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142236A - 조립식 화롯대 키트 - Google Patents

조립식 화롯대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2236A
KR20220142236A KR1020210048712A KR20210048712A KR20220142236A KR 20220142236 A KR20220142236 A KR 20220142236A KR 1020210048712 A KR1020210048712 A KR 1020210048712A KR 20210048712 A KR20210048712 A KR 20210048712A KR 20220142236 A KR20220142236 A KR 20220142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panel
edge
clasp
top ed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8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한
Original Assignee
김정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한 filed Critical 김정한
Priority to KR1020210048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2236A/ko
Publication of KR20220142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2236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20Ranges
    • F24B1/202Ranges specially adapted for travelling
    • F24B1/205Ranges specially adapted for travelling collapsi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9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 F24B1/19Supplying combustion-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2Arrangement or mountings of fire-grate assemblies; Arrangement or mountings of linings for fire-boxes, e.g. fire-b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3/00Heaters not covered by group F24B1/00, e.g. charcoal braz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00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 F24C1/16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with special adaptation for travelling, e.g. collap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화롯대 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 재질의 판재가 전후방에서 서로 한 쌍이 1 조를 이루며 서로 마주 보도록 상부 테두리(110)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 테두리(110)의 양단에서 지면 방향으로 한 쌍의 측면 테두리(120)이 구비되고 상기 측면 테두리(120)의 상부에서 지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소정 간격을 이루며 제 1 걸림부(130), 제 2 걸림부(140) 및 제 3 걸림부(150)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테두리(110)의 대향 위치인 지면 방향에는 저면 테두리(160)가 구비되되, 상기 저면 테두리(160)가 지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저면 테두리(160)의 양단에는 한 쌍의 다리부(170)가 구비되며 상기 측면 테두리(120) 사이 중앙에는 걸침 통공(180)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 패널(100);과 상기 걸침 통공(180)에 걸쳐지도록 양단에 제 1 걸침돌출(210)과 제 2 걸침돌출(220)이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패널(100)의 저면 위치에 놓여지도록 금속 재질의 판재로 구비되는 장작 받침 패널(200);과 전후방으로 배치되는 상기 베이스 패널(100)의 양측면으로 배치되도록 탑 테두리(310)가 구비되고 상기 탑 테두리(310)의 양단에서 지면 방향으로 걸림 테두리(320) 한 쌍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상기 걸림 테두리(320)의 저부에는 바닥 테두리(330)가 지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탑 테두리(310)와 상기 걸림 테두리(320)가 만나는 모서리에는 상기 제 1 걸림부(130)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 패널(100)에 걸쳐지는 제 1 걸침부(321)이 배치되고 지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상기 제 2 걸림부(140)에 걸쳐지는 제 2 걸침부(322)와 상기 제 3 걸림부(150)에 걸쳐지는 제 3 걸침부(323)가 상기 걸림 테두리(320)에 구비되는 측면 패널(300);을 포함하는 조립식 화롯대 키트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화롯대 키트 { ASSEMBLED OUTDOOR STOVE KIT }
본 발명은 조립식 화롯대 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 패널재를 통해 야외에서 장작불 또는 숯불을 안전하게 피울 수있으며, 조립과 해체가 간단하고 보관 부피가 작아 휴대와 이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공기의 원활한 공급으로 숯이나 장작 등을 완전 연소시킬 수 있도록, 베이스 패널, 장작 받침 패널, 측면 패널 및 가로바가 포함되는 조립식 화롯대 키트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캠핑, 차박, 낚시 또는 레포츠 등의 다양한 레저 문화의 확산으로 야외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아지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에 맞춰 야외 레저 활동 시에 음식을 조리하거나 낮은 기온으로 인한 체온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스토브, 버너 등과 같은 다양한 가열용 제품들이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실내보다 온도가 낮은 이유로 가열용품은 야외에서 