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3585A - Polarizing plate with retardation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Polarizing plate with retardation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33585A KR20230033585A KR1020220099949A KR20220099949A KR20230033585A KR 20230033585 A KR20230033585 A KR 20230033585A KR 1020220099949 A KR1020220099949 A KR 1020220099949A KR 20220099949 A KR20220099949 A KR 20220099949A KR 20230033585 A KR20230033585 A KR 2023003358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tardation layer
- polarizing plate
- polarizer
- image display
- display de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6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for applying an electric field parallel to the substrate, i.e. in-plane switching [I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Geometry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arizing plate with a retardation layer and an image display device.
근래, 액정 표시 장치로 대표되는 화상 표시 장치가 급속히 보급되고 있다. 그와 같은 화상 표시 장치로서 예컨대, 편광판 및 위상차판을 포함하는 타원편광판과 액정 셀을 구비하고 있는 액정 표시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BACKGROUND OF THE INVENTION In recent years, image display devices typified by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are rapidly spreading. As such an image display device,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an elliptically polarizing plate including a polarizing plate and a retardation plate and a liquid crystal cell is known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이와 같은 화상 표시 장치는 각종 산업 제품에 이용되고 있으며 용도에 따라 요구되는 특성이 달라, 경사 방향으로부터의 시인성이 특히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에서는, 경사 방향의 흑색 휘도가 충분히 작아지지 않는(즉, 흑색 표시를 경사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충분히 검게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Such image display devices are used in various industrial products, and the required characteristics differ depending on the use, and visibility from an oblique direction is particularly required in some cases. However, in the image display device described in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의 목적으로 하는 바는 경사 방향의 흑색 휘도가 충분히 작은 화상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는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conventional problems, and its object is to provide a polarizing plate with a retardation layer capable of realizing a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sufficiently low black luminance in an oblique direction.
본 발명의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은, 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판과; 상기 편광판에 인접하여 배치된, 굴절률 특성이 nx>nz>ny의 관계를 나타내는 위상차층을 구비한다.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과 상기 위상차층의 지상축은 실질적으로 평행이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직교하고 있다. 해당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은 하기 식 (1)의 관계를 만족한다.A polarizing plate with a retardation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larizing plate containing a polarizer; and a retardation layer having a refractive index characteristic of nx>nz>ny, disposed adjacent to the polarizing plate. An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and a slow axis of the retardation layer are substantially parallel or substantially orthogonal. The said polarizing plate with a retardation layer satisfies the relationship of following formula (1).
(식 (1) 중 a~j는 하기 표 1 및 하기 표 2 중 어느 것에서, 상기 흡수축과 상기 지상축과의 관계로부터 선택되는 상수를 나타낸다. R0은 파장 550nm에서의 상기 위상차층의 정면 위상차를 나타낸다. NZ는 상기 위상차층의 Nz 계수를 나타냄).(In Formula (1), a to j represent constants select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sorption axis and the slow axis in any of Table 1 and Table 2 below. R 0 is the front surface of the retardation layer at a wavelength of 550 nm represents a phase difference (NZ represents an Nz coefficient of the phase difference layer).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a~j는 상기 표 1에서 상기 흡수축과 상기 지상축과의 관계로부터 선택되는 상수를 나타내고,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과 상기 위상차층의 지상축은 실질적으로 평행이며, 상기 위상차층의 R0은 210nm 이상 270nm 이하이고, 상기 위상차층의 Nz 계수는 0.38 이상 0.53 이하이다.In one embodiment, the a to j represent constants select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sorption axis and the slow axis in Table 1,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and the slow axis of the retardation layer are substantially parallel, R 0 of the retardation layer is 210 nm or more and 270 nm or less, and the Nz coefficient of the retardation layer is 0.38 or more and 0.53 or less.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a~j는 상기 표 1에서 상기 흡수축과 상기 지상축과의 관계로부터 선택되는 상수를 나타내고,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과 상기 위상차층의 지상축은 실질적으로 직교하고 있으며, 상기 위상차층의 R0은 270nm 이상 360nm 이하이고, 상기 위상차층의 Nz 계수는 0.42 이상 0.68 이하이다.In one embodiment, a to j represent constants select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sorption axis and the slow axis in Table 1, and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and the slow axis of the retardation layer are substantially orthogonal, R 0 of the retardation layer is 270 nm or more and 360 nm or less, and the Nz coefficient of the retardation layer is 0.42 or more and 0.68 or less.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a~j는 상기 표 2에서 상기 흡수축과 상기 지상축과의 관계로부터 선택되는 상수를 나타내고,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과 상기 위상차층의 지상축은 실질적으로 직교하고 있으며, 상기 위상차층의 R0은 210nm 이상 270nm 이하이고, 상기 위상차층의 Nz 계수는 0.42 이상 0.53 이하이다.In one embodiment, a to j represent constants select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sorption axis and the slow axis in Table 2, and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and the slow axis of the retardation layer are substantially orthogonal, R 0 of the retardation layer is 210 nm or more and 270 nm or less, and the Nz coefficient of the retardation layer is 0.42 or more and 0.53 or less.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a~j는 상기 표 2에서 상기 흡수축과 상기 지상축과의 관계로부터 선택되는 상수를 나타내고,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과 상기 위상차층의 지상축은 실질적으로 평행이며, 상기 위상차층의 R0은 270nm 이상 360nm 이하이고, 상기 위상차층의 Nz 계수는 0.47 이상 0.63 이하이다.In one embodiment, the a to j represent constants select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sorption axis and the slow axis in Table 2,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and the slow axis of the retardation layer are substantially parallel, R 0 of the retardation layer is 270 nm or more and 360 nm or less, and the Nz coefficient of the retardation layer is 0.47 or more and 0.63 or less.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는, 화상 표시 셀과; 상기 화상 표시 셀에 대하여 시인 측에 배치되는 상기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구비한다.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display cell; The polarizing plate with the retardation layer disposed on the viewing side with respect to the image display cell is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는, 화상 표시 셀과; 상기 화상 표시 셀에 대하여 시인 측의 반대 측에 배치되는 상기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구비한다.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display cell; The polarizing plate with the retardation layer dispos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viewing side with respect to the image display cell is provided.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화상 표시 셀은 액정 셀이며, 상기 액정 셀의 구동 모드는 IPS 모드이다.In one embodiment, the image display cell is a liquid crystal cell, and the drive mode of the liquid crystal cell is an IPS mode.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화상 표시 장치에서의 경사 방향의 흑색 휘도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실현할 수 있다.ADVANTAG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the polarizing plate with a retardation layer which can aim at the reduction of black luminance of an oblique direction in an image display apparatus can be realized.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polarizing plate with a retardation lay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로는 한정되지 않는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althoug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
(용어 및 기호의 정의)(Definition of Terms and Symbols)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및 기호의 정의는 하기와 같다.Definitions of terms and symbols in this specification are as follows.
(1) 굴절률(nx, ny, nz)(1) Refractive index (nx, ny, nz)
'nx'는 면내의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즉,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ny'는 면내에서 지상축과 직교하는 방향(즉,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이며, 'nz'는 두께 방향의 굴절률이다.'nx' i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plane refractive index is maximized (ie, the slow axis direction), 'ny' i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low axis within the plane (ie, the fast axis direction), and 'nz' is i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thickness direction.
(2) 면내 위상차(Re) 및 정면 위상차(R0)(2) In-plane retardation (Re) and face-to-face retardation (R 0 )
'Re(λ)'는 23℃에서의 파장 λnm의 광으로 측정한 면내 위상차이다. 예컨대, 'Re(550)'은 23℃에서의 파장 550nm의 광으로 측정한 면내 위상차(정면 위상차)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Re(550)'을 'R0'으로 칭하는 경우가 있다.'Re(λ)' is an in-plane retardation measured with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λ nm at 23°C. For example, 'Re(550)' is an in-plane retardation (frontal retardation) measured with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550 nm at 23°C.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Re (550)' may be referred to as 'R 0 '.
Re(λ)는 층(필름)의 두께를 d(nm)로 하였을 때, 식: Re=(nx-ny)×d에 의해 구하여진다.Re(λ) is obtained by the formula: Re=(nx-ny)×d when the thickness of the layer (film) is d(nm).
