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1930A -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 - Google Patents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21930A KR20230021930A KR1020210103943A KR20210103943A KR20230021930A KR 20230021930 A KR20230021930 A KR 20230021930A KR 1020210103943 A KR1020210103943 A KR 1020210103943A KR 20210103943 A KR20210103943 A KR 20210103943A KR 20230021930 A KR20230021930 A KR 2023002193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cation
- buoyancy body
- water
- product
- searc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0000009429 distr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08000003443 Unconsciousnes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090 dissolu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125000003903 2-propenyl group Chemical group [H]C([*])([H])C([H])=C([H])[H] 0.000 claims 1
- 230000004397 blinking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06010013647 Drown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0
- MTLMVEWEYZFYTH-UHFFFAOYSA-N 1,3,5-trichloro-2-phenylbenzene Chemical compound ClC1=CC(Cl)=CC(Cl)=C1C1=CC=CC=C1 MTLMVEWEYZFYT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VAHKBZSAUKPEOV-UHFFFAOYSA-N 1,4-dichloro-2-(4-chlorophenyl)benzene Chemical compound C1=CC(Cl)=CC=C1C1=CC(Cl)=CC=C1Cl VAHKBZSAUKPEO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89 div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49 favour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06 food intak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92 glu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91 imag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005—Life-saving in water by means of alarm devices for persons falling into the water, e.g. by signalling, by controlling the propulsion or manoeuvring means of the boat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002—Distress signalling devices, e.g. rescue ballo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변사체를 말함)의 위치를 수면 위로 노출시켜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
수색이 용이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색이 용이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는 해상
사고로
인해 물에 빠진 조난자 위치를 찾기 위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에 있어서:
조난자 또는 사용물에 제품 임의면에 고정된 중심축과 상기 축에 포함된
릴이 형성되고;
상기 릴에 일단이 감긴 임의길이의 연결와이어 타단이 제품 본체를 이탈하는
부력체;
부력체는 수용성 접착제로 홀더에 부착고정이 되고;
상기 홀더는 로커에 의해 중심축 내부 압축스프링을 가압하여 장착되고;
상기 부력체는 해당 안착구가 포함된 커버에 위치하게 된다;
수납공간부가 형성되는 제품외벽에는 로킹해제용 연결와이어홈을 통해 비상
해제용 고리가 연결된다;
조난자가 물에 빠져 긴급상황이 발생시 1차적으로 로킹해제용고리를 이용해
부력체가
본체에서 강제 이탈하여 수면으로 부상하게 되며, 의식이 없는 조난자의
경우 2차적으로 제품본체에 해수의 유입으로 부력체와 부력체홀더를 부착
고정한 수용성 접착제가 용해되면서 부력체만 수면으로 부상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조난자에게 착용된 벨트를 포함한 제품면과 이에 고정된 릴
포함한 중심축 이외의 제품구성은 순차적인 수용성접착제의 용해로 분해
이탈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부력체가 상기 제품본체 안착부인 수납공간부로부터
이탈될 경우 상기 부력체를 상기 연결와이어에 의해 조난자로부터
임의거리를 유지하여 수면 위에 부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색이 용이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알림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의 단면도,
도 4(a,b)는 부력체의 로킹상태 및 로킹해지상태의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를 이루는 부력체의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촬영용 카메라 수납케이스 및 연결고리 개략적인
사시도
도 8은 본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색이 용이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10는 도 8에 도시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의 단면도,