필수품인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야외활동을 위하여 야외에서 취사 등을 위한 수단으로 휴대용 버너 또는 휴대용 가스렌지와 같은 작은 크기의 휴대용 화구를 구비하게 되고, 이와 같이 구비한 휴대용 화구를 이용하여 물을 끓이거나 커피를 끓이고, 라면이나 밥을 하는 등의 취사를 하는데, 야외에서 취사 등을 위해 가스나 기름을 사용하는 휴대용 버너나 휴대용 가스렌지를 대신하여 최근에는 숯이나 장작 등을 피울 수 있는 야외 캠핑용 화롯대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캠핑용 화로 테이블은 한국 공개 실용신안 제20-2019-0001859호 등에 다양한 형태의 것들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야외 캠핑용 화롯대들은 제품은 크기가 크고, 무게가 무거워 휴대나 보관에 어려움이 있는 등 야외 레저활동 시에 이동을 하면서 사용하기에는 불편한 점이 많이 있고, 또 구조적인 견고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외부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흐르지 않아 열원으로 사용되는 숯이나 및 장작 등이 불완전 연소되면서 연기도 많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9-0001859호(2019년07월23일 공개) 고안의 명칭 : 캠핑용 화로 테이블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내지는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금속 패널재를 통해 야외에서 장작불 또는 숯불을 안전하게 피울 수있으며, 조립과 해체가 간단하고 보관 부피가 작아 휴대와 이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공기의 원활한 공급으로 숯이나 장작 등을 완전 연소시킬 수 있도록, 베이스 패널, 장작 받침 패널, 측면 패널 및 가로바가 포함되는 조립식 화롯대 키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금속 재질의 판재가 전후방에서 서로 한 쌍이 1 조를 이루며 서로 마주 보도록 상부 테두리(110)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 테두리(110)의 양단에서 지면 방향으로 한 쌍의 측면 테두리(120)이 구비되고 상기 측면 테두리(120)의 상부에서 지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소정 간격을 이루며 제 1 걸림부(130), 제 2 걸림부(140) 및 제 3 걸림부(150)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테두리(110)의 대향 위치인 지면 방향에는 저면 테두리(160)가 구비되되, 상기 저면 테두리(160)가 지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저면 테두리(160)의 양단에는 한 쌍의 다리부(170)가 구비되며 상기 측면 테두리(120) 사이 중앙에는 걸침 통공(180)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 패널(100)로 지면에 닿아 용이하게 화롯대를 지지하는 조립식 화롯대 키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걸침 통공(180)에 걸쳐지도록 양단에 제 1 걸침돌출(210)과 제 2 걸침돌출(220)이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패널(100)의 저면 위치에 놓여지도록 금속 재질의 판재로 구비되는 장작 받침 패널(200)과 전후방으로 배치되는 상기 베이스 패널(100)의 양측면으로 배치되도록 탑 테두리(310)가 구비되고 상기 탑 테두리(310)의 양단에서 지면 방향으로 걸림 테두리(320) 한 쌍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상기 걸림 테두리(320)의 저부에는 바닥 테두리(330)가 지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탑 테두리(310)와 상기 걸림 테두리(320)가 만나는 모서리에는 상기 제 1 걸림부(130)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 패널(100)에 걸쳐지는 제 1 걸침부(321)이 배치되고 지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상기 제 2 걸림부(140)에 걸쳐지는 제 2 걸침부(322)와 상기 제 3 걸림부(150)에 걸쳐지는 제 3 걸침부(323)가 상기 걸림 테두리(320)에 구비되는 측면 패널(300)로 내부에 장작 또는 숯을 용이하게 수용 및 연소시키는 조립식 화롯대 키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탑 테두리(310)의 지면 방향으로 복수의 요입 홈(311)이 더 구비되고, 상기 요입 홈(311)에 이부가 삽입되어 상기 측면 패널(300)을 가로지르도록 금속 재질의 가로바(400)가 더 구비되되, 상기 가로바(400)는 지면 상부의 중앙이 양단 보다 지면 방향으로 만곡지게 만곡선(410)으로 구비되고 양단은 상기 측면 패널(300) 방향으로 굴록진 굴곡 마감선(420)으로 구비되며, 상기 측면 패널(300)에는 에어 홀(340)이 더 구비되되, 상기 에어 홀(340)은 지면 방향 중앙에 제 1 에어 홀(341)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에어 홀(341)의 상부 방향에 상하 장공 형태를 갖는 복수의 제 2 에어 홀(342)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에어 홀(342)의 상부이고 상기 탑 테두리(310)의 직하 위치에는 좌우 장공 형태를 이루는 제 3 에어 홀(343)으로 구비되어 화롯대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용이하게 배출하는 조립식 화롯대 키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탑 테두리(310)에 걸쳐지어 상기 측면 패널(300)의 외측을 감싸도록 단열 패널(500)이 더 구비되되, 상기 단열 패널(500)은 상부에 상기 탑 테두리(310)에 걸쳐지는 단열 걸침부(510)가 구비되고, 패널 면(520)은 상기 측면 패널(300)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외측으로 만곡지게 만곡 단열면(521)으로 상기 단열 패널(500)과 상기 측면 패널(300) 사이에 공기의 흐름이 유도되도록 공간부를 형성하여 보온성을 향상시키며, 연기를 용이하게 배출하는 조립식 화롯대 키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탑 테두리(310)의 상기 요입 홈(311)에 걸쳐져서 외측 방향으로 걸쳐지는 확장 바(600)가 더 구비되되, 상기 확장 바(600)는 상기 요입 홈(311)에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측면 패널(300)의 상기 탑 테두리(310) 직하 위치의 내면에 걸쳐지도록 확장 삽입홈(610)이 지면 방향에 배치되며, 상기 확장 삽입홈(610)의 외측 상기 확장 바(600) 상부에는 