(3) 두께 방향의 위상차(Rth)(3) Phase difference in thickness direction (Rth)
'Rth(λ)'는 23℃에서의 파장 λnm의 광으로 측정한 두께 방향의 위상차이다. 예컨대, 'Rth(550)'은 23℃에서의 파장 550nm의 광으로 측정한 두께 방향의 위상차이다. Rth(λ)는 층(필름)의 두께를 d(nm)로 하였을 때, 식: Rth=(nx-nz)×d에 의해 구하여진다.'Rth(λ)' is the phase difference in the thickness direction measured with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λ nm at 23°C. For example, 'Rth(550)' is the phase difference in the thickness direction measured with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550 nm at 23°C. Rth(λ) is obtained by the formula: Rth=(nx-nz)×d when the thickness of the layer (film) is d(nm).
(4) Nz 계수(4) Nz factor
Nz 계수는 Nz=Rth/Re에 의해 구하여진다.The Nz coefficient is obtained by Nz=Rth/Re.
(5) 실질적으로 직교 또는 평행(5) substantially orthogonal or parallel
'실질적으로 직교' 및 '대략 직교'라고 하는 표현은 2개의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90°±10°인 경우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90°±7°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90°±5°이다. '실질적으로 평행' 및 '대략 평행'이라고 하는 표현은 2개의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0°±10°인 경우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0°±7°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5°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순히 '직교' 또는 '평행'이라고 할 때는, 실질적으로 직교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태를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The expressions 'substantially orthogonal' and 'approximately orthogonal' include the case where the angle formed by the two directions is 90°±10°, preferably 90°±7°, more preferably 90°±5 is ° The expressions 'substantially parallel' and 'approximately parallel' include the case where the angle formed by the two directions is 0°±10°, preferably 0°±7°, and more preferably 0°±5°. is ° In addition, when simply referring to 'orthogonal' or 'parallel' in this specification, a substantially orthogonal or substantially parallel state may be included.
A.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의 전체 구성A. Overall configuration of polarizing plate with retardation layer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시예의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1)은, 편광자(21)를 포함하는 편광판(2)과; 편광판(2)에 인접하여 배치된, 굴절률 특성이 nx>nz>ny의 관계를 나타내는 위상차층(3)을 구비한다. 편광자(21)의 흡수축과 위상차층(3)의 지상축은 실질적으로 평행이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직교하고 있다.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1)은 하기 식 (1)의 관계를 만족한다. 위상차층(3)은 편광판(2)과 직접 접촉하고 있어도 되고,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개재하여 편광판(2)에 첩부되어 있어도 된다.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polarizing plate with a retardation lay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arizing
(식 (1) 중 a~j는 하기 표 1 및 하기 표 2 중 어느 것에서, 편광자(21)의 흡수축과 위상차층(3)의 지상축과의 관계로부터 선택되는 상수를 나타낸다. NZ는 위상차층(3)의 Nz 계수를 나타냄).(In Formula (1), a to j represent constants select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sorption axis of the
[표 1][Table 1]
[표 2][Table 2]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이 상기 식 (1)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으면,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서 경사 방향의 흑색 휘도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If the polarizing plate with a retardation layer satisfies the relationship of the above formula (1), the black luminance in the oblique direction can be reduced in an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polarizing plate with a retardation layer.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식 (1)의 a~j는 상기 표 1에서 편광자(21)의 흡수축과 위상차층(3)의 지상축과의 관계로부터 선택되는 상수를 나타내고, 편광자(21)의 흡수축과 위상차층(3)의 지상축은 실질적으로 평행이다. 이 경우, 위상차층(3)의 R0은 대표적으로는 210nm 이상 270nm 이하, 바람직하게는 250nm 이하이다. 위상차층(3)의 Nz 계수는 대표적으로는 0.38 이상 0.53 이하이다.In one embodiment, a to j in Equation (1) represent constants select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sorption axis of th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이 후술하는 O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되고, 편광자(21)의 흡수축과 위상차층(3)의 지상축이 실질적으로 평행인 경우에, 경사 방향의 흑색 휘도를 안정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polarizing plate with the retardation layer is used in an O-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described later, and the absorption axis of the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식 (1)의 a~j는 상기 표 1에서 편광자(21)의 흡수축과 위상차층(3)의 지상축과의 관계로부터 선택되는 상수를 나타내고, 편광자(21)의 흡수축과 위상차층(3)의 지상축은 실질적으로 직교하고 있다. 이 경우, 위상차층(3)의 R0은 대표적으로는 270nm 이상, 바람직하게는 290nm 이상이며, 대표적으로는 360nm 이하이다. 위상차층(3)의 Nz 계수는 대표적으로는 0.42 이상 0.68 이하이다.In one embodiment, a to j in Equation (1) represent constants select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sorption axis of th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이 후술하는 O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되고, 편광자(21)의 흡수축과 위상차층(3)의 지상축이 실질적으로 직교하고 있는 경우에, 경사 방향의 흑색 휘도를 안정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polarizing plate with the retardation layer is used in an O-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described later, and the absorption axis of the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식 (1)의 a~j는 상기 표 2에서 편광자(21)의 흡수축과 위상차층(3)의 지상축과의 관계로부터 선택되는 상수를 나타내고, 편광자(21)의 흡수축과 위상차층(3)의 지상축은 실질적으로 직교하고 있다. 이 경우, 위상차층(3)의 R0은 대표적으로는 210nm 이상, 바람직하게는 230nm 이상이며, 대표적으로는 270nm 이하이다. 위상차층(3)의 Nz 계수는 대표적으로는 0.42 이상 0.53 이하이다.In one embodiment, a to j in Equation (1) represent constants select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sorption axis of th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이 후술하는 E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되고, 편광자(21)의 흡수축과 위상차층(3)의 지상축이 실질적으로 직교하고 있는 경우에, 경사 방향의 흑색 휘도를 안정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polarizing plate with the retardation layer is used for an E-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described later, and the absorption axis of the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식 (1)의 a~j는 상기 표 2에서 편광자(21)의 흡수축과 위상차층(3)의 지상축과의 관계로부터 선택되는 상수를 나타내고, 편광자(21)의 흡수축과 위상차층(3)의 지상축은 실질적으로 평행이다. 이 경우, 위상차층(3)의 R0은 대표적으로는 270nm 이상 360nm 이하이다. 위상차층(3)의 Nz 계수는 대표적으로는 0.47 이상 0.63 이하이다.In one embodiment, a to j in Equation (1) represent constants select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sorption axis of th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이 후술하는 E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되고, 편광자(21)의 흡수축과 위상차층(3)의 지상축이 실질적으로 평행인 경우에, 경사 방향의 흑색 휘도를 안정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polarizing plate with the retardation layer is used for an E-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described later, and the absorption axis of the
B.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의 전체 구성B. Overall configuration of polarizing plate with retardation layer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시예의 화상 표시 장치(10)는, 화상 표시 셀(6)과, 화상 표시 셀(6)에 대하여 시인 측(위상차층 부착 편광판(1)의 두께 방향 한쪽 측)에 배치되는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1)을 구비하고 있다.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람직하게는,In this embodiment, preferably,
제1 편광판(2)의 편광자(21)의 흡수축과 위상차층(3)의 지상축이 실질적으로 평행이고, 위상차층(3)의 R0이 210nm 이상 270nm 이하이며, 또한 위상차층(3)의 Nz 계수가 0.38 이상 0.53 이하이거나,The absorption axis of the
제1 편광판(2)의 편광자(21)의 흡수축과 위상차층(3)의 지상축이 실질적으로 직교하고 있고, 위상차층(3)의 R0이 270nm 이상 360nm 이하이며, 또한 위상차층(3)의 Nz 계수가 0.42 이상 0.68 이하이거나, 혹은,The absorption axis of the
제1 편광판(2)의 편광자(21)의 흡수축과 위상차층(3)의 지상축이 실질적으로 직교하고 있고, 위상차층(3)의 R0이 210nm 이상 270nm 이하이며, 또한 위상차층(3)의 Nz 계수가 0.42 이상 0.53 이하이다.The absorption axis of the
