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6002A - 차량 내 헤드유닛과 연동 가능한 차량 탑재 단말기, 차량 시스템 및 그 업데이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내 헤드유닛과 연동 가능한 차량 탑재 단말기, 차량 시스템 및 그 업데이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36002A KR20230036002A KR1020210118662A KR20210118662A KR20230036002A KR 20230036002 A KR20230036002 A KR 20230036002A KR 1020210118662 A KR1020210118662 A KR 1020210118662A KR 20210118662 A KR20210118662 A KR 20210118662A KR 20230036002 A KR20230036002 A KR 2023003600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mounted terminal
- head unit
- target data
- update targe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1—Installation
- G06F8/63—Image based installation; Cloning; Build to ord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40/00—Transportation facility access, e.g. fares, tolls or p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차량 내 헤드유닛과의 연동을 통해 업데이트가 가능한 차량 탑재 단말기가 제공된다. 상기 차량 탑재 단말기는 상기 헤드유닛과 CAN 통신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CAN 회로부, 상기 헤드유닛으로부터 수신한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를 실행시키고, 상기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 실행 결과 제어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는 ETCS 회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 내 헤드유닛과 연동 가능한 차량 탑재 단말기, 차량 시스템 및 그 업데이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속도로를 포함한 유료도로에는 교통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자동 요금 징수 시스템(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 ETCS)이 설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자동 요금 징수 시스템은 주행 상태의 차량에서 무선통신에 의해 고속도로의 통행료를 처리하는 자동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으로, 전자 카드, 차량 탑재 단말기(On Board Unit, OBU), 그리고 노변 기지국(Road Side Equipment, RSE)을 포함한다. 노변 기지국은 차량을 인지하고 차량 탑재 단말기로 결제 요청 정보를 보내면, 차량 탑재 단말기는 전자 카드의 결제 정보를 읽어와 노변 기지국으로 보내고, 노변 기지국은 전자 카드의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한다.
이러한, 노변 기지국 내에는 차량 탑재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가 1개 또는 2개가 장착되어 있으며, 해당 안테나들이 노변 기지국의 통신 반경을 결정하게 된다.
최근 차량 내 인포테인먼트(In-Vehicle Infotainment) 시스템의 발달로, 차량 내에서 멀티미디어 시스템(H/Unit, Display 전용 장치 등)을 각종 편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화, 음악 등 첨단 엔터테인먼트 서비스까지 손쉽게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헤드유닛과 차량 탑재 단말기 간의 연동을 통해 다양한 ETCS 정보를 송수신하며, 차량 탑재 단말기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게다가, 최근 출시되는 신차의 경우, 차량 내비게이션 내 각종 결제(Payment) 기능들이 추가되어 별도의 신용카드의 준비 없이, 주유소, 주차장, Drive-Through 등의 이용 금액을 지불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결제 시스템의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차량 탑재 단말기의 전자 카드의 대금을 결제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 탑재 단말기와 헤드유닛을 연동하여 다양한 ETCS 정보를 내비게이션과 같은 소정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제공할 수 있는, 차량 내 헤드유닛과 연동 가능한 차량 탑재 단말기 및 그 연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 탑재 단말기와 헤드유닛을 연동하여 CAN 통신을 통해 차량 탑재 단말기의 제어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업데이트할 수 있는, 차량 내 헤드유닛과 연동 가능한 차량 탑재 단말기, 차량 시스템 및 그 업데이트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 결제 시스템의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차량 탑재 단말기의 전자 카드의 과금을 결제할 수 있는, 차량 내 헤드유닛의 차량 결제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 탑재 단말기 및 이의 전자 카드 과금 결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전에 룸 미러에 내장되던 차량 탑재 단말기나 스피커를 오버헤드콘솔로 옮겨, 룸 미러의 감성품질을 강화하고 룸 미러의 시계 확장효과도 더불어 구현할 수 있는 차량 탑재 단말기 내장 오버헤드콘솔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다른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차량 내 헤드유닛과의 연동을 통해 업데이트가 가능한 차량 탑재 단말기는 상기 헤드유닛과 CAN 통신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CAN 회로부, 상기 헤드유닛으로부터 수신한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를 실행시키고, 상기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 실행 결과 제어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는 ETCS 회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CAN 회로부는 상기 헤드유닛으로부터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헤드유닛으로 수신 결과를 전송하고, 상기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의 실행 이미지 및 상기 실행 이미지를 백업한 백업 이미지를 내부 메모리 상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는 CAN 회로부의 제어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ETCS 회로부는 상기 CAN 회로부로부터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CAN 회로부로 수신 결과를 전송하고, 상기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의 실행 이미지 및 상기 실행 이미지를 백업한 백업 이미지를 내부 메모리 상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차량 내 헤드유닛과의 연동 가능한 차량 탑재 단말기의 업데이트 방법은 상기 헤드유닛으로부터 CAN 통신을 기반으로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를 실행시키는 단계; 및 상기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 실행 결과 제어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헤드유닛으로부터 CAN 통신을 기반으로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헤드유닛으로부터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를 CAN 회로부가 수신함에 따라 상기 헤드유닛으로 수신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의 실행 이미지 및 상기 실행 이미지를 백업한 백업 이미지를 상기 CAN 회로부의 내부 메모리 상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ETCS 회로부가 상기 CAN 회로부로부터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CAN 회로부로 수신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의 실행 이미지 및 상기 실행 이미지를 백업한 백업 이미지를 ETCS 회로부의 내부 메모리 상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른 헤드유닛과의 연동을 통해 차량 탑재 단말기의 제어 프로그램 업데이트가 가능한 차량 시스템은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를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함에 따라 내부 메모리 상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업데이트타겟 데이터를 독출하여 CAN 통신부를 통해 차량 탑재 단말기로 전송하는 헤드유닛 및 상기 헤드유닛으로부터 수신한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를 실행시키고, 상기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 실행 결과 제어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는 차량 탑재 단말기를 포함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상기 차량 내 헤드유닛과의 연동 가능한 차량 탑재 단말기의 업데이트 방법을 실행하며,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헤드유닛과의 연동을 통하여 다양한 ETCS 관련 정보 및 부가서비스 정보를 헤드유닛과 연결된 다양한 정보 제공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 차량 탑재 단말기 전용 스피커를 통해서만 제한적으로 제공되던 ETCS 정보를 차량 스피커를 통해 ETCS 음성 안내가 가능하여 감성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밖에 내비게이션, HUD, 클러스터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차량 탑재 단말기를 업데이트하기 위하여 차량 서비스 센터를 별도로 방문할 필요가 없으며, 차량 서비스 센터 역시 차량 탑재 단말기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더불어, 헤드유닛과의 연동을 통해 업데이트를 진행할 수 있는바, 업데이트 단자 커넥터 체결 행위 등이 불필요하고, 경우에 따라 업데이트 단자를 제거하여 원가 절감도 가능하며, 단순한 내비게이션 조작만을 통해 업데이트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차량 탑재 단말기는 전자 카드 삽입을 위한 소켓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 슬림화 및 원가 절감이 가능하며, 전자 카드 미삽입으로 인한 인식 에러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운전자는 별도로 전자 카드를 신규 구매하거나 및 삽입하는 행위가 불필요하며, 차량 결제 시스템의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ETCS 과금을 결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향후 모빌리티 서비스의 일환으로 차량 공유 서비스 확대시 차량 결제 시스템을 활용한 ETCS 결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카드를 적용할 경우, 종전에 룸미러에 내장되었던 ETCS모듈과, ETCS모듈을 조작하기 위한 버튼이나, 스피커가 오버헤드콘솔 내에 수용됨으로써, 룸미러의 부피나 무게가 줄어들어 룸미러의 디자인과 기능을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 탑재 단말기와 헤드유닛의 CAN 연동 시, 타 부품 조립 간섭 및 구조적 제약 없이 원활한 커넥팅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탑재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누적 산출된 통행 요금 정보를 제공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CAN 회로부 및 ETCS 회로부를 활성화 및 동작시키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CAN 커넥터 체결 진단을 수행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탑재 단말기에서의 헤드유닛과의 연동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종래 차량 탑재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헤드유닛과의 연동 가능한 차량 탑재 단말기의 업데이트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는 현재 차량에 적용되는 차량 탑재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CAN 통신을 이용한 전자 카드 과금 결제가 가능한 차량 탑재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CAN 통신을 이용한 전자 카드 과금 결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2는 UART 통신을 이용한 전자 카드 과금 결제가 가능한 차량 탑재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UATR 통신을 이용한 전자 카드 과금 결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4는 메모리 기반의 전자 카드 과금 결제가 가능한 차량 탑재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메모리 기반의 전자 카드 과금 결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탑재 단말기 내장 오버헤드콘솔이 적용된 차량 내부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은 도 16의 오버헤드콘솔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7에 도시한 차량 탑재 단말기를 따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누적 산출된 통행 요금 정보를 제공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CAN 회로부 및 ETCS 회로부를 활성화 및 동작시키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CAN 커넥터 체결 진단을 수행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탑재 단말기에서의 헤드유닛과의 연동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종래 차량 탑재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헤드유닛과의 연동 가능한 차량 탑재 단말기의 업데이트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는 현재 차량에 적용되는 차량 탑재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CAN 통신을 이용한 전자 카드 과금 결제가 가능한 차량 탑재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CAN 통신을 이용한 전자 카드 과금 결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2는 UART 통신을 이용한 전자 카드 과금 결제가 가능한 차량 탑재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UATR 통신을 이용한 전자 카드 과금 결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4는 메모리 기반의 전자 카드 과금 결제가 가능한 차량 탑재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메모리 기반의 전자 카드 과금 결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탑재 단말기 내장 오버헤드콘솔이 적용된 차량 내부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은 도 16의 오버헤드콘솔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7에 도시한 차량 탑재 단말기를 따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헤드 유닛과 연동 가능한 차량 탑재 단말기(100)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탑재 단말기(100)의 블록도이다.
