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157376A - 이소시아네이트 아민 부가물 기반 모르타르 조성물, 다성분 수지 시스템, 건축 요소의 고정 방법 및 건축 요소의 고정을 위한 다성분 수지 시스템의 용도 - Google Patents

이소시아네이트 아민 부가물 기반 모르타르 조성물, 다성분 수지 시스템, 건축 요소의 고정 방법 및 건축 요소의 고정을 위한 다성분 수지 시스템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7376A
KR20220157376A KR1020227029082A KR20227029082A KR20220157376A KR 20220157376 A KR20220157376 A KR 20220157376A KR 1020227029082 A KR1020227029082 A KR 1020227029082A KR 20227029082 A KR20227029082 A KR 20227029082A KR 20220157376 A KR20220157376 A KR 20220157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resin system
isocyanate
amine
diisocyan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9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찬 플렝크
크리스토프 드리에마이어
Original Assignee
힐티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EP20164633.8A external-priority patent/EP3882292A1/de
Application filed by 힐티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힐티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220157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7376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1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6/16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8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 C08G18/385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sulfur
    • C08G18/3857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sulfur having nitrogen in addition to 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12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organic derivatives of hydrazine
    • C04B24/121Amines, poly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0/00Processes, in general, for influencing 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mpositions, e.g. their setting or hardening ability
    • C04B40/06Inhibiting the setting, e.g. mortars of the deferred action type containing water in breakable containers ; Inhibiting the action of active ingredients
    • C04B40/0641Mechanical separation of ingredients, e.g. accelerator in breakable microcapsules
    • C04B40/065Two or more component morta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05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8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one heteroatom other than oxygen or nitrogen
    • C08G18/289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one heteroatom other than oxygen or nitrogen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08G18/3225Poly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25Polyethers containing two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3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acycl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having heteroatoms in addition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
    • C08G18/78Nitrogen
    • C08G18/7806Nitrogen containing -N-C=0 groups
    • C08G18/7818Nitrogen containing -N-C=0 groups containing ureum or ureum derivative groups
    • C08G18/7831Nitrogen containing -N-C=0 groups containing ureum or ureum derivative groups containing biuret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2Polyu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68Ingredients with a function or property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03/00
    • C04B2103/0079Rheology influenc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715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for fixing bolt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10Compositions or ingredien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absence or the very low content of a specific material
    • C04B2111/1006Absence of well-defined 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76Use at unusual temperatures, e.g. sub-zero
    • C04B2111/763High temperatu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 요소의 화학적 고정을 위한 이소시아네이트 아민 부가물에 기반한 모르타르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다성분 수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다성분 수지 시스템으로부터 생성된 이소시아네이트 아민 부가물에 기반한 모르타르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광물 기재에서 건축 요소의 화학적 고정 방법 및 광물 기재에서 건축 요소의 화학적 고정을 위한 이소시아네이트 아민 부가물에 기반한 모르타르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소시아네이트 아민 부가물 기반 모르타르 조성물, 다성분 수지 시스템, 건축 요소의 고정 방법 및 건축 요소의 고정을 위한 다성분 수지 시스템의 용도
본 발명은 건축 요소의 화학적 고정을 위한 이소시아네이트 아민 부가물에 기반한 모르타르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다성분 수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다성분 수지 시스템으로부터 생성된 이소시아네이트 아민 부가물에 기반한 모르타르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광물 기재에서 건축 요소의 화학적 고정 방법 및 광물 기재에서 건축 요소의 화학적 고정을 위한 이소시아네이트 아민 부가물에 기반한 모르타르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메타크릴레이트 수지와 같은 라디칼 경화 화합물을 기반으로 하거나 아민 경화제와 반응하는 에폭시 수지를 기반으로 하는 결합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앵커 로드, 철근 및 시추공의 나사와 같은 건축 요소의 화학적 고정을 위한 모르타르 조성물을 제조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결합제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수많은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제품이 있다.
그러나 알려진 결합제 시스템은 특히 승온, 청소되지 않은 시추공, 축축하거나 물이 채워진 시추공, 다이아몬드-드릴 시추공, 균열 콘크리트의 시추공 등과 같은 중요한 외부 조건에서 부적절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기존 결합제 시스템을 개발하고 개선하는 것 외에도, 화학적 고정을 위한 모르타르 조성물의 기초로서의 그들의 적합성과 관련하여 위에서 언급한 것 이외의 결합제 시스템을 조사하려는 노력도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EP 3 447 078 A1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및 폴리아스파르트산 에스테르 성분을 포함하는 다성분 조성물로부터 생성되는 화학적 앵커를 기술하고 있다. 두 성분이 혼합되면, 중부가 반응에서 폴리우레아가 형성되어 모르타르 조성물의 결합제를 형성한다.
종종 수십 년의 수명 주기 동안 건축 요소의 화학적 고정을 위한 모르타르 조성물은 큰 온도 변동과 같은 변화하는 기상 조건에 노출된다. 유럽과 같은 온대 기후에서도 여름과 겨울의 온도차는 40~50℃다. 아랍에미리트와 같이 평균 기온이 매우 높은 국가에서 모르타르 조성물은 50℃ 이상의 극한 온도에 노출된다. 안전상의 이유로 사용된 모르타르 조성물이 파손 하중의 현저한 감소 없이 온도 변동 또는 고온을 견딜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이 특성을 온도 저항성이라고 한다.
메타크릴레이트 수지 또는 에폭시 수지와 같은 라디칼 경화 화합물을 기반으로 하는 많은 모르타르 조성물은 온도 저항성이 부적절하거나 불충분하다. EP 3 447 078 A1에 기술된 화학적 앵커는 또한 온도 저항이 충분하지 않지만, 참조 조건(실온에서 24시간 경화)하의 파손 하중은 이소시아네이트 및 아스파라긴산 에스테르를 기반으로 하는 경화된 모르타르 조성물이 화학적 앵커로서 잠재적으로 적합함을 입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 목적에 적합한 이소시아네이트 아민 부가물에 기반한 모르타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의 모르타르 조성물과 비교하여, 모르타르 조성물은 기준 조건에서 비교적 높은 인발 강도와 함께 개선된 온도 저항성을 가져야 한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80℃와 같은 승온에서 개선된 인발 강도를 갖는 이소시아네이트 아민 부가물에 기반한 모르타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다성분 수지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성분 수지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선택적으로 서로 조합될 수 있는 종속항에 제공된다.
