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021398A - Apparatus for stacking paper money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tacking paper mone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1398A
KR20230021398A KR1020210103229A KR20210103229A KR20230021398A KR 20230021398 A KR20230021398 A KR 20230021398A KR 1020210103229 A KR1020210103229 A KR 1020210103229A KR 20210103229 A KR20210103229 A KR 20210103229A KR 20230021398 A KR20230021398 A KR 20230021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l
stopper
space
banknote
push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32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종성
최태민
Original Assignee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3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1398A/en
Publication of KR20230021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1398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07D11/13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with internal means for handl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 집적 초기에 전판이 푸쉬플레이트와의 접촉에 의해 상하로 진동하거나 후방으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지폐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지폐집적공간에 정렬된 상태로 집적할 수 있는 지폐집적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폐를 지폐집적공간으로 스택하기 위한 집적부; 상기 지폐집적공간에 집적되는 지폐를 지지하며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푸쉬플레이트; 상기 지폐집적공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집적부를 통과한 지폐를 상기 지폐집적공간 내에 적재되도록 가이드하는 전판; 상기 전판에 소정 각도 범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지폐집적공간의 일측으로 진입한 지폐를 상기 지폐집적공간의 타측에 위치하는 상기 푸쉬플레이트 측으로 가압하여 지지하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와 대향하는 상기 푸쉬플레이트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지폐집적공간으로 진입하는 지폐를 가압하는 상기 스토퍼의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상기 전판이 상기 충격에 의해 상기 지폐집적공간의 반대측으로 밀려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댐퍼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ill collecting device capable of stably supporting bills and stacking them aligned in a bill collecting space by preventing a phenomenon in which the front plate vibrates up and down or is pushed backward due to contact with a push plate at the initial stage of bill accumulation. has its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for implementing this, the accumulation unit for stacking the banknotes into the banknote accumulation space; a push plate provided to support the banknotes accumulated in the banknote accumulating space and to be reciprocally movable; a front plat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ill collecting space and guiding bills passing through the collecting unit to be loaded into the bill collecting space; a stopper provided on the front plate to be rotatable within a predetermined angular range and pressurizing and supporting the banknotes entering one side of the banknote storage space toward the push plate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banknote storage space; And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ush plate facing the stopper to absorb the impact of the stopper pressing the bill entering the bill accumulating space, so that the front plate is push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bill accumulating space by the impact and moves. A damper is included to prevent

Description

지폐집적장치{Apparatus for stacking paper money}Bill stacking device {Apparatus for stacking paper money}

본 발명은 지폐집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폐를 지폐집적공간에 안정적으로 집적할 수 있는 지폐집적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nknote accumula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nknote accumulating device capable of stably accumulating banknotes in a banknote accumulating space.

일반적으로 지폐집적장치는 금융자동화기기 내에 설치되어 지폐, 수표, 기타 소정 두께를 갖는 집적대상물(이하 '지폐'로 통칭함)을 지폐집적공간에 집적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지폐집적장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입출금부, 일시저장부, 지폐저장부 등에 사용되고 있다. In general, a banknote accumulating device is a device installed in an automated financial machine to accumulate banknotes, checks, and other accumulation objects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banknotes') in a banknote accumulating space. Such banknote accumulators are used in deposit and withdrawal units, temporary storage units, banknote storage units, and the like of automated financial machines.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지폐집적장치(1)의 하부 일측에는, 반송로(10)를 따라 반송되어 온 지폐(P)를 지폐집적공간(30)에 집적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반송로(10)의 양측에 대향하도록 설치된 피드롤러(21) 및 게이트롤러(22)와, 상기 피드롤러(21) 및 게이트롤러(22) 사이에 협지되어 지폐집적공간(30)의 일측으로 진입한 지폐(P)의 후단을 타격하여 지폐를 집적하기 위한 복수의 탄성시트(23a)가 부착된 스택롤러(23)를 포함하는 집적부(20)가 설치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on one lower side of the conventional banknote accumulator 1, a configuration for accumulating banknotes P transported along the conveyance path 10 into the banknote accumulating space 30, conveying A feed roller 21 and a gate roller 22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furnace 10, and sandwiched between the feed roller 21 and the gate roller 22 to enter one side of the bill accumulating space 30 An accumulation unit 20 including a stack roller 23 to which a plurality of elastic sheets 23a are attached for stacking the banknotes by hitting the rear end of the banknotes P is installed.

상기 지폐집적공간(30)에는 집적되는 지폐(P)를 지지하기 위한 푸쉬플레이트(40)가 구비되고, 지폐집적공간(30)의 일측에는 지폐집적공간(30)으로 진입하는 지폐(P)의 날림을 방지하기 위한 전판(50)이 구비되어 있다.The banknote accumulating space 30 is provided with a push plate 40 for supporting banknotes P to be accumulated, and one side of the banknote accumulating space 30 is provided with the banknotes P entering the banknote accumulating space 30. A front plate 50 is provided to prevent flying.