차량 탑재 단말기(100)는 노변 기지국이 설치된 도로를 이동하는 차량(예를 들어, 자동차) 내부에 설치되거나, 차량의 루프에 장착된 형태를 가짐으로써, 차량을 이용한 위치 이동 과정에서 노변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차량 탑재 단말기(100)와 노변 기지국 간의 통신 처리는, 근거리 전용 통신 대역인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 주파수 등 기타 다양한 차세대 주파수 대역 또한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노변 기지국과의 통신 처리는, 예컨대 노변 기지국과 요청 및 응답 신호를 송수신하는 일련의 절차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노변 기지국은 차량이 이동하는 도로(예를 들어, 고속도로) 변에 설치된 상태로 자신의 커버리지에 진입한 차량의 차량 탑재 단말기(100)들과 통신한다.
한편, 종래에는 차량 탑재 단말기 단독 Stand-Alone 방식으로 각종 ETCS 관련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없었으며, 단순히 음성 안내를 제한적으로 제공하였다. 이에 따라, 정보 제공에 제약이 발생할 수밖에 없으며, 특히 일부 제약된 정보를 차량 스피커가 아닌 차량 탑재 단말기 전용 스피커를 통해서만 제공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일부 After Market에는 내비게이션과 하이패스의 기능을 조합하여 제공하는 제품이 있으나 그 기능이 단순하여 다양한 ETCS 정보를 제공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 내 CAN 통신을 통해 헤드유닛(200), 특히 헤드유닛(200)의 내비게이션과 연동하여 다양한 ETCS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차량 탑재 단말기(10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탑재 단말기(100)는 ETCS 회로부(110), CAN 회로부(120) 및 전원 회로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CAN 회로부(120)는 헤드유닛(200)과 CAN 통신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ETSC 회로부는 소정의 ETCS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ETCS 정보 중 헤드유닛(200)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출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ETCS 정보를 CAN 회로부(120)를 통해 헤드유닛(200)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일 실시예로, 차량 내 디스플레이 장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운전석 계기판 등 소정의 위치에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전원 회로부(130)는 CAN 회로부(120)와 ETCS 회로부(11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일 실시예로 ETCS 회로부(110)에서 생성 및 제공하는 ETCS 정보는 차량 탑재 단말기(100)의 정보, 차량 탑재 단말기(100)에 삽입 또는 저장된 전자 카드 정보 및 노변기지국 간의 통신 결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노변 기지국 통과시 과금 징수를 위한 카드(예를 들어, 하이패스 카드)를 전자 카드라 지칭하도록 하며, 이와 구별되도록 상품 결제를 위해 차량 결제 시스템에 카드, 계좌 등은 결제 수단이라 지칭하도록 한다.
일 예로, 차량 탑재 단말기(100)의 정보는 제조번호, 발행번호, 차종, 차량번호, 발행일, 만료일, 소프트웨어 버전 및 하드웨어 버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밖에 볼륨레벨 및 안테나 체결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카드 정보는 전자 카드의 상태 정보와, 전자 카드의 종류 정보, 그리고 전자 카드의 거래내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태 정보는 정상카드 삽입, 카드 미삽입, 카드 오삽입, 불량카드 삽입, 잔액부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종류 정보는 선불카드, 후불카드, 할인선불카드, 면제카드, 자동충전카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거래내역 정보는 입구영업소 번호, 출구영업소 번호, 거래시간, 결제금액, 카드잔액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결과 정보는 정상 통신 및 이상 통신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정상 통신 정보는 영업소 종류(폐쇄식 입구/출구, 개방식 등), 결제 금액 및 카드잔액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통신 정보는 정상상태에서 영업소 통과 중 과금 실패, 영수증 미수신, MAC 인증 에러 등과 같은 통신 실패 정보를 포함하며, 카드 미삽입, 카드 오삽입, 불량카드, 카드 무응답, 거래금액 잔액 부족 및 거래금액 한도초과 정보와 같은 카드 이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탑재 단말기(100)는 소정의 기간 동안 누적 산출된 통행 요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ETCS 회로부(110)는 헤드유닛(200)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시간 정보를 수신하고, 헤드유닛(200)을 통해 설정된 소정의 기간 동안 누적된 통행 요금을 산출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소정의 기간이 도래함에 따라 산출된 통행 요금을 헤드유닛(2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e는 누적 산출된 통행 요금 정보를 제공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ETCS 회로부(110)는 소정의 기간, 예를 들어 주 단위나 월 단위 별로 누적된 통행 요금을 산출하고, 해당 기간이 도래함에 따라 산출된 통행 요금을 헤드유닛(200)으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해당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ETCS 회로부(110)는 2020년 7월 2주차가 도래함에 따라 2주차동안 이용한 통행 요금을 누적 산출하여 이용금액이 5,000원임을 음성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제공되도록 헤드유닛(20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ETCS 회로부(110)는 2020년 7월이 경과함에 따라 한 달 동안 이용한 통행 요금을 누적 산출하여 이용금액이 9,000원임을 음성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제공되도록 헤드유닛(200)에 전달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ETCS 회로부(110)는 차량 시동이 온 상태가 됨에 따라 전원을 인가 받으면, 헤드유닛(200)으로부터 시간 정보(월/일/요일)를 주기적으로 수신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또는 차량 출고시 기본으로 설정된 시간 단위(주간 또는 월간)를 헤드유닛(200)으로부터 수신한다.
이후, ETCS 회로부(110)는 통행 요금(과금)이 발생함에 따라, 주간 단위별로 그리고 월간 단위별로 발생한 통행 요금을 누적하여 메모리에 저장한다. 그리고 소정의 기간이 도래함에 따라 저장된 통행 요금을 누적 산출하여 헤드유닛(200)으로 제공하고, 헤드유닛(200)은 통행 요금 정보를 주간 단위 또는 월간 단위별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ETCS 회로부(110)는 소정의 기간 설정이 변경될 경우 메모리 상에 누적 저장된 통행 요금 정보를 초기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주 단위 변경 설정이 있는 경우 그 동안 누적 저장된 통행 요금 정보를 초기화시키고, 변경 설정된 기간에 상응하는 통행 요금이 발생할 경우 해당 통행 요금을 새롭게 누적 저장할 수 있다.