도 11은 부력체의 로킹상태 및 로킹해지상태의 도면
11; 부력체 안착커버
12; 제품외벽
13; 벨트고리
14; 로킹해제고리
15; 로킹연결와이어
16; 부력체 홀더
17; 부력체 안착구
18; 로커 홀더
19; 로커
20; 스프링캡
21; 스프링
22; 중심축
23; 베어링
24; 로커 홈
25; 릴
26; 제품바닥면
27; 로킹해제연결와이어홈
28; LED
29; 통신모듈
30; PCB
31; 전원용스프링
32; PCD측 접촉단자
33; 배터리측 접촉단자
34; 핀
35; 전원케이블
36; 배터리
37; 와이어 연결고리
38; 연결와이어
39; 수용성 접착제
40; 핀홀
41; 와이어 연결고리
42; 카메라 지지발
100; 부력체
101; 부력체 수납부
102; 제품외벽
103; 벨트고리
104; 로킹해제고리
105; 제품바닥면
106; 릴
107; 스프링
108; 스프링캡
109; 로커홀더
110; 로커
111; 로커커버
112: 로킹연결와이어홈
113; 릴 연결와이어
Claims (6)
- 해상사고로 인해 물에 빠진 조난자 위치를 찾기 위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
에 있어서:
조난자 또는 사용물로부터 임의거리를 유지하며 수면으로 부상하여 위치를
알릴 부력체;
상기 부력체와 연결될 임의 길이의 연결와이어 타단이 고정될 릴이 형성
된다;
조난자 또는 사용물에 결속된 제품의 면에 상기 릴이 포함된 중심축에
탄성체가 위치하고 부력체와 수용성 접착제에 결합된 부력체 홀더가
부착되어 중심축 탄성체 상부에 압축위치하고 로커로 평상시 부력체의
이탈을 방지한다;
조난자 또는 사용물이 물에 빠지게 될 경우 제품의 작동 분리순서는;
1차적으로 사고 발생을 인지한 조난자가 비상용 로킹해제고리를 당겨 로커를
이동시켜 부력체 홀더가 제품 수납공간부로부터 자유로워지고 연결와이어가
릴의 원활한 회전을 통해 조난 위치로부터 임의거리를 유지하며 수면으로
부상하도록 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
2차적으로 사고로 의식이 없는 조난자나 사용물의 입수로 인한 제품에 물의
유입으로 부력체와 부력체홀더를 고정부착해 주고 있던 수용성 접착제의
용해 후 부력체가 수납공간으로부터 이탈하여 부상하는 수색이 용이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
마지막으로 조난자 및 사용물에 결속된 릴을 포함한 제품면을 제외한 제품
외벽 및 부력체 수납공간이 포함된 커버 등은 수용성 접착제로 부착
고정되어 있어 물의 유입으로 용해, 순차적 분리 이탈되며 제품 작동의
장애요소가 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부력체는 부력공간안에 LED와 통신모듈을 포함한 PCB가 장착되어
있으며, 평상시 PCB와 배터리의 각각 전선케이블을 연결한 접촉 단자로
분리되어 있다.
탄성부재 또는 탄성부재를 포함한 상기 접촉단자들 중 하나는 임의의
돌출 핀에 내부로 밀려 전원을 차단(OFF)상태가 되고 상기 핀은 수용성
접착재로 고정 또는 수납공간에 의해 안쪽으로 밀려들어가게 되어 배터리
방전을 최소화한다.
해상사고 발생시 부력체의 수납공간 이탈 또는 수용성 접착제 용해로
돌출 핀이 외부로 이동하며 접지모드로 전환하여 PCB에 전원을 인가하여
LED점멸하고 통신모듈이 동작하며 부력체가 수면으로 노출된 후 본격적인
수색과 수습이 이루어지기 위해 사고장소 및 조난자의 위치 주변의
사전답사가 필요한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부력체로부터 연결된 와이어를 따라 촬영용 카메라가 조난자 위치로
이동하고 주변을 촬영하여 작업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이며;
이때 연결와이어를 통해 촬영용 카메라가 지지발과 와이어가 고리에
연결되어 현장 주변을 정확히 이동하는 특징으로 하는 수색이 용이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 외측면에 도포되는 인광물질 또는 형광물질의 도포층, 또는
상기 부력체 외측면에 형성되는 야간 반사판 또는 형광판에 의해 상기
부력체를 야간에도 식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색이 용이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
- 제1항에 있어서,
물의 유입에 따라 상기 수납공간부로부터 상기 부력체가 부력체홀더와 이음
연결하는 수용성 접착테의 용해로 이탈을 시작하고 상기 부력체에 부력체에
배터리의 전원이 인가되어 LED점멸 등의 전체 동작시간을 연장할 수 있도록
했으며, 수용성 접착제의 증감에 따라 제품의 외벽 및 커버 등 조난자 또는
사용물에 결속된 부분 외 나머지 요소들이 본체에서 분리 이탈하여 제품의
원활한 작동에 장애요소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색이
용이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의식을 유지할 경우,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수납공간부로부터
상기 부력체를 강제적으로 이탈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품외벽에 로커의 이탈이 가능하게 로킹해제용 비상 로킹해제고리;
부력체홀더가 조립될 중심축 중공부에 가압을 유지하는 탄성부재가 위치하고
로킹해제고리로 인해 로커가 이동하면 탄성부재의 복귀로 부력체 포함한
홀더가 수면으로 부상을 특징으로 하는 수색이 용이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가 안착구에서 이탈될 경우, 상기 부력체에 내설 되는 배터리의
전원을 LED 및 통신모듈에 전원케이블을 통해 인가시켜 온(ON) 작동시키도록
접지모드로 전환시키는 통전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색이
용이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
- 제1항에 있어서,
해양 사고 발생후 부력체로부터 조난자 위치까지 촬영용 카메라가 와이어를
따라 조난자의 위치까지 이동하여 주변을 탐색하여 구조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조난자로부터 이탈한 부력체와 와이어가 견고히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
와이어를 통해 임의의 고리 또는 양방향 고리가 와이어측과 카메라 지지발에
체결이 되고, 조난자 위치까지 사전 답사용 카메라가 이동하는 가이드용
로프로써 역할을 할 수 있다.
