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7005A - 저온대기압 플라즈마 발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저온대기압 플라즈마 발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47005A KR20220147005A KR1020210173582A KR20210173582A KR20220147005A KR 20220147005 A KR20220147005 A KR 20220147005A KR 1020210173582 A KR1020210173582 A KR 1020210173582A KR 20210173582 A KR20210173582 A KR 20210173582A KR 20220147005 A KR20220147005 A KR 2022014700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sma
- user
- unit
- skin
- atmospheric pressu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44—Applying ionised flui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11—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physical metho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8—Inhaling devices inserted into the nose
- A61M15/085—Fixing mean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1/00—Generating plasma; Handling plasma
- H05H1/24—Generating plasm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61N2005/0607—Nos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61N2005/0647—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the applicator adapted to be worn on the hea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62—Visible light
- A61N2005/0663—Coloured l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온대기압 플라즈마 발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온대기압 플라즈마 발생장치는, 사용자의 코 부위에 위치하여 플라즈마를 방출하는 플라즈마 방출부, 및 플라즈마 방출부에서 방출되는 플라즈마의 방출량이 증가되도록 사용자의 피부에 전기적으로 접지시켜 동작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저온대기압 플라즈마 발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마스크 등과 결합하여 사용자의 코 내부로 음이온 등을 유입시켜 세포 생성을 도울 수 있도록 하는 저온대기압 플라즈마 발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의학계에는 상처에 일정량의 전류나 초음파를 흘려보내면 상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관련 장비들도 이미 보급되어 있는 상태이다. 하지만, 전기를 이용한 상처 치료시 상처의 상태, 크기, 정도에 따라 효과가 다를 수 있으며 무엇보다 상처 부위 등에 직접 접촉하여야 하는 접촉식 방법이라는 사용상의 어려움으로 인해 대중적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물론 초음파를 이용한 방법 역시 전기 치료와 같은 이유로 사용이 제한적이다.
한편, 최근에는 음이온을 이용한 피부 미용기도 개발된 바 있다. 피부 표피의 각질층 밑에는 두꺼운 단백질 보호층으로 방어벽이 형성되어 있고, 이 단백질 보호층에 의해 피부의 표피와 진피층이 분리되어 있는데, 피부 미용기는 음이온 발생장치를 구비하여 얼굴 또는 피부 표면에 스팀과 함께 음이온을 공급한다.
주지하는 바대로, 음이온은 피부 표면에 접촉하게 되면 각종 노폐물 및 각질 등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으며, 노화방지는 물론 세포 활성화에도 큰 효과가 있다. 일반적으로 음이온 방출을 위해서는 음이온 발생장치를 내장하게 되는데, 음이온 발생장치에서 발생한 음이온은 일정한 방향성이 없고 이동 가능한 경로 또한 길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음이온 발생장치에서 발생한 음이온은 그 일부만이 사용자의 얼굴 또는 피부 표면에 전달되어 흡착될 수 있다.
최근에는 마스크 제품이 주목을 받으면서 미세먼지 등의 유해환경에 부합할 수 있는 항균, 세포 생성 등을 위한 제품도 시장에서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마스크 등과 결합하여 사용자의 코 내부로 음이온 등을 유입시켜 세포 생성을 도울 수 있도록 하는 저온대기압 플라즈마 발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온대기압 플라즈마 발생장치는, 사용자의 코 부위에 위치하여 플라즈마를 방출하는 플라즈마 방출부, 상기 플라즈마 방출부에서 방출되는 플라즈마의 방출량이 증가되도록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전기적으로 접지되면 동작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접지시키기 위해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접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플라즈마 방출부는 상기 사용자가 착용하는 마스크(mask)의 내부에서 코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플라즈마 방출부는 변색 방지를 위해 카본(carbon)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카본이 형성되는 부위는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미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라즈마 방출부는 상기 마스크의 내부에서 상기 사용자의 턱에 의해 지지되는 턱 지지부를 통해 상기 마스크와 상기 사용자의 코 사이에서 지정된 간격이 유지되어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미접촉할 수 있다.
