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005546A - 도어트림의 빈 공간을 활용한 도어트림 수납장치 - Google Patents

도어트림의 빈 공간을 활용한 도어트림 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5546A
KR20230005546A KR1020210086392A KR20210086392A KR20230005546A KR 20230005546 A KR20230005546 A KR 20230005546A KR 1020210086392 A KR1020210086392 A KR 1020210086392A KR 20210086392 A KR20210086392 A KR 20210086392A KR 20230005546 A KR20230005546 A KR 20230005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trim
space
storage
storage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민
Original Assignee
카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카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6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5546A/ko
Publication of KR20230005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554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4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60R2011/0021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트림의 빈 공간을 활용한 도어트림 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어트림 중앙부의 빈 공간을 활용하여 차량 내부공간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추가적인 수납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여닫이도어와 미닫이도어를 복합적으로 구성함으로써 도어를 완전하게 개방시키지 않고서도 미닫이 도어를 통해 소정 크기의 작은 물건을 간단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킨 도어트림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어트림의 빈 공간을 활용한 도어트림 수납장치 {storage device utilizing the empty space of the door trim}
본 발명은 도어트림의 중앙부의 빈 공간을 활용한 도어트림 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어 전체를 여닫지 않고서도 간단한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도어가 형성된 도어트림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키기 위해 차량의 내부공간을 가능한 많이 확보하고자 하는 노력이 계속되어 왔다.
차량에서 물건을 수납하기 위해서는 수납공간이 필요한데, 수납공간은 다양한 목적에 따라 자주 쓰는 물건, 자주 안 쓰지만 차량에 보관해야 하는 물건, 사용자가 즉시 잡을 수 있어야 하는 물건 등 용도 및 사용습관에 따라 다수의 구분된 수납공간들이 필요하다.
그러나 차량의 내부에서 수납공간을 추가로 확보하기 위해서는 다른 내부공간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수납공간의 추가 형성과 차량의 내부공간 확보는 서로 충돌하여 하나를 얻으면 다른 하나를 잃을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한편, 차량의 수납공간을 여닫는 도어의 경우, 그 회전반경이 커서 공간 활용성이 떨어지며, 또한 영수증이나 통행증과 같은 작은 물품을 꺼내기 위해 반드시 도어 전체를 여닫아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차량의 내부공간을 최대한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효율적인 수납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수납공간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자동차 도어트림에 구현되는 수납공간과 관련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5-0109773호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도어트림 중앙부의 빈 공간을 활용하여 수납공간을 추가로 마련하되, 도어 전체를 열지 않고서도 간단한 물건을 꺼낼 수 있으며, 도어의 회전반경을 줄여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킨 도어트림 수납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트림의 빈 공간을 활용한 도어트림 수납장치는 도어트림 중앙부의 빈 공간에 외측을 향해 함몰된 구조로 형성된 수납공간; 및 상기 수납공간의 전방 개구된 부분에 설치되며 경첩에 의해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여닫이 도어부와, 상기 여닫이 도어부에 설치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형성된 미닫이 도어부로 구성된 수납도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도어트림 수납장치에 의하면 도어트림 중앙부의 빈 공간을 수납공간으로 활용함으로써 차량 내부공간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추가적인 수납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납장치는 도어를 완전하게 개방시키지 않고서도 미닫이 도어를 통해 소정 크기의 작은 물건(예를 들어, 영수증이나 톨게이트 티켓 등)을 간단하게 수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납장치는 여닫이도어의 회전반경을 줄여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납장치는 도어트림의 중앙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차량의 운전자와 매우 근접하여 운전 중에도 쉽게 물건을 수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어트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치를 갖춘 도어트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트림의 빈 공간을 활용한 도어트림 수납장치의 도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트림 수납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통상적인 구조를 갖는 도어트림(1)을 도시한 도면이다.
