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3872A - Ceiling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and construction device - Google Patents
Ceiling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and construction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33872A KR20230033872A KR1020210116799A KR20210116799A KR20230033872A KR 20230033872 A KR20230033872 A KR 20230033872A KR 1020210116799 A KR1020210116799 A KR 1020210116799A KR 20210116799 A KR20210116799 A KR 20210116799A KR 20230033872 A KR20230033872 A KR 2023003387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om
- ceiling
- ceiling structure
- lift
- lift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53 texti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18—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setting wall or ceiling slabs or plates
- E04F21/1805—Ceiling panel lifting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 구조물 시공 방법 및 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적어도 2개소 이상에 리프트유닛을 각기 배치하여 사각형의 천장 조립체의 각 모서리부를 각각의 리프트유닛이 지지하도록 배치하는 1단계; 각 리프트유닛에 거치되도록 하여 가로와 세로에 각기 외곽프레임을 배치하여 4각형 외형틀을 형성하고, 상기 4각형 외형틀을 가로질러 다수의 지지프레임을 배치한 후 상기 다수의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다수의 블럭을 배열하고, 다수의 블럭에 지지되도록 하여 덕트를 설치하는 1차 구조물을 형성하는 2단계; 상기 리프트유닛의 붐대를 상승시켜 1차 구조물을 상승시켜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되도록 하는 3단계; 상기 외곽프레임의 하부에 천장프레임을 배치하고, 천장프레임과 외곽프레임을 연결하도록 연결봉을 설치하고, 천장프레임의 하부에 천장마감판을 부착하여 천장구조물을 완성시키는 4단계; 다수의 지지붐대가 수직방향으로 장착되고, 하부에 바퀴가 형성되며 바퀴를 구동하는 동력부가 구비되며, 접철작동되는 링크부재가 구비된 지지판넬이 상부에 형성된 메인리프팅장치를 상기 4단계의 천장구조물의 하부로 이동시켜 배치하는 5단계; 상기 5단계의 천장구조물이 지지판넬에 안착된 후 각 리프트유닛이 천장구조물로부터 이탈되고, 메인리프팅장치의 링크부재가 상승하여 지지판넬이 천장구조물을 상승시키도록 하는 6단계;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ceiling structure, comprising: a first step of arranging lift units at at least two places on the ground so that each corner of a rectangular ceiling assembly is supported by each lift unit; To be mounted on each lift unit, outer frames are plac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to form a rectangular outer frame, and after arranging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across the rectangular outer frame,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are placed on top of the plurality of support frames. A second step of arranging blocks of and forming a primary structure for installing a duct by being supported by a plurality of blocks; a third step of raising the primary structure by raising the boom of the lift unit so that it is separated from the ground at a certain height; Step 4 of arranging a ceiling frame under the outer frame, installing connecting rods to connect the ceiling frame and outer frame, and attaching a ceiling finishing plate to the lower part of the ceiling frame to complete the ceiling structure; A plurality of support booms are moun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els are formed at the bottom, a power unit for driving the wheels is provided, and a main lifting device with a support panel equipped with a link member that is folded and folded is formed on the top of the ceiling structure in the above 4 steps. Step 5 of moving and arranging to the lower part of; After the ceiling structure in step 5 is seated on the support panel, each lift unit is separated from the ceiling structure, and the link member of the main lifting device rises to allow the support panel to lift the ceiling structure; step 6; includes.
Description
본 발명은 천장 구조물 시공 방법 및 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에 가설되는 배선덕트, 공조덕트, 조명설치레일 등 가설물과 텍스타일과 같은 천장구조물을 설치하고자 할때 작업장에 흩어져 개별적으로 사용되고 있던 리프트유닛을 한 장소로 각각 이동시켜 정열한 후 정열된 리프트유닛을 이용하여 천장구조물을 1차로 조립하고 조립된 무거운 중량을 갖는 천장구조물을 메인리프팅장치로 들어올려 안전하게 천정에 설치하도록 함으로서 편리성 및 안전성을 제공받을 수 하도록 한 천장 구조물 시공 방법 및 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iling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and construc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install ceiling structures such as wiring ducts, air conditioning ducts, lighting installation rails, etc. and ceiling structures such as textiles that are installed on the ceiling. After moving the existing lift units to one place and arranging them, the ceiling structure is first assembled using the aligned lift units, and the assembled ceiling structure having a heavy weight is lifted with the main lifting device and installed safely on the ceiling. And it relates to a ceiling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and construction device that can be provided with safety.
일반적으로 건물의 천장에 각종 배선덕트, 공조덕트, 조명설치레일 등 가설물과 텍스타일과 같은 천장마감재를 설치하는 작업은 리프트 장비(고소작업장치)를 사용하여 고소 작업을 하게 된다. In general, the work of installing various wiring ducts, air conditioning ducts, lighting installation rails, etc., and ceiling finishing materials such as textiles on the ceiling of a building is performed at a height using lift equipment (a high place work device).
상기한 리프트 장비 즉, 고소작업장치에 올라가서 각종 배선덕트, 공조덕트, 조명설치레일 등 가설물을 천장에 시공한 후 일정 면적의 천장마감재를 조립하는 작업을 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천장을 보면서 각종 설치작업을 실시해야 하므로 매우 힘들고 다칠 위험이 높았으며 작업 속도가 늦어질 수 밖에 없었다. It was a method of assembling a ceiling finishing material of a certain area after constructing various wiring ducts, air conditioning ducts, lighting installation rails, etc. However, in this method, various installation work must be performed while looking at the ceiling, so it is very difficult, there is a high risk of injury, and the work speed is inevitably slow.
