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023153A - 치조골을 천공할 때 발생되는 소음 및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통주사기 - Google Patents

치조골을 천공할 때 발생되는 소음 및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통주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3153A
KR20230023153A KR1020210104995A KR20210104995A KR20230023153A KR 20230023153 A KR20230023153 A KR 20230023153A KR 1020210104995 A KR1020210104995 A KR 1020210104995A KR 20210104995 A KR20210104995 A KR 20210104995A KR 20230023153 A KR20230023153 A KR 20230023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alveolar bone
noise
reduce
hou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4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기봉
서정희
박신욱
김민수
이선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덴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덴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덴티스
Priority to KR1020210104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3153A/ko
Priority to US17/471,103 priority patent/US20230046804A1/en
Publication of KR20230023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3153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7Supplying powder or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40Implements for surgical treatment of the roots or nerves of the teeth; Nerve needle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he ro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1Pain-alleviating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0Straight 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61C19/08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combined with anaesthetis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50Implements for filling root canal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ooth nerve chann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06Ampoules or carp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96Combination of a vial and a syringe for transferring or mixing their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61M5/2422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using emptying means to expel or eject media, e.g. pistons, deformation of the ampoule, or telescoping of the ampou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61M5/2422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using emptying means to expel or eject media, e.g. pistons, deformation of the ampoule, or telescoping of the ampoule
    • A61M5/2425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using emptying means to expel or eject media, e.g. pistons, deformation of the ampoule, or telescoping of the ampoule by compression of deformable ampoule or carpule wa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61M2005/2403Ampoule inserted into the ampoule holder
    • A61M2005/2407Ampoule inserted into the ampoule holder from the re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61M2005/2485Ampoule holder connected to rest of syri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68Liquids non-physiological
    • A61M2202/048Anaesth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22Materials for reducing fri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42Reducing noi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2B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urger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치조골을 천공할 때 발생되는 소음 및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통주사기에 관한 것으로서, 치조골을 천공하고 마취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바늘이 형성되는 주입부와, 상기 주입부가 일단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타단은 개구되어 있어 내부가 비어 있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일단에는 상기 주입부의 바늘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마취액을 배출시키기 위한 피스톤이 형성된 앰풀과, 상기 홀더를 내부에 삽입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홀더의 일단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앰풀, 상기 홀더, 상기 주입부를 회전시켜 치조골이 천공되도록 하고, 상기 피스톤을 가압하여 상기 마취액을 분사하는 핸드피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조골을 천공할 때 발생되는 소음 및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통주사기{Painless syringe to reduce the noise and friction generated when perforating the alveolar bone}
본 발명은 치조골을 천공할 때 발생되는 소음 및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통주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과 치료를 위해 마취액을 주사할 때 바늘을 회전시켜 치조골을 천공할 때 회전 부위의 마찰에 의해 회전력이 감소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치조골을 천공할 때 발생되는 소음 및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통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소마취는 마취액을 수술할 부위에 직접 주입하여 수술 부위만을 마취하는 것을 의미하며, 치과에서 임플란트 등을 시술 할 경우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경우 시술자가 직접 주사기에 마취액을 충진시킨 후에 마취액을 주사하게 되는데, 마취액의 주입 속도를 높이게 되면 환부에 과도한 압력이 생성되어 환자가 고통을 느끼게 된다.