상기 플라즈마 방출부는 표면적을 넓혀 플라즈마의 방출량이 증가하도록 복수의 털을 갖는 브러쉬(brush)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접지시키기 위해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접지부는 피부자극이 없는 물질로 도금될 수 있다.
상기 저온대기압 플라즈마 발생장치는, 상기 플라즈마 방출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세포 생성을 위해 지정된 파장의 적색 광선을 방출하는 다이오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온대기압 플라즈마 발생장치의 구동방법은, 사용자의 코 부위에 위치하는 플라즈마 방출부가, 플라즈마를 방출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플라즈마 방출부에서 방출되는 플라즈마의 방출량이 증가하도록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전기적으로 접지시켜 동작하는 단계 및 접지부가 상기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접지시키기 위해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코 내부로 플라즈마 에너지를 갖고 있는 가령 음이온이 흡입되어 세포 생성에 도움을 줄 수 있고, 방출된 플라즈마를 통해 형성된 음이온, 더 정확하게는 (-) 전자가 코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플라즈마 에너지를 갖는 이온이 피부에 직접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를 이용한 저온대기압발생 마스크를 보여주는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한 마스크의 주요 부위에 대한 확대도,
도 3은 도 1의 플라즈마 발생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4a 내지 도 4d는 도 3의 회로부를 구성하는 회로도,
도 5는 도 1의 플라즈마 발생장치의 다른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발생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한 마스크의 주요 부위에 대한 확대도,
도 3은 도 1의 플라즈마 발생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4a 내지 도 4d는 도 3의 회로부를 구성하는 회로도,
도 5는 도 1의 플라즈마 발생장치의 다른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발생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를 이용한 저온대기압발생 마스크를 보여주는 도면, 그리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한 마스크의 주요 부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를 이용한 저온대기압발생 마스크(90)는 마스크부(100) 및 (저온대기압) 플라즈마 발생장치(11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마스크부(10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다른 구성요소로 대체되거나, 플라즈마 발생장치(11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마스크부(100)에 통합(또는 일체화)되어 형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마스크부(100)는 가령 사용자들의 입과 코 즉 호흡기를 외부의 바이러스나 미세먼지 등으로부터 차단시키는 부분이며, 대표적으로 마스크를 포함할 수 있고,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가령, 면이나 실리콘 재질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코 내부로 플라즈마 등의 에너지를 갖고 있는 음이온, 더 정확하게는 다양한 음(-) 전하(예: OH-, NO3 등)가 흡입되어 세포 생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를 위해 별도로 제조되는 마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형태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통상 플라즈마는 기체가 초고온으로 가열되어 전자와 양전하를 가진 이온으로 분리된 상태를 말하며, 우주의 99.999%가 플라즈마 상태로 존재한다. 따라서, 강력한 플라즈마 에너지는 허물어진 세포를 복원하고, 생화학적 효과가 탁월하여 이미 중증치료 및 의료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즉 물질의 제4의 상태로 일컬어지는 플라즈마는 온전한 원자의 구조가 분해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플라즈마 상태에서는 전자, 중성자, 양성자들이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무작위적으로 상존한다.