종래의 고소작업장치는, 작업자 또는 작업물품을 위치시킬 수 있는 작업대를 구성하고, X-리프트, 텔레스코핑 등과 같은 길이조절수단을 통해 작업대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서 다양한 높이에서의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이다.A conventional high-place work device is a device that configures a work table on which a worker or work product can be placed, and enables work at various heights by raising or lowering the work table through length adjusting means such as X-lift and telescoping. am.
이러한 고소작업장치는 건물이 고층화되어가는 현대사회에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높은 위치에서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많은 사고가 발생되고 있다.These high-place work devices are usefully used in modern society where buildings are becoming high-rise, but many accidents as follows occur because they have to work at high locations.
첫째, 작업자가 높은 위치에서 작업 중 추락하여 큰 부상을 당할 문제가 있다. 이는 장치의 결함에 의한 문제도 있지만, 작업자의 지지 위치가 작업발판 보다 높은 곳에 있음으로써 법적으로 허용되는 난간대(H=110cm)로부터 추락 방지 보호를 받지 못하기 때문이다.First, there is a problem that a worker may fall while working from a high position and be seriously injured. This is not only due to a defect in the device, but also because the worker's support position is higher than the work platform, so they do not receive fall prevention protection from the legally permitted handrail (H = 110cm).
둘째, 협착사고를 당할 문제가 있다. 이는 작업대의 상승 작동 중 지붕 또는 천정 슬라브 등에 부착되어 있는 장애물과 작업대 난간 사이에 작업자가 끼어 협착되거나, 또는 주행 중 개구부의 통과시, 개구부 높이와 작업난간대의 높이가 충분하지 못하여 작업자가 개구부와 난간대 사이에 끼어 협착될 수 있는 것이다.Second, there is a problem of having a narrowing accident. This is because the worker is trapped between an obstacle attached to the roof or ceiling slab and the handrail of the worktable while the worktable is being raised, or when passing through an opening while driving, the height of the opening and the work handrail are not sufficient, causing the worker to reach the opening and the handrail. It can get stuck in between.
마지막으로, 위와 같은 문제점들에 의해 작업대를 지지하는 길이조절수단의 파손이나 차체의 결함으로 인해 작업대가 전복될 문제가 있다.Final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rk table is overturned due to damage to the length adjusting means for supporting the work table or a defect in the body due to the above problems.
상기한 문제점은 고소작업장치를 이용함으로 발생되는 문제이지만 실질적으로 작업자는 고소작업장치를 타고 천정에 근접되게 이동하여 천정부근에서 설치작업을 수행함으로 지상에서 조립작업을 할때보다 어렵고 힘든 작업환경에서 작업을 수행한다. The above problem is a problem caused by using the high-place work device, but in practice, the operator rides the high-place work device and moves close to the ceiling to perform the installation work near the ceiling, so it is more difficult and difficult than when assembling work on the ground. Do the work.
따라서 종래에 고소작업장치를 이용할 때 천정에 설치할 배선덕트, 공조덕트, 조명설치레일 등 가설물과 텍스타일과 같은 천장마감재 등의 재료를 소지 및 제공이 어렵고 또한 이러한 문제로 설치작업시간이 과대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더욱이 종래 일반적인 고소작업장치를 이용하여 지상에서 천장 구조물의 일부 조립 후 상기한 천장 구조물의 설치시 구조물의 무게 및 크기에 제한이 많이 받게 되는 문제로 인해 이 작업 역시도 천장 구조물 설치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Therefore, when using a conventional high-place work device, it is difficult to possess and provide materials such as wiring ducts, air conditioning ducts, lighting installation rails, etc. to be installed on the ceiling, and materials such as ceiling finishing materials such as textiles. There is a problem, and moreover, due to the problem that the weight and size of the structure are limited when installing the ceiling structure after partially assembling the ceiling structure on the ground using a conventional high-place work device, this work also requires time for installation of the ceiling structure. There is a problem that takes a lot.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천장마감재를 조립하고, 그에 부속되는 각종 배선덕트, 공조덕트, 조명설치레일 등 가설물을 미리 지상에서 조립한 후 조립을 마친 블록화된 천장 조립체를 리프트 장비를 이용하여 상승시켜 천장에 부착시키는 방식으로 신속하면서 작업 능률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천장 구조물 시공 방법 및 시공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ceiling finish assembly is assembled, various wiring ducts, air conditioning ducts, lighting installation rails, etc. Its purpose is to provide a ceiling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and construction device that can be quickly and efficiently improved by attaching to the ceiling by using lift equipment.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으로는 작업자는 고소작업장치를 타고 천정에 근접되게 이동하여 천정부근에서 설치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시간을 극감시키는 것과 작업인원이 천정부근으로 구조물과 같이 올라가지 않고 최소 인원만 올라가 작업할 수 있는 등의 편리성과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reatly reduce the working time for performing installation work near the ceiling by moving the worker close to the ceiling on a high-place work device, and the minimum number of workers to climb near the ceiling without going up with the structure. It can provide convenience and safety, such as being able to work.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면에 적어도 2개소 이상에 리프트유닛을 각기 배치하여 사각형의 천장 조립체의 각 모서리부를 각각의 리프트유닛이 지지하도록 배치하는 1단계; 각 리프트유닛에 거치되도록 하여 가로와 세로에 각기 외곽프레임을 배치하여 4각형 외형틀을 형성하고, 상기 4각형 외형틀을 가로질러 다수의 지지프레임을 배치한 후 상기 다수의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다수의 블럭을 배열하고, 다수의 블럭에 지지되도록 하여 덕트를 설치하는 1차 구조물을 형성하는 2단계; 상기 리프트유닛의 붐대를 상승시켜 1차 구조물을 상승시켜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되도록 하는 3단계; 상기 외곽프레임의 하부에 천장프레임을 배치하고, 천장프레임과 외곽프레임을 연결하도록 연결봉을 설치하고, 천장프레임의 하부에 천장마감판을 부착하여 천장구조물을 완성시키는 4단계; 다수의 지지붐대가 수직방향으로 장착되고, 하부에 바퀴가 형성되며 바퀴를 구동하는 동력부가 구비되며, 접철작동되는 링크부재가 구비된 지지판넬이 상부에 형성된 메인리프팅장치를 상기 4단계의 천장구조물의 하부로 이동시켜 배치하는 5단계; 상기 5단계의 천장구조물이 지지판넬에 안착된 후 각 리프트유닛이 천장구조물로부터 이탈되고, 메인리프팅장치의 링크부재가 상승하여 지지판넬이 천장구조물을 상승시키도록 하는 6단계; 상기 6단계의 천장구조물의 최상부에 배치된 다수의 블럭 및 지지프레임에 볼트를 체결하고, 볼트의 단부가 천장에 가설된 앙카에 장착되도록 하여 천장구조물을 고정 설치하는 7단계; 상기 7단계 이후 메인리프팅장치의 링크부재가 접히면서 지지판넬이 하강하여 천장구조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하는 8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6단계의 각 리프트유닛을 지면의 적정 위치 2개소 이상에 배치되고, 상기 2단계 내지 8단계를 순차적으로 반복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구조물 시공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to arrange lift units at at least two or more places on the ground so that each corner of a rectangular ceiling assembly is supported by each lift unit; To be mounted on each lift unit, outer frames are plac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to form a rectangular outer frame, and after arranging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across the rectangular outer frame,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are placed on top of the plurality of support frames. A second step of arranging blocks of and forming a primary structure for installing a duct by being supported by a plurality of blocks; a third step of raising the primary structure by raising the boom of the lift unit so that it is separated from the ground at a certain height;
