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6358A - Cook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Cook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06358A KR20230006358A KR1020210096728A KR20210096728A KR20230006358A KR 20230006358 A KR20230006358 A KR 20230006358A KR 1020210096728 A KR1020210096728 A KR 1020210096728A KR 20210096728 A KR20210096728 A KR 20210096728A KR 20230006358 A KR20230006358 A KR 2023000635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air inlet
- cooking appliance
- circulation
- main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 H05B6/6423—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wherein the microwave oven air circulation system is also used as air extracting hood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8—Support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조리기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사상에 따른 조리기기는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고 조리실과 연통되는 개구를 갖는 전면판을 포함하는 본체, 개구의 일 측에 배치되어 내부에 회로기판이 수용되는 케이스, 개구를 개폐하며 케이스의 전방을 커버하는 도어로서, 케이스가 수용되도록 후면에서 내측으로 일부가 함몰되는 도어, 본체의 하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여과되어 배출되도록 본체의 상면에 마련되는 순환 공기 배출구 및 케이스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도어의 일 측에 수용되는 흡입 그릴로서, 냉각용 공기가 유입되는 냉각 공기 유입구가 순환 공기 배출구보다 전방에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흡입 그릴을 포함한다.A cooking appliance is started.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including a front plate having a cooking chamber formed therein and having an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cooking chamber, a cas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opening and accommodating a circuit board therein,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 door covering the front of the case, a door partially recessed inward from the rear to accommodate the case, a circulation air outlet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so that air introduc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body is filtered and discharged, and separ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se. A suction grill, which is possibly mounted and accommodated on one side of the door, includes a suction grill provided so that a cooling air inlet into which cooling air is introduced is disposed ahead of a circulation air outlet.
Description
본 개시는 개선된 구조를 갖는 조리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선된 구조의 냉각 유로를 갖는 조리 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cooking applianc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oking appliance having a cooling passag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조리 기기는 음식물과 같은 조리 대상을 가열하여 조리하기 위한 기기로 조리 대상의 가열, 해동, 건조 및 살균 등 조리와 관련된 여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조리 기기로는, 예를 들어, 가스 오븐이나 전기 오븐 등과 같은 오븐(oven), 마이크로파 가열 장치(이하 전자 레인지, microwave), 가스 레인지, 전기 레인지, 후드 겸용 전자 레인지(Over The Range, OTR), 가스 그릴 또는 전기 그릴 등이 있다.A cooking device is a device for heating and cooking a cooking object such as food, and refers to a device capable of providing various functions related to cooking, such as heating, defrosting, drying, and sterilizing the cooking object. Such cooking appliances include, for example, an oven such as a gas oven or an electric oven, a microwave heating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icrowave), a gas range, an electric range, a microwave oven with a hood (Over The Range, OTR) ), gas grill or electric grill.
이 중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OTR)는 주방에서 환기를 담당하는 후드 기능이 병합된 전자레인지로서, 설치공간이 최소화되는 동시에 음식물에 대한 조리가 보다 편리하고 능률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는 가스레인지나 쿡탑(Cooktop) 등과 같은 조리 기기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Among them, an over-the-hood microwave oven (OTR) is a microwave oven combined with a hood function responsible for ventilation in the kitchen, and the installation space is minimized, and food can be cooked more conveniently and efficiently. Such a microwave oven combined with a hood may be located above a cooking appliance such as a gas range or a cooktop.
조리기기 중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는, 조리기기의 하부에서 발생한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조리기기의 외부로 배출하는 순환 유로와 전장실 등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Among cooking appliances, a microwave oven with a hood may include a circulation passage for sucking in polluted air generated from a lower part of the cooking appliance and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and a cooling passage for cooling the control room.
다만, 이러한 순환 유로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는 순환 공기 배출구와 냉각 유로로 공기가 유입되는 냉각 공기 유입구의 위치가 가까이 있게 되면 조리기기 전체의 냉각 효율이 떨어지게 될 수 있다.However, when the circulation air outle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circulation passage and the cooling air inlet through which air flows into the cooling passage are located close to each other,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entire cooking appliance may decrease.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냉각 효율이 개선된 냉각 유로를 갖는 조리 기기를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oking appliance having a cooling passage with improved cooling efficiency.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도어의 두께를 보다 슬림 하게 구현할 수 있는 조리 기기를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oking appliance capable of implementing a slimmer door thickness.
본 개시의 일 사상에 따른 조리 기기는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고 상기 조리실과 연통되는 개구를 갖는 전면판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개구의 일 측에 배치되어 내부에 회로기판이 수용되는 케이스, 상기 개구를 개폐하며 상기 케이스의 전방을 커버하는 도어로서, 상기 케이스가 수용되도록 후면에서 내측으로 일부가 함몰되는 도어, 상기 본체의 하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여과되어 배출되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에 마련되는 순환 공기 배출구 및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도어의 일 측에 수용되는 흡입 그릴로서, 냉각용 공기가 유입되는 냉각 공기 유입구가 상기 순환 공기 배출구보다 전방에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흡입 그릴을 포함한다.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main body including a front plate having a cooking chamber formed therein and having an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cooking chamber, a cas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opening and accommodating a circuit board therein, and the opening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and covers the front of the case, a door partially recessed inward from the rear surface to accommodate the case, and circulation air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so that air introduc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is filtered and discharged. A suction grill detachably mounted on an exhaust port and an upper side of the case and accommodated on one side of the door, wherein a cooling air inlet into which cooling air flows is disposed forward of the circulation air outlet. .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순환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토출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 패널은 상기 도어의 후방에 배치된다.The cooking appliance further includes a discharge panel detachably attached to the main body and formed with the circulating air outlet, and the discharge panel is disposed behind the door.
상기 케이스는 상기 회로기판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기판 수용부 및 상기 기판 수용부의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기판 수용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는 그릴 장착부를 포함한다.The case includes a substrate accommodating portion provided to accommodate the circuit board and a grill mounting portion extending above the substrate accommodating portion and protruding forward from the substrate accommodating portion.
상기 흡입그릴은 상기 그릴 장착부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의 상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마련된다.The suction grill is coupled to the grill mounting portion so that air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part of the case.
상기 도어는 상기 그릴 장착부의 전방을 커버하도록 전방으로 함몰되는 제1 커버부, 상기 기판 수용부의 전방 일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제2 커버부 및 상기 제2커버부의 측부에 마련되고 상기 기판 수용부의 전방에서 파지 공간을 형성하는 핸들부를 포함한다.The door includes a first cover portion that is recessed forward to cover the front of the grill mounting portion, a second cover portion provided to cover a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of the substrate accommodating portion, and a side portion of the second cover portion that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substrate accommodating portion. Including a handle portion forming a gripping space.
상기 흡입그릴은 전방으로 경사지게 마련된다.The suction grill is inclined forward.
상기 냉각 공기 유입구는 제1 냉각 공기 유입구이고, 상기 전면판은 상기 제1 냉각 공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동되도록 상기 제1 냉각 공기 유입구의 후방에 마련되는 제2 냉각 공기 유입구를 포함한다.The cooling air inlet is a first cooling air inlet, and the front plate has a second cooling air inlet provided behind the first cooling air inlet so tha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cooling air inlet flows into the main body. includes
상기 제2 냉각 공기 유입구는 상기 전면판의 전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The second cooling air inlet is formed by cutting a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plate.
상기 도어는 상기 조리실의 전방에서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실링부 및 상기 실링부의 측부에서 상기 케이스의 전방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커버부로서, 상기 실링부 보다 얇은 두께로 마련되는 커버부를 포함한다.The door includes a sealing part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at the front of the cooking chamber and a cover part provided at a side of the sealing part to cover the front of the case and having a thickness smaller than that of the sealing part.
