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147836A - Fine dust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using multifunctional air cleaning headphone - Google Patents

Fine dust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using multifunctional air cleaning head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7836A
KR20220147836A KR1020210054856A KR20210054856A KR20220147836A KR 20220147836 A KR20220147836 A KR 20220147836A KR 1020210054856 A KR1020210054856 A KR 1020210054856A KR 20210054856 A KR20210054856 A KR 20210054856A KR 20220147836 A KR20220147836 A KR 20220147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tation
fine dust
user
headpho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48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수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비타이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비타이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비타이저
Priority to KR1020210054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7836A/en
Publication of KR20220147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7836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03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having means for creating a fresh air curtai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096Investigating consistence of powders, dustability, dusti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lmon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A fine dust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using a multifunctional air cleaning headphone comprises: a headphone body which includes two earplugs emitting sound and purified air, a mask connected between the two earplugs, a headband rotatably coupled to the two earplugs, and a blindfold rotatably coupled between the two earplugs and the headband; a charging station on which the headphone body is held and which can emit purified air; a fine dust measurement sensor which is mounted on the headphone body to measure fine dust concentration around a user and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measured fine dust concentration to a mobile device of the user; a biosignal measurement sensor which is mounted on the headphone body to measure a biosignal of the user and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measured biosignal to the mobile device of the user; and a central server which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mobile device of the user and receives information o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nd information on the biosignal.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users to breathe in fresh air anywhere through an air cleaning mode.

Description

다기능 공기청정 헤드폰을 이용한 미세먼지정보 수집 시스템{Fine dust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using multifunctional air cleaning headphone}Fine dust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using multifunctional air cleaning headphone}

본 발명은 다기능 공기청정 헤드폰을 이용한 미세먼지정보 수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collecting fine dust information using a multifunctional air purifying headphone.

최근, 대기 중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져, 외출할 때 미세먼지 방지 마스크를 착용하고, 실내에서도 공기청정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졌다.Recently, as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 the air has increased, it has become increasingly common to wear a mask to prevent fine dust when going out and to use an air purifier indoors.

또한,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가 유행하고 있어, 실외뿐만 아니라 실내에서도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일상화되고 있다.In addition, as Corona is prevalent around the world, it is becoming common to wear a mask indoors as well as outdoors.

또한, 코로나가 비말을 통해 감염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코와 입 주변을 마스크로 막는 것 외에도 눈이나 얼굴 전체를 비말로부터 차단할 수 있는 보호 장비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In addition, as it has been found that corona is transmitted through droplets, protective equipment that can block the eyes or the entire face from droplets in addition to covering the area around the nose and mouth with a mask is being used.

그러나, 이러한 마스크, 공기청정기, 보호장비 모두를 들고 다니면서 사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편리하게 보관하고 충전하기도 어렵다. However, it is difficult not only to carry and use all of these masks, air purifiers, and protective equipment, but also to conveniently store and charge them.

또한, 미세먼지농도는 시간과 지역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미세먼지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개인의 건강상태에 따라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맞게 마스크, 공기청정기, 보호장비를 적절하게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may vary according to time and region, and the effect of fine dust on health may vary depending on an individual's health condition, it is difficult to properly use a mask, air purifier, and protective equipment accordingly. there is

한국등록특허(10-1889372)Korean Patent Registration (10-1889372)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다기능 공기청정 헤드폰을 이용한 미세먼지정보 수집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for collecting fine dust information using a multifunctional air purifying headphone capable of solving the above problem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기능 공기청정 헤드폰을 이용한 미세먼지정보 수집 시스템은,A system for collecting fine dust information using multi-functional air purifying headphone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소리와 정화된 공기를 방출하는 2개의 귀마개와, 상기 2개의 귀마개 사이에 연결되는 마스크와, 상기 2개의 귀마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머리띠와, 상기 2개의 귀마개와 상기 머리띠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눈가리개를 포함하는 헤드폰 본체;Two earplugs emitting sound and purified air, a mask connected between the two earplugs, a headband rotatably coupled to the two earplugs, and a rotatable coupling between the two earplugs and the headband Headphone body comprising a blindfold;

상기 헤드폰 본체가 거치되며, 정화된 공기를 방출할 수 있는 충전 스테이션;a charging station on which the headphone body is mounted and capable of emitting purified air;

상기 헤드폰 본체에 장착되어 사용자 주위의 미세먼지농도를 측정하며, 측정된 상기 미세먼지농도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는 미세먼지측정센서;a fine dust measuring sensor mounted on the headphone body to measure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round the user, and transmit the measured fine dust concentration information to the user's mobile device;

상기 헤드폰 본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며, 측정된 상기 생체신호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는 생체신호측정센서; 및a bio-signal measuring sensor mounted on the headphone body to measure a user's bio-signal and transmit the measured bio-signal information to the user's mobile device; and

상기 사용자의 상기 모바일 기기와 무선통신하며, 상기 미세먼지농도의 정보와 상기 생체신호의 정보를 전달받는 중앙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central server that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user's mobile device and receives the information o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nd the information on the bio-signal.

본 발명은 헤드폰 본체에 미세먼지측정센서가 장착되어 사용자 주위의 미세먼지농도를 측정하며, 중앙서버에서 각 사용자의 미세먼지농도를 전달받아 지역별 공기질 데이터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위치한 곳의 미세먼지농도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고, 헤드폰 본체의 공기청정모드를 통해 어디서나 깨끗한 공기로 호흡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ne dust sensor is mounted on the headphone body to measure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round the user, and the central server receives each user's fine dust concentration to generate regional air quality data and notify the user. Due to this,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 the location where the user is located can be grasped in real time, and the user can breathe clean air anywhere through the air cleaning mode of the headphone body.

본 발명은 헤드폰 본체에 생체신호측정센서가 장착되어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며, 중앙서버가 사용자의 생체신호의 정보와 미세먼지농도의 정보를 축적하여 빅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로 인해, 각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따른 맞춤형 미세먼지 경고를 내릴 수 있고, 사용자는 이에 따라 헤드폰 본체의 작동모드를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bio-signal measuring sensor is mounted on the headphone body to measure the user's bio-signal, and the central server generates big data by accumulating the user's bio-signal information and fine dust concentration information. Due to this, it is possible to issue a customized fine dust warning according to the user's health condition to each user, and the user can appropriately use the operation mode of the headphone body accordingly.

본 발명은, 헤드폰 본체에 마스크, 눈가리개, 공기청정기가 설치되어 있어, 각 장비를 언제든지 들고 다니며 한꺼번에 사용할 수 있고, 헤드폰 본체를 충전 스테이션에 거치하여 편리하게 보관 및 충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전 스테이션을 통해서도 공기정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실외뿐만 아니라 실내에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mask, a blindfold, and an air purifier are installed in the headphone body, each device can be carried and used at any time, and the headphone body can be conveniently stored and charged by mounting the charging station, as well as a charging station. It is also possible to purify the air through Therefore, it can be conveniently used not only outdoors but also indoors.

본 발명은, 헤드폰 본체가 평상시에는 마스크와 눈가리개를 머리띠에 포개어 음악을 듣는 헤드폰 용도로 사용되다가, 미세먼지 농도가 심해지거나 코로나로 인해 마스크 착용이 요구될 경우에는, 마스크 또는/및 눈가리개를 내려서, 외부로부터 미세먼지 또는/및 비말을 차단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착용자의 호흡을 통한 비말이 외부로 나가는 것을 차단하는 용도나, 공기청정기로 사용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eadphone body is normally used as a headphone to listen to music by overlapping the mask and the blindfold on the headband, and whe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becomes severe or the mask is required due to corona, the mask or / and the blindfold is lowered, It can be used to block fine dust and / and splashes from the outside. In addition, it can be used as an air purifier or for the purpose of blocking the droplets from going out through the wearer's breathing.

본 발명은, 헤드폰 본체가 머리띠에 면상발열체모듈이 구비되어, 겨울철에 머리를 따뜻하게 덥혀주고, 데워진 공기를 얼굴로 공급하여 추위를 막아준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phone body is provided with a planar heating element module on the headband to keep the head warm in winter, and to prevent the cold by supplying the heated air to the face.