상기 8단계 이후 각 천장구조물들 사이의 공간을 막도록 천장판넬이 부착되는 9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ninth step of attaching a ceiling panel to block the space between each ceiling structure after the eighth step.
상기 모든 리프트유닛의 붐대 전개 길이를 각각 개별적으로 측정하여 평균적인 리프트유닛의 붐대에 대한 전개 길이를 판별 계산한 후 상기 계산된 붐대의 평균적 전개 길이가 설정된 평균값보다 높게 전개된 리프트유닛은 붐대의 전개 속도를 느리게 조절하고 반대로 붐대의 평균적 전개 길이가 설정된 평균값 보다 낮게 전개시 붐대의 전개 속도를 빠르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구조물 시공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The boom arm extension lengths of all the lift units are individually measured to discriminate and calculate the average extension length of the boom rod of the lift unit, and then the calculated average extension length of the boom rod is higher than the set average value. It can be achieved by a ceiling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by slowly adjusting the speed and, conversely, rapidly adjusting the deployment speed of the boom when the average deployment length of the boom is lower than the set average value.
상기 다수의 리프트유닛 작동시 각 리프트유닛에 설치된 로드셀에 걸리는 하중을 측정하며 이중 로드셀의 하중 측정이 설정된 하중보다 높게 하중(오버로드)이 측정되면 붐대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오버로드에 해당되지 않는 붐대는 계속 작동하여 하중 바란스를 유지하도록 한 것을 천장 구조물 시공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When the plurality of lift units operate, the load applied to the load cell installed in each lift unit is measured, and when the load (overload) of the double load cell is higher than the set load, the operation of the boom is stopped and the boom is not overloaded. It can be achieved by the ceiling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to continuously operate and maintain the load balance.
한편 전술한 천장 구조물 시공 방법에 적용되는 리프트유닛은, 지면에 지지되어 이동되는 바퀴가 형성된 프레임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 상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신축 작동되어 길이가 조절되도록 다단의 붐이 끼움결합되어 구성되는 붐대; 상기 다단의 붐을 승강 작동시켜 붐대의 길이 조절이 실행되는 동력을 발휘하는 구동부; 상기 붐대에 결합되며 승강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에 결합되는 브릿지와, 상기 브릿지의 단부에 형성되어 천장 구조물이 협지되는 클램프로 구성되는 데크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지면에 지지되는 아웃 리거와, 상기 아웃 리거의 승강작동을 유발하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된 보조 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붐대는, 중심 기대와, 상기 중심 기대의 외부에 끼움결합된 제1붐과, 상기 제1붐에 끼움결합된 제2붐, 상기 제2붐에 끼움결합된 제3붐으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중심 기대의 내부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실린더부재와, 상기 실린더부재의 실린더로드가 제1붐에 힌지 결합되는 센터 승강부; 상기 제2붐의 상부에 장착된 제1풀리와, 상기 제1풀리를 회전구동시키는 제1동력원과, 상기 제1풀리에 권취되어 일단은 중심 기대에 고정 연결되고, 타단이 제2붐의 하부에 고정 연결되는 제1와이어로 구성된 제2붐 승강부; 상기 제3붐의 상부에 장착된 제2풀리와, 상기 제2풀리를 회전구동시키는 제2동력원과, 상기 제2풀리에 권취되어 일단은 중심 기대에 고정 연결되고, 타단이 제3붐의 하부에 고정 연결되는 제2와이어로 구성된 제3붐 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구조물 시공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ift unit applied to the ceiling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described above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frame on which wheels are supported and moved on the ground; A boom stand installed vertically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by being fitted with multi-stage booms so that the length is adjusted by extension operation; a driving unit that exerts power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boom by operating the multi-stage boom to ascend and descend; A deck portion composed of a guide coupled to the boom and elevated, a bridge coupled to the guide, and a clamp formed at an end of the bridge to hold a ceiling structure; An auxiliary support means consisting of an outrigger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supported on the ground, and a hydraulic cylinder that causes the outrigger to move up and down, and the boom stage, a center base, and an outside of the center base It consists of a first boom fitted and coupled, a second boom fitted and coupled to the first boom, and a third boom fitted and coupled to the second boom, and the drive unit is a cylinder vertical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entral base. a center lifting part hinged to a member and a cylinder rod of the cylinder member to the first boom; A first pulley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boom, a first power source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first pulley, and wound around the first pulley, one end of which is fixedly connected to the central bas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boom A second boom elevation consisting of a first wire fixedly connected to; A second pulley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third boom, a second power source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second pulley, and wound around the second pulley, one end of which is fixedly connected to the central bas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third boom It can be achieved by a ceiling structure construction apparatus comprising a; third boom lifting portion composed of a second wire fixedly connected to.
