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026472A - 사진 촬영 방법, 장치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사진 촬영 방법, 장치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6472A
KR20230026472A KR1020237002225A KR20237002225A KR20230026472A KR 20230026472 A KR20230026472 A KR 20230026472A KR 1020237002225 A KR1020237002225 A KR 1020237002225A KR 20237002225 A KR20237002225 A KR 20237002225A KR 20230026472 A KR20230026472 A KR 20230026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
under
picture
area
scree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2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웨이 펑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26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6472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04N23/632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for displaying or modifying preview images prior to image capturing, e.g. variety of image resolutions or capturing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5Computational photography systems, e.g. light-field imaging systems
    • H04N23/951Computational photography systems, e.g. light-field imaging systems by using two or more images to influence resolution, frame rate or aspect rat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사진 촬영 방법, 장치 및 전자기기를 개시하며, 모바일 단말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제1 사진이 제1 영역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언더-스크린 카메라가 소재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스크린 영역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간단한 사진 이동 조작을 수행하면 바로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조작이 유연하고 간편하다.

Description

사진 촬영 방법, 장치 및 전자기기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20년 08월 07일자로 중국에서 출원한 중국 특허출원번호가 202010791067.7인 특허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그 전부의 내용은 인용을 통해 본 청구에 포함되었다.
본 출원은 이동 단말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진 촬영 방법, 장치 및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언더-스크린 카메라는 전자기기의 스크린 패널 아래에 카메라가 설치되고,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이용해야 할 때,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작동시켜 촬영을 수행한다. 언더-스크린 카메라 기술로 스크린 패널에 별도의 홀 또는 노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진정한 풀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현재 사용자가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작동시키려면, 스크린 테마 인터페이스를 전환하여 언더-스크린 카메라의 카메라 아이콘을 찾은 다음 카메라 아이콘을 클릭하여 카메라를 작동시켜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작동시켜 촬영을 수행하는 과정은 사용자가 여러 번의 조작을 수행해야 하고, 단계가 기계적이고 번거롭다. 특히 전자기기에 여러 개의 테마 인터페이스와 대량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언더-스크린 카메라 아이콘을 찾는데 비교적 긴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사용자의 조작에 불편하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목적은 사진 촬영 방법을 제공하여 기존의 언더-스크린 카메라 작동 방식이 기계적이고 번거로워 사용자의 조작에 불편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은 다음과 같이 구현된다.
제1 양상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사진 촬영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해당 방법은,
제1 사진이 제1 영역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언더-스크린 카메라가 소재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스크린 영역이다.
제2 양상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사진 촬영 장치를 제공함에 있어서, 해당 장치는,
제1 사진이 제1 영역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작동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언더-스크린 카메라가 소재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스크린 영역이다.
제3 양상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전자기기를 제공함에 있어서, 해당 전자기기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양상에 따른 상기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4 양상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저장되며,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양상에 따른 상기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5 양상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칩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칩은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세서와 결합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제1 양상에 따른 상기 방법을 구현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사진이 제1 영역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작동시키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언더-스크린 카메라가 소재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스크린 영역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제1 사진이 언더-스크린 카메라가 소재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스크린 영역에 이동된 것이 검출되면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작동시켜 사진 촬영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가 간단한 사진 이동 조작을 수행함으로써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조작이 유연하고 간편하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 촬영 방법의 단계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화면 인터페이스의 프롬프트 박스가 표시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앨범 인터페이스에서 언더-스크린 카메라의 프롬프트 박스가 표시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 배열 방식이 표시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언더-스크린 카메라가 사진 촬영을 수행시의 광선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언더-스크린 카메라가 사용자 조작을 포착하는 인터페이스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 촬영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조 개략도이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에 대해 명확하고 온전하게 설명하도록 하며,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는 본 출원의 모든 실시예가 아니라 일부 실시예에 불과함이 분명하다. 본 출원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출원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창의적인 노력 없이 얻은 다른 모든 실시예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출원의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서 “제1”, “제2” 등 용어는 유사한 대상을 구별하는 데 사용되며, 특정 순서나 선후 순서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지 않는다. 이렇게 사용된 용어는 적절한 상황에서 서로 교환되어 본 출원의 실시예가 여기에 도시되거나 설명된 것 외의 다른 순서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서 “및/또는”은 연결된 대상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고, 부호 “/”는 일반적으로 앞뒤의 연관 대상이 “또는”의 관계임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 및 이의 응용 시나리오를 통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 촬영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 촬영 방법의 단계 흐름도가 도시되었고, 여기서, 해당 방법은 S10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제 응용에서, 해당 방법은 전자기기에 응용될 수 있고, 해당 전자기기는 휴대폰, 태블릿 PC 등 언더-스크린 카메라가 구성되어 있는 단말기기일 수 있다.
S100: 제1 사진이 제1 영역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작동시키며, 여기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언더-스크린 카메라가 소재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스크린 영역이다.
전술한 S100에서,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사진이 언더-스크린 카메라가 소재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스크린 영역으로 이동된 것이 검출되면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작동시킨다. 즉 사진 촬영을 수행하도록 촬영 기능을 트리거한다. 촬영 명령을 수신하면 대응하는 목표 사진을 생성하여 사진 촬영 과정을 완성한다. 전술한 제어 방식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진을 프롬프트 박스 내부로 이동시키면,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작동하도록 트리거할 수 있어, 조작이 간단하고 유연하고 빠르며, 대량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에서 카메라 아이콘을 찾는 번거로운 조작을 피하고, 사용자가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작동시키는 시간을 절약하고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빠르게 작동시켜 순간적으로 사라지는 화면을 포착하는 데 용이하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방식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 촬영 방법은, 상기 S100 이전에, S1001을 더 포함한다.