본질적으로 모든 원자 또는 분자는 플라즈마 상태로 전환될 수 있으며, 플라즈마를 생성시킬 수 있는 에너지 또한 다양하다. 재료가 되는 원자나 분자, 플라즈마를 생성시키는 에너지원에 따라, 다양한 특징과 성격을 가진 플라즈마가 생성되게 된다. 따라서, 어떠한 매질을 사용하느냐, 어떤 에너지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생성되는 플라즈마의 특성은 현저히 달라지게 된다. 활성종인 인체에 무해한 수산화기(hydroxyl radical: OH·)는 박테리아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저온 상압 플라즈마는 인체조직에 열 손상을 입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암 치료, 치아미백, 지혈, 상처치유 등에서 높은 효율성을 보이고 있다. 이때 발생되는 활성종은 포유세포나 병원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플라즈마 발생장치(110)는 마스크부(100)의 내부에 구성된다. 여기서, 내부는 사용자의 입과 코에 접촉할 수 있는 부위 즉 내면을 의미한다. 플라즈마 발생장치(110)에서 발생된 플라즈마가 코로 유입되도록 하는 물리적 구성을 먼저 살펴보면, 턱지지부(113)를 통해 마스크(부)(100)와 코 사이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여, 플라즈마 방출부(114)에 형성된 카본(carbon)이 직접 사람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방출부 즉 플라즈마 방출부(114)가 코의 하부에 위치함과 동시에 콧구멍을 향해 상방향으로 카본을 위치하여 호흡시 코로 방출된 플라즈마 에너지를 갖는 다양한 음(-) 전하가 유입되도록 한다. 여기서, "다양한 음(-) 전하"란 음이온 외에 수산화이온(OH-), 질산염(NO3)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플라즈마 발생장치(110)에서 플라즈마 이온 방출량을 많게 하는 구성 및 코로 유입되는 전기적 구성을 살펴보면, 플라즈마 발생장치(110)는 플라즈마가 방출되는 금속재질을 사용하게 되는데 장시간 사용시 금속이 변색이 되면서 방출량이 급감속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카본 재질(변색이 되지 않음)로 플라즈마 방출부(114)를 형성하되, 복수의 털을 가지는 브러쉬 형태로 제작하여 표면적을 넓혀 플라즈마 방출량을 증가시킨다. 그리고 PCB 기판상에 구성되는 회로부에 연결된 접지선을 사람의 피부에 접지(예: 금도금 부분)하도록 하여 플라즈마 에너지를 갖는 이온 방출량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사람의 피부가 양이온(+)을 띠게 한다.
나아가, 플라즈마 발생장치(110)의 작동 방식을 보면, 먼저 5㎸ 전압를 이용하여 카본 전단부에 플라즈마를 형성하고, 플라즈마가 발생하면서 공기 중 질소 또는 산소의 전자와 양전하를 분리시킨 후 플라즈마 에너지를 갖는 (-)전자(예: 음이온, OH-, NO3 등)가 방출되며, 접지를 통해 사람은 (+) 전하를 띠고 있어 호흡시 (-)전자(예: 이온)가 코 내부로 유입된다. 유도 원리를 이용한다고 볼 수 있다.
상기의 구성 결과, 코 내부로 플라즈마 에너지를 갖고 있는 가령 음이온이 흡입되어 세포 생성에 도움을 줄 수 있고, 방출된 플라즈마를 통해 형성된 음이온, 더 정확하게는 (-) 전자가 코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플라즈마 에너지를 갖는 이온이 피부에 직접 접촉할 수 있게 된다.
도 2a 및 도 2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라즈마 발생장치(110)는 기기 앞면의 시작 버튼(혹은 버튼부)(111), 접지부(112), 턱지지부(113) 및 플라즈마 방출부(114)를 포함하며, 플라즈마 증폭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누구나 사용 가능하도록 밴드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고리를 귀에 걸어 길이를 맞출 수 있다. 이외에도 665nm 파장의 적색광선을 출력하는 다이오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665nm 파장은 혈관내피세포 성장에 유용할 수 있다.
시작 버튼(111)은 전원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기기 앞면에 형성되어 마스크부(100)로 노출될 수 있다. 원터치의 간편한 작동으로 20분 자동 세팅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접지부(112)는 금(Au)도금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피부자극을 없앨 수 있다. 물론 금 도금 이외에도 피부 자극을 없애면서 접지부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면 어떠한 물질도 가능할 수 있다. 접지 팁이나 밴드 클립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턱지지부(113)는 기기 안쪽 하단바를 입술 아래 턱에 맞춰 고정해 준다. 플라즈마 방출부(114)는 턱지지부(113)의 일측에 구성되는 플라즈마 증폭기(혹은 생성기)로부터 출력되는 플라즈마 전압에 의해 플라즈마를 방출한다. 고전압에 의해 플라즈마 방출부(114)는 가령 음이온 등을 발생시키게 된다. 즉 음이온은 고전압에 의해 튕겨나온 전자가, 전위가 0인 접지(earth) 또는 전위가 (+)인 곳으로 가도록 해서 여분의 전자를 떼어버리려고 하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이와 같은 전자가 즉 전류의 흐름이 상처 부위의 세포 활성화에 도움을 주게 되는 것이다. 플라즈마 방출부(114)는 카본 재질로 형성되며 브러쉬 형태로 형성된다. 복수의 가닥이 표면적을 넓혀 플라즈마 방출을 증대시킨다. 적색광선 다이오드는 플라즈마 방출부(114)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윗입술 부위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도 3은 도 1의 플라즈마 발생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4a 내지 도 4d는 도 3의 회로부를 구성하는 회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플라즈마 발생장치(110)는 플라즈마 방출부(300), 배터리부(310), 회로부(혹은 제어부)(320), 플라즈마 생성부(330) 및 접지부(34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앞서서의 의미와 크게 다르지 않다.
