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020281A -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0281A
KR20230020281A KR1020210102179A KR20210102179A KR20230020281A KR 20230020281 A KR20230020281 A KR 20230020281A KR 1020210102179 A KR1020210102179 A KR 1020210102179A KR 20210102179 A KR20210102179 A KR 20210102179A KR 20230020281 A KR20230020281 A KR 20230020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battery cell
battery
document
internal resistan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2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석형
김덕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10102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0281A/ko
Priority to EP22853340.2A priority patent/EP4246160A4/en
Priority to PCT/KR2022/011056 priority patent/WO2023013962A1/ko
Priority to US18/270,297 priority patent/US20240063647A1/en
Priority to CN202280008822.7A priority patent/CN116710791A/zh
Priority to JP2023519982A priority patent/JP7666590B2/ja
Publication of KR20230020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0281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74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with means for correcting the measurement for temperature or age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0Measuring sum, difference or ratio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2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using digital techniques or performing arithmetic oper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08Measuring resistance by measuring both voltage and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35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involving only voltage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9Measuring internal impedance, internal conductance or related vari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6Acquisition or processing of data for testing or for monitoring individual cells or groups of cells within a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Measurement Of Resistance Or Impedance (AREA)
  • Measurement Of Current Or Voltage (AREA)
  • Tests Of Electric Status Of Batteries (AREA)

Abstract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는 복수의 전원을 포함하는 전원부, 상기 복수의 전원 중 제1 전원을 배터리 셀에 인가하여 제1 전압을 측정하고, 상기 복수의 전원 중 상기 제1 전원과는 상이한 제2 전원을 상기 배터리 셀에 인가하여 제2 전압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제1 전압과 상기 제2 전압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 셀의 전압을 산출하는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BATTERY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는 일반적으로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이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으로 이용된다. 그리고 배터리 팩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의하여 상태 및 동작이 관리 및 제어된다.
오늘날에는 이러한 이차 전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배터리 팩 또는 배터리 모듈을 관리해주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의 중요성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는 전압을 측정하고, 배터리 셀들 간의 밸런싱 등을 수행하는 BMIC 회로가 필수적으로 포함된다.
이러한 BMIC 회로를 이용하면 배터리 셀의 전압을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으나, BMIC 회로의 구동에 필요한 전류와 배터리 셀의 내부 저항에 의한 전압 강하로 인해 배터리 모듈 양단에 마련된 배터리 셀의 경우 전압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처럼, 배터리 모듈 양단의 배터리 셀은 다른 배터리 셀에 비해 항상 전압이 낮게 측정되므로, 이러한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서는 통상 별도의 전압 측정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배터리 셀의 전압 측정 시 내부 저항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를 별도의 장치 없이도 자동으로 보정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는 복수의 전원을 포함하는 전원부, 상기 복수의 전원 중 제1 전원을 배터리 셀에 인가하여 제1 전압을 측정하고, 상기 복수의 전원 중 상기 제1 전원과는 상이한 제2 전원을 상기 배터리 셀에 인가하여 제2 전압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제1 전압과 상기 제2 전압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 셀의 전압을 산출하는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산출부는 상기 제1 전압과 상기 제2 전압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 셀의 전압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산출부는 상기 제1 전압과 상기 제2 전압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 셀의 내부 저항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산출부는 상기 배터리 셀의 내부 저항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 셀의 전압을 보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배터리 셀은 배터리 모듈의 일 단에 마련된 배터리 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전원은 상기 배터리 셀을 관리하는 BMIC 회로의 구동 전원일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방법은 복수의 전원 중 제1 전원을 배터리 셀에 인가하여 제1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전원 중 상기 제1 전원과는 상이한 제2 전원을 상기 배터리 셀에 인가하여 제2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압과 상기 제2 전압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 셀의 전압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배터리 셀의 전압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압과 상기 제2 전압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 셀의 전압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배터리 셀의 전압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압과 상기 제2 전압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 셀의 내부 저항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배터리 셀의 전압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 셀의 내부 저항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 셀의 전압을 보정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은 배터리 셀의 전압 측정 시 내부 저항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를 별도의 장치 없이도 자동으로 보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배터리 모듈과 배터리 관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과 배터리 관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팅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문서에서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문서에 개시되어 있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해당 구성 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배터리 제어 시스템(1)은 배터리 팩(10)과 상위 제어기(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팩(10)은 배터리 모듈(12), 센서(14), 스위칭부(16) 및 배터리 관리 장치(BMS)(1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배터리 팩(10)에는 배터리 모듈(12), 센서(14), 스위칭부(16) 및 배터리 관리 장치(100)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팩(10)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외부에 마련된 상위 제어기(20)와 통신할 수 있다.