목재 재질의 테이블부재(700)가 얹어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테이블부재(700)와 상기 확장 삽입홈(610) 사이의 상기 확장 바(600)에 삽입되는 금속 재질의 열 차단판(800)으로 열이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조립식 화롯대 키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테이블부재(700)와 상기 확장 삽입홈(610)의 사이에는 상기 열 차단판(800)을 고정하도록 고정 홈(620)이 상기 확장 바(600)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고정 홈(620)은 상기 열 차단판(800) 입설시 상기 열 차단판(800)의 방향이 일부 경사지게 상기 측면 패널(300)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테이블부재(700)는 제 1 테이블(710)과 제 2 테이블(720)이 연접 결합되어 일측의 테이블을 이루도록 구비되며,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테이블(720)에는 테이블 지지통공(721)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통공(721)에 지면 하부에서 상기 제 2 테이블(720) 방향으로 삽입되는 테이블 다리(730)가 더 구비되어 화롯대와 테이블을 함께 사용하도록 구비되는 조립식 화롯대 키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조립식 화롯대 키트는 먼저, 금속 재질의 판재가 전후방에서 서로 한 쌍이 1 조를 이루며 서로 마주 보도록 상부 테두리(110)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 테두리(110)의 양단에서 지면 방향으로 한 쌍의 측면 테두리(120)이 구비되고 상기 측면 테두리(120)의 상부에서 지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소정 간격을 이루며 제 1 걸림부(130), 제 2 걸림부(140) 및 제 3 걸림부(150)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테두리(110)의 대향 위치인 지면 방향에는 저면 테두리(160)가 구비되되, 상기 저면 테두리(160)가 지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저면 테두리(160)의 양단에는 한 쌍의 다리부(170)가 구비되며 상기 측면 테두리(120) 사이 중앙에는 걸침 통공(180)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 패널(1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걸침 통공(180)에 걸쳐지도록 양단에 제 1 걸침돌출(210)과 제 2 걸침돌출(220)이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패널(100)의 저면 위치에 놓여지도록 금속 재질의 판재로 구비되는 장작 받침 패널(2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후방으로 배치되는 상기 베이스 패널(100)의 양측면으로 배치되도록 탑 테두리(310)가 구비되고 상기 탑 테두리(310)의 양단에서 지면 방향으로 걸림 테두리(320) 한 쌍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상기 걸림 테두리(320)의 저부에는 바닥 테두리(330)가 지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탑 테두리(310)와 상기 걸림 테두리(320)가 만나는 모서리에는 상기 제 1 걸림부(130)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 패널(100)에 걸쳐지는 제 1 걸침부(321)이 배치되고 지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상기 제 2 걸림부(140)에 걸쳐지는 제 2 걸침부(322)와 상기 제 3 걸림부(150)에 걸쳐지는 제 3 걸침부(323)가 상기 걸림 테두리(320)에 구비되는 측면 패널(30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탑 테두리(310)는 지면 방향으로 복수의 요입 홈(311)이 더 구비되고, 상기 요입 홈(311)에 이부가 삽입되어 상기 측면 패널(300)을 가로지르도록 금속 재질의 가로바(400)가 더 구비되되, 상기 가로바(400)는 지면 상부의 중앙이 양단 보다 지면 방향으로 만곡지게 만곡선(410)으로 구비되고 양단은 상기 측면 패널(300) 방향으로 굴록진 굴곡 마감선(420)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 패널(300)에는 에어 홀(340)이 더 구비되되, 상기 에어 홀(340)은 지면 방향 중앙에 제 1 에어 홀(341)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에어 홀(341)의 상부 방향에 상하 장공 형태를 갖는 복수의 제 2 에어 홀(342)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에어 홀(342)의 상부이고 상기 탑 테두리(310)의 직하 위치에는 좌우 장공 형태를 이루는 제 3 에어 홀(343)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탑 테두리(310)에 걸쳐지어 상기 측면 패널(300)의 외측을 감싸도록 단열 패널(500)이 더 구비되되, 상기 단열 패널(500)은 상부에 상기 탑 테두리(310)에 걸쳐지는 단열 걸침부(510)가 구비되고, 패널 면(520)은 상기 측면 패널(300)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외측으로 만곡지게 만곡 단열면(521)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탑 테두리(310)의 상기 요입 홈(311)에 걸쳐져서 외측 방향으로 걸쳐지는 확장 바(600)가 더 구비되되, 상기 확장 바(600)는 상기 요입 홈(311)에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측면 패널(300)의 상기 탑 테두리(310) 직하 위치의 내면에 걸쳐지도록 확장 삽입홈(610)이 지면 방향에 배치되며, 상기 확장 삽입홈(610)의 외측 상기 확장 바(600) 상부에는 목재 재질의 테이블부재(700)가 얹어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테이블부재(700)와 상기 확장 삽입홈(610) 사이의 상기 확장 바(600)에 삽입되는 금속 재질의 열 차단판(80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테이블부재(700)와 상기 확장 삽입홈(610)의 사이에는 상기 열 차단판(800)을 고정하도록 고정 홈(620)이 상기 확장 바(600)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고정 홈(620)은 상기 열 차단판(800) 입설시 상기 열 차단판(800)의 방향이 일부 경사지게 상기 측면 패널(300)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테이블부재(700)는 제 1 테이블(710)과 제 2 테이블(720)이 연접 결합되어 일측의 테이블을 이루도록 구비되며,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테이블(720)에는 테이블 지지통공(721)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통공(721)에 지면 하부에서 상기 제 2 테이블(720) 방향으로 삽입되는 테이블 다리(73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조립식 화롯대 키트를 제공하여,
