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8125A - A container with a refill structure that can be completely exhausted - Google Patents
A container with a refill structure that can be completely exhauste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58125A KR20220158125A KR1020210064730A KR20210064730A KR20220158125A KR 20220158125 A KR20220158125 A KR 20220158125A KR 1020210064730 A KR1020210064730 A KR 1020210064730A KR 20210064730 A KR20210064730 A KR 20210064730A KR 20220158125 A KR20220158125 A KR 2022015812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contents
- refill container
- refill
- discharge pi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3749 cleanlin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08 ampu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53 shampoo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01—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hand-carri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8—Inner container disposed in an outer shell or outer cas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54—Cartridges, i.e. containers specially designed for easy attachment to or easy removal from the rest of the spray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56—Containers with an additional opening for filling or refil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23—Piston pumps having an outlet valve opened by deformation or displacement of the piston relative to its actuating ste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9—Means for locking a pump or its actuation means in a fixed posi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9—Means for locking a pump or its actuation means in a fixed position
- B05B11/106—Means for locking a pump or its actuation means in a fixed position in a retracted position, e.g. in an end-of-dispensing-stroke position
-
- B05B11/3023—
-
- B05B11/3059—
-
- B05B11/306—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내용물이 거꾸로 배출된 후 펌핑 수단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구성하고, 수용된 내용물의 완전 소진이 가능하고 내용물을 저장하는 저장수단의 교체, 교환 등 리필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전량 소진 가능한 리필 구조를 갖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ntainer, which is configured so that the contents are discharged upside down and then discharged through a pumping means,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ontents accommodated can be completely exhausted and the storage means for storing the contents can be replaced or exchanged, and the contents can be refilled. It relates to a container having a possible refill structure.
일반적으로 샴푸, 린스 및 세제는 물론이고 액체상태의 화장품등은 일정한 크기와 형태를 갖는 보관용기내에 보관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대체적으로 내용물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보관용기의 캡에 내용물을 펌핑하기 위한 펌핑구조를 이루고 있다.In general, shampoo, rinse and detergent, as well as liquid cosmetics, are stored and used in a storage container having a certain size and shape, and generally a pumping structure for pumping the contents to the cap of the storage container so that the contents can be easily used is making up
이러한 용기들의 내용물을 사용자가 완전히 사용하고 나면, 빈 용기를 쓰레기로 버려야 하기 때문에 여러 환경 문제와, 재활용에 따른 자원의 낭비를 가져오게 되어 근래에는 제조처에서 보관용기, 즉, 주용기와는 별도로 내용물만을 내장한 비닐 및 종이재질의 파우치에 담아 공급함으로써 사용자는 파우치만을 구입하여 그 내용물을 주용기에 담아서 재사용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다. After the user completely uses the contents of these containers, the empty containers must be discarded as garbage, resulting in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and waste of resources due to recycling. It is common for users to buy only the pouch and put the contents in the main container and reuse it by supplying it in a pouch made of vinyl or paper.
