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028089A -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including vibrator - Google Patents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including vib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8089A
KR20230028089A KR1020210144965A KR20210144965A KR20230028089A KR 20230028089 A KR20230028089 A KR 20230028089A KR 1020210144965 A KR1020210144965 A KR 1020210144965A KR 20210144965 A KR20210144965 A KR 20210144965A KR 20230028089 A KR20230028089 A KR 20230028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inductor
boosting
aerosol generating
generating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49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35552B1 (en
Inventor
이원경
이종섭
조병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US17/928,259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40292902A1/en
Priority to JP2022575486A priority patent/JP7539496B2/en
Priority to CN202280004079.8A priority patent/CN115996650A/en
Priority to PCT/KR2022/010774 priority patent/WO2023022378A1/en
Priority to EP22802861.9A priority patent/EP4164429A4/en
Publication of KR20230028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80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552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2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a vibrating flui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전압을 공급하는 배터리, 배터리 전압보다 높은 제1 부스팅 전압으로 승압하는 제1 부스트 회로, 제1 및 제2 PWM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스위칭 전압을 각각 생성하고, 생성된 제1 및 제2 스위칭 전압에 따라 제1 부스팅 전압을 제2 부스팅 전압으로 승압하는 제2 부스트 회로, 제2 부스팅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고,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하는 진동자 및 배터리, 제1 부스트 회로 및 제2 부스트 회로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a battery for supplying a battery voltage, a first boost circuit for boosting the voltage to a first boosting voltage higher than the battery voltage, and generating first and second switching voltages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PWM signals, respectively; , A second boosting circuit that boosts the first boosting voltage to a second boosting voltage according to the generated first and second switching voltages, and a vibrator that generates ultrasonic vibrations and atomizes aerosol-generating substances as the second boosting voltage is applied. And a battery, a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first boost circuit and the second boost circuit may be provided with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AEROSOL GENERATING APPARATUS INCLUDING VIBRATOR}Aerosol generating devic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INCLUDING VIBRATOR}

본 개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궐련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방식을 대체하여 비연소 방식으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비연소 방식으로 에어로졸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that generates aerosol in a non-combustion method, replacing the method of generating an aerosol by burning a cigarette. For example, an aerosol-generating device may generate an aerosol from an aerosol-generating material in a non-combustion manner and supply it to a user.

초음파 진동을 이용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진동자에 교류 전압을 인가하여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고, 초음파 진동을 통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미세 입자화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미세 입자화되어 방출됨에 따라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진동자가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구동되기 위해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배터리 전압의 전압 값, 예를 들면 3.4 V 내지 4.2V보다 훨씬 높은 전압 값, 예를 들면 55V 내지 70V을 갖는 교류 전압이 진동자에 인가되어야 한다. 따라서, 전체적인 회로의 사이즈 및 전력 소모를 과도하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높은 전압 값을 갖는 교류 전압을 진동자에 인가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using ultrasonic vibration may generate ultrasonic vibration by applying an alternating current voltage to a vibrator, and convert the aerosol generating material into fine particles through the ultrasonic vibration. An aerosol may be generated as the aerosol-generating material is micronized and released.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tably and efficiently drive the vibrator, an AC voltage having a voltage value much higher than the voltage value of the battery voltag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for example, 3.4 V to 4.2 V, for example, 55 V to 70 V, should be applied to the vibrator. do.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for applying an AC voltage having a high voltage value to the vibrator without excessively increasing the overall circuit size and power consumption.

다양한 실시예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Various embodiments seek to provide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be inferred from the following embodiments.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배터리 전압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 전압보다 높은 제1 부스팅 전압으로 승압하는 제1 부스트 회로; 제1 및 제2 PWM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스위칭 전압을 각각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및 제2 스위칭 전압에 따라 상기 제1 부스팅 전압을 제2 부스팅 전압으로 승압하는 제2 부스트 회로; 상기 제2 부스팅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고,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하는 진동자; 및 상기 배터리, 상기 제1 부스트 회로 및 상기 제2 부스트 회로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battery supplying a battery voltage; a first boost circuit boosting the voltage to a first boosting voltage higher than the battery voltage; A second boost for generating first and second switching voltages based on first and second PWM signals, respectively, and boosting the first boosting voltage to a second boosting voltage according to the generated first and second switching voltages. Circuit; a vibrator generating ultrasonic vibrations and atomizing an aerosol-generating material as the second boosting voltage is applied; and a processor controlling the battery, the first boost circuit, and the second boost circuit.

상기 제2 부스트 회로는,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1 및 제2 PWM 신호를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전압을 각각 생성하는 전력 구동 회로; 및 상기 전력 구동 회로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전압에 따라 상기 제1 부스팅 전압을 상기 제2 부스팅 전압으로 승압하는 승압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boost circuit may include: a power driving circuit generating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voltages, respectively,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PWM signals input from the processor; and a boosting circuit boosting the first boosting voltage to the second boosting voltage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voltages output from the power driving circuit.

상기 승압 회로는, 일단이 상기 제1 부스팅 전압이 인가되고, 타단이 상기 진동자의 일단에 연결된 제1 인덕터; 상기 제1 인덕터의 상기 타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스위칭 전압에 따라 상기 제1 인덕터와 접지 사이의 전류 흐름을 스위칭하는 제1 트랜지스터; 일단에 상기 제1 부스팅 전압이 인가되고, 타단이 상기 진동자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 인덕터; 및 상기 제2 인덕터의 상기 타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스위칭 전압에 따라 상기 제2 인덕터와 접지 사이의 전류 흐름을 스위칭하는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up circuit may include a first inductor having one end to which the first boosting voltage is applied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vibrator; a first transistor connected to the other terminal of the first inductor and switching current flow between the first inductor and a ground according to the first switching voltage; a second inductor having one end applied with the first boosting voltag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vibrator; and a second transistor connected to the other terminal of the second inductor and switching current flow between the second inductor and a ground according to the second switching voltage.

상기 전력 구동 회로는,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전압 중 어느 하나가 임계전압 이하인 경우, 상기 전력 구동 회로의 출력을 차단하는 출력차단회로를 더 포함한다.The power driving circuit may further include an output blocking circuit that blocks an output of the power driving circuit whe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voltages is less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oltage.

상기 전력 구동 회로는, 하나의 통합 IC로 구현될 수 있다. The power driving circuit may be implemented as one integrated IC.

상기 제1 부스팅 전압은 상기 배터리 전압의 적어도 3배 이상이고, 상기 제2 부스팅 전압은 상기 제1 부스팅 전압의 적어도 4배 이상일 수 있다. The first boosting voltage may be at least three times higher than the battery voltage, and the second boosting voltage may be at least four times higher than the first boosting voltage.

상기 배터리 전압 및 상기 제1 부스팅 전압은 DC(direct current) 전압이고, 상기 제2 부스팅 전압은 AC(alternating current) 전압일 수 있다.The battery voltage and the first boosting voltage may be direct current (DC) voltages, and the second boosting voltage may be alternating current (AC) voltages.

상기 제1 부스트 회로는, 상기 배터리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단자, 상기 입력 단자와 파워 인덕터를 통해 연결되는 스위치 단자, 기준 전압 단자, 및 상기 제1 부스팅 전압을 출력하는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DC-DC 컨버터; 일단이 상기 출력 단자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기준 전압 단자에 연결되는 제1 저항; 및 일단이 상기 기준 전압 단자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에 연결되는 제2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boost circuit includes a DC-DC including an input terminal to which the battery voltage is applied, a switch terminal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through a power inductor, a reference voltage terminal, and an output terminal outputting the first boosting voltage. converter; a first resisto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reference voltage terminal; and a second resisto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reference voltage terminal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ground.

상기 DC-DC 컨버터는, 상기 제1 저항 및 상기 제2 저항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부스팅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The DC-DC converter may output the first boosting voltage based on a ratio of the first resistance and the second resistance.

상기 제1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전극에 인가된 상기 제1 스위칭 전압의 상태에 따라, 접지에 연결된 소스 전극과 상기 제1 인덕터의 상기 타단에 연결된 드레인 전극 사이의 전류 흐름을 스위칭하는 반도체 스위치이고,The first transistor is a semiconductor switch that switches a current flow between a source electrode connected to ground and a drain electrod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inductor according to a state of the first switching voltage applied to a gate electrode,

상기 제2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전극에 인가된 상기 제2 스위칭 전압의 상태에 따라, 접지에 연결된 소스 전극과 상기 인덕터의 상기 타단에 연겨러된 드레인 전극 사이의 전류 흐름을 스위칭하는 반도체 스위치일 수 있다.The second transistor may be a semiconductor switch that switches current flow between a source electrode connected to ground and a drain electrod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inductor according to a state of the second switching voltage applied to a gate electrode. .

상기 제1 PWM 신호 및 상기 제2 PWM 신호는 상보적(complementary)일 수 있다. The first PWM signal and the second PWM signal may be complementary.

상기 제1 스위칭 전압이 제1 상태이고, 상기 제2 스위칭 전압이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인덕터 및 상기 제2 인덕터 중 하나의 인덕터와 접지 사이의 전류 흐름이 허용됨에 따라, 상기 하나의 인덕터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변화에 대응되는 에너지가 상기 하나의 인덕터에 저장되고, 상기 제1 인덕터 및 상기 제2 인덕터 중 다른 하나의 인덕터와 접지 사이의 전류 흐름이 차단됨에 따라, 상기 다른 하나의 인덕터에 저장되어 있던 에너지가 상기 진동자로 전달될 수 있다. When the first switching voltage is in the first state and the second switching voltage is in the second state, as current flow between one of the first inductor and the second inductor and the ground is allowed, the one Energy corresponding to the change in current flowing through the inductor is stored in the one inductor, and as the current flow between the other one of the first inductor and the second inductor and the ground is blocked, the other inductor Energy stored in may be transferred to the vibrator.

본 개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제1 부스트 회로를 이용하여 배터리 전압을 제1 부스팅 전압으로 승압하고, 제2 부스트 회로를 이용하여 제1 부스팅 전압을 제2 부스팅 전압으로 승압하며, 제2 부스팅 전압을 진동자에 인가할 수 있다. 제1 부스트 회로는 전체적인 회로의 사이즈를 과도하게 증가시키지 않기 위해 적정한 승압률만큼만 배터리 전압을 1차적으로 승압하는 DC-DC 컨버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부스트 회로는 인덕터의 역기전력과 스위칭 회로를 이용하여, 직류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할 뿐만 아니라 2차적인 승압 효과를 획득할 수 있고, 교류 승압 전력을 제공하는 2개의 전력 반도체 스위치를 스위칭하는 전력구동회로를 하나의 통합집적회로로 구현함으로써, 소요부품의 갯수를 줄이고, PCB 회로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disclosure may provide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Specifically,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boosts a battery voltage to a first boosting voltage using a first boost circuit, and converts the first boosting voltage to a second boosting voltage using a second boost circuit. The voltage is boosted, and the second boosting voltage may be applied to the vibrator. The first boost circuit may include a DC-DC converter circuit that primarily boosts the battery voltage by an appropriate step-up rate so as not to excessively increase the overall circuit size. In addition, the second boost circuit converts a direct current voltage into an alternating current voltage by using 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of the inductor and the switching circuit, and obtains a secondary boosting effect, and includes two power semiconductor switches providing AC boosted power. By implementing the switching power driving circuit as one integrated integrated circuit, the number of required components and the PCB circuit size can be reduced.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DC-DC 컨버터 회로들을 캐스케이드(cascade) 방식으로 결합하거나, 한 번에 10 배 이상의 높은 승압률로 승압 가능한 컨버터 회로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전체적인 회로의 사이즈 및 전력 소모를 과도하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높은 전압 값을 갖는 교류 전압을 진동자에 인가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compared to the case of combining a plurality of DC-DC converter circuits in a cascade manner or using a converter circuit that can be boosted at a step-up rate of 10 times or more at a time, An AC voltage having a high voltage value can be applied to the vibrator without excessively increasing the size and power consumption of the overall circuit.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부스트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부스트 회로의 개략 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2 부스트 회로의 상세 회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전력구동회로의 상세 회로 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PWM 신호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부스트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자에 인가되는 전압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diagram showing hardware configurations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boost circu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econd boost circu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6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second boost circuit shown in FIG. 5 .
7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power driving circuit shown in FIG. 6;
8 is a diagram illustrating PWM signal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9 and 10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boost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11 is a graph illustrating a change in voltage applied to a vibrat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2 is a diagram show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a cart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have been selected from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much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y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precedent, or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In addition, in a specific case, there is also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simply the name of the term.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is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It can be.