본 발명은, 헤드폰 본체가 머리띠에 면상발열체모듈이 구비되어, 공기를 고온으로 가열한다. 이렇게 가열된 공기로 마스크나 눈가리개에 묻은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짧은 시간 내에 제거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phone body is provided with a planar heating element module on the headband, and heats the air to a high temperature. With this heated air, germs and viruses on the mask or blindfold can be removed in a short tim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공기청정 헤드폰을 이용한 미세먼지정보 수집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헤드폰 본체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마스크와 눈가리개를 머리띠에 포갠 상태를 나타내고, 도 2(b)는 마스크와 눈가리개를 머리띠로부터 내린 상태를 나타낸다.
도 3는 도 2에 도시된 단면 I-I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헤드폰 본체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눈가리개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머리띠의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B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C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충전 스테이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충전 스테이션을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충전 스테이션을 뒤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충전 스테이션을 앞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충전 스테이션의 내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공기청정 헤드폰을 이용한 미세먼지정보 수집 시스템의 헤드폰 본체의 스피커모드의 작동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공기청정 헤드폰을 이용한 미세먼지정보 수집 시스템의 헤드폰 본체의 비겨울철 공기청정모드의 작동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눈가리개는 제거된 상태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공기청정 헤드폰을 이용한 미세먼지정보 수집 시스템의 헤드폰 본체의 겨울철 공기청정모드의 작동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눈가리개는 제거된 상태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공기청정 헤드폰을 이용한 미세먼지정보 수집 시스템의 충전 스테이션의 공기청정모드 및 충전모드의 작동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공기청정 헤드폰을 이용한 미세먼지정보 수집 시스템의 충전 스테이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충전 스테이션의 내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공기청정 헤드폰을 이용한 미세먼지정보 수집 시스템의 충전 스테이션의 공기청정모드 및 충전모드의 작동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ystem for collecting fine dust information using a multifunctional air purifying headpho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headphone body shown in FIG. 1 . FIG. 2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mask and the blindfold are superimposed on the headband, and FIG. 2(b)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mask and the blindfold are removed from the headband.
FIG. 3 is a view showing a section II shown in FIG. 2 .
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headphone body shown in FIG. 2 , and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lindfold is removed.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shown in FIG. 4 .
6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adband shown in FIG.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shown in FIG. 6 .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part C shown in FIG. 6 .
9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harging station shown in FIG. 1 .
FIG. 10 is a top view of the charging station shown in FIG. 9 .
FIG. 11 is a rear view of the charging station shown in FIG. 9 .
12 is a front view of the charging station shown in FIG. 9 .
13 is a view showing an internal cross-section of the charging station shown in FIG. 9 .
1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peaker mode of the headphone main body of the fine dust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using the multifunctional air purifying headpho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non-winter air cleaning mode of the headphone body of the fine dust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using the multifunctional air cleaning headpho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lindfold is remov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s in a state of being
1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winter air cleaning mode of the headphone main body of the fine dust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using the multifunctional air cleaning headpho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blindfold is removed. is the state
1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leaning mode and the charging mode of the charging station of the fine dust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using the multifunctional air cleaning headpho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view showing a charging station of a fine dust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using a multifunctional air purifying headphon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view showing an internal cross-section of the charging station shown in FIG. 18 .
2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leaning mode and the charging mode of the charging station of the fine dust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using the multifunctional air cleaning headphon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공기청정 헤드폰을 이용한 미세먼지정보 수집 시스템을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ine dust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using the multifunctional air purifying headpho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공기청정 헤드폰을 이용한 미세먼지정보 수집 시스템은, 헤드폰 본체(1)와 충전 스테이션(2), 미세먼지측정센서(3), 생체신호측정센서(4), 중앙서버(5)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fine dust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using the multifunctional air purifying headpho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dphone body (1), a charging station (2), a fine dust measuring sensor (3), It is composed of a biosignal measuring sensor (4) and a central server (5).

<헤드폰 본체(1)><Headphone body (1)>

헤드폰 본체(1)는 머리에 착용하여 사용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폰 본체(1)는 귀마개(10), 마스크(20), 머리띠(30), 눈가리개(40)로 구성된다. The headphone body 1 is worn on the head and used. As shown in FIG. 2 , the headphone body 1 includes an earplug 10 , a mask 20 , a headband 30 , and a blindfold 40 .

[귀마개(10)][Earplugs (10)]

귀마개(10)는 얼굴의 양쪽 귀에 각각 밀착 배치되며, 얼굴 쪽으로 소리와 정화된 공기를 방출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귀마개(10)는 각각, 케이스(11), 결합축(12), 제1필터(13), 제1팬(14), 제1모터(15), 스피커(16), 제1제어스위치(17), 제2제어스위치(18)로 구성된다.The earplugs 10 are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both ears of the face, respectively, and emit sound and purified air toward the face. 2 and 3, the two earplugs 10 are, respectively, the case 11, the coupling shaft 12, the first filter 13, the first fan 14, the first motor 15 ), a speaker 16 , a first control switch 17 , and a second control switch 18 .

케이스(11), 결합축(12)Case (11), coupling shaft (12)

케이스(11)는 얼굴을 향하는 안쪽면에 소리가 방출되는 소리방출부(111)와, 공기가 배출되는 제1공기배출부(113)가 형성된다. 소리방출부(111)는 케이스(11)의 안쪽면에 얼굴에 닿도록 돌출 연장된 돌출부(116)의 안쪽 영역에 형성되어 소리가 모아지게 된다. 제1공기배출부(113)는 마스크(20)가 연결되는 영역의 돌출부(116)의 외면에 형성되어 공기가 마스크(20) 안쪽으로 흘러 코와 입으로 공급된다.The case 11 is formed with a sound emitting part 111 for emitting sound and a first air emitting part 113 from which air is discharged on the inner surface facing the face. The sound emitting portion 111 is formed in the inner region of the protruding portion 116 that protrudes and extends so as to touch the fac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11 to collect the sound. The first air outlet 113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sion 116 in the region to which the mask 20 is connected, so that air flows into the mask 20 and is supplied to the nose and mouth.

케이스(11)는 외부를 향하는 바깥면에 공기가 흡입되는 제1공기유입부(112)가 형성된다. The case 11 is formed with a first air inlet 112 through which air is sucked on the outer surface facing the outside.

케이스(11)의 안쪽면과 바깥면을 연결하는 테두리면에는 충전 스테이션(2)의 충전용 도킹부(500)와 연결되는 귀마개용 충전단자(117)가 형성된다. A charging terminal 117 for earplugs connected to the charging dock 500 of the charging station 2 is formed on the edge surface connecting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case 11 .

케이스(11)의 바깥면에는 머리띠(30) 및 눈가리개(4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결합축(12)이 구비된다. 결합축(12)의 내부에는 유로(P)가 형성되어 케이스(11) 내부와 연통되고, 후술되는 머리띠(30)의 관로(S1, S2, S3)와 연통된다. A coupling shaft 12 to which the headband 30 and the blindfold 40 are rotatably connected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11 . A flow path P is formed inside the coupling shaft 12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case 11 , and communicate with the pipes S1 , S2 , S3 of the headband 30 to be described later.

제1필터(13), 제1팬(14), 제1모터(15)First filter (13), first fan (14), first motor (15)

제1필터(13), 제1팬(14), 제1모터(15)는 케이스(11)의 내부공간에 제1공기유입부(112)를 향해 위치되며, 제1하우징(114)에 지지된다. The first filter 13 , the first fan 14 , and the first motor 15 are positioned toward the first air inlet 112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e 11 , and are supported by the first housing 114 . do.

제1필터(13)는 제1공기유입부(112)와 제1팬(14) 사이에 설치된다. 제1필터(13)는 제1공기유입부(112)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걸러준다. 제1필터(13)는 항균, 항바이러스 기능이 있는 필터이며, 일정기간 사용 후 교체된다. The first filter 13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air inlet 112 and the first fan 14 . The first filter 13 filters the air sucked through the first air inlet 112 . The first filter 13 is a filter with antibacterial and antiviral functions, and is replaced after us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제1팬(14)은 제1공기유입부(112)로부터 공기를 빨아들인다. The first fan 14 sucks air from the first air inlet 112 .

제1모터(15)는 팬을 회전시킨다. The first motor 15 rotates the fan.

제1하우징(114)에는 제1공기배출부(113)로 연통되는 튜브(T)가 연결되어, 제1필터(13), 제1팬(14), 제1모터(15)에 의해 제1공기유입부(112)로부터 흡입되어 정화된 공기를 제1공기배출부(113)로 배출시킨다. A tube T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air outlet 113 is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114 , and the first filter 13, the first fan 14, and the first motor 15 Air sucked in from the air inlet 112 and purified is discharged to the first air outlet 113 .

스피커(16)Speaker(16)

스피커(16)는 소리를 방출한다. 스피커(16)는 케이스(11) 내부공간에 소리방출부(111)를 향해 위치되며, 제2하우징(115)에 지지된다. 제2하우징(115)은 제1팬(14)과 제1모터(15)의 소리가 스피커(16) 쪽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피커(16)를 격리시키며, 방음재질로 형성된다. 스피커(16)로부터 방출되는 소리는 소리방출부(111)를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스피커(16)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스피커(16)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음악기기로부터 소리를 전송받는다.The speaker 16 emits sound. The speaker 16 is positioned toward the sound emitting part 111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e 11 , and is supported by the second housing 115 . The second housing 115 isolates the speaker 16 to prevent the sound of the first fan 14 and the first motor 15 from flowing toward the speaker 16, and is formed of a soundproof material. The sound emitted from the speaker 16 is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ound emitting unit 111 . Since the speaker 16 is a known technology,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peaker 16 receives sound from the music device through wired/wireless communication.