이와 같이 일반화 되어 있는 리필 가능한 구조를 갖는 용기의 경우, 내용물이 대체적을 액체상태이거나 또는 겔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파우치내의 내용물을 주용기에 담는 작업이 어렵고 까다로워 사용의 불편함이 있고, 내용물을 주용기에 보충할 때 용기의 주입구가 작아 사용자의 부주의등으로 내용물을 외부로 쏟는 문제점 등에 의해 내용물의 손실액이 적지 않을 것이고, 또한 파우치에 담겨진 내용물을 완전하게 주용기에 담을 수 없어 잔여 내용물의 낭비를 가져오는 문제가 있다. In the case of containers having such a generalized refillable structure, since the contents are generally in a liquid or gel state, it is difficult and difficult for the user to put the contents in the pouch into the main container, which is inconvenient to use, and the contents When replenishing the main container, the inlet of the container is small, so the loss of the contents will not be small due to the problem of pouring the contents outside due to the user's carelessness. There is a problem to come.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국내 실용신안 공개 실1997-026724 (1997년07월24일 공개)가 있으며, 상기한 문제점 이외에 이중 구조의 화장품 용기는 일반소비자들이 인식하기를 리필 제품으로만 인식하고 있고, 내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전량 사용하고 난 후 외용기로부터 내용기를 분리한 다음 새로운 내용기를 장착 사용하는 정도로만 인식하는 것으로부터 탈피하여 리필용기면서도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 할 수 있는 이중 구조의 화장품 용기 등이 제안되고 있다. 국내 실용신안 등록 제 20-0403999 호 (2005년12월15일 공고)As a prior art to solve these problems, there is a domestic utility model disclosure room 1997-026724 (published on July 24, 1997), and in addition to the above problems, the double-structured cosmetic container is recognized only as a refill product by general consumers. After using all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inner container, separate the inner container from the outer container, and then install and use a new inner container, breaking away from recognizing only the degree of use. this is being proposed. Domestic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03999 (Announced on December 15, 2005)
또한 이와 달리, 배출펌프를 가지는 원통형의 내용기를 외용기의 상부에서 리필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리필 용기의 회전방지돌기의 구조를 원형으로 개선 함과 동시에 회전방지돌기가 끼워지는 외용기의 고정홈을 대응되게 개선함으로써, 내용기를 외용기의 상부에서 끼워 리필 할 수 있도록 된 리필용기의 디자인을 미려하게 하면서 보다 간편하게 리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배출펌프의 구조 개선으로 내용물을 배출하지 않을 때 배출펌프가 눌려 내용물이 불필요하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출펌프를 갖는 리필 화장품 용기를 제안하는 국내 실용신안 등록 제 20-0405092 호 (2006년01월10일 공고)도 있으며, 화장품이 수용된 내용물용기가 직접적으로 승,하강되는 구조에서 탈피하여 용기보관함에 내용물용기를 장착하고 용기보관함이 승하강하도록 구조를 개선함에 따라 내용물용기 내의 화장품을 전량 사용하고 난 후, 내용물용기만을 교체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리필 가능한 출몰식 화장품 용기인 국내 실용신안 등록 제 20-0455000 호 (2011년08월10일 공고)도 있고, 이중용기로 구성하여, 외용기의 상부에 배출부를 고정시키고 내용물이 수용되는 내용기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이 모두 소진될 경우, 배출부는 그대로 이용하면서 내용기만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리필이 가능한 펌핑식 앰플용기인 국내 특허등록 제 10-1252115 호 (2013년04월12일 공고)도 존재한다.In addition, unlike this, the structure of the anti-rotation protrusion of the refill container is improved to a circular shape so that the cylindrical inner container with the discharge pump can be refilled from the top of the outer container, and at the same time, the fixing groove of the outer container into which the anti-rotation protrusion is inserted is corresponding. By improving the inner container to be refilled by inserting it from the top of the outer container, the design of the refill container that can be refilled is made beautiful and can be refilled more conveniently, and the discharge pump is pressed when the contents are not discharged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discharge pump There is also a domestic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05092 (published on January 10, 2006), which proposes a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with a discharge pump that can prevent unnecessary discharge, and the contents container containing cosmetics directly rises. ,Refillable appearing and disembarking that breaks away from the descending structure and mounts the contents container in the container storage box and improves the structure so that the container storage container rises and falls so that after using all the cosmetics in the contents container, only the contents container can be replaced and reused. There is also a domestic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55000 (announced on August 10, 2011), which is a container for food and cosmetics. By doing so, when the contents are exhausted, it is possible to replace only the contents while using the discharge part as it is, so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user's cost burden. Domestic Patent Registration No. 10-1252115, a refillable pumping ampoule container ( Notice on April 12, 2013) also exists.
그러나, 상기한 각 선행문헌들에 의한 화장품 용기 및 리필가능한 화장품 용기들은 모두 리필 용기의 토출방향이 상방향으로 이루어져 있어 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완전히 전량 사용하는데에는 한계가 있고, 주용기에 리필용기의 내용물을 충진할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전량 사용되지 않은 그 전의 내용물과 혼합되는 경우가 많아 내용물의 신선도 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 항상 주용기를 세척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cosmetic containers and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s according to each of the above prior documents have a discharge direction of the refill container in the upward direction, so there is a limit to completely using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and the contents of the refill container in the main container. As described above, when fill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in container must always be washed before use becau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reshness of the contents is deteriorated in many cases mixed with the previous contents that have not been used in their entirety.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액상 또는 겔상의 화장품 내용물을 수용한 용기를 거꾸로 장착하여 펌핑수단에 의해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며 사용 가능하도록 하고, 사용이 완료된 용기에 내용물을 충진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내용물의 전량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 container containing liquid or gel cosmetic contents is mounted upside down so that the contents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a pumping means and used, and the contents are returned to the used container. Its purpose is to make it possible to use the entire amount of the contents by configuring it to be filled and used.