상기 전판(50)에는 회전축(61)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폐집적공간(30)의 일측으로 진입한 지폐(P)를 상기 지폐집적공간(30)의 타측에 위치하는 푸쉬플레이트(40) 측으로 가압하여 지지하기 위한 스토퍼(60)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60)는 도2에 점선으로 도시된 홈(Home) 위치와 실선으로 도시된 스택(Stack) 위치 사이에서 회전 이동 동작을 반복하면서 지폐를 스택하게 된다.The front plate 50 is provided so as to be rotatable at a predetermined angle around the rotating shaft 61, and pushes the bill P, which has entered one side of the bill accumulating space 30, to the other side of the bill accumulating space 30. A stopper 60 is provided to press and support the plate 40 side. The stopper 60 stacks banknotes while repeating a rotational movement operation between a home position shown in a dotted line and a stack position shown in a solid line in FIG. 2 .

상기 스토퍼(60)는 푸쉬플레이(40)와 접촉 시 지폐(P)를 고정시켜 지지하기 위하여 푸쉬플레이(40)와 오버랩(Overlap)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오버랩’되어 있다는 것은 도 2에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60)가 푸쉬플레이트(40)의 측면에 실제로 접촉되는 위치보다 푸쉬플레이트(40)를 향하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 더욱 회전 가능하도록 스토퍼(60)의 회전범위가 설정되어 있다는 의미이다. 이와 같이 스토퍼(60)와 푸쉬플레이트(40)가 오버랩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이유는, 푸쉬플레이트(40)와 스토퍼(60) 사이에 지폐(P)를 보다 안정적으로 협지하여 지지하기 위함이다.The stopper 60 is configured to overlap with the push play 40 in order to fix and support the bill P when in contact with the push play 40 . Here, 'overlapping' means that the stopper 60 is rotatable by a predetermined angle further in the direction toward the push plate 40 than the position where the stopper 60 actually contacts the side surface of the push plate 40, as shown by the dotted line in FIG. 2 ( 60) means that the rotation range is set. The reason why the stopper 60 and the push plate 40 are set to overlap in this way is to more stably hold and support the bill P between the push plate 40 and the stopper 60 .

그러나, 이와 같이 지폐집적공간(30)으로 진입하는 지폐를 푸쉬플레이트(40)와 스토퍼(60) 사이에 협지하여 지지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P)가 집적되는 초기에는 스토퍼(60)와 푸쉬플레이트(40)의 오버랩에 따른 반반력에 의해 전판(50)이 상하로 진동하게 되고, 지폐(P)가 진입할 때 전판(50)이 후방(도 2를 기준으로 우측)으로 밀려나 푸쉬플레이트(40)로부터 들뜨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 경우 진입하는 지폐(P)를 제대로 잡아주지 못하게 되므로 스택 부정렬의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when the banknotes entering the banknote accumulating space 30 are supported by being held between the push plate 40 and the stopper 60, as shown in FIG. 2, initially when the banknotes P are accumulated, the stopper The front plate 50 vibrates up and down due to the reaction force due to the overlap of the 60 and the push plate 40, and when the bill P enters, the front plate 50 moves backward (right side with reference to FIG. 2). A phenomenon of being pushed out and lifted from the push plate 40 occurs, and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acts as a factor of stack misalignment because the entering banknote P is not properly held.

종래기술 중에는 전판(50)에 댐퍼(미도시됨)를 설치하여 지폐가 스토퍼(60)에 의해 협지되기 이전 단계에서 지폐의 상방향 이동을 저지시켜 지폐가 보다 안정적으로 집적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제안된 바 있으나, 이와 같은 구조는 댐퍼가 전판(50)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판(50)이 후방으로 밀려 이동하는 경우 댐퍼 또한 전판(50)과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지폐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Among the prior art, a damper (not shown) is installed on the front plate 50 to prevent the upward movement of the banknotes at a stage before the banknotes are clamped by the stopper 60, so that the banknotes can be accumulated more stably. Although proposed, such a structure has a damper installed on the front plate 50, so when the front plate 50 is pushed backwards, the damper also moves backward along with the front plate 50, so it is limited in stably supporting the bill. There is a problem with