플라즈마 방출부(300)는 앞서 도 1 등을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카본 재질로 브러쉬 형태로 형성된다. 복수의 가닥이 플라즈마의 방출량을 증대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플라즈마 방출부(300)는 플라즈마 생성부(330)에 연결되는 도전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라즈마 방출부(300)는 플라즈마 생성부(330)에 연결된다. 플라즈마 생성부(330)는 플라즈마 생성을 위한 고전압을 생성한다. 이를 위하여, 기설정된 DC 전압을 고전압으로 증폭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라즈마 생성부(330)는 전원부에서 제공된 DC 전압을 고전압으로 변환하여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데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어, DC-AC 인버팅, AC-DC 컨버팅 등을 통해 전원부 즉 배터리부(310)에서 제공된 DC 전압을 단계적으로 높여 고전압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고전압을 이용하여 음이온 등의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플라즈마 방출부(300)를 통해 방출시킨다.
회로부(320)는 인쇄회로기판(PCB)상에 구성되는 CPU나 MPU, 그리고 그 주변회로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번호 321은 전원버튼을 의미하며, 도 1에서의 시작 버튼(111)을 나타낼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d는 회로부(320)의 회로 구성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회로부(320)를 구성하는 PCB상에는 배터리부(310)를 연결하기 위한 배터리 켄넥터(혹은 커넥터)(310'), 플라즈마 생성부(330)의 모듈을 연결하기 위한 플라즈마 모듈 컨넥터(330'), 그리고 접지부(340)를 연결하기 위한 접지 컨넥터(340')를 각각 구성할 수 있으며, 적색광선 다이오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LED 켄넥터 등이 더 구성될 수 있다.
회로부(320)는 배터리 켄넥터(310')를 통해 인가되는 배터리 전압을 플라즈마 모듈 컨넥터(330')에 연결되어 있는 플라즈마 생성부(330)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플라즈마 생성부(330)는 입력된 배터리 전압을 승압시켜 고전압을 생성하고, 생성한 고전압에 의해 발생되는 플라즈마를 플라즈마 방출부(300)를 통해 방출한다. 가령 고전압을 플라즈마 방출부(300)에 전달하여 플라즈마 방출부(300)에서 플라즈마가 생성되어 방출될 수 있다. 방출된 플라즈마 가령 음이온은 사용자의 코로 유입될 수 있으며, 이때, 접지 컨텍터(340)에 연결되어 있는 도 2a 및 도 2b의 금도금된 접지부(112)가 코로 유입되는 음이온의 유입을 유도한다. 즉 접지를 통해 사용자는 양(+)전하를 띠고 있으므로, 호흡시 전자 즉 음(-)전하가 코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도 4a 내지 도 4d에서는 회로부(320)를 구성하는 회로도를 구체적으로 예시하고 있지만, 회로의 구성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 내용들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따라서, 그 연결관계를 구체적으로 기술하지는 않지만, 당업자라면 회로도를 통해 그 연결관계를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4d에서와 같이 다이오드 소자가 구성되는 경우, 해당 다이오드 소자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양단에 지정된 전압을 제공하는 것은 당연하다. 또는 일정 전류가 흐르도록 해야 하는 것도 당연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적색광(선) 다이오드는 665nm의 파장을 방출하는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b에서 MT 3608은 DC-DC 컨버터 즉 부스팅 회로를 의미할 수 있으며, 도 4a 및 도 4b에서 A와 A'는 서로 전기적(혹은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1의 플라즈마 발생장치의 다른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발생장치(110")는 구동 메커니즘적으로 볼 때 플라즈마 방출부(500), 플라즈마 생성부(혹은 발생부)(510), 제어부(520), 접지부(530), 인터페이스부(530), 플라즈마 동작관리부(540) 및 전원부(55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인터페이스부(5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구성되거나, 플라즈마 동작관리부(54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52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5의 플라즈마 발생장치(110")는 도 3의 플라즈마 발생장치(110')와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도 5에서 인터페이스부(530)는 도 1의 시작 버튼(111)을 의미할 수 있다. 