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146247A - 애완용동물의 침구매트 - Google Patents

애완용동물의 침구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6247A
KR20220146247A KR1020210053278A KR20210053278A KR20220146247A KR 20220146247 A KR20220146247 A KR 20220146247A KR 1020210053278 A KR1020210053278 A KR 1020210053278A KR 20210053278 A KR20210053278 A KR 20210053278A KR 20220146247 A KR20220146247 A KR 20220146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s
interior material
frame
opening
co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7193B9 (ko
KR102657193B1 (ko
Inventor
홍세일
노준영
Original Assignee
(주)엠아이알
홍세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아이알, 홍세일 filed Critical (주)엠아이알
Priority to KR1020210053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7193B1/ko
Publication of KR20220146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6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193B1/ko
Publication of KR102657193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193B9/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7Mats;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2Litter
    • A01K1/0155Litter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236Transport boxes, bags, cages, baskets, harnesses for animals; Fittings therefor
    • A01K1/0272Boxes, bags, cages, baskets, harnesses e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in or on automobi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A01K1/0353Dog b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3Devices for applying insecticides or med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085Infrared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4Manufacture of cellular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동물용의 침구매트에 관한 것으로, 발포 성형되는 내장재로 구비되어 저중량이면서도 쿠션력을 구비토록 함은 물론 표면이 쉽게 훼손되지 않으면서도 애완용동물이 불안감이 없이 안락하게 그리고 항균도 가능하면서 장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교환가능하게 향이나 체취를 느낄 수 있도록 하면서도 이러한 케이스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 것이다.

Description

애완용동물의 침구매트{A pet's acupuncture kit.}
본 발명은 애완동물용의 침구매트에 관한 것으로, 발포 성형되는 내장재로 구비되어 저중량이면서도 쿠션력을 구비토록 함은 물론 표면이 쉽게 훼손되지 않으면서도 애완용동물이 불안감이 없이 안락하게 그리고 항균도 가능하면서 장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현재 홀로 사는 가정 또는 맞벌이 하는 가정이 많아지면서 혼자 있기보다는 애완동물과 같이 지내게 되면서 애완용동물을 기르는 가정도 증가하게 되고, 이러한 애완용동물을 가정에서 기르게 되면서 청결과 위생에 상당히 많은 시간과 노력은 물론 상당한 비용을 투자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렇게 기르는 애완동물은 형제나 자식과 같은 형태로 정성을 드려서 키우게 되는데 이러한 애완동물을 동반하지 못하고 외출이나 출타를 할 경우에는 애완용동물이 텅빈 집에서 홀로 지내게 되는데 이럴 경우에 애완용동물들은 혼자라는 것 때문에 불안증세를 나타내면서 이로 인한 스트레스로 인하여 평상시 하지 않던 행동을 하면서 아무곳에다 오줌이나 변을 눈다든지 아니면 뭔가를 물어 틋어내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봉재로 되는 침구들은 대부분 새끼때와 어미 때가 다르기 때문에 수시로 교환해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도 증가하게 되는 것이고, 또한 이러한 직물로 되는 침구매트는 대부분 별도의 개집의 바닥에 깔아주게 되어 별도의 개집을 구비해야 하면서 침구깔개를 수시로 교환해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도 증가하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침구를 수시로 세척해야 하는 또 다른 불편함도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애완동물이 스트레스를 받으면 해소를 위해 대부분 냄새가 나게 되는 신발등을 물어 틋게 되는데 요즘은 이런 신발들을 애완동물을 기르는 사람들은 한번씩 경험한 것이기 때문에 대부분 신발장에 치워버리게 되면서 애완동물들은 자신이 침구로 사용되는 천으로 이루어진 침구를 물어틋으면서 실내에 흐트려 놓게 되면서 이로 인한 애완동물을 키우는 사람들에게는 또 다른 불편함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해외 여행등의 장시간 집을 비울 경우에는 가축병원에 의탁을 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게 되는데 하루 정도일 경우 또는 하루종일 집을 비우거나 출근을 할 경우에는 대부분 애완동물 홀로 집안에 방치되게 되는데 이럴 경우에 애완 동물들이 많은 불안증세에 다른 스트레스를 받게 되어 애완동물을 기르는 분들은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에 놓고 사용하면서도 새끼때부터 어미때까지 사용가능하면서도 애완용 동물이 분리불안해소는 물론 스트레스도 없이 편안한 쉼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고밀도의 우레탄으로 발포된 폼이 내장재로 사용되어져 복원력이 우수한 쿠션감을 제공하여 반 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토록 함은 물론 표면에는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가볍고 단단해 잘 변형되지 않는 열가소성폴리우레탄(TPU)필름을 고밀도 우레탄 폼을 성형할 경우에 동시에 성형(인몰드 방식)토록 하여 박리 가능성을 제거하면서 표면의 경도나 촉감을 우수하게 한 것이다.