S1001: 미리 설정된 인터페이스의 상기 제1 영역에 언더-스크린 카메라의 프롬프트 박스를 표시한다.
해당 S1001에서, 미리 설정된 인터페이스는 미리 설정된 카메라의 프롬프트 박스를 표시할 수 있는 스크린 인터페이스이고, 실제 응용에서, 해당 미리 설정된 인터페이스는 사진 또는 비디오의 촬영을 수행하기 위해 자주 카메라를 사용하는 스크린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어 잠금화면 인터페이스, 위젯화면 인터페이스, 스마트 시나리오 인터페이스, 앨범 인터페이스, 사진 촬영 인터페이스 등이다. 실제 응용에서, 해당 미리 설정된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에 의해 자신의 필요에 따라 추가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스크린에 표시되는 프롬프트 박스는 언더-스크린 카메라의 구체적인 위치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해당 프롬프트 박스가 스크린에 표시된 위치는 언더-스크린 카메라의 위치와 상호 대응한다. 구체적으로, 언더-스크린 카메라의 구체적 위치를 편리하고 직관적으로 지시하기 위해 프롬프트 박스는 스크린에서 언더-스크린 카메라의 바로 위에 표시된다.
본 실시방식은 스크린의 제1 영역에서 언더-스크린 카메라의 프롬프트 박스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언더-스크린 카메라가 소재하는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있고,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제1 사진을 언더-스크린 카메라가 소재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스크린 영역 내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하여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빠르게 작동시켜 사진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실제 응용에서, 해당 프롬프트 박스는 점선 박스의 형태로 스크린에 표시되고, 대응되는 프롬프트 정보를 전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잠금화면 인터페이스의 프롬프트 박스가 표시된 개략도가 도시되었고, 프롬프트 박스는 점선 형태로 언더-스크린 카메라가 소재하는 위치의 스크린에 표시되고, “카메라가 여기 있어요”라고 프롬프트한다.
선택적으로, 사용자가 프롬프트 박스를 미리 설정된 횟수(예: 두 번)로 바로 클릭하면, 카메라 아이콘을 찾아 클릭하는 방식을 통해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작동시킬 필요없이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빠르게 웨이크업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 구체적인 실시방식에서, 전술한 S1001은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컨트롤이 작동되는 경우에 미리 설정된 인터페이스의 상기 제1 영역에 언더-스크린 카메라의 프롬프트 박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컨트롤은 전술한 프롬프트 박스를 켜거나 끄는 데 사용되고, 해당 미리 설정된 컨트롤은 플로팅 볼의 방식으로 스크린 인터페이스에 표시될 수 있고, 전자기기의 메뉴 바 아래에 설정될 수도 있다. 해당 미리 설정된 컨트롤은 켜짐 및 꺼짐을 포함한 두 개의 상태를 갖고, 해당 미리 설정된 컨트롤에 대한 클릭을 통해 해당 미리 설정된 컨트롤이 켜짐 상태에 처하게 한 경우, 프롬프트 박스를 미리 설정된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고, 해당 미리 설정된 컨트롤에 대한 클릭을 통해 해당 미리 설정된 컨트롤이 꺼짐 상태에 처하게 한 경우, 프롬프트 박스를 미리 설정된 인터페이스에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구체적인 실시방식에서, 미리 설정된 컨트롤이 켜져 있고, 미리 설정된 인터페이스가 검출되어야만, 스크린의 제1 영역에서 언더-스크린 카메라의 프롬프트 박스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필요에 따라 미리 설정된 인터페이스에서 언더-스크린 카메라 프롬프트 박스를 표시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데 용이하다.
일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언더-스크린 카메라가 켜져 있을 때, 언더-스크린 카메라가 소재하는 위치의 스크린은 자동으로 투명, 즉 투광률이 100%로 전환되어 사용자가 스크린 뒤에 숨겨진 카메라 구조를 바로 볼 수 있어 사용자에게 진실적이고 고급스럽고 스마트한 직관적인 느낌을 줄 수 있다.
실제 응용에서,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사진은 미리 설정된 인터페이스의 임의의 사진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인터넷 홈페이지, 모멘트, 앨범 등 애플리케이션에서 전시될 수 있는 사진이고, 사용자는 해당 적어도 하나의 사진을 선택하고 이를 전술한 프롬프트 박스 내로 이동시키기만 하면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작동시켜 사진을 촬영하여 목표 사진을 생성하도록 트리거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방식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 촬영 방법에서 상기 프롬프트 박스 내부로 이동되는 사진의 개수가 하나인 경우에 도 1을 계속하여 참조하면, 전술한 S100 이후에 S201을 더 포함한다.
S201: 상기 제1 영역으로 이동된 사진을 사진 배경으로 결정한다.
전술한 S201에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사진을 언더-스크린 카메라가 소재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스크린 영역 내부로 이동시키는 경우, 사용자가 해당 적어도 하나의 사진을 배경 소재로 하고 언더-스크린 카메라에서 획득되는 현재 사진 화면에 대해 사진 처리를 수행하기를 희망함을 설명하므로, 제1 영역으로 이동되는 사진이 하나일 때 직접 해당 사진을 촬영 배경으로 하여 사진 합성 처리 후의 촬영 효과를 즉시 전시할 수 있다.
실제 응용에서, 제1 영역으로 이동되는 사진이 변화될 때, 이에 따라 전술한 사진 배경도 변화되며, 즉 제1 영역으로 이동되는 사진에 근거하여 사진 배경도 업데이트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방식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 촬영 방법은, 상기 S201 이후에, S202 내지 S203을 더 포함한다.
S202: 상기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호출하여 미리보기 사진을 수집한다.
