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154088A - 일회용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일회용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4088A
KR20220154088A KR1020227027046A KR20227027046A KR20220154088A KR 20220154088 A KR20220154088 A KR 20220154088A KR 1020227027046 A KR1020227027046 A KR 1020227027046A KR 20227027046 A KR20227027046 A KR 20227027046A KR 20220154088 A KR20220154088 A KR 20220154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top sheet
nonwoven fabric
width direction
disposable absorb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7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리카 타카기
Original Assignee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20154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4088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of the pad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2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of the pad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omprising an additive, e.g. lotion or odour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4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layer relative to the other layers
    • A61F13/5374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layer relative to the other layers the layer is facing the top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of the pad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omprising an additive, e.g. lotion or odour control
    • A61F2013/51117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omprising an additive, e.g. lotion or odour control the lotion having skin care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of the pad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2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 A61F2013/5127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characterized by the dimension of aper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과제] 탑 시트와 이면 측의 중간 시트를, 탑 시트의 개공의 시인성을 저해하지 않고 접합한 일회용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사용 측 표면을 구성하는 탑 시트와, 이면 측에 마련된 액 불투과성 시트와, 이들 사이에 개재된 흡수 요소를 갖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탑 시트는 표리로 관통되는 개공(14)이, 제품의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으로 각각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유공 부직포이며, 상기 탑 시트의 이면 측에 투액성 중간 시트가 열 접착 또는 초음파 접착으로 다수의 접합점(15)에서 접합되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개공(14)은 그 면적이 1∼30㎟이고, 상기 접합점(15)은 그 면적이 0.12∼20㎟이며, 또한, 상기 개공(14)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다.

Description

일회용 흡수성 물품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 등의 일회용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일회용 흡수성 물품, 특히,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는, 착용자의 피부가 거칠어지는, 특히, 발진이 자주 문제가 된다.
그 요인으로서, 기저귀 장착 시, 피부와의 마찰, 장시간 장착에 따른 체액, 배설물(오줌·연변)로부터 피부가 받는 자극을 들 수 있다.
특히, 피부가 장시간, 연변과 접촉함에 따른 자극으로 인한 요인은 크다. 이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기저귀가 연변을 재빠르게 흡수체에 흡수하는 것이다. 기저귀가 연변을 재빠르게 흡수체에 흡수할 수 있다면, 피부 자극이 저감될 뿐만 아니라, 다리 부분이나 등 부분으로부터 새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탑 시트를 통해 연변의 흡수를 저해하는 첫번째 요인은, 연변 성분이 탑 시트를 투과할 때에, 투과하지 못한 연변 성분이 탑 시트를 구성하는 섬유의 표면부에 잔류하여, 탑 시트가 막히는 것이다. 두번째로, 배변 속도가 기저귀의 흡수 속도를 웃돌아, 흡수되지 못하고 탑 시트 상에 잔류하는 것이다.
따라서, 기저귀가 연변을 재빠르게 흡수체에 흡수하도록 하는 것은 극히 중요하다.
특허문헌 1에는, 기저귀의 폭 방향 양측의 이른바 개더 커프스 사이에서의 탑 시트에 스킨 케어제, 특히, 디아미드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스킨 케어제를 마련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히, 영유아가 착용하는 기저귀에 있어서는, 영유아의 피부는 민감하여, 이른바 기저귀 발진을 일으키기 쉽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8-102836호
그렇지만, 스킨 케어제의 배치만으로 기저귀 발진을 억제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연변 성분이 탑 시트를 신속하게 투과하지 못할 경우에는, 기저귀 발진을 억제하기는 어렵다.
한편, 투액성 또는 연변 성분의 투액성을 높이기 위해, 탑 시트에 개공(開孔)을 형성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개공이 형성된 개공 탑 시트를, 그 이면 측의 중간 시트, 예를 들면, 이른바 세컨드 시트에, 예를 들면, 핫멜트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시키려고 하면, 그 개공을 통해서 핫멜트 접착제가 탑 시트 표면 측으로 스며나와 피부에 영향을 줄 염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 과제는, 탑 시트와 이면 측의 중간 시트를, 탑 시트의 개공 시인성을 저해하지 않고 접합한 일회용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의 대표적 양태는 다음에 기술한 바와 같다.
<대표적 양태>
사용 측 표면을 구성하는 탑 시트와, 이면 측에 마련된 액 불투과성 시트와, 이들 사이에 개재된 흡수 요소를 갖는 일회용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탑 시트는, 표리로 관통되는 개공이, 제품의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으로 각각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유공 부직포이며,
상기 탑 시트의 이면 측에 투액성 중간 시트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탑 시트와 상기 중간 시트가, 열 접착 또는 초음파 접착에 의해, 다수의 접합점에서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개공은 그 면적이 1∼30㎟이고,
상기 접합점은 그 면적이 0.12∼20㎟이며, 또한, 상기 개공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이며,
상기 개공의 폭 방향 이간 거리와, 상기 접합점의 폭 방향 이간 거리는 0.2㎜ 이상 상이한 값이고,
상기 개공의 전후 방향 이간 거리와, 상기 접합점의 전후 방향 이간 거리는 0.2㎜ 이상 상이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성 물품.
본 발명에 따르면, 탑 시트와 이면 측의 중간 시트를, 피부에 대한 영향을 방지하면서 접합한 것 등의 이점이 초래된다.
도 1은 전개 상태인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내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전개 상태인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외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3-3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4-4 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도 1의 5a-5a 단면도, (b)는 도 1의 5b-5b 단면도, 그리고, (c)는 도 1의 5c-5c 단면도이다.
도 6은 개공의 배치예의 평면도이다.
도 7은 개공의 다른 배치예의 평면도이다.
도 8은 개공과 접합점의 관계를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a)는 양자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고, (b)는 개별 위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접합점의 다른 배치예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개공과 접합점의 관계를 나타내는 참조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a)는 양자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고, (b)는 개별 위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보습제 적용 형태예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보습제 이행 형태의 모식적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면도에서 점 모양 부분은 그 표측 및 이측에 위치하는 각 구성 부재를 접합하는 접합 수단으로서의 접착제를 나타내며, 핫멜트 접착제의 베타, 비드, 커튼, 서밋 혹은 스파이럴 도포, 또는 패턴 코팅(철판 방식에서의 핫멜트 접착제 전사) 등에 의해, 혹은 탄성 신축 부재의 고정 부분은 이것 대신 또는 이와 함께 콤컨이나 슈어랩 도포 등, 탄성 신축 부재의 외주면에 대한 도포로 형성되는 것이다. 핫멜트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EVA계, 점착 고무계(엘라스토머계),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폴리아미드계 등의 종류의 것이 존재하지만, 특별히 한정없이 사용 가능하다. 각 구성 부재를 접합하는 접합 수단으로서는, 히트 실링이나 초음파 실링 등의 소재 용착에 따른 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다.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예>
도 1∼도 5는, 본 발명의 일회용 흡수성 물품으로서의,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면 중, 부호 X는 패스닝 테이프를 제외한 기저귀의 전체 폭을 나타내고, 부호 Y는 기저귀의 전체 길이를 나타낸다. 이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는, 배측부터 등측까지 연장되는 흡수체(56)와, 흡수체(56)의 표측을 덮는 액 투과성 탑 시트(30)와, 흡수체(56)의 이측을 덮는 액 불투과성 시트(11)를 갖는 것으로서, 흡수체(56)의 앞쪽 및 뒤쪽으로 각각 연장되는 부분이고, 또한, 흡수체(56)를 갖지 않는 부분인 배측 엔드 플랩부(EF) 및 등측 엔드 플랩부(EF)와, 흡수체(56)의 옆 테두리보다 옆쪽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플랩부(SF)를 갖고 있다. 사이드 플랩부(SF)의 전후 방향 중간에는 다리 둘레를 따라 잘록 부분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잘록 부분보다 등측에 패스닝 테이프(13)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액 불투과성 시트(11)의 이면은 커버 부직포(20)로 덮여 있다. 커버 부직포(20)는 기저귀의 둘레 테두리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액 불투과성 시트(11)는 전후 방향으로는 기저귀의 전후 테두리까지 연장되고, 폭 방향으로는 흡수체(56)의 옆 테두리와 커버 부직포(20)의 옆 테두리의 사이까지 연장되어 있으나, 커버 부직포(20)는 필요에 따라, 전후 방향의 일부로만 하거나, 폭 방향의 일부로만 하거나, 또는 그 양방으로 하거나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액 불투과성 시트(11)의 일부가 개더 부직포 등의 다른 소재로 덮여 있는 경우 등에는, 그 부분에 대해서는 커버 부직포(20)를 마련하지 않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탑 시트(30) 및 액 불투과성 시트(11)는 도시한 예에서는 직사각형이며, 흡수 요소(50)보다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에 있어서 약간 큰 치수를 갖고 있고, 탑 시트(30)에서 흡수 요소(50)의 옆 테두리로부터 비어져나온 둘레 테두리부와, 액 불투과성 시트(11)에서 흡수 요소(50)의 옆 테두리로부터 비어져나온 둘레 테두리부가 핫멜트 접착제 등으로 접합되어 있다.
