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0085A - testing system and portable device for charging apparatus of electric vehicle - Google Patents
testing system and portable device for charging apparatus of electric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50085A KR20220150085A KR1020210057360A KR20210057360A KR20220150085A KR 20220150085 A KR20220150085 A KR 20220150085A KR 1020210057360 A KR1020210057360 A KR 1020210057360A KR 20210057360 A KR20210057360 A KR 20210057360A KR 20220150085 A KR20220150085 A KR 2022015008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ic vehicle
- charger
- simulation
- switches
- mcu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4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7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01710176296 Switch 2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9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3256 coordination poly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56 performance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81 safety tes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618 wa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5—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 G01R31/006—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on road vehicles, e.g. automobiles or truck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7—Software therefor, e.g. for battery testing using modelling or look-up tabl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74—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with means for correcting the measurement for temperature or age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충전기에 대한 주기적인 성능검사 및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충전기에 전기자동차가 연결되어 있는 상황을 모의하여 시험하도록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기 모의시험장치'와 전기자동차 충전상황에서 배터리의 상태변화를 모의하여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출력성능을 시험하도록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기 출력성능 부하시험 장치'로 구성되는 전기자동차 충전기 시험 시스템 및 휴대할 수 있는 휴대용 검사장치가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ic vehicle charger simulation test device' that simulates and tests a situation in which an electric vehicle is connected to a charger so that periodic performance inspection and maintenance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is possible and the state of the battery i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ituation Disclosed are an electric vehicle charger test system comprising an 'electric vehicle charger output performance load test device' to test the output performance of an electric vehicle charger by simulating changes, and a portable portable test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충전기에 대한 주기적인 성능검사 및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한 시험시스템과 이러한 시스템을 적용하여 휴대하면서 전기자동차 충전기를 시험할 수 있도록 한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휴대용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st system that enables periodic performance inspection and maintenance of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a portable test apparatus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er that allows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to be tested while carrying it by applying such a system.
특허등록 제10-1773947호 (발명의 명칭: 전기자동차 충전기 전용 검사장비)(이하, '종래기술' 이라 함)는 전기자동차 충전장치가 정상작동하고 있는지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장비에 대한 발명이다.Patent Registration No. 10-1773947 (Title of Invention: Inspection Equipment for Electric Vehicle Charger Only)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is an invention for inspection equipment for inspecting whether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is operating normally.
도 1은 종래기술의 전기자동차 충전기 검사장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prior art electric vehicle charger inspection equipment.
종래기술의 전기자동차 충전기 전용 검사장비는, 전기자동차 충전기가 설치된 현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부(51); 전기자동차 충전기와 연결되어 충전기의 상태를 점검하는 점검부(52); 상기 점검부(52)를 통해 측정된 충전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53); 검사장비 내에서의 하기 운영서버(55)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부(54); 및 다수의 전기자동차 충전기에 대한 검사 관련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별도의 운영서버(55);를 포함한다.The electric vehicle charger-only inspection equipment of the prior art includes a moving unit 51 that enables movement to the site where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is installed; an
상기 표시부(53)는 후술할 점검부(52)를 통해 측정 및 진단되는 측정대상 충전기의 상태를 사용자(점검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 구성으로, 측정대상 항목 및 그 결과치 등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The
상기 점검부(52)는 전기자동차 충전기와 연결되어 충전기의 상태를 점검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해 보다 구체적으로 전기자동차 충전기로부터의 출력 전류를 점검하는 전류측정모듈(521)과, 전기자동차 충전기로부터의 출력전압을 점검하는 전압측정모듈(522)과, 충전기의 제품 출하시 파일럿 신호를 측정하는 파일럿 신호측정모듈(523)과, 전기자동차 충전기가 현장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접지 저항을 측정하는 접지저항측정모듈(524)과, 전기자동차 충전기에 공급되는 전력계통의 품질을 점검하는 전력품질점검모듈(525)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전류측정모듈(521)은 전기자동차 충전기로부터의 출력 전류를 점검하는 구성으로, 충전기로부터 전기자동차 배터리로 공급되는 전기의 출력 전류의 상태가 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측정, 점검하게 된다. 상기 전류측정모듈(521)은 충전기의 측정 단자 등에 연결되어 충전기로부터의 출력 전류를 점검할 수 있다.The
상기 전압측정모듈(522)은 전기자동차 충전기로부터의 출력전압을 점검하는 구성으로, 충전기로부터 전기자동차 배터리로 공급되는 전기의 출력 전압의 상태가 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측정, 점검하게 된다. 상기 전압측정모듈(522)은 충전기의 측정 단자 등에 연결되어 충전기로부터의 출력 전압을 점검할 수 있다.The voltage measurement module 522 is configured to check the output voltage from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measures and checks whether the state of the output voltage of electricity supplied from the charger to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is in a normal state. The voltage measurement module 522 may be connected to a measurement terminal of the charger to check the output voltage from the charger.
상기 파일럿신호측정모듈(523)은 충전기의 제품 출하시 파일럿 신호를 측정하는 구성으로, 충전기가 현장에 설치되기 전 또는 바로 설치된 상태에서의 초기 파일럿 신호를 측정하여 초기 충전기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파일럿신호측정모듈(523) 역시 충전기의 측정 단자 등에 연결되어 초기 충전기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The pilot
상기 접지저항측정모듈(524)은 전기자동차 충전기가 현장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접지 저항을 측정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기 전용 검사장비는 충전기의 기본적인 출력전압, 출력전류 등의 상태뿐만 아니라 충전기가 현장에 설치된 상태의 안정성까지 한번에 원스톱(ONE-STOP)으로 점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후술할 전력품질점검모듈(525) 외에 추가로 상기 접지저항측정모듈(524)을 통해 현장에 설치된 충전기의 접지상태까지 점검할 수 있게 된다.The ground
상기 전력품질점검모듈(525)은 전기자동차 충전기에 공급되는 전력계통의 품질을 점검하는 구성으로, 충전기의 기본적인 출력전압, 출력전류 등의 상태뿐만 아니라 한전 선로로부터 충전기에 인입되는 전력의 품질까지 한번에 원스톱(ONE-STOP)으로 점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이를 위해 상기 전력품질점검모듈(525)은 보다 구체적으로, 전기자동차 충전기에 공급되는 전력에서의 고조파를 측정하는 고조파측정모듈(5251)과, 전기자동차 충전기에 공급되는 전력에서의 노이즈를 측정하는 노이즈측정모듈(5252)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의 전기자동차 충전기 전용 검사장비는 전기자동차 충전기가 전기자동차와 연결된 상태에서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전류를 기반으로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정상작동여부를 검사하는 것으로, 충전 중에 정전류 상태 및 정전압 상태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실제 전기자동차를 연결한 상태에서 부하성능 시험을 할 수 밖에 없었다.However, this prior art electric vehicle charger-only inspection equipment is to inspect the normal oper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based on the voltage and current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while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is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constant current state and the constant voltage state are normally performed during the operation, the load performance test had to be performed while the electric vehicle is actually connected.
또한 전기자동차 충전기 전용 검사장비는 전기자동차 충전기에 대한 성능 및 안전성 시험과 관련한 국내표준 'R IEC 61851-1 전기자동차 전도성 충전시스템-제1부: 일반 요구사항'에 따른 각종 요구사항 및 부속서에 명시한 기능 등을 만족시키는지의 여부를 시험하여야 하지만 종래기술은 일부 항목만을 검사할 수 있었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적용할 수 없는 검사장비이다.In addition, the electric vehicle charger-exclusive inspection equipment meets the requirements specified in the various requirements and annexes according to the domestic standard 'R IEC 61851-1 Electric Vehicle Conductive Charging System - Part 1: General Requirements' related to the performance and safety testing of electric vehicle chargers. It is necessary to test whether or not the function satisfies, but the prior art is an inspection equipment that cannot be applied realistically because only some items can be inspected.
또한 종래기술의 전기자동차용 충전기 전용 검사장비는 충전기와 결합되었을 때 충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없기 때문에 검사장비에 필요한 별도의 전원이 필요하였기 때문에 포터블식 휴대용 검사장비로는 사용할 수 없었다.In addition, the prior art electric vehicle charger-only inspection equipment cannot be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charger when combined with the charger, and thus, a separate power source required for the inspection equipment is required, so it cannot be used as a portable portable inspection equipment.
또한 종래기술은 파일럿신호측정모듈(523)을 통해 파일럿 신호를 수동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전기자동차 제어파일럿을 검증하기 위한 모의회로를 통한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반응상태 점검이 불가능한 검사장비이다. In addition, the prior art is a test equipment that allows passive measurement of the pilot signal through the pilot
도 2는 종래 사용되는 시뮬레이터의 전형적인 파일럿 회로이다.2 is a typical pilot circuit of a simulator used in the prior art.
