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7640A - Electric wire pipe connector - Google Patents
Electric wire pipe conn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57640A KR20220157640A KR1020210065411A KR20210065411A KR20220157640A KR 20220157640 A KR20220157640 A KR 20220157640A KR 1020210065411 A KR1020210065411 A KR 1020210065411A KR 20210065411 A KR20210065411 A KR 20210065411A KR 20220157640 A KR20220157640 A KR 2022015764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pipe
- insertion distance
- unit
- main body
- pi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7577 Gait disturba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선 배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지 성능을 개선시키는 전선 배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pipe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 pipe connector improving grounding performance.
일반적으로, 모터 등과 같이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이 이루어지는 산업설비에는 전선의 가이드를 위한 전선 배관이 연결되고, 이때 전선 배관의 연결부위에는 이음용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n electric wire pipe for guiding an electric wire is connected to an industrial facility operated by receiving power, such as a motor, and at this time, a joint connector is used for a connection portion of the electric wire pipe.
이러한, 전선 배관 이음을 위한 커플러와 관련된 기술이 한국등록특허 제1953094에 제안된 바 있다.A technology related to a coupler for connecting wires and pipes has been proposed in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953094.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전선 배관끼리 연결할 때 전기가 통하도록 추가적으로 접지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Patent Document 1 has a problem in that it needs to be additionally grounded so that electricity can flow when connecting electric wires and pip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커넥터 내부에서 접촉면적이 넓어지도록 전선 배관과 전선 배관의 접지 구조를 개선 가능한 전선 배관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oint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 pipe connector capable of improving the grounding structure of the wire pipe and the wire pipe so that the contact area inside the connector is widened.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선 배관 커넥터는, 관통 형성된 일측에 일측 전선 배관이 삽입되고, 타측에 타측 전선 배관이 나선 체결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 중심에 삽입되며, 상기 일측 전선 배관의 삽입 거리를 한정하는 삽입거리 한정부; 상기 삽입거리 한정부의 일측에 위치되면서 방사상의 걸림돌기에 의해 삽입되는 배관 파이프의 분리를 방지하면서 상기 일, 타측 전선 배관을 접지하는 걸림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결합되면서 상기 걸림부의 걸림돌기가 상기 일측 전선 배관의 삽입 방향을 향해 경사지도록 가압하는 가압 마감부;를 포함할 수 있다.Wire pi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body portion into which one wire pipe is inserted into one side through which the other wire pipe is threaded and fastened to the other side; an insertion distance limiting unit which is inserted into the inner center of the main body and limits the insertion distance of the one-side wire pipe; a hooking unit located on one side of the insertion distance limiting unit and grounding the one and the other wire pipe while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pipe pipe inserted by the radial locking protrusion; and a pressure closing unit that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unit and pressurizes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locking unit to be inclined toward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one-side wire pipe.
상기 삽입거리 한정부의 일측 내주면에 지지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 경사면과 대향되는 상기 가압 마감부의 단부에 가압 경사면이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A supporting inclined surface may be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side of the insertion distance limiting part, and a pressing inclined surface may be formed parallel to an end of the pressing closing part facing the supporting inclined surface.
상기 걸림부는 외면을 따라 접지면적 향상을 위한 접지돌기가 방사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A grounding protrusion for improving a grounding area may be radially provided along an outer surface of the hanging part.
상기 걸림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억지 끼워 맞춤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holding portion may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through an interference fit.
