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3340A - Cleaner station - Google Patents
Cleaner st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13340A KR20230013340A KR1020210093976A KR20210093976A KR20230013340A KR 20230013340 A KR20230013340 A KR 20230013340A KR 1020210093976 A KR1020210093976 A KR 1020210093976A KR 20210093976 A KR20210093976 A KR 20210093976A KR 20230013340 A KR20230013340 A KR 2023001334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st
- impactor
- exhaust air
- cleaner
- pi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2—Dust separato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6—Dust removal
- A47L9/108—Dust compression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25—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series flow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41—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parallel flow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3—Docking units or charging st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2—Docking stations; Docking operations
- A47L2201/024—Emptying dust or waste liquid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포집하기 위해 청소기와 결합하는 청소기 스테이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은, 청소기가 결합되며 상기 청소기의 먼지통 내부에 흡입력을 제공하도록 구동하는 집진 모터와, 상기 먼지통 내부에서 빠져나온 공기가 유동하도록 구비된 흡입 유로를 포함하는 스테이션 본체; 상기 스테이션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공기와 함께 유동하는 먼지를 포집하도록 구비된 집진통; 상기 집진통의 외측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 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 경로를 제공하는 임팩터 유로관; 및 상기 임팩터 유로관을 빠져나온, 먼지가 분리된 배출 공기가 유입되어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배출공기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임팩터 유로관의 내부에서 먼지가 이동하는 방향은, 상기 임팩터 유로관을 빠져나온 배출 공기에 흡입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을 가질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er station coupled to a vacuum cleaner to collect dust inside a dust bin of a vacuum cleaner. a station main body including a dust collecting motor and a suction passage provided to allow air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dust bin to flow; a dust collector disposed above the station main body and equipped to collect dust flowing together with the air; an impactor flow path disposed on an outer upper portion of the dust collector and providing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flow path flows; and an exhaust air moving unit configured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exhaust air from which dust is separated from the impactor flow pipe is introduced and moved, where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ust moves inside the impactor flow pipe is the impact flow path. It may have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ction force acts on the exhaust air exiting the pipe.
Description
본 발명은 청소기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포집하기 위해 청소기와 결합하는 청소기 스테이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먼지를 포집하여 저장하는 부재로서 사용자에 의해 주기적인 교체가 요구되는 먼지백(bag)이 아닌 빈(bin))형태의 집진통이 구비되는 청소기 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er station coupled to a cleaner to collect dust inside a dust bi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mber that collects and stores dust, which is not a dust bag that requires periodic replacement by a user. It relates to a cleaner station equipped with a bin-shaped dust collection container.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전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방식에 의해, 작은 쓰레기나 먼지를 빨아들여 제품 속에 있는 먼지통에 채우는 가전기기로, 진공 청소기로 불리는 것이 일반적이다.BACKGROUND ART In general, a vacuum cleaner is a home appliance that sucks up small garbage or dust and fills a dust bin in a product by a method of sucking air using electricity, and is commonly referred to as a vacuum cleaner.
이러한 청소기는 사용자가 직접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기 위한 수동 청소기와,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자동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 수동 청소기는 청소기의 형태에 따라, 캐니스터형 청소기, 업라이트 청소기, 핸디형 청소기 및 스틱형 청소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Such cleaners may be classified into manual cleaners for cleaning while a user directly moves the cleaner, and automatic cleaners for performing cleaning while driving by itself. Manual cleaners may be classified into canister-type cleaners, upright cleaners, handheld cleaners, and stick-type cleaner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leaner.
가정용 청소기에서는 과거 캐니스터형 청소기가 많이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먼지통과 청소기 본체를 일체로 제공하여 사용 편의성이 좋아진 핸디형 청소기와 스틱 청소기가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다.In household cleaners, canister-type vacuum cleaners have been widely used in the past, but recently, handheld vacuum cleaners and stick vacuum cleaners, which provide convenience in use by integrally providing a dust bin and a cleaner body, have been widely used.
캐니스티형 청소기는 본체와 흡입구가 고무호스나 파이프로 연결되어 있고 경우에 따라 흡입구에 솔을 끼어서 사용 가능하다.The main body of the canister type vacuum cleaner is connected to the intake by a rubber hose or pipe, and in some cases, a brush can be inserted into the intake.
핸디형 청소기는 휴대성을 극대화시킨 것으로, 무게가 가볍지만 길이가 짧기 때문에 청소 영역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책상 또는 소파 위나, 자동차 안과 같이 국부적인 장소를 청소하는데 사용된다.A handheld vacuum cleaner maximizes portability and is light in weight, but may have a limited cleaning area because of its short length. Thus, it is used to clean localized areas, such as on a desk or sofa, or in a car.
스틱 청소기는 서서 사용할 수 있어 허리를 숙이지 않고도 청소가 가능하다. 따라서 넓은 영역을 이동하면서 청소하는데 유리하다. 핸디형 청소기가 좁은 공간의 청소를 한다면, 스틱형은 그보다는 넓은 공간 청소를 할 수 있고 손에 닿지 않는 높은 곳의 청소를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스틱 청소기를 모듈 타입으로 제공하여 다양한 대상에 능동적으로 청소기 타입을 변경하여 사용하기도 한다.The stick vacuum cleaner can be used standing up, so you can clean without bending your back. Therefore, it is advantageous to clean while moving a large area. If the handheld vacuum cleaner cleans a narrow space, the stick type cleaner can clean a wider space and can clean high places that are out of reach. Recently, a stick cleaner is provided in a module type, and the cleaner type is actively changed and used for various objects.
또한, 최근에는 사용자의 조작 없이 스스로 청소를 수행하는 로봇 청소기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로봇 청소기는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바닥으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함으로써,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을 자동으로 청소한다.In addition, recently, robot cleaners that perform self-cleaning without a user's manipulation are commonly used. The robot cleaner automatically cleans the area to be cleaned by suck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the floor while traveling on its own in the area to be cleaned.
그러나, 종래의 스틱 청소기와 로봇 청소기는 집진된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의 용량이 작아 사용자가 매번 먼지통을 비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However, in conventional stick cleaners and robot cleaners, the capacity of the dust bin for storing the collected dust is small, and the user has to empty the dust bin every time, which is inconvenient.
이와 관련하여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74001호에는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In this regar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74001 discloses a cleaning device including a vacuum cleaner and a docking station.
상기 선행특허문헌은, 이물질이 집진되는 집진통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와 상기 집진통에 집진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집진통과 연결되는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상기 집진통 내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장치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prior patent document discloses a cleaning device including a vacuum cleaner including a dust collection container in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collected, and a docking station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uction device for suck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dust collector.
또한, 상기 선행특허문헌은, 도킹 스테이션 내부에서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rior patent documen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docking station.
그러나, 상기 선행특허문헌의 일 실시예에서 포집부는 더스트백으로 구성되어 주기적인 교체가 필요한 불편함이 있다. 또한, 더스트백은 그 재질의 특성상 교체를 위해 도킹 스테이션으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먼지가 비산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Howev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ior patent document, the collecting unit is composed of a dust bag, and thus requires periodic replacement, which is inconvenient. In addi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of the dust bag, a problem of dust scattering may occur during the process of being separated from the docking station for replacement.
한편, 상기 선행특허문헌에서는, 포집부가 추가 집진통을 포함하는 실시예가 개시되어 있다. 추가 집진통은 멀티 사이클론을 포함하며 추가 집진통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멀티 사이클론을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청소기의 집진통에서 배출된 이물질이 상기 추가 집진통으로 포집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ior patent document, an embodiment in which the collecting unit includes an additional dust collection container is disclosed. The additional dust collection box includes a multi-cyclone, an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dditional dust collection box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multi-cyclone, so that foreign substances discharged from the dust collection box of the vacuum cleaner can be collected by the additional dust collection box.
그러나, 상기 선행특허문헌의 다른 실시예에서 멀티 사이클론은 추가 집진통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구성되어 집진통의 먼지 수용 용량이 멀티 사이클론의 부피만큼 작아진다는 문제가 있으며, 멀티 사이클론이 추가 집진통의 내부에 수용되면 집진통 내부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바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추가 집진통의 세척 등 관리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ior patent document, the multi-cyclone is configured to be accommodated inside the additional dust-collecting container, 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ust-accommodating capacity of the dust-collecting container is reduced by the volume of the multi-cyclone. Since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ust collection box becomes complicated when accommodated inside, it may be difficult for the user to manage the additional dust collection box, such as cleaning.
본 발명은, 교체가 필요 없는 이물질 저장 부재를 포함한 청소기 스테이션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가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user convenience by providing a cleaner station including a foreign matter storage member that does not require replacement.
또한, 본 발명은, 세척 등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마련된 이물질 저장 부재(이하 '집진통')를 포함한 청소기 스테이션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가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user convenience by providing a cleaner station including a foreign matter storage memb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ust collection box') provided to facilitate maintenance such as cleaning.
또한, 본 발명은, 먼지 저장 용량이 증가된 집진통을 포함한 청소기 스테이션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가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user convenience by providing a cleaner station including a dust collector with an increased dust storage capacity.