본 발명은 또한 건축 요소의 화학적 고정을 위한 것이고 본 발명에 따른 다성분 수지 시스템으로부터 제조되는 청구항 11에 따른 모르타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광물 기재에서 건축 요소의 화학적 고정을 위한 청구항 12에 따른 방법 및 본 발명에 따른 다성분 수지 시스템 또는 광물 기재에서 건축 요소의 화학적 고정을 위한 청구항에 따라 제조된 모르타르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다음을 포함하는 다성분 수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이소시아네이트 성분(A) 및 적어도 하나의 아민 성분(B),
다음을 포함하는 이소시아네이트 성분(A)
- 평균 NCO 작용가가 2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지방족 및/또는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다음을 포함하는 아민 성분(B)
- 이소시아네이트 기에 반응성이고 2 이상의 평균 NH 작용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아민,
다성분 수지 시스템에 폴리아스파르트산 에스테르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소시아네이트 성분(A) 및/또는 아민 성분(B)은 적어도 하나의 충전제 및 적어도 하나의 레올로지 첨가제를 포함하고,
이소시아네이트 성분(A)과 아민 성분(B)을 혼합하여 제조된 모르타르 조성물의 총 충전도가 30 내지 8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적 고정을 위한 모르타르 조성물에 사용되는 이소시아네이트-아민계 결합제 시스템에서 폴리아스파르트산 에스테르의 존재는 경화된 모르타르 조성물의 온도 저항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놀랍게도 발견되었다. 특히, 해당 시스템은 80℃와 같은 승온에서 접합 응력이 크게 감소한다.
따라서, 다성분 수지 시스템, 특히 다성분 수지 시스템의 아민 성분(A)에 폴리아스파르트산 에스테르가 없는 것이 본 발명에 필수적이다. 본 출원의 맥락에서 "폴리아스파르트산 에스테르가 없는"이라는 표현은 다성분 수지 시스템에서 폴리아스파르트산 에스테르의 비율이 다성분 수지 시스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각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2 중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미만, 심지어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미만이다. 전술한 중량 백분율 범위에서 폴리아스파르트산 에스테르의 존재는 잠재적인 불순물에 기인할 수 있다. 그러나, 다성분 수지 시스템에서 폴리아스파르트산 에스테르의 비율은 다성분 수지 시스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 중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더 나은 이해를 위해, 본원에 사용된 용어에 대한 다음 설명이 유용한 것으로 간주된다.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 "다성분 수지 시스템"은 서로 별도로 보관된 여러 성분들을 포함하여 모든 성분들이 혼합된 후에만 경화가 일어나는 반응 수지 시스템이다.
- "이소시아네이트"는 작용성 이소시아네이트기 -N=C=O를 갖고 구조 단위 R-N=C=O를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이다.
-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적어도 2개의 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기 -N=C=O를 갖는 화합물이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정의에도 포함되는 디이소시아네이트는 예를 들어 구조 O=C=N-R-N=C=O에 의해 특징지어지며, 따라서 NCO 작용가가 2이다.
- "평균 NCO 작용가"는 화합물의 이소시아네이트기 수를 설명하며; 이소시아네이트 혼합물의 경우 "평균 NCO 작용가"는 혼합물의 이소시아네이트기의 평균 수를 설명하고, 다음 식에 따라 계산된다: 평균 NCO 작용가(혼합물) =
Figure pct00001
평균 NCO 작용가(이소시아네이트 i) / ni 즉, 개별 성분의 평균 NCO 작용가 합계를 개별 성분 수로 나눈 값.
- "이소시아네이트 성분(A)" 또는 또한 A 성분은 적어도 하나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충전제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레올로지 첨가제 및/또는 추가 첨가제를 포함하는 다성분 수지 시스템의 성분을 설명한다.
- "아민"은 작용성 NH 기를 갖고 1개 또는 2개의 수소 원자를 탄화수소기로 대체하여 암모니아로부터 유도되며 일반 구조 RNH2(1차 아민) 및 R2NH(2차 아민)를 갖는 화합물이다(문헌[IUPAC Compendium of Chemical Terminology, 2nd ed. (the "Gold Book"), compiled by A.D. McNaught and A. Wilkinson,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Oxford (1997)] 참조). 폴리아스파르트산 에스테르의 화합물 부류는 본 발명의 맥락에서 아민이라는 용어에서 명시적으로 제외된다. 이들은 폴리아스파르트산 에스테르라는 용어로 별도로 정의된다.
- "NH 작용가"는 아미노기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할 수 있는 활성 수소 원자의 수를 설명한다.
- "평균 NH 작용가"는 아민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할 수 있는 활성 수소 원자의 수를 설명하며, 화합물, 즉 아민에 함유된 아미노기의 수 및 NH 작용가에서 유래되며; 아민 혼합물의 경우 "평균 NH 작용가"는 혼합물의 평균 활성 수소 원자 수를 설명하며, 다음 식에 따라 계산된다: 평균 NH 작용가(혼합물)=
Figure pct00002
평균 NH 작용가(아민 i) / ni, 즉 개별 성분의 평균 NH 작용가 합계를 개별 성분 수로 나눈 값.
- "폴리아스파르트산 에스테르"라는 용어는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지칭한다:
Figure pct00003
식 중,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이소시아네이트기에 대해 불활성인 유기 기를 나타내며,
X는 이소시아네이트기에 대해 불활성인 n가 유기기를 나타내고,
n은 적어도 2,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 특히 바람직하게는 2의 정수를 나타낸다.
- "이소시아네이트 아민 부가물"은 이소시아네이트와 아민의 중부가 반응에 의해 형성된 중합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소시아네이트 아민 부가물은 바람직하게는 -[-NH-R-NH--NH-R'-NH-]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구조 요소를 포함하는 폴리우레아이다.
- "아민 성분(B)" 또는 B 성분은 이소시아네이트기에 반응성인 적어도 하나의 아민, 및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충전제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레올로지 첨가제 및/또는 추가 첨가제를 포함하는 다성분 수지 시스템의 성분이다.
- "지방족 화합물"은 방향족 화합물을 제외한 비환식 또는 환식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소화합물이다.
- "지방족고리 화합물"은 벤젠 유도체 또는 기타 방향족 시스템을 제외한 탄소환 구조를 갖는 지방족 화합물이다.
- "방향지방족 화합물"은 작용화된 방향지방족 화합물의 경우 존재하는 작용기가 화합물의 방향족 부분보다 지방족에 결합되도록 방향족 백본을 갖는 지방족 화합물이다.
- "방향족 화합물"은
Figure pct00004
의 법칙 (4n+2)을 따르는 화합물이다.
- "이성분 반응 수지 시스템"은 2개의 개별적으로 저장된 성분, 이 경우 이소시아네이트 성분(A) 및 아민 성분(B)을 포함하여 두 성분이 혼합된 후에만 경화가 일어나는 반응 수지 시스템을 의미한다.