도 2에서, R3는 전기자동차종에 따라서 결정되는 영구저항값이고, R2는 전기자동차 전환 저항값으로 전기자동차 환기 시스템의 존재 여부에 따라 저항 수치 값이 다르게 되고, 제어 파일럿 회로에서 S2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충전 여부가 결정되고, 스위치가 온된 경우에 Va, Vb 전압이 설정된 전압과 기준 오차범위 내이면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In FIG. 2 , R3 is a permanent resistance valu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electric vehicle type, R2 is an electric vehicle conversion resistance value, and the resistance numerical value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electric vehicle ventilation system. Charging is determined according to /off, and when the switch is on, if the voltages Va and Vb are within the set voltage and the reference error range,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te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is normal.
도 2에서 전기자동차의 영구저항값 R3 값은 공칭값(평균값) 2740Ω으로 한가지 값으로 규정되어 있으나, 전기자동차 충전기에 연결되는 전기자동차의 영구저항값은 최소값(2658Ω)으로부터 최대값(2822Ω)으로 다양한 값을 갖게 되고, 마찬가지로 환기 필요여부에 따라 변환되는 전환저항값R2 또한 다양한 값을 갖게 되나, 전형적인 값에 대하여 시험을 하게 되는 종래의 시뮬레이터에 의해서는 정확한 시험을 이룰 수가 없었다. In FIG. 2, the permanent resistance R3 value of the electric vehicle is defined as a nominal value (average value) of 2740Ω, but the permanent resistance value of the electric vehicle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is from the minimum value (2658Ω) to the maximum value (2822Ω). It has various values, and the conversion resistance value R2, which is also converted according to the necessity of ventilation, also has various values, but an accurate test could not be achieved by a conventional simulator that tests a typical value.
이와 같은 전형적인 제어파일럿 회로만으로 시뮬레이터를 구현하는 경우에는 충전시에 플러그가 전기자동차 인렛에 정상적으로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SW-Pr(플러그 인렛 프락시미터 시험스위치), 케이블 정전용량을 고려한 SW-Cc(케이블 정전용량 시험스위치) 시험, 제어 파일럿 회로 자체에서 발생된 단락을 모의하기 위한 SW-Sh(자체단락 시험스위치)시험 및 충전시에 전압, 전류가 정상적인 충전곡선을 형성하는지에 대한 모의시험할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하지 않았다.In the case of implementing the simulator only with such a typical control pilot circuit, SW-Pr (Plug Inlet Proximity Test Switch) to detect whether the plug is norm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inlet during charging, SW-Pr considering the cable capacitance Cc (cable capacitance test switch) test, SW-Sh (self-short circuit test switch) test to simulate a short circuit generated in the control pilot circuit itself, and a simulation test to see if voltage and current form a normal charging curve during charging There was no way it could be done.
따라서 다양하게 강제적으로 고장상황(폴트:fault)을 부여하는 스위치들과 이들 스위치들이 동작할 때 나타나는 반응들이 시험자가 판독할 수 있도록 표시되도록 하는 장치가 필요하였다. Therefore, there was a need for switches that forcibly give various kinds of fault conditions (faults) and a device that displays the reactions that occur when these switches are operated so that the tester can read them.
또한 이러한 폴트 유발 스위치들이 강제된 시퀀스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발생하도록 하는 시스템이 필요하였고, 이들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특정 스위치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시험 시스템이 필요하였다.Also, there was a need for a system for causing these fault-inducing switches to occur sequentially according to a forced sequence, and a mobile test system for allowing them to operate a specific switch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was needed.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IEC 61851-1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의 일반 요구사항에 따른 시험요소들을 충족시키는지를 검사하는 전기자동차 시뮬레이터를 제공하는 한편, 전기자동차 충전기에 전기자동차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모의하여 정상적인 정전류, 정전압 현상, 즉 정상적인 충전 곡선이 이루어지는 검사를 할 수 있는 모의부하장치가 결합된 ‘전기자동차 충전기 시험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provides an electric vehicle simulator that tests whether the test elements according to the general requirements of IEC 61851-1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re satisfied, while providing an electric vehicle to an electric vehicle charger This is to provide an 'Electric Vehicle Charger Test System' combined with a simulation load that can simulate normal constant current and constant voltage phenomena, that is, a normal charging curve is formed by simulating the connection of .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전기자동차의 종류 및 조건, 고장 유발상황들을 정의하는 스위치상태의 조합을 페이지별로 저장수단에 저장하고, 시퀀스에 따라서 각 페이지를 독출하여 페이지에서 정의되는 스위치 상태로 모의시험회로부의 스위치를 동작시키고, 이들의 결과를 HMI(Human Machine Interface)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여 볼 수 있도록 하는 모의시험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solu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tore a combination of switch states defining the types and conditions of electric vehicles and failure-causing situations for each page in the storage means, read each page according to the sequence, and simulate the switch state defined in the page. This is to provide a simulation test device that operates the switches of the test circuit and displays the results through HMI (Human Machine Interfa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내부 프로그램인 순차제어프로그램에 의하여 정해진 시퀀스에 따라 시험을 수행하도록 하고, 이들 결과를 HMI에 표출하도록 하거나, 외부로 표출된 고장 모의 스위치들 및 전기자동차의 종류와 조건들을 설정할 수 있는 스위치들을 동작시키도록 하여 인위적인 상황들을 수동적으로 발생시키도록 하는 모의시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solu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erform tests according to a sequence determined by a sequential control program, which is an internal program, and to display these results on the HMI, or to externally display the types and conditions of failure simulation switches and electric vehicles. It is to provide a simulation device that allows to manually generate artificial situations by operating switches that can set them.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전기자동차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충전기 시험장치를 구성하여 해당 장치에 전기자동차 충전과 관련한 제어시퀀스를 모의시험 할 수 있는 회로를 탑재하고,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에 전력을 저장하는 충전 패턴을 모의하는 모의부하장치를 연결하여 전기자동차 충전기를 설치 이후 성능과 관련한 유지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solu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a charger test device capable of electric vehicle simulation, to mount a circuit capable of simulating a control sequence related to electric vehicle charging in the device, and to store power in the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This is to enabl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the performance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after installation by connecting a simulation load device that simulates the charging pattern.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전기자동차 충전기로부터 초기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는 검사장치를 구성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외부전원 없이도 검사장치를 웨이크-업(wake-up)시키도록 함으로써 전기자동차 충전기 휴대용 검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solu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an inspection device that can be driven by receiving initial power from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to wake-up the inspection device without a separate external power source, thereby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charger. It is intended to provide a portable inspection device.
