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8730A - 복수층 구조체 - Google Patents
복수층 구조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58730A KR20220158730A KR1020227033684A KR20227033684A KR20220158730A KR 20220158730 A KR20220158730 A KR 20220158730A KR 1020227033684 A KR1020227033684 A KR 1020227033684A KR 20227033684 A KR20227033684 A KR 20227033684A KR 20220158730 A KR20220158730 A KR 2022015873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resin
- glass
- adhesive
- resin lay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0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9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9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5294 ferromagnet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820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187 thermosetting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KRHYYFGTRYWZRS-UHFFFAOYSA-N Fluorane Chemical compound F KRHYYFGTRYWZR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5 Polyether sulf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13 alkali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332 epoxy adhesiv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89 perm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037 poly(vinyl butyra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393 polyether sulf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672 polyolefin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QTBSBXVTEAMEQO-UHFFFAOYSA-M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78 Acryl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5 Acry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VKZGUZCCUSVTD-UHFFFAOYSA-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O-]C([O-])=O BVKZGUZCCUSVTD-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977 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640 Fe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8068 Li 2 O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877 Melami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990 Ni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124 Pilkingt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7 Polyether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MZURENOXWZQFD-UHFFFAOYSA-L Sodium Sulfate Chemical compound [Na+].[Na+].[O-]S([O-])(=O)=O PMZURENOXWZQFD-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3 alkali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340 alkali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PNEYBMLMFCGWSK-UHFFFAOYSA-N alumi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O-2].[O-2].[O-2].[Al+3].[Al+3] PNEYBMLMFCGWS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54 aluminosilicate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73 anti-fou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18 antifoam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410 antimony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KGBXLFKZBHKPEV-UHFFFAOYSA-N boric acid Chemical compound OB(O)O KGBXLFKZBHKPE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27 bor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HIWVLPBUQWDMQ-UHFFFAOYSA-N butyl prop-2-enoate;methyl 2-methylprop-2-enoate;prop-2-en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OC(=O)C(C)=C.CCCCOC(=O)C=C QHIWVLPBUQWDM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89 copper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925 cycloalke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5 discol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280 down draw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02 ferro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57 fla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1 foam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87 fo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46 layers by fun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JDSHMPZPIAZGSV-UHFFFAOYSA-N melamine Chemical compound NC1=NC(N)=NC(N)=N1 JDSHMPZPIAZGS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JFNLZVQOOSMTJK-KNVOCYPGSA-N norbornene Chemical compound C1[C@@H]2CC[C@H]1C=C2 JFNLZVQOOSMTJK-KNVOCYPG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00 overflow downdraw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VTRUBDSFZJNXHI-UHFFFAOYSA-N oxoantimony Chemical compound [Sb]=O VTRUBDSFZJNXH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ISWSIDIOOBJBQZ-UHFFFAOYSA-N phenol group Chemical group C1(=CC=CC=C1)O ISWSIDIOOBJB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98 poli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207 poly(ethylene-2,6-na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92 poly(sulf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58 poly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25 polyester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01 polyether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678 polyethylene based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12 polyethylene na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673 polypropylene based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464 silicone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61 soda-lime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38 sodium sulf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52 sodium sul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803 thermoplastic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060 yellow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18—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only one glass shee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247—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ontaining decorations or patterns for aesthetic reas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32B2037/246—Vapour deposi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5—5 or more lay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32B2307/737—Dimensions, e.g. volume or area
- B32B2307/7375—Linear, e.g. length, distance or width
- B32B2307/7376—Thickn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8—Dimensions, e.g. volume
- B32B2309/10—Dimensions, e.g. volume linear, e.g. length, distance, width
- B32B2309/105—Thickn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1/00—Optical elements
- B32B2551/08—Mirror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복수층 구조체는, 수지층과, 상기 수지층 상에 접착제층을 사이에 두고 적층된 유리층을 포함하고, 상기 유리층의 두께는 10㎛ 이상 300㎛ 이하이며, 상기 수지층과 상기 접착제층 간 계면의 산술 평균 너울(Wa)이 10㎛ 이하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수층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2 이상의 층을 적층시킨 복수층 구조체가 알려져 있다. 일 예로서, 얇은 유리층(유리 필름) 상에 은 반사층을 적층시킨 복수층 구조체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수층 구조체는 표면 경도, 칫수 안정성, 화학 내성과, 경량성, 가요성을 겸비한다. 그리하여, 이와 같은 복수층 구조체를 활용하면, 종래에 판유리의 과제였던 중량이나 깨짐에 의한 위험을 해소할 수 있어서, 다양한 용도로의 전용 가능성이 있다.