또한 본 발명은 내용물을 충진 또는 리필하기 위한 용기의 교체 작업이 용이하도록 구성하여 충진 또는 리필 과정에서 내용물이 주변으로 유출되는 현상을 완벽히 배제함으로써 교체 과정에서의 주변 환경 청결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facilitate the replacement operation of the container for filling or refilling the contents, so that the cleanlines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can be maintained during the replacement process by completely excluding the leakage of the contents to the surroundings during the filling or refilling process It has a different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일정량 이하로 남아 있는 용기에 내용물을 다시 충진 또는 리필하는 경우 기존 내용물이 하단에 잔존하는 상태에서 새로운 동일 내용물이 충진되더라도 기존 내용물의 사용이 먼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화장품의 품질 및 신선도를 유지하며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present invention refills or refills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remaining below a certain amount, even if the same new contents are filled with the existing contents remaining at the bottom, the existing contents are used first,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and freshness of cosmetics. Maintaining and enabling use is another purpos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리필용기;refill container;
상기 리필용기의 토출구가 하방향으로 향하며 거꾸로 결합되도록 지지되는 베이스;A base supported so that the discharge port of the refill container is coupled in a downward direction and inverted;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상기 리필용기의 토출구와 연결되는 배출관;a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of the refill container coupled to the base;
상기 배출관의 타단이 수직상태로 이어지며 상기 리필용기의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펌핑부;A pumping unit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of the refill container to the outside while the other end of the discharge pipe is connected in a vertical state;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또는 본 발명은, Or the present invention,
내부에 지그재그 형태로 경사지며 배치되는 경사부를 통하여 리필되는 내용물이 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리필용기;A refill container configured to move the contents to be refilled in a downward direction through an inclined portion arranged in a zigzag shape on the inside;
상기 리필용기의 하단부 일측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연결되는 배출관;A discharge pipe connected to be discharged through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refill container;
상기 배출관의 타단이 수직상태로 이어지며 상기 리필용기의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펌핑부;A pumping unit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of the refill container to the outside while the other end of the discharge pipe is connected in a vertical state;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본 발명에 의하면, 액상 또는 겔상의 화장품 내용물을 수용한 용기를 거꾸로 장착하여 펌핑수단에 의해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며 사용 가능하도록 한 후 사용이 완료된 용기에 내용물을 충진하여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의 전량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tainer accommodating liquid or gel cosmetic contents is mounted upside down, the content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a pumping means and used, and then the contents are filled into a used container so that the entire amount of contents is used. A usable effect can be expected.
또한 본 발명은 내용물의 충진 또는 리필 작업과정에서 내용물이 주변으로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청결성 및 작업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리필용기의 하단부측 내용물이 항상 먼저 사용될 수 있어 화장품의 품질 및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leakage of the contents to the surroundings in the process of filling or refilling the contents, so that the effect of ensuring cleanliness and ease of operation can be expected, and the contents of the lower part of the refill container are always used first. It has the effect of maintaining the quality and freshness of cosmetics.
