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031249A - 온라인 서비스 서버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서비스 서버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1249A
KR20230031249A KR1020230015815A KR20230015815A KR20230031249A KR 20230031249 A KR20230031249 A KR 20230031249A KR 1020230015815 A KR1020230015815 A KR 1020230015815A KR 20230015815 A KR20230015815 A KR 20230015815A KR 20230031249 A KR20230031249 A KR 20230031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lient
language
user
online ser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5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경
Original Assignee
정성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경 filed Critical 정성경
Priority to KR1020230015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1249A/ko
Publication of KR20230031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1249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06F40/58Use of machine translation, e.g. for multi-lingual retrieval, for server-side translation for client devices or for real-time trans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서비스 서버 및 제어 방법으로, 온라인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온라인 서비스 사용자의 언어 또는 국적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 제어 방법에 반영하여 각 사용자에게 보다 적합한 데이터를 도출해내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전달된 이 데이터들을 처리하여 사용자의 UI에 선별적 또는 우선적으로 표출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국적이나 언어를 변수로 하여 사용자에 보다 적합한 서비스나 하위 데이터를 선별 제공 또는 우선 노출함으로써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용자에게 편의성과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보다 많은 사용자들의 서비스 사용을 유도하여 서비스의 활성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온라인 서비스 서버 및 제어 방법 {ONLINE SERVICE SERVE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온라인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선택 언어나 국가 데이터 기반 서버 제어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친화적인 서비스 환경을 구축하고, 그에 따른 사용자의 서비스 만족도를 향상할 수 있는 온라인 서비스 제공 방법이다.
대한민국의 국내 체류 외국인 인구 규모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이미 국내에 체류 중인 외국인 인구는 그 규모가 상당하다. 2022년을 기준으로 국내 체류 외국인이 200만명이 넘는 것으로 법무부는 발표하였고, 이 중 3개월 이상 국내에 체류하는 외국인은 약 130만명인 것으로 통계청 조사 결과 드러났으며, 정부와 관련 기관은 국내 체류 외국인은 점차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다양한 국적을 지니며 이에 따라 다양한 언어를 구사하는 사람들이 한국에 상당한 규모로 체류하고 있으며, 국적과 모국어에 따라 차별되는 문화적 정체성은 국내에서 온라인 서비스를 누리는 사용자로서 선호하는 서비스나 하위 데이터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즉, 국적이나 모국어에 따라서 제공되는 온라인 서비스와 이를 구성하는 상품, 정보, 하위 서비스 등의 데이터는 차등적으로 제공될 필요성이 있다.
하지만, 온라인을 기반으로 한 기존의 서비스에서는 여러 국가나 다국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려는 시도가 현재로서는 제한적이다. 이미 다양한 언어로 번역된 사이트를 제공하는 사례는 있으나, 그 수준이 번역을 넘지 않는 실정이다. 즉, 사용자에 다국어 번역은 지원하지만, 사용자의 국적이나 구사 언어를 기반으로 서비스나 서비스를 구성하는 하위 데이터들이 선별적 또는 차등적으로 제공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이는 다양한 국적과 언어로 대변되는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이용자들의 불편을 일으키며, 서비스 사용 활성도 부진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온라인 기반 서비스 사용자의 언어나 국적은 사용자의 서비스 선호도, 친숙도, 이용 편리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나, 현재로서는 언어나 국적을 고려한 서비스와 하위 데이터의 맞춤 제공은 번역 정도로 사회적 요구에 비하여 제한적인 실정이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외국인 이용자의 불편을 야기할 수 있으며, 이는 서비스 사용 활성도의 부진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온라인 서비스 제공 방식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온라인 서비스 사용자의 언어나 국적을 기반으로 사용자에 보다 적합한 서비스나 서비스를 구성하는 하위 데이터들을 선별적으로 제공 또는 우선적으로 노출하여, 유저 측면에서 다문화 사용자의 서비스 친숙도와 사용 편의성, 효율성을 높이고, 서비스 제공자의 측면에서 서비스의 활성도를 높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 서비스 제공 방식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언어 또는 국적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 제어 방법에 반영하여 각 사용자에게 보다 적합한 데이터를 도출해내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전달된 이 데이터들을 처리하여 사용자의 UI에 선별적 또는 우선적으로 표출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서버 제어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언어나 국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부합하는 서버상의 모든 데이터 중 입력된 자료에 따라 데이터를 선별하는 작업, 사용자의 UI에 표출되는 데이터의 순서를 도출하는 작업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처리한다. 즉, 서버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국가 또는 언어정보를 이용해 표시할 선별 데이터, 표시할 데이터 순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도출한다.
