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4597A - 신경퇴행성질환 치료제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경퇴행성질환 치료제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04597A KR20230004597A KR1020227039465A KR20227039465A KR20230004597A KR 20230004597 A KR20230004597 A KR 20230004597A KR 1020227039465 A KR1020227039465 A KR 1020227039465A KR 20227039465 A KR20227039465 A KR 20227039465A KR 20230004597 A KR20230004597 A KR 202300045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k
- inhibitor
- treatment
- concentration
- biomarker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0000004770 neurodegenera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08000015122 neurodegenerative disease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0
- 229940124597 therapeutic agent Drug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9000000090 biomark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9
- 102100031480 Dual specificity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kinase 1 Human gen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2
- 101710146526 Dual specificity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kinase 1 Protein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2
- 239000003112 inhibi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9
- 239000012472 biological sampl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102000004264 Osteopontin Human gen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108010081689 Osteopontin Protein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101710095339 Apolipoprotein E Protein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102100029470 Apolipoprotein E Human gen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108090000712 Cathepsin B Protein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102000004225 Cathepsin B Human gen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102100031546 HLA class II histocompatibility antigen, DO beta chain Human gen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108010055170 Synaptotagmin I Protein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101000866281 Homo sapiens HLA class II histocompatibility antigen, DO beta chain Protein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101000979333 Homo sapiens Neurofilament light polypeptide Protein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102100023057 Neurofilament light polypeptide Human gen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102000018713 Histocompatibility Antigens Class II Human gen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108010027412 Histocompatibility Antigens Class II Protein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102000001317 Synaptotagmin I Human genes 0.000 claims abstract 4
- LIRYPHYGHXZJBZ-UHFFFAOYSA-N trametinib Chemical group CC(=O)NC1=CC=CC(N2C(N(C3CC3)C(=O)C3=C(NC=4C(=CC(I)=CC=4)F)N(C)C(=O)C(C)=C32)=O)=C1 LIRYPHYGHXZJB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0
- 229960004066 trametinib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55
- 210000002381 plasma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08000024827 Alzheimer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10000001175 cerebrospinal fluid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06010002026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08000002320 spinal muscular atrophy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08000010877 cognitive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08000027061 mild cognitive impairment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10000004126 nerve fiber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7
- 108090000765 processed proteins & peptides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08000008675 hereditary spastic paraplegia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01000006417 multiple scleros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01000002241 progressive bulbar palsy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01000008752 progressive muscular atrophy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102000004232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Kinases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108090000744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Kinases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10000002966 serum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5
- 206010012289 Dementia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2634 frag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1000010901 lateral scleros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8000005264 motor neuron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10000003819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4
- 108091023037 Aptamer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06010008025 Cerebellar ataxia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08000011990 Corticobasal Degeneration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08000023105 Huntington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08000009829 Lewy Body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01000002832 Lewy body dementia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08000001089 Multiple system atrophy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08000018737 Parkinson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08000032319 Primary lateral scleros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06010046298 Upper motor neurone lesion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01000004810 Vascular dementia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01000002212 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01000000196 pseudobulbar palsy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1410 Microfib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3658 micro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1000011240 Frontotemporal dementia Diseases 0.000 claims 2
- 208000002033 Myoclonus Diseases 0.000 claims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46
- 238000011818 5xFAD mouse Methods 0.000 description 37
- 239000003981 veh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7
- ADEBPBSSDYVVLD-UHFFFAOYSA-N donepezil Chemical compound O=C1C=2C=C(OC)C(OC)=CC=2CC1CC(CC1)CCN1CC1=CC=CC=C1 ADEBPBSSDYVVL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4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0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7
- 241000699666 Mus <mouse, genus> Species 0.000 description 14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4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4
- 229960003530 donepezil Drugs 0.000 description 12
- 102100036417 Synaptotagmin-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1
- 241000699670 Mus sp. Species 0.000 description 10
- 101710168942 Sphingosine-1-phosphate phosphatase 1 Proteins 0.000 description 10
- 102100030684 Sphingosine-1-phosphate phosphatase 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0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10
- 210000002569 neuron Anatomy 0.000 description 10
- 229940124647 MEK inhibitor Drugs 0.000 description 7
- 101150070676 SYT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210000003710 cerebral cortex Anatomy 0.000 description 7
- 108020004999 messenger RNA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102000003137 synaptotagm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6
- 108060008004 synaptotagmin Proteins 0.000 description 6
- IAZDPXIOMUYVGZ-UHFFFAOYSA-N Dimethylsulphoxide Chemical compound CS(C)=O IAZDPXIOMUYVG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965 ELISA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8157 ELISA ki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102000043136 MAP kinase family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
- 108091054455 MAP kinase family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559 RNA-seq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354 dail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0274 microglia Anatomy 0.000 description 4
- RDSACQWTXKSHJT-NSHDSACASA-N n-[3,4-difluoro-2-(2-fluoro-4-iodoanilino)-6-methoxyphenyl]-1-[(2s)-2,3-dihydroxypropyl]cyclopropane-1-sulfonamide Chemical compound C1CC1(C[C@H](O)CO)S(=O)(=O)NC=1C(OC)=CC(F)=C(F)C=1NC1=CC=C(I)C=C1F RDSACQWTXKSHJT-NSHDSACA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361 pathwa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QTBSBXVTEAMEQO-UHFFFAOYSA-N 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102100023266 Dual specificity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kinase 2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1710146529 Dual specificity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kinase 2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LYCAIKOWRPUZTN-UHFFFAOYSA-N 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 LYCAIKOWRPUZT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WSFSSNUMVMOOMR-UHFFFAOYSA-N Formaldehyde Chemical compound O=C WSFSSNUMVMOOM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KFZMGEQAYNKOFK-UHFFFAOYSA-N Isopropanol Chemical compound CC(C)O KFZMGEQAYNKOF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1 PD0325901 Chemical compound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27 anti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08091007433 antigen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2000036639 antige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556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719 b-lymph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787 dendrit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40088598 enzyme Drug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132 lysoso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949 mass spectr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25 microgl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5036 nerv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537 neu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518 presynap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002 quant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28327 se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453 solv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08091032973 (ribonucleotides)n+m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1150037123 APOE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1150020966 Acta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1600129809 Aplysia californica Synaptotagmin-1 (isoform 2)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740 C57BL/6 mous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01150064066 CTSL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100032215 Cathepsin 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1150004620 Cebpb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1100216294 Danio rerio apoeb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KCXVZYZYPLLWCC-UHFFFAOYSA-N EDTA Chemical compound OC(=O)CN(CC(O)=O)CCN(CC(O)=O)CC(O)=O KCXVZYZYPLLWC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01150077503 Fabp5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8091007767 MALAT1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1150009249 MAP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364 MAPK/ERK pathwa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102100024193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AMQJEAYHLZJPGS-UHFFFAOYSA-N N-Pentanol Chemical compound CCCCCO AMQJEAYHLZJPG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01150020237 PTGDS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529 RT qPC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08700013394 SOD1 G93A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831 SOD1-G93A transgenic mous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QAOWNCQODCNURD-UHFFFAOYSA-N Sulfuric acid Chemical compound OS(O)(=O)=O QAOWNCQODCNUR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01150006925 Syngr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29 autophagosome-lysosome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124 body flui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5013 brain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MVPPADPHJFYWMZ-UHFFFAOYSA-N chlorobenzene Chemical compound ClC1=CC=CC=C1 MVPPADPHJFYWM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68 control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85 corn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687 corn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54 cor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443 dendritic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69 different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984 electrochemiluminescence immuno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43 fluorescence-activated cell sor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68 gen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6602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20004445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991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PHTQWCKDNZKARW-UHFFFAOYSA-N isoamylol Chemical compound CC(C)CCO PHTQWCKDNZKAR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540 macrophag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552 multiple reaction monit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241 neurit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01 novel bio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248 oligodendroglia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188 paraffin wa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5 pharmacodynam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92 prognostic bio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50008933 refametinib Drug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9491 signal trans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174 single-cell RNA sequenc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329 smooth muscle my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509 sodium ci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RWEVIPRMPFNTLO-UHFFFAOYSA-N 2-(2-fluoro-4-iodoanilino)-N-(2-hydroxyethoxy)-1,5-dimethyl-6-oxo-3-pyridine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CN1C(=O)C(C)=CC(C(=O)NOCCO)=C1NC1=CC=C(I)C=C1F RWEVIPRMPFNTL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WBHETKCLVMNFS-UHFFFAOYSA-N 4',6-Diamino-2-phenylindol Chemical compound C1=CC(C(=N)N)=CC=C1C1=CC2=CC=C(C(N)=N)C=C2N1 FWBHETKCLVMNF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1800000263 Acidic prote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100035785 Acyl-CoA-binding prote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03 Alexa Fluor 488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8700028369 Allel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100455868 Arabidopsis thaliana MKK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3445 Ascit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83 B-27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6542 Bulbar pals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2110 C2 doma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50009459 C2 doma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150112561 CD36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100454129 Caenorhabditis elegans ksr-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11 Cathepsin 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91007854 Cdh1/Fizzy-related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38594 Cdh1/Fizzy-related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1150106726 Cnr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5927 Cysteine Prote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05843 Cysteine Prote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10039287 Diazepam Binding Inhibitor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818 Disease progres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86 