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804U - Fork to prevent breakaway - Google Patents
Fork to prevent breakawa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01804U KR20230001804U KR2020220000582U KR20220000582U KR20230001804U KR 20230001804 U KR20230001804 U KR 20230001804U KR 2020220000582 U KR2020220000582 U KR 2020220000582U KR 20220000582 U KR20220000582 U KR 20220000582U KR 20230001804 U KR20230001804 U KR 20230001804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rk
- separation
- blades
- central
- spaced apa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22
- 235000012149 nood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67 sau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2—Forks; Forks with ejectors; Combined forks and spoons; Salad servers
- A47G21/023—Forks; Forks with ejecto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6—Articles adapted for a particular kind of foodstuff
- A47G2400/067—Articles adapted for a particular kind of foodstuff for pasta or noodle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와, 일단은 상기 손잡이부에 삽입고정되고 타단은 헤드부가 형성되는 포크본체와, 상기 헤드부에 이격적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포크날 및 상기 포크날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형성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이탈방지용 포크을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용 포크에 의하면, 포크날 사이에 이탈방지부가 이격형성되어 음식물이 포크날에서 이탈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 fork body that includes a handle that can be held by the user, one end of which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handl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formed by a head, a plurality of fork blades spaced apart from the head, and a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fork blades. An anti-separation fork including a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s presented as an example.
According to an anti-separation f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s are formed between the fork blades to minimize the separation of food from the fork blades.
Description
개시된 내용은 포크날에 반원형상의 홈이 형성됨에 따라 음식물이 이탈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이탈방지용 포크에 관한 것이다.The disclosed content relates to an anti-separation fork that minimizes the escape of food by forming a semicircular groove in the fork blade.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Unless otherwise indicated herein, the matters described in this identification are not prior art to the claims of this application, and are not admitted to be prior art by being described in this identification.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섭취할 때 사용되는 도구로는 한국을 비롯한 동양권에서는 숟가락, 젓가락이 대표적으로 손꼽히고 서양에서는 나이프와 포크가 언급될 수 있는데 이런 식사용 도구들은 각자의 기능적 특징이 있어서 현대생활에서는 지역과 문화권에 크게 구분되지 않고 널리 공유되면서 사용되고 있다. In general, spoons and chopsticks are considered to be the most common utensils used when consuming food in Eastern countries including Korea, while knives and forks may be mentioned in the West. These eating utensils each have their own functional characteristics, so they are used regionally in modern life. It is widely shared and used without any distinction between different cultures.
특히 포크는 서양권뿐만 아니라 동양권에서도 젓가락질이 미숙한 아동이나 스파게티 등과 같은 면 종류의 음식물을 먹는 경우에 이용되고 있다.In particular, forks are used not only in Western countries but also in Eastern countries for children who are not skilled at using chopsticks or for eating noodle-like foods such as spaghetti.
이와 같은 포크는 사람이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가 구비되고, 이런 손잡이의 일측 끝단에 포크날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부착 결합되어 있어 사람이 포크의 뾰족한 포크 날로 음식물을 찍어서 용이하게 취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Such a fork is provided with a handle so that a person can hold it with his hand, and a fork blade is integrally formed or attached to one end of the handle, so that a person can easily eat food by cutting food with the sharp blade of the fork. there is.
국내에서는 자장면과 라면 등의 면류는 통상 젓가락을 사용하여 섭취를 하나, 젓가락 사용이 능숙하지 못한 어린아이들은 포크를 사용하게 하는 경우가 많다. In Korea, noodles such as jajangmyeon and ramen are usually eaten using chopsticks, but young children who are not good at using chopsticks are often made to use a fork.
즉, 젓가락 사용이 생활화된 동양권 성인들은 면 종류도 용이하게 먹을 수 있지만, 아직 젓가락이 익숙하지 않은 아이들과 서양권 문화에 익숙한 사람들은 포크가 면 종류를 먹을 때 가장 유용한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In other words, Asian adults who are accustomed to using chopsticks can easily eat noodles, but children who are not yet familiar with chopsticks and people who are familiar with Western culture use the fork as the most useful tool when eating noodles.
이때, 대부분의 면 종류 음식물은 그 특성상 소스 또는 국물과 같은 수분이 그 표면에 존재하기 때문에, 사람이 포크를 이용해 면을 다량으로 들어올리더라도 면의 대부분이 미끄러지면서 떨어져 취식하기가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At this time, due to the nature of most noodle-type foods, moisture, such as sauce or broth, exists on the surface, so even if a person lifts a large amount of noodles using a fork, most of the noodles slip and fall, making eating uncomfortable. .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스파게티와 같은 면류를 포크에 간단하게 감아 먹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포크가 개발되고 있다.Accordingly, as a means to solve the above problem, a fork is being developed that allows noodles such as spaghetti to be easily wrapped around a fork and eaten.