시작 버튼(111)을 통해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520)는 해당 신호를 근거로 플라즈마 생성부(51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물론 이의 과정에서 제어부(520)는 플라즈마 동작관리부(540)와 연계하여 플라즈마 생성부(51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520)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사용자 명령이 어떠한 동작을 의미하는지를 해석한다. 이를 위하여 플라즈마 동작관리부(540)에 탑재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부에 20분 동안 플라즈마 생성부(510)를 동작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플라즈마 생성부(510)를 20분 동안 동작시킨 후 자동으로 턴오프시킬 수 있다. 이의 과정에서 제어부(520)는 전원부(550)에서 플라즈마 생성부(510)로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다.
플라즈마 동작관리부(540)는 가령 도 1의 마스크(90)를 어떻게 동작시킬지에 대한 정보가 기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내부에 프로그램을 탑재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대로 인터페이스부(530)를 통해 사용자 명령이 입력될 때 제어부(520)는 플라즈마 동작관리부(540)에 기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사용자의 호흡기 등에 가령 음이온이 유입되도록 할 수 있고, 이러한 동작은 기설정된 정보에 따라 20분동안 이루어지거나 10분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20)는 플라즈마 동작관리부(530)의 지시에 따라 해당 시간이 종료되면 마스크(90) 내의 플라즈마 발생장치(100")의 동작을 종료시킬 수 있다.
이외에도 플라즈마 동작관리부(540)는 적색광선 다이오드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제어부(52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라즈마 동작관리부(540)는 플라즈마 발생시에 다이오드가 동시에 가동되도록 할 수 있지만, 플라즈마 동작 이후에 가동시키는 등 다양한 형태로 동작시킬 수 있으며, 이는 프로그램 설계자나 마스크(90)의 제조업체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므로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5의 플라즈마 방출부(500), 플라즈마 생성부(510), 제어부(520), 접지부(530), 인터페이스부(530), 플라즈마 동작관리부(540) 및 전원부(55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520)는 CPU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원칩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CPU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및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하며, 메모리는 램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는 제어동작을, 그리고 연산부는 2진비트 정보의 연산동작을, 그리고 명령어해석부는 인터프리터나 컴파일러 등을 포함하여 고급언어를 기계어로, 또 기계어를 고급언어로 변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레지스트리는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 저장에 관여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가령 플라즈마 발생장치(110")의 동작 초기에 플라즈마 동작관리부(54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복사하여 메모리 즉 램(RAM)에 로딩한 후 이를 실행시킴으로써 데이터 연산 처리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발생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6을 도 1 내지 도 2b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발생장치(110)는 저온대기압 플라즈마 발생장치로서, 사용자의 코 부위에 위치하는 플라즈마 방출부(114)를 통해 플라즈마를 방출한다(S600).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명령이 있을 때 플라즈마 방출을 개시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시작 버튼(111)을 이용하지만, 음성명령을 이용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주변에 구비되는 사용자의 스마트폰 등의 앱을 실행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플라즈마 발생장치(110)는 플라즈마 방출부(114)에서 방출되는 플라즈마의 방출량이 증가하도록 사용자의 피부에 전기적으로 접지시켜 동작한다(S610). 회로부에 연결된 접지선을 사람의 피부에 접지하도록 하여 플라즈마 에너지를 갖는 이온 방출량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사람의 피부가 양(+) 전하를 띠게 한다. 예를 들어, 접지부는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금도금 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플라즈마 발생장치(11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마스크부