또한, 본 발명은, 먼지 저장 효율이 증가된 집진통을 포함한 청소기 스테이션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가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user convenience by providing a cleaner station including a dust collector with increased dust storage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은, 집진통의 먼지를 비울 때 먼지가 비산하지 않는 청소기 스테이션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가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user convenience by providing a cleaner station in which dust does not scatter when dust is emptied from a dust collecto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은, 청소기가 결합되며 상기 청소기의 먼지통 내부에 흡입력을 제공하도록 구동하는 집진 모터와, 상기 먼지통 내부에서 빠져나온 공기가 유동하도록 구비된 흡입 유로를 포함하는 스테이션 본체; 상기 스테이션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공기와 함께 유동하는 먼지를 포집하도록 구비된 집진통; 상기 집진통의 외측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 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 경로를 제공하는 임팩터 유로관; 및 상기 임팩터 유로관을 빠져나온, 먼지가 분리된 배출 공기가 유입되어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배출공기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임팩터 유로관의 내부에서 먼지가 이동하는 방향은, 상기 임팩터 유로관을 빠져나온 배출 공기에 흡입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을 가질 수 있다.A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ation main body including a dust collecting motor coupled to a cleaner and driven to provide a suction force to an inside of a dust container of the cleaner, and a suction passage provided to allow air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dust container to flow. ; a dust collector disposed above the station main body and equipped to collect dust flowing together with the air; an impactor flow path disposed on an outer upper portion of the dust collector and providing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flow path flows; and an exhaust air moving unit configured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exhaust air from which dust is separated from the impactor flow pipe is introduced and moved, where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ust moves inside the impactor flow pipe is the impact flow path. It may have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ction force acts on the exhaust air exiting the pipe.
여기서, 상기 집진통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집진통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상기 집진통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회전 유닛; 및 상기 회전 유닛이 회전하여 모은 먼지를 압축하도록 상기 집진통 내부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되는 압축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a rotating unit disposed inside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rotating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round a longitudinal axis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a compression plate disposed in a fixed state on one side inside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so as to compress the dust collected by rotation of the rotary unit.
이때, 상기 회전 유닛은, 상기 집진통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집진통의 외부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집진통의 내주면과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된 스크러버; 및 상기 회전축과 상기 스크러버의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여 상기 압축판의 일면과 맞닿으면서 먼지를 압축하는 회전판;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otation unit may include a rotating shaft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rotating by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 scrubber provided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ng shaft in a state of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a rotating plate connected between the rotating shaft and the scrubber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rotating shaft to compress dust while making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compression plate.
또한, 상기 임팩터 유로관이 결합되며, 상기 집진통 상부의 적어도 일부분 및 상기 배출공기 이동부 상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폐쇄하도록 마련되는 막음판; 및 상기 막음판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막음판과의 사이에 상기 임팩터 유로관을 수용하는 먼지분리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blocking plate coupled to the impactor flow pipe and provided to close at least a portion of an upper portion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at least a portion of an upper portion of the exhaust air movement unit; and an upper cov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locking plate to form a dust separation space accommodating the impactor flow pipe between the upper cover and the blocking plate.
또한, 상기 막음판은, 상기 집진통의 내부와 상기 먼지분리 공간을 연통시키며 상기 임팩터 유로관에서 배출되는 먼지가 통과하도록 마련된 먼지 통과홀; 및 상기 먼지분리 공간과 상기 배출공기 이동부를 연통시키며 상기 임팩터 유로관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도록 마련된 배출 공기 통과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locking plate may include a dust passage hole provided to communicate the inside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the dust separation space and pass dust discharged from the impactor flow pipe; and an exhaust air passage hole provided to allow the air discharged from the impactor passage pipe to pass through the dust separation space and the exhaust air movement part.
또한, 상기 먼지분리 공간의 내부에서 상기 먼지 통과홀의 외측 경계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배치되는 충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돌부의 적어도 일면은 상기 임팩터 유로관을 빠져나온 먼지에 작용하는 관성력의 방향을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llision part disposed along at least a part of an outer boundary of the dust passage hole inside the dust separation space, wherei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collision part faces a direction of an inertial force acting on dust exiting the impactor passage pipe. Can be placed for viewing.
또한, 상기 배출공기 이동부는, 상기 임팩터 유로관을 빠져나온 배출 공기가 유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배출공기 이동부 하우징; 상기 배출공기 이동부 하우징에 배치되며 상기 배출 공기로부터 먼지를 추가로 여과하는 프리 필터; 및 상기 배출공기 이동부 하우징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 유로와 연통되는 흡입 유로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임팩터 유로관은, 일측 단부를 통해 상기 흡입 유로 연결관과 연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haust air moving unit, the exhaust air moving unit housing forming a space into which the exhaust air exiting the impactor flow pipe is introduced; a pre-filter disposed in the exhaust air movement unit housing and additionally filtering dust from the exhaust air; and a suction passage connection pipe disposed in the exhaust air movement unit housing and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assage, wherein the impactor passage pipe may communicate with the suction passage connection pipe through one en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임팩터 유로관은, 상기 임팩터 유로관의 내부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루버가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actor flow pipe, a louver may be installed so that air is discharged in a direction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direction in which air flows inside the impactor flow pipe.
이때, 상기 루버는, 상기 임팩터 유로관의 측면 방향 개구에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uver may be installed in a lateral opening of the impactor flow pipe.
또는, 상기 루버는, 상기 임팩터 유로관의 상부 방향 개구에 설치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louver may be installed in an upper opening of the impactor flow pip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임팩터 유로관을 빠져나온 배출 공기로부터 추가로 먼지를 여과하는 사이클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yclone unit for filtering additional dust from the exhaust air exiting the impactor flow pipe; may further include.
이때, 상기 임팩터 유로관이 결합되며, 상기 집진통 상부의 적어도 일부분 및 상기 배출공기 이동부 상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폐쇄하도록 마련되는 막음판; 및 상기 막음판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막음판과의 사이에 상기 임팩터 유로관을 수용하는 먼지분리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a blocking plate coupled to the impactor flow pipe is provided to close at least a portion of an upper portion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at least a portion of an upper portion of the exhaust air movement unit; and an upper cov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locking plate to form a dust separation space accommodating the impactor flow pipe between the upper cover and the blocking plate.
또한, 상기 막음판은, 상기 사이클론부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배출 공기 통과홀;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ffle plate may include a discharge air passage hole through which air discharged from the cyclone unit passes.
또한, 상기 배출공기 이동부는, 상기 사이클론부가 여과한 먼지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배출공기 이동부 하우징; 상기 배출공기 이동부 하우징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 유로와 연통되는 흡입 유로 연결관; 및 상기 배출공기 이동부 하우징에 배치되며 상기 집진 모터와 연통되어 상기 사이클론부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유동하도록 구비된 집진 모터 연결관;을 포함할 수 있다.The exhaust air moving unit may include an exhaust air moving unit housing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dust filtered by the cyclone unit is stored; a suction passage connection pipe disposed in the exhaust air movement unit housing and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assage; and a dust collection motor connection pipe disposed in the exhaust air movement unit housing and communicated with the dust collection motor so tha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cyclone unit flows.
본 발명에 따르면, 이물질 저장 부재로서 백 타입(bag type)이 아닌 빈 타입(bin type)의 부재를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으로서 상기 이물질 저장 부재를 주기적으로 교체해줄 필요가 없어 경제적일 뿐 아니라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vacuum cleaner station including a bin type member instead of a bag type as a foreign substance storage member, there is no need to periodically replace the foreign substance storage member, which is economical as well as user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임팩터 유로 및/또는 사이클론과 같이 먼지를 분리하기 위해 마련되는 구성이 집진통의 외부에 배치됨으로써 집진통의 세척이 용이하게 되는 바, 청소기 스테이션의 유지보수에 대한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components provided for separating dust, such as an impactor passage and/or a cyclone, are disposed outside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cleaning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is facilitated, and thus maintenance of the cleaner station is convenient. can be increas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임팩터 유로 및/또는 사이클론과 같이 먼지를 분리하기 위해 마련되는 구성이 집진통의 외부에 배치됨으로써 집진통의 내부에 먼지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가 집진통의 먼지를 비워주어야 하는 주기가 길어지는 바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figuration provided for separating dust, such as an impactor passage and/or a cyclone, is disposed outside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thereby increasing the space for storing dust inside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s a result, the user's convenience may increase as the period in which the user has to empty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becomes longe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집진통의 내부에 구비된 회전 유닛을 통해 집진통에 포집된 먼지를 압축시켜 저장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집진통 내부의 먼지 저장 효율이 증가되는 바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ust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on box can be compressed and stored through the rotating unit provided inside the dust collection box, and thus the dust storage efficiency inside the dust collection box is increased, which increases user convenience. ca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집진통의 내부에 구비된 회전 유닛을 통해 집진통에 포집된 먼지를 압축시켜 저장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집진통 내부의 먼지를 비움에 있어서 먼지가 비산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ust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on box can be compressed and stored through the rotation unit provided inside the dust collection box, and thus,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dust from scattering when emptying the dust inside the dust collection box. there i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청소기 스테이션에 결합되는 청소기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청소기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1의 청소기 스테이션에 포함된 먼지 분리 모듈의 일 실시예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4의 먼지 분리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X-X선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먼지 분리 모듈에 포함된 회전 유닛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도 4의 집진통을 상부에서 내려다본 도면이다.
도 9는 먼지 분리 모듈의 각 구성이 스테이션 본체에서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도 1의 청소기 스테이션에 포함된 먼지 분리 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도 10의 먼지 분리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임팩터 유로관을 상부에서 내려다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0의 실시예에서 싸이클론 커버를 제거한 후 먼지 분리 모듈을 상부에서 내려다 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B-B선의 단면도이다.
도 16는 도 1의 청소기 스테이션에 포함된 먼지 분리 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임팩터 유로관을 상부에서 내려다본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의 C-C선의 단면도이다.1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leaner system including a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ottom view of a cleaner coupled to the cleaner station of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part to which a cleaner is coupled in the cleaner station of FIG. 1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dust separation module included in the cleaner station of FIG. 1 .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separation module of FIG. 4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XX of FIG. 4 .
FIG. 7 illustrates a rotation unit included in the dust separation module of FIG. 4 .
FIG. 8 is a view looking down on the dust collector of FIG. 4 from the top.
9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each component of the dust separation module is separated from the station body.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dust separation module included in the cleaner station of FIG. 1 .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separation module of FIG. 10 .
12 is a view looking down on the impactor flow pipe of FIG. 10 from above.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2;
14 is a view looking down at the dust separation module from the top after removing the cyclone cover in the embodiment of FIG. 10 .
