay".

8. 내피 세포 생존력 분석8. Endothelial cell viability assay

총 5 x 103 HUVEC를 96웰 플레이트에 플레이팅하고 20μg/ml K202.B 또는 36μg/ml 5-fluorouracil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 37℃ 에서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Cell Counting Kit-8(Sigma)을 사용하여 결정되었다. 분광광도계(BioTek)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최종 흡광도를 측정하였다.A total of 5 x 10 3 HUVECs were plated in 96-well plates and incubated for 24 hours at 37°C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20 μg/ml K202.B or 36 μg/ml 5-fluorouracil. Cell viability was determined using the Cell Counting Kit-8 (Sigma)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Final absorbance was measured at 450 nm using a spectrophotometer (BioTek).

9. 유세포 분석9. Flow Cytometry

내피 세포 활성화에 대한 K202.B의 효과는 20 ng/ml의 인간 종양 괴사 인자-α(hTNF-α; Millipore), 20 ㎍/ml의 K202.B 또는 PBS를 세포에 24시간 동안 처리하고 4%(v/v) PFA로 고정하였다. 다음으로 10㎍/웰의 세포간 세포 접착 분자-1(ICAM-1; Abcam, Cambridge, MA, USA) 또는 혈관 세포 접착 분자-1(VCAM-1; Abcam) 항체를 25℃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 하였다. 그런 다음 Alexa Fluor 647-conjugated anti-mouse IgG 또는 anti-rabbit IgG(1:1000; Invitrogen)를 25℃ 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 하였다. 모든 샘플은 FlowJo 소프트웨어(TreeStar, Ashland, OR, USA)의 도움으로 유세포 분석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The effect of K202.B on endothelial cell activation was investigated by treating the cells with 20 ng/ml of human tumor necrosis factor-α (hTNF-α; Millipore), 20 μg/ml of K202.B or PBS for 24 hours and 4% (v/v) fixed with PFA. Next, 10 μg/well of intercellular cell adhesion molecule-1 (ICAM-1; Abcam, Cambridge, MA, USA) or 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1 (VCAM-1; Abcam) antibody was incubated at 25° C. for 1 hour. did Then, Alexa Fluor 647-conjugated anti-mouse IgG or anti-rabbit IgG (1:1000; Invitrogen) was incubated at 25°C for 1 hour. All samples were analyzed using flow cytometry with the help of FlowJo software (TreeStar, Ashland, OR, USA).

10. 생체 내 독성 및 혈청 약동학 분석10. In vivo toxicity and serum pharmacokinetic analysis

동물을 이용한 생체 내 독성 및 혈청 약동학 연구는 대한민국 국립암센터의 IACUC(승인번호 NCC-21-693)의 승인을 받았다. 8주령 암컷 ICR 마우스(Orient Bio Inc., Seongnam, Republic of Korea)에 5 또는 30 mg/kg의 K202.B를 정맥 주사하였다(그룹당 n = 3). 주사 후 4, 8, 24, 72, 120, 168, 264, 384 및 504시간에 각 마우스에서 혈액 샘플(50 μl)을 수집하고 4℃에서 20분 동안 5000 x g에서 원심분리하였다. 혈청은 생화학적 매개변수의 평가를 위해 -80℃에서 보관되었다. 글루타민 옥살로아세트산 트랜스아미나제(GOT), 글루타민 피루브산 트랜스아미나제(GPT), 크레아티닌(CRE) 및 혈액 요소 질소(BUN)의 혈청 수준은 Fuji Dri-Chem 3500 Biochemistry Analyzer(Fujifilm, Tokyo, Japan)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In vivo toxicity and serum pharmacokinetic studies using animals were approved by the IACUC (approval number NCC-21-693) of the National Cancer Center of Korea. 8-week-old female ICR mice (Orient Bio Inc., Seongnam, Republic of Korea) were intravenously injected with 5 or 30 mg/kg of K202.B (n = 3 per group). Blood samples (50 μl) were collected from each mouse at 4, 8, 24, 72, 120, 168, 264, 384 and 504 hours after injection and centrifuged at 5000 x g for 20 minutes at 4°C. Serum was stored at -80°C for evaluation of biochemical parameters. Serum levels of glutamine oxaloacetic transaminase (GOT), glutamine pyruvate transaminase (GPT), creatinine (CRE) and blood urea nitrogen (BUN) were measured using a Fuji Dri-Chem 3500 Biochemistry Analyzer (Fujifilm, Tokyo, Japan). was measured using

K202.2B의 혈청 수준은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인간 IgG ELISA 키트(Abcam)를 사용하여 결정되었다. Synergy H1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를 사용하여 광학 밀도를 측정하고 값을 동시에 분석된 표준 곡선의 값과 비교하였다.Serum levels of K202.2B were determined using a human IgG ELISA kit (Abcam)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Optical densities were measured using a Synergy H1 microplate reader and values were compared to those of a standard curve analyzed in parallel.

