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7642A - 포유동물의 중공 기관의 영역을 분리하기 위한 카테터 및 방법, 및 카테터를 기반으로 하는 시스템, 및 카테터의 용도 - Google Patents
포유동물의 중공 기관의 영역을 분리하기 위한 카테터 및 방법, 및 카테터를 기반으로 하는 시스템, 및 카테터의 용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37642A KR20220137642A KR1020227026552A KR20227026552A KR20220137642A KR 20220137642 A KR20220137642 A KR 20220137642A KR 1020227026552 A KR1020227026552 A KR 1020227026552A KR 20227026552 A KR20227026552 A KR 20227026552A KR 20220137642 A KR20220137642 A KR 2022013764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theter
- hollow organ
- functional
- balloon
- channe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3
- 241000124008 Mammalia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55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9000013060 biological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6
- 210000001198 duodenum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49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11282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06010033645 Pancreat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10000000013 bile duct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08000032843 Hemorrhag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0740 bleed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2496 gastr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08000034158 bleeding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08000018360 neuromuscular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06010061902 Pancreatic neoplasm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08000003167 cholang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08000015486 malignant pancreatic neoplasm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01000002528 pancreatic cancer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08000008443 pancreatic carcinoma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10000002784 stomach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9
- 210000002429 large intestin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8
- 210000002345 respiratory system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8
- 210000000813 small intestin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2792 vascular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08000031481 Pathologic Constriction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08000012671 Gastrointestinal haemorrhage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08000006990 cholangiocarcinoma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06010073071 hepatocellular carcinoma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06010003827 Autoimmune hepat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6010037394 Pulmonary haemorrhag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6010046788 Uterine haemorrhag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8000030304 gastrointestinal bleeding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968 intestin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6010065739 Bronchial haemorrhag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08000007882 Gastr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08000037319 Hepatitis infectiou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01000001883 cholelithias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08000005252 hepatitis A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08000014018 liver neoplasm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10000000626 ureter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2601 radiograph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6010004593 Bile duct cancer Diseases 0.000 claims 1
- 208000026900 bile duct neoplasm Diseases 0.000 claims 1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claims 1
- 210000003437 trachea Anatomy 0.000 claims 1
- 230000002183 duode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5
- 210000001819 pancreatic juice Anatomy 0.000 description 40
- 210000000941 bile Anatomy 0.000 description 37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25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5755 form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10000000496 pancreas Anatomy 0.000 description 19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28327 se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1574 biopsy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2380 cyt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2604 ultrason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06010002329 Aneury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7459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0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10000000277 pancreatic duct Anatomy 0.000 description 9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41000282414 Homo sapiens Speci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10000004400 mucous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8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10000004204 blood vessel Anatomy 0.000 description 7
- 210000001035 gastrointestinal tract Anatomy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757 inflamm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575 path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OWMZNFCDEHGFEP-NFBCVYDUSA-N secretin human Chemical class C([C@@H](C(=O)N[C@H](C(=O)N[C@@H](CO)C(=O)N[C@@H](CCC(O)=O)C(=O)N[C@@H](CC(C)C)C(=O)N[C@@H](CO)C(=O)N[C@@H](CCCNC(N)=N)C(=O)N[C@@H](CC(C)C)C(=O)N[C@@H](CCCNC(N)=N)C(=O)N[C@@H](CCC(O)=O)C(=O)NCC(=O)N[C@@H](C)C(=O)N[C@@H](CCCNC(N)=N)C(=O)N[C@@H](CC(C)C)C(=O)N[C@@H](CCC(N)=O)C(=O)N[C@@H](CCCNC(N)=N)C(=O)N[C@@H](CC(C)C)C(=O)N[C@@H](CC(C)C)C(=O)N[C@@H](CCC(N)=O)C(=O)NCC(=O)N[C@@H](CC(C)C)C(=O)N[C@@H](C(C)C)C(N)=O)[C@@H](C)O)NC(=O)[C@@H](NC(=O)CNC(=O)[C@H](CC(O)=O)NC(=O)[C@H](CO)NC(=O)[C@@H](N)CC=1NC=NC=1)[C@@H](C)O)C1=CC=CC=C1 OWMZNFCDEHGFEP-NFBCVYDUSA-N 0.000 description 7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08000008081 Intestinal Fistula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06010033647 Pancreatitis acute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108010086019 Secre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6
- 102100037505 Secret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6
- 201000003229 acute pancre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839 end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3238 esophagus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0936 intestine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55 peristalsi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29960002101 secretin Drug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382 Amyl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102000013142 Amyl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5
- 108010065511 Amyl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206010013554 Diverticulum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06010016717 Fistula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708 ampu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9418 amyla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12620 biologic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890 fistula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23597 hemostasi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1528 liquid biopsy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595 magnetic resonance ima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3097 mucus Anatomy 0.000 description 5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6262 stenosi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08000037804 sten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1635 urinary tract Anatomy 0.000 description 5
- BPYKTIZUTYGOLE-IFADSCNNSA-N Bilirubin Chemical compound N1C(=O)C(C)=C(C=C)\C1=C\C1=C(C)C(CCC(O)=O)=C(CC2=C(C(C)=C(\C=C/3C(=C(C=C)C(=O)N\3)C)N2)CCC(O)=O)N1 BPYKTIZUTYGOLE-IFADSCNNSA-N 0.000 description 4