이와 같은 지폐집적장치와 관련된 선행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78338호에 공개되어 있다.Prior art related to such a bill collecting device is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78338.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지폐 집적 초기에 전판이 푸쉬플레이트와의 접촉에 의해 상하로 진동하거나 후방으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지폐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지폐집적공간에 정렬된 상태로 집적할 수 있는 지폐집적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prevents the front plate from vibrating up and down or being pushed backward due to contact with the push plate in the early stage of banknote accumulation, thereby stably supporting the banknote and aligning it in the banknote collection spac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nknote accumulator that can be accumulated in a state of being.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폐집적장치는, 지폐를 지폐집적공간으로 스택하기 위한 집적부; 상기 지폐집적공간에 집적되는 지폐를 지지하며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푸쉬플레이트; 상기 지폐집적공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집적부를 통과한 지폐를 상기 지폐집적공간 내에 적재되도록 가이드하는 전판; 상기 전판에 소정 각도 범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지폐집적공간의 일측으로 진입한 지폐를 상기 지폐집적공간의 타측에 위치하는 상기 푸쉬플레이트 측으로 가압하여 지지하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와 대향하는 상기 푸쉬플레이트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지폐집적공간으로 진입하는 지폐를 가압하는 상기 스토퍼의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상기 전판이 상기 충격에 의해 상기 지폐집적공간의 반대측으로 밀려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댐퍼를 포함한다.A banknote accumul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n accumulating unit for stacking banknotes into a banknote accumulating space; a push plate provided to support the banknotes accumulated in the banknote accumulating space and to be reciprocally movable; a front plat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ill collecting space and guiding bills passing through the collecting unit to be loaded into the bill collecting space; a stopper provided on the front plate to be rotatable within a predetermined angular range and pressurizing and supporting the banknotes entering one side of the banknote storage space toward the push plate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banknote storage space; And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ush plate facing the stopper to absorb the impact of the stopper pressing the bill entering the bill accumulating space, so that the front plate is push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bill accumulating space by the impact and moves. A damper is included to prevent

상기 스토퍼는 상기 지폐집적공간으로 진입하는 지폐의 가압 시 상기 푸쉬플레이트의 일측면보다 상기 지폐집적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 더욱 회전되도록 오버랩 량이 설정되어 있고, 상기 댐퍼는 상기 스토퍼의 오버랩 량만큼 상기 스토퍼가 가압하는 방향으로 변위되어 상기 스토퍼의 오버랩 량을 흡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overlap amount of the stopper is set such that it rotates more than one side of the push plate by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direction toward the banknote storage space when the banknote entering the banknote accumulating space is pressed, and the damper is set to the overlap amount by the overlap amount of the stopper. The stopper may be configured to be displaced in a pressing direction to absorb an amount of overlap of the stopper.

상기 댐퍼는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damper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상기 댐퍼는 상기 스토퍼에 의해 가압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The damper may be supported by an elastic member that applies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direction pressed by the stopper.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전판의 전면을 기준으로 상기 지폐집적공간을 향하는 방향과 상기 지폐집적공간에서 회피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stopper may be provided to be rotatable in a direction toward the bill accumulating space and in a direction avoiding the bill accumulating space ba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plate.

상기 스토퍼는, 상기 지폐집적공간으로 지폐가 진입하기 전 단계에서는 상기 지폐집적공간에서 회피되어 상기 전판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지폐집적공간에 지폐가 진입한 시점에서 상기 전판의 전방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지폐를 상기 푸쉬플레이트 측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topper is located inside the front plate by avoiding the banknote accumulating space in a step before bills enter the bill accumulating space, and is rotated toward the front of the front plate at the time when bills enter the bill accumulating space, so that the bills It may be configured to press toward the push plate.

상기 집적부는 상기 지폐집적공간 내로 진입한 지폐의 후단부를 타격하는 복수의 탄성시트가 외주면에 부착된 스택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지폐집적공간 내로 진입한 지폐가 상기 스토퍼와 상기 댐퍼 사이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스택롤러가 회전되어 상기 지폐집적공간 내로 진입한 지폐의 하단부를 상기 푸쉬플레이트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llecting unit includes a stack roller attach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plurality of elastic sheets for hitting the rear end of the bills entering the bill collecting space, and the bill entering the bill collecting space is supported between the stopper and the damper. The stack roller may be rotated to move the lower end of the bill entering the bill accumulating space toward the push plate.

본 발명에 따른 지폐집적장치에 의하면, 스토퍼의 오버랩 량을 보상하여 완충하기 위한 댐퍼를 스토퍼가 닿는 부위의 푸쉬플레이트에 구비하여 지폐의 집적 초기에 전판의 진동 및 후방으로 밀림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지폐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지폐집적공간에 정렬된 상태로 집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banknote accum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amper for compensating for and buffering the amount of overlap of the stopper is provided on the push plate where the stopper touches to prevent the front plate from vibrating and being pushed backward in the initial stage of banknote accumulation, thereby making the banknote It has the effect of being stably supported and stacked in an aligned state in the bill collecting space.