도시예의 화상 표시 장치(10)는 화상 표시 셀(6)에 대하여 시인 측의 반대 측(위상차층 부착 편광판(1)의 반대 측)에 배치되는 제2 편광판(4)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The
또한, 이하에서는, 편의상, 편광판(2)을 제1 편광판(2)이라고 하고 제2 편광판(4)과 구별한다. 제2 편광판(4)은 편광자(41)를 포함하고 있다. 제1 편광판(2)이 구비하는 편광자(21)의 흡수축 방향과 제2 편광판(4)이 구비하는 편광자(41)의 흡수축 방향은 대표적으로는 실질적으로 직교하고 있다.In addition, hereinafter, for convenience, the
실용적으로는, 화상 표시 장치(10)(액정 표시 장치)는 백 라이트 유닛(9)을 추가로 구비한다. 백 라이트 유닛(9)은 광원(7)과 도광판(8)을 포함한다. 백 라이트 유닛(9)은 임의의 적절한 그 외의 부재(예컨대,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도시예에서는 백 라이트 유닛(9)은 엣지 라이트 방식이지만, 백 라이트 유닛(9)으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다른 방식(예컨대, 직하형)이 채용되어도 된다.In practical terms, the image display device 10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urther includes a
화상 표시 셀(6)은 대표적으로는 액정 셀(6a)이며, 화상 표시 장치(10)는 대표적으로는 액정 표시 장치이다.The
액정 표시 장치는 이른바 O 모드이어도 되고, 이른바 E 모드이어도 된다. 'O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란, 액정 셀의 시인 측의 반대 측(배면 측)에 배치된 편광자(본 실시형태에서는, 편광자(41))의 흡수축 방향과 액정 셀의 초기 배향 방향이 실질적으로 평행인 것을 말한다. 'E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란, 액정 셀의 시인 측의 반대 측(배면 측)에 배치된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과 액정 셀의 초기 배향 방향이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것을 말한다. '액정 셀의 초기 배향 방향'이란, 전계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후술하는 액정층에 포함되는 액정 분자가 배향한 결과 생기는 액정층의 면내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즉, 지상축 방향)을 말한다.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ay be a so-called O mode or a so-called E mode. 'O-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eans that the direction of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in this embodiment, the polarizer 41)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rear side) of the viewing side of the liquid crystal cell and the direction of the initial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cell are substantially says that it is parallel to 'E-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eans that the absorption axis direction of a polarizer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rear side) of the liquid crystal cell to the viewing side and the initial orientation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 cell are substantially orthogonal. The term 'initial alignment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 cell' refers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plane refractive index of the liquid crystal layer formed as a result of alignment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included in the liquid crystal layer to be described later is maximized (ie, the slow axis direction) in the absence of an electric field. say
액정 표시 장치가 O 모드인 경우, 상기 식 (1)의 a~j는 대표적으로는 상기 표 1에서, 편광자(21)의 흡수축과 위상차층(3)의 지상축과의 관계로부터 선택되는 상수를 나타내고, 액정 표시 장치가 E 모드인 경우, 상기 식 (1)의 a~j는 대표적으로는 상기 표 2에서, 편광자(21)의 흡수축과 위상차층(3)의 지상축과의 관계로부터 선택되는 상수를 나타낸다.When the liquid crystal display is in the O mode, a to j in Equation (1) are typically constants select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sorption axis of the
화상 표시 장치(10)에서는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1)이 화상 표시 셀(6)(액정 셀(6a))의 시인 측에 배치되어 있지만,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1)은 화상 표시 셀(6)(액정 셀(6a))에 대하여 시인 측의 반대 측에 위치하여도 된다.In the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시예의 화상 표시 장치(11)는 화상 표시 셀(6)과 화상 표시 셀(6)에 대하여 시인 측의 반대 측에 배치되는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1)을 구비하고 있다.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제1 편광판(2)의 편광자(21)의 흡수축과 위상차층(3)의 지상축이 실질적으로 평행이고, 위상차층(3)의 R0이 270nm 이상 260nm 이하이며, 또한 위상차층(3)의 Nz 계수가 0.47 이상 0.63 이하이다.In this embodiment, preferably, the absorption axis of the
화상 표시 장치(11)는 화상 표시 장치(10)와 마찬가지로 대표적으로는 액정 표시 장치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정 표시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E 모드이다.Like the
또한, 화상 표시 장치(11)(액정 표시 장치)는 화상 표시 셀(6)(액정 셀(6a))에 대하여 시인 측에 배치되는 제2 편광판(4)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또한, 화상 표시 장치(11)(액정 표시 장치)는 화상 표시 장치(10)와 마찬가지로 실용적으로는 백 라이트 유닛(9)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The image display device 11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urther includes a second
화상 표시 장치(액정 표시 장치)는 임의의 적절한 그 외의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예컨대, 다른 광학 보상층(위상차층)이 추가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다른 광학 보상층의 광학 특성, 수, 조합, 배치 위치 등은 목적 및 소망하는 광학 특성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사항은 당업계에서 주지 관용되고 있는 화상 표시 장치(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이 채용될 수 있다.The image display devic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y appropriate other members. For example, another optical compensation layer (retardation layer) may be further disposed. The optical characteristics, number, combination, arrangement position, and the like of the different optical compensation layers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desired optical characteristics and the like. Matters not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employ a configuration of an image display devic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monly used in the art.
이하,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각 부재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member constituting the polarizing plate with the retardation layer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will be described.
C. 편광판C. Polarizer
C-1. 편광자C-1. polarizer
제1 편광판(2)이 구비하는 편광자(21) 및 제2 편광판(4)이 구비하는 편광자(41)(이하, 합쳐서 단순히 편광자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편광자가 채용될 수 있다. 예컨대, 편광자를 형성하는 수지 필름은 단층의 수지 필름이어도 되고, 2층 이상의 적층체이어도 된다.Arbitrary appropriate polarizers can be employed as the
단층의 수지 필름으로 구성되는 편광자의 구체예로서는, 폴리비닐알코올(PVA)계 필름, 부분 포르말화 PVA계 필름,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계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에 요오드나 이색성(二色性) 염료 등의 이색성 물질에 의한 염색 처리 및 연신 처리가 실시된 것, PVA의 탈수 처리물이나 폴리 염화 비닐의 탈염산 처리물 등 폴리엔계 배향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광학 특성이 우수한 점에서, PVA계 필름을 요오드로 염색하고 1축 연신하여 얻어진 편광자가 이용된다.As a specific example of a polarizer composed of a single-layer resin film, iodine or dichroism (two-color性) Polyene-based oriented films such as those subjected to dyeing and stretching treatment with dichroic substances such as dyes, dehydrated PVA products and dehydrochlorinated polyvinyl chloride products, and the like. Preferably, a polarizer obtained by dyeing a PVA-based film with iodine and uniaxially stretching is used because of its excellent optical properties.
상기 요오드에 의한 염색은, 예컨대 PVA계 필름을 요오드 수용액에 침지하는 것에 의해 행하여진다. 상기 1축 연신의 연신 배율은 바람직하게는 3~7배이다. 연신은 염색 처리 후에 행하여도 되고, 염색하면서 행하여도 된다. 또한, 연신하고 나서 염색하여도 된다. 필요에 따라서, PVA계 필름에 팽윤 처리, 가교 처리, 세정 처리, 건조 처리 등이 실시된다. 예컨대, 염색 전에 PVA계 필름을 물에 침지하여 수세함으로써, PVA계 필름 표면의 오염이나 블로킹 방지제를 세정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PVA계 필름을 팽윤시켜 염색 얼룩 등을 방지할 수 있다.Dyeing with iodine is performed, for example, by immersing the PVA-based film in an aqueous solution of iodine. The draw ratio of the uniaxial stretching is preferably 3 to 7 times. Stretching may be performed after dyeing treatment or may be performed while dyeing. Moreover, you may dye after extending|stretching. Swelling treatment, crosslinking treatment, washing treatment, drying treatment, etc. are given to the PVA-based film as necessary. For example, by immersing and washing the PVA-based film in water before dyeing, it is possible not only to clean the surface of the PVA-based film from stains and antiblocking agents, but also to swell the PVA-based film to prevent staining and the like.
