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006941A - 염도 및 당도를 감지하는 기능을 갖는 숟가락 - Google Patents

염도 및 당도를 감지하는 기능을 갖는 숟가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6941A
KR20230006941A KR1020210087533A KR20210087533A KR20230006941A KR 20230006941 A KR20230006941 A KR 20230006941A KR 1020210087533 A KR1020210087533 A KR 1020210087533A KR 20210087533 A KR20210087533 A KR 20210087533A KR 20230006941 A KR20230006941 A KR 20230006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inity
spoon
sugar content
food
fun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7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현
Original Assignee
김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현 filed Critical 김승현
Priority to KR1020210087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6941A/ko
Publication of KR20230006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6941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47J43/281Cooking spoons; Lad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1Refractivity; Phase-affecting properties, e.g. optical path leng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liq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2Foo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품은 고혈압이나 당뇨병이 있는 환자에게 섭취된 염도와 당도를 알림 및 경고하고자 고안되었다. 본 발명품은 조리용 도구가 아닌 숟가락의 한정적인 내부공간을 최대한 이용해 염도 및 당도 측정이 가능하게 하였다. 염도 및 당도를 측정하는 측정부 그리고 측정값을 알림 및 경고하는 디스플레이 표시부가 주요 구성인 이 숟가락은 국류 음식물이 포함하는 염도 및 당도를 배터리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측정한다. 표시부는 측정된 염도 및 당도를 표시함으로 사용자에게 권장섭취량을 알림 및 경고한다. 환자는 이 숟가락을 휴대하여 국류 음식물의 염도 및 당도를 상시 측정할 수 있고 자신의 건강 상태에 염도 및 당도 권장섭취량을 참고할 수 있다.

Description

염도 및 당도를 감지하는 기능을 갖는 숟가락{the spoon having the function of sensing the salinity and sugar content}
본 발명은 염도 및 당도가 측정 가능한 숟가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음식물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소량의 음식물을 내부저장장치로 담아내어 환자에게 권장섭취량을 알려주는 숟가락에 관한 것이다. 소량의 음식물을 담아내는 저장장치, 염도 및 당도를 측정하는 측정부, 측정값을 저장 및 계산하는 중앙처리장치, 측정값을 알림 및 경고하는 디스플레이 표시부가 주요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품은 고혈압이나 당뇨병이 있는 환자에게 섭취된 염도와 당도를 알림 및 경고하고자 고안되었다. 염도 및 당도를 측정하는 측정부 그리고 측정값을 알림 및 경고하는 디스플레이 표시부로 구성된 이 숟가락은 국류 음식물이 포함하는 염도 및 당도를 배터리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전도도와 빛의 굴절 원리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환자는 이 숟가락을 휴대하여 국류 음식물의 염도 및 당도를 직접 측정하고 권장섭취량에 대한 정보를 받아 건강한 식습관을 가질 수 있다.
(0003)KR1020100116516 A (0004)KR101344149 B1 (0005)KR1020060086888 A (0006)KR1020100042540 A
기존의 염도 및 당도를 측정하는 기능을 갖는 제품들은 조리에 집중되어 있다. 본 발명품은 조리용이 아닌 고혈압이나 당뇨병이 있는 환자들이 휴대하여 국류 음식물의 염도 및 당도를 직접 측정하고 권장섭취량에 대한 정보를 받아 건강한 식습관을 가질 수 있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빛의 굴절도와 전기전도도원리를 활용하여 숟가락의 내부로 들여온 소량의 국류 음식물의 염도 및 당도를 측정하여 이 측정값들을 중앙처리장치에서 권장섭취량에 반영하여 디스플레이 표시부로 환자에게 알림 및 경고를 한다.
본 발명은 소량의 (약 15mL) 액체를 염도 및 당도를 측정하기 위해 숟가락을 국류 음식물에 일부 넣어서 숟가락 내부로 들인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력이 들어오면 내부로 들어온 액체와 연결된 센서가 빛의 굴절 원리를 이용하여 액체의 농도를 측정하여 당도가 측정된다. 염도의 경우에는 소금이 물에 녹았을 때 분자상태가 아닌 이온으로 분리되기 때문에 전기적 특성이 생겨 전기전도도와 저항을 이용해 측정된다. 수집된 염도 및 당도 정보가 내부 시스템에 저장되어 환자의 권장섭취량에 비교했을 때 그 오차범위가 10%이내의 수치일 경우 초록색, 20%이내의 경우에는 빨간색, 20%를 초과할 경우에는 검은색으로 나타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염도 및 당도 측정기능을 갖는 숟가락의 측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염도 및 당도 측정기능을 갖는 숟가락의 정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손잡이부의 상세 블록도이다.
숟가락의 수용부 (1)에 음식물이 닿음에 있어서, 숟가락은 소량의 음식물을 내부저장장치(2)로 들인다. 저장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측정부(3)는 전기전도도와 빛의 굴절도 원리를 활용하여 음식물의 염도 및 당도를 측정한다. 측정값은 중앙정보처리장치(4)에 저장 및 계산되어 환자의 염도 및 당도 권장섭취량을 계산한다. 디스플레이 표시부(5)는 중앙정보처리장치에서 측정값을 바탕으로 계산된 권장섭취량을 환자에게 알림 및 경고한다.
수집된 염도 및 당도 정보가 내부 시스템에 저장되어 환자의 권장섭취량에 비교했을 때 그 오차범위가 10%이내의 수치일 경우 초록색, 20%이내의 경우에는 빨간색, 20%를 초과할 경우에는 검은색으로 나타난다.
본 발명품은 고혈압이나 당뇨병이 있는 환자에게 섭취된 염도와 당도를 알림 및 경고하고자 고안되었다. 염도 및 당도를 측정하는 측정부 그리고 측정값을 알림 및 경고하는 디스플레이 표시부로 구성된 이 숟가락은 국류 음식물이 포함하는 염도 및 당도를 배터리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한다. 환자는 이 숟가락을 휴대하여 국류 음식물의 염도 및 당도를 직접 측정하고 권장섭취량에 대한 정보를 받아 건강한 식습관을 가질 수 있다.
1. 전원 버튼
2. 밴드형 디스플레이 표시부
3. 정보처리장치
4. 국류 음식물 저장장치
5. 음식물 수용부