- 208000018672 Dilat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206010019799 Hepatitis viral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08000002193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0683 abdominal cavity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0621 bronchi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558 endoscopic ultrasoun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40088598 enzyme Drug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1808 exosome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10000003736 gastrointestinal content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068 gen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1100000844 hepatocellular carcinoma Toxicity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54 inflamma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802 inf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211 malign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3928 nasal cavity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0000036407 pai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01000001862 viral hep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108091032973 (ribonucleotides)n+m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2100036475 Alanine aminotransferase 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8010082126 Alanine transamin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8010003415 Aspartate Aminotransfer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2000004625 Aspartate Aminotransfer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00668 Chronic Pancre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35473 Communicabl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108020004414 DNA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06010017877 Gastrointestinal fistula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23129 Jaundice cholestatic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01000005267 Obstructive Jaundic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22 PCR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8000016222 Pancreat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33649 Pancreatitis chronic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187 abdomi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363 autoimmun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591 computed tom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872 contrast medi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336 endoscopic ultrason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594 fluo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232 gallbladder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907 gland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458 infectious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734 kidney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40127554 medical product Drug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07 metabo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877 mucosa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170 patholog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6010034674 periton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980 postope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02000004196 processed proteins & peptid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8090000765 processed proteins & peptide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187 pylorus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241 respir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325 tom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2229 urogenital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215 vagina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06010019695 Hepatic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8050 Total Bilirubin Reag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08010078814 Tumor Suppressor Protein p53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000015098 Tumor Suppressor Protein p53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47249 Venous thromb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41000700605 Viruse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0269 absc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9956 adeno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43 anesthesia adjuv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30225 antihemorrhagics Drug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1000009036 biliary tract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0790 biliary tract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853 buffer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9 diges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02000038379 digestive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91007734 digestive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861 endoscopic biops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9142 ex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49 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389 fruit/vegetable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876 he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874 hemostat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7866 inflammator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90 intravenous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57 laparoscopic surge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902 le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70 lim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9423 live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807 loca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073 macro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08091070501 miRNA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79 microRN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85 micronutr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69 micro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08000022669 mucinous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826 neoplastic cell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101 oviduc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06 pathogenesi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271 petrol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321 prophylax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451 qualitativ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271 res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405 ser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464 sphincterotom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560 therapeutic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115 thoracic cavity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291 uterus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00 validation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462 vei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631 vena cava inferior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84 vir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612 vir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RUDATBOHQWOJDD-UHFFFAOYSA-N (3beta,5beta,7alpha)-3,7-Dihydroxycholan-24-oic acid Natural products OC1CC2CC(O)CCC2(C)C2C1C1CCC(C(CCC(O)=O)C)C1(C)CC2 RUDATBOHQWOJD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30090 Acut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52747 Adenocarcinoma pancrea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2100040006 Annexin A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36365 BRCA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700020463 BRCA1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150072950 BRCA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7283 Bile Duct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3690 Bos tau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832 Camel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472 Canis lupus famili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9030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9458 Carcinoma in Situ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8342 Cervix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8609 