이러한 포크의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09248호(2010.01.27. 공개)에는 손가락으로 굴릴 수 있을 정도 크기의 회전볼을 구성하되, 한쪽에 포크에 고정된 회전대의 말단에 형성된 끼움구가 끼워지는 끼움홈과, 반대쪽에 회전축을 형성하고, 손잡이에 회전볼이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링을 구성하되, 한쪽에 회전대가 끼워져 관통하는 회전대구멍과, 반대쪽에 회전볼의 회전축이 끼워져 회전하는 축홈을 형성하여, 포크를 손에 쥐인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볼을 회전시키면 볼에 연결된 회전대와 포크가 회전하므로 한 손만으로도 포크를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편리하게 스파게티와 같은 면류를 포크에 감을 수 있는 회전식 포크가 개시되고 있다. As an example of such a fork,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09248 (published on January 27, 2010) consists of a rotating ball large enough to be rolled with a finger, with a fitting formed at the end of a rotating table fixed to the fork on one side. A ring is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sphere is inserted and a rotation axis on the opposite side, and a rotation ball is inserted into the handle to rotate, with a rotation hole on one side through which a rotation rod is inserted, and a rotation axis of the rotation ball on the other side being inserted and rotating. It is a rotary fork that forms an axial groove, and when you rotate the ball with your finger while holding the fork in your hand, the swivel base connected to the ball and the fork rotate, so you can rotate the fork with just one hand, so you can conveniently wrap noodles such as spaghetti around the fork. is being launched.
또한, 대한민곡 공개특허 10-2010-0067729호(2010.06.22. 공개)에는 포크의 일측에 사각 형태의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파지부의 일측에는 원기둥 형태의 회전축이 형성되며, 회전축의 직전방에는 원반 형태의 회전구가 형성되어, 포크와 파지부가 조립돌기와 조립홈을 각각 갖는 반구 형태로 분할된 회전볼을 매개로 장착되되, 회전볼의 내부 일측에는 포크의 끼움돌기가 대응되어 조립되도록 사각끼움홈이 형성되고, 타측 내부에는 파지부의 회전축이 조립되도록 둥근 형태의 회전축홈이 형성되며, 회전축홈의 전방에는 상기 회전구가 조립되도록 회전홈이 구성되어, 회전볼을 손가락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파지부의 회전축과 회전구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볼과 포크가 함께 회전됨으로써, 스파게티를 비롯한 면류를 포크에 용이하게 돌돌 말아 먹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류 섭취를 위한 회전형 포크가 개시되고 있다.In addition,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67729 (published on June 22, 2010), a square-shaped insertion protrus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ork, a cylindrical rotation axis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gripper, and the rotation axis is located directly in front of the rotation axis. A disc-shaped rotating sphere is formed, and the fork and the gripper are mounted on a rotating ball divided into a hemispherical shape, each having an assembly protrusion and an assembly groove, and one inner side of the rotating ball is square so that the fitting protrusion of the fork is correspondingly assembled. An insertion groove is formed, and a round-shaped rotation shaft groove is formed inside the other side so that the rotation axis of the gripper can be assembled, and a rotation groove is formed in front of the rotation shaft groove so that the rotation sphere can be assembled, so that when the rotation ball is rotated with a finger, A rotating fork for eating noodles is disclosed, wherein the rotating ball and the fork are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ting shaft of the grip portion and the rotating sphere as the central axis, so that noodles, including spaghetti, can be easily rolled up and eaten on the fork. It is becoming.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5974호(2010.06.24. 공고)에는 음식을 집기 위한 포크발에 핸들이 연장 구비되는 포크에 있어서, 포크발을 갖으며, 삽입부 단부에 걸림부를 확장 형성한 회전핸들과, 상기 삽입부와 걸림부를 끼울 수 있도록 내부에 형성한 돌출부 단부에 걸림홈을 확장 형성한 고정핸들과; 상기 회전핸들을 일방향으로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핸들과 고정핸들 사이에 설치한 래칫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포크발과 결합된 회전핸들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핸들에 결합하므로, 면발을 포크발에 더욱 손쉽게 말아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래칫수단을 통해 포크발을 일방향으로만 회전시킬 수 있어 포크발에 감겨지는 면발이 다시 풀려지는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회전 포크가 개시되고 있다.In addition,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965974 (announced on June 24, 2010) describes a fork having a handle extending from a fork foot for picking up food, which has a fork foot and a rotating locking portion extending at the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a fixed handle with an extended locking groove formed at an end of a protrusion formed therein so as to fit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lock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ratchet means installed between the rotary handle and the fixed handle so that the rotary handle can be rotated in only one direction, and the rotary handle combined with the fork foo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xed handle, so that the noodle feet are connected to the fork. A rotating fork is disclosed, which has the effect of allowing people to eat more easily by rolling it around their feet, and also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noodles wrapped around the fork foot from being released again by allowing the fork foot to be rotated in only one direction through a ratchet means. there is.