ELISA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08700039887 Essential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150069820 GLRA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150030215 Gabrr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150007480 Glp1r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150022990 Grin2b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150103102 Grin3b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710126860 HLA class II histocompatibility antigen, DO beta cha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150049125 HLA-DOB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150003946 HNRNPA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150038556 HSPA1L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000869031 Homo sapiens Cathepsin 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000613820 Homo sapiens Osteopon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000617536 Homo sapiens Presenilin-1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000703512 Homo sapiens Sphingosine-1-phosphate phosphatase 1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10001336 Horseradish Peroxid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60003951 Immunoglobul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8394 Immunoglobulin Fragment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21625 Immunoglobulin Fragment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100034343 Integr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1150058224 MIF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29749 Microtubul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1022875 Microtubul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100518662 Mus musculus Pla2g4c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100309602 Mus musculus Scd4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VIUAUNHCRHHYNE-JTQLQIEISA-N N-[(2S)-2,3-dihydroxypropyl]-3-(2-fluoro-4-iodoanilino)-4-pyridine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OC[C@@H](O)CNC(=O)C1=CC=NC=C1NC1=CC=C(I)C=C1F VIUAUNHCRHHYNE-JTQLQIEI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28389 Nerve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1150100944 Nos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150036780 OPRM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526 Papa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1487 Perilipin-4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68636 Perilipin-4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590 Peripher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03081 Peripher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6010057249 Phagocyt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1150017996 Ppp3r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100022033 Presenilin-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6790 Productive coug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65 Prote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29485 Protein Isoform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1708 Protein Isoform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26552 Proteom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10092799 RNA-directed DNA polymer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7056 Recombinant Fusion Prote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08281 Recombinant Fusion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744 T-lymph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01150013568 US16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94 aberr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71 animal model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8 anti-peptid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0741 antigen processing and pres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12 antigen-presenting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31 assay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130 astr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67 autonom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886 autopha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050 axo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ACWZRVQXLIRSDF-UHFFFAOYSA-N binimetinib Chemical compound OCCONC(=O)C=1C=C2N(C)C=NC2=C(F)C=1NC1=CC=C(Br)C=C1F ACWZRVQXLIRSD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12 biological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03 bodily secretio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072 bone remode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958 brain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899 c-terminal regio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85 cell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12 characteriz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53 chemical reaction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99 chemotac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20 cognitive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737 colorimetric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99 complementary DN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26 confocal ima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805 cytoplas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92 cytoskeleto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04 diagnostic bio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5 dilu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750 disease prog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647 drug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2202 endocyto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511 endothel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8023 exocyto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723 extracellular spa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84 flow cyt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58 free b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ZDXPYRJPNDTMRX-UHFFFAOYSA-N glutamine Natural products OC(=O)C(N)CCC(N)=O ZDXPYRJPNDTMR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8010043438 glycine receptor alpha3 subunit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150002245 grin2a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5787 hematologic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200 hematopoietic and lymphoid system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73071 hepatocellular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844 hepatocellular carcinoma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40 heter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02000051312 human SPP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77 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016 hypothalamu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865 immune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00 immun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60 immunoelectrophore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6 immunofluoresc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125 immunofluorescent labe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02000018358 immunoglobul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44 immunost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38 in vitro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27 in vivo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534 incub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8709 inflammatory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834 intra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265 leuk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56 lipid metabol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01150062900 lpl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880 lymph flui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712 lysosom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68 lysosom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9 mass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91 measur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42 median eminen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172 membrane traffic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32 microfilamen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688 microtubu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38 mitochond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64 nerve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178 neural stem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44 neurofilamen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189 neuro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887 neuro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440 neutrophi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LYGJENNIWJXYER-UHFFFAOYSA-N nitromethane Chemical compound C[N+]([O-])=O LYGJENNIWJXYE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55729 papa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834 papa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75 path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47 perce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412 per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68 peri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259 peripheral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86 peripheral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47 peripher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82 phagocyto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470 plasma concen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910 pleural flui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08091033319 polynucleotid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40430 polynucleotid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57 polynucleot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96 processed proteins & peptid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908 prostatic flui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31 protein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30 protein immuno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11 protein immunost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2 regene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3 responsive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39 reverse transcri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96 saliv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118 sandwich ELISA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152 sensory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91 soa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NLJMYIDDQXHKNR-UHFFFAOYSA-K sodium citrate Chemical compound O.O.[Na+].[Na+].[Na+].[O-]C(=O)CC(O)(CC([O-])=O)C([O-])=O NLJMYIDDQXHKNR-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083 sodium cit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15 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0 sol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1150063780 spp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802 sput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794 sputu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46 synap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504 synaptic vesi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78 temporal lob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6010056873 tertiary syphil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4598 therapeutic candid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560 therapeutic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797 therapeutic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HRXKRNGNAMMEHJ-UHFFFAOYSA-K trisodium citrate Chemical compound [Na+].[Na+].[Na+].[O-]C(=O)CC(O)(CC([O-])=O)C([O-])=O HRXKRNGNAMMEHJ-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63 trisodium cit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38773 trisodium citr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43 type IV intermediate filamen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62 western blot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004—Screening or testing of compounds for diagnosis of disorders, assessment of conditions, e.g. renal clearance, gastric emptying, testing for diabetes, allergy, rheuma, pancreas func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enzymes or isoenzym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93—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related to disea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N33/6896—Neurological disorders, e.g. Alzheimer's disease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06—Pharmacogenomics, i.e. genetic variability in individual responses to drugs and drug metabolism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8—Expression marke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90—Enzymes; Proenzymes
- G01N2333/914—Hydrolases (3)
- G01N2333/948—Hydrolases (3) acting on peptide bonds (3.4)
- G01N2333/95—Proteinases, i.e. endopeptidases (3.4.21-3.4.99)
- G01N2333/964—Proteinases, i.e. endopeptidases (3.4.21-3.4.99) derived from animal tissue
- G01N2333/96425—Proteinases, i.e. endopeptidases (3.4.21-3.4.99) derived from animal tissue from mammals
- G01N2333/96427—Proteinases, i.e. endopeptidases (3.4.21-3.4.99) derived from animal tissue from mammals in general
- G01N2333/9643—Proteinases, i.e. endopeptidases (3.4.21-3.4.99) derived from animal tissue from mammals in general with EC number
- G01N2333/96466—Cysteine endopeptidases (3.4.22)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28—Neurological disorde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52—Predicting or monitoring the response to treatment, e.g. for selection of therapy based on assay results in personalised medicine; Progn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Zo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경퇴행성질환으로 진단받은 개체에게서 MEK 1/2 억제제로의 치료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는 방법 및 그러한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방법은 신경퇴행성질환 개체로부터 얻은 생물학적 시료에서 오스테오폰틴(osteopontin), 시냅토태그민-1(synaptotagmin-1), 아포지단백-E(apolipoprotein-E), 카텝신 B(cathepsin B), HLA-DOB (HLA 클래스 II 조직적합성 항원 DO 베타 체인), 및 미세신경섬유 경쇄(neurofilament light chai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신경퇴행성질환으로 진단받은 개체에게서 MEK 1/2 억제제에 대한 반응을 모니터링하여, 치료 효과의 가능성을 조기에 판단하고 약물 치료를 지속할 것인지 용량의 조절이 필요한 지를 판단하는 등 개체의 관리에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경퇴행성질환으로 진단받은 개체에게서 MEK 1/2 억제제로의 치료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 및 그러한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이오마커는 특정 질병에서 정상 또는 병적인 상태를 구분하거나 또는 약물에 대한 치료 반응을 예측하거나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생체 지표이다. 바이오마커는 그 활용에 따라 병의 유무를 검출하여 진단하기 위한 진단 바이오마커(diagnostic biomarker), 환자에게서 특정한 임상 사건의 발생, 질병의 재발 또는 진행을 예상하기 위한 예후 바이오마커(prognostic biomarker), 환자에게서 치료 반응을 예측하기 위한 예측 바이오마커(predictive biomarker), 치료제를 투여한 환자에게서 생물학적 반응이 일어났음을 보여주는 약력학 또는 반응 바이오마커(Pharmacodynamic/Response biomarker)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성공 가능성이 매우 낮은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신경퇴행성 질환의 치료제를 개발함에 있어서는 임상시험 단계에서부터 시험 대상자 선별, 후보 약물이 타깃에 작용하는 지의 증명, 질병이 근본적으로 치료되었음을 뒷받침하는 증거 생성, 부작용의 모니터링 등에 사용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에 대한 요구가 크며, 이를 통해 치료제 개발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트라메티닙(trametinib)은 MAPK/ERK 신호전달경로 중 ERK의 상위단계 분자인 MEK1과 MEK2를 모두 억제하는 MEK1/2 억제제로서, 상품명 MEKINIST®, 매큐셀®로 흑색종 및 비소세포암 등에 항암제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트라메티닙이 알츠하이머병, 근위축성측삭경화증(ALS) 등을 비롯한 신경퇴행성질환의 효과적인 치료제 후보 물질로서 제시된 바 있다(PCT/KR2017/013444, PCT/KR2020/006680, US16/880894). 구체적으로, 트라메티닙은 신경줄기세포를 신경세포로 분화시켜서 신경세포의 신생을 유도하고 신경독성 물질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오토파지-라이소좀(autophagic lysosome) 기능의 활성화를 통해 신경세포를 보호한다. 알츠하이머 모델 마우스인 5XFAD와 ALS 모델 마우스인 SOD1-G93A (B6SJL-Tg(SOD1-G93A)1Gur/J)에서도 그 효과가 확인되었다.