배터리 모듈(12)은 충방전 가능한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배터리 모듈(12)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센서(14)는 배터리 팩(10)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할 수 있다. 이 때, 전류의 검출 신호는 배터리 관리 장치(100)로 전달될 수 있다. 스위칭부(16)는 배터리 모듈(12)의 (+) 단자 측과 (-) 단자 측에 직렬로 연결되어 배터리 모듈(12)의 충방전 전류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위칭부(16)는 배터리 팩(10)의 사양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릴레이, 마그네틱 접촉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배터리 관리 장치(100)는 배터리 팩(10)의 전압, 전류, 온도 등을 모니터링하여, 과충전 및 과방전 등을 방지하도록 제어 및 관리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배터리 관리 장치(100)는 배터리 팩의 BMS일 수 있다.
배터리 관리 장치(100)는 각종 파라미터를 측정한 값을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로서, 복수의 단자와, 이들 단자와 연결되어 입력받은 값들의 처리를 수행하는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관리 장치(100)는, 스위칭부(16), 예를 들어, 스위치, 릴레이 또는 접촉기 등의 ON/OFF를 제어할 수도 있으며, 복수의 배터리 모듈(12)에 연결되어 배터리 셀들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문서에 개시된 배터리 관리 장치(100)는 BMIC를 통해 배터리 모듈(12)에 포함된 배터리 셀 각각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관리 장치(100)는 복수의 BMIC 구동 전류를 인가하여 배터리 셀의 전압을 측정하고, 이에 기반하여 배터리 셀의 내부 저항을 산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배터리 관리 장치(100)는 배터리 셀의 내부 저항에 의한 배터리 셀의 전압 측정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 관리 장치(100)의 구성에 관해서는 도 2에서 상세하게 후술한다.
상위 제어기(20)는 배터리 관리 장치(100)로 배터리 모듈(12)에 대한 각종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 관리 장치(100)는 상위 제어기(2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이 제어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개시의 배터리 셀은 전기 자동차에 이용되는 배터리 모듈(12)에 포함된 구성일 수 있다. 다만, 도 1의 배터리 팩(10)은 이러한 용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도 1의 배터리 팩(10) 대신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의 배터리 랙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100)는 전원부(110), 측정부(120) 및 산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10)는 복수의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전원부(110)에 포함된 복수의 전원은 배터리 셀을 관리하는 BMIC 회로의 구동 전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원부(110)는 복수의 전원을 스위칭 회로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측정부(120)는 전원부(110)의 전원을 배터리 셀에 인가하여 배터리 셀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정부(120)는 복수의 전원 중 제1 전원을 배터리 셀에 인가하여 제1 전압을 측정하고, 복수의 전원 중 제1 전원과는 상이한 제2 전원을 배터리 셀에 인가하여 제2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배터리 셀은 배터리 모듈의 일 단에 마련된 배터리 셀일 수 있다.
산출부(130)는 배터리 셀에 대해 제1 전원과 제2 전원을 각각 인가하여 측정된 제1 전압과 제2 전압에 기반하여 배터리 셀의 전압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출부(130)는 제1 전압과 제2 전압의 차이에 기반하여 배터리 셀의 전압을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산출부(130)는 배터리 셀에 대해 측정된 제1 전압과 제2 전압에 기반하여 해당 배터리 셀의 내부 저항을 산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산출부(130)는 배터리 셀의 내부 저항에 기반하여 배터리 셀의 전압을 보정할 수 있다. 구체적인 산출부(130)의 전압 산출 방법에 관해서는 도 3 및 4에서 후술한다.
이와 같이,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100)는 배터리 셀의 전압 측정 시 내부 저항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를 별도의 장치 없이도 자동으로 보정할 수 있다.