또한, 흡수 요소(50)는, 흡수체(56) 및 이를 감싸는 포장 시트(58)를 가지며, 탑 시트(30) 및 액 불투과성 시트(11) 사이에 개재시킬 수 있고, 탑 시트(30) 및 흡수 요소(50)의 사이에는 중간 시트(40)를 마련할 수 있다.
도시한 형태의 중간 시트(40)는 흡수 요소(50)의 폭보다 짧게 중앙에 배치되어 있지만, 전체 폭에 걸쳐 마련해도 된다. 중간 시트(40)의 전후 방향 길이는, 기저귀의 전체 길이와 동일해도 되고, 흡수 요소(50)의 길이와 동일해도 되며, 액을 받아들이는 영역을 중심으로 한 짧은 길이 범위 내일 수 있다. 또한, 배설물의 액분과 접촉하여 변색되는 인디케이터도 마련할 수 있다.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 표면의 폭 방향 양측에는, 측부 개더(60)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각 측부 개더(60)는, 각 사이드 플랩부(SF)에 마련된 제1 부분(61)(평면 개더 부분)과, 탑 시트(30)의 양 측부 상에 돌출된 제2 부분(69)(입체 개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저귀 전체 길이(Y)와 같은 길이를 갖는 띠 형상의 개더 부직포(62)가, 제1 부분(61)으로부터 제2 부분(69)에 걸쳐 연장되어 있고, 제1 부분(61)에서는, 해당 개더 부직포(62)가 커버 부직포(20)에 대해서 핫멜트 접착제 등으로 접합되어 있으며, 이들 부직포의 사이에, 전후 방향(LD)을 따라 개더 탄성 신축 부재(63)가 1개 또는 폭 방향(WD)으로 간격을 두고 여러 개 신장 상태로 고정되며, 그 수축력에 의해 제1 부분(61)이 전후 방향(LD)으로 수축하여, 다리 둘레에 닿는 평면 개더가 된다.
또한, 개더 부직포(62)는 제1 부분(61)을 허벅다리 부분으로 하여, 그곳으로부터 폭 방향(WD) 중앙 측으로 연장되는 연장 부분을 갖고 있으며, 적어도 이 연장 부분은 선단에서 되접어 꺾여서 2층 구조로 되어 있다. 연장 부분에서 전후 방향(LD) 양 단부는, 탑 시트(30)에 고정된 도복 부분(67)이 되는 한편,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전후 방향(LD) 중간부는 비고정 자유 부분(68)이 된다. 자유 부분(68)에는, 전후 방향(LD)을 따라 개더 탄성 신축 부재(63)가 1개 또는 폭 방향(WD)으로 간격을 두고 여러 개 신장 상태로 고정되어 있으며, 그 수축력에 의해 제2 부분(69)의 자유 부분(68)이 전후 방향(LD)으로 수축하여, 다리 둘레에 닿는 입체 개더가 된다.
도시한 형태에 있어서의 패스닝 테이프(13)는, 기저귀의 측부에 고정된 테이프 장착부(13C) 및 이 테이프 장착부(13C)로부터 돌출된 테이프 본체부(13B)를 구성하는 시트 기재와, 이 시트 기재에서 테이프 본체부(13B)의 폭 방향 중간부에 마련된, 배측에 대한 계지부(13A)를 갖고, 이 계지부(13A)로부터 선단 측 부분이 손잡이부가 된 것이다. 패스닝 테이프(13)의 테이프 장착부(13C)는 사이드 플랩부에서 내측 층을 구성하는 개더 부직포(62) 및 외측 층을 구성하는 커버 부직포(20) 사이에 끼워지며, 또한, 핫멜트 접착제로 양 부직포(62, 20)에 접착되어 있다. 또한, 계지부(13A)는 테이프 본체부(13B)의 내면에 접착제(71)로 접합되어 있다.
계지부(13A)로서는, 메커니컬 패스너(면 패스너)의 훅재(웅재(雄材))가 적합하다. 훅재는 그 외면 측에 다수의 계합 돌기를 갖는다. 계합 돌기의 형상으로서는, (A) レ자형, (B) J자형, (C) 버섯형, (D) T자형, (E) 더블 J자형(J자형의 것을 맞대서 결합한 형상의 것) 등이 존재하지만, 어느 형상이어도 좋다. 물론, 패스닝 테이프(13)의 계지부로서 점착재층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장착부(13C)부터 테이프 본체부(13B)까지를 형성하는 시트 기재로서는, 부직포, 플라스틱 필름, 폴리라미 부직포, 종이나 이들의 복합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기저귀 장착 시에는, 등측 사이드 플랩부(SF)를 배측 사이드 플랩부(SF)의 외측에 겹친 상태에서, 패스닝 테이프(13)를 배측 부분(F) 외면의 적소에 계지한다. 패스닝 테이프(13)의 계지 개소의 위치 및 치수는 임의로 정할 수 있다.
배측 부분(F)에서 패스닝 테이프(13)의 계지 개소에는, 쉽게 계지하기 위한 타겟을 갖는 타겟 시트(24)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지부(13A)가 훅재인 경우, 타겟 시트(24)로서는, 필름층과, 그 외면 전체에 마련된, 계지부(13A)의 훅이 탈착 자유 자재하게 계합하는 계합층을 갖는 필름 타입의 것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계합층으로서는, 실로 짠 망 형상체로서, 루프를 갖는 것이 필름층 상에 설치되어 있는 형태 외에, 열 가소성 수지의 부직포층이 간헐적 초음파 실링에 의해 필름층 상에 설치되고, 부직포의 섬유가 루프를 구성하는 형태가 알려져 있지만, 모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열 가소성 수지의 부직포에 엠보싱 가공을 한 것으로, 필름층이 없는 필름리스 타입의 타겟 테이프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타겟 테이프에서는, 패스닝 테이프(13)의 훅이 루프에 얽히거나 또는 걸림으로써, 패스닝 테이프(13)가 결합된다.
계지부(13A)가 점착재층인 경우에는, 점착성이 풍부하고 표면이 평활한 플라스틱 필름으로 구성되는 시트 기재의 표면에 박리 처리를 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배측 부분(F)에서 패스닝 테이프(13)의 계지 개소가 부직포로 구성될 경우, 예를 들면, 도시한 형태의 커버 부직포(20)가 부직포로 구성되는 경우로서, 패스닝 테이프(13)의 계지부(13A)가 훅재인 경우에는, 타겟 시트(24)를 생략하고, 훅재를 커버 부직포(20)의 부직포에 얽히게 하여 계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타겟 시트(24)를 커버 부직포(20)와 액 불투과성 시트(11)의 사이에 마련해도 된다.
