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1502A -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21502A KR20230021502A KR1020210103441A KR20210103441A KR20230021502A KR 20230021502 A KR20230021502 A KR 20230021502A KR 1020210103441 A KR1020210103441 A KR 1020210103441A KR 20210103441 A KR20210103441 A KR 20210103441A KR 20230021502 A KR20230021502 A KR 2023002150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battery cell
- bottom wall
- spacer
- battery pac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4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92 electrical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04 medi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52 polymer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against vibrations, collision impact or swell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01M50/29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 팩이 개시된다. 상기 배터리 팩은, 다수의 배터리 셀과, 다수의 배터리 셀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도록, 배터리 셀의 코너위치와 마주하는 코너위치에서 서로에 대해 맞닿는 측벽과 바닥벽을 포함하는 하우징으로서, 적어도 바닥벽에는 배터리 셀과 하우징의 코너위치를 서로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오목하게 인입된 이격부가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충격에 대해 상대적으로 취약한 코너위치에서 배터리 셀과 배터리 셀을 수용하는 하우징 사이의 전기적 및 물리적 간섭을 차단함으로써, 배터리 셀과 하우징 사이의 절연을 확보하고, 배터리 셀을 보호할 수 있는 배터리 팩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충격에 대해 상대적으로 취약한 코너위치에서 배터리 셀과 배터리 셀을 수용하는 하우징 사이의 전기적 및 물리적 간섭을 차단함으로써, 배터리 셀과 하우징 사이의 절연을 확보하고, 배터리 셀을 보호할 수 있는 배터리 팩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차 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이다. 이차 전지는 모바일 기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 자전거,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등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며, 적용되는 외부기기의 종류에 따라 단일 전지의 형태로 사용되기도 하고, 다수의 전지들을 연결하여 하나의 단위로 묶은 팩 형태로 사용되기도 한다.
휴대폰과 같은 소형 모바일 기기는 단일 전지의 출력과 용량으로 소정시간 동안 작동이 가능하지만, 노트북과 같이 보다 큰 사이즈의 모바일 기기나 전력소모가 많은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이 장시간 구동, 고전력 구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출력 및 용량의 문제로 다수의 전지를 포함하는 팩 형태가 선호되며, 내장된 전지의 개수에 따라 출력전압이나 출력전류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외부 충격에 대해 상대적으로 취약한 코너위치에서 배터리 셀과 배터리 셀을 수용하는 하우징 사이의 전기적 및 물리적 간섭을 차단함으로써, 배터리 셀과 하우징 사이의 절연을 확보하고, 배터리 셀을 보호할 수 있는 배터리 팩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 및 그 밖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배터리 팩은,
다수의 배터리 셀과, 상기 다수의 배터리 셀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도록, 배터리 셀의 코너위치와 마주하는 코너위치에서 서로에 대해 맞닿는 측벽과 바닥벽을 포함하는 하우징으로서, 적어도 상기 바닥벽에는 배터리 셀과 하우징의 코너위치를 서로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오목하게 인입된 이격부가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이격부는 상기 배터리 셀과 마주하는 하우징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격부는 하우징의 바닥벽으로부터 측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격부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벽에 형성된 제1 부분; 및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형성된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격부의 제1 부분은 바닥벽의 내면이 외면을 향하여 오목하게 인입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의 바닥벽은,
오목하게 형성된 상기 이격부의 제1 부분; 및
상기 이격부의 제1 부분을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어, 배터리 셀의 바닥면을 지지하도록 평편하게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부는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하우징의 내면과 외면을 포함하여 일정한 벽 두께로 편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부분은 하우징의 내면으로부터 외면을 향하여 인입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의 벽 두께 보다 얇은 벽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격부의 제2 부분은, 하우징의 측벽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며,
상기 이격부의 제2 부분이 형성된 하우징의 측벽은 균일한 벽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격부의 제1 부분은, 배터리 셀의 바닥면과 하우징의 바닥벽 사이를 서로로부터 이격시키는 제1 이격 갭을 형성하고,
상기 이격부의 제2 부분은, 배터리 셀의 측면과 하우징의 측벽 사이를 서로로부터 이격시키는 제2 이격 갭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제2 이격 갭은 하우징의 코너위치에서 서로 연결되면서 배터리 셀의 코너위치를 함께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이격 갭은, 하우징의 바닥벽 일부에서 국부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이격 갭은, 하우징의 측벽 전체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터리 셀과 하우징의 코너위치 사이에는 상기 이격부와 함께 사이드 바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이드 바는 배터리 셀의 바닥면과 측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이드 바는,
상기 이격부의 제1 부분과 마주하게 배치되면서 사이드 바의 폭을 형성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이격부의 제2 부분과 마주하게 배치되면서 사이드 바의 높이를 형성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격부와 사이드 바는 서로에 대해 겹쳐지는 하우징의 코너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격부와 사이드 바는 서로에 대해 겹쳐지되, 서로에 대해 완전히 겹쳐지지는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이드 바는 이격부의 제1 부분을 벗어난 위치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이드 바의 제1 부분은,
상기 이격부의 제1 부분이 형성하는 제1 이격 갭 내에 배치되는 수용부; 및
상기 이격부의 제1 부분을 벗어난 바닥벽의 지지부 상에 배치된 위치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용부는 상기 이격부의 제1 부분이 형성하는 제1 이격 갭 내에서 부상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위치 고정부는 상기 이격부의 제1 부분을 벗어난 위치에 형성된 바닥벽의 지지부와 배터리 셀의 바닥면 사이에서 접촉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충격에 대해 상대적으로 취약한 코너위치에서 배터리 셀과 배터리 셀을 수용하는 하우징 사이의 전기적 및 물리적 간섭을 차단함으로써, 배터리 셀과 하우징 사이의 절연을 확보하고, 배터리 셀을 보호할 수 있는 배터리 팩이 제공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팩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팩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배터리 셀의 서로 대응되는 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도 2에 도시된 하우징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도 4에 도시된 사이드 바와 절연 시트의 배치를 도시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팩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배터리 셀의 서로 대응되는 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도 2에 도시된 하우징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도 4에 도시된 사이드 바와 절연 시트의 배치를 도시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한 배터리 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팩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팩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배터리 셀의 서로 대응되는 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도 2에 도시된 하우징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도 4에 도시된 사이드 