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000257A - 배출이 용이한 곡물 이송함 - Google Patents

배출이 용이한 곡물 이송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257A
KR20230000257A KR1020210082457A KR20210082457A KR20230000257A KR 20230000257 A KR20230000257 A KR 20230000257A KR 1020210082457 A KR1020210082457 A KR 1020210082457A KR 20210082457 A KR20210082457 A KR 20210082457A KR 20230000257 A KR20230000257 A KR 20230000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late
grain
discharge
fork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2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4440B1 (ko
Inventor
이영남
류지호
Original Assignee
스틸디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틸디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틸디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2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4440B1/ko
Publication of KR20230000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4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444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75Lifting fittings
    • B65D88/1681Flexible, e.g. loops, or reinforcements therefor
    • B65D88/1687Flexible, e.g. loops, or reinforcement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the forks of a forkli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65D88/12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with access from above
    • B65D88/123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with access from above open top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14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26Hoppers, i.e. containers having funnel-shaped discharge sections
    • B65D88/30Hoppers, i.e. containers having funnel-shaped discharge sections specially adapted to facilitate transportation from one utilisation site to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8/00Large container
    • B65D2588/02Large container rigid
    • B65D2588/12Large container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65D2588/125Intermediate bulk container [IB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2590/54Gates or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출이 용이한 곡물 이송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호퍼 형상으로 이루어져 곡물이 상부로 투입되어 채워진 상태로 다른 장소로 이동하여, 채워진 곡물을 외부로 배출할 때 지게차의 포크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편의성을 높이고자 한 배출이 용이한 곡물 이송함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개방된 상부를 통해 곡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하고, 곡물이 채워질 수 있도록 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함체부와, 상기 함체부의 하부에는 좌우로 슬라이드되게 각각 설치되는 좌측도어판 및 우측도어판과, 상기 좌측도어판 및 우측도어판의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지게차의 포크가 끼워지도록 한 포크삽입부;로 구성되어 상기 포크의 좌우 이동에 따라 좌측도어판과 우측도어판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출이 용이한 곡물 이송함{Grain transport bin for easy discharging}
본 발명은 배출이 용이한 곡물 이송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호퍼 형상으로 이루어져 곡물이 상부로 투입되어 채워진 상태로 다른 장소로 이동하여, 채워진 곡물을 외부로 배출할 때 지게차의 포크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편의성을 높이고자 한 배출이 용이한 곡물 이송함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농작물 수확시 일정 크기의 자루에 담아서 경운기나 트랙터와 같은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별도의 저장창고 및 건조시설로 이동하게 되고, 도정이 필요한 경우 정미소로 운반하여 자루에 담긴 곡물을 일일이 비워내야 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었다.
이러한 수작업은 농작물의 양이 많을 경우 많은 수량의 자루를 운반해야 하기 때문에, 농작물을 자루에 일일이 담는 작업, 차량에 싣고 내리는 작업, 자루에서 농작물을 꺼내는 작업 등 농작물을 옴기는 데에만 들어가는 작업이 매우 많아지며, 높은 강도의 노동력이 필요로 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농작물을 이송할 수 있는 곡물 이송함이 농촌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곡물 이송함은 상부가 곡물이 채워질 수 있는 공간을 갖는 함체형태로 이루어지되, 상부는 개방되어 있어서 상부를 통해 곡물을 투입하게 된다.