엔드 플랩부(EF)는, 흡수 요소(50)의 앞쪽 및 뒤쪽으로 각각 연장되는 부분이고, 또한, 흡수체(56)를 갖지 않는 부분으로서, 앞쪽 연장 부분이 배측 엔드 플랩부(EF)이고, 뒤쪽 연장 부분이 등측 엔드 플랩부(EF)이다.
등측 엔드 플랩(EF)의 전후 방향 길이는, 전술한 이유에 의해 패스닝 테이프(13) 장착 부분의 전후 방향 길이와 같거나 짧은 치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기저귀 등측 단부와 흡수 요소(50)가 너무 근접하면, 흡수 요소(50)의 두께와 탄력에 의해, 기저귀 등측 단부와 신체 표면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기 쉽기 때문에, 1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측 엔드 플랩부(EF) 및 등측 엔드 플랩부(EF)의 전후 방향 길이는 기저귀 전체의 전후 방향 길이(Y)의 5∼2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영유아용 기저귀에 있어서는, 10∼60㎜, 특히, 20∼50㎜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기저귀의 등측 피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세하게는 도 5에 도시하는 형태와 같이, 양 패스닝 테이프(13) 사이에, 폭 방향으로 탄성 신축하는 탄성 신축 부재, 특히, 띠 형상의 등측 신축 시트(70)가 마련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등측 신축 시트(70)의 양 단부는 양 패스닝 테이프(13)의 장착 부분과 겹치는 부위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폭 방향 중앙 측으로 이간되어 있어도 좋다. 등측 신축 시트(70)의 전후 방향 치수는, 패스닝 테이프(13) 장착 부분의 전후 방향 치수에 비하여, 플러스 마이너스 20% 정도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등측 신축 시트(70)가 등측 엔드 플랩부(EF)와 흡수 요소(50)의 경계선과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흡수 요소(50)의 등측 단부가 제대로 몸에 피트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등측 신축 시트(70)는, 고무 시트 등의 시트형 탄성 부재를 사용해도 좋지만, 통기성 관점에서 부직포나 종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신축 부직포와 같은 통기성을 갖는 시트형 탄성 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도 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매의 부직포 등의 시트 기재(71)를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로 맞붙이는 동시에, 양 시트 기재(71) 사이에 유공 시트형, 망형, 세장형(실형 또는 끈형 등) 등의 탄성 신축 부재(72)를 폭 방향을 따라 신장한 상태로 고정시킨 것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 경우에 시트 기재(71)로서는, 커버 부직포(20)와 같은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탄성 신축 부재(72)의 신장율은 150∼25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 신축 부재(72)로서 세장형(실형 또는 끈형 등)인 것을 사용할 경우, 굵기 420∼1120dtex인 것을, 3∼10㎜의 간격(72d)으로, 5∼15개 정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 신축 부재(72)의 일부가 흡수 요소(50)를 횡단하도록 배치하면, 흡수 요소(50)의 피트성이 향상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만, 이 경우, 탄성 신축 부재(72)가 흡수 요소(50)와 겹치는 부분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절단 등의 수단으로 수축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면, 흡수 요소(50)의 등측 단부가 폭 방향으로 줄어들지 않기 때문에, 피트성이 더욱 향상한다.
또한, 탄성 신축 부재(72)는, 기저귀의 폭 방향으로 시트 기재(71)의 전체 길이에 걸쳐 고정되어 있어도 되지만, 기저귀 본체에 설치 시, 줄어들거나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저귀의 폭 방향 단부의 5∼20㎜ 정도의 범위에서는, 수축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또는 탄성 신축 부재(72)가 존재하지 않도록 하면 된다. 탄성 신축 부재(72)가 존재하지 않도록 하면, 피부에 닿지 않는 프릴을 형성 가능하여, 통기성이 양호해진다.
등측 신축 시트(70)는 도시한 형태에서는, 액 불투과성 시트(11)의 폭 방향 양측에서는, 개더 부직포(62)와 커버 부직포(20)의 사이에 끼워지고, 또한, 액 불투과성 시트(11)와 겹치는 부위에서는, 액 불투과성 시트(11)와 흡수 요소(50)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마련되어 있지만, 액 불투과성 시트(11)와 커버 부직포(20)의 사이에 마련해도 좋고, 커버 부직포(20)의 외면에 마련해도 좋으며, 또한, 탑 시트(30)와 흡수 요소(50)의 사이에 마련해도 된다.
또한, 등측 신축 시트(70)는 탑 시트(30) 상에 마련해도 좋으며, 이 경우, 액 불투과성 시트(11)의 폭 방향 양측에서는, 개더 부직포(62) 상에 마련해도 좋다. 또한, 커버 부직포(20)를 여러 장의 시트 기재를 겹쳐서 형성할 경우에는, 등측 신축 시트(70) 전체를 커버 부직포(20)의 시트 기재 사이에 마련해도 좋다.
<본 발명의 기본 구성>
본 발명의 일회용 흡수성 물품으로서의 예시인 일회용 기저귀는,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설명용 부호를 참조하면, 사용 측 표면을 구성하는 탑 시트(30)와, 이면 측에 마련된 액 불투과성 시트(11)와, 이들 사이에 개재된 흡수 요소(50)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상기 탑 시트(30)는 표리로 관통되는 개공(14)이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유공 부직포이며,
상기 탑 시트(30)의 이면 측에 투액성 중간 시트(40)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탑 시트(30)와 상기 중간 시트(40)가 열 접착 또는 초음파 접착에 의해, 다수의 접합점(15)(도 8, 도 9 참조)에서 접합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본 구성에 있어서, 탑 시트(30)는 표리로 관통되는 개공(14)이 간격을 두고 다수 마련된 유공 부직포이면, 연변 성분을 개공(14)을 통해서 재빠르게 흡수체(56)를 갖는 흡수 요소(50)에 흡수할 수 있으며, 탑 시트(30) 표면에 연변 성분이 잔류함에 따른 피부 자극이 저감되어, 기저귀 발진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리 부분이나 등 부분으로부터 새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개공)
탑 시트(30)는 다수의 개공(14)을 갖는 유공 부직포이다. 엄밀한 이유는 확실하지 않지만, 다수의 개공(14)에 의해, 착용자 피부와의 접촉 면적이, 개공을 갖지 않는 부직포에 비해서 작아지는 것을 이유로 해서, 착용자 피부와의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기능도 발휘한다고 생각된다. 그 결과,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하였을 때, 착용자의 자세 변화에 따라, 탑 시트가 피부에 대해서 매끄럽고, 착용자 피부와의 접촉이 담보되어, 샘 방지 효과가 높아지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개공(14)의 개개의 개공 형상은, 도 6의 (a)(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긴 구멍형으로 하는 것 외에, 도 6의 (c)(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진원형, 도 6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타원형, 삼각형, 직사각형, 사다리꼴 등의 다각형, 별형, 구름형 등,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특히, 도 1, 도 6의 (a)∼(e) 및 도 7에 도시하는 형상 중, 진원, 타원, 사변형(정사각형 및 직사각형을 포함하며, 모서리는 원호 등으로 절제(切除)되어 있음(모서리를 둥글게 함)) 및 직사각형과 타원의 중간 형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과 관련된 개개의 개공(14) 치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도 6을 참조하면서 예시하면, 전후 방향(LD)의 최대 치수(14L)는 0.3∼6.0㎜, 특히, 1.2∼4.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폭 방향(WD)의 최대 치수(14W)는 0.3∼6.0㎜, 특히, 0.5∼1.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공(14)의 형상이 긴 구멍형, 타원형, 직사각형 등과 같이, 한 방향으로 긴 형상(한 방향의 전체 길이가 이와 직교하는 방향의 전체 길이보다 긴 형상)의 경우, 길이 방향의 최대 치수는 이와 직교하는 방향의 최대 치수의 1.2∼2.5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공(14)의 형상이 한 방향으로 긴 형상의 경우, 개공(14)의 길이 방향이 전후 방향(LD)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폭 방향(WD)이나 경사 방향일 수 있다.