첫째, 금속 패널재를 통해 야외에서 장작불 또는 숯불을 안전하게 피울 수있으며, 조립과 해체가 간단하고 보관 부피가 작아 휴대와 이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공기의 원활한 공급으로 숯이나 장작 등을 완전 연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금속 재질의 판재가 전후방에서 서로 한 쌍이 1 조를 이루며 서로 마주 보도록 상부 테두리(110)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 테두리(110)의 양단에서 지면 방향으로 한 쌍의 측면 테두리(120)이 구비되고 상기 측면 테두리(120)의 상부에서 지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소정 간격을 이루며 제 1 걸림부(130), 제 2 걸림부(140) 및 제 3 걸림부(150)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테두리(110)의 대향 위치인 지면 방향에는 저면 테두리(160)가 구비되되, 상기 저면 테두리(160)가 지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저면 테두리(160)의 양단에는 한 쌍의 다리부(170)가 구비되며 상기 측면 테두리(120) 사이 중앙에는 걸침 통공(180)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 패널(100)로 지면과 닿아 용이하게 화롯대를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상기 걸침 통공(180)에 걸쳐지도록 양단에 제 1 걸침돌출(210)과 제 2 걸침돌출(220)이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패널(100)의 저면 위치에 놓여지도록 금속 재질의 판재로 구비되는 장작 받침 패널(200)과 전후방으로 배치되는 상기 베이스 패널(100)의 양측면으로 배치되도록 탑 테두리(310)가 구비되고 상기 탑 테두리(310)의 양단에서 지면 방향으로 걸림 테두리(320) 한 쌍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상기 걸림 테두리(320)의 저부에는 바닥 테두리(330)가 지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탑 테두리(310)와 상기 걸림 테두리(320)가 만나는 모서리에는 상기 제 1 걸림부(130)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 패널(100)에 걸쳐지는 제 1 걸침부(321)이 배치되고 지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상기 제 2 걸림부(140)에 걸쳐지는 제 2 걸침부(322)와 상기 제 3 걸림부(150)에 걸쳐지는 제 3 걸침부(323)가 상기 걸림 테두리(320)에 구비되는 측면 패널(300)로 내부에 장작 또는 숯을 용이하게 수용 및 연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넷째, 상기 탑 테두리(310)의 지면 방향으로 복수의 요입 홈(311)이 더 구비되고, 상기 요입 홈(311)에 이부가 삽입되어 상기 측면 패널(300)을 가로지르도록 금속 재질의 가로바(400)가 더 구비되되, 상기 가로바(400)는 지면 상부의 중앙이 양단 보다 지면 방향으로 만곡지게 만곡선(410)으로 구비되고 양단은 상기 측면 패널(300) 방향으로 굴록진 굴곡 마감선(420)으로 구비되며, 상기 측면 패널(300)에는 에어 홀(340)이 더 구비되되, 상기 에어 홀(340)은 지면 방향 중앙에 제 1 에어 홀(341)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에어 홀(341)의 상부 방향에 상하 장공 형태를 갖는 복수의 제 2 에어 홀(342)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에어 홀(342)의 상부이고 상기 탑 테두리(310)의 직하 위치에는 좌우 장공 형태를 이루는 제 3 에어 홀(343)으로 구비되어 화롯대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용이하게 배출하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상기 탑 테두리(310)에 걸쳐지어 상기 측면 패널(300)의 외측을 감싸도록 단열 패널(500)이 더 구비되되, 상기 단열 패널(500)은 상부에 상기 탑 테두리(310)에 걸쳐지는 단열 걸침부(510)가 구비되고, 패널 면(520)은 상기 측면 패널(300)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외측으로 만곡지게 만곡 단열면(521)으로 상기 단열 패널(500)과 상기 측면 패널(300) 사이에 공기의 흐름이 유도되도록 공간부를 형성하여 보온성을 향상시키며, 연기를 용이하게 배출하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상기 탑 테두리(310)의 상기 요입 홈(311)에 걸쳐져서 외측 방향으로 걸쳐지는 확장 바(600)가 더 구비되되, 상기 확장 바(600)는 상기 요입 홈(311)에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측면 패널(300)의 상기 탑 테두리(310) 직하 위치의 내면에 걸쳐지도록 확장 삽입홈(610)이 지면 방향에 배치되며, 상기 확장 삽입홈(610)의 외측 상기 확장 바(600) 상부에는 목재 재질의 테이블부재(700)가 얹어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테이블부재(700)와 상기 확장 삽입홈(610) 사이의 상기 확장 바(600)에 삽입되는 금속 재질의 열 차단판(800)으로 열이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상기 테이블부재(700)와 상기 확장 삽입홈(610)의 사이에는 상기 열 차단판(800)을 고정하도록 고정 홈(620)이 상기 확장 바(600)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고정 홈(620)은 상기 열 차단판(800) 입설시 상기 열 차단판(800)의 방향이 일부 경사지게 상기 측면 패널(300)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테이블부재(700)는 제 1 테이블(710)과 제 2 테이블(720)이 연접 결합되어 일측의 테이블을 이루도록 구비되며,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테이블(720)에는 테이블 지지통공(721)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통공(721)에 