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156583A - 화장 방법 - Google Patents

화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6583A
KR20220156583A KR1020227036253A KR20227036253A KR20220156583A KR 20220156583 A KR20220156583 A KR 20220156583A KR 1020227036253 A KR1020227036253 A KR 1020227036253A KR 20227036253 A KR20227036253 A KR 20227036253A KR 20220156583 A KR20220156583 A KR 20220156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mass
less
component
sk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6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유키 이이다
사치요 가와모토
료타 나카지마
유키히로 미야자키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56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6583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or phosphorus
    • A61K8/585Organosilico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0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11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olefines, e.g. polyethylene, polyisobuten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5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unsaturated aliphatic groups, e.g. vin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2Face or body powders for grooming, adorning or absor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8Two- or multipart kits
    • A61K2800/884Sequential appl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95Involves in-situ formation or cross-linking of polym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도포 직후에 폴리머 특유의 위화감이 없고, 피막의 밀착성이 높아, 피막의 외관이 매끄럽고 자연스러운 상태에서 피복할 수 있는 화장 방법을 제공한다.
(A) 성분 (A1) 및 (A2) 를 함유하는 조성물 X 를 피부에 적용하는 공정과,
(A1) 노르보르난 구조를 함유하는 폴리머 및/또는 실리콘 변성 풀루란,
(A2) 휘발성유,
(B) 성분 (B1) 을 함유하는, 조성물 X 이외의 조성물 Y 를 피부에 적용하는 공정
(B1) 분체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
을 갖는, 화장 방법.

Description

화장 방법
본 발명은, 화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화장막의 균일성이나 화장료의 지속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막 형성성 폴리머를 배합한 화장료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폴리시클로올레핀 중합체의 골격에 소정의 관능기를 도입한 막 형성성 폴리머를 함유하는 화장료가, 화장 지속성이나 감촉이 양호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17317호
그러나, 막 형성성 폴리머를 함유하는 화장료는, 도포 직후에 위화감이 있고, 피막이 깨끗하게 보이지 않는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특정한 막 형성성 폴리머와 휘발성유를 함유하는 조성물 X 를 도포하기 전 또는 후에, 분체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함유하는 조성물 Y 를 도포함으로써, 도포 직후에 폴리머 특유의 위화감이 없고, 피막의 밀착성이 높아, 피막의 외관이 매끄럽고 자연스러운 상태에서 피복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A) 성분 (A1) 및 (A2) 를 함유하는 조성물 X 를 피부에 적용하는 공정과,
(A1) 노르보르난 구조를 함유하는 폴리머 및/또는 실리콘 변성 풀루란,
(A2) 휘발성유,
(B) 성분 (B1) 을 함유하는, 조성물 X 이외의 조성물 Y 를 피부에 적용하는 공정
(B1) 분체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A) 성분 (A1) 및 (A2) 를 함유하는 조성물 X 와,
(A1) 노르보르난 구조를 함유하는 폴리머 및/또는 실리콘 변성 풀루란,
(A2) 휘발성유,
(B) 성분 (B1) 을 함유하는, 조성물 X 이외의 조성물 Y
(B1) 분체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
를 포함하는, 피부에 적용하기 위한 화장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포 직후에 폴리머 특유의 위화감이 없고, 피막의 밀착성이 높아, 피막의 외관이 매끄럽고 자연스러운 상태에서 피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피부의 주름을 펴서 눈에 띄지 않게 하거나, 피부의 리프트 업을 도모하여, 피부의 처짐을 끌어올리는 효과가 우수하다.
「피부의 주름」이란, 피부의 처짐에 의해 나타나는 형상의 변화로, 피부 표면에 나타나는 요철 및 접힌 줄을 의미한다. 피부의 주름은 입 주위, 눈 주위, 이마, 목, 몸 등에 나타나기 쉽다. 작은 접힌 줄이 소주름, 큰 접힌 줄이 대주름이고, 대주름은 법령선, 볼 등의 모공 흐름으로 발생하는 것이다.
<성분 (A1)>
본 발명에 있어서, 조성물 X 에 사용되는 성분 (A1) 은, (A11) 노르보르난 구조를 함유하는 폴리머 및/또는 (A12) 실리콘 변성 풀루란이다.
성분 (A1) 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거나 하여 적용하고, 이어서 건조시켰을 때에, 성분 (A1) 을 포함하는 막이 수축되고, 이와 함께 그 막에 밀착된 피부 표면이 수축된다. 또, 성분 (A1) 은 내굴곡성도 우수한 점에서, 성분 (A1) 을 포함하는 막은 균열을 일으키기 어렵고, 또한, 피부 형상에 추종한 상태에서 수축되기 쉽다. 그 때문에, 성분 (A1) 을 포함하는 막이 수축될 때에도, 그 막과 피부 표면의 충분한 밀착성을 얻을 수 있다.
성분 (A1) 중, (A11) 노르보르난 구조를 함유하는 폴리머에 있어서, 노르보르난 구조란,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구조를 의미한다. (A11) 의 폴리머 중의 임의의 부위에 그 식으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고 있으면 된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성분 (A11) 은 분자 중에 상기 노르보르난 구조를 갖는 폴리머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전술한 작용 기구에 의해 도막의 수축과 피부와의 밀착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성분 (A11) 은 노르보르난 구조 함유 실리콘 변성 폴리머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노르보르난 구조 함유 실리콘 변성 폴리머로는, 하기 일반식 (1) 또는 (2) 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를 갖는 폴리머를 들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ct00002
식 중, R1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이상 12 이하의 알킬기이고, X 는 하기 식 (i) 로 나타내는 기이다. a 는 1 이상 3 이하의 정수이고, b 는 0 이상 2 이하의 정수이다.
[화학식 3]
Figure pct00003
식 중,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이상 12 이하의 탄화수소기이고, c 는 1 이상 5 이하의 정수이다.
[화학식 4]
Figure pct00004
식 중, R1, R2 및 b 는 상기와 동일하고, d 는 2 이상 5 이하의 정수이다.
상기 일반식 (1) 중, R1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이상 12 이하의 알킬기이고, 피부의 주름 개선 효과 및 범용성의 관점에서,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부틸기, 또는 펜틸기가 바람직하고, 메틸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X 는 상기 식 (i) 로 나타내는 기이고, 식 (i) 중,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이상 12 이하의 탄화수소기이다. 피부의 주름 개선 효과의 관점 및 범용성의 관점에서, R2 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이상 12 이하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이상 12 이하의 아릴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이상 12 이하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이상 3 이하의 알킬기,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틸기이다. c 는 1 이상 5 이하의 정수이고, 범용성의 관점에서, c = 1 이 바람직하다. 즉 X 는, 바람직하게는 트리메틸실록시기이다.
a 는 1 이상 3 이하의 정수이고, 예를 들어 a = 2 인 반복 단위와 a = 3 인 반복 단위가 혼합하여 존재하는 중합체여도 된다. 범용성의 관점에서, a 는 3 인 것이 바람직하다. b 는 0 이상 2 이하의 정수이고, 동일한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 1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0 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 (2) 중, R1, R2 및 b 는 상기와 동일하다. d 는 2 이상 5 이하의 정수이고, 범용성의 관점에서, d = 2 가 바람직하다. 일반식 (2) 에 있어서의 고리형 실리콘 구조는, 동일한 관점에서, R1 및 R2 가 메틸기이고, d 가 2 또는 3 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일반식 (2) 에 있어서의 고리형 실리콘 구조는,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 (4) 또는 (5) 로 나타내는 구조이다.