상기 서버 제어 방법은 제공하는 온라인 서비스에서 취급하는 데이터에 대한 언어나 국적별 유저들의 선호도, 친밀도를 반영하여 구성하되,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 동향을 반영하여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는 온라인 기반으로 서비스의 제공자가 UI를 통해 유저에게 표시하는 모든 데이터의 총칭이다.
상기 서버 제어 방법은 사용자가 입력한 언어나 국가 정보를 이용해 사용자에 보다 적합한를 표시하므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는 온라인 서비스 제공자가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에 따라, 언어나 국가 정보에 따라 데이터가 선별될 수 있도록 표시되어있어야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사용자의 언어나 국가 데이터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기기의 시스템 설정 언어 또는 온라인 서비스 UI를 통한 사용자 직접 입력의 방법 또는 사용자가 이전에 입력하여 요청한 바에 따라 서버에 저장되었던 데이터 호출하는 방법으로 수집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사용자의 언어와 국가 데이터를 자료로 이용하는 상기 서비스 서버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국가나 언어 정보 수집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서버 제어 방법에 적용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할 선별적 데이터와 표시할 데이터의 순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도출하는 단계, 도출된 데이터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UI에 표시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국적이나 언어를 변수로 하여 사용자에 보다 적합한 서비스나 하위 데이터를 선별 제공 또는 우선 노출함으로써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용자에게 편의성과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보다 많은 사용자들의 서비스 사용을 유도하여 서비스의 활성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온라인 서비스 서버에 의해 구성된 온라인 서비스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온라인 서비스 서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데이터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온라인 서비스 서버 120: 인터넷 망
130: 클라이언트
210: 수신부 220: 데이터 제어부
230: 송신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면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온라인 기반 서비스 서버에 의해 구성된 서비스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온라인 기반 서비스 서버에 의해 구성된 서비스 네트워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온라인 서비스 서버는, 서비서 서버(110), 인터넷 망(120), 및 클라이언트(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온라인 서버(online server: 110)는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상기와 같은 온라인 서비스 서버는 서비스 데이터를 인터넷 망(120)을 경유하여 유저의 기기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온라인 서비스 서버(110)는 온라인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한 클라이언트(130)를 사용자 단말기 측으로 제공하고, 상기 클라이언트(130)를 통하여 온라인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기 측에서는 클라이언트(130)을 온라인 서비스 서버(110)으로부터 제공 받고, 상기 제공받은 클라이언트(130)을 구동하여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일례에 따른 온라인 서비스의 서버(110)는 클라이언트 측에서 표출되는 전체 데이터 중 선별된 데이터 또는 데이터의 정렬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온라인 서비스 서버(110)는 클라이언트(130) 상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선별 또는 데이터의 정렬 순서를 입력된 사용자 언어나 국가 정보에 적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다 관심을 가질 가능성이 높은 데이터를 우선순위에 따라 제공하여 사용자 친화적인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서비스 데이터가 표시되는 클라이언트(130) 측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국가나 언어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상이한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의도로 입력된 사용자의 언어나 국가에 대한 데이터가 없을 경우에 요청에 따른 서비스 데이터를 모두 클라이언트(130)에 전송한다. 