도 1은 종래 지폐집적장치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지폐집적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집적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집적장치의 제어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집적장치에서 지폐 집적 초기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집적장치에서 지폐집적공간에 지폐가 집적되어 있는 상태에서 지폐가 지폐집적부를 통과하여 진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ventional banknote accumulator;
2 is a view for explaining problems of a conventional banknote accumulator;
3 is a block diagram of a banknote accum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banknote accum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initial state of banknote accumulation in the banknote accum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banknotes pass through the banknote collecting unit in a state where banknotes are accumulated in the banknote collecting space in the banknote accumul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지폐집적장치(100)는, 반송로(110)를 따라 진입하는 지폐를 지폐집적공간(130)으로 스택하기 위한 집적부(120)와, 상기 지폐집적공간(130)에 집적되는 지폐를 지지하며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푸쉬플레이트(140)와, 상기 지폐집적공간(13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집적부(120)를 통과한 지폐를 상기 지폐집적공간(130) 내에 적재되도록 가이드하는 전판(150)과, 상기 전판(150)에 소정 각도 범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지폐집적공간(130)의 일측으로 진입한 지폐를 상기 지폐집적공간(130)의 타측에 위치하는 상기 푸쉬플레이트(140) 측으로 가압하여 지지하는 스토퍼(160), 및 상기 스토퍼(160)와 대향하는 상기 푸쉬플레이트(140)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지폐집적공간(130)으로 진입하는 지폐를 가압하는 상기 스토퍼(160)의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상기 전판(150)이 상기 충격에 의해 상기 지폐집적공간(130)의 반대측으로 밀려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댐퍼(170)를 포함한다.3 and 4, the banknote accumula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acking unit 120 for stacking banknotes entering along the transport path 110 into the banknote collecting space 130, and the banknotes. A push plate 140 provided to support bills accumulated in the collecting space 130 and to be reciprocally movable, and a push plate 14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ill collecting space 130 to transfer bills passing through the collecting unit 120. A front plate 150 for guiding to be loaded into the collecting space 130, and a front plate 150 rotatably provided in a predetermined angular range to transfer bills entering one side of the bill accumulating space 130 into the bill accumulating space ( 130), a stopper 160 that presses and supports the push plate 140 located on the other side, and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ush plate 140 opposite the stopper 160 to the banknote accumulating space 130 Damper 170 for preventing the front plate 150 from being push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bill collecting space 130 by the impact by absorbing the impact of the stopper 160 that presses the bill entering into) include

그리고, 본 발명의 지폐집적장치(100)는, 반송로(110)를 따라 집적부(120)를 향하여 이송되는 지폐의 통과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지폐 감지부(180)와, 상기 스토퍼(160)가 회전된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스토퍼 감지부(162), 및 상기 지폐 감지부(180)와 스토퍼 감지부(162)에서 감지된 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집적부(120) 및 스토퍼 구동부(163)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banknote collect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nknote detecting unit 180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banknotes conveyed toward the collecting unit 120 along the conveying path 110 pass, and the stopper 160 The stopper detecting unit 162 for detecting the rotated position, and the collecting unit 120 and the stopper driving unit 163 based on the signals detected by the banknote detecting unit 180 and the stopper detecting unit 162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190 for controlling driving.

상기 스토퍼 구동부(163)는 스토퍼(160)가 지폐집적공간(130)을 향하는 스택 위치와, 지폐집적공간(130)에서 회피되어 전판(150)의 내측에 위치하는 홈 위치로 회전되도록 구동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양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모터(미도시됨)와, 상기 모터의 동력을 스토퍼(160)의 회전축(161)에 전달하는 벨트(미도시됨) 등의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stopper driving unit 163 drives the stopper 160 to be rotated to a stack position facing the bill accumulating space 130 and to a home position located inside the front plate 150 by avoiding the bill accumulating space 130 By doing,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motor (not shown) that is rotated in both directions and a power transmission means such as a belt (not shown) that transmits the power of the motor to the rotational shaft 161 of the stopper 160. can

상기 집적부(120)는, 반송로(110)를 따라 반송되어 지폐집적공간(130)의 일측으로 진입하는 지폐를 지폐집적공간(130)으로 스택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반송로(110)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측에 구비되어 그 사이로 지폐를 이송하기 위한 피드롤러(121)와 게이트 롤러(122), 상기 게이트 롤러(122)와 동일한 축에 결합되고 외주면에는 지폐집적공간(130) 내로 진입한 지폐의 후단부를 타격하는 복수의 탄성시트(123a)가 부착된 스택롤러(1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llecting unit 120 is a structure for stacking bills transported along the conveying path 110 and entering one side of the bill accumulating space 130 into the bill accumulating space 130, A feed roller 121 and a gate roller 122 are provided on opposite sides to transfer bills therebetween, and are coupled to the same axis as the gate roller 122 and enter the bill accumulating space 130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tack roller 123 to which a plurality of elastic sheets 123a that hit the rear end of the banknote are attached.

상기 지폐집적공간(130) 내로 진입한 지폐가 상기 스토퍼(160)와 상기 댐퍼(170) 사이에 협지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스택롤러(123)가 회전되어 상기 지폐집적공간(130) 내로 진입한 지폐의 하단부를 상기 푸쉬플레이트(140) 측으로 이동시킨다.The stack roller 123 is rotated to enter the bill accumulating space 130 while the bill entering the bill accumulating space 130 is held between the stopper 160 and the damper 170 and supported. The lower end of the bill is moved toward the push plate 140.