본 개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와 같은 표현들은 구성요소들의 리스트에 선행할 때, 구성요소들의 전체 리스트를 한정하고, 리스트의 개별적인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라는 표현은 “a”, “b”, “c”, “a 및 b”, “a 및 c”, “b 및 c”, 또는 “a, b 및 c”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As used in this disclosure, expressions such as “at least one”, when preceded by a list of elements, define the entire list of elements, not individual elements of the list. For example, the expression “at least one of a, b, and c” means “a”, “b”, “c”, “a and b”, “a and c”, “b and c”, or “a”. , b and c”.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or 'second'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배터리(110), 무화기(120), 센서(130), 사용자 인터페이스(140), 메모리(150) 및 프로세서(1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내부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설계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하드웨어 구성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새로운 구성이 더 추가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may include a battery 110, an atomizer 120, a sensor 130, a user interface 140, a memory 150, and a processor 160. However,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FIG. 1 . Depending on the desig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it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some of the hardware configurations shown in FIG. 1 may be omitted or new configurations may be further added. .

일 예로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포함된 하드웨어 요소들은 본체에 위치한다. As an exampl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may include a body, in which case the hardware elements includ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are located in the body.

다른 실시예로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본체 및 카트리지를 포함할 수 있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포함된 하드웨어 요소들은 본체 및 카트리지에 나뉘어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포함된 하드웨어 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본체 및 카트리지 각각에 위치할 수도 있다.As another embodiment,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may include a main body and a cartridge, and hardware elements includ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may be separately located in the main body and the cartridge. Alternatively, at least some of the hardware elements includ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may be located in the main body and the cartridge, respectively.

이하에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포함된 각 요소들의 위치를 한정하지 않고, 각 요소들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osition of each element includ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is not limited, and the operation of each element will be described.

배터리(1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가 동작하는 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110)는 무화기(120)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시킬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 내에 구비된 다른 하드웨어 요소들, 예를 들어, 센서(130), 사용자 인터페이스(140), 메모리(150) 및 프로세서(160)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10)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이거나 일회용 배터리일 수 있다. The battery 110 supplies power used to operat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 For example, battery 110 may supply power to enable atomizer 120 to atomize an aerosol-generating substance. In addition, the battery 110 provides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other hardware elements includ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for example, the sensor 130, the user interface 140, the memory 150, and the processor 160. can supply The battery 110 may be a rechargeable battery or a disposable battery.

예를 들어, 배터리(110)는 니켈 계열 배터리(예를 들어, 니켈-금속 하이드라이드 배터리, 니켈-카드뮴 배터리), 또는 리튬 계열 배터리(예를 들어, 리튬-코발트 배터리, 리튬-포스페이트 배터리, 리튬 티타네이트 배터리, 리튬-이온 배터리 또는 리튬-폴리머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사용될 수 있는 배터리(110)의 종류는 상술한 바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필요에 따라 배터리(110)는 알카라인 배터리, 또는 망간 배터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battery 110 may be a nickel-based battery (eg, a nickel-metal hydride battery, a nickel-cadmium battery), or a lithium-based battery (eg, a lithium-cobalt battery, a lithium-phosphate battery, or a lithium-based battery). titanate battery, lithium-ion battery or lithium-polymer battery). However, the type of battery 110 that can be us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is not limited as described above. If necessary, the battery 110 may include an alkaline battery or a manganese battery.

무화기(120)는 프로세서(160)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110)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는다. 무화기(120)는 배터리(110)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아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저장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시킬 수 있다.The atomizer 120 receives power from the battery 110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60 . The atomizer 120 may atomize the aerosol generating material stor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by receiving power from the battery 110 .

무화기(12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본체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가 본체 및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경우, 무화기(120)는 카트리지에 위치하거나 본체 및 카트리지에 나뉘어 위치할 수 있다. 무화기(120)가 카트리지에 위치하는 경우, 무화기(120)는 본체 및 카트리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위치한 배터리(1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무화기(120)가 본체 및 카트리지에 나뉘어 위치하는 경우 무화기(120)에서 전력의 공급이 필요한 부품은 본체 및 카트리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위치한 배터리(1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The atomizer 120 may be located in the body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 Alternatively, whe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includes a main body and a cartridge, the atomizer 120 may be located in the cartridge or separately located in the main body and the cartridge. When the atomizer 120 is located in the cartridge, the atomizer 120 may receive power from the battery 110 located in at least one of the main body and the cartridge. In addition, when the atomizer 120 is divided into the main body and the cartridge, parts requiring power supply in the atomizer 120 may be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battery 110 located in at least one of the main body and the cartridge.

무화기(120)는 카트리지의 내부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에어로졸(aerosol)을 발생시킨다. 에어로졸은 기체 중에 액체 및/또는 고체 미세 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부유물을 의미한다. 따라서, 무화기(120)로부터 발생되는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발생한 증기화된 입자와 공기가 혼합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화기(120)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상(phase)을 기화 및/또는 승화를 통하여 기체의 상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또한, 무화기(120)는 액체 및/또는 고체 상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미세 입자화하여 방출함으로써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The atomizer 120 generates an aerosol from an aerosol generating material inside the cartridge. Aerosol means a suspension in which liquid and/or solid fine particles are dispersed in a gas. Accordingly, the aerosol generated from the atomizer 120 may refer to a state in which vaporized particles generated from an aerosol generating material and air are mixed. For example, the atomizer 120 may convert the phase of the aerosol-generating material into a gaseous phase through vaporization and/or sublimation. In addition, the atomizer 120 may generate an aerosol by discharging liquid and/or solid aerosol-generating substances into fine particles.

예를 들어, 무화기(120)는 초음파 진동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초음파 진동 방식은 진동자에 의해 발생되는 초음파 진동으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시킴으로써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tomizer 120 may generate an aerosol from an aerosol-generating material by using an ultrasonic vibration method. The ultrasonic vibration method may refer to a method of generating an aerosol by atomizing an aerosol generating material with ultrasonic vibration generated by a vibrator.

도 1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무화기(120)는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할 수 있는 히터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히터에 의해 가열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1 , the atomizer 120 may optionally include a heater capable of heating an aerosol generating material by generating heat. The aerosol-generating material may be heated by a heater, resulting in the creation of an aerosol.

히터는 임의의 적합한 전기 저항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합한 전기 저항성 물질은 타이타늄, 지르코늄, 탄탈럼, 백금, 니켈, 코발트, 크로뮴, 하프늄, 나이오븀, 몰리브데넘, 텅스텐, 주석, 갈륨, 망간, 철, 구리, 스테인리스강, 니크롬 등을 포함하는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히터는 금속 열선(wire),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이 배치된 금속 열판(plate), 세라믹 발열체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heater may be formed from any suitable electrically resistive material. For example, suitable electrically resistive materials are titanium, zirconium, tantalum, platinum, nickel, cobalt, chromium, hafnium, niobium, molybdenum, tungsten, tin, gallium, manganese, iron, copper, stainless steel, nichrome, etc. It may be a metal or metal alloy contain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heater may be implemented as a metal heating wire, a metal hot plate on which an electrically conductive track is disposed, a ceramic heating element,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히터는 카트리지의 일부분일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는 후술하는 액체 전달 수단 및 저장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조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액체 전달 수단으로 이동하고, 히터는 액체 전달 수단에 흡수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는 액체 전달 수단에 감기거나 액체 전달 수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in one embodiment the heater may be part of a cartridge. Also, the cartridge may include a liquid delivery means and a reservoir described below. The aerosol-generating material contained in the reservoir may move to the liquid delivery means, and the heater may generate an aerosol by heating the aerosol-generating material absorbed in the liquid delivery means. For example, a heater may be wound around the liquid delivery means or disposed adjacent to the liquid delivery means.

다른 예로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궐련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히터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수용 공간에 삽입된 궐련을 가열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수용 공간에 궐련이 수용됨에 따라 히터는 궐련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히터는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may include an accommodation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cigarettes, and the heater may heat the cigarette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 As the cigarette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the heater may be located inside and/or outside the cigarette. As such, the heater may heat the aerosol-generating material in the cigarette to generate an aerosol.

