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9321A - Spacing tool of formwork panel for wall construction - Google Patents
Spacing tool of formwork panel for wall constru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59321A KR20220159321A KR1020220153444A KR20220153444A KR20220159321A KR 20220159321 A KR20220159321 A KR 20220159321A KR 1020220153444 A KR1020220153444 A KR 1020220153444A KR 20220153444 A KR20220153444 A KR 20220153444A KR 20220159321 A KR20220159321 A KR 2022015932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rmwork
- pipe
- sides
- spacer
- ca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6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12466 permeat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87 fo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097 foam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22 pa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79 reinforc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7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other means
- E04G17/075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other means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 E04G17/0758—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other means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remaining completely or partially embedded in the cast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구축용 거푸집패널의 간격유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측 거푸집에 체결 설치되는 한 쌍의 거푸집고정구와, 양측 거푸집고정구의 내측단부를 끼움 결합하는 한 쌍의 연결케이싱과, 양측 연결케이싱에 양단부를 끼움식으로 연결하여 양측 거푸집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간격유지관으로 간격유지구를 구성하며, 본 발명에 의해 양측 거푸집의 간격을 유지토록 한 상태에서 양측 거푸집 사이의 공간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가 양생된 뒤에 간격유지관으로 방수재를 주입하면, 간격유지관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통공을 통하여 양생된 콘크리트와 간격유지관의 외면 사이에 형성되는 미세한 틈새로 방수재가 스며들어서 양생된 콘크리트와 간격유지관의 외면 사이에 방수층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벽체의 외면과 내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거푸집(80)이 간격을 유지하도록 양측 거푸집(80)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벽체구축용 거푸집패널의 간격유지구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80)에 체결 설치되는 한 쌍의 거푸집고정구(50)와, 양측 거푸집고정구(50)의 내측단부를 끼움 결합하는 한 쌍의 연결케이싱(60)과, 양측 연결케이싱(60)에 양단부를 끼움식으로 연결하여 양측 거푸집(80)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간격유지관(70)이 포함되어 간격유지구(100)가 구성되며;
상기 거푸집고정구(50)는 거푸집(80)의 측면에 형성되는 쐐기관통홀(81)을 관통하는 쐐기핀(82)이 끼워지는 쐐기고정홀(51)이 절개 형성된 판형 고정구몸체(52)가 거푸집(80)의 측면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고, 이 고정구몸체(52)의 내측 단부에는 연결케이싱(60)에 끼워져 걸리는 헤드부(53)를 형성하되, 고정구몸체(52)와 헤드부(53)의 사이에 일체로 연결 형성되는 목부(54)에는 거푸집(80)의 내부면에 걸리는 절곡걸림부(55)가 고정구몸체(52)와 직각으로 외향 절곡 형성되며, 절곡걸림부(55)와 근접한 목부(54)에는 절취부(56)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케이싱(60)은 금속판재로써 상부가 개방된 컵 형태로 케이싱본체(61)가 형성되고, 이 케이싱본체(61)의 외측방에는 거푸집고정구(50)의 헤드부(53)가 케이싱본체(61)의 내부로 삽입되어 걸리고 고정구몸체(52)는 케이싱본체(61)의 외측으로 외향 돌출되게 설치되며, 케이싱본체(61)의 내벽면 중앙하부에는 간격유지관(70)의 유지관본체(71)가 삽입되는 U형홈(63)이 형성되고, U형홈(63)의 상부 양측에는 유지관본체(71)가 U형홈(63)으로 삽입된 뒤에 내측으로 오므려져 유지관본체(71)의 이탈을 방지하는 로크밴딩부(64)가 상광하협형태의 안내홈(65)을 형성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간격유지관(70)은 유지관본체(71)의 전둘레에 다수개의 통공(72)이 형성되고, 이 유지관본체(71)의 양단부 외주연에는 케이싱본체(61) 내부로 삽입되는 너트(73)가 나사식으로 체결되며, 유지관본체(71)의 내부측 일측단부는 폐쇄구(74)에 의해 폐쇄되며, 이 간격유지관(70)의 양측 너트(73)가 로크밴딩부(64)의 안쪽을 통하여 케이싱본체(61)의 내부에 끼움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cer for a formwork panel for wall construction, and more particularly, a pair of formwork fixtures fastened to both sides of the formwork, and a pair of connection casings for fitting and coupling the inner ends of the formwork fixtures on both sides, The spacer is composed of a spacer maintaining pipe that connects both ends to both connecting casings in a fit-type manner to maintain the distance between the formwork on both sides,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e between the formwork on both sides is maintained while maintain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ormwork on both sides When the concrete is poured and the concrete is cured, when the waterproofing material is injected into the spacer pipe, the waterproofing material permeates into the fine gap formed between the cured concret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pacer pipe throug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in the spacer pipe. This is to ensure that a waterproof layer is formed between the concret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pacing pip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cer for maintaining a distance between a pair of formwork 80 forming the outer and inner surfaces of a concrete wall, and is installed between both formwork 80 to maintain a distance between formwork panels for wall construction;
A pair of formwork fixtures 50 fastened to the formwork 80, a pair of connection casings 60 for fitting and coupling the inner ends of the formwork fixtures 50 on both sides, and both ends of both side connection casings 60 The spacer 100 is configured by including a spacer pipe 70 for maintaining the distance between the molds 80 on both sides by connecting them in a fitted manner;
The formwork fixture 50 has a plate-shaped fixture body 52 in which a wedge fixing hole 51 is cut into which a wedge pin 82 penetrating the wedge through hole 81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ormwork 80 is inserted. It is formed with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side width of (80), and a head portion 53 is formed at the inner end of the fixture body 52 to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casing 60, but the fixture body 52 and the head portion ( In the neck portion 54 integrally formed between 53), a bending and catching portion 55 that is caugh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old 80 is bent outward at right angles to the fixture body 52, and the bending and catching portion 55 A cutout 56 is formed in the neck 54 adjacent to the;
The connection casing 60 is a metal plate material, and a casing body 61 is formed in a cup shape with an open top, and the head portion 53 of the formwork fixture 50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casing body 61. The fixture body 52 is installed to protrude outwar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body 61, and the maintenance pipe body of the gap maintenance pipe 70 is installed in the lower center of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asing body 61. A U-shaped groove 63 into which 71 is inserted is formed, an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U-shaped groove 63, the maintenance pipe body 71 is inserted into the U-shaped groove 63 and then folded inward to form a maintenance pipe body 71 A lock bending portion 64 preventing the escape of the upper and lower narrow guide grooves 65 is formed;
The space keeping pipe 70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72 formed around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holding pipe body 71, and nuts inserted into the casing body 61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both ends of the holding pipe body 71. (73) is screwed, and one end of the inner side of the holding pipe body 71 is closed by a closing hole 74, and the nuts 73 on both sides of the space keeping pipe 70 are lock bending parts ( 64)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nfiguration that is fitted and installed inside the casing body 61 through the inside.