전술한 S202에서, 전술한 미리보기 사진은 즉 언더-스크린 카메라의 시야각 범위 내의 현재 장면 화면이고, 현재 언더-스크린 카메라가 켜짐 상태에 있으므로, 언더-스크린 카메라는 그의 시야각 범위 내의 현재 장면 화면을 수집하여 전술한 미리보기 사진을 얻을 수 있다.
S203: 상기 미리보기 사진 및 상기 사진 배경에 따라 목표 사진을 생성한다.
전술한 S203에서, 즉 S202에서 수집된 미리보기 사진과 전술한 S201에서 결정된 배경 사진에 대해 사진 합성 처리를 수행하여 목표 사진을 생성하고 해당 목표 사진을 스크린에 전시한다.
실제 응용에서, 스크린에 여러 가지의 사진 합성 방식을 전시할 수 있고, 목표 사진 합성 방식에 대한 사용자의 제2 입력을 수신할 때 전술한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전술한 목표 사진 합성 방식에 의해 전술한 미리보기 사진과 배경 사진에 대해 합성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사진 합성 방법은 상부 오버랩과 하부 오버랩을 포함할 수 있고, 상부 오버랩에 대한 사용자의 제2 입력을 수신할 때, 전술한 미리보기 사진을 배경 사진상에 오버랩하여 사진 합성 처리를 수행하고 목표 사진을 생성하며, 하부 오버랩에 대한 사용자의 제2 입력을 수신할 때, 전술한 배경 사진을 전술한 미리보기 사진상에 오버랩하여 사진 합성 처리를 수행하고 목표 사진을 생성한다.
본 실시방식에서, 하나의 사진을 언더-스크린 카메라가 소재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스크린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검출되면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작동시켜 사진 촬영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프롬프트 박스 내부로 이동된 사진을 사진 배경으로 하여 언더-스크린 카메라에서 수집된 미리보기 사진과 함께 목표 사진을 합성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간단한 사진 이동 조작만 수행하면 바로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작동시켜 사진의 합성을 구현할 수 있어 언더-스크린 카메라에 더욱 빠르고 스마트한 사진 촬영 방식을 부여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방식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 촬영 방법에서 상기 프롬프트 박스 내부로 이동되는 사진의 개수가 여러 개인 경우에, 전술한 S100 이후에 S211 내지 S214를 더 포함한다.
S211: 적어도 하나의 사진 배열 방식을 표시한다.
전술한 S211에서, 사진 배열 방식은 언더-스크린 카메라 프롬프트 박스 내부로 이동되는 여러 개의 사진의 배열 방식, 그리고 언더-스크린 카메라에서 수집되는 사진 화면과 어떤 방식으로 목표 사진을 합성하는지를 규정한다.
실제 응용에서, 전술한 적어도 한 가지 사진 배열 방식은 8궁격, 9궁격, 10궁격, 포스터 및 자유 조합 등 배열 방식일 수 있다.
S212: 목표 사진 배열 방식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목표 사진 배열 방식에 따라 상기 프롬프트 박스 내부의 사진을 배열하여 이어맞춤 사진을 얻는다.
전술한 S212에서, 전술한 제1 입력은 목표 사진 배열 방식에 대한 선택 조작이고, 목표 사진 배열 방식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가 목표 사진 배열 방식에 따라 프롬프트 박스 내부로 이동된 여러 개의 사진과 언더-스크린 카메라에서 수집한 사진 화면에 대한 이어맞춤 조합을 원함을 설명하므로, 우선 목표 사진 배열 방식에 따라 프롬프트 박스 내부의 사진을 배열하여 프롬프트 박스 내부에 이동된 여러 개의 사진에 기초하여 이어맞춤 사진을 얻음으로써 해당 이어맞춤 사진을 이용하여 언더-스크린 카메라에서 수집한 사진 화면과 이어맞춤 조합을 수행하는 데 용이하다.
S213: 상기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호출하여 미리보기 사진을 수집한다.
전술한 S213은 S202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S214: 상기 미리보기 사진 및 상기 이어맞춤 사진에 근거하여 목표 사진을 생성한다.
전술한 S214에서, 즉 사진 합성 기술을 이용하여 전술한 미리보기 사진과 이어맞춤 사진을 하나의 사진으로 합성하여 전술한 목표 사진을 얻고 해당 목표 사진을 스크린에 전시한다.
본 실시방식에서, 여러 개의 사진이 제1 영역으로 이동된 것이 검출되면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작동시켜 사진 촬영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어도 한 가지 사진 배열 방식을 표시하고 목표 사진 배열 방식에 대한 제1 입력을 수신할 때 목표 배열 방식에 따라 해당 제1 영역으로 이동된 여러 개의 사진을 이어맞추고 언더-스크린 카메라에서 수집된 미리보기 사진과 함께 목표 사진을 합성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간단한 사진 이동 조작만 수행하면 바로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작동시켜 사진의 합성을 구현할 수 있어 언더-스크린 카메라에 더욱 빠르고 스마트한 사진 촬영 방식을 부여할 수 있다.
