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0299A - 자원 처리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매체 - Google Patents
자원 처리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매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50299A KR20220150299A KR1020227029948A KR20227029948A KR20220150299A KR 20220150299 A KR20220150299 A KR 20220150299A KR 1020227029948 A KR1020227029948 A KR 1020227029948A KR 20227029948 A KR20227029948 A KR 20227029948A KR 20220150299 A KR20220150299 A KR 2022015029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over
- terminal
- information
- network device
- cel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7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hand-off failure or reje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33—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72—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resource information of target access poi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26—Resource reserv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58—Transmission of hand-off measurement information, e.g. measurement repor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37—Determination of triggering parameters for hand-of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는 자원 처리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매체를 제공하며, 여기서, 해당 방법은, 단말기가 네트워크에 접속 시, 핸드오버 보고를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생성하고, 해당 제1 정보를 발송하며, 상응하게,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발송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정보를 수신하고, 각각의 제1 정보는 대응되는 단말기의 핸드오버 보고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따라서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핸드오버 보고를 기초로, 네트워크 기기가 할당한 예약 자원을 조정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조건부 핸드오버 중의 단말을 위해 예약한 자원 풀의 커버 범위와 크기를 조정하고, 단말기에 할당한 예약 자원과 단말기의 매칭도를 향상시키고, 부적합 자원의 할당 확률을 감소하고, 자원 낭비 또는 자원 부족의 문제를 해결한다.
Description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원 처리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매체에 관한 것이다.
5G 뉴 라디오(5G New Radio, 5G NR) 시스템에서는 조건부 핸드오버 (Conditional Handover)가 개발되었으며, 조건부 핸드오버 과정에서 단말기는 더 이상 핸드오버 명령을 받은 후 바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핸드오버 명령에 첨부된 조건이 만족된 후에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것으로, 이런 경우 채널 상태의 급격한 변화로 인한 핸드오버 실패 문제를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다.
종래기술에서는, 단말기가 조건부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소스 기지국은 단말기를 위해 복수의 잠재적 목표 셀에 의해 제공되는 랜덤 액세스 자원을 구성하고, 해당 복수의 잠재적 목표 셀의 액세스 구성 정보를 해당 단말기로 발송할 것이다. 이때 단말기는 복수의 잠재적 목표 셀의 액세스 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 즉시 셀 핸드오버를 수행하지 않고, 이동 과정에서 잠재적 목표 셀의 신호 품질을 계속 측정하고, 조건부 핸드오버의 활성화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한다. 활성화 조건이 만족되면, 즉, 해당 조건부 핸드오버의 유효 기간 내에 어느 잠재적인 목표 셀의 신호 품질이 현재 연결된 셀의 신호 품질보다 좋고 둘 사이의 차이가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크면, 해당 잠재적 목표 셀을 선택하여 셀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하지만, 조건부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것을 선택할 때, 소스 기지국은 수신된 여러 잠재적인 목표 셀의 액세스 자원을 기반으로, 단말기에 랜덤 액세스 자원을 랜덤으로 예약하며, 이때 예약 자원이 너무 많아 자원의 낭비를 일으키는 문제가 나타날 수 있고, 예약 자원이 너무 적어 단말기가 사용할 적당한 자원이 존재하지 않는 문제가 나타날 수도 있다. 즉, 기존의 조건부 핸드오버 방법은 예약 자원이 적합하지 않아 자원 낭비나 자원 부족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자원 처리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매체를 제공하며, 소스 기지국이 단말기를 위해 예약한 핸드오버 셀 자원이 적합하지 않아 자원 낭비나 자원 부족을 초래하는 문제를 해결한다.
제1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단말기에 응용되는 자원 처리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제1 정보를 생성하되, 여기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단말기의 핸드오버 보고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보를 발송하되, 여기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단말기의 소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핸드오버 보고를 기초로 예약 자원을 조정하기 위한 것인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기에 응용되는 자원 처리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가 발송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정보를 획득하되; 여기서, 각각의 제1 정보는 대응되는 단말기의 핸드오버 보고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핸드오버 보고를 기초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할당한 예약 자원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자원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바, 처리 모듈과 발송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 모듈은 제1 정보를 생성하되; 여기서, 상기 제1 정보는 단말기의 핸드오버 보고를 포함하고;
상기 발송 모듈은 상기 제1 정보를 발송하되, 여기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단말기의 소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핸드오버 보고를 기초로 예약 자원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제4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자원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바, 획득 모듈과 처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획득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가 발송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정보를 획득하되; 여기서, 각각의 제1 정보는 대응되는 단말기의 핸드오버 보고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핸드오버 보고를 기초로, 네트워크 기기가 할당한 예약 자원을 조정한다.
제5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단말기를 제공하는 바,
프로세서, 메모리, 송신기, 및 네트워크 기기와 통신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에는 컴퓨터 실행 명령이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명령을 실행하여, 상기 프로세서가 상술한 제1 측면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술한 프로세서는 칩일 수 있다.
제6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는 바,
프로세서, 메모리, 수신기, 및 단말기와 통신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에는 컴퓨터 실행 명령이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명령을 실행하여, 상기 프로세서가 상술한 제2 측면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술한 프로세서는 칩일 수 있다.
제7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제공하는 바,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는 컴퓨터 실행 명령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실행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측면에 따른 방법을 구현한다.
제8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제공하는 바,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는 컴퓨터 실행 명령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실행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2 측면에 따른 방법을 구현한다.
제9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해당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측면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제10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해당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2 측면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제11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며,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고, 프로그램 명령은 제1 측면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제12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며,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고, 프로그램 명령은 제2 측면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제13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칩을 제공하는 바, 처리 모듈과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해당 처리 모듈은 제1 측면에 따른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나아가, 해당 칩은 저장 모듈(예컨대,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저장 모듈은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처리 모듈은 저장 모듈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며, 저장 모듈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여 처리 모듈이 제1 측면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제14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칩을 제공하는 바, 처리 모듈과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해당 처리 모듈은 제2 측면에 따른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나아가, 해당 칩은 저장 모듈(예컨대,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저장 모듈은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처리 모듈은 저장 모듈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며, 저장 모듈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여 처리 모듈이 제2 측면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제15 측면에서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바, 네트워크 기기와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술한 제3 측면에 따른 장치이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술한 제4 측면에 따른 장치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자원 처리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매체는, 단말기가 네트워크에 접속 시, 생성된 핸드오버 보고를 포함하는 제1 정보를 발송하여, 소스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기의 핸드오버 보고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조건부 핸드오버 중 단말을 위해 예약한 자원 풀의 커버 범위와 크기를 조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단말기에 할당한 예약 자원과 단말기의 매칭도를 향상시키고, 부적합 자원의 할당 확률을 감소하고, 자원 낭비 또는 자원 부족 문제를 해결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응용되는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일 도면이다.
도 2는 기존 조건부 핸드오버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자원 처리 방법 실시예 1의 인터랙션 도면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자원 처리 방법 실시예 2의 인터랙션 도면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목표 셀에 포함된 빔의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출원에 따른 자원 처리 장치 실시예 1의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에 따른 자원 처리 장치 실시예 2의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에 따른 단말기의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의 구조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기존 조건부 핸드오버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자원 처리 방법 실시예 1의 인터랙션 도면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자원 처리 방법 실시예 2의 인터랙션 도면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목표 셀에 포함된 빔의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출원에 따른 자원 처리 장치 실시예 1의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에 따른 자원 처리 장치 실시예 2의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에 따른 단말기의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의 구조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목적, 기술방안 및 이점이 더욱 명확하도록, 아래에서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첨부 도면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기술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물론, 기재되는 실시예는 본 출원의 부분 실시예일 뿐, 전부의 실시예는 아니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초 상에서, 본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창조적인 노력을 들이지 않고 획득한 모든 기타 실시예들은 전부 본 출원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명세서와 청구범위 및 상술한 첨부 도면 중의 용어 "제1", "제2" 등은 유사한 대상을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정 순서 또는 선후 순서를 기재할 필요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여기에 도시 또는 기재된 것 이외의 기타 순서로 실시될 수 있도록, 이렇게 사용되는 데이터는 적합한 경우에 서로 호환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용어 "포함”과 "구비”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은, 비배타적인 포함을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일련의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하는 과정, 방법, 시스템, 제품 또는 기기는 명확히 나열된 그들 단계 또는 유닛에 한정될 필요가 없으며, 오히려 명확하게 나열되지 않은 것이거나, 이러한 과정, 방법, 제품 또는 기기의 고유한 기타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응용되는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통신 시스템은 단말기와 네트워크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실제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와 네트워크 기기의 수량은 모두 하나 또는 복수 개일 수 있다. 도 1에는 예시적으로 하나의 단말기와 3개의 네트워크 기기가 도시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네트워크 기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네트워크 기기의 커버리지 범위 내에는 기타 수량의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해당 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네트워크 기기와 단말기의 수량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도 1은 단지 예시적인 도면으로서, 해당 통신 시스템에는 기타 네트워크 기기, 예를 들어, 코어망 기기, 무선 중계 기기와 무선 백홀 기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또는 네트워크 제어기, 모바일 관리 엔티티 등 기타 네트워크 엔티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글로벌 이동 통신(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시스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롱 템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타임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시스템, 선진적인 롱 템 에볼루션(advanced long term evolution, LTE-A) 시스템, 뉴 라디오(new radio, NR) 시스템, NR 시스템의 진화형 시스템, 비허가 스펙트럼 상의 LTE(LTE-based access to unlicensed spectrum, LTE-U) 시스템, 비허가 스펙트럼 상의 NR(NR-based access to unlicensed spectrum, NR-U) 시스템,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와이맥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통신 시스템, 무선 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차세대 통신 시스템 또는 기타 통신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통신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연결 수량은 제한되어 있고, 쉽게 구현할 수 있다. 하지만,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동 통신 시스템은 기존의 통신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기기 대 기기(device to device, D2D) 통신, 머신 대 머신(machine to machine, M2M) 통신, 머신 타입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및 차량 간(vehicle to vehicle, V2V) 통신 등도 지원하게 되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러한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시스템 구조 및 서비스 시나리오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에 대한 한정이 아니며,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네트워크 구조의 발전과 새로운 서비스 시나리오가 나타남에 따라,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은 유사한 기술문제에 대하여 동일하게 적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는, 일반적인 기지국(예컨대 NodeB 또는 eNB 또는 gNB), 뉴 라디오 제어기(new radio controller, NR controller), 집중식 유닛(centralized unit), 뉴 라디오 기지국, RF 리모트 모듈, 마이크로 기지국, 릴레이(relay), 분포식 유닛 (distributed unit), 수신 포인트(transmission reception point, TRP), 전송 포인트(transmission point, TP) 또는 임의의 기타 기기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기가 사용하는 구체적인 기술 및 구체적인 기기의 형태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출원의 모든 실시예에서, 상술한 단말기에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는 네트워크 기기로 통칭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임의의 단말일 수 있으며, 예컨대 단말기는 기계 유형의 통신하는 사용자 기기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해당 단말기는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MS), 모바일 단말(mobile terminal), 단말(terminal) 등으로도 불리울 수 있으며, 해당 단말기는 무선 접속망(radio access network, RAN)을 거쳐 하나 또는 복수의 코어망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말기는 모바일폰(또는 "셀"폰이라고 함), 이동 단말을 구비한 컴퓨터 등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단말기는 휴대형, 포켓형, 핸드헬드형, 컴퓨터 내장 또는 차량 탑재용 이동 장치일 수도 있으며, 이들은 무선 접속망과 언어 및/또는 데이터를 교환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기와 단말기는 실내 또는 실외, 핸드헬드 또는 차량 탑재용을 포함하는 지면에 배치될 수 있고; 수면에 배치될 수도 있고; 공중의 비행기, 풍선과 인공위성에 배치할 수도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기와 단말기의 응용 시나리오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기와 단말기 사이 및 단말기와 단말기 사이는 허가 주파수 스팩트럼(licensed spectrum)을 통해 통신할 수 있고, 비허가 주파수 스팩트럼(unlicensed spectrum)을 통해 통신할 수도 있고, 동시에 허가 주파수 스팩트럼 및 비허가 주파수 스팩트럼을 통해 통신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기기와 단말기 사이 및 단말기와 단말기 사이는 7기가 헤르츠(gigahertz, GHz) 이하의 주파수 스팩트럼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7GHz 이상의 주파수 스팩트럼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고, 동시에 7GHz이하의 주파수 스팩트럼과 7GHz이상의 주파수 스팩트럼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기와 단말기 사이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스팩트럼 자원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시나리오에서, 단말기의 응용 과정에, 일부 특수한 시나리오의 경우, 예를 들어 단말기가 고속으로 이동하는 교통 도구 상에 있을 때, 또는 고주파 조건에서, 단말기는 서로 다른 접속 기기(접속 포인트, 접속망 기기, 네트워크 기기 등이라고도 함)로 빈번하게 핸드오버해야 하며, 다시 말하면, 단말기는 응용 과정에 접속되는 셀을 핸드오버해야 한다.
현재, 5G NR에서는, 조건부 핸드오버(conditional handover, CHO)의 구체적인 구현이 규정되어 있다. 예시적으로, 도 2는 기존 조건부 핸드오버 방법의 흐름도이다. 해당 도면은 단말기, 소스 기지국, 목표 기지국과 기타 잠재적/후보 목표 기지국 사이의 인터랙션으로 해석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조건부 핸드오버의 단계는 아래와 같다.
1. 소스 기지국, 목표 기지국과 기타 잠재적/후보 목표 기지국이 인터랙션을 수행하여 영역 제약 조건을 확정하고;
2-3. 단말기는 소스 기지국의 측정 제어 지시에 기반하여 채널 등 측정 테스크를 수행하고, 상응 측정 보고를 보고하고;
4. 소스 기지국은 수신된 측정 보고를 기초로 조건부 핸드오버를 수행할 것을 결정하고;
5-6. 소스 기지국은 목표 기지국, 기타 잠재적/후보 목표 기지국과 인터랙션 협상하여, 복수의 잠재적 목표 셀의 접속 구성 정보를 획득한다.