그런데, 수지층 상에 접착제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와 같이 얇은 유리층을 적층시킨 복수층 구조체 역시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층 구조체에서는, 유리층을 통해 하층 쪽이 시인(視認) 가능한데, 하층 쪽의 시인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시인성의 저하는, 예를 들어, 복층 구조체를 경면(鏡面) 마무리에 사용하는 경우, 장식 플레이트에 사용하는 경우 등의 품질 저하로 이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사항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유리층을 통한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수층 구조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복수층 구조체는, 수지층과, 상기 수지층 상에 접착제층을 사이에 두고 적층된 유리층을 포함하고, 상기 유리층의 두께는 10㎛ 이상 300㎛ 이하이며, 상기 수지층과 상기 접착제층 간 계면의 산술 평균 너울(Wa)이 10㎛ 이하이다.
개시된 기술에 의하면, 유리층을 통한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수층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복수층 구조체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 1에 따른 복수층 구조체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 2에 따른 복수층 구조체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 1에 따른 복수층 구조체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 2에 따른 복수층 구조체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3이하에서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며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제1 실시형태>
[복수층 구조체]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복수층 구조체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층 구조체(10)는 수지층(11), 접착제층(12), 유리층(13), 접착제층(14)을 구비한다. 복수층 구조체(10)에서 유리층(13)은 수지층(11) 상에 접착제층(12)을 사이에 두고 적층되어 있다. 또한, 수지층(11)에 있어 접착제층(12)이 적층되어 있는 쪽의 반대쪽 면에는 접착제층(14)이 형성되어 있다.
다만, 접착제층(14)은 필요에 따라 구비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수지층(11) 상에 접착제층(12)을 사이에 두고 적층된 유리층(13)을 접착 대상체에 붙이기 직전에, 수지층(11)의 하면에 양면 테이프 등을 붙일 수도 있고 접착 대상체 쪽에 양면 테이프 등을 붙일 수도 있다.
한편, 복수층 구조체(10)의 평면 형상(유리층(13) 상면의 법선 방향에서 본 형상)은 사각형, 원형, 타원형, 이들의 조합, 또는 그 밖에 적절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복수층 구조체(10)는 가요성을 가지므로 곡면에도 용이하게 붙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면밀히 검토를 거듭하여, 유리층(13)을 통해 하층쪽을 시인(視認)하는 경우에 하층의 평면성이 나쁘면 시인성이 저하되는 점, 그리고 수지층(11)과 접착제층(12) 간 계면의 평면성이 시인성 저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침을 밝혀내었다.
여기에서 평면성이라 함은, 기준 길이에 있어 평균 면으로부터의 평균 고저차(즉, 너울)이며, 예를 들어, 산술 평균 너울(Wa)로 나타낼 수 있다. 본원에서 산술 평균 너울(Wa)은 JIS-B-0601(2013)에 준거하여 기준 길이 10cm에서 측정되는 값을 의미한다.
수지층(11)과 접착제층(12) 간 계면의 산술 평균 너울(Wa), 즉, 수지층(11)에 있어 접착제층(12)에 접하는 면의 산술 평균 너울(Wa)은 10㎛ 이하이다. 수지층(11)과 접착제층(12) 간 계면의 산술 평균 너울(Wa)은 5㎛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층(11)과 접착제층(12) 간 계면의 산술 평균 너울(Wa)의 하한값은 0㎛일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0㎛보다 큰 값(예를 들어, 수㎛)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산술 평균 너울(Wa)에, 불량 개소 등과 같이 국소적으로 부풀어 오른 것은 포함하지 않는다.
수지층(11)과 접착제층(12) 간 계면의 산술 평균 너울(Wa)이 상기 범위의 값이면, 수지층(11)에 있어 접착제층(12)에 접하는 면의 평면성이 향상되므로, 유리층(13)을 통해 하층쪽을 시인하는 경우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예를 들어, 복수층 구조체(10)를 경면 마무리에 사용하는 경우, 투명한 보호 필름이나 장식 플레이트 등에 사용하는 경우의 품질 향상(질감 향상)이 가능해진다.