Description
본 발명은 벽체구축용 거푸집패널의 간격유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측 거푸집에 체결 설치되는 한 쌍의 거푸집고정구와, 양측 거푸집고정구의 내측단부를 끼움 결합하는 한 쌍의 연결케이싱과, 양측 연결케이싱에 양단부를 끼움식으로 연결하여 양측 거푸집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간격유지관으로 간격유지구를 구성하며, 본 발명에 의해 양측 거푸집의 간격을 유지토록 한 상태에서 양측 거푸집 사이의 공간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가 양생된 뒤에 간격유지관으로 방수재를 주입하면, 간격유지관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통공을 통하여 양생된 콘크리트와 간격유지관의 외면 사이에 형성되는 미세한 틈새로 방수재가 스며들어서 양생된 콘크리트와 간격유지관의 외면 사이에 방수층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cer for a formwork panel for wall construction, and more particularly, a pair of formwork fixtures fastened to both sides of the formwork, and a pair of connection casings for fitting and coupling the inner ends of the formwork fixtures on both sides, The spacer is composed of a spacer maintaining pipe that connects both ends to both connecting casings in a fit-type manner to maintain the distance between the formwork on both sides,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e between the formwork on both sides is maintained while maintain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ormwork on both sides When the concrete is poured and the concrete is cured, when the waterproofing material is injected into the spacer pipe, the waterproofing material permeates into the fine gap formed between the cured concret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pacer pipe throug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in the spacer pipe. This is to ensure that a waterproof layer is formed between the concret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pacing pipe.
콘크리트로 건축물의 벽체 등을 타설하는데 사용되는 거푸집은,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벽체의 외면과 내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패널로 구성되는데, 이 패널(거푸집)은 유로폼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고, 내외측의 공간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되며, 내외측 패널의 사이에 거푸집 간격유지구가 고정되게 설치되어 내외측 패널의 사이 간격을 정확하게 유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ure 1b, the formwork used to pour concrete into the walls of a building is composed of a pair of panels that form the outer and inner surfaces of the wall. Concrete is poured and cured in the inner and outer spaces, and a formwork spacing tool is fixedly install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panels to accurately maintain the spacing between the inner and outer panels.
종래의 거푸집 간격유지구에 대하여 다수의 선행기술이 존재하고 있으나,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참고가 될 만한 실용신안 1건과, 특허 1건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Although a number of prior arts exist with respect to the conventional formwork spacer, one utility model case and one patent case that can be referenced in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선행기술 중에 포함하는 종래고안은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9-2221호(고안의 명칭 : 거푸집의 간격유지구)로 출원되고, 종래발명은 특허등록 제10-1641339호(발명의 명칭 거푸집의 간격유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로 등록되어 공보에 의해 알려지고 있다.The prior invention included in the prior art is filed as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20-2009-2221 (name of the invention: Formwork Gap Holder), and the prior invention is Patent Registration No. 10-1641339 (name of the invention Formwork) It is registered as a space keeping device and concret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it) and is known by public notice.
상기 종래고안(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9-2221호)은, 도 1a 및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축공사에 사용되는 거푸집의 간격유지구(1)에 있어서, 양측 거푸집(2,3)을 관통하여 그 간격을 유지시키며 평철형상으로 형성되는 간격유지구 본체(10a)와, 간격유지구 본체(10a) 양측에 끼워지되 양측 거푸집(2,3)의 내부면에 일측이 밀착 위치되는 디콘너트(20a)를 포함한다.The prior art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2009-2221) is, as shown in FIGS. 1A and 1B, in the formwork spacing (1) used in construction, both sides of the formwork (2,3) The
상기 간격유지구 본체(10a)는 양측의 거푸집(2,3)을 관통한 상태에서 양단부가 고정되어 거푸집(2,3) 내측에 타설되는 콘크리트(14)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평철형상으로 형성된다.The spacer main body (10a) has both ends fix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orms (2, 3) on both sides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concrete (14) poured inside the forms (2, 3). It is formed into a flat iron shape by doing.