한편, 히터는 유도 가열식 히터일 수 있다. 히터는 궐련 또는 카트리지를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하기 위한 전기 전도성 코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궐련 또는 카트리지에는 유도 가열식 히터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 서셉터가 포함될 수 있다.Meanwhile, the heater may be an induction heating type heater. The heater may include an electrically conductive coil for heating the cigarette or cartridge by induction heating, and the cigarette or cartridge may include a susceptor capable of being heated by the induction heater.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에서 센싱된 결과는 프로세서(160)로 전달되고, 센싱 결과에 따라 프로세서(160)는 무화기(120)의 동작 제어, 흡연의 제한, 카트리지(또는 궐련) 삽입 유/무 판단, 알림 표시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이 수행되도록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다.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may include at least one sensor 130 . A result sensed by at least one sensor 130 is transmitted to the processor 160, and according to the sensing result, the processor 16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tomizer 120, restricts smoking, and inserts a cartridge (or cigarette) /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may be controlled so that various functions such as non-judgment and notification display are performed.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는 퍼프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퍼프 감지 센서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기류의 유량(flow) 변화, 압력 변화, 및 소리의 검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퍼프를 감지할 수 있다. 퍼프 감지 센서는 사용자의 퍼프의 시작 타이밍 및 종료 타이밍을 검출할 수 있고, 프로세서(160)는 검출된 퍼프의 시작 타이밍 및 종료 타이밍에 따라 퍼프 기간(puff period) 및 비 퍼프(non-puff) 기간을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at least one sensor 130 may include a puff detection sensor. The puff detection sensor may detect a user's puff based on at least one of a change in flow of air flowing in from the outside, a change in pressure, and detection of sound. The puff detection sensor may detect the start timing and end timing of the user's puff, and the processor 160 may determine a puff period and a non-puff period according to the detected start timing and end timing of the puff. can judge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는 사용자 입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센서는 스위치, 물리적 버튼, 터치 센서 등과 같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센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는 사용자가 금속 재질로 형성된 소정의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커패시턴스(capacitance)의 변화가 발생하고,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정전용량형 센서일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정전용량형 센서로부터 수신한 커패시턴스의 변화의 전후 값을 비교함으로써 사용자의 입력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커패시턴스의 변화 전후 값이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 프로세서(160)는 사용자의 입력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Also, at least one sensor 130 may include a user input sensor. The user input sensor may be a sensor capable of receiving a user's input, such as a switch, a physical button, or a touch sensor. For example, the touch sensor may be a capacitive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 user's input by generating a change in capacitance when the user touches a predetermined area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detecting the change in capacitance. there is. The processor 160 may determine whether a user's input has occurred by comparing values before and after the change in capacitance received from the capacitive sensor. When the value before and after the capacitance change exceeds a preset threshold, the processor 160 may determine that a user's input has occurred.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는 모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센서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기울기, 이동 속도 및 가속도 등과 같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션 센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가 움직이는 상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정지 상태, 퍼프를 위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가 소정의 범위 내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 및 각 퍼프 동작들의 사이에서 퍼프 동작 시와는 다른 각도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가 기울어진 상태에 관한 정보들을 측정할 수 있다. 모션 센서는 해당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다양한 방법들을 이용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운동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션 센서는 x축, y축 및 z축 3방향의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가속도 센서 및 3 방향의 각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Also, at least one sensor 130 may include a motion sensor.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such as inclination, moving speed and acceler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may be obtained through the motion sensor. For example, the motion sensor may include a state in which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is moving, a state in which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is stationary, a state in which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is tilted at an angl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or a puff, and each puff operation. Information about a state in which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is tilted at an angle different from that during the puff operation may be measured between them. The motion sensor may measure motion inform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using various methods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the motion sensor may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capable of measuring acceleration in three directions, an x-axis, a y-axis, and a z-axis, and a gyro sensor capable of measuring angular velocity in three directions.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또는 거리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의미하며, 이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사용자가 접근하는지 여부가 검출될 수 있다.Also, at least one sensor 13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Proximity sensor refers to a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distance of an approaching object or an object existing nearby without mechanical contact by using the force of an electromagnetic field or infrared rays, through which a user approaches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It can be detected whether or not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예를 들어, 물체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물체를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를 사용하기 위한 상황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를 사용하기 위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를 입술 근방으로 접근시킬 때, 이미지 센서는 입술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입술로 판단될 경우에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를 사용하기 위한 상황임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무화기(120)를 미리 동작시키거나, 히터를 예열시킬 수 있다.Also, at least one sensor 130 may include an image sensor. The image sensor may include, for example, a camera for obtaining an image of an object. The image sensor may recognize an object based on an image acquired by a camera. The processor 160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in a situation to us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by analyzing the image acquired through the image sensor. For example, when the user brings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close to the lips to us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the image sensor may acquire an image of the lips. The processor 160 may analyze the obtained image to determine that the user is in a situation to us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when it is determined as the lips. Through this,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may operate the atomizer 120 in advance or preheat the heater.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사용될 수 있는 소모품(예를 들어, 카트리지, 궐련 등)의 장착 또는 탈거를 감지할 수 있는 소모품 탈착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모품 탈착 센서는 소모품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접촉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거나, 이미지 센서에 의해 소모품이 탈착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소모품 탈착 센서는 소모품의 마커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코일의 인덕턴스 값의 변화를 감지하는 인덕턴스 센서이거나, 소모품의 마커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값의 변화를 감지하는 커패시턴스 센서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at least one sensor 130 may include a consumables attachment/detachment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ttachment or detachment of consumables (eg, cartridges, cigarettes, etc.) that may be us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 For example, the consumables detachment sensor may detect whether consumables are in contact with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or determine whether consumables are detached by an image sensor. In addition, the consumable detachment sensor may be an inductance sensor that detects a change in inductance value of a coil that can interact with a marker of consumables, or a capacitance sensor that detects a change in capacitance value of a capacitor that can interact with markers of consumables.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는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무화기(120)의 진동자 또는 히터(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진동자 또는 히터의 온도를 감지하는 별도의 온도 센서를 포함하거나, 별도의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대신 히터 자체가 온도 센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히터가 온도 센서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별도의 온도 센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온도 센서는 진동자 또는 히터뿐만 아니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인쇄회로기판(PCB), 배터리 등과 같은 내부 부품들의 온도를 감지할 수도 있다.Also, at least one sensor 130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The temperature sensor may detect the temperature of the vibrator or heater (or aerosol generating material) of the atomizer 120 .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may include a separate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vibrator or heater, or the heater itself may serve as the temperature sensor instead of including the separate temperature sensor. Alternatively, a separate temperature sensor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while the heater serves as the temperature sensor. In addition, the temperature sensor may detect not only the vibrator or the heater, but also the temperature of internal parts such as a printed circuit board (PCB) and a battery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주변 환경의 정보를 측정하는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는 주변 환경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 센서, 주변 환경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 주변 환경의 압력을 측정하는 대기압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t least one sensor 130 may include various sensors that measure information abou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 For example, the at least one sensor 130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 humidity sensor for measuring the humidity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an atmospheric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the pressur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구비될 수 있는 센서(130)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센서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사용자 인증 및 보안을 위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으로부터 지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지문 센서, 눈동자의 홍채 무늬를 분석하는 홍채 인식 센서, 손바닥을 촬영한 이미지로부터 정맥 내 환원 헤모글로빈의 적외선의 흡수량을 감지하는 정맥 인식 센서, 눈, 코, 입 및 안면 윤곽 등의 특징점들을 2D 또는 3D 방식으로 인식하는 안면 인식 센서, 및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130 that may be provid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ype, and may further include various sensors. For exampl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may include a fingerprint sensor capable of obtaining fingerprint information from a user's finger for user authentication and security, an iris recognition sensor that analyzes an iris pattern of a pupil, and a vein injection from an image of a palm. It may include a vein recognition sensor that detects the amount of infrared absorption of reduced hemoglobin, a face recognition sensor that recognizes feature points such as eyes, nose, mouth, and facial contours in a 2D or 3D manner, and a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ensor. there is.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는 위의 예시된 다양한 센서(130)의 예시들 중 일부만이 취사 선택되어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전술한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only some of the examples of the various sensors 130 illustrated above may be selected and implemented. In other words,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may combine and utilize information sensed by at least one of the sensors described above.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는 사용자에게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또는 램프, 촉각 정보를 출력하는 모터, 소리 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수신하거나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는 입/출력(I/O) 인터페이싱 수단들(예를 들어,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과 데이터 통신을 하거나 충전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단자들, 외부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예를 들어, WI-FI, WI-FI Direct, Bluetooth, NFC(Near-Field Communication) 등)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등의 다양한 인터페이싱 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User interface 140 may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status of aerosol-generating device 10 to a user. The user interface 140 includes a display or lamp that outputs visual information, a motor that outputs tactile information, a speaker that outputs sound information, and an input/output (I/O) that receives information input from a user or outputs information to the user. ) Terminals for data communication with interfacing means (e.g., buttons or touch screens) or receiving charging powe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external devices (e.g., WI-FI, WI-FI Direct, Bluetooth, NFC (Near-Field Communication), etc.) may include various interfacing means such as a communication interface.

다만,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는 위의 예시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40) 예시들 중 일부만이 취사 선택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However, only some of the various examples of the user interface 140 illustrated above may be selected and implement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

메모리(15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 내에서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하드웨어로서, 메모리(150)는 프로세서(160)에서 처리된 데이터들 및 처리될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의 다양한 종류들로 구현될 수 있다.The memory 150 is hardware that stores various data process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and the memory 150 may store data processed by the processor 160 and data to be processed. The memory 150 may be a random access memory (RAM) such a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and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a read-only memory (ROM), and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It can be implemented in different types.

메모리(150)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동작 시간, 최대 퍼프 횟수, 현재 퍼프 횟수, 적어도 하나의 온도 프로파일 및 사용자의 흡연 패턴에 대한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The memory 150 may store the operation tim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the maximum number of puffs, the current number of puffs, at least one temperature profile, and data on a user's smoking pattern.

프로세서(16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60)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60)가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The processor 16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 The processor 160 may be implemented as an array of a plurality of logic gates, or may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a microprocessor and a memory in which programs executable by the microprocessor are stored.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the processor 160 may be implemented in other types of hardware.

프로세서(16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에 의해 센싱된 결과를 분석하고 뒤이어 수행될 처리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에 의해 센싱된 결과에 기초하여, 무화기(120)의 동작이 개시 또는 종료되도록 무화기(12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6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에 의해 센싱된 결과에 기초하여, 무화기(120)가 적절한 양의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무화기(120)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 및 전력이 공급되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무화기(120)의 진동자가 소정의 주파수로 진동할 수 있도록 진동자에 공급되는 전류 또는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160 analyzes a result sensed by at least one sensor 130 and controls subsequent processes to be performed. For example, the processor 160 may control power supplied to the atomizer 120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atomizer 120 starts or ends based on a result sensed by the at least one sensor 130. there is. In addition, the processor 160 determines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atomizer 120 so that the atomizer 120 can generate an appropriate amount of aerosol based on the result sensed by the at least one sensor 130 and You can control when power is supplied. For example, the processor 160 may control the current or voltage supplied to the vibrator of the atomizer 120 so that the vibrator vibrates at a predetermined frequency.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6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후 무화기(120)의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60)는 퍼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퍼프를 감지한 후 무화기(120)의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60)는 퍼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퍼프 횟수를 카운트한 후 퍼프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에 도달하면 무화기(120)에 전력 공급을 중단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60 may initiate operation of the atomizer 120 after receiving a user input for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 Also, the processor 160 may start the operation of the atomizer 120 after detecting a user's puff using a puff sensor. In addition, the processor 160 may count the number of puffs using a puff sensor and stop supplying power to the atomizer 120 when the number of puffs reaches a predetermined number.

프로세서(16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에 의해 센싱된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퍼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퍼프 횟수를 카운트한 후 퍼프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에 도달하면, 프로세서(160)는 램프, 모터 및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에어로졸 생성 장치(10)가 곧 종료될 것임을 예고할 수 있다.The processor 160 may control the user interface 140 based on a result sensed by the at least one sensor 130 . For example, when the number of puffs reaches a predetermined number after counting the number of puffs using a puff sensor, the processor 160 provides the user with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using at least one of a lamp, a motor, and a speaker. ) can be foretold that it will end soon.

한편,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별도의 크래들과 함께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에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배터리(110)를 충전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크래들 내부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크래들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배터리(110)를 충전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FIG. 1 ,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may be included in the aerosol generating system along with a separate cradle. For example, the cradle can be used to charge the battery 110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 For exampl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may charge the battery 110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by receiving power from the battery of the cradle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inside the cradle.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An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program modules executed by a computer. Computer 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Also, computer readable media may include both computer storage media and communication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Communication media typically include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other data in a modulated data signal such as program modules, or other transport mechanism, and includes any information delivery media.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보유하는 카트리지(20)와, 카트리지(20)를 지지하는 본체(25)를 포함한다.An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includes a cartridge 20 containing an aerosol generating substance and a body 25 supporting the cartridge 20 .

카트리지(20)는 내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한 상태에서 본체(25)에 결합할 수 있다. 일 예로, 카트리지(20)의 적어도 일부가 본체(25)에 삽입됨으로써, 카트리지(20)와 본체(25)가 결합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본체(25)의 적어도 일부가 카트리지(20)에 삽입됨으로써, 카트리지(20)와 본체(25)가 결합될 수 있다. The cartridge 20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25 while accommodating the aerosol generating material therein. For example, as at least a portion of the cartridge 20 is inserted into the body 25, the cartridge 20 and the body 25 may be coupled. As another example, by inser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body 25 into the cartridge 20, the cartridge 20 and the body 25 may be coupled.

카트리지(20)와 본체(25)는 스냅-핏(snap-fit) 방식, 나사 결합 방식, 자력 결합 방식 또는 억지 끼워 맞춤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나, 카트리지(20)와 본체(25)의 결합 방식이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artridge 20 and the body 25 may be coupled by at least one of a snap-fit method, a screw coupling method, a magnetic coupling method, or an interference fit method, but the cartridge 20 and the body ( 25)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일 실시예에서, 카트리지(20)는 사용자의 흡입 과정에서 사용자의 구강으로 삽입되는 마우스피스(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마우스피스(210)는 카트리지(20)의 본체(25)와 결합되는 일 영역과 반대 방향에 위치한 다른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발생된 에어로졸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210e)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artridge 20 may include a mouthpiece 210 that is inserted into the user's oral cavity during the user's inhalation process. In one embodiment, the mouthpiece 210 may be disposed in another area opposite to one area coupled to the main body 25 of the cartridge 20, and discharges aerosol generated from an aerosol generating material to the outside. An outlet 210e may be included.

사용자의 흡입 또는 퍼프 동작에 의해 카트리지(20)의 외부와 내부의 사이에 압력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카트리지(20)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 차이에 의해 카트리지(20)의 내부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이 배출구(210e)를 통해 카트리지(2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마우스피스(210)에 구강을 접촉하고 흡입함으로써, 배출구(210e)를 통해 카트리지(20)의 외부로 배출되는 에어로졸을 공급받을 수 있다.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the cartridge 20 may occur due to a user's inhalation or puff action, and the aerosol generated inside the cartridge 20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artridge 20 It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rtridge 20 through the outlet 210e. The user may be supplied with aerosol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rtridge 20 through the outlet 210e by inhaling the mouthpiece 210 in contact with the oral cavity.