구체적으로, 소스 기지국은 목표 기지국, 기타 잠재적/후보 목표 기지국에 조건부 핸드오버 요청을 발송하고, 목표 기지국, 기타 잠재적/후보 목표 기지국에서 접속 허용을 확정할 때, 소스 기지국에 조건부 핸드오버 요청 확인 정보를 피드백하여, 복수의 잠재적 목표 셀의 접속 구성 정보, 예를 들어, 랜덤 접속 자원을 획득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랜덤 접속 자원은, 예를 들어 무경쟁 전용 랜덤 접속 프리앰블,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C-RNTI)이다.
7-8. 소스 기지국과 단말기가 인터랙션하여, 단말기가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조건부 핸드오버를 수행 시 사용하는 랜덤 접속 자원을 획득한다.
9. 단말기는 조건부 핸드오버의 조건을 평가하고, 만약 이중 하나의 후보 셀이 핸드오버 조건을 만족하면, 단말기는 소스 셀로부터 분리하고 해당 핸드오버 조건을 만족하는 목표 셀로 동기화 한다.
10. 단말기는 랜덤 접속 과정을 수행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CHO에서,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잠재적 목표 셀의 관련 접속 구성 정보를 획득하고, 적어도 하나의 잠재적 목표 셀의 관련 접속 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 바로 조건부 핸드오버를 수행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것이 아니라, 이동 과정에 계속 잠재적 목표 셀의 기준 신호의 신호 품질을 측정하며, 조건부 핸드오버의 활성화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오직 활성화 조건이 만족될 때에만, 단말기는 하나의 목표 셀을 선택하여 접속한다.
선택적으로, 활성화 조건은 일정 시간대(트리거 시간대, time-to-trigger, 즉,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 내에 잠재적 목표 셀의 기준 신호 수신 파워(reference signal receiving power, RSRP)가 지속적으로 소스 서비스 셀의 RSRP보다 높고, 양자의 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네트워크 구성 임계값보다 큰 것이다.
다음 해당 방안에서, 단말기가 조건부 핸드오버를 실행할 것을 선택할 때, 소스 기지국은 복수의 잠재적 목표 셀로부터 획득된 접속 자원을 기초로, 랜덤으로 단말기에 랜덤 접속 자원을 예약하고, 이때 예약된 자원이 너무 많아, 자원을 낭비하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고, 예약된 자원이 너무 적어, 단말기가 사용하는데 적합한 자원이 존재하지 않는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단말기는 하나의 잠재적 목표 기지국에서 제공하는 자원만을 사용하기에, 만약 소스 기지국이 너무 많은 잠재적 목표 기지국이 제공하는 접속 자원을 모두 단말기의 예약 자원으로 하면, 기타 잠재적 목표 기지국의 자원의 무단 낭비를 일으킬 것이며, 상술한 복수의 잠재적 목표 기지국에 의해 커버되는 기타 단말의 랜덤 접속 과정(예를 들어, 전용 접속 프리앰블 자원이 소진되어, 정상적인 접속 불가)에 영향을 미친다.
예시적으로, 만약 소스 기지국이 적합한 잠재적 목표 기지국에 의해 제공되는 접속 자원을 예약하지 않으면, 이때 단말기는 부적합한 잠재적 목표 기지국에 의해 제공되는 자원 상에서 랜덤 접속을 수행할 수 밖에 없어, 핸드오버 실패 또는 자원 충돌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요약하면, 기존 조건부 핸드오버 방법은 예약 자원이 부적합하여, 자원 낭비 또는 자원 부족 문제를 일으킨다.
현재, 5G NR에서는, 이미 단말기가 전통적인 핸드오버에 기반하여 셀 핸드오버를 실행할 때 실패하는 일부 시나리오에 대하여 처리 전략을 제정하였다. 예를 들어, 셀 핸드오버 실패의 일부 시나리오는 단말의 너무 늦은 핸드오버 시나리오, 너무 빠른 핸드오버 시나리오, 잘못된 셀 핸드오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아래 서로 다른 시나리오 각각에 대하여 전통적인 핸드오버 실패 후의 처리 전략을 소개한다.
너무 늦은 핸드오버 시나리오에서:
단말기가 목표 셀로 재구성 요청을 발송하고, 재구성이 완성된 후, 해당 목표 셀이 소속된 목표 기지국은 단말기에 보고해야 할 무선 링크 실패(radio link failure, RLF) 정보 보고가 있는지 여부를 문의할 것이다. 상응하게, 만약 단말기가 재구성하기 전에 전통적인 핸드오버 실행이 실패하면, RLF정보 보고를 목표 기지국에 발송할 것이며, 이때, 목표 기지국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RLF정보 보고를 단말기의 소스 서비스 셀에 대응되는 소스 기지국(예시적으로,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발송)으로 발송한다. 소스 기지국은 복수의 단말기의 RLF정보 보고를 종합하여, 전통적인 핸드오버의 관련 파라미터를 조정함으로써, 핸드오버 과정을 최적화할 수 있다.
너무 빠른 핸드오버 시나리오에서:
단말기가 너무 빨리 전통적인 핸드오버를 실행할 때, 이때 단말기와 목표 기지국의 거리가 보다 멀기 때문에, 단말기와 목표 기지국의 무선 링크는 안정하지 않으며, 두 개의 좋지 않은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 첫째로, 단말기가 목표 기지국에 대해 수행한 랜덤 접속이 순조롭지 않아, 목표 기지국에서 발송한 랜덤 접속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고, T304 타이머가 만료될 때 랜덤 접속을 완성하지 못한다. 여기서, T304 타이머는 시스템 내 핸드오버 시 사용하는 타이머이다. 만약 단말기가 해당 T304 타이머의 시간 길이 내에 대응되는 핸드오버 과정을 완료하지 못하면, 상응한 자원 폴백을 수행하고,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연결 재구성 과정을 시작하고; 둘째로, 단말기가 목표 기지국과의 랜덤 접속을 완료한 후에, 목표 기지국의 무선 통신이 안정하지 않아 RLF를 일으킨다.
따라서, 단말기의 너무 빠른 핸드오버 시나리오에서, 단말기는 소스 기지국과 재구성 프로세스를 완성하고, 접속 소스 기지국의 서비스 셀에 접속한 후, RLF정보 보고를 소스 기지국에 발송한다. 이때, 소스 기지국은 복수의 단말기의 보고를 종합하여, 전통적인 핸드오버의 관련 파라미터를 조정함으로써, 핸드오버 과정을 최적화할 수 있다.
잘못된 셀 핸드오버 시나리오에서:
단말기가 어느 셀로 잘못 핸드오버한 경우(단말기가 해당 셀에 잠시만 상주), 단말기는 해당 셀로부터 신속히 이탈한 후, 해당 셀과의 무선 링크 품질이 저하되어, RLF를 선언한다. 이때, 단말기는 셀 재선택을 수행할 수 밖에 없으며, 새로운 셀에서 랜덤 접속을 수행한다.
단말기가 새로운 셀에 접속한 후 RLF 정보 보고를 보고할 수 있으며, 해당 RLF정보 보고는 RLF가 발생할 때 상주한 셀의 ID와 핸드오버 명령(RRC Reconfiguration message, RRC구성 정보)이 수신될 때 단말기가 위치한 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단말기가 최종 접속한 기지국은 단말기가 잘못된 셀에 핸드오버한 경우가 있음을 추측할 수 있으며, 해당 RLF정보 보고를 소스 기지국에 발송한다. 이때, 소스 기지국은 복수의 단말기의 보고를 종합하여, 전통적인 핸드오버의 관련 파라미터를 조정함으로써, 핸드오버 과정을 최적화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현재 기존 조건부 핸드오버 방법이 예약 자원이 부적합하여 자원 낭비 또는 자원 부족를 일으키는 문제가 존재하는 것에 대하여, 5G NR에서, 전통적인 핸드오버에 기반하여 셀 핸드오버를 수행 시 실패하는 일부 시나리오에서 제정된 처리 전략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자원 처리 방법을 제공하며, 전반적인 아이디어는, 단말기가 네트워크 핸드오버 과정을 수행한 후, 단말기의 핸드오버 보고를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생성하고, 해당 제1 정보를 발송하는 것이다. 이때, 단말기가 위치한 소스 서비스 셀의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복수의 단말기가 발송한 제1 정보를 획득하고, 제1 정보 중의 핸드오버 보고를 기초로, 단말기의 핸드오버 규칙을 분석함으로써, 단말기의 조건부 핸드오버 실행을 위해 예약된 자원을 조정할 수 있다.
아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출원의 기술방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이 필요한 것은, 본 출원의 기술방안은 아래의 내용 중 부분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아래 몇가지 구체적인 실시예는 서로 결합할 수 있고, 동일하거나 유사한 개념 또는 과정은 일 부 실시예에서 중복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자원 처리 방법 실시예 1의 인터랙션 도면이다. 해당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소스 네트워크 기기 사이의 정보의 인터랙션으로 해석 설명한다. 아래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중의 하나의 단말기와 소스 네트워크 기기의 인터랙션으로 설명하며, 기타 단말기의 실행 방안은 유사하기에, 본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해당 자원 처리 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301, 단말기가 제1 정보를 생성하되, 해당 제1 정보는 단말기의 핸드오버 보고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기가 네트워크에 접속 시, 단말기의 핸드오버 보고 등을 기초로 제1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실제 응용에서, 단말기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방식은 다양하므로, 소스 네트워크 기기로 하여금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식을 알도록 하기 위하여, 단말기는 핸드오버 유형 지시 정보를 통해 단말기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핸드오버 방식을 지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일 가능한 설계에서, 단말기의 핸드오버 보고는, 핸드오버 유형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해당 가능한 설계에서, 단말기가 핸드오버 유형 지시 정보를 확정한 후에, 해당 핸드오버 유형 지시 정보를 핸드오버 보고에 포함시킬 수 있으며, 이때, 해당 핸드오버 유형 지시 정보와 핸드오버 보고는 제1 정보에서 포함 관계이며, 즉, 핸드오버 유형 지시 정보의 캐리어는 핸드오버 보고이고, 핸드오버 보고의 캐리어는 제1 정보이다.
본 출원의 다른 가능한 설계에서, 단말기가 생성한 제1 정보는 핸드오버 유형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가능한 설계에서, 핸드오버 유형 지시 정보는 제1 정보에 포함되고, 이때, 해당 핸드오버 유형 지시 정보와 핸드오버 보고는 제1 정보에서 병존 관계이며, 즉 핸드오버 유형 지시 정보와 핸드오버 보고의 캐리어는 모두 제1 정보이다.
선택적으로, 상술한 임의의 가능한 설계에서, 해당 핸드오버 유형 지시 정보 핸드오버 유형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핸드오버 방식은,
조건부 핸드오버 방식, 비조건부 핸드오버 방식 중 하나이거나;
또는,
해당 핸드오버 유형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핸드오버 방식은,
전통적인 핸드오버 방식, 비전통적인 핸드오버 방식 중 하나이다.
예시적으로, 실제 응용에서, 단말기가 목표 셀에 접속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으며, 조건부 핸드오버 방식인지 여부에 따라 구분하며, 핸드오버 방식은 조건부 핸드오버 방식 또는 비조건부 핸드오버 방식일 수 있고; 전통적인 핸드오버 방식인지 여부에 따라 구분하며, 핸드오버 방식은 전통적인 핸드오버 방식 또는 비전통적인 핸드오버 방식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실제 응용에서, 일 핸드오버 방식은 경쟁 랜덤 접속 (contention based random access, CBRA) 방식이고, 해당 CBRA 방식이 소스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예약된 자원을 기초로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해당 CBRA 방식은 조건부 핸드오버 방식에 속할 수 있고; 해당 CBRA 방식이 소스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예약된 자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해당 CBRA 방식은 전통적인 핸드오버 방식에 속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소스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예약된 자원은 소스 네트워크 기기가 복수의 잠재적 목표 셀에서 제공한 접속 자원을 기초로 확정한 것일 수 있고, 따라서, 상술한 예약된 자원은 모든 잠재적 목표 셀에서 제공한 전부 접속 자원일 수 있고, 모든 잠재적 목표 셀에서 제공한 부분 접속 자원일 수 있고, 부분 잠재적 목표 셀에서 제공한 전부 접속 자원일 수도 있고, 또한 부분 잠재적 목표 셀에서 제공한 부분 접속 자원일 수도 있다. 해당 예약된 자원의 구체적인 구현은 소스 네트워크 기기가 실제 시나리오에 따라 확정한 것일 수 있으며,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예시적으로, 단말기가 조건부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소스 네트워크 기기가 확정한 복수의 잠재적 목표 셀 중에서 목표 셀을 선택하고, 해당 소스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기를 위해 예약한 자원을 기초로 네트워크에 성공적으로 접속한 경우, 해당 단말기가 제1 정보를 생성하고 보고하는 동작은 조건부 핸드오버 자체 행위에 의해 트리거 된다.
선택적으로, 단말기가 비조건부 핸드오버 방식을 기초로 네트워크에 접속할 경우, 예를 들어, 단말기가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재구성 방식을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할 경우, 단말기가 상술한 제1 정보를 생성하고 보고하는 동작은 무선 링크 실패(radio link failure, RLF) 행위에 의해 트리거되며, 이때, 해당 제1 정보에 포함된 핸드오버 보고는 기존 RLF보고의 정보 증강일 수 있고, 즉 제1 정보는 기존 RLF보고의 정보를 포함하고, CHO의 관련 정보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술한 핸드오버 보고는 아래에 나열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1. 단말기의 소스 서비스 셀이 단말기에 할당한 C-RNTI;
여기서, 해당 C-RNTI는 해당 소스 서비스 셀 무선에서의 단말기를 유일하게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설명해야 할 바로는, 오직 단말기가 연결 상태에 있을 때에만, 해당 C-RNTI는 유효하다.