상기 실링부는 상기 순환 공기 배출구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실링부의 측방에 상기 흡입 그릴이 배치된다.The sealing part is disposed in front of the circulating air outlet, and the suction grill is disposed at a side of the sealing part.
상기 흡입 그릴의 상기 냉각 공기 흡입구는 상기 순환 공기 배출구와 편향되게 배치된다.The cooling air inlet of the intake grille is biased with the circulation air outlet.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전면판의 후방에 마련되고 상기 흡입그릴과 연통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전장실 및 상기 전장실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조리실 내부로 가이드 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 덕트를 더 포함한다.The cooking appliance further includes an electrical compartment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ront plate and communicating with the intake grill to allow air to flow in, and a guide duct provided to guide air introduced into the electrical compartment into the cooking compartment.
상기 가이드 덕트를 통해 상기 조리실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조리실과 연통되는 배기 덕트를 더 포함한다.An exhaust duct communicating with the cooking chamber may further include an exhaust duct communicating with the cooking chamber to discharge air introduced into the cooking chamber through the guide duct to the outside.
상기 흡입그릴은 상기 냉각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그릴부 및 상기 그릴부의 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The intake grill includes a grill part where the cooling air inlet is formed and a fastening part formed on a side of the grill part and coupled to the case.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조리실을 형성하는 내부 하우징, 상기 내부 하우징의 외측에서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 하우징, 상기 본체의 하부에서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내부 하우징과 상기 외부 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순환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순환팬에 의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구획 브라켓으로서, 상기 내부 하우징의 후방에서 상기 내부 하우징과 상기 외부 하우징의 사이에 수평하게 마련되는 구획 브라켓을 더 포함한다.The cooking appliance includes an inner housing forming the cooking chamber, an outer housing forming an exterior from the outside of the inner housing, and at least one disposed between the inner housing and the outer housing to suck polluted air from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 circulation fan and a partition bracket forming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air introduced into the body by the at least one circulation fan flows, provided horizontally between the inner housing and the outer housing at the rear of the inner housing. It further includes a compartment bracket to be
본 개시의 다른 사상에 따른 조리 기기는, 조리실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면에 마련되는 순환 공기 유입구, 상기 순환 공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에 마련되는 순환 공기 배출구,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및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에 의해 전방이 커버되는 컨트롤 유닛으로서, 상면에 상기 순환 공기 배출구와 편향되게 배치되는 냉각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컨트롤 유닛을 포함한다.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other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A body having a cooking chamber, a circulation air inlet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a circulation air outlet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to discharge air introduced into the circulation air inlet, a door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cooking chamber, and a main body. A control unit coupled to the main body so as to protrude forward and whose front side is covered by the door, including a control unit having a cooling air inlet disposed biasedly from the circulation air outlet on an upper surface thereof.
상기 컨트롤 유닛은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에 상기 냉각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흡입 그릴을 포함한다.The control unit includes a case and a suction grill detachably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case and having the cooling air inlet formed thereon.
상기 냉각 공기 유입구는 제1 냉각 공기 유입구이고, 상기 본체는 상기 컨트롤 유닛이 장착되고, 상기 제1 냉각 공기 유입구와 연통되도록 절개되는 제2 냉각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전면판을 더 포함한다.The cooling air inlet is a first cooling air inlet, and 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front plate on which the control unit is mounted and a second cooling air inlet cut open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cooling air inlet.
본 개시의 또 다른 사상에 따른 조리 기기는 개구를 갖는 전면판 및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여과되어 배출되도록 상기 전면판의 후방에 마련되는 순환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개구를 개폐하고 상기 순환 공기 배출구의 전방에 마련되는 실링부 및 상기 실링부의 측부에 마련되어 후방에서 내측으로 함몰되는 핸들부를 갖는 도어 및 상기 핸들부의 후방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를 향해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유닛은 상기 도어의 일 측에 수용되는 케이스 및 상기 순환 공기 배출구보다 전방에서 상기 실링부의 측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흡입 그릴로서,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면에 냉각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흡입 그릴을 포함한다.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main body including a front plate having an opening and a circulation air outlet provided at a rear of the front plate so that air introduced into the inside is filtered and discharged, the opening is opened and closed, and the circulation is performed. A sealing part provided in front of the air outlet, a door having a handle part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ealing part and recessed inward from the rear, and a control unit mounted at the rear of the handle part and protruding toward the door, wherein the control unit is a suction grill provided so that air flows into the side of the sealing part from the front of the case accommodated on one side of the door and the circulation air outlet, and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case to form a cooling air inlet on the upper surface. includes
상기 순환 공기 배출구는 상기 실링부의 후방에 마련되고 상기 냉각 공기 유입구는 상기 실링부의 측방에 마련된다.The circulation air outlet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sealing part and the cooling air inlet is provided at a side of the sealing part.
냉각 유로의 냉각 공기 유입구와 순환 유로의 순환 공기 배출구를 최대한 이격 되게 배치함으로써 조리기기의 냉각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Cooling efficiency of the cooking appliance can be increased by arranging the cooling air inlet of the cooling passage and the circulation air outlet of the circulation passage to be spaced apart as much as possible.
흡입 그릴을 경사지게 마련하여 도어의 두께는 슬림화 하면서도 냉각 유로의 공기 유입 면적은 확대시킬 수 있다.The inlet grille is inclined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door can be slimmed down while the air inflow area of the cooling passage can be enlarg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에서 외부 하우징을 제거하여 일 측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에서 외부 하우징을 제거하여 타 측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외부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로 공기 유동을 도시한 후방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외부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로 공기 유동을 도시한 후방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도어, 컨트롤 유닛 및 본체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컨트롤 유닛과 본체를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도어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컨트롤 유닛이 도어에 의해 커버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흡입 그릴이 케이스에 장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흡입 그릴이 케이스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외부 하우징을 제거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일 측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top view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showing one 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outer housing removed.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other 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outer housing removed.
6 is a rear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ir flow in a state in which an outer housing is removed from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rear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ir flow in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an outer housing is removed.
9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a door, a control unit, and a main body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ntrol unit and main body of FIG. 9 in an enlarged manner;
11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door shown in FIG. 9;
12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ntrol unit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vered by a door.
13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a suction grill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in a case.
1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ction grill of FIG. 13 is mounted on a case.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n outer housing is removed.
1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5;
FIG. 17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of FIG. 16 .