개개의 개공(14)의 면적 및 면적율은, 주로 예를 들면, 연변 성분의 투과성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면적은 1∼30㎟로 한다. 특히, 면적은 2.5∼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면적율은 1.0∼15.0%(특히, 5.0∼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타원의 면적은 장축이 a, 단축이 b이면, πab로 구할 수 있으며, 모서리가 잘린 사각형(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그리고, 길이가 a, 폭이 b, 둥근 모서리의 반경이 r이면, 그 면적은 ab+(π-4)r2로 구할 수 있다.
(중간 시트: 세컨드 시트)
탑 시트(30)를 투과한 액을 신속하게 흡수체로 이행시키기 위해, 탑 시트(30)보다 액의 투과 속도가 빠른 중간 시트(「세컨드 시트」라고도 함)(40)를 마련한다. 이 중간 시트(40)는 액을 신속하게 흡수체로 이행시켜서 흡수체에 의한 흡수 성능을 높일 뿐만 아니라, 흡수한 액의 흡수체로부터의 「역행」 현상을 방지하여, 탑 시트(30) 위를 항상 건조한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중간 시트(40)는, 그 시트 연장 방향으로의 틀어짐, 그리고, 탑 시트(30) 사이와의 이간을 방지하고, 탑 시트(30)를 투과한 액을 받아서, 신속하게 흡수체로 이행시키기 위해, 탑 시트(30)와 열 접착 또는 초음파 접착에 의해, 다수의 접합점에서 접합되어 있다.
중간 시트(40)와 탑 시트(30)의 접합을 핫멜트 접착제로 할 경우에는, 개공(14)을 통해서 탑 시트(30) 표면 측으로 스며나올 가능성이 있어, 피부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 제조 공정에서, 스며나온 핫멜트 접착제가 제조 장치류를 오손시켜, 조업 상의 트러블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하여, 열 접착 또는 초음파 접착에 의한 접합 형태에 따르면, 상기 문제를 초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열 접착 또는 초음파 접착에 의한 접합점(15)(도 8, 도 9 참조)과, 개공(14)의 위치 관계를 고려할 필요성이 분명해졌다.
즉, 개공(14)의 형성은 액 투과 기능 유지 이외에, 제품을 전개하였을 때에, 그 개공(14)이 존재하는 것과, 소비자에게 있어서 육안에 의한 확인을 어필하여, 구매 의욕을 높이는 기능도 갖고 있다.
그런데, 만일, 개공(14)의 위치와 접합점(15)의 위치가 일치하거나, 또는 접합점(15)이 개공(14)의 위치 근방이면, 개공(14) 부분이 중간 시트(40)와 일체화되게 되어, 개공(14)으로부터의 액 투과를 저해하는 것 외에, 일체화에 의해, 탑 시트(30)의 개공(14) 주변이 평탄화되어, 개공(14)을 시인하기 어려워진다(개공(14) 주변의 오목부가 가져오는 음영의 시인성이 손상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개공(14)은 시트의 편면 측으로부터 예리한 핀 등을 천자(穿刺)함으로써 형성되는 결과, 개공(14)의 둘레 테두리부에 입체적 오목부가 형성되어, 그 오목부의 음영이 소비자에게 시인됨으로써, 개공(14)의 존재가 확인되는 것이다.
따라서, 탑 시트(30)와 중간 시트(40)의 열 접착 또는 초음파 접착에 의한 접합점(15)은 가능한 한, 개공(14)의 위치와 일치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개공(14)의 폭 방향 이간 거리(14x)와, 도 8, 도 9에 도시하는 접합점(15)의 폭 방향 이간 거리(15x)는 0.2㎜ 이상 상이한 값이고, 또한, 개공(14)의 전후 방향 이간 거리(14y)와, 접합점(15)의 전후 방향 이간 거리(15y)는 0.2㎜ 이상 상이한 값으로 하는 것이다.
즉, 개공(14)과 접합점(15)은 폭 방향(WD)의 「이간 거리의 차분 길이」가 0.2㎜ 이상, 그리고, 전후 방향(LD)의 「이간 거리의 차분 길이」가 0.2㎜ 이상인 것을 의미한다.
개공(14)에 대한 폭 방향 「이간 거리」란, 폭 방향을 따른 개공(14)열에서, 인접한 개공(14) 각각의 중심점 상호간의 폭 방향 피치를 말한다. 이 폭 방향 「이간 거리」는 3.0∼9.0㎜, 특히, 3.5∼6.5㎜가 바람직하다.
전후 방향 「이간 거리」란, 전후 방향을 따른 개공(14)열에서, 인접한 개공(14) 각각의 중심점 상호간의 전후 방향 피치를 말한다. 이 전후 방향 「이간 거리」는 2.5∼9.0㎜, 특히, 3.5∼6.5㎜가 바람직하다.
접합점(15)에 대한 폭 방향 「이간 거리」란, 폭 방향을 따라 접합점(15)열에서, 인접한 접합점(15)열 각각의 중심점 상호간의 폭 방향 피치를 말한다. 이 폭 방향 「이간 거리」는 2.0∼7.0㎜, 특히, 3.5∼6.0㎜가 바람직하다.
전후 방향 「이간 거리」란, 전후 방향을 따라 접합점(15)열에서, 인접한 접합점(15)열 각각의 중심점 상호간의 전후 방향 피치를 말한다. 이 전후 방향 「이간 거리」는 2.5∼8.0㎜, 특히, 3.2∼5.0㎜가 바람직하다.
접합점(15)의 면적은 0.12∼20㎟이며, 또한, 상기 개공(14)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이다.
접합점(15)의 면적은, 기술한 접합점(15)의 폭 방향 및 전후 방향 이간 거리와도 관계되면서, 탑 시트(30)와 중간 시트(40)의 접합 강도를 규정한다.
이 관점에서, 접합점(15)의 면적은 0.12∼20㎟가 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25∼5㎟가 된다.
접합점(15)의 면적이 개공(14)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이면, 가령, 접합점(15)이 개공(14)의 위치와 합치되었다 하더라도, 개공(14) 주변이 평탄화되어, 개공(14)을 시인하기 어려워질(개공(14) 주변의 오목부가 가져오는 음영의 시인성이 손상될) 영향은 작은 것이 된다.
접합점(15)의 면적이 과도하게 작으면, 필요한 접합 강도를 얻기 어려워진다.
개공(14)열에 있어서의 개공(14)의 이간 거리, 그리고, 접합점(15)열에 있어서의 접합점(15)의 이간 거리는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불일정하면, 탑 시트(30)를 넓은 범위에서 시인하였을 때에, 개공(14)과 접합점(15)이 일치하는 일치점의 밀도에 불균일함이 생겨, 소비자에게 시인 상의 위화감을 줄 가능성이 있다.
이에 비해, 예를 들면, 도 10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규칙성 있는 배치의 개공(14)군에 대하여, 비스듬한 격자의 교차점 회전에 집중한 밀도로 4개소의 접합점(15Q)을 형성한(따라서, 인접한 접합점열의 이간 거리는 규칙성이 없고, 불일정한) 경우에는, 4개소의 접합점(15Q)의 상호 작용에 의해, 그 근방의 접합 강도가 높아져, 4개소의 접합점(15Q)군 상호간의 이간 거리를 길게 만들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도 10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소의 접합점(15Q)군이 개공(14)이 일치 또는 그 근방에 위치한 경우에는, 접합점(15Q)군이 개공(14)을 둘러싸게 되며, 개공(14) 주변이 평탄화되어, 개공(14)을 시인하기 어려워진다(개공(14) 주변의 오목부가 가져오는 음영의 시인성이 손상된다).