2. 단말기의 소스 서비스 셀의 식별자;
본 실시예에서, 핸드오버 보고에 소스 서비스 셀의 식별자를 포함시킴으로써, 제1 정보를 수신한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기의 소스 서비스 셀을 확정할 수 있도록 한다.
3. 핸드오버 이전까지, 복수의 잠재적 목표 셀의 측정 정보; 또는, 핸드오버 이전까지, 구성된 뉴 라디오(NR) 주파수 상의 셀의 측정 정보.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해당 핸드오버 이전까지는 단말기가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한 후 CHO를 수행하기 전까지(up to the moment to execute CHO)로 해석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해당 핸드오버 이전까지에 대응되는 시간대는 시스템 중 타이머의 유효기간일 수 있다.
단말기가 셀 핸드오버를 실행하기 전에, 지속적으로 소스 네트워크 기기가 할당한 복수의 잠재적 목표 셀의 측정 정보, 또는, 소스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기를 위해 구성한 NR주파수 상의 셀의 측정 정보를 모니터링하며, 이때, 제1 정보를 수신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기가 핸드오버를 실행하기 전에 모니터링된 셀의 측정 정보를 인지하여, 후속 예약 자원의 조정에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해당 측정 정보는,
3.1. 셀의 신호 품질과 대응되는 셀 식별자;
3.2.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N개 셀의 식별자,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 임;
3.3. 신호 품질의 최대 값의 내림순으로 정렬된 후의 셀의 식별자와 신호 품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단말기가 복수의 셀에 대해 모두 신호 품질 측정을 수행한 경우, 해당 셀은 복수의 잠재적 목표 셀 중 모든 셀일 수 있고, 상술한 구성된 NR 주파수 상의 셀일 수도 있다.
일 가능한 설계에서, 단말기는 측정된 모든 셀의 신호 품질과 대응되는 셀 식별자를 핸드오버 보고에 포함시킬 수 있고;
다른 가능한 설계에서, 단말기는 측정된 모든 셀 중에서 N개를 선택하여 핸드오버 보고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 다른 가능한 설계에서, 단말기는 측정된 모든 셀 안건 신호 품질의 최대 값의 내림순으로 정렬하고, 정렬 후의 셀 식별자와 신호 품질을 핸드오버 보고에 포함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신호 품질은,
기준 신호 수신 파워(reference signal receiving power, RSRP), 기준 신호 수신 품질(reference signal receiving quality, RSRQ), 신호와 간섭 플러스 잡음 비(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SIN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신호 품질의 표시 방식은 상술한 RSRP, RSRQ, SINR중 하나 또는 복수 개 외에, 채널 품질을 표현하기 위한 기타 파라미터일 수도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신호 품질을 표시하는 파라미터의 단위는 dB 또는 dBm일 수 있다.
S302, 단말기가 해당 제1 정보를 발송하되; 여기서, 제1 정보는 해당 단말기의 소스 네트워크 기기가 해당 핸드오버 보고를 기초로 예약 자원을 조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기가 네트워크에 접속한 후, 생성된 제1 정보를 발송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단말기가 소스 서비스 셀로부터 목표 셀로 핸드오버하고, 소스 서비스 셀이 소스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서비스되는 하나의 셀일 때, 해당 목표 셀은 목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서비스되는 하나의 셀이며, 이때, 단말기는 해당 제1 정보를 목표 네트워크 기기로 발송하여, 해당 단말기의 소스 네트워크 기기가 제1 정보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목표 셀과 소스 서비스 셀이 동일한 네트워크 기기에 소속될 경우, 상술한 목표 네트워크 기기와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동일한 네트워크 기기이며, 이때, 단말기는 생성된 제1 정보를 직접 소스 네트워크 기기로 발송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목표 셀과 소스 서비스 셀이 서로 다른 네트워크 기기에 소속될 경우, 즉 목표 네트워크 기기와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가 서로 다른 네트워크 기기일 때, 단말기는 먼저 생성된 제1 정보를 목표 네트워크 기기로 발송하고, 해당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다시 해당 제1 정보를 소스 네트워크 기기로 포워딩할 수 있다.
S303,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가 발송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각각의 제1 정보는 대응되는 단말기의 핸드오버 보고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기의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단말기의 소스 서비스 셀과 목표 셀이 동일한 네트워크 기기에 속할 때, 해당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직접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단말기의 소스 서비스 셀과 목표 셀이 동일한 네트워크 기기에 속하지 않을 때, 해당 S303은 아래와 같은 단계로 구현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목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포워딩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적어도 하나의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중 대응되는 단말기의 접속 네트워크 기기이다.
구체적으로, 단말기는 생성된 제1 정보를 목표 셀이 소속된 목표 네트워크 기기에 발송하기에, 이때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다시 각각의 단말기의 제1 정보를 소스 네트워크 기기로 발송하며, 즉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목표 네트워크 기기를 통해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정보에 포함된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S301과 하기 도 4에 도시된 실시예 중의 기재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S304,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핸드오버 보고를 기초로, 할당된 예약 자원을 조정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정보에 대해 분석하여,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핸드오버 규칙을 확정할 수 있으며, 나아가 해당 핸드오버 규칙을 기초로, 단말기에 할당된 예약 자원을 조정한다.
해당 단계의 구체적인 구현은 아래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재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자원 처리 방법은, 각각의 단말기가 네트워크 핸드오버를 실행할 때, 모두 핸드오버 보고를 포함한 제1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발송할 수 있으며, 이때, 단말기의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제1 정보를 획득하고, 제1 정보 중의 핸드오버 보고를 기초로, 단말기의 핸드오버 규칙을 분석할 수 있으며, 나아가 단말기가 조건부 핸드오버를 실행하기 위해 예약된 자원을 조정한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기의 핸드오버 보고를 분석하여, 단말기의 핸드오버 규칙을 종합해 낼 수 있으며, 해당 핸드오버 규칙을 기초로 할당된 예약 자원을 조정함으로써, 불필요한 자원의 할당을 감소할 수 있으며, 단말기가 사용하는 자원 풀의 커버 범위와 크기를 줄이고, 단말기에 적합한 접속 자원을 제공하며, 기존 조건부 핸드오버 방법에 존재하는 예약 자원의 부적합함에 따른 자원 낭비 또는 자원 부족 문제를 방지한다.
선택적으로, 상술한 실시예의 기초 상에서,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자원 처리 방법 실시예 2의 인터랙션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술한 S301전에, 해당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401, 단말기가 소스 서비스 셀이 해당 단말기에 할당한 예약 접속 자원을 확정한다.
여기서, 해당 예약 접속 자원은 복수의 잠재적 목표 셀에서 제공한 접속 자원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기가 네트워크 핸드오버를 실행하기 전에, 현재 접속한 네트워크 기기, 즉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기가 보고한 측정 결과, 예를 들어, 단말기의 이동 궤적 또는 위치를 기초로, 복수의 잠재적인 셀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기기와 인터랙션을 수행하여, 해당 단말기를 위해 접속 자원을 제공할 수 있는 복수의 잠재적 목표 셀을 확정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해당 복수의 잠재적 목표 셀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기기와 인터랙션 협상하여, 복수의 잠재적 목표 셀에서 제공한 접속 자원을 획득하고, 나아가 다시 해당 복수의 잠재적 목표 셀에서 제공한 접속 자원을 기초로 해당 단말기를 위해 예약 접속 자원을 할당하여, 단말기가 네트워크 핸드오버를 실행 시 사용하도록 한다.
S402, 단말기가 소스 서비스 셀로부터 목표 셀로 핸드오버한다.
여기서, 해당 소스 서비스 셀은 소스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서비스되는 하나의 셀이고, 해당 목표 셀은 목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서비스되는 하나의 셀이다.
선택적으로, 단말기는 소스 서비스 셀이 이를 위해 할당한 예약 접속 자원을 획득한 후, 실제 시나리오를 기초로 네트워크 핸드오버를 실행할 수 있으며, 나아가 소스 서비스 셀로부터 목표 셀로 접속한다.
예시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다양한 핸드오버 방식을 기초로 목표 셀에 접속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다.
일 예시로서, 해당 S402는 아래의 단계를 통해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예약 접속 자원을 기초로, 조건부 핸드오버 방식을 통해 소스 서비스 셀로부터 목표 셀로 핸드오버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소스 네트워크 기기의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하고, 조건부 핸드오버의 트리거 조건을 만족할 때, 소스 서비스 셀이 할당한 예약 접속 자원을 기초로, 조건부 핸드오버 방식을 통해 소스 서비스 셀로부터 목표 셀로 핸드오버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해당 S402는 아래의 단계를 통해 구현할 수 있다.
CBRA 방식을 통해 소스 서비스 셀로부터 목표 셀로 핸드오버하고; 해당 목표 셀은 신호 품질이 기설정 신호 품질 임계값보다 높거나 같은 하나의 셀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핸드오버를 실행하기 전에, 복수의 잠재적 목표 셀의 측정 정보 또는 구성된 NR 주파수 상의 셀의 측정 정보를 획득하고, 그 다음 이중에서 목표 셀을 확정해 낸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해당 목표 셀은 상술한 복수의 잠재적 목표 셀 중의 하나일 수 있고, 상술한 복수의 잠재적 목표 셀에 속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단말기가 CBRA 방식을 통해 소스 서비스 셀로부터 목표 셀로 핸드오버하기만 하면, 목표 셀이 복수의 잠재적 목표 셀에 속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해당 목표 셀의 신호 품질이 모두 기설정 신호 품질 임계값보다 높거나 같아야 한다.
본 실시예의 일 가능한 설계에서, 해당 목표 셀이 복수의 잠재적 목표 셀 중의 하나이면, 해당 목표 셀은 아래의 조건, 즉:
목표 셀 중 미예약 자원에 대응되는 동기화 신호 블록(SSB) 또는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 기준 신호의 신호 품질이 기설정 신호 품질 임계값보다 높거나 같은 것;
해당 목표 셀 중 예약 자원에 대응되는 SSB 또는 CSI-RS 기준 신호의 신호 품질이 상기 기설정 신호 품질 임계값보다 작은 것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한다.
여기서, SSB의 영문 풀 스펠링은 synchronization signal and physical broadcast channel block, 동기화 신호 및 PBCH 블록이며, 동기화 신호 블록으로 약칭하며, CSI-RS의 영문 풀 스펠링은 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즉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기가 CBRA 방식을 통해 성공적으로 접속한 목표 셀이 복수의 잠재적 목표 셀 중의 하나이면, 해당 단말기는 타이머 만료 시, 해당 목표 셀 중 미예약 자원에 대응되는 SSB 또는 CSI-RS 기준 신호의 신호 품질은 기설정 신호 품질 임계값보다 높거나 같고, 또는, 목표 셀 중의 예약 자원에 대응되는 SSB 또는 CSI-RS 기준 신호의 신호 품질은 기설정 신호 품질 임계값보다 작을 수 있으며, 즉 단말기는 직접 소스 서비스 셀에 의해 할당된 예약 접속 자원을 기초로 직접 복수의 잠재적 목표 셀 중의 하나에 접속할 수 없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해당 목표 셀이 만족하는 조건은 아래와 같이 해석될 수도 있다. 즉, 목표 셀에서 무선 품질 임계값보다 높은 빔 상에 예약 자원이 없고, 예약 자원에 대응되는 빔의 무선 품질은 무선 품질 임계값보다 작다.
다른 예시로서, 해당 S402는 아래의 단계를 통해 구현할 수 있다.
RRC 재구성 방식을 통해 목표 셀에 접속한다.
선택적으로, RRC 재구성 방식으로 목표 셀에 접속, 즉 단말기가 실행한 네트워크 핸드오버가 실패하고, 이때 단말기는 재구성 방식을 통해 다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야 한다.
예시적으로, 본 출원의 일 가능한 설계에서, 단말기가 RRC 재구성 방식으로 목표 셀에 접속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조건부 핸드오버 방식을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것이 실패한 것을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만약 단말기가 RRC재구성 방식을 사용하여 목표 셀에 접속한 경우, 소스 서비스 셀이 이에 예약 접속 자원을 할당한 전제 하에, 단말기가 이전에 조건부 핸드오버를 수행하였지만, 조건부 핸드오버 방식을 통한 네트워크 접속이 실패했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
따라서, 상술한 분석으로부터, 단말기의 핸드오버 보고 또는 생성된 제1 정보는,
조건부 핸드오버 방식의 트리거 조건;
단말기가 조건부 핸드오버 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 조건부 핸드오버를 실행하기까지의 시간 길이, 또는 단말기가 실제로 조건부 핸드오버를 실행한 시간; 중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조건부 핸드오버 방식의 트리거 조건은 단말기가 조건부 핸드오버 구성 정보를 수신한 일정 시간대(트리거 시간대, 다시 말하면 타이머가 만료되지 전) 내에 잠재적 목표 셀의 RSRP가 지속적으로 소스 서비스 셀의 RSRP보다 높은 하나의 기설정 네트워크 구성 임계값이 존재하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의 응용 시나리오에서, 해당 핸드오버 보고 또는 제1 정보는 기존 RLF보고의 기초 상에서, 아래와 같은 첫 번째 유형의 정보 및/또는 두 번째 유형의 정보의 RLF 보고를 추가할 수 있다.
여기서, 첫 번째 유형의 정보는 핸드오버 유형 지시 정보로서, 즉 단말이 실행하는 것이 조건부 핸드오버인지 아니면 전통적인 핸드오버의 유형 지시인지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만약 조건부 핸드오버이면, 해당 RLF보고는 해당 조건부 핸드오버의 트리거 조건 및/또는 단말기가 조건부 핸드오버 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 부터 조건부 핸드오버를 실행하기까지의 시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두 번째 유형의 정보는 조건부 핸드오버 선정을 실행하는 목표 셀 내의 각 동기화 신호 블록(SSB) 및/또는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에 기반하여 측정한 결과이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해당 선정된 목표 셀은 조건부 핸드오버의 목표 셀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가 CHO를 실행때 까지, 해당 선정된 목표 셀 내의 각 SSB 및/또는 CSI-RS 기준 신호의 무선 신호 품질(RSRP 및/또는 RSRQ 및/또는 SINR) 또는 가장 좋은 N개의 SSB 및/또는 CSI-RS의 ID 또는 무선 품질 임계값보다 높은 SSB 및/또는 CSI-RS의 ID이다.