한편, 접착제층(12)은 수지층(11)의 형상에 추종하므로, 접착제층(12)에 있어 수지층(11)에 접하는 면의 산술 평균 너울(Wa)은 수지층(11)에 있어 접착제층(12)에 접하는 면의 산술 평균 너울(Wa)과 같게 된다.
수지층(11) 형성시의 성형 조건을 조정하거나, 성형 후에 수지층 표면을 연마하는 식으로 하여, 수지층(11)과 접착제층(12) 간 계면의 산술 평균 너울(Wa)을 상기 범위 내로 할 수 있다. 또는, 시판의 수지 필름을 입수해서 산술 평균 너울(Wa)을 측정하여, 산술 평균 너울(Wa)이 상기 범위 내에 들어오는 수지 필름을 선정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복수층 구조체(10) 각 부의 재료 등에 대해 설명한다.
[수지층]
수지층(11)은 유리층(13) 등을 적층하는 기재(基材)로 되는 층이며 가요성을 가진다. 수지층(11)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지층(11)이 복수 개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접착 기능을 갖는 밀착층을 개재(介在)하여 적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층(11)의 총 두께는 가요성의 관점에서 20㎛ 이상 1000㎛ 이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5㎛ 이상 5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상 300㎛ 이하이다.
수지층(11)의 탄성율은 너울의 관점에서 1GPa 이상임이 바람직하며, 10GPa 이하이면 바람직하다.
수지층(11)의 재료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계 수지 등과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노르보르넨계 수지 등과 같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아미드계 수지, 폴리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이미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지층(11)에 충격 흡수성을 갖도록 하려는 경우에는, 수지층(11)의 재료로서 우레탄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층(11)에 단단함을 갖게 하려는 경우에는, 수지층(11)의 재료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층(11)은 투명한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지층(11) 및 접착제층(12)을 가시광에 대해 투명한 재료로 형성시킨 경우, 복수층 구조체(10)를, 차량의 창문 유리를 돌멩이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용도로서 표면이 수지인 보호 필름을 사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나, 표면이 수지인 경우에는 보호 성능이 낮고 또한 배기 가스 등의 영향으로 표면의 수지가 변색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복수층 구조체(10)는 표면이 유리층(13)이므로, 표면이 수지인 보호 필름에 비해 표면에 흠집이 생기기 어려워서 높은 보호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복수층 구조체(10)는 표면이 유리층(13)이므로, 내구성, 내약품성이 좋아서 하층에 있는 수지층(11)이 변색되는 등의 열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수지층(11)은 의장성을 부여한 불투명의 장식 부가층일 수도 있다. 장식 부가층은 단색의 색조를 띄는 층일 수도 있고, 임의의 모양이나 도형, 문자 등이 부여된 층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지층(11)을 흑색의 장식 부가층으로 함으로써, 복수층 구조체(10)에 의해 피아노 피니쉬(piano finish)(피아노 도장, 피아노 블랙 등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음)에 상당하는 경면 마무리를 실현할 수 있다.
종래의 피아노 피니쉬는, 수지층 등의 기재(基材)에 우레탄계 수지를 복수층 적층하는 방법이 채택되고 있어서 대단히 번잡한 공정을 거쳐 형성된다. 또한, 이 방법으로 얻어진 피아노 피니쉬는 표면이 수지인 바, 흠집이 생기기 쉬워서 내구성이나 내약품성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그러나, 수지층(11)을 흑색의 장식 부가층으로 한 복수층 구조체(1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복수층 구조체(10)를 접착 대상체에 붙이는 것만으로, 번잡한 공정을 거치지 않고서 피아노 피니쉬에 상당하는 경면 마무리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복수층 구조체(10)는 표면이 유리층(13)이므로, 표면이 수지인 종래의 피아노 피니쉬에 비해 표면에 흠집이 잘 생기지 않아서 내구성, 내약품성이 높다.