바와 절연 시트의 배치를 도시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배터리 팩은, 다수의 배터리 셀(10)과, 다수의 배터리 셀(1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도록, 배터리 셀(10)의 코너위치(10c)와 마주하는 코너위치(50c)에서 서로에 대해 맞닿는 측벽(55)과 바닥벽(52)을 포함하는 하우징(50)으로서, 적어도 하우징(50)의 바닥벽(52)에는 배터리 셀(10)과 하우징(50)의 코너위치(10c,50c)를 서로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오목하게 인입된 이격부(60)가 형성된 하우징(5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배터리 셀(10)은 다수의 배터리 셀(1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터리 셀(10)은 제1 방향(Z1)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배터리 셀(1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하여, 제1 방향(Z1)이란 다수의 배터리 셀(10)이 배열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다수의 배터리 셀(10)은 제1 방향(Z1)을 따라 배열된 일 열의 배터리 셀(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배터리 셀(10)은 제1 방향(Z1)을 따라 배열된 일 열의 배터리 셀(10)이 제1 방향(Z1)과 교차하는 제2 방향(Z2)을 따라 다수 열로 배열된 다수의 배터리 셀(1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방향(Z2)이란 제1 방향(Z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서, 제1 방향(Z1)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셀(10)은 전극 단자(10a)가 형성된 단자면(13)과 상기 단자면(13)과 반대되는 바닥면(12)과, 상기 단자면(13)과 바닥면(12) 사이를 연결해주는 것으로,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으로 형성된 제1 측면(11)과, 상기 단자면(13)과 바닥면(12)을 연결해주는 것으로,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으로 형성된 제2 측면(15)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배터리 셀(10)은,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는 전극 조립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50) 내부에는 상기 전극 조립체(미도시)와 함께, 전해질이 함께 수용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전극 조립체(미도시)는 서로 다른 극성의 제1, 제2 전극판과, 상기 제1, 제2 전극판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제2 전극판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개재한 적층체를 롤 형태로 권취한 권취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세퍼레이터를 개재하여 다수의 제1, 제2 전극판을 적층하여 형성된 적층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전극 조립체(미도시)의 제1, 제2 전극판은, 배터리 셀(10)의 단자면(13) 상에 형성된 서로 다른 극성의 전극 단자(10a)와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전극 단자(10a)를 통하여 전극 조립체(미도시)의 방전 전력이 출력되거나 또는 전극 조립체(미도시)를 향하여 충전 전력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전극 조립체(미도시)는 배터리 셀(10)의 케이스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케이스는 배터리 셀(10)의 외부 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배터리 셀(10)의 단자면(13), 바닥면(12), 제1 측면(11) 및 제2 측면(15)이란 배터리 셀(10)의 외부 면을 형성하는 케이스의 단자면(13), 바닥면(12), 제1 측면(11) 및 제2 측면(15)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자면(13), 바닥면(12), 제1 측면(11) 및 제2 측면(15)은 배터리 셀(10)의 단자면(13), 바닥면(12), 제1 측면(11) 및 제2 측면(15) 또는 배터리 셀(10)의 외부 면을 형성하는 케이스의 단자면(13), 바닥면(12), 제1 측면(11) 및 제2 측면(15)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단자면(13) 상에는 배터리 셀(10)의 전극 단자(10a)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단자면(13)과 상기 단자면(13)과 마주하는 바닥면(12)은, 제3 방향(Z3)을 따라 서로 마주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하여 상기 제3 방향(Z3)이란 제1, 제2 방향(Z1,Z2)과 교차하는 방향에 해당될 수 있으며, 제1, 제2 방향(Z1,Z2)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제3 방향(Z3)이란, 상기 단자면(13)과 바닥면(12)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에 해당될 수 있고, 상기 단자면(13) 상으로부터 전극 단자(10a)가 돌출되는 방향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셀(10)의 바닥면(12)은 다수의 배터리 셀(10)을 수용하는 하우징(50)의 바닥벽(52)과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배터리 셀(10)의 바닥면(12)과 하우징(50)의 바닥벽(52)은 제3 방향(Z3)을 따라 서로 마주할 수 있고, 다수의 배터리 셀(10)은 하우징(50)의 바닥벽(52)으로부터 떠받쳐 지지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50)의 바닥벽(52)에는 제3 방향(Z3)을 따라 하방으로 인입된 이격부(6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격부(60)는 서로 마주하는 배터리 셀(10)의 코너위치(10c)와 하우징(50)의 코너위치(50c)에서 서로 마주하는 배터리 셀(10)의 바닥면(12)과 하우징(50)의 바닥벽(52) 사이를 이격시키도록, 적어도 하방으로 인입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11)은, 배터리 셀(10)의 단자면(13)과 바닥면(12) 사이를 연결해주는 것으로,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제1 방향(Z1)을 따라 서로 이웃하는 배터리 셀(10)은 제1 방향(Z1)을 따라 제1 측면(11)끼리 서로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갖는 제1 측면(11)끼리 서로 이웃하는 배터리 셀(10)이 서로 마주하게 배치됨으로써, 제1 방향(Z1)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배터리 셀(10)이 서로 서로에 대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측면(11)은 배터리 셀(10)이 배열되는 제1 방향(Z1)을 따라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1 측면(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측면(15)은 상기 배터리 셀(10)의 단자면(13)과 바닥면(12)을 서로 연결해주는 것으로,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측면(15)은 제2 방향(Z2)을 따라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2 측면(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배터리 셀(10)은, 다수의 배터리 셀(10)에 대한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5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0)은, 배터리 셀(10)의 제2 측면(15)과 마주하는 측벽(55)과 배터리 셀(10)의 바닥면(12)과 마주하는 바닥벽(5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방향(Z3)을 따라 상기 바닥벽(52)과 마주하는 위치에는 다수의 배터리 셀(10)을 수용하기 위하여 개방된 형태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다수의 배터리 셀(10)은, 하우징(50)의 수용공간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다수의 배터리 셀(1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50)은, 제1, 제2 방향(Z1,Z2)을 따라 연장되는 장변부(52a) 및 단변부(52b)를 포함하는 바닥벽(52)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벽(52)을 통하여 다수의 배터리 셀(10)을 떠받쳐 지지해줄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50)의 바닥벽(52)의 장변부(52a)를 따라서는 제1, 제2 방향(Z1,Z2)과 교차하는 제3 방향(Z3)을 따라 하우징(50)의 바닥벽(52)과 배터리 셀(10)의 바닥면(12)을 서로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하여 하방으로 인입된 형태의 이격부(60)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다수의 배터리 셀(10)을 수용하는 하우징(50)의 바닥벽(52)에는 제3 방향(Z3)을 따라 하방으로 인입된 이격부(6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격부(60)는 배터리 셀(10)의 바닥면(12)과 제2 측면(15)이 맞닿는 코너위치(10c)와 마주하게 형성되어, 서로에 대해 맞닿는 배터리 셀(10)의 바닥면(12)과 제2 측면(15)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이격부(60)는 상기 배터리 셀(10)의 바닥면(12)과 제2 측면(15)이 맞닿는 코너위치(10c)와 마주하도록 하우징(50)의 코너위치(50c)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배터리 셀(10)의 바닥면(12)과 제2 측면(15)이 서로 맞닿는 코너위치(10c)는, 하우징(50)의 바닥벽(52)과 측벽(55)이 서로 맞닿는 코너위치(50c)와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배터리 셀(10)의 코너위치(10c)와 마주하는 하우징(50)의 코너위치(50c)에는 이격부(6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이격부(60)가 배터리 셀(10)의 코너위치(10c)와 마주하게 형성된다는 것은, 