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2364A - 분리형 키보드 - Google Patents
분리형 키보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52364A KR20220152364A KR1020210059644A KR20210059644A KR20220152364A KR 20220152364 A KR20220152364 A KR 20220152364A KR 1020210059644 A KR1020210059644 A KR 1020210059644A KR 20210059644 A KR20210059644 A KR 20210059644A KR 20220152364 A KR20220152364 A KR 2022015236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eyboard
- parts
- volume
- carrying
- compatib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21—Arrangements for reducing keyboard size for transport or storage, e.g. foldable keyboards, keyboards with collapsible k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형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키보드 몸체에 의하여 작은 책상에서 필요한 부분만 사용할수 있고 휴대시 부피를 줄일 수 있게 하고, 연결 부품에 의하여 분리되어 있는 키보드를 연결할때 호환시켜 줄 수 있게 함으로써 휴대및 사용에 용이하지않은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휴대및 사용에 용이하지않은 문제점을 해소 하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키보드에 있어서 작은 책상에서 필요한 부분만 사용할수 있고 휴대시 부피를 줄일 수 있게 키보드 몸체를 3부분으로 분할해 상황에 따라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한 키보드 몸체, 자판 입력을 편하게 할 수 있게 네모난 칸으로 구성한 자판 버튼, 분리되어 있는 키보드를 연결할때 호환시켜 줄 수 있게 분리되어있는 키보드에 연결포트를 형성한 연결 부품으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키보드 몸체에 의하여 작은 책상에서 필요한 부분만 사용할수 있고 휴대시 부피를 줄일 수 있게 하고, 연결 부품에 의하여 분리되어 있는 키보드를 연결할때 호환시켜 줄 수 있게 함으로써 휴대및 사용에 용이하지않은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휴대및 사용에 용이하지않은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키보드에 있어서 작은 책상에서 필요한 부분만 사용할수 있고 휴대시 부피를 줄일 수 있게 키보드 몸체를 3부분으로 분할해 상황에 따라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한 키보드 몸체, 자판 입력을 편하게 할 수 있게 네모난 칸으로 구성한 자판 버튼, 분리되어 있는 키보드를 연결할때 호환시켜 줄 수 있게 분리되어있는 키보드에 연결포트를 형성한 연결 부품으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키보드 몸체에 의하여 작은 책상에서 필요한 부분만 사용할수 있고 휴대시 부피를 줄일 수 있게 하고, 연결 부품에 의하여 분리되어 있는 키보드를 연결할때 호환시켜 줄 수 있게 함으로써 휴대및 사용에 용이하지않은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휴대및 사용에 용이하지않은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분리형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키보드에 있어서,
작은 책상에서 필요한 부분만 사용할수 있고 휴대시 부피를 줄일 수 있게 키보드 몸체를 3부분으로 분할해 상황에 따라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한 키보드 몸체, 자판 입력을 편하게 할 수 있게 네모난 칸으로 구성한 자판 버튼, 분리되어 있는 키보드를 연결할때 호환시켜 줄 수 있게 분리되어있는 키보드에 연결포트를 형성한 연결 부품으로 구성 하여서,
키보드 몸체에 의하여 작은 책상에서 필요한 부분만 사용할수 있고 휴대시 부피를 줄일 수 있게 하고, 연결 부품에 의하여 분리되어 있는 키보드를 연결할때 호환시켜 줄 수 있게 함으로써 휴대및 사용에 용이하지않은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키보드는 사용자가 컴퓨터에 글자나 숫자, 기호를 입력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키보드는 키보드 몸체, 자판버튼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은 키보드는 키보드 몸체에 있는 자판버튼을 눌러 입력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키보드는 휴대및 사용에 용이하지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키보드가 휴대및 사용에 용이하지않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작은 책상에서 필요한 부분만 사용할수 있고 휴대시 부피를 줄일 수 있게 키보드 몸체를 3부분으로 분할해 상황에 따라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한 키보드 몸체, 자판 입력을 편하게 할 수 있게 네모난 칸으로 구성한 자판 버튼, 분리되어 있는 키보드를 연결할때 호환시켜 줄 수 있게 분리되어있는 키보드에 연결포트를 형성한 연결 부품으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작은 책상에서 필요한 부분만 사용할수 있고 휴대시 부피를 줄일 수 있게 키보드 몸체를 3부분으로 분할해 상황에 따라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한 키보드 몸체, 자판 입력을 편하게 할 수 있게 네모난 칸으로 구성한 자판 버튼, 분리되어 있는 키보드를 연결할때 호환시켜 줄 수 있게 분리되어있는 키보드에 연결포트를 형성한 연결 부품으로 구성 함으로써, 키보드 몸체에 의하여 작은 책상에서 필요한 부분만 사용할수 있고 휴대시 부피를 줄일 수 있게 하고, 연결 부품에 의하여 분리되어 있는 키보드를 연결할때 호환시켜 줄 수 있게 함으로써 휴대및 사용에 용이하지않은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 본 발명을 분리된 상태로 위에서 본 그림
도 2: 본 발명을 연결된 상태로 위에서 본그림
즉, 본 발명은 작은 책상에서 필요한 부분만 사용할수 있고 휴대시 부피를 줄일 수 있게 키보드 몸체를 3부분으로 분할해 상황에 따라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한 (1)키보드 몸체, 자판 입력을 편하게 할 수 있게 네모난 칸으로 구성한 (2)자판 버튼, 분리되어 있는 키보드를 연결할때 호환시켜 줄 수 있게 분리되어있는 키보드에 연결포트를 형성한 (3)연결 부품으로 구성 된 것이다.