선택적으로, 선정된 목표 셀 내의 각 SSB 및/또는 CSI-RS의 ID는 지시 비트를 설정하여 SSB/ CSI-RS의 인덱스를 알릴 수 있으며, 각 SSB 및/또는 CSI-RS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 품질(RSRP 및/또는 RSRQ 및/또는 SINR)는 예를 들어SSB1: -60dBm; SSB2: -70dBm; SSB3: -75dBm; SSB4: -80dBm일 수 있고; 무선 품질 임계값은 -65dBm 등 일 수 있다.
나아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기의 핸드오버 보고는, 단말기가 네트워크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과정 중 이동 궤적 정보 및/또는 실제 위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단말 이동 궤적 정보 및/또는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기의 핸드오버 보고는 랜덤 접속 과정 정보 보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랜덤 접속 과정 정보 보고는, 서로 다른 랜덤 접속 자원을 사용하여 랜덤 접속을 수행한 경우를 포함하며, 해당 랜덤 접속의 경우는 사용된 랜덤 접속 자원에 대응되는 동기화 신호 블록(SSB) 및/또는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의 인덱스값, 각 랜덤 접속 자원 상에서 실행한 랜덤 접속 시도 횟수와 각 랜덤 접속 시도 정보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해당 랜덤 접속 시도 정보는 이번 랜덤 접속 시도 시 충돌 발생이 센싱되었는지 여부의 지시 정보, 이번 랜덤 접속 시도에 대응되는 SSB 및/또는 CSI-RS의 신호 품질이 기설정된 신호 품질 임계값보다 큰지 여부의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단말기가 보고한 핸드오버 보고는 단말기가 랜덤 접속을 실행한 경우, 예를 들어, 어느 빔 하에서 랜덤 접속을 수행한 수량, 그리고 매번 랜덤 접속한 정보: 매번 랜덤 접속 시도 후 충돌 발생 여부, 매번 랜덤 접속 시도의 SSB 품질이 시스템에서 설정한 RSRP 임계값 보다 높은 지 여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매번 랜덤 접속 시도의 SSB 품질과 시스템이 설정한 RSRP 임계값을 비교한 결과는 단말기가 무경쟁 랜덤 접속을 실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거나, 또는 경쟁에 기반한 랜덤 접속을 선택한 경우에, 단말기가 어느 빔을 랜덤으로 선택하여 랜덤 접속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것이다.
예를 들어, 단말기가 랜덤 접속을 실행한 경우는 아래와 같다. 만약 단말기가 SSB1에서 경쟁에 기반한 랜덤 접속(소스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기에 SSB1 에 대해 무경쟁 랜덤 접속 자원을 예약하지 않음)을 수행한 것, 단말기가 4회 랜덤 접속 프리앰블을 발송한 것, 단말기가 앞의 3회에 충돌이 발생한 것, 매번 랜덤 접속 시도 SSB 품질이 시스템이 설정한 RSRP 임계값보다 높은 것 등이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1 정보 및/또는 핸드오버 보고의 구체적인 내용을 한정하지 않고, 실제 경우에 따라 확정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예시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술한 S304 이전에, 해당 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잠재적 네트워크 기기와 인터랙션을 수행하여, 각 단말기의 접속을 허용하는 복수의 잠재적 목표 셀에서 제공한 접속 자원을 획득한다.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도 4를 참조하면, 상술한 S304는 아래의 단계를 통해 구현할 수 있다.
S403, 소스 네트워크 기기가 각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식을 확정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소스 네트워크 기기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제1 정보를 획득한 후, 제1 정보에 대해 분석하여 각 제1 정보 및/또는 핸드오버 보고에 포함된 핸드오버 유형 지시 정보를 획득하고, 나아가 해당 핸드오버 유형 지시 정보를 기초로 각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식을 확정한다.
S404, 소스 네트워크 기기가 모든 단말기의 핸드오버 보고와 핸드오버 방식을 기초로, 해당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핸드오버 규칙을 확정한다.
예시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모든 단말기의 핸드오버 보고에 대해 분석하여, 단말기의 사용된 핸드오버 방식을 기초로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의 핸드오버 규칙을 확정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가 어느 셀에 접속하고, 사용한 접속 자원이 목표 셀의 어느 빔인지 등이다.
S405, 소스 네트워크 기기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핸드오버 규칙 및/또는 복수의 잠재적 목표 셀에서 제공한 접속 자원을 기초로, 해당 소스 네트워크 기기가 서비스하는 셀 내의 단말기에 할당한 예약 자원을 조정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소스 네트워크 기기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핸드오버 규칙을 확정한 후, 각 단말기의 복수의 잠재적 목표 셀에서 제공한 접속 자원에 대해 분석하여, 소스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기에 할당한 예약 자원이 합리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분석 결과를 기초로 서비스하는 셀 내의 단말기에 할당한 예약 자원을 조정함으로써, 부적합한 자원의 예약을 감소하고, 각 단말기가 핸드오버를 실행 시,적합한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이 있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일 가능한 설계에서, 해당 단계(S405)는 아래의 단계를 통해 구현할 수 있다.
만약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중 제1 기설정 비례보다 많은 단말기가 소스 네트워크 기기를 경과한 후 모두 제1 목표 셀에 접속하면, 해당 예약 자원에 제1 목표 셀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기기가 제공한 접속 자원을 추가한다.
예시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중 90%의 단말기가 모두 소스 네트워크 기기를 경과한 후 목표 셀1에 접속하였다고 가정하면, 목표 셀1은 대부분 단말기의 잠재적 목표 셀임을 의미하고, 이때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자체적으로 최적화될 것이며, 한 가지 방식은 해당 예약 자원에 목표 셀1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기기가 제공한 접속 자원을 추가하여, 단말기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효율과 성공율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해당 가능한 설계에서, 해당 단계(S405)는 아래와 같은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제1 목표 셀에 접속된 모든 단말기 중 제2 기설정 비례보다 큰 단말기가 모두 제1 빔을 통해 상기 제1 목표 셀에 접속하면, 해당 예약 자원에서 제1 빔 상의 자원 크기를 증가, 및/또는, 예약 자원에서 제1 목표 셀 내의 기타 빔 상의 자원 크기를 감소한다.
예시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중 90%의 단말기가 모두 소스 네트워크 기기를 통해 목표 셀1에 접속하고, 목표 셀1에 접속한 모든 단말기 중에 90%의 단말기가 모두 SSB1을 경과하여 목표 셀1에 접속하였다고 가정하는 경우, 이때, 소스 네트워크 기기도 자체적으로 최적화하고, 후속 단말기를 위해 SSB1 지향 관련 접속 자원을 추가함으로써, 기타 불필요한 다른 SSB 지향 및 기타 CSI-RS를 적재한 빔의 관련 접속 자원을 절감하고, 이로부터 부적합 자원의 할당 확률을 감소하고, 자원 낭비를 감소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1 기설정 비례와 제2 기설정 비례의 구체적인 값을 한정하지 않으며, 일반적인 경우에, 제1 기설정 비례와 제2 기설정 비례는 모두 80%의 수치보다 클 수 있고, 예를 들어, 85%, 90%, 95% 등일 수 있으며, 제1 기설정 비례와 제2 기설정 비례의 값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도 있고, 실제 시나리오에 따라 확정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다른 가능한 설계에서, 해당 단계(S405)는 아래의 단계를 통해 구현할 수 있다.
만약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중 제3 기설정 비례보다 작은 단말기가 소스 네트워크 기기를 경과한 후 모두 제2 목표 셀에 접속하면, 해당 예약 자원에는 제2 목표 셀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기기가 제공하는 접속 자원이 포함되지 않거나, 또는, 예약 자원에서 제2 목표 셀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기기가 제공하는 접속 자원을 감소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중 90%의 단말기가 모두 소스 네트워크 기기를 경과한 후 목표 셀1에 접속하고, 예를 들어,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중 오직 10% 미만의 단말기만 소스 네트워크 기기를 경과한 후 목표 셀2에 접속한 것으로 가정하면, 목표 셀2는 오직 소수의 단말기의 잠재적 목표 셀임을 의미하며, 이때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자체적으로 최적화할 것이며, 한 가지 방식은 해당 예약 자원에서 목표 셀2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기기가 제공하는 접속 자원을 감소하거나, 또는, 해당 소스 네트워크 기기 서비스 셀의 단말기를 위해 목표 셀2의 접속 자원을 할당하지 않고, 오직 단말기를 위해 일반적인 목표 셀2로의 측정 이벤트(예를 들어, 전통적인 핸드오버를 위해 준비)를 구성하며, 이로부터 접속 자원 오버헤드를 절약하는 목적을 구현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또 다른 가능한 설계에서, 해당 단계(S405)는 아래의 단계를 통해 구현할 수 있다.
만약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가 예약 자원에 대응되는 각 빔에 대한 측정 결과가 모두 기설정된 신호 품질 임계값보다 작지만, 제2 빔 상에서 CBRA 방식의 네트워크 핸드오버를 수행하였으면, 해당 예약 자원에 제2 빔 상의 자원 크기를 신규 추가하고; 여기서, 해당 제2 빔은 예약 자원에 대응되는 빔에 속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일부 단말기에 대하여, 해당 단말기의 잠재적 목표 셀은 목표 셀1이고, 해당 목표 셀1이 총 4개 빔을 포함하며, 각각 SSB1, SSB2, SSB3과 SSB4이다. 가령 소스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기를 위해 목표 셀1의 SSB3, SSB4 지향 접속 자원만 할당하였지만, 이러한 단말기가 SSB3, SSB4에 대한 측정 결과가 모두 비교적 약하기에(예를 들어, 신호 품질이 모두 기설정된 신호 품질 임계값보다 작음), SSB1을 사용하여 CBRA 방식의 네트워크 핸드오버를 수행하였다. 선택적으로, 해당 네트워크 핸드오버는 성공 또는 실패(실패하면, 실패 원인은 랜덤 접속 코드 발송 횟수가 상한에 도달한 것 등일 수 있다)한다. 따라서, 소스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기의 이러한 핸드오버 보고를 수신할 때, 후속으로 단말기를 위해 SSB1 지향 접속 자원을 구성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자원 처리 방법은, 단말기가 소스 서비스 셀이 해당 단말기에 할당한 예약 접속 자원을 확정한 후, 소스 서비스 셀로부터 목표 셀로 핸드오버하고, 이로부터 생성된 제1 정보를 발송할 수 있으며, 이때,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가 발송한 제1 정보를 기초로, 각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식을 확정하고, 다음 모든 단말기의 핸드오버 보고를 결합하여, 해당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핸드오버 규칙을 확정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핸드오버 규칙 및/또는 복수의 잠재적 목표 셀에서 제공한 접속 자원을 기초로, 해당 소스 네트워크 기기가 서비스 셀 내의 단말기에 할당한 예약 자원을 조정할 수 있으며, 이때 소스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기에 예약 자원을 할당할 때, 부적합한 예약 자원의 할당을 감소할뿐만 아니라, 적합한 예약 자원을 제공할 수도 있기에, 종래기술의 단말기의 예약 자원이 부적합함에 따른 자원 낭비 또는 자원 부족의 문제를 해결한다.
위에서는 본 출원의 기술방안에 대해 상세하게 소개하였다. 아래 구체적인 예를 통해 추가적으로 설명한다.
예시적으로,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 기지국(즉 상술한 소스 네트워크 기기)이 단말기를 위해 두 개의 잠재적 목표 기지국 지향 CHO 접속 자원 구성을 설정하였다. 선택적으로, 두 개의 잠재적 목표 기지국은 잠재적 목표 기지국1과 잠재적 목표 기지국2로 나뉜다.