상기 이격부(60)가 배터리 셀(10)의 코너위치(10c)와 마주하는 하우징(50)의 코너위치(50c)에 형성되면서, 이격부(60)의 일부는 배터리 셀(10)의 바닥면(12)과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한편으로, 이격부(60)의 나머지 일부는 배터리 셀(10)의 제2 측면(15)과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이격부(60)는 배터리 셀(10)의 바닥면(12) 및 제2 측면(15)과 모두 마주하는 위치, 그러니까, 하우징(50)의 코너위치(50c)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이격부(60)는 배터리 셀(10)의 바닥면(12)과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1 부분(61)과, 배터리 셀(10)의 제2 측면(15)과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부분(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격부(60)의 제1 부분(61)은, 배터리 셀(10)의 바닥면(12)과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배터리 셀(10)의 바닥면(12)과 마주하는 하우징(50)의 바닥벽(52)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하우징(50)의 바닥벽(52)이란, 다수의 배터리 셀(10)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수용공간을 둘러싸는 하우징(50)의 일 벽체에 해당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배터리 셀(10)의 바닥면(12)과 마주하는 하우징(50)의 일 벽체에 해당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하우징(50)의 바닥벽(52)이란 하우징(50)의 일 면을 의미하기 보다는 일 벽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하우징(50)의 바닥벽(52)은 배터리 셀(10)과 마주하는 내면과 배터리 셀(10)과 반대되는 외면을 포함하는 내외의 양면을 포함할 수 있고, 배터리 셀(10)과 마주하는 바닥벽(52) 내면에는 상기 이격부(60)의 제1 부분(6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이격부(60)의 제1 부분(61)은 바닥벽(52) 내면에 형성될 수 있고, 바닥벽(52) 내면 중에서 일부에 걸쳐서 형성되거나 또는 바닥벽(52) 내면 전체에 걸쳐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이격부(60)의 제1 부분(61)은 바닥벽(52) 내면 중에서 일부에 국한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하우징(50)의 코너위치(50c)에 인접한 바닥벽(52)의 내면 일부에 국한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이격부(60)의 제1 부분(61)이 바닥벽(52)에 형성된다는 것은, 이격부(60)의 제1 부분(61)이 바닥벽(52) 내면을 형성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이격부(60)의 제1 부분(61)이 바닥벽(52)의 내면 일부에 형성된다는 것은, 이격부(60)의 제1 부분(61)이 바닥벽(52)의 내면 일부를 형성하면서, 바닥벽(52)의 내면 나머지 일부와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태로 전체 바닥벽(52)의 내면이 형성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이격부(60)의 제1 부분(61)은 바닥벽(52)의 내면 나머지 일부로부터 하방으로 인입된 형태로 바닥벽(52)의 내면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이격부(60)의 제1 부분(61)은, 하우징(50)의 바닥벽(52)과는 구별될 수 있으며, 하우징(50)의 바닥벽(52)이란 수용공간을 둘러싸는 하우징(50)의 일 벽체를 의미하는데 반하여, 하우징(50)의 바닥벽(52)의 내면을 형성하는 이격부(60)의 제1 부분(61)은, 하방으로 오목하게 인입된 형태로 형성되면서, 배터리 셀(10)의 바닥면(12)으로부터의 제1 이격 갭(g1)을 형성함으로써, 배터리 셀(10)의 바닥면(12)에 대한 완충을 제공한다는 기능적인 측면에서, 상기 이격부(60)의 제1 부분(61)이 바닥벽(52)의 내면을 형성한다고 하더라도, 상기 이격부(60)의 제1 부분(61)과 하우징(50)의 바닥벽(52)은 서로 다른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이격부(60)의 제2 부분(62)은, 배터리 셀(10)의 제2 측면(15)과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배터리 셀(10)의 제2 측면(15)과 마주하는 하우징(50)의 측벽(55)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하우징(50)의 측벽(55)이란, 다수의 배터리 셀(10)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수용공간을 둘러싸는 하우징(50)의 일 벽체에 해당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배터리 셀(10)의 제2 측면(15)과 마주하는 하우징(50)의 일 벽체에 해당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하우징(50)의 제2 측벽(55)이란 하우징(50)의 일 면을 의미하기 보다는 일 벽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하우징(50)의 측벽(55)은 배터리 셀(10)과 마주하는 내면과 배터리 셀(10)과 반대되는 외면을 포함하는 내외의 양면을 포함할 수 있고, 배터리 셀(10)과 마주하는 측벽(55)의 내면에는 상기 이격부(60)의 제2 부분(62)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이격부(60)의 제2 부분(62)은 측벽(55)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고, 측벽(55)의 내면 중에서 일부에 걸쳐서 형성되거나 또는 측벽(55)의 내면 전체에 걸쳐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이격부(60)의 제2 부분(62)은 측벽(55)의 내면 전체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하우징(50)의 코너위치(50c)에 인접한 측벽(55)의 내면으로부터 측벽(55)의 내면 전체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이격부(60)의 제2 부분(62)이 측벽(55)에 형성된다는 것은, 이격부(60)의 제2 부분(65)이 측벽(55)의 내면을 형성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이격부(60)의 제2 부분(62)이 측벽(55)의 내면 전체에 형성된다는 것은, 이격부(60)의 제2 부분(62)이 측벽(55)의 내면 전체를 형성하면서, 측벽(55)의 내면이 전체적으로 배터리 셀(10)의 제2 측면(15)으로부터 이격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이격부(60)의 제2 부분(62)은, 하우징(50)의 코너위치(50c)에 형성된 이격부(60)의 제1 부분(61)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되면서, 측벽(55) 내면 전체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하우징(50)의 측벽(55)이란 수용공간을 둘러싸는 하우징(50)의 일 벽체를 의미하는데 반하여, 하우징(50)의 측벽(55) 내면을 형성하는 이격부(60)의 제2 부분(62)은, 배터리 셀(10)의 제2 측면(15)으로부터의 제2 이격 갭(g2)을 형성함으로써, 배터리 셀(10)의 측면(15)에 대한 완충을 제공한다는 기능적인 측면에서, 상기 이격부(60)의 제2 부분(62)이 측벽(55) 내면을 형성한다고 하더라도, 상기 이격부(60)의 제2 부분(62)과 하우징(50)의 측벽(55)은 서로 다른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이격부(60)는 배터리 셀(10)의 바닥면(12)과 제2 측면(15) 중에서 어느 일 측과 마주하는 위치로부터 나머지 다른 일 측과 마주하는 위치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격부(60)가 어느 일 측으로부터 다른 나머지 일 측으로 연장된다는 것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이격부(60)가 배터리 셀(10)의 바닥면(12)과 마주하는 제1 부분(61)으로부터 배터리 셀(10)의 제2 측면(15)과 마주하는 제2 부분(62)으로 연장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이격부(60)는 배터리 셀(10)의 바닥면(12)과 마주하는 제1 부분(61)으로부터 배터리 셀(10)의 제2 측면(15)과 마주하는 제2 부분(62)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이격부(60)의 제2 부분(62)은 배터리 셀(10)의 전체 제2 측면(15)을 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이격부(60)는 배터리 셀(10)의 바닥면(12)과 마주하는 제1 부분(61)으로부터 배터리 셀(10)의 제2 측면(15)과 마주하는 제2 부분(62)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으며, 이때, 배터리 셀(10)의 제2 측면(15)과 마주하는 제2 부분(62)은 배터리 셀(10)의 제2 측면(15) 전체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배터리 셀(10)의 코너위치(10c)와 마주하는 하우징(50)의 코너위치(50c)에 형성된 이격부(60)는, 배터리 셀(10)의 바닥면(12)과 마주하는 제1 부분(61)과 배터리 셀(10)의 제2 측면(15)과 마주하는 제2 부분(6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이격부(60)의 제1 부분(61)은 하우징(50)의 바닥벽(52) 내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배터리 셀(10)의 바닥면(12)으로부터 하우징(50)의 바닥벽(52) 내면까지의 제1 이격 갭(g1)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이격부(60)의 제2 부분(62)은 하우징(50)의 측벽(55) 내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배터리 셀(10)의 제2 측면(15)으로부터 하우징(50)의 측벽(52) 내면까지의 제2 이격 갭(g2)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제2 이격 갭(g1,g2)은 배터리 셀(10)의 코너위치(10c)를 둘러싸도록 서로에 대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배터리 셀(10)의 코너위치(10c)와 하우징(50)의 코너위치(50c), 예를 들어, 배터리 셀(10)과 하우징(50)의 코너위치(10c,50c)에 형성된 배터리 셀(10)과 하우징(50)의 모서리를 서로로부터 이격시키는 이격 갭(g)은, 배터리 셀(10)과 하우징(50) 사이에서 외부 충격으로부터 배터리 셀(10)을 보호하기 위한 