110, 110', 110": 플라즈마 발생장치
111: 시작 버튼 112, 340, 530: 접지부
113: 턱지지부 114, 300, 500: 플라즈마 방출부
310: 배터리부 320: 회로부
330, 510: 플라즈마 생성부 520: 제어부
111: 시작 버튼 112, 340, 530: 접지부
113: 턱지지부 114, 300, 500: 플라즈마 방출부
310: 배터리부 320: 회로부
330, 510: 플라즈마 생성부 520: 제어부
Claims (8)
- 사용자의 코 부위에 위치하여 플라즈마를 방출하는 플라즈마 방출부;
상기 플라즈마 방출부에서 방출되는 플라즈마의 방출량이 증가되도록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전기적으로 접지되면 동작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접지시키기 위해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접지부;를
포함하는 저온대기압 플라즈마 발생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방출부는 상기 사용자가 착용하는 마스크(mask)의 내부에서 코의 하부에 위치하는 저온대기압 플라즈마 발생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방출부는 변색 방지를 위해 카본(carbon)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카본이 형성되는 부위는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미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저온대기압 플라즈마 발생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방출부는 상기 마스크의 내부에서 상기 사용자의 턱에 의해 지지되는 턱 지지부를 통해 상기 마스크와 상기 사용자의 코 사이에서 지정된 간격이 유지되어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미접촉하는 저온대기압 플라즈마 발생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방출부는 표면적을 넓혀 플라즈마의 방출량이 증가하도록 복수의 털을 갖는 브러쉬(brush) 형태로 형성되는 저온대기압 플라즈마 발생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피부자극이 없는 물질로 도금되는 저온대기압 플라즈마 발생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방출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세포 생성을 위해 지정된 파장의 적색 광선을 방출하는 다이오드부;를 더 포함하는 저온대기압 플라즈마 발생장치. - 사용자의 코 부위에 위치하는 플라즈마 방출부가, 플라즈마를 방출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플라즈마 방출부에서 방출되는 플라즈마의 방출량이 증가하도록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전기적으로 접지되면 동작하는 단계; 및
접지부가, 상기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접지시키기 위해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온대기압 플라즈마 발생장치의 구동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73582A KR20220147005A (ko) | 2021-04-26 | 2021-12-07 | 저온대기압 플라즈마 발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3702A KR102339083B1 (ko) | 2021-04-26 | 2021-04-26 | 저온대기압 플라즈마 발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KR1020210173582A KR20220147005A (ko) | 2021-04-26 | 2021-12-07 | 저온대기압 플라즈마 발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53702A Division KR102339083B1 (ko) | 2021-04-26 | 2021-04-26 | 저온대기압 플라즈마 발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47005A true KR20220147005A (ko) | 2022-11-02 |
Family
ID=7893501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53702A Active KR102339083B1 (ko) | 2021-04-26 | 2021-04-26 | 저온대기압 플라즈마 발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KR1020210173582A Withdrawn KR20220147005A (ko) | 2021-04-26 | 2021-12-07 | 저온대기압 플라즈마 발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53702A Active KR102339083B1 (ko) | 2021-04-26 | 2021-04-26 | 저온대기압 플라즈마 발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339083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41229Y1 (ko) | 2003-11-25 | 2004-02-11 | 박종석 | 플라즈마 방독 마스크 |