즉, 마취액을 주입하는 압력 및 속도는 국소 마취 시 통증을 유발시킬 수 있는 가장 큰 요인이라 할 수 있으며, 시술자가 주입하는 속도 및 압력은 일정하지 않고 주입되는 상태를 수치적으로 확인할 수 없어 환자가 주입시 발생하는 고통을 참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국특허 공개번호 제10-2019-0101062호는 정확한 위치의 환부에 약물을 주입함에 있어 주입량, 주입속도를 결정하여 통증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한 무통 마취 주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이 하우징의 연결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니들부에 결합되어 내부에 약물을 수용하는 앰풀부와,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앰풀부에 압력을 가하여 약물을 니들부를 통해 주입하도록 하는 플런저와, 플런저를 이송시키는 모터 및 주입 모드에 따라 모터에 구동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을 이용하면 주입속도가 일정하고 주입량을 제어할 수 있어 환자가 받는 고통을 경감시킬 수 있으나, 임플란트와 같은 시술을 위해 치조골 내부에 마취액을 주사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주사 위치까지 시술자가 수동으로 바늘을 찔러 넣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 공개번호 제10-2019-0101062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취액을 주입할 때 바늘이 회전되면서 치조골을 천공하여 치근관에 직접 주사할 수 있는 치조골을 천공할 때 발생되는 소음 및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통주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늘이 회전될 때 회전부위의 접촉 면적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회전력이 감소되지 않도록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천공이 가능한 치조골을 천공할 때 발생되는 소음 및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통주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전 부위의 소음을 감소시키고 마모 발생을 감소시켜 장시간 사용이 가능한 치조골을 천공할 때 발생되는 소음 및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통주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조골을 천공할 때 발생되는 소음 및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통주사기는 치조골을 천공하고 마취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바늘이 형성되는 주입부와, 상기 주입부가 일단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타단은 개구되어 있어 내부가 비어 있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일단에는 상기 주입부의 바늘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마취액을 배출시키기 위한 피스톤이 형성된 앰풀과, 상기 홀더를 내부에 삽입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홀더의 일단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앰풀, 상기 홀더, 상기 주입부를 회전시켜 치조골이 천공되도록 하고, 상기 피스톤을 가압하여 상기 마취액을 분사하는 핸드피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치조골을 천공할 때 발생되는 소음 및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통주사기의 상기 하우징의 내경은 상기 홀더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홀더가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접촉부위를 감소시키고 상기 홀더의 일단 외면과 접촉되어 상기 홀더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치조골을 천공할 때 발생되는 소음 및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통주사기의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홀더의 일단에 형성된 지지단과 접촉되어 상기 홀더가 회전될 때 발생하는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부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치조골을 천공할 때 발생되는 소음 및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통주사기의 상기 부싱은 접촉면적이 감소될 수 있도록 접촉부위가 원형으로 라운딩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치조골을 천공할 때 발생되는 소음 및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통주사기의 상기 부싱은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윤활유가 배출되거나 수용할 수 있도록 접촉면에 내측으로 파여지는 윤활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치조골을 천공할 때 발생되는 소음 및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통주사기의 상기 부싱은 플라스틱 베어링으로 형성되어 무게를 감소시키고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을 천공할 때 발생되는 소음 및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통주사기에 의하면, 마취액을 주입할 때 바늘이 회전되면서 치조골을 천공하여 치근관에 직접 주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을 천공할 때 발생되는 소음 및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통주사기에 의하면, 바늘이 회전될 때 회전부위의 접촉 면적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회전력이 감소되지 않도록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천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을 천공할 때 발생되는 소음 및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통주사기에 의하면, 회전 부위의 소음을 감소시키고 마모 발생을 감소시켜 장시간 사용이 가능한 치조골을 천공할 때 발생되는 소음 및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을 천공할 때 발생되는 소음 및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통주사기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을 천공할 때 발생되는 소음 및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통주사기의 바늘이 주입부 부위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을 천공할 때 발생되는 소음 및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통주사기의 소음 및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부싱을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치조골을 천공할 때 발생되는 소음 및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통주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과 치료를 위해 마취액을 주사할 때 바늘을 회전시켜 치조골을 