상기 본체부는 타측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상기 타측 전선 배관의 체결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A screw thread for fastening the other wire pipe may be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r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부의 내부에 억지 끼워 맞춤으로 결합된 걸림부를 가압 마감부의 가압시 단부에 형성된 가압 경사면과 삽입거리 한정부의 양측 내주면에 형성된 지지 경사면을 통해 걸림돌기가 배관 파이프의 삽입 방향을 향해 경사지도록 변형시켜 걸림부가 일측 전선 배관의 분리를 방지함과 동시에 일, 타측 전선 배관을 접지하는 역할을 하게 하며, 걸림부의 외면을 따라 접지면적 향상을 위한 접지돌기가 방사상으로 구비되므로 전기 접촉면적이 넓어지면서 안정적으로 전기가 통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protrusion is inclined toward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pipe through the pressurized inclined surface formed at the end of the pressurized finish part and the support inclined surface formed on both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insertion distance limiting part when the locking part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by interference fit is pressed. The hooking part prevents the separation of the wire pipe on one side and serves to ground the one and the other wire pipe at the same time. It has the effect of allowing electricity to flow stably.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선 배관 커넥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선 배관 커넥터에서 전선 배관의 결합 전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선 배관 커넥터에서 외주면에 타측 전선 배관이 연결될 수 있게 나선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선 배관 커넥터에서 걸림부에 형성된 접지돌기의 변형 전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선 배관 커넥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선 배관 커넥터에서 걸림부의 걸림돌기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비된 가압각도 조절부의 작동전후 상태를 부분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re pipe conne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and after coupling of the wire pipe in the wire pi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piral is formed so that the other wire pipe can be connec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re pi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tates before and after deformation of a ground protrusion formed on a hooking portion in a wire pipe conne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re pipe connec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partially showing the state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sing angle adjustment unit provided to adjust the angle of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locking portion in the wire pi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 배관 커넥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other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a wire pip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선 배관 커넥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선 배관 커넥터에서 전선 배관의 결합 전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선 배관 커넥터에서 외주면에 타측 전선 배관이 연결될 수 있게 나선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선 배관 커넥터에서 걸림부에 형성된 접지돌기의 변형 전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선 배관 커넥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선 배관 커넥터에서 걸림부의 걸림돌기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비된 가압각도 조절부의 작동전후 상태를 부분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re pipe conne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and after coupling of a wire pipe in a wire pipe conne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piral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re