제1제어스위치(17), 제2제어스위치(18)First control switch (17), second control switch (18)

제1제어스위치(17)와 제2제어스위치(18)는 케이스(11)에 설치된다.The first control switch 17 and the second control switch 18 are installed in the case 11 .

제1제어스위치(17)는 스피커모드를 제어한다. 제1제어스위치(17)에 의해 스피커(16)의 작동여부, 음향 등이 제어될 수 있다. The first control switch 17 controls the speaker mode. Whether the speaker 16 is operated, sound, etc. may be controlled by the first control switch 17 .

제2제어스위치(18)는 비겨울철과 겨울철의 공기청정모드를 제어한다. 제2제어스위치(18)에 의해 비겨울철 공기청정모드가 선택된 경우 귀마개(10)의 제1모터(15), 마스크(20)의 제2모터(235)가 작동되고, 겨울철 공기청정모드가 선택된 경우 귀마개(10)의 제1모터(15), 마스크(20)의 제2모터(235) 뿐만 아니라 머리띠(30)의 제3모터(313b)와 면상발열체모듈(314)이 작동된다. The second control switch 18 controls the air cleaning mode in non-winter season and winter season. When the non-winter air cleaning mode is selected by the second control switch 18, the first motor 15 of the earplug 10 and the second motor 235 of the mask 20 are operated, and the winter air cleaning mode is selected In this case, the first motor 15 of the earplug 10, the second motor 235 of the mask 20, as well as the third motor 313b and the planar heating element module 314 of the headband 30 are operated.

제1제어스위치(17)와 제2제어스위치(18)는 터치식이다. 터치방식에 따라 각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switch 17 and the second control switch 18 are of a touch type. Each mod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touch metho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마스크(20)][Mask (20)]

마스크(20)는 2개의 귀마개(10)의 안쪽면에 양단부가 연결된다. 마스크(20)의 양단부에는 연결버튼(미도시)이 형성되고, 귀마개(10)의 케이스(11)에는 연결버튼이 삽입되는 연결홈(미도시)이 형성된다. 마스크(20)는 무독성 실리콘으로 만들어져, 유연성을 가지며, 천 마스크에 비해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다.Both ends of the mask 20 are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s of the two earplugs 10 . Connection buttons (not shown)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mask 20 , and connection grooves (not shown) into which the connection buttons are inserted are formed in the case 11 of the earplug 10 . The mask 20 is made of non-toxic silicone, has flexibility, and can be used for a long time compared to a cloth mask.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20)는 몸체부(21), 상부지지대(22), 하부지지대(23)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4 , the mask 20 includes a body 21 , an upper support 22 , and a lower support 23 .

몸체부(21)body (21)

몸체부(21)는 상부지지대(22)와 하부지지대(23) 사이에 위치하며, 가로방향으로 주름이 형성되어 상하로 접혀진다. The body portion 21 is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support 22 and the lower support 23, and is crea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folded up and down.

상부지지대(22)upper support (22)

상부지지대(22)는 몸체부(21)의 상부를 지지한다. 상부지지대(22)의 얼굴과 맞닿는 안쪽면은 입체 공학적으로 성형되어 마스크(20)를 펼쳤을 때 상부지지대(22)가 얼굴에 밀착될 수 있다. The upper support 22 supports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21 .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22 in contact with the face is three-dimensionally molded so that the upper support 22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when the mask 20 is unfolded.

하부지지대(23)lower support (23)

하부지지대(23)는 몸체부(21)의 하부를 지지한다. 하부지지대(23)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입체형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굴을 향하는 안쪽면에는 마스크(20) 안쪽의 공기가 유입되는 제2공기유입부(231)가 형성되고, 외부를 향하는 바깥면에는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2공기배출부(232)가 형성된다. The lower support 23 supports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21 . The lower support 23 has a three-dimensional shape with an internal space, and as shown in FIG. 5, a second air inlet 231 through which the air inside the mask 20 is introduced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facing the face, A second air outlet 232 through which the introduce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facing the outside.

제2공기유입부(231)와 제2공기배출부(232) 사이의 내부공간에는 제2필터(233), 제2팬(234), 제2모터(235)가 설치된다. 제2필터(233), 제2팬(234), 제2모터(235)는 하부하우징(236)에 지지된다. 하부하우징(236)에는 공기가 통과되는 구멍이 형성된다.A second filter 233 , a second fan 234 , and a second motor 235 ar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between the second air inlet 231 and the second air outlet 232 . The second filter 233 , the second fan 234 , and the second motor 235 are supported by the lower housing 236 . A hole through which air passes is formed in the lower housing 236 .

제2필터(233)는 제2공기유입부(231)와 제2팬(234) 사이에 위치된다. 제2필터(233)는 제2공기유입부(231)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걸러준다. 제2필터(233)는 항균, 항바이러스 기능이 있는 필터이며, 일정기간 사용 후 교체된다. 제2팬(234)은 제2공기유입부(231)로터 공기를 빨아들인다. 제2모터(235)는 제2팬(234)을 회전시킨다. 하부하우징(236)은 제2공기유입부(231)와 제2공기배출부(232)를 연통시켜, 제2필터(233), 제2팬(234), 제2모터(235)에 의해 제2공기유입부(231)로부터 흡입되어 정화된 공기는 제2공기배출부(232)로로 배출된다. The second filter 233 is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air inlet 231 and the second fan 234 . The second filter 233 filters the air sucked through the second air inlet 231 . The second filter 233 is a filter having antibacterial and antiviral functions, and is replaced after us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second fan 234 sucks air from the second air inlet 231 . The second motor 235 rotates the second fan 234 . The lower housing 236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air inlet 231 and the second air outlet 232 , and is controlled by the second filter 233 , the second fan 234 , and the second motor 235 . The air that is sucked in and purified from the second air inlet 231 is discharged to the second air outlet 232 .

하부지지대(23)의 제2필터(233), 제2팬(234), 제2모터(235)에 의해 마스크(20)의 안쪽의 공기도 정화되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혹시 모를 착용자의 감염 비말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아, 감염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The air inside the mask 20 is also purified by the second filter 233, the second fan 234, and the second motor 235 of the lower support 23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preventing this from leaking to the outside, the risk of infection can be prevented.

[머리띠(30)][Headband (3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에 착용되는 머리띠(30)는 양 단부가 2개의 귀마개(10)의 바깥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As shown in FIG. 2 , both ends of the headband 30 worn on the head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two earplugs 10 .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띠(30)는 지지부(31)와 연결부(32)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6 , the headband 30 includes a support part 31 and a connection part 32 .

지지부(31)support (31)

지지부(31)는 머리에 지지되는 부분이다. 머리의 정수리에 위치되는 지지부(31)의 중간 영역에는 외부를 향하는 바깥면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제3공기유입부(311)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유입된 공기가 유동하는 관로(S1)가 형성된다.The support part 31 is a part supported by the head. In the middle region of the support part 31 located at the top of the head, a third air inlet 311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facing the outside, and a pipe S1 through which the introduced air flows is formed. is formed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31)의 관로(S1)에는 제3공기유입부(311)를 향해 제3필터(312), 제3팬(313a), 제3모터(313b)가 설치된다. 제3필터(312), 제3팬(313a), 제3모터(313b)는 내부하우징(315)에 지지된다. 내부하우징(315)에는 공기가 통과되는 구멍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7 , a third filter 312 , a third fan 313a , and a third motor 313b are installed in the pipeline S1 of the support 31 toward the third air inlet 311 . do. The third filter 312 , the third fan 313a , and the third motor 313b are supported by the inner housing 315 . A hole through which air passes is formed in the inner housing 315 .

제3필터(312)는 제3공기유입부(311)와 제3팬(313a) 사이에 위치된다. 제3필터(312)는 제3공기유입부(311)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걸러준다. 제3필터(312)는 항균, 항바이러스 기능이 있는 필터이며, 일정기간 사용 후 교체된다. 제3팬(313a)은 제3공기유입부(311)로부터 공기를 빨아들인다. 제3모터(313b)는 제3팬(313a)을 회전시킨다. 제3필터(312), 제3팬(313a), 제3모터(313b)에 의해 제3공기유입부(311)로부터 흡입되어 정화된 공기는 관로(S1)를 따라 연결부(32)로 이동된다.The third filter 312 is positioned between the third air inlet 311 and the third fan 313a. The third filter 312 filters the air sucked through the third air inlet 311 . The third filter 312 is a filter with antibacterial and antiviral functions, and is replaced after us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third fan 313a sucks air from the third air inlet 311 . The third motor 313b rotates the third fan 313a. Air sucked from the third air inlet 311 by the third filter 312, the third fan 313a, and the third motor 313b and purified air is moved to the connection part 32 along the pipe line S1. .