하지만, 입력된 사용자의 언어나 국적 데이터가 있을 경우, 기본적으로 클라이언트(130)요청과 클라이언트(13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모두에 적합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130)에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서비스 데이터가 표시되는 클라이언트(130) 측에서는, 서버가 제공하는 데이터의 언어/국가별 분류 여부에 따라 요청에 대한 상이한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130)로부터 입력된 국가나 언어에 분류된 데이터가 존재한다면, 기본적으로 해당 데이터를 클라이언트(130)에 송신한다. 하지만 클라이언트(130)로부터 입력된 국가나 언어에 분류된 데이터가 서버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기본적으로 요청에 따른 모든 서비스 데이터를 클라이언트(130)에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서비스 데이터가 표시되는 클라이언트(130) 측에서는, 또는 분류된 데이터의 양에 따라 요청에 대한 상이한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130)로부터 입력된 국가나 언어에 분류된 서비스 데이터가 서비스 기준에 따라 충분하지 않을 경우, 요청에 따른 서비스 데이터를 모두 표시하며, 충분할 경우에는 클라이언트(130)로부터 입력된 국가나 언어에 분류된 서비스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예시로 설정된 상황들은 독립적으로 발생하거나 동시에 발생하여 클라이언트(130)에게 제공되는 데이터에 영향을 미치며,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위의 예시 이외에 다른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상황에 따라서 클라이언트(130)에게 전송되는 데이터가 제어되는 구체적인 과정은 도3에서 기술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온라인 서비스 서버(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온라인 서비스 서버(200)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서비스 서버(200)은, 수신부(210), 데이터 제어부(220), 데이터 송신부(230), 및 데이터베이스(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신부(210)는 클라이언트 측으로부터 사용자의 언어나 국가 정보와 함께 서비스 데이터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한다.
데이터 제어부(220)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언어나 국가 정보에 따라 서비스 데이터 중, 클라이언트에게 표시할 데이터를 제어한다. 즉, 클라이언트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받고,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된 언어나 국가 정보에 따라 궁극적으로 클라이언트에게 표시될 데이터 선별 또는 데이터의 순서를 제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데이터 제어부(220)는 클라이언트가 입력한 언어나 국가에 따라 제한되어 표시되는 데이터가 아닌 요청에 따른 모든 서비스 데이터를 요청하는 경우, 클라이언트에게 표시될 데이터를 요청에 따라 제어한다.
송신부(230)는 데이터 제어부(220)에서 도출된 데이터 관련 정보를 클라이언트 측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데이터 베이스(240)는 서비스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공간이며,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특정 사용자의 언어나 국가 정보를 사용자 정보와 함께 저장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데이터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데이터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가 요청 신호를 보내면(S310), 요청과 함께 사용자 입력 국가나 언어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20). 온라인 서비스 데이터베이스에서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한 바에 따라 필요 데이터를 불러오되 서비스 기준에 따라 추출된 데이터가 충분한지 판단한다(S330). 만일 사용자 입력 국가나 언어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요청 데이터의 제어가 없는 기본적인 요청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 표시한다(S325).
이때, 데이터 확인 방법은 클라이언트의 시스템 설정 언어/국가 데이터, 서비스 상에서 클라이언트의 언어/국가 설정, 클라이언트의 이전 요청에 의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언어/국가 데이터 이용 중 적어도 한 가지 방법을 기본으로 하며, 기술한 방법은 일례이므로 이 외의 다른 방법도 가능하다.