실제 응용에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도 3은 앨범 인터페이스에서 언더-스크린 카메라의 프롬프트 박스가 표시된 개략도를 도시하였고, 도 4는 사진 배열 방식이 표시된 개략도를 도시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앨범 인터페이스 상단, 즉 언더-스크린 카메라에 대응하는 스크린 부위에는 프롬프트 박스가 표시되고, 앨범 인터페이스 중간 부분에는 앨범 내에 포함된 사진이 표시되고, 앨범 인터페이스 하단에는 카메라 버튼과 퍼즐 버튼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카메라 버튼을 클릭하면 바로 카메라를 작동시켜 사진 촬영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직접 하나의 사진을 프롬프트 박스 내부로 이동시키면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작동시켜 사진 촬영을 수행하고, 전술한 프롬프트 박스 내부로 이동된 사진을 사진 배경으로 하여 목표 사진을 생성하고, 사용자가 앨범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사진을 선택하고 퍼즐 버튼을 클릭하면 도 4에 도시된 인터페이스에 진입한다. 도 4의 인터페이스에서 언더-스크린 카메라에 대응하는 스크린에는 프롬프트 박스가 표시되고 인터페이스 하단에는 템플릿, 포스터, 프리 이 세 종류의 이어맞춤 방식과 이어맞춤 버튼이 표시되고, 여기서 템플릿 이어맞춤 방식은 메뉴에 8궁각, 9궁각 및 10궁각 등 배열 방식이 설정되고, 사용자는 각 궁각 내의 사진을 이동하여 각 사진의 배열 순서를 조정한 다음 이어맞춤 버튼을 클릭하여 이어맞춤 사진을 합성할 수 있고, 다시 이어맞춤 사진을 프롬프트 박스 내부로 이동하면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작동시켜 사진 촬영을 수행할 수 있고, 해당 이어맞춤 사진과 언더-스크린 카메라에서 수집한 미리보기 사진을 결합시켜 목표 사진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를 참조하면, 언더-스크린 카메라가 사진 촬영을 수행시의 광선 개략도를 도시하였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진을 제1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통해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작동시켜 사진 촬영을 수행할 때 전술한 제1 영역으로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진은 스크린에서 표시되고, 촬영 대상과 언더-스크린 카메라는 각각 스크린 양측에 위치하고, 언더-스크린 카메라는 촬영 대상의 미리보기 사진을 수집하고 제1 영역으로 이동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을 사진 배경으로 사용하고, 미리보기 사진과 결합시켜 목표 사진을 생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 구체적인 실시방식에서 전술한 S214는 S2141 내지 S2142를 포함한다.
S2141: 상기 이어맞춤 사진을 사진 배경으로 결정한다.
전술한 S2141에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사진을 언더-스크린 제1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사용자가 해당 적어도 하나의 사진을 이어맞춤하여 얻은 이어맞춤 사진을 배경 소재로 사용하여 언더-스크린 카메라에서 수집된 현재 사진 화면에 대해 사진 처리를 수행하기를 희망함을 설명하므로, 해당 사진을 촬영 배경으로 하여 사진 합성 처리 후의 촬영 효과를 즉시 전시할 수 있다.
S2142: 상기 미리보기 사진을 상기 사진 배경에 중첩시켜 상기 목표 사진을 생성한다.
전술한 S2142에서, 언더-스크린 카메라는 시야각 범위 내의 현재 사진 화면에 기초하여 수집된 미리보기 사진을 S2141에서 얻은 사진 배경에 중첩시키고 사진 합성 처리를 수행하여 목표 사진을 얻을 수 있다.
전술한 구체적인 실시방식에서, 여러 개의 사진이 제1 영역으로 이동된 것이 검출되면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작동시켜 사진 촬영을 수행하고, 해당 제1 영역으로 이동된 여러 개의 사진에 기초하여 이어맞춤 사진을 합성한 다음 언더-스크린 카메라에서 수집된 미리보기 사진을 전술한 이어맞춤 사진에 중첩시켜 한 장의 목표 사진을 합성함으로써, 사용자는 간단한 사진 이동 조작만 수행하면 바로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작동시켜 사진의 합성을 구현할 수 있어 언더-스크린 카메라에 더욱 빠르고 스마트한 사진 촬영 방식을 부여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 구체적인 실시방식에서 전술한 S214는 S2143을 포함한다.
S2143: 상기 미리보기 사진을 상기 이어맞춤 사진 내부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이어맞춤하여 상기 목표 사진을 생성한다.
해당 실시방식에서, 사진 배열 방식은 모두 미리 설정된 영역의 생성 위치, 형상 및 특수효과 등을 규정하고 있고, 제1 영역으로 이동된 여러 개의 사진을 이어맞춤 사진으로 합성할 때, 동시에 해당 이어맞춤 사진에서 미리보기 사진의 이어맞춤, 채워넣기에 사용되는 미리 설정된 영역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언더-스크린 카메라에서 수집한 미리보기 사진을 전술한 미리 설정된 영역에 이어맞춤하여 한 장의 완전한 목표 사진을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구체적인 실시방식에서, 여러 개의 사진이 스크린의 제1 영역으로 이동된 것이 검출되면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작동시켜 사진 촬영을 수행하고, 해당 제1 영역으로 이동된 여러 개의 사진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영역을 갖는 이어맞춤 사진을 합성한 다음 언더-스크린 카메라에서 수집된 미리보기 사진을 전술한 이어맞춤 사진 내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이어맞춤하여 한 장의 목표 사진을 합성함으로써, 사용자는 간단한 사진 이동 조작만 수행하면 바로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작동시켜 사진의 합성을 구현할 수 있어 언더-스크린 카메라에 더욱 빠르고 스마트한 사진 촬영 방식을 부여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방식에서, 미리 설정된 인터페이스의 상기 제1 영역에서 언더-스크린 카메라 프롬프트 박스가 표시되는 경우에,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 촬영 방법은 S100 이후에 S301 내지 S302를 더 포함하고, 목표 사진을 생성하는 단계 이후에 S303을 더 포함한다.
S301: 상기 미리 설정된 인터페이스가 속하는 제1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한다.
전술한 S301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진을 미리 설정된 인터페이스 내의 제1 영역에 이동시키는 것을 검출하고,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작동시켜 사진 촬영을 수행하도록 트리거할 때, 해당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작동시켜 사진 촬영을 수행하도록 트리거하는 미리 설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현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 즉 해당 현재 미리 설정된 인터페이스가 속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판단 및 결정하여, 목표 사진에 대한 후속 처리를 미리 판단하는 데 용이하다.