지지부(31)의 관로(S1)의 바닥면에는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면상발열체모듈(314)이 설치된다. 면상발열체모듈(314)은 지지부(31)의 길이를 따라 길게 바닥면에 설치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상발열체모듈(314)은, 필름(314a), 통전회로(314b), 카본블랙(314c), 배터리(314d), 절연재(314e)로 구성된다. 배터리(314d) 대신에 케이스(11)에 설치된 배터리(미도시)가 사용될 수도 있다.A planar heating element module 314 for heating the introduced air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duit S1 of the support 31 . The planar heating element module 314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long along the length of the support part 31 . 8, the planar heating element module 314 is composed of a film 314a, a energizing circuit 314b, carbon black 314c, a battery 314d, and an insulating material 314e. A battery (not shown) installed in the case 11 may be used instead of the battery 314d.

필름(314a)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만들어진다. 통전회로(314b)는 전기가 흐르는 회로이다. 통전회로(314b)는 필름(314a)의 상면에 형성된다. 통전회로(314b)는 전도성이 좋은 은(Ag)으로 구성된다. 통전회로(314b)를 필름(314a)의 상면에 형성하는 방법은(예를 들어 식각방법)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카본블랙(314c)은 필름(314a)의 상면에 도포된다. 배터리(314d)는 필름(314a)의 하면에 배치된다. 배터리(314d)는 통전회로(314b)에 전기를 공급한다. 통전회로(314b)에 전기가 공급되면 카본블랙(314c)이 발열한다. 배터리(314d)는 통전회로(314b)와 전선(미도시)으로 연결된다. 절연재(314e)는 카본블랙(314c)의 상면에 도포되어 카본블랙(314c)을 절연한다.The film 314a is made of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The energizing circuit 314b is a circuit through which electricity flows. The energizing circuit 314b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lm 314a. The energizing circuit 314b is made of silver (Ag) having good conductivity. A method of forming the conduction circuit 314b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lm 314a (eg, an etching method) is a well-known technique,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Carbon black 314c is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lm 314a. The battery 314d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lm 314a. The battery 314d supplies electricity to the energizing circuit 314b. When electricity is supplied to the energizing circuit 314b, the carbon black 314c generates heat. The battery 314d is connected to the energizing circuit 314b by an electric wire (not shown). The insulating material 314e is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rbon black 314c to insulate the carbon black 314c.

면상발열체모듈(314)은 겨울철에 지지부(31)와 맞닿는 머리를 덥혀준다.The planar heating element module 314 warms the head in contact with the support part 31 in winter.

면상발열체모듈(314)은 지지부(31)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30~40℃로 가열한다. 이렇게 가열된 공기는 겨울철에 사용자의 얼굴로 공급되어 추위를 막아준다.The planar heating element module 314 heats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upport part 31 to 30-40 ℃. This heated air is supplied to the user's face in winter to prevent the cold.

면상발열체모듈(314)은 지지부(31)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70~80℃로 가열한다. 이렇게 가열된 공기로 마스크나 눈가리개에 묻은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짧은 시간 내(1분 내외)에 제거한다.The planar heating element module 314 heats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upport part 31 to 70 ~ 80 ℃. This heated air removes germs and viruses on the mask or blindfold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about 1 minute).

면상발열체모듈(314)이 공기를 가열하는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통전회로(314b)에 흐르는 전기량을 조절하여, 카본블랙(314c)의 발열량을 조절한다.In order to control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planar heating element module 314 heats the air, the amount of electricity flowing through the energizing circuit 314b is adjusted to adjust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by the carbon black 314c.

연결부(32)Connection (32)

연결부(32)는 2개가 구비되며, 각 연결부(32)는 한쪽 단부가 지지부(31)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쪽 단부가 케이스(11)의 결합축(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지지부(31)와 연결부(32)는 길이조절부(321)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길이조절부(321)는 공지된 기술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길이조절부(321)의 내부에는 지지부(31) 및 연결부(32)와 연통되는 관로(S2)가 형성된다.Two connecting portions 32 are provided, and one end of each connecting portion 32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31 and the other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coupling shaft 12 of the case 11 . do. The support part 31 and the connection part 3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length adjustment part 321 . The length adjustment unit 321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by known techniques. However, in the inside of the length adjusting part 321, the support part 31 and the connecting part 32 and the conduit S2 communicating with it is formed.

연결부(32)의 내부 또한 지지부(31)의 관로(S1) 및 길이조절부(321)의 관로(S2)와 연통되는 관로(S3)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3공기유입부(311)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지지부(31)의 관로(S1)를 따라 연결부(32)의 관로(S3)로 유동한다. 연결부(32)의 관로(S3)로 유동된 공기는 결합축(12)의 유로(P)를 지나 케이스(11)의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A pipe (S3) communicating with the pipe (S1) of the support part (31) and the pipe (S2) of the length adjustment part (321) is also formed inside the connection part (32). Accordingly, the air sucked in through the third air inlet 311 flows to the conduit S3 of the connection part 32 along the conduit S1 of the support part 31 . The air flowing into the conduit S3 of the connection part 32 passes through the flow path P of the coupling shaft 12 and moves to the inside of the case 11 .

[눈가리개(40)][Blindfold (4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가리개(40)는 2개의 귀마개(10)와 머리띠(3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눈가리개(40)는 비말이나 먼지로부터 눈을 보호한다. 눈가리개(40)는 합성수지재의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눈가리개(40)의 일면에 편광 필름을 부착한다거나 소정 색상을 부여할 경우 선글라스나 선바이저의 역할을 겸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blindfold 40 is rotatably coupled between the two earplugs 10 and the headband 30 . The blindfold 40 protects the eyes from splashes and dust. The blindfold 40 is preferably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When a polarizing film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blindfold 40 or a predetermined color is given, it can serve as sunglasses or a sun visor.

<충전 스테이션(2)><Charging Station (2)>

충전 스테이션(2)은 헤드폰 본체(1)가 거치되며, 정화된 공기를 방출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스테이션(2)은 스테이션용 하우징(100), 스테이션용 필터(200), 스테이션용 팬(300), 스테이션용 모터(400), 충전용 도킹부(500)로 구성된다.The charging station 2 has the headphone body 1 mounted thereon, and can discharge purified air. 9 to 13 , the charging station 2 includes a housing 100 for a station, a filter 200 for a station, a fan 300 for a station, a motor 400 for a station, and a docking unit for charging ( 500) consists of

[스테이션용 하우징(100)][Housing for station (100)]

스테이션용 하우징(100)은 후면에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스테이션용 공기흡입부(110)가 형성되고, 전면에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스테이션용 공기배출부(120)가 형성된다.The station housing 100 has an air intake unit 110 for a station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sucked in the rear side, and an air discharge unit 120 for a station through which the sucked air is discharged is formed at the front side.

스테이션용 하우징(100)은 바닥면에 지지되는 바닥지지대(130)를 하부에 구비한다. The housing 100 for the station includes a bottom support 130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스테이션용 하우징(100)의 외면에는 스테이션용 모터(400)를 작동시키는 작동스위치(140)와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연결단자(150)가 설치된다. An operation switch 140 for operating the station motor 400 and a connection terminal 150 for receiving power are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for the station.

[스테이션용 필터(200), 스테이션 팬(300), 스테이션 모터(400)][Filter for station (200), station fan (300), station motor (400)]

스테이션용 필터(200)는 스테이션용 하우징(100)의 내부에 위치되며, 스테이션용 공기흡입부(110)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걸러준다. 스테이션용 필터(200)는 스테이션용 공기흡입부(110)와 스테이션용 팬(300) 사이에 설치된다. 스테이션용 필터(200)는 헤드폰 본체(1)에 사용되는 필터와 마찬가지로 항균, 항바이러스 기능이 있는 필터이며, 일정기간 사용 후 교체된다. The station filter 200 is located inside the station housing 100 , and filters air introduced through the station air intake 110 . The station filter 200 is installed between the station air intake 110 and the station fan 300 . The station filter 200 is a filter having antibacterial and antiviral functions like the filter used in the headphone body 1 , and is replaced after us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스테이션용 팬(300)은 스테이션용 하우징(100)의 내부에 위치되며, 스테이션용 공기흡입부(110)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어 스테이션용 공기배출부(120)를 통해 배출되도록 공기를 유동시킨다.The station fan 300 is located inside the station housing 100 , and the air flows so that air is sucked in through the station air inlet 110 and discharged through the station air outlet 120 .

스테이션용 모터(400)는 스테이션용 하우징(100)의 내부에 위치되며, 스테이션용 팬(300)을 회전시킨다.The station motor 400 is located inside the station housing 100 and rotates the station fan 300 .