또한 열가소성폴리우레탄(TPU)필름을 제조할 경우에 항균제를 첨가토록 함으로서 각종 균에 대한 항균도 가능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바닥면의 특정부위에는 상단에 단턱테가 구비되어지면서 그 중앙에는 개구되어지는 개구부가 구비되어지면서 일정한 면적의 내공간을 구비하는 내입홈을 구비토록 한 것이고, 상기 내공간에는 내공간에 채움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 함체와 함체의 개구된 상단을 덮어주게 되는 덮개로 이루어진 케이스가 내입되어지고, 그 상태에서 단턱테에 의하여 간섭이 발생되지 않아 덮개가 함체에서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됨은 물론 바닥면에 쿠션력이 작용할 경우에도 덮개가 벗겨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함체에는 탈취나 항균을 위한 활성탄이나 애완용동물이 좋아하는 향이나 또는 주인의 체취를 느길 수 있는 내용물을 채움토록 함으로서 애완용동물이 혼자 있을 경우에도 불안감이나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장시간 쉼이 가능토록 한 것이고 새끼때부터 어미가 될때까지도 사용가능토록 되는 것이다.
따라서 고밀도 우레탄 폼을 사용하여 복원력이 우수하면서 쿠션력이 우수하여 안락감을 제공하면서도 표면에는 내장재를 보호할 수 있어 장시간 사용가능하게 되고, 특히 내공간에 체취가 발향가능한 향이나 내용물을 충전가능토록 한 상태에서 내장재가 쿠션력이 작용할 경우에도 유동되지 않으면서 간섭도 발생되지 않아 종래의 불안감이나 스트레스의 해소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별도의 침구매트나 개집이 필요없이 1개만으로 놀이도 가능하여 다용도로 사용토록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외관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쿠션체의 표면에 보호필름이 성형된 상태의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바닥면에 케이스가 내장된 상태의 단면도.
도4 및 도5는 본 발명의 케이스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바닥면과 돌출벽을 교환가능한 커버로 덮어주는 일실시예
도7은 본 발명의 침구매트를 지붕이 있는 하우징에 내입된 상태의 일실시예
도8은 본 발명의 침구매트를 텐트에 내입된 상태의 일실시예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은 복원력이 우수한 쿠션감을 제공하여 반 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토록 되는 고밀도의 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지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내장재(100)와 상기 내장재(100)의 표면에는 내장재(10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표면에 이물질이 잘 묻어나지 않으면서 가볍고 단단해 잘 변형되지 않는 보호필름(200)을 고밀도 우레탄 폼을 발포성형할 경우에 동시에 성형(인몰드 방식)토록 하여 내장재(100)와의 박리 가능성을 제거하면서 내장재(100)의 표면의 경도나 촉감을 우수하게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보호필름(200)은 내장재(100)와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폴리우레탄(TPU)필름을 사용한 것이고, 이때 열가소성폴리우레탄(TPU)필름을 제조할 경우에 항균제(인체에 무해한 무기나 유기 항균제 일정량 포함)를 적정량으로 첨가토록 하여 성형함으로서 애완용의 침구매트로 사용과정에서 표면에 존재할 수 있는 각종 균에 대한 항균도 가능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내장재(100)는 일정 면적의 바닥면(110)과 상기 바닥면(110)의 테두리를 따라서 사방으로 돌출벽(120)이 구비되어 심리적인 안정감을 제공토록 하고, 이때 돌출벽(120)과 바닥면(110)의 연결되는 경계는 만곡되게 형성하여 걸림이 없이 편안함을 제공토록 한 것이다.