1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4;
FIG. 16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dust separation module included in the cleaner station of FIG. 1, and is a view looking down on the impactor flow pipe from the top.
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CC of FIG. 16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may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It may not b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청소기 스테이션에 결합되는 청소기의 저면도이다.FIG. 1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leaner system including a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ottom view of a cleaner coupled to the cleaner station of FIG. 1 .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시스템(1)은 청소기 스테이션(10)과 청소기(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이 중 일부의 구성을 제외하고 실시될 수도 있고,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도 않는다.Referring to FIGS. 1 and 2 , a
청소기 스테이션(10)은 청소기(20)의 먼지통(21) 내부의 먼지를 흡입하여 제거하는 동작을 하도록 구성된 장치로서 이러한 먼지 흡입 동작을 위해 위해 청소기(2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청소기 스테이션(10)과 결합되는 청소기(20)는 자율로 주행하여 청소 동작을 수행하는 로봇 청소기일 수 있다.The
청소기(20)는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바닥으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함으로써,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을 자동으로 청소할 수 있다. 청소기(20)는 청소 구역 내에 설치된 가구, 사무용품 또는 벽 등의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센서와, 이동을 위한 좌측 바퀴 및 우측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20)는 청소기 스테이션(10)에 결합될 수 있다. 청소기(20)의 먼지통(21) 내부로 흡입된 먼지는 후술할 흡입홀(123)을 통해 청소기 스테이션(10)의 내부로 수집될 수 있다.The cleaner 20 may automatically clean the area to be cleaned by sucking in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the floor while traveling on its own in the area to be cleaned. The cleaner 20 may include a distance sensor for detecting a distance to an obstacle such as furniture, office supplies, or a wall installed in the cleaning area, and left and right wheels for movement. The cleaner 20 may be coupled to the
청소기(20)는 먼지 배출홀(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먼지 배출홀(22)은 청소기(20)의 먼지통(21)의 저면에 배치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청소기(20)의 먼지통(21)과 후술할 흡입 유로(130)가 연통될 수 있다. 일 예로, 먼지 배출홀(22)은 사각홀의 형태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먼지 배출홀(22)의 형태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cleaner 20 may include a
청소기(20)는 배출 커버(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배출 커버(23)는 먼지 배출홀(22)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먼지 배출홀(22)을 폐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출 커버(23)는 먼지 배출홀(22)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배출 커버(23)는 일측이 먼지 배출홀(22)에 고정되어 고정단을 형성하고, 타측이 자유단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청소기(20)의 먼지통(21)을 향해 흡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고정단은 고정된 상태로 상기 자유단이 하측(결합부(120)의 흡입홀(123)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먼지 배출홀(22)이 개방될 수 있다. 청소기(20)의 먼지통(21)을 향하던 흡입력이 사라지면 배출 커버(23)의 상기 자유단은 상측으로 이동하여 다시 먼지 배출홀(22)을 막을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자유단의 이동방향에 따라 배출 커버(23)는, 청소기(20)의 먼지통(21)과 흡입관(126)을 연통시키거나 또는 폐쇄시킬 수 있다.The cleaner 20 may include a
청소기(20)는 청소기 스테이션(10)에 결합시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대응 단자(24)를 포함할 수 있다. 대응 단자(24)는 청소기(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청소기 스테이션(10)의 충전 단자(126a, 126b)에 접속 가능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대응 단자(24)는 청소기(20)의 저면에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대응 단자(24)와 충전 단자(126a, 126b)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면 청소기 스테이션(10)으로부터 청소기(20)에 전원이 공급되어 청소기(20)가 충전될 수 있다.The cleaner 20 may include a corresponding
청소기 스테이션(10)은 스테이션 본체(100)와 먼지 분리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The
청소기 스테이션(1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에 앞서 명세서 전반에서 언급하게 될 방향에 대해서 먼저 정의하자면, 청소기(20)가 청소기 스테이션(10)에 결합하기 위해 이동하는 방향을 전후방향이라고 정의할 때 청소기(20)가 청소기 스테이션(10)에 결합되는 일측을 전방이라 정의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전방의 반대편은 후방이 된다. 또한, 스테이션 본체(100)의 장축(A1)과 나란한 방향을 상하방향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Prior to describing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스테이션 본체(100)는 청소기(20)가 결합되어 청소기(20)의 먼지통(21)의 먼지를 내부로 흡입하는 구성으로서 상하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는 장축(A1)을 형성할 수 있다.The station
스테이션 본체(100)는 다수의 외벽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에는 각종 부품들이 수용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상기 부품은 예를 들어, 청소기(20)의 먼지통(21) 내부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집진 모터(140), 청소기(20)를 충전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전원 모듈, 청소기 스테이션(1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 등일 수 있다. The
하우징(110)은 상기 다수의 외벽을 통해 스테이션 본체(10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110)은 사각 기둥에 유사한 외형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10)은 전체적으로 사각 기둥에 유사한 형태이되, 청소기(20)가 결합되는 일 부분이 후방을 향해 절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하우징(110)의 외형은, 청소기(20)가 결합될 수 있고 청소기 스테이션(10)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술한 부품들을 수용하여 보호할 수 있는 기능의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housing 110 may form the exterior of the
한편, 상기 다수의 외벽은 전방에 배치된 전면벽(110a), 전면벽(110a)을 마주보고 후방을 향해 배치된 후면벽(110b) 및 전면벽(110a)과 후면벽(110b) 사이에 배치된 측면벽(110c,110d)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벽(110a) 상에는 청소기(20)가 결합되는 결합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전면벽(110a)은 청소기(20)가 결합되는 형상에 대응하여 후방을 향해 절곡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후면벽(110b)은 전면벽(110a)과는 대조적으로 평평한 면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청소기 스테이션(10)이 놓여지는 실내 공간에서 후면벽(110b)을 상기 실내 공간의 벽에 인접하게 배치할 수 있으므로 상기 실내 공간의 공간 활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후면벽(110b)에서는 청소기 스테이션(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선이 인출될 수 있다. 측면벽(110c,110d)은 전면벽(110a)과 후면벽(110b)을 연결하기 위해 좌측과 우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전면벽(110a)과 측면벽(110c,110d) 또는 후면벽(110b)과 측면벽(110c,110d)을 서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는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lurality of outer walls include a
하우징(110)의 일부 영역은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과 하우징(110)의 외부 간을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벽(110a)의 일부 영역에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는 하우징 개방 커버(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개방 커버는 후술할 헤파 필터(150)가 배치되는 인접 영역을 개폐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A partial area of the housing 110 may be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betwee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10 and the exterior of the housing 110 . For example, a housing opening cover (not shown)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may be provided in a partial area of the
스테이션 본체(100)는 청소기(20)가 결합되는 결합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20)는 결합부(120)의 상부면을 등반하여 청소기 스테이션(10)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120)는 하우징(110)을 구성하는 외벽 중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실시예와 같이 결합부(120)는 전면벽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120)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The
스테이션 본체(100)는 흡입 유로(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흡입 유로(130)는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흡입 유로(130)는 결합부(120)에 결합되며 청소기(20)의 먼지통(21) 내부의 먼지를 흡입할 수 있도록 속이 빈 관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청소기(20)의 먼지통(21)에서 빠져나온 먼지를 포함한 공기는 흡입 유로(130)의 내부에서 유동할 수 있다. 흡입 유로(130)의 일측 단부는 결합부(120)의 흡입홀(123)과 결합되며 이에 따라 청소기(20)가 청소기 스테이션(10)에 결합되면 청소기(20)의 먼지통(21)과 흡입 유로(130)가 흡입홀(123)을 통해 연통될 수 있다. The suction passage 130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10 . The suction passage 130 is coupled to the
흡입 유로(130)는 제1 흡입 유로(130a) 및 제2 흡입 유로(130b)를 포함할 수 있다.(도 1 참조) 제1 흡입 유로(130a)는 길이 방향 축이 스테이션 본체(100)의 장축(A1)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흡입 유로(130b)의 일측 단부는 제1 흡입 유로(130a)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흡입 유로(130b)는 결합부(120)의 하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흡입 유로(130b)의 타측 단부는 흡입홀(123)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20)가 결합부(120)에 결합되면 제2 흡입 유로(130b)의 타측 단부는 청소기(20)의 먼지통(21)과 연통될 수 있다.The suction passage 130 may include a
스테이션 본체(100)는 집진 모터(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집진 모터(140)는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집진 모터(140)는 청소기(20)의 먼지통(21) 내부의 먼지가 흡입 유로(130)를 통해 이동하도록 먼지통(21) 내부에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집진 모터(140)가 구동하면 스테이션 본체(100)의 상부에서 하부로 향하는 기류의 흐름이 생성되면서 후술할 먼지 분리 모듈(200)로부터 집진 모터(140)를 향하는 흡입력이 발생될 수 있다. 흡입 유로(130)의 내부에서는 상기 흡입력의 방향이 먼지통(21)의 먼지를 흡입하는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The
스테이션 본체(100)는 헤파 필터(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헤파 필터(15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고 집진 모터(140)를 통과한 공기가 하우징(110)의 외부로 배출되기 전에 최종적으로 여과될 수 있도록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가능한 일 실시예에서, 헤파 필터(150)는 집진 모터(14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가능한 일 실시예에서, 헤파 필터(150)는 집진 모터(14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가능한 일 실시예에서, 헤파 필터(150)는 집진 모터(14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The
스테이션 본체(100)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제어부는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될 수 있고, 청소기(20)가 청소기 스테이션(10)에 결합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이후의 흡입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ntrol unit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10 and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cleaner 20 is coupled to the
스테이션 본체(100)는 전원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전원 모듈은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될 수 있고, 하우징(110)의 외부에서 공급받은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으며, 청소기(20)가 결합부(120)에 결합되면 청소기(20)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도록 청소기(2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The power module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10, convert AC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into DC power, and when the cleaner 20 is coupled to the
스테이션 본체(100)의 하우징(110)에는 배기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기부는 헤파 필터(150)를 통과한 공기가 하우징(1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우징(110)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가능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기부는 전면벽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가능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기부는 후면벽(110b)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가능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기부는 측면벽(110c,110d)에 형성될 수 있다.An exhaust unit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the housing 110 of the
도 3은 도 1의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청소기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part to which a cleaner is coupled in the cleaner station of FIG. 1 .