절단홈(12a)이 형성되는 간격유지구 본체(10)의 양측에는 디콘너트(20a)가 끼워지는데, 이 디콘너트(20a)는 콘크리트(14) 양생후 제거되는 간격유지구 본체(10a)의 노출단부(16)가 빠져나온 후 방수처리를 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종래발명(특허등록 제10-1641339호)는, 도 2a 및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2거푸집(2,3)의 사이에 설치되며 길이방향의 양측이 제1,2거푸집(2,3)으로부터 돌출되는 간격유지봉(10), 간격유지봉(10)의 둘레부에 결합되며 제1,2거푸집(2,3)의 체결홀(2a,3a)에 밀착되어 방수하는 방수콘(20), 간격유지봉(10)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체결되는 체결수단으로서 체결볼트봉(30)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2A and 2B, the prior invention (Patent Registration No. 10-1641339)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and
상기 간격유지봉(10)은 봉 본체(11), 봉 본체(11)의 길이방향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체결볼트봉(30)이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결합부로서, 예컨대 나사부(12), 봉 본체(11)의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인 나사부(12)에서 안쪽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는 곳에 이웃하는 곳에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파단되도록 하는 분할유도부(13)로 구성된다.The
상기 방수콘(20)은 간격유지봉(10)의 둘레부에 결합되며 제1,2거푸집(2,3)에 형성된 체결홀(2a,3a)의 내주면에 밀착됨으로써 콘크리트측에서 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며 즉 탄성력이 있는 고무 등을 재질로 한다.The
상기 종래고안과 종래발명의 공통점은 양측 거푸집(2,3)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게 하면서 양단부에 설치되는 원뿔대 형태의 디콘너트(20a)와 방수콘(20)에 의해 방수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common feature of the prior art and the prior invention is to help waterproofing by the
그러나, 이들은 방수에 도움이 되지 못하는데, 그 이유는 거푸집의 간격유지구(1)와 간격유지봉(10)이 금속으로 제작 형성하고, 벽체 등의 콘크리트구조물은 콘크리트로 형성됨에 따라 그들의 열팽창계수가 상이하여 온도변화에 따라 수축과 팽창이 반복되면서 금속으로 된 간격유지구(1) 및 간격유지봉(10)과 그들이 접하는 콘크리트면 사이에 미세한 틈새가 발생하게 된다.However, they are not helpful in waterproofing, because the formwork's spacer (1) and spacer (10) are made of metal, and concrete structures such as walls are made of concrete, so their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is As the contraction and expansion are repeat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a fine gap is generated between th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지진은 물론이고 철로주변이나 대도로변과 같이 진동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지역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경우에는 간격유지구(1) 및 간격유지봉(10)과 그들이 접하는 콘크리트면 사이에 틈새가 더 빠르고 크게 형성되며, 진동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크랙 발생이 심화되게 되고, 그렇게 형성되는 틈새 및 크랙 발생부로 빗물 등의 물이 스며들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In such a state, in the case of a concrete structure in an area where vibration repeatedly occurs, such as around a railroad or along a large road, as well as earthquakes, a gap is formed between the
이와 같이 콘크리트구조물의 내측에 형성되는 틈새 및 크랙 발생부로 물이 스며들게 되면, 콘크리트구조물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던 보강철근이 부식되게 되고, 그렇게 부식되는 보강철근의 부피가 증가되면서 콘크리트구조물에 크랙 발생이 심화되어 콘크리트구조물의 강도가 급격히 약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In this way, when water permeates into gaps and cracks formed inside the concrete structure, the reinforcing bars installed inside the concrete structure are corroded, and as the volume of the corroded reinforcing bars increases, cracks occur in the concrete structure. As a result, the strength of the concrete structure is rapidly weakened.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양측 거푸집에 체결 설치되는 한 쌍의 거푸집고정구와, 양측 거푸집고정구의 내측단부를 끼움 결합하는 한 쌍의 연결케이싱과, 양측 연결케이싱에 양단부를 끼움식으로 연결하여 양측 거푸집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간격유지관으로 간격유지구를 구성하며, 본 발명에 의해 양측 거푸집의 간격을 유지토록 한 상태에서 양측 거푸집 사이의 공간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가 양생된 뒤에 간격유지관으로 방수재를 주입하면, 간격유지관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통공을 통하여 양생된 콘크리트와 간격유지관의 외면 사이에 형성되는 미세한 틈새로 방수재가 스며들어서 양생된 콘크리트와 간격유지관의 외면 사이에 방수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pair of formwork fixtures fastened to both sides of the formwork, a pair of connection casings for fitting the inner ends of the formwork fixtures on both sides, and both ends of both sides of the formwork fixture The spacer is composed of a spacer maintaining pipe that connects to the formwork on both sides to maintain the distance between the formworks on both sides,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rete is cured by pouring concrete into the space between the formworks on both sides while maintain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ormworks on both sides. When the waterproofing material is injected into the spacer pipe at the back, the waterproofing material permeates into the fine gap formed between the cured concret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pacer pipe throug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in the spacer pipe, and the cured concret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pacer pipe It is a technical task to form a waterproof layer between them.
또한, 거푸집고정구의 목부에 거푸집의 내부면에 지지되는 걸림절곡부를 형성함으로써, 거푸집고정구를 거푸집의 정위치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problem is to easily install the formwork fixture in the correct position of the formwork by forming a hooking bent portion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ormwork on the neck of the formwork fixtur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벽체의 외면과 내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거푸집이 간격을 유지하도록 양측 거푸집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벽체구축용 거푸집패널의 간격유지구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acer for a formwork panel for wall construction that is installed between both forms to maintain a distance between a pair of formwork forming the outer and inner surfaces of a concrete wall;