[충전용 도킹부(500)][Charging docking unit (500)]

충전용 도킹부(500)는 스테이션용 하우징(100)의 외벽에 연결되며, 헤드폰 본체(1)의 귀마개에 형성된 귀마개용 충전단자(117)에 접속된다. 충전용 도킹부(500)를 통해 헤드폰 본체(1)가 충전된다. The docking unit for charging 500 is connected to the outer wall of the housing 100 for the station, and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117 for earplugs formed on the earplugs of the headphone body 1 . The headphone body 1 is charged through the charging docking unit 500 .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용 도킹부(500)는, 귀마개용 충전단자(117)에 연결되며 스테이션용 하우징(100)의 외벽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도킹 몸체(510)와, 도킹 몸체(510)에 결합되며, 스테이션용 하우징(1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킹용 지지대(520)로 구성된다.11 and 12, the docking unit for charging 500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117 for earplugs and can be moved in a direction to approach and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of the housing 100 for the station. It consists of a body 510 and a docking support 520 coupled to the docking body 510 and movably coupled to the housing 100 for the station.

<미세먼지측정센서(3)><Fine dust sensor (3)>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먼지측정센서(3)는 헤드폰 본체(1)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미세먼지측정센서(3)는 헤드폰 본체(1)의 귀마개(10)의 케이스(11)의 바깥면에 장착되었지만, 이와 달리 머리띠(30)에 장착될 수도 있다. 1 and 2 , the fine dust measuring sensor 3 is mounted on the headphone body 1 . In this embodiment, the fine dust measuring sensor 3 is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11 of the earplug 10 of the headphone body 1, but may be mounted on the headband 30 otherwise.

미세먼지측정센서(3)는 사용자 주위의 미세먼지농도를 측정하며, 측정된 미세먼지농도의 정보를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7)로 전송한다. 미세먼지측정센서(3)와 모바일 기기(7)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호간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근거리 무선 통신은 저전력이 소모되는 통신 방식으로써, 예를 들면,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와 같은 것이 해당될 수 있다. The fine dust measurement sensor 3 measures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round the user, and transmits the measured fine dust concentration information to the user's mobile device 7 such as a smartphone. The fine dust measuring sensor 3 and the mobile device 7 may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between each other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this case,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a communication method that consumes low power, and may correspond to, for example, Wi-Fi direct, Bluetooth, or ZigBee.

모바일 기기(7)에는 미세먼지측정센서(3)에서 측정된 미세먼지농도의 정보를 수집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A)이 설치된다. An application (A) for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d by the fine dust measuring sensor 3 is installed in the mobile device 7 .

<생체신호측정센서(4)><Biometric signal sensor (4)>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체신호측정센서(4)는 헤드폰 본체(1)에 장착된다. 생체신호측정센서(4)는 사용자의 생체신호(맥박, 혈류량, 체온 등)를 측정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얼굴에 닿는 헤드폰 본체(1)의 귀마개(10)의 케이스(11)의 안쪽면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생체신호측정센서(4)는 헤드폰 본체(1)에 장착되었지만, 이와 달리 머리띠(30)에 장착될 수도 있다. 1 and 2 , the biosignal measuring sensor 4 is mounted on the headphone body 1 . The bio-signal measuring sensor 4 is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11 of the earplug 10 of the headphone body 1 in contact with the user's face so as to measure the user's bio-signals (pulse, blood flow, body temperature, etc.). is located In this embodiment, the biosignal measuring sensor 4 is mounted on the headphone body 1, but may be mounted on the headband 30 otherwise.

생체신호측정센서(4)는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며, 측정된 생체신호의 정보를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7)로 전송한다. 측정하고자 하는 생체신호에 따라 생체신호측정센서(4)의 종류가 다를 수 있고, 하나의 생체신호측정센서(4)에서 다양한 종류의 생체신호가 측정될 수도 있다. 미세먼지측정센서(3)와 마찬가지로, 생체신호측정센서(4)와 모바일 기기(7)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호간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biosignal measuring sensor 4 measures the user's biosignal and transmits the measured biosignal information to the user's mobile device 7 . The type of the biosignal measuring sensor 4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biosignal to be measured, and various types of biosignal may be measured by one biosignal measuring sensor 4 . Similar to the fine dust measuring sensor 3 , the biosignal measuring sensor 4 and the mobile device 7 may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between each other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모바일 기기(7)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A)은 생체신호측정센서(4)에서 측정된 생체신호의 정보를 수집한다.The application (A) installed in the mobile device (7) collects the biosignal information measured by the biosignal measuring sensor (4).

<중앙서버(5)><Central Server (5)>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서버(5)는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7)와 무선 통신하며, 어플리케이션(A)에 수집된 미세먼지농도의 정보와 생체신호의 정보를 전달받는다. 중앙서버(5)와 모바일 기기(7) 간의 무선 통신은 무선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 the central server 5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user's mobile device 7 , and receives the information of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nd the biosignal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applica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central server 5 and the mobile device 7 is performed through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중앙서버(5)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미세먼지농도의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지역별 공기질 데이터를 생성한다. 지역별 공기질 데이터는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7)의 어플리케이션(A)에 의해 열람될 수 있다. The central server 5 collects information o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of each of a plurality of users to generate regional air quality data according to the user's location. Regional air quality data can be viewed by the application (A) of the user's mobile device (7).

중앙서버(5)는 수많은 사용자로부터 수집된 미세먼지농도의 정보와 생체신호의 정보을 축적하여 빅데이터(Big Data)를 생성한다. 중앙서버(5)는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개인맞춤형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7)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The central server 5 generates big data by accumulating information on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nd information on bio-signals collected from numerous users. The central server 5 may generate personalized information based on big data and provide it to the user through the user's mobile device 7 .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공기청정 헤드폰을 이용한 미세먼지정보 수집 시스템의 작동을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fine dust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using the multifunctional air purifying headpho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미세먼지측정센서(3), 생체신호측정센서(4), 중앙서버(5)><Fine dust sensor (3), bio-signal sensor (4), central server (5)>

사용자가 헤드폰 본체(1)를 착용하고, 헤드폰 본체(1)를 작동시키면, 미세먼지측정센서(3)가 사용자 주위의 미세먼지농도를 측정한다. 또한, 생체신호측정센서(4)가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한다. 측정된 미세먼지농도의 정보와 생체신호의 정보는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7)로 전송된다. 모바일 기기(7)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A)은 전송된 미세먼지농도의 정보와 생체신호의 정보를 수집한다. When the user wears the headphone body 1 and operates the headphone body 1, the fine dust measurement sensor 3 measures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round the user. In addition, the biosignal measuring sensor 4 measures the user's biosignal. The measured fine dust concentration information and biosignal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o the user's mobile device 7 . The application (A) installed in the mobile device 7 collects the transmitted information on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nd information on the biosignal.

수집된 미세먼지농도의 정보와 생체신호의 정보는 중앙서버(5)에 전달된다. 중앙서버(5)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미세먼지농도의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지역별 공기질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된 지역별 공기질 데이터는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7)의 어플리케이션(A)에 의해 열람될 수 있다. The collected fine dust concentration information and biosignal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o the central server 5 . The central server 5 collects information o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of each of a plurality of users to generate regional air quality data according to the user's location. The generated regional air quality data may be viewed by the application (A) of the user's mobile device (7).

또한, 중앙서버(5)는 수많은 사용자로부터 수집된 미세먼지농도의 정보와 생체신호의 정보을 축적하여 빅데이터(Big Data)를 생성한다. 이러한 빅데이터로부터, 사용자의 연령, 성별, 병력과, 미세먼지농도에 따른 생체신호(맥박, 혈류량, 체온 등)의 변화를 평균적으로 알아낼 수 있다. 중앙서버(5)는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미세먼지 경고를 개인마다 다르게 내리고, 해당 미세먼지 경고를 각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7)로 전송한다. 모바일 기기(7)의 어플리케이션(A)은 해당 미세먼지 경고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사용자는 미세먼지 경고를 바탕으로 헤드폰 본체(1)의 적합한 작동모드를 실행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central server 5 generates big data by accumulating information on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nd information on bio-signals collected from numerous users. From this big data, it is possible to find out on average the changes in the user's age, sex, medical history, and biosignals (pulse, blood flow, body temperature, etc.) according to the fine dust concentration. The central server 5 issues a fine dust warning differently for each individual based on big data, and transmits the fine dust warning to each user's mobile device 7 . The application (A) of the mobile device 7 delivers the fine dust warning to the user. The user can execute an appropriate operation mode of the headphone body 1 based on the fine dust warning.

예를 들어, 빅데이터 상으로 볼 때, 고혈압을 가진 60세 여성이 미세먼지농도가 보통인 지역에서 맥박과 혈류량이 빨라졌다면, 이와 비슷한 조건을 가진 여성이 미세먼지농도 보통인 지역에 들어갔을 경우에 미세먼지를 주의하라는 경고를 보낸다. 사용자는 경고에 따라 헤드폰 본체(1)의 공기청정모드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 밖에 다양한 빅데이터의 활용예가 있을 것이다.For example, in terms of big data, if a 60-year-old woman with high blood pressure had faster pulse and blood flow in an area with a normal fine dust concentration, if a woman with similar conditions entered an area with a normal fine dust concentration It sends a warning to be careful of fine dust. The user may execute the air cleaning mode of the headphone body 1 according to the warning. In addition, there will be various application examples of big data.