도 2c 내지 도 2f는 소정의 기간 설정이 변경될 경우 누적 통행 요금을 산출하는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으로, 먼저 도 2c는 소정의 기간 설정 변경이 없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c를 참조하면, 주간 누적 요금은 5,000원, 월간 누적 요금은 50,000원인 상태에서 6월 20일자로 통행 요금 1,000원이 발생한 경우, 주간 통행 요금은 6,000원, 월간 통행 요금은 51,000원으로 누적 산출되어 메모리 상에 저장된다.
도 2d는 주간 및 월간 단위를 동시에 변경한 경우로, 주간 누적 요금은 5,000원, 월간 누적 요금은 50,000원인 상태에서 7월 2일자로 통행 요금 1,000원이 발생한 경우, 주간 단위 및 월간 단위를 동시에 변경하면, 기존 누적 저장된 주간 누적 요금 및 월간 누적 요금은 초기화되어, 주간 통행 요금 및 월간 통행 요금은 각각 1,000원으로 누적 산출되어 메모리 상에 저장된다.
도 2e는 월간 단위는 그대로 두고 주간 단위만을 변경한 경우로, 주간 누적 요금은 5,000원, 월간 누적 요금은 50,000원인 상태에서 6월 24일자로 통행 요금 1,000원이 발생한 경우, 주간 단위만을 변경하면, 기존 누적 저장된 주간 누적 요금은 초기화되어, 주간 통행 요금 1,000원으로 새롭게 누적 산출되며, 월간 통행 요금은 기존 월간 누적 요금에 계속하여 누적되어 51,000원으로 누적 산출되어 메모리 상에 저장된다.
도 2f는 주간 단위는 그대로 두고 월간 단위만을 변경한 경우로, 주간 누적 요금은 5,000원, 월간 누적 요금은 50,000원인 상태에서 7월 2일자로 통행 요금 1,000원이 발생한 경우, 월간 단위만을 변경하면, 기존 누적 저장된 월간 누적 요금은 초기화되어, 월간 통행 요금 1,000원으로 새롭게 누적 산출되며, 주간 통행 요금은 기존 주간 누적 요금에 계속하여 누적되어 6,000원으로 누적 산출되어 메모리 상에 저장된다.
도 3은 CAN 회로부(120) 및 ETCS 회로부(110)를 활성화 및 동작시키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로, CAN 회로부(120)는 최초 상시전원(B+)이 인가됨에 따라 대기 모드(Sleep Mode)로 동작한다. 이후, CAN 통신에 상응하는 신호(이하, CAN 통신 신호)가 발생함에 따라 활성화 모드(Wake-up Mode)로 전환하여 동작하게 된다.
ETCS 회로부(110)는 이그니션 신호가 전달됨에 따라 전원이 인가되어 전체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이때, CAN 회로부(120)와 ETCS 회로부(110), 그리고 전원 회로부(130)에는 다음 표 1 및 도 1에 도시된 각 커넥터를 통해 연결되어 CAN 통신 신호, 이그니션 신호 및 기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커넥터 구분 | 핀 | 신호 | 연결 상대 |
스피커 커넥터 | 2 핀 | SPK+, SPK- | 스피커 |
메인 커넥터 | 6 핀 | 버튼 2개, LED 2개, IGN-1, GND | OHCL PCB |
CAN 커넥터 | 4 핀 | CAN_High, CAN_Low, B+, GND | 차량 커넥터 |
도 4는 CAN 커넥터 체결 진단을 수행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탑재 단말기(100)는 상시전원 인가 여부 및 CAN 통신 신호 발생 여부에 기초하여 CAN 커넥터 체결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즉, ETCS 회로부(110)는 이그니션 신호가 발생한 이후 또는 사용자에 의한 버튼 조작시, CAN 회로부(120)로의 상시전원 인가 여부를 확인하고, CAN 통신 신호 발생 여부를 판정하여 CAN 커넥터의 체결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TCS 회로부(110)는 표 2와 같이 상시전원 및 CAN 통신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인가되지 않은 경우 CAN 커넥터 체결 상태를 비정상 상태로 판정할 수 있으며, 상시전원 및 CAN 통신 신호 모두 인가시 정상 상태로 판정할 수 있다.
구분 | Step. 1 | Step. 2 | 판정 | 비고 |
B+ 전압인가 여부 확인 | CAN 신호 여부 확인 |
|||
진단부 | GPIO | SPI : CAN 메시지 (HU_ETCS_PE_01 - H/U 시간정보) |
ETCS ASIC 에서 진단 | ● CAN 커넥터 체결/미 체결 음성안내를 위해 신규 음원 필요 ※ CAN 커넥터 체결 진단 └ 체결 : “딩동~ 캔 커넥터 정상입니다.” └ 미 체결 : “딩동~ 캔 커넥터 비 정상입니다.” ※ 안테나 커넥터 체결 진단 └ 체결 : “딩동~ 안테나 정상입니다.” └ 미 체결 : “딩동~ 안테나 비 정상입니다.” |
미체결 | Low | 신호 없음 | 비 정상 | |
체결 | High | 신호 없음 | 비 정상 | |
체결 | High | 신호 있음 | 정상 |
구체적으로, ETCS 회로부(110)는 커넥터의 체결 진단 결과에 상응하는 로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일 실시예로, 로그 정보는 상태 로그, 이벤트 로그 및 상태 로그에 포함되는 최초 체결 시각 로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여기에서 상태 로그는 커넥터의 체결 및 미체결 상태를 나타내는 로그 정보이다. 그리고 이벤트 로그 정보는 상태 로그의 변경 이력이 기록되는 것으로, 이벤트 로그를 통해 커넥터의 체결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이벤트 로그는 최대 255바이트로 저장될 수 있으며, 최초 커넥터 체결에 상응하는 파라미터 값(AC)으로 기록된 후, 커넥터 미체결에 상응하는 파라미터 값(BC, DC)이 발생할 때마다 기록된다. 최초 체결 시각 로그는 CAN 커넥터가 체결된 이후 헤드유닛(200)으로부터 최초 신호를 수신한 시각이 로그 정보로 기록된다. 이때, 최초 체결 시각 로그에는 최초 헤드유닛(200)으로부터 신호 수신 이후 상시전원 미입력시 ss 단위에 BC 파라미터 값을 기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와 같은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CAN 커넥터의 체결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적용되는 로그 정보는 다음 표 3과 같으며, 각 상태 로그의 의미는 표 4와 같다.
로그 | 파라미터 값 | 저장 시점 | |
상태로그 | 00 | 초기값 | 차량 탑재 단말기 양산시 또는 정보 초기화 시 초기값으로 저장 |
BC | 상시신호(B+) 미입력 | IGN-1 OFF ON(차량 탑재 단말기 전원 ON) 또는 버튼 조작 시 상태 저장 | |
DC | 상시신호(B+) 입력 & CAN 통신 신호 없음 |
||
AC | B+ 입력 &CAN 통신 신호 있음 | ||
Date | 체결 후 최초 헤드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시각 저장 | ||
이벤트로그 | ACDCBC… | 최초 AC 기록부터 변경 이벤트 기록 이 후 DC, BC 상태 변화만 기록 |
상태 로드 | 체결 상태 | 음성안내 | LED 동작 사양 |
00 | 커넥터 체결한적 없음 | - | 적색 점멸 |
AC | 커넥터 체결 | “딩동~ 캔 커넥터 정상입니다.” | 정상/이상 동작사양 따름 (정상 : 녹색 점등, 이상 : 적색 점등) |
BC or DC | 커넥터 미 체결 | “띠리릭~ 캔 커넥터 비 정상입니다.” | 적색 점멸 (지속 점멸) |
그밖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보안 강화를 위한 ETCS 회로부(110) 내 탑재된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암호화 및 복호화 기능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헤드유닛(200)이 차량 탑재 단말기(100)로부터 ETCS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ETCS 정보를 내비게이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차량 내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헤드유닛(200)이 차량 탑재 단말기(100)로부터 ETCS 정보를 수신하면, 소정의 설정 조건에 상응하도록 클러스터 및 HUD 중 적어도 하나에 ETCS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때, 소정의 설정 조건은 ETCS 정보마다 각각 기 설정되어 각 디스플레이 장치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조건일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가 설정된 조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HUD 장치를 이용하는 상태에서 차량이 노변 기지국을 통과하여 통행 요금이 과금되는 경우, 음성 출력과 함께 HUD 장치를 통해 통행 요금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HUD 장치가 비활성화된 상태의 경우에는 클러스터 또는 내비게이션 화면을 통해 통행 요금이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 탑재 단말기(100)가 헤드 유닛과 연동됨에 따라, 차량 탑재 단말기(100)에서 생성된 다양한 ETCS 정보를 CAN 통신을 통해 헤드유닛(200)으로 전달하여, 다양한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탑재 단말기(100)에서의 헤드유닛(200)과의 연동 방법의 순서도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각 단계는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차량 탑재 단말기(10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동 방법은 먼저, 소정의 ETCS 정보를 생성하면(S110), 생성된 ETCS 정보 중 헤드유닛(200)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출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ETCS 정보를 선택한다(S120).