- 용어 "모르타르 조성물"은 이소시아네이트 성분(A)과 아민 성분(B)을 혼합하여 얻어지는 조성물로서 화학적 고정에 직접 사용될 수 있는 조성물을 지칭한다.
- 용어 "충전제"는 유기 또는 무기, 특히 무기 화합물을 지칭한다.
- 용어 "레올로지 첨가제"는 보관, 적용 및/또는 경화 중에 이소시아네이트 성분(A), 아민 성분(B) 및 다성분 수지 시스템의 점도 거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첨가제를 지칭한다. 레올로지 첨가제는 특히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A) 및/또는 아민 성분(B)에서 충전제의 침강을 방지한다. 또한 성분들의 혼화성을 개선하고 가능한 상 분리를 방지한다.
- 용어 "온도 저항성"은 기준 접합 응력과 비교하여 승온에서 경화된 모르타르 조성물의 접합 응력 변화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온도 저항성은 특히 기준 응력에 대한 80℃에서의 결합 응력의 비율로 지정된다.
- 예를 들어 "충전제"라는 단어 앞에 오는 화학 화합물의 부류에 선행하는 단수 관사("a" 또는 "an")는 이 부류의 화학 화합물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예를 들어 다양한 "충전제"가 의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적어도 하나"는 수치상 "하나 이상"을 의미하며;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용어는 수치상 "하나"를 의미한다.
- "함유하는" 및 "포함하는"은 언급된 구성 요소 외에 더 많은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러한 용어는 포괄적인 의미를 가지며, 따라서 "~로 구성된"도 포함하며; "~로 구성된"은 배타적으로 의미하며, 추가 구성요소가 없을 수 있음을 의미하며;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용어 "함유하는" 및 "포함하는"은 "~로 구성된"이라는 용어를 의미한다.
이 문서에 인용된 모든 표준(예를 들어, DIN 표준)은 본 출원의 출원일에 최신 버전에서 사용되었다.
이소시아네이트 성분(A)
본 발명에 따른 다성분 수지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이소시아네이트 성분(A) 및 적어도 하나의 아민 성분(B)을 포함한다. 사용 전에, 이소시아네이트 성분(A) 및 아민 성분(B)은 반응-억제 방식으로 서로 별도로 제공된다.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은 적어도 하나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한다.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고 2 이상의 평균 NCO 작용가를 갖는 모든 지방족 및/또는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는 개별적으로 또는 서로와의 임의의 혼합물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 사용될 수 있다. NCO 작용가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에 존재하는 NCO 기의 수를 나타낸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화합물에 2개 이상의 NCO기가 함유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적합한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방향족으로 결합된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것들, 예컨대 디이소시아네이토벤젠,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디이소시아네이토나파탈렌, 트리페닐메탄 트리이소시아네이트 뿐만 아니라 알킬렌기, 예컨대 메틸렌기, 예컨대 비스- 및 트리스-(이소시아네이토알킬) 벤젠, 톨루엔 및 크실렌을 통해 방향족 기에 결합되는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것들이다.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바람직한 예는 1,3-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5-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3-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1,3-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1,4-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3-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벤젠, 1,4-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벤젠, 에틸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2-도데실-1,3-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4,6-트리이소프로필-m-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4,6-트리메틸-1,3-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 4,4'-비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톡시-4,4'-비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4,4'-비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렌 메탄-2,4'-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렌 메탄-2,2'-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렌 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페닐메탄-4,4',4" 트리이소시아네이트, 5-(p-이소시아네이토벤질)-2-메틸-m-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이소시아네이토-3,3,5,5-테트라에틸디페닐메탄, 5,5'-우레일렌 디-o-톨릴 디이소시아네이트, 4-[(5-이소시아네이토-2-메틸페닐)메틸]-m-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4-[(3-이소시아네이토-4-메틸페닐)메틸]-m-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2'-메틸렌-비스[6-(o-이소시아네이토벤질)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이다.
3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4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의 탄소 백본(함유된 NCO 기가 없음)을 갖는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예는 비스(이소시아네이토알킬) 에테르 또는 알칸 디이소시아네이트, 예컨대 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프로판 디이소시아네이트, 부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펜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예를 들어,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HDI), 헵탄 디이소시아네이트(예를 들어, 2,2-디메틸펜탄-1,5-디이소시아네이트, 옥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노난 디이소시아네이트(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2,4,4- 및 2,2,4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트리메틸 HDI(TMDI)), 2-메틸펜탄-1,5-디이소시아네이트(MPDI), 노난 트리이소시아네이트(예를 들어, 4-이소시아네이토메틸-1,8-옥탄 디이소시아네이트, 5-메틸노난 디이소시아네이트), 데칸 디이소시아네이트, 데칸 트리이소시아네이트, 운데칸 디이소시아네이트, 운데칸 트리이소시아네이트, 도데칸 디이소시아네이트, 도데칸 트리이소시아네이트, 1,3- 및 1,4-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시클로헥산(H6XDI), 3-이소시아네이토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 이소시아네이트(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IPDI), 비스-(4- 이소시아네이토시클로헥실)메탄(H12MDI),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노르보르난(NBDI) 또는 3(4)-이소시아네이토메틸-1-메틸-시클로헥실 이소시아네이트(IMCI), 옥타가이드로-4,7-메타노-1H-인덴디메틸 디이소시아네이트, 노르보르넨 디이소시아네이트, 5-이소시아네이토-1-(이소시아네이토메틸)-1,3,3-트리메틸시클로헥산, 우레일렌-비스(p-페닐렌메틸렌-p-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이다.