본 발명에 따르면, 천장마감재를 조립하고, 그에 부속되는 각종 배선덕트, 공조덕트, 조명설치레일 등 가설물을 미리 지상에서 조립한 후 조립을 마친 블록화된 천장 조립체를 리프트 장비를 이용하여 상승시켜 천장에 부착시키는 방식으로 신속하면서 작업 능률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assembling the ceiling finish material, assembling various wiring ducts, air conditioning ducts, lighting installation rails, etc. attached thereto in advance on the ground, the assembled block ceiling assembly is raised using lift equipment to reach the ceiling. This method of attachmen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work efficiency while being quick.
다른 효과로는 모든 리프트유닛의 붐대 전개 길이를 각각 개별적으로 측정하여 평균적인 리프트유닛의 붐대에 대한 전개 길이를 판별 계산한 후 상기 계산된 붐대의 평균적 전개 길이가 설정된 평균값보다 높게 전개된 리프트유닛은 붐대의 전개 속도를 느리게 조절하고 반대로 붐대의 평균적 전개 길이가 설정된 평균값 보다 낮게 전개시 붐대의 전개 속도를 빠르게 조절할 수 있고 Another effect is that the extended length of the boom rod of all lift units is individually measured, and the extended length of the boom rod of the average lift unit is discriminated and calculated, and then the calculated average extended length of the boom rod is higher than the set average. The deployment speed of the boom can be adjusted slowly, and on the contrary, when the average deployment length of the boom is lower than the set average value, the deployment speed of the boom can be adjusted quickly.
또한 상기 다수의 리프트유닛 작동시 각 리프트유닛에 설치된 로드셀에 걸리는 하중을 측정하며 이중 로드셀의 하중 측정이 설정된 하중보다 높게 하중(오버로드)이 측정되면 붐대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오버로드에 해당되지 않는 붐대는 계속 작동하여 하중 바란스를 유지하도록 하여 편리성 및 안정성 등의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the plurality of lift units operate, the load applied to the load cell installed in each lift unit is measured, and when the load measurement of the double load cell is higher than the set load (overload), the operation of the boom bar is stopped and The boom bar continues to operate to maintain the load balance, so there are effects such as convenience and stabili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구조물 시공 방법에 대한 공정 흐름도,
도 2 내지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구조물 시공 공정을 예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구조물 시공 공정의 마감단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유닛'에 대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유닛'의 붐대가 인출된 상태에 대한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유닛'의 '붐대'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유닛'의 '데크승강부'를 나타낸 부분확대도. 1 is a process flow diagram for a ceiling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to 9 are diagrams illustrating a ceiling structure construc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the finishing stage of the ceiling structure construc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f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id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boom of the 'lif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ithdrawn;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oom stand' of a 'lif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deck lifting part' of a 'lif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below are intended to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invention, thereby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n't mean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In addition, the size or shap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erms specifically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It can be, and it is revealed that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구조물 시공 방법에 대한 공정 흐름도, 도 2 내지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구조물 시공 공정을 예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구조물 시공 공정의 마감단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유닛'에 대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유닛'의 붐대가 인출된 상태에 대한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유닛'의 '붐대'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유닛'의 '데크승강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Among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 1 is a process flow diagram for a ceiling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to 9 are views illustrating a ceiling structure construc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ceiling structure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rawing showing the closing stage of the process,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if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sid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boom of the 'lif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ithdrawn, Figure 13 is a sid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oom stand' of the 'lif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the 'deck lifting part' of the 'lif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천장 구조물 시공 방법을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ures 1 to 11, a ceiling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단계(S1)][Step 1 (S1)]
지면에 적어도 2개소 이상에 리프트유닛(A)을 각기 배치하여 사각형의 천장 조립체의 각 모서리부를 각각의 리프트유닛(A)이 지지하도록 배치한다. Each lift unit (A) is disposed at at least two locations on the ground so that each corner of the rectangular ceiling assembly is supported by each lift unit (A).
바람직하게는 2개소 이상에 배치되는 리프트유닛(A)들은 서로 거리를 측정하고, 설정된 거리를 유지하도록 한다(도 2 참조). Preferably, the lift units (A) disposed at two or more locations measure a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maintain the set distance (see FIG. 2).