또한 전방의 돌출벽(121)에는 애완동물이 바닥면(110)에 옆으로 눕거나 엎드릴 경우에 경추를 받쳐줄 수 있는 만곡홈(121a)이 돌출벽(121)에 일정깊이로만 내입되게 구비되고, 좌우 돌출벽(122,123)에는 강아지도 출입이 가능토록 하기 위하여 개구만곡홈(122a,123a)을 바닥면(110)까지 연장토록 하여 출입이 용이토록 개구되어 지는 것이고, 또한 바닥면(110)의 특정부위에는 상단에 단턱테(111)가 구비되어지면서 그 중앙에는 개구되어지는 개구부(112)가 구비되어지면서 단턱테의 하방으로는 일정한 면적의 내공간을 구비하는 내입홈(113)을 구비토록 한 것이고, 상기 내입홈(113)에는 내공간을 채움토록 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 함체(310)와 상기 함체(310)의 개구된 상단을 덮어주게 되는 덮개(320)로 이루어진 케이스(300)가 내입되어진다.
이때 상기 케이스(300)가 내입홈(113)에 내입된 상태에서는 단턱테(111)에 의하여 바닥면(110)에서 애완용 동물이 있을 경우에도 간섭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고, 단턱테(111)의 중앙에 존재하는 개구부(112)를 덮게 되면서 애완동물이 눕거나 엎드렸을 경우에도 이러한 단턱테(111)의 단턱(111a)에 의한 공간(1)으로 케이스(300)에 존재하는 향의 발향이 지속되어질 수 있는 것이고, 또한 간섭이 발생되지 않어 덮개(320)가 함체(310)에서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됨은 물론 바닥면(110)에 내장재(100)의 쿠션력이 작용할 경우에도 이러한 단턱테(111)에 의하여 덮개(320)가 벗겨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함체(310)에는 탈취나 항균을 위한 활성탄이나 애완용동물이 좋아하는 향이나 또는 주인의 체취를 느낄 수 있는 내용물을 채움토록 함으로서 애완용동물이 혼자 있을 경우에도 불안감이나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장시간 쉼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이때 덮개(320)에는 통기의 용이성을 위하여 또한 직하중에 대응이 가능토록 하기 위하여 통기공을 형성할 경우에 직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토록 하기 위하여 덮개의 테두리(321)에서 8개의 지지살(322)이 일정한 직경으로 이루어진 중심점(323)으로 향하면서 8등분되어져 일정한 직경으로 이루어진 중심점이 개구부의 중심에 가장 강한 지지력을 유지토록 하면서 외측으로는 지지력이 약하게 형성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중심점(323)을 기점으로 테두리(321)와 연결된 8개의 지지살(322)의 사이로 방사상으로 통기공(324)을 중앙에서 외측으로 가면서 점차 크게 형성토록 하여 직하중에 대한 균일한 안정감을 제공토록 한 것이다.
또한 케이스(300)를 내입홈(113)으로 삽입할 경우에 케이스(300)의 삽입의 용이성과 삽입된 이후에 내공간에서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함체(310)의 상단에 구비되는 안착테(311)를 함체의 몸통(312)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토록 하여 직경이 작은 몸통(312)이 개구부(112)로 용이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직격이 큰 안착테(311)를 개구부(112)로 강제 삽입할 경우에 단턱테(111)가 가압되면서 안착테(311)가 개구부(112)로 삽입될 수 있고 삽입된 이후에는 안착테(311)가 내공간의 내입홈(113)의 내벽과 긴밀하게 가압밀착되면서 내장재(100)가 쿠션력에 의하여 변형될 경우에도 유동이 방지토록 한 것이다.
이때 덮개(320)는 안착테(311)의 내측에 안착되어져 단턱테(111)를 가압하면서 삽입될 경우에 덮개(320)의 이탈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삽입된 이후에는 안착테(311)가 내입홈(113)의 내벽을 약간 가압하게 되면서 내장재(100)의 쿠션력에 의하여도 케이스(300)가 유동되지 않고 고정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바닥면(110)에 형성되는 개구부(112)로 노출되는 덮개(320)는 케이스(300)의 함체(310)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 단턱테(111)의 하단과 가압되면서 밀착될 수 있도록 덮개(320)가 함체(310)의 안착테(311)의 내입턱(313)에 놓여진 상태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돌출테(325)를 구비토록 함으로서 상기 돌출테(325)가 단턱테(111)의 하단을 가압하게 되면서 바닥면(110)에 충격이 발생될 경우에도 덮개(320)의 덜렁거림도 방지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침구매트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400)를 바닥면(110)과 돌출벽(120)에 교환가능하게 덮어줌으로서 애완동물 마다의 서로 다르게 좋아하는 것으로 적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에도 경추 보호를 위한 만곡홈과 출입을 위한 개구만곡홈도 그대로 나타나게 