그 다음 선택된 ETCS 정보를 CAN 회로부(120)를 통해 헤드유닛(200)으로 전송한다(S130).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0 내지 S13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아울러, 기타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4의 내용은 도 5의 연동 방법의 내용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탑재 단말기(100), 차량 시스템 및 업데이트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내용 중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도록 하며, 다만 생략된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종래 차량 탑재 단말기(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기존의 차량 탑재 단말기는 단독(Stand-Alone) 제어 방식으로 제어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기 위해서는 업데이트 단자에 별도의 커넥터를 체결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운전자는 차량 탑재 단말기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차량 서비스 센터로 방문하는 것이 필수적이었으며, 차량 서비스 센터의 경우에도 차량 탑재 단말기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PC 및 업데이트 케이블과 같은 별도의 장치를 구비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 탑재 단말기(100)와 헤드유닛(200)을 연동하여 CAN 통신을 통해 차량 탑재 단말기(100)의 제어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업데이트할 수 있는 차량 탑재 단말기(100), 차량 시스템 및 업데이트 방법을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은 헤드유닛(200) 및 차량 탑재 단말기(100)를 포함한다.
헤드유닛(200)은 차량 탑재 단말기(100)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를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차량 탑재 단말기(100)로 제공한다.
일 실시예로, 헤드유닛(200)은 외부 서버로부터 소정의 무선 통신방식에 따라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를 수신하면 내부 메모리 상에 저장하고, 저장된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를 독출하여 CAN 회로부(120)를 통해 차량 탑재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헤드유닛(200)의 제어부는 외부 서버로부터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를 수신하면, 내부 메모리 상에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를 저장한 후, CAN 회로부(120)로 전송하기 위하여 저장된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를 독출하여 CAN 회로부(120)에 제공한다. CAN 회로부(120)는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 결과를 제어부로 전송한 후, 차량 탑재 단말기(100)로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를 제공한다.
차량 탑재 단말기(100)는 헤드유닛(200)으로부터 CAN 통신 방식에 따라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를 수신하면,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를 실행시키고, 실행 결과 제어 프로그램을 업데이트 한다.
구체적으로, 차량 탑재 단말기(100)의 CAN 회로부(120)는 헤드유닛(200)으로부터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를 수신함에 따라 헤드유닛(200)으로 수신 결과를 전송하고,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의 실행 이미지 및 실행 이미지를 백업한 백업 이미지를 내부 메모리 상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CAN 회로부(120)는 백업 이미지를 내부 메모리 상에 저장함으로써, 기존에 저장된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의 버전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 새로운 버전으로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 ETCS 회로부(110)에 새롭게 수신한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ETCS 회로부(110)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기 저장된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의 백업 이미지를 독출하여 제어 프로그램의 복원이 가능하게끔 할 수 있다.
한편, CAN 회로부(120)가 수신한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는 CAN 회로부(120)와 헤드유닛(200) 간의 CAN 통신을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CAN 회로부(120)는 상기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를 수신하면 실행 이미지를 통해 제어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업데이트를 시작하기 전에 백업 이미지를 내부 메모리 상에 저장할 수 있다.
차량 탑재 단말기(100)의 ETCS 회로부(110)는 CAN 회로부(120)로부터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를 수신하면 CAN 회로부(120)로 수신 결과를 전송하고,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의 실행 이미지 및 실행 이미지를 백업한 백업 이미지를 내부 메모리 상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CAN 회로부(120)의 내부 메모리와 ETCS 회로부(110)에서의 내부 메모리는 각각 상이한 메모리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후, ETCS 회로부(110)는 실행 이미지를 기반으로 기 설치된 제어 프로그램의 업데이트를 진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는 ETCS 회로부(110)의 제어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때, ETCS 회로부(110)는 업데이트 진행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한 경우, 내부 메모리 상에 저장된 백업 이미지를 독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업데이트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백업 이미지를 독출하여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업데이트가 실패한 경우, CAN 회로부(120)의 내부 메모리 상에 저장된 백업 이미지 또는 실행 이미지를 제공받아 업데이트를 다시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ETCS 회로부(110)는 제어 프로그램 자체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기 저장된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의 백업 이미지를 독출하여 제어 프로그램의 복원이 가능하게끔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 탑재 단말기(100)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통합으로 업데이트하기 위한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를 헤드유닛(200)을 통해 수신하여 간편하게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ETCS 회로부(110) 및 CAN 회로부(120)를 각각 제어하는 각 제어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를 헤드유닛(200)으로부터 각각 수신하여 ETCS 회로부(110)와 CAN 회로부(120)의 업데이트를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반드시 CAN 통신 방식을 통해서만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아닌, OTA(Over-The-Air), 진단기, 외부 단자(USB) 등을 이용하여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헤드유닛(200)과의 연동 가능한 차량 탑재 단말기(100)의 업데이트 방법의 순서도이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각 단계들은 도 1 및 도 7에서 설명한 차량 탑재 단말기(100), 차량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차량 탑재 단말기(100)는 헤드유닛(200)으로부터 CAN 통신을 기반으로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를 수신한다(S210).
다음으로, 차량 탑재 단말기(100)는 수신한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를 실행시키고(S220),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 실행 결과 제어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한다(S230).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CAN 회로부(120)가 헤드유닛(200)으로부터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를 수신함에 따라 헤드유닛(200)으로 수신 결과를 전송하고,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의 실행 이미지 및 상기 실행 이미지를 백업한 백업 이미지를 상기 CAN 회로부(120)의 내부 메모리 상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ETCS 회로부(110)는 상기 CAN 회로부(120)로부터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를 수신함에 따라 CAN 회로부(120)로 수신 결과를 전송하고,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의 실행 이미지 및 상기 실행 이미지를 백업한 백업 이미지를 ETCS 회로부(110)의 내부 메모리 상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210 내지 S23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아울러, 기타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7의 내용은 도 8의 업데이트 방법의 내용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헤드유닛(200)과 연동 가능한 차량 탑재 단말기(100), 차량 시스템 및 그 업데이트 방법에 따르면 다음 표 5와 같이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의 송수신 시간이 소요된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차량 결제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 탑재 단말기(100)의 전자 카드의 대금을 결제하는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현재 차량에 적용되는 차량 탑재 단말기(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종래 차량에 적용되는 차량 탑재 단말기(100)는 ETCS를 사용하기 위해서 무조건 소켓 내에 전자 카드를 삽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소켓 내에 삽입된 전자 카드의 정보를 독출하여 해당 정보를 노변 기지국과 송수신한다.
이때, 삽입되는 전자 카드의 종류는 선불카드, 후불카드, 자동충전 카드 등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차량 탑재 단말기(100)는 전자 카드를 직접 차량 탑재 단말기(100)의 소켓 내부에 삽입해야만 하므로 차량 탑재 단말기(100)의 사이즈가 커질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즉, 차량 탑재 단말기(100) 내에 카드를 고정, 토출 및 데이터 전송 등을 가능하게 하는 카드 소켓이 필요하다.