도 5에 도시된 도면의 기초 상에서, 일 가능한 구현 방식 1로서, 가령 단말기가 조건부 핸드오버 방식을 통해 잠재적 목표 기지국1에 접속하고, 목표 기지국 기지국1에 접속한 후, CHO 보고를 통해 CHO 관련 상황을 보고한다. 예시적으로, 해당 CHO 보고는 상술한 실시예 중의 제1 정보 및/또는 핸드오버 보고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CHO 보고는 아래의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A1. CHO를 실행할 때까지, 기타 잠재적 목표 셀의 ID와 그 셀 무선 신호 품질, 본 실시예에서는, 잠재적 목표 기지국2의 RSRP 및/또는 RSRQ 및/또는 SINR 임;
A2. CHO를 실행할 때까지, 셀 무선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N개 목표 셀ID;
A3. CHO를 실행할 때까지, 셀의 기준 신호 신호 품질 최대값의 내림순으로 정렬하고, 셀ID 정보와 기준 신호 측정 결과 정보를 포함, 아래의 기재와 유사함:
측정 중에 획득 가능한 임의의 하나의 구성된 NR 주파수(for each of the configured NR frequencies in which measurements are available)에 대하여:
만약 동기화 신호 블록에 기반한 측정 량이 사용 가능하면, 인접 셀 측정 결과(measResultNeighCells) 중의 NR측정 결과 리스트(measResultListNR)를 소스 서비스 셀을 제외한 측정 결과가 가장 좋은 셀의 모든 사용 가능 측정 량을 포함하도록 설정하고, 이의 순서는, 만약 SS/PBCH블록의 RSRP 측정 결과가 사용 가능하면, 우선 최고 RSRP 측정 결과를 구비한 SS/PBCH 블록의 셀을 나열하고, 그렇지 않으면, 만약 SS/PBCH 블록의 RSRQ측정 결과가, 우선 최고 RSRQ 측정 결과를 구비한 SS/PBCH 블록의 셀을 나열하고, 그렇지 않으면, UE가 무선 링크 고장을 검출하기까지 수집한 SS/PBCH 블록 사용 가능 측정 결과를 기초로, 우선 최고 SINR을 구비한 SS/PBCH 블록의 셀(if the SS/PBCH block-based measurement quantities are available, set the measResultListNR in measResultNeighCells to include all the available measurement quantities of the best measured cells, other than the source PCell, ordered such that the cell with highest SS/PBCH block RSRP is listed first if SS/PBCH block RSRP measurement results are available, otherwise the cell with highest SS/PBCH block RSRQ is listed first if SS/PBCH block RSRQ measurement results are available, otherwise the cell with highest SS/PBCH block SINR is listed first, based on the available SS/PBCH block based measurements collected up to the moment the UE detected radio link failure)을 나열하고, 이는 사용 가능한 선택 가능한 임의의 인접 셀(for each neighbour cell included, include the optional fields that are available)에 적용함;
만약 CSI-RS에 기반한 측정 결과가 사용 가능하면, 인접 셀 측정 결과(measResultNeighCells) 중의 NR 측정 결과 리스트(measResultListNR)를 소스 서비스 셀을 제외한 측정 결과가 가장 좋은 셀의 모든 사용 가능 측정량을 포함하도록 설정하고, 그 순서는, 만약 CSI-RS의 RSRP측정 결과가 사용 가능하면, 우선 최고 CSI-RS RSRP 측정 결과를 구비한 셀을 나열하고, 그렇지 않으면, 만약 CSI-RS의 RSRQ측정 결과, 우선 최고 CSI-RS RSRQ 측정 결과를 구비한 셀을 나열하고, 그렇지 않으면, UE가 무선 링크 고장을 검출하기까지 수집한 CSI-RS 사용 가능 측정 결과를 기초로, 우선 최고 CSI-RS SINR을 구비한 셀(if the CSI-RS based measurement quantities are available, set the measResultListNR in measResultNeighCells to include all the available measurement quantities of the best measured cells, other than the source PCell, ordered such that the cell with highest CSI-RS RSRP is listed first if CSI-RS RSRP measurement results are available, otherwise the cell with highest CSI-RS RSRQ is listed first if CSI-RS RSRQ measurement results are available, otherwise the cell with highest CSI-RS SINR is listed first, based on the available CSI-RS based measurements collected up to the moment the UE detected radio link failure)을 나열하고, 이는 사용 가능한 선택 가능한 임의의 인접 셀(for each neighbour cell included, include the optional fields that are available)에 적용함.
A4. 단말 이동 궤적 정보 및/또는 위치 정보;
A5. 랜덤 접속 과정 정보 보고.
본 실시예에서, 목표 기지국1이 CHO 보고를 수신한 후, 단말기가 보고한 CHO 경우(예를 들어, 목표 기지국2의 셀의 다운링크 신호가 너무 낮음)을 소스 기지국에 보고할 것이며, 이때 소스 기지국은 CHO를 수행하는 많은 단말기가 보고한 정보를 종합하여, 이에 대하여 규칙성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예를 들어 90%의 단말기가 모두 소스 기지국을 경과한 후 목표 셀1에 접속한다고 가정하면, 소스 기지국은 자체적으로 최적화할 것이며, 일 가능한 설계는 해당 소스 기지국 셀이 서비스하는 단말기에 목표 기지국2에 대응되는 목표 셀2의 접속 자원을 할당하지 않고, 단말에 일반적인 목표 셀2로의 측정 이벤트(예를 들어, 전통적인 핸드오버를 위해 준비)만 구성하여, 접속 자원 오버헤드를 줄이는 목적을 구현한다.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 2로서, 도 5에 도시된 도면의 기초 상에서, 도 6은 목표 셀에 포함된 빔의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말기가 CBRA 방식을 통해 잠재적 목표 기지국1에 접속하고, 목표 기지국1에 접속한 후, CHO 보고를 통해 CHO 관련 상황을 보고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해당 CHO 보고는 상술한 가능한 구현 방식 1에서 해석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술한 가능한 구현 방식 1의 기재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목표 셀에 SSB1 내지 SSB4인 4개 빔이 포함되는 것으로 가정하였기에, 상술한 상술한 가능한 구현 방식 1의 기초 상에서, 해당 CHO 보고는 아래의 내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B1. CHO를 실행 시, 선정된 목표 셀1 내의 각 SSB 및/또는 CSI-RS의 ID(지시 비트를 설정하여 SSB/ CSI-RS의 인덱스를 알림)와 대응되는 무선 신호 품질(RSRP 및/또는 RSRQ 및/또는 SINR)(예를 들어, SSB1: -60dBm; SSB2: -70dBm; SSB3: -75dBm; SSB4: -80dBm; 기설정 무선 품질 임계값은 -65dBm임);
B2. 랜덤 접속을 실행하는 상황, 예를 들어, SSB1 상에서 경쟁 기반 랜덤 접속(소스 기지국이 단말에 SSB1에 대해 무경쟁 랜덤 접속 자원을 예약하지 않음)을 수행; 기기 단말이 4회의 랜덤 접속 프리앰블을 발송; 단말이 앞의 3회에 충돌이 발생; 매번 랜덤 접속 시도 SSB 품질이 시스템이 설정한 RSRP 임계값보다 높은 것 등.
따라서, 본 실시예는 상술한 가능한 구현 방식과 유사하게, 목표 기지국1이 상술한 CHO 보고를 수신한 후, 마찬가지로 단말기가 보고한 CHO 상황을 소스 기지국에 보고하여, 소스 기지국이 CHO를 수행하는 많은 단말이 보고한 정보를 종합하여 규칙성 분석을 수행하도록 할 것이다.
상술한 가능한 설계 방식 1에서,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셀의 접속 자원에 대해 최적화하는 것외에, 예를 들어 90%의 단말기가 모두 목표 기지국1의 SSB1을 경과하여 목표 기지국1에 접속한다고 가정하면, 이때 소스 기지국도 자체적으로 최적화할 것이며, 예시적으로, 후속의 단말기에 SSB1 지향 관련 접속 자원을 추가하고, 기타 불필요한 다른 SSB 지향 및 기타 CSI-RS 기준 신호를 적재한 빔의 관련 접속 자원을 절감할 수 있다.
또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 3으로서,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소스 기지국이 단말을 위해 잠재적 목표 기지국1과 잠재적 목표 기지국2 지향 CHO 접속 자원 구성을 설정하였고, 이러한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단말기는 CHO 및/또는 CBRA를 통해 목표 기지국1에 접속 시 실패하였지만, 재구성을 통해 목표 기지국1에 접속한다. 이때, 단말기가 목표 기지국1에 접속한 후, RLF 보고를 통해 CHO 관련 상황을 보고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해당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RLF 보고는 상술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실시예 중의 제1 정보 또는 핸드오버 보고에 해당한다.
선택적으로, 이러한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RLF 보고는 상술한 가능한 구현 방식 1 및/또는 가능한 구현 방식 2 중의 CHO 보고에 포함된 내용 외에도 아래와 같은 내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C1. 핸드오버 유형 지시 정보, 즉 단말기가 실행하는 것이 조건부 핸드오버인지 전통적인 핸드오버인지의 유형 지시, 단말이 응용한 것이 조건부 핸드오버인지 전통적인 핸드오버인지 표시하는데 사용;
만약 단말기가 실행한 것이 조건부 핸드오버이면, RLF 보고는 예컨대, 조건부 핸드오버의 트리거 조건, 단말이 조건부 핸드오버 구성을 수신한 후 조건부 핸드오버를 실행할 때까지의 시간; 또는, UE가 실제로 조건부 핸드오버를 실행한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야 한다.
C2. CHO를 실행 시, 선정된 목표 셀1 내 각 SSB 및/또는 CSI-RS의 무선 신호 품질(RSRP 및/또는 RSRQ 및/또는 SINR) 또는 가장 좋은 N개의 SSB 및/또는 CSI-RS의 ID 또는 무선 품질 임계값보다 높은 SSB 및/또는 CS-RS의 ID.
본 실시예에서, 소스 기지국이 단말기에 SSB3, SSB4 지향 접속 자원을 할당하였지만, 단말기가 SSB3, SSB4에 대한 측정 결과가 모두 보다 약하여(기설정된 신호 품질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음), SSB1을 사용하여 CBRA를 수행하고 실패(실패 원인은 랜덤 접속 코드 발송 횟수가 상한에 도달)한 것으로 가정한다. 소스 기지국이 이러한 보고를 수신한 후, 후속으로 단말에 SSB1 지향 접속 자원을 구성하여, 단말기가 조건부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성공율을 향상시켜야 한다.
종합하면, 본 출원에는 자원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바, 단말기가 네트워크에 접속 시, 생성된 핸드오버 보고를 포함한 제1 정보를 발송하여, 소스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기의 핸드오버 보고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조건부 핸드오버 중 단말을 위해 예약한 자원 풀의 커버 범위와 크기를 조정할 수 있으며, 단말기에 할당한 예약 자원과 단말기의 매칭도를 향상시키고, 부적합 자원의 할당 확률을 감소시키며, 자원 낭비 또는 자원 부족 문제를 해결한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자원 처리 방법의 구체적인 구현을 소개하였으며, 아래는 본 출원의 장치 실시예로서, 본 출원의 방법 실시예를 실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장치 실시예에서 공개하지 않은 세부 사항은, 본 출원의 방법 실시예를 참조한다.
도 7은 본 출원에 따른 자원 처리 장치 실시예 1의 구조도이다. 해당 장치는 단말기에 집적될 수 있고, 단말기를 통해 구현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장치는 처리 모듈(701)과 발송 모듈(70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처리 모듈(701)은, 제1 정보를 생성하되; 여기서, 상기 제1 정보는 단말기의 핸드오버 보고를 포함하고;
해당 발송 모듈(702)은, 상기 제1 정보를 발송하되, 여기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단말기의 소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핸드오버 보고를 기초로 예약 자원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일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핸드오버 보고는, 핸드오버 유형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다른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제1 정보는 핸드오버 유형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핸드오버 유형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핸드오버 방식은,
조건부 핸드오버 방식, 비조건부 핸드오버 방식 중 하나이고;
또는,
상기 핸드오버 유형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핸드오버 방식은,
전통적인 핸드오버 방식, 비전통적인 핸드오버 방식 중 하나이다.
본 출원의 또 다른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핸드오버 보고는,
상기 단말기의 소스 서비스 셀은 상기 단말기에 할당한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RNTI)인 것;
상기 단말기의 소스 서비스 셀의 식별자;
핸드오버 이전까지, 복수의 잠재적 목표 셀의 측정 정보; 또는, 핸드오버 이전까지, 구성한 뉴 라디오(NR) 주파수 상의 셀의 측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측정 정보는,
셀의 신호 품질과 대응되는 셀 식별자;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N개 셀의 식별자, 상기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 임;
신호 품질의 최대 값의 내림순으로 정렬된 후의 셀의 식별자와 신호 품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신호 품질은,
기준 신호 수신 파워(RSRP), 기준 신호 수신 품질(RSRQ), 신호와 간섭 플러스 노이즈 비(SIN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또 다른 가능한 설계에서, 해당 처리 모듈(701)은 또한, 제1 정보를 생성하기 전에, 소스 서비스 셀로부터 목표 셀로 핸드오버하고, 상기 소스 서비스 셀은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가 서비스하는 하나의 셀이고, 상기 목표 셀은 목표 네트워크 기기가 서비스하는 하나의 셀이다.
예시적으로, 해당 처리 모듈(701)은 또한, 소스 서비스 셀로부터 목표 셀로 핸드오버하기 전에, 상기 소스 서비스 셀이 상기 단말기에 할당한 예약 접속 자원을 확정하고, 상기 예약 접속 자원은 복수의 잠재적 목표 셀에서 제공한 접속 자원이다.
다른 예시로서, 해당 처리 모듈(701)은, 소스 서비스 셀로부터 목표 셀로 핸드오버하기 위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해당 처리 모듈(701)은, 구체적으로 상기 예약 접속 자원을 기초로, 조건부 핸드오버 방식을 통해 상기 소스 서비스 셀로부터 상기 목표 셀로 핸드오버한다.
다른 예시로서, 해당 처리 모듈(701)은, 소스 서비스 셀로부터 목표 셀로 핸드오버하고, 구체적으로,
해당 처리 모듈(701)은, 구체적으로 CBRA 방식을 통해 상기 소스 서비스 셀로부터 상기 목표 셀로 핸드오버하고; 상기 목표 셀은 신호 품질이 기설정 신호 품질 임계값보다 높거나 같은 하나의 셀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셀이 상기 복수의 잠재적 목표 셀 중의 하나이면, 상기 목표 셀은 아래의 조건, 즉,
상기 목표 셀 중 미예약 자원에 대응되는 SSB 또는 CSI-RS 기준 신호의 신호 품질이 기설정 신호 품질 임계값보다 높거나 같은 것;
상기 목표 셀 중 예약 자원에 대응되는 SSB 또는 CSI-RS 기준 신호의 신호 품질이 상기 기설정 신호 품질 임계값보다 작은 것;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한다.
다른 예시로서, 해당 처리 모듈(701)은, 소스 서비스 셀로부터 목표 셀로 핸드오버하고, 구체적으로,
해당 처리 모듈(701)은 구체적으로 RRC 재구성 방식을 통해 상기 목표 셀에 접속한다.
예시적으로, 해당 처리 모듈(701)은 또한, RRC재구성 방식을 통해 상기 목표 셀에 접속하기 전에, 조건부 핸드오버 방식을 통한 네트워크 접속이 실패한 것을 확정한다.