덮어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구매트가 수용가능하게 직립벽(510)에 의하여 내공간을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내공간은 상측으로 직립벽(510)에서 연장되어져 일부지붕(520)을 구비하는 하우징(500)을 구비토록 한 상태에서 침구매트의 일부를 일부지붕이 가려주면서 안정감을 갖도록 하고, 동시에 경추가 놓여지는 부분은 오픈된 상태를 유지토록 함으로서 답답함을 해소토록 하여 침구매트를 또 다른 형태로 사용가능하게 될 수 있는 것이고, 이때 하우징의 일부지붕이 형성된 부분에는 반려용품의 보관을 위한 포켓(530)을 구비토록 하여 반려용품의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일부지붕의 내측으로는 원적외선등을 점등가능하게 장착하여 애완동물의 피부의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적외선은 물론 살균을 위한 자외선등의 교환가능성을 위하여 고정밴드(540)를 구비토록 하여 피부미용과 살균을 위하여 필요시마다 원 적외선등이나 자외선등을 교환가능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이 개구되어져 지퍼수단(610)으로 개폐되어지는 개폐문(620)을 형성한 텐트(600)를 구비토록 하여 애완동물을 차량을 이용하여 동반할 경우에 잠시 필요에 의하여 가둬둘 수 도 있는 것이고, 야외에서도 감시 가둬둘 필요가 있을 경우에 사용가능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텐트(600)의 상면에는 손잡이(630)를 구비토록 하여 휴대 또한 용이토록 할 수 있는 것이이고, 이때에도 고정밴드(640)를 장착하여 원적외선의 등이나 자외선등을 필요시마다 교환가능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100:내장재
111:단턱테
111a:단턱
112:개구부
113:내입홈
120:돌출벽
121a:만곡홈
122:좌측돌출벽
122a:개구만곡홈
123:우측돌출벽
123a:개구만곡홈
200:보호필름
300:케이스
310:함체
311:안착테
312:몸통
320:덮개
321:테두리
322:지지살
323:중심점
324:통기공
325:돌출테
400:커버
500:하우징
510:직립벽
520:일부지붕
530:포켓
540:고정밴드
600:텐트
610:지퍼수단
620:개폐문
630:손잡이
640;고정밴드

Claims (13)

  1. 복원력이 우수한 쿠션감을 제공하여 반 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토록 되는 고밀도의 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지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내장재(100)와
    상기 내장재(100)의 표면에는 내장재(10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표면에 이물질이 잘 묻어나지 않으면서 가볍고 단단해 잘 변형되지 않는 보호필름(200)을 고밀도 우레탄 폼을 발포성형할 경우에 동시에 성형(인몰드 방식)토록 하여 내장재(100)와의 박리 가능성을 제거하면서 내장재(100)의 표면의 경도나 촉감을 우수하게 하고,
    상기 내장재(100)는 일정 면적의 바닥면(110)과 상기 바닥면(110)의 테두리를 따라서 사방으로 돌출벽(120)이 구비되어 심리적인 안정감을 제공토록 하고, 이때 돌출벽(120)과 바닥면(110)의 연결되는 경계는 만곡되게 형성하여 걸림이 없이 편안함을 제공토록 하고,
    상기 전방의 돌출벽(121)에는 애완동물이 바닥면(110)에 옆으로 눕거나 엎드릴 경우에 경추를 받쳐줄 수 있는 만곡홈(121a)이 돌출벽(121)에 일정깊이로만 내입되게 구비되고, 좌우 돌출벽(122,123)에는 강아지도 출입이 가능토록 하기 위하여 개구만곡홈(122a,123a)을 바닥면(110)까지 연장토록 하여 출입이 용이토록 개구되어 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110)의 특정부위에는 상단에 단턱테(111)가 구비되어지면서 그 중앙에는 개구되어지는 개구부(112)가 구비되어지면서 단턱테의 하방으로는 일정한 면적의 내공간을 구비하는 내입홈(113)을 구비토록 하고,
    상기 내입홈(113)에는 내공간을 채움토록 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 함체(310)와 상기 함체(310)의 개구된 상단을 덮어주게 되는 덮개(320)로 이루어진 케이스(300)가 내입되어진 애완용동물의 침구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300)가 내입홈(113)에 내입된 상태에서는 단턱테(111)에 의하여 바닥면(110)에서 애완용 동물이 있을 경우에도 간섭이 발생되지 않게 되고,
    단턱테(111)의 중앙에 존재하는 개구부(112)를 덮게 되면서 애완동물이 눕거나 엎드렸을 경우에도 이러한 단턱테(111)의 단턱(111a)에 의한 공간(1)으로 케이스(300)에 존재하는 향의 발향이 지속되어질 수 있는 애완용동물의 침구매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310)에는 탈취나 항균을 위한 활성탄이나 애완용동물이 좋아하는 향이나 또는 주인의 체취를 느낄 수 있는 내용물을 채움토록 함으로서 애완용동물이 혼자 있을 경우에도 불안감이나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장시간 쉼이 가능토록 한 애완용동물의 침구매트.