S302: 상기 미리 설정된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제1 사진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결정한다.
전술한 S302에서,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작동시켜 사진 촬영을 수행하도록 트리거할 때의 현재 인터페이스와 그가 속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사용자가 S203 또는 S214에서 획득된 목표 사진에 대해 수행하려는 애플리케이션 조작을 미리 판단하여 전술한 애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바로 실행하려는 애플리케이션 조작의 사진 상호작용 인터페이스, 즉 전술한 제1 사진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언더-스크린 카메라의 작동을 결정할 때 스크린이 모멘트 인터페이스에 있는 경우, 즉 사용자가 모멘트 인터페이스를 열었을 경우, 모멘트 송신 인터페이스가 바로 전술한 제1 사진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이고, 언더-스크린 카메라의 작동을 결정할 때 스크린이 채팅 인터페이스에 있는 경우, 해당 채팅 인터페이스가 바로 전술한 제1 사진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이다.
S303: 상기 목표 사진을 상기 제1 사진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로드한다.
전술한 S303에서, 전술한 S203 또는 S214에서 생성된 목표 사진을 S302에서 결정된 제1 사진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직접 로드하여 사용자가 후속 조작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전술한 제1 사진 상호작용 인터페이스가 모멘트 송신 인터페이스이면 목표 사진을 해당 모멘트 송신 인터페이스에 로드하고 모멘트 사진 송신 대기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사용자가 문제 없음을 확인하면 바로 송신을 클릭할 수 있고, 제1 사진 상호작용 인터페이스가 채팅 인터페이스이면 목표 사진을 채팅 인터페이스에 로드하여 채팅 대상에게 송신한다.
본 실시방식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진을 제1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통해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작동시켜 사진 촬영을 수행하도록 트리거하여 목표 사진을 얻고,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작동시켜 사진 촬영을 수행할 때의 미리 설정된 인터페이스와 그가 속하는 애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기초한 제1 사진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결정하고, 생성된 목표 사진을 해당 제1 사진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로드함으로써, 사용자는 간단한 사진 이동 조작만 수행하면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작동시켜 사진의 합성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으로 목표 사진을 사진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로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방식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 촬영 방법은 S100 이후에 S311 내지 S313을 더 포함하고, 목표 사진을 생성하는 단계 이후에 S314를 더 포함한다.
S311: 상기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이용하여 스크린에서 현재 표시된 내용을 포착한다.
전술한 S311에서, 언더-스크린 카메라가 사진 촬영시 스크린을 투과해야 되므로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통해 현재 스크린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내용을 포착할 수 있다.
S312: 상기 표시된 내용이 속하는 제1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한다.
전술한 S312에서, 전술한 S311에서 포착된 스크린에서 현재 표시된 내용을 통해 전자기기에서 현재 실행중인 특정 애플리케이션, 즉 전술한 제1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함으로써 목표 사진에 대해 수행할 후속 처리를 미리 판단하는 데 용이하다.
S313: 상기 표시된 내용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제1 사진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결정한다.
전술한 S313에서, 즉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작동시켜 사진 촬영을 수행하도록 트리거할 때의 현재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내용과 현재 인터페이스가 속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사용자가 S203 또는 S214에서 획득된 목표 사진에 대해 수행하려는 애플리케이션 조작을 미리 판단하여 전술한 애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바로 수행하려는 애플리케이션 조작의 사진 상호작용 인터페이스, 즉 전술한 제1 사진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된 내용을 통해 언더-스크린 카메라의 작동을 결정할 때 스크린이 모멘트 인터페이스에 있는 경우, 즉 사용자가 모멘트 인터페이스를 열었을 경우, 모멘트 송신 인터페이스는 바로 전술한 제1 사진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이고, 표시된 내용을 통해 언더-스크린 카메라의 작동을 결정할 때 스크린이 채팅 인터페이스에 있는 경우, 해당 채팅 인터페이스는 바로 전술한 제1 사진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이다.
S314: 상기 목표 사진을 상기 제1 사진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로드한다.
전술한 S314에서, 즉 전술한 S203 또는 S214에서 생성된 목표 사진을 S313에서 결정된 제1 사진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직접 로드하여 사용자가 후속 조작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언더-스크린 카메라가 전자기기가 현재 채팅 인터페이스에 있는 것을 포착하면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진 촬영을 수행하여 얻은 사진을 직접 채팅 대상에게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언더-스크린 카메라가 사용자 조작을 포착하는 인터페이스 개략도를 도시하였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더-스크린 카메라가 전자기기가 현재 채팅 인터페이스에 있는 것을 포착하면 촬영을 통해 얻은 사진을 셀카 플로팅 박스의 형식으로 채팅 인터페이스에 표시하고, 셀카 플로팅 박스에 대한 제3 입력을 수신할 때 셀카 플로팅 박스 내의 사진을 채팅 대상에게 송신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 촬영 방법은 사진 촬영 장치에 의해 수행되거나, 해당 사진 촬영 장치 내의 사진 촬영 방법의 로딩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모듈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사진 촬영 장치가 사진 촬영 방법을 실행하는 것을 예로 들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 촬영 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 촬영 장치의 구조 개략도를 도시하였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제1 사진이 제1 영역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작동 모듈(71)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언더-스크린 카메라가 소재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스크린 영역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촬영 모듈(7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촬영 모듈(72)은,
상기 제1 영역으로 이동되는 사진의 개수가 하나인 경우에, 상기 제1 사진이 제1 영역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언더-스크린 카메라가 작동된 이후에, 상기 제1 영역으로 이동된 사진을 사진 배경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사진 촬영 장치에서, 상기 촬영 모듈(72)은,
상기 제1 영역으로 이동된 사진을 사진 배경으로 결정한 이후에, 상기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호출하여 미리보기 사진을 수집하도록 구성된 제1 호출 유닛;
상기 미리보기 사진 및 상기 사진 배경에 따라 목표 사진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1 생성 유닛; 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사진 촬영 장치에서, 상기 촬영 모듈(72)은,