흑색의 장식 부가층은, 예를 들어, 수지에 흑색계 착색제를 함유시킴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또는, 수지에 시안계 착색제, 마젠타계 착색제 및 옐로우계 착색제,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흑색계 착색제도 조합시켜 함유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흑색이라 함은, 기본적으로는 L*a*b* 표색계에서 규정되는 L*가 35 이하(0~35)[바람직하게는 30 이하(0~30), 더 바람직하게는 25 이하(0~25)]인 흑색 계열의 색을 의미한다. 한편, 흑색에 있어 L*a*b* 표색계에서 규정되는 a*, b*는 각각 L* 값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a*, b*로는, 예를 들어, 양쪽 다 -10~10임이 바람직하고, -5~5이면 보다 바람직하며, -3~3(그 중에서도 0 또는 거의 0)이면 특히 더 바람직하다.
또한, L*a*b* 표색계에서 규정되는 L*, a*, b*는, 예를 들어, 색채 색차계(상품명 "CR-200", 미놀타社 제조)를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써 구해진다. 한편, L*a*b* 표색계는 국제 조명 위원회(CIE)가 1976년에 추천한 색 공간으로서, CIE 1976(L*a*b*) 표색계라고 하는 색 공간을 의미한다. 또한, L*a*b* 표색계는 일본 공업 규격에서는 JIS Z 8729에 규정되어 있다.
[접착제층]
접착제층(12)으로는, 임의의 적절한 접착제가 사용된다. 접착제층(12)의 두께는 너울의 관점에서 0.5㎛ 이상 25㎛ 이하임이 바람직하고, 0.5㎛ 이상 5㎛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며, 0.5㎛ 이상 3㎛ 이하이면 더 바람직하다.
접착제층(12)으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자외선 경화성 아크릴계 접착제, 자외선 경화성 에폭시계 접착제, 열 경화성 에폭시계 접착제, 열경화성 멜라민계 접착제, 열경화성 페놀계 접착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중간막, 폴리비닐부티랄(PVB) 중간막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접착제층(14)을 구비시키는 경우에는, 접착제층(12)으로서 예시한 임의의 점착제나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접착제층(14)의 두께는, 예를 들어, 접착제층(12)과 마찬가지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점착제라 함은, 상온에서 접착성을 가지며 가벼운 압력으로 접착 대상체에 접착되는 층을 말한다. 따라서, 점착제에 붙여진 접착 대상체를 박리한 경우에도, 점착제는 실용적인 점착력을 유지한다. 한편, 접착제라 함은, 물질 사이에 개재(介在)됨으로써 물질을 결합시킬 수 있는 층을 말한다. 따라서, 접착제에 붙인 접착 대상체를 박리한 경우에, 접착제는 실용적인 접착력을 갖지 않는다.
[유리층]
유리층(13)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한 것을 채택할 수 있다. 유리층(13)은, 조성에 의한 분류에 따르면, 예를 들어 소다 석회 유리, 붕산 유리, 알루미노규산유리, 석영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알칼리 성분에 의한 분류에 따르면, 무알칼리 유리, 저알칼리 유리를 들 수 있다. 상기 유리의 알칼리 금속 성분(예를 들어, Na2O, K2O, Li2O)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5중량%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이다.
유리층(13)의 두께는, 유리가 갖는 표면 경도, 밀폐성, 내부식성을 등을 고려하면 10㎛ 이상임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유리층(13)은 필름과 같이 가요성(可撓性)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유리층(13)의 두께는 300㎛ 이하임이 바람직하다. 유리층(13)의 두께는, 더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200㎛ 이하, 특히 더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100㎛ 이하이다.
유리층(13)의 파장 550nm에서의 광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85% 이상이다. 유리층(13)의 파장 550nm에서의 굴절율은, 바람직하게는 1.4~1.65이다. 유리층(13)의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2.3g/cm3~3.0g/cm3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2.3g/cm3~2.7g/cm3이다.
유리층(13)의 성형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서, 유리층(13)은, 실리카, 알루미나 등과 같은 주원료, 황산소다, 산화안티몬 등과 같은 소포제(消泡劑), 카본 등과 같은 환원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1400℃~1600℃ 정도의 온도에서 용융시켜 박판 형상으로 성형한 후 냉각시켜 제작할 수 있다. 유리층(13)의 성형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슬롯 다운 드로(slot down draw)법, 퓨전(fusion)법, 플로트(float)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방법에 의해 판 형상으로 성형된 유리층은, 박판화하거나 평활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에 따라 불산 등과 같은 용제에 의해 화학적으로 연마할 수도 있다.