도 3은 종래의 배터리 모듈과 배터리 관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과 배터리 관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배터리 관리 장치의 경우, 배터리 모듈(12)의 일 단에 마련된 배터리 셀(202)의 전압 측정 시, 전원(111)으로부터 공급되는 BMIC의 구동 전류(Icc)와 배터리 셀(202)의 내부 저항 성분(Rb)에 의한 전압 강하가 발생하게 된다. 이 때, Icc >> ICVn이므로 나머지 배터리 셀의 경우에는 전압 강하에 의한 영향이 없다. 한편, 배터리 셀의 내부 저항(Rb)은 직접 측정하기가 어렵다.
이처럼, 종래의 배터리 관리 장치에 따르면, 배터리 셀(202)의 내부 저항(Rb)으로 인하여 배터리 모듈(12)의 일 단에 마련된 배터리 셀(202)의 경우 전압이 다른 배터리 셀에 비해 항상 낮게 측정되며, 이를 보정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전압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재측정해야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100)는 BMIC의 구동 전류를 제1 전원(111)과 제2 전원(112)로부터 선택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다. 즉,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100)에서는 제1 전원(111)에 의한 BMIC 구동 전류를 인가한 후 측정부(120)를 통해 배터리 셀(202)의 제1 전압을 측정하고, 제2 전원(112)에 의한 BMIC 구동 전류를 인가한 후 측정부(120)를 통해 배터리 셀(202)의 제2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100)는 이와 같이 측정된 제1 전압과 제2 전압의 차이에 기반하여 배터리 셀의 내부 저항(Rb)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 관리 장치(100)는 산출된 내부 저항(Rb)과 BMIC의 구동 전류(Icc, Icc1)를 이용하여 배터리 셀(202)의 전압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이 때, 배터리 셀(201)과 같은 나머지 배터리 셀의 경우에는 BMIC의 구동 전류에 의한 전압 강하 영향이 없으므로, 별도의 보정이 필요하지 않다.
구체적으로,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100)의 산출부(130)는 다음의 수학식에 따라 배터리 셀(202)의 전압을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제1 전원(111)에 의한 BMIC 구동 전류(Icc)를 인가한 경우의 배터리 셀(202)의 전압은 키르히호프 법칙(Kirchhoff's Voltage Law)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L2).
(수학식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또한, 제2 전원(112)에 의한 BMIC 구동 전류(Icc1)를 인가한 경우의 배터리 셀(202)의 전압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Vcn: 배터리 셀 전압,
VCn_ic: BMIC에서 측정되는 배터리 셀 전압
Rb: 배터리 셀 내부 저항
Rp: BMIC와 배터리 셀의 연결 경로(path)의 저항
ICvn: 배터리 셀 전압 측정 시 핀(pin)으로 흐르는 전류
Icc, Icc1: BMIC 구동 전류
이처럼,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100)의 산출부(130)는 상기 수학식 1과 상기 수학식 2를 연립하여 계산함으로써 배터리 셀의 내부 저항(Rb)과 배터리 셀의 전압(VC1)을 산출할 수 있다. 즉, BMIC의 구동 전류(Icc, Icc1)와 산출된 배터리 셀 내부 저항(Rb)을 이용하여 측정된 배터리 셀의 전압(Vcn_ic)을 보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방법은 먼저, 복수의 전원 중 제1 전원을 배터리 셀에 인가하여 제1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S110). 또한, 복수의 전원 중 제2 전원을 배터리 셀에 인가하여 제2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S120). 이 때, 배터리 셀은 배터리 모듈의 일 단에 마련된 배터리 셀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전원은 배터리 셀을 관리하는 BMIC 회로의 구동 전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전원은 스위칭 회로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전압과 제2 전압에 기반하여 배터리 셀의 전압을 산출할 수 있다(S130). 예를 들어, 단계 S130에서는 제1 전압과 제2 전압의 차이에 기반하여 배터리 셀의 전압을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배터리 셀에 대해 측정된 제1 전압과 제2 전압에 기반하여 해당 배터리 셀의 내부 저항을 산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계 S130에서는배터리 셀의 내부 저항에 기반하여 배터리 셀의 전압을 보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방법은 배터리 셀의 전압 측정 시 내부 저항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를 별도의 장치 없이도 자동으로 보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방법을 구현하는 커컴퓨팅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1000)은 MCU(1010), 메모리(1020), 입출력 I/F(1030) 및 통신 I/F(1040)를 포함할 수 있다.