상기 제1 영역으로 이동되는 사진의 개수가 여러 개인 경우에, 상기 제1 사진이 제1 영역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언더-스크린 카메라가 작동된 이후에, 적어도 한 가지 사진 배열 방식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 유닛;
목표 사진 배열 방식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목표 사진 배열 방식에 따라 상기 제1 영역으로 이동된 사진을 배열하여 이어맞춤 사진을 얻도록 구성된 사진 이어맞춤 유닛;
상기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호출하여 미리보기 사진을 수집하도록 구성된 제2 호출 유닛;
상기 미리보기 사진 및 상기 이어맞춤 사진에 근거하여 목표 사진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2 생성 유닛;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사진 촬영 장치에서, 상기 제2 생성 유닛은,
상기 이어맞춤 사진을 사진 배경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하위 결정 유닛;
상기 미리보기 사진을 상기 사진 배경에 중첩시켜 상기 목표 사진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1 하위 생성 유닛;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사진 촬영 장치에서, 상기 제2 생성 유닛은,
상기 미리보기 사진을 상기 이어맞춤 사진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이어맞춤하여 상기 목표 사진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2 하위 생성 유닛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사진이 제1 영역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언더-스크린 카메라가 작동되기 전에, 미리 설정된 컨트롤이 켜져 있고 미리 설정된 인터페이스가 작동될 때, 상기 미리 설정된 인터페이스의 상기 제1 영역에 언더-스크린 카메라 프롬프트 박스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사진이 제1 영역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언더-스크린 카메라가 작동된 이후에, 상기 미리 설정된 인터페이스가 속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결정 모듈;
상기 미리 설정된 인터페이스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기초한 목표 사진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결정 모듈;
목표 사진을 생성한 이후에, 상기 목표 사진을 상기 목표 사진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로드하도록 구성된 제1 로드 모듈; 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사진이 제1 영역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언더-스크린 카메라가 작동된 이후에, 상기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이용하여 스크린에서 현재 표시된 내용을 포착하도록 구성된 포착 모듈;
상기 표시된 내용이 속하는 제2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3 결정 모듈;
상기 표시된 내용과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제2 사진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4 결정 모듈;
목표 사진을 생성한 이후에, 상기 목표 사진을 상기 제2 사진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로드하도록 구성된 제2 로드 모듈; 을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 촬영 장치는 장치이거나, 단말의 부품, 집적회로 또는 칩일 수 있다. 해당 장치는 모바일 전자기기 또는 비모바일 전자기기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모바일 전자기기는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포켓 PC, 차량탑재 전자기기, 웨어러블 기기, 울트라 모바일 개인용 컴퓨터(ultra-mobile personal computer, UMPC), 넷북 또는 개인 휴대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등일 수 있고, 비모바일 전자기기는 서버, 네트워크 결합 스토리지(Network Attached Storage, NAS),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또는 텔레비전(television, TV), 현금 자동 입출금기 또는 자동판매기 등일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 촬영 장치는 운영체제를 갖는 장치일 수 있다. 해당 운영체제는 안드로이드(Android) 운영체제, ios 운영체제 또는 기타 가능한 운영체제일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 촬영 장치는 도 1 내지 도 6의 방법 실시예에서 사진 촬영 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각 단계를 구현할 수 있으며,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내용을 종합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 촬영 장치는 제1 사진이 제1 영역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작동 모듈(71)에 의해 언더-스크린 카메라가 작동되고, 이외에,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진이 프롬프트 박스 영역의 내부로 이동된 것이 검출되면 촬영 모듈(72)에 의해 언더-스크린 카메라가 작동되어 사진 촬영을 수행하고 목표 사진을 생성함으로써, 사용자가 간단한 사진 이동 조작만 실행하면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조작이 유연하고 간편하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전자기기를 더 제공함에 있어서, 프로세서(810), 메모리(809), 메모리(809)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810)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며, 해당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810)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사진 촬영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가 구현되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전자기기는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 또는 비모바일 전자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8는 본 출원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전자기기의 하드웨어 구조 개략도이다.
해당 전자기기(800)는 무선 주파수 유닛(801), 네트워크 모듈(802), 오디오 출력 유닛(803), 입력 유닛(804), 센서(805), 표시 유닛(806), 사용자 입력 유닛(807), 인터페이스 유닛(808), 메모리(809), 프로세서(810) 등 구성요소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전자기기(800)에는 각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예: 배터리)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고, 전원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810)에 논리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충전관리, 방전관리, 전력소비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전자기기의 구조가 전자기기에 대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으며, 전자기기는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적은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특정 구성요소를 결합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배치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프로세서(810)는 제1 사진이 제1 영역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언더-스크린 카메라가 소재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스크린 영역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사진을 프롬프트 박스 영역의 내부로 이동시키는 것이 검출되면 프로세서(810)에 의해 언더-스크린 카메라가 작동되어 사진 촬영을 수행하고 나아가 목표 사진을 생성함으로써 사용자가 간단한 사진 이동 조작만 실행하면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조작이 유연하고 간편하다.