도 1은 본 발명에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의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분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일실시예의 개괄적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의 실시예에 의한 리필용기의 일단측 개방이 용이한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6 내지 도 7은 리필용기를 박막형태의 필름 또는 파우치 형태로 구성한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eparately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ure 1
Figure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one embodiment of Figure 1
4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easy opening of one end of the refill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ure 1
6 to 7 are views showing a modified example in which the refill container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thin film or pouch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illustrat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hanges can be made and various forms can be made, so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and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fact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his/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as well as not be construed as limited in meaning. should be interpreted a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replace them at the time of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or exist.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In addi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have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specification,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don'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리필용기(100)와 베이스(200) 및 배출관(300)과 펌핑부(400)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상기 리필용기(100)는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액상 또는 겔상의 내용물로 이루어지는 화장품이 수용되는 용기를 의미한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이러한 리필용기(100)는 화장품 내용물이 충진되어지되 충진 가능한 용기를 의미한다.This
또한 상기 리필용기(100)는 경화재질로 이루어지는 용기이거나 또는 비닐 재질로 이루어지는 파우치 형태이거나 또는 튜브 형태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예컨데 도 1은 리필용기(100)가 경화재질로 이루어지는 용기의 일예를 보여준다. For example, Figure 1 shows an example of a container in which the
도 1에 의한 리필용기(100)의 경우 통상의 용기 구조로 이해될 수 있는바, 리필용기(100)의 토출구(110)가 베이스(200)에 연결되는 배출관(300)과 연결되는 구성을 갖게 된다.In the case of the
상기 배출관(300)과 리필용기(100)의 토출구(110)는 나사 결합에 의해 결합 가능할 수 있다. The
상기한 리필용기(100)를 상기 배출관(300)과 나사 결합할 때에는 리필용기(100)를 바로 세운 상태에서 베이스(200) 부분을 뒤집어 배출관(300)과 리필용기(100)의 토출구(110)측을 연결하게 된다. 즉 배출관(300)과 리필용기(100)를 결합할 때 리필용기(100)를 뒤집지 않은 상태에서 베이스(200)의 배출관(300)과 결합하여야 한다.When the
한편, 이와 달리 리필용기(100)를 그대로 뒤집은 상태에서 베이스(200)의 배출관(300)과 결합 가능하기 위해서 상기 리필용기(100)의 하단부(거꾸로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단부가 됨) 즉 토출구(110)의 반대방향측이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be able to combine with the
예컨데, 베이스(200)의 배출관(300)과 내용물이 비어 있는 리필용기(100)를 결합한 후에 상기 리필용기(100)의 토출구(110) 반대방향측에서 분리 가능한 구성으로 제시되는 분리캡(120)을 분리하여 리필용기(100) 내부에 내용물을 충진한 후 다시 결합하여 사용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For example, after combining the
한편, 상기 리필용기(100)의 토출구(110)측으로부터 리필용기(100) 몸체측으로 테이퍼지는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o form a tapered shape from the
즉, 상기 리필용기(100)가 베이스(200)의 배출관(300)과 거꾸로 결합된 후에 리필용기(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토출구(110)측으로 이어지는 테이퍼면을 따라 흘러내리며 내용물의 전량 배출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after the
상기 배출관(300)을 통해 후술하는 펌핑부(400)의 펌핑 작동에 따라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될 때, 상기 단단한 경재질로 이루어지는 리필용기(100)측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야 하므로 상기 리필용기(100) 상단측 또는 분리캡(120)에 통기공(121)을 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content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pumping operation of the
아울러, 상기 리필용기(100)를 경질의 재질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분리캡(120)에 형성되는 통기공(121)과 같이 외기 유입이 가능한 통공(A)을 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즉, 경질의 리필용기(100)에 상기한 분리캡(120)이 구성되는 경우에는 그 분리캡(120)에 통기공(121)이 천공될 수 있으며, 분리캡(120)이 형성되지 않은 경질의 리필용기(100)는 그 상단측에 통공(A)을 천공하여 외기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at is, when the above-described
한편, 상기 리필용기(100)에 분리캡(120)을 적용 여부에 상관없이 베이스(200) 상단부분을 커버하기 위한 베이스커버(210)를 구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regardless of whether the
이와 같은 베이스커버(210)를 적용할 경우 상기 베이스커버(210)의 상단부분에 외기가 유입되기 위한 핀홀(211)을 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such a