또한, 종래 차량 탑재 단말기(100)는 반드시 실물의 전자 카드를 삽입해야만 하므로 전자 카드의 도난, 분실과 같은 위험이 있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 탑재 단말기(100) 내에 전자 카드를 삽입할 수 있는 소켓을 제거하고, 소정의 통신 방식을 통해 헤드유닛(200) 내 차량 결제 시스템의 결제 수단 정보를 제공받아 전자 카드의 과금을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결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 탑재 단말기(100)가 헤드유닛(200) 내 차량 결제 시스템의 결제 수단 정보를 CAN 통신, UART 통신을 통해 수신할 수 있으며, 또는 메모리 기반으로 결제 수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하여 각각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CAN 통신을 이용한 전자 카드 과금 결제가 가능한 차량 탑재 단말기(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탑재 단말기(100)는 차량 내 헤드유닛(200)의 차량 결제 시스템의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전자 카드 과금 결제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도 10의 실시예는 차량 탑재 단말기(100)가 CAN 통신을 이용하여 헤드유닛(200) 내 차량 결제 시스템의 결제 수단의 정보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탑재 단말기(100)는 CAN 회로부(120) 및 ETCS 회로부(110)를 포함한다.
CAN 회로부(120)는 헤드유닛(200)과 CAN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ETSC 회로부는 노변 기지국을 통과시 노변 기지국으로부터의 전자 카드의 거래 요청을 수신하면, 차량 결제 시스템 상에 미리 설정된 결제 수단의 정보를 CAN 회로부(120)를 통해 요청한다.
일 실시예로, 차량 결제 시스템 내에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등록된 결제 수단이 저장되어 있다. 이때, 차량 결제 시스템에 등록된 결제 수단은 신용카드임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직접 등록한 결제 계좌, 가상화폐, 간편결제 정보 등 다양한 결제 수단이 결제 수단 정보로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차량 결제 시스템에서의 결제 수단 등록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헤드 유닛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접 결제 수단의 정보(예를 들어, 신용카드 정보)를 입력하여 등록할 수 있으며, 또는 PC나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결제 수단 정보를 독출하여 저장하는 방식으로 등록할 수 있다. 차량 결제 시스템은 차량의 시동이 온 상태가 됨에 따라 전원을 공급받으면, 저장된 결제 수단 정보가 유효한지 여부를 확인하여 결제 수단을 관리할 수 있다.
헤드유닛(200)은 CAN 통신을 통해 결제 수단의 정보를 요청받음에 따라, 차량 결제 시스템에 미리 등록된 결제 수단의 정보를 독출하여 차량 탑재 단말기(100)의 CAN 회로부(120)로 전송한다.
ETCS 회로부(110)는 차량 결제 시스템으로부터 CAN 통신을 통해 결제 수단의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결제 수단의 정보에 기반하여 노변 기지국으로부터의 거래 요청에 상응하는 거래 응답을 노변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노변 기지국과 차량 탑재 단말기(100) 간의 통신 처리는, 소정의 안테나를 기반으로 근거리 전용 통신 대역인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 주파수 등 기타 다양한 차세대 주파수 대역 또한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탑재 단말기(100)는 전자 카드의 과금 결제를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하는바, 전자 카드를 삽입하기 위한 소켓을 구비한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 ETCS 회로부(110)는 CAN 회로부(120)를 통해 차량 결제 시스템으로부터 결제 수단의 정보를 요청하여 결제 수단의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ETCS 회로부(110)는 차량 시동이 ON 됨에 따라 차량 결제 시스템으로 결제 수단의 정보를 요청하여 등록할 수 있으며, 시동이 OFF 됨에 따라 저장된 결제 수단의 정보는 삭제된다. 또한, ETCS 회로부(110)는 차량 시동이 ON된 이후, 기 설정된 주기마다 차량 결제 시스템으로 결제 수단의 정보를 요청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자 카드를 구비하는 것 대신에 차량 결제 시스템으로부터 결제 수단 정보를 제공받아 통행 과금을 결제하는데, 이때 차량 결제 시스템 상에 미리 등록된 결제 수단의 정보는 전자 카드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이패스 카드와 같은 전자 카드를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차량 결제 시스템 상에 미리 등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결제 시스템에는 결제 수단 뿐만 아니라 전자 카드 등록도 가능하며, 노변 기지국으로부터 과금 징수 요청을 받음에 따라 차량 탑재 단말기(100)는 CAN 통신을 통해 차량 결제 시스템으로부터 전자 카드 정보를 요청하여 노변 기지국에 전송하는 과정을 통해 과금 징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탑재 단말기(100)에 삽입되는 전자 카드의 삽입 에러, 미인식 에러와 같은 다양한 에러를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전자 카드의 삽입 및 구매가 불필요하고, 차량 탑재 단말기(100) 내 소켓 삭제가 가능하여 원가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1은 CAN 통신을 이용한 전자 카드 과금 결제 방법의 순서도이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각 단계들은 도 10의 차량 탑재 단말기(10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차량 탑재 단말기(100)는 노변 기지국을 통과시 노변 기지국으로부터 전자 카드의 거래 요청을 수신한다(S310).
다음으로, 거래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차량 결제 시스템 상에 미리 설정된 결제 수단의 정보를 CAN 통신을 통해 요청한다(S320).
다음으로, 차량 결제 시스템으로부터 CAN 통신을 통해 결제 수단의 정보를 수신하고(S330), 수신한 결제 수단의 정보에 기반하여 거래 요청에 상응하는 거래 응답을 노변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340).
도 12는 UART 통신을 이용한 전자 카드 과금 결제가 가능한 차량 탑재 단말기(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CAN 통신을 이용한 실시예에 있어서, ETSC 회로부뿐만이 아니라 타 제어기들의 정보들도 CAN 버스를 통해 교환되기 때문에 CAN 통신의 부하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하며, 이 경우 고속으로 노변 기지국을 통과시 통행 요금 과금 결제에 에러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CAN 통신을 통해 헤드유닛(200)과 차량 탑재 단말기(100) 간의 연동을 수행하도록 하고, CAN 통신시의 부하를 고려하여 차량 결제 시스템과는 별도의 UART 통신을 통해 연동하여 통행 요금의 과금을 결제 수단으로 결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도 12 이하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상 도 10 내지 도 11에서의 차량 탑재 단말기(100) 및 전자 카드 과금 결제 방법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도록 하며, 이때 생략된 내용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서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탑재 단말기(100)는 CAN 회로부(120), UART 통신부(140) 및 ETCS 회로부(110)를 포함한다.
CAN 회로부(120)는 헤드유닛(200)과 CAN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UART 통신부(140)는 헤드유닛(200)의 차량 결제 시스템과 UART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때, UART 통신부(140)는 ETCS 회로부(11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CAN 회로부(120)는 헤드유닛(200)과의 연동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UART 통신부(140)는 차량 결제 시스템과의 결제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ETSC 회로부는 노변 기지국을 통과시 노변 기지국으로부터의 전자 카드의 거래 요청을 수신하면, 차량 결제 시스템 상에 미리 설정된 결제 수단의 정보를 UART 통신부(140)를 통해 요청한다.
헤드유닛(200)은 CAN 회로부(120)를 통해 차량 탑재 단말기(100)와 연동된 이후, UART 통신부(140)를 통해 결제 수단의 정보를 요청받음에 따라, 차량 결제 시스템에 미리 등록된 결제 수단의 정보를 독출하여 차량 탑재 단말기(100)의 UART 통신부(140)로 전송한다.