Cholangitis scleros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1100203200 Danio rerio shha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735 Diarrho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58314 Dyspla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3086 Equ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3074 Equus asin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5791 Fallopian tube sten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326 Felis c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9233 Headach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9842 Hepatomegal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1272567 Hominoid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412 Hom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1000959738 Homo sapiens Annexin A1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001044927 Homo sapiens Insulin-like growth factor-binding protein 3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000975502 Homo sapiens Keratin, type II cytoskeletal 7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000990912 Homo sapiens Matrilys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000990902 Homo sapiens Matrix metalloproteinase-9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001133056 Homo sapiens Mucin-1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001133081 Homo sapiens Mucin-2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000972282 Homo sapiens Mucin-5AC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000972276 Homo sapiens Mucin-5B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001136592 Homo sapiens Prostate stem cell antige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000925095 Homo sapiens Protein EFR3 homolog A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000848014 Homo sapiens Trypsin-2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100022708 Insulin-like growth factor-binding protein 3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14150 Interfero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50904 Interfero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8450 Intracranial aneury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70999 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3126 Jaundi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2100023974 Keratin, type II cytoskeletal 7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88748 Klebsiel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1150105104 Kras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882 Lip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1060 Lip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67 Lip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771 Lymphadenopath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2100030417 Matrilys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2100030412 Matrix metalloproteinase-9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1710143112 Mothers against decapentaplegic homolog 4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100034256 Mucin-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2100034263 Mucin-2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2100022494 Mucin-5B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298 Mucosal haemorrhag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55668 Necrotising oesophag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9184 Neoplasms by Histologic Typ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817 Olea europa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809 Pancreatic Fistul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3799 Paraly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73 Pathologic Process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94479 Peco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2100036735 Prostate stem cell antige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2100033963 Protein EFR3 homolog A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123 Pulmonary Atelecta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7660 Pyrex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8569 Respiratory Tract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9125 Sigmoid Neoplas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49937 Smad4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887 Su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3809 Suppur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2100034392 Trypsin-2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6274 Upper gastrointestinal haemorrhag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105 Uterine Cervical Neoplas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312 acute cholang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71 adjuv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39 alpha-Amyl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37 alpha-Amyl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40024171 alpha-amylas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4 anaesth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872 anastomo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84 anatom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583 angi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42 anti bacteri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7 anti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36639 antige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1007433 antige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367 arter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556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21 bacteri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46 bilat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45 biliary trac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5 biocid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72 biological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90 bio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20 blood cou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534 blood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276 bronch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850 cellular structur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881 cervical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16465 chirhostim Drugs 0.000 description 1
- ANGOYYXZZUIXIX-UHFFFAOYSA-N chirhostim Chemical compound N=1C=CNC=1CC(N)C(=O)NC(CO)C(=O)NC(CC(O)=O)C(=O)NCC(=O)NC(C(C)O)C(=O)NC(C(=O)NC(C(=O)NC(CO)C(=O)NC(CCC(O)=O)C(=O)NC(CC(C)C)C(=O)NC(CO)C(=O)NC(CCCNC(N)=N)C(=O)NC(CC(C)C)C(=O)NC(CCCNC(N)=N)C(=O)NC(C)C(=O)NCC(=O)NC(C)C(=O)NC(CCCNC(N)=N)C(=O)NC(CC(C)C)C(=O)NC(CCC(N)=O)C(=O)NC(CCCNC(N)=N)C(=O)NC(CC(C)C)C(=O)NC(CC(C)C)C(=O)NC(CCC(N)=O)C(=O)NCC(=O)NC(CC(C)C)C(=O)NC(C(C)C)C(N)=O)C(C)O)CC1=CC=CC=C1 ANGOYYXZZUIXI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4 chro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271 coa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45 coag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9887 col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72 colo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573 colp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953 common bile duc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59 common hepatic duc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40039231 contrast media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16 cosmetic surg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12 degene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26 densi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05 diagnostic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48 differential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249 digestive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1000006549 dyspep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399 early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97 edematous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1 electr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24 endocrin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750 