상기 거푸집에 체결 설치되는 한 쌍의 거푸집고정구와, 양측 거푸집고정구의 내측단부를 끼움 결합하는 한 쌍의 연결케이싱과, 양측 연결케이싱에 양단부를 끼움식으로 연결하여 양측 거푸집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간격유지관이 포함되어 간격유지구가 구성되며;A pair of formwork fixtures fastened to the formwork, a pair of connection casings fitting the inner ends of the formwork fixtures on both sides, and a gap connecting both ends to the both sides of the formwork fixture by fitting to maintain the distance between the formwork on both sides A maintenance tube is included to configure a spacer;
상기 거푸집고정구는 거푸집의 측면에 형성되는 쐐기관통홀을 관통하는 쐐기핀이 끼워지는 쐐기고정홀이 절개 형성된 판형 고정구몸체가 거푸집의 측면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고, 이 고정구몸체의 내측 단부에는 연결케이싱에 끼워져 걸리는 헤드부를 형성하되, 고정구몸체와 헤드부의 사이에 일체로 연결 형성되는 목부에는 거푸집의 내부면에 걸리는 절곡걸림부가 고정구몸체와 직각으로 외향 절곡 형성되며, 절곡걸림부와 근접한 목부에는 절취부가 형성되고;The formwork fixture has a plate-shaped fixture body in which a wedge fixing hole into which a wedge pin penetrating through a wedge through hole formed on the side of the formwork is cut and formed with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side width of the formwork, and at the inner end of the fixture body A head part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casing is formed, and the neck part integrally connected between the fixture body and the head part is bent outward at a right angle to the fixture body and formed with a bending hook part hook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old, and the neck part adjacent to the bending hook part a cutout is formed;
상기 연결케이싱은 금속판재로써 상부가 개방된 컵 형태로 케이싱본체가 형성되고, 이 케이싱본체의 외측방에는 거푸집고정구의 헤드부가 케이싱본체의 내부로 삽입되어 걸리고 고정구몸체는 케이싱본체의 외측으로 외향 돌출되게 설치되며, 케이싱본체의 내벽면 중앙하부에는 간격유지관의 유지관본체가 삽입되는 U형홈이 형성되고, U형홈의 상부 양측에는 유지관본체가 U형홈으로 삽입된 뒤에 내측으로 오므려져 유지관본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로크밴딩부가 상광하협형태의 안내홈을 형성하도록 형성되며;The connection casing is a metal plate material, and the casing body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up with an open top. On the outer side of the casing body, the head of the formwork fixture is inserted into the casing body and caught, and the fixture body protrudes outwar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body. At the lower center of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asing body, a U-shaped groove is formed into which the maintenance pipe body of the gap maintenance pipe is inserted, and the maintenance pipe body is inserted into the U-shaped groove on both sides of the upper part of the U-shaped groove, and then is folded inward to form a maintenance tube. The lock bending part preventing the main body from coming off is formed to form an upper and lower narrow guide groove;
상기 간격유지관은 유지관본체의 전둘레에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고, 이 유지관본체의 양단부 외주연에는 케이싱본체 내부로 삽입되는 너트가 나사식으로 체결되며, 유지관본체의 내부측 일측단부는 폐쇄구에 의해 폐쇄되며, 이 간격유지관의 양측 너트가 로크밴딩부의 안쪽을 통하여 케이싱본체의 내부에 끼움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pace keeping pipe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around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maintenance pipe body, nuts inserted into the casing body are screwed to the outer periphery of both ends of the maintenance pipe body, and one end of the inner side of the maintenance pipe body is closed by a closing hole, and the nuts on both sides of the spacer pipe are fitted and installed inside the casing body through the inside of the lock bending part.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벽체구축용 거푸집패널의 간격유지구는, 본 발명에 의해 양측 거푸집의 간격을 유지토록 한 상태에서 양측 거푸집사이의 공간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가 양생된 뒤에 간격유지관으로 방수재를 주입하면, 간격유지관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통공을 통하여 양생된 콘크리트와 간격유지관의 외면 사이에 형성되는 미세한 틈새로 방수재가 스며들어서 양생된 콘크리트와 간격유지관의 외면 사이에 방수층이 형성되어 콘크리트 벽체가 약화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spacer of the formwork panel for wall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formwork on both sides is maintained, concrete is pour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formwork on both sides, and after the concrete is cured, the spacer is maintained. When the waterproofing material is injected, the waterproofing material permeates into the fine gap formed between the cured concret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pacing pipe throug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in the spacing pipe, forming a waterproof layer between the cured concret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pacing pipe. It is formed and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weakening of the concrete wall.
또한, 거푸집고정구의 목부에 거푸집의 내부면에 지지되는 걸림절곡부를 형성함으로써, 거푸집고정구를 거푸집의 정위치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와, 거푸집고정구와 간격유지관을 연결하는 연결케이싱이 상부가 개방되는 컵형태로 형성되며 간격유지관보다 외곽의 크기가 대폭 확장됨에 따라 본 발명을 이용하여 벽체구축을 완성했을 때, 벽체를 견고하게 보강하여 보강재역할을 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지진 발생 시에도 벽체가 견고하게 유지되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In addition, by forming a hooking bent portion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ormwork on the neck of the formwork fixture, the effect of easily installing the formwork fixture in the correct position of the formwork, and the connection casing connecting the formwork fixture and the spacer pipe are open at the top. I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up tha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up and the size of the outer wall is significantly expanded than that of the spacer, so when the wall construction is completed us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wall is firmly reinforced to serve as a reinforcing material, so that even in the event of an earthquake, the wall is It has the effect of keeping it strong.