pi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other wire pipe can be connected, and FIG. 4 is the wire pi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re pipe connec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partially showing the state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sing angle adjustment unit provided to adjust the angle of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locking portion in the wire pi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선 배관 커넥터(100)는 본체부(110), 삽입거리 한정부(120), 걸림부(130) 및 가압 마감부(140)를 포함하며, 대향된 한 쌍의 일, 타측 전선 배관(10a, 10b) 중 하나는 원터치 방식에 의해 간편하게 연결 가능하고 다른 하나는 나선 체결에 의해 연결하는 장치이다.1 to 4 and 6, the
이때, 본체부(110) 및 걸림부(130)는 금속재질 등으로 구비되고, 삽입거리 한정부(120) 및 가압 마감부(140)는 합성수지재 등으로 구비되며, 이러한 재질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 더욱이, 일, 타측 전선 배관(10a, 10b)도 금속재질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본체부(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원통 등의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관통 형성된 일측으로 일측 전선 배관(10a)이 삽입되고, 타측 전선 배관(10b)이 나선 체결된다. 이를 위해, 본체부(110)는 타측 외주면에 나선(112)이 형성되고, 타측 전선 배관(10b)의 내주면에 나선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본체부(110)는 타측 내주면에 나선이 형성 가능하며, 이 경우 타측 전선 배관(10b)의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ure 3, the
삽입거리 한정부(1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내부 중심에 삽입되며, 일측 전선 배관(10a)의 삽입 거리를 한정하는 기능을 한다.The insertion
즉, 삽입거리 한정부(120)는 본체부(110)의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갖도록 원통 등의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내부에 통과공(122)이 형성되고, 통과공(122) 내주면 일단에 지지 경사면(124)이 형성되며, 통과공(122) 내주면 중심부에 스토퍼(126)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That is, the insertion
지지 경사면(124)은 삽입거리 한정부(120)의 외주면에서부터 통과공(122)인 내주면까지 스토퍼(126) 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가압 마감부(140)의 가압 경사면(144)과의 사이에 위치된 걸림부(130)의 걸림돌기(134)를 가압 마감부(140)의 가압시 경사지게 한다.The supporting
스토퍼(126)는 본체부(110)의 일측에서 삽입되는 일측 전선 배관(10a)의 최대 진입 거리를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The
이때, 스토퍼(126)는 통과공(122) 내주면 중심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위치의 변경이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걸림부(13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거리 한정부(120)의 일측에 위치되되, 방사상의 걸림돌기(134)에 의해 삽입되는 일측 전선 배관(10a)의 표면을 파고들어가면서 일측 전선 배관(10a)의 분리를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그랩링(Grip ring)이다.The hooking
한편, 걸림부(130)는 가압 마감부(140)의 가압 전 상태로 본체부(110)의 내부에 삽입될 때에는 원형 평판 형상을 갖도록 구비되지만, 가압 마감부(140)의 가압 후에는 원뿔대 형상으로 변형된다.On the other hand, the
이렇게, 걸림부(130)가 가압에 의해 원뿔대 형상으로 변형되면 내면인 방사상의 걸림돌기(134)의 단부가 오므려지면서 일측 전선 배관(10a)의 표면을 파고들어가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즉, 걸림부(130)는 환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변형되기 전에는 내경이 일측 전선 배관(10a)의 외경보다 큰 상태이지만, 변형되는 경우 걸림돌기(134)의 단부가 경사지게 오므려지면서 일측 전선 배관(10a)의 외경보다 작은 상태로 변형되는 것이다.That is, the hooking
더욱이, 걸림부(130)는 내주면에 설정간격마다 걸림돌기(134)는 형성되면서, 반경 방향으로 형성된 방사홈(132)과 방사홈(132)의 사이에 사다리꼴 형상의 걸림돌기(134)가 형성되는 것이다.Moreover, while the
이때, 방사홈(132) 및 걸림돌기(13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실시가 가능하며, 걸림돌기 단부가 일측 전선 배관(10a)의 표면을 파고들어가는 구조이면 어떤 구조이던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한편, 걸림부(130)는 본체부(110)의 내주면에 억지 끼워 맞춤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경사지면서 일측 전선 배관(10a)의 분리 방지와 함께 일, 타측 전선 배관(10a, 10b)을 접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hooking
더욱이, 걸림부(130)는 외면을 따라 접지면적 향상을 위한 접지돌기(136)가 방사상으로 구비된다. 이때, 접지돌기(136)는 본체부(110)의 내주면에 삽입시 본체부(110)의 내주면을 따라 접히면서 일측 전선 배관(10a)의 외주면과의 접촉면적이 증가하게 되므로 안정적으로 전기가 통하게 한다.Moreover, the hooking