한편 상기 리필용기(100)를 얇은 비닐 형태로 구성하거나 또는 파우치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Meanwhile, the
이때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커버(210) 내부에 수용할 수 있으나, 경질로 이루어지는 리필용기(100)에 적용된 핀홀(A)과 같은 외기의 유입을 위한 구멍이 필요하지 않다. At this time, it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상기 베이스(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리필용기(100)의 토출구(110)가 하방향으로 향하며 거꾸로 결합되며 지지될 수 있는 구성을 의미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상기 베이스(200)의 중앙으로는 배출관(300)이 돌출되어 리필용기(100)의 토출구(110)와 결합 가능하도록 관통공(220)이 천공된다.A
한편, 상기 리필용기(100)를 경질 소재로 구성하고 도 4에서 보는 것과 같이 내부에 지그재그 형태로 경사지며 배치되는 경사부(130)를 형성하여, 상기 경사부(130)를 따라 내용물이 하방향으로 이동된 후 펌핑부(400)의 작동에 따라 배출관(30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이때의 리필용기(100)는 베이스(200)와 별도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고, 일체로 형성하여 상단부측에 충진투입구(140)를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도면부호 150은 상기한 바와 같이 리필용기(100)가 베이스(200)와 별도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 상기 리필용기(100)측으로 내용물을 충진하기 위한 충진구를 의미하고, 도면부호 160은 상기 충진구(150)를 개폐하기 위한 캡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리필용기(100)가 베이스(200)와 일체로 형성되는 도 4와 같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리필용기(100)는 본체 전체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타당하다 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in which the
상기 배출관(300)은 상기 베이스(200)에 결합되는 리필용기(100)의 토출구(110)와 연결되어, 후술하게 되는 펌핑부(400)의 펌핑 작동에 의해 리필용기(100) 내부의 내용물이 배출관(300)을 통해 펌핑부(400)를 거쳐 외부로 배출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이러한 역할을 하는 배출관(300)은 도 3 에서 보는 것과 같이, 베이스(200)의 중앙 관통공(220)에 연결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리필용기(100)의 토출구(110)와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베이스(200)의 저면측에서 절곡된 후 수직상태로 타단이 이어지며 상단의 펌핑부(400)와 연결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3, the
상기 배출관(300)의 외부를 감싸는 배출관하우징(310)을 첨부하는 도면에서와 같이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배출관하우징(310) 상단으로 상기 펌핑부(400)를 구성할 수 있다. The
한편 상기 배출관하우징(310)과 상기한 베이스(200)는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Meanwhile, the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내용물이 충진된 리필용기(100)를 베이스(200)의 관통공(220)측으로 이어지는 상기 배출관(300)과 연결한 후 펌핑부(400)를 이용하여 리필용기(100) 내용물을 배출시키며 사용 할 수 있다.Using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리필용기(100)의 내용물을 완전히 사용하게 되면, 리필용기(100)를 베이스(200)의 관통공(220)으로 이어지는 배출관(300)과 분리한 후 내용물을 채운 상태에서 재결합을 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도 5에서 보듯이 리필용기(100)가 배출관(300)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리필용기(100)의 분리캡(120)을 개방하여 내용물을 충진하여 사용할 수 있다. When the contents of the
아울러 도 6 내지 도 7에서처럼, 박막형태 또는 파우치 형태를 갖는 리필용기는 교체하여 사용 가능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s 6 to 7, the refill container having a thin film form or pouch form can be used interchangeabl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of course, from the above description by a person having ordinary technical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idea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grasp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but it will be obvious that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belong to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리필용기 110; 토출구
120; 분리캡 121; 통기공
130; 경사부 200; 베이스
210; 베이스커버 211; 핀홀
220; 관통공 300; 배출관
310; 배출관하우징 400; 펌핑부100;
120;
130;
210;
220; through
310;
Claims (4)
상기 리필용기의 토출구가 하방향으로 향하며 거꾸로 결합되도록 지지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상기 리필용기의 토출구와 연결되는 배출관;
상기 배출관의 타단이 수직상태로 이어지며 상기 리필용기의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펌핑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전량 소진 가능한 리필 구조를 갖는 용기.
refill container;
A base supported so that the discharge port of the refill container is coupled in a downward direction and inverted;
a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of the refill container coupled to the base;
A pumping unit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of the refill container to the outside while the other end of the discharge pipe is connected in a vertical state;
A container having a refill structure capable of exhausting the entire amount including that made of.
상기 리필용기의 하단부 일측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연결되는 배출관;
상기 배출관의 타단이 수직상태로 이어지며 상기 리필용기의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펌핑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전량 소진 가능한 리필 구조를 갖는 용기.