endocrine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846 endoscopic investi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54 enterotroph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55 enzym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919 epithelial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1 epitheli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28 ero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99 exocrine glan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50 fe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51 gastric jui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52 genetic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869 headache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4 hemodynam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08 hemorrha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454 hep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283 hepatitis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94 hepat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62 hist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62 histological ex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7 immune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65 in-situ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322 interferon Drug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47 intestinal mucos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20082 intraepithelial neopla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835 investi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50 laparotom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265 leuk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21 lipa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17 liver biops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41 lower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57 middle cerebral arter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83 mo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7 morph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99 mot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72 mu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074 necrotic cell dea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581 negative-pressure wound 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13 neoplas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55 neuroendocrin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1519 neuroendocrine tumo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1090 pals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691 pancrea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2094 pancreatic adeno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203 pancreatic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961 part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17 path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915 pathological change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285 pathological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054 pathologic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8 pel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97 pelvi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412 per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72 peristal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62 physiological cond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479 physiological effects, processes and function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21 preser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685 pulmona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45 quantitativ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64 rect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92 reflux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994 reproductive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52 review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752 saphenous ve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29 scleros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157 sclerosing cholang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1150088976 shh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3825 sigmoid colon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9890 sinus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70 sphinct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36 stimul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1580 syndrom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9 top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627 tracheal intub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44 transfo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33 trauma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72 traum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881 tumor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85 urina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325 urinary ex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 u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RUDATBOHQWOJDD-UZVSRGJWSA-N ursodeoxycholic acid Chemical compound C([C@H]1C[C@@H]2O)[C@H](O)CC[C@]1(C)[C@@H]1[C@@H]2[C@@H]2CC[C@H]([C@@H](CCC(O)=O)C)[C@@]2(C)CC1 RUDATBOHQWOJDD-UZVSRGJW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661 ursodi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50 vaso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835 viscer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00 visua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580 weight lo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6261 weight lo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83 yel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Instruments for taking body samples for diagnostic purposes; 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r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11—Multiple balloon cathet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Instruments for taking body samples for diagnostic purposes; 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r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2010/0061—Alimentary tract secretions, e.g. biliary, gastric, intestinal, pancreatic secre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818—Treatment of the gastro-intestinal syste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02/041—Bile duc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52—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for temporarily occluding a vessel for isolating a sect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95—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with perfusion means for enabling blood circulation while the balloon is in an inflated state or in a deflated state, e.g. permanent by-pass within catheter shaf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포유동물의 중공 장기의 내강에 삽입되도록 설계된 연장 본체를 갖고 벌룬 사이의 중공 장기의 내부를 격리하기 위해 팽창되도록 구성된 2개의 벌룬이 장착되어 있는, 포유동물의 중공 장기 내 영역 격리용 카테터로서, 여기서 본체에서 연장되는 기능성 채널은 벌룬 사이에 본체에 제공된 기능성 개구를 가지며; 기능성 채널은 격리된 내부에 음압이 생성되도록 하여 생물학적 유체 또는 생물학적 기체 매질을 채취하거나 또는 액체 또는 기체 매질이 격리된 내부로 공급되도록 설계되고; 본체에서 연장되는 다른 채널은 벌룬에 의해 한정되는 본체 부분의 외부에서 본체에 모두 제공되는 입구 및 출구가 양 말단에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유동물의 중공(속 빈) 장기에서 발생하고 이들 장기와 연결된 염증성, 자가면역, 감염성, 양성 및/또는 악성 질환, 특히, 췌장, 담관, 간, 위장관의 질환, 및 또한 포유동물의 중공 장기의 결손 및 부상, 누공, 협착, 동맥류 및 게실 확장, 및 중공 장기의 기타 질환을 진단 및/또는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의료 장비에 관한 것이다.
포유동물의 중공(속 빈) 장기에서 발생하는 염증성, 자가면역, 감염성, 양성 및/또는 악성 질환, 특히 췌장 질환, 담관 질환, 간 질환 및 또한 위장벽 결손, 중공 장기 벽의 부상, 동맥류 및 게실 확장, 중공 장기의 협착, 중공 장기의 출혈 및 중공 장기의 기타 질환의 진단 및/또는 치료에 사용되는 다양한 장치 및 기기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췌장암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지침에 따르면, 조직학적 유형의 신생물을 확인할 수 있는 주요 기술은 미세바늘 경피적 코어 생검, 미세바늘 기능적 생검, 상피성 찰과의 세포학적 분석(또한 당업계에서 브러시-생검으로 지칭됨), 생검을 통한 진단 복강경 검사, 및 복강경 검사 또는 개복술 중 복강에서 얻은 세척액의 세포학적 분석(참조문헌: Pancreatic adenocarcinoma guidelines. National Cancer Comprehensive Network. 2019 Version 2.2019)이다. 이러한 공식적으로 권장되는 생검 기술은 서로 다른 원리를 기반으로 하며, 따라서, 본 발명에 가장 근접한 선행 기술로 간주될 수 없다.