특히, 접지돌기(136)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됨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반원 형상 등으로 돌출되면서 홈이 반복형성된 구조로도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In particular, the
가압 마감부(1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일측에 결합되면서 걸림부(130)의 걸림돌기(134)가 일측 전선 배관(10a)의 삽입 방향을 향해 경사지도록 가압하게 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이때, 가압 마감부(140)는 본체부(110)의 내주면 일측에 삽입될 수 있게 대응되는 외경을 갖도록 단차진 원통 등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삽입공(142)이 관통 형성되고, 본체부(110)의 삽입방향인 외주면 일단부에 가압 경사면(144)이 형성되며, 가압 경사면(144)의 반대측 외주면에 확경부(146)가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가압 경사면(144)은 가압 마감부(140)의 외주면에서부터 삽입공(142)인 내주면까지 삽입거리 한정부(120) 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지지 경사면(124)과의 사이에 위치된 걸림부(130)의 걸림돌기(134)를 가압하게 된다.The pressure
더욱이, 가압 마감부(140)는 확경부(146)의 반대측 단부 외주면에 단차(148)가 형성되어 걸림부(130)를 가압할 때 단차(148)에 의해 절곡된 접지돌기(136)가 닿지 않게 한다.Moreover, the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가압 마감부(140)는 걸림부(130)의 걸림돌기(134) 각도를 조절하도록 가압각도 조절부(150)를 포함하며, 제1, 2 실시예에 따른 전선 배관 커넥터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6 , the
이때, 가압 마감부(140)는 단부에 가압각도 조절부(150)이 설치되도록 홈(1410)이 단차 형성되며, 가압 경사면(144)의 도중인 홈(1410)의 단부에 원호홈(1412)이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가압각도 조절부(150)는 가압 회전체(152), 나선봉(154) 및 너트(156)를 포함한다.The pressing
가압 회전체(152)는 가압 경사면(144)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원호홈(1412)에 지지 경사면(124) 방향 또는 지지 경사면(124)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힌지(H)에 의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The pressing rotating
이때, 가압 회전체(152)는 내부에 이동홀(1520)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이동홀(1520)를 따라 이동하는 연결구(1522)가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즉, 연결구(1522)는 가압 회전체(152)의 각도에 따라 연결된 나선봉(154)의 연결 부위가 승강하게 되므로 나선봉(154)의 승강 위치에 맞게 이동홀(1520)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는 나선봉(154)이 나선홀(1420)에 체결된 상태에서는 선단이 회전되지 못하기 때문이다.That is, the
나선봉(154)은 선단은 연결구(152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나선축 구조로 구비된 후단은 홈(1410)의 내벽면에 형성된 나선홀(1420)에 나선 체결된다.The front end of the
너트(156)는 나선봉(154)에 나선 체결되며, 홈(1410)의 내벽면에 밀착된 상태로 체결되면서 나선봉(154)의 위치를 잠그도록 나선홀이 관통 형성된다.The
따라서, 걸림부(130)에 형성된 걸림돌기(134)의 각도 조절이 요구되는 경우, 너트(156)를 홈(1410)의 내벽면에서 이격시켜 나선봉(154)을 잠금 해제시킨 상태에서 나선 체결된 나선봉(154)을 회전시키면 나선봉(154)이 전후 이동하게 되고, 나선봉(154) 이동에 의해 가압 회전체(152)가 하단의 힌지(H)를 기점으로 회전하게 되며, 가압 회전체(152)의 각도가 정해지면 너트(156)를 홈(1410)의 내벽면에 접촉시켜 나선봉(154)의 회전을 잠그면서 가압 회전체(152)의 각도가 고정되게 한다.Therefore, when adjusting the angle of the locking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전선 배관 커넥터(100)를 통해 일, 타측 전선 배관(10a, 10b)을 연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one and the
먼저, 본체부(110)의 내부 중심부에 삽입거리 한정부(120)를 억지 끼워 맞춤으로 결합시킨다.First, the insertion
다음으로, 삽입거리 한정부(120)의 일측에 원형 평판 형상의 걸림부(130)를 각각 억지 끼워 맞춤으로 결합시킨 후 가압 마감부(140)를 억지 끼워 맞춤으로 결합시킨다.Next, after coupling the circular plate-shaped
이때, 걸림부(13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접지돌기(136)가 본체부(110)의 내주면과 평행한 상태로 절곡된다.At this time, the
다음으로, 가압 마감부(140)를 더 가압하게 되면 가압 경사면(144)이 가압 마감부(140)의 가압 경사면(144)과 삽입거리 한정부(120)의 지지 경사면(124) 사이에 위치된 걸림부(130)의 가장자리를 가압하게 되고 지지 경사면(124)이 지지하면서 걸림부(130)의 걸림돌기(134)가 각도를 갖도록 변형된다.Next, when the
다음으로, 본체부(110)의 일측으로 일측 전선 배관(10a)을 스토퍼(126)까지 삽입하게 되면 일측 전선 배관(10a) 삽입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걸림돌기(134)가 일측 전선 배관(10a)의 외주면에 일정깊이 파고들어가게 되면서 일측 전선 배관(10a)이 연결된다. 그리고 타측 전선 배관(10b)은 본체부(110)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112)을 통해 나선 체결된다.Next, when the one-