도 3을 참조하면, 결합부(120)는 결합면(120a)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면(120a)은 하우징(110)의 전면벽이 절곡되어 형성된 면으로서 상부를 바라보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결합면(120a)은 청소기(20)가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청소기(20)의 저면과 마주보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청소기(20)는 결합부(120)의 전방에서 접근하여 결합부(120)를 등반하며 결합면(120a)에 안착될 수 있다. 결합면(120a)의 형태는 청소기(20)의 저면의 형태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면(120a)은 직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다만, 가능한 실시예에서 결합면(120a)의 형태는 청소기(20)의 저면의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결합부(120)는 청소기(20)가 결합되기 위해 등반할 때 청소기(20)의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가 지나가는 구름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구름부(121)는, 결합부(120)를 전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기준으로 했을 때 각각 결합부(120)의 좌우측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청소기(20)의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좌우측 구름부(121)의 간격은 청소기(20)의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의 간격과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구름부(121)는 청소기(20)의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가 이동시 이동 경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결합부(120)의 결합면(120a) 대비 하방으로 함몰된 형태일 수 있다. 즉, 구름부(121)와 인접하는 결합면(120a) 대비 구름부(121)는 하방으로 오목하게 패인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또한, 구름부(121)에는 청소기(20)가 결합부(120)에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청소기(20)의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를 지지하는 바퀴 안착부(122)가 마련될 수 있다. 바퀴 안착부(122)는 구름부(121) 상에서 청소기(20)의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를 감싸 지지할 수 있도록 곡면을 이루어 패인 오목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In addition, a
구름부(121)는 그 상부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상방을 향해 돌출된 다수개의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돌기는 구름부(121)에 요철을 형성하여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The rolling
결합부(120)는 청소기(20)가 결합부(120)에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청소기(20)의 먼지통(21)이 배치되는 위치에 대응하에 마련되는 흡입홀(123)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홀(123)을 통해 흡입 유로(130)와 먼지통(21)이 연통될 수 있다. 흡입홀(123)은 결합면(120a)이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124)에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124)는 청소기(20)의 바퀴가 바퀴 안착부(122)에 안착되었을때 청소기(20)의 배출홀과 결합면(120a)의 위치 차이를 보상할 수 있는 높이만큼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124)에 흡입홀(123)이 마련됨으로써 먼지통(21)이 흡입 유로(130)와 연통될 때 흡입력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이때, 돌출부(124)에는 캐스터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결합면(120a)과 동일한 높이로 캐스터 가이드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설명하면, 돌출부(124)는 청소기(20)의 좌우측 균형유지를 위해 좌우측에 각각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고 돌출부(124)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돌출부(124) 사이 결합면(120a)의 일 영역을 캐스터 가이드부(125)로 정의할 수 있다.At this time, a
흡입홀(123)은 청소기(20)가 결합부(120)에 결합되었을 때 청소기(20)의 먼지 배출홀(22)이 배치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흡입홀(123)은 청소기(20)의 먼지 배출홀(22)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흡입홀(123)은 사각홀 형태일 수 있다.The
한편, 결합부(120)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는 제2 흡입 유로(130b)가 수용될 수 있고 제2 흡입 유로(130b)의 단부가 흡입홀(123)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청소기(20)의 배출 커버(23)가 먼지 배출홀(22)을 개방하면 흡입홀(123)을 통해 제2 흡입 유로(130b)와 먼지통(21)의 내부가 연통될 수 있다.Meanwhile, the
결합부(120)는 청소기(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청소기(20)가 충전되도록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부(126)는 결합부(120)를 전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기준으로 좌우측에 각 1개씩 마련된 충전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20)가 결합부(120)에 결합되면 청소기(20)의 대응 단자(24)와 충전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된 전원 모듈이 청소기(20)에 전원을 공급하여 청소기(20)가 충전될 수 있다. 좌우측 충전단자의 간격은 청소기(20)의 대응 단자(24)의 간격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The
이하부터는 도 4 내지 도 18을 참고하여 먼지 분리 모듈(200)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도 4는 도 1의 청소기 스테이션에 포함된 먼지 분리 모듈의 일 실시예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도 4의 먼지 분리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X-X선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먼지 분리 모듈에 포함된 회전 유닛을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도 4의 집진통을 상부에서 내려다본 도면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dust separation module included in the cleaner station of FIG. 1 ,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separation module of FIG. 4 ,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X of FIG. 7 shows a rotating unit included in the dust separation module of FIG. 4, and FIG. 8 is a view looking down at the dust collector of FIG. 4 from the top.
도 4를 참조하면, 먼지 분리 모듈(200)은 먼지 포집부(210), 먼지 분리부(220) 및 배출공기 이동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먼지 포집부(210)는 집진통(211)을 포함할 수 있다.The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집진통(211)은 스테이션 본체(100)의 상부에 배치되며, 공기와 함께 유동하는 먼지를 포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집진통(211)은 원통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집진통(211)의 길이 방향 축은 스테이션 본체(100)의 장축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집진통(211)의 하측 단부는 스테이션 본체(100)의 상부면과 맞닿게 배치될 수 있고 집진통(211)의 상측 단부는 개방될 수 있다. 집진통(211)의 상측 단부는 후술할 막음판(222)과 결합할 수 있고, 집진통(211)의 개방된 상측 단부의 적어도 일부분은 막음판(222)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집진통(211)은 내부가 보이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먼지의 포집 정도를 파악할 수 있고 집진통(211)에 포집된 먼지를 비워주어야 할지 여부를 쉽게 판단할 수 있다. 집진통(211)은 세척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집진통(211)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5 , the
청소기 스테이션(10)에 구비되는 먼지 저장 부재가 백 타입(bag type)인 먼지 봉투인 경우에 사용자는 주기적으로 먼지 봉투를 교체해 주어야 한다. 이때, 먼지 봉투의 용량이 작은 경우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반대로 먼지 봉투의 용량이 큰 경우 먼지가 먼지 봉투에 다 채워질 때까지 기다려야 하므로 교체 주기가 길어져 먼지 봉투의 내부에 세균이 번식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When the dust storage member provided in the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먼지 저장 부재로서 빈 타입(bin type)의 집진통(211)이 구비되는 경우, 집진통(211)은 교체할 필요 없이 반 영구적 사용이 가능하므로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세척이 가능하여 언제든지 원하는 시기에 먼지 비움과 세척이 가능하므로 청소기 스테이션(10)이 더욱 위생적으로 관리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 bin type
먼지 포집부(210)는 회전 유닛(212) 및 압축판(2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도 5,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회전 유닛(212)은 집진통(211) 내부에 배치되며 집진통(211)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집진통(211)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 유닛(212)은 회전축(2123), 스크러버(2122) 및 회전판(2121)을 포함할 수 있다.5, 7 and 8, the
회전축(2123)은 집진통(2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집진통(211)의 외부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회전축(2123)은 집진통(211)의 길이 방향의 축과 동축을 형성할 수 있다. 회전축(2123)의 하측 단부는 외부로부터의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집진통(211)의 하부면에 연결될 수 있다. 회전축(2123)은 집진통(211)의 상측 단부에 인접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The
회전판(2121)은 회전축(2123)과 스크러버(2122)의 사이에 연결되며 회전축(2123)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회전판(2121)은 회전판(2121)의 일측 단부가 회전축(2123)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집진통(211)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판(2121)은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판(2121)의 상하 방향 길이는 집진통(211)의 길이에 유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회전판(2121)이 회전축(2123)과 함께 회전하게 되면 회전판(2121)의 넓은 일면이 후술할 압축판(213)의 넓은 일면과 맞닿으면서 회전판(2121)과 압축판(213) 사이에 모인 먼지가 압축될 수 있다.The
스크러버(2122)는 집진통(211)의 내주면과 맞닿은 상태에서 회전축(2123)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스크러버(2122)는 회전축(2123)이 배치된 반대편에서 회전판(212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스크러버(2122)의 일측이 집진통(211)의 내주면에 닿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스크러버(2122)는 회전판(2121)과 함께 회전할 때 집진통(211)의 내주면을 긁을 수 있다. 스크러버(2122)는 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러버(2122)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압축판(213)은 회전 유닛(212)이 회전하여 모은 먼지를 압축하도록 집진통(211) 내부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도 8 참조) 압축판(213)은 압축판(213)의 일측 단부가 집진통(211)의 내주면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집진통(211)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압축판(213)은 회전판(212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판(213)은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한편,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먼지 포집부(210)는 먼지 압축 모터(2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back to FIG. 7 , the
먼지 압축 모터(214)는 회전축(2123)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먼지 압축 모터(214)는 집진통(21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고 집진통(211)의 하부면을 통해 회전축(2123)과 연결될 수 있다. 가능한 일 실시예에서, 먼지 압축 모터(214)는 집진통(211)의 하부면을 관통하도록 마련된 먼지 압축 모터(214) 샤프트를 통해 회전축(2123)과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또는, 가능한 일 실시예에서 먼지 압축 모터(214)와 회전축(2123)은 먼지 압축 기어부(215)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먼지 압축 기어부(215)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어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먼지 압축 모터(214)의 일측에는 회전축(2123)을 정지 제어하기 위해 회전축(2123)의 회전 정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마이크로스위치(micro switch)일 수 있다.The