ETCS 회로부(110)는 차량 결제 시스템으로부터 UART 통신을 통해 결제 수단의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결제 수단의 정보에 기반하여 노변 기지국으로부터의 거래 요청에 상응하는 거래 응답을 노변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탑재 단말기(100)는 전자 카드의 과금 결제를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하는바, 전자 카드를 삽입하기 위한 소켓을 구비한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 ETCS 회로부(110)는 UART 통신부(140)를 통해 차량 결제 시스템으로부터 결제 수단의 정보를 요청하여 결제 수단의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ETCS 회로부(110)는 차량 시동이 ON 됨에 따라 차량 결제 시스템으로 결제 수단의 정보를 요청하여 등록할 수 있으며, 시동이 OFF 됨에 따라 저장된 결제 수단의 정보는 삭제된다. 또한, ETCS 회로부(110)는 차량 시동이 ON된 이후, 기 설정된 주기마다 차량 결제 시스템으로 결제 수단의 정보를 요청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자 카드를 구비하는 것 대신에 차량 결제 시스템으로부터 결제 수단 정보를 제공받아 통행 과금을 결제하는데, 이때 차량 결제 시스템 상에 미리 등록된 결제 수단의 정보는 전자 카드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이패스 카드와 같은 전자 카드를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차량 결제 시스템 상에 미리 등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결제 시스템에는 결제 수단 뿐만 아니라 전자 카드 등록도 가능하며, 노변 기지국으로부터 과금 징수 요청을 받음에 따라 차량 탑재 단말기(100)는 UART 통신을 통해 차량 결제 시스템으로부터 전자 카드 정보를 요청하여 노변 기지국에 전송하는 과정을 통해 과금 징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탑재 단말기(100)는 CAN 회로부(120)의 부하 정도를 고려하여 거래 요청 및 거래 응답을 CAN 회로부(120) 및 UART 통신부(14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운용할 수도 있다. 일 예로, CAN 회로부(120)의 현재 데이터 송수신 부하량이 기 설정된 부하량 이상인 경우, ETCS 회로부(110)는 UART 통신부(140)를 통해 거래 요청 및 거래 응답을 송수신하도록 하며, 그 반대인 경우에는 CAN 회로부(120)를 통해 송수신하고 UART 통신부(140)는 슬립 모드로 운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탑재 단말기(100)에 삽입되는 전자 카드의 삽입 에러, 미인식 에러와 같은 다양한 에러를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전자 카드의 삽입 및 구매가 불필요하고, 차량 탑재 단말기(100) 내 소켓 삭제가 가능하여 원가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CAN 통신 부하가 발생되더라도 안정적으로 통행 요금 과금이 결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은 UATR 통신을 이용한 전자 카드 과금 결제 방법의 순서도이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각 단계들은 도 12의 차량 탑재 단말기(10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차량 탑재 단말기(100)는 노변 기지국을 통과시 노변 기지국으로부터 전자 카드의 거래 요청을 수신한다(S410).
다음으로, 거래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차량 결제 시스템 상에 미리 설정된 결제 수단의 정보를 UART 통신을 통해 요청한다(S420).
다음으로, 차량 결제 시스템으로부터 UART 통신을 통해 결제 수단의 정보를 수신하고(S430), 수신한 결제 수단의 정보에 기반하여 거래 요청에 상응하는 거래 응답을 노변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440).
도 14는 메모리 기반의 전자 카드 과금 결제가 가능한 차량 탑재 단말기(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CAN 통신 또는 UART 통신을 이용한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 결제 시스템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헤드유닛(200)이 고장 또는 업데이트로 인한 Malfunction의 경우에도 내부 메모리(150) 상에 결제 수단의 정보를 미리 저장하는 방식을 통해 통행 요금의 과금을 결제 수단으로 결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도 14 이하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상 도 10 내지 도 13에서의 차량 탑재 단말기(100) 및 전자 카드 과금 결제 방법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도록 하며, 이때 생략된 내용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서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탑재 단말기(100)는 CAN 회로부(120), 내부 메모리(150) 및 ETCS 회로부(110)를 포함한다.
CAN 회로부(120)는 헤드유닛(200)과 CAN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내부 메모리(150) 상에는 차량 결제 시스템의 결제 수단 정보가 저장된다. 이때, 내부 메모리(150)는 ETCS 회로부(11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ETSC 회로부는 차량 시동이 ON 됨에 따라 CAN 통신을 통해 차량 결제 시스템 상에 미리 설정된 결제 수단의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한 결제 수단의 정보를 내부 메모리(150) 상에 저장한다. 이때, ETCS 회로부(110)는 차량 시동이 ON 상태가 됨에 따라 기 설정된 주기마다 차량 결제 시스템으로 결제 수단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후, ETCS 회로부(110)는 노변 기지국을 통과시 노변 기지국으로부터의 전자 카드의 거래 요청을 수신하면, 내부 메모리(150) 상에 저장된 결제 수단의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한 결제 수단의 정보에 기반하여 거래 요청에 상응하는 거래 응답을 노변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헤드유닛(200)은 CAN 회로부(120)를 통해 차량 탑재 단말기(100)와 연동된 이후, 차량 결제 시스템에 미리 등록된 결제 수단의 정보를 독출하여 차량 탑재 단말기(100)의 CAN 회로부(120)로 전송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ETCS 회로부(110)는 차량 주행 중 헤드유닛(200)의 업데이트가 진행되는 경우 및 헤드유닛(200)의 상태가 고장 상태인 경우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내부 메모리(150) 상에 저장된 결제 수단의 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즉, ETCS 회로부(110)는 헤드유닛(200)이 정상 상태인 경우 차량 결제 시스템 상에 미리 설정된 결제 수단의 정보를 CAN 회로부(120)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한 결제 수단의 정보에 기반하여 노변 기지국 통과시 거래 요청에 상응하는 거래 응답을 노변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업데이트나 고장 등으로 인하여 CAN 회로부(120)를 통한 결제 수단의 정보 수신이 불가한 경우, 내부 메모리(150) 상에 저장된 결제 수단의 정보를 독출하여, 노변 기지국 통과시 거래 요청에 상응하는 거래 응답을 노변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탑재 단말기(100)는 전자 카드의 과금 결제를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하는바, 전자 카드를 삽입하기 위한 소켓을 구비한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자 카드를 구비하는 것 대신에 차량 결제 시스템으로부터 결제 수단 정보를 제공받아 통행 과금을 결제하는데, 이때 차량 결제 시스템 상에 미리 등록된 결제 수단의 정보는 전자 카드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이패스 카드와 같은 전자 카드를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차량 결제 시스템 상에 미리 등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결제 시스템에는 결제 수단 뿐만 아니라 전자 카드 등록도 가능하며, 차량의 시동이 ON 상태가 됨과 동시에 차량 결제 시스템으로부터 전자 카드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음은 물론, 노변 기지국으로부터 과금 징수 요청을 받음에 따라 차량 탑재 단말기(100)는 CAN 통신을 통해 차량 결제 시스템으로부터 전자 카드 정보를 요청하여 노변 기지국에 전송하는 과정을 통해 과금 징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탑재 단말기(100)에 삽입되는 전자 카드의 삽입 에러, 미인식 에러와 같은 다양한 에러를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전자 카드의 삽입 및 구매가 불필요하고, 차량 탑재 단말기(100) 내 소켓 삭제가 가능하여 원가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CAN 통신 부하나 주행 중 헤드유닛(200)의 고장이나 업데이트 등으로 인하여 기능 동작이 불가한 경우라 하더라도 차량 결제 시스템에 등록된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ETCS 과금 결제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5는 메모리 기반의 전자 카드 과금 결제 방법의 순서도이다.
한편, 도 15에 도시된 각 단계들은 도 14의 차량 탑재 단말기(10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차량 시동이 ON 됨에 따라 CAN 통신을 통해 차량 결제 시스템 상에 미리 설정된 결제 수단의 정보를 수신하고(S510), 수신한 결제 수단의 정보를 내부 메모리 상에 저장한다(S520).
다음으로, 노변 기지국을 통과시 노변 기지국으로부터 차량 탑재 단말기(100)의 전자 카드의 거래 요청을 수신하면(S530), 내부 메모리 상에 저장된 결제 수단의 정보를 독출한다(S540).
그 다음, 독출한 결제 수단의 정보에 기반하여 거래 요청에 상응하는 거래 응답을 노변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550).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310 내지 S55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아울러, 기타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각 도면을 통해 설명한 차량 탑재 단말기(100)의 내용은 전자 카드 과금 결제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헤드콘솔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탑재 단말기 내장 오버헤드콘솔이 적용된 차량 내부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 및 도 18은 도 16의 오버헤드콘솔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19는 도 17에 도시한 차량 탑재 단말기를 따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오버헤드콘솔(20)의 설치 위치 자체는, 종전 오버헤드콘솔과 같다. 즉, 차량 천장의 헤드라이닝(11)에 장착되되 윈드실드글래스(15) 측으로 근접 위치하는 것이다.