18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one side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preferred example of the disclosed invention, and there may be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replace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in this specification at the time of filing of the present application.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or numerals presented in each drawing in this specification indicate parts or components that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In addition,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to describ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and/or limit the disclosed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used herei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and the terms It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and/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상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top view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OTR)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조리 기기(1)로 설명하도록 한다.Th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조리 기기(1)는 본체(10)와 본체(10)의 전방에 결합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3 , the
조리 기기(1)는 본체(10)의 전방에 결합되는 컨트롤 유닛(100)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유닛(100)은 도어(20)에 의해 전방이 커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컨트롤 유닛(100)은 도어(20)와 본체(10)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본체(10)에 결합될 수 있다.The
도어(20)는 후방 일부가 함몰되어 컨트롤 유닛(100)의 전방을 커버할 수 있다.The rear part of the
본체(10)의 하면에는 제1 순환공기 흡입부(14) 및 제2 순환공기 흡입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10)의 바텀 플레이트(97)에 제1 순환공기 흡입부(14)와 제2 순환공기 흡입부(15)가 형성될 수 있다.A first circulation
제1 순환공기 흡입부(14)와 제2 순환공기 흡입부(15)를 통해 조리 기기(1)의 하측에서 형성되는 유증기 등이 조리 기기(1)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순환공기 흡입부(14)는 제1 순환공기 흡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순환공기 흡입부(15)는 제2 순환공기 흡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된 유증기는 조리 기기(1) 내부의 필터(미도시)에서 여과되어 조리 기기(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순환유로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Oil vapor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본체(10)는 조명 유닛(13)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 유닛(13)은 제1 순환공기 흡입부(14)와 제2 순환공기 흡입부(15)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조명 유닛(13)은 조리 기기(1)의 하부에 쿡탑 등이 설치되는 경우 조리 기기(1)의 하측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본체(10)의 상면에는 서비스 패널(91) 및 토출 패널(200)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하우징(11)의 상면에는 서비스 패널(91)이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외부 하우징(11)의 상면에는 토출 패널(200)이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A
또한, 본체(10)의 상면에는 환기 덕트 패널(94)이 배치될 수 있다. 환기 덕트 패널(94)은 외부 하우징(11)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 패널(200)은 2개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토출 패널(20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though the
서비스 패널(91)은 제1 순환공기 배출구(911)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토출 패널(200)은 제2 순환공기 배출구(2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본체(10)의 하면에 형성된 제1 순환공기 흡입부(14)와 제2 순환공기 흡입부(15)를 통해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된 오염된 공기는 여과되어 제1 순환공기 배출구(911)와 제2 순환공기 배출구(210)를 통해 조리 기기(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Contaminated air introduced into the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의 설명에서는 서비스 패널(91)과 토출 패널(200)에 제1 순환공기 배출구(911)와 제2 순환공기 배출구(210)가 형성되어 여과된 공기가 조리 기기(1)의 상면을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In the description of the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조리 기기(1)가 장착되는 공간에 실외와 연결되는 별도의 연통덕트(미도시)가 마련되는 경우, 서비스 패널(91)은 제1 순환공기 배출구(911)를 포함하지 않고 토출 패널(200) 역시 제2 순환공기 배출구(21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when a separate communication duct (not shown) connected to the outdoors is provided in the space where the
대신에, 환기 덕트 패널(94)에 순환공기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순환공기유입구와 제2순환공기유입구로 유입된 유증기는 여과되어 조리 기기(1) 후방 상면의 환기 덕트 패널(94)을 통해 연통덕트로 유동하여 실외로 배출될 수 있다.Instead, a circulation air outlet may be formed in the
다시 말해, 서비스 패널(91)에 제1 순환공기 배출구(911)가 형성되지 않고 토출 패널(200)에 제2 순환공기 배출구(210)가 형성되지 않으면서 환기 덕트 패널(94)에 순환공기배출구가 형성됨에 따라 여과된 유증기는 실내로 배출되지 않고 모두 실외로 배출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first
이를 통해, 실내의 공기를 보다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후술할 냉각 유로(C)를 통해 유입되는 냉각 공기의 온도가 보다 낮게 형성되어 조리 기기(1)의 냉각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Through this, indoor air can be kept cleaner, and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또한, 서비스 패널(91)과 토출 패널(200) 및 환기 덕트 패널(94)이 외부 하우징(11)에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므로 서비스 패널(91), 토출 패널(200) 및 환기 덕트 패널(94)을 필요에 따라 외부 하우징(11)에 장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구체적으로, 별도의 연통덕트(미도시)가 마련되지 않아 여과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해야 하는 경우, 순환공기배출구가 형성된 서비스 패널(91)과 토출 패널(200)을 외부 하우징(11)에 장착하고 순환공기배출구가 형성되지 않은 환기 덕트 패널(94)을 외부 하우징(11)에 장착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filtered air needs to be discharged into the room because a separate communication duct (not shown) is not provided, the
반대로, 별도의 연통덕트(미도시)가 마련되어 여과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할 필요가 없는 경우, 순환공기배출구가 형성되지 않은 서비스 패널(91)과 토출 패널(200)을 외부 하우징(11)에 장착하고 순환공기배출구가 형성된 환기 덕트 패널(94)을 외부 하우징(11)에 장착할 수 있다.Conversely, when a separate communication duct (not shown) is provided and there is no need to discharge the filtered air into the room, the
본체(10)의 전방에는 컨트롤 유닛(100)이 결합되고, 컨트롤 유닛(100)의 상측에는 흡입 그릴(120)이 결합될 수 있다.The
흡입 그릴(120)은 토출 패널(200)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흡입 그릴(120)은 도어(20)의 함몰된 부분에 수용되어 도어(20)의 일 측에 도어(20)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동시에, 도어(20)의 일부분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The
흡입 그릴(120)을 통해 조리 기기(1) 외부의 공기가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흡입 그릴(120)은 제1 냉각공기 유입구(121)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흡입 그릴(120)에 형성된 제1 냉각공기 유입구(121)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어 전장실(60)을 냉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Air outside the
흡입 그릴(120)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전장실(60)을 냉각한 후 조리실(30)로 다시 유입되어 도어(20)의 후면을 냉각한 후 본체(10)의 상면에 형성되는 냉각 공기 배출구(93)로 배출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냉각 공기 배출구(93)는 외부 하우징(11)의 상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에서 외부 하우징을 제거하여 일 측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에서 외부 하우징을 제거하여 타 측을 도시한 측면도이다.4 is a side view showing one 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outer housing removed.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other 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outer housing removed.
도 4를 참조하면, 조리 기기(1)는 전장실(6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장실(60)은 제1 전장실(61)과 제2 전장실(62)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본체(10)의 내부 하우징(12)은 상면판(81) 및 전면판(8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전면판(80)의 전방에는 컨트롤 유닛(100)이 장착될 수 있다. 전면판(80)의 후방에는 제1 전장실(61)과 제2 전장실(62)이 마련될 수 있다.A
전장실(60)은 전면판(80), 상면판(81), 냉각 디바이더(51) 및 순환 플레이트(56)에 의해 본체(10)의 내부에서 구획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전장실(60)은 제1 전장실(61)과 제2 전장실(62)을 구획하는 구획 플레이트(63)에 의해 두 부분으로 구획될 수 있다. 냉각 디바이더(51)는 리어 브라켓(52)의 일 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순환 플레이트(56)는 전장실(60)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순환 플레이트(56)는 외부 하우징(11)의 바텀 플레이트(97)와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The
냉각 디바이더(51)는 순환 플레이트(56)의 상부에 배치되어 전장실(60)을 구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순환 플레이트(56)와 냉각 디바이더(51)에 의해 전장실(60)이 구획됨에 따라, 본체(10)의 하면에 형성된 제2 순환공기 흡입부(15)를 통해 유입된 유증기가 전장실(60)로 침투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장실(60)의 내부에 배치되는 부품을 유증기나 다른 이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As the