적층체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편광자의 구체예로서는, 수지 기재와 당해 수지 기재에 적층된 PVA계 수지층(PVA계 수지 필름)과의 적층체, 혹은, 수지 기재와 당해 수지 기재에 도포 형성된 PVA계 수지층과의 적층체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편광자를 들 수 있다. 수지 기재와 당해 수지 기재에 도포 형성된 PVA계 수지층과의 적층체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편광자는, 예컨대 PVA계 수지 용액을 수지 기재에 도포하고 건조시켜 수지 기재 위에 PVA계 수지층을 형성하여, 수지 기재와 PVA계 수지층과의 적층체를 얻는 것; 당해 적층체를 연신 및 염색하여 PVA계 수지층을 편광자로 하는 것;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신은 대표적으로는 적층체를 붕산 수용액 중에 침지시켜 연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연신은 필요에 따라서, 붕산 수용액 중에서의 연신 전에 적층체를 고온(예컨대, 95℃ 이상)에서 공중 연신하는 것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얻어진 수지 기재/편광자의 적층체는 그대로 이용하여도 되고(즉, 수지 기재를 편광자의 보호층으로 하여도 되고), 수지 기재/편광자의 적층체로부터 수지 기재를 박리하고, 당해 박리면에 목적에 따른 임의의 적절한 보호층을 적층하여 이용하여도 된다. 이와 같은 편광자의 제조 방법의 상세는,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73580호, 일본 특허공보 제6470455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공보는 그 전체의 기재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원용된다.As a specific example of a polarizer obtained using a laminate, a laminate of a resin substrate and a PVA-based resin layer (PVA-based resin film) laminated on the resin substrate, or a resin substrate and a PVA-based resin layer coated on the resin substrate. A polarizer obtained using a layered product of and is mentioned. A polarizer obtained by using a laminate of a resin substrate and a PVA-based resin layer coated and formed on the resin substrate, for example, by applying a PVA-based resin solution to the resin substrate and drying it to form a PVA-based resin layer on the resin substrate, and obtaining a laminate of the PVA-based resin layer; It can be produced by: stretching and dyeing the layered product to make the PVA-based resin layer a polarizer. In this embodiment, extending|stretching typically includes extending|stretching by immersing a layered product in boric acid aqueous solution. Further, if necessary, the stretching may further include air-stretching the laminate at a high temperature (eg, 95° C. or higher) before stretching in a boric acid aqueous solution. The obtained laminate of the resin substrate/polarizer may be used as it is (that is, the resin substrate may be used as a protective layer for the polarizer), and the resin substrate is peeled from the laminate of the resin substrate/polarizer, and the peel surface is used for the purpose. Any suitable protective layer according to the above may be laminated and used. The details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such a polarizer are described, for example in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12-73580 and Unexamined-Japanese-Patent No. 6470455. These publications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their entirety.
편광자의 두께는 예컨대 1㎛~80㎛이고, 바람직하게는 1㎛~15㎛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12㎛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3㎛~12㎛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3㎛~8㎛이다. 편광자의 두께가 이와 같은 범위이면 가열 시의 컬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고, 그리고 양호한 가열 시의 외관 내구성이 얻어진다.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is, for example, 1 μm to 80 μm, preferably 1 μm to 15 μm, more preferably 1 μm to 12 μm, still more preferably 3 μm to 12 μm, and particularly preferably 3 μm. ~8 μm. If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is in such a range, curling at the time of heating can be favorably suppressed, and good appearance durability at the time of heating is obtained.
편광자는 바람직하게는 파장 380nm~780nm의 어느 파장에서 흡수 이색성을 나타낸다. 편광자의 단체 투과율은, 예컨대 41.5%~46.0%이고, 바람직하게는 43.0%~46.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4.5%~46.0%이다. 편광자의 편광도는 바람직하게는 97.0%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9.0% 이상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99.9% 이상이다.The polarizer preferably exhibits absorption dichroism at any wavelength of 380 nm to 780 nm. The single transmittance of the polarizer is, for example, 41.5% to 46.0%, preferably 43.0% to 46.0%, and more preferably 44.5% to 46.0%. The degree of polarization of the polarizer is preferably 97.0% or more, more preferably 99.0% or more, still more preferably 99.9% or more.
C-2. 보호층C-2. protective layer
제1 편광판(2) 및 제2 편광판(4)의 각각은, 보호층을 추가로 구비하여도 된다. 보호층은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마련되어도 되고, 편광자의 양면에 마련되어도 된다. 화상 표시 장치(10)에서 제1 편광판(2)은 편광자(21)의 시인 측의 면에 마련되는 보호층(22)을 구비하고, 제2 편광판(4)은 편광자(41)의 시인 측의 반대 측의 면에 마련되는 보호층(4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화상 표시 장치(11)에서, 보호층(22)은 편광자(21)의 시인 측의 반대 측의 면에 마련되고, 보호층(42)은 편광자(41)의 시인 측의 면에 마련되어 있다.Each of the first
보호층은 편광자의 보호층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필름으로 형성된다. 당해 필름의 주성분이 되는 재료의 구체예로서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비닐알코올계,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이미드계, 폴리에테르설폰계, 폴리설폰계, 폴리스티렌계, 폴리노보넨계, 폴리올레핀계, (메트)아크릴계, 아세테이트계 등의 투명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메트)아크릴계, 우레탄계, (메트)아크릴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등의 열경화형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등도 들 수 있다. 이 밖에도, 예컨대, 실록산계 폴리머 등의 유리질계 폴리머도 들 수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343529호(WO01/37007)에 기재된 폴리머 필름도 사용할 수 있다. 이 필름의 재료로서는, 예컨대, 측쇄에 치환 또는 비치환의 이미드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와 측쇄에 치환 또는 비치환의 페닐기, 그리고 니트릴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고, 예컨대 이소부텐과 N-메틸말레이미드로 이루어지는 교호 공중합체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를 갖는 수지 조성물을 들 수 있다. 당해 폴리머 필름은, 예컨대 상기 수지 조성물의 압출 성형물일 수 있다.The protective layer is formed of any suitable film that can be used as a protective layer of a polarizer. Specific examples of the material serving as the main component of the film include cellulose-based resins such as triacetyl cellulose (TAC), polyester-based, polyvinyl alcohol-based, polycarbonate-based, polyamide-based, polyimide-based, polyethersulfone-based, and transparent resins such as polysulfone, polystyrene, polynorbornene, polyolefin, (meth)acrylic, and acetate resins. Further, thermosetting resins such as (meth)acrylic, urethane-based, (meth)acrylurethane-based, epoxy-based, and silicone-based resins or ultraviolet curable resins may be used. In addition, glassy type polymers, such as a siloxane type polymer, are also mentioned, for example. Moreover, the polymer film of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01-343529 (WO01/37007) can also be used. As a material for this film, for example, a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 thermoplastic resin having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imide group on its side chain, a thermoplastic resin having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phenyl group and a nitrile group on its side chain can be used, for example, isobutene and N - A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an alternating copolymer of methyl maleimide and an acrylonitrile/styrene copolymer. The polymer film may be, for example, an extrusion molding of the resin composition.
화상 표시 셀(6)의 시인 측에 배치되는 편광자가 화상 표시 장치의 최표면에 위치하는 보호층을 구비하는 경우, 당해 보호층에는 필요에 따라서, 하드 코트 처리, 반사 방지 처리, 스티킹 방지 처리, 안티글레어 처리 등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When the polarizer disposed on the viewing side of the
보호층의 두께는 대표적으로는 5mm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 더 바람직하게는 5㎛~150㎛이다. 또한,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경우, 보호층의 두께는 표면 처리층의 두께를 포함한 두께이다.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layer is typically 5 mm or less, preferably 1 mm or less, more preferably 1 μm to 500 μm, still more preferably 5 μm to 150 μm. In addition, when the surface treatment is performed,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layer is the thickness including the thickness of the surface treatment layer.