자동차 도어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도어트림(1)에는 소정의 위치에 팔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형성된 암레스트(2)가 구비되며, 암레스트(2)의 하부에는 자동차의 탑승객의 물품이나 주행 중에 필요한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부 수납공간(3)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암레스트(2)의 상부, 즉 도어트림(1)의 중앙부에는 특별한 수납공간이 고려되지 않아 사용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3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트림의 빈 공간을 활용한 도어트림 수납장치(4)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수납장치(4)는 도어트림 중앙부의 빈 공간을 수납공간으로 활용한 것으로, 수납도어(10) 및 수납공간(40)으로 구성된다.
수납공간(40)은 외측을 향해 함몰된 구조로 형성되어 다양한 물품을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수납공간(40)의 개방구멍 가장자리에는 다수 개의 걸림홈(42)이 형성되어 있어 도어 폐쇄 시 수납도어(10)가 폐쇄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수납도어(10)는 가로가 긴 직사각 형태로 수납공간(40)을 개폐할 수 있도록 고정 설치되며, 여닫이 도어부(20)와 미닫이 도어부(30)로 구성된다.
여닫이 도어부(20)는 도어 좌측의 경첩(21)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이에 의해 차량 내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다.
또한 미닫이 도어부(30)는 여닫이 도어부(20)와 나란하게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여닫이 도어부(20)에 설치되며, 미닫이 도어부(30)가 여닫이 도어부(20)에 일부 겹쳐지도록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여닫이 도어부(20)의 우측 상부와 하부에는 여닫이 도어부(20)에 직각으로 두 번 절곡되어 형성된 지지부(22)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미닫이 도어부(30)의 좌측 상부 및 하부가 여닫이 도어부(20)의 지지부(22) 안쪽으로 인입되도록 설치되어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수납공간(40) 가장자리에는 가이드리브(4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미닫이 도어부(30)의 슬라이드 이동 시 미닫이 도어부(30)가 이동면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여닫이 도어부(20) 상면에는 다수 개의 걸림돌기(23)가 형성되어 있어 수납도어(10)의 폐쇄 시 수납공간(40) 가장자리의 다수 개의 걸림홈(42)과 결합되어 수납도어(10)가 수납공간(40)의 개구된 부분에 고정된다.
미닫이 도어부(30)의 우측에는 손잡이(32)가 형성되어 있어 손잡이(32)를 밀거나 잡아당겨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미닫이 도어부가 한 개로 구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 내부 공간의 크기나 용도에 따라 미닫이 도어부의 개수를 2개 이상으로 중첩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트림의 빈 공간을 활용한 도어트림 수납장치(4)는 이하 도 4의 작동 과정에 대한 설명을 통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도 4(a)는 도어트림 수납장치(4)에서 수납도어(10)가 완전히 닫혀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때, 도어를 열기 위해 미닫이 도어부(30)의 손잡이(32)를 좌측으로 밀면, 여닫이 도어부(20)가 미닫이 도어부(30)에 형성된 가이드레일(31)의 내부 공간을 타고 이동하면서, 도 4(b)와 같이 미닫이도어가 좌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여닫이 도어부(20)로 인입된다.
이 때, 미닫이 도어부(30)의 우측에는 걸림턱(33)이 형성되어 있어 미닫이 도어부(30)가 소정 너비 이상 개방되는 경우, 여닫이 도어부(20)의 지지부(22)와 맞닿아 더 이상 개방되지 않도록 한다.
이는 작은 크기의 물품(예를 들어, 영수증이나 톨게이트 티켓 등)을 수납할 때 도어 전체를 열지 않고 간편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여닫이 도어부(20)가 닫힌 상태에서 미닫이 도어부(30)를 소정 너비만큼만 개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미닫이 도어부(30)와 여닫이 도어부(20)가 겹쳐진 상태에서 4(c)와 같이 여닫이 도어부(20)를 힌지를 중심으로 개방하면, 지지부(22)에 의해 지지되는 미닫이 도어부(30)가 여닫이 도어부(20)와 함께 회동되면서 수납장치 전체가 개방되어 넓은 출입구가 확보된다. 이와 같이 여닫이 도어부(20)를 경첩(2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방하는 경우에는 도어가 넓게 확보되어 크기가 큰 물건을 꺼내거나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미닫이 도어부(30)가 여닫이 도어부(20)와 겹쳐진 상태에서 개방되므로 그 회전반경이 작아져 차량의 내부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트림의 빈 공간을 활용한 도어트림 수납장치에 의하면 도어트림 중앙부의 빈 공간을 수납공간으로 활용함으로써 차량 내부공간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추가적인 수납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납장치는 도어를 완전하게 개방시키지 않고서도 미닫이 도어를 통해 소정 크기의 작은 물건(예를 들어, 영수증이나 톨게이트 티켓 등)을 간단하게 수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납장치는 여닫이도어의 회전반경을 줄여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납장치는 도어트림의 중앙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차량의 운전자와 매우 근접하여 운전 중에도 쉽게 물건을 수납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도어트림
2: 암레스트
3: 하부 수납공간
4: 수납장치
10: 수납도어
20: 여닫이 도어부
21: 경첩
22: 지지부
23: 걸림돌기
30: 미닫이 도어부
31: 가이드레일
32: 손잡이
33: 걸림턱
40: 수납공간
41: 가이드리브
42: 걸림홈