접합점(15)의 반복열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폭 방향 및 전후 방향에 있어서, 각각 폭 방향(WD) 및 전후 방향(LD)을 따르는 것 외에,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도(θ)를 갖고 폭 방향 선(H) 및 전후 방향 선(V)에 대해서 경사 배치할 수 있다. 각도(θ)(3∼6도가 바람직함)를 부여하여 배치함으로써, 폭 방향 및 전후 방향을 각각 따라 개구(14)열에 대한 일치 확률을 작게 만들 수 있으며, 그 결과, 개구(14)군의 시인성 저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8의 실시형태는, 접합점(15)이 개공(14)과의 비교에서, 폭 방향(WD)의 「이간 거리의 차분 길이」가 0.2㎜ 이상 길게 되어 있고, 그리고, 전후 방향(LD)의 「이간 거리의 차분 길이」가 0.2㎜ 이상 길게 되어 있는 예이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폭 방향 및 전후 방향을 각각 따르는 개구(14)열에 대한 일치 확률을 작게 만들 수 있으며, 그 결과, 개구(14)군의 시인성 저해를 방지할 수 있다.
차분 길이를 채택할 경우, 「길게」 하는 것 외에, 「짧게」하는 것도 좋다.
탑 시트(30)와 중간 시트의 접합 강도는 30∼100gf가 바람직하다. 접합 강도가 작으면 벗겨지지 쉽고, 과도한 접합 강도는 감촉 저하를 초래한다.
이 접합 강도는 인장 시험기(SHIMADZU사 제조 AUTOGRAPH AG-Xplus)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측정 방법은 40㎜×300㎜로 재단한 시료를 작성하여, 미리 길이 방향 100㎜를 떼어낸 입구를 형성해두고, 23℃ 조건 하에서, 시험편이 느슨해지지 않도록 세팅하여, 인장 속도 300㎜/min의 조건에서, 전술한 떼어낸 입구로부터 150㎜ 길이를 인장 시험기로 박리하여 측정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보습제)
적합하게는, 탑 시트(30)의 외면에 대해서 글리세린을 주체로 한 보습제(M)가 적용되어 있으면(적어도 탑 시트(30) 외면부에 보습제(M)를 함유하고 있으면), 보습제(M)가 착용자의 피부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착용자 피부와의 마찰력을 저감 시키는 기능을 발휘한다.
그 결과,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하였을 때, 착용자의 자세 변화에 따라, 탑 시트가 피부에 대해서 매끄럽고, 착용자 피부와의 접촉이 담보되어, 샘 방지 효과가 높아진다.
보습제(M)는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전후 방향을 따라 적용할 수 있다. 이 적용은 예를 들면, 제조 공정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도포 노즐로부터 보습제를 토출시키거나, 혹은 전사 방식으로 도포하는 등의 예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하는 보습제(M)의 적용 폭(mx)은 5∼30㎜, 간격(md)은 5∼30㎜, 전후 방향의 적용 길이(my)는 50㎜∼제품 전후 길이로 할 수 있다.
전후 방향의 적용은 제품 전후 길이로 하는 것 외에, 본 발명과 관련된 효과가 현저하게 나타나는 고간부를 중심으로 적용하여, 재료비를 줄이기 위해서라도, 제품 전후가 있는 길이에는 적용하지 않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도포량으로서는, 0.08∼0.10g/10㎝×1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 시트(40)의 외면에 대해서 글리세린을 주체로 한 보습제(M)를 적용 가능하다.
보습제(M)는 기저귀 제조 공정에서 도포 등으로 탑 시트(30)에 적용되고, 그 후, 다수의 기저귀 제품은 콤팩트하게 패키징된다. 이 기저귀의 압밀화에 의해, 도 12에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탑 시트(30)의 보습제(M) 일부는 개공(14)을 통해서 중간 시트(40)로 이행한다.
본래 중간 시트는 탑 시트(30)보다 체액의 투과 속도가 빠르다. 또한, 글리세린을 주체로 한 보습제(M)는 친수성 디아미드 유도체에 비해서 친수성이 높다. 그 결과, 중간 시트(40) 측으로 이행한, 글리세린을 주체로 한 보습제(M)는, 탑 시트(30) 측으로부터의 체액 혹은 개공(14)을 통과하는 연변 성분을 끌어들이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탑 시트(30) 측으로부터의 체액 혹은 개공(14)을 통과하는 연변 성분은, 신속하게 흡수 요소(50) 측으로 유도되게 되어, 탑 시트(30) 표면에 연변 성분 등의 체액 잔류가 억제되며, 따라서, 피부 자극이 저감되어, 기저귀 발진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보습제(M)의 글리세린 성분은 피부를 보습하여, 스킨 케어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탑 시트(30)의 외면에 대해서 글리세린을 주체로 한 보습제(M)가 도포되어 있으면(적어도 외면부에 보습제(M)를 함유하고 있으면), 보습제(M)가 착용자의 피부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착용자 피부와의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기능을 발휘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글리세린을 주체로 한 보습제는, 성분 조성으로서 글리세린을 70질량% 이상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첨가제로서 유화제, 인산 에스테르, 파라핀 및 계면활성제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여러 종의 첨가제를 포함한 양태이다. 계면활성제로서는, 에테르형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EO/PO형을 포함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이하에 실시형태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을 부가한다.
<커버 부직포>
일회용 기저귀나 생리용 냅킨 등, 일회용 흡수성 물품의 대부분은 흡수액이 뒤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통기성을 확보하기 위해, 통기성을 갖는 액 불투과성 시트가 흡수체의 이측에 마련되는 동시에, 이 액 불투과성 시트가, 옷감과 같은 외관 및 촉감으로 만들기 위해, 액 불투과성 시트의 이면이 커버 부직포로 덮여 있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실시형태의 커버 부직포(20)도 옷감과 같은 외관 및 촉감으로 만들기 위해 마련되는 것이다. 그리고, 커버 부직포(20)는 액 불투과성 시트(11)의 이측을 덮고, 액 불투과성 시트(11)를 덮는 부분 중 적어도 일부에서 제품 외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 경우, 통기성 액 불투과성 시트에 커버 부직포를 적층하면, 커버 부직포를 갖는 부분만큼 통기성이 저하된다. 이 문제를 해결할 하나의 바람직한 수법으로서, 커버 부직포로서, 표리로 관통되는 개공을 다수 갖는 유공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다.
도시하는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커버 부직포(20)는, 표리로 관통되는 개공(14)이 간격을 두고 다수 마련된 유공 부직포로 되어 있다. 커버 부직포(20)의 섬유의 종류나, 섬유의 결합(교락)의 가공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아,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에어스루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경우의 평량은 20∼30g/㎡, 두께는 0.3∼1.0㎜이면 바람직하다.
커버 부직포(20)는 통기성 향상 효과를 고려하면,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커버 부직포(20)에서 전후 방향 및 폭 방향 전체에 걸쳐 개공(14)을 형성할 수 있다.
(탑 시트)
탑 시트(30)는 액을 투과하는 성질을 갖는 것이다. 또한, 이 중, 부직포는, 그 원료 섬유가 무엇인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 섬유,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 섬유, 면 등의 천연 섬유 등이나, 이것들로부터 2종 이상이 사용된 혼합 섬유, 복합 섬유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부직포는 어떠한 가공에 의해 제조된 것이어도 된다. 가공 방법으로서는, 공지의 방법, 예를 들면, 스펀 레이스법, 스펀 본드법, 써멀 본드법, 멜트 블로운법, 니들 펀치법, 에어스루법, 포인트 본드법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연성, 드레이프성을 요구한다면 스펀 본드법, 스펀 레이스법이, 큰 부피성, 소프트성을 요구한다면 에어스루법, 포인트 본드법, 써멀 본드법이 바람직한 가공 방법이 된다.