이외의 본 발명의 해결과제에 대해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는 과정에서 기술하기로 한다.Other than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process of explaining through examples.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상태 및 성능 검사를 위한 전기자동차 충전기 시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기에 전기자동차가 연결된 것으로 모의하는 모의회로와, 상기 모의회로의 특정부분을 연결 또는 차단시켜 고의적으로 특정상황을 발생시키는 상황 발생 스위치들이 설치되는 모의시험회로부;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기에 연결되어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 과정을 모의적으로 수행하는 모의부하장치; 상기 상황발생 스위치들의 동작을 지시하고, 상기 상황발생 스위치들의 동작결과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반응을 입력받아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정상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모의부하장치의 모의실험을 지시하고 충전 특성 커브를 통해 정상 충전을 판별하는 MCU(microcontroller unit)와, 상기 MCU로부터 정상여부에 따른 메시지를 표출하고 상기 MCU에 조건을 입력시키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를 구비하는 충전기 시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모의시험회로부의 상기 상황발생 스위치들의 연결 상태들이 페이지별로 상기 MCU에 저장되고, 상기 MCU에 저장된 페이지별 동작 시퀀스에 따라서 상기 상황발생 스위치들의 연결상태에 따라서 상기 MCU가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들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것이다.The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n electric vehicle charger test system for inspecting the state and performance of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 simulation circuit simulating that an electric vehicle is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the simulation circuit a simulation circuit unit in which situation generating switches that intentionally generate a specific situation by connecting or blocking a specific part are installed; a simulation load device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to simulate a charging process of the electric vehicle; Instructs the operation of the situation generating switches, receives the response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as an input result of the operation of the situation generating switches, determines whether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is normal, instructs the simulation of the simulation load device, and calculates the charging characteristic curve and a microcontroller unit (MCU) for determining normal charging through a charger testing apparatus having a human machine interface (HMI) for expressing a message according to whether normal or not from the MCU and inputting a condition to the MCU, the simulation test Connection states of the situation generating switches of the circuit unit are stored in the MCU for each page, and the MCU turns on or off the plurality of switches according to the connection states of the situation generating switches according to an operation sequence for each page stored in the MCU .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MCU는 O.S(Operating System)을 담당하고, 상기 상황발생 스위치들의 포함한 제어대상들을 제어하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연산처리하여 할당된 모듈에 전송하는 제어모듈; 상기 시퀀스에 의하여 상기 상황발생 스위치들이 동작될 때 상기 모의 스위칭 회로부의 특정 부분의 전압, 전류를 입력받아 오동작을 판별하는 모의 스위칭 스퀀스 모듈; 전기자동차의 동력원이 되는 배터리 모듈에 대한 충전 특성 커브를 기 저장하고, 상기 모의부하장치의 충전전압 및 충전전류가 형성하는 충전 특성 커브와 기저장된 충전 특성커브와 비교하여 기설정된 오차 이내인 경우 정상 충전으로 판별하는 모의실험을 수행하는 배터리 모의 부하시험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CU is in charge of the O.S (Operating System), controlling the control objects including the situation generating switches, and processing the data input from the outside, the control module for transmitting to the assigned module; a simulation switching sequence module that receives voltage and current of a specific part of the simulation switching circuit unit and determines a malfunction when the situation-generating switches are operated according to the sequence; If the charging characteristic curve for the battery module, which is the power source of the electric vehicle, is stored in advance, and the charging characteristic curve formed by the charging voltage and the charging current of the simulation load device is compared with the previously stored charging characteristic curve, it is normal if it is within a preset error.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battery simulation load test module that performs a simulation to determine charging.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의부하장치는 외부로 공급되는 AC 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정류부와, 상기 배터리 모의부하시험모듈의 제어를 받아 전류를 가변시키는 전류제어기와, 상기 전류제어기의 출력전류를 공급받아 통전되는 고정부하와, 상기 고정부하가 통전될 때 발생되는 열에 따라 변화되는 저항값을 보상해주는 미세조정저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imulated load device includes a rectifier for converting externally supplied AC power into DC power, a current controller for varying the current under the control of the battery simulated load test module, and an output current of the current controller.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fixed load that is supplied and energized, and a fine adjustment resistor that compensates for a resistance value that is changed according to heat generated when the fixed load is energized.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들이 자동으로 순차적으로 수행되거나, 수동으로 하나씩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allow the user to select whether the sequences are automatically performed sequentially or manually performed one by one.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의시험회로부가 설치된 충전기 시험장치의 케이스에는 상기 상황 발생 스위치들의 동작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포트들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ports for check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situation generating switches are installed in the case of the charger test device in which the simulation circuit unit is install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수단은 전기자동차의 충전기와 연결되어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기의 상태 및 성능 검사를 위한 충전기 시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기에 전기자동차가 연결된 것으로 모의하는 모의회로와, 상기 모의회로의 특정부분을 연결 또는 차단시켜 고의적으로 특정상황을 발생시키는 상황 발생 스위치들이 설치되는 모의시험회로부; 상기 상황발생 스위치들 중 특정 스위치의 동작될 때 기지정된 상기 모의시험회로부의 특정부분의 전압, 전류의 실제 값을 입력받고, 기설정된 정상값과 상기 실제 값을 비교하여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정상여부를 검사하는 MCU(microcontroller unit)를 포함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harger test apparatus connected to a charger of an electric vehicle to test the state and performance of the charger of the electric vehicle: a simulation circuit simulating that an electric vehicle is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a simulation circuit unit in which situation generating switches for intentionally generating a specific situation by connecting or blocking a specific part of the simulation circuit are installed; When a specific switch of the situation generating switches is operated, the predetermined actual values of voltage and current of a specific part of the simulation circuit unit are input, and the preset normal value and the actual value are compared to determine whether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is normal. It includes a microcontroller unit (MCU) that checks th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충전기 시험장치는 모의부하장치를 접속하는 포트가 설치되며, 상기 모의부하장치는 외부로 공급되는 AC 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정류부와, 상기 MCU의 제어를 받아 전류를 가변시키는 전류제어기와, 상기 전류제어기의 출력전류를 공급받아 통전되는 고정부하와, 상기 고정부하가 통전될 때 발생되는 열에 따라 변화되는 저항값을 보상해주는 미세조정저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er test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port for connecting a simulated load device, the simulated load device includes a rectifier for converting externally supplied AC power to DC power, and changing the current under the control of the MCU. Preferably, it includes a current controller, a fixed load energized by receiving the output current of the current controller, and a fine adjustment resistor for compensating for a resistance value that is changed according to heat generated when the fixed load is energized.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모의시험회로부의 상기 상황발생 스위치들의 연결 상태들이 페이지별로 상기 MCU에 저장되고, 상기 MCU에 저장된 페이지별 동작 시퀀스에 따라서 상기 상황발생 스위치들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states of the situation generating switches of the simulation circuit unit are stored in the MCU for each page, and the situation generating switches are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operation sequence for each page stored in the MCU.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황발생 스위치들이 상기 충전기 시험장치의 케이스 전면에 설치되어 수동으로 온 또는 오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ituation generating switches are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case of the charger test device to be manually turned on or off.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 시험장치는 상기 충전기 시험장치가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기에 연결된 것을 모의하는 스위치①; 상기 스위치①이 동작된 후 충전 전류용량을 설정하는 스위치②; 상기 충전기 시험장치로부터 전기자동차에 전원을 공급되는 것을 모의하는 스위치④;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기에 연결되는 전기자동차의 전기차 저항을 선택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것이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er testing device includes a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 시험장치가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기와 연결될 때는 상기 스위치①, 스위치②, 스위치④을 순차적으로 동작시켜 상기 충전기 시험장치를 웨이크 업(wake up)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harger test device is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it is preferable to wake up the charger test device by sequentially operating the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충전기 시험장치는 전기자동차의 차종에 따른 영구저항값 및 전기자동차의 전환저항값으로 전기자동차 환기시스템의 존재 여부에 따른 저항값을 고려하여 차종별 저항값 모의를 자유롭게 조작할 수 있는 모의 스위칭 시퀀스모듈을 통해 정상상태 및 고장(전기자동차 인렛에 정상적으로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 케이블 정전용량 시험스위치, 제어 파일럿 회로 자체에서 발생된 단락)을 모의하여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동작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모의하고, 실제 전기자동차가 없는 상황에서도 모의 충전시험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정상적인 충전곡선에 따라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시험할 수 있으며, 특히 만충전 인접시에 정상적인 CV(Constant Voltage) 특성을 만족하는지를 테스트 할 수 있으며, 모의 회로에 설치된 복수의 스위치들을 시퀀스에 따라 동작시키도록 함으로써 자동으로 다양한 모의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problems and solutions, the charger test apparatus is a resistance value for each vehicle type in consideration of the resistance valu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electric vehicle ventilation system as a permanent resistance value according to the vehicle type of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conversion resistance value of the electric vehicle Through the simulation switching sequence module that can freely manipulate the simulation, it simulates the normal state and failure (whether it is norm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inlet, the cable capacitance test switch, and the short circuit caused by the control pilot circuit itself)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It can be simulated to determine whether the operation is abnormal, and the simulated charging test can be performed even in the absence of an actual electric vehicle, so that the charging can be conducted according to the normal charging curve. It can test whether the characteristic (Constant Voltage) is satisfied, and various simulation tests can be performed automatically by operating a plurality of switches installed in the simulation circuit according to a sequence.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검사장치는 전기자동차 충전기와 연결될 때 웨이크 업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전원공급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휴대용 검사장치로 제작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ortable insp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wake-up function when it is connected to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 separate power supply is unnecessary, so it can be manufactured and used as a portable inspection device.
도 1은 종래기술의 전기자동차 충전기 검사장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종래 사용되는 시뮬레이터의 전형적인 파일럿 회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모델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기자동차와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충전상태의 상태도를 표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의 모의시험회로와 모의부하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충전기시험장치의 실시예의 외관의 전, 후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시험 시스템의 제어계통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충전기시험장치의 MCU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스위치 구동부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적용되는 모의부하장치에 관한 회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충전기시험장치의 메인화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충전기시험장치의 동작실행화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충전기시험장치의 자동동작화면과 수동동작화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충전기시험장치의 HMI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및 시스템 설정화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충전기시험장치에 대한 각 기능별 조작 설명화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충전기시험장치의 각 페이지별의 스위치 동작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휴대용 시험장치의 정면 실물 사진(a)과 외관의 정면 구성도(b)이다.
도 19는 도 18의 스위치들의 연결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휴대용 검사장치의 MCU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prior art electric vehicle charger inspection equipment.
2 is a typical pilot circuit of a simulator used in the prior art.
3 shows a model example of an electric vehicle charger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4 is a view showing a state diagram of the charging state of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system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ircuit diagram of the simulation circuit and the simulation load device of FIG. 5 .