<헤드폰 본체(1)><Headphone body (1)>

[스피커모드][Speaker Mode]

사용자가 헤드폰 본체(1)를 머리에 착용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20)와 눈가리개(40)를 머리띠(30) 방향으로 회전시켜 머리띠(30) 아래에 포갠다. The user wears the headphone body 1 on the head. As shown in FIG. 14 , the mask 20 and the blindfold 40 are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headband 30 and overlapped under the headband 30 .

제1제어스위치(17)로 귀마개(10)의 스피커(16)를 작동시킨다. 스피커(16)가 작동되면, 소리방출부(111)를 통해 소리가 귀 방향으로 방출된다.The speaker 16 of the earplug 10 is operated with the first control switch 17 . When the speaker 16 is operated, the sound is emitted toward the ear through the sound emitting unit 111 .

[공기청정모드][Air purification mode]

사용자가 헤드폰 본체(1)를 머리에 착용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띠(30)에 포개진 마스크(20)와 눈가리개(40)를 아래 방향으로 회전시켜 얼굴 방향으로 내린다. 공기청정모드에서는 스피커 모드도 쓸 수 있다.The user wears the headphone body 1 on the head. As shown in FIG. 2 , the mask 20 and the blindfold 40 superimposed on the headband 30 are rotated downward in the direction of the face. In the air cleaning mode, speaker mode can also be used.

비겨울철non-winter

제2제어스위치(18)를 조작하여 비겨울철 모드를 선택한다. 귀마개(10)의 제1모터(15)와 마스크(20)의 제2모터(235)가 작동한다.The non-winter mode is selected by operating the second control switch 18 . The first motor 15 of the earplug 10 and the second motor 235 of the mask 20 operate.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모터(15)가 작동하면, 케이스(11)의 제1공기유입부(112)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케이스(11)의 제1공기배출부(113)를 통해 마스크(20) 안쪽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코와 입으로 정화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귀마개(10) 내부에서의 작동을 설명하면, 제1모터(15)에 의해 제1팬(14)이 회전하여 제1공기유입부(112)로 공기가 흡입되고, 제1필터(13)를 통해 정화된다. 정화된 공기는 튜브(T)를 통해 제1공기배출부(113)로 배출된다. As shown in FIG. 15 , when the first motor 15 operates,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air inlet 112 of the case 11 , and the introduced air is the first air of the case 11 . It is discharged into the mask 20 through the discharge unit 113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hale the purified air through the nose and mouth. When explaining the operation inside the earplugs 10, the first fan 14 is rotated by the first motor 15, air is sucked into the first air inlet 112, and the first filter 13 is purified through The purified air is discharged to the first air discharge unit 113 through the tube (T).

제2모터(235)가 작동하면, 호흡을 통해 배출된 마스크(20) 안쪽면의 공기가 마스크(20)의 제2공기유입부(231)를 통해 제2공기배출부(232)로 배출된다. 마스크(20)의 하부지지대(23)의 내부에서의 작동을 설명하면, 제2모터(235)에 의해 제2팬(234)이 회전하여 제2공기유입부(231)로 공기가 흡입되고, 제2필터(233)를 통해 정화된다. 정화된 공기는 제2공기배출부(232)로 배출된다.When the second motor 235 operates, the ai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sk 20 discharged through respiration is discharged to the second air outlet 232 through the second air inlet 231 of the mask 20 . When explaining the operation inside the lower support 23 of the mask 20, the second fan 234 is rotated by the second motor 235 and air is sucked into the second air inlet 231, It is purified through the second filter 233 . The purified air is discharged to the second air discharge unit 232 .

겨울철winter

제2제어스위치(18)를 조작하여 겨울철 모드를 선택한다. 귀마개(10)의 제1모터(15), 마스크(20)의 제2모터(235), 머리띠(30)의 제3모터(313b), 면상발열체모듈(314)이 작동한다.The winter mode is selected by operating the second control switch 18 . The first motor 15 of the earplug 10, the second motor 235 of the mask 20, the third motor 313b of the headband 30, and the planar heating element module 314 operate.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모터(313b)가 작동하면, 지지부(31)의 제3공기유입부(311)를 통해 공기가 지지부(31)의 관로(S1)로 유입된다. 유입된 공기는 지지부(31)의 관로(S1) 바닥면을 따라 배치된 면상발열체모듈(314)을 지나간다. 면상발열체모듈(314)은 지지부(31)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30~40℃로 가열한다.As shown in FIG. 16 , when the third motor 313b operates, air is introduced into the conduit S1 of the support part 31 through the third air inlet 311 of the support part 31 . The introduced air passes through the planar heating element module 314 disposed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duit S1 of the support 31 . The planar heating element module 314 heats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upport part 31 to 30-40 ℃.

제3공기유입부(311)에서 지속적으로 공기가 유입되므로, 가열된 공기는 아래 방향으로 밀려 내려가고 이동하는 동안 면상발열체모듈(314)에 의해 가열된다. 가열된 공기는 결합축(12)을 통해 귀마개(10)의 내부로 유입된다. 귀마개(10)의 제1팬(14)의 작동에 의해 제1공기유입부(112)를 통한 외부 공기뿐만 아니라 결합축(12)의 유로(P)를 따라 이동된 가열 공기도 함께 흡입된다. 따라서, 차가운 외부 공기와 가열된 공기가 섞인, 외부 공기보다 따뜻한 공기가 귀마개(10)의 제1공기배출부(113)로 배출된다.Since air is continuously introduced from the third air inlet 311, the heated air is pushed down and heated by the planar heating element module 314 while moving. The heated air is introduced into the earplug 10 through the coupling shaft (12).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fan 14 of the earplug 10, not only the external air through the first air inlet 112 but also the heated air moved along the flow path P of the coupling shaft 12 is sucked together. Accordingly, air, which is a mixture of cold outside air and heated air, warmer than the outside air is discharged to the first air outlet 113 of the earplug 10 .

[세균 및 바이러스 제거모드][Bacteria and virus removal mode]

사용자가 헤드폰 본체(1)를 벗어 충전 스테이션(2)에 둔다. 제2제어스위치(18)를 조작하여 세균 및 바이러스 제거모드를 선택한다. 머리띠(30)의 제3모터(313b)와 면상발열체모듈(314)이 작동된다.The user takes off the headphone body 1 and places it on the charging station 2 . The second control switch 18 is operated to select the bacteria and virus removal mode. The third motor 313b and the planar heating element module 314 of the headband 30 are operated.

면상발열체모듈(314)은 지지부(31)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70~80℃로 가열한다. 제3공기유입부(311)에서 지속적으로 공기가 유입되므로, 가열된 공기는 아래 방향으로 밀려 내려가고 이동하는 동안 면상발열체모듈(314)에 의해 가열된다. 가열된 공기는 결합축(12)을 통해 귀마개(10)의 내부로 유입된다. 가열된 공기가 귀마개(10)의 제1공기배출부(113)로 배출된다. 가열된 공기로 마스크나 눈가리개에 묻은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짧은 시간(1분내)내에 제거한다.The planar heating element module 314 heats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upport part 31 to 70 ~ 80 ℃. Since air is continuously introduced from the third air inlet 311, the heated air is pushed down and heated by the planar heating element module 314 while moving. The heated air is introduced into the earplug 10 through the coupling shaft (12). The heated air is discharged to the first air outlet 113 of the earplug 10 . Bacteria or viruses on the mask or blindfold are removed in a short time (within 1 minute) with heated air.

세균 및 바이러스 제거모드에서는, 고열로 인해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스피커(16)에서 “세균 및 바이러스 제거 중이나 열풍에 조심하라”는 경고음이 나온다.In the bacteria and virus removal mode, high heat may cause burns to the user, so a warning sound is emitted from the speaker 16 to “be careful while removing bacteria and viruses, but beware of hot air”.

<충전 스테이션(2)><Charging Station (2)>

[공기청정모드][Air purification mode]

헤드폰 본체(1)의 공기청정모드와 별개로 충전 스테이션(2)도 공기청정기능을 갖는다. 충전 스테이션(2)의 공기청정모드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충전 스테이션(2)의 작동스위치(140)를 작동시킨다. 작동스위치(140)가 작동되면, 스테이션용 모터(400)가 작동하여 스테이션용 팬(300)이 회전한다. Apart from the air cleaning mode of the headphone body 1, the charging station 2 also has an air cleaning function. In order to activate the air cleaning mode of the charging station 2 , the operation switch 140 of the charging station 2 is operated. When the operation switch 140 is operated, the motor 400 for the station operates and the fan 300 for the station rotates.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션용 팬(300)이 회전하면, 스테이션용 공기흡입부(110)를 통해 외부 공기가 흡입된다. 흡입된 공기는 스테이션용 필터(200)를 통해 정화된다. 정화된 공기는 스테이션용 공기배출부(1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As shown in FIG. 17 , when the station fan 300 rotates, external air is sucked through the station air intake unit 110 . The sucked air is purified through the filter 200 for the station. The purifie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discharge unit 120 for the station.

