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007802A - 외피 분리형 하이브리드 흙집 - Google Patents

외피 분리형 하이브리드 흙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7802A
KR20230007802A KR1020210088564A KR20210088564A KR20230007802A KR 20230007802 A KR20230007802 A KR 20230007802A KR 1020210088564 A KR1020210088564 A KR 1020210088564A KR 20210088564 A KR20210088564 A KR 20210088564A KR 20230007802 A KR20230007802 A KR 20230007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building body
house
separable
earthe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8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민
Original Assignee
이동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민 filed Critical 이동민
Priority to KR1020210088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7802A/ko
Publication of KR20230007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7802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Extraordinary structures, e.g. with suspended or cantilever parts supported by masts or tower-like structures enclosing elevators or stairs;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18Special structures in or on roofs, e.g. dorme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54Slab-like translucent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흙집인 건물 본체 외부에 별도로 분리된 분리형 외피구조물을 설치함으로써, 외관과 내부 구조물을 분리하여 통일성 있는 외부 경관을 구현하면서도 외부 경관 제한의 영향 없이 내부 공간을 계획할 수 있으며, 외부 기후나 오염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에너지 절감은 물론 쾌적한 주거환경 제공이 가능한 외피 분리형 하이브리드 흙집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외피 분리형 하이브리드 흙집은 흙집인 건물 본체; 및 상기 건물 본체의 외부 전체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건물 본체의 외부면과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분리형 외피구조물;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외피 분리형 하이브리드 흙집{Hybrid earth house with detachable envelope}
본 발명은 흙집인 건물 본체 외부에 별도로 분리된 분리형 외피구조물을 설치함으로써, 외관과 내부 구조물을 분리하여 통일성 있는 외부 경관을 구현하면서도 외부 경관 제한의 영향 없이 내부 공간을 계획할 수 있으며, 외부 기후나 오염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에너지 절감은 물론 쾌적한 주거환경 제공이 가능한 외피 분리형 하이브리드 흙집에 대한 것이다.
최근 삶의 질을 강조하는 시대 흐름에 따라 도시 경관 디자인은 도시 계획의 가장 중요한 분야 중 하나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역 특성을 고려한 지역 경관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향상시키기 위해 경관법에서 총체적인 경관 계획 수립을 규정하고 있다. 경관법은 국토의 경관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경관의 보전, 관리 및 형성에 필요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아름답고 쾌적하며 지역 특성이 나타나는 국토환경과 지역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경관법에서는 중점적으로 경관을 보전, 관리 및 형성하여야 할 구역을 중점경관관리구역으로 설정하고, 이 구역의 건축물은 경관 심의를 거치도록 규정한다.
또한, 국토의 이용, 개발과 보전을 위한 계획의 수립 및 집행 등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 공공복리를 증진시키고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다. 상기 법률에서는 경관을 보호,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지구를 경관지구로 지정하고, 경관지구 안에서 건축물의 건폐율, 용적률, 높이, 최대너비, 색채 및 대지 안의 조경 등에 관해서는 경관의 보호, 형성에 필요한 범위 안에서 도시계획조례로 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최근에는 지역의 난개발을 방지하고 통일감 있는 건축물 미관 계획을 위해 건축물의 공간 구조나 형태, 색채 및 재료 등을 권장 또는 제한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이에 따라 건축물 입면을 통일감 있게 제한할 경우, 건축물의 구조 형식 선택에 제한이 있다. 그러므로 거주자의 다양한 요구사항을 반영하기 어렵고, 내부 공간 계획에 제약이 따르며, 경제성이 떨어진다.
한편, 우리나라는 동절기와 하절기의 기후 변화가 크고 하절기 강수량이 많아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하기에 까다로운 조건을 갖고 있다.
즉, 건축물 시공시 차열이나 단열 성능 또는 방수 성능 확보를 위한 조치가 필요한데, 이 경우 건축물 자재 사용에 제약이 있고 냉난방 시설 가동으로 인한 에너지 소비량이 큰 문제가 있다.
아울러 구조물은 자동차나 공장 등에서 배출되는 CO2, NOx, SOx 등 유해가스 증가와 이로 인한 산성비의 영향, 먼지 등 오염물질의 부착 등으로 인해 열화가 발생하며, 자외선에 의한 마감재의 황변 현상, 갈라짐, 탈락 등의 결함이 발생한다.