완충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이격 갭(g1)은 낙하 충격으로부터 배터리 셀(10)을 완충할 수 있고, 상기 제2 이격 갭(g2)은 횡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배터리 셀(10)을 완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이격 갭(g1)은 이격부(60)의 제1 부분(61)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으며, 서로 마주하게 형성된 배터리 셀(10)의 바닥면(12)과 하우징(50)의 바닥벽(52)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이격 갭(g2)은 이격부(60)의 제2 부분(62)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으며, 서로 마주하게 형성된 배터리 셀(10)의 제2 측면(15)과 하우징(50)의 측벽(55)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이격부(60) 및 이격부(60)에 의해 제공되는 이격 갭(g)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하우징(50)의 바닥벽(52)과 측벽(55)이 서로 마주하는 코너위치(50c)에는, 배터리 셀(10)의 코너위치(10c)와 마주하도록 이격부(60)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격부(60)는 하우징(50)의 바닥벽(52)과 측벽(55)이 서로 맞닿는 코너위치(50c)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코너위치(50c)에 형성된 이격부(60)는, 배터리 셀(10)의 코너위치(10c), 그러니까, 배터리 셀(10)의 제2 측면(15)과 바닥면(12)이 서로 맞닿는 코너위치(10c)와 마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이격부(60)는, 배터리 셀(10)의 바닥면(12)과 마주하게 형성된 제1 부분(61)과 배터리 셀(10)의 제2 측면(15)과 마주하게 형성된 제2 부분(6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이격부(60)의 제1, 제2 부분(61,62)은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이격부(60)의 제1, 제2 부분(61,62)은 서로에 대해 연결되면서, 배터리 셀(10)의 바닥면(12)과 제2 측면(15)을 함께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부(60)의 제1 부분(61)은 하우징(50)의 바닥벽(52)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방향(Z3)을 따라 서로 마주하는 하우징(50)의 바닥벽(52)과 배터리 셀(10)의 바닥면(12)을 서로로부터 이격시키면서, 하우징(50)의 바닥벽(52)과 배터리 셀(10)의 바닥면(12) 사이에 제1 이격 갭(g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격 갭(g1)은 서로 마주하는 하우징(50)의 바닥벽(52)과 배터리 셀(10)의 바닥면(12)을 서로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하우징(50)의 바닥벽(52)과 배터리 셀(10)의 바닥면(12) 사이에서 이들 간의 의도하지 않은 상호 작용을 흡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이격 갭(g1)은, 하우징(50)의 바닥벽(52)과 배터리 셀(10)의 바닥면(12) 사이에서 물리적인 간섭을 차단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배터리 셀(10)을 보호할 수 있고, 하우징(50)의 바닥벽(52)으로부터 배터리 셀(10)로 전달되는 외부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격 갭(g1)은 외부 충격에 따른 하우징(50)의 바닥벽(52)과 배터리 셀(10)의 바닥면(12) 사이의 물리적인 간섭으로 인하여, 예를 들어, 배터리 셀(10)의 바닥면(12)에 형성된 절연 코팅(미도시)의 찢어짐과 같은 절연 파괴를 방지할 수 있고, 하우징(50)의 바닥벽(52)과 배터리 셀(10)의 바닥면(12) 사이에서 전기적인 절연을 확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이격 갭(g1)은 하우징(50)의 바닥벽(52)과 배터리 셀(10)의 바닥면(12) 사이에서 물리적인 간섭 및 전기적인 간섭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기적인 간섭 및 물리적인 간섭의 차단을 통하여 외부 환경으로부터 배터리 셀(10)을 보호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외부로부터의 전기적인 간섭이나 물리적인 간섭을 배제시킴으로써, 배터리 셀(10)의 정상적인 구동을 보장하고, 배터리 셀(10)의 물리적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이격부(60)의 제1 부분(61)은 제3 방향(Z3)을 따라 서로 마주하는 하우징(50)의 바닥벽(52)과 배터리 셀(10)의 바닥면(12) 사이에서 제1 이격 갭(g1)을 형성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이격부(60)의 제1 부분(61)은 하우징(50)의 바닥벽(52) 중에서 배터리 셀(10)과 마주하는 내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바닥벽(52)의 외면을 향하여 인입된 형태, 다시 말하면, 배터리 셀(10)과 마주하는 하우징(50)의 내면으로부터 하우징(50)의 외면을 향하여 하방으로 인입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하우징(50)의 바닥벽(52)은,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내면 및 외면을 포함하여 대체로 일정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0)의 바닥벽(52)은 대체로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되, 상기 이격부(60)의 제1 부분(61)에서는 바닥벽(52)의 내면이 외면을 향하여 인입되면서 상기 이격부(60)의 제1 부분(61)에서는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의 바닥벽(52)을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이격부(60)의 제1 부분(61)이 형성된 바닥벽(52)의 내면에는 오목하게 인입된 형태로 제1 이격 갭(g1)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바닥벽(52)은 그 내면과 외면 서로 나란한 평편한 형태로 형성되어 대체로 일정한 벽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격부(60)의 제1 부분(61)에서 바닥벽(52)의 내면은 외면을 향하여 인입되면서 상대적으로 얇은 벽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부분(61)과 대응되는 바닥벽(52)의 내면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제1 이격 갭(g1)이 형성될 수 있고, 바닥벽(52)의 외면은 제1 부분(61)에 해당되는 내부 위치와 제1 부분(61)을 벗어난 외부 위치에서 전체적으로 평편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이격부(60)의 제1 부분(61) 내지는 제1 부분(61)에 의해 제공되는 제1 이격 갭(g1)은, 배터리 셀(10)과 마주는 바닥벽(52)의 내면 측에 형성될 수 있고, 바닥벽(52)의 외면 측은 전체적으로 평편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61)은 하우징(50)의 바닥벽(52)과 배터리 셀(10)의 바닥면(12) 사이에서 제1 이격 갭(g1)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격부(60)의 제1 부분(61)은 배터리 셀(10)과 마주하는 바닥벽(52)의 내면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부(60)는, 하우징(50)의 바닥벽(52)으로부터 측벽(55)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으며, 하우징(50)의 바닥벽(52)에 형성된 제1 부분(61)으로부터 측벽(55)에 형성된 제2 부분(62)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격부(60)는 하우징(50)의 바닥벽(52)에 형성된 제1 부분(61)과 하우징(50)의 측벽(55)에 형성된 제2 부분(62)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이격부(60)의 제1, 제2 부분(61,62)은 하우징(50)의 코너위치(50c)에서 서로 맞닿도록 연결되면서 하우징(50)의 코너위치(50c)에 형성될 수 있고, 하우징(50)의 코너위치(50c)에서 배터리 셀(10)의 코너위치(10c)를 함께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이격부(60)의 제2 부분(62)은 하우징(50)의 측벽(55)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방향(Z2)을 따라 서로 마주하는 하우징(50)의 측벽(55)과 배터리 셀(10)의 제2 측면(15)을 서로로부터 이격시키면서, 하우징(50)의 측벽(55)과 배터리 셀(10)의 제2 측면(15) 사이에 제2 이격 갭(g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격 갭(g2)은 서로 마주하는 하우징(50)의 측벽(55)과 배터리 셀(10)의 제2 측면(15)을 서로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하우징(50)의 측벽(55)과 배터리 셀(10)의 제2 측면(15) 사이에서 이들 간의 의도하지 않은 상호 작용을 흡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이격 갭(g2)은, 하우징(50)의 측벽(55)과 배터리 셀(10)의 제2 측면(15) 사이에서 외부 충격에 따른 물리적인 간섭을 차단하고, 하우징(50)의 측벽(55)과 배터리 셀(10)의 제2 측면(15) 사이의 물리적인 간섭에 따라 배터리 셀(10)의 제2 측면(15)에 형성된 절연 코팅의 찢어짐과 같은 절연 파괴를 차단하고 전기적인 절연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이격 갭(g2)은, 하우징(50)의 측벽(55)과 배터리 셀(10)의 제2 측면(15) 사이에서 물리적인 간섭을 차단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배터리 셀(10)을 보호할 수 있고, 하우징(50)의 측벽(55)으로부터 배터리 셀(10)로 전달되는 외부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2 이격 갭(g2)은 하우징(50)의 바닥벽(52)과 배터리 셀(10)의 바닥면(12) 사이에서 물리적인 간섭 및 전기적인 간섭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물리적인 간섭 및 전기적인 간섭의 차단을 통하여 외부 환경으로부터 배터리 셀(10)을 보호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물리적인 간섭 및 전기적인 간섭을 배제시킴으로써, 배터리 셀(10)의 정상적인 구동을 보장하고, 배터리 셀(10)의 