상기 푸쉬플레이트(140)는 지폐집적공간(130)에 집적되는 지폐의 매수 증감에 대응하여 좌우로 이동되도록 구비된다. 즉, 지폐집적공간(130)에 집적되는 지폐의 매수가 적은 경우에 푸쉬플레이트(140)는 지폐집적공간(130)의 일측(도 3에서 우측)에 위치하고, 지폐집적공간(130)에 집적되는 지폐의 매수가 증가함에 따라 지폐집적공간(130)의 타측(도 3에서 좌측)으로 이동되어 지폐가 적재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한다.The push plate 140 is provided to move left and right in response to an increase or decrease in the number of banknotes accumulated in the banknote accumulating space 130 . That is, when the number of bills accumulated in the bill accumulating space 130 is small, the push plate 140 is located on one side (right side in FIG. 3) of the bill accumulating space 130 and is accumulated in the bill accumulating space 130. As the number of banknotes increases, it is moved to the other side (left side in FIG. 3) of the banknote accumulating space 130 so that a space in which banknotes can be loaded is secured.

상기 전판(150)은 피드롤러(121)와 게이트 롤러(122)에 의해 지폐집적공간(130)을 향하여 고속으로 진입하는 지폐(P)의 상방향 날림을 방지하고, 지폐가 지폐집적공간(130) 내의 푸쉬플레이트(140) 측으로 유도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전판(150)의 배치된 형상은 지폐집적공간(130)의 일측 하부에 위치하는 하측단에서 지폐집적공간(130)의 일측 상부에 위치하는 상측단을 향하여 상향의 기울기를 갖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피드롤러(121)와 게이트 롤러(122)를 통과한 지폐의 선단은 전판(150)의 전면(151)을 타고 푸쉬플레이트(140)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다. The front plate 150 prevents the bill P entering the bill accumulating space 130 at high speed from being blown upward by the feed roller 121 and the gate roller 122, and prevents the bill from moving toward the bill accumulating space 130. ) It serves to guide to be guided to the side of the push plate 140 in the. The arrangement of the front plate 150 is arranged to have an upward inclination from the lower end located on one lower side of the bill accumulating space 130 to the upper end located on one upper part of the bill accumulating space 130. Accordingly, the front end of the bill passing through the feed roller 121 and the gate roller 122 can be guided along the front surface 151 of the front plate 150 toward the push plate 140 side.

상기 스토퍼(160)는 지폐가 지폐집적공간(130)의 일측으로 진입한 경우, 지폐를 지폐집적공간(130)의 타측에 위치하는 푸쉬플레이트(140) 측으로 가압하여 지폐를 일시적으로 잡아주어 지폐의 날림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When the bill enters one side of the bill accumulating space 130, the stopper 160 presses the bill toward the push plate 140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bill accumulating space 130 to temporarily hold the bill, It works to prevent flying.

상기 스토퍼(160)는 일측단이 전판(150)에 구비된 회전축(161)에 연결되고, 도 3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홈(Home) 위치와 실선으로 도시된 스택(Stack) 위치 사이에서 회전 이동 동작을 반복하면서 지폐를 스택하게 된다.The stopper 160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rotational shaft 161 provided on the front plate 150, and rotates between the home position shown in dotted lines in FIG. 3 and the stack position shown in solid lines By repeating the operation, the banknotes are stacked.

상기 스토퍼(160)는, 상기 전판(150)의 전면을 기준으로 상기 지폐집적공간(130)을 향하는 방향과 상기 지폐집적공간(130)에서 회피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The stopper 160 is provided so as to be rotatable in a direction toward the bill accumulating space 130 and in a direction avoiding the bill accumulating space 130 ba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plate 150 .

상기 스토퍼(160)는, 상기 지폐집적공간(130)으로 지폐가 진입하기 전 단계에서는 상기 지폐집적공간(130)에서 회피되어 상기 전판(150)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지폐집적공간(130)에 지폐가 진입한 시점에서 상기 전판(150)의 전방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지폐를 상기 푸쉬플레이트(140) 측으로 가압하게 된다.The stopper 160 is located on the inside of the front plate 150 by being avoided from the bill collecting space 130 at a stage before the bill enters the bill accumulating space 130, and When the bill enters, it is rotated toward the front of the front plate 150 to press the bill toward the push plate 140.

상기 스토퍼(160)는 상기 지폐집적공간(130)으로 진입하는 지폐의 가압 시 상기 푸쉬플레이트(140)의 일측면보다 상기 지폐집적공간(130)을 향하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 더욱 회전되도록 오버랩(Overlap) 량이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오버랩’되어 있다는 것은, 스토퍼(160)가 푸쉬플레이트(140)의 측면에 접촉되는 위치보다 푸쉬플레이트(140)를 향하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 더욱 회전 가능하도록 스토퍼(160)의 회전범위가 설정되어 있다는 의미이다. 이는 푸쉬플레이트(140)와 스토퍼(160) 사이에 지폐(P)를 보다 안정적으로 협지하여 지지하기 위함이다.The stopper 160 overlaps so that the banknotes entering the banknote accumulating space 130 are rotated further by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direction toward the banknote collecting space 130 than one side of the push plate 140. quantity is set. Here, 'overlap' means that the rotation range of the stopper 160 is set so that the stopper 160 can rotate a predetermined angle further in the direction toward the push plate 140 than the position where the stopper 160 contacts the side surface of the push plate 140. it means there is This is to more stably hold and support the bill P between the push plate 140 and the stopper 160 .