트라메티닙을 비롯한 MEK 1/2 억제제를 신경퇴행성질환 치료제로 적용함에 있어서, 개체의 체내에서 약물에 대한 노출에 반응하여 변화되는 바이오마커가 존재한다면 치료 효과의 가능성을 조기에 판단하고, 약물 치료를 지속할 것인지 용량의 조절이 필요한 지를 판단하는 등 개체의 관리에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알츠하이머병 모델 마우스인 5XFAD에서 트라메티닙 투여에 따라 민감하게 변화하는 생물지표를 발굴하여 MEK 1/2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퇴행성질환 치료제에 의한 치료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는 예측 바이오마커 또는 약력학 또는 반응 바이오마커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은 신경퇴행성질환으로 진단받은 개체에게서 MEK 1/2 억제제로의 치료에 대한 반응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치료 동안 또는 치료 후의 한 번 또는 그 이상의 시점에서 얻은 신경퇴행성질환 개체의 생물학적 시료에서 오스테오폰틴(osteopontin), 시냅토태그민-1(synaptotagmin-1), 아포지단백-E(apolipoprotein-E), 카텝신 B(cathepsin B), HLA-DOB (HLA 클래스 II 조직적합성 항원 DO 베타 체인), 및 미세신경섬유 경쇄(neurofilament light chai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바이오마커의 농도 수준이나 그 변동으로부터 MEK 1/2 억제제로의 치료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기 위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측정된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농도를 MEK 1/2 억제제로의 치료 전에 얻은 상기 개체의 생물학적 시료 및/또는 해당 신경퇴행성질환이 없는 건강한 개체의 생물학적 시료에서의 상기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농도와 비교할 수 있다. MEK 1/2 억제제로의 치료 전에 얻은 상기 개체의 생물학적 시료 또는 해당 신경퇴행성질환이 없는 건강한 개체의 생물학적 시료에서의 상기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농도에 비한, MEK 1/2 억제제로의 치료 동안 또는 치료 후에 얻은 상기 개체의 생물학적 시료에서의 상기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농도 변화 또는 차이가 MEK 1/2 억제제로의 치료에 대한 개체의 반응을 나타낸다. 상기 방법에서 제공되는 상기 정보는 MEK 1/2 억제제의 추후 투약 용량이나 기간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 제공되는 상기 정보는 추후 MEK 1/2 억제제의 투약을 지속하거나 중단하는 것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신경퇴행성질환 개체에게서 MEK 1/2 억제제로의 치료에 대한 반응을 예측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치료 동안 또는 치료 후의 한 번 또는 그 이상의 시점에서 얻은 신경퇴행성질환 개체의 생물학적 시료에서 오스테오폰틴, 시냅토태그민-1, 아포지단백-E, 카텝신 B, HLA-DOB, 및 미세신경섬유 경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바이오마커의 농도를 기초로 상기 개체의 MEK 1/2 억제제로의 치료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바이오마커의 농도 수준이나 그 변동으로부터 MEK 1/2 억제제로의 치료에 대한 반응을 평가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MEK 1/2 억제제의 추후 투약 용량이나 기간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추후 MEK 1/2 억제제의 투약을 지속하거나 중단하는 것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료에 대한 반응의 평가는 MEK 1/2 억제제로의 치료 전에 얻은 상기 개체의 생물학적 시료에서의 상기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농도와 비교하여, MEK 1/2 억제제로의 치료 동안 또는 치료 후에 얻은 상기 개체의 생물학적 시료에서의 상기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농도에서 변화를 보이는 경우, 상기 개체를 MEK 1/2 억제제로의 치료에 대해 반응을 나타내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치료에 대한 반응의 평가는 MEK 1/2 억제제로의 치료 동안 또는 치료 후에 얻은 상기 개체의 생물학적 시료에서의 상기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농도를 해당 신경퇴행성질환이 없는 건강한 개체의 생물학적 시료에서의 상기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농도와 비교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비교 결과 MEK 1/2 억제제로의 치료 전과 비교하여 치료 동안 또는 치료 후에 상기 건강한 개체에서의 바이오마커 농도와의 차이가 적어지는 경우, MEK 1/2 억제제로의 치료에 유익한 반응을 나타내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신경퇴행성질환 개체로부터 얻은 생물학적 시료에서 오스테오폰틴, 시냅토태그민-1, 아포지단백-E, 카텝신 B, HLA-DOB, 및 미세신경섬유 경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농도에 변화를 유도하는 1일 유효 용량으로 MEK 1/2 억제제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신경퇴행성질환의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생물학적 시료는 MEK 1/2 억제제의 투여 후에 얻어진다. 일 측면에서, 생물학적 시료는 MEK 1/2 억제제의 투여 시작 후 여러 시점에서 얻어진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MEK 1/2 억제제를 투여하기 전에 개체로부터 얻은 생물학적 시료에서 상기 바이오마커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측면에서, MEK 1/2 억제제로의 치료에 대한 반응의 평가는 (a) MEK 1/2 억제제의 투여 후에 얻은 개체의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농도를 측정하고, (b) 그 농도를 투여 전에 얻은 개체의 생물학적 시료에서의 상기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농도와 비교하거나, 또는 (c) 그 농도를 해당 신경퇴행성질환이 없는 건강한 개체의 생물학적 시료에서의 상기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농도와 비교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신경퇴행성질환 개체에게서 MEK 1/2 억제제로의 치료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오스테오폰틴, 시냅토태그민-1, 아포지단백-E, 카텝신 B, HLA-DOB, 및 미세신경섬유 경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로브(probe)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브는 상기 바이오마커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앱타머(aptamer), 펩타이드, 항체 또는 이의 단편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경퇴행성질환으로 진단받은 개체에게서 MEK 1/2 억제제로의 치료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여, 치료 효과의 가능성을 조기에 판단하고 약물 치료를 지속할 것인지 용량의 조절이 필요한 지를 판단하는 등 개체의 관리에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면에서 “Veh”는 비히클 투여군, “Tra 0.05”, “Tra 0.1”, “Tra 0.2”는 각각 트라메티닙 0.05, 0.1 및 0.2 mg/kg/일 투여군, “Don”은 도네페질 투여군, “Don+Tra0.1”은 도네페질과 트라메티닙 0.1 mg/kg/일 병용 투여군을 의미한다.
도 1은 야생형 및 8 개월령 5XFAD 마우스 대뇌피질과 13 개월령 5XFAD 마우스 뇌에서 트라메티닙 투여에 따른 Spp1의 mRNA 발현 수준을 비교한 것이다(n=2~3/군).
도 2는 야생형, 8 개월령 5XFAD 마우스 및 13 개월령 5XFAD 마우스의 혈장에서 트라메티닙 및/또는 도네페질의 투여에 따른 오스테오폰틴 농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P<0.05: 5XFAD-Veh vs. Tra 0.1, n=6~7/군.
도 3은 야생형 및 8 개월령 5XFAD 마우스의 혈장에서 트라메티닙 및/또는 도네페질의 투여에 따른 시냅토태그민-1의 농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P<0.05: 5XFAD-Veh vs. Don+Tra0.1, n=6~7/군.
도 4는 야생형 및 8 개월령 5XFAD 마우스의 혈장에서 트라메티닙 및/또는 도네페질의 투여에 따른 아포지단백-E의 농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P<0.01: 5XFAD-Veh vs. Tra 0.2; *P<0.05: 5XFAD-Veh vs. Don+Tra0.1, n=6~7/군.
도 5는 야생형과 8 개월령 5XFAD 마우스의 혈장에서 트라메티닙 또는 도네페질 투여에 따른 카텝신 B의 농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P<0.05: 5XFAD-Veh vs. Tra 0.1, 5XFAD-Veh vs. Don, n=6~7/군.
도 6은 13 개월령 5XFAD 마우스의 혈장에서 트라메티닙 투여에 따른 카텝신 B의 농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야생형, 8 개월령 5XFAD 마우스 및 13 개월령 5XFAD 마우스 혈장에서 트라메티닙 투여에 따른 미세신경섬유 경쇄 농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P<0.05: 5XFAD-Veh vs. Tra 0.1, n=6~7/군.
도 8은 야생형 및 8개월령 5XFAD 마우스 대뇌피질에서 트라메티닙 및/또는 도네페질의 투여에 의한 덴드라이트(dendrite) 길이의 변화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덴드라이트 마커인 Map2에 대한 항체를 이용한 면역형광염색 결과의 사진이다.
도 9는 도 8에서 덴드라이트의 길이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p<0.005: WT-Veh vs. 5XFAD-Veh, #p<0.005: 5XFAD-Veh vs. Don, ##p<0.005: 5XFAD-Veh vs. Tra 0.05, ###p<0.001: 5XFAD-Veh vs. Tra 0.1, Tra 0.2 또는 Don+Tra 0.1, n=3/군.
도 10은 7주령의 일반 마우스 대뇌피질에서 트라메티닙 0.1mg/kg/일 투여에 따라 1, 2, 3, 4주차에서의 발현변화를 보이는 유전자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야생형과 8 개월령 5XFAD 마우스의 대뇌피질에서 트라메티닙 투여에 따른 H2-Ob의 mRNA 발현 수준을 비교한 것이다.
도 1은 야생형 및 8 개월령 5XFAD 마우스 대뇌피질과 13 개월령 5XFAD 마우스 뇌에서 트라메티닙 투여에 따른 Spp1의 mRNA 발현 수준을 비교한 것이다(n=2~3/군).
도 2는 야생형, 8 개월령 5XFAD 마우스 및 13 개월령 5XFAD 마우스의 혈장에서 트라메티닙 및/또는 도네페질의 투여에 따른 오스테오폰틴 농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P<0.05: 5XFAD-Veh vs. Tra 0.1, n=6~7/군.
도 3은 야생형 및 8 개월령 5XFAD 마우스의 혈장에서 트라메티닙 및/또는 도네페질의 투여에 따른 시냅토태그민-1의 농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P<0.05: 5XFAD-Veh vs. Don+Tra0.1, n=6~7/군.
도 4는 야생형 및 8 개월령 5XFAD 마우스의 혈장에서 트라메티닙 및/또는 도네페질의 투여에 따른 아포지단백-E의 농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P<0.01: 5XFAD-Veh vs. Tra 0.2; *P<0.05: 5XFAD-Veh vs. Don+Tra0.1, n=6~7/군.
도 5는 야생형과 8 개월령 5XFAD 마우스의 혈장에서 트라메티닙 또는 도네페질 투여에 따른 카텝신 B의 농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P<0.05: 5XFAD-Veh vs. Tra 0.1, 5XFAD-Veh vs. Don, n=6~7/군.
도 6은 13 개월령 5XFAD 마우스의 혈장에서 트라메티닙 투여에 따른 카텝신 B의 농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야생형, 8 개월령 5XFAD 마우스 및 13 개월령 5XFAD 마우스 혈장에서 트라메티닙 투여에 따른 미세신경섬유 경쇄 농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P<0.05: 5XFAD-Veh vs. Tra 0.1, n=6~7/군.
도 8은 야생형 및 8개월령 5XFAD 마우스 대뇌피질에서 트라메티닙 및/또는 도네페질의 투여에 의한 덴드라이트(dendrite) 길이의 변화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덴드라이트 마커인 Map2에 대한 항체를 이용한 면역형광염색 결과의 사진이다.
도 9는 도 8에서 덴드라이트의 길이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p<0.005: WT-Veh vs. 5XFAD-Veh, #p<0.005: 5XFAD-Veh vs. Don, ##p<0.005: 5XFAD-Veh vs. Tra 0.05, ###p<0.001: 5XFAD-Veh vs. Tra 0.1, Tra 0.2 또는 Don+Tra 0.1, n=3/군.