제1 전장실(61)의 내부에는 냉각팬(71)이 수용될 수 있다. 냉각팬(71)은 흡입 그릴(120)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공기 유동을 형성할 수 있다. A cooling
또한, 후술할 바와 같이 컨트롤 유닛(100)은 제1 전장실(61)과 연통되도록 전면판(80)에 장착되므로, 흡입 그릴(120)로 유입된 공기는 컨트롤 유닛(100)을 냉각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In addi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since the
제2 전장실(62)의 내부에는 마그네트론(73) 및 변성기(74)가 수용될 수 있다. 마그네트론(73)과 변성기(74)는 고주파를 생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생성된 고주파는 조리실(30) 내부로 공급되어 피조리물을 가열할 수 있다.A
이하에서는 조리 기기(1)의 냉각 유로(C)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oling passage C of the
제1 전장실(61)과 제2 전장실(62)을 구획하는 구획 플레이트(63)는 일부가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획 플레이트(63)는 냉각팬(71)에 의해 흡입 그릴(120)로 흡입된 공기가 제1 전장실(61)을 지나 제2 전장실(62)로 유입되도록 냉각팬(71)과 연통되는 로어개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획 플레이트(63)는 제2 전장실(62)과 가이드 덕트(72)가 연통되는 어퍼개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Part of the
제2 전장실(62)로 유입된 공기는 변성기(74) 및 마그네트론(73)을 냉각한 후 구획 플레이트(63)에 장착된 가이드 덕트(72)로 유동될 수 있다. 가이드 덕트(72)는 제1 전장실(61)에 배치되어 제2 전장실(62)과 조리실(30) 내부가 연통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The air introduced into the second
따라서, 가이드 덕트(72)로 유동된 공기는 조리실(30)의 내부로 유동되어 조리 중 도어(20)의 후면을 냉각할 수 있다. 이후 공기는 조리실(30)의 상면과 연통되는 배기 덕트(31)로 유동되어 배기 덕트(31)와 연통되는 냉각 공기 배출구(93)를 통해 조리 기기(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air flowing through the
조리 기기(1)는 전장실(60)과 도어(20)를 냉각하는 냉각 유로(C) 외에, 유증기를 흡입하여 여과하는 순환유로(V1, V2)를 포함할 수 있다.The
조리 기기(1)는 제2 순환팬(42) 및 리어 브라켓(52)을 포함할 수 있다. 리어 브라켓(52)은 제2 순환팬(42)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순환팬 수용부(521)를 포함할 수 있다.The
순환 플레이트(56)의 전방은 전장실(60)을 구획하도록 폐쇄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순환 플레이트(56)는 후방에 리어 브라켓(52)의 순환팬 수용부(521)와 연통되도록 개방되는 연통부(522)를 포함할 수 있다. 순환 플레이트(56)에 연통부(522)가 형성됨에 따라, 제2 순환팬(42)이 발생시키는 흡입력에 의해 제2 순환공기 흡입부(15)로 유증기가 유입 및 여과될 수 있다.The front of the
도 5를 참조하면, 조리 기기(1)는 제1 순환팬(4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순환팬(41)은 바텀 플레이트(97)에 형성된 제1 순환공기 흡입부(14)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1 순환팬(41)의 상부에는 내부 하우징(12)의 측면판(89)이 장착될 수 있다. 측면판(89)의 일부는 절개되어 유입된 공기가 제1 순환팬(41)의 상부로 유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는 양 측에 제1 순환팬(41)과 제2 순환팬(42)을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리 기기(1)의 내부에는 제1 순환팬(41)에 의해 유동되는 제1 순환 유로(V1)와 제2 순환팬(42)에 의해 유동되는 제2 순환 유로(V2)를 갖는 복수의 순환유로(V1, V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Accordingly, th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에서 외부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로 공기 유동을 도시한 후방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횡단면도이다.6 is a rear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ir flow in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an outer housing is removed.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순환 유로(V1), 제2 순환 유로(V2) 및 냉각 유로(C)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first circulation passage V1, the second circulation passage V2, and the cooling passage 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공기는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 순환공기 흡입부(14)를 통해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 때의 공기는 유증기를 포함하는 오염된 공기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5 and 6 ,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유입된 공기는 여과되어 제1 순환팬(41)을 통과할 수 있다. 제1 순환팬(41)을 통과한 공기는 제1 순환팬(41)의 상부에 배치되는 측면판(89)으로 유동될 수 있다. The introduced air may be filtered and pass through the
측면판(89)은 제1연통홀(89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연통홀(891)을 통해 제1 순환팬(41)을 통과한 공기가 내부 하우징(12)의 상부로 유동될 수 있다.The
유동된 공기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체(10)의 전방 상부에 형성된 제1 순환공기 배출구(911)와 제2 순환공기 배출구(210)를 통해 조리 기기(1)의 외부로 다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제1 순환 유로(V1)라 명명할 수 있다.The flowed air is discharged back to the outside of the
다만, 이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연통덕트가 있어 여과된 유증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경우 제1 순환공기 흡입부(14)로 유입된 공기는 환기 덕트 패널(94)에 형성된 순환공기배출구를 통해 조리 기기(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re is a separate communication duct to discharge the filtered oil vapor to the outdoors,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circulating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공기는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 순환공기 흡입부(15)를 통해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 때의 공기는 역시 유증기를 포함하는 오염된 공기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and 6 ,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유입된 공기는 여과되어 제2 순환팬(42)을 통과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순환 플레이트(56)에 형성된 통공(561)을 통해 리어 브라켓(52)의 순환팬 수용부(521)로 유입될 수 있다.The introduced air may be filtered and pass through the
리어 브라켓(52)은 연통부(522)를 포함할 수 있다. 연통부(522)는 외부 하우징(11)의 백플레이트(95)와 내부 하우징(12)의 후면판(88)사이를 구획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통공(561)으로 유입된 공기는 연통부(522)를 통해 내부 하우징(12)의 후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The
조리 기기(1)는 바텀 브라켓(53)과 구획 브라켓(54) 및 순환 디바이더(55)를 포함할 수 있다.The
바텀 브라켓(53)과 구획 브라켓(54)은 외부 하우징(11)과 내부 하우징(1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바텀 브라켓(53)과 구획 브라켓(54)은 내부 하우징(12)의 후방에 배치되어 수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바텀 브라켓(53)은 구획 브라켓(54)의 하부에 배치되어 구획 브라켓(54)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The
순환 디바이더(55)는 외부 하우징(11)과 내부 하우징(1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순환 디바이더(55)는 내부 하우징(12)의 후방에 배치되어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즉, 순환 디바이더(55)는 리어 브라켓(52)의 연통부(522)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The
구획 브라켓(54)은 제2 연통홀(54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통홀(541)은 구획 브라켓(54)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통홀(541)은 공기가 유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따라서, 리어 브라켓(52)과 바텀 브라켓(53)과 구획 브라켓(54) 및 순환 디바이더(55)는 제2 순환공기 흡입부(15)로 유입된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refore, the
제2 순환공기 흡입부(15)로 유입된 공기는 순환 플레이트(56)의 통공(561)을 지나 제2 순환팬(42)을 통과하고, 리어 브라켓(52)의 연통부(522)를 통과하여 바텀 브라켓(53)과 구획 브라켓(54)의 사이로 유동될 수 있다.The air introduced into the second circulation
이 때, 순환 디바이더(55)는 개방된 부분 없이 폐쇄되어 구획 브라켓(54)과 바텀 브라켓(5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유동된 공기는 구획 브라켓(54)의 제2 연통홀(541)을 통해 내부 하우징(12)의 후방 상부로 유동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제2 연통홀(541)을 통해 내부 하우징(12)의 상부로 유동된 공기는 본체(10)의 전방 상부에 형성된 제1 순환공기 배출구(911)와 제2 순환공기 배출구(210)를 통해 조리 기기(1)의 외부로 다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제2 순환 유로(V2)라 명명할 수 있다.The air flow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다만, 이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연통덕트가 있어 여과된 유증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경우 제2 순환공기 흡입부(15)로 유입된 공기는 환기 덕트 패널(94)에 형성된 순환공기배출구를 통해 조리 기기(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re is a separate communication duct to discharge the filtered oil vapor to the outdoors,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econd circulating
순환 디바이더(55)가 폐쇄되도록 마련됨으로써, 제1 순환팬(41)에 의해 유입된 공기와 제2 순환팬(42)에 의해 유입된 공기가 내부 하우징(12)의 하부에서는 분리된 상태로 유동하여 상부에서 합쳐질 수 있다.Since the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컨트롤 유닛(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흡입 그릴(120)로 유입된 공기는 제1 전장실(61)과 제2 전장실(62)을 유동하며 각종 전장품을 냉각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흡입 그릴(120)의 제1 냉각공기 유입구(121)로 유입된 공기는 전면판(80)의 제2 냉각공기 유입구(83)를 통해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후, 내부 하우징(12)의 상면판(81)에 형성된 절개부(811)를 통해 전장실(6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6 and 7 , the air introduced into the