상기 댐퍼(170)는 스토퍼(160)가 스택 위치로 회전될 때 스토퍼(160)의 단부와 맞닿는 부위에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160)가 푸쉬플레이트(140)의 측면에 접촉 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상기 스토퍼(160)에 설정된 오버랩 량을 흡수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스토퍼(160)의 오버랩 량만큼 상기 스토퍼(160)가 가압하는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amper 170 is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stopper 16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nd of the stopper 160 when the stopper 160 is rotated to the stacked position, and the shock generated when the stopper 160 contacts the side surface of the push plate 140 is reduced. As a configuration for absorbing and simultaneously absorbing the amount of overlap set in the stopper 160, the stopper 160 may be displaced in the pressing direction by the amount of overlap of the stopper 160.

상기 댐퍼(170)는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로, 상기 댐퍼(170)는 고무, 실리콘, 폴리우레탄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The damper 170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n an embodiment, the damper 170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silicone, polyurethane, or the like.

또한, 상기 댐퍼(170)는 스토퍼(160)에 의해 가압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17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토퍼(160)가 스택 위치로 회전되어 댐퍼(170)를 가압하게 되면 댐퍼(170)는 스토퍼(160)의 가압력에 의해 스토퍼(160)가 가압하는 방향으로 밀려 소정 거리 변위되며, 탄성부재(171)의 수축 변형에 의해 충격이 흡수되며, 스토퍼(160)가 다시 홈 위치로 회전하게 되면 댐퍼(170)는 탄성부재(171)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In addition, the damper 170 may be supported by an elastic member 171 that applies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pressed by the stopper 160 . In this case, when the stopper 160 is rotated to the stacked position to press the damper 170, the damper 170 is push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topper 160 is pressed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stopper 160 and is displ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elastic member Shock is absorbed by the contraction deformation of 171, and when the stopper 160 is rotated back to the home position, the damper 17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71.

이와 같이 상기 스토퍼(160)의 오버랩 량을 보상하여 완충하기 위한 댐퍼(170)를 스토퍼(160)가 닿는 부위의 푸쉬플레이트(140)에 구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의 집적 초기에 전판(150)의 진동 및 후방으로 밀림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지폐(P)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지폐집적공간(130)에 정렬된 상태로 집적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damper 170 for compensating for and buffering the amount of overlap of the stopper 160 is provided on the push plate 140 where the stopper 160 touches, and as shown in FIG. 5, at the initial stage of accumulation of bills By preventing the front plate 150 from vibrating and being pushed backward, the banknotes P can be stably supported and stacked in an aligned state in the banknote collecting space 130 .

도 6은 지폐집적공간(130)에 지폐(P1)가 집적되어 있는 상태에서 지폐(P2)가 지폐집적부(120)를 통과하여 진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 경우에는 지폐집적공간(130)에 집적되어 있는 지폐(P1)에 의해 스토퍼(160)의 충력 및 오버랩 량이 흡수되므로 댐퍼(170)의 작용에 의하지 않더라도 스토퍼(160)가 스택 위치로 회전 시 전판(150)의 진동 및 후방으로 밀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6 shows a state in which banknotes P2 enter through the banknote collecting unit 120 in a state where banknotes P1 are accumulated in the banknote collecting space 130. In this case, the banknote collecting space 130 Since the impact force and the amount of overlap of the stopper 160 are absorbed by the bill P1 accumulated in the stopper 160, vibration of the front plate 150 and pushing backward when the stopper 160 rotates to the stack position even if it is not by the action of the damper 170 phenomena can be prevented.

한편, 상기 지폐감지부(180)는 반송로(110)를 따라 지폐집적공간(130)을 향하여 이송되는 지폐의 통과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발광부와 수광부로 구성된 광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이외에도 지폐의 통과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감지수단이 채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anknote detection unit 180 is a configuration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bills conveyed toward the banknote collecting space 130 along the transport path 110 pass or not, and may be composed of an optical sensor composed of a light emitting unit and a light receiving unit. In addition, various sensing means for detecting whether bills pass may be employed.