도 10은 7주령의 일반 마우스 대뇌피질에서 트라메티닙 0.1mg/kg/일 투여에 따라 1, 2, 3, 4주차에서의 발현변화를 보이는 유전자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야생형과 8 개월령 5XFAD 마우스의 대뇌피질에서 트라메티닙 투여에 따른 H2-Ob의 mRNA 발현 수준을 비교한 것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 사용된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원에 기재된 것들과 유사하거나 동등한 임의의 방법 및 물질이 본 발명의 실행 또는 시험에 사용될 수 있다.
정의
본 발명에서 “MEK 1/2 억제제”는 Ras-Raf-MEK-ERK의 순서로 이어지는 MAP 키나아제(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신호전달 경로('MAPK/ERK 경로'라고도 함)의 일원인 MEK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kinase; MAP2K 또는 MAPKK라고도 불림)의 서브타입 중 MEK1과 MEK2를 모두 억제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MEK 1/2 억제제는 바람직하게는 nM 수준의 IC50를 나타내고, MEK1에 대한 IC50와 MEK2에 대한 IC50의 차이가 바람직하게는 10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배 이하인 물질이다. 예를 들어 MEK 1/2 억제제는 트라메티닙(trametinib), 피마설팁(pimasertib, AS703026), AZD8330, 비니메티닙(binimetinib, MEK162, ARRY-162, ARRY-438162), 레파메티닙(refametinib, RDEA119, Bay 86-9766), PD318088, PD0325901, RO5126766이다.
MEK 1/2 억제제는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라메티닙(trametinib; GSK-1120212, GSK1120212, JTP74057, 또는 JTP-74057)이다. 트라메티닙의 화학명은 N-(3-{3-사이클로프로필-5-[(2-플루오로-4-아이오도페닐)아미노]-6,8-디메틸-2,4,7-트리옥소-3,4,6,7-테트라하이드로피리도[4,3-d]피리미딘-1(2H)-일}페닐)아세트아미드 (N-(3-{3-Cyclopropyl-5-[(2-fluoro-4-iodophenyl)amino]-6,8-dimethyl-2,4,7-trioxo-3,4,6,7-tetrahydropyrido[4,3-d]pyrimidin-1(2H)-yl}phenyl)acetamide)이다. 본 발명에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유리 염기, 또는 제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용매화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용매화물은 예를 들어 수화물, 또는 디메틸술폭시드, 아세트산, 에탄올, 니트로메탄, 클로로벤젠, 1-펜탄올, 이소프로필 알콜, 에틸렌 글리콜 및 3-메틸-1-부탄올 등의 용매화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오스테오폰틴(osteopontin; OPN)은 SPP1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는 단백질로써, secreted acidic proteins에 속한다. 뼈의 리모델링에도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지만, 특히 마크로파지, 호중구, 수지상세포, 소교세포(microglia), T/B 세포와 같은 면역 세포에서 많이 발현한다. 면역 조절자로서의 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화학주성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알츠하이머 병 환자의 뇌척수액과 혈장 혹은 혈청에서 OPN의 양이 증가되고, 특히 병의 진행정도가 심해짐에 따라 OPN의 양이 증가한다는 보고가 있다(Sun et al. Elevated osteopontin levels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Alzheimer's disease. Mediators Inflamm. 2013: 615745 (2013)). 건강한 성인의 혈장에서 보고된 오스테오폰틴의 농도는 측정 방법에 따라 31 ng/mL 내지 200 ng/mL 또는 그 이상으로 상이할 수 있는데(Salem et al. Clinical Significance of Plasma Osteopontin Level as a Biomarker of Hepatocellular Carcinoma. Gastroenterology Res. 2013 Oct; 6(5): 191-199), 최근에는 평균 330 ng/ml로 보고한 논문이 있다(Nourkami-Tutdibi et al. Plasma levels of osteopontin from birth to adulthood, Pediatr Blood Cancer. 2020; 67: e28272).
시냅토태그민(Synaptotagmin)은 N-말단 막횡단 영역(N-terminal transmembrane region), 가변적 링커, 두 개의 C-말단 C2 도메인(C2A 및 C2B)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이송(membrane-trafficking) 단백질이다. 포유류 시냅토태그민 패밀리에는 17개의 동형단백질이 존재한다. 시냅토태그민-1(Syt1)은 시냅스 세포외유출(synaptic exocytosis)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시냅스이전소포(presynaptic vesicle) 상의 단백질로서, 알츠하이머 병증이 진행되고 시냅스가 손상됨에 따라 두뇌 피질 영역에서 그 양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Blennow et al. (2018) Biomarkers for Alzheimer's disease: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 J Intern Med 284, 643-663). 1990년대에 뇌척수액에서 Syt1가 검출된 이래로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뇌척수액에서 Syt1이 높은 농도로 나타나는 것이 보고되어, 시냅토태그민의 알츠하이머병 바이오마커로서의 가능성이 제시되었다(Ohrfelt et al. (2016) The presynaptic vesicle protein synaptotagmin is a novel biomarker for Alzheimer's disease, Alzheimers Res Ther 8, 41).
아포지단백-E(Apolipoprotein-E)는 지질 대사에 관여하는 다기능적 단백질로서, 다양한 신경퇴행성질환에서 아포지단백-E의 변형이 보고되어 있다. 특히 아포지단백-E의 ε4 대립유전자(ApoE4)는 알츠하이머병의 주요한 유전적 위험 인자로 알려져 있다. ApoE4 유전자와 알츠하이머병 사이의 상관관계로 인하여 뇌척수액과 혈장 ApoE 농도를 측정하여 알츠하이머병의 바이오마커로 개발하려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카텝신 B는 30 kDa의 라이소좀 시스테인 프로테아제로서, 세포내이입(endocytosis) 또는 식세포작용(phagocytosis)를 통해 세포 밖으로부터 라이소좀 시스템으로 들어온 단백질을 분해하는 작용을 한다.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혈장 및 뇌척수액에서 카텝신 B의 농도가 상승되어 있다는 보고가 있다(Morena et al. (2017) A comparison of lysosomal enzymes expression levels in peripheral blood of mild- and severe-Alzheimer's disease and MCI patients: Implications for regenerative medicine approaches. Int J Mol Sci 18(8): 1806; Sundelof et al. (2010) Higher cathepsin B levels in plasma in Alzheimer's disease compared to healthy controls.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22: 1223-1230; Zhang et al. Quantitative proteomics of cerebrospinal fluid from patients with Alzheimer disease. J Alzheimers Dis. 2005; 7(2):125-33).
HLA-DOB는 HLA (Human Leukocyte Antigen) 클래스 II 조직적합성 항원 DO 베타 체인(HLA Class II histocompatibility antigen, DO beta chain)으로서, 인간 HLA-DOB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며 (마우스 ortholog는 H2-Ob이다), HLA 클래스 II 베타 체인 파라로그에 속한다. 이 클래스 II 분자는 막에 부착되어 있는 알파 체인(DOA)과 베타 체인(DOB)로 구성되는 헤테로다이머(heterodimer)로서 세포내 소포에 위치해 있다. 클래스 II 분자들은 항원제시세포(B 림프구, 수지상세포, 마크로파지)에서 발현된다. HLA-DOB는 B 세포에서 HLA-DM과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HLA 클래스 II 제한적 항원 제시 경로에서 중요한 조절자의 역할을 하며, HLA-DM의 펩티드 교환 활성을 변경시킨다.
미세신경섬유(neurofilaments)는 뉴론의 세포질에서 발견되는 타입 IV 중간 필라멘트로 분류되는 것으로서 직경이 10 nm 정도이고 길이가 수 마이크로미터인 단백질 폴리머이다. 미세소관(~25 nm) 및 미세필라멘트(7 nm)와 함께 뉴런의 세포골격을 형성한다. 포유류 미세신경섬유는 단백질 L (NfL), M (NfM), H (NfH), 인터넥신-알파(internexin-alpha) 및 페리페린(peripherin)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헤테로폴리머의 형태로 되어 있다. 이 중 미세신경섬유 경쇄(neurofilament light chain; NfL)는 알츠하이머병 환자에서 질병의 진행을 확인할 수 있는 유망한 체액 바이오마커로 알려져 있다.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뇌척수액과 혈장 혹은 혈청에서 NfL의 양이 증가되어 있다는 보고가 있다(Lewczuk et al. (2018) Plasma neurofilament light as a potential biomarker of neurodegeneration in Alzheimer's disease. Alzheimers Res Ther 10(1):71). 액손에 손상이 일어나면 뉴론의 신경돌기를 구성하는 미세신경섬유 경쇄 등이 세포 밖 공간으로 내보내지고, 결과적으로 뇌척수액 또는 혈장과 같은 체액에 NfL 등이 분비된다.
신경퇴행성질환은 신경세포의 기능 감소 또는 소실에 의해 운동조절능력, 인지기능, 지각기능, 감각기능 및 자율신경의 기능 이상이 일어나는 질환을 말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치매, 알츠하이머병, 혈관성치매, 전두측두엽치매, 루이소체치매, 다계통위축증, 피질기저핵변성(corticobasal degeneration), 진행성핵상마비, 헌팅턴병, 근위축성측삭경화증(루게릭병, ALS), 원발성측삭경화증, 척수근육위축병, 진행성 연수마비(progressive bulbar palsy; PBP), 진행성 근위축증(progressive muscular atrophy; PMA), 가성연수마비(pseudobulbar palsy), 유전성 강직성 하반신마비(hereditary spastic paraplegia; HSP), 소뇌성 운동실조증, 파킨슨병, 다발성경화증 (MS), 경도인지장애(MCI)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신경퇴행성질환은 바람직하게는 알츠하이머병이다.
일 예에서, 신경퇴행성질환은 MAPK/ERK 경로의 비정상적 활성화를 수반한다. 일 예에서 신경퇴행성질환은 비정상적 오토파지-라이소좀 기능이 수반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치료” 또는 “치료 반응”은 MEK 1/2 억제제의 투여에 의해 신경퇴행성질환의 의심 및 발병 개체에서 증상의 호전, 질환의 진행 지연, 신경 손상의 회복 등 질환의 의심 및 발병 개체를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개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MEK 1/2 억제제로의 치료가 수행될 수 있는 모든 개체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프로브 (probe)"는 시료 내의 검출하고자 하는 표적 분자와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하며, 상기 결합을 통하여 목적하는 분자에 특이적으로 부착되어 목적 분자를 확인 및/또는 검출하는 탐침자를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프로브의 종류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로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투여량
트라메티닙과 같은 MEK 1/2 억제제는 치료적 유효량으로 투여된다. 본 발명에서 치료적 유효량은 개체의 신경퇴행성질환을 치료 또는 완화하거나 질병의 진행을 지연시키기에 효과적인 용량이다. 일 예에서, 치료적 유효량은 알츠하이머병을 치료 또는 완화하거나 질병의 진행을 지연시키기에 효과적인 용량이다.