특히 바람직한 이소시아네이트는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DI), 트리메틸 HDI(TMDI), 펜탄 디이소시아네이트(PDI), 2-메틸펜탄-1,5-디이소시아네이트(MPDI),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 1,3- 및 1,4-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시클로헥산(H6XDI),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노르보르난(NBDI), 3(4)-이소시아네이토메틸-1-메틸-시클로헥실 이소시아네이트(IMCI) 및/또는 4,4'-비스(이소시아네이토시클로헥실)메탄(H12MDI) 또는 이들 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이다.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예비중합체, 뷰렛, 이소시아누레이트, 이미노옥사디아진디온, 우레트디온 및/또는 알로파네이트로서 존재하며, 이는 이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를 올리고머화함으로써,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폴리올 또는 폴리아민과 개별적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반응시킴으로써 생성될 수 있고, 평균 NCO 작용가가 2 이상이다.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적합한 이소시아네이트의 예는 Desmodur® N 3900, Desmodur® N 100, Desmodur® Ultra N 3200, Desmodur® Ultra N 3300, Desmodur® Ultra N 3600, Desmodur® N 3800, Desmodur® XP 2675, Desmodur® 2714, Desmodur® 2731, Desmodur® N 3400, Desmodur® XP 2679, Desmodur® XP 2731, Desmodur® XP 2489, Desmodur® E 3370, Desmodur® XP 2599, Desmodur® XP 2617, Desmodur® XP 2406, Desmodur® XP 2551, Desmodur ® XP 2838, Desmodur® XP 2840, Desmodur® VL, Desmodur® VL 50, Desmodur® VL 51, Desmodur® ultra N 3300, Desmodur® eco N 7300, Desmodur® E23, Desmodur® E XP 2727, Desmodur® E 30600, Desmodur® E 2863 XPDesmodur® H, Desmodur® VKS 20 F, Desmodur® 44V20I, Desmodur® 44P01, Desmodur® 44V70 L, Desmodur® N3400, Desmodur® N3500 (Covestro AG로부터 모두 입수 가능), TolonateTM HDB, TolonateTM HDB-LV, TolonateTM HDT, TolonateTM HDT-LV, TolonateTM HDT-LV2(Vencorex로부터 입수 가능), Basonat® HB 100, Basonat® HI 100, Basonat® HI 2000 NG(BASF로부터 입수 가능), Takenate® 500, Takenate® 600, Takenate® D-132N(NS), Stabio® D-376N(모두 Mitsui로부터 입수 가능), Duranate® 24A-100, Duranate® TPA-100, Duranate® TPH-100(모두 Asahi Kasai로부터 입수 가능), Coronate® HXR, Coronate® HXLV, Coronate® HX, Coronate® HK(모두 Tosoh로부터 입수 가능)이다.
하나 이상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총 중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0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65 중량%의 비율로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에 함유된다.
아민 성분(B)
반응 억제 방식으로 다성분 수지 시스템에서 이소시아네이트 성분(A)과 별도로 제공되는 아민 성분(B)은 이소시아네이트기에 반응성이고 적어도 2개의 아미노기를 작용기로 갖는 적어도 하나의 아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민은 2 이상의 평균 NH 작용가를 갖는다. 평균 NH 작용가는 아민의 질소 원자에 결합된 수소 원자의 수를 나타낸다. 따라서, 예를 들어, 1차 모노아민은 2의 평균 NH 작용가를 갖고, 1차 디아민은 4의 평균 NH 작용가를 가지며, 3개의 2차 아미노기를 갖는 아민은 3의 평균 NH 작용가를 갖고, 1개의 1차 및 1개의 2차 아미노기를 갖는 디아민은 3의 평균 NH 작용가를 갖는다. 평균 NH 작용가는 또한 아민 공급업체가 제공한 정보를 기반으로 할 수 있으며, 본원에 이해된 바와 같이, NH 작용가는 실제로 표시된 이론적인 평균 NH 작용가와 다를 수 있다. "평균"이라는 표현은 화합물에 함유된 아미노기(들)의 NH 작용가가 아니라 화합물의 NH 작용가임을 의미한다. 아미노기는 1차 또는 2차 아미노기일 수 있다. 아민은 1차 단독 또는 2차 아미노기 단독, 또는 1차 및 2차 아미노기 모두를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소시아네이트기에 반응성인 아민은 지방족, 지방족고리, 방향지방족 및 방향족 아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지방족고리 및 방향족 아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이소시아네이트기에 반응성인 아민은 원칙적으로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이소시아네이트기에 반응성인 적합한 아민의 예가 하기에 제공되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서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는 1,2-디아미노에탄(에틸렌디아민), 1,2-프로판디아민, 1,3-프로판디아민, 1,4-디아미노부탄, 2,2-디메틸-1,3-프로판디아민(네오펜타네디아민), 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민(DEAPA), 2-메틸-1,5-디아미노펜탄, 1,3-디아미노펜탄, 2,2,4- 또는 2,4,4-트리메틸-1,6-디아미노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TMD), 1,3-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1,2-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헥사메틸렌디아민(HMD), 1,2- 및 1,4-디아미노시클로헥산(1,2-DACH 및 1,4-DACH), 비스(4-아미노-3-메틸시클로헥실)메탄, 디에틸렌트리아민(DETA), 4-아자헵탄-1,7-디아민, 1,11-디아미노-3,6,9-트리옥순데칸, 1,8-디아미노-3,6-디옥사옥탄, 1,5-디아미노-메틸-3-아자펜탄, 1,10-디아미노-4,7-디옥사데칸, 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민, 1,13-디아미노-4,7,10-트리옥사트리데칸, 4-아미노메틸-1,8- 디아미노옥탄, 2-부틸-2-에틸-1,5-디아미노펜탄, N,N-비스(3-아미노프로필)메틸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민(TETA), 테트라에틸렌펜타민(TEPA), 펜타에틸렌헥사민(PEHA), 1,3-벤젠디메탄아민(m-크실릴렌디아민, mXDA), 1,4-벤젠디메탄아민(p-크실릴렌디아민, pXDA), 5-(아미노메틸)비시클로[[2.2.1]헵트-2-일]메틸아민(NBDA, 노르보르난 디아민), 디메틸디프로필렌트리아민,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프로필아민(DMAPAPA), 2,4-디아미노-3,5-디메틸티오톨루엔(디메틸티오-톨루엔 디아민 DMTDA), 3-아미노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 아민(이소포론 디아민(IPDA)), 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PACM), 디에틸메틸벤젠디아민(DETDA), 3,3'-디아미노디페닐설폰(33 답손(dapsone)), 3,3'-디아미노디페닐설폰(답손), 혼합 다환식 아민(MPCA)(예를 들어, Ancamine 2168), 디메틸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Laromin C260), 2,2-비스(4-아미노시클로헥실)프로판, (3(4),8(9)비스(아미노메틸디시클로[5.2.1.02,6]데칸(이성질체 혼합물, 삼환식 1차 아민; TCD 디아민), 메틸시클로헥실 디아민(MCDA), N,N'-디아미노프로필-2-메틸-시클로헥산-1,3-디아민, N,N'-디아미노프로필-4-메틸-시클로헥산-1,3-디아민, N-(3-아미노프로필)시클로헥실아민, 및 2-(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프로판-1,3-디아민이다.