[충전모드][Charging Mode]

충전모드는 공기청정모드와 별개로 작동된다.The charging mode operates independently from the air cleaning mode.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헤드폰 본체(1)를 벗어, 충전 스테이션(2)의 충전용 도킹부(500)에 헤드폰 본체(1)의 귀마개용 충전단자(117)를 접속시킨다. 전원이 연결된 충전 스테이션(2)을 통해 헤드폰 본체(1)가 충전된다. As shown in FIG. 17 , the user takes off the headphone body 1 and connects the earplug charging terminal 117 of the headphone body 1 to the charging docking unit 500 of the charging station 2 . The headphone body 1 is charged through a charging station 2 connected to a power source.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공기청정 헤드폰을 이용한 미세먼지정보 수집 시스템을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ine dust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using the multifunctional air purifying headphon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2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공기청정 헤드폰을 이용한 미세먼지정보 수집 시스템은, 제1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공기청정 헤드폰을 이용한 미세먼지정보 수집 시스템과 비교하여 충전 스테이션(2A)만 다르므로, 충전 스테이션(2A)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Since the fine dust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using the multifunctional air purifying headphone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fine dust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using the multifunctional air purifying headphon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nly the charging station 2A is different, so the charging station Only (2A) will be described.

<충전 스테이션(2A)><Charging Station (2A)>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스테이션(2A)은 스테이션용 하우징(100A), 스테이션용 팬(300), 스테이션용 모터(400), 충전용 도킹부(500)로 구성된다.18 and 19 , the charging station 2A includes a housing 100A for the station, a fan 300 for the station, a motor 400 for the station, and a docking unit 500 for charging.

[스테이션용 하우징(100A)][Housing for station (100A)]

스테이션용 하우징(100A)은 전면에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스테이션용 공기배출부(120)가 형성된다. 그러나, 제1실시예와 달리, 스테이션용 하우징(100A)의 후면에는 스테이션용 공기흡입부(110)가 없고, 양측면에 스테이션용 공기전달부(160)가 형성된다.The station housing 100A has an air outlet 120 for the station through which the sucked air is discharged is formed on the front side. However, unlike the first embodiment, there is no station air intake 110 on the rear side of the station housing 100A, and the station air delivery unit 16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tation housing 100A.

스테이션용 공기전달부(160)는 헤드폰 본체(1)에 연결되어 헤드폰 본체(1)로부터 공기를 전달받는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션용 공기전달부(160)는 공기전달용 플러그(161)와 공기전달용 튜브(162)로 구성된다.The air delivery unit 160 for the station is connected to the headphone body 1 to receive air from the headphone body 1 . As shown in FIG. 18 , the air transfer unit 160 for the station includes a plug 161 for air transfer and a tube 162 for air transfer.

공기전달용 플러그(161)는 헤드폰 본체(1)의 귀마개에 형성된 제1공기배출부(113)에 삽입되며, 내부가 중공되어 형성된다.The air delivery plug 161 is inserted into the first air outlet 113 formed in the earplug of the headphone body 1, and is hollow inside.

공기전달용 튜브(162)는 공기전달용 플러그(161)와 스테이션용 하우징(100A)에 연결되며, 공기가 유동되는 유동관로가 형성된다. 스테이션용 하우징(100A)에는 공기전달용 튜브(162)의 유동관로와 연통되는 튜브관로구멍(TH)이 형성된다. 공기전달용 튜브(162)는 가요성 재질로 형성된다. 공기전달용 튜브(162)는 스테이션용 하우징(100A)에 길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스테이션용 공기전달부(160)를 헤드폰 본체(1)에 연결하기 위해 공기전달용 튜브(162)를 잡아당겨 공기전달용 플러그(161)를 헤드폰 본체(1)의 귀마개에 형성된 제1공기배출부(113)에 삽입할 수 있다. The air delivery tube 162 is connected to the air delivery plug 161 and the station housing 100A, and a flow pipe through which air flows is formed. A tube conduit hole TH communicating with the flow conduit of the air transfer tube 162 is formed in the station housing 100A. The air transmission tube 162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The air transmission tube 162 is installed in the station housing 100A to be adjustable in length. Therefore, in order to connect the air delivery unit 160 for the station to the headphone body 1 , the air delivery tube 162 is pulled to connect the air delivery plug 161 to the first air formed in the earplugs of the headphone body 1 . It can be inserted into the discharge part 113 .

스테이션용 하우징(100A)은 바닥면에 지지되는 바닥지지대(130)를 구비한다. The station housing 100A includes a floor support 130 supported on a floor surface.

스테이션용 하우징(100A)의 외면에는 스테이션용 모터(400)를 작동시키는 작동스위치(140)와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연결단자(150)가 설치된다. An operation switch 140 for operating the station motor 400 and a connection terminal 150 for receiving power are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00A for the station.

[스테이션 팬(300), 스테이션 모터(400)][Station fan (300), station motor (400)]

스테이션용 팬(300)은 스테이션용 하우징(100A)의 내부에 위치되며, 헤드폰 본체(1)에서 방출된 공기가 스테이션용 공기전달부(160)를 통해 흡입되어 스테이션용 공기배출부(120)를 통해 배출되도록 공기를 유동시킨다.The station fan 300 is located inside the station housing 100A, and the air emitted from the headphone body 1 is sucked through the station air delivery unit 160 to remove the station air discharge unit 120 . Air flows through the exhaust.

스테이션용 모터(400)는 스테이션용 하우징(100A)의 내부에 위치되며, 스테이션용 팬(300)을 회전시킨다.The station motor 400 is located inside the station housing 100A, and rotates the station fan 300 .

[충전용 도킹부(500)][Charging docking unit (500)]

충전용 도킹부(500)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charging docking unit 500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공기청정 헤드폰을 이용한 미세먼지정보 수집 시스템의 작동을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fine dust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using the multifunctional air purifying headphon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헤드폰 본체(1)의 작동과 충전 스테이션(2A)의 충전모드의 작동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충전 스테이션(2A)의 공기청정모드의 작동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Since the operation of the headphone main body 1 and the operation of the charging mode of the charging station 2A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only the operation of the charging station 2A in the air cleaning mode will be described.

[충전 스테이션(2A)의 공기청정모드][Air cleaning mode of charging station (2A)]

충전 스테이션(2A)은 헤드폰 본체(1)를 통해 공기청정모드가 작동된다. The charging station 2A operates in the air cleaning mode through the headphone body 1 .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헤드폰 본체(1)를 벗어 충전 스테이션(2A)의 스테이션용 공기전달부(160)를 헤드폰 본체(1)의 제1공기배출부(113)에 연결한다. 이 때, 충전 스테이션(2A)의 충전용 도킹부(500)에 헤드폰 본체(1)의 귀마개용 충전단자(117)를 접속시켜 충전과 동시에 작동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2A)의 작동스위치(140)를 작동시키면, 헤드폰 본체(1)의 공기청정모드가 작동된다. As shown in FIG. 20 , the user takes off the headphone body 1 and connects the station air transmission unit 160 of the charging station 2A to the first air discharge unit 113 of the headphone body 1 . At this time, by connecting the charging terminal 117 for the earplugs of the headphone body 1 to the charging docking unit 500 of the charging station 2A, it can be operated simultaneously with charging. When the operation switch 140 of the charging station 2A is operated, the air cleaning mode of the headphone body 1 is activated.

헤드폰 본체(1)가 비겨울철 공기청정모드가 선택된 상태라면, 귀마개(10)의 제1모터(15)가 작동한다. 제1모터(15)가 작동하면, 케이스(11)의 제1공기유입부(112)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고, 제1필터(13)를 통해 정화되어 케이스(11)의 제1공기배출부(113)를 통해 배출된다. When the headphone body 1 is in the non-winter season air cleaning mode is selected, the first motor 15 of the earplug 10 operates. When the first motor 15 is operated,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air inlet 112 of the case 11 , is purified through the first filter 13 , and is then purified through the first air outlet of the case 11 . (113) is released through.