[화학식 5]
Figure pct00005
피부의 주름 개선 효과의 관점에서, 노르보르난 구조 함유 실리콘 변성 폴리머 중의 상기 일반식 (1) 또는 (2) 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의 비율은, 그 폴리머 중의 전체 반복 단위수 중,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이다. 또, 상한은 100 % 이고, 바람직하게는 95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 이하이다. 노르보르난 구조 함유 실리콘 변성 폴리머 중의 상기 일반식 (1) 또는 (2) 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수의 구체적 범위는, 그 폴리머 중의 전체 반복 단위수 중, 바람직하게는 10 ∼ 1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95 %,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90 %,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70 % 이다.
노르보르난 구조 함유 실리콘 변성 폴리머는, 상기 일반식 (1) 또는 (2) 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에 더하여, 하기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를 가져도 된다.
[화학식 6]
Figure pct00006
식 중, R3 ∼ R6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 이상 10 이하의, 알킬기, 알케닐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및 할로겐화 탄화수소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 또는, 옥세타닐기, 알콕시카르보닐기, 폴리옥시알킬렌기, 폴리글리세릴기, 또는 알콕시실릴기이다. R3 ∼ R6 에서 선택되는 2 개의 기는, 서로 결합하여 지환 구조, 방향 고리 구조, 카르보이미드기 또는 산 무수물기를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b 는 상기와 동일하다.
노르보르난 구조 함유 실리콘 변성 폴리머 중의 상기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의 비율은, 피부의 주름 개선 효과의 관점에서 그 폴리머 중의 전체 반복 단위수 중, 바람직하게는 9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이다. 또 상기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경우, 그 비율은, 그 폴리머 중의 전체 반복 단위수 중, 바람직하게는 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이다. 노르보르난 구조 함유 실리콘 변성 폴리머 중의 상기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수의 구체적 범위는, 그 폴리머 중의 전체 반복 단위수 중, 바람직하게는 5 ∼ 9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70 %,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50 % 이다.
노르보르난 구조 함유 실리콘 변성 폴리머 중의 상기 일반식 (1) ∼ (3) 으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의 비율은, 1H-NMR 측정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노르보르난 구조 함유 실리콘 변성 폴리머로는, 실리콘 변성 폴리노르보르넨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 (6) 으로 나타내는 실리콘 변성 폴리노르보르넨이다.
[화학식 7]
Figure pct00007
식 중, e, f 는 반복 단위수이고, 각각 독립적으로 1 이상의 정수이다.
피부의 주름 개선 효과의 관점에서, 일반식 (6) 중의 e 와 f 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e/f = 20/80 ∼ 90/10 (mol/mol), 보다 바람직하게는 30/70 ∼ 80/20 (mol/mol)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50 ∼ 70/30 (mol/mol) 이다.
노르보르난 구조 함유 실리콘 변성 폴리머의 수평균 분자량 Mn 은, 수축성과 내굴곡성을 양립하는 관점 및 피부의 주름 개선 효과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 만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만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만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200 만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만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만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만 이하이다. 노르보르난 구조 함유 실리콘 변성 폴리머의 수평균 분자량 Mn 의 구체적 범위는, 바람직하게는 5 만 ∼ 200 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만 ∼ 150 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만 ∼ 80 만,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만 ∼ 60 만이다.
당해 폴리머의 수평균 분자량 Mn 은, 폴리스티렌을 표준 물질로 한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GPC) 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성분 (A11) 은, 예를 들어, 노르보르난 구조를 함유하거나 또는 노르보르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고리형 올레핀 모노머를 공지된 방법으로 부가 중합시켜 얻어진다.
예를 들어, 성분 (A11) 이 상기 일반식 (1) 또는 (2) 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를 갖는 노르보르난 구조 함유 실리콘 변성 폴리머이면, 하기 일반식 (1a) 또는 (2a) 로 나타내는 고리형 올레핀 모노머를 부가 중합시켜 얻을 수 있다. 또한, 하기 일반식 (3a) 로 나타내는 고리형 올레핀 모노머를 공중합시켜도 된다.
[화학식 8]
Figure pct00008
식 중, R1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이상 12 이하의 알킬기이고, X 는 하기 식 (i) 로 나타내는 기이다. a 는 1 이상 3 이하의 정수이고, b 는 0 이상 2 이하의 정수이다.
[화학식 9]
Figure pct00009
식 중,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이상 12 이하의 탄화수소기이고, c 는 1 이상 5 이하의 정수이다.
[화학식 10]
Figure pct00010
식 중, R1, R2 및 b 는 상기와 동일하고, d 는 2 이상 5 이하의 정수이다.
[화학식 11]
Figure pct00011
식 중, R3 ∼ R6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 이상 10 이하의, 알킬기, 알케닐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및 할로겐화 탄화수소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 또는, 옥세타닐기, 알콕시카르보닐기, 폴리옥시알킬렌기, 폴리글리세릴기, 또는 알콕시실릴기이다. R3 ∼ R6 에서 선택되는 2 개의 기는, 서로 결합하여 지환 구조, 방향 고리 구조, 카르보이미드기 또는 산 무수물기를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b 는 상기와 동일하다.
상기 일반식 (3a) 로 나타내는 고리형 올레핀 모노머를 공중합시키는 경우, 그 사용량은, 피부의 주름 개선 효과의 관점에서, 중합에 사용하는 전체 모노머를 100 몰% 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90 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몰% 이하이고, 또, 바람직하게는 5 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몰% 이상이다.
상기 식 (6) 으로 나타내는 실리콘 변성 폴리노르보르넨은, 하기 식 (6a) 로 나타내는 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실릴노르보르넨과, 노르보르넨을 부가 중합시켜 얻을 수 있다.
[화학식 12]
Figure pct00012
도막의 수축과 피부와의 밀착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실릴노르보르넨과, 노르보르넨의 공중합비는, 바람직하게는 20/80 ∼ 90/10 (mol/mol), 보다 바람직하게는 30/70 ∼ 80/20 (mol/mol)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50 ∼ 70/30 (mol/mol) 이다.
또한, 상기 일반식 (1) ∼ (3), 및 상기 식 (6) 에 있어서 나타내는 반복 단위는, 모두 원료 모노머인 고리형 올레핀 모노머의 2,3- 부가 구조 단위를 나타내는 것이지만, 그 고리형 올레핀 모노머의 부가 중합에 의한 2,7- 부가 구조 단위로 되어 있는 것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노르보르난 구조 함유 실리콘 변성 폴리머로는, (노르보르넨/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실릴노르보르넨) 코폴리머가 바람직하고, INCI 명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and Handbook, 제 16 판, 제 2 권, 2016년, p.2274) : NORBORNENE/TRIS(TRIMETHYLSILOXY)SILYLNORBORNENE COPOLYMER 로 표기되는 화합물이다.