일 예에서, 치료적 유효량은 신경 분화를 유도하기에 충분한 용량이다. 일 예에서, 치료적 유효량은 신경 재생을 유도하기에 충분한 용량이다. 일 예에서, 치료적 유효량은 오토파지-라이소좀 활성을 유도하기에 충분한 용량이다. 일 예에서, 치료적 유효량은 오토파고좀-라이소좀 융합을 증진시키기에 충분한 용량이다.
일 예에서, 치료적 유효량은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 농도 변화를 유도하기에 충분한 용량이다. 일 예에서, 치료적 유효량은 개체에게서 얻은 생물학적 시료에서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농도 변화를 유도하기에 충분한 용량이다. 일 예에서, 바이오마커는 오스테오폰틴, 시냅토태그민-1, 아포지단백-E, 카텝신 B, HLA-DOB, 및 미세신경섬유 경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바이오마커는 트라메티닙과 같은 MEK 1/2 억제제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일 예에서, MEK 1/2 억제제는 개체의 생물학적 시료에서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농도가 MEK 1/2 억제제 투여 전 또는 투여하지 않았을 때에 비하여 0.5% 이상, 1% 이상, 1.5% 이상, 2% 이상, 2.5% 이상, 5% 이상, 10% 이상, 20% 이상, 30% 이상, 40% 이상, 50% 이상, 60% 이상, 70% 이상, 80% 이상, 90% 이상, 95% 이상, 또는 99% 이상 증가하거나 감소하게 되는 용량으로 투여한다. 일 예에서, MEK 1/2 억제제는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농도가 해당 질병이 없는 건강한 개체의 수준으로 유지되는 용량으로 투여한다.
일 예에서, 트라메티닙은 0.1 내지 2 mg/일의 용량으로 투여된다. 일 예에서, 트라메티닙은 0.2 내지 1.5 mg/일의 용량으로 투여된다. 일 예에서, 트라메티닙은 0.25 내지 1 mg/일의 용량으로 투여된다. 일 예에서, 트라메티닙은 0.25 내지 0.5 mg/일의 용량으로 투여된다. 일 예에서, 트라메티닙은 0.5 내지 1 mg/일의 용량으로 투여된다. 일 예에서, 트라메티닙은 1 내지 2 mg/일의 용량으로 투여된다. 일 예에서, 트라메티닙은 0.1 mg/일, 0.125 mg/일, 0.2 mg/일, 0.25 mg/일, 0.3 mg/일, 0.4 mg/일, 0.5 mg/일, 0.6 mg/일, 0.7 mg/일, 0.75 mg/일, 0.8 mg/일, 0.9 mg/일, 1 mg/일, 1.5 mg/일, 또는 2 mg/일의 용량으로 투여된다.
투여 기간
일 예에서, MEK 1/2 억제제는 신경 분화를 유도하기에 충분한 기간 동안 투여된다. 일 예에서, MEK 1/2 억제제는 신경 재생을 유도하기에 충분한 기간 동안 투여된다. 일 예에서, MEK 1/2 억제제는 오토파지-라이소좀 활성을 유도하기에 충분한 기간 동안 투여된다. 일 예에서, MEK 1/2 억제제는 오토파고좀-라이소좀 융합을 증진시키기에 충분한 기간 동안 투여된다.
일 예에서, MEK 1/2 억제제는 개체에게서 얻은 생물학적 시료에서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농도 변화를 유도하기에 충분한 기간 동안 투여된다. 일 예에서, 바이오마커는 오스테오폰틴, 시냅토태그민-1, 아포지단백-E, 카텝신 B, HLA-DOB, 및 미세신경섬유 경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일 예에서, 바이오마커는 트라메티닙과 같은 MEK 1/2 억제제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일 예에서, MEK 1/2 억제제는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농도가 MEK 1/2 억제제 투여 전 또는 투여하지 않았을 때에 비하여 0.5% 이상, 1% 이상, 1.5% 이상, 2% 이상, 2.5% 이상, 5% 이상, 10% 이상, 20% 이상, 30% 이상, 40% 이상, 50% 이상, 60% 이상, 70% 이상, 80% 이상, 90% 이상, 95% 이상, 또는 99% 이상 증가하거나 감소하기에 충분한 기간 동안 투여된다. 일 예에서, MEK 1/2 억제제는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농도가 해당 질병이 없는 건강한 개체의 수준으로 회복되기에 충분한 기간 동안 투여된다.
일 예에서, 개체들은 치료적 유효량의 트라메티닙을 4 주 이상 투여 받는다. 일 예에서, 트라메티닙은 5주 이상, 6주 이상, 7주 이상, 8주 이상, 9주 이상, 10주 이상 동안 투여된다. 일 예에서, 트라메티닙은 1개월 이상, 2개월 이상, 3개월 이상, 4개월 이상, 5개월 이상, 6개월 이상, 12개월 이상 동안 투여된다.
바이오마커의 검출
본 발명의 한 측면은 트라메티닙과 같은 MEK 1/2 억제제로의 치료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신경퇴행성질환 개체로부터 얻은 생물학적 시료에서 오스테오폰틴, 시냅토태그민-1, 아포지단백-E, 카텝신 B, HLA-DOB, 및 미세신경섬유 경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바이오마커의 농도 수준이나 그 변동으로부터 MEK 1/2 억제제로의 치료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기 위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 제공되는 상기 정보는 MEK 1/2 억제제의 추후 투약 용량이나 기간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 제공되는 상기 정보는 추후 MEK 1/2 억제제의 투약을 지속하거나 중단하는 것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본 발명은 개체에게서 얻은 생물학적 시료에서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이오마커의 농도 측정은 해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다양한 단백질 분석법을 사용하여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료를 상기 바이오마커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와 항체-마커 복합체가 형성되기에 충분한 조건에서 접촉시키고, 상기 복합체를 검출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바이오마커의 존재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검출할 수 있는데, 웨스턴 블로팅, 효소결합면역흡착검사(ELISA), 면역전기영동법, 단백질 면역침강법, 단백질 면역염색법, 2차원 SDS-PAGE, 형광 활성화 세포 선별(FACS), 유세포분석, 공초점 이미징(confocal imaging), 질량분석법(Mass Spectrometry)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 시료 중의 바이오마커의 농도는 고상 샌드위치 ELISA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적 바이오마커 단백질에 특이적이고 민감하게 결합하는 제1 고정 항체를 마이크로플레이트의 웰에 코팅한 후 시료를 웰에 추가하여, 시료 중의 표적 바이오마커를 고정 항체에 부착시킨다. 제2의 검출 항체를 웰에 추가하여 표적 바이오마커에 부착시킴으로써 제1 고정 항체와 제2 검출 항체 사이에 표적 바이오마커가 샌드위치 구조가 되게 한다. 제2 검출 항체에 컨쥬게이트된 효소를 통한 효소-기질 반응에 의해 표적 바이오마커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예에서, ELISA 방법이 민감도가 떨어지는 경우에는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세신경섬유 경쇄는 Simoa® (Single molecule array; Quanterix, Lexington, MA, USA) 기술을 사용하여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뇌척수액 분석과 같이 높은 민감도, 특이도, 일관성 유지가 필요한 경우에는 전기화학발광 면역분석법(ECLIA)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뇌척수액 중의 시냅토태그민-1은 문헌(Ohrfelt et al. The pre-synaptic vesicle protein synaptotagmin is a novel biomarker for Alzheimer's disease. Alzheimer's Research & Therapy (2016) 8:41)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일 예에서, 각 바이오마커의 농도는 시판 ELISA 키트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생물학적 시료 중의 오스테오폰틴 농도는 시판 Human Osteopontin ELISA kit (Immuno-Biological Laboratories Co. Ltd, Gumma, Japan 또는 Assay Designs, Inc. Ann Arbor, MI, USA 등)을 이용하여 제조자의 지시서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혈청과 뇌척수액 시료를 키트에 포함된 Assay Buffer를 이용하여 각각 1:20 및 1:50의 비율로 희석하고, 폴리클로날 N-말단 캡쳐 안티-OPN 항체(Assay Designs)로 미리 코팅된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에서 37 ℃에서 1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한다. 그 후, 플레이트를 세척하고 웰을 horseradish peroxidase로 라벨된 OPN-특이적 모노클로날 항체(Assay Designs)와 함께 4 ℃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한다. 세척 후, 웰을 테트라메틸벤지딘-H2O2 용액과 함께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한다. 1N 황산을 함유하는 용액을 첨가하여 발색 반응을 중단시킨다. 450 nm에서 광학 밀도를 측정한다. 제조자가 제공하는 인간 재조합 OPN의 표준 커브를 이용하여 OPN 농도를 계산한다.
일 예에서, 바이오마커의 농도는 질량분석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질량분석법을 이용한 단백질이나 펩티드의 정량은 예를 들어, TMT (tandem mass tags), iTRAQ (Isobaric Tags for Relative and Absolute Quantification), MRM (Multiple Reaction Monitoring), AQUA (Absolute QUAntification of proteins), SWATH (Sequential Window Acquisition of all THeoretical Mass Spectra)와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특정 표적 단백질의 절대적 농도는 heavy isotope로 라벨된 기지 농도의 참조 펩타이드 또는 단백질을 시료에 첨가(spiking-in)하는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헌[Edfors et al. Screening a Resource of Recombinant Protein Fragments for Targeted Proteomics. J. Proteome Res. 2019, 18, 2706-2718]에서와 같이 단백질 단편의 대형 라이브러리에서 적절한 표준물질을 선택하거나, SISCAPA (stable isotope standards and capture by anti-peptide antibodies) 방법을 사용한 예에서(Anderson et al. Multiplexed measurement of protein biomarkers in high-frequency longitudinal dried blood spot (DBS) samples: characterization of inflammatory responses. bioRxiv 2019, DOI: 10.1101/643239) 이 개념의 유용성이 입증되었다.