특히, 황토 등의 자연 소재를 사용하는 흙집은 재료의 특성상 수분에 약하고, 수축으로 인한 갈라짐 또는 터짐 발생의 우려가 있다. 또한, 흙벽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기둥 등의 구조 부재와 흙벽 사이 틈이 벌어지는 경우 기밀성이 떨어져 단열 성능이 저하된다. 아울러 풍화 작용으로 인한 내구성 저하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건축물의 형상이 복잡해지면 방수 처리가 복잡해지고, 열교 발생으로 인해 열손실이 많이 발생한다. 이에 종래에는 방수나 단열 성능을 고려하여 건축물의 형상을 다양화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흙집 시공시, 통일성 있는 외부 경관을 구현하면서도 외부 경관의 제한 없이 다양한 콘셉트의 디자인이 가능한 외피 분리형 하이브리드 흙집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외부 기후나 오염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외피 분리형 하이브리드 흙집을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흙집인 건물 본체; 및 상기 건물 본체의 외부 전체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건물 본체의 외부면과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분리형 외피구조물;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피 분리형 하이브리드 흙집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분리형 외피구조물은 건물 본체의 외부에 이격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지지부재, 상기 수직지지부재의 사이에 구비되는 외피패널 및 상기 수직지지부재와 외피패널의 상부에 구비되는 외피지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피 분리형 하이브리드 흙집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외피패널은 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피 분리형 하이브리드 흙집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외피패널의 하부 측에는 제1통기창이 구비되고, 상기 외피지붕에는 제2통기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피 분리형 하이브리드 흙집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구조물인 흙집 건물 본체 외부에 건물 본체와 분리된 별도의 분리형 외피구조물을 설치함으로써, 전체 건축물의 외관과 내부의 구조물을 분리하여 통일성 있는 외부 경관을 구현하면서도 외부 경관 제한의 영향을 받지 않고 다양한 내부 공간을 계획할 수 있는 외피 분리형 하이브리드 흙집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리형 외피구조물에 의해 내부의 건물 본체를 보호할 수 있어 건물 수명이 크게 늘어나고, 방수 성능 확보는 물론 외부 기후나 오염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분리형 외피구조물과 건물 본체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므로, 공간부에 존재하는 공기층에 의해 단열 성능 확보 및 열교 현상 방지로 에너지 절감 및 쾌적한 주거환경 확보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 외피 분리형 하이브리드 흙집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외피구조물 내부의 건물 본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외피 분리형 하이브리드 흙집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도 3에서 A-A'에 따른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차양과 태양광 패널이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외피 분리형 하이브리드 흙집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외피구조물 내부의 건물 본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 외피 분리형 하이브리드 흙집을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A-A'에 따른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외피 분리형 하이브리드 흙집은 흙집인 건물 본체(1); 및 상기 건물 본체(1)의 외부 전체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건물 본체(1)의 외부면과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분리형 외피구조물(2);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흙집의 외부에 본 구조물과 분리된 별도의 분리형 외피구조물(2)을 설치함으로써, 외관과 내부 구조물을 분리하여 통일성 있는 외부 경관을 구현하면서도 외부 경관 제한의 영향을 받지 않고 다양한 내부 공간을 계획할 수 있는 외피 분리형 하이브리드 흙집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외부 기후나 오염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외피 분리형 하이브리드 흙집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건물 본체(1)와 분리형 외피구조물(2)로 구성된다.
상기 건물 본체(1)는 황토집, 담틀집, 흙부대집, 흙벽돌집, 심벽집, 볏단집, 목천흙집 등의 흙집으로 시공된다.
흙집은 자연 소재를 주로 사용하므로 온습도 조절이 탁월하여 쾌적한 주거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건물 본체(1)는 그 자체로 독립적으로 완성된 구조물로 실거주 공간을 형성한다.
즉, 상기 건물 본체(1)는 외벽과 슬래브, 지붕 등으로 구성되고, 외벽에는 현관, 창호 등이 구비된다.
상기 분리형 외피구조물(2)은 건물 본체(1)의 외부 전체를 감싸도록 건물 본체(1) 외부에 설치된다.
상기 분리형 외피구조물(2)은 건물 본체(1)와 분리된 구조물로, 건물 본체(1)의 외부면과 이격되어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된다.
상기 분리형 외피구조물(2)은 건물 본체(1)의 외측면뿐 아니라 지붕 상부까지 완전히 감싸도록 구성된다.