제1 전장실(61)로 유입된 공기는 냉각팬(71)을 통해 제2 전장실(62)로 유입될 수 있고, 제2 전장실(62)로 유입된 공기는 조리실(30) 측면과 연통되는 가이드 덕트(72)에 의해 조리실(30) 내부로 가이드될 수 있다. 조리실(30) 내부로 가이드된 공기는 도어(20)의 후면을 냉각한 후 조리실(30) 상면과 연통되는 배기 덕트(31)로 유동될 수 있다. 배기 덕트(31)는 냉각 공기 배출구(93)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냉각을 완료한 공기는 냉각 공기 배출구(93)를 통해 조리 기기(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냉각 유로(C)라 명명할 수 있다.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외부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로 공기 유동을 도시한 후방 사시도이다.8 is a rear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ir flow in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an outer housing is remov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와 달리 하나의 순환팬(41)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순환팬(41)만을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Unlike the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와 달리 하나의 순환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orm one circulation passage unlike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순환 디바이더(55)와 구획 브라켓(54)의 구성이 상이하게 마련되는 것 외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따라서 이는 상술한 조리기기(1)와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하며,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포함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is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내부하우징(12)과 외부하우징(11)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순환팬(4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순환팬(41)을 통해 제1순환공기흡입구와 제2순환공기흡입구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보다 상세하게는, 제1순환공기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는 제1순환팬(41)을 지나 측면판(89)의 제1연통홀(891)을 통과할 수 있다. 제1연통홀(891)을 통과한 공기는 서비스패널(91)의 제1순환공기배출구(911)와 토출패널(92)의 제2순환공기배출구(921)를 통해 조리기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circulation air inlet may pass through the
다만, 이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연통덕트(미도시)가 있어 여과된 유증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경우 제1순환공기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는 환기덕트패널(94)에 형성된 순환공기배출구를 통해 조리기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re is a separate communication duct (not shown) to discharge the filtered oil vapor to the outdoors,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circulation air inlet is passed through the circulation air outlet formed in the ventilation duct panel (94). Of course, 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의 제1순환유로(V1)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This may be provided in the same way as the first circulation passage V1 of the
다만, 제2순환공기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는 순환플레이트(56)의 통공(561)을 지나 리어브라켓(52)의 연통부(522)를 통해 구획브라켓(54)과 바텀브라켓(53) 사이의 공간으로 유동될 수 있다.However,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econd circulation air inlet passes through the through
이 때, 구획브라켓(54)은 개방된 부분 없이 폐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와 달리 구획브라켓(54)에 제2연통홀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다만, 구획브라켓(54)이 폐쇄되고 순환디바이더(55)에 제2연통홀(55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순환공기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는 구획브라켓(54)과 바텀브라켓(53) 사이의 공간으로 유동되어 순환디바이더(55)의 제2연통홀(551)을 통해 제1순환팬(41)을 향해 유동될 수 있다.However, the
이후, 제1순환팬(41)을 통과한 공기는 측면판(89)의 제1연통홀(891)을 통해 내부하우징(12)의 상부로 유동될 수 있다. 유동된 공기는 서비스패널(91)의 제1순환공기배출구(911)와 토출패널(92)의 제2순환공기배출구(921)를 통해 조리기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reafter, the air passing through the
다만, 이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연통덕트(미도시)가 있어 여과된 유증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경우 제2순환공기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는 환기덕트패널(94)에 형성된 순환공기배출구를 통해 조리기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re is a separate communication duct (not shown) to discharge the filtered oil vapor to the outdoors,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econd circulation air inlet is passed through the circulation air outlet formed in the ventilation duct panel (94). Of course, 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와 달리 구획브라켓(54)을 폐쇄하고 순환디바이더(55)를 개방함으로써 제1순환팬(41)의 흡입력만을 이용하여 제1순환공기흡입구와 제2순환공기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즉, 제1순환유로(V1)와 제2순환유로(V2)는 제1순환팬(41)을 통과해 단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refore, unlike the
따라서, 보다 단순한 구조로 조리기기를 제작함에 따라 제조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구획브라켓(54)과 순환디바이더(55)의 구성만 교체할 수 있어 순환팬의 개수에 따라 내부 설계를 복잡하게 변경할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Accordingly, as the cooking appliance is manufactured with a simpler structure, manufacturing cost may be reduced. In addition, since only the configuration of the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도어, 컨트롤 유닛 및 본체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컨트롤 유닛과 본체를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9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a door, a control unit, and a main body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ntrol unit and main body of FIG. 9 in an enlarged manner;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체(10)의 전방에는 컨트롤 유닛(100)이 장착될 수 있다. 도어(20)는 본체(10)와 컨트롤 유닛(100)의 전방을 커버하도록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9 to 10 , the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10)는 전면판(80)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판(80)은 외부 하우징(11)의 전방에 장착될 수 있다. 외부 하우징(11)의 상면에는 토출 패널(200)과 서비스 패널(91)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외부 하우징(11)의 상면에는 냉각 공기 배출구(93)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냉각 공기 배출구(93) 역시 외부 하우징(11)과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별도의 패널에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전면판(80)은 조리실(30)과 연통되는 개구(80a) 및 개구(80a)의 일 측에 마련되어 컨트롤 유닛(100)이 장착되는 장착부(85)를 포함할 수 있다.The
또한 전면판(80)은 개구(80a)와 장착부(85)의 사이에 마련되는 도어 고정부(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도어 고정부(82)는 후술할 도어 래치(211)가 삽입되어 도어(20)가 조리실(30)을 폐쇄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제1 순환공기 배출구(911)와 제2 순환공기 배출구(210)가 형성되는 서비스 패널(91) 및 토출 패널(200)은 본체(10)의 일 측으로 편향되게 장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서비스 패널(91)과 토출 패널(200)은 컨트롤 유닛(100)과 최대한 멀어지는 방향으로 편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The
도어(20)의 일 측은 후방에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컨트롤 유닛(100)이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20)는 컨트롤 유닛(100)의 전방을 커버하도록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컨트롤 유닛(100)과 도어(20)의 사이에 형성된 핸들부(23)를 통해 도어(20)를 개폐할 수 있다. 도어(20)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One side of the
컨트롤 유닛(100)은 케이스(110)와 케이스(110)의 상측에 장착되는 흡입 그릴(1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케이스(110)와 흡입 그릴(120)은 컨트롤 유닛(100)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스(110)는 상면에 개방부(111)가 형성되고 흡입 그릴(120)은 케이스(110)의 개방부(111)를 커버하도록 케이스(1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The
또한, 케이스(110)는 후면이 개방되는 박스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케이스(110)는 전면판(80)의 일 측에 장착되어 내부에 회로기판(150)을 수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케이스(110)는 전면판(80)의 장착부(85)의 삽입홀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삽입 레그(115)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 레그(115)는 케이스(110)의 후방에서 전면판(80)을 향해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삽입 레그(115)는 대략 후크 형상으로 마련되어 전면판(80)에 케이스(110)가 고정될 수 있다.The
케이스(110)는 회로기판(150)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기판 수용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스(110)의 기판 수용부(113)에는 회로기판(150)과 회로기판(150)이 수용되는 브라켓 패널(130)이 수용될 수 있다.The
케이스(110)는 기판 수용부(113)의 상부로 연장되어 기판 수용부(113)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는 그릴 장착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그릴 장착부(112)는 냉각 유로(C)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그릴 장착부(112)의 상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그릴 장착부(112)의 후방으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케이스(110)의 개방부(111)는 그릴 장착부(112)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다시 말해, 그릴 장착부(112)의 전면은 기판 수용부(113)의 전면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그릴 장착부(112)의 전면은 일정 구간 상하로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 공간이 확대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front surface of the