천공할 때 회전 부위의 마찰에 의해 회전력이 감소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치조골을 천공할 때 발생되는 소음 및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통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을 천공할 때 발생되는 소음 및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통주사기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을 천공할 때 발생되는 소음 및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통주사기의 바늘(110)이 주입부(100) 부위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을 천공할 때 발생되는 소음 및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통주사기의 소음 및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부싱(210)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을 천공할 때 발생되는 소음 및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통주사기는 치조골을 천공하고 마취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바늘(110)이 형성되는 주입부(100)와, 주입부(100)가 일단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타단은 개구되어 있어 내부가 비어 있는 홀더(300)와, 홀더(300)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일단에는 주입부(100)의 바늘(1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타단에는 마취액을 배출시키기 위한 피스톤(410)이 형성된 앰풀(400)과, 홀더(300)를 내부에 삽입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홀더(300)의 일단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200)과, 하우징(200)과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앰풀(400), 홀더(300), 주입부(100)를 회전시켜 치조골이 천공되도록 하고, 피스톤(410)을 가압하여 마취액을 분사하는 핸드피스(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주입부(1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일면은 개구되어 있어 홀더(300)의 일단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지지대(120)와, 지지대(120)의 중앙에 형성되며 지지대(120)의 일면과 타면을 향해 관통되어 앰풀(400) 내부에 수용된 마취액을 배출시키거나 치조골을 천공하도록 형성되는 바늘(11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핸드피스(500)는 외부 동력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제1구동부(510) 및 제2구동부(520)와, 피스톤(410)과 결합되며 제1구동부(510)에 의해 회전력을 병진운동으로 변환하여 피스톤(410)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구동단(511)과, 제2구동부(520)에 의해 앰풀(400)과 결합되어 앰풀(400)을 회전시켜 앰풀(400)과 결합된 홀더(300) 및 주입부(100)를 회전시키는 제2구동단(521)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주입부(100)는 바늘(110)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홀더(300)의 일단에 탈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홀더(300)의 일단 외면에 나사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지지대(120)와, 지지대(120)의 중앙 양쪽으로 돌출되어 일단은 치조골을 천공하고 치근관에 마취액을 주사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타단은 홀더(300)를 통해 앰풀(400) 내부로 삽입되어 앰풀(400) 내부에 저장된 마취액을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지대(120)와 바늘(110)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주사가 완료되거나 시술이 끝나게 되면 주입부(100)를 분리하여 버릴 수 있게 되므로 의료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늘(110)의 일단과 타단은 첨단부가 형성되어 있어 일단은 환자의 잇몸 및 치조골에 삽입될 때 저항력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며, 타단은 앰풀(400)에 삽입될 때 첨단부를 통해 앰풀(400)을 뚫고 앰풀(400) 내부로 삽입될 수 있게 된다.
홀더(300)는 일단은 주입부(100)가 탈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은 개구되어 있어 내부에 앰풀(400)을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홀더(300)를 통해 일단에는 주입부(100)가, 타단에는 앰풀(400)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홀더(300)는 일단에는 주입부(1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단(310)이 마련되어 있으며, 체결단(310)의 후면에는 하우징(2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회전단(320)이 형성되어 있다.
체결단(310)은 주입부(100)의 지지대(120)와 나사 결합되어 탈부착되기 위해 형성되고, 회전단(320)은 하우징(200)과 접촉되어 홀더(300)의 일단이 하우징(2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다.
이때 회전단(320)은 핸드피스(500)의 구동부에 의해 홀더(300)가 회전될 때 하우징(200)과 접촉되며 회전되는 부위이며,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외면에는 윤활유가 도포되어 있을 수 있다.
앰풀(400)은 홀더(300) 내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홀더(300) 내부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앰풀(400)의 일단은 홀더(300) 일단에서 결합되는 주입부(100)의 바늘(1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앰풀(400)은 타단이 개구되어 있어 내부에 마취액을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타단에는 저장된 마취액이 배출되지 않도록 피스톤(410)이 결합되면서 앰풀(400)의 타단을 밀봉시킬 수 있게 된다.
하우징(200)은 핸드피스(500)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핸드피스(500)로부터 탈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주입부(100) 및 앰풀(400)이 결합된 홀더(300)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하우징(200)은 일단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어 홀더(300)의 일단이 하우징(200)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이를 통해 홀더(300) 일단에 결합된 주입부(10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된다.
핸드피스(500)는 내부에 자동 주사를 위한 동작을 제어하고 이와 관련된 장치를 수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제어부, 배터리, 디스플레이, 조작부, 스피커, 충전부, 압력센서가 포함되어 있다.