Claims (5)

  1. 염도 및 당도 측정기능을 갖는 숟가락에 있어서,

    음식물을 숟가락에 담는 과정에서 소량의 음식물을 담아내는 저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장치에 담긴 음식물의 염도 및 당도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의 측정값을 저장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저장하고 있는 측정값을 알림 및 경고하는 디스플레이 표시부를 포함하는 염도 및 당도를 감지하는 기능을 갖는 숟가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저장장치는 소량의 국류 음식물을 숟가락 내부로 들임으로 숟가락으로 염도 및 당도 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 숟가락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저장장치의 음식물을 빛의 굴절, 전기전도도 그리고 저항으로 염도 및 당도를 측정하는 기능을 특징으로 갖는 숟가락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음식물의 염도 및 당도 측정값을 저장해 환자의 권장섭취량 알림 및 경고를 하는 기능을 특징으로 갖는 숟가락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부는 환자에게 간접적으로 권장섭취량 정보를 전달하는 기능을 특징으로 갖는 숟가락
KR1020210087533A 2021-07-05 2021-07-05 염도 및 당도를 감지하는 기능을 갖는 숟가락 Pending KR202300069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533A KR20230006941A (ko) 2021-07-05 2021-07-05 염도 및 당도를 감지하는 기능을 갖는 숟가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533A KR20230006941A (ko) 2021-07-05 2021-07-05 염도 및 당도를 감지하는 기능을 갖는 숟가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6941A true KR20230006941A (ko) 2023-01-12

Family

ID=84923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7533A Pending KR20230006941A (ko) 2021-07-05 2021-07-05 염도 및 당도를 감지하는 기능을 갖는 숟가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6941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6888A (ko) 2005-01-27 2006-08-01 가부시키가이샤 아타고 휴대용 굴절계
KR20100042540A (ko) 2008-10-16 2010-04-26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염도계
KR20100116516A (ko) 2009-04-22 2010-11-01 손윤호 전자식 염도계
KR101344149B1 (ko) 2012-08-31 2013-12-20 주식회사 대성텍 휴대용 당도측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6888A (ko) 2005-01-27 2006-08-01 가부시키가이샤 아타고 휴대용 굴절계
KR20100042540A (ko) 2008-10-16 2010-04-26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염도계
KR20100116516A (ko) 2009-04-22 2010-11-01 손윤호 전자식 염도계
KR101344149B1 (ko) 2012-08-31 2013-12-20 주식회사 대성텍 휴대용 당도측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85480B2 (ja) 授乳中に乳房に残っている母乳の量に関する指標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
US8321141B2 (en) Food content detector
US8229676B2 (en) Food content detector
US8392123B2 (en) Food content detector
JP5936600B2 (ja) 水分計
US8392124B2 (en) Food content detector
US8355875B2 (en) Food content detector
US8290712B2 (en) Food content detector
US8386185B2 (en) Food content detector
US8285488B2 (en) Food content detector
US20100125178A1 (en) Food content detector
RU2016131353A (ru) Способы, системы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оптимального расположения датчиков
CA2612245A1 (en) Thermometer with color changing display
CN105078141B (zh) 反映饮水信息的智能饮水杯
CA2337475A1 (en) Cardio-health-meter
EP2623021A1 (en) Moisture meter
CN107427140A (zh) 饮用监测系统及其智能水杯
CN205697021U (zh) 一种移动式自动盐量摄入调控装置
KR20230006941A (ko) 염도 및 당도를 감지하는 기능을 갖는 숟가락
JP2019511932A (ja) 体液平衡及び/又は電解質平衡を検出するためのデバイス
SE537311C2 (sv) Anording och metod för detektering av en mätkammares ytdegenerering under mätning av urinproduktion
CN110333160A (zh) 基于排水法的鸡蛋新鲜度无损检测装置及其方法
CN201452979U (zh) 一种带电子秤功能的多用铲
CN204086073U (zh) 鸡蛋鲜度检测仪
CN101411579A (zh) 健康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