D. 위상차층D. phase difference layer
위상차층(3)은 상기한 바와 같이 nx>nz>ny의 굴절률 특성을 나타낸다. 위상차층(3)의 Re(550)은 대표적으로는 210nm 이상 360nm 이하이다. 위상차층(3)의 Re(550)이 이와 같은 범위이면, 푸앵카레구 위에서의 이동 거리가 짧기 때문에 우수한 색상 및 휘도 특성이 실현되고, 또한 TFT(스위칭 소자)의 위상차 성분에 의한 어긋남이 작아진다.As described above, the
위상차층(3)은 위상차 값이 측정광의 파장에 따라 커지는 역분산 파장 특성을 나타내도 되고, 위상차 값이 측정광의 파장에 따라 작아지는 양(正)의 파장 분산 특성을 나타내도 되며, 위상차 값이 측정광의 파장에 의해서도 거의 변화하지 않는 플랫한 파장 분산 특성을 나타내도 된다. 위상차층(3)은 바람직하게는 플랫한 파장 분산 특성을 나타낸다.The
위상차층(3)은 그의 광탄성 계수가 예컨대 10×10-12m2/N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0×10-12m2/N 이상이며, 예컨대 100×10-12m2/N 이하, 바람직하게는 60×10-12m2/N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10-12m2/N 이하이다. 위상차층(3)의 광탄성 계수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편광자의 수축 응력이나 백 라이트의 열에 의해 발생하는 위상차 값의 어긋남이나 편차를 억제할 수 있어 양호한 표시 균일성을 갖는 화상 표시 장치(액정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다.The
위상차층(3)의 두께는 대표적으로는 20㎛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상이며, 대표적으로는 200㎛ 이하, 바람직하게는 150㎛ 이하이다.The thickness of the
위상차층(3)은 대표적으로는 상기 특성을 실현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수지로 형성된 위상차 필름이다. 위상차층(3)을 형성하는 수지로서는, 예컨대,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릴에테르케톤,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에스테르이미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푸마르산 에스테르,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설폰,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셀룰로오스 수지 및 폴리우레탄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는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되고 조합하여 이용하여도 된다.The
위상차층(3)을 형성하는 수지로서 바람직하게는,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를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노보넨계 수지를 들 수 있다. 노보넨계 수지로서 구체적으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08925호에 기재되는 '노보넨계 모노머의 개환 중합체를 수소 첨가한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를 들 수 있다.As the resin forming the
위상차층(3)은, 예컨대 상기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고분자 필름의 양면에 고수축성 필름(예컨대,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첩합하고, 롤 연신기에서 종1축 연신법으로 가열 연신하는 것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고수축성 필름은 가열 연신 시에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수축력을 부여하고, 위상차층(3)의 두께 방향의 굴절률(nz)을 높이기 위하여 이용된다. 상기 고분자 필름의 양면에 고수축성 필름을 첩합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상기 고분자 필름과 상기 고수축성 필름과의 사이에, 아크릴계 폴리머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마련하여 접착하는 방법이 작업성, 경제성이 우수한 점에서 바람직하다.The
또한, 고분자 필름의 두께(원반(原反) 두께), 연신 온도 및 연신 배율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위상차층(3)의 정면 위상차(R0) 및 Nz 계수를 상기한 범위로 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by adjusting the thickness (original thickness) of the polymer film, the stretching temperature and the stretching ratio, the front retardation (R 0 ) and the Nz coefficient of the
고분자 필름의 두께(원반 두께)는, 대표적으로는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이며, 대표적으로는 500㎛ 이하, 바람직하게는 4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이하이다.The thickness (original thickness) of the polymer film is typically 80 µm or more, preferably 100 µm or more, and is typically 500 µm or less, preferably 400 µ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300 µm or less.
연신 온도는, 대표적으로는 120℃ 이상, 바람직하게는 130℃ 이상이며, 대표적으로는 180℃이하, 바람직하게는 170℃이하이다.The stretching temperature is typically 120°C or higher, preferably 130°C or higher, and is typically 180°C or lower, preferably 170°C or lower.
연신 배율((위상차층의 연신 방향 치수-고분자 필름의 연신 방향 치수)/고분자 필름의 연신 방향 치수×100)은, 대표적으로는 0.1% 이상, 바람직하게는 0.3% 이상이며, 대표적으로는 80% 이하, 바람직하게는 70% 이하이다.The stretching ratio ((stretching direction dimension of retardation layer-stretching direction dimension of polymer film)/stretching direction dimension of polymer film × 100) is typically 0.1% or more, preferably 0.3% or more, and is typically 80% or less, preferably 70% or less.
E. 액정 셀E. liquid crystal cell
액정 셀(6a)은 제1 기판(62)과 제2 기판(63)과 그것들에 협지된, 전계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호모지니어스 배열로 배향시킨 액정 분자를 포함하는 액정층(61)을 포함한다. 일반적인 구성에서는 한쪽의 기판(대표적으로는 제1 기판(62))에 컬러 필터 및 블랙 매트릭스가 마련되어 있으며, 다른 쪽의 기판(대표적으로는 제2 기판(63))에 액정의 전기 광학 특성을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와, 이 스위칭 소자에 게이트 신호를 주는 주사선 및 소스 신호를 주는 신호선과, 화소 전극 및 대향 전극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기판의 간격(셀 갭)은, 스페이서 등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 상기 기판의 액정층과 접하는 측에는 예컨대 폴리이미드를 포함하는 배향막 등을 마련할 수 있다.The
제1 기판(62) 및 제2 기판(63)의 Rth(550)은 각각 -10nm~100nm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제1 기판(62) 및 제2 기판(63)의 적어도 한쪽의 Rth(550)은 바람직하게는 8nm~90n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nm~80nm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20nm~70nm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30nm~60nm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제1 기판(62) 및 제2 기판(63)의 적어도 한쪽의 Rth(550)은 바람직하게는 -0.1nm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nm~-50nm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기판이 이와 같은 두께 방향 위상차를 갖는 경우에, 호모지니어스 배향의 액정 셀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서 경사 방향의 흑색 휘도를 충분히 작게 할 수 있다.Rth (550) of the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제1 기판(62) 및 제2 기판(63)의 적어도 한쪽은 Rth(450)>Rth(550)의 관계를 만족하고, 바람직하게는 제1 기판(62) 및 제2 기판(63)의 양쪽이 Rth(450)>Rth(550)의 관계를 만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기판(62) 및 제2 기판(63)의 적어도 한쪽은 Rth(550)>Rth(650)의 관계를 더욱 만족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제1 기판(62) 및 제2 기판(63)의 양쪽이 Rth(550)>Rth(650)의 관계를 더욱 만족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기판이 이와 같은 파장 분산 특성을 갖는 경우이어도, 호모지니어스 배향의 액정 셀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서 경사 방향의 흑색 휘도를 충분히 작게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액정층(61)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전계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호모지니어스 배열로 배향시킨 액정 분자를 포함한다. '호모지니어스 배열로 배향시킨 액정 분자'란, 배향 처리된 기판과 액정 분자의 상호 작용의 결과로서, 상기 액정 분자의 배향 벡터가 기판 평면에 대하여, 평행이면서 똑같이 배향한 상태의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액정층(결과로서, 액정 셀)은 대표적으로는, nx>ny=nz의 굴절률 특성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ny=nz'란, ny와 nz가 완전하게 동일한 경우뿐만 아니라, ny와 nz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도 포함한다. 액정층의 Re(550)은 예컨대 300nm~400nm일 수 있다. 액정층의 Nz 계수는 예컨대 0.9~1.1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액정층의 액정 분자는 프리-틸트를 갖는다. 즉, 액정 분자의 배향 벡터가 기판 평면에 대하여 약간 경사져 있다. 프리-틸트각은 바람직하게는 0.1°~1.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7°이다.In one embodiment,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of the liquid crystal layer have a pre-tilt. That is, the orientation vector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is slightly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plane. The pre-tilt angle is preferably 0.1° to 1.0°, more preferably 0.2° to 0.7°.
이와 같은 액정 셀(6a)의 구동 모드로서 예컨대, 인플레인 스위칭(IPS) 모드, 프린지 필드 스위칭(FFS) 모드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의 IPS 모드는 V자형 전극 또는 지그재그 전극 등을 채용한, 슈퍼·인플레인 스위칭(S-IPS) 모드나, 어드밴스드·슈퍼·인플레인 스위칭(AS-IPS) 모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의 FFS 모드는 V자형 전극 또는 지그재그 전극 등을 채용한, 어드밴스드·프린지 필드 스위칭(A-FFS) 모드나, 울트라·프린지 필드 스위칭(U-FFS) 모드를 포함한다. 액정 셀(6a)의 구동 모드로서 바람직하게는 인플레인 스위칭(IPS) 모드를 들 수 있다.As the driving mode of the
액정 셀(6a)의 구동 모드가 IPS 모드이면, 액정 표시 장치의 경사 방향에서의 시인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When the driving mode of the
F. 백 라이트 유닛F. Back light unit
광원(7)은 도광판(8)의 측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광원으로서는 예컨대, 복수의 LED가 배열하여 구성되는 LED 광원이 이용될 수 있다. 도광판(8)으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도광판이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횡방향으로부터의 광을 두께 방향으로 편향 가능해지도록, 배면 측에 렌즈 패턴이 형성된 도광판, 배면 측 및/또는 시인 측에 프리즘 형상 등이 형성된 도광판이 이용된다. 바람직하게는, 배면 측 및 시인 측에 프리즘 형상이 형성된 도광판이 이용된다. 해당 도광판에서 배면 측에 형성된 프리즘 형상과 시인 측에 형성된 프리즘 형상은 그의 능선 방향이 직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도광판을 이용하면, 프리즘 시트(도시하지 않음)에 대하여 보다 집광되기 쉬운 광을 입사시킬 수 있다.The light source 7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ide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8 . As the light source, for example, an LED light source configur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LEDs can be used. As the light guide plate 8, any suitable light guide plate can be used. For example, a light guide plate having a lens pattern formed on the back side and a light guide plate having a prism shape or the like formed on the rear side and/or the viewer side are used so that light from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be deflect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Preferably, a light guide plate in which prism shapes are formed on the rear side and the viewer side is used. In the light guide plate, the prism shape formed on the rear side and the prism shape formed on the viewer side preferably have orthogonal directions of ridge lines. If such a light guide plate is used, light that is more easily condensed can be made incident on a prism sheet (not shown).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의 평가 항목은 이하와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pecifically described by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Evaluation items in Examples are as follows.