물리적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이격부(60)의 제2 부분(62)은 제2 방향(Z2)을 따라 서로 마주하는 하우징(50)의 측벽(55)과 배터리 셀(10)의 제2 측면(15) 사이에서 제2 이격 갭(g2)을 형성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상기 이격부(60)의 제2 부분(62)은 하우징(50)의 측벽(55) 중에서 배터리 셀(10)과 마주하는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부(60)의 제2 부분(62)은, 제1 부분(61)과 달리, 전체적으로 평편하게 형성된 측벽(55)의 내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하우징(50)의 측벽(55)은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내면 및 외면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균일한 벽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체적으로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외면 및 내면을 포함하여 균일한 벽 두께로 형성되는 이격부(60)의 제2 부분(62)과 달리, 이격부(60)의 제1 부분(61)에서는 배터리 셀(10)과 마주하는 바닥벽(52)의 내면이 외면을 향하여 오목하게 인입되는 형태로 형성되면서, 바닥벽(52)의 일부가 국부적으로 얇은 벽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이격부(60)의 제1 부분(61)과 달리, 이격부(60)의 제2 부분(62)이 형성된 하우징(50)의 측벽(55)은 전체적으로 균일한 벽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균일한 벽 두께로 형성되면서 측벽(55)의 내면이 전체적으로 배터리 셀(10)의 제2 측면(15)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으며, 측벽(55)의 내면 전체에 형성된 제2 부분(62)을 통하여 서로 마주하는 배터리 셀(10)의 제2 측면(15)과 하우징(50)의 측벽(55) 사이에 제2 이격 갭(g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이격부(60)의 제1 부분(61)에서는 바닥벽(52)의 내면 일부가 국부적으로 오목하게 인입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바닥벽(52)의 내면이 평편하게 형성되지 않고 내면의 일부가 평편하게 형성된 외면을 향하여 국부적으로 오목하게 인입된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이격부(60)의 제1 부분(61)에 대응되는 바닥벽(52)의 일부에 국한하여 제1 이격 갭(g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분(61)과 달리, 상기 이격부(60)의 제2 부분(62)은 측벽(55)의 내면 전체가 평편하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이격부(60)의 제2 부분(62)에 대응되는 측벽(55)의 전체에 걸쳐서 제2 이격 갭(g2)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이격부(60)의 제1 부분(61)은 배터리 셀(10)과 마주하는 바닥벽(52)의 내면 중에서 하우징(50)의 코너위치(50c)와 인접한 바닥벽(52)의 내면 일부에 국부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이격부(60)의 제2 부분(62)은 배터리 셀(10)과 마주하는 측벽(55)의 전체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하우징(50)의 바닥벽(52)은 이격부(60)의 제1 부분(61)을 가로질러, 그러니까, 제1 부분(61)이 형성된 내부 위치와 제1 부분(61)을 벗어난 외부 위치에서 균일하지 않은 벽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50)의 측벽(55)은 이격부(60)의 제2 부분(62)을 가로질러, 그러니까, 측벽(55)의 전체에 걸쳐서 균일한 벽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이격부(60)는 상기 배터리 셀(10)의 코너위치(10c)와 마주하는 하우징(50)의 내면 중에서 하우징(50)의 측벽(55)과 바닥벽(52)이 서로 맞닿는 코너위치(50c)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배터리 셀(10)의 바닥면(12) 및 제2 측면(15)과의 사이에, 제1, 제2 이격 갭(g1,g2)을 제공함으로써, 배터리 셀(10)의 바닥면(12) 및 제2 측면(15)에 대한 물리적인 간섭 및 전기적인 간섭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배터리 셀(10)의 바닥면(12) 및 제2 측면(15)에 대한 물리적인 간섭 및 전기적인 간섭을 차단하기 위한 이격부(60)와 이격부(60)에 의해 형성되는 이격 갭(g)은, 배터리 셀(10)과 하우징(50) 간의 물리적 및 전기적인 간섭 가능성이 높은 배터리 셀(10)과 하우징(50)의 코너위치(10c,50c)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터리 셀(10)과 하우징(50)은 코너위치(10c,50c)에서 서로에 대해 돌출된 에지를 형성하면서 서로 물리적으로 맞닿을 가능성이 높고, 예를 들어, 외부 충격에 따라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배터리 셀(10)의 코너위치(10c)와 하우징(50)의 코너위치(50c)는 외부 충격에 따라 서로 맞닿으면서 서로에 대한 물리적인 간섭 및 전기적인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50)의 코너위치(50c) 및 배터리 셀(10)의 코너위치(10c)는 외부 충격에 따라 상대적으로 협소한 에지를 통하여 충격을 수용하면서 국부적인 응력 집중을 형성하고, 서로에 대해 집중적인 상호 작용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으로 에지를 형성하는 하우징(50)의 코너위치(50c)에 대해 낙하 충격이 가하질 경우,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갖는 하우징(50)의 바닥벽(52)이나 측벽(55)에 낙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와 비교하여, 좁은 면적에서 낙하 충격이 집중되면서 낙하 충격에 의해 서로 마주하는 하우징(50)의 코너위치(50c)와 배터리 셀(10)의 코너위치(10c)끼리 서로 집중적인 상호 작용을 주고 받을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즉, 배터리 팩의 외면을 형성하는 하우징(50)의 다른 위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응력 집중이 높은 코너위치(50c)에서 하우징(50)과 배터리 셀(10)이 서로에 대해 밀접한 접촉이 강제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고, 예를 들어, 동일한 외부 충격에 대해 상대적으로 응력 집중이 높은 코너위치(50c)에서 하우징(50)과 배터리 셀(10)이 서로에 대해 밀접한 접촉이 강제되면서 물리적인 간섭 및 전기적인 간섭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지고, 결과적으로 하우징(50)과 배터리 셀(10) 사이에서 물리적인 충격 및 전기적인 단락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대적으로 응력의 집중이 높은 코너위치(10c,50c)에서 배터리 셀(10)과 하우징(50) 사이의 물리적인 간섭 및 전기적인 간섭을 차단하기 위한 이격부(60)를 형성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서로에 대해 밀접한 접촉이 강제될 가능성이 높은 코너위치(10c,50c)에서 서로로부터의 간섭을 차단함으로써, 배터리 셀(10)과 하우징(50) 간의 물리적인 간섭 및 전기적인 간섭으로 인한 배터리 셀(10)의 손상 및 오동작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이격부(60)의 제1, 제2 부분(61,62)에 의해 제공되는 제1, 제2 이격 갭(g1,g2)은 하우징(50)의 코너위치(50c)에서 서로에 대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제2 이격 갭(g1,g2)은 하우징(50)의 코너위치(50c)와 인접한 바닥벽(52) 및 측벽(55)에 형성되도록 하우징(50)의 코너위치(50c)에서 서로 맞닿으면서 각각 바닥벽(52)과 나란한 제2 방향(Z2)과 측벽(55)과 나란한 제3 방향(Z3)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격 갭(g1)은 바닥벽(52)의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기 보다는 바닥벽(52)의 일부에 해당되는 이격부(60)의 제1 부분(61)에 국한하여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이격 갭(g1)과 달리, 상기 제2 이격 갭(g2)은 측벽(55)의 전체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제2 이격 갭(g1,g2)은 서로에 대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이격 갭(g2)은 바닥벽(52) 측에 형성된 제1 이격 갭(g1)으로부터 측벽(55) 측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으며, 측벽(55)과 배터리 셀(10)의 제2 측면(15) 사이에서 제3 방향(Z3)을 따라 측벽(55)의 전체 높이에 걸쳐서 형성되며, 제3 방향(Z3)을 따라 균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0)의 바닥벽(52) 측에서는 부분적으로 형성된 제1 이격 갭(g1)을 통하여 응력의 집중이 높은 코너위치(50c)에서 배터리 셀(10)과 바닥벽(52) 사이를 서로로부터 이격시켜서 이들 사이의 간섭을 차단할 수 있으며, 제1 이격 갭(g1)이 배제된 바닥벽(52)의 지지부(52s)를 통하여 배터리 셀(10)의 무게를 떠받쳐 지지해줄 수 있다. 