  4.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320)에는 통기의 용이성을 위하여 또한 직하중에 대응이 가능토록 하기 위하여 통기공을 형성할 경우에 직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토록 하기 위하여 덮개의 테두리(321)에서 8개의 지지살(322)이 일정한 직경으로 이루어진 중심점(323)으로 향하면서 8등분되어져 일정한 직경으로 이루어진 중심점이 개구부의 중심에 가장 강한 지지력을 유지토록 하면서 외측으로는 지지력이 약하게 형성토록 한 애완용동물의 침구매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중심점(323)을 기점으로 테두리(321)와 연결된 8개의 지지살(322)의 사이로 방사상으로 통기공(324)을 중앙에서 외측으로 가면서 점차 크게 형성토록 하여 직하중에 대한 균일한 안정감을 제공토록 한 애완용동물의 침구매트.
  6.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300)를 내입홈(113)으로 삽입할 경우에 케이스(300)의 삽입의 용이성과 삽입된 이후에 내공간에서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함체(310)의 상단에 구비되는 안착테(311)를 함체의 몸통(312)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토록 하여 직경이 작은 몸통(312)이 개구부(112)로 용이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직격이 큰 안착테(311)를 개구부(112)로 강제 삽입할 경우에 단턱테(111)가 가압되면서 안착테(311)가 개구부(112)로 삽입될 수 있고 삽입된 이후에는 안착테(311)가 내공간의 내입홈(113)의 내벽과 긴밀하게 가압밀착되면서 내장재(100)가 쿠션력에 의하여 변형될 경우에도 유동이 방지토록 한 애완용동물의 침구매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110)에 형성되는 개구부(112)로 노출되는 덮개(320)는 케이스(300)의 함체(310)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 단턱테(111)의 하단과 가압되면서 밀착될 수 있도록 덮개(320)가 함체(310)의 안착테(311)의 내입턱(313)에 놓여진 상태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돌출테(325)를 구비토록 함으로서 상기 돌출테(325)가 단턱테(111)의 하단을 가압하게 되면서 바닥면(110)에 충격이 발생될 경우에도 덮개(320)의 덜렁거림도 방지하게 될 수 있는 애완용동물의 침구매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재의 바닥면과 돌출벽에 교환 가능한 커버(400)를 경추 보호를 위한 만곡홈과 출입을 위한 개구만곡홈도 그대로 나타나게 덮어주게 되는 애완용동물의 침구매트.
  9. 제1항 도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재가 수용가능하게 직립벽(510)에 의하여 내공간을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내공간은 상측으로 직립벽(510)에서 연장되어져 일부지붕(520)을 구비하는 하우징(500)을 구비토록 한 상태에서 침구매트의 일부를 일부지붕이 가려주면서 안정감을 갖도록 하고, 동시에 경추가 놓여지는 부분은 오픈된 상태를 유지토록 함으로서 답답함을 해소토록 한 애완용동물의 침구매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부지붕이 형성된 부분에는 반려용품의 보관을 위한 포켓(530)을 구비토록 한 애완용동물의 침구매트.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지붕의 내측으로는 원적외선등이나 자외선등을 탈착가능하게 고정밴드(540)를 구비토록 하여 피부미용과 살균을 위하여 필요시마다 교환가능토록 한 애완용동물의 침구매트.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재를 수용가능하게 전방이 개구되어져 지퍼수단(610)으로 개폐되어지는 개폐문(620)을 형성한 텐트(600)를 구비토록 하여 애완동물을 차량을 이용하여 동반할 경우에 잠시 필요에 의하여 가둬둘 수 도 있는 것이고, 야외에서도 감시 가둬둘 필요가 있을 경우에 사용가능토록 할 수 있는 애완용동물의 침구매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600)의 상면에는 손잡이(630)를 구비토록 하여 휴대 또한 용이토록 할 수 있고, 상기 상면의 이면에는 고정밴드를 구비하여 원적외선의 등이나 자외선등을 필요시마다 교환가능토록 할 수 있는 애완용동물의 침구매트.