오버헤드콘솔(20)은, 종전에 룸 미러에 내장되던 차량 탑재 단말기, 즉, ETCS모듈과, ETCS모듈을 조작하기 위한 버튼이나, 스피커를 수용한다. 이에 따라, 룸 미러의 부피나 무게를 줄여, 룸 미러의 디자인을 크게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오버헤드콘솔(20)의 전방에는 ETCS안테나(51)가 설치된다. ETCS안테나(51)는, 가령, 양면테이프를 이용해 윈드실드글래스(15)의 중앙 상단부에 고정된 상태로 RF신호를 송수신 한다. ETCS안테나(51)는 피더케이블(44)를 통해 차량 탑재 단말기(100)와 연결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오버헤드콘솔(20)은, 콘솔커버(21), 차량 탑재 단말기(100), 스피커(27)를 포함한다.
콘솔커버(21)는, 차량의 실내 천장에 고정되는 부재로서, 차량 탑재 단말기(100) 및 차량 탑재 단말기를 구동하기 위한 일반적인 관련부품과 스피커(27)를 내장한다. 이러한 내장 요소들은, 콘솔커버(21)의 상부공간, 이를테면, 콘솔커버(21)와 차량 지붕 철판의 사이 공간에 위치되며, CAN연동케이블(46)을 통해 헤드유닛(200)와, 피더케이블(44)을 통해 ETCS안테나(51)와 접속된다.
콘솔커버(21)의 중앙부에는 조작부(23)가 배치되어 있다. 조작부(23)에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여러가지 조작버튼(23a), 가령, ETCS버튼, 전원버튼, 볼륨버튼, 잔액조회버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조작부(23)의 양측에는 조명(25)과 스피커(27)가 배치된다. 스피커(27)는 콘솔커버(21)의 상부에 내장되지만, 당연히, 음향방출구는 콘솔커버(21)의 하부로 개방된다. 아울러 콘솔커버(21)에는 카드슬롯(29)이 더 마련되어 있다. 카드슬롯(29)은 전자카드(53)를 끼우는 통로이다. 그런데,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카드(53)를 사용하지 않는 모델의 차량 탑재 단말기가 사용된다면 당연히 카드슬롯(29)이 적용되지 않는다.
한편, 차량 탑재 단말기(100)는, 말하자면, 헤드유닛(200)과의 통신 기능을 갖춘 ETCS장치이다. 하이패스 단말기의 역할을 수행하며, 헤드유닛(200)과도 연동하는 장치인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할 수 있는 한 차량 탑재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차량 탑재 단말기(100)는, 케이스(41), 케이스에 내장되는 ETCS회로부(110), CAN회로부(120), 전원회로부(130), 피더케이블커넥터(43), CAN커넥터(45), 스피커커넥터(47), 메인커넥터(도면부호 없음)를 갖는다.
케이스(41)는 대략 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하며 양측에 마운팅브라켓(41a)을 갖는다. 마운팅브라켓(41a)을 콘솔커버(21)에 고정시킴으로써, 케이스(41)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고정된다. 케이스(41)를 하향 경사지도록 구성한 것은, 카드슬롯(29)을 통해 전자카드(53)를 삽입할 수 있도록 감안된 것이다. 전방이라 함은 차량의 전진방향 기준 앞쪽을 의미한다.
상기한 스피커커넥터(47)는 스피커선의 단자가 끼워지는 부분으로서, 케이스(41)의 선단부에 위치한다. 스피커선은 콘솔커버(21)의 내측에 배선되며 차량 탑재 단말기(100)와 스피커(47)를 연결한다.
피더케이블커넥터(43)에는, 피더케이블(44)의 접속단자(44a)가 끼워진다. 피더케이블(44)은 차량 탑재 단말기(100)와 ETCS안테나(51)를 연결하는 케이블이다. 특히,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더케이블커넥터(43)가 케이스(41)의 전방 단부 상면에 배치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피더케이블커넥터(43)를 최대한 앞쪽에 배치시킨 이유는, 피더케이블(44)을 바로 앞으로(윈드실드글래스 방향으로) 빼내어 ETCS안테나(51)에 직결시키기 위해서이다.
피더케이블(44)을 앞으로 빼내는 이유는, 케이블간의 간섭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이다. 도 17이나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솔커버(21)의 내측에는 다수의 케이블이 배선되는데, 만일 피더케이블(44)이 다른 케이블과 겹치거나 교차배선 된다면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CAN커넥터(45)는 버티컬타입 커넥터로서, 피더케이블커넥터(43)와 마찬가지로, 케이스(41)의 전방 단부 상면에 배치된다. 즉, 케이스(41) 상면에서 최대한 앞쪽에 위치하는 것이다. CAN커넥터(45)에는 CAN연동케이블(46)의 접속단자(46a)가 끼워진다. CAN연동케이블(46)은 CAN회로부(120)와 헤드유닛(200)을 연결하는 케이블이다. CAN연동케이블(46)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로 옆으로 빠져 헤드라이닝(11)과 A필러 내부를 통과하여 헤드유닛(200)에 접속된다.
CAN커넥터(45)를 앞쪽에 위치시킨 이유는, 피더케이블커넥터(43)를 앞쪽에 배치한 이유와 같다. 즉, 케이블간의 간섭을 최소화 하고 조립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CAN연동케이블(46)이 콘솔커버(21) 내측의 다른 케이블과 겹치거나 교차배선 되는 경우, 케이블간의 간섭이 생겨 데이터의 에러가 발생할 수 있고, 조립 이슈 및 품질 관련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결국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오버헤드콘솔(20)은, 종전에, 룸 미러에 내장되던 차량 탑재 단말기(100)와 스피커(27)와 그와 관련된 요소들을 수용하는 구조를 가지며, 특히 차량 탑재 단말기(100)를 내장함에도 불구하고, 배선 상호간의 간섭이 없어 ETCS 패키지를 최적화 하게 하고, 더불어, 룸 미러 디자인 및 기능을 개선 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Ruby,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헤드라이닝 13:A필러 15:윈드실드글라스
20:오버헤드콘솔 21:콘솔커버 23:조작부
23a:조작버튼 25:조명 27:스피커
29:카드슬롯 41:케이스 41a:마운팅브라켓
43:피더케이블커넥터 44:피더케이블 44a:접속단자
45:CAN커넥터 46:CAN연동케이블 46a:접속단자
51:ETCS안테나 53:전자카드 100: 차량 탑재 단말
110: ETCS 회로부 120: CAN 회로부 130: 전원 회로부
140: UART 통신부 150: 내부 메모리 200: 헤드유닛
20:오버헤드콘솔 21:콘솔커버 23:조작부
23a:조작버튼 25:조명 27:스피커
29:카드슬롯 41:케이스 41a:마운팅브라켓
43:피더케이블커넥터 44:피더케이블 44a:접속단자
45:CAN커넥터 46:CAN연동케이블 46a:접속단자
51:ETCS안테나 53:전자카드 100: 차량 탑재 단말
110: ETCS 회로부 120: CAN 회로부 130: 전원 회로부
140: UART 통신부 150: 내부 메모리 200: 헤드유닛
Claims (8)
- 차량 내 헤드유닛과의 연동을 통해 업데이트가 가능한 차량 탑재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헤드유닛과 CAN 통신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CAN 회로부,
상기 헤드유닛으로부터 수신한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를 실행시키고, 상기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 실행 결과 제어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는 ETCS 회로부를 포함하는,
차량 내 헤드유닛과의 연동을 통해 업데이트가 가능한 차량 탑재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AN 회로부는 상기 헤드유닛으로부터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헤드유닛으로 수신 결과를 전송하고, 상기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의 실행 이미지 및 상기 실행 이미지를 백업한 백업 이미지를 내부 메모리 상에 저장하는 것인,
차량 내 헤드유닛과의 연동을 통해 업데이트가 가능한 차량 탑재 단말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는 CAN 회로부의 제어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것인,
차량 내 헤드유닛과의 연동을 통해 업데이트가 가능한 차량 탑재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TCS 회로부는 상기 CAN 회로부로부터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CAN 회로부로 수신 결과를 전송하고, 상기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의 실행 이미지 및 상기 실행 이미지를 백업한 백업 이미지를 내부 메모리 상에 저장하는 것인,
차량 내 헤드유닛과의 연동을 통해 업데이트가 가능한 차량 탑재 단말기.