여기서, 바닥벽(52)의 지지부(52s)란, 배터리 셀(10)의 바닥면(12)과 맞닿으면서 배터리 셀(10)의 바닥면(12)을 떠받쳐 지지해주는 바닥벽(52)의 일부를 의미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바닥벽(52) 중에서 오목하게 인입되면서 제1 이격 갭(g1)이 형성된 제1 부분(61)을 제외한 다른 평편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지지부(52s)는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하우징(50)의 내면과 외면을 포함하여 일정한 벽 두께로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이격 갭(g1)이 형성된 제1 부분(61)은 하우징(50)의 내면으로부터 외면을 향하여 인입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52s)의 벽 두께 보다 얇은 벽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이격 갭(g1)이 형성된 바닥벽(52)과 달리, 상기 제2 이격 갭(g2)이 형성된 측벽(55)은 배터리 셀(10)의 무게를 떠받쳐 지지해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2 이격 갭(g2)은 배터리 셀(10)의 제2 측면(15)과 하우징(50)의 측벽(55) 사이에서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이격 갭(g2)은 배터리 셀(10)과 하우징(50) 사이를 서로로부터 이격시켜서 이들 배터리 셀(10)과 하우징(50) 사이의 간섭을 차단할 수 있고, 또한 사이드 바(70)의 제2 부분(72)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이격 갭(g2)에는 사이드 바(70)의 제2 부분(72)과 함께, 절연 시트(80)가 더불어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대적으로 응력 집중이 높은 코너위치(50c)에 이격부(60)를 형성함과 동시에, 배터리 셀(10)과 하우징(50)의 코너위치(10c,50c) 사이에 사이드 바(70)를 개재함으로써, 서로에 대한 밀접한 접촉이 강제되는 배터리 셀(10)과 하우징(50)의 코너위치(10c,50c) 사이에서 서로로부터의 간섭을 차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대적으로 응력 집중이 높고, 이에 따라 밀접한 접촉이 강제되는 배터리 셀(10)과 하우징(50)의 코너위치(10c,50c) 사이를 서로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하여, 이격부(60) 및 이격부(60)의 형성에 따른 이격 갭(g)을 제공하는 한편으로, 상기 배터리 셀(10)과 하우징(50) 사이에서 서로에 대한 밀접한 접촉을 차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이드 바(70)를 개재함으로써, 이들 이격부(60)와 사이드 바(70)를 통하여 코너위치(10c,50c)에서 배터리 셀(10)과 하우징(50) 간의 물리적인 간섭 및 전기적인 간섭을 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배터리 셀(10)과 하우징(50)의 코너위치(10c,50c) 사이에, 이격의 확보와 접촉의 차단이라는 서로 다른 방식으로 배터리 셀(10)과 하우징(50) 사이의 간섭을 차단하는 이격부(60)와 사이드 바(70)를 형성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이격부(60)와 사이드 바(70)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 그러니까, 서로 대응되는 하우징(50)의 코너위치(50c)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이격부(60)와 사이드 바(70)가 서로 대응되는 하우징(50)의 코너위치(50c)에 형성된다고 하더라도, 이들 이격부(60)와 사이드 바(70)가 서로에 대해 완전히 겹쳐지는 중첩된 위치에 형성되지는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사이드 바(70)와 이격부(60)는 서로에 대해 겹쳐지는 하우징(50)의 코너위치(50c)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사이드 바(70)는, 바닥벽(52)과 마주하는 제1 부분(71)과 측벽(55)과 마주하는 제2 부분(72)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부분(71)은 바닥벽(52)과 마주하면서 사이드 바(70)의 폭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바닥벽(52)에 형성된 이격부(60)의 제1 부분(61) 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72)은 측벽(55)과 마주하면서 사이드 바(70)의 높이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측벽(55)에 형성된 이격부(60)의 제2 부분(62) 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이드 바(70)의 높이는 측벽(55)에 전체적으로 형성된 이격부(60)의 제2 부분(62) 보다 낮은 높이, 그러니까, 측벽(55)의 일부 높이에 걸쳐서 국부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측벽(55)의 코너위치(50c)를 포함하는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하여 사이드 바(70)의 폭은 바닥벽(52)과 나란한 제2 방향(Z2)을 따라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사이드 바(70)의 높이는 측벽(55)과 나란한 제3 방향(Z3)을 따라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바(70)는, 하우징(50)의 바닥벽(52)과 마주하는 제1 부분(71)과 하우징(50)의 측벽(55)과 마주하는 제2 부분(7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제2 부분(71.72)은 서로에 대해 절곡된 형태로 맞닿으면서, 각각 하우징(50)의 바닥벽(52) 및 측벽(55)과 마주하도록 수직으로 절곡된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사이드 바(70)의 제1, 제2 부분(71,72)은 각각 하우징(50)의 바닥벽(52) 및 측벽(55)과 마주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 바닥벽(52)에 형성된 이격부(60)의 제1 부분(61)과 마주하고, 측벽(55)에 형성된 이격부(60)의 제2 부분(62)과 마주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이드 바(70)의 제1 부분(71)과 이격부(60)의 제1 부분(61)은, 서로에 대해 완전히 겹쳐지는 위치에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유사하게, 상기 사이드 바(70)의 제2 부분(72)과 이격부(60)의 제2 부분(62)도 서로에 대해 완전히 겹쳐지지 않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바(70)의 제1 부분(71)은 이격부(60)의 제1 부분(61)을 벗어난 넓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이드 바(70)의 제1 부분(71)은 이격부(60)의 제1 부분(61)과 겹쳐지는 위치에 형성된 수용부(71a)와 이격부(60)의 제1 부분(61)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형성된 위치 고정부(71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이드 바(70)의 제1 부분(71)은 이격부(60)의 제1 부분(61)과 겹치는 위치에 형성되는 수용부(71a)와 이격부(60)의 제1 부분(61)을 벗어난 위치, 그러니까, 바닥벽(52)의 지지부(52s) 상에 형성된 위치 고정부(71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사이드 바(70)는, 수용부(71a)와 위치 고정부(71b) 사이에서 서로로부터 차등적인 두께를 연결하는 단차부(71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차부(71c)는 수용부(71a)와 위치 고정부(71b) 사이에서 사이드 바(70)의 위치 정렬을 위한 위치 정렬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71a), 위치 고정부(71b) 및 단차부(71c)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즉, 상기 수용부(71a)는 제3 방향(Z3)을 따라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 고정부(71b)는 상기 이격부(60)의 제1 부분(61)을 벗어난 바닥벽(52)의 지지부(52s) 상에서 배터리 셀(10)과 바닥벽(52)의 지지부(52s) 사이에 개재되어 사이드 바(70)의 위치 고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하우징(50)의 바닥벽(52)은 제2 방향(Z2)을 따르는 위치에 따라, 오목하게 인입된 형태로 형성된 제1 부분(61)과, 상기 제1 부분(61)을 벗어난 위치에 형성된 평편한 지지부(52s), 그러니까, 제1 부분(61)을 제외한 바닥벽(52)의 나머지 부분에 해당되는 평편한 지지부(52s)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방향(Z2)을 따라 사이드 바(70)의 수용부(71a)와 위치 고정부(71b)는 각각 이격부(60)의 제1 부분(61)과 지지부(52s)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방향(Z2)을 따라 사이드 바(70)의 수용부(71a)는 코너위치(50c)에 상대적으로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위치 고정부(71b)는 코너위치(50c)로부터 상대적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응력 집중이 높은 코너위치(50c)에 형성된 수용부(71a)는 배터리 셀(10)과 하우징(50)의 코너위치(10c,50c) 사이의 간섭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배터리 셀(10)과 하우징(50)의 코너위치(10c,50c) 사이에서 간섭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수용부(71a)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코너위치(10c,50c)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위치 고정부(71b)는 배터리 셀(10)과 하우징(50)의 코너위치(10c,50c) 사이의 간섭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 이라기 보다는, 전체 사이드 바(70)의 위치 고정을 위한 구성이므로, 사이드 바(70)의 위치 고정을 위하여 필요한 한도에서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하여 사이드 바(70)의 두께 방향이란 제3 방향(Z3)을 의미할 수 있고, 제3 방향(Z3)을 따라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로 형성된 사이드 바(70)의 수용부(71a)와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형성된 위치 고정부(7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방향(Z2)을 따라 서로 연결되면서 제3 방향(Z3)을 따라 서로 차등적인 두께로 형성된 수용부(71a)와 위치 고정부(71b) 사이에는 서로 차등적인 두께를 연결하기 위한 단차부(71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부(71c)는 사이드 바(70)와 바닥벽(52) 간의 위치 정렬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사이드 바(70)의 단차부(71c)와 하우징(50)의 경계부(52c)는 서로에 대해 상보적으로 형성된 단차진 턱을 포함하여, 서로에 대해 위치 맞춤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이드 바(70)의 단차부(71c)는 평편하게 형성된 바닥벽(52)의 지지부(52s)와 오목하게 형성된 이격부(60) 사이의 경계부(52c) 상에 걸쳐지도록, 상기 사이드 바(70)의 단차부(71c)와 하우징(50)의 경계부(52c)는 서로 상보적으로 단차진 턱을 포함하여, 서로에 대해 위치 맞춤될 수 있고, 서로에 대해 위치 정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이드 바(70)와 