시판되는 노르보르난 구조 함유 실리콘 변성 폴리머로는, 신에츠 화학 공업 (주) 제조「NBN-30-ID」(노르보르넨/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실릴노르보르넨) 코폴리머의 이소도데칸 용액) 등을 들 수 있다.
성분 (A1) 중, (A12) 실리콘 변성 풀루란으로는, 측사슬에 실리콘 구조를 갖는 풀루란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도막의 수축과 피부와의 밀착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풀루란 중의 OH 기의 수소 원자의 적어도 일부가 하기 일반식 (7) 로 나타내는 기로 치환된 실리콘 변성 풀루란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3]
Figure pct00013
식 중, Z1 은 단결합 또는 2 가의 유기기이다. R1, X, a 는 상기와 동일하고, 동일한 관점에서, X 는 바람직하게는 트리메틸실록시기, a 는 바람직하게는 3 이다.
일반식 (7) 에 있어서, 동일한 관점에서, Z1 은 2 가의 유기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하기 일반식 (8) 또는 (9) 로 나타내는 2 가의 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하기 일반식 (9) 로 나타내는 2 가의 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화학식 14]
Figure pct00014
식 중, R11 은 탄소수 1 이상 10 이하의 알킬렌기이고, 메틸렌기, 에틸렌기, 트리메틸렌기, 프로필렌기, 부틸렌기 등이 예시된다. 동일한 관점에서, 이들 중에서도 에틸렌기, 트리메틸렌기, 프로필렌기가 바람직하고, 트리메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시판되는 실리콘 변성 풀루란으로는, 신에츠 화학 공업사 제조「TSPL-30-ID」(트리(트리메틸실록시)실릴프로필카르밤산풀루란의 이소도데칸 용액),「TSPL-30-D5」(트리(트리메틸실록시)실릴프로필카르밤산풀루란의 시클로펜타실록산 용액) 등을 들 수 있다.
성분 (A1) 로는, 도막의 수축과 피부와의 밀착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A11) 노르보르난 구조를 함유하는 폴리머가 바람직하고, 노르보르난 구조 함유 실리콘 변성 폴리머가 보다 바람직하다.
성분 (A1) 은, 노르보르난 구조를 함유하는 폴리머, 실리콘 변성 풀루란을, 1 종 또는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고형분의 함유량은, 도막의 수축과 피부와의 밀착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조성물 X 중에 0.01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2 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4 질량% 이상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5 질량% 이상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3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28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5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20 질량% 이하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18 질량% 이하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또, 성분 (A1) 의 고형분의 함유량은, 조성물 X 중에 0.01 ∼ 30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28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고, 2 ∼ 25 질량% 가 더욱 바람직하고, 4 ∼ 20 질량% 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5 ∼ 18 질량% 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성분 (A2)>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성분 (A2) 는, 휘발성유이다. 휘발성이란, 인화점이 35 ℃ 이상 90 ℃ 미만인 것이다.
성분 (A2) 의 휘발성유로는, 휘발성 실리콘유 및 휘발성 탄화수소유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휘발성 실리콘유로는, 예를 들어, 헥사메틸디실록산, 옥타메틸트리실록산, 디메틸폴리실록산 (1 cs), 디메틸폴리실록산 (1.5 cs), 디메틸폴리실록산 (2 cs) 등의 직사슬형 디메틸폴리실록산 ; 메틸트리메티콘, 트리스(트리메틸실릴)메틸실란, 테트라키스(트리메틸실릴)실란 등의 분기형 실록산 ;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등의 고리형 디메틸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휘발성 탄화수소유로는, 예를 들어, n-데칸, n-운데칸, n-도데칸 등의 파라핀계 탄화수소유 ; 이소데칸, 이소도데칸,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 등의 이소파라핀계 탄화수소유 ; 시클로데칸, 시클로도데칸 등의 고리형 파라핀 탄화수소유를 들 수 있다. 이들 중, 탄소수 8 ∼ 16 의 탄화수소유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10 ∼ 16 의 탄화수소유가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 12 의 탄화수소유가 더욱 바람직하다.
성분 (A2) 의 휘발성유로는, 이소도데칸, 헥사메틸디실록산, 메틸트리메티콘, 및, 25 ℃ 에 있어서의 동점도가 2 cSt 이하인 디메틸폴리실록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바람직하고, 이소도데칸, 헥사메틸디실록산, 메틸트리메티콘 및 옥타메틸디메틸폴리실록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당해 동점도는, 예를 들어 우베로데 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도막의 수축과 피부와의 밀착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성분 (A2) 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소도데칸, 헥사메틸디실록산, 및, 25 ℃ 에 있어서의 동점도가 1.5 cSt 이하인 디메틸폴리실록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헥사메틸디실록산, 및, 25 ℃ 에 있어서의 동점도가 1 cSt 이하인 디메틸폴리실록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고,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헥사메틸디실록산이다.
헥사메틸디실록산, 및, 25 ℃ 에 있어서의 동점도가 2 cSt 이하인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시판품으로는, 신에츠 화학 공업사 제조의「KF-96L-0.65cs」(헥사메틸디실록산),「TMF1.5」,「KF-96L-1cs」(옥타메틸트리실록산),「KF-96L-1.5cs」,「KF-96L-2cs」, 도레이·다우코닝사 제조의「SH200C Fluid 1cs」,「SH200C Fluid 1.5cs」, 모멘티브·퍼포먼스·머티리얼즈·재팬 합동 회사 제조의「TSF451-0.65」, 아사히 화성 바커 실리콘사 제조의「BELSIL DM0.65」등을 들 수 있다.
성분 (A2) 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함유량은, 도막의 수축과 피부와의 밀착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조성물 X 중에 1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70 질량% 이상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98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97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94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93 질량% 이하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또, 성분 (A2) 의 함유량은, 조성물 X 중에 1 ∼ 98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 97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고, 50 ∼ 94 질량% 가 더욱 바람직하고, 70 ∼ 93 질량% 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조성물 X 에 있어서, 성분 (A2) 에 대한 성분 (A1) 의 질량 비율 (A1)/(A2) 는, 도막의 수축과 피부와의 밀착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0.00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2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04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0.05 이상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1 이하가 바람직하고, 0.7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4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0.2 이하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또, 성분 (A2) 에 대한 성분 (A1) 의 질량 비율 (A1)/(A2) 는, 0.002 ∼ 1 이 바람직하고, 0.02 ∼ 0.7 이 보다 바람직하고, 0.04 ∼ 0.4 가 더욱 바람직하다. 0.05 ∼ 0.2 가 더욱 바람직하다.