일 실시예에서, 카트리지(20)는 하우징(2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하는 저장조(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저장조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한다" 는 표현은 저장조(220)가 그릇(container)의 용도와 같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단순히 담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과, 저장조(220)의 내부에 예를 들어 스펀지(sponge)나 솜이나 천이나 다공성 세라믹 구조체와 같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함침)하는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In one embodiment, the cartridge 20 may include a reservoir 220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200 and containing an aerosol generating material.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expression "a reservoir accommodates an aerosol generating substance" refers to the fact that the reservoir 220 simply performs a function of containing an aerosol generating substance, such as the use of a container, and the inside of the reservoir 220 is exemplified. It means including elements containing (impregnating) an aerosol-generating material, such as, for example, a sponge, cotton, fabric, or porous ceramic structure.

카트리지(20)는 예를 들어 액체 상태나, 고체 상태나, 기체 상태나, 겔(gel) 상태 등의 어느 하나의 상태를 갖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보유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액상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담배 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 휘발성 담배 향 성분을 포함하는 액체, 및/또는 비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다. The cartridge 20 may hold the aerosol generating material in any one state, such as, for example, a liquid state, a solid state, a gaseous state, or a gel state. Aerosol generating materials may include liquid compositions. For example, the liquid composition may be a liquid comprising tobacco-containing substances, a liquid comprising volatile tobacco flavor components, and/or a liquid comprising non-tobacco substances.

액상 조성물은 예를 들어, 물, 솔벤트, 에탄올, 식물 추출물, 향료, 향미제, 및 비타민 혼합물의 어느 하나의 성분이나, 이들 성분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향료는 멘솔,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오일, 각종 과일향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향미제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향미 또는 풍미를 제공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비타민 혼합물은 비타민 A, 비타민 B, 비타민 C 및 비타민 E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액상 조성물은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iquid composition may include, for example, any one of water, solvent, ethanol, plant extract, fragrance, flavoring agent, and vitamin mixture, or a mixture of these ingredients. Fragrance may include menthol, peppermint, spearmint oil, various fruit flavor components,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Flavoring agents can include ingredients that can provide a variety of flavors or flavors to the user. The vitamin mixture may be a mixture of at least one of vitamin A, vitamin B, vitamin C, and vitamin E, but is not limited thereto. Liquid compositions may also contain aerosol formers such as glycerin and propylene glycol.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니코틴 염이 첨가된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액상 조성물에는 2종 이상의 니코틴 염이 포함될 수도 있다. 니코틴 염은 니코틴에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포함하는 적절한 산을 첨가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니코틴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니코틴 또는 합성 니코틴으로서, 액상 조성물의 총 용액 중량에 대한 임의의 적절한 중량의 농도를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a liquid composition may include a glycerin and propylene glycol solution to which a nicotine salt has been added. A liquid composition may also include two or more nicotine salts. Nicotine salts can be formed by adding a suitable acid, including organic or inorganic acids, to nicotine. The nicotine can be either naturally occurring nicotine or synthetic nicotine in any suitable weight concentration relative to the total solution weight of the liquid composition.

니코틴 염의 형성을 위한 산은 혈중 니코틴 흡수 속도,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작동 온도, 향미 또는 풍미, 용해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니코틴 염의 형성을 위한 산은 벤조산, 락트산, 살리실산, 라우르산, 소르브산, 레불린산, 피루브산,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발레르산, 카프로산, 카프릴산, 카프르산, 시트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페닐아세트산, 타르타르산, 숙신산, 푸마르산, 글루콘산, 사카린산, 말론산 또는 말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독의 산 또는 상기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 이상의 산들의 혼합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acid for forming the nicotine salt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absorption rate of nicotine in the blood, the operating temperatur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flavor or taste, solubility, and the like. For example, acids for the formation of nicotine salts include benzoic acid, lactic acid, salicylic acid, lauric acid, sorbic acid, levulinic acid, pyruvic acid, formic acid, acetic acid, propionic acid, butyric acid, valeric acid, caproic acid, caprylic acid, capric acid , citric acid, myrist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phenylacetic acid, tartaric acid, succinic acid, fumaric acid, gluconic acid, saccharic acid, malonic acid, or a single aci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lic acid or the above It may be a mixture of two or more acids selected from the group, but is not limited thereto.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카트리지(20)의 내부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상(phase)을 변환하여 에어로졸(aerosol)을 발생시키는 무화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may include an atomizer 120 that generates an aerosol by converting a phase of an aerosol generating material inside the cartridge 20 .

일 예시에서, 저장조(220)에 저장 또는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액체 전달 수단(230)에 의해 무화기(120)로 공급될 수 있으며, 무화기(120)는 액체 전달 수단(230)으로부터 공급받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시켜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액체 전달 수단(230)은 예를 들어, 면 섬유, 세라믹 섬유, 유리 섬유, 다공성 세라믹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심지(wick)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xample, the aerosol-generating material stored or received in the reservoir 220 may be supplied to the atomizer 120 by the liquid delivery means 230, and the atomizer 120 is supplied from the liquid delivery means 230. An aerosol can be created by atomizing the aerosol-generating material. The liquid delivery unit 230 may be, for example, a wick including at least one of cotton fiber, ceramic fiber, glass fiber, and porous ceramic,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무화기(120)는 초음파 진동으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시키는 초음파 진동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상을 변환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tomizer 120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may change the phase of the aerosol generating material by using an ultrasonic vibration method to atomize the aerosol generating material with ultrasonic vibration.

예를 들어, 무화기(120)는 짧은 주기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진동자로부터 생성되는 진동은 초음파 진동일 수 있다. 초음파 진동의 주파수는 약 100kHz 내지 3.5 MHz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진동자로부터 생성된 짧은 주기의 진동에 의해 저장조(220)에서 무화기(120)로 공급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기화 및/또는 입자화되어 에어로졸로 무화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atomizer 120 may include a vibrator generating short-period vibration, and the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vibrator may be ultrasonic vibration. The frequency of the ultrasonic vibration may be about 100 kHz to about 3.5 MHz,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aerosol-generating material supplied from the reservoir 220 to the atomizer 120 by the short-period vibration generated by the vibrator may be vaporized and/or made into particles to be atomized into an aerosol.

진동자는 예를 들어, 압전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압전 세라믹은 물리적인 힘(압력)에 의해 전기(전압)를 발생하고 역으로 전기가 인가될 때 진동(기계적인 힘)을 발생함으로써 전기와 기계적인 힘을 상호 변환할 수 있는 기능성 재료일 수 있다. 진동자에 전기가 인가됨에 따라 짧은 주기의 진동(물리적인 힘)이 발생할 수 있으며, 발생된 진동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작은 입자로 쪼개어 에어로졸로 무화시킬 수 있다.The vibrator may include, for example, a piezoelectric ceramic, and the piezoelectric ceramic generates electricity (voltage) by a physical force (pressure) and, conversely, generates vibration (mechanical force) when electricity is applied thereto. It may be a functional material capable of mutually converting mechanical forces. As electricity is applied to the vibrator, vibration (physical force) of a short period may be generated, and the generated vibration may break the aerosol-generating material into small particles and atomize it into an aerosol.

진동자는 전기적 연결 부재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다른 구성 요소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자는 전기적 연결 부재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배터리(110), 프로세서(160),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회로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진동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 요소가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vibrato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other components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through an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For example, the vibrato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battery 110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the processor 160, or the circuitry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through an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but the vibrator and electrical Components connected to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진동자는 전기적 연결 부재를 통해 배터리(110)로부터 전류 또는 전압을 공급받아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거나, 프로세서(16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The vibrator may receive current or voltage from the battery 110 through an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to generate ultrasonic vibration, or the processor 160 may control its operation.

전기적 연결 부재는 예를 들어, 포고 핀(Pogo Pin) 또는 C-클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전기적 연결 부재가 상술한 예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전기적 연결 부재는 케이블 또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FPC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may includ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a pogo pin or a C-clip, but the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As another example, the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able 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 무화기(120)는 또한 별도의 액체 전달 수단(230)을 사용하지 않고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흡수하여 에어로졸로 변환하기 위한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는 기능과 에어로졸 생성 물질에 진동을 전달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메시 형상(mesh shape)이나 판 형상(plate shape)의 진동 수용부로 구현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not shown), the atomizer 120 also has the function of absorbing the aerosol-generating material and maintaining it in an optimal state for converting the aerosol-generating material into an aerosol without using a separate liquid delivery means 230 and the aerosol-generating material. It may also be implemented as a mesh-shaped or plate-shaped vibration receiving unit that performs all of the functions of generating aerosol by transmitting vibration to the body.

도면 상에는 액체 전달 수단(230) 및 무화기(120)가 카트리지(20)에 배치되는 실시예에 대해서만 도시되어 있으나, 액체 전달 수단(230) 및 무화기(120)의 배치 구조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액체 전달 수단(230)은 카트리지(20)에 배치되고, 무화기(120)는 본체(25)에 배치될 수도 있다.In the drawings, only the embodiment in which the liquid delivery means 230 and the atomizer 120 are disposed in the cartridge 20 is shown, but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liquid delivery means 230 and the atomizer 120 is shown. is not limited to In another embodiment, the liquid delivery means 230 may be disposed in the cartridge 20 and the atomizer 120 may be disposed in the body 25 .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카트리지(20)는 배출 통로(24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 통로(240)는 카트리지(20)의 내부에 위치하며, 무화기(120) 및 마우스피스(210)의 배출구(210e)와 연결 또는 연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화기(120)에서 발생된 에어로졸은 배출 통로(240)를 따라 유동할 수 있으며, 배출구(210e)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The cartridge 20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may include an exit passageway 240 . The discharge passage 240 is located inside the cartridge 20 and may connect or communicate with the atomizer 120 and the outlet 210e of the mouthpiece 210 . Accordingly, the aerosol generated in the atomizer 120 may flow along the discharge passage 240, and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through the discharge port 210e and delivered to the user.

예를 들어, 배출 통로(240)는 카트리지(20)의 내부에서 저장조(220)에 의해 감싸지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the discharge passage 240 may be arranged to be surrounded by the reservoir 220 inside the cartridge 20,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면 상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카트리지(2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외부에 위치한 공기(이하 “외부 공기”)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내부로 유입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입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cartridge 20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is configured to allow air located outsid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external air”) to flow in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It may include at least one air inlet passage.

외부 공기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입 통로를 통해 카트리지(20)의 내부의 배출 통로(240) 또는 무화기(120)에 의해 에어로졸이 발생하는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외부 공기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발생된 증기화된 입자와 혼합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External air may be introduced into a space where aerosol is generated by the discharge passage 240 or the atomizer 120 inside the cartridge 20 through at least one air introduction passage. The entrained outside air may mix with vaporized particles generated from the aerosol-generating material, resulting in an aerosol.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서 카트리지(20)와 본체(25)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에서의 단면 형상은 대략 원형, 타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여러 가지 형태의 다각형의 단면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단면의 형상이 상술한 형상에 한정되거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할 때 반드시 직선적으로 연장하는 구조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artridge 20 and the main body 25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in a direction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approximately circular, elliptical, square, rectangular, or various polygonal cross-sectional shapes. However,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hape, or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is not necessarily formed in a structure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whe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다른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단면 형상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편하게 유선형으로 만곡되거나 특정 영역에서 미리 정해진 각도로 절곡되며 길게 연장할 수 있으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단면 형상은 길이 방향을 따라 변화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may be curved in a streamlined shape to make it easier for a user to hold by hand, or may b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 specific area and extended long. It can vary along the length direction.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showing hardware configurations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예: 도 1 또는 도 2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배터리(110) 및 프로세서(160) 외에도, 제1 부스트 회로(310) 및 제2 부스트 회로(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eg,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of FIG. 1 or 2) includes a battery 110 and a processor 160, as well as a first boost circuit 310 and a second boost circuit ( 320) may be further included.