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회전식 포크는 라면이나 스파게티와 같은 면 종류의 음식물을 섭취할 때 포크를 회전하기 전에 포크날에 감겨진 면발이 쉽게 흘러내려 한번에 원하는 양만큼 섭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rotary fork as described above had a problem in that when eating noodle-type foods such as ramen or spaghetti, the noodles wrapped around the fork blade easily fall off before the fork is rotated, making it difficult to consume the desired amount at once.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들은 부품수가 많아 제작공정이 복잡하고 이에 따라 제품의 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prior technologies as described above have a problem in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due to the large number of parts, which increases the unit price of the product.
손잡이가 구비되는 포크본체에 형성되는 포크날에 길이방향을 따라 포크날 사이에 이탈방지부가 이격형성됨에 따라 음식물이 미끄러지는 것을 최소화하는 이탈방지용 포크를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is to provide an anti-separation fork that minimizes the slipping of food by forming a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between the fork blades along the length of the fork blade formed on the fork body provided with a handle.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In addi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challenges described above, and it is obvious that other technical challenges may be derived from the description below.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와, 일단은 상기 손잡이부에 삽입고정되고 타단은 헤드부가 형성되는 포크본체와, 상기 헤드부에 이격적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포크날 및 상기 포크날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형성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이탈방지용 포크을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A fork body that includes a handle that the user can hold, one end of which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handl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formed by a head, a plurality of fork blades spaced apart from the head, and a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fork blades. An anti-separation fork including a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s presented as an example.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포크날은 양측포크날 및 한 쌍의 중앙포크날로 구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the fork blade is composed of a double-sided fork blade and a pair of central fork blades.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중앙포크날은 상기 양측포크날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disclosed content, the pair of central fork blades protrude further forward than the both side fork blades.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양측포크날에 이격적으로 형성되는 2개의 제 1 이탈방지홈과, 상기 중앙포크날의 일측에 이격적으로 형성되는 3개의 제 2 이탈방지홈과, 상기 중앙포크날의 양측에 이격적으로 형성되는 2개의 제 3 이탈방지홈으로 구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disclosed content, the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includes two first separation prevention groov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fork blade, and three second separation prevention grooves formed spaced apart on one side of the central fork blade. It consists of a groove and two third separation prevention groov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fork blade.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1 이탈방지홈과 상기 제 2 이탈방지홈은 서로 교호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중앙포크날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제 3 이탈방지홈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disclosed content, the first separation prevention groove and the second separation prevention groove are formed alternately with each other, and the third separation prevention groove formed between the pair of central fork blades is opposed to each other. is formed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용 포크에 의하면, 포크날 사이에 이탈방지부가 이격형성되어 음식물이 포크날에서 이탈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n anti-separation f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s are formed between the fork blades to minimize the separation of food from the fork blades.