바이오마커의 농도는 다양한 시점에서 측정될 수 있고, 상이한 시점에서 측정된 양을 서로 비교할 수 있다. 시간의 경과에 따른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농도 변화는 개체에게서 MEK 1/2 억제제의 치료 효과 및/또는 치료 반응성을 결정, 모니터링 또는 예측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바이오마커의 농도는 트라메티닙과 같은 MEK 1/2 억제제를 투여한 후에 얻은 시료에서 측정한다. 시료는 MEK 1/2 억제제의 투여 시작 후에 1 이상의 다수의 시점에서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료는 MEK 1/2 억제제의 투여를 시작한 후 1주, 2주, 3주, 4주, 5주, 6주, 7주, 8주, 9주, 10주, 11주, 12주, 13주, 14주, 또는 15주 후에 1 이상의 다양한 시점에 얻을 수 있다. 일 예에서, 시료는 MEK 1/2 억제제의 투여를 시작한 후 1개월, 2개월, 3개월, 4개월, 5개월, 6개월, 9개월 또는 12개월 이후에 1 이상의 다수의 시점에서 얻을 수 있다.
일 예에서, MEK 1/2 억제제의 투여 시작 전에 얻은 대조 시료에서 바이오마커의 농도를 측정한다. 일 예에서, 해당 질병이 없는 건강한 개체로부터 얻은 시료에서 바이오마커의 농도를 측정한다. 일 예에서, MEK 1/2 억제제의 투여 후에 얻은 시료와 투여 시작 전에 얻은 대조 시료(또는 건강한 개체로부터 얻은 시료) 각각에서 측정한 바이오마커의 농도를 비교한다. 바이오마커의 농도 비교로부터 얻은 차이 및/또는 변동에 관한 정보는 MEK 1/2 억제제 치료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바이오마커의 농도는 원하는 치료 또는 질병의 지연 효과를 달성하는 데 적절한 MEK 1/2 억제제 투여의 용량과 기간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바이오마커의 분석을 수행한다. 일 예에서, 바이오마커의 농도는 추후 MEK 1/2 억제제 투여 방법을 결정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MEK 1/2 억제제의 투여 기간과 용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바이오마커의 농도는 MEK 1/2 억제제 투여 후에 유익한 효과를 얻을 가능성이 높은 개체를 선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바이오마커를 테스트하기 위한 생물학적 시료는 해당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생물학적 시료는 개체의 체액이나 분비물, 예를 들면 혈액, 뇌척수액, 요, 체 분비액, 타액, 대변, 흉수, 림프액, 객담, 복수, 전립선액, 또는 기타 다른 분비물 또는 그의 파생물을 포함한다. 혈액은 전혈, 혈장, 혈청, 말초혈액단핵세포(PBMC), 또는 혈액의 임의의 구성성분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바이오마커를 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프로브(probe)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트라메티닙과 같은 MEK 1/2 억제제로의 치료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기 위한 조성물 또는 키트가 제공된다. 일 예에서, 바이오마커 단백질을 검출할 수 있는 프로브는 상기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앱타머(aptamer), 펩타이드, 항체 또는 이의 단편일 수 있다. 이들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항체의 형태는 폴리클로날 항체 또는 모노클로날 항체를 포함하며, 모든 면역글로불린 항체가 포함된다. 상기 항체의 단편은 scFv, Fab, Fab' 및 F(ab)'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키트는 바이알, 튜브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용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획된 캐리어를 포함할 수 있고, 각 용기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별개의 요소들 중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용기 중 하나는 검출가능하게 라벨링될 수 있는 또는 라벨되어 있는 프로브를 포함한다. 프로브는 단백질 또는 mRNA에 특이적인 항체, 펩타이드 또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일 수 있다. 키트는 전형적으로 위와 같은 용기를 포함하고, 상업적 및 사용자의 관점에서 필요한 물질들, 예를 들어 버퍼, 희석제, 필터, 주사바늘, 주사기 및 사용을 위한 지시가 기재되어 있는 포장 삽입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다른 용기를 포함한다. 용기에 라벨이 부착되어 조성물이 사용되는 특수한 용도를 나타내거나 생체내 또는 시험관내 용도에 대한 지시를 나타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키트는 용기, 상기 키트 상의 라벨, 및 상기 용기 내에 들어 있는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조성물은 단백질 바이오마커에 결합하는 제1 항체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상의 라벨은 조성물이 시료 중의 표적 단백질을 검출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키트는 특정 형태의 시료 중의 표적 단백질을 검출하기 위하여 항체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지시서를 포함한다. 키트는 시료 제조 및 시료를 항체에 적용하는 데 필요한 물질 및 지시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키트는 1차 및 2차 항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고, 2차 항체는 발색 표지나 효소 등에 접합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실시예 1]
실험동물 및 약물 투여
5개월령 5XFAD 마우스 B6SJL-Tg (APPSwFlLon,PSEN1*M146L*L286V)에 2.5개월간 비히클 또는 트라메티닙(micronized)을 0.05 mg/kg/일, 0.1 mg/kg/일 또는 0.2 mg/kg/일의 용량으로 매일 경구 투여하였다(투약 완료시 8개월령이 됨. 이하 “8개월령 5XFAD 마우스”라 함). 도네페질은 2 mg/kg/일의 용량으로 2.5 개월간 매일 복강내 주사하였다. 연령을 매칭한 야생형(WT) 마우스에게는 2.5 개월간 비히클을 경구 투여하였다. 투여 종료 후 8개월령에 모든 마우스로부터 혈액을 채취하고, EDTA 튜브에 채취한 혈액을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확보하였다. 이 후 perfusion 방법으로 마우스 희생 후 뇌에서 대뇌피질을 적출하여 즉시 동결하였다.
12개월령 5XFAD 마우스에 1개월간 트라메티닙(corn oil based)을 0.1 mg/kg/일의 용량으로 또는 비히클을 매일 경구 투여하였다(투약 완료시 13개월령이 됨. 이하 “13개월령 5XFAD 마우스”라 함). 투여 종료 후 13개월령에 혈액을 채취하고, EDTA 튜브에 채취한 혈액을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확보하였다. 이 후 마우스 희생 후 뇌를 적출하고 PBS로 잘 씻어준 후 즉시 동결하였다.
전세포 RNA 시퀀싱(Whole cell RNA sequencing) 연구를 위해서는 6개월령 C57BL/6 마우스(n=3/군)에게 트라메티닙(4% DMSO + 96% corn oil)을 0.1 mg/kg/일의 용량으로 매일 경구투여하였다. 투여 시작 후 1, 2, 3, 또는 4주에 마우스를 희생하고, 전뇌(whole brain)를 적출하였다.
[실시예 2]
단일 세포 RNA-시퀀싱 분석 (single cell RNA sequencing)
8개월령 5XFAD 마우스 및 야생형 마우스의 대뇌 피질 시료에 대해 단일 세포 RNA 시퀀싱 분석을 실시하였다. 피질을 HABG (B27 보충제와 글루타민을 포함하는 Hibernate A 완충액) 매질 내에서 미세절단하고(microdissect), 파파인 용액으로 37°C에서 20분 동안 처리하였다(Brewer et al. (2007). Isolation and culture of adult neurons and neurospheres. Nat Protoc 2, 1490-1498). 처리된 피질을 파스퇴르 피펫을 사용하여 부드럽게 분쇄하였다. OptiPreP (Sigma-Aldrich, D1556)을 사용하여 밀도구배 방법으로 세포를 분리하였다. 세포 현탁액을 Drop-seq 버퍼로 희석하고, Chromium™ Single Cell 3' v2 Reagent Kit를 사용하여 Drop-seq을 수행하였다(Campbell et al. (2017) A molecular census of arcuate hypothalamus and median eminence cell types. Nat Neurosci 20, 484-496). Illumina HiSeq X Ten에서 라이브러리를 시퀀싱하였고, Read 1은 16 bp였다(10x™ Barcode and 10 bp UMI). mRNA 함량이 너무 낮거나 높은 세포(200 < gene number < 3,000만 포함시킴) 또는 미토콘드리아 코딩 전사체 비율이 높은 세포(> 20%)는 제외시켰다. 20,056개의 세포를 사용하여 미가공 시퀀스 데이터를 마우스 (mm10) 게놈에 정렬시켰고, Cell Ranger Single-Cell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PCA, t-SNE 및 그래프-기반 클러스터링을 비롯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8개월령 5XFAD 마우스 피질 시료에서 소교세포(microglia)의 수가 야생형(WT)-비히클 처리그룹에 비하여 5XFAD-비히클 처리그룹에서 현저하게 증가되어 있음을 확인하였고, 0.1 mg/kg/일 용량의 트라메티닙 투여군(5XFAD-Tra0.1 그룹)에서는 5XFAD-비히클 처리 그룹에 비하여 다시 소교세포의 수가 감소됨을 확인하였다(표 1).
소교세포 클러스터에서 각 그룹 간 발현에 변화가 있는 유전자들을 확인하였을 때, 야생형-비히클 투여군 보다 5XFAD-비히클 투여군에서 그 발현이 2배 이상 증가한 유전자는 Cst7, Spp1, Apoe, Lpl, Fabp5, Mif, Syngr1, Ctsl이었으며 1.5배 이상 감소한 유전자는 Malat1, Cebpb가 있었다. 5XFAD-비히클 투여군에 비하여 5XFAD-Tra0.1 그룹에서 1.5배 이상 발현이 증가한 유전자는 Ptgds, Rpl10-ps3, Rpl9-ps6, Acta2이며, 1.5배 이상 발현이 감소한 유전자는 Wfdc17, Spp1 이었다.
특히 Spp1은 야생형에 비하여 5XFAD-비히클 그룹에서 그 발현이 증가하였다가 5XFAD-Tra 0.1 투여 그룹에서 그 발현이 감소하였다.