[2단계(S2)][Step 2 (S2)]
각 리프트유닛(A)에 거치되도록 하여 가로와 세로에 각기 외곽프레임(101)을 배치하여 4각형 외형틀을 형성하고, 상기 4각형 외형틀을 가로질러 다수의 지지프레임(102)을 배치한 후 상기 다수의 지지프레임(102)의 상부에 다수의 블럭(103)을 배열하고, 다수의 블럭(103)에 지지되도록 하여 덕트(104)를 설치하는 1차 구조물(100)을 형성한다(도 3 참조). To be mounted on each lift unit (A),
[3단계(S3)][Step 3 (S3)]
상기 리프트유닛(A)의 붐대(4)를 상승시켜 1차 구조물(100)을 상승시켜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되도록 한다(도 4 참조). The
[4단계(S4)][Step 4 (S4)]
상기 3단계(S3) 후 외곽프레임(101)의 하부에 천장프레임(310)을 배치하고, 천장프레임(310)과 외곽프레임(101)을 연결하도록 연결봉을 설치하고, 천장프레임(310)의 하부에 천장마감판(320)을 부착하여 천장구조물(300)을 완성시킨다(도 5 참조). After the third step (S3), the
[5단계(S5)][Step 5 (S5)]
다수의 지지붐대(210)가 수직방향으로 장착되고, 하부에 바퀴가 형성되며 바퀴(240)를 구동하는 동력부가 구비되며, 접철작동되는 링크부재(230)가 구비된 지지판넬(220)이 상부에 형성된 메인리프팅장치(200)를 상기 4단계(S4)의 천장구조물(300)의 하부로 이동시켜 배치한다(도 6 참조).A plurality of
[6단계(S6)][Step 6 (S6)]
상기 5단계(S5)의 천장구조물(300)이 지지판넬(220)에 안착된 후 각 리프트유닛(A)이 천장구조물(300)로부터 이탈되고, 메인리프팅장치(200)의 링크부재(230)가 상승하여 지지판넬(220)이 천장구조물(300)을 상승시키도록 한다(도 7 및 도 8 참조). After the
메인리프팅장치(200)의 링크부재(230)가 상승하는 길이는 지면에서 천장까지 높이에서 천장구조물(300)의 높이를 제외한 높이로 제한되도록 한다. The length at which the
[7단계(S7)][Step 7 (S7)]
상기 6단계(S6)의 천장구조물(300)의 최상부에 배치된 다수의 블럭 및 지지프레임에 볼트를 체결하고, 볼트의 단부가 천장(B)에 매설된 앙카(B2)에 장착되도록 하여 천장구조물(300)을 고정 설치한다. Bolts are fastened to a plurality of blocks and support frames disposed at the top of the
[8단계(S8)][Step 8 (S8)]
상기 7단계(S7) 이후 메인리프팅장치(200)의 링크부재(230)가 접히면서 지지판넬(220)이 하강하여 천장구조물(300)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한다. After step 7 (S7), the
도 8을 참조하면, 전술한 6단계(S6)의 각 리프트유닛(A)을 지면의 다른 적정 위치 2개소 이상에 배치되고, 상기 2단계(S2) 내지 8단계(S8)를 순차적으로 반복 실시함으로써 소정 면적의 천장에 대한 천장 구조물 시공이 실시될 수 있다(S8-2). Referring to FIG. 8, each lift unit (A) in step 6 (S6) is placed at two or more appropriate locations on the ground, and steps 2 (S2) to 8 (S8) are sequentially repeated. By doing so, construction of the ceiling structure for the ceiling of a predetermined area can be performed (S8-2).
여기서 상기 8단계(S8) 이후 각 천장구조물(300)들 사이의 공간을 막도록 천장판넬(500)이 부착되는 9단계(S9)를 더 포함한다(도 10 참조). Here, after the eighth step (S8), a ninth step (S9) of attaching the
메인리프팅장치(200) 및 리프트유닛(A) 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의 간격을 유지해야 하므로 천장(B)에 설치되는 천장구조물(300)들 사이에는 공간이 생기게 된다. Since a predetermined distance must be maintained to prevent collision between the
따라서 최종에는 양측 천장구조물(300) 사이의 공간을 메꾸기 위해 천장마감재(500)를 설치하여 막는다. Therefore, in the end, the
한편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장 구조물 시공을 위한 리프트유닛은, Meanwhile, as shown in FIGS. 11 to 14, the lift unit for constructing the cei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지면에 지지되어 이동되는 바퀴(24)가 형성된 프레임(22)을 갖는 본체(2);a
상기 본체(2)의 일측 상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신축 작동되어 길이가 조절되도록 다단의 붐(41,42,43)이 끼움결합되어 구성되는 붐대(4);A
상기 다단의 붐(41,42,43)를 승강 작동시켜 붐대(4)의 길이 조절이 실행되는 동력을 발휘하는 구동부(M);A driving unit (M) for exerting power to adjust the length of the boom bar (4) by operating the multi-stage booms (41, 42, 43) to ascend and descend;
상기 붐대(4)에 결합되며 승강되는 가이드(62)와, 상기 가이드(62)에 결합되는 브릿지(64)와, 상기 브릿지(64)의 단부에 형성되어 천장 구조물이 협지되는 클램프(66)로 구성되는 데크부(6);A
상기 본체(2)의 일측에 형성되며 지면에 지지되는 아웃 리거(72)와, 상기 아웃 리거(72)의 승강작동을 유발하는 유압실린더(74)로 구성된 보조 지지수단(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uxiliary support means 7 composed of an
본체(2)의 전방에 붐대(4)가 수직방향으로 장착되고, 붐대(4)의 하부에 보조 지지수단(7)이 장착된다. A
붐대(4)는, 중심 기대(40)와, 상기 중심 기대(40)의 외부에 끼움결합된 제1붐(41)과, 상기 제1붐(41)에 끼움결합된 제2붐(42), 상기 제2붐(42)에 끼움결합된 제3붐(43)으로 구성되고, 제3붐(43)에 데크부(6)가 장착된다. The boom stand 4 includes a
구동부(M)는, 상기 중심 기대(40)의 내부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실린더부재(52)와, 상기 실린더부재(52)의 실린더로드(54)가 제1붐(41)에 힌지 결합되는 센터 승강부(5); 상기 제2붐(42)의 상부에 장착된 제1풀리(561)와, 상기 제1풀리(561)를 회전구동시키는 제1동력원(562)과, 상기 제1풀리(561)에 권취되어 일단은 중심 기대(40)에 고정 연결되고, 타단이 제2붐(42)의 하부에 고정 연결되는 제1와이어(563) 구성된 제2붐 승강부(56); 상기 제3붐(43)의 상부에 장착된 제2풀리(572)와, 상기 제2풀리(572)를 회전구동시키는 제2동력원(574)과, 상기 제2풀리(572)에 권취되어 일단은 중심 기대(40)에 고정 연결되고, 타단이 제3붐(43)의 하부에 고정 연결되는 제2와이어(576)로 구성된 제3붐 승강부(5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rive unit M includes a cylinder member 52 vertical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한편 상기 데크부(6)의 가이드(62)는 붐대(4)의 제3붐(43)의 외부에 결합되며 양측에 대칭 결합되는 제1,2브라켓(62a,62b)으로 구성되고, 내부에 회전 구동되게 힌지 결합되며 붐대(4)의 제3붐(43)의 외면을 타고 주행하는 복수의 롤러(624)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그리고 데크부(6)를 승강 작동하는 데크승강부(66);가 구비된다. And a