7 is a front and rear view of the external appearance of an embodiment of the charger tes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system of a tes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CU of the charger tes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of a switch driving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ircuit diagram of a simulated load device appli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main screen of the charger te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operation execution screen of the charger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n automatic operation screen and a manual operation screen of the charger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n HMI interface network and system setting screen of the charger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n operation explanation screen for each function of the charger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switch operation state for each page of the charger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front real photograph (a) and a front configuration diagram (b) of an exterior of a portable testing apparatus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switches of FIG. 18 .
20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CU of the portable insp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전기차 충전기의 모델예를 도시한 것이다.3 shows a model example of an electric vehicle charger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충전모델(이하, '케이스C'라 함)은 충전기에 결합된 케이블과 자동차 커넥터를 사용하여 전기자동차의 인렛과 전기차 충전기의 플러그를 연결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충전모델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전기자동차에 결합된 플러그와 케이블로 공급망과 전기자동차를 연결하는 방식(이하, '케이스A'라 함) 과, 양 끝단에서 탈착 가능한 케이블 어셈블리로 전기자동차를 공급망에 연결하는 방식(이하, '케이스B'라 함) 등 다양한 모델들이 존재한다.The charging model (hereinafter, referred to as 'case C') describe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shows that the inlet of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plug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are connected using a cable coupled to the charger and the car connector. , the charging model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supply network and the electric vehicle with a plug and cable coupled to the electric vehic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Case A'), and the electric vehicle supply network with a cable assembly detachable from both ends There are various models such as a method for connecting to (hereinafter referred to as 'case B').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기자동차와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충전상태의 상태도를 표시한 것이다.4 is a view showing a state diagram of the charging state of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내부의 제어 파일럿을 내장한 전기자동차 시뮬레이터 기반의 모의시험 장치를 전기자동차 충전기에 연결하고, IEC 61851-1 표준을 기반으로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PWM 신호 검출과 실측 전력을 측정하여 충전기 상태를 관측할 수 있는 현장 성능 검사와 관련한 솔루션을 제공하며, 제어 파일럿의 각 단계별 전기자동차 차종별 고유의 상태를 모의하고 이에 따른 충전기의 반응을 계측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an electric vehicle simulator-based simulation test device with a built-in control pilot inside the electric vehicle to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allows the state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to be diagnosed based on the IEC 61851-1 standar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olution related to on-site performance test that can observe the charger state by detecting PWM signal and measuring actual power, and simulates the unique state of each electric vehicle vehicle type at each stage of the control pilot and measures the charger's response accordingly made up of a structure that
또한 본 발명은 각 충전 상태에 대한 단계별 지연시간 및 지속시간의 모의가 가능하며, 전기자동차의 제어기 오차를 감안하여 넓은 범위의 밸류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며, 전기자동차 없이 실제 충전상태에서 상태를 모의 및 모니터링하도록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simulating the delay time and duration for each charging state by step, and is configured to allow a wide range of value adjustments in consideration of the controller error of the electric vehicle, and simulates the state in the actual state of charge without an electric vehicle. and monitoring.
또한 본 발명에서 전기자동차와 전기자동차 충전기 간의 제어 신호는 커넥터의 CP 라인을 통하여 제어 신호가 전달된다. 충전기의 상태정보 전달은 PWM 신호를 사용하며, 전압의 크기와 듀티(Duty)의 크기를 활용하여 약속된 프로세스 규칙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이 규칙은 국제표준에 정의된 내용에 따라 모든 전기자동차와 전기자동차 충전기가 표준을 준수해야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signal between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is transmitted through the CP line of the connector. Transmission of status information of the charger uses a PWM signal and is sequentially performed according to a promised process rule using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and the magnitude of the duty. This rule is defined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 and all electric vehicles and electric vehicle chargers must comply with the standard.
도 4의 충전 상태에 따른 PWM 신호는 각 단계별 전압의 크기와 신호의 형태를 도식화하여 나타내고 있다. 이때 A는 대기 상태, B는 충전기가 물리적으로 전기자동차와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C는 충전상태를 의미하고, 각 상태별 1과 2의 차이는 The PWM signal according to the state of charge of FIG. 4 schematically shows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and the signal shape for each step. At this time, A is the standby state, B is the state in which the charger is phys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and C is the charging state, and the difference between 1 and 2 for each state is
상태 A/B/C 1 : 전기자동차가 전기자동차 충전기에 연결되어 있으나 전기자동차로의 전원공급이 불가한 상태(PWM 신호 없음)State A/B/C 1: The electric vehicle is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but power supply to the electric vehicle is not possible (no PWM signal)
상태 A/B/C 2 : 전기자동차가 전기자동차 충전기에 연결되어 있고 전기자동차로의 전원공급이 가능한 상태(PWM 신호 있음)State A/B/C 2: The electric vehicle is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power supply to the electric vehicle is possible (PWM signal is present)
를 나타내고 있다.represents
예시적으로, 도 4의 상태도에서 상태 B1, B2에 대하여 설명하면 B1은 전기자동차 충전기가 전기자동차에 연결된 상태이나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이상으로 인해 전기자동차로 전원공급이 불가능하여 PWM 신호가 없는 상태를 나타내고, B2는 전기자동차 충전기가 전기자동차에 연결된 상태이면서 PWM 신호가 공급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상적인 충전 가능한 준비상태를 나타내고, C1 상태는 전기자동차 충전기를 통해 전기자동차가 충전 중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이상 상태 발생으로 충전 중단에 의한 PWM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C2는 전기자동차 충전기를 통해 전기자동차로 정상적으로 전원공급을 하고 있는 상태로서 PWM 신호가 전송 중인 상태를 나타낸다. Illustratively, when describing states B1 and B2 in the state diagram of FIG. 4 , B1 indicates a state in which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is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but power supply to the electric vehicle is impossible due to an abnormality in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so that there is no PWM signal. B2 indicates a normal charging ready state indicating that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is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and a PWM signal is being supplied, and C1 indicates an abnormal state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while the electric vehicle is being charged through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This indicates that the PWM signal is not transmitted due to charging interruption due to occurrence, and C2 is the state in which power is normally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through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indicating the state in which the PWM signal is being transmitted.
본 발명은 도 4의 상태도의 각 상태를 모의할 수 있도록 후술되는 ‘제어모듈’‘모의 스위칭 시퀀스 모듈’‘배터리 모의 부하시험 모듈’을 구성하여 모의가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imulated by configuring the 'control module', 'simulated switching sequence module' and 'battery simulation load test modul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o as to simulate each state of the state diagram of FIG. 4 .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의 모의시험회로와 모의부하장치의 회로도이다.5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system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ircuit diagram of the simulation circuit and the simulation load device of FIG. 5 .
전기자동차 충전기(10)의 시험시스템(1)은 전기자동차 충전기(10)에 결합되어 충전될 수 있는 차종에 의하여 결정되는 고유 저항값들을 선정할 수 있는 스위치들과, 전기자동차 인렛에 정상적으로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 케이블 정전용량 시험스위치, 제어 파일럿 회로 자체에서 발생된 단락여부를 검출할 수 있도록 모의회로의 특정 부분을 연결 또는 차단시켜 고의적으로 특정상황을 발생시키는 상황발생 스위치들이 설치된 모의시험회로부(30)와, 전기자동차 충전기(10)에 연결되어 모의 부하를 가변시켜 전기자동차 배터리 모의 부하시험을 수행하도록 하는 모의부하장치(20)와, 모의시험회로부(30)의 고유 저항값들을 선택하도록 하고 모의 동작 스위치들을 작동시키도록 제어하며 모의부하를 가변시켜 정상 충전여부를 판정하도록 하는 충전기 시험장치(100)로 이루어진다. The
이때 충전기 시험장치(100)는 모의시험회로부(30)와 별도의 장치로 구별되게 설치되거나, 통합되어 설치될 수 있지만, 모의부하장치(20)는 가변 저항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가변저항부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충전기 시험장치(100)와 별도로 설치되어 후술되는 포트(109)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모의부하장치(20)의 저항값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충전기 시험장치(100)의 제어를 받아 가변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전기자동차 충전기(10)에서는 케이블이 인출되고 단부의 플러그가 시험시스템(1)의 충전기 시험장치(100)의 측면에 설치된 인렛에 결합된다. 이때 전기케이블의 단자 Ph는 전력라인단자를 의미하고, 단자 N은 중성선단자를 의미하고, 단자 Cp는 제어파일럿 전송선 단자를 의미하고, 단자 Prox는 근접 검출스위치 단자의 동작 검출단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케이블의 플러그와 충전기 시험장치(100)의 인렛이 결합여부를 검출하도록하고, 단자PE는 새시의 접지여부를 검출하는 단자를 의미한다.In the
도 6에서와 같이 모의시험회로부(30)는 전기자동차 충전기(10)에 접속될 수 있는 전기자동차종에 의하여 정의되는 저항값들을 선정하기 위한 스위치들이 구비된다.As shown in FIG. 6 , the
또한 모의시험회로부(30)는 특정상황을 모의하는 상황발생 스위치들인 전기자동차 인렛에 정상적으로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 케이블 정전용량 시험스위치, 제어 파일럿 회로 자체에서 발생된 단락을 점검하기 위한 스위치들이 설치되는 회로구성으로 이루어져 전기회로 보드 상에 구현되는 전기자동차 시뮬레이터이며, 각각의 스위치에 대한 설명은 다음 표 1과 같다.In addition, the
이때 저항 R2의 모의에서 SW4는 환기시스템이 없는 차량에 대한 것이고, SW5는 환기시스템이 있는 차량에 대한 모의저항단자이므로, 환기시스템이 없는 차량에 충전을 모의로 시작하기 위해서는 충전전력을 개시하기 위한 스위치 SW2를 접점1에 접속하여야 하고, 환기시스템이 있는 차량에 대한 차량에 충전을 모의로 시작하기 위해서는 SW2를 접점3에 연결하여야 한다. 또한 차량의 종류에 따라서 R3의 모의저항종류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스위치SW4를 1,2,3 접점으로 접촉시키게 하고, 스위치SW6를 1, 2 접점으로 접촉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접점의 변화는 후술되는 모의 시퀀스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접점의 변화가 발생되거나, 수동적인 접점의 변화가 발생되게 된다. At this time, in the simulation of resistor R2, SW4 is for a vehicle without a ventilation system, and SW5 is a simulation resistance terminal for a vehicle with a ventilation system. Switch SW2 should be connected to contact 1, and SW2 should be connected to contact 3 in order to simulate charging in the vehicle for a vehicle with a ventilation system. Also, in order to change the type of simulated resistance of R3 according to the type of vehicle, switch SW4 is contacted with 1,2,3 contacts, and switch SW6 is contacted with 1 and 2 contacts. Such a change in contact automatically causes a change in contact or a manual change in contact according to a simulation sequence to be described later.