먼지 압축 모터(214)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가능한 일 실시예에서 먼지 압축 모터(214)의 회전 방향은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판(2121)은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압축판(213)과 만나 먼지를 압축할 수 있다. 또한, 회전판(2121)은 제1 방향의 역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여 압축판(213)과 만나 먼지를 압축할 수 있다.The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유닛(212)과 압축판(213)을 통해 집진통(211)에 포집된 먼지를 압축시켜 저장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실제 집진통(211)의 용량 대비 포집할 수 있는 먼지의 용량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어 집진통(211) 내부의 먼지 저장 효율이 증가되는 바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집진통(211) 내부의 먼지가 압축되면 집진통(211)의 먼지를 비울 때 먼지가 비산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such,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st collected in the
한편, 먼지 압축 모터(214)와 집진통(211)은 분리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먼지 압축 모터(214)는 집진통(211)의 외부에 배치되고, 회전축(2123), 회전판(2121) 및 압축판(213)은 집진통(211)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집진통(211)과 함께 먼지 압축 모터(214)와 분리될 수 있다. 이처럼, 먼지 압축 모터(214)가 집진통(211)의 외부에 배치되면 집진통(211) 내부를 쉽게 물 세척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Meanwhile, the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먼지 분리부(220)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먼지 분리부(220)는 흡입 유로(130)를 통해 유동해온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하여 집진통(211)에 포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먼지 분리부(220)는 집진통(21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먼지 분리부(220)는 임팩터 유로관(221), 막음판(222) 및 상부 커버(2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임팩터 유로관(221)은 집진통(211)의 외측 상부에 배치되고 흡입 유로(13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임팩터(Impactor)란, 알려진 바와 같이 입구를 통해 들어온 먼지와 같은 이물질 입자들이 공기의 유동 경로를 따라 이동할 때, 크기가 커서 관성력을 크게 받는 입자들은 유동의 흐름을 따라가지 못하고 포집되는 현상을 이용하는 구성이다.The
임팩터 유로관(221)은 임팩터 유로관(221)의 내부에서 먼지가 이동하는 방향이, 임팩터 유로관(221)을 빠져나온 배출 공기에 흡입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기에 포함된 먼지가 관성력에 의해 집진통(211)에 포집될 수 있다. The
임팩터 유로관(221)의 일측 단부는 흡입 유로(130)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도록 흡입 유로(130)에 연결될 수 있고 임팩터 유로관(221)의 타측 단부는 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빠져나올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One end of the
막음판(222)은, 임팩터 유로관(221)이 결합되며, 집진통(211)의 상측 적어도 일부분 및 후술할 배출공기 이동부(230)의 상측 적어도 일부분을 폐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막음판(222)은 집진통(211)의 상측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집진통(211)의 커버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집진통(211)과 막음판(222)을 분리한 후 집진통(211)과 스테이션 본체(100)를 분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집진통(211)의 개방된 상측 단부로 집진통(211) 내부에 포집된 먼지가 배출 및 제거될 수 있다.The blocking
상부 커버(223)는, 막음판(222)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 커버(223)와 막음판(222)의 사이에는 임팩터 유로관(221)을 수용하는 먼지분리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 커버(223)는 제1 커버부(2231)와 제2 커버부(22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커버부(2231)는 막음판(22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의 평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커버부(2232)는 제1 커버부(2231)의 모서리에서 제1 커버부(2231)와 직각으로 만나는 구성으로서 제1 커버부(2231)의 모서리에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구성이다. 제2 커버부(2232)는 하측 단부가 막음판(222)과 결합될 수 있다. 상부 커버(223)는 하측 단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 커버부(2232)의 상측 단부는 막음판(222)에 의해 폐쇄되고 제2 커버부(2232)의 하측 단부는 개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한편, 먼지분리 공간에서는 스테이션 본체(100)로부터 유입된 공기에서 상대적으로 큰 먼지가 분리될 수 있다. 먼지분리 공간은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이면서 입자가 큰 먼지가 분리되는 공간이고, 동시에 임팩터 유로관(221)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공간이 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dust separation space, relatively large dust may be separated from the air introduced from the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배출공기 이동부(230)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exhaust
배출공기 이동부(230)는 임팩터 유로관(221)을 빠져나온, 먼지가 분리된 배출 공기가 유입되어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배출공기 이동부(230)는 스테이션 본체(1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도 1 참조) 배출공기 이동부(230)는 집진통(211)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배출공기 이동부(230)는 먼지 분리부(2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먼지 포집부(210)와 배출공기 이동부(230)는 스테이션 본체(100)의 상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먼지 분리부(220)는 먼지 포집부(210)와 배출공기 이동부(23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가능한 일 실시예에서 먼지 포집부(210)와 배출공기 이동부(230)는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도 있다.The exhaust
배출공기 이동부(230)는 임팩터 유로관(221)을 빠져나온 배출 공기가 유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배출공기 이동부 하우징(223), 배출공기 이동부 하우징(223)에 배치되며 배출 공기로부터 먼지를 추가로 여과하는 프리 필터(232) 및 배출공기 이동부 하우징(223)에 배치되며 흡입 유로(130)와 연통되는 흡입 유로 연결관(231)을 포함할 수 있다.The exhaust
이때, 배출공기 이동부 하우징(223)의 외형은 일 부분이 집진통(211)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고 나머지 부분은 스테이션 본체(100)의 하우징(110)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배출공기 이동부 하우징(223)의 하부에는 공기가 빠져나가는 배출구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배출구는 집진 모터와 연통될 수 있다. 배출공기 이동부 하우징(223)의 상부는 개방될 수 있다. 배출공기 이동부 하우징(223)은 막음판(222)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배출공기 이동부 하우징(223)의 상부 일부 영역은 막음판(222)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xterior of the discharge air moving
집진통(211)에 입자가 큰 먼지가 포집된 이후 배출되는 공기는 프리 필터(232)에서 한번 더 여과될 수 있다. 프리 필터(232)는 배출 공기가 빠져나가는 이동 경로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도 6 참조) 또한, 프리 필터(232)는 집진 모터(140)와 연통되는 배출구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프리 필터(232)의 형상은 프리 필터(232)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배출구를 빠져나가는 공기가 없도록 상기 배출구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리 필터(232)의 형상은 후술할 배출 공기 통과홀(2222)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Air discharged after large-particle dust is collected in the
흡입 유로 연결관(231)의 하측 단부는 제1 흡입 유로(130a)와 연통될 수 있다. 흡입 유로 연결관(231)의 상측 단부는 임팩터 유로관(221)에 연통될 수 있다.(도 5 참조) 즉, 임팩터 유로관(221)의 일측 단부는 흡입 유로 연결관(231)에 연결되어 제1 흡입 유로(130a)와 연통되며, 이를 통해 청소기(20)의 먼지통(21)을 빠져나와 흡입 유로(130)로 유입된 공기는 임팩터 유로관(221)으로 전달될 수 있다.A lower end of the suction
한편, 막음판(222)은, 집진통(211)의 내부와 먼지분리 공간을 연통시키며 임팩터 유로관(221)에서 배출되는 먼지가 통과하도록 마련된 먼지 통과홀(2221) 및, 먼지분리 공간과 배출공기 이동부(230)를 연통시키며 임팩터 유로관(221)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도록 마련된 배출 공기 통과홀(22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6 참조)On the other hand, the blocking
아울러, 임팩터 유로관(221)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유로관(2211) 및 제1 유로관(2211)과 연결되며 제1 유로관(2211)과 수직한 방향(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유로관(2212)을 포함할 수 있다.(도 5 참조) 제1 유로관(2211)의 일측 단부는 흡입 유로 연결관(231)에 연결될 수 있고 제1 유로관(2211)의 타측 단부는 제2 유로관(2212)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유로관(2212)의 일측 단부는 제1 유로관(2211)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유로관(2212)의 타측 단부는 먼지 통과홀(2221)에 인접한 위치에서 개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 먼지가 집진통(211)에 포집되는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collecting dust in the
흡입 유로(130), 흡입 유로 연결관(231)을 통해 임팩터 유로관(221)에 유입된 공기는 먼지와 함께 제1 방향(D1)으로 이동한다. 이때, 집진 모터(140)의 흡입력은 배출 공기 통과홀(2222)을 향하는 제2 방향(D2)으로 작용하게 된다. 즉, 제1 방향(D1)과 제2 방향(D2)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므로 임팩터 유로관(221)의 개방된 단부에서 공기가 배출되는 순간에 먼지는 이동하던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려는 힘인 관성력을 받아 D1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고 공기는 흡입력이 작용하는 D2 방향으로 유동하여 배출공기 이동부(230)로 유입된다. The air introduced into the
이때 임팩터 유로관(221)은, 제2 유로관(2212)이 연장되는 방향(또는, 먼지의 이동 방향 또는 먼지에 관성력이 작용하는 방향)인 D1 방향이, 먼지분리 공간에서 공기에 흡입력이 작용하는 방향인 D2 방향과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야 관성력을 이용한 먼지 포집이 가능하다.At this time, in the
한편, 먼지는 D2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로부터 분리되어 D1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다가 상부 커버(223)에 부딪힌 후 먼지 통과홀(2211)을 통해 낙하하여 집진통(211)에 포집될 수 있다. D2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출공기 이동부(230)로 유입된 공기는 프리 필터(232)를 통과하여 한번 더 여과된 후 하우징(110)의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dust may be separated from the air moving in the D2 direction, continue to move in the D1 direction, collide with the
한편, 먼지 분리부(220)는 충돌부(2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도 6을 참조하면, 충돌부(224)는 먼지분리 공간의 내부에서 먼지 통과홀(2221)의 외측 경계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충돌부(224)는 먼지분리 공간에서 상하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먼지 통과홀(2221)의 외측 경계 중 임팩터 유로관(221)의 개방된 단부와 마주보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충돌부(224)의 적어도 일면은 임팩터 유로관(221)을 빠져나온 먼지에 작용하는 관성력의 방향을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충돌부(224)는 먼지분리 공간을 상부에서 내려다 보았을 때 제2 커버부(2232)의 내벽과 연결되는 반원 형태의 제1 충돌부(2241)와 제1 충돌부(2241)에 연결되고 임팩터 유로관(221)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충돌부(22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충돌부(2242)는 임팩터 유로관(221)의 제2 유로관(2212)의 길이 방향 축과 나란하도록 연장되되 제2 유로관(2212)의 외주면에서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이러한 구성을 통해, 임팩터 유로관(221)을 빠져나온 공기는 충돌부(224)에 부딪히고 충돌부(224)의 내벽면을 따라 유동 방향이 급격히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먼지가 공기의 유동을 따라가는 것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먼지의 포집 효율은 더욱 높아질 수 있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air exiting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입자가 큰 먼지를 관성력을 이용하여 포집하므로 금속 재질의 메쉬망이 구비될 필요가 없어 먼지 분리 구조가 단순화할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세척이 필요한 구성의 수가 줄어들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더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large-particle dust is collected using inertial force,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metal mesh net, which simplifies the dust separation structure and reduces the number of components that require washing, resulting in user convenience. This has a further increasing effect.