특히, 췌장을 연구하기 위한 초음파 방법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참조문헌: Minko A.B. Complex beam diagnostics of pancreas diseases / A.B. Minko, B.C. Pruchansky, L.I. Korytova. - SPb: Hippokrat, 2001. - 134 p.; Martnez-Noguera A., Montserrat E., Torrubia S. 외, 2001) Ultrasound of the pancreas: update and controversies. Eur Radiol 11: 1594-1606). 초음파 방법은 장기 조직에서 파동의 반사 및 흡수 변화의 평가를 기반으로 하며 분비선 윤곽, 간 윤곽 및 고에코 또는 저에코 구획의 교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 방법은 비르숭관(Wirsung duct)의 형성과 지름, 담관의 형성과 지름, 및 다른 형성과 지름을 결정할 수 있다. 초음파 방법의 가장 큰 단점은 검사 결과가 전문가의 자질과 기구의 해상도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이다. 이 경우 초음파 검사의 민감도는 70 내지 80%이다. 형성물의 크기가 1.5 cm 미만인 경우 초음파 방법은 효과가 크게 감소한다. 특히, 초음파 방법은 관내 신생물을 검출하고, 췌관을 완전히 평가하고, 췌장액과 담즙의 생화학적 조성을 평가하며, 췌장액과 담즙을 세포학적으로 검사할 수 없다.
또한, 전술한 초음파 방법과 동일한 원리에 기초한 내시경 초음파 검사 방법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Ogawa M., Kawaguchi Y., 2011, Iglesias-Garcia J., 2012 참조). 초음파 방법에 비해 내시경 초음파 검사의 장점은 관심 부위에 근접하여 생검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이다. 컨벡스 프로브(있는 경우)를 사용하면 미세바늘 기능성 생검 후 세포학적 검사를 통해 의심스러운 형성물을 검사한다. 내시경 초음파 검사의 단점은 다음과 같다: 고도로 숙련된 전문의의 필요성, 마취 보조제 시행의 필요성, 높은 비용, 일부 해부학적 특징으로 인해 경우에 따라 검사를 수행할 가능성의 부족. 또한, 내시경 초음파 검사는 간 및 담관의 세포학적 진단을 수행하는데 적합하지 않고, 흡인을 수행하여 수득할 수 있는 세포학적 물질이 소량이므로, 수득한 세포학적 물질의 해석이 어려워 높은 비율의 위양성 결과와 위음성 결과를 유발한다. 또한, 내시경 초음파 검사는 담즙 또는 췌장액의 조성에 대한 정성적 분석을 허용하지 않는다.
또한, 미세바늘 생검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데, 미세바늘 코어-생검은 전술한 초음파 방법 및 전술한 내시경 초음파 검사와 조합하여 항상 사용하여 조직학적 검사를 위한 물질을 수득하도록 한다(참조문헌: Hruban R.H., Takaori K., Klimstra D.S. An illustrated consensus on the classification of pancreatic intraepithelial neoplasia and 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neoplasms. Am J. Surg. Pathol. 2004. V.28 (8) P.977-87). 미세바늘 생검은 조직학적으로 췌장 질환을 확인하는데 사용되는 주요 방법이다. 미세바늘 생검의 단점은 출혈, 누공 형성, 농양, 천공 채널을 따른 암세포의 전파, 및 또한 조직 세포학적 검사의 유익하지 않은 위양성 또는 위음성 결과와 같은 잠재적인 합병증이다. 또한 미세바늘 생검은 담관 및 담낭의 질환을 진단하는데 적합하지 않으며 담즙 또는 췌장액의 실험 평가를 허용하지 않는다.
게다가, 정맥내 조영제(MSCT)를 사용한 나선형 컴퓨터-보조 단층촬영 방법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참조문헌: Callery M.R. 외, 2009; Klaub M. 외, 2009). 나선형 컴퓨터-보조 단층촬영은 얇은 "슬라이스" 단층촬영의 컴퓨터 지원 처리, 분비선 또는 종양 조직에 의한 조영제의 흡수 정도 평가, 및 관 직경 측정을 기반으로 한다. 나선형 컴퓨터-보조 단층촬영은 형성물의 시각화를 허용하고 장기 밀도 측정 매개변수의 변화를 기반으로 해당 장기의 급성 또는 만성 염증 변화가 관찰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나선형 컴퓨터-보조 단층촬영의 단점은 형성물의 크기가 1.5 cm 미만인 경우 민감도가 현저히 감소하고 관내 신생물을 진단할 때 민감도와 특이도가 낮다는 점이다. 또한 나선형 컴퓨터-보조 단층촬영은 질환을 조직학적으로 확인할 수 없으며 췌장 분비를 분석할 수 없다.