특히 바람직한 아민은 디에틸메틸벤젠디아민(DETDA), 2,4-디아미노-3,5-디메틸티오톨루엔(디메틸티오-톨루엔 디아민, DMTDA), 4,4'-메틸렌-비스[N-(1-메틸프로필)페닐아민], 6-메틸-2,4-비스(메틸티오)페닐렌-1,3-디아민 및 2-메틸-4,6-비스(메틸티오)페닐렌-1,3-디아민의 이성질체 혼합물(Ethacure 300), 4,4'-메틸렌비스(2,6-디에틸아닐린), 4,4'-메틸렌비스(N-sec-부틸시클로헥산아민)(Clearlink 1000), 3,3'-디아미노디페닐설폰(33 답손), 4,4'-디아미노디페닐설폰(44 답손), N,N'-디-sec-부틸-p-페닐렌디아민 및 2,4,6-트리메틸-m-페닐렌디아민, 4,4'-메틸렌비스(N-(1-메틸프로필)-3,3'-디메틸시클로헥산아민(Clearlink 3000), 2-프로펜니트릴과 3-아미노-1,5,5-트리메틸시클로헥산메탄아민(Jefflink 745) 및 3-((3-(((2-시아노에틸)아미노)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아미노)프로피오노니트릴(Jefflink 136 또는 Baxxodur PC136)의 반응 생성물이다.
특히 바람직한 아민은 4,4'-메틸렌-비스[N-(1-메틸프로필)페닐아민], 6-메틸-2,4-비스(메틸티오)페닐렌-1,3-디아민 및 2-메틸-4,6-비스(메틸티오)페닐렌-1,3-디아민(Ethacure 300)의 이성질체 혼합물, 4,4'-메틸렌비스(2,6-디에틸아닐린), 4,4'-메틸렌비스(N-sec-부틸시클로헥산아민)(Clearlink 1000), 3,3'-디아미노디페닐설폰(답손), N,N'-디-sec-부틸-p-페닐렌디아민 및 2,4,6-트리메틸-m-페닐렌디아민이다.
하나 이상의 아민은 아민 성분의 총 중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70 중량%의 비율로 아민 성분에 함유된다.
다성분 수지 시스템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A) 및 아민 성분(B)의 양 비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평균 NCO 작용가 대 아민의 평균 NH 작용가의 비가 0.3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8,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1.5, 가장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1.3이 되도록 선택된다.
상이한 이소시아네이트 및/또는 상이한 아민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경화 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아민 혼합물의 평균 NH 작용가에 대한 이소시아네이트 혼합물의 평균 NCO 작용가의 비가 0.3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8,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1.5, 가장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1.3이 되도록 양 비가 선택된다.
충전제
이소시아네이트 성분(A) 및 아민 성분(B) 둘 모두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제 및 적어도 하나의 레올로지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두 성분 중 적어도 하나가 충전제 및 레올로지 첨가제 둘 다를 함유하는 것이 본 발명에 필수적이다. 이소시아네이트 성분(A) 및 아민 성분(B) 모두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충전제 및 적어도 하나의 레올로지 첨가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성분 수지 시스템의 이소시아네이트 성분(A)과 아민 성분(B)을 혼합하여 생성된 모르타르 조성물의 총 충전도는 본 발명에 따라, 모르타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0 내지 80 중량% 범위,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65 중량%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60 중량% 범위이다. 모르타르 조성물의 총 충전도는 이소시아네이트 성분(A) 및 아민 성분(B)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는 충전제 및 레올로지 첨가제의 중량 백분율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이소시아네이트 성분(A)의 충전도는 이소시아네이트 성분(A)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7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65 중량%다. 아민 성분(B)의 충전도는 각 경우에 아민 성분(B)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7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65 중량%다.
무기 충전제, 특히 포틀랜드 시멘트 또는 알루미네이트 시멘트와 같은 시멘트 및 기타 수경화성 무기 물질, 석영, 유리, 강옥, 도자기, 토기, 중정석, 가벼운 스파, 석고, 활석 및/또는 백악 및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게 충전제로 사용된다. 무기 충전제는 모래, 분말 또는 성형체의 형태로, 바람직하게는 섬유 또는 볼 형태로 첨가될 수 있다. 유형 및 입자 크기 분포/(섬유) 길이와 관련하여 충전제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레올로지 거동, 프레스-아웃력, 내부 강도, 인장 강도, 인발력 및 충격 강도와 같은 용도와 관련된 특성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적합한 충전제는 Millisil W3, Millisil W6, Millisil W8 및 Millisil W12, 바람직하게는 Millisil W12와 같이 표면-처리되지 않은 석영 분말, 미세 석영 분말 및 초미세 석영 분말이다. 실란화 석영 분말, 미세 석영 분말 및 초미세 석영 분말도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예를 들어 Quarzwerke의 Silbond 제품 시리즈에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제품 시리즈 Silbond EST(에폭시실란으로 개질됨) 및 Silbond AST(아미노실란으로 처리됨)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일본 Denka의 ASFP 유형(d50 = 0.3 μm) 또는 유형 지정 45(d50 < 0.44 μm), 07(d50 > 8.4 μm), 05(d50 < 5.5 μm) 및 03(d50 < 4.1 μm)의 DAW 또는 DAM과 같은 등급의 산화알루미늄 초미세 충전제와 같은 산화알루미늄 기반 충전제도 가능하다. 또한, Hoffman Mineral의 Aktisil AM 유형(아미노실란으로 처리됨, d50 = 2.2 μm) 및 Aktisil EM(에폭시실란으로 처리됨, d50 = 2.2 μm)의 표면-처리된 미세 및 초미세 충전제가 사용될 수 있다. 충전제는 개별적으로 또는 서로와의 임의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 성분(A) 중 충전제의 비율은 이소시아네이트 성분(A)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7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65 중량%다. 아민 성분(B) 중 충전제의 비율은 아민 성분(B)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7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65 중량%다.
유동 특성은 본 발명에 따라 이소시아네이트 성분(A) 및/또는 아민 성분(B)에 사용되는 레올로지 첨가제를 첨가함으로써 조정된다. 적합한 레올로지 첨가제는 라포나이트, 벤톤 또는 몬모릴로나이트와 같은 필로실리케이트, 노이부르크 규산토, 발연 실리카, 다당류;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우레아 증점제 및 셀룰로오스 에스테르이다. 습윤제 및 분산제, 표면 첨가제, 소포제 및 탈포제, 왁스 첨가제, 접착 촉진제, 점도 감소제 또는 공정 첨가제도 최적화를 위해 첨가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 성분(A) 중 하나 이상의 레올로지 첨가제의 비율은 이소시아네이트 성분(A)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 중량%다. 아민 성분(B) 중 하나 이상의 레올로지 첨가제의 비율은 아민 성분(B)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 중량%다.