세포의 종류 | 5XFAD-Tra0.1 | 5XFAD-비히클 | WT-비히클 |
Astrocyte | 48 | 3 | 10 |
Endothelial | 1150 | 892 | 263 |
M. Neuron (mature neuron) | 43 | 53 | 34 |
M1 (microglia) | 2952 | 9324 | 57 |
ODC (oligodendrocyte) | 457 | 249 | 269 |
Pericyte | 141 | 186 | 30 |
SMC (smooth muscle cell) | 1588 | 1310 | 997 |
5XFAD-비히클 vs. WT-비히클 | 5XFAD-Tra0.1 vs. 5XFAD-비히클 | ||
유전자 | Fold change | 유전자 | Fold change |
Cst7 | 12.1871 | Ptgds | 1.70411 |
Spp1 | 5.00804 | Rpl10-ps3 | 1.63168 |
Apoe | 3.50348 | Rpl9-ps6 | 1.59081 |
Lpl | 3.16689 | Acta2 | 1.513 |
Fabp5 | 2.98236 | Cst7 | -1.1315 |
Mif | 2.90452 | Wfdc17 | -1.5194 |
Syngr1 | 2.77546 | Spp1 | -1.5648 |
Ctsl | 2.75453 | ||
Malat1 | -1.97444 | ||
Cebpb | -2.5319 |
소교세포 뿐만 아니라 다른 뇌세포에서도 각 투여군 사이에 다르게 발현되는 유전자들을 조사하였다. 야생형에 비해 5XFAD-비히클 군에서의 발현이 증가 또는 감소(Fold change 5XFAD-비히클 vs. 야생형 > 1.3) 하고, 트라메티닙 0.1 mg/kg/일 처리에 의해 5XFAD에서의 발현이 야생형 마우스의 동일 뇌세포에서의 수준으로 되돌아 가는 유전자(Fold change 5XFAD-Tra 0.1 vs. 야생형 ≒ 1)를 검토한 결과 다음 유전자를 선정하였다.
Gene | Log2(5XFAD-Veh/WT) | Log2(5XFAD-Tra0.1/5XFAD-Veh) | Cell | Protein |
Syt1 | -1.60980888 | 1.127259139 | M. Neu | Synaptotagmin-1 |
Dbi | 3.110758452 | -1.719467503 | M. Neu | Acyl-CoA-binding protein |
Spp1 | 2.324246313 | -0.645960417 | M | Osteopontin (OPN) |
CTSE | 0.949084768 | -0.542999502 | M | Cathepsin E |
CTSB | 1.148084892 | 0.818183775 | Endo | Cathepsin B |
ApoE | 1.17527371 | -0.517716873 | Astro | Apolipoprotein E |
M. Neu: mature neuron; M: microglia, Astro: Astrocyte, Endo: Endothelial
[실시예 3]
5XFAD 마우스의 뇌조직 및 혈장에서 바이오마커의 변화
5XFAD 마우스 혈장에서 바이오마커의 농도 변화를 검출하기 위하여 ELISA를 수행하였다. 각 바이오마커에 대해서는 다음의 ELISA 키트를 사용하였다.
- 미세신경섬유-경쇄(NfL): Cloud-Clone, SEE038Mu
- 카텝신 B(CTSB): Novus, NBP2-67254
- 오스테오폰틴(OPN): LS bio, LS-F26046-1
- 시냅토태그민-1 (Syt1): LS bio, LS-F30963-1
- 아포지단백-E (ApoE): Novus, NBP2-66739
NfL, CTSB 및 ApoE는 비색정량법(colorimetric methods)으로 검출하고, OPN 및 Syt1는 화학발광법(chemiluminescent methods)으로 검출하였다. ELISA 분석은 각 ELISA 키트의 제조자 지시서에 따라 수행하였다.
또한 qRT-PCR을 수행하여 각 동물의 뇌 조직에서 각 유전자의 mRNA 발현을 측정하였다. 각 시료로부터 TRIzol (Invitrogen, 15596026)을 이용하여 총 RNA를 추출하고, M-MLV 역전사효소(Invitrogen, 28025013)를 사용하여 역전사를 수행한 후, SYBRTM Green PCR master mix (Thermo, 4367659)를 사용하여 제조자의 지침에 따라 qRT-PCR을 수행하였다. 결과는 하우스키핑 유전자인 GAPDH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에 대한 상대적 수치로 표시하였다.
면역조직화학적 분석을 위해서 뇌 조직을 4% 포름알데히드(PFA)로 고정하고, 파라핀에 담그고 5 μm의 두께로 시상면 방향으로 잘랐다. 준비된 절편에서 파라핀을 제거하고 10 mM 소듐 시트레이트 버퍼(Tri-sodium citrate, pH 6.0) (Sigma-Aldrich, S4641)에 담궈 antigen retrieval 과정을 거쳤다. 절편을 anti-Map2 항체 (Millipore, Mab3418)와 함께 인큐베이션하여 면역염색을 수행하였다. 그 후, Alexa Fluor 488-conjugated anti-mouse (Thermo, a21121), IgG 2차 항체와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절편들을 DAPI로 counterstain하였다. 면역형광 이미지는 LSM700 Laser-Scanning confocal microscope (Carl Zeiss)로 촬영하였다.
오스테오폰틴
8개월령 5XFAD 마우스 대뇌피질에서 Spp1의 발현 수준을 비교하였을 때, 야생형-비히클 군에 비하여 5XFAD-비히클 군에서 Spp1의 발현 수준이 증가하는 경향을, 5XFAD-Tra 0.1 그룹에서는 5XFAD-비히클 군에 비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도 1a). 13개월령 5XFAD 마우스 뇌에서 Spp1의 발현 수준을 비교하였을 때, 5XFAD-비히클 그룹에 비하여 5XFAD-Tra 0.1 그룹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도 1b).
8개월령 5XFAD 마우스 혈장에서의 오스테오폰틴(OPN)의 수준을 확인하였을 때, 트라메티닙 0.05 및 0.1 mg/kg/일로 투여된 마우스에서 OPN의 수준이 5XFAD-비히클 그룹에 비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도 2a, 각각 40%, 43.9% 감소). 도네페질과 트라메티닙 0.1 mg/kg/일을 같이 처리한 그룹에서는 5XFAD-비히클 그룹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OPN의 수준이 44.6% 감소됨을 확인하였다(도 2a). 13개월령의 5XFAD 마우스 혈장에서는 OPN의 수준이 트라메티닙 0.1 mg/kg/일 투여군에서 비히클 투여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61.5% 감소함을 확인하였다(도 2b).
시냅토태그민-1
8개월령 5XFAD 마우스의 혈장에서 시냅토태그민(Syt1)의 수준을 확인하였을 때 트라메티닙 0.05 및 0.1 mg/kg/일 투여군에서 Syt1 수준이 5XFAD-비히클 그룹에 비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각각 26.2%, 41.0% 감소). 도네페질과 트라메티닙 0.1 mg/kg/일 병용 투여군에서는 5XFAD-비히클 투여군과 비교하여 Syt1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50.7% 감소하였다(도 3).
아포지단백-E
8개월령 5XFAD 마우스의 혈장에서 아포지단백-E(APOE)의 수준을 확인하였을 때 5XFAD 비히클 투여군과 비교하여 트라메티닙 0.1mg/kg/일 투여군에서 APOE 수준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34.3% 감소) 트라메티닙 0.2 mg/kg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58.9% 감소 수준에 도달하였다. 도네페질과 트라메티닙 0.1 mg/kg/일 병용 투여군에서도 5XFAD-비히클 투여군과 비교하여 APOE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47.3% 감소하였다(도 4).
카텝신
B
8개월령 5XFAD 마우스의 혈장에서 카텝신 B의 수준을 확인하였을 때, 0.05 및 0.1 mg/kg/일로 투여된 마우스에서 5XFAD-비히클 그룹에 비하여 카텝신 B의 수준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각각 62.4%, 99% 감소), 특히 0.1 mg/kg/일 투여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도네페질을 투여한 그룹도 5XFAD-비히클 그룹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카텝신 B의 수준이 97.6% 감소하였다(도 5). 13개월령의 5XFAD 마우스 혈장에서 측정한 카텝신 B의 수준은 비히클 투여군에 비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35% 감소, 도 6).
미세신경섬유 경쇄
8개월령 5XFAD 마우스의 혈장에서 미세신경섬유 경쇄(NfL)의 수준을 확인하였을 때, 0.1 mg/kg/일로 투여된 마우스에서 5XFAD-비히클 그룹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NfL의 수준이 47.4% 감소됨을 확인하였다(도 7a). 13개월령 5XFAD 마우스의 혈장 시료에서는 비히클 투여군과 트라메티닙 투여군 사이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도 7b).
8개월령 트라메티닙 투여 5XFAD 마우스 혈장에서의 NfL 감소는 트라메티닙에 의한 뇌에서의 뉴론의 신경돌기(neurite) 보호 효과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실제로 8개월령 5XFAD 마우스의 뇌 조직에서 신경돌기 마커인 Map2가 트라메티닙 투여에 의해 증가되어 있음이 면역조직화학 분석 방법으로 확인되었다(도 8, 9).
HLA-DOB
C57BL/6 마우스에 트라메티닙을 0.1 mg/kg/일의 용량으로 투여하면서 1, 2, 3, 4주차 후 각각 마우스를 희생하여 전뇌(whole brain)를 얻어 전세포 RNA 시퀀싱(whole cell RNA sequencing)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투여한 기간 동안의 뇌에서의 유전자 변화를 관찰하였다.