이러한 곡물 이송함을 통해 다수의 자루를 사용하지 않고 많은 양의 곡물을 이송할 수 있지만, 이송함에 채워진 곡물을 배출할 때에는 이송함에 채워진 곡물을 직접 퍼내는 형태로 배출하거나, 이송함을 한쪽으로 기울이는 형태로 곡물을 쏟아내는 형태로 배출하기 때문에, 전자의 경우 곡물 배출에 따른 많은 노동력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고, 후자의 경우 이송함을 기울이는 과정에서 안전사고의 발생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서, 등록실용 제20-0338499호(곡물이송적재함)에는 적재함이 적재되는 적재틀과, 상기 적재틀에 적재되는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형상의 적재함과, 상기 적재틀의 정면 일측부에 설치된 유압펌프와, 상기 적재틀과 적재함의 좌우측면 중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적재함을 상,하강시키는 두 개의 유압실린더와, 상기 두 개의 유압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펌프를 제어하여 적재함을 상,하강시키는 리모콘콜트롤러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적재함은 좌우 및 정면이 밀폐되어 있으며, 개방된 상부 중간부에 형성되어 좌,우측면을 연결시키는 봉형상의 보강대와, 후면의 상부에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경첩의해 연결되어 여닫이 식으로 개폐되며, 좌,우측면의 후면부에 형성된 통상의 도어고정장치에 의해 고정되는 직사각형상의 개폐도어와, 상기 개폐도어의 중앙 하부에 형성되며 하부로 경사지게 돌출된 곡물배출구와, 상기 곡물배출구의 좌,우측에 형성된 롤러레일과, 상기 롤러레일에 결합되어 수동조작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며 고물배출구를 개폐시키는 곡물개폐판로 구성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트럭의 적재함에 일체로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일반적으로 농촌에서 사용되는 규모보다 큰 규모에 해당하여 보급화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실린더에 의해 함체가 기울어지는 방식으로 곡물을 배출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함체 내부에 남아있는 곡물의 배출이 어렵기 때문에 작업자가 직접 함체 내부로 들어가 잔여 곡물을 배출해야 하는 등의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서, 공개실용신안 20-2010-0003285호(곡물이송기의 곡물배출장치)에는 곡물보관함의 하부에 설치되는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의 상측에 설치되는 곡물분리판과, 상기 곡물분리판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관으로 투입되는 곡물을 가려주는 한 쌍의 가림판과, 상기 가림판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곡물보관함에 설치되는 회동부로 구성된 곡물배출장치를 개시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함체를 기울이지 않고 배출하는 기술로서, 하수에 설치된 이송스크류를 통해 곡물을 배출하고 있으나, 상기 선행기술은 이송스크류 가동을 위한 모터의 전원공급이 반드시 필요하고, 이송스크류를 통한 배출과정에서 스크류 날에 의한 곡물의 손상 등으로 인해 곡물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곡물이 함체에 담기도록 하여 곡물의 이송 편의성을 높이도록 하되, 지게차의 포크를 통해 운반 및 하부에 형성된 도어를 개폐하도록 구성하여, 배출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배출시 잔여 곡물이 함체 내부에 남아있지 않도록 하면서, 스크류장치 없이 자연낙하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여 곡물의 손상없이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 배출이 용이한 곡물 이송함을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은 개방된 상부를 통해 곡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하고, 곡물이 채워질 수 있도록 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함체부와, 상기 함체부의 하부에는 좌우로 슬라이드되게 각각 설치되는 좌측도어판 및 우측도어판과, 상기 좌측도어판 및 우측도어판의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지게차의 포크가 끼워지도록 한 포크삽입부;로 구성되어 상기 포크의 좌우 이동에 따라 좌측도어판과 우측도어판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함체부의 하단에는 좌측도어판 및 우측도어판의 하부에서 지지해줄 수 있는 지지판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함체부의 양측 하부에는 좌측도어판 및 우측도어판의 내외부 인출이 가능하도록 슬릿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판의 하부 양측에는 받침대가 더 형성되되, 상기 받침대는 포크삽입부보다 더 돌출되어 지면 또는 구조물에 올려져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측도어판과 우측도어판이 만나는 중앙에는 어느 한쪽의 도어판이 위쪽에 배치되도록 끝부분이 포개어지는 형태로 닫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곡물이 담기는 함체부, 함체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좌측도어판 및 우측도어판과 도어판에 각각 형성되는 포크삽입부의 구성을 통해 지게차의 포크를 이용하여 도어판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지게차를 통한 함체부의 운반 및 곡물배출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배출시 곡물이 거의 잔류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연낙하 방식에 의해 곡물을 배출하기 때문에, 종래의 스크류 장치를 통한 배출구성보다 고장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곡물의 손상없이 신속한 배출이 가능한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출이 용이한 곡물 이송함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배출이 용이한 곡물 이송함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도어판이 개방된 상태의 이송함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배출이 용이한 곡물 이송함에서 도어판이 닫힌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배출이 용이한 곡물 이송함에서 도어판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지지판과 도어판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도
도 7 내지 8은 본 발명의 좌측도어판에 하향경사면을 형성하여, 우측도어판과 포개어지도록 닫히는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9 내지 10은 본 발명의 함체부 내측에 배출유도판이 더 형성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도어판 외측에 수동개폐고리가 더 형성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받침대와 포크삽입부 사이에 작동실린더가 더 설치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배출이 용이한 곡물 이송함은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된 상부를 통해 곡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하고, 곡물이 채워질 수 있도록 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함체부(100)와, 상기 함체부(100)의 하부에는 좌우로 슬라이드되게 각각 설치되는 좌측도어판(200a) 및 우측도어판(200b)과, 상기 좌측도어판(200a) 및 우측도어판(200b)의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지게차의 포크가 끼워지도록 한 포크삽입부(300);로 구성되어 상기 포크의 좌우 이동에 따라 좌측도어판(200a)과 우측도어판(200b)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함체부(100)는 상,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형태로 형성되며, 개방된 상부는 곡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하고, 개방된 하부는 좌측도어판(200a) 및 우측도어판(200b)이 결합되어 닫혀진 상태가 된다. 