<성분 (A3)>
본 발명에 있어서, 조성물 X 는, 추가로, (A3) 분체를 함유할 수 있고, 도막의 수축과 피부와의 밀착성을 높이고, 조성물 Y 와 병용함으로써 위화감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분체로는, 유기 분체, 무기 분체 등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유기 분체로는,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수지, 나일론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사불화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벤조구아나민 수지, 폴리메틸벤조구아나민 수지, 폴리메타크릴산메틸, 폴리우레탄 수지, 비닐 수지, 불소 수지, 아크릴 수지, 멜라민 수지 ; 디메틸실리콘을 가교한 실리콘 엘라스토머나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등의 실리콘 수지 ; 아크릴산부틸·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디비닐벤젠·스티렌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라우릴/디메타크릴산에틸렌글리콜) 코폴리머 등의, 폴리(메트)아크릴산, 폴리(메트)아크릴산나트륨, 폴리(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폴리(메트)아크릴산알킬렌글리콜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파우더 등의 가교형 혹은 비가교형의 유기 분체를 들 수 있다.
무기 분체로는, 예를 들어, 탤크, 카올린, 마이카, 세리사이트, 금운모,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규산칼슘, 규산알루미늄, 규산마그네슘, 규산바륨, 규산스트론튬, 에폭시 처리 알루미늄, 알루미늄 분말, 인산칼슘, 무수 규산, 무수 규산알루미늄, 파이로페라이트질 클레이, 벤토나이트, 스멕타이트, 몬모릴로나이트, 버미큘라이트, 헥토라이트, 제올라이트, 하이디라이트, 실리카,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산화철 (벵갈라, 황산화철, 흑산화철, γ-산화철), 황토, 흑산화티탄, 저차 산화티탄, 티탄산철, 산화아연, 수산화알루미늄, 산화알루미늄, 산화알루미늄코발트, 산화크롬, 산화지르코늄, 산화티탄, 산화티탄졸, 산화철·이산화티탄 소결물, 산화세륨, 산화마그네슘, 수산화크롬, 티탄·이산화티탄 소결물, 티탄산코발트, 망간 바이올렛, 코발트 바이올렛, 탄산칼슘, 탄산바륨, 탄산마그네슘, 텅스텐산 금속염, 황산바륨, 소성 황산칼슘 (소석고), 옥시염화비스무트, 칼라민, 로진산나트륨 처리 산화마그네슘, 불소아파타이트,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세라믹 파우더, 금속 비누 (미리스트산아연, 팔미트산칼슘, 스테아르산알루미늄 등) 등을 들 수 있고, 또 이들의 2 종 이상의 복합화 분체를 들 수 있다. 또한, 아크릴 수지 피복 알루미늄 분말, 산화티탄 피복 나일론 분말 등의 유기-무기 복합화 분체 등을 들 수 있다.
또, 천연 섬유의 분체로서, 실크 파우더, 울 파우더, 셀룰로오스 파우더 등을 들 수 있다.
진주 광택 안료로서, 운모 티탄, 산화철 피복 운모 티탄, 산화티탄 피복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티탄 피복 탤크, 산화티탄 피복 유리 플레이크, 어린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분체는, 그대로 사용되는 것 외에, 소수화 처리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소수화 처리로는, 통상적인 화장료용 분체에 실시되고 있는 처리이면 제한되지 않고, 실리콘 처리, 알콕시실란 처리, 지방산 처리, 라우로일리신 처리, 레시틴 처리, N-아실아미노산 처리, 금속 비누 처리, 불소 화합물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실리콘 처리가 바람직하다. 이들 처리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성분 (A3) 은,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함유량은, 도막의 수축과 피부와의 밀착성을 높이고, 조성물 Y 와 병용함으로써 위화감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조성물 X 중에 0.1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2 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3 질량% 이상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4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2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5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하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또, 성분 (A3) 의 함유량은, 조성물 X 중에 0.1 ∼ 40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20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고, 2 ∼ 15 질량% 가 더욱 바람직하고, 3 ∼ 10 질량% 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성분 (A4)>
본 발명에 있어서, 조성물 X 는, 추가로, (A4) 계면 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고, 아니온 계면 활성제, 카티온 계면 활성제, 비이온 계면 활성제, 양쪽성 계면 활성제가 바람직하다.
성분 (A4) 의 계면 활성제로는, 통상적인 피부 외용제에 사용되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지만, 휘발성유에 용해되고, 끈적거림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비이온 계면 활성제가 바람직하다.
비이온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피토스탄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피토스테로오스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콜레스탄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콜레스테릴에테르, 알킬글리세릴에테르 변성 실리콘,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실리콘, 폴리옥시알킬렌·알킬 공변성 실리콘, 폴리옥시알킬렌·플루오로알킬 공변성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물 그리고 수용성 성분의 유중에 대한 분산·용해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실리콘 계면 활성제가 바람직하고, 알킬글리세릴에테르 변성 실리콘,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실리콘을 1 종 또는 2 종 이상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실리콘을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실리콘으로는, 예를 들어, 도레이·다우코닝사 제조의 SH3771M, SH3772M, SH3773M, SH3775M, SH3749, DC5200 이나, 신에츠 화학 공업사 제조의 KF-6011, KF-6012, KF-6013, KF-6015, KF-6016, KF6017, KF-6004 등의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비이온 계면 활성제는, 물 그리고 수용성 성분의 유중에 대한 분산·용해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HLB 값이 1 이상, 7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HLB 값이 2 이상, 6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HLB (친수성-친유성의 밸런스〈Hydrophilic-Lypophilic Balance〉) 는, 계면 활성제의 전체 분자량에서 차지하는 친수기 부분의 분자량을 나타내는 것이고, 비이온 계면 활성제에 대해서는, 그리핀 (Griffin) 의 식에 의해 구해지는 것이다.
2 종 이상의 비이온 계면 활성제로 구성되는 혼합 계면 활성제의 HLB 는, 다음과 같이 하여 구해진다. 혼합 계면 활성제의 HLB 는, 각 비이온 계면 활성제의 HLB 값을 그 배합 비율에 기초하여 상가산 (相加算) 평균한 것이다.
혼합 HLB = Σ(HLBx × Wx)/ΣWx
HLBx 는, 비이온 계면 활성제 X 의 HLB 값을 나타낸다.
Wx 는, HLBx 의 값을 갖는 비이온 계면 활성제 X 의 중량 (g)
비이온 계면 활성제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함유량은, 휘발성유에 용해되고, 끈적거림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조성물 X 중에 3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3 질량% 이하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1 질량% 이하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기타 성분>
조성물 X 에 있어서, 물의 함유량은, 조성물 X 중에 5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5 질량% 이하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1 질량% 이하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조성물 X 는, 상기의 성분 외에,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각종 성분을 임의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상기 이외의 유성 성분, 수용성 고분자,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비타민제, 방부제, pH 조정제, 향료, 식물 엑기스류, 보습제, 착색제, 냉감제, 제한제, 살균제, 피부 부활제 등을 들 수 있다.
조성물 X 는, 상기 성분 (A1) 및 (A2), 필요에 따라 기타 성분을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고, 수성 조성물, 유성 조성물, 유화 조성물 등 중 어느 형태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제제로는, 액상, 유액상, 페이스트상, 크림상, 젤상, 고형상, 시트상 등으로 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 화장품, 의약 부외품, 의약품 용도로서 사용되는 것이면 어느 것이어도 되고, 로션, 유액, 크림, 미용액, 분산액, 젤, 연고, 팩, 무스, 에어졸, 파프제, 세정료 등의 스킨 케어 화장료 등으로 할 수 있다.