특히, 큰 부피성, 소프트성을 요구하는 관점에서, 에어스루법에 따라 제조한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부직포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1.5∼3.5dtex의 PE/PET를 사용 가능하다.
탑 시트(30)의 평량은 10∼30g/㎡가 바람직하다. 10g/㎡ 미만이면, 체액의 역행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30g/㎡를 넘으면, 충분한 부드러움을 얻기 어렵다.
또한, 탑 시트(30)는 1매의 시트로 구성되는 것이어도, 2매 이상의 시트를 맞붙여 얻은 적층 시트로 구성되는 것이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탑 시트(30)는 평면 방향에 관해서, 1매의 시트로 구성되는 것이어도, 2매 이상의 시트로 구성되는 것이어도 된다.
탑 시트(30)의 양 측부는, 흡수 요소(50)의 옆 테두리에서 이측으로 되접어 꺽어도 좋고, 또한, 되접어 꺽지 않고, 흡수 요소(50)의 옆 테두리로부터 옆쪽으로 비어져나오게 해도 좋다.
<탑 시트 개공의 평면 배열>
체액을 흡수 요소(50)에 신속하게 이행시키기 위해, 탑 시트(30)는 개공(14)을 갖는 유공 부직포이다. 그 개공(14)의 평면 배열은, 도 6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사방 격자형이나, 도 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육각 격자형(이것들은 지그재그형이라고도 함), 도 6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정방 격자형, 도 6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직사각형 격자형, 도 6의 (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평행체 격자형(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평행한 경사 방향열의 군이 서로 교차하도록 2군 마련되는 형태) 등과 같이,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중간 시트)
중간 시트(40)로서는, 탑 시트(30)와 같은 소재나 스펀 레이스, 스펀 본드, SMS, 펄프 부직포, 펄프와 레이온의 혼합 시트, 포인트 본드 또는 크레이프지를 예시할 수 있다. 특히, 에어스루 부직포가 부피가 크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에어스루 부직포에는 심초 구조의 복합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심지로 사용하는 수지는 폴리프로필렌(PP)이어도 좋지만, 강성이 높은 폴리에스테르(PET)가 바람직하다. 평량은 20∼80g/㎡가 바람직하고, 25∼60g/㎡가 보다 바람직하다. 부직포의 원료 섬유의 굵기는 2.0∼10dtex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를 큰 부피로 만들기 위해, 원료 섬유의 전부 또는 일부의 혼합 섬유로서, 심지가 중앙에 없는 편심 섬유나 중공 섬유, 편심 및 중공인 섬유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시한 형태의 중간 시트(40)는 흡수체(56)의 폭보다 짧게 중앙에 배치되어 있지만, 전체 폭에 걸쳐 마련해도 된다. 중간 시트(40)의 전후 방향 길이는, 기저귀의 전체 길이와 동일해도 되고, 흡수 요소(50)의 길이와 동일해도 되고, 액을 받아들이는 영역을 중심으로 한 짧은 길이 범위 내여도 된다.
중간 시트(40)는, 이측 부재에 대한 위치 틀어짐을 방지하는 등의 목적으로, 히트 실링, 초음파 실링과 같은 소재 용착에 따른 접합 수단이나, 핫멜트 접착제로 이측과 인접한 부재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한 형태에서는, 중간 시트(40)는 그 이면에 도포된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포장 시트(58) 중 흡수체(56)의 표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표면에 고정되어 있다.
(액 불투과성 시트)
액 불투과성 시트(11)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등으로 구성되는 플라스틱 필름이나, 부직포의 표면에 플라스틱 필름을 마련한 라미네이트 부직포, 플라스틱 필름에 부직포 등을 겹쳐서 접합한 적층 시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액 불투과성 시트(11)에는,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선호되어 사용되고 있는 액 불투과성 및 투습성을 갖는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습성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으로서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중에 무기 충전제를 혼련하여, 시트를 성형한 후, 1축 또는 2축 방향으로 연신하여 얻어진 미다공성 플라스틱 필름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밖에도, 마이크로 데니어 섬유를 사용한 부직포, 열이나 압력을 가함으로써 섬유의 공극을 작게 함에 따른 방루성 강화, 고흡수성 수지 또는 소수성 수지나 발수제의 도공과 같은 방법에 의해,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하지 않고 액 불투과성으로 한 시트도, 액 불투과성 시트(11)로서 사용할 수 있지만, 후술하는 커버 부직포(20)와의 핫멜트 접착제를 통한 접착 시에, 충분한 접착 강도를 얻기 위해,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 불투과성 시트(11)는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 요소(50)의 이측에 들어가는 폭으로 하는 것 외에, 방루성을 높이기 위해, 흡수 요소(50)의 양측을 돌아들어가게 하여, 흡수 요소(50)의 탑 시트(30) 측면의 양 측부까지 연장시킬 수도 있다. 이 연장부의 폭은 좌우 각각 5∼20㎜ 정도가 적당하다.
또한, 액 불투과성 시트(11)의 내측, 특히, 흡수체(56) 측면에, 액분의 흡수에 의해 색이 변하는 배설 인디케이터를 마련할 수 있다.
(측부 개더)
측부 개더(60)는 전후 방향(LD) 전체에 걸쳐 연장되고, 장착자의 다리 둘레에 닿아서 옆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입체 개더(69)라 부르는 것이나, 평면 개더(61)라 부르는 것이 여기에 포함된다.
개더 부직포(62)로서는, 스펀 본드 부직포(SS, SSS 등)나 SMS 부직포(SMS, SSMMS 등), 멜트 블로운 부직포 등의 유연하고 균일성·은폐성이 뛰어난 부직포에, 필요에 따라, 실리콘 등으로 발수 처리를 한 것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섬유 평량은 10∼30g/㎡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63)로서는, 실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스판덱스 실고무를 사용할 경우, 굵기는 470∼1240dtex가 바람직하고, 620∼940dtex가 보다 바람직하다. 고정 시의 신장율은 150∼350%가 바람직하고, 200∼300%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용어 「신장율」은 자연 길이를 100%로 하였을 때의 값을 의미한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2개로 겹쳐서 꺽은 개더 부직포(62)의 사이에 방수 필름을 개재시킬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방수 필름의 존재 부분에서 개더 부직포(62)를 부분적으로 생략할 수도 있지만, 제품의 외관 및 촉감을 옷감과 같이 만들기 위해서는, 도시한 형태와 같이, 적어도 측부 개더(60)의 기단부터 선단까지의 외면이 개더 부직포(62)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필요하다.
측부 개더(60)의 자유 부분에 마련되는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63)의 개수는 2∼6개가 바람직하고, 3∼5개가 보다 바람직하다.
(흡수 요소)
흡수 요소(50)는 흡수체(56)와, 이 흡수체(56) 전체를 감싸는 포장 시트(58)를 갖는다.