도 3 및 이하 설명될 도면들의 실시예들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프로세서(160), 제1 부스트 회로(310) 및 제2 부스트 회로(320)가 별개의 구성요소들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들의 구현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제1 부스트 회로(310) 및 제2 부스트 회로(320) 중 적어도 하나는 프로세서(160) 내에 구비된 구성요소일 수 있다. 또한, 제1 부스트 회로(310) 및 제2 부스트 회로(320) 각각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본체(예: 도 2의 본체(25)) 및 카트리지(예: 도 2의 카트리지(20)) 중 어디에도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변형들은 본 실시예들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FIG. 3 and embodiments of the drawings to be described below, the processor 160, the first boost circuit 310, and the second boost circuit 320 are shown as separate components, but this Implementations of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hereto. In other words, at least one of the first boost circuit 310 and the second boost circuit 320 may be a component included in the processor 160 . 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boost circuit 310 and the second boost circuit 320 is located in either of the main body (eg, the main body 25 of FIG. 2) and the cartridge (eg, the cartridge 20 of FIG. 2)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can be placed. Variations such as these may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embodiments.

배터리(110)는 제1 전압 값을 갖는 배터리 전압(VBAT)을 공급할 수 있다. 제1 전압 값은 3.4V 내지 4.2V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전압 값은 3.8V 내지 6V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으며, 2.5V 내지 3.6V의 범위에 포함될 수도 있다. 휴대성을 위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사이즈가 제한될 수 있는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포함되는 배터리(110)의 사이즈도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110)에 의해 공급되는 배터리 전압(VBAT)의 제1 전압 값은 진동자를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구동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고, 배터리 전압(VBAT)의 승압이 요구될 수 있다.The battery 110 may supply a battery voltage V BAT having a first voltage value. The first voltage value may be included in the range of 3.4V to 4.2V,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first voltage value may be included in the range of 3.8V to 6V, and may be included in the range of 2.5V to 3.6V. Since the siz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may be limited for portability, the size of the battery 110 includ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may also be limited. Accordingly, the first voltage value of the battery voltage V BAT supplied by the battery 110 may not be sufficient to stably and efficiently drive the vibrator, and a step-up of the battery voltage V BAT may be required. there is.

제1 부스트 회로(310)는 배터리 전압(VBAT)을 제1 전압 값보다 높은 제2 전압 값을 갖는 제1 부스팅 전압(V1)으로 승압할 수 있다. 배터리 전압(VBAT) 및 제1 부스팅 전압(V1)은 DC(direct current) 전압일 수 있다. 제2 전압 값은 10V 내지 13V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전압 값은 7V 내지 10.5V 사이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으며, 12V 내지 20V의 범위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일 예에서, 제2 전압 값은 제1 전압 값, 즉 배터리 전압의 적어도 3배 이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제1 부스트 회로(31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first boost circuit 310 may boost the battery voltage V BAT to a first boosting voltage V 1 having a second voltage value higher than the first voltage value. The battery voltage (V BAT ) and the first boosting voltage (V 1 ) may be direct current (DC) voltages. The second voltage value may be included in the range of 10V to 13V,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econd voltage value may be included in the range of 7V to 10.5V, and may be included in the range of 12V to 20V. In one example, the second voltage value may be at least three times greater than the first voltage value, that is, the battery voltage. However,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Hereinafter, the first boost circuit 3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부스트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4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boost circu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제1 부스트 회로(310)는 배터리 전압(VBAT)이 인가되는 입력 단자 VIN, 입력 단자 VIN 과 파워 인덕터(L0)를 통해 연결되는 스위치 단자 SW, 기준 전압 단자 VREF, 및 제1 부스팅 전압(V1)을 출력하는 출력 단자 VOUT을 포함하는 DC-DC 컨버터(41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 전압 단자 VREF는 DC-DC 컨버터(410)의 기준 전압을 나타낼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first boost circuit 310 includes an input terminal V IN to which a battery voltage V BAT is applied, a switch terminal SW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V IN through a power inductor L0, and a reference voltage terminal V REF , and a DC-DC converter 410 including an output terminal V OUT outputting the first boosting voltage V 1 . The reference voltage terminal V REF may represent a reference voltage of the DC-DC converter 410 .

또한, 제1 부스트 회로(310)는 일단이 출력 단자 VOUT에 연결되고, 타단이 기준 전압 단자 VREF에 연결되는 제1 저항(R1), 및 일단이 기준 전압 단자 VREF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에 연결되는 제2 저항(R2)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oost circuit 310 has a first resistor R1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V OU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reference voltage terminal V REF ,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reference voltage terminal V REF , and the other end It may include a second resistor (R2) connected to the ground.

DC-DC 컨버터(410)는 제1 저항(R1) 및 제2 저항(R2)의 비율에 기초하여 제1 부스팅 전압(V1)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C-DC 컨버터(410)는 다음의 수학식 1에 따라 제1 부스팅 전압(V1)을 출력 단자 VOUT으로 출력할 수 있다.The DC-DC converter 410 may output the first boosting voltage V 1 based on the ratio of the first resistor R1 and the second resistor R2. For example, the DC-DC converter 410 may output the first boosting voltage V 1 to the output terminal V OUT according to Equation 1 below.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일 예에서, DC-DC 컨버터(410)의 입력 단자에 배터리 전압(VBAT)이 인가되고, 제1 저항(R1)은 510kΩ이며, 제2 저항(R2)은 42.5kΩ이고, 기준 전압 단자 VREF의 전압은 1V인 경우, DC-DC 컨버터(410)는 상기 수학식 1에 따라 13V의 제1 부스팅 전압(V1)을 출력 단자 VOUT으로 출력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battery voltage (V BAT ) is appli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DC-DC converter 410, the first resistor (R1) is 510 kΩ, the second resistor (R2) is 42.5 kΩ, and the reference voltage terminal V When the voltage of REF is 1V, the DC-DC converter 410 may output the first boosting voltage (V 1 ) of 13V to the output terminal V OUT according to Equation 1 above.

해당 예시에서 배터리 전압(VBAT)이 4.2V인 경우, 제1 부스트 회로(310)는 배터리 전압(VBAT)을 3배 이상 승압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제1 저항(R1) 및 제2 저항(R2)의 비율에 따라 제1 부스트 회로(310)의 승압률이 달라질 수 있으나, 제1 부스트 회로(310)는 너무 높은 승압률을 갖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스트 회로(310)는 배터리 전압(VBAT)을 3배 이상이지만, 6배는 넘지 않도록 승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부스트 회로(310)는 전체적인 회로의 사이즈를 과도하게 증가시키지 않기 위해 적정한 승압률만큼만 배터리 전압(VBAT)을 승압할 수 있다.In the example, when the battery voltage (V BAT ) is 4.2V, the first boost circuit 310 may boost the battery voltage (V BAT ) three times or more. Meanwhile, the step-up rate of the first boost circuit 310 may vary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first resistor R1 and the second resistor R2, but the first boost circuit 310 may not have a very high step-up rate. there is. For example, the first boost circuit 310 may boost the battery voltage V BAT 3 times or more, but not more than 6 times. In this way, the first boost circuit 310 may boost the battery voltage V BAT only by an appropriate boosting rate in order not to excessively increase the overall circuit size.

다시 도 3으로 돌아와서, 제2 부스트 회로(320)는 제1 부스팅 전압(V1)을 제2 전압 값보다 높은 제3 전압 값을 피크 투 피크(peak-to-peak) 전압 값으로 갖는 제2 부스팅 전압(V2)으로 승압할 수 있다. 제3 전압 값은 55V 내지 70V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3 전압 값은 45V 내지 60V 사이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으며, 65V 내지 80V의 범위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일 예에서, 제3 전압 값은 제2 전압 값의 적어도 4배 이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제2 부스트 회로(32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Returning to FIG. 3 again, the second boost circuit 320 sets the first boosting voltage (V 1 ) to a second voltage having a third voltage value higher than the second voltage value as a peak-to-peak voltage value. It can be boosted with a boosting voltage (V 2 ). The third voltage value may be included in the range of 55V to 70V,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third voltage value may be included in the range of 45V to 60V, and may be included in the range of 65V to 80V. In one example, the third voltage value may be at least four times greater than the second voltage value. However,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Hereinafter, the second boost circuit 3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부스트 회로의 개략 도이다. 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econd boost circu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제2 부스트 회로(320)는 전력구동회로(500) 및 승압회로(510)를 포함한다. 전력구동회로(500)는 프로세서(160)로부터 제1 PWM 신호(PWM_P) 및 제2 PWN 신호(PWM_N)를 각각 입력받아, 제1 스위칭 전압(Vsw_p)과 제2 스위칭 전압(Vsw_n)을 생성하여 승압회로(510)의 입력측에 전달한다.Referring to FIG. 5 , the second boost circuit 320 includes a power driving circuit 500 and a boost circuit 510 . The power driving circuit 500 receives the first PWM signal PWM_P and the second PWM_N signal from the processor 160 and generates a first switching voltage Vsw_p and a second switching voltage Vsw_n, It is transmitted to the input side of the boost circuit 510.

승압회로(510)는 제1 스위칭 전압(Vsw_p)과 제2 스위칭 전압(Vsw_n)에 따라 제1 부스트 회로(310)에서 출력된 제1 부스팅 전압(V1)을 제2 부스팅 전압(V2)으로 승압시켜 진동자에 인가한다. 전력구동회로(500)와 승압회로(510)의 상세 구성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The step-up circuit 510 boosts the first boosting voltage V1 output from the first boost circuit 310 to the second boosting voltage V2 according to the first switching voltage Vsw_p and the second switching voltage Vsw_n. and apply it to the vibrator. Detailed configurations of the power driving circuit 500 and the boost circuit 5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

도 6을 참조하면, 전력구동회로(500)는 5개의 입출력 단자를 갖는 하나의 IC(Integrated Circuit, 이하 IC라 한다)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5개의 입출력 단자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기능 등을 구현하기 위해 추가의 단자들을 더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Referring to FIG. 6 , the power driving circuit 500 is illustrated as one IC (Integrated Circuit, hereinafter referred to as IC) having five input/output terminals. Here, only five input/output terminals are shown, but this i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additional terminals may be further provided to implement additional functions.

VCC 단자에는 제1 부스트 회로(310)에서 출력된 제1 부스팅 전압(V1)이 인가되어, 전력구동회로(500)의 내부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first boosting voltage V1 output from the first boost circuit 310 is applied to the VCC terminal and can be used as an internal power source of the power driving circuit 500 .

INA단자에는 프로세서(160)로부터 PWM_P 신호가 입력되고, INB 단자에는 PWM_N 신호가 입력된다. PWN_P 신호와 PWM_N 신호는 서로 상보적인 펄스 신호이고, 소정의 듀티비를 갖는 신호들이다. PWN_P 신호와 PWM_N 신호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PWM_P signal from the processor 160 is input to the INA terminal, and the PWM_N signal is input to the INB terminal. The PWM_P signal and the PWM_N signal are pulse signals complementary to each other and have a predetermined duty ratio. The PWM_P signal and the PWM_N signal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8 .

OUTA단자를 통해 PWM_P 신호를 기초로 생성된 스위칭 전압(Vsw_p) 신호가 출력되고, OUTB단자를 통해 PWM_N 신호를 기초로 생성된 스위칭 전압(Vsw_n) 신호가 출력된다. 각각의 스위칭 전압 신호들은 승압회로(510)의 제1 트랜지스터(TR1) 및 제2 트랜지스터(TR2) 각각의 게이트 전극에 인가된다.A switching voltage (Vsw_p) signal generated based on the PWM_P signal is output through the OUTA terminal, and a switching voltage (Vsw_n) signal generated based on the PWM_N signal is output through the OUTB terminal. Each of the switching voltage signals is applied to the gate electrode of each of the first transistor TR1 and the second transistor TR2 of the boost circuit 510 .

승압회로(510)는 제1 인덕터(L1), 제1 트랜지스터(TR1), 제2 인덕터(L2), 제2 트랜지스터(TR2)를 포함한다.The boost circuit 510 includes a first inductor L1, a first transistor TR1, a second inductor L2, and a second transistor TR2.

제1 인덕터(L1)의 일단은 제1 부스팅 전압(V1) 라인과 연결되고, 타단은 진동자의 일단과 연결된다. One end of the first inductor L1 is connected to the first boosting voltage V1 lin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vibrator.