상기 분리형 외피구조물(2)에는 건물 본체(1) 내부 진입을 위한 외부 현관(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리형 외피구조물(2)은 전체 건축물의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의 건물 본체(1)를 보호하며, 단열 및 방수 성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구조적으로는 건물 본체(1)와 분리되어 건물 본체(1)의 하중이 분리형 외피구조물(2)로 전달되지 않는다.
즉, 상기 분리형 외피구조물(2)은 자중과 풍하중에 대해서만 저항할 수 있도록 설계되면 된다.
상기 분리형 외피구조물(2)과 건물 본체(1) 사이 공간부에는 공기층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상기 분리형 외피구조물(2) 및 분리형 외피구조물(2)과 건물 본체(1) 사이 공간부의 공기층에 의해 단열 성능이 발휘되는데다 분리형 외피구조물(2)과 건물 본체(1)가 분리 및 이격되어 열교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상기 건물 본체(1)는 별도의 단열 성능 확보를 위한 조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형상적인 제한을 받지 않고 자유로운 설계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분리형 외피구조물(2)에 의해 건물 본체(1)가 보호되므로, 건물 본체(1)로 우수가 침투되거나 외부 오염물질에 의해 건물 본체(1)가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건물 수명이 크게 늘어나고, 건물 본체(1) 내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기밀성 문제로 인한 단열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열 성능과 방수 성능을 외부의 분리형 외피구조물(2)이 감당하기 때문에, 내부의 건물 본체(1)는 건축미와 건축 성능을 자유롭게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분리형 외피구조물(2)은 최외피로서 외부로부터 받는 비, 바람, 오염 등의 스트레스 전체를 감당하므로, 내부의 건물 본체(1)에 대한 공사비와 공법 선택이 자유롭다.
즉, 클러스터(cluster) 내 건축물들에 대해 지역 특색을 고려하여 유사한 콘셉트의 디자인으로 분리형 외피구조물(2)을 계획함으로써 통일된 경관을 형성하면서도 내부의 건물 본체(1)는 세대별로 자유롭게 계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세대의 취향과 상황을 고려한 다양성을 꾀할 수 있다.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형 외피구조물(2)은 건물 본체(1)의 외부에 이격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지지부재(21), 상기 수직지지부재(21)의 사이에 구비되는 외피패널(22) 및 상기 수직지지부재(21)와 외피패널(22)의 상부에 구비되는 외피지붕(2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형 외피구조물(2)은 뼈대를 이루는 수직지지부재(21)와 내외부를 차단하는 외피패널(22) 및 상기 수직지지부재(21)와 외피패널(22)의 상부를 덮는 외피지붕(23)으로 구성 가능하다.
상기 수직지지부재(21)는 기둥이나 벽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분리형 외피구조물(2)은 건물 본체(1)와 구조적으로 분리되어 분리형 외피구조물(2)의 자중과 풍하중에 대해서만 저항하면 된다. 그러므로 상기 수직지지부재(21)는 건축물 모서리 등 설치 위치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피패널(22)은 유리로 구성할 수 있다.
유리는 건축 마감재 중 상대적으로 경량이고, 저렴하며, 채광 및 차열은 물론 단열 기능을 갖고 있으면서도 미관이 우수한 재료이다.
또한, 상기 분리형 외피구조물(2)은 상대적으로 하중 부담이 적으므로, 외피패널(22)로 유리 사용에 어려움이 없다.
아울러 클러스터 내 개별 건축물들에 대해 분리형 외피구조물(2)을 동일한 디자인 콘셉트로만 계획할 경우, 지나치게 통일성만이 부각되어 클러스터의 경관이 매우 단조롭고 획일화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상기 외피패널(22)로 유리를 사용함으로써, 전체적인 구조물의 윤곽과 미관은 통일성을 주면서도 내부의 건물 본체(1) 외관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하여 미관상 단조로움을 피하고, 절제된 다양성을 구현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피패널(22)의 하부 측에는 제1통기창(221)이 구비되고, 상기 외피지붕(23)에는 제2통기창(231)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건물 본체(1)와 분리형 외피구조물(2) 사이의 공기층에 의해 단열 성능이 확보되므로, 동절기의 경우 외부로의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어 에너지 절감에 효과적이다.