핸드피스(500)의 구동부는 제1구동부(510)와 제2구동부(520)로 나누어지며, 제1구동부(510)와 제2구동부(520)에는 각각 서로 다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1구동단(511)과 제2구동단(521)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구동부(510)와 제2구동부(520)는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제1구동단(511)은 앰풀(400) 내부에 형성된 피스톤(410)과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제1구동부(51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으면 이를 병진운동으로 변환하여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되어 피스톤(410)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제2구동단(521)은 앰풀(400)의 타단과 결합되어 제2구동부(52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으면 이를 앰풀(400)에 전달하여 앰풀(400)을 회전시킴으로써, 앰풀(400)과 결합된 홀더(300) 및 주입부(100)를 회전시켜 주입부(100)의 바늘(110)이 치조골을 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2구동단(521)은 앰풀(400)이 아닌 홀더(300)에 결합되어 회전시킬 수도 있다.
제2구동단(521)은 중공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중앙에 제1구동단(511)이 위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00)의 타단이 핸드피스(500)에 결합되면 하우징(200)의 내부에 위치된 앰풀(400)은 핸드피스(500) 내부에 형성된 제1구동단(511)과 동일 축 선상에 위치되게 되고, 핸드피스(500)의 제1구동부(510)에 의해 제1구동단(511)이 이송되면 피스톤(410)의 후면과 결합되게 된다.
제2구동단(521)도 이와 마찬가지로 하우징(200)이 결합될 때 제2구동단(521)이 앰풀(400) 또는 홀더(3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200)의 내경은 홀더(30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 홀더(300)가 내부에 삽입되면 하우징(200)의 내측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접촉부위를 감소시키고 홀더(300)의 일단 외면과 접촉되어 홀더(300)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200)의 내면은 홀더(300)의 외면과 접촉되지 않고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200)의 일단에 형성된 관통홀에만 홀더(300)의 일단이 삽입되면서 접촉되게 된다.
이때 홀더(300)의 회전단(320)은 하우징(200)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접촉된 상태로 결합되며, 홀더(300)의 타단은 핸드피스(500)에 형성된 제1구동단(511) 및 제2구동단(521)에 의해 지지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하우징(200)이 홀더(300)와 이격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 하우징(200)의 내경은 홀더(30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하여 간극에 의해 홀더(300)가 회전할 때 간섭이나 마찰력이 발생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200)의 일단에 형성되며 홀더(300)의 일단에 형성된 지지단과 접촉되어 홀더(300)가 회전될 때 발생하는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부싱(2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싱(210)은 하우징(200)의 일단 부분을 모듈화하여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200)의 일단에 관통홀이 형성된 부위를 부싱(210)으로 대체 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부싱(210)은 일면에는 홀더(300)의 회전단(3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타면에는 하우징(200)의 외면과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게 된다.
부싱(210)은 하우징(200)과 탈부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홀더(300)가 회전될 때 회전단(320)과 접촉되는 부위의 마모가 발생하더라도, 하우징(200)으로부터 마모된 부싱(210)을 분리시키고 새로운 부싱(210)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가 간결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부싱(210)은 접촉 면적이 감소될 수 있도록 접촉부위가 원형으로 라운딩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부싱(210)은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윤활유가 배출되거나 수용할 수 있도록 접촉면에 내측으로 파여지는 윤활홀(21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부싱(210)은 플라스틱 베어링으로 형성되어 무게를 감소시키고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싱(210)은 무게감소와 접촉되는 홀더(300)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베어링 역할을 통해 회전되는 홀더(3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접촉부위의 마찰력에 의한 홀더(300)의 회전속도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부싱(210)을 통해 마찰력을 감소시킴으로써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홀더(300)의 회전단(320)과 접촉되는 부위는 라운딩 처리하여 접촉면적이 최소화 시킬 수 있게 되며, 윤활유를 공급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접촉부위의 중앙에는 내측으로 파여진 윤활홀(211)이 형성될 수 있다.