(1) 최대 흑색 휘도(1) maximum black luminance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화상 표시 장치에 흑색 화면을 표시하고, 휘도계(아우트로닉-멜쳐스(AUTRONIC-MELCHERS)사 제조, 상품명 'Conoscope')를 이용하여 극각 60°, 방위각 일주(一周)의 휘도를 구하고, 그 최댓값을 최대 흑색 휘도(단위: cd/m2)로 하였다.A black screen was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devices obtain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nd a polar angle of 60 ° and an azimuth angle were circled using a luminance meter (manufactured by AUTONIC-MELCHERS, trade name 'Conoscope') The luminance of was obtained, and the maximum value thereof was taken as the maximum black luminance (unit: cd/m 2 ).
[제조예 1: 제1 편광판의 제작][Production Example 1: Production of the first polarizing plate]
열가소성 수지 기재로서 장척상이며, Tg 약 75℃인, 비정질의 이소프탈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 100㎛)을 이용하여 수지 기재의 편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였다.Corona treatment was performed on one side of the resin substrate using an amorphous isophthalic copolymeriz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thickness: 100 μm) having a long shape and a Tg of about 75° C. as the thermoplastic resin substrate.
폴리비닐알코올(중합도 4200, 비누화도 99.2몰%) 및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일본 합성 화학 공업사 제조, 상품명 '고세파이머')를 9:1로 혼합한 PVA계 수지 100중량부에 요오드화 칼륨 13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물에 녹여, PVA 수용액(도포액)을 조제하였다.Polyvinyl alcohol (degree of polymerization 4200, degree of saponification 99.2 mol%) and acetoacetyl-modified PVA (manufactured by Nippon Synthetic Chemical Industry Co., Ltd., trade name 'Gosephamer') mixed in a 9: 1 ratio of 100 parts by weight of a PVA-based resin 13 parts by weight of potassium iodide What was added was dissolved in water to prepare a PVA aqueous solution (coating liquid).
수지 기재의 코로나 처리면에 상기 PVA 수용액을 도포하고 60℃에서 건조하는 것에 의해, 두께 13㎛의 PVA계 수지층을 형성하여 적층체를 제작하였다.A PVA-based resin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3 μm was formed by applying the PVA aqueous solution to the corona-treated surface of the resin substrate and drying at 60° C. to prepare a laminate.
얻어진 적층체를, 130℃의 오븐 내에서 종방향(긴 방향)으로 2.4배로 1축 연신하였다(공중 보조 연신 처리).The obtained layered product was uniaxially stretched 2.4 times in the machine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in a 130°C oven (air assisted stretching treatment).
이어서, 적층체를 액체 온도 40℃의 불용화욕(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붕산을 4중량부 배합하여 얻어진 붕산 수용액)에 30초간 침지시켰다(불용화 처리).Next, the laminate was immersed in an insolubilization bath (boric acid aqueous solution obtained by blending 4 parts by weight of boric acid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at a liquid temperature of 40°C for 30 seconds (insolubilization treatment).
이어서, 액체 온도 30℃의 염색욕(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요오드와 요오드화 칼륨을 1:7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얻어진 요오드 수용액)에,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편광자의 단체 투과율(Ts)이 소망하는 값이 되도록 농도를 조정하면서 60초간 침지시켰다(염색 처리).Next, in a dyeing bath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an iodine aqueous solution obtained by blending iodine and potassium iodide at a weight ratio of 1:7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at a liquid temperature of 30 ° C., the single transmittance (Ts) of the polarizer finally obtained is the desired value. It was immersed for 60 seconds while adjusting the concentration so as to be (dyeing treatment).
이어서, 액체 온도 40℃의 가교욕(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요오드화 칼륨을 3중량부 배합하고, 붕산을 5중량부 배합하여 얻어진 붕산 수용액)에 30초간 침지시켰다(가교 처리).Next, it was immersed in a crosslinking bath (a boric acid aqueous solution obtained by blending 3 parts by weight of potassium iodide and 5 parts by weight of boric acid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at a liquid temperature of 40°C for 30 seconds (crosslinking treatment).
그 후, 적층체를 액체 온도 70℃의 붕산 수용액(붕산 농도 4중량%, 요오드화 칼륨 농도 5중량%)에 침지시키면서, 원주 속도가 상이한 롤 사이에서 종방향(긴 방향)으로 총 연신 배율이 5.5배가 되도록 1축 연신을 행하였다(수중 연신 처리).Thereafter, the laminate was immersed in an aqueous solution of boric acid at a liquid temperature of 70°C (boric acid concentration: 4% by weight, potassium iodide concentration: 5% by weight), while the total draw ratio was 5.5 in the machine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rolls having different circumferential speeds. Uniaxial stretching was performed so as to double (underwater stretching treatment).
그 후, 적층체를 액체 온도 20℃의 세정욕(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요오드화 칼륨을 4중량부 배합하여 얻어진 수용액)에 침지시켰다(세정 처리).Thereafter, the laminate was immersed in a washing bath (aqueous solution obtained by blending 4 parts by weight of potassium iodide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at a liquid temperature of 20°C (washing treatment).
그 후, 약 90℃로 유지된 오븐 중에서 건조하면서, 표면 온도가 약 75℃로 유지된 SUS제 가열 롤에 접촉시켰다(건조 수축 처리).Thereafter, while drying in an oven maintained at about 90°C, it wa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heating roll made of SUS whose surface temperature was maintained at about 75°C (dry shrinkage treatment).
이와 같이 하여 수지 기재 위에 두께 약 5㎛의 편광자를 형성하여, 수지 기재/편광자의 구성을 갖는 적층체를 얻었다.In this way, a polarizer having a thickness of about 5 μm was formed on the resin substrate, and a laminate having a configuration of resin substrate/polarizer was obtained.
얻어진 적층체의 편광자 표면(수지 기재와는 반대 측의 면)에 보호층으로서 HC-TAC 필름을 첩합하였다. 이어서, 수지 기재를 박리하고, 보호층/편광자의 구성을 갖는 제1 편광판을 얻었다.An HC-TAC film was bonded as a protective layer to the polarizer surface (the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resin substrate) of the obtained laminate. Then, the resin substrate was peeled off to obtain a first polarizing plate having a configuration of a protective layer/polarizer.
[제조예 2: 제2 편광판의 제작][Production Example 2: Production of Second Polarizing Plate]
제조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수지 기재/편광자의 구성을 갖는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의 편광자 표면(수지 기재와는 반대 측의 면)에 보호층으로서 TAC 필름(두께 20㎛)을 첩합하였다. 이어서, 수지 기재를 박리하고, 당해 박리면에 점착제층(두께 12㎛)을 개재하여 반사형 편광자(두께 26㎛)를 첩합하여, 반사형 편광자/편광자/보호층의 구성을 갖는 제2 편광판을 얻었다.It carried out similarly to manufacture example 1, and obtained the laminated body which has a structure of resin base material/polarizer. A TAC film (thickness of 20 μm) was bonded as a protective layer to the polarizer surface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resin substrate) of the obtained laminate. Next, the resin substrate is peeled off, and a reflective polarizer (thickness: 26 μm) is bonded to the peeled surface with an adhesive layer (thickness: 12 μm) interposed therebetween to obtain a second polarizing plate having a configuration of a reflective polarizer/polarizer/protective layer. Got it.