<성분 (B1)>
본 발명에 있어서, 조성물 Y 에 사용되는 성분 (B1) 은, 분체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다.
성분 (B1) 의 분체로는, 통상적인 화장료에 사용되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고, (B11) 착색 안료나, 체질 안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B11) 착색 안료로는, 예를 들어, 산화티탄, 산화세륨, 산화알루미늄, 황산화철, 흑산화철, 벵갈라, 감청,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등의 금속 산화물, 망간 바이올렛, 티탄산코발트 등의 금속 착물, 나아가 카본 블랙 등의 무기 안료 ; 적색 3호, 적색 104호, 적색 106호,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04호, 적색 205호, 적색 220호, 적색 226호, 적색 227호, 적색 228호, 적색 230호, 적색 401호, 적색 405호, 적색 505호, 등색 203호, 등색 204호, 등색 205호, 황색 4호, 황색 5호, 황색 401호, 청색 1호, 청색 404호 등의 합성 유기 안료 ; β-카로틴, 캐러멜, 파프리카 색소 등의 천연 유기 색소 등을 들 수 있다.
분체의 평균 입자경은, 0.01 ∼ 5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조성물 X 도포 직후의 폴리머 특유의 위화감을 억제하고, 피막의 밀착성을 높여, 피막의 외관이 매끄럽고 자연스러운 상태에서 피복할 수 있는 관점에서, 산화티탄, 황산화철, 흑산화철, 벵갈라를 1 종 또는 2 종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적어도 산화티탄을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체질 안료로는, 예를 들어, 규산, 무수 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금운모, 카올린, 클레이, 벤토나이트,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아연, 산화마그네슘, 산화알루미늄, 산화세륨,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질화붕소, 알루미나 분말 등의 무기 분체 및 이들의 복합 분체를 들 수 있다.
폴리아미드 수지, 나일론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사불화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벤조구아나민 수지, 폴리메틸벤조구아나민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비닐 수지, 불소 수지, 아크릴 수지, 멜라민 수지 ; 아크릴산부틸·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실리콘 수지, 디비닐벤젠·스티렌 공중합체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파우더 등의 가교형 혹은 비가교형의 유기 분체 및 이들의 복합 분체를 들 수 있다.
이들 분체는, 그대로 사용되는 것 외에, 소수화 처리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소수화 처리로는, 통상적인 화장료용 분체에 실시되고 있는 처리이면 제한되지 않고, 실리콘 처리,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처리, 알콕시실란 처리, 지방산 처리, 라우로일리신 처리, 레시틴 처리, N-아실아미노산 처리, 금속 비누 처리, 불소 화합물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실리콘 처리,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처리, 알콕시실란 처리가 바람직하다. 이들 처리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성분 (B1) 은,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함유량은, 조성물 X 도포 직후의 폴리머 특유의 위화감을 억제하고, 피막의 밀착성을 높여, 피막의 외관이 매끄럽고 자연스러운 상태에서 피복할 수 있는 관점에서, 조성물 Y 중에 0.1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99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96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94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성분 (B1) 의 함유량은, 조성물 Y 중에 0.1 ∼ 99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2 ∼ 96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고, 10 ∼ 94 질량% 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성분 (B1) 은, (B11) 착색 안료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착색 안료의 함유량은, 조성물 X 도포 직후의 폴리머 특유의 위화감을 억제하고, 피막의 밀착성을 높여, 피막의 외관이 매끄럽고 자연스러운 상태에서 피복할 수 있는 관점에서, 조성물 Y 중에 0.1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2 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4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3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5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착색 안료의 함유량은, 조성물 Y 중에 0.1 ∼ 40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30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고, 2 ∼ 25 질량% 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조성물 Y 에 있어서, 성분 (B1) 에 대한 성분 (B11) 의 질량 비율 (B11)/(B1) 은, 조성물 X 도포 직후의 폴리머 특유의 위화감을 억제하고, 피막의 밀착성을 높여, 피막의 외관이 매끄럽고 자연스러운 상태에서 피복할 수 있는 관점에서, 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1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2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0.6 이하가 바람직하고, 0.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4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성분 (B1) 에 대한 성분 (B11) 의 질량 비율 (B11)/(B1) 은, 0.1 ∼ 0.6 이 바람직하고, 0.15 ∼ 0.5 가 보다 바람직하고, 0.2 ∼ 0.45 가 더욱 바람직하다.
<기타 성분>
조성물 Y 는, 성분 (B1) 이외에,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각종 성분을 임의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유성 성분, 계면 활성제, 수용성 고분자,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비타민제, 방부제, pH 조정제, 향료, 식물 엑기스류, 보습제, 착색제, 냉감제, 제한제, 살균제, 피부 부활제, 물 등을 들 수 있다.
조성물 Y 는, 조성물 X 이외의 것이다.
조성물 Y 는, 성분 (B1) 과, 기타 성분을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고, 수성 조성물, 유성 조성물, 유화 조성물 등 중 어느 형태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제제로는, 액상, 유액상, 페이스트상, 크림상, 젤상, 고형상, 시트상 등으로 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 화장품, 의약 부외품, 의약품 용도로서 사용되는 것이면 어느 것이어도 되고, 로션, 유액, 크림, 미용액, 분산액, 젤, 연고, 팩, 분무 타입, 무스, 에어졸, 파프제, 세정료 등의 스킨 케어 화장료 ; 자외선 차단 유액, 자외선 차단 크림 등의 자외선 방어 화장료 ;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컨실러, 블러셔, 아이섀도,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아이브로, 오버 코트제, 립스틱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 등으로 하여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 방법은, 조성물 X 를 피부에 적용하는 공정 (A) 와, 조성물 Y 를 피부에 적용하는 공정 (B) 를 포함하는 것이다. 조성물 X 와 조성물 Y 의 적용 순서는, 제한되지 않고, 어느 공정에 있어서, 조성물 X 를 피부에 적용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조성물 X 를 적용한 후에 조성물 Y 를 적용하거나, 조성물 Y 를 적용한 후에 조성물 X 를 적용하거나, 또한, 조성물 X 및/또는 조성물 Y 를, 어느 공정 전후에 복수회 적용해도 된다.
적용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거나, 액상인 경우에는 분무하거나 하는 것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조성물 X 및 조성물 Y 는, 이들 조성물 X 및 조성물 Y 를 포함하고, 피부에 적용하기 위한 화장용 키트로 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관하여, 본 발명은, 추가로 이하의 방법 등을 개시한다.
<1> (A) 성분 (A1) 및 (A2) 를 함유하는 조성물 X 를 피부에 적용하는 공정과,
(A1) 노르보르난 구조를 함유하는 폴리머 및/또는 실리콘 변성 풀루란,
(A2) 휘발성유,
(B) 성분 (B1) 을 함유하는, 조성물 X 이외의 조성물 Y 를 피부에 적용하는 공정
(B1) 분체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방법.
<2> 성분 (A1) 이, 바람직하게는 (A11) 노르보르난 구조를 함유하는 폴리머이고, 노르보르난 구조 함유 실리콘 변성 폴리머가 보다 바람직하고, 하기 일반식 (1) 또는 (2) 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를 갖는 폴리머가 더욱 바람직한, 상기 <1> 에 기재된 화장 방법.