전세포 RNA 시퀀싱은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마우스 전뇌(whole brain)로부터 RNA를 추출하고, TruSeq Stranded mRNA Prep Kit (Illumina, San Diego, CA)을 사용하여 제조자의 지시서에 따라 RNA 시퀀싱을 위한 cDNA 라이브러리를 제작하였다. 라이브러리를 Illumina Nextseq500 platform으로 시퀀싱하고 Tophat v2.0.13을 사용하여 reference Mouse mm10 게놈에 대하여 리드(read)를 매핑하였다. 리드 매핑 후 StringTie 프로그램을 통해 transcript assembly 작업을 진행하고, 각 샘플별로 발현 profile 값을 얻어, 전사체/유전자를 기준으로 RPKM(Read per Kilobase per million mapped reads) 값을 정리하였다. 이 값을 이용하여 각 실험군의 유전자 발현값을 비교하기 위해 DESeq2를 이용하여 DEG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적어도 한 개의 비교조합에서 |fc|>=2, p value <0.05 조건을 만족하는 유전자 196개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전자 정보를 KEGG 데이터베이스(http://www.kegg.jp/kegg/pathway.html)를 이용하여 어떤 pathway에 해당하는 유전자인지를 확인하고, 해당 pathway에서 2배 이상 발현이 증가된 유전자는 볼드체로, 2배이상 발현이 감소된 유전자는 이탤릭체로 히트맵 오른쪽에 표시하였다(도 10). 특히 H2-Ob는 투여 후 3, 4주차에 발현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1, 2 주차 발현이 증가한 유전자 | Oprm1, Glp1r, Grin2a, Grin2b, Glra3, Glra1, Cnr2, Grin3b, Gabrr2, Ksr2, Cdh1, Tead4, Ctnna3, PDE11a, Nt5cla |
1, 2 주차 발현이 감소한 유전자 | Pla2g4c, C1s2 |
3, 4 주차 발현이 증가한 유전자 | Plin4, H2-Ob, Hspa1l, HSPa1b, Hnrnpa1, Nos2, Rab5c |
3, 4 주차 발현이 감소한 유전자 | Efna4, Scd4, Cd36, Ppp3r2 |
8개월령 5XFAD 마우스 대뇌피질에서 H2-Ob의 mRNA 발현 수준을 비교하였을 때, 야생형-비히클 투여군에 비하여 5XFAD-비히클 투여군에서 H2-Ob의 발현 수준이 감소하는 경향을, 0.1 mg/kg/일로 트라메티닙을 투여한 5XFAD 군에서 H2-Ob의 발현이 5XFAD 비히클 군에 비하여 현저히 증가함을 확인하였다(도 11). 마우스의 H2-Ob는 인간에서 HLA-DOB에 상응한다.
Claims (16)
- MEK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kinase) 1 및 2를 모두 억제하는 화합물(MEK 1/2 억제제)로의 치료 동안 또는 치료 후의 한 번 또는 그 이상의 시점에서 얻은 신경퇴행성질환 개체의 생물학적 시료에서 오스테오폰틴(osteopontin), 시냅토태그민-1(synaptotagmin-1), 아포지단백-E(apolipoprotein-E), 카텝신 B(cathepsin B), HLA-DOB(HLA 클래스 II 조직적합성 항원 DO 베타 체인), 및 미세신경섬유 경쇄(neurofilament light chai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신경퇴행성질환 개체에게서 MEK 1/2 억제제로의 치료에 대한 반응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농도를 기초로 상기 신경퇴행성질환 개체에게서 MEK 1/2 억제제로의 치료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기 위한 정보를 얻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농도를, MEK 1/2 억제제로의 치료 전에 얻은 상기 개체의 생물학적 시료 또는 해당 신경퇴행성질환이 없는 건강한 개체의 생물학적 시료에서의 상기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농도와 비교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MEK 1/2 억제제로의 치료 전에 얻은 상기 개체의 생물학적 시료 또는 해당 신경퇴행성질환이 없는 건강한 개체의 생물학적 시료에서의 상기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농도에 비한, MEK 1/2 억제제로의 치료 동안 또는 치료 후에 얻은 상기 개체의 생물학적 시료에서의 상기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농도 변화 또는 차이가 MEK 1/2 억제제로의 치료에 대한 개체의 반응을 나타내는 것인 방법.
-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MEK 1/2 억제제의 추후 투약 용량 또는 기간을 결정하거나, MEK 1/2 억제제의 투약을 지속하거나 중단하는 것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것인 방법.
- MEK 1/2 억제제로의 치료 동안 또는 치료 후의 한 번 또는 그 이상의 시점에서 얻은 신경퇴행성질환 개체의 생물학적 시료에서 오스테오폰틴, 시냅토태그민-1, 아포지단백-E, 카텝신 B, HLA-DOB, 및 미세신경섬유 경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농도를 기초로 상기 신경퇴행성질환 개체의 MEK 1/2 억제제로의 치료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경퇴행성질환 개체에게서 MEK 1/2 억제제로의 치료에 대한 반응을 예측하는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하는 단계가,
MEK 1/2 억제제로의 치료 전에 얻은 상기 개체의 생물학적 시료에서의 상기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농도와 비교하여, MEK 1/2 억제제로의 치료 동안 또는 치료 후에 얻은 상기 개체의 생물학적 시료에서의 상기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농도에서 변화를 보이는 경우, 상기 개체를 MEK 1/2 억제제로의 치료에 대해 반응을 나타내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하는 단계가,
MEK 1/2 억제제로의 치료 전과, 치료 동안 또는 치료 후에 얻은 상기 개체의 생물학적 시료에서의 상기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농도를 해당 신경퇴행성질환이 없는 건강한 개체의 생물학적 시료에서의 상기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농도와 각각 비교하여 차이를 구하고, 치료 동안 또는 치료 후에 치료 전과 비교하여 상기 건강한 개체에서의 상기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농도와의 차이가 적어진 경우, MEK 1/2 억제제로의 치료에 유익한 반응을 나타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학적 시료가 혈액 또는 뇌척수액인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이 전혈, 혈장, 혈청, 또는 말초혈액단핵세포(PBM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인 방법.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경퇴행성 질환이 치매, 알츠하이머병, 혈관성치매, 전두측두엽치매, 루이소체치매, 다계통위축증, 피질기저핵변성(corticobasal degeneration), 진행성핵상마비, 헌팅턴병, 근위축성측삭경화증(루게릭병, ALS), 원발성측삭경화증, 척수근육위축병, 진행성 연수마비(progressive bulbar palsy; PBP), 진행성 근위축증(progressive muscular atrophy; PMA), 가성연수마비(pseudobulbar palsy), 유전성 강직성 하반신마비(hereditary spastic paraplegia; HSP), 소뇌성 운동실조증, 파킨슨병, 다발성경화증 (MS), 및 경도인지장애(MC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방법.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MEK 1/2 억제제가 트라메티닙인 방법.
- 오스테오폰틴, 시냅토태그민-1, 아포지단백-E, 카텝신 B, HLA-DOB, 및 미세신경섬유 경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로브(probe)를 포함하는, 신경퇴행성질환 개체에게서 MEK 1/2 억제제로의 치료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기 위한 조성물.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가 상기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앱타머(aptamer), 펩타이드, 항체 또는 그의 단편인 조성물.
-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신경퇴행성 질환이 치매, 알츠하이머병, 혈관성치매, 전두측두엽치매, 루이소체치매, 다계통위축증, 피질기저핵변성(corticobasal degeneration), 진행성핵상마비, 헌팅턴병, 근위축성측삭경화증(루게릭병, ALS), 원발성측삭경화증, 척수근육위축병, 진행성 연수마비(progressive bulbar palsy; PBP), 진행성 근위축증(progressive muscular atrophy; PMA), 가성연수마비(pseudobulbar palsy), 유전성 강직성 하반신마비(hereditary spastic paraplegia; HSP), 소뇌성 운동실조증, 파킨슨병, 다발성경화증 (MS), 및 경도인지장애(MC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MEK 1/2 억제제가 트라메티닙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45252 | 2020-04-14 | ||
KR1020200045252 | 2020-04-14 | ||
PCT/KR2021/004662 WO2021210897A1 (ko) | 2020-04-14 | 2021-04-13 | 신경퇴행성질환 치료제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04597A true KR20230004597A (ko) | 2023-01-06 |
Family
ID=78084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7039465A Pending KR20230004597A (ko) | 2020-04-14 | 2021-04-13 | 신경퇴행성질환 치료제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230190967A1 (ko) |
KR (1) | KR20230004597A (ko) |
WO (1) | WO2021210897A1 (ko)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01322094D0 (en) * | 2013-12-13 | 2014-01-29 | Electrophoretics Ltd | Methods and compositions relating to alzheimers disease |
CN105816461B (zh) * | 2016-04-06 | 2018-10-30 | 福州大学 | 曲美替尼在制备治疗帕金森症药物上的应用 |
KR102028799B1 (ko) * | 2016-08-19 | 2019-10-04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혈액 검사 항목의 뇌의 아밀로이드 베타 축적 관련 질환 진단용 조성물 및 방법 |
MY194462A (en) * | 2016-11-25 | 2022-11-30 | Genuv Inc | Composition for Promoting Differentiation of and Protecting Neural Stem Cells and Method for Inducing Neural Regeneration using same |
-
2021
- 2021-04-13 KR KR1020227039465A patent/KR20230004597A/ko active Pending
- 2021-04-13 WO PCT/KR2021/004662 patent/WO2021210897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2
- 2022-10-13 US US17/965,675 patent/US20230190967A1/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1210897A1 (ko) | 2021-10-21 |
US20230190967A1 (en) | 2023-06-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40255509A1 (en) | Compositions and methods related to k180 dimethylated h1.0 protein | |
US11136626B2 (en) | Biomarkers for the diagnosis of lacunar stroke | |
CN112567246B (zh) | 治疗脊髓性肌萎缩症的方法 | |
JP6879905B2 (ja) | RGMa断片ベース診断アッセイ | |
US20220214360A1 (en) | Alpha-synuclein assays | |
JP7162104B2 (ja) | 糖尿病性腎症の早期病態の特異的な診断を可能とする検査方法 | |
US20230190967A1 (en) | Method and Composition for Evaluating Response to Neurodegenerative Disease Treatment Agent | |
CN114438191B (zh) | 缺氧诱导因子1α作为标志物在抑郁症复发诊断中的应用 | |
US20230349906A1 (en) | Kinases as biomarkers for neurodegenerative conditions | |
WO2021256550A1 (ja) | シナプス機能不全に起因する疾病、又はシナプス機能不全を付随する疾病の判定方法 | |
US20130280820A1 (en) | Biomarkers for psoriasis | |
US10317401B2 (en) |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prediction and treatment of 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 | |
Cheng et al. | The Percentage of Neutrophils i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Blood-Brain Barrier (BBB) Disruption in Myelin Oligodendrocyte Glycoprotein Antibody Associated Disease (MOGAD) | |
CA3222315A1 (en) | Diagnostic indices for neurodegenerative conditions | |
BRPI1004231A2 (pt) | mÉtodo e kit para diagnàstico de condiÇÕes neuropsiquiÁtricas, mÉtodo para avaliaÇço de tratamentos de condiÇÕes neuropsiquiÁtricas e mÉtodo de identificaÇço de fÁrmacos potencialmente éteis no tratamento de condiÇÕes neuropsiquiÁtrica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2111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404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