[제조예 3: 위상차층의 제작][Production Example 3: Production of Phase Contrast Layer]
표 3에 나타내는 두께(원반 두께)를 갖는 시클로올레핀(노보넨)계 수지 필름(제이에스알(JSR)사 제조 상품명 Arton3)을 준비하였다. 이어서, 시클로올레핀(노보넨)계 수지 필름의 양측에, 고수축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첩합하였다. 그 후, 롤 연신기로 필름의 긴 방향을 유지하고, 표 3에 나타내는 온도 및 배율로 연신하여 nx>nz>ny의 굴절률 특성을 나타내는 위상차층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위상차층의 정면 위상차(R0) 및 Nz 계수와 원반 두께, 온도 및 배율과의 상관을 표 3에 나타낸다.A cycloolefin (norbornene)-based resin film (trade name Arton3 manufactured by JSR) having a thickness (original thickness) shown in Table 3 was prepared. Next, a highly shrinkable polypropylene film was bonded to both sides of the cycloolefin (norbornene)-based resin film via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e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m was maintained with a roll stretching machine, and the film was stretched at the temperature and magnification shown in Table 3 to produce a retardation layer exhibiting refractive index characteristics of nx>nz>ny. Table 3 show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ront retardation (R 0 ) and Nz coefficient of the obtained retardation layer and the disk thickness, temperature, and magnification.
[제조예 4: 화상 표시 셀(액정 셀)의 준비][Production Example 4: Preparation of Image Display Cell (Liquid Crystal Cell)]
IPS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애플(Apple)사 제조, 상품명 'iPad(등록상표)')로부터 액정 셀을 취출하였다. 당해 액정 셀의 양면에 첩부되어 있던 광학 부재를 제거하고 제거면(기판의 외측 표면)을 세정하였다. 이것을 화상 표시 셀(액정 셀)로서 이용하였다. 액정 셀의 제1 기판은 Rth(450)=32nm, Rth(550)=19nm, Rth(650)=23nm이며; 제2 기판은 Rth(450)=9nm, Rth(550)=0.3nm, Rth(650)=-6nm이었다.A liquid crystal cell was taken out from an IPS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anufactured by Apple, trade name "iPad (registered trademark)"). The optical member attached to both surfaces of the said liquid crystal cell was removed, and the removal surface (outer surface of a board|substrate) was washed. This was used as an image display cell (liquid crystal cell). The first substrate of the liquid crystal cell is Rth(450)=32nm, Rth(550)=19nm, Rth(650)=23nm; The second substrate was Rth(450) = 9 nm, Rth(550) = 0.3 nm, and Rth(650) = -6 nm.
[실시예 1~6 및 비교예 1~54: O 모드][Examples 1 to 6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54: O mode]
제조예 4의 액정 셀의 시인 측에 제조예 3의 위상차층 및 제조예 1의 제1 편광판을 이 순서대로 적층하였다.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에서의 위상차층의 정면 위상차(R0)와 Nz 계수를 표 4에 나타낸다.The retardation layer of Production Example 3 and the first polarizing plate of Production Example 1 were laminated in this order on the viewing side of the liquid crystal cell of Production Example 4. Table 4 shows the front retardation (R 0 ) and Nz coefficient of the retardation layer in each Example and each Comparative Example.
한편, 액정 셀의 배면 측에 제조예 2의 제2 편광판을 적층하였다. 적층은 제1 편광판의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과 제2 편광판의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이 실질적으로 직교하고, 제1 편광판의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과 위상차층의 지상축 방향이 실질적으로 평행이며, 제2 편광판의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과 액정 셀의 초기 배향 방향이 실질적으로 평행이 되도록 하여 행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화상 표시 장치(O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상기 식 (1)의 값을 표 4에 나타낸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를 최대 흑색 휘도의 평가에 제공하고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polarizing plate of Preparation Example 2 was laminated on the rear side of the liquid crystal cell. In the stacking, the absorpt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er of the first polarizing plate and the absorpt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er of the second polarizing plate are substantially orthogonal, the absorpt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er of the first polarizing plate and the slow axis direction of the retardation layer are substantially parallel, It carried out so that the absorpt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er of 2 polarizing plates and the initial stage orientation direction of a liquid crystal cell might become substantially parallel. In this way, an image display device (O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as produced. The value of said formula (1) in the obtain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shown in Table 4. In additi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as subjected to evaluation of the maximum black luminance and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 0.0072cd/m2 미만○: less than 0.0072 cd/m 2
×: 0.0072cd/m2 이상.×: 0.0072 cd/m 2 or more.
[실시예 7~23 및 비교예 55~109: O 모드][Examples 7 to 23 and Comparative Examples 55 to 109: O mode]
제1 편광판의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과 위상차층의 지상축 방향이 실질적으로 직교하도록 적층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6 및 비교예 1~54와 마찬가지로 하여 화상 표시 장치(O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상기 식 (1)의 값을 표 5에 나타낸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를 최대 흑색 휘도의 평가에 제공하고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An image display device (O-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was produced. The value of said formula (1) in the obtain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shown in Table 5. In additi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as subjected to evaluation of the maximum black luminance and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5.
○: 0.0127cd/m2 미만○: less than 0.0127 cd/m 2
×: 0.0127cd/m2 이상.×: 0.0127 cd/m 2 or more.
[실시예 24~35 및 비교예 110~169: E 모드][Examples 24 to 35 and Comparative Examples 110 to 169: E mode]
제조예 4의 액정 셀의 시인 측에 제조예 1의 제1 편광판을 적층하였다.The first polarizing plate of Production Example 1 was laminated on the viewing side of the liquid crystal cell of Production Example 4.
한편, 액정 셀의 배면 측에 제조예 3의 위상차층 및 제조예 2의 제2 편광판을 이 순서대로 적층하였다. 적층은 제1 편광판의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과 제2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이 실질적으로 직교하고, 제1 편광판의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과 위상차층의 지상축 방향이 실질적으로 평행이며, 제2 편광판의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과 액정 셀의 초기 배향 방향이 실질적으로 직교하도록 하여 행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화상 표시 장치(E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상기 식 (1)의 값을 표 6에 나타낸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를 최대 흑색 휘도의 평가에 제공하고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On the other hand, the retardation layer of Preparation Example 3 and the second polarizing plate of Preparation Example 2 were stacked in this order on the rear side of the liquid crystal cell. In the stacking, the direction of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of the first polarizing plate and the direction of the absorption axis of the second polarizer are substantially orthogonal, the direction of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of the first polarizing plate and the direction of the slow axis of the retardation layer are substantially parallel, and the second polarizing plate The direction of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and the initial orientation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 cell were substantially orthogonal to each other. In this way, an image display device (E-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as produced. Table 6 shows the values of the above formula (1) in the obtain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 additi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as subjected to evaluation of the maximum black luminance and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6.
○: 0.0138cd/m2 미만○: less than 0.0138 cd/m 2
×: 0.0138cd/m2 이상.×: 0.0138 cd/m 2 or more.
[실시예 36~38 및 비교예 170~214: E 모드][Examples 36 to 38 and Comparative Examples 170 to 214: E mode]
제2 편광판의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과 액정 셀의 초기 배향 방향이 실질적으로 직교하도록 적층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23 및 비교예 55~109와 마찬가지로 하여 화상 표시 장치(E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상기 식 (1)의 값을 표 7에 나타낸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를 최대 흑색 휘도의 평가에 제공하고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낸다.An image display device (E-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was produced. Table 7 shows the values of the above formula (1) in the obtain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 additi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as subjected to evaluation of the maximum black luminance and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7.
○: 0.0064cd/m2 미만○: less than 0.0064 cd/m 2
×: 0.0064cd/m2 이상.×: 0.0064 cd/m 2 or more.
[평가][evaluation]
표 4~표 7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상기 식 (1)을 소정값 미만으로 하는 것에 의해, 경사 방향의 흑색 휘도가 충분히 작은 화상 표시 장치(액정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As is clear from Tables 4 to 7, an image display devic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 sufficiently small black luminance in an oblique direction can be realized by making the above equation (1)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본 발명의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는, 휴대 정보 단말(PDA), 휴대 전화, 시계, 디지털 카메라, 휴대용 게임기 등의 휴대 기기, PC 모니터, 노트북 컴퓨터, 복사기 등의 OA 기기, 비디오 카메라, 액정 텔레비전, 전자 레인지 등의 가정용 전기 기기, 백 모니터,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용 모니터, 카 오디오 등의 차량용 기기, 상업 점포용 인포메이션용 모니터 등의 전시 기기, 감시용 모니터 등의 경비 기기, 간호용 모니터, 의료용 모니터 등의 간호·의료 기기 등의 각종 용도에 이용할 수 있다.The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with a retardation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uitable for use in portable devices such 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mobile phones, watches, digital cameras, and portable game machines, OA devices such as PC monitors, notebook computers, copiers, video cameras, Household appliances such as LCD TVs and microwave ovens, vehicle equipment such as back monitors, car navigation system monitors, car audios, display equipment such as information monitors for commercial stores, security equipment such as monitoring monitors, nursing monitors, It can be used for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nursing/medical devices such as medical monitors.