한편, 유리층(13)의 표면에 오염 방지층, 반사 방지층, 도전층, 반사층, 장식 부가층 등과 같은 기능층을 구비할 수도 있다.
[제법]
수지층(11), 접착제층(12), 유리층(13)로 된 적층부는, 예를 들어,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소정 형상으로 형성된 수지층(11)과 유리층(13)을 접착제층(12)을 사이에 두고 적층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는, 수지층(11)과 유리층(13)을 접착제층(12)을 사이에 두고 롤 투 롤(roll to roll)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적층한 다음,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임의의 크기로 개별 조각화할 수도 있다.
[용도]
복수층 구조체(10)는, 예를 들어, 건축물의 벽면이나, 가구, 가전 등의 표면에 광택을 갖게 하는 부재, 보호 필름, 장식 플레이트, 파티션 등에 사용된다. 뒤에서 예시하는 복수층 구조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는 층 구조가 다른 복수층 구조체의 예를 나타낸다. 한편,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부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 1에 따른 복수층 구조체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층 구조체(10A)는, 수지층(11)에 있어 접착제층(12)을 사이에 두고 유리층(13)이 적층되는 쪽의 반대쪽에, 접착제층(16)을 사이에 두고 금속층(15)이 적층된 점이, 복수층 구조체(10, 도1 참조)와 다르다.
수지층(11)을 불투명한 층(예를 들어,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장식 부가층)으로 함으로써, 금속층(15) 및 접착제층(16)은 유리층(13) 쪽에서 시인되지 않는다. 이 경우, 금속층(15) 및 접착제층(16) 표면의 평면성은 유리층(13) 쪽에서의 시인성의 좋고 나쁨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금속층(15)의 두께는 가요성 유지와 강도 향상의 관점에서 10㎛ 이상 2000㎛ 이하임이 바람직하다. 금속층(15)의 재료로는,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구리, 알루미늄, 철, 니켈, 퍼멀로이(permalloy) 등을 들 수 있다. 금속층(15)으로서, 시판의 스테인레스 박, 동박, 알루미늄 박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접착제층(16)은 접착제층(12)으로서 예시한 임의의 점착제나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접착제층(16)의 두께는, 예를 들어, 접착제층(12)과 마찬가지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지층(11) 하층에 금속층(15)을 구비함으로써, 복수층 구조체(10A)의 가요성을 유지하면서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금속층(15)의 재료로서 철, 니켈, 퍼멀로이 등과 같은 강자성체를 선택한 경우에는, 복수층 구조체(10A)에 자석을 흡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층 구조체(10A)를 냉장고 표면에 붙이는 장식 플레이트로서 사용하는 경우, 메모용 마그넷, 소품 등을 수납할 수 있는 마그넷 포함 선반 등을 복수층 구조체(10A)에 흡착시킬 수 있다.
한편, 자석이 하층의 금속층(15)으로 흡착되는 것은 수지층(11), 접착제층(12), 유리층(13)이 가요성을 가질 정도로 얇기 때문에 얻을 수 있는 효과이며, 종래의 두꺼운 판유리를 사용한 경우에는 얻을 수 없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 2에 따른 복수층 구조체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층 구조체(10B)는, 수지층(11)의 접착제층(12)을 사이에 두고 유리층(13)이 적층되는 쪽의 반대쪽에 접착제층(16)을 사이에 두고 완충층(17)이 적층된 점이 복수층 구조체(10, 도1 참조)와 다르다.
수지층(11)을 불투명한 층(예를 들어,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장식 부가층)으로 함으로써, 접착제층(16) 및 완충층(17)은 유리층(13) 쪽에서 시인되지 않는다. 이 경우, 접착제층(16) 및 완충층(17) 표면의 평면성은 유리층(13) 쪽에서의 시인성의 좋고 나쁨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완충층(17)은 쿠션성을 갖는 층이다. 완충층(17)의 두께는, 양호한 쿠션성을 발현한다는 관점에서 100㎛ 이상 2000㎛ 이하임이 바람직하다. 완충층(17)의 재료로는, 예를 들어, 우레탄계 수지, 각종 발포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각종 발포 재료로는,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스티린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완충층(17)으로서 시판의 발포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시판의 발포 시트로는, 예를 들어, (주)닛토덴코 제조의 SCF(등록상표)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지층(11)의 하층에 완충층(17)을 구비함으로써, 복수층 구조체(10B)의 쿠션성을 높여서 외부로부터 복수층 구조체(10B)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그리고, 완충층(17) 대신에 또는 완충층(17)에 더하여, 단열층 등과 같이 다른 기능을 갖는 층을 적층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복수층 구조체(10A)에 있어, 금속층(15)의 하층에 도 3에 나타내는 접착제층(16) 및 완충층(17)을 적층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형태 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였으나, 전술한 실시형태 등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를 일탈하지 않으면서 전술한 실시형태 등에 여러 가지 변형 및 치환을 가할 수 있다.