상기 제어부(190)는 지폐감지부(180)에서 감지되는 지폐 후단의 통과 시점, 반송로(110)에서의 지폐 이송속도, 및 지폐감지부(180)와 지폐집적공간(130)의 지폐 진입부 간의 거리 등을 기준으로 스토퍼 구동부(163)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지폐 후단의 통과 시점을 기준으로 할 경우에는, 통과하는 지폐의 권종에 따른 지폐 길이의 차이와 관계없이 지폐 후단의 통과 시점을 기준으로, 집적부(120)와 스토퍼 구동부(163)를 구동시켜, 스택롤러(123)에 의한 지폐 후단부의 타격 시점과 타격 지점이 일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스토퍼(160)가 회전되는 위치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90 determines the passing time of the rear end of the banknote detected by the banknote detection unit 180, the transport speed of the banknote in the transport path 110, and the banknote entry part of the banknote detection unit 180 and the banknote collecting space 130. The driving of the stopper driving unit 163 is controlled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stops. Here, in the case of using the passing time of the rear end of the banknote as a reference, regardless of the difference in the length of the banknote according to the denomination of the passing banknote, the collecting unit 120 and the stopper driving unit 163 are driven based on the passing time of the rear end of the banknote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hitting point and the hitting point of the rear end of the banknote by the stack roller 123 to be constant, and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stopper 160 can be accurately controlled.

상기 지폐집적공간(130)으로 지폐(P)가 진입하기 전 단계에서, 스토퍼(160)는 지폐집적공간(130)에서 회피되어 전판(150)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지폐집적공간(130)에 지폐가 진입한 시점에서 스토퍼(160)는 전판(150)의 전방측으로 회전되어 진입된 지폐(P)를 푸쉬플레이트(140) 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 경우 지폐(P2)의 상단부는 댐퍼(170)와 스토퍼(160) 사이(도 5 참조) 또는 지폐집적공간(130)에 이미 집적되어 있는 지폐(P1)와 스토퍼(160) 사이(도 6 참조)에 가압되어 일시적으로 정지된 상태가 된다. 이와 동시에 스택롤러(123)의 탄성시트(123a)에 의해 타격되는 지폐(P2)는 푸쉬플레이트(140)를 향하여 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지폐집적공간(130) 내에 안정적으로 집적될 수 있다. 따라서, 길이가 상이한 다권종의 지폐를 집적하는 경우에도 지폐의 날림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지폐의 집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step before the bill P enters the bill accumulating space 130, the stopper 160 is avoided from the bill accumulating space 130 and is located inside the front plate 150, and in the bill accumulating space 130 At the point in time when the banknote enters, the stopper 160 is rotated toward the front of the front plate 150 to press the entered banknote P toward the push plate 140. In this case, the upper end of the banknote P2 is between the damper 170 and the stopper 160 (see FIG. 5) or between the banknote P1 and the stopper 160 already accumulated in the banknote collecting space 130 (see FIG. 6) ) and becomes temporarily stopped. At the same time, the bill P2 hit by the elastic sheet 123a of the stack roller 123 is moved laterally toward the push plate 140 and can be stably accumulated in the bill collecting space 130 . Therefore, even in the case of stacking bills of different types having different length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bills from flying, thereby improving the stacking quality of bills.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be carried ou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It is possible, and such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지폐집적장치 10 : 반송로
20 : 집적부 21 : 피드롤러
22 : 게이트롤러 23 : 스택롤러
23a : 탄성시트 30 : 지폐집적공간
40 : 푸쉬플레이트 50 : 전판
60 : 스토퍼 61 : 회전축
100 : 지폐집적장치 110 : 반송로
120 : 집적부 121 : 피드롤러
122 : 게이트롤러 123 : 스택롤러
123a : 탄성시트 130 : 지폐집적공간
140 : 푸쉬플레이트 150 : 전판
151 : 전판의 전면 160 : 스토퍼
161 : 회전축 162 : 스토퍼 감지부
163 : 스토퍼 구동부 170 : 댐퍼
171 : 탄성부재 180 : 지폐 감지부
190 : 제어부 P,P1,P2 : 지폐
1: banknote accumulator 10: conveyance path
20: accumulator 21: feed roller
22: gate roller 23: stack roller
23a: elastic sheet 30: bill accumulation space
40: push plate 50: front plate
60: stopper 61: rotational shaft
100: banknote accumulator 110: conveyance path
120: accumulator 121: feed roller
122: gate roller 123: stack roller
123a: elastic sheet 130: bill collection space
140: push plate 150: front plate
151: front of front plate 160: stopper
161: rotation shaft 162: stopper detection unit
163: stopper driving unit 170: damper
171: elastic member 180: banknote detection unit
190: control unit P, P1, P2: bill

Claims (7)