또한, 본 발명과 같이 먼지 분리부(220)가 집진통(211)의 외측에 배치되면 집진통(211)의 내부에 먼지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도 9는 먼지 분리 모듈의 각 구성이 스테이션 본체에서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9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each component of the dust separation module is separated from the station body.
먼지 분리 모듈(200) 중 집진통(211)과 먼지 분리부(220)는 스테이션 본체(10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집진통(211)은 전방을 향해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먼지 분리부(220)는 상부를 향해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집진통(211)이 분리가 가능한 점 및 먼지 분리부(220)가 집진통(211)의 외측에 배치되어 집진통(211)의 내부에 물세척이 불가능한 구성이 존재하지 않는 점에 따라 청소기 스테이션(10)의 유지보수에 대한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Of the
이하에서는, 먼지 분리 모듈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dust separation module will be described.
도 10은 도 1의 청소기 스테이션에 포함된 먼지 분리 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11은 도 10의 먼지 분리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0의 임팩터 유로관을 상부에서 내려다본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A-A선의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0의 실시예에서 싸이클론 커버를 제거한 후 먼지 분리 모듈을 상부에서 내려다 본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의 B-B선의 단면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dust separation module included in the cleaner station of FIG. 1, 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separation module of FIG. 10, and FIG. 12 is an impactor flow pipe of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12, FIG. 14 is a view taken from above looking down at the dust separation module after removing the cyclone cover in the embodiment of FIG. 10, and FIG. 15 is taken along line B-B in FIG. it is a cross section
도 10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먼지 분리 모듈의 다른 실시예(300)는, 먼지 포집부(210), 먼지 분리부(320), 사이클론부(330) 및 배출공기 이동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먼지 포집부(210)는 도 4의 먼지 분리 모듈의 일 실시예(20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10 to 15, another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같이 임팩터 유로관(321)을 통해 먼지에 작용하는 관성력을 이용하여 집진통(211)에 먼지가 포집될 수 있고 큰 먼지가 집진통(211)에 포집된 이후 사이클론부(330)에서 미세 크기의 먼지가 한번 더 여과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dust can be collected in the
먼지 분리부(320)는 임팩터 유로관(321), 막음판(323) 및 상부 커버(324)를 포함할 수 있다.The
임팩터 유로관(321)은 제1 유로관(3211)과 제2 유로관(32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로관(3211)은 흡입 유로(130)와 연통되어 청소기(20)의 먼지통(21)으로부터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제2 유로관(3212)은 일측 단부가 제1 유로관(3211)에 연결되며 타측 단부가 집진통(211)과 연통될 수 있다.The
또한, 임팩터 유로관(321)은, 임팩터 유로관(321)의 내부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루버(322)(Louver)가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임팩터 유로관(321)의 제2 유로관(3212)에 루버(322)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개 설치될 수 있다. 루버(322)는 제2 유로관(3212)의 내부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방향과 소정의 각도로 경사를 이루는 방향으로 공기가 빠져나가도록 제2 유로관(3212)의 개구에 설치되는 얇은 판 형태의 구조물을 의미한다. 루버(322)는 넓은면이 제2 유로관(3212)의 길이 방향 축에 비스듬하게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가능한 일 실시예로서, 루버(322)는 상측 경사 방향으로 공기를 안내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루버(322)는 제2 유로관(3212)의 상부 방향 개구에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다시 말해, 루버(322)는 루버(322)가 공기를 안내하는 방향(D3)과 임팩터 유로관(321)의 내부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방향(D4)이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도 13 참조) 즉, 먼지는 관성력에 의해 임팩터 유로관(321)의 내부에서 공기가 유동하던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고, 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루버(322)의 안내를 받아 임팩터 유로관(321)의 개구를 빠져나가게 된다.In other words, the
막음판(323)은 임팩터 유로관(321)이 결합되며, 집진통(211) 상부의 적어도 일부분 및 후술할 배출공기 이동부(340) 상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폐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도 11 참조)The blocking
상부 커버(324)는 막음판(323)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 커버(324)와 막음판(323)의 사이에는 임팩터 유로관(321)을 수용하는 먼지분리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부 커버(324)는 제1 커버부(3241)와 제2 커버부(3242)로 이루어지고 제1 커버부(3241) 외형은 막음판(323)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2 커버부(3242)는 제1 커버부(3241)의 모서리에서 제1 커버부(3241)와 직각으로 만나는 구성으로서 제1 커버부(3241)가 소정의 길이만큼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커버부(3242)의 하측 단부는 막음판(323)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커버부(3242)는 하측 단부가 막음판(323)와 결합될 수 있다. 상부 커버(324)는 하측 단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 커버부(3242)의 상측 단부는 제1 커버부(3241)에 의해 폐쇄되고 제2 커버부(3242)의 하측 단부는 개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한편, 먼지분리 공간에서는 스테이션 본체(100)로부터 유입된 공기에서 상대적으로 큰 먼지가 분리될 수 있다. 먼지분리 공간은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이면서 입자가 큰 먼지가 분리되는 공간이고, 동시에 임팩터 유로관(321)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공간이 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dust separation space, relatively large dust may be separated from the air introduced from the
사이클론부(330)는 임팩터 유로관(321)을 빠져나온, 먼지가 분리된 배출 공기로부터 추가로 먼지를 여과할 수 있다. 사이클론부(330)의 사이클론 흡입부(331)와 제1 사이클론관(332)은 상부 커버(324)에 형성될 수 있다. 사이클론부(330)의 제2 사이클론관(333)과 사이클론 안내부(334)는 막음판(323)에 형성될 수 있다.The
사이클론 흡입부(331)는 후술할 집진 모터 연결관(342)과 연통되고 제1 사이클론관(332)과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집진 모터(140)의 흡입력은 사이클론 흡입부(331)를 통해 제1 사이클론관(332)에 작용하게 된다. 제1 사이클론관(332)의 직경은 제2 사이클론관(333)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커버(324)와 막음판(323)이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제1 사이클론관(332)이 제2 사이클론관(333)의 내부에 삽입되어 배치된다. 제1 사이클론관(332)에 작용하는 흡입력은 나선형 구조로 형성된 사이클론 안내부(334)를 통해 제2 사이클론관(333)으로 공기가 유입되게 하고 결과적으로 제2 사이클론관(333)의 내부에는 사이클론 유동이 발생하게 된다.The
한편, 임팩터 유로관(321)에서 배출되는 배출 공기는 사이클론 안내부(334)를 통해 제2 사이클론관(333)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배출 공기는 임팩터 유로관(321)을 통해 입자가 큰 먼지가 분리된 공기로서 상기 배출 공기가 제2 사이클론관(333)으로 유입되면 사이클론 유동에 의해 미세 크기의 먼지가 분리될 수 있다.Meanwhile, exhaust air discharged from the
배출공기 이동부(340)는 스테이션 본체(1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출공기 이동부(340)는 집진통(211)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배출공기 이동부(340)는 먼지 분리부(3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먼지 포집부(210)와 배출공기 이동부(340)는 스테이션 본체(100)의 상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먼지 분리부(320)는 먼지 포집부(210)와 배출공기 이동부(34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가능한 일 실시예에서 먼지 포집부(210)와 배출공기 이동부(340)는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도 있다.The exhaust
배출공기 이동부(340)는 배출공기 이동부 하우징(343), 흡입 유로 연결관(341) 및 집진 모터 연결관(342)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charge
배출공기 이동부 하우징(343)은 사이클론부(330)에서 여과된 미세 크기의 먼지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배출공기 이동부 하우징(343)의 외형은 일 부분이 집진통(211)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고 나머지 부분은 스테이션 본체(10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배출공기 이동부 하우징(343)의 하부에는 공기가 빠져나가는 배출구가 배치될 수 있고 배출공기 이동부 하우징(343)의 상부는 개방될 수 있다. 배출공기 이동부 하우징(343)은 막음판(323)과 결합될 수 있고 이때, 배출공기 이동부 하우징(343)의 상부 일부 영역은 막음판(323)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The exhaust air
흡입 유로 연결관(341)은 배출공기 이동부 하우징(343)에 배치되며 흡입 유로(130)와 연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흡입 유로 연결관(341)은 속이 빈 원통 형태의 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배출공기 이동부 하우징(343)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흡입 유로 연결관(341)의 하측 단부는 제1 흡입 유로(130a)와 연통될 수 있다. 흡입 유로 연결관(341)의 상측 단부는 임팩터 유로관(321)에 연통될 수 있다. 즉, 임팩터 유로관(321)의 일측 단부(제1 유로관(3211)의 일측 단부)는 흡입 유로 연결관(341)에 연결되어 제1 흡입 유로(130a)와 연통되며, 이를 통해 청소기(20)의 먼지통(21)을 빠져나와 흡입 유로(130)로 유입된 공기는 임팩터 유로관(321)으로 전달될 수 있다.The suction
집진 모터 연결관(342)은 배출공기 이동부 하우징(343)의 내부에 배치되며 집진 모터(140)와 연통되어 사이클론부(330)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유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집진 모터 연결관(342)은 속이 빈 원통 형태의 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배출공기 이동부 하우징(343)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집진 모터 연결관(342)의 하측 단부는 집진 모터(140)와 연통될 수 있다. 집진 모터 연결관(342)의 상측 단부는 사이클론 흡입부(331)와 연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집진 모터(140)가 구동하면 집진 모터 연결관(342)을 통해 사이클론 흡입부(331)에 흡입력이 작용하게 된다.The dust collecting
한편, 막음판(323)은 사이클론부(330)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배출 공기 통과홀(3232)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blocking
배출 공기 통과홀(3232)은 사이클론 흡입부(331)와 집진 모터 연결관(342)을 연통할 수 있다. 임팩터 유로관(321)에서 배출된 공기는 제2 사이클론관(333)으로 유입되고 사이클론 유동을 하다가 제1 사이클론관(332)을 지나 사이클론 흡입부(331)를 거쳐 배출 공기 통과홀(3232)을 통과할 수 있다.The exhaust
한편, 제2 사이클론관(333)은 배출공기 이동부 하우징(343)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제2 사이클론관(333)은 길이 방향 축이 집진통(211)의 길이 방향 축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막음판(323)을 관통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사이클론관(333)의 길이 방향 상측 일부와 사이클론 안내부(334)는 먼지분리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사이클론관(333)의 길이 방향 하측 일부는 막음판(323)이 배출공기 이동부 하우징(343)과 결합한 상태를 기준으로 배출공기 이동부 하우징(343)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Meanwhile, the
먼지 분리 모듈(300)은 사이클론 커버(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이클론 커버(350)는 제1 커버부(3241)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이클론 커버(350)는 제1 커버부(3241)의 상부면에 결합하여 사이클론 흡입부(331)와 제1 사이클론관(332)을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도 11 참조)The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설명한다.Hereinafter, air flow in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12 to 15 .