따라서, 케이스(110)의 기판 수용부(113)보다 그릴 장착부(112)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마련됨에 따라 냉각 유로(C)의 유입 면적이 전방으로 보다 증대될 수 있다. 또한, 그릴 장착부(112)가 기판 수용부(113)의 상부로 연장됨에 따라 냉각 유로(C)의 유입 면적이 상하로 보다 증대될 수 있다. 즉, 전체적인 냉각 공기 유입 면적이 증대됨에 따라 조리 기기(1)의 냉각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Accordingly, as the
흡입 그릴(120)은 케이스(110)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면에 형성되는 제1 냉각공기 유입구(123)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 그릴(120)은 케이스(110)와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The
컨트롤 유닛(100)은 회로기판(150)과 회로기판(150)이 장착되는 브라켓 패널(130) 및 브라켓 패널(130)의 상부에 장착되는 가이드 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브라켓 패널(130)은 케이스(11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브라켓 패널(130)은 대략 후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브라켓 패널(130)의 내부에는 회로기판(150)이 수용될 수 있다. 회로기판(150)은 브라켓 패널(13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The
브라켓 패널(130)을 통해, 회로기판(150)이 외부의 충격 또는 이물질로부터 차단될 수 있다.Through the
회로기판(150)은 브라켓 패널(130)의 후방에 수용되어 전면판(80)의 연통부(84)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회로기판(150)은 제1전장실(61)과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흡입 그릴(120)로 냉각용 공기가 유입되어 제1전장실(61)의 부품을 냉각하면서 회로기판(150)을 함께 냉각할 수 있다.The
가이드 부재(140)는 브라켓 패널(130)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The
차단부는 흡입 그릴(120)의 제1 냉각공기 유입구(123)로부터 유입된 수분이나 이물질이 회로기판(150)에 침투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blocking portion may be provided to prevent moisture or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from the first
차단부는 차단부의 상면에 수집된 수분이 유동되어 컨트롤 유닛(100)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40)는 전면판(80)의 제2 냉각공기 유입구(83)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blocking unit may be provided so that the moisture collec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ing unit can flow and b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도어의 후방 사시도이다.11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door shown in FIG. 9;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0)는 전면판(80)의 개구(80a)를 개폐하고 케이스(110)의 전방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20)는 케이스(110)가 수용되도록 후면에서 내측으로 일부가 함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9 and 11 , the
도어(20)는 조리실(30)의 전방에서 개구(80a)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실링부(21)를 포함할 수 있다.The
실링부(21)는 본체(1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실링부(21)는 차폐부재(미도시)를 포함하도록 마련되어 조리실(30) 내부의 고주파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을 수 있다. 실링부(21)의 일부는 투명하게 마련되어 사용자가 외부에서 조리실(30)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sealing
실링부(21)는 전면판(80)의 도어 고정부(82)에 삽입되는 도어 래치(2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래치(211)는 실링부(21)의 후면에서 본체(10)를 향해 연장되어 도어 고정부(8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sealing
실링부(21)의 일 측은 본체(10)와 힌지 결합되어 도어(20)가 본체(1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sealing
도어(20)는 실링부(21)의 측부에서 케이스(110)의 전방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커버부(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커버부(22)는 도어(20)의 후면에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커버부(22)는 실링부(21)보다 얇은 두께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버부(22)의 후방에 컨트롤 유닛(100)이 수용될 수 있다. 즉, 컨트롤 유닛(100)은 실링부(21)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커버부(22)는 제1커버부(221) 및 제2커버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제1커버부(221)는 케이스(110)의 그릴 장착부(112)의 전방을 커버하도록 도어(2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함몰될 수 있다.The
제2커버부(222)는 케이스(110)의 기판 수용부(113)의 전방 일부를 커버하도록 도어(2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함몰될 수 있다.The
제1커버부(221)는 제2커버부(222)보다 전방으로 더 함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케이스(110)의 그릴 장착부(112)가 기판 수용부(113)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마련됨에 따라 도어(20)의 후방 역시 이에 대응되게 마련되는 것이다.The
도어(20)는 컨트롤 유닛(100)의 전면과 이격되어 파지공간을 형성하는 핸들부(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보다 상세하게는, 핸들부(23)는 제1커버부(221)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핸들부(23)는 제2커버부(222)의 측방에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핸들부(23)는 제1커버부(221)와 동일한 평면에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핸들부(23)는 제1커버부(221)와 단차지지 않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핸들부(23)는 제1커버부(221)와 마찬가지로 제2커버부(222)보다 도어(20)의 후면에서 전방으로 더 함몰되어 마련될 수 있다.The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컨트롤 유닛이 도어에 의해 커버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12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ntrol unit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vered by a door.
도 12를 참조하면, 컨트롤 유닛(100)은 도어(20)와 본체(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컨트롤 유닛(100)은 도어(20)의 커버부(22)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유닛(100)은 도어(20)의 실링부(21)의 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 the
컨트롤 유닛(100)의 흡입 그릴(120)은 실링부(21)의 측방에서 실링부(21)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또한, 제2 순환공기 배출구(210)가 형성되는 토출 패널(200)은 본체(1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토출 패널(200)은 도어(20)의 실링부(21)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외부 하우징(11)에 장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실링부(21)는 순환 공기 배출구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어(20)의 제1커버부(221)는 케이스(110)의 그릴 장착부(112)의 전방을 커버할 수 있다. 도어(20)의 제2커버부(222)는 케이스(110)의 기판 수용부(113)의 전방을 커버할 수 있다. 도어(20)의 제2커버부(222)의 측방에 마련되는 핸들부(23)와 케이스(110)의 기판 수용부(113)의 전면과의 사이에서 파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The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흡입 그릴이 케이스에 장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흡입 그릴이 케이스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3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a suction grill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in a case. 1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ction grill of FIG. 13 is mounted on a case.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컨트롤 유닛(100)의 케이스(110)는 결합 보스(114)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3 and 14 , the
결합 보스(114)는 케이스(110)의 그릴 장착부(112)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보스(114)는 케이스(110)와 흡입 그릴(120)의 결합을 위해 마련될 수 있다.The
흡입 그릴(120)은 그릴부(121) 및 체결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그릴부(121)에는 제1 냉각공기 유입구(123)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122)는 그릴부(121)의 측부에 마련될 수 있다. 체결부(122)에는 케이스(110)와 결합되는 체결홀(124)이 형성될 수 있다.A first
흡입 그릴(120)은 케이스(110)에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어 냉각 유로(C)의 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The
흡입 그릴(120)의 제1 냉각공기 유입구(123)로 유입된 공기는 전면판(80)의 제2 냉각공기 유입구(83)를 통해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흡입 그릴(120)의 제1 냉각공기 유입구(123)와 토출 패널(200)의 제2 순환공기 배출구(210)는 편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냉각공기 유입구(123)는 본체(10)의 전방에 마련되고 제2 순환공기 배출구(210)는 본체(10)의 상면에 마련되기에 조리 기기(1)의 전후방향으로 편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또한, 제1 냉각공기 유입구(123)는 도어(20)의 실링부(21)의 측방에 마련되고 제2 순환공기 배출구(210)는 실링부(21)의 후방에 마련되기에 조리 기기(1)의 좌우방향으로 편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냉각공기 유입구(123)는 도어(20)의 커버부(22)의 후방에 마련되고 제2 순환공기 배출구(210)는 도어(20)의 실링부(21)의 후방에 마련되기에 조리 기기(1)의 좌우방향으로 편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따라서, 냉각 유로(C)의 입구를 형성하는 제1 냉각공기 유입구(123)와 순환유로의 출구를 형성하는 제2 순환공기 배출구(210)가 서로 편향되게 배치됨에 따라 순환유로에서 배출되는 가열된 공기가 냉각 유로(C)로 유입되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리 기기(1) 전체의 냉각 효율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s the first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외부 하우징을 제거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n outer housing is removed. 1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5; FIG. 17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of FIG. 16 .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냉각 유로(C)에 따른 공기 유동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With reference to FIGS. 15 to 17 , air flow along the cooling passage C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컨트롤 유닛(100)의 상면에 형성된 제1 냉각공기 유입구(123)를 통해 외부 공기가 컨트롤 유닛(100)의 내부로 유입된다. First, external air is introduced into the