또한, 한 쌍의 중앙포크날은 상기 양측포크날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어 포크에 가해지는 힘이 중앙포크날에 집중됨에 따라, 중앙포크날은 표면이 미끄러운 종류의 음식물을 더 용이하게 관통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air of central fork blades protrude further forward than the two fork blades, so that the force applied to the fork is concentrated on the central fork blades, so that the central fork blades can more easily penetrate types of food with a slippery surface. There is an advantag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용 포크의 사시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용 포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용 포크의 평면도.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용 포크의 평면도.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용 포크의 평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rk for preventing sepa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ork for preventing sepa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Figure 3 is a plan view of a fork for preventing sepa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Figure 4 is a plan view of a fork for preventing sepa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Figure 5 is a plan view of a fork for preventing sepa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effects of the preferred embodiment will be examin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For reference, in the drawings below, each component is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for convenience and clarity,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reflect the actual size.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reference numerals for the same components in individual drawings will be omitted.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용 포크(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용 포크(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용 포크(1)의 평면도이고,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용 포크의 평면도이며,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용 포크의 평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용 포크(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10)와, 일단은 상기 손잡이부(10)에 삽입고정되고 타단은 헤드부(30)가 형성되는 포크본체(20)와, 상기 헤드부(30)에 이격적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포크날(30) 및 상기 포크날(30)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형성되는 이탈방지부(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anti-separation fork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includes a handle portion (10) that can be held by a user, and one end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handle portion (10). and the other end is spaced apart from the
여기서, 손잡이부(10)는 사용자의 손으로 파지하기 편리하게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손잡이부(10)에 캐릭터 형상의 스티커가 부착되어 이탈방지용 포크(1)의 전체적인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Here, the
한편, 손잡이부(10)에 삽입고정되는 포크본체(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단은 손잡이부(10)에 삽입고정되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손잡이부(10)와 포크본체(20)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손잡이부(10)의 타단에 형성되는 헤드부(30)는 음식물을 관통시키거나 얹어서 섭취할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또한, 헤드부(30)는 음식물을 퍼서 섭취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한편, 음식물을 관통시키거나 얹어서 섭취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헤드부(30)에는 복수개의 포크날(30)이 이격적으로 형성된다.Meanwhile, a plurality of
여기서, 포크날(3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양측포크날(31) 및 한 쌍의 중앙포크날(33)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한 쌍의 중앙포크날(33)은 양측포크날(31)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어, 포크에 가해지는 힘이 중앙포크날(33)에 집중됨에 따라, 중앙포크날(33)은 표면이 미끄러운 종류의 음식물을 더 용이하게 관통시킬 수 있게 된다.The pair of central fork blades (33) protrude further forward than the both side fork blades (31), and as the force applied to the fork is concentrated on the central fork blades (33), the central fork blades (33) have a slippery surface. It is possible to penetrate various types of food more easily.
한편, 포크날(30)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형성되는 이탈방지부(4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반원형상으로 구성되어 음식물과 포크사이의 마찰면적이 증가됨에 따라, 면과 같은 가늘고 긴 형태의 음식물이 포크날(30)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이탈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포크날(30)은 톱니형상의 이탈방지부(40)를 형성할 수 있고, 파형구조를 형성하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전술한 이탈방지부(40)는 양측포크날(31)에 이격적으로 형성되는 2개의 제 1 이탈방지홈(41)과, 중앙포크날(33)의 일측에 이격적으로 형성되는 3개의 제 2 이탈방지홈(43) 및 중앙포크날(33)의 양측에 이격적으로 형성되는 2개의 제 3 이탈방지홈(45)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여기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이탈방지홈(41)과 제 2 이탈방지홈(43)은 서로 교호적으로 형성되고, 한 쌍의 중앙포크날(33) 사이에 형성되는 제 3 이탈방지홈(45)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as shown in FIGS. 1 to 3, the first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이탈방지홈(41)과 제 2 이탈방지홈(43)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거나, 한 쌍의 중앙포크날(33) 사이에 형성되는 제 3 이탈방지홈(45)이 서로 교호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as shown in Figures 4 and 5, the first
또한, 이탈방지부(40)의 배열간격은 촘촘한 간격으로 연속하여 배열하는 형태로 구성되거나, 파형구조의 형태를 구성하여 반원형상의 홈과 이에 부합하는 형상의 돌출부를 연속적으로 교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rrangement spacing of the
전술한 바와 같이, 손잡이가 구비되는 포크본체(20)에 형성되는 포크날(30) 사이에 이탈방지부(40)가 이격형성되어 음식물이 포크날(30)에서 이탈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한 쌍의 중앙포크날(33)은 상기 양측포크날(31)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어 포크에 가해지는 힘이 중앙포크날(33)에 집중됨에 따라, 중앙포크날(33)은 표면이 미끄러운 종류의 음식물을 더 용이하게 관통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상기 제 1 이탈방지홈(41)과 상기 제 2 이탈방지홈(43)은 서로 교호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중앙포크날(33)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제 3 이탈방지홈(45)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면과 같은 가늘고 긴 형태의 음식물이 포크날(30)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이탈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first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the entir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is is not the cas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filing this applica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이탈방지용 포크
10 : 손잡이부
20 : 포크본체
21 : 헤드부
30 : 포크날
31 : 양측포크날
33 : 중앙포크날
40 : 이탈방지부
41 : 제 1 이탈방지홈
43 : 제 2 이탈방지홈
45 : 제 3 이탈방지홈1: Fork to prevent breakaway
10: handle part
20: Fork body
21: head part
30: Fork blade
31: Both sides fork blade
33: Central fork blade
40: Breakaway prevention unit
41: 1st escape prevention groove
43: Second escape prevention groove
45: Third departure prevention groove
Claims (5)
일단은 상기 손잡이부에 삽입고정되고 타단은 헤드부가 형성되는 포크본체;
상기 헤드부에 이격적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포크날 및
상기 포크날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형성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이탈방지용 포크.a handle that the user can hold;
A fork body having one end fixed to the handle and the other end having a head formed thereon;
A plurality of fork blades spaced apart from the head portion and
An anti-separation fork including a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fork bla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포크날은 양측포크날 및 한 쌍의 중앙포크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용 포크.In claim 1,
The fork blade is an anti-separation fork,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two side fork blades and a pair of central fork blades.