11. 통계 분석11. Statistical Analysis

데이터는 GraphPad Prism 8.0(GraphPad Software, La Jolla, CA, USA)을 사용하여 두 그룹 간의 비교를 위한 wo-tailed Student's t-test와 다중 비교를 위한 Bonferroni의 보정을 사용한 일원 분산 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모든 데이터는 평균 ± 평균의 표준 편차(SEM)를 나타낸다. 0.05 미만의 P 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간주된다(*P < 0.05, ** P < 0.01, *** P < 0.001).Data were analyzed using GraphPad Prism 8.0 (GraphPad Software, La Jolla, CA, USA) with two-tailed Student's t-test for comparisons between two groups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ith Bonferroni's correction for multiple comparisons. of variance, ANOVA) was used for analysis. All data represent the mean ± standard deviation of the mean (SEM). P values less than 0.05 are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5, ** P < 0.01, *** P < 0.001).

Claims (18)

다음을 포함하는 SARS-CoV-2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이중항체:
(a)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상보성 결정영역 1 (heavy chain 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1, H-CDR1),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상보성 결정영역 1 (light chain 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1, L-CDR1), 서열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번호 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
(b)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1,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1, 서열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번호 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c) 이들의 조합.
Bispecific antibodies that specifically bind to SARS-CoV-2, including:
(a) heavy chain 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1 (H-CDR1)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H-CDR2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2, and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3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n H-CDR3 comprising; and light chain 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1 (L-CDR1)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4, L-CDR2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5, and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6. An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comprising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n L-CDR3;
(b)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H-CDR1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H-CDR2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2, and H-CDR3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3; And an antibody comprising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L-CDR1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4, L-CDR2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5, and L-CDR3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6 or an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or
(c) any combination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의 중쇄가변영역은 서열번호 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이중항체.The double antibod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vy chain variable region of (a) comprises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의 경쇄가변영역은 서열번호 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이중항체.The double antibod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ght chain variable region of (a) comprises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의 중쇄가변영역은 서열번호 1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이중항체.The double antibod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vy chain variable region of (b) comprises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의 경쇄가변영역은 서열번호 1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이중항체.The double antibod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ght chain variable region of (b) comprises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의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은 서열번호 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를 포함하는 것인, 이중항체.The double antibod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of (a) comprises a heavy chain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의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은 서열번호 1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는 것인, 이중항체. The dual antibod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of (a) comprises a light chain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의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은 서열번호 1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scFv인, 이중항체.The double antibod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of (b) is an scFv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9. 제1항에 있어서, (a) 또는 (b)의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은 (b) 또는 (a)의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의 중쇄 C-말단에 결합된 것인, 이중항체.The diabod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ntibody of (a) or (b) or an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binds to the heavy chain C-terminus of the antibody of (b) or (a) or an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의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 및 (b)의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은 각각 SARS-CoV-2 Spike 단백질의 수용체 결합 도메인(receptor binding domain, RBD)의 서로 다른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것인, 이중항체.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of (a) and the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of (b) are each of the receptor binding domain (RBD) of the SARS-CoV-2 Spike protein. Bispecific antibodies that bind to different epitop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항체는 SARS-CoV-2 Spike 단백질의 RBD와 숙주세포의 안지오텐신 변환 효소(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2, ACE2)와의 결합을 억제하는 것인, 이중항체. The dual antibod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ual antibody inhibits the binding between RBD of SARS-CoV-2 Spike protein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2 (ACE2) of host cells. 제1항에 있어서, (a)의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 및 (b)의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은 IgG1, 또는 IgG4 형태인, 이중항체.The double antibod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of (a) and the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of (b) are in the form of IgG1 or IgG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이중항체를 인코딩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포함하는 핵산 분자.A nucleic acid molecule comprising a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diabody of any one of claims 1 to 12. 제13항의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A recombinant vector comprising the nucleic acid molecule of claim 13 . 제14항의 재조합 벡터를 포함하는 단리된 숙주 세포.An isolated host cell comprising the recombinant vector of claim 14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이중항체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SARS-CoV-2 감염증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SARS-CoV-2 infection comprising the double antibody of any one of claims 1 to 12 and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SARS-CoV-2는 RBD의 아미노산 서열에 N354D/D364Y, V367F, W436R, R408I, G476S, V483A, V341I, F342L, A435S,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돌연변이가 있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SARS-CoV-2 has a mutation consisting of N354D / D364Y, V367F, W436R, R408I, G476S, V483A, V341I, F342L, A435S, or a combination thereof in the amino acid sequence of RBD. Pharmaceutical composition.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SARS-CoV-2는 야생형, 알파 변이체, 베타 변이체, 감마 변이체, 델타 변이체, 및 카파 변이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the SARS-CoV-2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ild type, alpha variant, beta variant, gamma variant, delta variant, and kappa variant.
KR1020220091379A 2021-09-06 2022-07-22 Bispecific antibody specifically targeting SARS-CoV-2 Pending KR20230038626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18656 2021-09-06
KR1020210118656 2021-09-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8626A true KR20230038626A (en) 2023-03-21