도 7은 본 발명의 충전기시험장치의 실시예의 외관의 전, 후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시험 시스템의 제어계통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7 is a front and rear view of an external appearance of an embodiment of the charger tes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system of a tes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충전기시험장치(100)는 내부에 모의시험회로부(30)가 설치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며, 후면에 모의부하장치(20)가 접속될 수 있는 포트가 설치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전체적인 형상이 육면체로 이루어지며, 측면에 인렛이 설치되어 전기차 충전기의 플러그가 삽입되고, 전면에는 충전기시험장치(100)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 스위치(101)과 CP 라인의 PWM 신호의 정확한 파형 분석을 위하여 오실로스코프를 연결하기 위한 포트(107)가 설치되고, 모의 시험회로부(30)의 각각의 스위치들의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 접점 인출 포트(103)들이 설치되고, 충전기시험장치(100)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거나 시험자가 입력값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HMI(105)가 설치되며, 충전기시험장치(100)의 후면에는 전기자동차 배터리 모의 부하시험을 위하여 모의부하장치(20)가 연결되는 포트(109)가 설치된다.The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기시험장치(100)는 MCU(microcontroller unit)(110)를 중심으로 제어대상들을 제어하며, 모의시험회로부(30)에 설치된 다양한 스위치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스위치구동부(120)와 HMI(105)가 설치되며, 도 7에서 전술된 다양한 외부 장치들을 접속하기 위한 포트들이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 the
본 발명의 충전기시험장치(100)는 MCU(110)를 중심으로 제어가 이루어지고, MCU(110)로부터 출력되는 스위치 구동신호는 스위치구동부(120)에 공급되어 릴레이가 동작됨으로써 스위치들의 온/오프가 발생되게 된다. The
도 9는 본 발명의 충전기시험장치의 MCU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서 스위치 구동부의 블록도이다.Figure 9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CU of the charger tes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block diagram of the switch driving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MCU(110)는 O.S(Operating System)을 담당하고 연결된 제어대상을 제어하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연산처리하여 할당된 모듈에 전송하는 제어모듈(111)과, 스위치들의 각각의 상태가 각 페이지별로 저장된 데이터저장모듈(114)로부터 지정된 시퀀스에 따라서 각각의 페이지를 독출하고, 독출된 페이지의 스위치상태에 따라서 모의시험회로부(30)의 스위치들을 동작시키는 출력을 발생시키고, 지정된 회로부의 특정 위치의 전압, 전류값을 입력받아 데이터 저장모듈(114)에 기지정된 값과 비교하여 비교된 오차값을 검출하고, 오차값이 기설정된 값보다 크면 해당하는 기지정된 오류 메시지를 HMI(105)에 출력하도록 하는 모의 스위칭 시퀀스 모듈(112)과, 전기자동차의 동력원이 되는 배터리 모듈에 대한 충전 특성 커브를 내장하도록 하여 모의부하장치(20)의 전류제어기(131)를 제어하여 특정 SOC(State of Charge)에서 전압값과 전류값이 정상범위인지를 검출하도록 하고, 전류제어기를 통해 부하로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여 만충전시를 가상모의하도록 하고 이때 충전전류가 감소하는 CV(Constant Voltage) 특성이 충전 특성커브와 오차범위에 존재하는 지를 모의실험하도록 하는 배터리 모의 부하시험 모듈(113)과, 스위치 상태가 조합된 각 페이지에 대한 데이터와 충전 특성커브를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와 정상값과 각종 오차 허용범위를 지정하기 위하여 기설정되는 값들이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모듈(114)과, HMI(105)에 표시되는 표시화면들이 저장되는 화면저장 모듈(115)로 이루어진다.The
또한 MCU(110)에서 출력된 스위치 온/오프 신호는 MCU I/O부(201)에 입력되고, MCU I/O부(201)에서 출력된 스위치 온/오프 신호는 I/O 버퍼(202)에서 버퍼링되고 포토 다이오드와 수광부로 이루어진 절연소자(203)를 통하여 보호회로(204)에 입력되어 노이즈가 제거된 후 릴레이 구동 스위치(205)에 입력되어 스위치가 온 또는 오프되게 된다.Also, the switch on/off signal output from the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적용되는 모의부하장치에 관한 회로도이다.11 is a circuit diagram of a simulated load device appli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모의부하장치(20)는 한전전원과 같은 AC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정류부(132)와, 배터리 모의부하시험모듈(113)의 제어를 받아 고정부하(134)에 흐르는 전류를 가변시키는 전류제어기(131)와, 전류제어기(131)의 출력전류를 공급받아 통전되는 고정부하(134)과, 고정부하(134)가 통전될 때 발생되는 열에 따라 변화되는 저항값을 보상해주는 미세조정저항(133)으로 이루어진다.The
한전측에서 입력되는 전압은 204V~236V의 범위의 변동성을 갖는 교류전압이기 때문에 고정저항기(134)에 소비되는 전력을 배터리 모의 부하시험모듈(113)에서 지정하는 정전류상태를 유지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한전 입력전압을 정류부(132)에서 정류하고, 정류된 전압, 전류를 배터리 모의부하시험모듈(113)의 제어를 받는 전류제어기(131)를 통하여 고정부하(134)에 공급하게 된다. 즉 전기자동차의 SOC량에 따라 충전량을 CC(Constant Current) 또는 CV(Constant Voltage) 충전이 가능하도록 전기자동차 배터리 모의부하가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고정부하(134)에 전류가 통전될 때 열량이 발생하여 고정부하의 저항값이 변화하게 되고 전류제어기(131)에 흐르는 전류도 고정부하의 저항값의 변화에 따라서 전류값이 변화하게 되므로 미세저항 조절기(133)의 가변시켜 변화된 저항값을 보상하도록 하여 정밀도를 높인다.Since the voltage input from KEPCO is an AC voltage having a variability in the range of 204V to 236V,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constant current state specified by the battery simulation
또한 배터리 모의 부하시험모듈(113)은 전기자동차 배터리 모의부하에 대한 가상의 자동차 배터리를 모의할 수 있도록 여러 형태의 부하 패턴을 프로그래밍을 통하여 배터리의 SOC(State Of Charge, %) 잔여전류값을 기준으로 배터리부를 모의할 수 있도록 전류제어기를 통하여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충전전원이 CC(Constant Current) 충전 패턴에 맞도록 최대 부하조건으로 출력 후, 시험자에 의해 정의된 SOC 구간에서 CV(Constant Voltage) 충전 패턴에 맞춰 전류값을 선형적으로 낮춰줄 수 있도록 상기 전류제어기를 통해 전류값을 배터리의 특성을 고려한 %/min으로 충전될 수 있도록 하는 CV(Constant Voltage) 특성을 모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CV 충전 패턴에 대한 %/min의 비율은 배터리의 유형과 전기자동차 제조사별 배터리 특징을 고려하여 시험자에 의해 정의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전기차 충전기에 의해 배터리 모의 부하시험모듈(113)의 SOC량이 정의된 CV 구간 특성 진입 시 시험자에 의해 정의된 %/min의 값으로 전류제어기가 동작하도록 모의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battery simulation
시험자에 의해 정의된 SOC 구간에서 CV 충전 패턴에 맞춰 전류값을 선형적으로 낮춰줄 수 있도록 상기 전류제어기를 통해 전류값을 배터리의 특성을 고려한 %/min으로 충전될 수 있도록 낮춰줄 수 있도록 하는 CV 특성을 모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V 충전 패턴에 대한 %/min의 비율은 배터리의 유형과 전기자동차 제조사별 배터리 특징을 고려하여 시험자에 의해 정의되고 CV 구간 특성 진입 시 시험자에 의해 정의된 값으로 전류제어기가 동작하도록 모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CV that allows the current value to be lowered so that it can be charged at %/mi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ttery through the current controller so that the current value can be linearly lowered according to the CV charging pattern in the SOC section defined by the tester It is desirable to simulate the characteristics. The ratio of %/min to the CV charging pattern is defined by the tester in consideration of the battery type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lectric vehicle manufacturer, and it is desirable to simulate the current controller to operate with the value defined by the tester when entering the CV section do.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충전기시험장치의 메인화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충전기시험장치의 동작실행화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충전기시험장치의 자동동작화면과 수동동작화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충전기시험장치의 HMI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및 시스템 설정화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충전기시험장치에 대한 각 기능별 조작 설명화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충전기시험장치의 각 페이지별의 스위치 동작상태의 예시도이다.Figure 12 is the main screen of the charger test apparatu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the operation execution screen of the charger test apparatu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the automatic operation screen and manual operation of the charger test apparatu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on screen, Figure 15 is an HMI interface network and system setting screen of the charger test devic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n operation explanation screen for each function of the charger test devic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emplary diagram of the switch operation state for each page of the charger test apparatus of the embodiment.