상기 함체부(100)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물 투입이 용이하도록 호퍼형상 같이 상광하협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함체부(100)의 하단에는 좌측도어판(200a) 및 우측도어판(200b)의 하부에서 지지해줄 수 있는 지지판(40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400)은 좌측도어판(200a) 및 우측도어판(200b)이 슬라이드될 때 지지판(400)이 수평이동 할 수 있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해주는 역할도 하면서, 좌측도어판(200a) 및 우측도어판(200b)이 닫혀진 상태에도 곡물의 무게를 지탱해줄 수 있도록 하여, 좌측도어판(200a) 및 우측도어판(200b)의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판(400)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도어판(200a) 및 우측도어판(200b)이 이동방향으로는 형성되지 않도록 앞,뒤 부분에만 일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400)의 면적이 너무 클 경우, 지지효과는 높일 수 있으나, 곡물이 배출되는 부분이 협소해지는 문제가 있고, 지지판(400)의 면적이 너무 작을 경우, 지지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함체부(100)의 양측 하부에는 좌측도어판(200a) 및 우측도어판(200b)의 내외부 인출이 가능하도록 슬릿부(500)가 각각 관통 형성되어 있어서, 슬릿부(500)를 통해 좌측도어판(200a) 및 우측도어판(200b)이 함체부(100)의 내부로 들어가거나 외부로 나오는 형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400)의 하부 양측에는 받침대(600)가 더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받침대(600)는 포크삽입부(300)보다 더 돌출되어 지면 또는 구조물에 올려져 지지되도록 한다. 즉, 상기 받침대(600)를 통해 구조물에 올려놓은 상태로 좌측도어판(200a) 및 우측도어판(200b)이 바닥과의 간섭없이 개폐가 가능한 구조적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좌측도어판(200a)과 우측도어판(200b)은 함체부(10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개폐가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곡물을 투입하여 함체 내부에 채워넣을 때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도어판(200a)과 우측도어판(200b)이 닫힌 상태를 유지하다가, 곡물 배출시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도어판(200a)과 우측도어판(200b)이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개방된 중앙으로 곡물 배출이 이루어진다. 이때 좌측도어판(200a) 및 우측도어판(200b)은 포크삽입부(300)에 삽입된 포크를 통해 이동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좌측도어판(200a) 및 우측도어판(200b)과 포크삽입부(300) 사이에는 양측 지지판(400) 사이를 통과할 수 있는 연결부(310)를 통해 연결되도록 하여, 지지판(400)과의 간섭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연결부(310)의 길이는 적어도 지지판(400)의 두께 이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좌측도어판(200a)과 우측도어판(200b)은 서로 맞닿는 형태로 닫히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도 7 내지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좌측도어판(200a)과 우측도어판(200b)이 만나는 중앙에는 어느 한쪽의 도어판이 위쪽에 배치되도록 끝 부분이 포개어지는 형태로 닫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포개어지는 형태로 닫히는 구조가 되려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도어판(200a)의 끝 부분을 절곡하여 하향경사면(210)을 형성하게 되면, 도어판을 닫을 때 반대편 우측도어판(200b)의 끝 부분이 좌측도어판(200a)의 하향경사면(210)을 타고 올라가면서 포개어지는 구조가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포개어지는 구조로 닫히게 될 경우, 가운데 부분에서 곡물의 무게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틈새부분으로 곡물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닫는 과정에서 좌측도어판(200a)과 우측도어판(200b)이 맞닿는 곳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도 9 내지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함체부(100)의 내측에는 곡물이 중앙으로 배출안내 되도록 중앙으로 경사진 형태의 배출유도판(70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도판(700)이 형성됨에 따라 곡물의 무게를 온전히 좌측도어판(200a) 및 우측도어판(200b)에게 전달되지 않고 배출유도판(700)이 어느 정도 곡물의 무게를 지지해줄 수 있으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시 가운부분으로만 집중적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여, 배출의 위치를 정확하게 잡을 수 있고, 배출후에도 잔여곡물이 거의 남지 않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좌측도어판(200a) 및 우측도어판(200b)의 외측 끝 부분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동개폐고리(800)가 더 형성될 경우, 사람이 직접 수동개폐고리(800)를 당기거나 밀어넣는 형태로 좌측도어판(200a) 및 우측도어판(200b)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수동개폐고리(800)에 로프를 묶어서 당기는 형태로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받침대(600)와 포크삽입부(300) 사이에 작동실린더(900)가 설치되어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작동실린더(900)를 통해 개폐를 보조하거나 지게차의 포크를 이용하지 않고도 실린더 작동만으로 좌측도어판(200a) 및 우측도어판(200b)을 개폐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함체부 200a : 좌측도어판
200b : 우측도어판 210 : 하향경사면