윤활홀(211)에는 윤활유가 수용되어 있어 회전단(320)과 접촉되는 부위에 윤활유가 도포되면서 접촉부위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윤활홀(211)은 모세관과 같은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윤활유가 중력에 의해 흘러내리지 않고 윤활홀(211)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저장될 수 있게 되며, 회전단(320)과 접촉되면서 표면장력에 의해 회전단(320) 표면으로 묻어나와 윤활성을 유지하게 된다.
이때 회전단(320) 표면에 윤활유가 마른 경우에는 윤활홀(211)에 수용된 윤활유가 표면장력에 의해 회전단(320)과 접촉되면서 일부가 표면장력에 의해 흘러나오게 되며, 이를 통해 적절한 양의 윤활유가 회전단(320)에 도포될 수 있게 유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을 천공할 때 발생되는 소음 및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통주사기에 의하면, 마취액을 주입할 때 바늘이 회전되면서 치조골을 천공하여 치근관에 직접 주사할 수 있고, 바늘이 회전될 때 회전부위의 접촉 면적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회전력이 감소되지 않도록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천공이 가능하며, 회전 부위의 소음을 감소시키고 마모 발생을 감소시켜 장시간 사용이 가능한 치조골을 천공할 때 발생되는 소음 및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주입부
110 : 바늘
120 : 지지대
200 : 하우징
210 : 부싱
211 : 윤활홀
300 : 홀더
310 : 체결단
320 : 회전단
400 : 앰풀
410 : 피스톤
500 : 핸드피스
510 : 제1구동부
511 : 제1구동단
520 : 제2구동부
521 : 제2구동단

Claims (6)

  1. 치조골을 천공하고 마취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바늘이 형성되는 주입부와;
    상기 주입부가 일단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타단은 개구되어 있어 내부가 비어 있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일단에는 상기 주입부의 바늘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마취액을 배출시키기 위한 피스톤이 형성된 앰풀과;
    상기 홀더를 내부에 삽입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홀더의 일단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앰풀, 상기 홀더, 상기 주입부를 회전시켜 치조골이 천공되도록 하고, 상기 피스톤을 가압하여 상기 마취액을 분사하는 핸드피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을 천공할 때 발생되는 소음 및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통주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경은 상기 홀더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홀더가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접촉부위를 감소시키고 상기 홀더의 일단 외면과 접촉되어 상기 홀더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을 천공할 때 발생되는 소음 및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통주사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홀더의 일단에 형성된 지지단과 접촉되어 상기 홀더가 회전될 때 발생하는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부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을 천공할 때 발생되는 소음 및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통주사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은 접촉면적이 감소될 수 있도록 접촉부위가 원형으로 라운딩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을 천공할 때 발생되는 소음 및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통주사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은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윤활유가 배출되거나 수용할 수 있도록 접촉면에 내측으로 파여지는 윤활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을 천공할 때 발생되는 소음 및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통주사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은 플라스틱 베어링으로 형성되어 무게를 감소시키고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을 천공할 때 발생되는 소음 및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통주사기.