(흡수체)
흡수체(56)는 섬유의 집합체로 형성할 수 있다. 이 섬유 집합체로서는, 면상 펄프나 합성 섬유 등의 단섬유를 적섬한 것 외에,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등의 합성 섬유 토우(섬유 다발)를 필요에 따라, 개섬하여 얻을 수 있는 필라멘트 집합체도 사용 가능하다. 섬유 평량으로서는, 면상 펄프나 단섬유를 적섬할 경우, 예를 들면, 100∼300g/㎡ 정도로 할 수 있고, 필라멘트 집합체의 경우, 예를 들면, 30∼120g/㎡ 정도로 할 수 있다. 합성 섬유인 경우의 섬도는 예를 들면, 1∼16dtex, 바람직하게는 1∼10dtex, 더욱 바람직하게는 1∼5dtex이다. 필라멘트 집합체의 경우, 필라멘트는 비권축 섬유일 수 있지만, 권축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권축 섬유의 권축도는 예를 들면, 1인치당 5∼75개, 바람직하게는 10∼50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15∼50개 정도로 할 수 있다. 또한, 균일하게 권축한 권축 섬유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흡수체(56) 중에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분산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체(56)는 직사각형 형상이어도 좋지만, 전단부, 후단부 및 이들 사이에 위치하고, 전단부 및 후단부에 비하여 폭이 좁은 잘록 부분을 갖는 모래시계 형상을 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흡수체(56)의 치수는 배뇨구 위치의 전후 좌우에 걸치는 한, 적절히 정할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
흡수체(56)에는, 그 일부 또는 전부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함유시킬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란, 「입자」 이외에 「분체」도 포함한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로서는, 이 종류의 일회용 기저귀에 사용되는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500㎛의 표준 체(JIS Z8801-1:2006)를 이용한 체질(5분간 진탕)로 체 위에 남는 입자의 비율이 3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180㎛의 표준 체(JIS Z8801-1:2006)를 이용한 체질(5분간 진탕)로 체 위에 남는 입자의 비율이 60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 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흡수량이 40g/g 이상인 것이 적합하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로서는, 전분계, 셀룰로오스계나 합성 폴리머계 등의 것이 있고, 전분-아크릴산(염) 그래프트 공중합체, 전분-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의 비누화물,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의 가교물이나 아크릴산(염) 중합체 등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형상으로서는, 통상 사용되는 분립체 형상의 것이 적합하지만, 다른 형상의 것도 사용할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로서는, 흡수 속도가 70초 이하, 특히, 40초 이하의 것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흡수 속도가 너무 느리면, 흡수체(56) 내에 공급된 액이 흡수체(56) 밖으로 돌아나와버리는, 이른바 역행을 발생시키기 쉬워진다.
또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로서는, 겔 강도가 1000Pa 이상인 것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로써, 부피가 큰 흡수체(56)로 한 경우라도, 액 흡수 후의 끈적거림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량은, 해당 흡수체(56)의 용도에서 요구되는 흡수량에 따라 적절히 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일률적으로 말할 수는 없지만, 50∼350g/㎡로 할 수 있다. 폴리머의 평량이 50g/㎡ 미만에서는, 흡수량을 확보하기 어려워진다. 350g/㎡를 넘으면, 효과가 포화한다.
필요하다면,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는 흡수체(56)의 평면 방향으로 산포 밀도 혹은 산포량을 조정 가능하다. 예를 들면, 액의 배설 부위를 다른 부위보다 산포량을 많게 할 수 있다. 남녀차를 고려할 경우, 남자용은 앞쪽 산포 밀도(양)를 높이고, 여자용은 중앙부의 산포 밀도(양)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흡수체(56)의 평면 방향에 있어서, 국소적(예를 들면, 스폿형)으로 폴리머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을 마련할 수도 있다.
(포장 시트)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혹은 흡수체(56)의 형상 유지성을 높이기 위해, 흡수체(56)를 포장 시트(58)로 덮는다.
포장 시트(58)를 사용할 경우, 그 소재로서는, 화장지, 특히, 크레이프지, 부직포, 폴리라미 부직포, 작은 구멍이 뚫린 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종래에는 크레이프지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SMS 부직포(스펀 본드-멜트 블로운-스펀 본드 적층 부직포) 또는 SMMS 부직포(스펀 본드/멜트 블로운/멜트 블로운/스펀 본드 적층 부직포)를 사용한다.
크레이프지를 사용하면, 그 펄프 섬유가 전후 방향(MD 방향)을 따라, 그리고, 치밀한 배치로 되어 있으므로, 특히, 전후 방향의 강성이 높다(부드러움이 떨어진다).
이에 비하여, SMS 부직포 또는 SMMS 부직포를 사용하면, 전후 방향의 강성이 특히 낮고(부드러움이 뛰어남), 이후의 캔틸레버 시험 결과로써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MD 방향) 및 기울기 45도의 굽힘 강성이, 크레이프지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서 낮은 값을 보이게 된다.
그 결과,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하였을 때, 착용자의 자세 변화에 따라 양호하게 변형되고(양호하게 구부러지고), 착용자 피부와의 접촉이 담보되어, 샘 방지 효과가 높아진다.
SMS 부직포, SMMS 부직포의 재질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복합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체액의 흡수 특성을 높이기 위해, 친수화 처리가 된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평량은 5∼40g/㎡, 특히, 10∼30g/㎡인 것이 바람직하다.
포장 시트(58)의 포장 형태는 적절히 정할 수 있지만, 제조 용이성이나 전후 끝 테두리로부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새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관점에서, 흡수체(56)의 표리면 및 양 측면을 둘러싸도록 통 형상으로 감고, 또한, 그 전후 테두리부를 흡수체(56)의 전후로부터 비어져나오게 하여, 겹쳐서 감는 부분 및 전후 비어져나온 부분의 중복 부분을 핫멜트 접착제, 소재 용착 등의 접합 수단으로 접합하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필요하다면, 흡수체(56)의 양 측면을 덮지 않고, 2매의 부직포로 표리면만을 덮는 것이어도 된다.
<명세서 내의 용어 설명>
명세서 내 이하의 용어는 명세서 내에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이하의 의미를 갖는 것이다.
·「전후(세로) 방향」이란, 배측(앞쪽)과 등측(뒤쪽)을 연결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폭 방향」이란,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좌우 방향)을 의미한다.
·「표측」이란,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하였을 때에, 착용자의 피부와 가까운 쪽을 의미하고, 「이측」이란,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하였을 때에, 착용자의 피부로부터 먼 쪽을 의미한다.
·「표면」이란, 부재가,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하였을 때에, 착용자의 피부와 가까운 쪽의 면을 의미하고, 「이면」이란,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하였을 때에, 착용자의 피부로부터 먼 쪽의 면을 의미한다.
·「면적율」이란, 단위면적에서 차지하는 대상 부분의 비율을 의미하며, 대상 영역(예를 들면, 커버 부직포)에서 대상 부분(예를 들면, 구멍)의 총합 면적을 해당 대상 영역의 면적으로 나누어서 백분율로 나타내는 것이다. 대상 부분이 간격을 두고 다수 마련되는 형태에서는, 대상 부분이 10개 이상 포함되는 크기로 대상 영역을 설정하여, 면적율을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구멍의 면적율은 예를 들면, KEYENCE사의 상품명 VHX-1000을 사용하여, 측정 조건을 20배로 하여, 이하의 순서로 측정할 수 있다.
(1) 20배 렌즈에 세팅하여, 핀트를 조절한다. 구멍이 4×6 들어가도록, 부직포의 위치를 조정한다.
(2) 구멍의 영역 밝기를 지정하여, 구멍의 면적을 계측한다.
(3) 「계측·코멘트」의 「면적 계측」의 색 추출을 클릭한다. 구멍 부분을 클릭한다.
(4) 「일괄 계측」을 클릭하여, 「계측 결과 윈도우를 표시」에 체크하고, CSV 데이터로 보존한다.
·「신장율」은 자연 길이를 100%로 하였을 때의 값을 의미한다.
·「겔 강도」는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되는 것이다. 인공뇨(요소: 2wt%, 염화나트륨: 0.8wt%, 염화칼슘 2수화물: 0.03wt%, 황산마그네슘 7수화물: 0.08wt% 및 이온 교환수: 97.09wt%를 혼합한 것) 49.0g에 고흡수성 폴리머를 1.0g 더하여, 교반기로 교반시킨다. 생성한 겔을 40℃×60% RH의 항온 항습조 내에 3시간 방치한 뒤, 상온으로 되돌려서, 커드미터(I. techno Engineering사 제조: Curdmeter-MAX ME-500)로 겔 강도를 측정한다.