[화학식 15]
Figure pct00015
식 중, R1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이상 12 이하의 알킬기이고, X 는 하기 식 (i) 로 나타내는 기이다. a 는 1 이상 3 이하의 정수이고, b 는 0 이상 2 이하의 정수이다.
[화학식 16]
Figure pct00016
식 중,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이상 12 이하의 탄화수소기이고, c 는 1 이상 5 이하의 정수이다.
[화학식 17]
Figure pct00017
식 중, R1, R2 및 b 는 상기와 동일하고, d 는 2 이상 5 이하의 정수이다.
<3> 성분 (A1) 이,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 (6) 으로 나타내는 실리콘 변성 폴리노르보르넨이고, (노르보르넨/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실릴노르보르넨) 코폴리머가 보다 바람직한, 상기 <1> 또는 <2> 에 기재된 화장 방법.
[화학식 18]
Figure pct00018
식 중, e, f 는 반복 단위수이고, 각각 독립적으로 1 이상의 정수이다.
<4> 성분 (A) 에 있어서, 식 (6) 중, e 와 f 의 비율이, 바람직하게는 e/f = 20/80 ∼ 90/10 (mol/mol) 이고, 30/70 ∼ 80/20 (mol/mol) 이 보다 바람직하고, 50/50 ∼ 70/30 (mol/mol) 이 더욱 바람직한, 상기 <3> 에 기재된 화장 방법.
<5> 성분 (A1) 이, 바람직하게는 (A12) 실리콘 변성 풀루란이고, 측사슬에 실리콘 구조를 갖는 풀루란이 보다 바람직하고, 풀루란 중의 OH 기의 수소 원자의 적어도 일부가 하기 일반식 (7) 로 나타내는 기로 치환된 실리콘 변성 풀루란이 더욱 바람직하고, 트리(트리메틸실록시)실릴프로필카르밤산풀루란이 보다 더욱 바람직한, 상기 <1> 에 기재된 화장 방법.
[화학식 19]
Figure pct00019
식 중, Z1 은 단결합 또는 2 가의 유기기이다. R1, X, a 는 상기와 동일하고, 동일한 관점에서, X 는 바람직하게는 트리메틸실록시기, a 는 바람직하게는 3 이다.
<6> 성분 (A1) 의 고형분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X 중에 0.01 질량% 이상이고, 1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2 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4 질량% 이상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5 질량% 이상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3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28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5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20 질량% 이하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18 질량% 이하가 보다 더욱 바람직한, 상기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장 방법.
<7> 성분 (A2) 가, 바람직하게는 휘발성 실리콘유 및 휘발성 탄화수소유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고, 이소도데칸, 헥사메틸디실록산, 메틸트리메티콘, 및, 25 ℃ 에 있어서의 동점도가 2 cSt 이하인 디메틸폴리실록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이소도데칸, 헥사메틸디실록산, 메틸트리메티콘 및 옥타메틸디메틸폴리실록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 더욱 바람직한, 상기 <1>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장 방법.
<8> 성분 (A2) 가, 바람직하게는 휘발성 실리콘유 및 휘발성 탄화수소유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고, 이소도데칸, 헥사메틸디실록산, 및, 25 ℃ 에 있어서의 동점도가 1.5 cSt 이하인 디메틸폴리실록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헥사메틸디실록산, 및, 25 ℃ 에 있어서의 동점도가 1 cSt 이하인 디메틸폴리실록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헥사메틸디실록산이 보다 더욱 바람직한, 상기 <1>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장 방법.
<9> 성분 (A2) 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X 중에 1 질량% 이상이고, 30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70 질량% 이상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98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97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94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93 질량% 이하가 보다 더욱 바람직한, 상기 <1> ∼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장 방법.
<10> 조성물 X 에 있어서, 성분 (A2) 에 대한 성분 (A1) 의 질량 비율 (A1)/(A2) 가, 바람직하게는 0.002 이상이고, 0.02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04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0.05 이상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1 이하가 바람직하고, 0.7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4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0.2 이하가 보다 더욱 바람직한, 상기 <1> ∼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장 방법.
<11> (A) 성분 (A1) 및 (A2) 를 함유하는 조성물 X 를 피부에 적용하는 공정과,
(A1) 노르보르난 구조 함유 실리콘 변성 폴리머 0.01 ∼ 30 질량%,
(A2) 휘발성 실리콘유 및 휘발성 탄화수소유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휘발성유 1 ∼ 98 질량%,
(B) 성분 (B1) 을 함유하는, 조성물 X 이외의 조성물 Y 를 피부에 적용하는 공정
(B1) 분체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 0.1 ∼ 99 질량%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방법.
<12> 성분 (B1) 은, (B11) 착색 안료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산화티탄, 황산화철, 흑산화철, 벵갈라를 1 종 또는 2 종 이상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적어도 산화티탄을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상기 <1> ∼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장 방법.
<13> 성분 (B1) 은, (B11) 착색 안료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B11) 착색 안료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Y 중에 0.1 질량% 이상이고, 1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2 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4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3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5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한, 상기 <1> ∼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장 방법.
<14> 성분 (B1) 이, 바람직하게는 소수화 처리한 것이고, 실리콘 처리,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처리, 알콕시실란 처리가 보다 바람직한, 상기 <1> ∼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장 방법.
<15> 성분 (B1) 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Y 중에 0.1 질량% 이상이고, 2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99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96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94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한, 상기 <1> ∼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장 방법.
<16> 조성물 Y 에 있어서, 성분 (B1) 에 대한 성분 (B11) 의 질량 비율 (B11)/(B1) 은, 바람직하게는 0.1 이상이고, 0.1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2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0.6 이하가 바람직하고, 0.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4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한, 상기 <1> ∼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장 방법.
<17> 조성물 X 는, 추가로, (A3) 분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무기 분체가 보다 바람직한, 상기 <1> ∼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장 방법.
<18> 성분 (A3) 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X 중에 0.1 질량% 이상이고, 1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2 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3 질량% 이상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4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2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5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하가 보다 더욱 바람직한, 상기 <17> 에 기재된 화장 방법.
<19> 조성물 X 는, 추가로, (A4) 계면 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고, 비이온 계면 활성제가 바람직하고, HLB 1 ∼ 7 의 비이온 계면 활성제가 보다 바람직한, 상기 <1> ∼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장 방법.
<20> 비이온 계면 활성제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X 중에 30 질량% 이하이고, 1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3 질량% 이하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1 질량% 이하가 보다 더욱 바람직한, 상기 <19> 에 기재된 화장 방법.
<21> 조성물 X 에 있어서, 물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X 중에 50 질량% 이하이고, 3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5 질량% 이하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1 질량% 이하가 보다 더욱 바람직한, 상기 <1> ∼ <2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장 방법.
<22> 조성물 X 를 적용한 후에 조성물 Y 를 적용하는, 상기 <1> ∼ <2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장 방법.
<23> 조성물 Y 를 적용한 후에 조성물 X 를 적용하는, 상기 <1> ∼ <2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장 방법.