MCU(1010)는 메모리(1020)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프로그램(예를 들면, 배터리 셀 전압 측정 프로그램, 배터리 셀의 내부 저항 및 전압 산출 프로그램 등)을 실행시키고, 이러한 프로그램들을 통해 배터리 셀의 전압과 내부 저항 등을 포함한 각종 데이터를 처리하며, 전술한 도 2에 나타낸 배터리 관리 장치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메모리(1020)는 배터리 셀의 전압 측정이나 내부 저항 및 전압 산출 등에 관한 각종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020)는 배터리 셀의 전압이나 내부 저항 등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020)는 필요에 따라서 복수 개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메모리(1020)는 휘발성 메모리일 수도 있으며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로서의 메모리(1020)는 RAM, DRAM, SRAM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로서의 메모리(1020)는 ROM, PROM, EAROM, EP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열거한 메모리(1020)들의 예를 단지 예시일 뿐이며 이들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출력 I/F(1030)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 패널 등의 입력 장치(미도시)와 디스플레이(미도시) 등의 출력 장치와 MCU(1010) 사이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 I/F(1040)는 서버와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각종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I/F(1040)를 통해 별도로 마련된 외부 서버로부터 배터리 셀의 전압 측정이나 내부 저항 및 전압 산출을 위한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메모리(1020)에 기록되고, MCU(1010)에 의해 처리됨으로써, 예를 들면 도 2에서 도시한 각 기능들을 수행하는 모듈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문서에 개시된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문서에 개시된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문서에 개시되 기술사상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문서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복수의 전원을 포함하는 전원부;
    상기 복수의 전원 중 제1 전원을 배터리 셀에 인가하여 제1 전압을 측정하고, 상기 복수의 전원 중 상기 제1 전원과는 상이한 제2 전원을 상기 배터리 셀에 인가하여 제2 전압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제1 전압과 상기 제2 전압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 셀의 전압을 산출하는 산출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상기 제1 전압과 상기 제2 전압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 셀의 전압을 산출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상기 제1 전압과 상기 제2 전압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 셀의 내부 저항을 산출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상기 배터리 셀의 내부 저항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 셀의 전압을 보정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은 배터리 모듈의 일 단에 마련된 배터리 셀인 배터리 관리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원은 상기 배터리 셀을 관리하는 BMIC 회로의 구동 전원인 배터리 관리 장치.
  7. 복수의 전원 중 제1 전원을 배터리 셀에 인가하여 제1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전원 중 상기 제1 전원과는 상이한 제2 전원을 상기 배터리 셀에 인가하여 제2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압과 상기 제2 전압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 셀의 전압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의 전압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압과 상기 제2 전압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 셀의 전압을 산출하는 배터리 관리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의 전압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압과 상기 제2 전압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 셀의 내부 저항을 산출하는 배터리 관리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의 전압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 셀의 내부 저항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 셀의 전압을 보정하는 배터리 관리 방법.