제1 트랜지스터(TR1)는 제1 인덕터(L1)의 타단과 연결되고, 제1 스위칭 전압(Vsw_p)에 따라 제1 인덕터(L1)와 접지 사이의 전류 흐름을 스위칭한다. 제1 트랜지스터(TR1)는 게이트 전극에 인가된 제1 스위칭 전압(VSW_P)의 상태에 따라, 접지에 연결된 소스 전극과 제1 인덕터(L1)의 타단에 연결된 드레인 전극 사이의 전류 흐름을 스위칭하는 반도체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트랜지스터(TR1)는 N채널 MOSFET(metal-oxide-semiconductor field-effect transisto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트랜지스터(TR1)는 N채널 MOSFET이 아닌, P채널 MOSFET이나 다른 타입들의 반도체 스위칭 소자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first transistor TR1 is connected to the other terminal of the first inductor L1 and switches current flow between the first inductor L1 and the ground according to the first switching voltage Vsw_p. The first transistor TR1 switches current flow between a source electrode connected to the ground and a drain electrod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inductor L1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first switching voltage V SW_P applied to the gate electrode. A semiconductor switch may be included. For example, the first transistor TR1 may be implemented as an N-channel metal-oxide-semiconductor field-effect transistor (MOSFET).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transistor TR1 may be implemented with a P-channel MOSFET or other types of semiconductor switching elements instead of an N-channel MOSFET.

제2 인덕터(L2)의 일단은 제1 부스팅 전압(V1) 라인과 연결되고, 타단은 진동자의 타단에 연결된다.One end of the second inductor L2 is connected to the first boosting voltage V1 lin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vibrator.

제2 트랜지스터(TR2)는 제2 인덕터(L2)의 타단과 연결되고, 제2 스위칭 전압(Vsw_n)에 따라 제2 인덕터(L2)와 접지 사이의 전류 흐름을 스위칭한다. 제2 트랜지스터(TR2)는 게이트 전극에 인가된 제2 스위칭 전압(VSW_N)의 상태에 따라, 접지에 연결된 소스 전극과 제2 인덕터(L2)의 타단에 연결된 드레인 전극 사이의 전류 흐름을 스위칭하는 반도체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트랜지스터(TR2)는 N채널 MOSFET(metal-oxide-semiconductor field-effect transisto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2 트랜지스터(TR2)는 N채널 MOSFET이 아닌, P채널 MOSFET이나 다른 타입들의 반도체 스위칭 소자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second transistor TR2 is connected to the other terminal of the second inductor L2 and switches current flow between the second inductor L2 and the ground according to the second switching voltage Vsw_n. The second transistor TR2 switches the current flow between the source electrode connected to the ground and the drain electrod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inductor L2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second switching voltage V SW_N applied to the gate electrode. A semiconductor switch may be included. For example, the second transistor TR2 may be implemented as an N-channel metal-oxide-semiconductor field-effect transistor (MOSFET).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cond transistor TR2 may be implemented with a P-channel MOSFET or other types of semiconductor switching elements instead of an N-channel MOSFET.

한편, 제1 트랜지스터(TR1) 및 제2 트랜지스터(TR2) 각각의 게이트 전극과 소스 전극 사이의 전압 VGS가 증가할수록, 제1 트랜지스터(TR1) 및 제2 트랜지스터(TR2) 각각에서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사이의 전류 흐름이 허용되는 경우의 유효 저항 RDS(on)이 작아질 수 있다. 소스 전극은 접지에 연결되므로, 제1 트랜지스터(TR1) 및 제2 트랜지스터(TR2)의 게이트 전극과 소스 전극 사이의 전압 VGS는 각각 제1 스위칭 전압(VSW_P) 및 제2 스위칭 전압(VSW_N)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전압 VGS가 6V인 경우의 유효 저항 RDS(on)의 최대값이 72mΩ인데 반해, 전압 VGS가 10V인 경우의 유효 저항 RDS(on)의 최대값은 59mΩ로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스위칭 전압(VSW_P) 및 제2 스위칭 전압(VSW_N)이 10V 이상이 되도록 전력구동회로(500)가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력구동회로(320)를 통해 프로세서(160)로부터 입력된 제1 및 제2 PWM 신호들을 10V 이상의 스위칭 전압신호들로 증폭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체적인 회로의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다만, 제1 스위칭 전압(VSW_P) 및 제2 스위칭 전압(VSW_N)은 최대 20V 이하로 제한될 수 있다.Meanwhile, as the voltage V GS between the gate electrode and the source electrode of each of the first transistor TR1 and the second transistor TR2 increases,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of each of the first transistor TR1 and the second transistor TR2 increase. Effective resistance R DS(on) in the case where current flow between the electrodes is allowed can be reduced. Since the source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ground, the voltage V GS between the gate electrode and the source electrode of the first transistor TR1 and the second transistor TR2 is the first switching voltage V SW_P and the second switching voltage V SW_N, respectively. ) can correspond to In one example, the maximum value of effective resistance R DS(on) when voltage V GS is 6V is 72 mΩ, whereas the maximum value of effective resistance R DS(on) when voltage V GS is 10 V is reduced to 59 mΩ. can Accordingly, the power driving circuit 500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first switching voltage V SW_P and the second switching voltage V SW_N are 10V or higher.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PWM signals input from the processor 160 through the power driving circuit 320 may be amplified into switching voltage signals of 10V or more. Accordingly, the overall efficiency of the circuit may be increased. However, the first switching voltage V SW_P and the second switching voltage V SW_N may be limited to a maximum of 20V or less.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전력구동회로(500)의 상세 회로 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전력구동회로(500)의 내부 회로를 보다 구체화한 것이다.FIG. 7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power driving circuit 500 shown in FIG. 6 . FIG. 7 is a more detailed internal circuit of the power driving circuit 500 shown in FIG. 6 .

도 7을 참조하면, INA 단자(501)를 통해 제1 PWM 신호(PWM_P)가 입력되고, INB 단자(502)를 통해 제2 PWM 신호(PWM_N)가 입력된다. VCC 단자(505)를 통해서는 제1 부스팅 전압, 즉 도 3에 도시된 제1 부스트 회로(310)를 통해 부스팅된 전압(V1)이 입력된다. VCC전압은 전력구동회로(500)의 내부 전원으로 사용된다.Referring to FIG. 7 , the first PWM signal PWM_P is input through the INA terminal 501 and the second PWM signal PWM_N is input through the INB terminal 502 . The first boosting voltage, that is, the voltage V1 boosted through the first boost circuit 310 shown in FIG. 3 is input through the VCC terminal 505 . The VCC voltage is used as an internal power source of the power driving circuit 500.

제1 PWM 신호(PWM_P)는 AND 게이트를 거쳐 증폭기(507)에서 증폭되어, 제1 스위칭 전압(Vsw_p)으로 OUTA단자(503)를 통해 출력된다.The first PWM signal PWM_P is amplified by the amplifier 507 through the AND gate, and is output through the OUTA terminal 503 as the first switching voltage Vsw_p.

제2 PWM 신호(PWM_N)는 AND 게이트를 거쳐 증폭기(508)에서 증폭되어, 제2 스위칭 전압(Vsw_n)으로 OUTB단자(504)를 통해 출력된다.The second PWM signal PWM_N is amplified by the amplifier 508 through the AND gate, and is output through the OUTB terminal 504 as the second switching voltage Vsw_n.

출력차단회로(506)는 전력구동회로(500)의 출력 전압이 부족한 경우, 즉 제1 및 제2 스위칭 전압이 낮은 경우, 이를 감지하여 출력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력 스위치가 부족한 게이트-소스 전압으로 어중간하게 턴온이 되면, 턴온 저항이 높아진다. 전류는 흐르는데, 저항이 높으면 전력 스위치에서 상당한 열이 발생한다. 이 상태가 수초만 지속되도 온도가 급격히 오르고 결국엔 단락되어(온도가 임계점 이상이면 단락된다) 과전류가 흐르거나, 최종적으로는 전력 스위치가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출력차단회로(506)는 제1 트랜지스터(TR1) 및 제2 트랜지스터(TR2) 각각의 게이트 전극과 소스 전극 사이의 전압 VGS이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AND 게이트에 출력차단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PWN 제어 신호, 예를 들면 논리신호"1"의 값과, 출력차단제어신호, 예를 들면 논리신호 "O"의 값이 인가되면, AND 게이트의 출력은 "O"이 되어 스위칭 전압이 출력되지 않는다. 여기서, 제1 또는 제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소스 전압(Vgs)을 기준으로 판단하거나, 제1 또는 제2 스위칭 전압의 미리 정해진 값, 예를 들면 10V 이하인지을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output blocking circuit 506 detects when the output voltage of the power driving circuit 500 is insufficient, that is, when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voltages are low, and performs a function of blocking the output. When the power switch is halfway turned on with insufficient gate-source voltage, the turn-on resistance becomes high. Current flows, and if the resistance is high, significant heat is generated in the power switch. Even if this state lasts for only a few seconds, the temperature rises rapidly and eventually there is a problem that an overcurrent flows due to a short circuit (if the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critical point), or finally the power switch is destroyed. Therefore, the output blocking circuit 506 transmits an output blocking control signal to the AND gate when the voltage V GS between the gate electrode and the source electrode of each of the first transistor TR1 and the second transistor TR2 is smaller than the threshold value. can In this case, when the value of the PWN control signal, for example, the logic signal "1" and the output blocking control signal, for example, the value of the logic signal "O" are applied, the output of the AND gate becomes "O" and the switching voltage is not printed out. Here, the determination may be made based on the gate-source voltage (Vgs) of the first or second transistor or based on whether the first or second switching voltage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for example, 10V.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출력차단회로(506)로부터 출력차단제어신호가 AND 게이트에서 논리연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논리회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output blocking control signal from the output blocking circuit 506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is logically operated in the AND gate,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various logic circuits, of course.

전력구동회로(500)는 상보적인 PWM 신호들, 예를 들면, 제1 PWM 신호(PWM_P) 및 제2 PWM 신호(PWM_N))를 하나의 통합회로에서 처리한 후, 진동자에 부스팅된 교류 전압(예를 들어, 제2 부스팅 전압(V2))을 인가할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진동자에 교류 전압이 인가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The power driving circuit 500 processes complementary PWM signals, for example, the first PWM signal PWM_P and the second PWM signal PWM_N, in one integrated circuit, and then boosts the AC voltage to the vibrator ( For example, the second boosting voltage (V 2 ) may be applied. A process of applying an AC voltage to the vibrato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1 .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PWM 신호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PWM signal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8을 참조하면, 제1 PWM 신호(PWM_P) 및 제2 PWM 신호(PWM_N)의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제1 PWM 신호(PWM_P) 및 제2 PWM 신호(PWM_N)는 기 설정된 주기(T)에 따라 하이 상태 및 로우 상태를 반복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 examples of the first PWM signal PWM_P and the second PWM signal PWM_N are shown. The first PWM signal PWM_P and the second PWM signal PWM_N may refer to signals that repeat a high state and a low stat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eriod (T).

제1 PWM 신호(PWM_P) 및 제2 PWM 신호(PWM_N)는 상보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PWM 신호(PWM_P)가 하이 상태인 경우 제2 PWM 신호(PWM_N)는 로우 상태이고, 제1 PWM 신호(PWM_P)가 로우 상태인 경우 제2 PWM 신호(PWM_N)는 하이 상태일 수 있다.The first PWM signal PWM_P and the second PWM signal PWM_N may be complementary.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 when the first PWM signal PWM_P is in a high state, the second PWM signal PWM_N is in a low state, and when the first PWM signal PWM_P is in a low state, the second PWM signal is in a low state. The PWM signal PWM_N may be in a high state.