상기 데크승강부(66)는, 붐대(4)의 제3붐(43)에 수직방향으로 장착되며 상하로 승강되는 로드(73)를 구비한 유압실린더(74)와, 상기 로드(73)의 단부에 결합되며 풀리바디(72)와, 상기 풀리바디(72)에 장착되는 풀리(723)와, 상기 풀리(723)에 권취되며 일단은 제3붐(43)의 상단커버(666)에 고정되고, 타단은 데크부(6)의 가이드(62)에 고정되는 데크와이어(66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따라서 로드(73)가 하강하면 풀리바디(72)와 풀리(723)가 동반 하강하게 되고, 데크와이어(667)가 당겨짐에 의해 상대적으로 데크부(6)가 상승하게 된다. 데크부(6)의 하강은 이와 역순으로 진행된다. Therefore, when the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본 발명에 있어서 모든 리프트유닛의 붐대 전개 길이를 각각 개별적으로 측정하여 평균적인 리프트유닛의 붐대에 대한 전개 길이를 판별 계산한 후 상기 계산된 붐대의 평균적 전개 길이가 설정된 평균값보다 높게 전개된 리프트유닛은 붐대의 전개 속도를 느리게 조절하고 반대로 붐대의 평균적 전개 길이가 설정된 평균값 보다 낮게 전개시 붐대의 전개 속도를 빠르게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다수의 리프트유닛 작동시 각 리프트유닛에 설치된 로드셀에 걸리는 하중을 측정하며 이중 로드셀의 하중 측정이 설정된 하중보다 높게 하중(오버로드)이 측정되면 붐대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오버로드에 해당되지 않는 붐대는 계속 작동하여 하중 바란스를 유지하도록 하여 편리성 및 안정성 등의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operates as described above, the boom rod deployment lengths of all lift units are individually measured, and the average deployment length of the boom rod of the lift unit is determined and calculated, and then the calculated average deployment length of the boom rod is higher than the set average value The deployed lift unit controls the deployment speed of the boom unit slowly, and on the contrary, when the average deployment length of the boom unit is lower than the set average value, the deployment speed of the boom unit can be adjusted quickly, and when the plurality of lift units are operated, the load cells installed in each lift unit Measures the applied load, and when the load (overload) of the double load cell is higher than the set load, the boom bar stops operating, and the boom bar that does not correspond to the overload continues to operate to maintain the load balance for convenience and stability and so on.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Although described in relation to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readily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nd all such changes and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s self-explanatory.
2 : 본체 4 : 붐대
5 : 센터 승강부 M : 구동부
6 : 데크부 7 : 보조 지지수단
A : 리프트유닛 100 : 1차 구조물
101 : 외곽프레임 102 : 지지프레임
103 : 블럭 104 : 덕트
300 : 천장구조물 310 ; 천장프레임
320 : 천장마감판 2: main body 4: boom stand
5: center lifting part M: driving part
6: deck part 7: auxiliary support means
A: lift unit 100: primary structure
101: outer frame 102: support frame
103: block 104: duct
300:
320: ceiling finishing plate
Claims (5)
각 리프트유닛에 거치되도록 하여 가로와 세로에 각기 외곽프레임을 배치하여 4각형 외형틀을 형성하고, 상기 4각형 외형틀을 가로질러 다수의 지지프레임을 배치한 후 상기 다수의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다수의 블럭을 배열하고, 다수의 블럭에 지지되도록 하여 덕트를 설치하는 1차 구조물을 형성하는 2단계;
상기 리프트유닛의 붐대를 상승시켜 1차 구조물을 상승시켜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되도록 하는 3단계;
상기 외곽프레임의 하부에 천장프레임을 배치하고, 천장프레임과 외곽프레임을 연결하도록 연결봉을 설치하고, 천장프레임의 하부에 천장마감판을 부착하여 천장구조물을 완성시키는 4단계;
다수의 지지붐대가 수직방향으로 장착되고, 하부에 바퀴가 형성되며 바퀴를 구동하는 동력부가 구비되며, 접철작동되는 링크부재가 구비된 지지판넬이 상부에 형성된 메인리프팅장치를 상기 4단계의 천장구조물의 하부로 이동시켜 배치하는 5단계;
상기 5단계의 천장구조물이 지지판넬에 안착된 후 각 리프트유닛이 천장구조물로부터 이탈되고, 메인리프팅장치의 링크부재가 상승하여 지지판넬이 천장구조물을 상승시키도록 하는 6단계;
상기 6단계의 천장구조물의 최상부에 배치된 다수의 블럭 및 지지프레임에 볼트를 체결하고, 볼트의 단부가 천장에 가설된 앙카에 장착되도록 하여 천장구조물을 고정 설치하는 7단계;
상기 7단계 이후 메인리프팅장치의 링크부재가 접히면서 지지판넬이 하강하여 천장구조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하는 8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6단계의 각 리프트유닛을 지면의 적정 위치 2개소 이상에 배치되고, 상기 2단계 내지 8단계를 순차적으로 반복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구조물 시공 방법.A first step of arranging lift units at at least two or more places on the ground so that each lift unit supports each corner of the rectangular ceiling assembly;