도 12는 충전기시험장치의 HMI의 메인화면으로 '동작 실행' '장비 설정' '장비 안내' '동작 설정'탭으로 구분된다.12 is a main screen of the HMI of the charger test apparatus divided into 'action execution' 'equipment setting' 'equipment guidance' and 'operation setting' tabs.
'동작 실행'의 경우, 도 13과 같이 '자동 동작'과 '수동 동작'으로 구분되며, 도14는 '자동 동작' 수행 시 보여주는 화면으로 도17의 각 페이지별로 정의된 스위치 동작상태에 따라 순차적으로 스위치가 동작되는 것을 모의할 수 있고, '수동 동작' 수행 시 보여주는 화면으로 동작 설정은 우측의 스위치 상태값을 직접 입력하여 각종 스위치를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화면이다. 도14의 '자동 동작'과 '수동 동작' 화면의 좌측에 도시된 전기자동차 모의시험회로부 상의 릴레이 접점 상태값에 따라 각 스위치의 조작상태에 따른 스위치 위치 변화는 자동으로 변환되어 표시된다.In the case of 'action execution', it is divided into 'automatic operation' and 'manual operation' as shown in FIG. 13, and FIG. 14 is a screen displayed when 'automatic operation' is performed, sequentially according to the switch operation state defined for each page in FIG. The operation of the switch can be simulated with , and it is a screen displayed when performing 'manual operation'. The switch position change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each switch is automatically convert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relay contact state value on the electric vehicle simulation circuit unit shown on the left of the 'auto operation' and 'manual operation' screens of FIG. 14 .
'장비 설정'의 경우, 도15에 나타낸 것과 같이 모의시험회로부에 내장된 HMI 인터페이스에 대한 네트워크 설정과 관련한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을 나타내고, 해당 설정을 통해 장비의 네트워크 환경에 맞는 IP주소, 서브넷마스크, 게이트웨이, DNS 서버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HMI에 대한 절전시간 설정 및 버튼 조작에 따른 버튼 음향을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도록 한다. In the case of 'Equipment setting', as shown in Fig. 15, a screen for inputting information related to network settings for the HMI interface built in the simulation circuit is displayed, and through the settings, the IP address and subnet mask suitable for the network environment of the equipment are displayed. , gateway, DNS server information can be entered, and the function to set the power saving time for HMI and adjust the button sound according to the button operation should be equipped.
'장비 안내'의 경우, 도16와 같이 충전기시험장치의 모의시험회로부(30)와 관련한 디스플레이의 기본적인 조작 설명 및 각 페이지에 대한 기능 내용을 설명하는 화면으로 각 텝을 통해 각각의 동작 및 설정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In the case of 'equipment guide', as shown in FIG. 16, it is a screen that explains the basic operation description of the display related to the simulation
'동작 설정'의 경우, 도17과 같이 모의시험회로부(30)에 대한 '자동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스위치의 동작 순서를 지정하고 각 순차 순번 1~16번까지 모의 스위칭 회로부의 각종 스위치 Pr, Sh, Cc, SW1, SW2, SW3, SW4, SW5, SW6 이상 9개의 스위치에 대한 접점의 상태 정보 및 각 순번에서의 지연시간 등이 입력된 스위치 동작상태가 페이지별로 MCU(110)의 데이터 저장모듈(114)에 저장되고, 모의 스위칭 시퀀스 모듈(112)에 지정된 시퀀스에 따라서 각 페이지를 독출하여 모의시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해당 모의시험용 프로그래밍 데이터는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여러 페이지를 작성하여 저장하고, 해당 저장내용을 로딩하여 모의시험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In the case of 'operation setting', as shown in FIG. 17,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switches is designated to perform 'automatic operation' for the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휴대용 시험장치의 정면 실물 사진(a)과 외관의 정면 구성도(b)이다.18 is a front real photograph (a) and a front configuration diagram (b) of an exterior of a portable testing apparatus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휴대용 검사장치는 도 7, 8과 동일한 회로구성을 이루고 있지만, 도 7, 8에 도시된 장치 외에도 웨이크-업(wake-up)을 위한 스위치①~⑦가 필요하다. 즉, 도 18에 도시된 휴대용 검사장치(200)는 자체 전원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전기자동차의 충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용 검사장치(200)의 구동전원으로 사용하기 위한 웨이크-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휴대용 검사장치(200)의 케이스에 설치된 스위치①~⑦가 더 설치되게 된다.
이때 스위치①~⑦는 후술되는 도 19의 회로도에 표시된 수동 스위치들이다.
The portable inspection device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has the same circuit configuration as that of FIGS. 7 and 8, but in addition to the devices shown in FIGS. 7 and 8, switches ① to ⑦ for wake-up are required. That is, since the
휴대용 검사장치(200)의 정면에는 전기자동차 충전기(10)의 플러그와 결합되는 인렛(210)이 설치되고, 전기자동차 충전기(10)에 결합되는 차종을 모의하는 저항 선택스위치들, 특정 폴트상황을 모의하거나 특정상황발생스위치들, 휴대용 검사장치(200)를 웨이크 업(wake-up)시키기 위한 웨이크업 스위치들로 이루어진 스위치(220)들과, 도 7의 충전기 시험장치(100)과 마찬가지로 CP 라인의 PWM 신호의 정확한 파형 분석을 위하여 오실로스코프를 연결하기 위한 포트(107), HMI(105), 전기자동차 배터리 모의 부하시험을 위하여 모의부하장치(20)가 연결되는 포트(109)가 설치된다.
An
도 19는 도 18의 스위치들의 연결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19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switches of FIG. 18 .
휴대용 검사장치(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의시험회로부(30)와 모의부하장치(20)를 구비하고 있으나, 모의시험회로의 구체적인 회로는 도 19에 도시된 회로로 이루어지고, 도 19에 도시된 회로의 스위치들은 도 5에 도시된 충전기 검사장치(100)와는 다르게 휴대용 검사장치(200)의 케이스의 외면에 스위치①~⑦로 설치되고, 외부에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작동시킨다.
The
또한 휴대용 검사장치(200)는 자체적인 별도의 전원 없이 전기자동차 충전기(10)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한 장치로서, 전기자동차 충전기(10)와 연결되어서 웨이크 업을 시킨다. 즉 전기자동차 충전기(10)의 플러그가 휴대용 검사장치(200)의 인렛에 결합되었을 때, 전기차 충전기(10)는 휴대용 검사장치(200)의 스위치(220)들을 조작해 웨이크업(wake-up)시켜 휴대용 검사장치(200)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휴대용 검사장치(200)는 내부의 마이컴 등을 구동시키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각각의 스위치①~⑦(220)는 케이스 외면에 설치되어 수동동작으로 이루어지고, 웨이크 업을 수행하기 위한 스위치들의 기능은 다음의 표 2와 같다.
Each of the
이하, 웨이크 업 과정에 대하여 표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wake-up proce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able 2.