일 예에서, 제1 PWM 신호(PWM_P) 및 제2 PWM 신호(PWM_N) 각각의 듀티비는 50%일 수 있다. 이 경우 t1은 0.5T, t2는 1.5T, t3는 2.5T일 수 있다. 다만,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PWM 신호(PWM_P) 및 제2 PWM 신호(PWM_N)의 듀티비는 다른 값을 가질 수도 있다. 다만, 제1 PWM 신호(PWM_P) 및 제2 PWM 신호(PWM_N)는 상보적이므로, 제1 PWM 신호(PWM_P) 및 제2 PWM 신호(PWM_N)의 듀티비들의 합은 100%여야 한다.In one example, the duty ratio of each of the first PWM signal PWM_P and the second PWM signal PWM_N may be 50%. In this case, t 1 may be 0.5T, t 2 may be 1.5T, and t 3 may be 2.5T. However,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duty ratios of the first PWM signal PWM_P and the second PWM signal PWM_N may have different values. However, since the first PWM signal PWM_P and the second PWM signal PWM_N are complementary, the sum of the duty ratios of the first PWM signal PWM_P and the second PWM signal PWM_N must be 100%.

한편, 제1 PWM 신호(PWM_P) 및 제2 PWM 신호(PWM_N)는 상보적이므로, 제1 트랜지스터(TR1)에 하이 상태의 제1 스위칭 전압(VSW_P)이 인가되는 경우, 제2 트랜지스터(TR2)에는 로우 상태의 제2 스위칭 전압(VSW_N)가 인가되고, 제1 트랜지스터(TR1)에 로우 상태의 제1 스위칭 전압(VSW_P)이 인가되는 경우, 제2 트랜지스터(TR2)에는 하이 상태의 제2 스위칭 전압(VSW_N)가 인가될 수 있다.Meanwhile, since the first PWM signal PWM_P and the second PWM signal PWM_N are complementary, when the high state first switching voltage V SW_P is applied to the first transistor TR1, the second transistor TR2 When the second switching voltage V SW_N in a low state is applied and the first switching voltage V SW_P in a low state is applied to the first transistor TR1, the second switching voltage V SW_N in a high state is applied to the second transistor TR2. 2 A switching voltage (V SW_N ) may be applied.

도 9 및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부스트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9 and 10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boost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제1 스위칭 전압(VSW_P)이 제1 상태(예를 들어, 하이 또는 로우 상태)이고, 제2 스위칭 전압(VSW_N)이 제2 상태(예를 들어, 로우 또는 하이 상태)인 경우, 제1 인덕터(L1) 및 제2 인덕터(L2) 중 하나의 인덕터와 접지 사이의 전류 흐름이 허용됨에 따라, 상기 하나의 인덕터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변화에 대응되는 에너지가 상기 하나의 인덕터에 저장되고, 제1 인덕터(L1) 및 제2 인덕터(L2) 중 다른 하나의 인덕터와 접지 사이의 전류 흐름이 차단됨에 따라, 상기 다른 하나의 인덕터에 저장되어 있던 에너지가 진동자로 전달될 수 있다.When the first switching voltage V SW_P is in a first state (eg, high or low state) and the second switching voltage V SW_N is in a second state (eg, low or high state), As current flow between one of the first inductor (L1) and the second inductor (L2) and the ground is allowed, energy corresponding to a change in current flowing through the one inductor is stored in the one inductor, As current flow between the other one of the first inductor L1 and the second inductor L2 and the ground is blocked, energy stored in the other one inductor can be transferred to the vibrator.

도 9를 참조하면, 제1 스위칭 전압(VSW_P)이 하이 상태이고, 제2 스위칭 전압(VSW_N)이 로우 상태인 경우의 제2 부스트 회로(320)의 등가 회로가 도시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9 , an equivalent circuit of the second boost circuit 320 when the first switching voltage V SW_P is in a high state and the second switching voltage V SW_N is in a low state is show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위칭 전압(VSW_P)이 하이 상태인 경우, 제1 트랜지스터(TR1)의 소스 전극와 드레인 단자 사이의 전류 흐름이 허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인덕터(L1)와 접지 사이의 전류 흐름이 허용될 수 있다. 제1 인덕터(L1)는 진동자(P)와도 연결되어 있으나, 진동자(P)는 0이 아닌 부하 값(예를 들어, 커패시턴스)을 갖는데 반해, 접지의 저항은 0이거나 실질적으로 0에 가까우므로, 제1 인덕터(L1)를 통해 흐르는 전류(I1)는 실질적으로 모두 접지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제1 인덕터(L1)를 통해 전류(I1)가 흐르므로, 제1 인덕터(L1)는 전류(I1)에 대응되는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 when the first switching voltage V SW_P is in a high state, current may flow between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terminal of the first transistor TR1 . Accordingly, current flow between the first inductor L1 and the ground may be permitted. The first inductor L1 is also connected to the transducer P, but the transducer P has a non-zero load value (eg, capacitance), whereas the resistance of the ground is zero or substantially close to zero, Substantially all of the current I 1 flowing through the first inductor L1 may be transferred to the ground. Meanwhile, since current I 1 flows through the first inductor L1 , the first inductor L1 may store energy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I 1 .

제2 스위칭 전압(VSW_N)이 로우 상태인 경우, 제2 트랜지스터(TR2)의 소스 전극와 드레인 단자 사이의 전류 흐름이 차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인덕터(L2)에 저장되어 있던 에너지가 진동자(P)로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자(P)를 통해 흐르는 전류(I)는 제2 인덕터(L2)를 통해 흐르는 전류(I2)에 대응될 수 있다.When the second switching voltage V SW_N is in a low state, current flow between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terminal of the second transistor TR2 may be blocked. Accordingly, energy stored in the second inductor L2 may be supplied to the vibrator P. For example, the current I flowing through the vibrator P may correspond to the current I 2 flowing through the second inductor L2.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스위칭 전압(VSW_P)이 로우 상태이고, 제2 스위칭 전압(VSW_N)이 하이 상태인 경우의 제2 부스트 회로(320)의 등가 회로가 도시되어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10 , an equivalent circuit of the second boost circuit 320 when the first switching voltage V SW_P is in a low state and the second switching voltage V SW_N is in a high state is shown.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위칭 전압(VSW_P)이 로우 상태인 경우, 제1 트랜지스터(TR1)의 소스 전극와 드레인 단자 사이의 전류 흐름이 차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인덕터(L1)에 저장되어 있던 에너지가 진동자(P)로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자(P)를 통해 흐르는 전류(I)는 제1 인덕터(L1)를 통해 흐르는 전류(I1)에 대응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 when the first switching voltage V SW_P is in a low state, current flow between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terminal of the first transistor TR1 may be blocked. Accordingly, energy stored in the first inductor L1 may be supplied to the vibrator P. For example, the current I flowing through the vibrator P may correspond to the current I 1 flowing through the first inductor L1.

제2 스위칭 전압(VSW_N)이 하이 상태인 경우, 제2 트랜지스터(TR2)의 소스 전극와 드레인 단자 사이의 전류 흐름이 허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인덕터(L2)와 접지 사이의 전류 흐름이 허용될 수 있다. 제2 인덕터(L2)는 진동자(P)와도 연결되어 있으나, 진동자(P)는 0이 아닌 부하 값(예를 들어, 커패시턴스)을 갖는데 반해, 접지의 저항은 0이거나 실질적으로 0에 가까우므로, 제2 인덕터(L2)를 통해 흐르는 전류(I2)는 실질적으로 모두 접지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제2 인덕터(L2)를 통해 전류(I2)가 흐르므로, 제2 인덕터(L2)는 전류(I2)에 대응되는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switching voltage V SW_N is in a high state, current flow between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terminal of the second transistor TR2 may be allowed. Accordingly, current flow between the second inductor L2 and the ground may be permitted. The second inductor L2 is also connected to the oscillator P, but since the oscillator P has a non-zero load value (eg, capacitance), the resistance of the ground is 0 or substantially close to 0, Substantially all of the current I 2 flowing through the second inductor L2 may be transferred to the ground. Meanwhile, since current I 2 flows through the second inductor L2 , the second inductor L2 may store energy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I 2 .

한편, 제1 스위칭 전압(VSW_P) 및 제2 스위칭 전압(VSW_N) 각각은 PWM 신호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갖고, 하이 상태 또는 로우 상태를 반복하는 전압 신호에 해당하는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전술한 스위칭 상태들이 빠르게 반복될 수 있다. 인덕터의 역기전력은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이, 인덕터의 인덕턴스 값(L) 및 시간에 따른 전류의 변화(

Figure pat00002
)에 비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each of the first switching voltage (V SW_P ) and the second switching voltage (V SW_N ) has a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PWM signal and corresponds to a voltage signal that repeats a high state or a low state, FIGS. 9 and 10 The switching state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can be quickly repeated. 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of the inductor is the inductance value (L) of the inductor and the change in current over time (
Figure pat00002
) can be proportional to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따라서, 제1 부스팅 전압(V1)이 높아져서 인덕터를 통해 흐르는 전류(I) 자체가 증가하거나, 스위칭 속도가 높을수록(다시 말해, PWM 신호의 주기가 짧을수록) 진동자에 높은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Therefore, as the first boosting voltage (V 1 ) increases, the current (I) itself flowing through the inductor increases, or as the switching speed increases (ie, as the period of the PWM signal decreases), a higher voltage can be applied to the vibrator. there is.

실시 예에서, 초음파 진동자를 구동하기 위한 스위칭 드라이버 회로, 도 6 및 7에 도시된 전력구동회로를 하나의 IC로 통합하여, PCB 사이즈를 축소시킬 수 있다. In an embodiment, a PCB size may be reduced by integrating a switching driver circuit for driving an ultrasonic vibrator and a power driving circuit shown in FIGS. 6 and 7 into one IC.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자에 인가되는 전압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11 is a graph illustrating a change in voltage applied to a vibrat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1 참조하면,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회로 구성들에 의할 때, 진동자에 인가되는 전압의 변화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의 예시에서, 진동자에 인가되는 교류 전압의 피크 투 피크 전압 값은 55V 내지 70V 범위에 해당할 수 있다. 이는 배터리 전압(예를 들어, 3.4V 내지 4.2V)의 최소 13.1배 내지 최대 20.6배 범위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이와 같이, 본 개시에 따르면, 전체적인 회로의 사이즈 및 전력 소모를 과도하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높은 전압 값을 갖는 교류 전압이 진동자에 인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 changes in voltage applied to the vibrator are illustrated according to the circuit configuration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10 . In the example of FIG. 11 , the peak-to-peak voltage value of the AC voltage applied to the vibrator may correspond to a range of 55V to 70V. This is a value corresponding to a minimum of 13.1 times to a maximum of 20.6 times the battery voltage (eg, 3.4V to 4.2V). As such,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t can be seen that an AC voltage having a high voltage value can be applied to the vibrator without excessively increasing the size and power consumption of the overall circuit.

다시 도 3으로 돌아와서, 진동자는 제2 부스트 회로(320)로부터 제2 부스팅 전압(V2)이 인가됨에 따라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고,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배터리(110), 제1 부스트 회로(310) 및 제2 부스트 회로(3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제1 부스트 회로(310)에 승압을 수행하라는 인에이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제2 부스트 회로(320)에 인에이블 신호 및 PWM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Returning to FIG. 3 again, the vibrator may generate ultrasonic vibration and atomize the aerosol-generating material as the second boosting voltage V 2 is applied from the second boost circuit 320 . The processor 160 may control the battery 110 , the first boost circuit 310 and the second boost circuit 320 . For example, the processor 160 may transmit an enable signal to perform a step-up to the first boost circuit 310 and may transmit an enable signal and a PWM signal to the second boost circuit 320 .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2 is a diagram show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a cart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2를 참조하면, 진동자(P)가 카트리지(예: 도 2의 카트리지(20))에 포함되는 예시에서의 카트리지의 회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2 , a circuit configuration of a cartridge in an example in which a vibrator P is included in a cartridge (eg, the cartridge 20 of FIG. 2 ) is shown.