<24> (A) 성분 (A1) 및 (A2) 를 함유하는 조성물 X 와,
(A1) 노르보르난 구조를 함유하는 폴리머 및/또는 실리콘 변성 풀루란,
(A2) 휘발성유,
(B) 성분 (B1) 을 함유하는, 조성물 X 이외의 조성물 Y
(B1) 분체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
를 포함하는, 피부에 적용하기 위한 화장용 키트.
<25> (A) 성분 (A1) 및 (A2) 를 함유하는 조성물 X 와,
(A1) 노르보르난 구조 함유 실리콘 변성 폴리머 0.01 ∼ 30 질량%,
(A2) 휘발성 실리콘유 및 휘발성 탄화수소유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휘발성유 1 ∼ 98 질량%,
(B) 성분 (B1) 을 함유하는, 조성물 X 이외의 조성물 Y
(B1) 분체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 0.1 ∼ 99 질량%
를 포함하는, 피부에 적용하기 위한 화장용 키트.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실시예의 범위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종 측정 및 평가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실시하였다.
(피막의 밀착성)
전문 패널리스트 5 명에 의해, 각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한 후, 도막과 피부의 밀착성을 이하의 기준으로 관능 평가하였다. 결과는, 5 명의 합계점으로 나타내었다.
5 ; 피부와 도막이 밀착되고, 엉키지 않는다.
4 ; 피부와 도막이 밀착되고, 그다지 엉키지 않는다.
3 ; 피부와 도막이 밀착되고, 약간 엉킨다.
2 ; 피부로부터 도막이 들뜨고, 엉킨다.
1 ; 피부로부터 도막이 들뜨고, 현저하게 엉킨다.
(도포 직후의 위화감 (마찰) 이 없음)
전문 패널리스트 5 명에 의해, 각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한 후, 피부의 위화감을 이하의 기준으로 관능 평가하였다. 결과는, 5 명의 합계점으로 나타내었다.
5 ; 피부의 위화감 (마찰) 을 전혀 느끼지 않는다.
4 ; 피부의 위화감을 느끼지 않는다.
3 ; 피부의 위화감을 그다지 느끼지 않는다.
2 ; 피부의 위화감을 약간 느낀다.
1 ; 피부의 위화감을 느낀다.
(피막의 외관 (매끄러움))
전문 패널리스트 5 명에 의해, 각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한 후, 마무리를 이하의 기준으로 관능 평가하였다. 결과는, 5 명의 합계점으로 나타내었다.
5 ; 상당히 매끄럽게 보인다.
4 ; 매끄럽게 보인다.
3 ; 약간 매끄럽게 보인다.
2 ; 그다지 매끄럽게 보이지 않는다.
1 ; 매끄럽게 보이지 않는다.
(피막의 상태 (자연))
전문 패널리스트 5 명에 의해, 각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한 후, 자연스러운 도막의 마무리를 이하의 기준으로 관능 평가하였다. 결과는, 5 명의 합계점으로 나타내었다.
5 ; 상당히 자연스럽게 보인다.
4 ; 자연스럽게 보인다.
3 ; 약간 자연스럽게 보인다.
2 ; 그다지 자연스럽게 보이지 않는다.
1 ; 자연스럽게 보이지 않는다.
실시예 1 ∼ 7, 비교예 1 ∼ 3
표 1 에 나타내는 조성의 조성물 X, 표 2 ∼ 4 에 나타내는 조성의 메이크업 화장료 Y 를 제조하여, 표 5 에 나타내는 공정에 의해, 각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하였다.
그 때, 피막의 밀착성, 도포 직후의 위화감 (마찰) 이 없음, 피막의 외관 (매끄러움) 및 피막의 상태 (자연) 를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제조 방법)
(1) 조성물 X :
성분 (A1), (A2) 를 혼합한 유상 성분, 기타 성분을 디스퍼로 분산 후, 호모믹서로 교반함으로써, 조성물 X 를 얻었다.
(2) 조성물 Y ;
(2-1) 메이크업 화장료 Y1 (파우더 파운데이션) 고형 분말 화장료 ;
성분 (B1) 을 포함하는 모든 분체 성분을 혼합·분쇄한 후, 기타 유제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얻어진 혼합물을 추가로 분쇄기로 분쇄하였다. 분쇄물을, 용기에 충전하여, 성형압 1000 ∼ 2500 kgf 로 성형함으로써, 고형 분말 화장료를 얻었다.
(2-2) 메이크업 화장료 Y2 (메이크업 베이스)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 ;
성분 (B1) 을 포함하는 모든 분체 성분을 혼합 분쇄하여, 별도 혼합한 기타 유상 성분에 첨가하고 디스퍼로 분산시켰다. 그 후, 수상 성분을 첨가하고, 디스퍼로 분산 후, 호모믹서로 교반함으로써,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를 얻었다.
(2-3) 메이크업 화장료 Y3 (리퀴드 파운데이션)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 ;
성분 (B1) 을 포함하는 모든 분체 성분을 혼합 분쇄하여, 별도 혼합한 기타 유상 성분에 첨가하고 디스퍼로 분산시켰다. 그 후, 수상 성분을 첨가하고, 디스퍼로 분산 후, 호모믹서로 교반함으로써,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를 얻었다.
(적용 방법)
실시예 1 ∼ 4, 실시예 6, 7, 비교예 3 은, 피험자의 얼굴의 반면의 입가로부터 볼 전체에, 각 예의 조성물 X 를 손가락으로 적량 도포한 후, 조성물 Y 를 스펀지상 퍼프로 적량 도포하였다.
실시예 5, 비교예 2 는, 피험자의 얼굴의 반면의 입가로부터 볼 전체에, 각 예의 조성물 Y 를 스펀지상 퍼프로 적량 도포한 후, 조성물 X 를 손가락으로 적량 도포하였다.
비교예 1 은, 피험자의 얼굴의 반면의 입가로부터 볼 전체에, 조성물 X 를 손가락으로 적량 도포하였다.
Figure pct00020
표 1 중, *1 ∼ *3 은 하기와 같다.
*1 : 신에츠 화학 공업사 제조「NBN-30-ID」(하기 식 (6) 에 있어서 e/f = 60/40 (mol/mol), Mn = 36 만인 노르보르넨/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실릴노르보르넨) 코폴리머의 이소도데칸 용액, 유효분 농도 : 30 질량%)
[화학식 20]
Figure pct00021
*2 : 신에츠 화학 공업사 제조「TSPL-30-ID」(트리(트리메틸실록시)실릴프로필카르밤산풀루란의 이소도데칸 용액, 유효분 농도 : 30 질량%) 를 50 ℃ 에서 12 시간 감압 건조시켜, 얻어진 고형분을 사용하였다.
*3 : 신에츠 화학 공업사 제조「KP-550」(아크릴 폴리머와 디메틸폴리실록산으로 이루어지는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이소도데칸 용액, 유효분 농도 : 40 질량%) 을 50 ℃ 에서 12 시간 감압 건조시켜, 얻어진 고형분을 사용하였다.