도 1a 및 도 1b는 종래고안의 구조와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설치상태의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종래발명의 구조와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설치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과 거푸집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내측에서 본 형상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거푸집고정구 이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거푸집고정구가 거푸집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및 사시도.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을 이용한 벽체 구축순서와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1a and 1b are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and installation state of the prior art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stallation state.
Figures 2a and 2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and installation state of the prior invention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stallation state.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formwork.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the inside.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is embodiment of the formwork fixture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are planar sectional views and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rmwork fixture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formwork;
8a to 8d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wall construction sequence and internal structure using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벽체구축용 거푸집패널의 간격유지구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FIGS. 3 to 8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spacing retainer of the formwork panel for wall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간격유지구(100)는, 도 3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벽체의 외면과 내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거푸집(80)이 간격을 유지하도록 양측 거푸집(80)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써, 거푸집(80)에 체결 설치되는 한 쌍의 거푸집고정구(50)와, 양측 거푸집고정구(50)의 내측단부를 끼움 결합하는 한 쌍의 연결케이싱(60)과, 양측 연결케이싱(60)에 양단부를 끼움식으로 연결하여 양측 거푸집(80)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간격유지관(7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3 and 6, the
상기 거푸집고정구(50)는 도 3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거푸집(80)의 측면에 형성되는 쐐기관통홀(81)을 관통하는 쐐기핀(82)이 끼워지는 쐐기고정홀(51)이 절개 형성된 판형 고정구몸체(52)가 거푸집(80)의 측면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고, 이 고정구몸체(52)의 내측 단부에는 연결케이싱(60)에 끼워져 걸리는 헤드부(53)를 형성하되, 고정구몸체(52)와 헤드부(53)의 사이에 일체로 연결 형성되는 목부(54)에는 거푸집(80)의 내부면에 걸리는 절곡걸림부(55)가 고정구몸체(52)와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며, 절곡걸림부(55)와 근접한 목부(54)에는 절취부(56)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3 to 6, the
상기 절곡걸림부(55)는 목부(54) 또는 고정구몸체(52)의 양측으로 외향 절곡 형성되어 인접한 2개의 거푸집(80) 내면에 각각 지지되어 인접하게 설치하는 2개의 거푸집(80)이 어긋나지 않고 동일한 수평면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며, 도 4에 도시된 거푸집고정구(50)에 형성된 절곡걸림부(55)는 고정구몸체(52)에서 절곡되고, 도 5에 도시된 거푸집고정구(50)에 형성된 절곡걸림부(55)는 목부(54)에서 절곡되는 것으로 기능적으로는 동일한 것이다.The bending and hooking
상기 연결케이싱(60)은 도 3, 4 및 도 6,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금속판재로써 상부가 개방된 컵 형태로 케이싱본체(61)가 형성되고, 이 케이싱본체(61)의 외측방에는 거푸집고정구(50)의 헤드부(53)가 케이싱본체(61)의 내부로 삽입되어 걸리고 고정구몸체(52)는 케이싱본체(61)의 외측으로 외향 돌출되게 설치되며, 케이싱본체(61)의 내벽면 중앙하부에는 간격유지관(70)의 유지관본체(71)가 삽입되는 U형홈(63)이 형성되고, U형홈(63)의 상부 양측에는 유지관본체(71)가 U형홈(63)으로 삽입된 뒤에 내측으로 오므려져 유지관본체(71)의 이탈을 방지하는 로크밴딩부(64)가 상광하협형태의 안내홈(65)을 형성하도록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3, 4, and 6 and 8, the
상기 간격유지관(70)은 유지관본체(71)의 전둘레에 다수개의 통공(72)이 형성되고, 이 유지관본체(71)의 양단부 외주연에는 케이싱본체(61) 내부로 삽입되는 너트(73)가 나사식으로 체결되며, 유지관본체(71)의 내부측 일측단부는 폐쇄구(74)에 의해 폐쇄되며, 이 간격유지관(70)의 양측 너트(73)가 로크밴딩부(64)의 안쪽을 통하여 케이싱본체(61)의 내부에 끼움 설치된다.The space keeping
그리고, 본 발명에는 도 8a 및 도 8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간격유지관(70)의 내부로 삽입되어 다수개의 통공(72)을 막아 간격유지관(70)의 안쪽으로 묽은 콘크리트가 유입되지 않게 하는 유지관폐쇄부재(90)를 추가로 포함하되, 이는 연질의 합성수지발포폼을 와이어 형태로 발포하여 형성되며, 일측단에 당김철사(91)가 결속되어 당김철사(91)가 연결된 유지관폐쇄부재(90)의 일측이 연결케이싱(60)을 통하여 거푸집(80)의 내부면에 밀착하도록 노출되게 설치된다.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8a and 8b, it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3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al relationship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8.
도 3, 4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벽체의 내면 및 외면을 형성하게 하는 거푸집(80)의 측면을 마주 대면서 서로 대면하는 거푸집(80)의 측면에 형성된 쐐기관통홀(81)을 일치시킨다. 그 다음에 내측방에 연결케이싱(60)이 연결 설치된 거푸집고정구(50)를 서로 대면하는 거푸집(80)의 측면측에 형성된 쐐기관통홀(81)과 거푸집고정구(50)의 쐐기고정홀(51)을 일치시킨다.As shown in FIGS. 3, 4 and 6, while facing the sides of the
이때, 거푸집고정구(50)의 목부(54)에는 거푸집(80)의 내부면에 접촉되는 절곡걸림부(55)가 양측으로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어서 측면끼리 대면하는 거푸집(80) 사이로 거푸집고정구(50)를 삽입시킬 때, 절곡걸림부(55)를 양측 거푸집(80)의 내부면에 접촉시키면, 서로 마주보는 거푸집(80)의 쐐기관통홀(81)과 거푸집고정구(50)의 쐐기고정홀(51)이 자동적으로 일치하여 거푸집고정구(50)의 설치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이렇게 서로 일치한 양측 쐐기관통홀(81)과 그 사이의 고정구몸체(52)에 형성된 쐐기고정홀(51)로 쐐기핀(82)을 끼워서 인접한 거푸집(80)의 측면과 거푸집고정구(50)를 용이하게 연결 설치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in the
이와 같은 방식으로 내측방에 연결케이싱(60)이 설치된 다수의 거푸집고정구(50)를 이용하여 인접한 거푸집(80)을 연결하며, 반대편 측 거푸집(80)도 위의 설명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결 설치한다.In this way,
그 다음에는 다수의 거푸집고정구(50)로 연결한 거푸집(80)의 내측면이 서로 마주 보도록 벽체를 형성할 만큼 간격을 이격시키는데, 벽체의 외면을 형성할 거푸집(80)에 설치된 거푸집고정구(50)와, 벽체의 내면을 형성할 거푸집(80)에 설치된 거푸집고정구(50) 모두,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측을 향하는 상태가 되며, 이 상태는 양측 연결케이싱(60)의 사이에 간격유지관(70)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다.Next, the inner surfaces of the