바닥벽(52)이 서로 위치 정렬된다는 것은, 사이드 바(70)의 수용부(71a)는 바닥벽(52)의 이격부(6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동시에, 사이드 바(70)의 위치 고정부(71b)는 바닥벽(52)의 지지부(52s)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하우징(50)의 코너위치(50c)에 대한 상대적으로 원근에 따라 코너위치(50c)와 인접한 이격부(60)에는 사이드 바(70)의 수용부(71a)가 배치되고, 코너위치(50c)로부터 상대적으로 떨어진 지지부(52s)에는 사이드 바(70)의 위치 고정부(71b)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바(70)의 수용부(71a)는 이격부(60)의 제1 부분(61)에 해당되는 하우징(50)의 바닥벽(52) 내면으로부터 부상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하우징(50)의 바닥벽(52) 내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부상된 상태로 배터리 셀(10)의 바닥면(12)과 하우징(50)의 바닥벽(5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바(70)의 수용부(71a)는 배터리 셀(10)과 하우징(50) 사이의 간섭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으로, 배터리 셀(10)과 하우징(50) 사이의 상호 작용을 차단하도록, 배터리 셀(10)과 하우징(50) 중에서 적어도 어느 일 측으로부터는 이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사이드 바(70)의 수용부(71a)는 하우징(50)과 배터리 셀(10) 중에서 선택적으로 하우징(5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고, 배터리 셀(10)의 바닥면(12)으로부터는 이격되거나 또는 배터리 셀(10)의 바닥면(12)과는 접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이드 바(70)의 수용부(71a)는 사이드 바(70)의 위치 고정부(71b)를 통하여 지지된 일단부로부터 제2 방향(Z2)을 따라 하우징(50)의 코너위치(50c)를 향하여 연장되면서, 하우징(50)의 코너위치(50c)에 형성된 이격부(60)의 제1 부분(61)에 해당되는 하우징(50)의 바닥벽(52) 내면과 배터리 셀(10)의 바닥면(12)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이드 바(70)의 수용부(71a)는 하우징(50)의 바닥벽(52) 내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부상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으며, 위치 고정부(71b)에 지지된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캔틸레버 빔과 같은 고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만일, 배터리 셀(10)과 하우징(50) 사이의 절연을 제공하기 위한 사이드 바(70)가, 이들 배터리 셀(10)과 하우징(50) 사이에서 이들 사이에서 밀접하게 접촉된 상태로 배치될 경우, 배터리 셀(10)과 하우징(50) 사이의 상호 작용을 억제하기 보다는 오히려 이들 사이에서 배터리 셀(10)과 하우징(50) 사이의 상호 작용을 매개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사이드 바(70)의 수용부(71a)는 하우징(50)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바(70)의 수용부(71a)와 달리, 상기 사이드 바(70)의 위치 고정부(71b)는 배터리 셀(10)과 하우징(50) 사이에서 밀접하게 접촉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위치 고정부(71b)는 제3 방향(Z3)을 따라 서로 반대되는 상면과 하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위치 고정부(71b)의 상면은 배터리 셀(10)의 바닥면(12)과 접촉할 수 있고, 상기 위치 고정부(71b)의 하면은 하우징(50)의 바닥벽(52)과 접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위치 고정부(71b)는 상기 배터리 셀(10)과 하우징(50) 사이에서 이들과 접촉된 상태로 개재됨으로써, 배터리 셀(10)과 하우징(50) 사이에서 견고하게 위치 고정될 수 있고, 위치 고정부(71b)를 통하여 전체 사이드 바(70)의 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위치 고정부(71b)는 배터리 셀(10)의 무게에 의해, 배터리 셀(10)과 하우징(50)의 바닥벽(52) 사이에서 압박되면서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위치 고정부(71b)는 배터리 셀(10)의 무게에 의해 배터리 셀(10)과 하우징(50)의 바닥벽(52) 사이에서 압박되면서 이들 배터리 셀(10)과 하우징(50)의 바닥벽(52) 사이에서 견고하게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바(70)는 하우징(50)의 측벽(55)과 배터리 셀(10)의 제2 측면(15) 사이에 개재되는 제2 부분(7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이드 바(70)의 위치 고정에 대해, 상기 사이드 바(70)는 바닥벽(52)과 마주하는 제1 부분(71)에 형성된 위치 고정부(71b)를 통하여 위치 고정될 수 있으며, 측벽(55)과 마주하는 제2 부분(72)을 통하여 위치 고정되지는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사이드 바(70)의 제2 부분(72)은, 하우징(50)의 측벽(55)과 배터리 셀(10)의 제2 측면(15)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사이드 바(70)의 제2 부분(72)이, 하우징(50)의 측벽(55)과 배터리 셀(10)의 제2 측면(15) 사이에 형성된다고 하더라도, 하우징(50)의 측벽(55)과 배터리 셀(10)의 제2 측면(15) 사이에서 밀착되지는 않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이드 바(70)의 제2 부분(72)에 의해 위치 고정력이 제공되지는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사이드 바(70)의 제2 부분(72)은, 배터리 셀(10)과 하우징(50) 사이의 간섭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사이드 바(70)의 제2 부분(72)이 배터리 셀(10)과 하우징(50) 사이에서 압박되는 등과 같이, 배터리 셀(10)과 하우징(50) 사이에서 밀착된 상태로 고정될 경우, 상기 사이드 바(70)의 제2 부분(72)은 배터리 셀(10)과 하우징(50) 사이의 상호 작용을 억제하기 보다는 오히려, 배터리 셀(10)과 하우징(50) 사이의 상호 작용을 매개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사이드 바(70)의 제2 부분(72)은 배터리 셀(10)과 하우징(50) 사이에서 견고하게 위치 고정되지 않을 수 있고, 예를 들어, 사이드 바(70)의 제2 부분(72)은 배터리 셀(10)과 하우징(50) 사이에서 다소 느슨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이드 바(70)의 제2 부분(72)은 배터리 셀(10)의 제2 측면(15)과 하우징(50)의 측벽(55) 사이에서 적어도 어느 일 측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사이드 바(70)의 제2 부분(72)은 배터리 셀(10)의 제2 측면(15)과는 접촉되는 한편으로, 하우징(50)의 측벽(55)으로부터는 이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사이드 바(70)의 제2 부분(72)은 배터리 셀(10)과 하우징(50) 사이에서 압박되면서 전체 사이드 바(70)에 대해 위치 고정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사이드 바(70)는 배터리 셀(10)의 코너위치(10c)와 마주하는 하우징(50)의 코너위치(50c)에 배치되어, 배터리 셀(10)의 코너위치(10c)를 보호할 수 있으며, 배터리 셀(10)의 코너위치(10c)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이드 바(70)는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SUS와 같은 금속 소재로 형성되어, 에지를 형성하면서 협소한 면적으로 외부 충격이 집중될 수 있는 배터리 셀(10)의 코너위치(10c)에 대한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사이드 바(70)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거나 또는 금속 소재 상에 절연 코팅이 형성된 형태로 배터리 셀(10)과 하우징(50) 사이의 간섭을 차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이드 바(70)는, 외부 충격이 집중될 수 있는 배터리 셀(10)의 코너위치(10c)에 형성되어 배터리 셀(10)을 향한 외부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배터리 셀(10)의 코너위치(10c)를 보호해주면서 이와 함께, 배터리 셀(10)의 코너위치(10c)에서 배터리 셀(10)과 하우징(50) 사이의 간섭을 차단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 바(70)는,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 및 전기적인 간섭으로부터 배터리 셀(10)을 보호하며, 배터리 셀(10)의 정상적인 구동을 보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이드 바(70)의 기능으로부터 사이드 바(70)는 외부 충격에 대해 강건한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금속 소재의 골격 상에 절연 코팅이 형성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사이드 바(70)는 절연 코팅이 형성되지 않은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사이드 바(70)는 배터리 셀(10)의 제2 측면(15)과 하우징(50)의 측벽(55) 내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배터리 셀(10)의 제2 측면(15)과, 이격부(60)의 제2 부분(62)에 해당되는 하우징(50)의 측벽(55) 내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터리 셀(10)의 제2 측면(15)과 하우징(50)의 측벽(55) 내면 사이에는 사이드 바(70)와 함께 절연 시트(8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연 시트(80)는 사이드 바(70)와 달리, 금속 소재와 같은 보강 구조를 포함하지 않고, 예를 들어, 전기 절연성의 고분자 수지 소재의 시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기적인 간섭을 배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절연성 시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 시트(80)는 배터리 셀(10)의 제2 측면(15)과 하우징(50)의 측벽(55) 사이에서 제2 방향(Z2)을 따라 전체적인 높이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사이드 바(70)는 하우징(50)의 코너위치(50c)와 인접한 위치에서 국부적인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배터리 셀