또한, 내시경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ERCP) 방법[Kawaguchi Y., Ogawa M., Omata F.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pancreatic stenting to prevent pancreatitis after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World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12. Vol. 18 (14). P. 1635-1641]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내시경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에서 병소 형성과 결석이 음영결손의 형태로 드러난다. 내시경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의 단점은 마취 보조제의 필요성, 특정 조작을 방지하는 다수의 제한, 및 잠재적으로 파괴적인 췌장염 또는 급성 담관염을 유발하는 수술과 관련된 부상이다.
또한, 세크레틴의 합성유사체인 Chirhostim??으로 췌장의 배설기능을 자극하여 십이지장 내부로부터 췌장액을 흡인하는 내시경 흡인법이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Suenaga M., Sadakari Y., Almario J.A. 외. Using an endoscopic distal cap to collect pancreatic fluid from the ampulla. Gastrointest Endosc. 2017; 86 (6): 1152-1156; Kanda M., Sadakari Y., Borges M. 외. Mutant TP53 in Duodenal samples of pancreatic juice from patients with pancreatic cancer or high-grade dysplasia. Clin Gastroenterol Hepatol. 2013; 11 (6): 719-730]. 내시경 흡인법은 물질을 샘플링한 다음, 물질의 세포학적 검사 및/또는 분자 유전학적 분석에 사용된다. 내시경 흡인법의 단점은 다음과 같다: 대중 인식 부족, 및 시술의 짧은 기간에 의한 약물 작용 기간에 따른 샘플링된 췌장 분비량의 한계. 주지할 점은 세크레틴 또는 그 유사체를 투여할 때 췌장액의 조성이 변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샘플링된 췌장액은 본래의 조성을 가지지 못하고, 이에 따라 기능이 약물에 의해 자극되기 때문에 췌장액의 실제 조성 및 분비 클리어런스를 평가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내시경 흡인법도 담즙 수집 및 분석에 적합하지 않다.
또한, 췌장 및/또는 담관의 신생물 및 염증성 변화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자기공명영상(MRI) 방법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참조문헌: Akisik MF, Sandrasegaran K., Aisen AA 동적 세크레틴 강화 MR 담췌관조영술(Dynamic secretin enhanced MR cholangiopancreatography). RadioGraphics. 2006. Vol.26. P.665-677]. 자기 공명 영상은 비침습적 방법이며 방사선학적 혼탁 또는 췌장의 배설 기능 자극과 조합하여 사용할 때 민감도와 특이도가 증가한다. 자기 공명 영상의 단점은 담즙 또는 췌장액의 조성 및 클리어런스를 평가하고 세포학적 검사를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또한, 비췌장 또는 비담관 배액을 수행한 후 기질의 격리된 샘플링을 수행하는 방법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참조문헌: Handa K., Minami T., Shimizu A. 외. Roles of ERCP in the Early Diagnosis of Pancreatic Cancer. Diagnostics 2019 , 9 (1), 30; Budzinsky S.A., Shapovalyants S.G., Fedorov E.D., Shabrin A.V. Endoscopic transpapillary pancreatic stenting in the treatment of pancreatic fistulas (with a commentary by A.G. Krieger). Journal named after N.I. Pirogov. 2017; (2): 32-44]. 비췌장 또는 비담관 배액은 염증성 췌장 질환을 치료하고 세포학적 검증을 수행하는데 모두 사용되며, 여기서 비췌장 또는 비담관 배액은 생체액의 조성 분석에 적합하다. 또한, 비췌장 또는 비담관 배액은 췌장액과 담즙을 독립적으로 샘플링할 수 있는 단일 방법이다. 비췌장 또는 비담관 배액의 단점은 시행의 복잡성이다. 