Family

ID=85412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1379A Pending KR20230038626A (en) 2021-09-06 2022-07-22 Bispecific antibody specifically targeting SARS-CoV-2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38626A (en)
WO (1) WO2023033363A1 (e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02021003012A2 (en) * 2020-02-19 2021-11-30 Univ Berlin Charite Methods for diagnosing sars-cov-2 infection, kit and uses
KR102205028B1 (en) * 2020-03-22 2021-01-20 (주)셀트리온 A binding molecules able to neutralize SARS-CoV-2
JP7116256B1 (en) * 2020-04-02 2022-08-09 リジェネロン・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Anti-SARS-COV-2-Spike Glycoprotein Antibodies and Antigen-Binding Fragments
KR102229225B1 (en) * 2020-09-04 2021-03-19 (주)셀트리온 Binding Molecules Binding To A Spike Protein Of SARS-CoV-2 For Diagnosis Of COVID-19
US20210088517A1 (en) * 2020-09-29 2021-03-25 RayBiotech Life MULTIPLEX HIGH-THROUGHPUT FLOW CYTOMETRY DETECTION OF SARS-COV-2-SPECIFIC IgG, IgA AND IgM
KR102233689B1 (en) * 2020-11-26 2021-03-30 재단법인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Antibodies specifically binding to receptor-binding domain of SARS-CoV-2 spike protein and us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33363A1 (en) 2023-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90441B1 (en)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neutralizing antibodies
CN108271376B (en) Bispecific antibody constructs that bind DLL3 and CD3
KR102755473B1 (en) Antibodies to human IL-4RA and uses thereof
KR102573257B1 (en) Use of anti-fam19a5 antibodies for treating fibrosis
KR20190055008A (en) Anti-HER2 Antibody or Antigen Binding Fragment Thereof, and Chimeric Antigen Receptor Comprising The Same
KR20190099341A (en) Monoclonal antibodies against tissue factor pathway inhibitor (tfpi)
CN110475570A (en) Anti-human Annexin A1 antibody
CN114075289A (en) Anti-CD73 antibody and its use
KR102656738B1 (en) Family, member A5 antibody with anti-sequence similarity 19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20170110681A (en) PCSK9 ANTIBODI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KR20230117183A (en) Development of new tumor engager therapeutic drugs and their uses
KR20220007128A (en) Anti-SMA Antibodies and Their Uses for the Treatment of Eye or Ocular Diseases
KR20240008997A (en) Antibodies neutralizing SARS-CoV2
WO2022188721A1 (en) Anti-pvrig protein antibody or antibody fragment, and use thereof
TW202144406A (en) Sars-cov-2 antibody and the application thereof
TW202421666A (en) B7-H3 binding protein and use thereof
KR20220054080A (en) ANTIBODY SPECIFICALLY BINDING TO SARS-CoV-2 SPIKE PROTEIN AND USES THEREOF
KR102665886B1 (en) Antibody specifically binding to API5 and Uses thereof
KR20230038626A (en) Bispecific antibody specifically targeting SARS-CoV-2
KR20250017205A (en) Anti-CD39 nanobodies and uses thereof
KR101854529B1 (en) Antibodies cross-reactive to Human and Mouse Sema3A and Uses thereof
WO2022212429A1 (en) Anti-viral compositions for rift valley fever virus infections and methods of using same
KR20240151672A (en) Human antibodies against SARS-CoV-2 fusion peptide and use thereof
KR20250069453A (en) Use of HR2 peptide-fusion human antibodies for targeting the SARS-CoV-2 RBD and derivatives thereof
KR20240135579A (en) Human antibodies against SARS-CoV-2 Omicron variant BA.2 RBD and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3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