카메라 지지발은 임의의 지지 형상을 이용하여 카메라의 렌즈 시야를
가리거나 방해하는 촬영방해요소 회피 역할을 하여 시야를 안전하게
확보하고 주변 장애물로부터 보호하며 조난자의 위치까지 안전하게 이동하여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다.
상기 연결 와이어를 따라 수중촬영을 위한 카메라를 고리에 연결하여 사고
수습을 위해 광범위한 수색이 아닌 정확한 사고현장 주변 상황 또는 장애
요소등을 미리 파악하여 2차 피해를 최소화하고 효과적인 사고 수습을 위한
사전준비에 도움을 주는 특징으로 하는 수색이 용이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03943A KR20230021930A (ko) | 2021-08-06 | 2021-08-06 |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03943A KR20230021930A (ko) | 2021-08-06 | 2021-08-06 |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21930A true KR20230021930A (ko) | 2023-02-14 |
Family
ID=85220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03943A Ceased KR20230021930A (ko) | 2021-08-06 | 2021-08-06 |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021930A (ko) |
-
2021
- 2021-08-06 KR KR1020210103943A patent/KR20230021930A/ko not_active Ceas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35401B1 (ko) | 드론방식 구명장비 투하장치 | |
US6439941B2 (en) | Automated fail-safe sea rescue flotation system | |
AU675188B2 (en) | Visual locating device for persons lost at sea or the like | |
KR20170013100A (ko) | 해상구조용 드론 및 이를 이용한 해상구조 시스템 | |
JP6182550B2 (ja) | 水難救助装置 | |
DK2397401T3 (en) | Dummy with a positioning system to help in rescue operations of persons and ships at sea | |
KR102081618B1 (ko) | 수상 인명 구조장치 | |
US6935911B1 (en) | Aquatic alarm, security and rescue station | |
EP3590819B1 (en) | Automatically detaching danger marking buoy | |
US20150360759A1 (en) | Safety Device and Inflating Apparatus Therefor | |
KR20160048737A (ko) | 간편운전기능을 가지는 인명구조, 환경감시용 드론 | |
Ajgaonkar et al. | Development of a Lifeguard assist Drone for coastal search and rescue | |
DE3600802A1 (de) | Vorrichtung zur ueberwachung von personen oder gegenstaenden, die von bord eines schiffes, einer schwimmenden fabrik oder einer fest im meer verankerten betriebsstaette ins wasser fallen | |
KR20140031498A (ko) | 수상 구조로봇을 이용한 인명 구조시스템 | |
KR20230021930A (ko) |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 | |
KR20150019386A (ko) | 무인 원격 구조장치 | |
CN220410853U (zh) | 一种具有水面救助功能的无人艇 | |
CN113271438A (zh) | 一种海水浴场安全监管系统 | |
KR102537636B1 (ko) | 수색이 용이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 | |
US20040248483A1 (en) | Rescue equipment having photo-luminescent and reflective markings for night or low light recognition | |
KR101914490B1 (ko) | 구조용 튜브 | |
Krieg et al. | Baywatch 2.0: Rescuing drowning persons with an underwater robotic lifeguard | |
US20060238357A1 (en) | Man-portable and autonomous emitting device, in particular for a man in sea | |
KR20200110718A (ko) | 수상 인명구조를 위한 무인 감시 및 구조시스템 | |
Gunatilaka et al. | A survey of inventions aimed at preventing drowning: Study Repor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0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304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10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