이 상태에서 도 3, 4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간격유지관(70)의 양단부에 나사식으로 체결된 너트(73)를 연결케이싱(60)의 상부에서 하측으로 압입하여 간격유지관(70)의 양단부에 설치된 너트(73)를 양측 케이싱본체(61)의 내부로 삽입시킨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S. 3, 4 and 6, the
이때, 상기 연결케이싱(60)의 내측벽에는 상광하협형태로 안내홈(65)을 형성한 로크밴딩부(64)가 형성되어서 유지관본체(71)를 압입하는 힘에 의해 유지관본체가 안내홈(65)을 통과하여 그 하측의 U형홈(63)에 안착되고, 유지관본체(71)의 단부에 설치된 너트(73)는 연결케이싱(60)의 케이싱본체(61) 안쪽에 삽입되게 된다.At this time, a
그 다음에 로크밴딩부(64)의 양측을 펜치나 플라이어와 같은 수공구를 이용하여 안쪽으로 오므리면, 금속판재로 형성된 연결케이싱(60)의 양측 로크밴딩부(64)가 내측으로 오므려들면서 그 내측의 안내홈(65)의 간격이 좁아져 U형홈(63)으로 삽입 안착된 유지관본체(71)가 연결케이싱(60)의 상측으로 이탈하지 못하게 된다.Then, when both sides of the
참고로, 도 4에 도시된 연결케이싱(60)의 로크밴딩부(64)는 양측 거푸집(80) 사이의 넓은 공간, 즉 간격유지관(70)이 설치되는 쪽을 향하고 있어서 작업자가 로크밴딩부(64)를 수공구로 오므릴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 작업의 불편함이 없음을 밝혀둔다.For reference, the
위와 같이 양측 연결케이싱(60)의 내부에 간격유지관(70) 양측의 너트(73)를 삽입 설치함으로써 도 6과 같이 양측 거푸집(80) 사이를 본 발명의 간격유지구(100)를 이용하여 일정 간격을 유지하게 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by inserting and installing the nuts 73 on both sides of the
위와 같이 간격유지관(70)을 양측 연결케이싱(60)에 압입 설치하기 전에 도 8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간격유지관(70)의 타측 내부에 폐쇄구(74)를 끼워서 간격유지관(70)의 타측을 막고, 폐쇄구(74)로 막지 않은 간격유지관(70)의 일측으로는 유지관폐쇄부재(90)를 삽입시켜서 간격유지관(70)에 형성된 통공(72)으로 추후에 콘크리트가 유입되지 않게 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As shown in FIG. 8A, before press-fitting the
이렇게 간격유지관(70)의 일측으로 유지관폐쇄부재(90)를 삽입시킬 때는 유지관폐쇄부재(90)의 일측에 결속된 당김철사(91)가 연결케이싱(6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거푸집(80)의 내부면에 밀착하도록 해야 하며, 이 유지관폐쇄부재(90)는 연질 합성수지재를 발포하여 와이어형태로 성형하여 스폰지와 같이 신축과 구부러짐이 자유로워 간격유지관(70)의 내부로 삽입이 자유롭고, 연결케이싱(60)의 내부에서 급격하게 구부려짐이 자유롭다.In this way, when the maintenance
이때, 유지관폐쇄부재(90)의 외경은 간격유지관(70)의 내부에 탄력적으로 꽉 찰 수 있는 굵기로 형성하여 간격유지관(70)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통공(72)을 막게된다.At this time, the outer diameter of the maintenance
이와 같이 간격유지관(70)의 내부에 유지관폐쇄부재(90)를 삽입시키되, 당김철사(91)가 외측으로 노출되게 끼운 상태로 양측 연결케이싱(60)에 간격유지관(70)의 양단부에 설치된 너트(73)를 끼웠을 때, 구부려짐이 자유로운 유지관폐쇄부재(90)가 연결케이싱(60)의 내부에서 상측으로 구부려지게 되고, 이렇게 구부려지는 단부를 도 4 및 도 8a에서와 같이 연결케이싱(60)의 외벽면에 형성되는 외측절개부(62)에 끼워서 소정의 탄성을 지니는 유지관폐쇄부재(90)의 단부가 거푸집(80)의 안쪽면에 밀착되게 한다.In this way, the pipe holding
그 다음에 양측 거푸집(80) 사이의 공간부로 콘크리트(92)를 타설하는데, 이렇게 콘크리트(92)가 채워지는 공간에는 보강철근이 미리 설치되어 있는 상태이어서 양측 거푸집(80) 사이의 공간부로 타설하는 콘크리트(92)의 내측에 본 발명에 의한 간격유지구(100)와 보강철근이 매설되게 된다.Then, concrete 92 is pour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two
위와 같이 타설하는 콘크리트(92)는 시멘트와 물, 모래, 작은 자갈 등이 혼합되어 묽은 상태로 양측 거푸집(80)의 사이에 채워지게 되는데, 간격유지구(100)에 포함되는 연결케이싱(60)이 컵형태로 상부가 개방되어 연결케이싱(60)의 내측으로도 콘크리트가 채워지되, 유지관폐쇄부재(90)가 구부려지게 삽입된 부분에도 콘크리트(92)가 채워진다.The concrete 92 poured as above is filled between the
그리고, 양측 연결케이싱(60)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간격유지관(70)의 외부에도 콘크리트(92)가 채워지는데, 간격유지관(70)에는 다수개의 통공(72)이 형성되어서 그 통공(72) 들이 콘크리트(92)에 의해 메워질 것을 염려할 수 있겠으나, 간격유지관(70)의 내부에는 유지관폐쇄부재(90)가 삽입되어서 간격유지관(70)의 내부로 콘크리트(92)가 유입되지는 못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oncrete 92 is also filled on the outside of the
이때, 콘크리트(92)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멘트와 물, 모래, 작은 자갈 등이 혼합되어 묽은 상태이므로 굵은 모래와 작은 자갈 등이 간격유지관(70)의 외주면과 부분적으로 접하게 되고, 간격유지관(70)의 상측에 위치하는 일부의 통공(72)이 부분적으로 간격유지관(70)의 살 두께 만큼의 작은 공간으로 시멘트물이 고여 있을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ncrete 92 is in a diluted state by mixing cement, water, sand, small gravel, etc., the coarse sand and small gravel partially come into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이와 같은 상태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여 콘크리트(92)가 양생되면, 상기 상측에 위치하는 일부의 통공(72)이 부분적으로 응고된 시멘트물에 의해 막힐 수 있으나, 다수개의 통공(72) 전체가 막히는 것이 아니고 측면이나 하부측에 위치하는 통공(72)이 부분적으로 막히지 않고, 상기 굵은 모래나 작은 자갈이 간격유지관(70)의 외주면과 접하는 부분에는 부분적으로 틈새(93)가 형성되게 된다.When the concrete 92 is cur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in this state, some through
이렇게 양측 거푸집(80) 사이의 공간부로 타설한 콘크리트(92)가 양생된 뒤에는 도 8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생된 콘크리트 벽체 양면에서 양측 거푸집(80)을 분리하는데, 이때는 도 6,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접한 거푸집(80)의 쐐기관통홀(81)과 거푸집고정구(50)의 쐐기고정홀(51)의 내측으로 끼워졌던 쐐기핀(82)을 분리한 다음에 거푸집(80)을 콘크리트 벽면으로부터 분리해낸다.After the concrete 92 pour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two
이와 같이 콘크리트 벽면으로부터 거푸집(80)을 분리해내면 도 8b와 같이 콘크리트 벽면의 외측으로 양측에 거푸집고정구(50)의 고정구몸체(52)와, 일측에 유지관폐쇄부재(90)의 당김철사(91)가 노출되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이렇게 콘크리트 벽면의 일측 외부로 노출된 유지관폐쇄부재(90)의 당김철사(91)를 잡아서 외측으로 당기면, 연질합성수지재로 발포 성형하여 신축과 구부러짐이 자유로운 유지관폐쇄부재(90)가 간격유지관(70)의 내측에서 외부로 빠져나오게 된다.When the pulling
이처럼 유지관폐쇄부재(90)를 빼냄에 따라 도 8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의 연결케이싱(60) 내부에 유지관폐쇄부재(90)가 구부려진 상태로 들어있던 부피 만큼 터널형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은 간격유지관(70)의 내측과 통하는 상태가 된다.As the holding
이 상태에서 일측 연결케이싱(60)에 형성되는 터널형 공간으로 방수재주입구(94)의 선단부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소정의 압력으로 방수재를 분사하면, 방수재탱크(미도시)에 채워져 있던 액상의 방수재(95)가 도 8c 및 도 8d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간격유지관(70)의 내부공간과 간격유지관(70)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공(72)을 통하여 간격유지관(70)의 외주면과 그 외측의 콘크리트(92)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93)로 채워지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waterproofing material is sprayed at a predetermined pressure in a state in which the tip of the