지면 하부에서 상기 제 2 테이블(720) 방향으로 삽입되는 테이블 다리(730)가 더 구비되어 화롯대와 테이블을 함께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내지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화롯대 키트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4 및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화롯대 키트의 베이스 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화롯대 키트의 장작 받침 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7 및 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화롯대 키트의 측면 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화롯대 키트의 가로바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10 내지 1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화롯대 키트의 단열 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13 내지 1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화롯대 키트의 확장 바, 테이블부재 및 열 차단판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화롯대 키트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4 및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화롯대 키트의 베이스 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화롯대 키트의 장작 받침 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7 및 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화롯대 키트의 측면 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9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화롯대 키트의 가로바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10 내지 1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화롯대 키트의 단열 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13 내지 1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화롯대 키트의 확장 바, 테이블부재 및 열 차단판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조립식 화롯대 키트는 먼저, 도 1, 4 및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재질의 판재가 전후방에서 서로 한 쌍이 1 조를 이루며 서로 마주 보도록 상부 테두리(110)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 테두리(110)의 양단에서 지면 방향으로 한 쌍의 측면 테두리(120)이 구비되고 상기 측면 테두리(120)의 상부에서 지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소정 간격을 이루며 제 1 걸림부(130), 제 2 걸림부(140) 및 제 3 걸림부(150)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테두리(110)의 대향 위치인 지면 방향에는 저면 테두리(160)가 구비되되, 상기 저면 테두리(160)가 지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저면 테두리(160)의 양단에는 한 쌍의 다리부(170)가 구비되며 상기 측면 테두리(120) 사이 중앙에는 걸침 통공(180)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 패널(100)이 구비된다.
여기서, 도 2 및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침 통공(180)에 걸쳐지도록 양단에 제 1 걸침돌출(210)과 제 2 걸침돌출(220)이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패널(100)의 저면 위치에 놓여지도록 금속 재질의 판재로 구비되는 장작 받침 패널(20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걸침 통공(180)의 하부에는 복수의 받침통공이 더 구비되어 재받침판(900)이 걸쳐지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도 3, 7 및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으로 배치되는 상기 베이스 패널(100)의 양측면으로 배치되도록 탑 테두리(310)가 구비되고 상기 탑 테두리(310)의 양단에서 지면 방향으로 걸림 테두리(320) 한 쌍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상기 걸림 테두리(320)의 저부에는 바닥 테두리(330)가 지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탑 테두리(310)와 상기 걸림 테두리(320)가 만나는 모서리에는 상기 제 1 걸림부(130)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 패널(100)에 걸쳐지는 제 1 걸침부(321)이 배치되고 지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상기 제 2 걸림부(140)에 걸쳐지는 제 2 걸침부(322)와 상기 제 3 걸림부(150)에 걸쳐지는 제 3 걸침부(323)가 상기 걸림 테두리(320)에 구비되는 측면 패널(300)이 구비된다.
한편,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 테두리(310)는 지면 방향으로 복수의 요입 홈(311)이 더 구비되고, 상기 요입 홈(311)에 이부가 삽입되어 상기 측면 패널(300)을 가로지르도록 금속 재질의 가로바(400)가 더 구비되되, 상기 가로바(400)는 지면 상부의 중앙이 양단 보다 지면 방향으로 만곡지게 만곡선(410)으로 구비되고 양단은 상기 측면 패널(300) 방향으로 굴록진 굴곡 마감선(420)으로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 패널(300)에는 에어 홀(340)이 더 구비되되, 상기 에어 홀(340)은 지면 방향 중앙에 제 1 에어 홀(341)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에어 홀(341)의 상부 방향에 상하 장공 형태를 갖는 복수의 제 2 에어 홀(342)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에어 홀(342)의 상부이고 상기 탑 테두리(310)의 직하 위치에는 좌우 장공 형태를 이루는 제 3 에어 