- 차량 내 헤드유닛과의 연동 가능한 차량 탑재 단말기의 업데이트 방법에 있어서,
상기 헤드유닛으로부터 CAN 통신을 기반으로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를 실행시키는 단계; 및
상기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 실행 결과 제어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내 헤드유닛과의 연동 가능한 차량 탑재 단말기의 업데이트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유닛으로부터 CAN 통신을 기반으로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헤드유닛으로부터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를 CAN 회로부가 수신함에 따라 상기 헤드유닛으로 수신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의 실행 이미지 및 상기 실행 이미지를 백업한 백업 이미지를 상기 CAN 회로부의 내부 메모리 상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내 헤드유닛과의 연동 가능한 차량 탑재 단말기의 업데이트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ETCS 회로부가 상기 CAN 회로부로부터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CAN 회로부로 수신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의 실행 이미지 및 상기 실행 이미지를 백업한 백업 이미지를 ETCS 회로부의 내부 메모리 상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내 헤드유닛과의 연동 가능한 차량 탑재 단말기의 업데이트 방법.
- 헤드유닛과의 연동을 통해 차량 탑재 단말기의 제어 프로그램 업데이트가 가능한 차량 시스템에 있어서,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를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함에 따라 내부 메모리 상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업데이트타겟 데이터를 독출하여 CAN 통신부를 통해 차량 탑재 단말기로 전송하는 헤드유닛 및
상기 헤드유닛으로부터 수신한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를 실행시키고, 상기 업데이트 타겟 데이터 실행 결과 제어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는 차량 탑재 단말기를 포함하는,
헤드유닛과의 연동을 통해 차량 탑재 단말기의 제어 프로그램 업데이트가 가능한 차량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8662A KR20230036002A (ko) | 2021-09-06 | 2021-09-06 | 차량 내 헤드유닛과 연동 가능한 차량 탑재 단말기, 차량 시스템 및 그 업데이트 방법 |
US17/930,023 US12099989B2 (en) | 2021-09-06 | 2022-09-06 | On-board unit able to work in concert with in-vehicle head unit, vehicle system including same, and method of updat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8662A KR20230036002A (ko) | 2021-09-06 | 2021-09-06 | 차량 내 헤드유닛과 연동 가능한 차량 탑재 단말기, 차량 시스템 및 그 업데이트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36002A true KR20230036002A (ko) | 2023-03-14 |
Family
ID=85479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18662A Pending KR20230036002A (ko) | 2021-09-06 | 2021-09-06 | 차량 내 헤드유닛과 연동 가능한 차량 탑재 단말기, 차량 시스템 및 그 업데이트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12099989B2 (ko) |
KR (1) | KR20230036002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53050A (ko) | 2011-11-14 | 2013-05-2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하이패스 단말기를 이용한 결제시스템 및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994347B1 (ja) * | 1998-08-07 | 1999-12-27 | 三菱電機株式会社 | 車載装置 |
DE10005878B4 (de) * | 2000-02-10 | 2004-07-08 |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Xsys Division) Gmbh | Navigationsgerät |
JP3709337B2 (ja) * | 2000-10-13 | 2005-10-26 | 日本道路公団 | 有料道路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対応型のプリペイドカードシステム |
EP2070053A2 (en) * | 2006-09-12 | 2009-06-17 | Itis Holdings PLC | Apparatu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road pricing scheme |
KR20090098064A (ko) | 2008-03-13 | 2009-09-17 |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 차량용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속도 제어 장치 및 방법 |
KR20100079496A (ko) | 2008-12-31 | 2010-07-08 | (주)에스씨디아이 | 다기능 차량용 정보단말기 |
WO2017070410A2 (en) * | 2015-10-22 | 2017-04-27 | Gentex Corporation | Integrated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
EP3452333B1 (en) * | 2016-06-17 | 2023-10-11 | Gentex Corporation | Systems and methods for universal toll module |
US10126137B2 (en) * | 2017-02-09 | 2018-11-13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Methods and systems to convey autonomous/semi-autonomous feature available roadways |
CN111260804A (zh) * | 2020-01-09 | 2020-06-09 |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 一种用于etc功能的设备的信息交互方法、系统及车辆 |
CN112017311A (zh) * | 2020-08-10 | 2020-12-01 | 深圳成谷智能科技有限公司 | 一种etc交易功能管理方法及装置 |
CN113283566A (zh) * | 2020-11-04 | 2021-08-20 | 广州铭创通讯科技有限公司 | 一种单片式前装车载电子标签 |
CN113313845B (zh) * | 2021-03-31 | 2023-05-23 | 北京万集科技股份有限公司 | 数据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
KR20220138697A (ko) * | 2021-04-06 | 2022-10-13 | 사이트론 주식회사 | 선불식 스마트 카드 및 이를 이용한 지불 시스템 |
CN113794614A (zh) * | 2021-10-19 | 2021-12-14 | 上海仙塔智能科技有限公司 | 前装etc的处理系统 |
-
2021
- 2021-09-06 KR KR1020210118662A patent/KR20230036002A/ko active Pending
-
2022
- 2022-09-06 US US17/930,023 patent/US12099989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53050A (ko) | 2011-11-14 | 2013-05-2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하이패스 단말기를 이용한 결제시스템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30080585A1 (en) | 2023-03-16 |
US12099989B2 (en) | 2024-09-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615424B2 (en) | Electronic toll settlement system for vehicle | |
CN106373209B (zh) | 一种虚拟电子etc系统及其使用方法 | |
JP2002524783A (ja) | 利用料金を清算するための引落し装置 | |
CN103700149A (zh) | 基于lbs的高速公路收费系统及基于lbs的高速公路收费方法 | |
CN213276738U (zh) | 一种融合多天线的车载设备 | |
CN109685924B (zh) | 一种智能车载电子标签及其发行方法 | |
CN112216026B (zh) | 一种基于前装obu的电动汽车充电无感支付方法及系统 | |
US20030020602A1 (en) |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a mobile object | |
KR20230036002A (ko) | 차량 내 헤드유닛과 연동 가능한 차량 탑재 단말기, 차량 시스템 및 그 업데이트 방법 | |
KR20230036004A (ko) | 차량 내 헤드유닛의 차량 결제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탑재 단말기 및 이의 전자 과금 결제 방법 | |
KR20230036003A (ko) | 차량 내 헤드유닛과 연동 가능한 차량 탑재 단말기 및 그 연동 방법 | |
KR20230036007A (ko) | 오버헤드콘솔 | |
KR20230001404A (ko) | 차량 내 헤드유닛의 차량 결제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탑재 단말기 및 이의 전자 과금 결제 방법 | |
KR20230001402A (ko) | 차량 내 헤드유닛의 차량 결제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탑재 단말기 및 이의 전자 과금 결제 방법 | |
CN210515385U (zh) | 一种应用在营运车辆上的etc装置及营运车辆 | |
CN101261747B (zh) | 充电式车载单元 | |
KR102406519B1 (ko) | 하이패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
US20230013002A1 (en) | Vehicle Charging System and Charging Control Method Therefor | |
CN214175154U (zh) | 一种分体式前装车载单元 | |
CN111091627A (zh) | 车辆设备、使用车辆设备的支付处理系统与方法 | |
CN112767566B (zh) | 用于etc系统的用户设备、方法和etc系统 | |
KR20170014047A (ko) | 모바일 카드 또는 이종 교통카드를 이용한 하이패스 단말기, 시스템 및 결제방법 | |
CN214846833U (zh) | 电子收费装置 | |
JP2001022980A (ja) | 路側通信装置及び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 | |
KR100996409B1 (ko) | 하이패스 단말 기능을 구비한 크래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0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409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