To be mounted on each lift unit, outer frames are plac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to form a rectangular outer frame, and after arranging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across the rectangular outer frame,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are placed on top of the plurality of support frames. A second step of arranging blocks of and forming a primary structure for installing a duct by being supported by a plurality of blocks;
a third step of raising the primary structure by raising the boom of the lift unit so that it is separated from the ground at a certain height;
Step 4 of arranging a ceiling frame under the outer frame, installing connecting rods to connect the ceiling frame and outer frame, and attaching a ceiling finishing plate to the lower part of the ceiling frame to complete the ceiling structure;
A plurality of support booms are moun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els are formed at the bottom, a power unit for driving the wheels is provided, and a main lifting device with a support panel equipped with a link member that is folded and folded is formed on the top of the ceiling structure in the above 4 steps. Step 5 of moving and arranging to the lower part of;
After the ceiling structure of step 5 is seated on the support panel, each lift unit is separated from the ceiling structure, and the link member of the main lifting device is raised so that the support panel lifts the ceiling structure;
Step 7 of fixing and installing the ceiling structure by fastening bolts to a plurality of blocks and support frames disposed at the top of the ceiling structure of step 6, and mounting the ends of the bolts to anchors installed on the ceiling;
After the 7th step, the link member of the main lifting device is folded and the support panel is lowered and separated from the ceiling structure to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Including,
The ceiling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each lift unit of step 6 is disposed at two or more appropriate locations on the ground, and steps 2 to 8 are sequentially repeated.
상기 8단계 이후 각 천장구조물들 사이의 공간을 막도록 천장판넬이 부착되는 9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구조물 시공 방법.According to claim 1,
The ceiling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further comprising a ninth step of attaching a ceiling panel to block the space between each ceiling structure after the eighth step.
상기 모든 리프트유닛의 붐대 전개 길이를 각각 개별적으로 측정하여 평균적인 리프트유닛의 붐대에 대한 전개 길이를 판별 계산한 후 상기 계산된 붐대의 평균적 전개 길이가 설정된 평균값보다 높게 전개된 리프트유닛은 붐대의 전개 속도를 느리게 조절하고 반대로 붐대의 평균적 전개 길이가 설정된 평균값 보다 낮게 전개시 붐대의 전개 속도를 빠르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구조물 시공 방법.According to claim 1,
The boom arm extension lengths of all the lift units are individually measured to discriminate and calculate the average extension length of the boom rod of the lift unit, and then the calculated average extension length of the boom rod is higher than the set average value. A ceiling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peed is adjusted slowly and, conversely, the deployment speed of the boom is quickly adjusted when the average deployment length of the boom is lower than the set average value.
상기 다수의 리프트유닛 작동시 각 리프트유닛에 설치된 로드셀에 걸리는 하중을 측정하며 이중 로드셀의 하중 측정이 설정된 하중보다 높게 하중(오버로드)이 측정되면 붐대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오버로드에 해당되지 않는 붐대는 계속 작동하여 하중 바란스를 유지하도록 한 것을 천장 구조물 시공 방법.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plurality of lift units operate, the load applied to the load cell installed in each lift unit is measured, and when the load (overload) of the double load cell is higher than the set load, the operation of the boom is stopped and the boom is not overloaded. is a method of constructing a ceiling structure that continuously operates to maintain load balance.