Figure pct00022
Figure pct00023
Figure pct00024
Figure pct00025

Claims (8)

  1. (A) 성분 (A1) 및 (A2) 를 함유하는 조성물 X 를 피부에 적용하는 공정과,
    (A1) 노르보르난 구조를 함유하는 폴리머 및/또는 실리콘 변성 풀루란,
    (A2) 휘발성유,
    (B) 성분 (B1) 을 함유하는, 조성물 X 이외의 조성물 Y 를 피부에 적용하는 공정
    (B1) 분체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 (A1) 이, 노르보르난 구조 함유 실리콘 변성 폴리머인 화장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성분 (A1) 이, 하기 식 (6) 으로 나타내는 실리콘 변성 폴리노르보르넨인 피부 외용제 조성물.
    Figure pct00026

    식 중, e, f 는 반복 단위수이고, 각각 독립적으로 1 이상의 정수이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 X 중, 성분 (A1) 의 함유량이, 0.01 ∼ 30 질량% 인 화장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 X 에 있어서, 성분 (A2) 가, 휘발성 실리콘유 및 휘발성 탄화수소유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인 화장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 X 중, 성분 (A2) 의 함유량이, 1 ∼ 98 질량% 인 화장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 Y 중, 성분 (B1) 의 함유량이, 0.1 ∼ 99 질량% 인 화장 방법.
  8. (A) 성분 (A1) 및 (A2) 를 함유하는 조성물 X 와,
    (A1) 노르보르난 구조를 함유하는 폴리머 및/또는 실리콘 변성 풀루란,
    (A2) 휘발성유,
    (B) 성분 (B1) 을 함유하는, 조성물 X 이외의 조성물 Y
    (B1) 분체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
    를 포함하는, 피부에 적용하기 위한 화장용 키트.
KR1020227036253A 2020-04-01 2021-03-22 화장 방법 Ceased KR202201565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66246 2020-04-01
JP2020066246 2020-04-01
PCT/JP2021/011782 WO2021200352A1 (ja) 2020-04-01 2021-03-22 化粧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6583A true KR20220156583A (ko) 2022-11-25

Family

ID=77927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6253A Ceased KR20220156583A (ko) 2020-04-01 2021-03-22 화장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143138A1 (ko)
EP (1) EP4129410A4 (ko)
JP (1) JP2021165264A (ko)
KR (1) KR20220156583A (ko)
CN (1) CN115427010A (ko)
TW (1) TW202203896A (ko)
WO (1) WO20212003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64727A1 (en) * 2019-12-27 2023-03-02 Kao Corporation Composition for skin external application
JP2024017708A (ja) * 2022-07-28 2024-02-08 堺化学工業株式会社 球状炭酸カルシウム粒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17317A (ja) 2010-06-08 2012-01-26 Shin-Etsu Chemical Co Ltd 皮膜形成性重合体を含む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5536A (ja) * 1996-08-06 1998-02-17 Kanebo Ltd 化粧下地料および化粧方法
JP3742984B2 (ja) * 2000-03-28 2006-02-08 株式会社資生堂 油中水型乳化組成物
JP2002322043A (ja) * 2001-04-25 2002-11-08 Pola Chem Ind Inc ポリノルボルネンを含有するパック料
JP2011527304A (ja) * 2008-07-10 2011-10-27 ユニリーバー・ナームローゼ・ベンノートシヤープ 皮膚の美白方法
JP2010174099A (ja) * 2009-01-28 2010-08-12 Shin-Etsu Chemical Co Ltd 環状オレフィン付加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026263A (ja) * 2009-07-28 2011-02-10 Shin-Etsu Chemical Co Ltd シリコーン変性ワックス含有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含む化粧料
WO2011049247A1 (ja) * 2009-10-23 2011-04-28 東レ・ダウコーニング株式会社 油性原料の増粘剤またはゲル化剤
CN102834089B (zh) * 2010-02-05 2015-01-07 株式会社资生堂 彩妆化妆品及包含该彩妆化妆品和外涂剂的彩妆套装
JP5624455B2 (ja) * 2010-12-24 2014-11-12 東レ・ダウコーニング株式会社 ポリシロキサン−n,n−ジヒドロカルビレン糖変性マルチブロックコポリマ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107862A (ja) * 2011-11-24 2013-06-06 Dhc Co ジェル状皮膚化粧料
JP5795281B2 (ja) * 2012-04-04 2015-10-14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化粧料
KR101666267B1 (ko) * 2014-02-25 2016-10-13 (주)셀트리온 화장 지속성 및 유연감이 우수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US10639268B2 (en) * 2014-07-28 2020-05-05 Shiseido Company, Ltd. Oily cosmetic
FR3025103B1 (fr) * 2014-08-28 2018-03-09 Oreal Composition gel/gel comprenant un filtre uv
JP2017001983A (ja) * 2015-06-10 2017-01-05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化粧料
JP6511414B2 (ja) * 2016-07-04 2019-05-15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化粧料
BR112019021763A2 (pt) * 2017-04-18 2020-05-05 Kao Corp método para a produção de revestimento cosmético
JP6930589B2 (ja) * 2017-06-29 2021-09-01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ウォーターブレイク型日焼け止め化粧料
FR3075054B1 (fr) * 2017-12-15 2020-12-25 Lvmh Rech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 derive de pullula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17317A (ja) 2010-06-08 2012-01-26 Shin-Etsu Chemical Co Ltd 皮膜形成性重合体を含む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29410A1 (en) 2023-02-08
TW202203896A (zh) 2022-02-01
CN115427010A (zh) 2022-12-02
WO2021200352A1 (ja) 2021-10-07
US20230143138A1 (en) 2023-05-11
JP2021165264A (ja) 2021-10-14
EP4129410A4 (en) 2024-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00823B2 (ja) 毛髪の外観の縮れを予防または低減する方法および組成物
JP5800822B2 (ja) 毛髪の外観の縮れを予防または低減する方法および組成物
KR20180057670A (ko) 피막 형성제 및 그것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료
JP6665181B2 (ja) 高い屈折率を有するオルガノシロキサン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む用品
CA2809688A1 (en) Method for improving color retention in artificially colored hair
WO2018228783A1 (en) Water-in-oil emulsion based on non-thickening, non-interference fillers, on a nonvolatile oil, on a hydrophobic film-forming polymer, on and emulsifying silicone elastomer and on pigments
KR20220156583A (ko) 화장 방법
CN114727942B (zh) 油包水型乳化化妆品
JP2010116366A (ja) 睫用化粧料
KR20220155374A (ko) 화장 방법
JP2015193564A (ja) メークアップ化粧料
US10888514B1 (en) Cosmetic compositions
KR102752125B1 (ko) 피부 외용제 조성물
TWI888433B (zh) 油中水型乳化化妝料
JP2025103664A (ja) 皮膚接着外用剤
WO2025149436A1 (en) W/o emulsion comprising a volatile alkane, a non volatile mixture of c15 c19 alkanes, an acyclic volatile silicone oil, a hydrophobic silica aerogel and a silicone emulsifier
JP2024176876A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WO2022152386A1 (en) Liquid cosmetic composition
JP2024176877A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2023037285A (ja) 乳化化粧料
JP2024056506A (ja) 乳化化粧料
JP2019099485A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HK1182041A (en) Method for improving color retention in artificially colored 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1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10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507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