10c: 배터리 셀의 코너위치
11: 배터리 셀의 주된 면 12: 배터리 셀의 바닥면
15: 배터리 셀의 측면 50: 하우징
50c: 하우징의 코너위치 50s: 하우징의 지지부
52: 하우징의 바닥벽 55: 하우징의 측벽
60: 이격부 61: 이격부의 제1 부분
62: 이격부의 제2 부분 70: 사이드 바
71: 사이드 바의 제1 부분 71a: 사이드 바의 수용부
71b: 사이드 바의 위치 고정부 71c: 사이드 바의 단차부
72: 사이드 바의 제2 부분 80: 절연 시트
g: 이격 갭 g1: 제1 이격 갭
g2: 제2 이격 갭
11: 배터리 셀의 주된 면 12: 배터리 셀의 바닥면
15: 배터리 셀의 측면 50: 하우징
50c: 하우징의 코너위치 50s: 하우징의 지지부
52: 하우징의 바닥벽 55: 하우징의 측벽
60: 이격부 61: 이격부의 제1 부분
62: 이격부의 제2 부분 70: 사이드 바
71: 사이드 바의 제1 부분 71a: 사이드 바의 수용부
71b: 사이드 바의 위치 고정부 71c: 사이드 바의 단차부
72: 사이드 바의 제2 부분 80: 절연 시트
g: 이격 갭 g1: 제1 이격 갭
g2: 제2 이격 갭
Claims (20)
- 다수의 배터리 셀; 및
상기 다수의 배터리 셀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도록, 배터리 셀의 코너위치와 마주하는 코너위치에서 서로에 대해 맞닿는 측벽과 바닥벽을 포함하는 하우징으로서, 적어도 상기 바닥벽에는 배터리 셀과 하우징의 코너위치를 서로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오목하게 인입된 이격부가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는 상기 배터리 셀과 마주하는 하우징의 내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는 하우징의 바닥벽으로부터 측벽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벽에 형성된 제1 부분; 및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형성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의 제1 부분은 바닥벽의 내면이 외면을 향하여 오목하게 인입된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바닥벽은,
오목하게 형성된 상기 이격부의 제1 부분; 및
상기 이격부의 제1 부분을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어, 배터리 셀의 바닥면을 지지하도록 평편하게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하우징의 내면과 외면을 포함하여 일정한 벽 두께로 편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부분은 하우징의 내면으로부터 외면을 향하여 인입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의 벽 두께 보다 얇은 벽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의 제2 부분은, 하우징의 측벽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며,
상기 이격부의 제2 부분이 형성된 하우징의 측벽은 균일한 벽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의 제1 부분은, 배터리 셀의 바닥면과 하우징의 바닥벽 사이를 서로로부터 이격시키는 제1 이격 갭을 형성하고,
상기 이격부의 제2 부분은, 배터리 셀의 측면과 하우징의 측벽 사이를 서로로부터 이격시키는 제2 이격 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이격 갭은 하우징의 코너위치에서 서로 연결되면서 배터리 셀의 코너위치를 함께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격 갭은, 하우징의 바닥벽 일부에서 국부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이격 갭은, 하우징의 측벽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과 하우징의 코너위치 사이에는 상기 이격부와 함께 사이드 바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바는 배터리 셀의 바닥면과 측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바는,
상기 이격부의 제1 부분과 마주하게 배치되면서 사이드 바의 폭을 형성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이격부의 제2 부분과 마주하게 배치되면서 사이드 바의 높이를 형성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와 사이드 바는 서로에 대해 겹쳐지는 하우징의 코너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와 사이드 바는 서로에 대해 겹쳐지되, 서로에 대해 완전히 겹쳐지지는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바는 이격부의 제1 부분을 벗어난 위치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바의 제1 부분은,
상기 이격부의 제1 부분이 형성하는 제1 이격 갭 내에 배치되는 수용부; 및
상기 이격부의 제1 부분을 벗어난 바닥벽의 지지부 상에 배치된 위치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이격부의 제1 부분이 형성하는 제1 이격 갭 내에서 부상된 상태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부는 상기 이격부의 제1 부분을 벗어난 위치에 형성된 바닥벽의 지지부와 배터리 셀의 바닥면 사이에서 접촉된 상태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03441A KR20230021502A (ko) | 2021-08-05 | 2021-08-05 | 배터리 팩 |
CN202210943923.5A CN115706292A (zh) | 2021-08-05 | 2022-08-05 | 电池组 |
CN202222062450.6U CN218602598U (zh) | 2021-08-05 | 2022-08-05 | 电池组 |
EP22189106.2A EP4131608A1 (en) | 2021-08-05 | 2022-08-05 | Battery pack |
US17/817,831 US20230038489A1 (en) | 2021-08-05 | 2022-08-05 | Battery pac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03441A KR20230021502A (ko) | 2021-08-05 | 2021-08-05 | 배터리 팩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21502A true KR20230021502A (ko) | 2023-02-14 |
Family
ID=82846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03441A Pending KR20230021502A (ko) | 2021-08-05 | 2021-08-05 | 배터리 팩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230038489A1 (ko) |
EP (1) | EP4131608A1 (ko) |
KR (1) | KR20230021502A (ko) |
CN (2) | CN115706292A (ko)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140766B (zh) * | 2015-09-29 | 2021-03-30 | 株式会社杰士汤浅国际 | 蓄电装置及蓄电装置的制造方法 |
CN112514145B (zh) * | 2018-07-30 | 2023-12-05 | 三洋电机株式会社 | 车辆用的电池系统和搭载该电池系统的车辆 |
WO2020166182A1 (ja) * | 2019-02-12 | 2020-08-20 | 三洋電機株式会社 | 電池モジュール |
-
2021
- 2021-08-05 KR KR1020210103441A patent/KR20230021502A/ko active Pending
-
2022
- 2022-08-05 CN CN202210943923.5A patent/CN115706292A/zh active Pending
- 2022-08-05 EP EP22189106.2A patent/EP4131608A1/en active Pending
- 2022-08-05 CN CN202222062450.6U patent/CN218602598U/zh active Active
- 2022-08-05 US US17/817,831 patent/US20230038489A1/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4131608A1 (en) | 2023-02-08 |
CN218602598U (zh) | 2023-03-10 |
US20230038489A1 (en) | 2023-02-09 |
CN115706292A (zh) | 2023-02-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741471B2 (en) | Battery pack | |
KR101223567B1 (ko) | 전지 모듈 | |
EP2575190B1 (en) | Rechargeable battery | |
KR101182283B1 (ko) | 이차전지 | |
EP2521204B1 (en) | Battery module | |
US9634299B2 (en) | Rechargeable battery | |
US9515302B2 (en) | Rechargeable battery pack | |
KR101754613B1 (ko) | 전극 어셈블리의 고정구조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 |
EP2562842B1 (en) | Battery module | |
KR102479721B1 (ko) | 배터리 팩 | |
US9673437B2 (en) | Battery pack | |
KR20170135597A (ko) |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자동차 | |
US9601813B2 (en) | Battery pack | |
KR20170021130A (ko) | 홀더를 갖는 전지 모듈 | |
US11271275B2 (en) | Battery pack | |
KR101036060B1 (ko) |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팩 | |
KR102082868B1 (ko) | 전지 팩 | |
KR20230021502A (ko) | 배터리 팩 | |
KR101502899B1 (ko) | 전지 팩 | |
CN105449132B (zh) | 电池组 | |
KR20230134376A (ko) | 배터리 모듈 | |
KR20240077246A (ko) | 배터리 팩 | |
US9246141B2 (en) | Secondary battery | |
KR20240067668A (ko) | 배터리 팩 | |
KR20240136693A (ko) | 배터리 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0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407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