홀(343)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여기에, 도 10 내지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 테두리(310)에 걸쳐지어 상기 측면 패널(300)의 외측을 감싸도록 단열 패널(500)이 더 구비되되, 상기 단열 패널(500)은 상부에 상기 탑 테두리(310)에 걸쳐지는 단열 걸침부(510)가 구비되고, 패널 면(520)은 상기 측면 패널(300)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외측으로 만곡지게 만곡 단열면(521)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때, 상기 단열 패널(500)의 유무에 의해 상기 베이스 패널(100)의 걸림부의 위치와 상기 측면 패널(300)의 걸침부의 개수를 결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열 패널(500)이 화롯대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도 4 에 도시된 상기 베이스 패널(100) 및 도 8 에 도시된 상기 측면 패널(300)을 조립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열 패널(500)이 화롯대에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도 5 에 도시된 상기 베이스 패널(100) 및 도 7 에 도시된 상기 측면 패널(300)을 조립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상기 단열 패널(500)이 화롯대에 구비될 때, 도 4 에 도시된 상기 베이스 패널(100) 및 도 8 에 도시된 상기 측면 패널(300)로 조립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 테두리(310)의 상기 요입 홈(311)에 걸쳐져서 외측 방향으로 걸쳐지는 확장 바(600)가 더 구비되되, 상기 확장 바(600)는 상기 요입 홈(311)에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측면 패널(300)의 상기 탑 테두리(310) 직하 위치의 내면에 걸쳐지도록 확장 삽입홈(610)이 지면 방향에 배치되며, 상기 확장 삽입홈(610)의 외측 상기 확장 바(600) 상부에는 목재 재질의 테이블부재(700)가 얹어지도록 구비되며, 도 13 및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블부재(700)와 상기 확장 삽입홈(610) 사이의 상기 확장 바(600)에 삽입되는 금속 재질의 열 차단판(800)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테이블부재(700)와 상기 확장 삽입홈(610)의 사이에는 상기 열 차단판(800)을 고정하도록 고정 홈(620)이 상기 확장 바(600)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고정 홈(620)은 상기 열 차단판(800) 입설시 상기 열 차단판(800)의 방향이 일부 경사지게 상기 측면 패널(300)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여기에,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블부재(700)는 제 1 테이블(710)과 제 2 테이블(720)이 연접 결합되어 일측의 테이블을 이루도록 구비되며,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테이블(720)에는 테이블 지지통공(721)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통공(721)에 지면 하부에서 상기 제 2 테이블(720) 방향으로 삽입되는 테이블 다리(730)가 더 구비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르는 조립식 화롯대 키트를 이용하면, 금속 패널재를 통해 야외에서 장작불 또는 숯불을 안전하게 피울 수있으며, 조립과 해체가 간단하고 보관 부피가 작아 휴대와 이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공기의 원활한 공급으로 숯이나 장작 등을 완전 연소시킬 수 있으며, 금속 재질의 판재가 전후방에서 서로 한 쌍이 1 조를 이루며 서로 마주 보도록 상부 테두리(110)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 테두리(110)의 양단에서 지면 방향으로 한 쌍의 측면 테두리(120)이 구비되고 상기 측면 테두리(120)의 상부에서 지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소정 간격을 이루며 제 1 걸림부(130), 제 2 걸림부(140) 및 제 3 걸림부(150)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테두리(110)의 대향 위치인 지면 방향에는 저면 테두리(160)가 구비되되, 상기 저면 테두리(160)가 지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저면 테두리(160)의 양단에는 한 쌍의 다리부(170)가 구비되며 상기 측면 테두리(120) 사이 중앙에는 걸침 통공(180)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 패널(100)로 지면과 닿아 용이하게 화롯대를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걸침 통공(180)에 걸쳐지도록 양단에 제 1 걸침돌출(210)과 제 2 걸침돌출(220)이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패널(100)의 저면 위치에 놓여지도록 금속 재질의 판재로 구비되는 장작 받침 패널(200)과 전후방으로 배치되는 상기 베이스 패널(100)의 양측면으로 배치되도록 탑 테두리(310)가 구비되고 상기 탑 테두리(310)의 양단에서 지면 방향으로 걸림 테두리(320) 한 쌍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상기 걸림 테두리(320)의 저부에는 바닥 테두리(330)가 지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탑 테두리(310)와 상기 걸림 테두리(320)가 만나는 모서리에는 상기 제 1 걸림부(130)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 패널(100)에 걸쳐지는 제 1 걸침부(321)이 배치되고 지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상기 제 2 걸림부(140)에 걸쳐지는 제 2 걸침부(322)와 상기 제 3 걸림부(150)에 걸쳐지는 제 3 걸침부(323)가 상기 걸림 테두리(320)에 구비되는 측면 패널(300)로 내부에 장작 또는 숯을 용이하게 수용 및 연소시키며, 상기 탑 테두리(310)의 지면 방향으로 복수의 요입 홈(311)이 더 구비되고, 상기 요입 홈(311)에 이부가 삽입되어 상기 측면 패널(300)을 가로지르도록 금속 재질의 가로바(400)가 더 구비되되, 상기 가로바(400)는 지면 상부의 중앙이 양단 보다 지면 방향으로 만곡지게 만곡선(410)으로 구비되고 양단은 상기 측면 패널(300) 방향으로 굴록진 굴곡 마감선(420)으로 구비되며, 상기 