제1공기배출부(113)는 충전 스테이션(2A)의 스테이션용 공기전달부(160)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정화된 공기는 스테이션용 공기전달부(160)를 통해 스테이션용 하우징(100A)의 내부로 유입된다. 스테이션용 모터(400)에 의해 스테이션용 팬(300)이 회전하여 유입된 정화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정화공기는 스테이션용 공기배출부(1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Since the first air discharge unit 113 is connected to the station air transmission unit 160 of the charging station 2A, the purified air passes through the station air transmission unit 160 to the inside of the station housing 100A. is introduced into The station fan 300 rotates by the station motor 400 to suck in the introduced purified air, and the sucked in purifie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tation air outlet 120 .

헤드폰 본체(1)가 겨울철 공기청정모드가 선택된 상태라면, 귀마개(10)의 제1모터(15) 뿐만 아니라 머리띠(30)의 제3모터(313b), 면상발열체모듈(314)도 작동한다. 제1모터(15), 제3모터(313b), 면상발열체모듈(314)의 작동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f the headphone body 1 is in the winter air cleaning mode is selected, not only the first motor 15 of the earplugs 10 but also the third motor 313b of the headband 30 and the planar heating element module 314 operate. Since the operation of the first motor 15, the third motor 313b, and the planar heating element module 314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공기배출부(113)를 통해 배출된 따뜻한 공기는 충전 스테이션(2A)의 스테이션용 공기전달부(160)를 통해 스테이션용 하우징(100A)의 내부로 유입되고, 비겨울철 모드에서의 작동과 마찬가지로 스테이션용 공기배출부(1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The warm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air outlet 113 i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00A for the station through the air transfer unit 160 for the station of the charging station 2A, and the operation in the non-winter mode and Similarly,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discharge unit 120 for the station.

1: 헤드폰 본체 10: 귀마개
11: 케이스 12: 결합축
13: 제1필터 14: 제1팬
15: 제1모터 16: 스피커
17: 제1제어스위치 18: 제2제어스위치
20: 마스크 21: 몸체부
30: 머리띠 31: 지지부
40: 눈가리개 2, 2A: 충전 스테이션
100, 100A: 스테이션용 하우징 110: 스테이션용 공기흡입부
120: 스테이션용 공기배출부 130: 바닥지지대
140: 작동스위치 150: 연결단자
160: 스테이션용 공기전달부 161: 공기전달용 플러그
162: 공기전달용 튜브 200: 스테이션용 필터
300: 스테이션용 팬 400: 스테이션용 모터
500: 충전용 도킹부 510: 도킹 몸체
520: 도킹용 지지대 3: 미세먼지측정센서
4: 생체신호측정센서 5: 중앙서버
7: 모바일 기기 A: 어플리케이션
1: Headphone body 10: Earplugs
11: case 12: coupling shaft
13: first filter 14: first fan
15: first motor 16: speaker
17: first control switch 18: second control switch
20: mask 21: body part
30: headband 31: support part
40: blindfold 2, 2A: charging station
100, 100A: housing for station 110: air intake for station
120: air outlet for station 130: floor support
140: operation switch 150: connection terminal
160: air delivery unit for station 161: air delivery plug
162: tube for air transmission 200: filter for station
300: fan for station 400: motor for station
500: docking unit for charging 510: docking body
520: docking support 3: fine dust sensor
4: Bio-signal measurement sensor 5: Central server
7: Mobile Device A: Application

Claims (4)

소리와 정화된 공기를 방출하는 2개의 귀마개와, 상기 2개의 귀마개 사이에 연결되는 마스크와, 상기 2개의 귀마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머리띠와, 상기 2개의 귀마개와 상기 머리띠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눈가리개를 포함하는 헤드폰 본체;
상기 헤드폰 본체가 거치되며, 정화된 공기를 방출할 수 있는 충전 스테이션;
상기 헤드폰 본체에 장착되어 사용자 주위의 미세먼지농도를 측정하며, 측정된 상기 미세먼지농도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는 미세먼지측정센서;
상기 헤드폰 본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며, 측정된 상기 생체신호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는 생체신호측정센서;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모바일 기기와 무선통신하며, 상기 미세먼지농도의 정보와 상기 생체신호의 정보를 전달받는 중앙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공기청정 헤드폰을 이용한 미세먼지정보 수집 시스템.
Two earplugs emitting sound and purified air, a mask connected between the two earplugs, a headband rotatably coupled to the two earplugs, and a rotatable coupling between the two earplugs and the headband Headphone body comprising a blindfold;
a charging station on which the headphone body is mounted and capable of emitting purified air;
a fine dust measuring sensor mounted on the headphone body to measure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round the user, and transmit the measured fine dust concentration information to the user's mobile device;
a bio-signal measuring sensor mounted on the headphone body to measure a user's bio-signal and transmit the measured bio-signal information to the user's mobile device; and
and a central server that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user's mobile device and receives the information o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nd the biosignal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미세먼지농도의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지역별 공기질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공기청정 헤드폰을 이용한 미세먼지정보 수집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entral server,
A system for collecting fine dust information using a multifunctional air purifying headphone, characterized in that by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of each of a plurality of users, air quality data for each reg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user is genera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별 공기질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에 의해 열람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공기청정 헤드폰을 이용한 미세먼지정보 수집 시스템. The system of claim 2, wherein the regional air quality data can be read by the user's mobil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스테이션은,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스테이션용 공기흡입부와 흡입된 상기 공기가 배출되는 스테이션용 공기배출부가 형성된 스테이션용 하우징;
상기 스테이션용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스테이션용 공기흡입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걸러주는 스테이션용 필터;
상기 스테이션용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스테이션용 공기흡입부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스테이션용 공기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공기를 유동시키는 스테이션용 팬; 및
상기 스테이션용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스테이션용 팬을 회전시키는 스테이션용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공기청정 헤드폰을 이용한 미세먼지정보 수집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harging station,
a station housing in which an air intake unit for a station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sucked and an air discharge unit for a station through which the suctioned air is discharged are formed;
a station filter positioned inside the station housing and filtering air introduced through the station air intake;
a station fan located inside the station housing and flowing the air so that air is sucked in through the station air inlet and discharged through the station air outlet; and
The system for collecting fine dust information using a multifunctional air purifying head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ed inside the housing for the station and includes a motor for the station that rotates the fan for the station.
KR1020210054856A 2021-04-28 2021-04-28 Fine dust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using multifunctional air cleaning headphone Ceased KR2022014783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856A KR20220147836A (en) 2021-04-28 2021-04-28 Fine dust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using multifunctional air cleaning head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856A KR20220147836A (en) 2021-04-28 2021-04-28 Fine dust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using multifunctional air cleaning head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836A true KR20220147836A (en) 2022-11-04

Family

ID=84045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856A Ceased KR20220147836A (en) 2021-04-28 2021-04-28 Fine dust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using multifunctional air cleaning head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7836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26834A (en) * 2023-01-31 2024-08-07 Dyson Technology Ltd A wearable air purifier
GB2634245A (en) * 2023-10-03 2025-04-09 Dyson Technology Ltd Wearable air purifi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9372B1 (en) 2017-04-18 2018-08-17 이수행 Headphone type air clean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9372B1 (en) 2017-04-18 2018-08-17 이수행 Headphone type air clean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26834A (en) * 2023-01-31 2024-08-07 Dyson Technology Ltd A wearable air purifier
GB2626834B (en) * 2023-01-31 2025-06-25 Dyson Technology Ltd A wearable air purifier
GB2634245A (en) * 2023-10-03 2025-04-09 Dyson Technology Ltd Wearable air purifi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075874B2 (en) Personal air filtration system with smart app
JP7653454B2 (en) Wearable Air Purifier
JP6388311B2 (en) Improved breathing apparatus
KR102417414B1 (en) Fan-detachable air-purifying headphones
KR101699789B1 (en) Portable air supplied respirator
KR101966143B1 (en) Headphone type air cleaner and personalized air clea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ES2900864T3 (en) Enhanced Breathing Apparatus (PAPR)
KR20220147836A (en) Fine dust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using multifunctional air cleaning headphone
CN106963001A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gauze mask
US12357042B2 (en) Head covering device providing filtered intake and exhaust air
WO2022037757A1 (en) A headset device comprising a face protection arrangement
CN104436460A (en) Wearable air purifying device and air purifying method
KR102406626B1 (en) Multifunctional air cleaning headphone
CN116583326A (en) Wearable air purifier
KR20080089727A (en) Portable air cleaner
CN102778764B (en) Glasses with filtering function
CN110558652A (en) Antifog haze gauze mask of multilayer structure
CN108066912A (en) Breathe half face shield
KR102424924B1 (en) Multifunctional air cleaning headphone system capable of collecting fine dust information
KR102294982B1 (en) Smart Mask
WO2022129826A1 (en) Wearable air purifier
KR102406623B1 (en) Multifunctional air cleaning headphone system
KR102066861B1 (en) Glasses Structured with Fine Dust Elimination
KR102416832B1 (en) Air cleaning headphone system with sliding guide capable of collecting fine dust information
KR102416833B1 (en) Air cleaning headphone system with rotating guide capable of collecting fine dust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4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10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304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