Claims (3)

  1. 도어트림 중앙부의 빈 공간에 외측을 향해 함몰된 구조로 형성된 수납공간; 및
    상기 수납공간의 전방 개구된 부분에 설치되며 경첩에 의해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여닫이 도어부와, 상기 여닫이 도어부에 설치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형성된 미닫이 도어부로 구성된 수납도어;를
    포함하는 도어트림의 빈 공간을 활용한 도어트림 수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닫이 도어부는 걸림수단에 의해 수납공간의 개구된 부분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트림의 빈 공간을 활용한 도어트림 수납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여닫이 도어부가 상기 걸림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닫힌 상태에서 미닫이 도어부만 슬라이드 개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트림의 빈 공간을 활용한 도어트림 수납장치.
KR1020210086392A 2021-07-01 2021-07-01 도어트림의 빈 공간을 활용한 도어트림 수납장치 Ceased KR202300055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392A KR20230005546A (ko) 2021-07-01 2021-07-01 도어트림의 빈 공간을 활용한 도어트림 수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392A KR20230005546A (ko) 2021-07-01 2021-07-01 도어트림의 빈 공간을 활용한 도어트림 수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5546A true KR20230005546A (ko) 2023-01-10

Family

ID=84893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392A Ceased KR20230005546A (ko) 2021-07-01 2021-07-01 도어트림의 빈 공간을 활용한 도어트림 수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554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4720A (en) Releasable double-hinge device for an automobile console box
US20170267183A1 (en) Vehicle armrest assembly
US10773652B2 (en) Vehicle interior component
KR20230005546A (ko) 도어트림의 빈 공간을 활용한 도어트림 수납장치
CN109070808B (zh) 用于车辆内部的储藏隔室
JP2010254233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5551453B2 (ja) オーバーヘッドコンソール
JP2000103289A (ja) 自動車の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3968072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装置
JPH09169243A (ja) 自動車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6657023B2 (ja) リッドのロック機構
KR20120041015A (ko) 자동차 트레이용 이중 걸림 장치
KR101126903B1 (ko) 차량 내 수납 공간
JPH0520605Y2 (ko)
KR100857707B1 (ko) 차량의 커버링 쉘프 개폐체
US20230295967A1 (en) Cov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ing sliding and rotation
JP6669086B2 (ja) 車両バックドア及び車両後部構造
US7017979B1 (en) Door opening apparatus for a storage compartment door
JP2715366B2 (ja) 自動車用トランクの物入れ装置
JPH11171049A (ja) 車両荷箱の扉構造
JP2005306134A (ja) グローブボックス構造
JPH11196943A (ja) スライド式蝶番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収納用具
KR200155980Y1 (ko) 자동차의 접이식 열쇠 보관함
KR101535082B1 (ko) 차량용 도어트림의 포켓
JP3878620B2 (ja) ボックスの開閉扉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06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12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