1980년에 처음으로 비췌장 또는 비담관 배액의 사용이 기술되었지만 비췌장 또는 비담관 배액은 일상적인 방법이 아니며 고도로 전문화된 기관에서만, 특히 주로 급성 췌장염을 치료하기 위한 제한된 범위의 작업을 해결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일부 경우에는 특히 일부 해부학적 특징의 존재로 인해 비췌장 또는 비담관 배액이 시행되지 않을 수 있고 췌장염, 담관염 및 출혈과 같은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십이지장 삽관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2채널 드레일링(Dreiling) 튜브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참조문헌: Stevens T., Conwell DL, Zuccaro G. 외, A prospective crossover study comparing secretin-stimulated endoscopic and Dreiling tube pancreatic function testing in patients evaluated for chronic pancreatitis. Gastrointestinal Endoscopy. 2008. 67 (3). P. 458-466; Pollack BJ, Grendell JH. Where have all the dreiling tubes gone? Am J Gastroenterol. 2006 Feb; 101 (2): 356- nine]. 드레일링(Dreiling) 튜브는 췌장액과 담즙의 비침습적 샘플링 후 이의 생화학적 시험 및/또는 세포학적 검사 및 일일 클리어런스 측정이 가능하다. 드레일링 튜브의 단점은 십이지장 내용물의 선택적 샘플링을 허용하지 않아 장 내용물의 역행 샘플링으로 이어진다는 점이다. 배설물 샘플링의 수동적 특성은 십이지장의 연동 운동으로 인해 원위 섹션에서 부분 손실을 초래한다. 그러나 주지할 점은 튜브의 원위 부분에 있는 올리브의 무게와 위장관의 연동 운동에 의해 달성된 튜브의 수동 위치 지정은 튜브의 위치 지정에 필요한 과도한 시간과 튜브 위치의 방사선 사진 교정을 수행해야 하는 필요성을 초래한다는 점이며, 췌장액과 담즙을 샘플링하기 위한 튜브 채널의 적절한 위치를 제공하는 것은 어렵다. 예를 들어, 세크레틴과 같은 자극 약물의 사용은 췌장 세포에서 제공하는 중탄산염 완충액 배설만을 증가시키고, 즉, 관을 커버하고 있는 상피 세포의 활성만 자극되며 대부분의 외분비선 기구는 비활성 상태로 남아있기 때문에 적절한 해결책으로 간주될 수 없다. 따라서 드레일링 프로브는 선암종, 점액성 신생물 및 신경내분비 종양의 기능을 자극하지 않는다. 또한, 드레일링 튜브는 내시경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의 대안이며, 만성 췌장염 진단에만 사용할 수 있으며 드레일링 튜브를 사용하여 제자리(in situ)에서 관내 점액성 및 낭성 형성 및 암종을 나타낼 수 없다. 또한, 드레일링 튜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드레일링 튜브 옆의 십이지장을 통해 담즙이나 췌장액의 일부가 통과하기 때문에 담즙분비를 평가하기가 상당히 어렵다.
게다가, 내시경 기술을 이용하여 췌장의 주요 관에 삽입하는 비췌장 스텐트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참조문헌: Osnes M., Petersen H., Schrumpf E. Comparison of juice obtained during duodenal aspiration and cannulation of the main pancreatic duct after stimulation with exogenous secretin in man. Scand J Gastroenterol. 1978; 13 (4): 453-8; Minami T., Hanada K., Hirano N. 외. Clinical Usefulness of Serial Pancreatic-Juice Aspiration Cytological Examination and Endoscopic Ultrasound-Guided Fine-Needle Aspiration in Small Pancreatic Cancer. 152, Issue 5, Supplement 1, Page S897; Bi Y., Ji B., Raimondo M. How to suction pancreatic juice from the duodenum: Endoscope, catheter, or cap -assisted No. 86 (6). 2017 Gastrointestinal endoscopy. P. 1157-1159). 내시경 유두 괄약근 절개술 동안 비췌장 스텐트를 통해 프로브를 삽입할 수 있고, 따라서 췌장 분비물을 수득할 수 있다. 비췌장 스텐트의 단점은 외상성으로 췌장염, 담관염 또는 폐쇄성 황달의 발병을 유도한다는 점이다. 3 내지 10%의 경우에 내시경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로 급성 췌장염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모든 환자는 특별한 예방 치료를 받아야 한다. 게다가 유두 괄약근 절개술 동안, 큰 혈관이 손상되어 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비췌장 스텐트는 시술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가 고도로 전문화된 센터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주지해야한다.