컨트롤 유닛(1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전면판(80)의 제2 냉각공기 유입구(83, 도 13 참조)를 통해 제1전장실(61)로 유동된다. The air introduced into the
제1전장실(61)로 유동되어 컨트롤 유닛(100)의 후면과 제1전장실(61) 내부를 냉각한 공기는 냉각팬(71)을 통해 제2전장실(62)로 유동된다.The air flowing into the first
제2전장실(62)로 유동되어 마그네트론(73)과 변성기(74)를 냉각한 공기는 냉각 디바이더(51)에 의해 제2순환팬측으로의 유동이 차단되고 가이드 덕트(72)로 유동된다.The air flowing into the second
가이드 덕트(72)로 유동된 공기는 조리실(30)의 내부로 유동되어 도어(20)의 실링부(21)의 후면을 냉각할 수 있다. 도어(20)의 실링부(21)의 후면을 냉각한 공기는 조리실(30)의 상면과 연통되는 배기 덕트(31)로 유동된다.Air flowing through the
배기 덕트(31)로 유동된 공기는 배기부(311)와 외부 하우징(11)의 냉각 공기 배출구(93, 도 3 참조)를 통해 조리 기기(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로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의 냉각 유로(C)라 한다.The air flowing through the
도 16을 참조하면, 도어(20)의 제1커버부(221)와 제2커버부(222)는 컨트롤 유닛(100)의 케이스(110)의 그릴 장착부(112)와 기판 수용부(11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그릴 장착부(112)가 기판 수용부(113)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게 연장됨에 따라 도어(20)의 제1커버부(221) 역시 제2커버부(222)보다 전방으로 더 함몰되게 마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의 도어(20)는 실링부(21)의 두께는 일정하게 유지하면서도 커버부(22)의 두께를 조절함에 따라 냉각 유로(C)의 입구를 보다 넓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20) 전체의 슬림화를 구현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구체적으로, 케이스(110)의 그릴 장착부(112)를 보다 넓게 형성하여 흡입 그릴(120)의 크기를 증대시킬 수 있어 냉각 유로(C)로 유입되는 기류량을 더 많이 확보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ize of the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 그릴(120)은 전방으로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평하게 마련되는 기준선에 대한 흡입 그릴(120)의 경사 각도(a)는 대략 5도 이하로 마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 the
흡입 그릴(120)의 경사각(a)을 너무 크게 형성하는 경우, 냉각 유로(C)로 유입되는 공기량은 많아질 수 있으나 이에 대응되는 도어(20)의 높이가 증가하게 된다.When the angle of inclination (a) of the
또한, 흡입 그릴(120)의 경사각(a)을 너무 작게 형성하는 경우 냉각 유로(C)로 유입되는 충분한 공기량이 확보되지 않을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inclination angle (a) of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의 경우 도어(20)의 실링부(21)의 측부에 배치되는 흡입 그릴(120)만으로 냉각공기가 유입되기에 좌우 방향으로 충분한 너비가 확보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흡입 그릴(120)을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함에 따라 한정된 너비에서 냉기 유입량을 보다 많이 확보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존재한다.In the case of the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우측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18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right side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의 도어(20)의 외측에는 핸들부(23)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핸들부(23)는 제2커버부(222)의 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8 , a
또한 도 18을 참조하면, 제1전장실(61)의 후방에는 제2전장실(62)이 형성되고 제2전장실(62)의 후방에는 제2순환팬(42)이 배치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 18 , a
제2순환팬(42)이 제2전장실(62)의 후방에 배치됨에 따라, 조리 기기(1)의 상하방향으로의 높이가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슬림한 높이를 갖는 조리 기기(1)를 구현할 수 있다.As the
다시 말해, 도 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실(30)의 우측에는 전장실(60)과 제2순환팬(42)이 배치될 수 있고 조리실(30)의 좌측에는 제1순환팬(41)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하방향으로의 높이가 보다 슬림한 조리 기기(1)를 구현할 수 있다.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S. 7 and 18 , the
또한, 제1 냉각공기 유입구(123)가 조리 기기(1)의 상면에 형성되고, 냉각 공기 배출구(93) 및 제1, 2 순환공기배출구(911, 210)가 모두 조리 기기(1)의 상면에 형성됨에 따라 공기유입구 또는 공기배출구를 위해 필요한 높이가 감소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는 상하 방향으로 슬림한 두께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That is, the
또한, 냉각 유로(C)의 입구와 순환유로(V1, V2)의 출구를 최대한 멀리 배치함에 따라 조리 기기(1)의 냉각 효율이 보다 증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
1; 조리기기
10; 본체
20; 도어
21; 실링부
22; 커버부
23; 핸들부
100; 컨트롤 유닛
110; 케이스
112; 그릴장착부
113; 기판수용부
120; 흡입그릴
123; 제1냉각공기유입구
80; 전면판
80a; 개구
83; 제2냉각공기유입구
200; 토출패널
210; 제2순환공기배출구
911; 제1순환공기배출구
60; 전장실One; cooking appliance
10; main body
20; door
21; sealing part
22; cover part
23; handle part
100; control unit
110; case
112; grill mount
113; board receiving part
120; suction grill
123; 1st cooling air inlet
80; face plate
80a; opening
83; 2nd cooling air inlet
200; discharge panel
210; 2nd circulation air outlet
911; 1st circulation air outlet
60; control room
Claims (20)
상기 개구의 일 측에 배치되어 내부에 회로기판이 수용되는 케이스;
상기 개구를 개폐하며 상기 케이스의 전방을 커버하는 도어로서, 상기 케이스가 수용되도록 후면에서 내측으로 일부가 함몰되는 도어;
상기 본체의 하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여과되어 배출되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에 마련되는 순환 공기 배출구; 및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도어의 일 측에 수용되는 흡입 그릴로서, 냉각용 공기가 유입되는 냉각 공기 유입구가 상기 순환 공기 배출구보다 전방에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흡입 그릴;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a main body including a front plate having a cooking chamber formed therein and having an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cooking chamber;
a cas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opening and accommodating a circuit board therein;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and covers the front of the case, a door partially recessed inward from a rear surface to accommodate the case;
a circulation air outlet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so that air introduc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is filtered and discharged; and
A suction grill detachably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se and accommodated at one side of the door, wherein a cooling air inlet into which cooling air flows is disposed forward of the circulation air outlet. device.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순환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토출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 패널은 상기 도어의 후방에 배치되는 조리 기기.According to claim 1,
A discharge panel detachably attached to the main body and formed with the circulating air discharge port; and
The discharge panel is disposed behind the door.
상기 케이스는
상기 회로기판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기판 수용부; 및
상기 기판 수용부의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기판 수용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는 그릴 장착부;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According to claim 1,
the case is
a board accommodating portion provided to accommodate the circuit board; and
and a grill mounting portion that extends above the substrate accommodating portion and protrudes forward from the substrate accommodating portion.
상기 흡입그릴은 상기 그릴 장착부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의 상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조리 기기.According to claim 3,
The cooking appliance wherein the suction grill is coupled to the grill mounting portion so that air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part of the case.
상기 도어는
상기 그릴 장착부의 전방을 커버하도록 전방으로 함몰되는 제1 커버부;
상기 기판 수용부의 전방 일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제2 커버부; 및
상기 제2커버부의 측부에 마련되고 상기 기판 수용부의 전방에서 파지 공간을 형성하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According to claim 3,
the door
A first cover portion recessed forward to cover the front of the grill mounting portion;
a second cover portion provided to cover a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of the substrate accommodating portion; and
and a handle part provided on a side of the second cover part and forming a holding space in front of the substrate accommodating part.
상기 흡입그릴은 전방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조리 기기.According to claim 1,
The cooking appliance wherein the suction grill is inclined forward.