집진 모터(140)가 구동하면서 발생시킨 흡입력이 집진 모터 연결관(342)에 작용하면 청소기(20)의 먼지통(21)에서 빠져나온 공기는 흡입 유로(130), 흡입 유로 연결관(341) 및 임팩터 유로관(321)을 통과하는 경로로 유동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공기로부터 큰 입자의 먼지가 분리되어 집진통(211)에 포집될 수 있다.(도 1 및 도 13 참조)When the suction force generated while the
이후, 루버(322)의 경사면을 따라 임팩터 유로관(321)을 빠져나온 배출 공기는 사이클론부(330)로 유입되어 사이클론 유동을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배출 공기로부터 미세 크기의 먼지가 분리되어 배출공기 이동부 하우징(343)에 포집될 수 있다.(도 12 및 도 15 참조) Thereafter, the discharged air exiting the
미세 크기의 먼지까지 분리된 배출 공기는 제1 사이클론관(332), 사이클론 흡입부(331) 및 집진 모터 연결관(342)의 순서로 유동하고 집진 모터(140)를 통과하여 헤파 필터(150)에서 최종적으로 여과된 후 하우징(110)의 외부로 배출된다.(도 1, 도 11 및 도 14 참조)The exhaust air separated to fine-sized dust flows in the order of the
이하에서는, 먼지 분리 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dust separation module will be described.
도 16는 도 1의 청소기 스테이션에 포함된 먼지 분리 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임팩터 유로관을 상부에서 내려다본 도면이며, 도 17은 도 16의 C-C선의 단면도이다.FIG. 16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a dust separation module included in the cleaner station of FIG. 1, and is a view looking down on the impactor flow pipe from the top, and 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16 .
도 10 내지 도 15에 도시된 먼지 분리 모듈의 다른 실시예(300)와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먼지 분리 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400)는 루버(422)가 설치된 위치를 제외한 구성이 서로 동일하여 중복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The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루버(422)는 측면 경사 방향으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즉, 루버(422)는 임팩터 유로관(421)의 측면 방향 개구에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루버(422)는 루버(422)가 공기를 안내하는 방향(D6, D7)과 임팩터 유로관(421)의 내부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방향(D5)이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도 16 참조) 먼지를 포함한 공기는 제1 유로관(4211)으로 유입되고 제2 유로관(4212)을 통해 유동한다. 먼지는 관성력에 의해 제2 유로관(4212)의 내부에서 공기가 유동하던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고, 제2 유로관(4212)의 단부와 결합된 먼지 통과홀(3231)을 통과하여 집진통(211)에 포집된다.(도 17 참조)Referring to FIGS. 16 and 17 , in this embodiment, the
이때, 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임팩터 유로관(421)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루버(422)의 안내를 받아 빠져나가게 된다. 임팩터 유로관(421)을 빠져나온 공기는 사이클론부(330)로 유입되어 사이클론 유동에 의해 미세 크기의 먼지가 분리된다.(도 12 및 도 15 참조) At this time, the dust-separated air is guided by the
미세 크기의 먼지까지 분리된 배출 공기는 제1 사이클론관(332), 사이클론 흡입부(331) 및 집진 모터 연결관(342)의 순서로 유동하고 집진 모터(140)를 통과하여 헤파 필터(150)에서 최종적으로 여과된 후 하우징(110)의 외부로 배출된다.(도 1, 도 11 및 도 14 참조)The exhaust air separated to fine-sized dust flows in the order of the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물질 저장 부재로서 백 타입(bag type)이 아닌 빈 타입(bin type)의 부재를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으로서 상기 이물질 저장 부재를 주기적으로 교체해줄 필요가 없어 경제적일 뿐 아니라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vacuum cleaner station including a bin type member rather than a bag type member as a foreign substance storage member, it is economical because there is no need to periodically replace the foreign substance storage member. In addition, user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임팩터 유로 및/또는 사이클론과 같이 먼지를 분리하기 위해 마련되는 구성이 집진통의 외부에 배치됨으로써 집진통의 세척이 용이하게 되는 바, 청소기 스테이션의 유지보수에 대한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components provided for separating dust, such as an impactor passage and/or a cyclone, are disposed outside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cleaning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is facilitated, and thus maintenance of the cleaner station is convenient. can be increas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임팩터 유로 및/또는 사이클론과 같이 먼지를 분리하기 위해 마련되는 구성이 집진통의 외부에 배치됨으로써 집진통의 내부에 먼지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가 집진통의 먼지를 비워주어야 하는 주기가 길어지는 바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figuration provided for separating dust, such as an impactor passage and/or a cyclone, is disposed outside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thereby increasing the space for storing dust inside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s a result, the user's convenience may increase as the period in which the user has to empty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becomes longe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집진통의 내부에 구비된 회전 유닛을 통해 집진통에 포집된 먼지를 압축시켜 저장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집진통 내부의 먼지 저장 효율이 증가되는 바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ust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on box can be compressed and stored through the rotating unit provided inside the dust collection box, and thus the dust storage efficiency inside the dust collection box is increased, which increases user convenience. ca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집진통의 내부에 구비된 회전 유닛을 통해 집진통에 포집된 먼지를 압축시켜 저장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집진통 내부의 먼지를 비움에 있어서 먼지가 비산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ust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on box can be compressed and stored through the rotation unit provided inside the dust collection box, and thus,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dust from scattering when emptying the dust inside the dust collection box. there is.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this i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lear that modific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by the person.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All simple modifications or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arified by the appended claims.
1: 청소기 시스템
10: 청소기 스테이션
100: 스테이션 본체
110: 하우징
120: 결합부
130: 흡입 유로
140: 집진 모터
150: 헤파 필터
200: 먼지 분리 모듈
210: 먼지 포집부
211: 집진통
212: 회전 유닛
213: 압축판
214: 먼지 압축 모터
220, 320: 먼지 분리부
221, 321, 421: 임팩터 유로관
222, 323: 막음판
223, 324: 상부 커버
224: 충돌부
230, 340: 배출공기 이동부
231, 341: 흡입 유로 연결관
232: 프리 필터
233, 343: 배출공기 이동부 하우징
322, 422: 루버
330: 사이클론부
331: 사이클론 흡입부
332: 제1 사이클론관
333: 제2 사이클론관
334: 사이클론 안내부
342: 집진 모터 연결관
350: 사이클론 커버1: cleaner system
10: cleaner station
100: station body
110: housing
120: coupling part
130: intake flow path
140: dust collection motor
150: HEPA filter
200: dust separation module
210: dust collection unit
211: dust collector
212: rotation unit
213 compression plate
214: dust compression motor
220, 320: dust separation unit
221, 321, 421: impactor flow pipe
222, 323: blocking plate
223, 324: upper cover
224: collision part
230, 340: exhaust air movement unit
231, 341: intake flow connector
232: pre-filter
233, 343: exhaust air moving unit housing
322, 422: Louver
330: cyclone unit
331: cyclone inlet
332: first cyclone tube
333: second cyclone tube
334: cyclone guide
342: dust collection motor connector
350: cyclone cover
Claims (14)
상기 스테이션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공기와 함께 유동하는 먼지를 포집하도록 구비된 집진통;
상기 집진통의 외측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 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 경로를 제공하는 임팩터 유로관; 및
상기 임팩터 유로관을 빠져나온, 먼지가 분리된 배출 공기가 유입되어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배출공기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임팩터 유로관의 내부에서 먼지가 이동하는 방향은, 상기 임팩터 유로관을 빠져나온 배출 공기에 흡입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을 갖는 청소기 스테이션.
a station main body including a dust collecting motor coupled to a cleaner and driven to provide a suction force to the inside of the dust container;
a dust collector disposed above the station main body and equipped to collect dust flowing together with the air;
an impactor flow path disposed on an outer upper portion of the dust collector and providing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flow path flows; and
An exhaust air movement unit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exhaust air from which the dust is separated, exiting the impactor flow pipe, enters and moves,
A direction in which dust moves inside the impactor flow pipe has a direction different from a direction in which a suction force acts on exhaust air exiting the impactor flow pipe.