본 국제출원은, 2020년 3월 30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2020-059417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일본국 특허출원 2020-059417호의 전체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원용한다.
10,10A,10B
복수층 구조체
11 수지층
12,14,16 접착제층
13 유리층
15 금속층
17 완충층
11 수지층
12,14,16 접착제층
13 유리층
15 금속층
17 완충층
Claims (8)
- 수지층과,
상기 수지층 상에 접착제층을 사이에 두고 적층된 유리층을 포함하고,
상기 유리층의 두께는 10㎛ 이상 300㎛ 이하이며,
상기 수지층과 상기 접착제층 간 계면의 산술 평균 너울(Wa)이 10㎛ 이하인 복수층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의 두께는 20㎛ 이상 1000㎛ 이하인 복수층 구조체.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은 투명한 것인 복수층 구조체.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은 장식 부가층인 복수층 구조체.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 부가층이 흑색인 복수층 구조체.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에 있어 상기 유리층이 적층되는 쪽의 반대쪽에 제2 접착제층을 사이에 두고 금속층이 적층된 복수층 구조체.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은 강자성체인 복수층 구조체.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에 있어 상기 유리층이 적층되는 쪽의 반대쪽에 제2 접착제층을 사이에 두고 완충층이 적층된 복수층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20-059417 | 2020-03-30 | ||
JP2020059417A JP2021154664A (ja) | 2020-03-30 | 2020-03-30 | 複層構造体 |
PCT/JP2021/009467 WO2021199985A1 (ja) | 2020-03-30 | 2021-03-10 | 複層構造体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58730A true KR20220158730A (ko) | 2022-12-01 |
Family
ID=77916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7033684A Pending KR20220158730A (ko) | 2020-03-30 | 2021-03-10 | 복수층 구조체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20230053803A1 (ko) |
EP (1) | EP4129650A4 (ko) |
JP (2) | JP2021154664A (ko) |
KR (1) | KR20220158730A (ko) |
CN (1) | CN115335219A (ko) |
TW (1) | TW202202340A (ko) |
WO (1) | WO202119998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4139426A (ja) * | 2023-03-27 | 2024-10-09 | 日東電工株式会社 | 複層構造体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231744A (ja) | 2010-08-20 | 2013-11-14 | Konica Minolta Advanced Layers Inc | フィルムミラーと、その製造方法、それを用いた太陽光反射用ミラー |
Family Cites Families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808658B2 (en) * | 1998-01-13 | 2004-10-26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Method for making texture multilayer optical films |
WO2005082617A1 (ja) * | 2004-03-02 | 2005-09-09 | Mitsubishi Plastics, Inc. | 積層樹脂フィルム及び合わせガラス |
EP2062862B1 (en) * | 2006-09-14 | 2012-06-13 |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 Sheet glass laminate structure and multiple sheet glass laminate structure |
JP2008197597A (ja) * | 2007-02-16 | 2008-08-28 | Fujifilm Corp | ホログラフィック記録媒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
US20110244225A1 (en) * | 2008-11-07 | 2011-10-06 | Nitto Denko Corporation | Transparent substrate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
JP5480774B2 (ja) * | 2009-10-22 | 2014-04-23 | 日東電工株式会社 | 透明基板 |
JP5416546B2 (ja) * | 2009-10-23 | 2014-02-12 | 日東電工株式会社 | 透明基板 |
JP5615134B2 (ja) * | 2010-04-30 | 2014-10-29 | 日東電工株式会社 | 透明基板の製造方法 |
WO2012081679A1 (ja) * | 2010-12-16 | 2012-06-21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表示用前面板および表示装置 |
EP2732969A4 (en) * | 2011-07-13 | 2015-03-18 | Nippon Electric Glass Co | COMPOSITE SUBSTRATE |