KR1020210053278A 2021-04-23 2021-04-23 애완용동물의 침구매트 Active KR102657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278A KR102657193B1 (ko) 2021-04-23 2021-04-23 애완용동물의 침구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278A KR102657193B1 (ko) 2021-04-23 2021-04-23 애완용동물의 침구매트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247A true KR20220146247A (ko) 2022-11-01
KR102657193B1 KR102657193B1 (ko) 2024-04-15
KR102657193B9 KR102657193B9 (ko) 2024-09-13

Family

ID=84042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278A Active KR102657193B1 (ko) 2021-04-23 2021-04-23 애완용동물의 침구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71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32217B1 (ko) * 2023-08-04 2024-11-20 제이앤지글로벌 주식회사 애완견 신발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835Y1 (ko) * 2003-08-29 2003-11-17 강봉희 애완동물용 집
KR200417614Y1 (ko) * 2006-03-16 2006-06-0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애완동물용 항균방석
JP2006180793A (ja) * 2004-12-28 2006-07-13 Takikou Hosei:Kk 愛玩動物用ベッド
KR20080001612U (ko) * 2006-12-04 2008-06-10 이종근 애완동물용 방석
KR101327484B1 (ko) * 2012-07-20 2013-11-11 박태선 애완동물용 매트
KR101510209B1 (ko) * 2014-09-29 2015-04-09 주식회사 퍼스트코 애완동물용 방석
JP2017158493A (ja) * 2016-03-10 2017-09-14 アロン化成株式会社 ペット用クッション
KR102098269B1 (ko) * 2018-11-23 2020-04-07 목진수 온도조절부가 구비된 펫하우스
KR102086010B1 (ko) 2018-09-03 2020-04-23 노광수 애완동물용 기능성 침구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835Y1 (ko) * 2003-08-29 2003-11-17 강봉희 애완동물용 집
JP2006180793A (ja) * 2004-12-28 2006-07-13 Takikou Hosei:Kk 愛玩動物用ベッド
KR200417614Y1 (ko) * 2006-03-16 2006-06-0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애완동물용 항균방석
KR20080001612U (ko) * 2006-12-04 2008-06-10 이종근 애완동물용 방석
KR101327484B1 (ko) * 2012-07-20 2013-11-11 박태선 애완동물용 매트
KR101510209B1 (ko) * 2014-09-29 2015-04-09 주식회사 퍼스트코 애완동물용 방석
JP2017158493A (ja) * 2016-03-10 2017-09-14 アロン化成株式会社 ペット用クッション
KR102086010B1 (ko) 2018-09-03 2020-04-23 노광수 애완동물용 기능성 침구
KR102098269B1 (ko) * 2018-11-23 2020-04-07 목진수 온도조절부가 구비된 펫하우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32217B1 (ko) * 2023-08-04 2024-11-20 제이앤지글로벌 주식회사 애완견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7193B9 (ko) 2024-09-13
KR102657193B1 (ko) 2024-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4362B2 (en) Modular pet bed assembly
US8127715B2 (en) Mobile pet bed/carrier
US7530326B2 (en) Blanket assembly for pet bed
US5765502A (en) Pet bed with removable bolster
KR102086010B1 (ko) 애완동물용 기능성 침구
WO2009111775A2 (en) Multi-compartment pet training system
US20090126642A1 (en) Litter box enclosure
US20070000448A1 (en) Multiple function animal furniture system
KR20220146247A (ko) 애완용동물의 침구매트
US4171683A (en) Integrated modular assembly facilitating cohabitation with house pets
US5862778A (en) Housing for small pet animals such as rodents or the like
US20100089335A1 (en) Pet carrier
KR200421358Y1 (ko) 에어 셀과 에어 박스로 구성된 욕창 치질 방지용 방석
JP2009291450A (ja) クッション構造体
JP2005323553A (ja) ペット用の寝床
KR100774386B1 (ko) 향기발산 침대의 구성방법
KR20170002653U (ko) 소독과 세척성이 우수한 애완동물 용변기
EP0622018A1 (en) Dual-layered cushion for pets
KR20180003432U (ko) 애완동물 배변 봉투 수납 소지구
WO2004086856A1 (en) A carrier for a pet
GB2348266A (en) Tap cover
KR20200111603A (ko) 애완 동물용 통풍매트
KR102711726B1 (ko) 가방 형태의 반려동물 하우스
KR200334887Y1 (ko) 메모리폼베개
KR20130001944U (ko) 쇼파 겸용 쿠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5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104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0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3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4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4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