선택적으로, 표시 유닛(806)은 상기 제1 사진이 제1 영역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작동시키기 전에, 미리 설정된 소프트웨어 컨트롤이 켜져 있고 미리 설정된 인터페이스가 작동될 때, 상기 미리 설정된 인터페이스의 상기 제1 영역에 언더-스크린 카메라 프롬프트 박스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810)는 또한 상기 미리 설정된 인터페이스가 속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인터페이스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기초한 제1 사진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결정하고, 상기 목표 사진을 상기 제1 사진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로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롬프트 박스 내부에 이동되는 사진 개수가 하나인 경우, 프로세서(810)는 구체적으로 상기 프롬프트 박스 내부에 이동된 사진을 사진 배경으로 결정하고, 상기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호출하여 미리보기 사진을 수집하고, 상기 미리보기 사진 및 상기 사진 배경에 따라 목표 사진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롬프트 박스 내부에 이동되는 사진 개수가 여러 개인 경우, 표시 유닛(806)은 구체적으로 적어도 한 가지 사진 배열 방식을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서(810)는 구체적으로 목표 사진 배열 방식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목표 사진 배열 방식에 따라 상기 제1 영역으로 이동된 사진을 배열하여 이어맞춤 사진을 얻고, 상기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호출하여 미리보기 사진을 수집하고, 상기 미리보기 사진 및 상기 이어맞춤 사진에 근거하여 목표 사진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810)는 구체적으로 상기 이어맞춤 사진을 사진 배경으로 결정하고, 상기 미리보기 사진을 상기 사진 배경에 중첩시켜 상기 목표 사진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810)는 구체적으로 상기 미리보기 사진을 상기 이어맞춤 사진 내부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이어맞춤하여 상기 목표 사진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810)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사진이 제1 영역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언더-스크린 카메라가 작동된 이후에, 상기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이용하여 스크린에서 현재 표시된 내용을 포착하고, 상기 표시된 내용이 속하는 제2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하고, 상기 표시된 내용과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제2 사진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결정하고, 목표 사진을 생성한 이후에 상기 목표 사진을 상기 제2 사진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로드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저장되고, 해당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전술한 사진 촬영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하고,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자기기의 프로세서이다. 상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시디롬 등과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칩을 더 제공하며, 상기 칩은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세서와 결합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사진 촬영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를 구현하고,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언급된 칩은 시스템 레벨 칩, 시스템 칩, 칩 시스템 또는 시스템-온 칩 등이라고도 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갖는다” 또는 다른 임의의 변형은 비배타적 포함을 의도하며,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는 그 요소 뿐만 아니라 명확하게 나열되지 않은 다른 요소도 포함하며, 또는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의 고유한 요소도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별도로 제한이 없는 한, “하나의 ~을 포함한다”로 정의된 요소는 해당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서 다른 동일한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 방법에서의 방법 및 장치의 범위는 도시되거나 논의된 순서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고, 관련된 기능에 따라 기본적으로 동시적인 방식 또는 역순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컨대, 설명된 방법은 설명된 것과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고, 다양한 단계들이 추가, 생략 또는 조합될 수도 있다. 또한, 특정 예시를 참조하여 설명된 특징은 다른 예시에서 조합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설명을 통해, 당업자라면 상기 실시예의 방법이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합하는 방식에 의해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지만, 많은 경우에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합하는 방식이 더 바람직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해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기술적 솔루션의 본질적 부분 또는 종래 기술에 기여한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예: ROM/RAM, 자기 디스크, 시디롬)에 저장되고 단말(휴대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이 본 출원의 각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복수의 명령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출원은 전술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술한 특정 실시예들은 제한적이 아니라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본 출원의 주지 및 청구범위에 따른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출원에 기반하여 다양한 변형을 도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은 모두 본 출원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Claims (16)

  1. 사진 촬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1 사진이 제1 영역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언더-스크린 카메라가 소재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스크린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촬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으로 이동되는 사진의 개수가 하나인 경우에, 상기 제1 사진이 제1 영역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작동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영역으로 이동된 사진을 사진 배경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촬영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으로 이동된 사진을 사진 배경으로 결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호출하여 미리보기 사진을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보기 사진 및 상기 사진 배경에 따라 목표 사진을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촬영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으로 이동되는 사진의 개수가 여러 개인 경우에, 상기 제1 사진이 제1 영역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작동시키는 단계 이후에,
    적어도 한 가지 사진 배열 방식을 표시하는 단계;
    목표 사진 배열 방식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목표 사진 배열 방식에 따라 상기 프롬프트 박스 내부의 사진을 배열하여 이어맞춤 사진을 얻는 단계;
    상기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호출하여 미리보기 사진을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보기 사진 및 상기 이어맞춤 사진에 근거하여 목표 사진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촬영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진이 제1 영역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작동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이용하여 스크린에서 현재 표시된 내용을 포착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내용이 속하는 제1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내용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제1 사진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목표 사진을 생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목표 사진을 상기 제1 사진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로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촬영 방법.
  6. 사진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제1 사진이 제1 영역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작동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언더-스크린 카메라가 소재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스크린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촬영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촬영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촬영 모듈은,
    상기 제1 영역으로 이동되는 사진의 개수가 하나인 경우에, 상기 제1 사진이 제1 영역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언더-스크린 카메라가 작동된 이후에, 상기 제1 영역으로 이동된 사진을 사진 배경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촬영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모듈은,
    상기 제1 영역으로 이동된 사진을 사진 배경으로 결정한 이후에, 상기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호출하여 미리보기 사진을 수집하도록 구성된 제1 호출 유닛;
    상기 미리보기 사진 및 상기 사진 배경에 따라 목표 사진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1 생성 유닛;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촬영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모듈은,
    상기 제1 영역으로 이동되는 사진의 개수가 여러 개인 경우에, 상기 제1 사진이 제1 영역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언더-스크린 카메라가 작동된 이후에, 적어도 한 가지 사진 배열 방식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 유닛;
    목표 사진 배열 방식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목표 사진 배열 방식에 따라 상기 프롬프트 박스 내부로 이동되는 사진에 대해 배열을 수행하여 이어맞춤 사진을 얻도록 구성된 사진 이어맞춤 유닛;
    상기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호출하여 미리보기 사진을 수집하도록 구성된 제2 호출 유닛;
    상기 미리보기 사진 및 상기 이어맞춤 사진에 근거하여 목표 사진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2 생성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촬영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사진이 제1 영역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언더-스크린 카메라가 작동된 이후에, 상기 언더-스크린 카메라를 이용하여 스크린에서 현재 표시된 내용을 포착하도록 구성된 포착 모듈;
    상기 표시된 내용이 속하는 제2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3 결정 모듈;
    상기 표시된 내용과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제2 사진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4 결정 모듈;
    목표 사진을 생성한 이후에, 상기 목표 사진을 상기 제2 사진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로드하도록 구성된 제2 로드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촬영 장치.