추가 실시형태에서, 이소시아네이트 성분(A) 및/또는 아민 성분(B)은 적어도 하나의 접착 촉진제를 함유할 수 있다.
접착 촉진제를 사용함으로써, 시추공 벽과 모르타르 조성물의 가교가 개선되어 경화된 상태에서 접착력이 증가한다. 적합한 접착 촉진제는 적어도 하나의 Si-결합 가수분해성 기를 갖는 실란의 군, 예컨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페닐-3-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3-머캅토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으로부터 선택된다. 특히,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AMMO),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AMEO), 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DAMO) 및 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디에틸렌테트라민(TRIAMO)이 접착 촉진제로서 바람직하다. 추가의 실란은 예를 들어 EP3000792 A1에 기재되어 있다.
접착 촉진제는 다성분 수지 시스템의 총 중량 기준으로 이소시아네이트 성분(A) 및/또는 아민 성분(B)에 1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중량%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다성분 수지 시스템의 이소시아네이트 성분(A) 및 아민 성분(B)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모르타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다성분 수지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이소시아네이트 성분(A) 및 아민 성분(B)이 반응-억제 방식으로 별도로 배열되는 2개 이상의 개별 챔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또는 필름 파우치에 존재한다.
다성분 수지 시스템의 의도된 사용을 위해, 이소시아네이트 성분(A) 및 아민 성분(B)은 별도의 챔버에서 배출되고 적절한 장치, 예를 들어 정적 혼합기 또는 용해기에서 혼합된다. 이어서, 이소시아네이트 성분(A) 및 아민 성분(B)의 혼합물(모르타르 조성물)이 공지된 주입 장치에 의해 미리 세척된 시추공에 도입된다. 그런 다음 고정할 성분을 모르타르 조성물에 삽입하고 정렬한다. 반응성 구성성분 이소시아네이트 성분(A)은 다중첨가에 의해 아민 성분(B)의 아민 기와 반응하여, 모르타르 조성물이 환경 조건 하에 원하는 시간 내에, 바람직하게는 몇 분 또는 몇 시간 내에 경화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르타르 조성물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다성분 수지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건축 목적으로 사용된다. "건축용"이라는 표현은 콘크리트/콘크리트, 강철/콘크리트 또는 강철/강철 또는 상기 재료 중 하나를 다른 광물 재료와 구조적으로 접착하여 콘크리트, 벽돌 및 기타 광물 재료로 구성된 구성요소의 구조적 강화, 건축 물체의 섬유-강화 중합체를 사용한 보강 용도, 콘크리트, 강철 또는 기타 광물 재료로 구성된 표면의 화학적 고정, 특히 앵커 로드, 앵커 볼트, (나사산) 로드, (나사산) 슬리브, 철근, 나사 등과 같은 고정 수단 및 건축 요소의 (보강) 콘크리트, 벽돌, 기타 광물 재료, 금속(예를 들어, 강철), 세라믹, 플라스틱, 유리 및 목재와 같은 다양한 기질의 시추공에의 화학적 고정을 의미한다.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모르타르 조성물 및 본 발명에 따른 다성분 수지 시스템은 고정 수단의 화학적 고정에 사용된다.
본 발명은 또한 건축 요소의 화학적 고정을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모르타르 조성물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다성분 수지 시스템을 시추공에 화학적으로 고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콘크리트/콘크리트, 강철/콘크리트 또는 강철/철강 또는 상기 재료 중 하나와 다른 광물 재료의 구조적 접착, 콘크리트, 벽돌 및 기타 광물 재료로 구성된 구성요소의 구조적 강화, 건축 물체의 섬유-강화 중합체를 사용한 보강 용도, 콘크리트, 강철 또는 기타 광물 재료로 구성된 표면의 화학적 고정, 특히 앵커 로드, 앵커 볼트, (나사산) 로드, (나사산) 슬리브, 철근, 나사 등과 같은 고정 수단 및 건축 요소의 (보강) 콘크리트, 벽돌, 기타 광물 재료, 금속(예를 들어, 강철), 세라믹, 플라스틱, 유리 및 목재와 같은 다양한 기질의 시추공에의 화학적 고정에 특히 적합하다.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고정 수단의 화학적 고정에 사용된다.
본 발명은 또한 광물성 기재에서 건축 요소의 화학적 고정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르타르 조성물 또는 다성분 수지 시스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성분 수지 시스템으로부터 생성된 화학적 앵커의 온도 저항성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르타르 조성물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다성분 수지 시스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는 특히 80℃와 같은 고온에서의 인발 강도의 증가가 포함된다.
본 발명은 실시예에 기초하여 아래에 더 상세히 설명되지만, 제한적인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사용된 성분들:
4,4'-메틸렌-비스[N-(1-메틸프로필)페닐아민](ABCR로부터 입수 가능), 아스파르트산, N,N'-(메틸렌디-4,1-시클로헥산디일)비스-,1,1',4,4'-테트라에틸 에스테르(Covestro로부터 Desmophen NH 1420으로 입수 가능), (6-메틸-2,4-비스(메틸티오)페닐렌-1,3-디아민 및 2-메틸-4,6-비스(메틸티오)페닐렌-1,3-디아민(Albermale로부터 Ethacure 300 Curative로 입수 가능)의 혼합물, 4,4'-메틸렌비스(2,6-디에틸아닐린)(TCI로부터 입수 가능) 및 디에틸톨루엔디아민(Albermale로부터 Ethacure 100으로 입수 가능)을 아민 성분의 이소시아네이트기에 반응성인 아민으로 사용하였다.
헥사메틸렌-1,6-디이소시아네이트 단일중합체(Covestro로부터 Desmodur N 3600 및 N 3900으로 입수 가능), 헥사메틸렌-1,6-디이소시아네이트 뷰렛 올리고머화 생성물(Covestro로부터 Desmodur N 3200으로 입수 가능) 및 헥사메틸렌-1,6-디이소시아네이트와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단일중합체(Covestro로부터 Desmodur XP 2838로 입수 가능)의 혼합물을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이소시아네이트로서 사용하였다.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Evonik으로부터 Dynasylan AMEO로 입수 가능) 및 3-글리시딜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Evonik으로부터 Dynasylan GLYMO로 입수 가능)을 접착 촉진제로 사용하였다.