해당 예시에서, 상기 핸드오버 보고 또는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조건부 핸드오버 방식의 트리거 조건;
상기 단말기가 조건부 핸드오버 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부터 조건부 핸드오버를 실행하기까지의 시간 길이, 또는, 상기 단말기가 실제로 조건부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시간; 중 하나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또 다른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핸드오버 보고는,
목표 셀 내의 각 동기화 신호 블록(SSB) 및/또는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에 기반한 측정 결과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또 다른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핸드오버 보고는, 단말 이동 궤적 정보 및/또는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또 다른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핸드오버 보고는, 랜덤 접속 과정 정보 보고를 더 포함하고;
상기 랜덤 접속 과정 정보 보고는, 서로 다른 랜덤 접속 자원을 사용하여 랜덤 접속을 수행하는 경우를 포함하고, 상기 랜덤 접속의 경우는, 사용한 랜덤 접속 자원에 대응되는 동기화 신호 블록(SSB) 및/또는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의 인덱스값, 각 랜덤 접속 자원 상에서 실행한 랜덤 접속 시도 횟수와 매번 랜덤 접속 시도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랜덤 접속 시도 정보는, 이번 랜덤 접속 시도에서 충돌 발생이 센싱되었는지 여부의 지시 정보, 이번 랜덤 접속 시도에 대응되는 SSB 및/또는 CSI-RS의 신호 품질이 기설정된 신호 품질 임계값보다 큰지 여부의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상술한 각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와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동일한 네트워크 기기이다.
본 출원의 상술한 각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와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기기이고; 이때 상기 제1 정보를 발송하는 것은,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제1 정보를 발송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제1 정보를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로 포워딩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전술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 중 단말기 측의 기술방안을 실행하기 위한 것으로, 그 구현 원리와 기술 효과는 유사하기에,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본 출원에 따른 자원 처리 장치 실시예 2의 구조도이다. 해당 장치는 네트워크 기기에 집적될 수 있고, 네트워크 기기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장치는 획득 모듈(801)과 처리 모듈(802)을 포함한다.
여기서, 해당 획득 모듈(801)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가 발송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정보를 획득하되; 여기서, 각각의 제1 정보는 대응되는 단말기의 핸드오버 보고를 포함하고;
해당 처리 모듈(802)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핸드오버 보고를 기초로, 네트워크 기기가 할당한 예약 자원을 조정한다.
본 출원의 일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핸드오버 보고는 핸드오버 유형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다른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제1 정보는 핸드오버 유형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핸드오버 유형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핸드오버 방식은,
조건부 핸드오버 방식, 비조건부 핸드오버 방식 중 하나이고;
또는,
상기 핸드오버 유형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핸드오버 방식은,
전통적인 핸드오버 방식, 비전통적인 핸드오버 방식 중 하나이다.
본 출원의 또 다른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핸드오버 보고는,
소스 서비스 셀이 단말기에 할당한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RNTI);
소스 서비스 셀의 식별자;
핸드오버를 실행하기 전까지, 복수의 잠재적 목표 셀의 측정 정보; 또는, 핸드오버를 실행하기 전까지, 구성된 뉴 라디오(NR) 주파수 상의 셀의 측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측정 정보는,
셀의 신호 품질 및 대응되는 셀 식별자;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N개 셀의 식별자, 상기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 임;
신호 품질의 최대 값의 내림순으로 정렬된 후의 셀의 식별자와 신호 품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신호 품질은,
기준 신호 수신 파워(RSRP), 기준 신호 수신 품질(RSRQ), 신호와 간섭 플러스 노이즈 비(SIN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또 다른 가능한 설계에서, 만약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가 조건부 핸드오버 방식을 수행하였으면, 상기 핸드오버 보고는,
목표 셀 내의 각 동기화 신호 블록(SSB) 및/또는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에 기반한 측정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핸드오버 보고는,
상기 조건부 핸드오버 방식의 트리거 조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가 조건부 핸드오버 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부터 조건부 핸드오버를 실행하기까지의 시간 길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가 실제로 조건부 핸드오버를 실행한 시간; 중 하나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또 다른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핸드오버 보고는 랜덤 접속 과정 정보 보고를 더 포함하고;
상기 랜덤 접속 과정 정보 보고는, 서로 다른 랜덤 접속 자원을 사용하여 랜덤 접속을 수행한 경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랜덤 접속의 경우는, 사용한 랜덤 접속 자원에 대응되는 동기화 신호 블록(SSB) 및/또는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의 인덱스값, 각 랜덤 접속 자원 상에서 실행한 랜덤 접속 시도 횟수와 매번 랜덤 접속 시도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랜덤 접속 시도 정보는, 이번 랜덤 접속 시도에서 충돌이 발생한 것을 센싱하였는지 여부의 지시 정보, 이번 랜덤 접속 시도에 대응되는 SSB 및/또는 CSI-RS의 신호 품질이 기설정된 신호 품질 임계값보다 큰지 여부의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또 다른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핸드오버 보고는 단말 이동 궤적 정보 및/또는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또 다른 가능한 설계에서, 해당 획득 모듈(801)은, 구체적으로 수신 모듈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목표 네트워크 기기가 포워딩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중 단말기에 대응되는 접속 네트워크 기기이다.
본 출원의 또 다른 가능한 설계에서, 해당 획득 모듈(801)은, 또한 처리 모듈(802)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핸드오버 보고를 기초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할당한 예약 자원을 조정하기 전에, 복수의 잠재적인 네트워크 기기와 인터랙션하여, 각 단말기의 접속을 허용하는 복수의 잠재적 목표 셀에서 제공한 접속 자원을 획득한다.
본 출원의 또 다른 가능한 설계에서, 해당 처리 모듈(802)은 구체적으로,
각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식을 확정하고;
모든 단말기의 핸드오버 보고와 핸드오버 방식을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핸드오버 규칙을 확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핸드오버 규칙 및/또는 복수의 잠재적 목표 셀에서 제공한 접속 자원을 기초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서비스 셀 내의 단말기에 할당한 예약 자원을 조정한다.
다른 예시로서, 해당 처리 모듈(802)은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중 제1 기설정 비례보다 큰 단말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를 경과 후 모두 제1 목표 셀에 접속할 때, 상기 예약 자원에 상기 제1 목표 셀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기기가 제공하는 접속 자원을 추가한다.
나아가, 해당 처리 모듈(802)은 또한,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목표 셀에 접속한 모든 단말기 중 제2 기설정 비례보다 큰 단말기가 모두 제1 빔을 통해 상기 제1 목표 셀에 접속하면, 상기 예약 자원에서 상기 제1 빔 상의 자원 크기를 증가하고, 및/또는, 상기 예약 자원에서 상기 제1 목표 셀 내의 기타 빔 상의 자원 크기를 줄인다.
다른 예시로서, 해당 처리 모듈(802)은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중 제3 기설정 비례보다 작은 단말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를 경과한 후 모두 접속 제2 목표 셀에 접속할 때, 상기 예약 자원에 상기 제2 목표 셀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기기가 제공한 접속 자원이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하거나, 또는, 상기 예약 자원에서 상기 제2 목표 셀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기기가 제공한 접속 자원을 줄인다.
또 다른 예시로서, 해당 처리 모듈(802)은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가 예약 자원에 대응되는 각 빔에 대한 측정 결과가 모두 기설정된 신호 품질 임계값보다 작지만, 제2 빔 상에서 CBRA 방식의 네트워크 핸드오버를 실행하였 때, 상기 예약 자원에 상기 제2 빔 상의 자원 크기를 신규 추가하며; 여기서, 상기 제2 빔은 상기 예약 자원에 대응되는 빔에 속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전술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기기 측의 기술방안을 실행하기 위한 것으로, 그 구현 원리와 기술 효과는 유사하기에,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설명해야 할 바로는, 이상 장치의 각 모듈의 구분은 단지 논리 기능의 구분이며 실제적으로 구현 시 전부 또는 부분은 하나의 물리 개체 상에 집적될 수 있고,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런 모듈은 모두 처리 소자에 의해 호출되는 소프트웨어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부 하드웨어 형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부분 모듈은 처리 소자에 의해 호출되는 소프트웨어 형식으로 구현되고 부분 모듈은 하드웨어 형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처리 모듈은 독립적으로 구성된 처리 소자일 수 있고, 상술한 장치의 어느 칩에 집적되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외에 프로그램 코드의 형식으로 상술한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술한 장치의 어느 처리 소자에 의해 호출되어 이상 확정 모듈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기타 모듈의 구현은 이와 유사하다. 이런 모듈의 전부 또는 부분은 하나로 집적될 수 있고,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처리 소자는 신호 처리 능력을 구비한 집적회로일 수 있다. 구현 과정에서, 상술한 방법의 각 단계 또는 상술한 각 모듈은 프로세서 소자 중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러한 모듈은 상기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집적 회로일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또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또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등이다. 다른 예로, 상기 특정 모듈이 처리 소자를 통해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는 형태로 구현될 경우, 해당 처리 소자는 중앙 프로세서(central processing unit, CPU)이거나,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할 수 있는 기타 프로세서와 같은 범용 프로세서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이러한 모듈은 함께 통합될 수 있으며, 시스템 온 칩(system-on-a-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할 경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컴퓨터 명령을 포함한다. 컴퓨터에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로딩하고 실행할 경우,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또는 기능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생성된다. 상기 컴퓨터는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컴퓨터 네트워크,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컴퓨터 명령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부터 다른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 전송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상기 컴퓨터 명령은 하나의 웹 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부터 유선(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 광섬유,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또는 무선(예를 들어 적외선, 무선, 마이크로파 등) 방식을 통해 다른 하나의 웹 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사용 가능한 매체이거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사용 가능한 매체로 통합된 서버, 데이터 센터 등을 포함한 데이터 저장 기기일 수 있다. 상기 사용 가능한 매체는 자성 매체(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자기 테이프), 광학 매체(예를 들어, DVD), 또는 반도체 매체(예를 들어,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solid state disk, SSD)) 등일 수 있다.
도 9는 본 출원에 따른 단말기의 구조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단말기는 프로세서(901), 메모리(902), 송신기(903), 및 네트워크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90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902)는 컴퓨터 실행 명령을 저장하고;
프로세서(901)는 상기 메모리(902)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명령을 실행하여, 상기 프로세서(901)가 전술한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 중의 단말기 측의 기술방안을 실행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출원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의 구조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네트워크 기기는 프로세서(1001), 메모리(1002), 수신기(1003), 및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100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1002)는 컴퓨터 실행 명령을 저장하고;
프로세서(1001)는 상기 메모리(1002)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명령을 실행하여, 상기 프로세서(1001)가 전술한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기기 측의 기술방안을 실행하도록 한다.
이해하여야 할 바로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집적 회로 칩일 수 있고, 신호 처리 능력을 구비한다. 구현 과정에서, 상술한 방법 실시예의 각각의 단계는 프로세서 중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으로 완성될 수 있다. 상술한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전용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으며, 또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비휘발성 메모리는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으며, 외부 고속 캐시로서 사용된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통신 시스템(1100)은 단말기(1101)와 네트워크 기기(1102)를 포함한다.
여기서, 해당 단말기(1101)는 상술한 방법 중의 단말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한 기능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해당 네트워크 기기(1102)는 상술한 방법 중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한 기능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단말기와 네트워크 기기의 구체적인 구현 원리와 유익한 효과는 상술한 실시예의 기재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더 제공하는 바,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는 컴퓨터 실행 명령이 저장되고, 상기 컴퓨터 실행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전술한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 중의 단말기 측의 기술방안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더 제공하는 바,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는 컴퓨터 실행 명령이 저장되고, 상기 컴퓨터 실행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전술한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 중의 단말기 측의 기술방안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프로그램을 더 제공하는 바, 해당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전술한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 중의 단말기 측의 기술방안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프로그램을 더 제공하는 바, 해당 컴퓨터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전술한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기기 측(기지국)의 기술방안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하는 바, 프로그램 명령은 전술한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 중의 단말기 측의 기술방안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하는 바, 프로그램 명령은 전술한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기기 측(기지국)의 기술방안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칩을 더 제공하는 바, 처리 모듈과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해당 처리 모듈은 전술한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 중의 단말기 측의 기술방안안 실행할 수 있다.
나아가, 해당 칩은 저장모듈(예컨대,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저장모듈은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처리모듈은 저장모듈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며, 저장모듈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여 처리모듈이 전술한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 중의 단말기 측의 기술방안을 실행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칩을 더 제공하는 바, 처리모듈과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해당 처리모듈은 전술한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기기 측의 기술방안을 실행할 수 있다.
나아가, 해당 칩은 저장모듈(예컨대,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저장모듈은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처리모듈은 저장모듈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며, 저장모듈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여 처리모듈이 전술한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기기 측의 기술방안을 실행하도록 한다.
본 출원에 제공된 몇 개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을 통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면,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인 바,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구획은 단지 논리적 기능 구획일 뿐이고 실제로 구현할 경우에는 다른 구획 방식을 사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복수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는 다른 하나의 시스템에 조합 또는 집적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특징은 생략되거나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표시되거나 토론된 서로 간에 일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커플링 또는 직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될 수 있고, 모듈의 간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전기적 연결, 기계적 연결 또는 다른 형태의 연결일 수 있다.