1: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2: 편광판
21: 편광자
3: 위상차층
6: 화상 표시 셀
10: 화상 표시 장치1: Polarizing plate with retardation layer
2: polarizer
21: polarizer
3: phase difference layer
6: image display cell
10: image display device
Claims (9)
상기 편광판에 인접하여 배치된, 굴절률 특성이 nx>nz>ny의 관계를 나타내는 위상차층을 구비하고,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과 상기 위상차층의 지상축은 실질적으로 평행이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직교하고 있으며,
하기 식 (1)의 관계를 만족하는,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식 (1) 중 a~j는, 하기 표 1 및 하기 표 2 중 어느 것에서, 상기 흡수축과 상기 지상축과의 관계로부터 선택되는 상수를 나타낸다. R0은 파장 550nm에서의 상기 위상차층의 정면 위상차를 나타낸다. NZ는 상기 위상차층의 Nz 계수를 나타냄)
[표 1]
[표 2]
.A polarizing plate including a polarizer;
A retardation layer having a refractive index characteristic exhibiting a relationship of nx>nz>ny, disposed adjacent to the polarizing plate,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and the slow axis of the retardation layer are substantially parallel or substantially orthogonal,
A polarizing plate with a retardation layer that satisfies the relationship of the following formula (1):
(In Formula (1), a to j represent constants select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sorption axis and the slow axis in either Table 1 or Table 2 below. R 0 is the retardation layer at a wavelength of 550 nm. represents the front phase difference. NZ represents the Nz coefficient of the phase difference layer)
[Table 1]
[Table 2]
.
상기 a~j는, 상기 표 1에서 상기 흡수축과 상기 지상축과의 관계로부터 선택되는 상수를 나타내고,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과 상기 위상차층의 지상축은 실질적으로 평행이며,
상기 위상차층의 R0은 210nm 이상 270nm 이하이고,
상기 위상차층의 Nz 계수는 0.38 이상 0.53 이하인,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to j represent constants select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sorption axis and the slow axis in Table 1;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and the slow axis of the retardation layer are substantially parallel,
R 0 of the retardation layer is 210 nm or more and 270 nm or less,
The Nz coefficient of the said retardation layer is 0.38 or more and 0.53 or less, The polarizing plate with a retardation layer.
상기 a~j는, 상기 표 1에서 상기 흡수축과 상기 지상축과의 관계로부터 선택되는 상수를 나타내고,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과 상기 위상차층의 지상축은 실질적으로 직교하고 있으며,
상기 위상차층의 R0은 270nm 이상 360nm 이하이고,
상기 위상차층의 Nz 계수는 0.42 이상 0.68 이하인,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to j represent constants select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sorption axis and the slow axis in Table 1;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and the slow axis of the retardation layer are substantially orthogonal,
R 0 of the retardation layer is 270 nm or more and 360 nm or less,
The Nz coefficient of the said retardation layer is 0.42 or more and 0.68 or less, The polarizing plate with a retardation layer.
상기 a~j는, 상기 표 2에서 상기 흡수축과 상기 지상축과의 관계로부터 선택되는 상수를 나타내고,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과 상기 위상차층의 지상축은 실질적으로 직교하고 있으며,
상기 위상차층의 R0은 210nm 이상 270nm 이하이고,
상기 위상차층의 Nz 계수는 0.42 이상 0.53 이하인,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to j represent constants select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sorption axis and the slow axis in Table 2;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and the slow axis of the retardation layer are substantially orthogonal,
R 0 of the retardation layer is 210 nm or more and 270 nm or less,
The Nz coefficient of the retardation layer is 0.42 or more and 0.53 or less, a polarizing plate with a retardation layer.
상기 a~j는 상기 표 2에서 상기 흡수축과 상기 지상축과의 관계로부터 선택되는 상수를 나타내고,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과 상기 위상차층의 지상축은 실질적으로 평행이며,
상기 위상차층의 R0은 270nm 이상 360nm 이하이고,
상기 위상차층의 Nz 계수는 0.47 이상 0.63 이하인,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to j represent constants select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sorption axis and the slow axis in Table 2;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and the slow axis of the retardation layer are substantially parallel,
R 0 of the retardation layer is 270 nm or more and 360 nm or less,
The Nz coefficient of the retardation layer is 0.47 or more and 0.63 or less, a polarizing plate with a retardation layer.
상기 화상 표시 셀에 대하여 시인 측에 배치되는,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을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an image display cell;
The polarizing plate with a retardation lay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which is disposed on the viewing side with respect to the image display cell.
An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상기 화상 표시 셀에 대하여 시인 측의 반대 측에 배치되는, 제5항에 기재된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을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an image display cell;
The polarizing plate with a retardation layer according to claim 5, dispos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viewing side with respect to the image display cell.
An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상기 화상 표시 셀은 액정 셀이며,
상기 액정 셀의 구동 모드는 IPS 모드인, 화상 표시 장치.According to claim 6,
The image display cell is a liquid crystal cell,
The driving mode of the liquid crystal cell is an IPS mode, an image display device.
상기 화상 표시 셀은 액정 셀이며,
상기 액정 셀의 구동 모드는 IPS 모드인, 화상 표시 장치.According to claim 7,
The image display cell is a liquid crystal cell,
The driving mode of the liquid crystal cell is an IPS mode, an imag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21-142668 | 2021-09-01 | ||
JP2021142668A JP2023035652A (en) | 2021-09-01 | 2021-09-01 | Polarizing plate with retardation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33585A true KR20230033585A (en) | 2023-03-08 |
Family
ID=85292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99949A Pending KR20230033585A (en) | 2021-09-01 | 2022-08-10 | Polarizing plate with retardation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2023035652A (en) |
KR (1) | KR20230033585A (en) |
CN (1) | CN115728854A (en) |
TW (1) | TW202319227A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57911A (en) | 1990-10-24 | 1993-06-25 | Nitto Denko Corp | Birefringent film and its manufacture, phase difference plate, elliptic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687854B2 (en) * | 2002-10-15 | 2005-08-24 | 日東電工株式会社 | Optical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JP3841306B2 (en) * | 2004-08-05 | 2006-11-01 | 日東電工株式会社 | Method for producing retardation film |
JP4697871B2 (en) * | 2005-10-20 | 2011-06-08 | 日東電工株式会社 | Laminated film |
KR101732223B1 (en) * | 2014-05-30 | 2017-05-0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Preparing method for the optical film, optical member and optical film by the same method,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
JP6877945B2 (en) * | 2015-11-30 | 2021-05-26 | 日東電工株式会社 | Polarizing plate with retardation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
-
2021
- 2021-09-01 JP JP2021142668A patent/JP2023035652A/en active Pending
-
2022
- 2022-08-10 KR KR1020220099949A patent/KR20230033585A/en active Pending
- 2022-08-19 TW TW111131301A patent/TW202319227A/en unknown
- 2022-08-25 CN CN202211025179.7A patent/CN115728854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57911A (en) | 1990-10-24 | 1993-06-25 | Nitto Denko Corp | Birefringent film and its manufacture, phase difference plate, elliptic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5728854A (en) | 2023-03-03 |
TW202319227A (en) | 2023-05-16 |
JP2023035652A (en) | 2023-03-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84568B1 (en) |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 |
JP5273775B2 (en) | Laminated optical film,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laminated optical film | |
JP5127046B2 (en) | Laminated optical film,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laminated optical film | |
JP5084029B2 (en) | Laminated optical film,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laminated optical film | |
CN114502997B (en) | Polarizing plate set and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JP2008197351A (en) |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KR102574840B1 (en) | liquid crystal display | |
JP7684181B2 (en) | Polarizing plate with phase difference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 |
JP2009251326A (en) |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 |
JP2009053257A (en) |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JP4761399B2 (en) | Laminated optical film,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laminated optical film | |
WO2017183498A1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KR20230033585A (en) | Polarizing plate with retardation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 |
JP2012145731A (en) |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JP2008191376A (en) |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 |
JP4761395B2 (en) | Laminated optical film,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laminated optical film | |
JP7684180B2 (en) | Polarizing plate with phase difference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 |
JP4761398B2 (en) | Laminated optical film,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laminated optical film | |
JP2023054646A (en) | Polarizing plate with phase difference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 |
JP2023054647A (en) | Polarizing plate with phase difference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 |
JP2012145735A (en) |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JP4761392B2 (en) | Laminated optical film,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laminated optical film | |
JP2008185796A (en) |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1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