A refill container configured to move the contents to be refilled in a downward direction through an inclined portion arranged in a zigzag shape on the inside;
A discharge pipe connected to be discharged through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refill container;
A pumping unit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of the refill container to the outside while the other end of the discharge pipe is connected in a vertical state;
A container having a refill structure capable of exhausting the entire amount including that made of.
상기 리필용기의 토출구와 반대되는 부위가 분리 및 체결가능하도록 하는 분리캡;
을 포함하는 전량 소진 가능한 리필 구조를 갖는 용기.
According to claim 1,
a separation cap that allows a portion opposite to the discharge port of the refill container to be detachable and fastened;
A container having a refillable structure that can be exhausted.
상단측에 핀홀이 천공되는 베이스커버를 구성하여, 상기 베이스 상단부분을 커버하며 결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량 소진 가능한 리필 구조를 갖는 용기.
According to claim 1,
A container having a refill structure capable of exhausting the entire amount comprising forming a base cover having a pinhole perforated on the upper side, covering and coupling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64730A KR20220158125A (en) | 2021-05-20 | 2021-05-20 | A container with a refill structure that can be completely exhauste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64730A KR20220158125A (en) | 2021-05-20 | 2021-05-20 | A container with a refill structure that can be completely exhauste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58125A true KR20220158125A (en) | 2022-11-30 |
Family
ID=84234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64730A Pending KR20220158125A (en) | 2021-05-20 | 2021-05-20 | A container with a refill structure that can be completely exhauste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158125A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26724A (en) | 1995-11-23 | 1997-06-24 | 김태구 | Vehicle control arm with caster adjustment |
KR200403999Y1 (en) | 2005-09-30 | 2005-12-15 | 주식회사 태평양 | Cosmetic case is possible for refill |
KR200405092Y1 (en) | 2005-10-25 | 2006-01-10 | 주식회사 태평양 |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With Discharge Pump |
KR200455000Y1 (en) | 2008-08-11 | 2011-08-10 | (주)아모레퍼시픽 |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
KR101252115B1 (en) | 2011-10-12 | 2013-04-12 | (주)연우 | Pumping type ampule vessel |
-
2021
- 2021-05-20 KR KR1020210064730A patent/KR20220158125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26724A (en) | 1995-11-23 | 1997-06-24 | 김태구 | Vehicle control arm with caster adjustment |
KR200403999Y1 (en) | 2005-09-30 | 2005-12-15 | 주식회사 태평양 | Cosmetic case is possible for refill |
KR200405092Y1 (en) | 2005-10-25 | 2006-01-10 | 주식회사 태평양 |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With Discharge Pump |
KR200455000Y1 (en) | 2008-08-11 | 2011-08-10 | (주)아모레퍼시픽 |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
KR101252115B1 (en) | 2011-10-12 | 2013-04-12 | (주)연우 | Pumping type ampule vesse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70043365A1 (en) | Portable refillable cream dispenser | |
RU2613598C2 (en) | Portable refillable cream dispenser | |
JP2013500907A (en) | Paper tube container with refillable contents | |
KR20220102866A (en) |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 |
JP2013180775A (en) | Double-layer container | |
JP2010006451A (en) | Liquid jetting instrument | |
JP2011031938A (en) | Double container | |
CN201647355U (en) | reusable combo container | |
JP6219088B2 (en) | Dispensing container | |
JP2013249084A (en) | Double container | |
JP5512260B2 (en) | Refill container | |
KR20220158125A (en) | A container with a refill structure that can be completely exhausted | |
KR100856728B1 (en) | Pumped Liquid Saving Container | |
KR101104842B1 (en) | Portable Liquid Container | |
JPH08119306A (en) | Discharge opening structure for refill container | |
JP2004099175A (en) | Cartridge-type spout container | |
JP5541568B2 (en) | Combination of continuous use container and refill container | |
KR200422424Y1 (en) | Soap Dispenser | |
KR20130004528U (en) | Mixing containers with two separate storage spaces | |
JP5541569B2 (en) | Combination of continuous use container and refill container | |
KR102402691B1 (en) | Liquid dispenser | |
JP2011011765A (en) | Combination of continuously using container and refilling container | |
GB2456230A (en) | A liquid spray container having a second opening for pouring/filling | |
JP5611788B2 (en) | Liquid discharge container | |
KR200265447Y1 (en) | storage contai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2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