KR1020210104995A 2021-08-10 2021-08-10 치조골을 천공할 때 발생되는 소음 및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통주사기 Pending KR2023002315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995A KR20230023153A (ko) 2021-08-10 2021-08-10 치조골을 천공할 때 발생되는 소음 및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통주사기
US17/471,103 US20230046804A1 (en) 2021-08-10 2021-09-09 Painless syringe to reduce the noise and friction generated when perforating the alveolar b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995A KR20230023153A (ko) 2021-08-10 2021-08-10 치조골을 천공할 때 발생되는 소음 및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통주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3153A true KR20230023153A (ko) 2023-02-17

Family

ID=85178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4995A Pending KR20230023153A (ko) 2021-08-10 2021-08-10 치조골을 천공할 때 발생되는 소음 및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통주사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046804A1 (ko)
KR (1) KR2023002315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062A (ko) 2018-02-22 2019-08-30 메디허브 주식회사 무통 마취 주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8384A (en) * 1983-06-17 1985-05-21 Survival Technology, Inc. Multiple medicament cartridge clip and medicament discharging device therefor
FR2581548B1 (fr) * 1985-05-09 1990-07-20 Villette Alain Dispositif d'injection intraosseuse de produits biocompatibles
JP4245350B2 (ja) * 2001-01-18 2009-03-25 メドラッド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医療用インジェクターに使用するためのシリンジインターフェース及びシリンジアダプタ
US7811260B2 (en) * 2002-05-31 2010-10-12 Vidacare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to inject fluids into bone marrow and other target sites
US20040147901A1 (en) * 2002-07-08 2004-07-29 Medical Instill Intradermal delivery device, and method of intradermal delivery
DK2076303T3 (en) * 2006-09-15 2018-11-05 Tecpharma Licensing Ag Multiple coupling injection apparatus
CN101977645B (zh) * 2008-04-10 2013-01-3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给药装置
CA2766450C (en) * 2009-06-26 2014-08-19 Showa Yakuhin Kako Co., Ltd. Linearly motorized dental syringe
EP2464402A2 (en) * 2009-08-13 2012-06-20 Mallinckrodt LLC Power injector syringe assembly
FR2954169B1 (fr) * 2009-12-17 2012-12-14 Dentalhitec Instrument de chirurgie pour l'injection d'un produit pharmaceutique a travers un tissu dense d'un corps humain ou animal et procede de perforation d'un tel tissu dense
TWI464002B (zh) * 2010-11-08 2014-12-11 Shl Group Ab 容器支撐總成和藥物輸送裝置總成
WO2012140738A1 (ja) * 2011-04-12 2012-10-18 昭和薬品化工株式会社 二種類の歯科用麻酔液入りカートリッジ兼用電動注射器
US20200360053A1 (en) * 2018-04-03 2020-11-19 Dr. Barney Paradigms, Lc Device and method for intraosseous dental anesthetization
JP7319469B2 (ja) * 2019-12-09 2023-08-01 エスエイチエル・メディカル・アーゲー 組立体、カセット及び薬剤送達デバイス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062A (ko) 2018-02-22 2019-08-30 메디허브 주식회사 무통 마취 주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46804A1 (en) 2023-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31053B2 (ja) 投薬注入デバイス
US4747824A (en) Hypodermic anesthetic injection method
US5180371A (en) Hypodermic anesthetic injection apparatus and method
EP0429440B1 (en) Aspirating hypodermic syringe apparatus
US6520928B1 (en) Medical liquid injection system and method
US4787893A (en) Instrument for injecting biocompatible products through bone tissue
US6113574A (en) Anesthetic injection apparatus and methods
US4578055A (en) Controlled diffusion medicament applicator
JP2005515034A (ja) 軸方向に着脱可能なリードねじを具備する薬剤注射装置
JP2012521260A (ja) 液体薬剤を送達するためのデバイス
ES2090339T3 (es) Dispositivo de usar y tirar, previamente llenado, para introducir una sustancia farmacologicamente activa en una cavidad del cuerpo de un paciente, metodo para fabricar dicho dispositivo y aparato de moldeo para fabricar dicho dispositivo.
JPWO2013141351A1 (ja) 自動注射装置
KR101648056B1 (ko) 자동약액주입장치
KR101370430B1 (ko) 치과용 마취액 주입 장치의 앰플 홀더 및 이를 포함한 치과용 마취액 주입 장치
US6152734A (en) Dental anesthetic and delivery injection unit
KR20230023153A (ko) 치조골을 천공할 때 발생되는 소음 및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통주사기
KR20230023154A (ko) 치조골을 천공하여 주사하기 위한 슬립방지 구조를 가진 무통주사기
KR20140142084A (ko) 약물 주입 장치
CN102125455B (zh) 外科器械
WO2019224991A1 (en) Capillary blood collection device
JP4994167B2 (ja) 歯科麻酔用注射器
KR102637080B1 (ko) 정량정속 약물주입 방법 및 그에 따른 무통마취 주사장치
FR2735031A1 (fr) Appareil d'anesthesie loco-regionale.
KR101288950B1 (ko) 약물 주입 장치
KR102777933B1 (ko) 피부시술용 약물주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