석영 분말(Quarzwerke Frechen으로부터 입수 가능한 MillisilTM W3 및 W12)과 석영 모래(Quarzwerke Frechen으로부터 입수 가능한 F32)를 충전제로 사용하고, 실리카(Cabot Rheinfelden으로부터 입수 가능한 Cab-O-SilTM TS-720)를 증점제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2개의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모르타르 조성물을 비교예로서 사용한다: RE500V3(Hilti, 비교예 1, 에폭시 수지 모르타르) 및 HY200A(Hilti, 비교예 2). EP 3 447 078 A1에 기초한 하기 표에 열거된 조성물을 비교예 3으로 사용하였다.
[표 1]
Figure pct00005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이소시아네이트 성분 및 아민 성분의 조성을 하기 표 2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pct00006
[표 3]
Figure pct00007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인발 테스트
모르타르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이소시아네이트 성분 및 아민 성분을 각각 개별적으로 먼저 제조하였다. 이를 위해, 표 1 내지 3에 나타낸 구성성분을 함께 첨가하고 서로 혼합하였다. 이러한 방식으로 생성된 액체 이소시아네이트 및 아민 성분을 각각 스피드 믹서(Hauschild로부터 입수 가능한 DAC-600)에서 1500 rpm에서 30초 동안 혼합하였다. 이어서, 이소시아네이트 성분 및 아민 성분을 서로 합하고, 스피드 믹서에서 1500 rpm에서 30초 동안 혼합하였다. 이런 방식으로 얻은 모르타르 조성물을 경질 카트리지에 채우고, 압출기를 이용하여 시추공에 주입하였다.
상기 실시예에 따라 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아민 성분을 혼합하여 수득한 모르타르 조성물의 인발 강도는 C20/25 콘크리트의 관련 모르타르 조성을 사용하여 직경 14 mm 및 72 mm의 시추공 깊이의 해머-드릴 시추공에 다웰로 고정된 고강도 앵커 나사산 로드 M12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시추공은 압축 공기(2 x 6 bar), 와이어 브러시(2 x) 및 다시 압축 공기(2 x 6 bar)로 청소하였다.
시추공은 각각의 경우에 테스트할 모르타르 조성물로 시추공 바닥에서 3분의 2까지 채워졌다. 나사산 로드를 손으로 밀어 넣었다. 경화 후, 시추공에서 돌출된 모르타르 링을 절단하였다.
기준 결합 응력을 결정하기 위해, 23℃의 온도에서 24시간의 경화 시간 후 밀착 지지로 나사산 앵커 로드를 중앙에서 당겨서 파손 하중을 결정하였다.
80℃에서의 결합 응력을 결정하기 위해, 23℃의 온도에서 24시간의 경화 시간 후 콘크리트 블록을 80℃로 가열하고 24시간 동안 그 온도를 유지하였다. 오븐에서 콘크리트 슬래브를 제거한 직후 80℃에서의 파손 하중은 밀착 지지로 나사산 앵커 로드를 중앙에서 당겨서 결정하였다.
모르타르 조성물로 얻은 결합 응력을 하기 표 4 내지 6에 나타내었다.
[표 4]
Figure pct00008
[표 5]
Figure pct00009
[표 6]
Figure pct00010

Claims (14)

  1. 적어도 하나의 이소시아네이트 성분(A) 및 적어도 하나의 아민 성분(B)을 함유하는 다성분 수지 시스템으로서,
    이소시아네이트 성분(A)은
    - 평균 NCO 작용가가 2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지방족 및/또는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고,
    아민 성분(B)은
    - 이소시아네이트기에 반응성이고 2 이상의 평균 NH 작용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아민을 포함하고,
    다성분 수지 시스템에 폴리아스파르트산 에스테르가 없고,
    이소시아네이트 성분(A) 및/또는 아민 성분(B)은 적어도 하나의 충전제 및 적어도 하나의 레올로지 첨가제를 포함하고,
    이소시아네이트 성분(A)과 아민 성분(B)을 혼합하여 제조된 모르타르 조성물의 총 충전도가 다성분 수지 시스템의 총량을 기준으로 30 내지 8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성분 수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성분(A) 및 아민 성분(B)은 적어도 하나의 충전제 및 적어도 하나의 레올로지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성분 수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성분(A)의 충전도 및 아민 성분(B)의 충전도는 각각 이소시아네이트 성분(A) 및 아민 성분(B)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7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성분 수지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성분(A) 및 아민 성분(B)은 평균 NCO 작용가 대 평균 NH 작용가의 비가 0.3 내지 2.0인 양 비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성분 수지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성분(A)은 1,4-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4- 및/또는 2,6-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화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렌 메탄-2,4'- 및/또는 -4,4'-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페닐메탄-4,4',4''-트리이소시아네이트, 비스- 및 트리스-(이소시아네이토알킬)-벤젠, 톨루엔 및 크실렌,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성분 수지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성분(A)은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DI), 트리메틸 HDI(TMDI), 펜탄 디이소시아네이트(PDI) 2-메틸펜탄-1,5-디이소시아네이트(MPDI),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 1,3- 및 1,4-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시클로헥산(H6XDI),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노르보르난(NBDI), 3(4)-이소시아네이토메틸-1-메틸-시클로헥실 이소시아네이트(IMCI) 및 4,4'-비스(이소시아네이토시클로헥실)메탄(H12MDI),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성분 수지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총 충전도는 다성분 수지 시스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5 내지 65 중량%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성분 수지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성분(A) 및/또는 아민 성분(B)은 적어도 하나의 접착 촉진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성분 수지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소시아네이트기에 대해 반응성인 아민은 4,4'-메틸렌-비스[N-(1-메틸프로필)페닐아민], 6-메틸-2,4-비스(메틸티오)페닐렌-1,3-디아민 및 2-메틸-4,6-비스(메틸티오)페닐렌-1,3-디아민(Ethacure 300)의 이성질체 혼합물, 4,4'-메틸렌비스(2,6-디에틸아닐린), 4,4'-메틸렌비스(N-sec-부틸시클로헥산아민)(Clearlink 1000), 3,3'-디아미노디페닐설폰(dapsone), N,N'-디-sec-부틸-p-페닐렌디아민 및 2,4,6-트리메틸-m-페닐렌디아민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성분 수지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성분 수지 시스템은 2-성분 수지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성분 수지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성분 수지 시스템의 이소시아네이트 성분(A) 및 아민 성분(B)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모르타르 조성물.
  12. 건축 요소를 시추공에 화학적으로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제11항에 따른 모르타르 조성물 또는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성분 수지 시스템이 화학적 고정에 사용되는, 방법.
  13. 화학적 앵커의 온도 저항성을 개선하기 위한, 제11항에 따른 모르타르 조성물 또는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성분 수지 시스템의 용도.
  14. 고온, 특히 80℃에서의 인발 강도를 개선하기 위한, 제13항에 따른 용도.