지면에 지지되어 이동되는 바퀴가 형성된 프레임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 상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신축 작동되어 길이가 조절되도록 다단의 붐이 끼움결합되어 구성되는 붐대;
상기 다단의 붐을 승강 작동시켜 붐대의 길이 조절이 실행되는 동력을 발휘하는 구동부;
상기 붐대에 결합되며 승강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에 결합되는 브릿지와, 상기 브릿지의 단부에 형성되어 천장 구조물이 협지되는 클램프로 구성되는 데크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지면에 지지되는 아웃 리거와, 상기 아웃 리거의 승강작동을 유발하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된 보조 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붐대는,
중심 기대와, 상기 중심 기대의 외부에 끼움결합된 제1붐과, 상기 제1붐에 끼움결합된 제2붐, 상기 제2붐에 끼움결합된 제3붐으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중심 기대의 내부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실린더부재와, 상기 실린더부재의 실린더로드가 제1붐에 힌지 결합되는 센터 승강부; 상기 제2붐의 상부에 장착된 제1풀리와, 상기 제1풀리를 회전구동시키는 제1동력원과, 상기 제1풀리에 권취되어 일단은 중심 기대에 고정 연결되고, 타단이 제2붐의 하부에 고정 연결되는 제1와이어로 구성된 제2붐 승강부; 상기 제3붐의 상부에 장착된 제2풀리와, 상기 제2풀리를 회전구동시키는 제2동력원과, 상기 제2풀리에 권취되어 일단은 중심 기대에 고정 연결되고, 타단이 제3붐의 하부에 고정 연결되는 제2와이어로 구성된 제3붐 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구조물 시공 장치.The lift unit applied to the ceiling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 body having a frame on which wheels are supported and moved on the ground;
A boom stand installed vertically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by being fitted with multi-stage booms so that the length is adjusted by extension operation;
a driving unit that exerts power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boom by operating the multi-stage boom to ascend and descend;
A deck portion composed of a guide coupled to the boom and elevated, a bridge coupled to the guide, and a clamp formed at an end of the bridge to hold a ceiling structure;
An auxiliary support means consisting of an outrigger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supported on the ground, and a hydraulic cylinder that causes the outrigger to move up and down,
the boom,
It consists of a central base, a first boom fitted to the outside of the center base, a second boom fitted to the first boom, and a third boom fitted to the second boom. A cylinder member vertical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entral base, and a center lift portion hingedly coupled to a cylinder rod of the cylinder member to the first boom; A first pulley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boom, a first power source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first pulley, and wound around the first pulley, one end of which is fixedly connected to the central bas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boom A second boom elevation consisting of a first wire fixedly connected to; A second pulley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third boom, a second power source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second pulley, and wound around the second pulley, one end of which is fixedly connected to the central bas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third boom Ceiling structure constru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hird boom elevating portion consisting of a second wire fixedly connected t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6799A KR102592681B1 (en) | 2021-09-02 | 2021-09-02 | Ceiling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6799A KR102592681B1 (en) | 2021-09-02 | 2021-09-02 | Ceiling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33872A true KR20230033872A (en) | 2023-03-09 |
KR102592681B1 KR102592681B1 (en) | 2023-10-23 |
Family
ID=85511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16799A Active KR102592681B1 (en) | 2021-09-02 | 2021-09-02 | Ceiling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92681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241842A (en) * | 2024-05-29 | 2024-06-25 | 山西三建集团有限公司 | Leveling device for building constructio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13415A (en) * | 2010-04-09 | 2011-10-17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Mast assembly for forklift |
KR20130043958A (en) | 2011-10-21 | 2013-05-02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Appratus for decreaing sloshing in liquid storage tank |
KR20170033142A (en) * | 2015-09-16 | 2017-03-24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Support apparatus for ship construction |
KR101902842B1 (en) | 2017-12-14 | 2018-10-01 | 주식회사 원방테크 | 2-split type lifting apparatus and construction method for system ceiling by module lifting using the same |
KR101934669B1 (en) * | 2018-04-27 | 2019-01-02 | (주)호이스트코리아 | Mobile elevated work platform with outrigger |
KR20210060872A (en) * | 2019-11-19 | 2021-05-27 | 한양이엔지 주식회사 | Method for lifting weight loads and apparatus therefor |
-
2021
- 2021-09-02 KR KR1020210116799A patent/KR10259268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13415A (en) * | 2010-04-09 | 2011-10-17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Mast assembly for forklift |
KR20130043958A (en) | 2011-10-21 | 2013-05-02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Appratus for decreaing sloshing in liquid storage tank |
KR20170033142A (en) * | 2015-09-16 | 2017-03-24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Support apparatus for ship construction |
KR101902842B1 (en) | 2017-12-14 | 2018-10-01 | 주식회사 원방테크 | 2-split type lifting apparatus and construction method for system ceiling by module lifting using the same |
KR101934669B1 (en) * | 2018-04-27 | 2019-01-02 | (주)호이스트코리아 | Mobile elevated work platform with outrigger |
KR20210060872A (en) * | 2019-11-19 | 2021-05-27 | 한양이엔지 주식회사 | Method for lifting weight loads and apparatus therefo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241842A (en) * | 2024-05-29 | 2024-06-25 | 山西三建集团有限公司 | Leveling device for building construc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92681B1 (en) | 2023-10-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202055B2 (en) | Assembled scaffold movable within the elevator shaft for mounting shaft equipment | |
CN109826411B (en) | Climbing frame for building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EP1509473B1 (en) | Safety fence at upper part of cab | |
JP2012012835A (en) | Construction method of work floor for high altitude work | |
KR20140003277U (en) | A lift for a high place work | |
CA2610182C (en) | Elevating workshop pit platform | |
KR20230033872A (en) | Ceiling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and construction device | |
US20050230194A1 (en) | Safety fence at upper part of cab | |
KR102560658B1 (en) | Work boarding device | |
JP2019515166A (en) | Perimeter safety screen assembly | |
KR200497469Y1 (en) | Lifting device for installation of ceiling structures | |
JP2005500962A (en) | Safety device used to maintain the elevator system on the elevator car | |
KR102479853B1 (en) | Billboard ascending and descending apparatus | |
JPH08100517A (en) | Elevating workbench | |
KR102688117B1 (en) | Lift for disassembling Slave Panel Assembly | |
KR102446293B1 (en) | ladder truck ride | |
KR102204933B1 (en) | Apparatus for elevating work table | |
JP6988942B2 (en) | Elevator safety fence unit and elevator safety fence | |
JP2002046951A (en) | Scaffold apparatus for maintenance of elevator | |
KR102396527B1 (en) | Lifting Apparatus for Working Platform | |
JPH07237848A (en) | Installation method of elevator | |
KR101614655B1 (en) | Up-and-Down Type Runaway Approach Lamp Post | |
KR102609173B1 (en) | High place operation tower and high place operation tower assembly having the same | |
KR200241837Y1 (en) | Outer jumping platform easily and descending | |
JP2003027740A (en) | Self-elevating external scaffold for building constru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5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0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10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