측면 패널(300)에는 에어 홀(340)이 더 구비되되, 상기 에어 홀(340)은 지면 방향 중앙에 제 1 에어 홀(341)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에어 홀(341)의 상부 방향에 상하 장공 형태를 갖는 복수의 제 2 에어 홀(342)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에어 홀(342)의 상부이고 상기 탑 테두리(310)의 직하 위치에는 좌우 장공 형태를 이루는 제 3 에어 홀(343)으로 구비되어 화롯대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용이하게 배출하며, 상기 탑 테두리(310)에 걸쳐지어 상기 측면 패널(300)의 외측을 감싸도록 단열 패널(500)이 더 구비되되, 상기 단열 패널(500)은 상부에 상기 탑 테두리(310)에 걸쳐지는 단열 걸침부(510)가 구비되고, 패널 면(520)은 상기 측면 패널(300)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외측으로 만곡지게 만곡 단열면(521)으로 상기 단열 패널(500)과 상기 측면 패널(300) 사이에 공기의 흐름이 유도되도록 공간부를 형성하여 보온성을 향상시키며, 상기 탑 테두리(310)의 상기 요입 홈(311)에 걸쳐져서 외측 방향으로 걸쳐지는 확장 바(600)가 더 구비되되, 상기 확장 바(600)는 상기 요입 홈(311)에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측면 패널(300)의 상기 탑 테두리(310) 직하 위치의 내면에 걸쳐지도록 확장 삽입홈(610)이 지면 방향에 배치되며, 상기 확장 삽입홈(610)의 외측 상기 확장 바(600) 상부에는 목재 재질의 테이블부재(700)가 얹어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테이블부재(700)와 상기 확장 삽입홈(610) 사이의 상기 확장 바(600)에 삽입되는 금속 재질의 열 차단판(800)으로 열이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 하며, 상기 테이블부재(700)와 상기 확장 삽입홈(610)의 사이에는 상기 열 차단판(800)을 고정하도록 고정 홈(620)이 상기 확장 바(600)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고정 홈(620)은 상기 열 차단판(800) 입설시 상기 열 차단판(800)의 방향이 일부 경사지게 상기 측면 패널(300)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테이블부재(700)는 제 1 테이블(710)과 제 2 테이블(720)이 연접 결합되어 일측의 테이블을 이루도록 구비되며,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테이블(720)에는 테이블 지지통공(721)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통공(721)에 지면 하부에서 상기 제 2 테이블(720) 방향으로 삽입되는 테이블 다리(730)가 더 구비되어 화롯대와 테이블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도응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될 것이다.
100 ... 베이스 패널
110 ... 상부 테두리
120 ... 측면 테두리
130 ... 제 1 걸림부
140 ... 제 2 걸림부
150 ... 제 3 걸림부
160 ... 저면 테두리
170 ... 다리부
180 ... 걸침 통공
200 ... 장작 받침 패널
210 ... 제 1 걸침돌출
220 ... 제 2 걸침돌출
300 ... 측면 패널
310 ... 탑 테두리
320 ... 걸림 테두리
321 ... 제 1 걸침부
322 ... 제 2 걸침부
323 ... 제 3 걸침부
330 ... 바닥 테두리
340 ... 에어 홀
341 ... 제 1 에어 홀
342 ... 제 2 에어 홀
343 ... 제 3 에어 홀
400 ... 가로바
410 ... 만곡선
420 ... 굴곡 마감선
500 ... 단열 패널
510 ... 단열 걸침부
520 ... 패널 면
521 ... 만곡 단열면
600 ... 확장 바
610 ... 확장 삽입홈
620 ... 고정 홈
700 ... 테이블부재
710 ... 제 1 테이블
720 ... 제 2 테이블
721 ... 지지통공
730 ... 테이블 다리
800 ... 열 차단판
900 ... 재받침판

Claims (7)

  1. 금속 재질의 판재가 전후방에서 서로 한 쌍이 1 조를 이루며 서로 마주 보도록 상부 테두리(110)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 테두리(110)의 양단에서 지면 방향으로 한 쌍의 측면 테두리(120)이 구비되고 상기 측면 테두리(120)의 상부에서 지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소정 간격을 이루며 제 1 걸림부(130), 제 2 걸림부(140) 및 제 3 걸림부(150)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테두리(110)의 대향 위치인 지면 방향에는 저면 테두리(160)가 구비되되, 상기 저면 테두리(160)가 지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저면 테두리(160)의 양단에는 한 쌍의 다리부(170)가 구비되며 상기 측면 테두리(120) 사이 중앙에는 걸침 통공(180)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 패널(100);
    상기 걸침 통공(180)에 걸쳐지도록 양단에 제 1 걸침돌출(210)과 제 2 걸침돌출(220)이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패널(100)의 저면 위치에 놓여지도록 금속 재질의 판재로 구비되는 장작 받침 패널(200); 및
    전후방으로 배치되는 상기 베이스 패널(100)의 양측면으로 배치되도록 탑 테두리(310)가 구비되고 상기 탑 테두리(310)의 양단에서 지면 방향으로 걸림 테두리(320) 한 쌍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상기 걸림 테두리(320)의 저부에는 바닥 테두리(330)가 지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탑 테두리(310)와 상기 걸림 테두리(320)가 만나는 모서리에는 상기 제 1 걸림부(130)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 패널(100)에 걸쳐지는 제 1 걸침부(321)이 배치되고 지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상기 제 2 걸림부(140)에 걸쳐지는 제 2 걸침부(322)와 상기 제 3 걸림부(150)에 걸쳐지는 제 3 걸침부(323)가 상기 걸림 테두리(320)에 구비되는 측면 패널(300);을 포함하는,
    조립식 화롯대 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 테두리(310)는,
    지면 방향으로 복수의 요입 홈(311)이 더 구비되고,
    상기 요입 홈(311)에 이부가 삽입되어 상기 측면 패널(300)을 가로지르도록 금속 재질의 가로바(400)가 더 구비되되,
    상기 가로바(400)는,