상기 냉각 공기 유입구는 제1 냉각 공기 유입구이고,
상기 전면판은
상기 제1 냉각 공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동되도록 상기 제1 냉각 공기 유입구의 후방에 마련되는 제2 냉각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According to claim 1,
the cooling air inlet is a first cooling air inlet;
the front panel
and a second cooling air inlet provided at a rear side of the first cooling air inlet so tha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cooling air inlet flows into the main body.
상기 제2 냉각 공기 유입구는 상기 전면판의 전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조리 기기.According to claim 7,
The second cooling air inlet is formed by cutting a front portion of the front plate.
상기 도어는
상기 조리실의 전방에서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실링부; 및
상기 실링부의 측부에서 상기 케이스의 전방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커버부로서, 상기 실링부 보다 얇은 두께로 마련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According to claim 1,
the door
a sealing unit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at the front of the cooking chamber; and
A cooking appliance comprising: a cover part provided to cover the front of the case at a side of the sealing part, the cover part having a thickness smaller than that of the sealing part.
상기 실링부는 상기 순환 공기 배출구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실링부의 측방에 상기 흡입 그릴이 배치되는 조리 기기.According to claim 9,
The sealing unit is disposed in front of the circulating air outlet, and the suction grill is disposed at a side of the sealing unit.
상기 흡입 그릴의 상기 냉각 공기 흡입구는 상기 순환 공기 배출구와 편향되게 배치되는 조리 기기.According to claim 1,
The cooking appliance of claim 1 , wherein the cooling air inlet of the suction grill is biased from the circulating air outlet.
상기 전면판의 후방에 마련되고 상기 흡입그릴과 연통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전장실; 및
상기 전장실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조리실 내부로 가이드 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 덕트;를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According to claim 1,
an electrical compartment provided behind the front plate and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grill to allow air to flow into the vehicle; and
The cooking appliance further comprising a guide duct provided to guid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electrical cabinet into the cooking chamber.
상기 가이드 덕트를 통해 상기 조리실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조리실과 연통되는 배기 덕트;를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According to claim 12,
The cooking appliance further comprising an exhaust duct communicating with the cooking chamber to discharg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ooking chamber through the guide duct to the outside.
상기 흡입그릴은
상기 냉각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그릴부; 및
상기 그릴부의 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suction grill
a grill portion in which the cooling air inlet is formed; and
A cooking appliance comprising: a fastening part formed on a side of the grill part and provided to be coupled with the case.
상기 조리실을 형성하는 내부 하우징;
상기 내부 하우징의 외측에서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 하우징;
상기 본체의 하부에서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내부 하우징과 상기 외부 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순환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순환팬에 의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구획 브라켓으로서, 상기 내부 하우징의 후방에서 상기 내부 하우징과 상기 외부 하우징의 사이에 수평하게 마련되는 구획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According to claim 1,
an inner housing forming the cooking chamber;
an outer housing forming an exterior from the outside of the inner housing;
at least one circulating fan disposed between the inner housing and the outer housing to suck polluted air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a partition bracket forming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introduced into the body by the at least one circulation fan flows, horizontally provided between the inner housing and the outer housing at a rear of the inner housing; Cooking appliance further comprising a.
상기 본체의 하면에 마련되는 순환 공기 유입구;
상기 순환 공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에 마련되는 순환 공기 배출구;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및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에 의해 전방이 커버되는 컨트롤 유닛으로서, 상면에 상기 순환 공기 배출구와 편향 되게 배치되는 냉각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A main body having a cooking chamber;
a circulation air inlet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a circulation air outlet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to discharge air introduced into the circulation air inlet;
a door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cooking chamber; and
A control unit coupled to the main body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front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front surface covered by the door, the control unit having a cooling air inlet disposed biasedly with the circulating air outlet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trol unit.
상기 컨트롤 유닛은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에 상기 냉각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흡입 그릴;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According to claim 16,
The control unit
case; and
and a suction grill detachably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case and having the cooling air inlet formed thereon.
상기 냉각 공기 유입구는 제1 냉각 공기 유입구이고,
상기 본체는
상기 컨트롤 유닛이 장착되고, 상기 제1 냉각 공기 유입구와 연통되도록 절개되는 제2 냉각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전면판;을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According to claim 16,
the cooling air inlet is a first cooling air inlet;
the main body
The cooking appliance further comprising a; front plate on which the control unit is mounted and formed with a second cooling air inlet cut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cooling air inlet.
상기 개구를 개폐하고 상기 순환 공기 배출구의 전방에 마련되는 실링부 및 상기 실링부의 측부에 마련되어 후방에서 내측으로 함몰되는 핸들부를 갖는 도어; 및
상기 핸들부의 후방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를 향해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유닛은
상기 도어의 일 측에 수용되는 케이스; 및
상기 순환 공기 배출구보다 전방에서 상기 실링부의 측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흡입 그릴로서,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면에 냉각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흡입 그릴;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a main body including a front plate having an opening and a circulation air outlet provided at a rear side of the front plate so that air introduced into the inside is filtered and discharged;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and has a sealing portion provided in front of the circulating air outlet and a handle portion provided at a side of the sealing portion and recessed inward from the rear; and
A control unit mounted on the rear of the handle unit and provided to protrude toward the door; and
The control unit
a case accommodated on one side of the door; and
A cooking appliance comprising: a suction grill provided to allow air to flow from the front side of the circulating air outlet to a side of the sealing part, the suction grill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case and having a cooling air inle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상기 순환 공기 배출구는 상기 실링부의 후방에 마련되고 상기 냉각 공기 유입구는 상기 실링부의 측방에 마련되는 조리 기기.
According to claim 19,
The circulating air outlet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sealing unit and the cooling air inlet is provided at a side of the sealing unit.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22/005551 WO2023277318A1 (en) | 2021-07-02 | 2022-04-18 | Cooking apparatus |
US17/730,357 US12339010B2 (en) | 2021-07-02 | 2022-04-27 | Cook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10087059 | 2021-07-02 | ||
KR1020210087059 | 2021-07-02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06358A true KR20230006358A (en) | 2023-01-10 |
Family
ID=84893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96728A Pending KR20230006358A (en) | 2021-07-02 | 2021-07-22 | Cook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006358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5121480A1 (en) * | 2023-12-06 | 2025-06-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ooking apparatus |
-
2021
- 2021-07-22 KR KR1020210096728A patent/KR20230006358A/en active Pending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5121480A1 (en) * | 2023-12-06 | 2025-06-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ooking apparatu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56201B1 (en) | Cooking Appliance | |
KR101450879B1 (en) | A vent grill | |
KR102665015B1 (en) | Oven | |
US20060011622A1 (en) | Microwave having a top vent | |
KR102549151B1 (en) | Cooking Appliance | |
US12339010B2 (en) | Cooking apparatus | |
US20240015859A1 (en) | Cooking device | |
KR20230007211A (en) | Cooking apparatus | |
US7671310B2 (en) | Microwave range having hood | |
US7019272B2 (en) | Wall mounted microwave oven having an exhaust ventilation system | |
KR20230006358A (en) | Cooking apparatus | |
KR100694254B1 (en) | Microwave Air Flow System | |
US20230007741A1 (en) | Cooking apparatus | |
KR20220163837A (en) | Cooking apparatus | |
KR100402578B1 (en) | An air flow system for micro wave oven | |
KR20220163229A (en) | Cooking apparatus | |
US20240099508A1 (en) | Cooking apparatus | |
US20220390120A1 (en) | Cooking apparatus | |
KR20230006359A (en) | Cooking apparatus | |
KR20230103500A (en) | Microwave oven having hood | |
KR20230007213A (en) | Cooking apparatus | |
US20240060652A1 (en) | Cooking equipment | |
KR20050030374A (en) | Otr type microwave oven | |
US20240077209A1 (en) | Cooking appliance | |
KR20230006360A (en) | Cooking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2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407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