상술한 사용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의 구체적인 구현에서, 프로세서는 중앙 처리 유닛(영문: Central Processing Unit, CPU로 약칭)일 수 있고, 기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영문: 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약칭), 전용 집적 회로(영문: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으로 약칭) 등일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고, 또는 해당 프로세서는 임의의 통상적인 프로세서일 수 있다. 본 출원에 개시된 방법의 단계와 결합하여 직접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어 완성되도록 구현하거나 또는 프로세서에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을 조합하여 수행 완성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과 관련된 하드웨어로 상술한 각 방법 실시예의 전부 또는 부분 단계를 구현할 수 있다. 전술한 프로그램은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해당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상술한 방법 실시예를 포함하는 단계를 실행하고; 상술한 메모리(저장매체)는 판독 전용 메모리(영문: read-only memory, ROM으로 약칭), RA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솔리드 스테이트 하드 디스크, 자기 테이프(영문: magnetic tape), 플로피 디스크(영문: floppy disk), 광학 디스크(영문: optical disc)및 기타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Claims (84)
- 단말기에 응용되는 자원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1 정보를 생성하되, 여기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단말기의 핸드오버 보고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보를 발송하되, 여기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단말기의 소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핸드오버 보고를 기초로 예약 자원을 조정하기 위한 것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처리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보고는 핸드오버 유형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핸드오버 유형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유형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핸드오버 방식은,
조건부 핸드오버 방식, 비조건부 핸드오버 방식; 중 하나이고;
또는,
상기 핸드오버 유형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핸드오버 방식은,
전통적인 핸드오버 방식, 비전통적인 핸드오버 방식;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보고는,
상기 단말기의 소스 서비스 셀이 상기 단말기에 할당한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RNTI);
상기 단말기의 소스 서비스 셀의 식별자;
핸드오버 이전까지, 복수의 잠재적 목표 셀의 측정 정보; 또는, 핸드오버 이전까지, 구성한 뉴 라디오(NR) 주파수 상의 셀의 측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정보는
셀의 신호 품질 및 대응되는 셀 식별자;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N개 셀의 식별자, 상기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 임;
신호 품질의 최대 값의 내림순으로 정렬된 후의 셀의 식별자와 신호 품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품질은,
기준 신호 수신 파워(RSRP), 기준 신호 수신 품질(RSRQ), 신호와 간섭 플러스 노이즈 비(SIN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정보를 생성하는 상기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소스 서비스 셀로부터 목표 셀로 핸드오버하되, 상기 소스 서비스 셀은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가 서비스하는 하나의 셀이고, 상기 목표 셀은 목표 네트워크 기기가 서비스하는 하나의 셀인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소스 서비스 셀로부터 목표 셀로 핸드오버하는 상기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소스 서비스 셀이 상기 단말기에 할당한 예약 접속 자원을 확정하되, 상기 예약 접속 자원은 복수의 잠재적 목표 셀에서 제공한 접속 자원인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소스 서비스 셀로부터 목표 셀로 핸드오버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예약 접속 자원을 기초로, 조건부 핸드오버 방식을 통해 상기 소스 서비스 셀로부터 상기 목표 셀로 핸드오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소스 서비스 셀로부터 목표 셀로 핸드오버하는 상기 단계는,
CBRA 방식을 통해 상기 소스 서비스 셀로부터 상기 목표 셀로 핸드오버하되; 상기 목표 셀은 신호 품질이 기설정 신호 품질 임계값보다 높거나 같은 하나의 셀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셀이 상기 복수의 잠재적 목표 셀 중의 하나이면, 상기 목표 셀은, 아래의 조건, 즉,
상기 목표 셀 중 미예약 자원에 대응되는 SSB 또는 CSI-RS 기준 신호의 신호 품질이 기설정 신호 품질 임계값보다 높거나 같은 것;
상기 목표 셀 중 예약 자원에 대응되는 SSB 또는 CSI-RS 기준 신호의 신호 품질이 상기 기설정 신호 품질 임계값보다 작은 것;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서비스 셀로부터 목표 셀로 핸드오버하는 단계는,
RRC 재구성 방식을 통해 상기 목표 셀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RRC 재구성 방식을 통해 상기 목표 셀에 접속하는 상기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조건부 핸드오버 방식을 통해 네트워크 접속이 실패함을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0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보고 또는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조건부 핸드오버 방식의 트리거 조건;
상기 단말기가 조건부 핸드오버 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부터 조건부 핸드오버를 실행하기까지의 시간 길이, 또는, 상기 단말기가 실제로 조건부 핸드오버를 실행한 시간; 중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0항, 제14항,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보고는,
목표 셀 내의 각 동기화 신호 블록(SSB) 및/또는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에 기반한 측정 결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보고는, 단말 이동 궤적 정보 및/또는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8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보고는 랜덤 접속 과정 정보 보고를 더 포함하고;
상기 랜덤 접속 과정 정보 보고는, 서로 다른 랜덤 접속 자원을 사용하여 랜덤 접속을 수행한 경우를 포함하고, 상기 랜덤 접속의 경우는 사용한 랜덤 접속 자원에 대응되는 동기화 신호 블록(SSB) 및/또는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의 인덱스값, 각 랜덤 접속 자원 상에서 실행한 랜덤 접속 시도 횟수와 매번 랜덤 접속 시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 접속 시도 정보는, 이번 랜덤 접속 시도에서 충돌이 발행한 것이 센싱되었는지 여부의 지시 정보, 이번 랜덤 접속 시도에 대응되는 SSB 및/또는 CSI-RS의 신호 품질이 기설정된 신호 품질 임계값보다 큰지 여부의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와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동일한 네트워크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와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가 서로 다른 네트워크 기기이면; 제1 정보를 발송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로 상기 제1 정보를 발송하되,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제1 정보를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로 포워딩하기 위한 것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네트워크 기기에 응용되는 자원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가 발송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정보를 획득하되; 여기서, 각각의 제1 정보는 대응되는 단말기의 핸드오버 보고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핸드오버 보고를 기초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할당한 예약 자원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처리 방법.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보고는 핸드오버 유형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핸드오버 유형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유형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핸드오버 방식은,
조건부 핸드오버 방식, 비조건부 핸드오버 방식 중 하나이고;
또는,
상기 핸드오버 유형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핸드오버 방식은,
전통적인 핸드오버 방식, 비전통적인 핸드오버 방식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22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보고는,
소스 서비스 셀이 단말기에 할당한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RNTI);
소스 서비스 셀의 식별자;
핸드오버를 실행하기 전까지, 복수의 잠재적 목표 셀의 측정 정보; 또는, 핸드오버를 실행하기 전까지, 구성된 뉴 라디오(NR) 주파수 상의 셀의 측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정보는,
셀의 신호 품질 및 대응되는 셀 식별자;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N개 셀의 식별자, 상기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 임;
신호 품질의 최대 값의 내림순으로 정렬된 후의 셀의 식별자와 신호 품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품질은,
기준 신호 수신 파워(RSRP), 기준 신호 수신 품질(RSRQ), 신호와 간섭 플러스 노이즈 비(SIN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25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가 조건부 핸드오버 방식을 실행하였으면, 상기 핸드오버 보고는,
목표 셀 내의 각 동기화 신호 블록(SSB) 및/또는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에 기반한 측정 결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보고는,
상기 조건부 핸드오버 방식의 트리거 조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가 조건부 핸드오버 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부터 조건부 핸드오버를 실행하기 까지의 시간 길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가 실제로 조건부 핸드오버를 실행한 시간 중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25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보고는 랜덤 접속 과정 정보 보고를 더 포함하고;
상기 랜덤 접속 과정 정보 보고는 서로 다른 랜덤 접속 자원을 사용하여 랜덤 접속을 수행한 경우를 포함하고, 상기 랜덤 접속의 경우는 사용한 램덤 접속 자원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 블록(SSB) 및/또는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의 인덱스값, 각 랜덤 접속 자원 상에서 실행한 랜덤 접속 시도 횟수와 매번 랜덤 접속 시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 접속 시도 정보는 이번 랜덤 접속 시도에서 충돌이 발행한 것이 센싱되었는지 여부의 지시 정보, 이번 랜덤 접속 시도에 대응되는 SSB 및/또는 CSI-RS의 신호 품질이 기설정된 신호 품질 임계값보다 큰지 여부의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25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보고는 단말 이동 궤적정보 및/또는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22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단말기가 발송한 적어도 두 개의 제1 정보를 획득하는 상기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목표 네트워크 기기가 포워딩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중 단말기에 대응되는 접속 네트워크 기기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22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핸드오버 보고를 기초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할당한 예약 자원을 조정하는 상기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복수의 잠재적 네트워크 기기와 인터랙션을 수행하여, 각 단말기의 접속을 허용하는 복수의 잠재적 목표 셀에서 제공한 접속 자원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22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든 단말기의 핸드오버 보고를 기초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할당한 예약 자원을 조정하는 상기 단계는,
각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식을 확정하는 단계;
모든 단말기의 핸드오버 보고와 핸드오버 방식을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핸드오버 규칙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핸드오버 규칙 및/또는 복수의 잠재적 목표 셀에서 제공한 접속 자원을 기초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서비스 셀 내의 단말기에 할당한 예약 자원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핸드오버 규칙 및/또는 복수의 잠재적 목표 셀에서 제공한 접속 자원을 기초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서비스 셀 내의 단말기에 할당한 예약 자원을 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중 제1 기설정 비례보다 큰 단말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를 경과한 후 모두 제1 목표 셀에 접속하면, 상기 예약 자원에 상기 제1 목표 셀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기기가 제공한 접속 자원을 증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핸드오버 규칙 및/또는 복수의 잠재적 목표 셀에서 제공한 접속 자원을 기초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서비스 셀 내의 단말기에 할당한 예약 자원을 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목표 셀에 접속한 모든 단말기 중 제2 기설정 비례보다 큰 단말기가 모두 제1 빔을 통해 상기 제1 목표 셀에 접속하면, 상기 예약 자원 중 상기 제1 빔 상의 자원 크기를 증가하거나, 및/또는, 상기 예약 자원에서 상기 제1 목표 셀 내의 기타 빔 상의 자원 크기를 감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36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핸드오버 규칙 및/또는 복수의 잠재적 목표 셀에서 제공한 접속 자원을 기초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서비스 셀 내의 단말기에 할당한 예약 자원을 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중 제3 기설정 비례보다 작은 단말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를 경과한 후 모두 제2 목표 셀에 접속하면, 상기 예약 자원에 상기 제2 목표 셀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기기가 제공한 접속 자원이 포함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예약 자원에서 상기 제2 목표 셀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기기가 제공하는 접속 자원을 감소하는 것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핸드오버 규칙 및/또는 복수의 잠재적 목표 셀에서 제공한 접속 자원을 기초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서비스 셀 내의 단말기에 할당한 예약 자원을 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가 예약 자원에 대응되는 각 빔에 대한 측정 결과가 모두 기설정된 신호 품질 임계값보다 작지만, 제2 빔 상에서 CBRA 방식의 네트워크 핸드오버를 실행하였으면, 상기 예약 자원에 상기 제2 빔 상의 자원 크기를 신규 추가하되; 여기서, 상기 제2 빔은 상기 예약 자원에 대응되는 빔에 속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처리 모듈과 발송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 모듈은 제1 정보를 생성하되; 여기서, 상기 제1 정보는 단말기의 핸드오버 보고를 포함하고;
상기 발송 모듈은 상기 제1 정보를 발송하되, 여기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단말기의 소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핸드오버 보고를 기초로 예약 자원을 조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처리 장치. -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보고는 핸드오버 유형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핸드오버 유형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42항 또는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유형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핸드오버 방식은,
조건부 핸드오버 방식, 비조건부 핸드오버 방식 중 하나이고;
또는,
상기 핸드오버 유형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핸드오버 방식은,
전통적인 핸드오버 방식, 비전통적인 핸드오버 방식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41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보고는,
상기 단말기의 소스 서비스 셀이 상기 단말기에 할당한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RNTI);
상기 단말기의 소스 서비스 셀의 식별자;
핸드오버 이전까지, 복수의 잠재적 목표 셀의 측정 정보; 또는, 핸드오버 이전까지, 구성된 뉴 라디오(NR) 주파수 상의 셀의 측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정보는,
셀의 신호 품질 및 대응되는 셀 식별자;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N개 셀의 식별자, 상기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 임;
신호 품질의 최대 값의 내림순으로 정렬된 후의 셀의 식별자와 신호 품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품질은,
기준 신호 수신 파워(RSRP), 기준 신호 수신 품질(RSRQ), 신호와 간섭 플러스 노이즈 비(SIN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41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또한, 제1 정보를 생성하기 전에, 소스 서비스 셀로부터 목표 셀로 핸드오버하고, 상기 소스 서비스 셀은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가 서비스하는 하나의 셀이고, 상기 목표 셀은 목표 네트워크 기기가 서비스하는 하나의 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또한, 소스 서비스 셀로부터 목표 셀로 핸드오버하기 전에, 상기 소스 서비스 셀이 상기 단말기에 할당한 예약 접속 자원을 확정하되, 상기 예약 접속 자원은 복수의 잠재적 목표 셀에서 제공한 접속 자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소스 서비스 셀로부터 목표 셀로 핸드오버하고, 구체적으로,
상기 처리 모듈은 구체적으로,상기 예약 접속 자원을 기초로, 조건부 핸드오버 방식을 통해 상기 소스 서비스 셀로부터 상기 목표 셀로 핸드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소스 서비스 셀로부터 목표 셀로 핸드오버하고, 구체적으로,
상기 처리 모듈은 구체적으로, CBRA 방식을 통해 상기 소스 서비스 셀로부터 상기 목표 셀로 핸드오버하되; 상기 목표 셀은 신호 품질이 기설정 신호 품질 임계값보다 높거나 같은 하나의 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셀이 상기 복수의 잠재적 목표 셀 중의 하나이면, 상기 목표 셀은 아래의 조건, 즉,
상기 목표 셀 중 미예약 자원에 대응되는 SSB 또는 CSI-RS 기준 신호의 신호 품질이 기설정 신호 품질 임계값보다 높거나 같은 것;
상기 목표 셀 중 예약 자원에 대응되는 SSB 또는 CSI-RS 기준 신호의 신호 품질이 상기 기설정 신호 품질 임계값보다 작은것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48항 또는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소스 서비스 셀로부터 목표 셀로 핸드오버하고, 구체적으로,
상기 처리 모듈은 구체적으로, RRC 재구성 방식을 통해 상기 목표 셀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또한, RRC 재구성 방식을 통해 상기 목표 셀에 접속하기 전에, 조건부 핸드오버 방식을 통해 네트워크 접속이 실패함을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50항 또는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보고 또는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조건부 핸드오버 방식의 트리거 조건;