온라인 서비스 데이터베이스에서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한 바와 입력된 사용자 국가/언어에 따라 데이터를 불러오되 서비스 추출된 데이터가 충분한지 판단하여(S330) 기준을 충족할 경우, 제어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 표출한다. 만일 서비스 기준에 따라 사용자 입력 언어/국가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충분하지 않을 경우, 요청 데이터의 제어가 없는 기본적인 요청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 표시한다(S325).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 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온라인 서비스 서버 제어 방법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측으로부터, 사용자의 언어나 국가 데이터를 입력 및 수신 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정보와 요청에 따라서, 데이터 제어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에 결정된 판단에 따라, 클라이언트측의 요청에 관한 데이터가 제어 또는 비제어 된 상태로 표출되는 단계; 및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제어된 데이터를 원래대로 혹은 원래의 데이터를 제어된 상태로 교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클라이언트에게 표출되는 데이터베이스와 모든 서버의 데이터를 통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서비스 제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언어나 국가에 대한 정보를 입력/수신 받는 방법으로는,
    클라이언트측에서 직접 UI를 통해 입력을 받거나, 클라이언트의 요청에의해 일전에 저장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불러오는 방법, 클라이언트측 기기에 설정된 국가나 언어 정보를 불러오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서비스 서버의 제어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제어된 데이터와 제어 이전 데이터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언제든 상태의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서비스 서버의 제어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제어가 실행 가능한 조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데이터 제어 실행이 가능한 조건에 있지 않은 경우, 제어되지 않은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측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서비스 서버 제어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클라이언트측으로부터 언어나 국가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는 수신부; 및
    상기 클라이언트측에서 입력한 언어나 국가 정보와 데이터를 이용해 클라이언트에게 표시될 데이터를 선별 또는 정렬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 제어부를 포함하는 온라인 서비스 서버.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언어나 국가에 대한 정보를 입력/수신 받는 방법으로는,
    클라이언트측에서 직접 UI를 통해 입력을 받거나, 클라이언트의 요청에의해 일전에 저장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불러오는 방법, 클라이언트측 기기에 설정된 국가나 언어 정보를 불러오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서비스 서버의 제어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제어된 데이터와 제어 이전 데이터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언제든 상태의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서비스 서버의 제어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제어가 실행 가능한 조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데이터 제어 실행이 가능한 조건에 있지 않은 경우, 제어되지 않은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측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서비스 서버 제어 방법.
KR1020230015815A 2023-02-06 2023-02-06 온라인 서비스 서버 및 제어 방법 Pending KR202300312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5815A KR20230031249A (ko) 2023-02-06 2023-02-06 온라인 서비스 서버 및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5815A KR20230031249A (ko) 2023-02-06 2023-02-06 온라인 서비스 서버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1249A true KR20230031249A (ko) 2023-03-07

Family

ID=85513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5815A Pending KR20230031249A (ko) 2023-02-06 2023-02-06 온라인 서비스 서버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124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94739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increase personalization and enhance chat experiences on the internet
US20100008265A1 (en) Augmented reality method and system using logo recognition,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browsing and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technology
US8185444B1 (en) Interactive online reading system
CN101681458A (zh) 用于阅读器设备的内容购买和传送管理
CN101389927A (zh) 用于检测特定计算机命令的处理装置、方法及计算机程序
US8423540B2 (en) Related information presentation system, related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KR20170118983A (ko) 로보 어드바이저를 통한 상담 시스템 및 방법
AU2002350998B2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 selected peripheral of a network
AU2002350998A1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 selected peripheral of a network
KR20230031249A (ko) 온라인 서비스 서버 및 제어 방법
JP202101539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60155613A1 (en) Information handling and processing
KR100504088B1 (ko) 네트워크를 통한 계좌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847683B2 (en) Hosting systems configured to generate optimized content based on dynamic toke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EP1533710A1 (en) Multilingual adaptive system
KR100418625B1 (ko) 네트워크를 통한 계좌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62760B1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이력 기반 서비스 방법 및 그시스템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JP2020135842A (ja) 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2041762A (ja) アンケート調査支援方法
JP2001195505A (ja) オンライン世論調査方法
US20150310292A1 (en) Method for displaying and updating of documents displayed on a user interface
KR101635161B1 (ko) 요약 위주의 동적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JP4009863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サーバー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403704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2001282653A (ja) インターネット接続システム、インターネット利用者情報提供システム、インターネット利用者の嗜好情報提供方法、及びインターネットを利用した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配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