지폐를 지폐집적공간으로 스택하기 위한 집적부;
상기 지폐집적공간에 집적되는 지폐를 지지하며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푸쉬플레이트;
상기 지폐집적공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집적부를 통과한 지폐를 상기 지폐집적공간 내에 적재되도록 가이드하는 전판;
상기 전판에 소정 각도 범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지폐집적공간의 일측으로 진입한 지폐를 상기 지폐집적공간의 타측에 위치하는 상기 푸쉬플레이트 측으로 가압하여 지지하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와 대향하는 상기 푸쉬플레이트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지폐집적공간으로 진입하는 지폐를 가압하는 상기 스토퍼의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상기 전판이 상기 충격에 의해 상기 지폐집적공간의 반대측으로 밀려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댐퍼;
를 포함하는 지폐집적장치.
an accumulator for stacking bills into the bill accumulating space;
a push plate provided to support the banknotes accumulated in the banknote accumulating space and to be reciprocally movable;
a front plat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ill collecting space and guiding bills passing through the collecting unit to be loaded into the bill collecting space;
a stopper provided on the front plate to be rotatable within a predetermined angular range and pressurizing and supporting the banknotes entering one side of the banknote storage space toward the push plate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banknote storage space; and
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ush plate facing the stopper and absorbs the impact of the stopper that presses the bill entering the bill accumulating space, so that the front plate is push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bill accumulating space by the impact. damper to prevent;
A banknote accumulato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지폐집적공간으로 진입하는 지폐의 가압 시 상기 푸쉬플레이트의 일측면보다 상기 지폐집적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 더욱 회전되도록 오버랩 량이 설정되어 있고,
상기 댐퍼는 상기 스토퍼의 오버랩 량만큼 상기 스토퍼가 가압하는 방향으로 변위되어 상기 스토퍼의 오버랩 량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집적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overlapping amount of the stopper is set such that when a bill entering the bill accumulating space is pressed, a predetermined angle is further rotated in a direction toward the bill accumulating space than one side of the push plate,
The damper is displac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topper presses by an overlap amount of the stopper to absorb the overlap amount of the stopp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집적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damper is a bill 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flexible materi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스토퍼에 의해 가압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집적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damper is supported by an elastic member that applies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pressed by the stopp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전판의 전면을 기준으로 상기 지폐집적공간을 향하는 방향과 상기 지폐집적공간에서 회피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집적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topper is provided so as to be rotatable in a direction toward the bill accumulating space and in a direction avoiding the bill accumulating space ba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지폐집적공간으로 지폐가 진입하기 전 단계에서는 상기 지폐집적공간에서 회피되어 상기 전판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지폐집적공간에 지폐가 진입한 시점에서 상기 전판의 전방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지폐를 상기 푸쉬플레이트 측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집적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topper is located inside the front plate by avoiding the banknote accumulating space in a step before bills enter the bill accumulating space, and is rotated toward the front of the front plate at the time when bills enter the bill accumulating space, so that the bills Bill accumul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pressing toward the push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부는 상기 지폐집적공간 내로 진입한 지폐의 후단부를 타격하는 복수의 탄성시트가 외주면에 부착된 스택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지폐집적공간 내로 진입한 지폐가 상기 스토퍼와 상기 댐퍼 사이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스택롤러가 회전되어 상기 지폐집적공간 내로 진입한 지폐의 하단부를 상기 푸쉬플레이트 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집적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llecting unit includes a stack roller attach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plurality of elastic sheets for hitting the rear end of the bill entering the bill collecting space,
In a state where the bills entering the bills accumulating space are supported between the stopper and the damper, the stack roller is rotated to move a lower end of the bills entering the bills accumulating space toward the push plate. .
KR1020210103229A 2021-08-05 2021-08-05 Apparatus for stacking paper money Pending KR2023002139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229A KR20230021398A (en) 2021-08-05 2021-08-05 Apparatus for stacking paper mone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229A KR20230021398A (en) 2021-08-05 2021-08-05 Apparatus for stacking paper mone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1398A true KR20230021398A (en) 2023-02-14

Family

ID=85220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3229A Pending KR20230021398A (en) 2021-08-05 2021-08-05 Apparatus for stacking paper mone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139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71357B (en) Paper money stacking device
US7806396B2 (en) Sheet handling apparatus
JP5010270B2 (en) Paper sheet stacking device
JP5267072B2 (en) Banknote accumulation mechanism
KR100868715B1 (en) Paper feeding device
CN108694773B (en) Paper money separating and stacking part
KR20230021398A (en) Apparatus for stacking paper money
KR2016008274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acking paper money
US20190300311A1 (en) Paper sheet hand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oreign object
US20190217639A1 (en) Paper sheet feeding apparatus and foreign object detection method
JPH10279160A (en) Sheet discharge processing device
KR102008574B1 (en) Apparatus for stacking paper money
KR102420217B1 (en) Apparatus for stacking paper money
KR102621273B1 (en) Medium stack method of the medium storage unit
KR20200018010A (en) Bill separating and stacking unit
KR2016013922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acking paper money
CN1311145A (en) Paper pile accumulation device and paper pile processing device
KR102621274B1 (en) Medium stack method of the medium storage unit
WO2019163004A1 (en) Paper sheet separation device and paper sheet separation method
KR20210081152A (en) Apparatus for stacking paper money
KR20200082845A (en) Device for separating paper money
KR102621275B1 (en) Medium stack method of the medium storage unit
JPH07137858A (en) Bank note delivery device
KR101153639B1 (en) Medium process apparatus and method and financial device
US11066265B2 (en) Value note casset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