·「평량」은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되는 것이다. 시료 또는 시험편을 예비 건조시킨 후, 표준 상태(시험 장소는 온도 20±5℃, 상대 습도 65% 이하)의 시험실 또는 장치 내에 방치하여, 항량이 된 상태로 한다. 예비 건조는, 시료 또는 시험편을 상대 습도 10∼25%, 온도 50℃를 넘지 않는 환경에서 항량으로 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공정 수분율이 0.0%인 섬유에 대해서는, 예비 건조를 실시하지 않아도 된다. 항량이 된 상태의 시험편으로부터 미터평량판(200㎜×250㎜,±2㎜)을 사용하여, 200㎜×250㎜(±2㎜) 치수의 시료를 잘라낸다. 시료의 중량을 측정하여, 20배하고, 1평방미터당의 무게를 산출하여, 평량으로 한다.
·「두께」는 자동 두께 측정기(KES-G5 핸디 압축 계측 프로그램)를 이용하여, 하중: 10gf/㎠ 및 가압 면적: 2㎠의 조건하에서 자동 측정한다.
·흡수량은 JIS K7223-1996 「고흡수성 수지의 흡수량 시험 방법」에 따라 측정한다.
·흡수 속도는 2g의 고흡수성 폴리머 및 50g의 생리식염수를 사용하여, JIS K7224-1996 「고흡수성 수지의 흡수 속도 시험법」을 실시하였을 때의 「종점까지의 시간」으로 한다.
·「전개 상태」란, 수축이나 이완 없이 평탄하게 전개한 상태를 의미한다.
·각 부의 치수는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자연 길이 상태가 아니라, 전개 상태에서의 치수를 의미한다.
·시험이나 측정에서 환경 조건에 대한 기재가 없는 경우, 그 시험이나 측정은 표준 상태(시험 장소는 온도 20±5℃, 상대 습도 65% 이하)의 시험실 또는 장치 내에서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 외에, 패드 타입 일회용 기저귀,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 전반에 이용할 수 있는 것 외에, 생리용 냅킨 등의 일회용 흡수성 물품에 적용 가능한 것이다.
11 액 불투과성 시트
20 커버 부직포
20H 핫멜트 접착제
14 개공
15 접합점
30 탑 시트
40 중간 시트
50 흡수 요소
56 흡수체
58 포장 시트
60 측부 개더
62 개더 부직포
LD 전후 방향
WD 폭 방향

Claims (6)

  1. 사용 측 표면을 구성하는 탑 시트와, 이면 측에 마련된 액 불투과성 시트와, 이들 사이에 개재된 흡수 요소를 갖는 일회용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탑 시트는, 표리로 관통되는 개공이, 제품의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으로 각각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유공 부직포이며,
    상기 탑 시트의 이면 측에 투액성 중간 시트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탑 시트와 상기 중간 시트가, 열 접착 또는 초음파 접착에 의해, 다수의 접합점에서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개공은 그 면적이 1∼30㎟이고,
    상기 접합점은 그 면적이 0.12∼20㎟이며, 또한, 상기 개공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이며,
    상기 개공의 폭 방향 이간 거리와, 상기 접합점의 폭 방향 이간 거리는 0.2㎜ 이상 상이한 값이고,
    상기 개공의 전후 방향 이간 거리와, 상기 접합점의 전후 방향 이간 거리는 0.2㎜ 이상 상이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공의 폭 방향 이간 거리가 3.0∼9.0㎜, 전후 방향 이간 거리가 2.5∼9.0㎜이고,
    상기 접합점의 폭 방향 이간 거리가 2.0∼7.0㎜, 전후 방향 이간 거리가 2.5∼8.0㎜인,
    일회용 흡수성 물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점의 반복열이 폭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각각 경사를 갖고 배치되어 있는,
    일회용 흡수성 물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 시트에 글리세린을 주체로 한 보습제가 적용되어 있는,
    일회용 흡수성 물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는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전후 방향을 따라 적용되어 있는,
    일회용 흡수성 물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시트는 상기 탑 시트와 상기 흡수 요소의 사이에 배치된, 상기 탑 시트보다 체액의 투과 속도가 빠른 세컨드 시트인,
    일회용 흡수성 물품.
KR1020227027046A 2020-03-13 2021-03-09 일회용 흡수성 물품 Pending KR202201540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44429A JP7424874B2 (ja) 2020-03-13 2020-03-13 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JP-P-2020-044429 2020-03-13
PCT/JP2021/009193 WO2021182445A1 (ja) 2020-03-13 2021-03-09 使い捨て吸収性物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088A true KR20220154088A (ko) 2022-11-21

Family

ID=77671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7046A Pending KR20220154088A (ko) 2020-03-13 2021-03-09 일회용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108153A1 (ko)
EP (1) EP4088698A4 (ko)
JP (1) JP7424874B2 (ko)
KR (1) KR20220154088A (ko)
CN (1) CN115038420A (ko)
TW (1) TWI854105B (ko)
WO (1) WO202118244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02836A (ja) 2016-12-28 2018-07-0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9457A (ja) * 2004-11-25 2006-06-15 Daio Paper Corp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及び吸収性物品
JP4346581B2 (ja) * 2005-06-16 2009-10-21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KR101310852B1 (ko) * 2005-11-02 2013-09-25 유니 참 코포레이션 흡수성 물품
JP4417984B2 (ja) * 2007-06-29 2010-02-17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4417985B2 (ja) 2007-06-29 2010-02-17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5913881B2 (ja) 2011-09-22 2016-04-27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6171899B2 (ja) 2013-12-03 2017-08-02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トップシート
WO2017030136A1 (ja) * 2015-08-17 2017-02-23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158992B2 (ja) 2015-08-17 2017-07-05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087462B1 (ja) * 2016-05-13 2017-03-0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058852B1 (ja) * 2016-05-13 2017-01-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用の不織布
JP6144805B1 (ja) * 2016-06-09 2017-06-07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247728B1 (ja) * 2016-09-30 2017-12-13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及び有孔不織布の貼り付け方法
JP6379248B1 (ja) * 2017-03-21 2018-08-22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02836A (ja) 2016-12-28 2018-07-0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88698A1 (en) 2022-11-16
TWI854105B (zh) 2024-09-01
JP7424874B2 (ja) 2024-01-30
US20230108153A1 (en) 2023-04-06
WO2021182445A1 (ja) 2021-09-16
EP4088698A4 (en) 2024-02-07
TW202133826A (zh) 2021-09-16
JP2021142241A (ja) 2021-09-24
CN115038420A (zh) 2022-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6506A (ko) 흡수성 물품
US11617690B2 (en) Disposable wearing article and method of bonding perforated nonwoven fabric
KR102722648B1 (ko)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
WO2021100777A1 (ja) 使い捨ておむつ
KR102451334B1 (ko)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
JP2016067501A (ja)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2021078872A5 (ko)
JP7512186B2 (ja) 使い捨ておむつ
KR20220154088A (ko) 일회용 흡수성 물품
JP7362443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7345365B2 (ja) 使い捨ておむつ
US12274608B2 (en) Disposable diaper with improved absorption and leakage protection
JP6633729B2 (ja)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2021142241A5 (ko)
JP7349809B2 (ja) 連結式使い捨て着用物品
JP6633730B2 (ja)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及びその製造方法
JP7389432B2 (ja) 吸収性物品
JP2019063005A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7129179B2 (ja) 吸収性物品の伸縮構造
JP2021078868A5 (ko)
JP2021078871A5 (ko)
KR20220159356A (ko) 흡수성 물품
JP2019150394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0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309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3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