JP2014159352A (ja) * | 2013-02-20 | 2014-09-04 | Nitto Denko Corp | 可撓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
CN106105388B (zh) * | 2014-03-06 | 2018-07-31 |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 发光装置 |
JP6441687B2 (ja) * | 2015-01-14 | 2018-12-19 | 株式会社カネカ | タッチパネル用基板の製造方法 |
KR102515679B1 (ko) * | 2017-10-20 | 2023-03-29 |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 향상된 표면파형을 갖는 라미네이티드 글라스 구조물 |
WO2019151091A1 (ja) * | 2018-01-31 | 2019-08-08 | 日東電工株式会社 | 光学積層体ロール |
JP7145720B2 (ja) | 2018-10-11 | 2022-10-03 | 西川ゴム工業株式会社 | ウェザストリップ |
JP6856720B2 (ja) * | 2019-08-20 | 2021-04-07 | 日東電工株式会社 | ガラス層付積層体および該ガラス層付積層体を含む画像表示装置 |
JP7357500B2 (ja) * | 2019-09-26 | 2023-10-06 | 日東電工株式会社 | 複層構造体 |
KR20210097270A (ko) * | 2020-01-29 | 2021-08-09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
2020
- 2020-03-30 JP JP2020059417A patent/JP2021154664A/ja active Pending
-
2021
- 2021-03-10 WO PCT/JP2021/009467 patent/WO2021199985A1/ja unknown
- 2021-03-10 EP EP21781148.8A patent/EP4129650A4/en not_active Withdrawn
- 2021-03-10 CN CN202180024540.1A patent/CN115335219A/zh active Pending
- 2021-03-10 KR KR1020227033684A patent/KR20220158730A/ko active Pending
- 2021-03-10 US US17/915,027 patent/US20230053803A1/en active Pending
- 2021-03-16 TW TW110109394A patent/TW202202340A/zh unknown
-
2024
- 2024-04-25 JP JP2024071283A patent/JP2024097826A/ja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231744A (ja) | 2010-08-20 | 2013-11-14 | Konica Minolta Advanced Layers Inc | フィルムミラーと、その製造方法、それを用いた太陽光反射用ミラ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21154664A (ja) | 2021-10-07 |
EP4129650A4 (en) | 2023-09-06 |
TW202202340A (zh) | 2022-01-16 |
EP4129650A1 (en) | 2023-02-08 |
WO2021199985A1 (ja) | 2021-10-07 |
US20230053803A1 (en) | 2023-02-23 |
JP2024097826A (ja) | 2024-07-19 |
CN115335219A (zh) | 2022-11-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601011B2 (ja) |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 |
US11077645B2 (en) | Cover member and display device | |
JP6786672B2 (ja) | モジュールガラスパネルと平面構造物 | |
JP6186675B2 (ja) | ガラス樹脂積層体 | |
CN109311279B (zh) | 发光二极管显示器及包括该显示器的绝缘玻璃单元 | |
TWI623507B (zh) | 用作可寫可擦之手寫板的耐用玻璃製品 | |
JP7626690B2 (ja) | 光学積層体および物品 | |
WO2015019925A1 (ja) | 複層ガラス | |
US20240036236A1 (en) | Cover glass articles for camera lens and sensor protection and apparatus with the same | |
KR20010034105A (ko) | 반사 방지 중합체 구조물 및 이것의 제조 방법 | |
US20200102245A1 (en) | High contact resistant flexible ultrathin glass | |
CN107690388A (zh) | 包含导光板的汽车玻璃窗和层叠结构 | |
CN108290787A (zh) | 汽车用夹层玻璃 | |
CN109414909B (zh) | 具增强抗热性及抗湿性的层压玻璃结构 | |
KR20220158730A (ko) | 복수층 구조체 | |
US20230114553A1 (en) | Multilayer structure | |
WO2022113652A1 (ja) | 複層構造体 | |
JP2014065169A (ja) | 展示物カバー用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 | |
US20190353951A1 (en) | Laminate, and display device | |
WO2021199986A1 (ja) | 複層構造体 | |
KR20220064373A (ko) | 복수층 구조체 | |
WO2025074850A1 (ja) | 合わせガラス | |
KR20250057001A (ko) | 데드프론트 디스플레이 적용을 위한 반투명 반사 방지 어셈블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2092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