더욱이, 걸림부(130)의 접지돌기(136)가 절곡 형성되면서 본체부(110)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접지면적이 향상되고, 걸림돌기(134)의 단부가 일측 전선 배관(10a)의 외주면에 밀착되므로 안정적으로 전기가 통하게 된다.Moreover, as the grounding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선 배관 커넥터(100)는 본체부(110), 삽입거리 한정부(120), 걸림부(130') 및 가압 마감부(140)를 포함하며, 앞선 실시예와 달리 걸림부(130)의 구조만 상이할 뿐 나머지 구성을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5, the
즉, 걸림부(130')는 앞선 실시예와 달리 외주면에 접지돌기가 없고 나머지는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at is, unlike the previous embodiment, the locking portion 130' has no ground protrus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rest is the same,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10a, 10b: 일, 타측 전선 배관 100: 전선 배관 커넥터
110: 본체부 120: 삽입거리 한정부
122: 통과공 124: 지지 경사면
126: 스토퍼 130, 130': 걸림부
132: 방사홈 134: 걸림돌기
136: 접지돌기 140: 가압 마감부
142: 삽입공 144: 가압 경사면10a, 10b: one, the other wire pipe 100: wire pipe connector
110: body part 120: insertion distance limiting part
122: through hole 124: support slope
126:
132: radiation groove 134: stumbling block
136: ground protrusion 140: pressurized finish
142: insertion hole 144: pressurized slope
Claims (5)
상기 본체부의 내부 중심에 삽입되며, 상기 일측 전선 배관의 삽입 거리를 한정하는 삽입거리 한정부;
상기 삽입거리 한정부의 일측에 위치되면서 방사상의 걸림돌기에 의해 삽입되는 배관 파이프의 분리를 방지하면서 상기 일, 타측 전선 배관을 접지하는 걸림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결합되면서 상기 걸림부의 걸림돌기가 상기 일측 전선 배관의 삽입 방향을 향해 경사지도록 가압하는 가압 마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배관 커넥터.
A main body portion into which one wire pipe is inserted into one side through which the other wire pipe is screwed to the other side;
an insertion distance limiting unit which is inserted into the inner center of the main body and limits the insertion distance of the one-side wire pipe;
a hooking unit located on one side of the insertion distance limiting unit and grounding the one and the other wire pipe while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pipe pipe inserted by the radial locking protrusion; and
A wire pipe connector comprising a; pressure closing portion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pressurizing such that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holding portion is inclined toward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one-side wire pipe.
상기 삽입거리 한정부의 일측 내주면에 지지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 경사면과 대향되는 상기 가압 마감부의 단부에 가압 경사면이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배관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
A wire pip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a supporting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side of the insertion distance limiting portion, and a pressing inclined surface is formed in parallel at an end of the pressing finishing portion opposite to the supporting inclined surface.
상기 걸림부는 외면을 따라 접지면적 향상을 위한 접지돌기가 방사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배관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
Wire pip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und protrusion for improving the ground area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hooking portion is radially provided.
상기 걸림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억지 끼워 맞춤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배관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 pip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by interference fit.