  11. 전자기기에 있어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사진 촬영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2.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저장되고,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사진 촬영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가능 저장 매체.
  13. 사진 촬영 장치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상기 사진 촬영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촬영 장치.
  14. 전자기기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상기 사진 촬영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5. 칩에 있어서, 상기 칩은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세서와 결합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사진 촬영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16.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비휘발성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상기 사진 촬영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237002225A 2020-08-07 2021-08-04 사진 촬영 방법, 장치 및 전자기기 Pending KR202300264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791067.7 2020-08-07
CN202010791067.7A CN111953900B (zh) 2020-08-07 2020-08-07 图片拍摄方法、装置和电子设备
PCT/CN2021/110652 WO2022028495A1 (zh) 2020-08-07 2021-08-04 图片拍摄方法、装置和电子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472A true KR20230026472A (ko) 2023-02-24

Family

ID=73332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2225A Pending KR20230026472A (ko) 2020-08-07 2021-08-04 사진 촬영 방법, 장치 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2206985B2 (ko)
EP (1) EP4195652A4 (ko)
JP (1) JP2023540868A (ko)
KR (1) KR20230026472A (ko)
CN (1) CN111953900B (ko)
WO (1) WO20220284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53900B (zh) 2020-08-07 2022-01-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图片拍摄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3794829B (zh) * 2021-08-02 2023-11-10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拍摄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5314741B (zh) * 2022-08-04 2024-12-31 深圳康佳电子科技有限公司 智能电视的拍照合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00632B2 (ja) * 2008-12-26 2012-08-15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再生装置、連携システム、これらの装置又はシステム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11211493A (ja) 2010-03-30 2011-10-20 Sony Corp 撮像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2419689B (zh) * 2011-10-27 2016-09-28 康佳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触摸屏的手势滑动传送文件方法和系统
CN103037103B (zh) * 2012-12-21 2014-11-12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设备启动相机的方法
CN105100494A (zh) * 2015-08-14 2015-11-2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启动应用的方法
KR102483721B1 (ko) * 2016-03-02 2023-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6407789A (zh) * 2016-09-07 2017-02-1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安全启动方法及移动终端
CN108833709A (zh) * 2018-06-25 2018-11-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摄像头的启动方法和移动终端
CN111466112B (zh) * 2018-08-10 2024-12-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图像拍摄方法及电子设备
CN109684110A (zh) 2018-12-28 2019-04-2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多媒体资源分享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9862267B (zh) * 2019-01-31 2020-11-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拍摄方法及终端设备
CN110333814A (zh) 2019-05-31 2019-10-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分享内容的方法及电子设备
CN110647277A (zh) * 2019-08-28 2020-01-0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及终端设备
CN110572575A (zh) * 2019-09-20 2019-12-13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一种摄像头拍摄控制方法和装置
CN110995990B (zh) * 2019-11-27 2021-11-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摄像头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11163260B (zh) * 2019-12-20 2021-11-1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摄像头启动方法及电子设备
CN111083377A (zh) 2019-12-30 2020-04-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拍摄方法及电子设备
CN111031253B (zh) 2020-01-13 2021-07-0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拍摄方法及电子设备
US11917298B2 (en) * 2020-02-03 2024-02-27 Sony Semiconductor Solutions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CN111953900B (zh) * 2020-08-07 2022-01-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图片拍摄方法、装置和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95652A1 (en) 2023-06-14
US20230188842A1 (en) 2023-06-15
CN111953900A (zh) 2020-11-17
WO2022028495A1 (zh) 2022-02-10
JP2023540868A (ja) 2023-09-27
US12206985B2 (en) 2025-01-21
CN111953900B (zh) 2022-01-28
EP4195652A4 (en) 2024-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614353B2 (ja) 写真撮り方法、装置、電子機器及び記憶媒体
EP3671406A1 (en)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displaying shortcut operation panel
WO2022166944A1 (zh) 拍照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N113093968B (zh) 拍摄界面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KR20230026472A (ko) 사진 촬영 방법, 장치 및 전자기기
CN109683761B (zh) 内容收藏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2135049B (zh) 图像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2954196B (zh) 拍摄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4546227B (zh) 虚拟镜头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介质
CN111866379A (zh) 一种图像处理方法、图像处理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3157172A (zh) 弹幕信息显示方法、发送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JP2018206077A (ja) 表示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887617A (zh) 一种拍摄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4143461B (zh) 拍摄方法、装置及电子设备
WO2022095891A1 (zh) 图片显示方法、装置及设备
CN111752464A (zh) 手势操作的响应方法、装置及存储介质
WO2023125313A1 (zh) 视频录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2584040B (zh) 图像显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2653841B (zh) 拍摄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101689599B1 (ko) 단말기 및 이것의 콘텐츠 공유 방법
CN112346606A (zh) 一种图片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WO2025011094A1 (zh) 拍照方法和电子设备
CN119556831A (zh) 壁纸设置方法、装置
CN117499750A (zh) 评论发布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9316705A (zh) 拍照方法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1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301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