위와 같이 주입한 방수재(95)가 응고하면, 간격유지관(70)의 내부 공간과, 간격유지관(70)의 외주면과 그 외측의 콘크리트(92)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93)에 응고된 방수재(95)가 방수층을 형성하여 추후에 해당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에 대한 진동이나,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콘크리트(92)의 내측에서 간격유지구(100)와 대면하는 부분에서 방수층을 유지하여 콘크리트 벽체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When the injected
이와 같이 방수재가 응고된 뒤에는 콘크리트 벽체의 외부로 돌출된 고정구몸체(52)를 망치 등의 타격공구로 타격하면 절취부(56)가 파단되면서 고정구몸체(52)가 제거되게 되고, 콘크리트 벽체의 외부면에 형성되는 요철부를 시멘트로 미장하거나, 도색, 또는 타일을 포함한 외장부재를 부착하는 등의 마무리 작업을 하여 콘크리트 벽체에 대한 시공을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After the waterproofing material is solidified in this way, when the
50 : 거푸집고정구 51 : 쐐기고정홀 52 : 고정구몸체
53 : 헤드부 54 : 목부 55 : 절곡걸림부
56 : 절취부 60 : 연결케이싱 61 : 케이싱본체
62 : 외측절개부 63 : U형홈 64 : 로크밴딩부
65 : 안내홈 70 : 간격유지관 71 : 유지관본체
72 : 통공 74 : 폐쇄구 80 : 거푸집
81 : 쐐기관통홀 82 : 쐐기핀 90 : 유지관폐쇄부재
91 : 당김철사 92 : 콘크리트 93 : 틈새
94 : 방수재주입구 95 : 방수재 100 : 간격유지구50: formwork fixture 51: wedge fixing hole 52: fixture body
53: head part 54: neck part 55: bending part
56: cutout 60: connecting casing 61: casing body
62: outer incision 63: U-shaped groove 64: lock bending part
65: Guide groove 70: Gap maintenance pipe 71: Maintenance pipe body
72: through hole 74: closed hole 80: formwork
81: wedge through hole 82: wedge pin 90: holding pipe closing member
91: pulling wire 92: concrete 93: gap
94: waterproof material inlet 95: waterproof material 100: spacer
Claims (2)
상기 거푸집(80)에 체결 설치되는 한 쌍의 거푸집고정구(50)와, 양측 거푸집고정구(50)의 내측단부를 끼움 결합하는 한 쌍의 연결케이싱(60)과, 양측 연결케이싱(60)에 양단부를 끼움식으로 연결하여 양측 거푸집(80)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간격유지관(70)이 포함되어 간격유지구(100)가 구성되며;
상기 거푸집고정구(50)는 거푸집(80)의 측면에 형성되는 쐐기관통홀(81)을 관통하는 쐐기핀(82)이 끼워지는 쐐기고정홀(51)이 절개 형성된 판형 고정구몸체(52)가 거푸집(80)의 측면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고, 이 고정구몸체(52)의 내측 단부에는 연결케이싱(60)에 끼워져 걸리는 헤드부(53)를 형성하되, 고정구몸체(52)와 헤드부(53)의 사이에 일체로 연결 형성되는 목부(54)에는 거푸집(80)의 내부면에 걸리는 절곡걸림부(55)가 고정구몸체(52)와 직각으로 외향 절곡 형성되며, 절곡걸림부(55)와 근접한 목부(54)에는 절취부(56)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케이싱(60)은 금속판재로써 상부가 개방된 컵 형태로 케이싱본체(61)가 형성되고, 이 케이싱본체(61)의 외측방에는 거푸집고정구(50)의 헤드부(53)가 케이싱본체(61)의 내부로 삽입되어 걸리고 고정구몸체(52)는 케이싱본체(61)의 외측으로 외향 돌출되게 설치되며, 케이싱본체(61)의 내벽면 중앙하부에는 간격유지관(70)의 유지관본체(71)가 삽입되는 U형홈(63)이 형성되고, U형홈(63)의 상부 양측에는 유지관본체(71)가 U형홈(63)으로 삽입된 뒤에 내측으로 오므려져 유지관본체(71)의 이탈을 방지하는 로크밴딩부(64)가 상광하협형태의 안내홈(65)을 형성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간격유지관(70)은 유지관본체(71)의 전둘레에 다수개의 통공(72)이 형성되고, 이 유지관본체(71)의 양단부 외주연에는 케이싱본체(61) 내부로 삽입되는 너트(73)가 나사식으로 체결되며, 유지관본체(71)의 내부측 일측단부는 폐쇄구(74)에 의해 폐쇄되며, 이 간격유지관(70)의 양측 너트(73)가 로크밴딩부(64)의 안쪽을 통하여 케이싱본체(61)의 내부에 끼움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구축용 거푸집패널의 간격유지구.In the spacer of the formwork panel for wall construction that is installed between the formwork 80 on both sides so that the pair of formwork 80 forming the outer and inner surfaces of the concrete wall maintains the distance;
A pair of formwork fixtures 50 fastened to the formwork 80, a pair of connection casings 60 for fitting and coupling the inner ends of the formwork fixtures 50 on both sides, and both ends of both side connection casings 60 The spacer 100 is configured by including a spacer pipe 70 for maintaining the distance between the molds 80 on both sides by connecting them in a fitted manner;
The formwork fixture 50 has a plate-shaped fixture body 52 in which a wedge fixing hole 51 is cut into which a wedge pin 82 penetrating the wedge through hole 81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ormwork 80 is inserted. It is formed with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side width of (80), and a head portion 53 is formed at the inner end of the fixture body 52 to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casing 60, but the fixture body 52 and the head portion ( In the neck portion 54 integrally formed between 53), a bending and catching portion 55 that is caugh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old 80 is bent outward at right angles to the fixture body 52, and the bending and catching portion 55 A cutout 56 is formed in the neck 54 adjacent to the;
The connection casing 60 is a metal plate material, and a casing body 61 is formed in a cup shape with an open top, and the head portion 53 of the formwork fixture 50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casing body 61. The fixture body 52 is installed to protrude outwar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body 61, and the maintenance pipe body of the gap maintenance pipe 70 is installed in the lower center of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asing body 61. A U-shaped groove 63 into which 71 is inserted is formed, an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U-shaped groove 63, the maintenance pipe body 71 is inserted into the U-shaped groove 63 and then folded inward to form a maintenance pipe body 71 A lock bending portion 64 preventing the escape of the upper and lower narrow guide grooves 65 is formed;
The space keeping pipe 70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72 formed around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holding pipe body 71, and nuts inserted into the casing body 61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both ends of the holding pipe body 71. (73) is screwed, and one end of the inner side of the holding pipe body 71 is closed by a closing hole 74, and the nuts 73 on both sides of the space keeping pipe 70 are lock bending parts ( 64) through the inside of the casing main body 61 is fitted to the inside of the install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pace between the formwork panel for wall construction.