상기 한 쌍의 중앙포크날은 상기 양측포크날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용 포크.In claim 2,
An anti-separation fork, wherein the pair of central fork blades protrude further forward than the both side fork blades.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양측포크날에 이격적으로 형성되는 2개의 제 1 이탈방지홈;
상기 중앙포크날의 일측에 이격적으로 형성되는 3개의 제 2 이탈방지홈;
상기 중앙포크날의 양측에 이격적으로 형성되는 2개의 제 3 이탈방지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용 포크.In claim 3,
The breakaway prevention unit,
Two first separation prevention grooves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ork blades on both sides;
three second separation prevention grooves spaced apart from one side of the central fork blade;
An anti-separation fork,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two third anti-separation grooves formed spaced apart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fork blade.
상기 제 1 이탈방지홈과 상기 제 2 이탈방지홈은 서로 교호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중앙포크날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제 3 이탈방지홈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용 포크.In claim 4,
The first separation prevention groove and the second separation prevention groove are formed alternately, and the third separation prevention groove formed between the pair of central fork blades is formed to face each other. fork.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20000582U KR20230001804U (en) | 2022-03-07 | 2022-03-07 | Fork to prevent breakawa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20000582U KR20230001804U (en) | 2022-03-07 | 2022-03-07 | Fork to prevent breakawa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01804U true KR20230001804U (en) | 2023-09-14 |
Family
ID=87973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20000582U Ceased KR20230001804U (en) | 2022-03-07 | 2022-03-07 | Fork to prevent breakawa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001804U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67729A (en) | 2008-12-12 | 2010-06-22 | 권상우 | Rotary type fork for eating noodle |
KR100965974B1 (en) | 2008-07-21 | 2010-06-24 | 이석부 | Rotating fork |
-
2022
- 2022-03-07 KR KR2020220000582U patent/KR20230001804U/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65974B1 (en) | 2008-07-21 | 2010-06-24 | 이석부 | Rotating fork |
KR20100067729A (en) | 2008-12-12 | 2010-06-22 | 권상우 | Rotary type fork for eating nood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056173A (en) | Combination fork and chopsticks | |
US5946807A (en) | Novelty spoon | |
US20080000092A1 (en) | Spifork | |
US11253091B2 (en) | Spoon | |
KR20090094830A (en) | Eating tool | |
US20130277994A1 (en) | Garnish pick | |
US5119563A (en) | Spaghetti fork | |
KR20230001804U (en) | Fork to prevent breakaway | |
AU2006200217B1 (en) | A Teaching Aid for Correct Use of Cutlery by Children | |
CA2521326A1 (en) | Themed eating utensils | |
JP3203738U (en) | Tree food pick | |
US20060130336A1 (en) | Food cutting and serving utensil | |
KR101012813B1 (en) | Improved Chopsticks | |
AU2007100882B4 (en) | Hand-held food-holding device | |
KR20220029918A (en) | a baby food plate | |
JP3138166U (en) | chopsticks | |
KR200374810Y1 (en) | Fork easily holding the noodles | |
KR20100009248A (en) | Rotary type fork | |
KR200357495Y1 (en) | utensil for table use | |
JP3143230U (en) | Corrugated handle eating spoon | |
JP2002095571A (en) | Spoon for meal | |
JP4031212B2 (en) | Noodle fork | |
KR200274632Y1 (en) | Fork | |
KR970005292Y1 (en) | Chopsticks | |
KR20200133620A (en) | DOLDOL For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220307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240130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24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