상기 단말기가 조건부 핸드오버 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부터 조건부 핸드오버를 실행하기까지의 시간 길이, 또는, 상기 단말기가 실제로 조건부 핸드오버를 실행한 시간; 중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50항, 제54항, 제5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보고는,
목표 셀 내의 각 동기화 신호 블록(SSB) 및/또는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에 기반한 측정 결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41항 내지 제5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보고는, 단말 이동 궤적 정보 및/또는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48항 내지 제5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보고는 랜덤 접속 과정 정보 보고를 더 포함하고;
상기 랜덤 접속 과정 정보 보고는, 서로 다른 랜덤 접속 자원을 사용하여 랜덤 접속을 수행한 경우를 포함하고, 상기 랜덤 접속의 경우는 사용한 랜덤 접속 자원에 대응되는 동기화 신호 블록(SSB) 및/또는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의 인덱스값, 각 랜덤 접속 자원 상에서 실행한 랜덤 접속 시도 횟수와 매번 랜덤 접속 시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 접속 시도 정보는 이번 랜덤 접속 시도에서 충돌이 발행한 것이 센싱되었는지 여부의 지시 정보, 이번 랜덤 접속 시도에 대응되는 SSB 및/또는 CSI-RS의 신호 품질이 기설정된 신호 품질 임계값보다 큰지 여부의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48항 내지 제5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와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동일한 네트워크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48항 내지 제5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와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가 서로 다른 네트워크 기기이면; 상기 제1 정보를 발송하는 것은,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로 상기 제1 정보를 발송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제1 정보를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로 포워딩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획득 모듈과 처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획득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가 발송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정보를 획득하되; 여기서, 각각의 제1 정보는 대응되는 단말기의 핸드오버 보고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핸드오버 보고를 기초로, 네트워크 기기가 할당한 예약 자원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보고는 핸드오버 유형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핸드오버 유형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63항 또는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유형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핸드오버 방식은,
조건부 핸드오버 방식, 비조건부 핸드오버 방식 중 하나이고;
또는,
상기 핸드오버 유형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핸드오버 방식은,
전통적인 핸드오버 방식, 비전통적인 핸드오버 방식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62항 내지 제6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보고는,
소스 서비스 셀이 단말기에 할당한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RNTI);
소스 서비스 셀의 식별자;
핸드오버를 실행하기 전까지, 복수의 잠재적 목표 셀의 측정 정보; 또는, 핸드오버를 실행하기 전까지, 구성된 뉴 라디오(NR) 주파수 상의 셀의 측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정보는,
셀의 신호 품질 및 대응되는 셀 식별자;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N개 셀의 식별자, 상기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 임;
신호 품질의 최대 값의 내림순으로 정렬된 후의 셀의 식별자와 신호 품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품질은,
기준 신호 수신 파워(RSRP), 기준 신호 수신 품질(RSRQ), 신호와 간섭 플러스 노이즈 비(SIN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65항 내지 제6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가 조건부 핸드오버 방식을 실행하였으면, 상기 핸드오버 보고는,
목표 셀 내의 각 동기화 신호 블록(SSB) 및/또는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에 기반한 측정 결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보고는,
상기 조건부 핸드오버 방식의 트리거 조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가 조건부 핸드오버 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부터 조건부 핸드오버를 실행하기 까지의 시간 길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가 실제로 조건부 핸드오버를 실행한 시간 중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65항 내지 제7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보고는 랜덤 접속 과정 정보 보고를 더 포함하고;
상기 랜덤 접속 과정 정보 보고는 서로 다른 랜덤 접속 자원을 사용하여 랜덤 접속을 수행한 경우를 포함하고, 상기 랜덤 접속의 경우는 사용한 램덤 접속 자원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 블록(SSB) 및/또는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의 인덱스값, 각 랜덤 접속 자원 상에서 실행한 랜덤 접속 시도 횟수와 매번 랜덤 접속 시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 접속 시도 정보는 이번 랜덤 접속 시도에서 충돌이 발행한 것이 센싱되었는지 여부의 지시 정보, 이번 랜덤 접속 시도에 대응되는 SSB 및/또는 CSI-RS의 신호 품질이 기설정된 신호 품질 임계값보다 큰지 여부의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65항 내지 제7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보고는 단말 이동 궤적 정보 및/또는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62항 내지 제7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모듈은 구체적으로 수신 모듈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목표 네트워크 기기가 포워딩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중 단말기에 대응되는 접속 네트워크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62항 내지 7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모듈은 또한, 상기 처리 모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핸드오버 보고를 기초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할당한 예약 자원을 조정하기 전에, 복수의 잠재적 네트워크 기기와 인터랙션을 수행하여, 각 단말기의 접속을 허용하는 복수의 잠재적 목표 셀에서 제공한 접속 자원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62항 내지 7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구체적으로,
각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식을 확정하고;
모든 단말기의 핸드오버 보고와 핸드오버 방식을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핸드오버 규칙을 확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핸드오버 규칙 및/또는 복수의 잠재적 목표 셀에서 제공한 접속 자원을 기초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서비스 셀 내의 단말기에 할당한 예약 자원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중 제1 기설정 비례보다 큰 단말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를 경과한 후 제1 목표 셀에 접속하면, 상기 예약 자원에 상기 제1 목표 셀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기기가 제공한 접속 자원을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또한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목표 셀에 접속한 모든 단말기 중 제2 기설정 비례보다 큰 단말기가 모두 제1 빔을 통해 상기 제1 목표 셀에 접속하면, 상기 예약 자원 중 상기 제1 빔 상의 자원 크기를 증가하거나, 및/또는, 상기 예약 자원에서 상기 제1 목표 셀 내의 기타 빔 상의 자원 크기를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76항 내지 제7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중 제3 기설정 비례보다 작은 단말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를 경과한 후 모두 제2 목표 셀에 접속하면, 상기 예약 자원에 상기 제2 목표 셀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기기가 제공한 접속 자원이 포함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예약 자원에서 상기 제2 목표 셀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기기가 제공하는 접속 자원을 감소하는 것으로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가 예약 자원에 대응되는 각 빔에 대한 측정 결과가 모두 기설정된 신호 품질 임계값보다 작지만, 제2 빔 상에서 CBRA 방식의 네트워크 핸드오버를 실행하였으면, 상기 예약 자원에 상기 제2 빔 상의 자원 크기를 신규 추가하되; 여기서, 상기 제2 빔은 상기 예약 자원에 대응되는 빔에 속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단말기에 있어서,
프로세서, 메모리, 송신기, 및 네트워크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에는 컴퓨터 실행 명령이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명령을 실행하여, 상기 프로세서가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 네트워크 기기기에 있어서,
프로세서, 메모리, 수신기, 및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에는 컴퓨터 실행 명령이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명령을 실행하여, 상기 프로세서가 제22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는 컴퓨터 실행 명령이 저장되고, 상기 컴퓨터 실행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는 컴퓨터 실행 명령이 저장되고, 상기 컴퓨터 실행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22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CN2020/078007 WO2021174490A1 (zh) | 2020-03-05 | 2020-03-05 | 资源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50299A true KR20220150299A (ko) | 2022-11-10 |
Family
ID=77613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7029948A Pending KR20220150299A (ko) | 2020-03-05 | 2020-03-05 | 자원 처리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매체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US (1) | US12335792B2 (ko) |
EP (2) | EP4087317B1 (ko) |
JP (1) | JP7561863B2 (ko) |
KR (1) | KR20220150299A (ko) |
CN (2) | CN114830729A (ko) |
AU (1) | AU2020433128A1 (ko) |
BR (1) | BR112022017565A2 (ko) |
IL (1) | IL296086A (ko) |
WO (1) | WO202117449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709824B (zh) * | 2020-05-21 | 2023-03-10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通信方法及装置 |
CN115150883B (zh) * | 2022-09-05 | 2023-01-13 | 荣耀终端有限公司 | 测量上报方法、装置、终端装置及存储介质 |
WO2024246409A1 (en) * | 2023-06-01 | 2024-12-05 | Nokia Technologies Oy | Allocation of contention-free random access preamble resources |
CN119629685A (zh) * | 2023-09-12 | 2025-03-14 | 华为技术有限公司 | 通信方法和通信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7052916A1 (en) | 2005-10-31 | 2007-05-10 | Lg Electronics Inc. | Method for processing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US20100304748A1 (en) | 2009-04-27 | 2010-12-02 | Tero Henttonen |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over in a Communication System |
WO2013131553A1 (en) * | 2012-03-05 | 2013-09-12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Handover method in a cellula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CN108632875A (zh) * | 2017-03-22 | 2018-10-09 | 北京展讯高科通信技术有限公司 | 小区切换方法、装置及用户设备 |
EP3611963B1 (en) | 2017-04-14 | 2022-06-29 |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cells and user equipment |
KR20180122935A (ko) * | 2017-05-04 | 2018-11-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UE autonomous handover에서의 measurement report/event 운용 및 네트워크 시그널링 방법 |
CN107333293B (zh) * | 2017-07-28 | 2021-05-14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测量信息上报方法及装置 |
CN109392039B (zh) | 2017-08-11 | 2021-01-26 | 捷开通讯(深圳)有限公司 | 通信切换方法及装置 |
CN111727625B (zh) * | 2018-02-14 | 2023-08-04 | 诺基亚技术有限公司 | 用于条件切换的装置、方法、介质和系统 |
CN110351788A (zh) * | 2018-04-03 | 2019-10-18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资源释放方法、终端设备和网络侧设备 |
JP2019193166A (ja) * | 2018-04-26 | 2019-10-31 | シャープ株式会社 | 端末装置、基地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CN110636567B (zh) | 2018-06-22 | 2022-11-22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一种切换评估、报告方法、装置及基站 |
CN110831079B (zh) * | 2018-08-09 | 2021-11-16 |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 通信切换方法及装置 |
EP4543138A2 (en) * | 2019-02-12 | 2025-04-23 | ZTE Corporation | Method of performance information reporting |
US20220167223A1 (en) * | 2019-05-01 | 2022-05-26 | Apple Inc. | Methods for Enhanced Handover Using Conditional and Simultaneous Connectivity Handover |
WO2021003684A1 (en) * | 2019-07-10 | 2021-01-14 | Qualcomm Incorporated | Service interruption measurement |
US12010735B2 (en) * | 2019-07-10 | 2024-06-11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Rach-report indicating rat or node in a dual-connectivity / multi-rat configuration |
EP4014692A4 (en) * | 2019-08-14 | 2022-11-23 | ZTE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ND REPORTING MEASUREMENT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CN115053562B (zh) * | 2020-02-13 | 2024-12-17 | 高通股份有限公司 | 针对双活动协议栈切换和条件性切换的中断测量 |
EP4158946A4 (en) * | 2020-05-29 | 2024-01-24 | Qualcomm Incorporated | DRAFT SIDELINK RELAY MOBILITY TRIGGER EVENT |
US11917564B2 (en) * | 2021-11-29 | 2024-02-27 | Qualcomm Incorporated | Enhanced inter-frequency detection for misaligned base stations |
-
2020
- 2020-03-05 EP EP20923667.8A patent/EP4087317B1/en active Active
- 2020-03-05 IL IL296086A patent/IL296086A/en unknown
- 2020-03-05 BR BR112022017565A patent/BR112022017565A2/pt unknown
- 2020-03-05 CN CN202080088029.3A patent/CN114830729A/zh active Pending
- 2020-03-05 KR KR1020227029948A patent/KR20220150299A/ko active Pending
- 2020-03-05 AU AU2020433128A patent/AU2020433128A1/en active Pending
- 2020-03-05 WO PCT/CN2020/078007 patent/WO2021174490A1/zh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0-03-05 JP JP2022553206A patent/JP7561863B2/ja active Active
- 2020-03-05 CN CN202211014053.XA patent/CN115396967B/zh active Active
- 2020-03-05 EP EP24199944.0A patent/EP4462852A3/en active Pending
-
2022
- 2022-08-02 US US17/879,501 patent/US12335792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20369175A1 (en) | 2022-11-17 |
EP4462852A2 (en) | 2024-11-13 |
BR112022017565A2 (pt) | 2022-10-18 |
WO2021174490A1 (zh) | 2021-09-10 |
EP4462852A3 (en) | 2025-01-15 |
EP4087317A4 (en) | 2023-01-18 |
IL296086A (en) | 2022-11-01 |
CN114830729A (zh) | 2022-07-29 |
EP4087317A1 (en) | 2022-11-09 |
CN115396967A (zh) | 2022-11-25 |
EP4087317B1 (en) | 2024-10-09 |
JP7561863B2 (ja) | 2024-10-04 |
CN115396967B (zh) | 2024-05-28 |
AU2020433128A1 (en) | 2022-09-29 |
JP2023523521A (ja) | 2023-06-06 |
US12335792B2 (en) | 2025-06-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9302720B (zh) | 一种选择波束的方法及设备 | |
EP4203337A1 (en) | Beam failure determination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 |
US12137357B2 (en) | Method of performance information reporting | |
US9769717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system in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US20200077314A1 (en) | Method for measurement report event operation and network signaling in ue autonomous handover | |
CN107079305B (zh) |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配置小区的方法和装置 | |
US12335792B2 (en) | Resourc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 |
TWI675604B (zh) | 通訊裝置,基礎結構設備,行動通訊網路及方法 | |
WO2017156856A1 (zh) | 用于d2d通信的方法、d2d设备和基站 | |
EP3284286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network coexistence | |
US11323903B2 (en) | Connection state-dependent channel measurement | |
KR20220123665A (ko) | 방향 기반 lbt(listen before talk)에 관련된 방법 및 장치 | |
JP2022540592A (ja) |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の条件付き構成 | |
US12088515B2 (en) | User equipment | |
CN112789899B (zh) | 信道测量配置和报告 | |
US20230056592A1 (en) | User Equipment-Autonomously Triggered-Sounding Reference Signals | |
RU2817343C1 (ru) | Способ и аппарат для обработки ресурсов, устройство и носитель данных | |
US8942129B1 (en) |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inter-frequency handoff in wireless coverage areas | |
CN119769130A (zh) | 无线通信的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 |
WO2023007020A1 (en) | Cell selecting technique | |
KR20200131612A (ko) | 주파수접속제어장치 및 주파수 접속 제어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2083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7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