상기 집진통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집진통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상기 집진통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회전 유닛; 및
상기 회전 유닛이 회전하여 모은 먼지를 압축하도록 상기 집진통 내부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되는 압축판;을 더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claim 1,
a rotation unit disposed inside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rotating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round a longitudinal axis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The vacuum cleaner station may further include a compression plate disposed in a fixed state at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so as to compress the dust collected by rotating the rotation unit.
상기 회전 유닛은,
상기 집진통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집진통의 외부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집진통의 내주면과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된 스크러버; 및
상기 회전축과 상기 스크러버의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여 상기 압축판의 일면과 맞닿으면서 먼지를 압축하는 회전판;을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claim 2,
The rotating unit,
a rotating shaft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rotating by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 scrubber provided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ng shaft in a state of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A vacuum cleaner station comprising: a rotating plate connected between the rotating shaft and the scrubber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rotating shaft to compress dust while making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compression plate.
상기 임팩터 유로관이 결합되며, 상기 집진통 상부의 적어도 일부분 및 상기 배출공기 이동부 상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폐쇄하도록 마련되는 막음판; 및
상기 막음판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막음판과의 사이에 상기 임팩터 유로관을 수용하는 먼지분리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커버;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claim 1,
a blocking plate coupled to the impactor flow pipe and provided to close at least a portion of an upper portion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at least a portion of an upper portion of the exhaust air movement unit; and
The vacuum cleaner station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cov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locking plate to form a dust separation space between the blocking plate and the impactor passage pipe.
상기 막음판은,
상기 집진통의 내부와 상기 먼지분리 공간을 연통시키며 상기 임팩터 유로관에서 배출되는 먼지가 통과하도록 마련된 먼지 통과홀; 및
상기 먼지분리 공간과 상기 배출공기 이동부를 연통시키며 상기 임팩터 유로관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도록 마련된 배출 공기 통과홀;을 더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claim 4,
The blocking plate is
a dust passing hole provided to communicate the inside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with the dust separation space and to pass dust discharged from the impactor passage pipe; and
The vacuum cleaner station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air passage hole provided to communicate the dust separation space with the discharge air movement unit and to pass air discharged from the impactor flow pipe.
상기 먼지분리 공간의 내부에서 상기 먼지 통과홀의 외측 경계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배치되는 충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돌부의 적어도 일면은 상기 임팩터 유로관을 빠져나온 먼지에 작용하는 관성력의 방향을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claim 5,
A collision part disposed along at least a part of an outer boundary of the dust passing hole in the dust separation space,
At least one surface of the collision part is disposed to face a direction of an inertial force acting on dust exiting the impactor passage pipe.
상기 배출공기 이동부는,
상기 임팩터 유로관을 빠져나온 배출 공기가 유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배출공기 이동부 하우징;
상기 배출공기 이동부 하우징에 배치되며 상기 배출 공기로부터 먼지를 추가로 여과하는 프리 필터; 및
상기 배출공기 이동부 하우징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 유로와 연통되는 흡입 유로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임팩터 유로관은,
일측 단부를 통해 상기 흡입 유로 연결관과 연통되는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claim 1,
The exhaust air movement unit,
an exhaust air moving unit housing forming a space into which the exhaust air exiting the impactor flow pipe is introduced;
a pre-filter disposed in the exhaust air movement unit housing and additionally filtering dust from the exhaust air; and
A suction passage connection pipe disposed in the exhaust air moving unit housing and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assage;
The impactor flow pipe,
A cleaner station that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passage connection pipe through one end.
상기 임팩터 유로관은,
상기 임팩터 유로관의 내부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루버가 설치된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claim 1,
The impactor flow pipe,
A cleaner station with a louver installed so that air is discharged in a direction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a direction in which air flows inside the impactor flow pipe.
상기 루버는,
상기 임팩터 유로관의 측면 방향 개구에 설치된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claim 8,
The louver,
A cleaner station installed in the lateral opening of the impactor flow pipe.
상기 루버는,
상기 임팩터 유로관의 상부 방향 개구에 설치된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claim 8,
The louver,
A cleaner station installed at an upper opening of the impactor flow pipe.
상기 임팩터 유로관을 빠져나온 배출 공기로부터 추가로 먼지를 여과하는 사이클론부;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claim 1,
The cleaner station further comprising a cyclone unit configured to additionally filter dust from the exhaust air exiting the impactor passage pipe.
상기 임팩터 유로관이 결합되며, 상기 집진통 상부의 적어도 일부분 및 상기 배출공기 이동부 상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폐쇄하도록 마련되는 막음판; 및
상기 막음판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막음판과의 사이에 상기 임팩터 유로관을 수용하는 먼지분리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커버;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claim 11,
a blocking plate coupled to the impactor flow pipe and provided to close at least a portion of an upper portion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at least a portion of an upper portion of the exhaust air movement unit; and
The vacuum cleaner station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cov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locking plate to form a dust separation space between the blocking plate and the impactor passage pipe.
상기 막음판은,
상기 사이클론부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배출 공기 통과홀;을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claim 12,
The blocking plate is
and a discharge air passage hole through which the air discharged from the cyclone unit passes.
상기 배출공기 이동부는,
상기 사이클론부가 여과한 먼지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배출공기 이동부 하우징;
상기 배출공기 이동부 하우징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 유로와 연통되는 흡입 유로 연결관; 및
상기 배출공기 이동부 하우징에 배치되며 상기 집진 모터와 연통되어 상기 사이클론부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유동하도록 구비된 집진 모터 연결관;을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According to claim 11,
The exhaust air movement unit,
an exhaust air movement unit housing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dust filtered by the cyclone unit is stored;
a suction passage connection pipe disposed in the exhaust air movement unit housing and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assage; and
The vacuum cleaner station comprising: a dust collection motor connection pipe disposed in the exhaust air movement unit housing and communicated with the dust collection motor to allow the air discharged from the cyclone to flow.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3976A KR20230013340A (en) | 2021-07-19 | 2021-07-19 | Cleaner station |
US18/580,227 US20250082147A1 (en) | 2021-07-19 | 2022-07-14 | Cleaner station |
EP22846138.0A EP4374762A1 (en) | 2021-07-19 | 2022-07-14 | Cleaner station |
PCT/KR2022/010261 WO2023003268A1 (en) | 2021-07-19 | 2022-07-14 | Cleaner station |
CN202280048684.5A CN117677329A (en) | 2021-07-19 | 2022-07-14 | Dust collector st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3976A KR20230013340A (en) | 2021-07-19 | 2021-07-19 | Cleaner sta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13340A true KR20230013340A (en) | 2023-01-26 |
Family
ID=84979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93976A Pending KR20230013340A (en) | 2021-07-19 | 2021-07-19 | Cleaner station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250082147A1 (en) |
EP (1) | EP4374762A1 (en) |
KR (1) | KR20230013340A (en) |
CN (1) | CN117677329A (en) |
WO (1) | WO2023003268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207646A1 (en) * | 2023-04-06 | 2024-10-10 |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 Robot vacuum cleaner base station, robot vacuum cleaner system, and cleaning apparatu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74001A (en) | 2018-12-14 | 2020-06-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6848B1 (en) * | 2006-05-20 | 2009-07-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Vacuum cleaner |
CN107405031B (en) * | 2014-12-24 | 2020-10-02 | 美国 iRobot 公司 | emptying station |
JP6570130B2 (en) * | 2016-10-31 | 2019-09-04 | 株式会社コーワ | Filter cleaning device and clothes dryer |
JP2021531108A (en) * | 2018-07-20 | 2021-11-18 | シャークニンジャ オペレーティング エルエルシー | Robot Cleaner Debris Removal Docking Station |
CN112888351B (en) * | 2018-10-22 | 2022-09-27 | 奥马克罗知识产权有限公司 | air handling unit |
-
2021
- 2021-07-19 KR KR1020210093976A patent/KR20230013340A/en active Pending
-
2022
- 2022-07-14 WO PCT/KR2022/010261 patent/WO2023003268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2-07-14 EP EP22846138.0A patent/EP4374762A1/en active Pending
- 2022-07-14 US US18/580,227 patent/US20250082147A1/en active Pending
- 2022-07-14 CN CN202280048684.5A patent/CN117677329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74001A (en) | 2018-12-14 | 2020-06-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50082147A1 (en) | 2025-03-13 |
EP4374762A1 (en) | 2024-05-29 |
CN117677329A (en) | 2024-03-08 |
WO2023003268A1 (en) | 2023-01-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262718B2 (en) | discharge station | |
KR102448089B1 (en) | vacuum cleaner | |
KR102656583B1 (en) | Robot cleaner | |
JP6548875B2 (en) |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 |
TW202139907A (en) | Station and dust removal system including the same | |
TW202139906A (en) | Station and dust removal system including the same | |
TWI781440B (en) | Cleaner | |
KR20220073946A (en) | Station for cleaner | |
TWI809524B (en) | Station for cleaner | |
KR20230013340A (en) | Cleaner station | |
KR20230082593A (en) | Cleaner station, cleaner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20220110709A (en) | Cleaner station, cleaner system including same, and residual dust removal method using the cleaner system | |
US20240423434A1 (en) | Cleaner station | |
KR20220046861A (en) | Station for cleaner and a method for cleaning thereof | |
EP4356804A1 (en) | Vacuum cleaner station | |
KR20220052602A (en) | Station for cleaner | |
EP4385382A1 (en) | Cleaner station and cleaner system comprising same | |
KR20220057139A (en) | Cleaner system | |
TWI860530B (en) | Cleaner station | |
KR20240047182A (en) | Robot cleaner and cleaner system | |
KR20230012904A (en) | Cleaner station | |
KR20250017653A (en) | cleaner | |
WO2022201586A1 (en) | Vacuuming system | |
KR20230089400A (en) | dust collecting device | |
TW202506055A (en) | Clea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1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407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