KR1020210102179A 2021-08-03 2021-08-03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Pending KR20230020281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179A KR20230020281A (ko) 2021-08-03 2021-08-03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EP22853340.2A EP4246160A4 (en) 2021-08-03 2022-07-27 BATTERY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PCT/KR2022/011056 WO2023013962A1 (ko) 2021-08-03 2022-07-27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US18/270,297 US20240063647A1 (en) 2021-08-03 2022-07-27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CN202280008822.7A CN116710791A (zh) 2021-08-03 2022-07-27 电池管理装置和方法
JP2023519982A JP7666590B2 (ja) 2021-08-03 2022-07-27 電池管理装置および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179A KR20230020281A (ko) 2021-08-03 2021-08-03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281A true KR20230020281A (ko) 2023-02-10

Family

ID=85154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2179A Pending KR20230020281A (ko) 2021-08-03 2021-08-03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63647A1 (ko)
EP (1) EP4246160A4 (ko)
JP (1) JP7666590B2 (ko)
KR (1) KR20230020281A (ko)
CN (1) CN116710791A (ko)
WO (1) WO2023013962A1 (ko)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1526B2 (ja) 2002-10-21 2006-04-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二次電池評価方法および蓄電装置
JP2006266960A (ja) 2005-03-25 2006-10-05 Furukawa Battery Co Ltd:The 蓄電池内部インピーダンス測定装置および蓄電池内部インピーダンス測定方法
JP5384039B2 (ja) 2008-06-16 2014-01-08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作業機械における蓄電器の内部抵抗の測定方法及び内部抵抗測定装置
JP5727857B2 (ja) * 2011-02-16 2015-06-03 株式会社アイケイエス 二次電池劣化判定方法及び二次電池劣化判定装置
CN103492888B (zh) * 2011-04-21 2016-11-23 瑞萨电子株式会社 开关电路、选择电路、以及电压测定装置
US9651625B2 (en) * 2011-10-07 2017-05-16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Battery monitoring apparatus and battery monitoring system
KR101527546B1 (ko) * 2011-11-14 2015-06-0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관리 시스템과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보호 장치
EP2919028B1 (en) 2012-11-12 2018-06-20 Alps Electric Co., Ltd. Storage-device-state detection method
WO2014192134A1 (ja) * 2013-05-31 2014-12-0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蓄電池監視装置
CN103645382B (zh) 2013-12-13 2017-01-25 艾德克斯电子(南京)有限公司 一种在线电池内阻测量装置及其测量方法
JP6916983B2 (ja) * 2016-11-01 2021-08-1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車両用のバッテリ監視システム
KR101927123B1 (ko) * 2016-11-10 2018-12-10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단선 진단 장치 및 방법
KR102155331B1 (ko) * 2017-07-06 2020-09-11 주식회사 엘지화학 무선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팩
KR102204301B1 (ko) * 2017-07-20 2021-01-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무선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팩
KR102173778B1 (ko) * 2017-07-25 2020-11-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관리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팩
KR102173777B1 (ko) * 2017-07-25 2020-11-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마스터 배터리 관리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팩
KR102256602B1 (ko) * 2017-12-14 2021-05-2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압 측정 장치 및 방법
JP6881414B2 (ja) * 2018-10-17 2021-06-02 横河電機株式会社 バッテリマネジメントシステム、バッテリマネジメント方法およびバッテリマネジメントプログラム
KR102768452B1 (ko) * 2019-04-05 2025-02-1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745196B1 (ko) * 2019-07-22 2024-12-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저항 진단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63647A1 (en) 2024-02-22
WO2023013962A1 (ko) 2023-02-09
JP2023543886A (ja) 2023-10-18
JP7666590B2 (ja) 2025-04-22
EP4246160A1 (en) 2023-09-20
CN116710791A (zh) 2023-09-05
EP4246160A4 (en) 2024-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7606B1 (ko) 배터리팩의 잔류용량 측정의 수정장치와 방법
US8212523B2 (en) Protection device for assembled cell providing equal consumption current for each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unit
KR20210031336A (ko) 배터리 진단 장치 및 방법
KR101146404B1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210004646A (ko) 배터리 셀 진단 장치 및 방법
KR20130123098A (ko) 배터리 밸런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밸런싱 방법
US11846680B2 (en) Battery resistance diagnosis device and method
KR102782615B1 (ko) 배터리 진단 장치 및 방법
US20240175937A1 (en)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KR102709601B1 (ko) 배터리 셀 진단 장치 및 방법
KR20220041635A (ko) 배터리 이상 진단 장치 및 방법
KR20190071439A (ko) 전류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230020281A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US20150212163A1 (en) Device for detecting remaining battery capacity, battery system, method of detecting remaining battery capacity and program
KR20230040651A (ko) 배터리 장치,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만충전 용량 계산 방법
US20240195201A1 (en)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US20230129347A1 (en) Real Time Backup Battery Life Check
KR20240071210A (ko) 배터리 검사 장치 및 배터리 검사 방법
KR20230013577A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배터리 시스템
KR20240066007A (ko) 배터리 검사 장치 및 배터리 검사 방법
KR20240175869A (ko) 배터리 진단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20159843A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50097496A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20240036410A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20240162881A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12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108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1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