카트리지는 외부 전원(예: 도 3의 제2 부스트 회로(320))에서 진동자로 교류 전압(예: 제2 부스팅 전압(V2))이 인가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노이즈를 제거 또는 필터링하기 위한 저항(R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항(R0)은 인쇄 회로 기판의 일 영역에 실장(mounted)되어, 진동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카트리지에 배치될 수 있다.The cartridge is a resistor for removing or filter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applying an AC voltage (eg, the second boosting voltage (V 2 )) to the vibrator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eg, the second boost circuit 320 of FIG. 3 ). (R 0 ). For example, the resistor R 0 may be mounted on one area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disposed on the cartridge whi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ibrator.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R0)은 진동자와 전기적으로 병렬로 연결되는 피드백 회로를 형성함으로써, 진동자에 인가되는 전압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 또는 필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항(R0)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예: 도 1 또는 도 2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작동 시(또는 "전원 on")에 발생되는 노이즈를 제거하여 진동자에 안정적인 전압이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저항(R0)은 진동자에 교류 전압이 인가되는 시점 또는 교류 전압이 인가되는 동안 진동자와 외부 전원 사이에서 발생되는 노이즈를 제거 또는 필터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이즈에 의한 진동자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고, 카트리지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안정적으로 작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2 , the resistor R 0 may remove or filter noise included in a voltage signal applied to the vibrator by forming a feedback circu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ibrator in parallel. For example, the resistor R 0 is a stable voltage to the vibrator by removing noise generated during operation (or “power 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eg,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of FIG. 1 or 2). This can be authorized. In addition, the resistor R 0 may remove or filter noise generated between the vibrator and an external power source when the AC voltage is applied to the vibrator or while the AC voltage is applied. Accordingly, damage to the vibrator due to noise can be prevented, and the cartridge or aerosol generating device can be drawn stably.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항(R0)은 약 0.8MΩ 내지 약 1.2MΩ의 저항 값을 갖도록 형성되어 진동자에 인가되는 전압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다만, 저항(R0)의 저항 값은 실시예에 따라 일부 변경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esistor R 0 is formed to have a resistance value of about 0.8MΩ to about 1.2MΩ to remove noise included in a voltage signal applied to the vibrator. However, the resistance value of the resistor R 0 may be partially changed according to embodiments.

상술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보호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s merely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invention will be determ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o those described in the claims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protection defined by the claims.

10: 에어로졸 생성 장치 320: 제2 부스트 회로
110: 배터리 410: DC-DC 컨버터
120: 무화기 500: 전력구동회로
130: 센서 510: 승압회로
140: 사용자 인터페이스
150: 메모리
160: 프로세서
20: 카트리지
25: 본체
200: 하우징
210: 마우스피스
210e: 배출구
220: 저장조
230: 액체 전달 수단
240: 배출 통로
310: 제1 부스트 회로
10: aerosol generating device 320: second boost circuit
110: battery 410: DC-DC converter
120: atomizer 500: power drive circuit
130: sensor 510: boost circuit
140: user interface
150: memory
160: processor
20: cartridge
25: body
200: housing
210: mouthpiece
210e: outlet
220: reservoir
230 liquid delivery means
240: discharge passage
310: first boost circuit

Claims (12)

배터리 전압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 전압보다 높은 제1 부스팅 전압으로 승압하는 제1 부스트 회로;
제1 및 제2 PWM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스위칭 전압을 각각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및 제2 스위칭 전압에 따라 상기 제1 부스팅 전압을 제2 부스팅 전압으로 승압하는 제2 부스트 회로;
상기 제2 부스팅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고,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하는 진동자; 및
상기 배터리, 상기 제1 부스트 회로 및 상기 제2 부스트 회로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a battery supplying battery voltage;
a first boost circuit boosting the voltage to a first boosting voltage higher than the battery voltage;
A second boost for generating first and second switching voltages based on first and second PWM signals, respectively, and boosting the first boosting voltage to a second boosting voltage according to the generated first and second switching voltages. Circuit;
a vibrator generating ultrasonic vibrations and atomizing an aerosol-generating material as the second boosting voltage is applied; and
and a processor controlling the battery, the first boost circuit and the second boost circu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스트 회로는,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1 및 제2 PWM 신호를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전압을 각각 생성하는 전력 구동 회로; 및
상기 전력 구동 회로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전압에 따라 상기 제1 부스팅 전압을 상기 제2 부스팅 전압으로 승압하는 승압 회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boost circuit,
a power driving circuit for generating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voltages, respectively,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PWM signals input from the processor; and
and a boosting circuit for boosting the first boosting voltage to the second boosting voltage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voltages output from the power driving circui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압 회로는,
일단이 상기 제1 부스팅 전압이 인가되고, 타단이 상기 진동자의 일단에 연결된 제1 인덕터;
상기 제1 인덕터의 상기 타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스위칭 전압에 따라 상기 제1 인덕터와 접지 사이의 전류 흐름을 스위칭하는 제1 트랜지스터;
일단에 상기 제1 부스팅 전압이 인가되고, 타단이 상기 진동자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 인덕터; 및
상기 제2 인덕터의 상기 타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스위칭 전압에 따라 상기 제2 인덕터와 접지 사이의 전류 흐름을 스위칭하는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boost circuit,
a first inductor having one end to which the first boosting voltage is applied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vibrator;
a first transistor connected to the other terminal of the first inductor and switching current flow between the first inductor and a ground according to the first switching voltage;
a second inductor having one end applied with the first boosting voltag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vibrator; and
and a second transisto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inductor and switching current flow between the second inductor and ground according to the second switching voltag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구동 회로는,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전압 중 어느 하나가 임계전압 이하인 경우, 상기 전력 구동 회로의 출력을 차단하는 출력차단회로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power drive circuit,
When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voltages is less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oltag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n output blocking circuit for blocking the output of the power driving circui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구동 회로는,
하나의 통합 IC로 구현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power drive circuit,
Aerosol generating device implemented in one integrated IC.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스팅 전압은 상기 배터리 전압의 적어도 3배 이상이고,
상기 제2 부스팅 전압은 상기 제1 부스팅 전압의 적어도 4배 이상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boosting voltage is at least three times higher than the battery voltage,
Wherein the second boosting voltage is at least four times greater than the first boosting volt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전압 및 상기 제1 부스팅 전압은 DC(direct current) 전압이고, 상기 제2 부스팅 전압은 AC(alternating current) 전압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attery voltage and the first boosting voltage are direct current (DC) voltages, and the second boosting voltage is an alternating current (AC) volt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스트 회로는,
상기 배터리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단자, 상기 입력 단자와 파워 인덕터를 통해 연결되는 스위치 단자, 기준 전압 단자, 및 상기 제1 부스팅 전압을 출력하는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DC-DC 컨버터;
일단이 상기 출력 단자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기준 전압 단자에 연결되는 제1 저항; 및
일단이 상기 기준 전압 단자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에 연결되는 제2 저항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boost circuit,
a DC-DC converter including an input terminal to which the battery voltage is applied, a switch terminal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through a power inductor, a reference voltage terminal, and an output terminal outputting the first boosting voltage;
a first resisto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reference voltage terminal; and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second resisto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reference voltage terminal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groun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DC-DC 컨버터는,
상기 제1 저항 및 상기 제2 저항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부스팅 전압을 출력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DC-DC converte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that outputs the first boosting voltage based on the ratio of the first resistance and the second resistan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전극에 인가된 상기 제1 스위칭 전압의 상태에 따라, 접지에 연결된 소스 전극과 상기 제1 인덕터의 상기 타단에 연결된 드레인 전극 사이의 전류 흐름을 스위칭하는 반도체 스위치이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전극에 인가된 상기 제2 스위칭 전압의 상태에 따라, 접지에 연결된 소스 전극과 상기 인덕터의 상기 타단에 연겨러된 드레인 전극 사이의 전류 흐름을 스위칭하는 반도체 스위치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transistor,
A semiconductor switch that switches a current flow between a source electrode connected to ground and a drain electrod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inductor according to a state of the first switching voltage applied to a gate electrode,
The second transistor,
A semiconductor switch that switches a current flow between a source electrode connected to the ground and a drain electrod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inductor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second switching voltage applied to the gate electrod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WM 신호 및 상기 제2 PWM 신호는 상보적(complementary)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wherein the first PWM signal and the second PWM signal are complementary.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 전압이 제1 상태이고, 상기 제2 스위칭 전압이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인덕터 및 상기 제2 인덕터 중 하나의 인덕터와 접지 사이의 전류 흐름이 허용됨에 따라, 상기 하나의 인덕터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변화에 대응되는 에너지가 상기 하나의 인덕터에 저장되고,
상기 제1 인덕터 및 상기 제2 인덕터 중 다른 하나의 인덕터와 접지 사이의 전류 흐름이 차단됨에 따라, 상기 다른 하나의 인덕터에 저장되어 있던 에너지가 상기 진동자로 전달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According to claim 3,
When the first switching voltage is in a first state and the second switching voltage is in a second state,
As current flow between one of the first inductor and the second inductor and the ground is allowed, energy corresponding to a change in current flowing through the one inductor is stored in the one inductor,
As the current flow between the other one of the first inductor and the second inductor and the ground is blocked, the energy stored in the other inductor is transferred to the vibrator.
KR1020210144965A 2021-08-20 2021-10-27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including vibrator Active KR1026355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928,259 US20240292902A1 (en) 2021-08-20 2022-07-22 Aerosol generating device
JP2022575486A JP7539496B2 (en) 2021-08-20 2022-07-22 Aerosol Generator
CN202280004079.8A CN115996650A (en) 2021-08-20 2022-07-22 Aerosol generating device
PCT/KR2022/010774 WO2023022378A1 (en) 2021-08-20 2022-07-22 Aerosol generating device
EP22802861.9A EP4164429A4 (en) 2021-08-20 2022-07-22 AEROSOL GENERA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10305 2021-08-20
KR1020210110305 2021-08-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8089A true KR20230028089A (en) 2023-02-28
KR102635552B1 KR102635552B1 (en) 2024-02-13

Family

ID=85326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4965A Active KR102635552B1 (en) 2021-08-20 2021-10-27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including vib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555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5139848A1 (en) * 2023-12-27 2025-07-03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Heating circuit, and aerosol generation apparatus and heating method theref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527558A (en) * 2016-08-08 2019-10-03 アール・エイ・アイ・ストラテジック・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Boost converter for aerosol delivery devices
KR20200031651A (en) * 2017-07-17 2020-03-24 레이 스트라티직 홀딩스, 인크. Non-heated, non-combustible tobacco products
KR20210062270A (en) * 2019-11-21 2021-05-31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Induction heating device using fan coil
KR20210123369A (en) * 2019-02-06 2021-10-13 레이 스트라티직 홀딩스, 인크. Aerosol delivery device with buck-boost regulator circui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527558A (en) * 2016-08-08 2019-10-03 アール・エイ・アイ・ストラテジック・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Boost converter for aerosol delivery devices
KR20200031651A (en) * 2017-07-17 2020-03-24 레이 스트라티직 홀딩스, 인크. Non-heated, non-combustible tobacco products
KR20210123369A (en) * 2019-02-06 2021-10-13 레이 스트라티직 홀딩스, 인크. Aerosol delivery device with buck-boost regulator circuit
KR20210062270A (en) * 2019-11-21 2021-05-31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Induction heating device using fan coi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5139848A1 (en) * 2023-12-27 2025-07-03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Heating circuit, and aerosol generation apparatus and heating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5552B1 (en) 2024-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9809B1 (en) Cartridge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same
JP7413539B2 (en) Aerosol generation device including a vibrator and its operating method
JP7513767B2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748234B1 (e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trolling thereof
KR20220063064A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ing improved vibration transmitter
KR20210150928A (en) Cartridge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thereof
KR102570079B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477685B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635552B1 (e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including vibrator
JP7539496B2 (en) Aerosol Generator
KR102570078B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KR102626890B1 (e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including vibrator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KR102625767B1 (e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including vibrator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KR102523580B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7459281B2 (en) Aerosol generation device and its operating method
JP7568722B2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ing an oscillator and its operating method
US20240172790A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based on ultrasound vibration and method thereof
KR102571203B1 (en) Sealing device for vibrator, and Seal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CN115996651A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KR102634882B1 (e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KR20220124596A (en) Cartridge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same
KR102639731B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KR102628987B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based on ultrasound vibration and method thereof
KR20230090995A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cartridge insertion recognition circuit that senses the cartridge, and user input process method
CN119403461A (en) Method for generating aerosol using ultrasonic vibrator and electronic device for executing th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5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