그런데 상기 외피패널(22)이 유리 재질인 경우에는 하절기의 경우 외피패널(22)을 통해 밀폐된 공간부의 공기가 데워져 건물 본체(1) 내부의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피패널(22)의 하부 측과 외피지붕(23)에 각각 제1통기창(221)과 제2통기창(231)을 구비하여, 공간부 내 공기층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절기에 태양열 등에 의해 공간부 내 공기층이 데워지면, 공기의 밀도가 작아져 위로 상승함으로써 지붕의 제2통기창(23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공기의 외부 유출로 인해 공간부 내부 기압이 낮아지면서 제1통기창(221)을 통해 외부 공기가 공간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통기창(221)과 제2통기창(231)에 의해 공간부 내부에 연돌 효과(stack effect)를 유도하여 대류가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건물 본체(1)를 자연스럽게 냉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자연 환기를 통해 흙집의 습도를 조절함으로써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차양과 태양광 패널이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형 외피구조물(2)의 외부에는 햇빛 차단 등의 목적으로 차양(24)을 설치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분리형 외피구조물(2)의 지붕에는 태양광 에너지 이용을 통한 에너지 절감을 위하여 태양광 패널(25)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1: 건물 본체
2: 분리형 외피구조물
20: 외부 현관
21: 수직지지부재
22: 외피패널
221: 제1통기창
23: 외피지붕
231: 제2통기창
24: 차양
25: 태양광 패널

Claims (4)

  1. 흙집인 건물 본체(1); 및
    상기 건물 본체(1)의 외부 전체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건물 본체(1)의 외부면과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분리형 외피구조물(2);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피 분리형 하이브리드 흙집.
  2. 제1항에서,
    상기 분리형 외피구조물(2)은 건물 본체(1)의 외부에 이격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지지부재(21), 상기 수직지지부재(21)의 사이에 구비되는 외피패널(22) 및 상기 수직지지부재(21)와 외피패널(22)의 상부에 구비되는 외피지붕(2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피 분리형 하이브리드 흙집.
  3. 제2항에서,
    상기 외피패널(22)은 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피 분리형 하이브리드 흙집.
  4. 제3항에서,
    상기 외피패널(22)의 하부 측에는 제1통기창(221)이 구비되고, 상기 외피지붕(23)에는 제2통기창(23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피 분리형 하이브리드 흙집.
KR1020210088564A 2021-07-06 2021-07-06 외피 분리형 하이브리드 흙집 Pending KR202300078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564A KR20230007802A (ko) 2021-07-06 2021-07-06 외피 분리형 하이브리드 흙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564A KR20230007802A (ko) 2021-07-06 2021-07-06 외피 분리형 하이브리드 흙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7802A true KR20230007802A (ko) 2023-01-13

Family

ID=84900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8564A Pending KR20230007802A (ko) 2021-07-06 2021-07-06 외피 분리형 하이브리드 흙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780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ouchair et al. Compact cities as a response to the challenging local environmental constraints in hot arid lands of Algeria
Keskin et al. A study on the sustainabl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anatolian houses and current building design precepts
Guedes et al. Sustainable architecture in Africa
Sokar et al. A scientific process for a sustainable architectural design: A case study of a rural pavilion in a hot semi-arid climate
Jovanović et al. Ventilated green facades as a passive design strategy
CN201850709U (zh) 廊型绿色节能屋顶
Morad et al.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climate response strategies and thermal comfort of a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houses in KRG: Erbil
Ibrahim et al. Potential of energy conservation in residential building regulations–Kurdistan, Iraq
KR20230007802A (ko) 외피 분리형 하이브리드 흙집
Chrisomallidou Guidelines for integrating energy conservation techniques in urban buildings
KR20230007803A (ko) 외피 분리형 하이브리드 스틸하우스
KR20230007800A (ko) 외피 분리형 하이브리드 목조 건축물
KR20230007801A (ko) 외피 분리형 하이브리드 통나무조 건축물
KR20230007799A (ko) 외피 분리형 하이브리드 철근콘크리트 건축물
JP4561450B2 (ja) 住宅
Ismaila et al. Green architecture approach toward sustainable mosques in Malaysia
JP4974920B2 (ja) 蓄温蓄涼機能を有する建物
Hachem-Vermette Selected high-performance building envelopes
Marra The climate-adaptive vernacular architecture of Asia-Pacific
Dewsbury et al. Thermal performance for timber-framed residential construction: building comfortable and energy-efficient timber houses
Çelebi et al. Design Strategies for Green/Energy-Efficient Building Design: An Apartment Building in the Gaziantep Project
Lapithis Passive solar architecture in Cyprus
CN211691624U (zh) 一种装配式绿色藏族碉房
JP4949697B2 (ja) 建物
Gharahshir Implementation of sustainable architecture patterns in hot and dry regions of Iran by investigating on vernacular sustainable architecture patter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