300 : 포크삽입부 310 : 연결부
400 : 지지판 500 : 슬릿부
600 : 받침대 700 : 배출유도판
800 : 수동개폐고리 900 : 작동실린더

Claims (4)

  1. 개방된 상부를 통해 곡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하고, 곡물이 채워질 수 있도록 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함체부(100)와,
    상기 함체부(100)의 하부에는 좌우로 슬라이드되게 각각 설치되는 좌측도어판(200a) 및 우측도어판(200b)과,
    상기 좌측도어판(200a) 및 우측도어판(200b)의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지게차의 포크가 끼워지도록 한 포크삽입부(300);로 구성되어 상기 포크의 좌우 이동에 따라 좌측도어판(200a)과 우측도어판(200b)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이 용이한 곡물 이송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부(100)의 하단에는 좌측도어판(200a) 및 우측도어판(200b)의 하부에서 지지해줄 수 있는 지지판(400)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함체부(100)의 양측 하부에는 좌측도어판(200a) 및 우측도어판(200b)의 내외부 인출이 가능하도록 슬릿부(500)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이 용이한 곡물 이송함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400)의 하부 양측에는 받침대(600)가 더 형성되되, 상기 받침대(600)는 포크삽입부(300)보다 더 돌출되어 지면 또는 구조물에 올려져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이 용이한 곡물 이송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도어판(200a)과 우측도어판(200b)이 만나는 중앙에는 어느 한쪽의 도어판이 위쪽에 배치되도록 끝부분이 포개어지는 형태로 닫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이 용이한 곡물 이송함

KR1020210082457A 2021-06-24 2021-06-24 배출이 용이한 곡물 이송함 Active KR102554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457A KR102554440B1 (ko) 2021-06-24 2021-06-24 배출이 용이한 곡물 이송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457A KR102554440B1 (ko) 2021-06-24 2021-06-24 배출이 용이한 곡물 이송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257A true KR20230000257A (ko) 2023-01-02
KR102554440B1 KR102554440B1 (ko) 2023-07-11

Family

ID=84925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457A Active KR102554440B1 (ko) 2021-06-24 2021-06-24 배출이 용이한 곡물 이송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444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255Y1 (ko) * 2000-06-16 2000-11-15 이화자 슬러지 저장탱크의 도어구조
JP2001278404A (ja) * 2000-03-29 2001-10-10 Topy Ind Ltd 廃棄物処理用コンテナ
KR101207292B1 (ko) * 2011-05-17 2012-12-03 정충교 슬러지 배출용 호퍼
KR102024509B1 (ko) * 2018-12-10 2019-09-24 주식회사 세진피앤씨 폐석 운반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8404A (ja) * 2000-03-29 2001-10-10 Topy Ind Ltd 廃棄物処理用コンテナ
KR200204255Y1 (ko) * 2000-06-16 2000-11-15 이화자 슬러지 저장탱크의 도어구조
KR101207292B1 (ko) * 2011-05-17 2012-12-03 정충교 슬러지 배출용 호퍼
KR102024509B1 (ko) * 2018-12-10 2019-09-24 주식회사 세진피앤씨 폐석 운반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4440B1 (ko) 2023-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5148B2 (en) Container and container wagon
US4995522A (en) Bottom dumping bulk container apparatus
US5733094A (en) Grain cart equipped with independently driven drag auger
US9598235B2 (en) Motor vehicle for collecting and sorting material and method of doing same
CA2629755A1 (en) Container
US6457610B1 (en) Silo for storing and controlled supply of empty light containers, and method for using such silo
US5531360A (en) Metering pallet
KR20130079625A (ko) 운송 컨테이너용 로딩 조립체, 운송 컨테이너를 로딩하는 방법 및 운송 컨테이너 로딩 기구
CN111891423A (zh) 粉料配送系统以及粉料配送方法
KR102554440B1 (ko) 배출이 용이한 곡물 이송함
US5297481A (en) System for compacting and storing separately recyclable and nonrecyclable waste materials
US20050281652A1 (en) Portable tilting container loader
CN111332640A (zh) 集装箱
CN212530129U (zh) 粉料配送系统
CN114803545A (zh) 小型零件的快速搬运装卸系统
US3501061A (en) Container for transporting powdery substances or mixed cargo
EP1302420A2 (en) Device for receiving material from a lorry and discharging the material for further handling
CN217558129U (zh) 一种新型机械化平仓仓门
CN115724223B (zh) 一种港口侧开门集装箱连续翻转称重一体化装置和方法
CN213650645U (zh) Iso标准集装箱
WO1996030289A1 (en) Device for storing, transporting and discharging bulk goods
RU2774698C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перевозки сыпучего или штучного груза, загружаемое из бункера с несколькими выпускными окнами
JP2756411B2 (ja) 飼料等のばら物取扱コンテナ
KR20120053271A (ko) 곡물 적재 장치
GB2278600A (en) Storage and transport of damp-susceptible materi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3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7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7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