상기 본체부는 타측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상기 타측 전선 배관의 체결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배관 커넥터.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portion is a wire pip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ew thread for fastening the other wire pipe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sid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65411A KR102726031B1 (en) | 2021-05-21 | 2021-05-21 | Electric wire pipe conne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65411A KR102726031B1 (en) | 2021-05-21 | 2021-05-21 | Electric wire pipe connec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57640A true KR20220157640A (en) | 2022-11-29 |
KR102726031B1 KR102726031B1 (en) | 2024-11-05 |
Family
ID=84234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65411A Active KR102726031B1 (en) | 2021-05-21 | 2021-05-21 | Electric wire pipe connec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26031B1 (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1022Y1 (en) * | 2003-04-28 | 2003-07-22 | 백준식 | Connector having fixture of electric wire pipe |
KR101924450B1 (en) * | 2017-11-10 | 2018-12-03 | 주식회사 코팅코리아 | Metal pipe with socket, metal pipe connection device using same, and method for forming socket of metal pipe |
KR101953094B1 (en) | 2018-06-18 | 2019-03-05 | 신화산업전기 주식회사 | Piping electric wire coupling |
KR101990141B1 (en) * | 2017-08-07 | 2019-06-19 | 주식회사 더윈테크 | Connecting structure for pipe |
KR102117915B1 (en) * | 2019-10-07 | 2020-06-02 | 이홍구 | Multi-pipe structure for easy connection with flecxible branch joint pipe |
KR20200080091A (en) * | 2018-12-26 | 2020-07-06 | 김경민 | One touch type pipe connector |
-
2021
- 2021-05-21 KR KR1020210065411A patent/KR10272603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1022Y1 (en) * | 2003-04-28 | 2003-07-22 | 백준식 | Connector having fixture of electric wire pipe |
KR101990141B1 (en) * | 2017-08-07 | 2019-06-19 | 주식회사 더윈테크 | Connecting structure for pipe |
KR101924450B1 (en) * | 2017-11-10 | 2018-12-03 | 주식회사 코팅코리아 | Metal pipe with socket, metal pipe connection device using same, and method for forming socket of metal pipe |
KR101953094B1 (en) | 2018-06-18 | 2019-03-05 | 신화산업전기 주식회사 | Piping electric wire coupling |
KR20200080091A (en) * | 2018-12-26 | 2020-07-06 | 김경민 | One touch type pipe connector |
KR102117915B1 (en) * | 2019-10-07 | 2020-06-02 | 이홍구 | Multi-pipe structure for easy connection with flecxible branch joint pip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726031B1 (en) | 2024-11-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20282809A1 (en) | Coupling gasket with multiple sealing surfaces | |
US7070447B1 (en) | Compact compression connector for spiral corrugated coaxial cable | |
US6133532A (en) | Contact device | |
US10385997B2 (en) | Slip-on coupling gasket | |
US8454383B2 (en) | Self gauging insertion coupling coaxial connector | |
USRE43832E1 (en) | Constant force coaxial cable connector | |
US6044868A (en) | Watertight fitting for flexible non-metallic conduit | |
US20150020371A1 (en) | Coupling with tongue and groove | |
US20090058080A1 (en) | Electrical connection assembly with unitary sealing and compression ring | |
KR20070095762A (en) | Axial compression electrical connector for annular pleated coaxial cable | |
CN101243279A (en) | Coupling between two bodies | |
GB2280318A (en) | A connector for a corrugated tube coaxial cable | |
CN105805111B (en) | Adjustable connecting piece of automatic inserted bar for locking upper screw and lower screw | |
KR20220157640A (en) | Electric wire pipe connector | |
KR101772215B1 (en) | Cable gland | |
KR20220157636A (en) | Pipe connecting coupler | |
US20100267258A1 (en) | Wedge of a cable connector grounding device | |
CN109244771A (en) | A kind of self-locking type RF coaxial connector | |
US1809064A (en) | Threadless connecter | |
US3306638A (en) | Electrical connection element for wiring conduit | |
KR102363045B1 (en) | Cable gland | |
KR200496752Y1 (en) | Tool for pipe expanding | |
US12326164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a hanger for supporting a threaded object | |
KR20090080916A (en) |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Locking Screw Connection | |
JP2020070921A (en) | Flexible tube joint and locking tool for joi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6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105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0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0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10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