    지면 상부의 중앙이 양단 보다 지면 방향으로 만곡지게 만곡선(410)으로 구비되고 양단은 상기 측면 패널(300) 방향으로 굴록진 굴곡 마감선(420)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화롯대 키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패널(300)에는 에어 홀(340)이 더 구비되되,
    상기 에어 홀(340)은
    지면 방향 중앙에 제 1 에어 홀(341)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에어 홀(341)의 상부 방향에 상하 장공 형태를 갖는 복수의 제 2 에어 홀(342)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에어 홀(342)의 상부이고 상기 탑 테두리(310)의 직하 위치에는 좌우 장공 형태를 이루는 제 3 에어 홀(343)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화롯대 키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 테두리(310)에 걸쳐지어 상기 측면 패널(300)의 외측을 감싸도록 단열 패널(500)이 더 구비되되,
    상기 단열 패널(500)은,
    상부에 상기 탑 테두리(310)에 걸쳐지는 단열 걸침부(510)가 구비되고
    패널 면(520)은 상기 측면 패널(300)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외측으로 만곡지게 만곡 단열면(521)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화롯대 키트.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탑 테두리(310)의 상기 요입 홈(311)에 걸쳐져서 외측 방향으로 걸쳐지는 확장 바(600)가 더 구비되되,
    상기 확장 바(600)는 상기 요입 홈(311)에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측면 패널(300)의 상기 탑 테두리(310) 직하 위치의 내면에 걸쳐지도록
    확장 삽입홈(610)이 지면 방향에 배치되며,
    상기 확장 삽입홈(610)의 외측 상기 확장 바(600) 상부에는 목재 재질의 테이블부재(700)가 얹어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테이블부재(700)와 상기 확장 삽입홈(610) 사이의 상기 확장 바(600)에 삽입되는 금속 재질의 열 차단판(80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화롯대 키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부재(700)와 상기 확장 삽입홈(610)의 사이에는
    상기 열 차단판(800)을 고정하도록 고정 홈(620)이 상기 확장 바(600)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고정 홈(620)은 상기 열 차단판(800) 입설시 상기 열 차단판(800)의 방향이 일부 경사지게 상기 측면 패널(300)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화롯대 키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부재(700)는,
    제 1 테이블(710)과 제 2 테이블(720)이 연접 결합되어 일측의 테이블을 이루도록 구비되며,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테이블(720)에는 테이블 지지통공(721)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통공(721)에 지면 하부에서 상기 제 2 테이블(720) 방향으로 삽입되는 테이블 다리(73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화롯대 키트.
KR1020210048712A 2021-04-14 2021-04-14 조립식 화롯대 키트 Pending KR202201422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712A KR20220142236A (ko) 2021-04-14 2021-04-14 조립식 화롯대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712A KR20220142236A (ko) 2021-04-14 2021-04-14 조립식 화롯대 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236A true KR20220142236A (ko) 2022-10-21

Family

ID=83805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712A Pending KR20220142236A (ko) 2021-04-14 2021-04-14 조립식 화롯대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223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859U (ko) 2019-06-26 2019-07-23 정성욱 캠핑용 화로 테이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859U (ko) 2019-06-26 2019-07-23 정성욱 캠핑용 화로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6499B1 (ko) 조립식 화로
US20240011639A1 (en) Surround for a fire pit
US20140123972A1 (en) High efficiency wood-burning griddle cook stove
KR101619440B1 (ko) 야외 캠핑용 스토브
CN204806398U (zh) 烧烤灶头
KR20100011008U (ko) 사각 화로대
KR20220142236A (ko) 조립식 화롯대 키트
KR102562843B1 (ko) 조립식 캥핑 화로
JP3981655B2 (ja) コンロ
CN101382300A (zh) 燃气灶
JP7292693B1 (ja) 焚火台及び補助板
CN111256171A (zh) 一种余热利用的灶具
JP3546391B2 (ja) 組立式バーベキューコンロ
CN214856162U (zh) 一种轻便可移动的炉体及烤炉
EP3332175B1 (en) Dismantable and portable stove for solid fuel
CN217899949U (zh) 一种室内户外兼用便携式火炉台
CN203744325U (zh) 一种燃气灶用锅支架及具有该锅支架的燃气灶
KR102641729B1 (ko) 중심부 연소형 화로대
US9854939B2 (en) Device for grilling and cooking
KR102461934B1 (ko) 야외용 다용도 화로대
JP2008304110A (ja) グリル
WO2024069981A1 (ja) 焚火台
KR101218322B1 (ko) 가스레인지용 삼발이
JPS6112013Y2 (ko)
KR20120044114A (ko) 열효율 저탄소 가스렌지 바람막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3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1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