여기서, (1)키보드 몸체는 작은 책상에서 필요한 부분만 사용할수 있고 휴대시 부피를 줄일 수 있게 키보드 몸체를 3부분으로 분할해 상황에 따라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3)연결 부품은 분리되어 있는 키보드를 연결할때 호환시켜 줄 수 있게 분리되어있는 키보드에 연결포트를 형성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사용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키보드에 있어서 작은 책상에서 필요한 부분만 사용할수 있고 휴대시 부피를 줄일 수 있게 키보드 몸체를 3부분으로 분할해 상황에 따라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한 (1)키보드 몸체, 자판 입력을 편하게 할 수 있게 네모난 칸으로 구성한 (2)자판 버튼, 분리되어 있는 키보드를 연결할때 호환시켜 줄 수 있게 분리되어있는 키보드에 연결포트를 형성한 (3)연결 부품으로 구성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휴대및 사용에 용이하지않은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키보드 몸체를 3부분으로 분할해 상황에 따라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한 (1)키보드 몸체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작은 책상에서 필요한 부분만 사용할수 있고 휴대시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분리되어있는 키보드에 연결포트를 형성한 (3)연결 부품으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분리되어 있는 키보드를 연결할때 호환시켜 줄 수 있게 될 것이다.
1: 키보드 몸체, 2: 자판 버튼, 3: 연결 부품
Claims (3)
- 키보드에 있어서,
작은 책상에서 필요한 부분만 사용할수 있고 휴대시 부피를 줄일 수 있게 키보드 몸체를 3부분으로 분할해 상황에 따라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한 (1)키보드 몸체, 자판 입력을 편하게 할 수 있게 네모난 칸으로 구성한 (2)자판 버튼, 분리되어 있는 키보드를 연결할때 호환시켜 줄 수 있게 분리되어있는 키보드에 연결포트를 형성한 (3)연결 부품으로 구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키보드. - 제 1항에 있어서,
(1)키보드 몸체를 통하여 작은 책상에서 필요한 부분만 사용할수 있고 휴대시 부피를 줄일 수 있게 키보드 몸체를 3부분으로 분할해 상황에 따라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키보드. - 제 1항에 있어서,
(3)연결 부품을 통하여 분리되어 있는 키보드를 연결할때 호환시켜 줄 수 있게 분리되어있는 키보드에 연결포트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키보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9644A KR20220152364A (ko) | 2021-05-08 | 2021-05-08 | 분리형 키보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9644A KR20220152364A (ko) | 2021-05-08 | 2021-05-08 | 분리형 키보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52364A true KR20220152364A (ko) | 2022-11-15 |
Family
ID=84041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59644A Pending KR20220152364A (ko) | 2021-05-08 | 2021-05-08 | 분리형 키보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152364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75610A (ko) | 2015-10-27 | 2018-07-04 | 앰비디오 인코포레이티드 | 사운드 스테이지 향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
2021
- 2021-05-08 KR KR1020210059644A patent/KR20220152364A/ko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75610A (ko) | 2015-10-27 | 2018-07-04 | 앰비디오 인코포레이티드 | 사운드 스테이지 향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D192852S (zh) | 具複數個工作區塊的鍵盤 | |
TWD214392S (zh) | 鍵盤 | |
KR20220152364A (ko) | 분리형 키보드 | |
JP3196072U (ja) | 多機能リモコン | |
KR20240007444A (ko) | 누름버튼이 구비된 볼펜 | |
CN103246364A (zh) | 多键盘多鼠标多显示屏电脑 | |
CN204472221U (zh) | 一种万变七彩笔 | |
CN204088134U (zh) | 一种新型微手感键盘 | |
TWM375928U (en) | Keyboard | |
CN206497427U (zh) | 一种嵌入式笔记本超薄机械键盘 | |
TWD217933S (zh) | 鍵盤 | |
CN207965811U (zh) | 一种多功能组合键盘 | |
CN221056914U (zh) | 中裂式键盘 | |
CN101093418A (zh) | 一种双面键盘组件 | |
KR20210061483A (ko) | 다기능 복합적 형광펜 (3색 형광펜) | |
CN213904297U (zh) | 一种同时适用于左右手的单手游戏键盘 | |
KR20220164980A (ko) | 접철식 키보드 | |
CN204557389U (zh) | 时尚防尘键盘 | |
KR200367109Y1 (ko) | 칠판 강의용 다색 분필 | |
Wieman | Democracy and Language | |
CN202486710U (zh) | 一种新型折叠键盘 | |
TWD239248S (zh) | 鍵盤 | |
CN209928959U (zh) | 自然音域拓宽半音的九孔竹笛 | |
CN209149260U (zh) | 一种新型对弧形键盘 | |
TWD205365S (zh) | 鍵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0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