KR101096600B1 (ko) | 2011-07-26 | 2011-12-20 | (주)오토시스 | 미안용 마스크 |
KR101961619B1 (ko) | 2016-12-27 | 2019-03-25 | (주)프로스테믹스 | 플라즈마를 이용한 마스크 팩용 바이오셀룰로오스의 살균 방법 |
KR102082969B1 (ko) | 2019-06-20 | 2020-02-28 | 박영희 | 미세먼지 차단용 플라즈마처리 마스크 |
KR20210034293A (ko) | 2019-09-20 | 2021-03-30 | 플람 주식회사 | 플라즈마 마스크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3598Y1 (ko) * | 2014-03-06 | 2014-07-10 | 이길순 | 음이온이 나오는 미세먼지 방지용 마스크 |
KR102531164B1 (ko) * | 2015-04-10 | 2023-05-11 | 주식회사 뉴라이프그룹 | 적외선 조사 장치 |
KR102212165B1 (ko) * | 2019-03-29 | 2021-02-04 | 주식회사 큐비스트 | 효율적인 유효파장 균질 분배 led마스크 |
KR102209435B1 (ko) * | 2020-08-28 | 2021-01-29 | 이영규 | 자동 개방형 스마트 마스크 |
-
2021
- 2021-04-26 KR KR1020210053702A patent/KR102339083B1/ko active Active
- 2021-12-07 KR KR1020210173582A patent/KR20220147005A/ko not_active Withdraw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41229Y1 (ko) | 2003-11-25 | 2004-02-11 | 박종석 | 플라즈마 방독 마스크 |
KR101096600B1 (ko) | 2011-07-26 | 2011-12-20 | (주)오토시스 | 미안용 마스크 |
KR101961619B1 (ko) | 2016-12-27 | 2019-03-25 | (주)프로스테믹스 | 플라즈마를 이용한 마스크 팩용 바이오셀룰로오스의 살균 방법 |
KR102082969B1 (ko) | 2019-06-20 | 2020-02-28 | 박영희 | 미세먼지 차단용 플라즈마처리 마스크 |
KR20210034293A (ko) | 2019-09-20 | 2021-03-30 | 플람 주식회사 | 플라즈마 마스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39083B1 (ko) | 2021-12-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50320B1 (ko) | 광을 이용한 피부미용장치 | |
JP2014087658A (ja) | レーザー脱毛症治療器 | |
KR101497620B1 (ko) | 광을 이용한 피부미용장치 | |
CN109152925A (zh) | 皮肤美容仪器 | |
KR101169721B1 (ko) | 레이저 탈모 치료기 | |
KR101612330B1 (ko) | 비염 치료 장치 및 비염 치료 장치의 구동 방법 | |
WO2016043382A1 (ko) | 비염 치료 장치 및 비염 치료 장치의 구동 방법 | |
KR101747958B1 (ko) | 귀속 치료 장치 및 귀속 치료 장치의 구동 방법 | |
KR102055608B1 (ko) | 플라즈마 피부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
CN109954227A (zh) | 一种智能激光生发梳子 | |
KR102339083B1 (ko) | 저온대기압 플라즈마 발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
KR102418186B1 (ko) | 플라즈마 발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
KR101445687B1 (ko) | 광 및 자기장을 이용한 치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 광 및 자기장을 발생하는 장치 | |
KR102291251B1 (ko) | 광 조사 기능을 지닌 무선 음향 변환 장치 | |
JP2012016438A (ja) | ユーザーの皮膚を処置する装置 | |
US20150297915A1 (en) | Apparatus for maintaining treatment of peripheral neuropathy | |
KR101743251B1 (ko) | 치과용 광학치료 장치 | |
KR102386722B1 (ko) | 헬멧형 두피관리기기 및 그 기기의 구동방법 | |
JP2014522703A (ja) | レーザーとプリント回路基板の間の柔軟な接続を特徴とした手持ち可能なレーザー装置 | |
US20210196969A1 (en) | Cold plasma generating array | |
KR20180027445A (ko) | 피부 접촉여부 자동 판별 기능이 탑재된 미약 전기자극과 서로 다른 파장 대역 광의 집중 교번 조사가 동시에 가능한 피부 개선 치료기 | |
CN115315043A (zh) | 一种用于美容仪或脱毛仪的双红外波长及双频率控制方法 | |
JP2009172095A (ja) | 美容器 | |
KR101083061B1 (ko) | 휴대용 피부 광선 치료기 | |
KR101990358B1 (ko) | 플라즈마 방전 마스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6-div-PA0107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8-div-PA010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N-1-6-B10-B12-nap-PC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