휴대용 검사장치(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웨이크 업 상태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스위치①을 온(ON) 시키게 되면 접점이 도 19의 회로도의 스위치①이 2번단자와 연결이 이루어진다. 스위치①가 온되게 되면 휴대용 검사장치(200)의 내부의 MCU로부터 전기자동차 충전기(10)의 내부에 미도시된 제어모듈로 스위치①의 온 상태의 신호가 전송되고, 전기자동차 충전기(10)의 제어모듈에 스위치①의 온 상태의 신호가 수신되면, 전기자동차 충전기(10)는 전기자동차 충전기(10)와 전기차가 연결됐음을 인지하게 된다.
In order to achieve a wake-up state of supplying power to the
이와 같이 스위치①이 동작된 후 스위치②가 동작된다. 스위치②는 충전 전류용량 설정 스위치로 해당 스위치가 온되면 충전 전류용량을 32A로 설정하게 된다.
In this way, after the
사용자는 그후에 스위치④를 작동시킨다. 스위치④가 온되면 전기자동차 충전기(10)가 휴대용 검사장치(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시작함으로써 휴대용 검사장치(200) 및 여기에 결합되어 있는 모의부하장치에 전원이 공급되게 됨으로써 웨이크 업 과정이 완료된다.
The user then operates the
이때, 스위치⑤, ⑥, ⑦은 연결되는 차종에 의하여 결정되는 저항값이다.
At this time, the
또한 휴대용 검사장치(200)의 내부에는 도 9에 도시된 MCU(110)가 구비되며,
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모의시험을 수행하기 위하여 도 19에 도시된 모의시험회로부가 내부에 설치되며, 모의부하장치가 연결되어 모의부하시험이 수행되도록 하는 모의부하장치가 포트(109)에 연결된다.In order to perform the simulation test, the simulation circuit shown in FIG. 19 is installed therein, and the simulation load device is connected to the
스위치③은 해당스위치가 온될 때 휴대용 검사장치(200)가 내부에서 단락이 발생된 것으로 모의하는 특정 모의상황 발생 스위치로 스위치③이 동작될 때는 전기자동차 충전기(10)에서 단락 발생을 인지하고 충전을 중지하게 되며, 충전중지결과가 HMI(105)에 표시되게 된다.
도 20은 본 발명의 휴대용 검사장치의 MCU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20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CU of the portable insp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휴대용 검사장치(200)에 설치된 MCU(250)는 충전기 시험장치(100)의 MCU(110)과 마찬가지로 O.S(Operating System)을 담당하고 연결된 제어대상을 제어하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연산처리하여 할당된 모듈에 전송하는 제어모듈(251)과, 특정 스위치(220)가 동작될 때 도 19의 모의시험 회로도의 특정 위치의 정상 전압, 전류값과 지연시간 및 오차한계들이 저장된 데이터 저장모듈(254), 충전기 시험장치(100)의 배터리 모의 부하시험모듈(113)과 동일기능을 수행하는 배터리 모의 부하시험모듈(253)과, 스위치들(220) 중 특정 스위치의 동작신호가 입력되면 특정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지정된 부위의 실제 전압, 전류, 지연값을 입력받고 데이터 저장모듈(254)에 저장된 지정부위의 정상 전압, 전류, 지연값을 독출하여 이들을 비교하여 오차한계 내에 있는 검출하여 정상여부를 판단하는 스위치 모의시험모듈(252)과, HMI(105)에 스위치 모의시험모듈(252)과 배터리 모의 부하시험모듈(113)에서 이루어진 시험결과들을 표출하기 위한 준비화면들이 저장되는 화면저장 모듈(255)로 이루어진다.
The
휴대용 검사장치(200)의 MCU(250)의 동작은 케이스의 전면에 노출된 스위치들(220) 중 특정 스위치를 동작시켜 특정 상황을 모의하도록 하고, 이러한 모의 상황의 결과값들이 기저장된 값들과 비교하여 정상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하는 것으로 그 동작과정이 충전기 시험장치(100)와 유사하다 할 수 있으나, 수동적인 검사가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The operation of the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검사장치(200)는 도 19, 20에서 설명한 바와 달리 반자동식으로 데이터 저장모듈(254)에 특정 스위치들의 동작상태가 조합을 이루는 테이블이 각 페이지별로 저장되고, 전면에 각 테이블을 독출하여 동작하도록 하는 동작 스위치가 설치됨으로써 사용자가 동작 스위치를 동작시킬 때 각 테이블의 스위치 상태의 조합으로 동작되는 형태의 장치를 구성할 수 있는 등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휴대용 검사장치가 만들어 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설계적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결정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various design change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1: 시험시스템
10: 전기자동차 충전기
20: 모의부하장치
30: 모의시험회로부
100: 충전기 시험장치
101: 전원 스위치
103: 스위치 접점 인출포트
105: HMI
107, 109: 포트
110: MCU
111: 제어모듈
112: 모의 스위칭 시퀀스 모듈
113: 배터리 모의 부하시험 모듈
114: 데이터 저장모듈
115: 화면저장모듈
120: 스위치 구동부
131: 전류제어기
132: 정류부
133: 미세조정저항
134: 고정부하
200: 휴대용 검사장치
220: 스위치1: Test system
10: Electric car charger
20: simulated load device
30: simulation circuit unit
100: charger test device
101: power switch
103: switch contact withdrawal port
105: HMI
107, 109: port
110: MCU
111: control module
112: simulated switching sequence module
113: battery simulation load test module
114: data storage module
115: screen storage module
120: switch driving unit
131: current controller
132: rectifying unit
133: fine adjustment resistor
134: fixed load
200: portable inspection device
220: switch
Claims (11)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기에 전기자동차가 연결된 것으로 모의하는 모의회로와, 상기 모의회로의 특정부분을 연결 또는 차단시켜 고의적으로 특정상황을 발생시키는 상황 발생 스위치들이 설치되는 모의시험회로부;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기에 연결되어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 과정을 모의적으로 수행하는 모의부하장치;
상기 상황발생 스위치들의 동작을 지시하고, 상기 상황발생 스위치들의 동작결과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반응을 입력받아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정상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모의부하장치의 모의실험을 지시하고 충전 특성 커브를 통해 정상 충전을 판별하는 MCU(microcontroller unit)와, 상기 MCU로부터 정상여부에 따른 메시지를 표출하고 상기 MCU에 조건을 입력시키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를 구비하는 충전기 시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모의시험회로부의 상기 상황발생 스위치들의 연결 상태들이 페이지별로 상기 MCU에 저장되고, 상기 MCU에 저장된 페이지별 동작 시퀀스에 따라서 상기 상황발생 스위치들의 연결상태에 따라서 상기 MCU가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들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기 시험 시스템.In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test system for the condition and performance inspection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a simulation circuit simulating that an electric vehicle is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a simulation circuit unit in which situation generating switches for intentionally generating a specific situation by connecting or blocking a specific part of the simulation circuit are installed;
a simulation load device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to simulate a charging process of the electric vehicle;
Instructs the operation of the situation generating switches, receives the response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as an input result of the operation of the situation generating switches, determines whether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is normal, instructs the simulation of the simulation load device, and calculates the charging characteristic curve A charger test device having a microcontroller unit (MCU) that determines normal charging through the MCU, and a human machine interface (HMI) that displays a message depending on whether the MCU is normal and inputs a condition to the MCU,
Connection states of the situation generating switches of the simulation circuit unit are stored in the MCU for each page, and the MCU turns on or off the plurality of switches according to the connection states of the situation generating switches according to an operation sequence for each page stored in the MCU. An electric vehicle charger tes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turned off.