KR1020227029082A 2020-03-20 2021-03-10 이소시아네이트 아민 부가물 기반 모르타르 조성물, 다성분 수지 시스템, 건축 요소의 고정 방법 및 건축 요소의 고정을 위한 다성분 수지 시스템의 용도 Abandoned KR202201573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64633.8 2020-03-20
EP20164633.8A EP3882292A1 (de) 2020-03-20 2020-03-20 Mörtelmasse auf basis von isocyanat-amin-addukten, mehrkomponenten-harzsystem sowie verfahren und verwendung des mehrkomponenten-harzsystems zur befestigung von konstruktionselementen
PCT/EP2021/055982 WO2021185641A1 (de) 2020-03-20 2021-03-10 Mörtelmasse auf basis von isocyanat-amin-addukten, mehrkomponenten-harzsystem sowie verfahren und verwendung des mehrkomponenten-harzsystems zur befestigung von konstruktionselement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376A true KR20220157376A (ko) 2022-11-29

Family

ID=7487376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9082A Abandoned KR20220157376A (ko) 2020-03-20 2021-03-10 이소시아네이트 아민 부가물 기반 모르타르 조성물, 다성분 수지 시스템, 건축 요소의 고정 방법 및 건축 요소의 고정을 위한 다성분 수지 시스템의 용도
KR1020227029152A Abandoned KR20220157942A (ko) 2020-03-20 2021-03-18 개선된 성능을 갖는 이소시아네이트-아민-기반 화학적 앵커, 및 이의 용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9152A Abandoned KR20220157942A (ko) 2020-03-20 2021-03-18 개선된 성능을 갖는 이소시아네이트-아민-기반 화학적 앵커,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230111109A1 (ko)
EP (2) EP4121472A1 (ko)
JP (2) JP2023518072A (ko)
KR (2) KR20220157376A (ko)
AU (2) AU2021236848A1 (ko)
CA (2) CA3165973A1 (ko)
WO (1) WO20211859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991777T3 (es) * 2022-02-28 2024-12-04 Hilti Ag Sistema y método de anclaje de expansión con mortero y carga inorgánica
EP4488305A1 (de) * 2023-07-06 2025-01-08 Hilti Aktiengesellschaft Mehrkomponenten-harzsystem mit mindestens einem monoalkohol, mörtelmasse auf basis von isocyanat-amin-addukten sowie verfahren und verwendung des mehrkomponenten-harzsystems zur befestigung von konstruktionselementen
EP4488306A1 (de) * 2023-07-07 2025-01-08 Hilti Aktiengesellschaft Mehrkomponenten-harzsystem mit mindestens einem weichmacher, mörtelmasse auf basis von isocyanat-amin-addukten sowie verfahren und verwendung des mehrkomponenten-harzsystems zur befestigung von konstruktionselementen
EP4570772A1 (en) * 2023-12-15 2025-06-18 Hilti Aktiengesellschaft Multi-component resin system suitable for chemical dowels having a high filling degre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3061A (ja) * 1991-03-30 1993-10-12 Taoka Chem Co Ltd 二液型ウレタン系接着剤組成物
JP4475090B2 (ja) * 2004-10-18 2010-06-09 横浜ゴム株式会社 2液硬化型ポリウレタン樹脂組成物
DE102008018861A1 (de) * 2008-04-15 2009-12-17 Fischerwerke Gmbh & Co. Kg Verwendung definierter Kunstharze beim Befestigen von Schrauben und ähnlichen Verankerungsmitteln, entsprechende Verfahren und Kunstharze
DE102009019898A1 (de) * 2009-05-04 2010-11-11 Fischerwerke Gmbh & Co. Kg Mehrkomponenten-Kunstmörtel auf Basis silanterminierter Harze
KR101903822B1 (ko) * 2011-05-16 2018-10-02 앳슈랜드 라이센싱 앤드 인텔렉츄얼 프라퍼티 엘엘씨 상승된 고온 저장 탄성률을 갖는 2액형 폴리우레아-우레탄 접착제
DK3447078T3 (da) 2017-08-23 2020-04-06 Hilti Ag Kemisk dyvel og anvendelse dera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65986A1 (en) 2021-09-23
US20230114437A1 (en) 2023-04-13
AU2021236848A1 (en) 2022-08-25
KR20220157942A (ko) 2022-11-29
WO2021185965A1 (de) 2021-09-23
EP4121472A1 (de) 2023-01-25
JP2023518072A (ja) 2023-04-27
CA3165973A1 (en) 2021-09-23
AU2021238693A1 (en) 2022-08-25
EP4121473A1 (de) 2023-01-25
US20230111109A1 (en) 2023-04-13
JP2023518073A (ja) 2023-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57376A (ko) 이소시아네이트 아민 부가물 기반 모르타르 조성물, 다성분 수지 시스템, 건축 요소의 고정 방법 및 건축 요소의 고정을 위한 다성분 수지 시스템의 용도
WO2021185641A1 (de) Mörtelmasse auf basis von isocyanat-amin-addukten, mehrkomponenten-harzsystem sowie verfahren und verwendung des mehrkomponenten-harzsystems zur befestigung von konstruktionselementen
JP2024507273A (ja) 改善された性能を有するイソシアネートアミンベースの接着系アンカー及びその使用
KR20230156032A (ko) 개선된 저장 안정성을 갖는 이소시아네이트-아민-기반 화학적 앵커, 및 이의 용도
US20240174910A1 (en) Isocyanate-amine-based chemical anchor with improved performance, and use thereof
WO2025108733A1 (en) Functional fillers for multi-component chemical fastening systems based on isocyanate-amine adducts
EP4559945A1 (en) Superabsorbers for multi-component chemical fastening systems based on isocyanate-amine adducts
EP4375262A1 (de) Mehrkomponenten-harzsystem umfassend eine isocyanatmischung
EP4559883A1 (en) Powdered recycled materials as fillers for multi-component chemical fastening systems based on isocyanate-amine adducts
WO2025011923A1 (de) Mehrkomponenten-harzsystem mit mindestens einem weichmacher, mörtelmasse auf basis von isocyanat-amin-addukten sowie verfahren und verwendung des mehrkomponenten-harzsystems zur befestigung von konstruktionselementen
WO2025008202A1 (de) Mehrkomponenten-harzsystem mit mindestens einem monoalkohol, mörtelmasse auf basis von isocyanat-amin-addukten sowie verfahren und verwendung des mehrkomponenten-harzsystems zur befestigung von konstruktionselementen
WO2024110202A1 (de) Mehrkomponenten-harzsystem umfassend isocyanat, dmtda und detd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2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902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