상기 간격유지관(70)의 내부로 삽입되어 다수개의 통공(72)을 막아 간격유지관(70)의 안쪽으로 묽은 콘크리트가 유입되지 않게 하는 유지관폐쇄부재(90)를 추가로 포함하되, 이는 연질의 합성수지발포폼으로 형성되며, 일측단에 당김철사(91)가 결속되어 당김철사(91)가 연결된 유지관폐쇄부재(90)의 일측이 연결케이싱(60)을 통하여 거푸집(80)의 내부면에 밀착하도록 노출되게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구축용 거푸집패널의 간격유지구.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ending and catching portion 55 is formed bent outward on both sides;
It further includes a maintenance pipe closing member 90 inserted into the spacer pipe 70 to block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72 so that the thin concrete does not flow into the spacer pipe 70, which It is formed of soft synthetic resin foam, and a pulling wire 91 is bound to one end so that one side of the holding pipe closing member 90 to which the pulling wire 91 is connected passes through the connecting casing 60 to the inside of the mold 80. Spacing of the formwork panel for wall constru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nfiguration that is installed to be expos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53444A KR102760448B1 (en) | 2022-11-15 | 2022-11-15 | Spacing tool of formwork panel for wall constru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53444A KR102760448B1 (en) | 2022-11-15 | 2022-11-15 | Spacing tool of formwork panel for wall construc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59321A true KR20220159321A (en) | 2022-12-02 |
KR102760448B1 KR102760448B1 (en) | 2025-01-24 |
Family
ID=84417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53444A Active KR102760448B1 (en) | 2022-11-15 | 2022-11-15 | Spacing tool of formwork panel for wall constru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60448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5350Y1 (en) * | 2005-10-05 | 2006-01-10 | 김영화 | Formwork connector |
KR20090002221U (en) | 2007-08-31 | 2009-03-04 | 이경은 | Movie Tickets Managed by Pasting |
KR101641339B1 (en) | 2014-12-29 | 2016-07-29 | 서보산업 주식회사 | Device for maintaining distance of concrete mold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 |
-
2022
- 2022-11-15 KR KR1020220153444A patent/KR10276044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5350Y1 (en) * | 2005-10-05 | 2006-01-10 | 김영화 | Formwork connector |
KR20090002221U (en) | 2007-08-31 | 2009-03-04 | 이경은 | Movie Tickets Managed by Pasting |
KR101641339B1 (en) | 2014-12-29 | 2016-07-29 | 서보산업 주식회사 | Device for maintaining distance of concrete mold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760448B1 (en) | 2025-01-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43175B1 (en) | Catchment | |
KR101789320B1 (en) | Apparatus for Separating Cocreate Slab by Making Wall | |
KR101549418B1 (en) | Wedge shaped water stop and embeded concrete expansion joint form using the same | |
KR20220159321A (en) | Spacing tool of formwork panel for wall construction | |
JPH07317029A (en) | Structure of wall in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0774885B1 (en) | Prefabricated anchor bolt structure embedded in the founda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founda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 |
KR200442013Y1 (en) | Wall through sleeve structure | |
CN109826441B (en) | Lateral pre-embedding installation method for C-shaped hafen groove of concrete structure | |
KR102261661B1 (en) | Polyurea drain plat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expansion joint | |
JPH0892923A (en) | Guard fence | |
CN210622327U (en) | Concrete pouring and tamping construction device for reinforced dense beam column joints | |
KR200342749Y1 (en) | Device For Connecting Concrete Form | |
KR200394420Y1 (en) | Water-Proofing Plate for Concrete and Fixing Device of The Same | |
JP3335971B2 (en) | Concrete pavement reinforcement method and reinforcement structure | |
KR100614839B1 (en) | Insulator or construction material fixing device installed on aluminum formwork | |
KR200286055Y1 (en) | Anchor bolt fastener and spacer for reinforcement bar arrangement of building | |
KR100657205B1 (en) | Thin spring for wire rope fastening | |
JPH11217931A (en) | Foaming heat insulation formwork | |
CN212152956U (en) | Embedded sleeve positioning base and embedded sleeve assembly | |
KR100820596B1 (en) | Trench Foam Structure | |
KR200226684Y1 (en) | panel of subway open cut structure water proofing method | |
KR100389535B1 (en) | subway open cut structure water proofing method and panel thereby | |
KR100682066B1 (en) | Integrated cover construction of sewage pipes and road side openings | |
JP2003082680A (en) | Construction method for structural body using solidifying agent and formwork forming method | |
JP4933489B2 (en) | Raised block of concrete fr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6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1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50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