O.S(Operating System)을 담당하고, 상기 상황발생 스위치들의 포함한 제어대상들을 제어하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연산처리하여 할당된 모듈에 전송하는 제어모듈;
상기 시퀀스에 의하여 상기 상황발생 스위치들이 동작될 때 상기 모의 스위칭 회로부의 특정 부분의 전압, 전류를 입력받아 오동작을 판별하는 모의 스위칭 스퀀스 모듈;
전기자동차의 동력원이 되는 배터리 모듈에 대한 충전 특성 커브를 기 저장하고, 상기 모의부하장치의 충전전압 및 충전전류가 형성하는 충전 특성 커브와 기저장된 충전 특성커브와 비교하여 기설정된 오차 이내인 경우 정상 충전으로 판별하는 모의실험을 수행하는 배터리 모의 부하시험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기 시험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CU
a control module in charge of an operating system (OS), controlling control objects including the situation-generating switches, processing data input from the outside, and transmitting it to an assigned module;
a simulation switching sequence module that receives voltage and current of a specific part of the simulation switching circuit unit and determines a malfunction when the situation-generating switches are operated according to the sequence;
If the charging characteristic curve for the battery module, which is the power source of the electric vehicle, is stored in advance, and the charging characteristic curve formed by the charging voltage and the charging current of the simulation load device is compared with the previously stored charging characteristic curve, it is normal if it is within a preset error. An electric vehicle charger test system comprising a battery simulation load test module that performs a simulation to determine charging.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기에 전기자동차가 연결된 것으로 모의하는 모의회로와, 상기 모의회로의 특정부분을 연결 또는 차단시켜 고의적으로 특정상황을 발생시키는 상황 발생 스위치들이 설치되는 모의시험회로부;
상기 상황발생 스위치들 중 특정 스위치의 동작될 때 기지정된 상기 모의시험회로부의 특정부분의 전압, 전류의 실제 값을 입력받고, 기설정된 정상값과 상기 실제 값을 비교하여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정상여부를 검사하는 MCU(microcontroller uni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시험장치.In the charger test apparatus connected to the charger of the electric vehicle to check the state and performance of the charger of the electric vehicle:
a simulation circuit simulating that an electric vehicle is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a simulation circuit unit in which situation generating switches for intentionally generating a specific situation by connecting or blocking a specific part of the simulation circuit are installed;
When a specific switch of the situation generating switches is operated, the predetermined actual values of voltage and current of a specific part of the simulation circuit unit are input, and the preset normal value and the actual value are compared to determine whether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is normal. Charger test device comprising a microcontroller unit (MCU) for testing.
외부로 공급되는 AC 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정류부와, 상기 MCU의 제어를 받아 전류를 가변시키는 전류제어기와,
상기 전류제어기의 출력전류를 공급받아 통전되는 고정부하와,
상기 고정부하가 통전될 때 발생되는 열에 따라 변화되는 저항값을 보상해주는 미세조정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시험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charger test device is provided with a port for connecting the simulated load device, the simulated load device
A rectifying unit for converting externally supplied AC power into DC power, and a current controller for varying the current under the control of the MCU;
a fixed load energized by receiving the output current of the current controller;
and a fine adjustment resistor for compensating for a resistance value that is changed according to heat generated when the fixed load is energized.
상기 충전기 시험장치가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기에 연결된 것을 모의하는 스위치①;
상기 스위치①이 동작된 후 충전 전류용량을 설정하는 스위치②;
상기 충전기 시험장치로부터 전기자동차에 전원을 공급되는 것을 모의하는 스위치④;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기에 연결되는 전기자동차의 전기차 저항을 선택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시험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The charger test device
a switch ① simulating that the charger test device is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a switch② for setting the charging current capacity after the switch① is operated;
a switch ④ simulating that power is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from the charger test device;
and at least one or more switches for selecting an electric vehicle resistance of an electric vehicle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7360A KR102554814B1 (en) | 2021-05-03 | 2021-05-03 | testing system and portable device for charging apparatus of electric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7360A KR102554814B1 (en) | 2021-05-03 | 2021-05-03 | testing system and portable device for charging apparatus of electric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50085A true KR20220150085A (en) | 2022-11-10 |
KR102554814B1 KR102554814B1 (en) | 2023-07-12 |
Family
ID=84045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57360A Active KR102554814B1 (en) | 2021-05-03 | 2021-05-03 | testing system and portable device for charging apparatus of electric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54814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69212B1 (en) * | 2023-04-04 | 2023-08-22 | 박인석 | Portable Inspector for Electric Vehicle Charger |
CN117289070A (en) * | 2023-11-27 | 2023-12-26 | 黑龙江惠达科技股份有限公司 | Testing device and testing method for power battery charger and electronic equipment |
CN117572138A (en) * | 2024-01-17 | 2024-02-20 | 国网冀北电力有限公司 | Metering calibrating device for high-power charging pile |
WO2024111941A1 (en) * | 2022-11-24 | 2024-05-30 | 주식회사 와이제이테크놀로지 | Electric vehicle charger performance inspection system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022811A1 (en) * | 2009-09-08 | 2012-01-26 | Blake Edward Dickinson | Electric vehicle simulator and analyzer (evsa) for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
KR20130032985A (en) * | 2011-09-26 | 2013-04-03 | 한국전력공사 | Test device and method of electric vehicle |
JP2013094048A (en) * | 2011-10-04 | 2013-05-16 | Nitto Kogyo Co Ltd | Portable inspection device for vehicular charging apparatus |
KR20160069884A (en) * | 2014-12-09 | 2016-06-17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Apparatus for test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method thereof |
US20160327615A1 (en) * | 2015-05-05 | 2016-11-10 | Seaward Group | Method and apparatus for a portable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tester |
KR20200045676A (en) * | 2018-10-23 | 2020-05-06 | 주식회사 피에스엔 | Stand type electric vehicle charger diagnosing system |
-
2021
- 2021-05-03 KR KR1020210057360A patent/KR10255481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022811A1 (en) * | 2009-09-08 | 2012-01-26 | Blake Edward Dickinson | Electric vehicle simulator and analyzer (evsa) for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
KR20130032985A (en) * | 2011-09-26 | 2013-04-03 | 한국전력공사 | Test device and method of electric vehicle |
JP2013094048A (en) * | 2011-10-04 | 2013-05-16 | Nitto Kogyo Co Ltd | Portable inspection device for vehicular charging apparatus |
KR20160069884A (en) * | 2014-12-09 | 2016-06-17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Apparatus for test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method thereof |
US20160327615A1 (en) * | 2015-05-05 | 2016-11-10 | Seaward Group | Method and apparatus for a portable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tester |
KR20200045676A (en) * | 2018-10-23 | 2020-05-06 | 주식회사 피에스엔 | Stand type electric vehicle charger diagnosing system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111941A1 (en) * | 2022-11-24 | 2024-05-30 | 주식회사 와이제이테크놀로지 | Electric vehicle charger performance inspection system |
KR20240077255A (en) * | 2022-11-24 | 2024-05-31 | 주식회사 와이제이테크놀로지 | testing system for high speedy charger of electric vehicle |
KR102569212B1 (en) * | 2023-04-04 | 2023-08-22 | 박인석 | Portable Inspector for Electric Vehicle Charger |
KR20240149286A (en) * | 2023-04-04 | 2024-10-14 | 박인석 | Portable Inspector for Electric Vehicle Charger |
CN117289070A (en) * | 2023-11-27 | 2023-12-26 | 黑龙江惠达科技股份有限公司 | Testing device and testing method for power battery charger and electronic equipment |
CN117289070B (en) * | 2023-11-27 | 2024-02-09 | 黑龙江惠达科技股份有限公司 | Testing device and testing method for power battery charger and electronic equipment |
WO2025112196A1 (en) * | 2023-11-27 | 2025-06-05 | 黑龙江惠达科技股份有限公司 | Test apparatus and test method for power battery charger and electronic device |
CN117572138A (en) * | 2024-01-17 | 2024-02-20 | 国网冀北电力有限公司 | Metering calibrating device for high-power charging pile |
CN117572138B (en) * | 2024-01-17 | 2024-04-16 | 国网冀北电力有限公司 | Metering calibrating device for high-power charging pi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54814B1 (en) | 2023-07-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54814B1 (en) | testing system and portable device for charging apparatus of electric vehicle | |
KR102288798B1 (en) | testing simulator for charging apparatus of electric vehicle | |
US8447543B2 (en) | Electric vehicle simulator and analyzer (EVSA) for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 |
CN103278769A (en) | Detection device for relay | |
CN106932714A (en) | Aircraft electrical box comprehensive detection system and detection method | |
CN113534765A (en) | Real vehicle network test system | |
CN106841708A (en) | A test method, test fixture and system for a fast charger | |
CN105745551A (en) | Device and method for testing a vehicle battery | |
CN101763114A (en) | Device for testing electric interfaces of vehicles | |
KR102667085B1 (en) | Charger having self-diagnosis function for electric vehicle and diagnosis method thereof | |
CN210038541U (en) | Function test system of motor controller PCBA board | |
CN110895976A (en) | A dynamic card detection device and method | |
US10197637B2 (en) |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diagnostics and monitoring a DC subsystem | |
KR101177206B1 (en) | Diesel locomotive control module testing apparatus | |
CN113848462A (en) | A kind of automatic test platform and test method for PCBA single board in power electronics industry | |
KR20230162222A (en) | testing simulator for electric charger of eletric vehicle | |
CN116068996B (en) | A detection device for automobile lamp domain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2840232B1 (en) | Test method for electronic control main module of femoral prosthesis with actuation system | |
KR20150062744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Vehicle and Engine | |
CN221977004U (en) | Test system of battery management system | |
KR102231430B1 (en) | Cim performance diagnostic equipment | |
CN221199809U (en) | Test system for battery management system | |
CN116298850B (en) | Testing device and testing method | |
CN221446240U (en) | Simulator data acquisition board test fixture | |
CN221551114U (en) | Controller detecting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25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