또한, 내시경의 제어하에 비강을 통해 삽입되어 십이지장 프로브가 유문 십이지장 구역을 통해 전진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내강 십이지장 프로브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참조문헌: Bi Y., Ji B., Raimondo M. How to suction pancreatic juice from the duodenum: Endoscope, catheter, or cap-assisted? 86 (6). 2017 Gastrointestinal endoscopy. P. 1157-1159; Go VL, Hofmann AF, Summerskill WH. Simultaneous measurements of total pancreatic, biliary, and gastric outputs in man using a perfusion technique. Gastroenterology 1970; 58: 321-328). 십이지장 프로브의 단점은 췌장액과 담즙의 선택적 샘플링이 불가능하고 배설물과 장 및 위 내용물이 혼합되는 장벽이 결여되어 있어서 췌장 효소가 활성화되고 프로브에서 생물학적 물질이 소화된다는 점이다. 또한 십이지장 프로브의 설계는 췌장에서 췌장액의 유출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췌장액을 수득하고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서 세크레틴과 같은 약물에 의해 췌장을 자극해야 함을 주지한다.
또한, 섬유경에 장착된 캡으로 형성된 내시경을 이용하여 췌장액을 흡인하도록 구성된 췌장액 흡인 장치(여기서, 이 캡은 장기의 외분비 기능을 자극한 후 췌장 분비물을 수집하도록 한다)가 공지되어 있다[참조문헌: Suenaga M, Sadakari Y, Almario JA 외. Using an endoscopic distal cap to collect pancreatic fluid from the ampulla (with video. Gastrointest Endosc 2017; 86: 1152-1156)]. 흡인 장치의 단점은 다음과 같다: 고도로 전문화된 센터에서만 시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절차가 복잡하고, 수집된 췌장 분비물(여기서 사용 가능한 췌장 분비량은 분자 검사의 중요한 측면이다)이 소량임. 이 경우 흡인 장치를 이용한 수술은 마취 보조제를 이용하여 진행하게 되며, 장기간 수술이 불가능하다.
혈청학적 및 분자적 유전적 방법을 이용하여 혈액 내 바이러스성 간염을 진단하는 방법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이러스의 수명 주기 및 간세포와 담관의 상피 모두에 대한 친화성에 의해 조절되어 바이러스성 담관염과 질환 연대기를 유발하기 때문에 20% 경우의 질환은 확인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다[참조문헌: Shakhgildyan I.V., Mikhailov M.I., Onishchenko G.G. Parenteral viral hepatitis (epidemiology, diagnosis, prevention). Moscow: GOU VUNMTS MZ RF, 2003; Burgart LJ Cholangitis in Viral Disease. Mayo Clinic Proceedings; 1998. V. 73 (5); 479 - 482]. 상기 진단 방법은 추가 실험실 분석을 위해 담즙을 수득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경피적 생검을 수행한 후 조직학적 및 분자적 유전학적 분석을 수행하여 간 질환(바이러스성 간염, 자가면역 간염, 경화성 담관염, 간종양)을 진단하는 방법이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참조문헌: Bunt EM Liver Biopsy Diagnosis of Hepatitis: Clues to Clinically-Meaningful Reporting. Mo Med. 2010; 107 (2): 113-118]. 일부 경우에, 이러한 방법은 합병증(출혈, 담도 복막염)을 유발한다. 동시에 약 30%의 경우에는 병리학적 변화를 나타내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방법은 1차 진단에만 전적으로 사용되며, 예를 들어 질환의 역학 또는 발달 및 진행을 모니터링하는 것은 거의 반복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또한, 췌장의 효소 유출을 회복시키기 위해 주요 췌관에 스텐트를 삽입하여 급성 췌장염을 치료하는 방법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은 내시경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을 수행한 후 췌장염을 치료 및 예방하는데 사용된다[참조문헌: Mozharovsky V.V., Mutnykh A.G., Zhukov I.N., Mozharovsky K.V. Stenting of the main pancreatic duct influences the treatment results obtained for patients with an acute pancreatitis. Surgery. Journal named after N.I. Pirogov. 2019; (9): 13-17; Dumonceau JM., Andriulli A., Elmunzer BJ. 외. Prophylaxis of post-ERCP pancreatitis: European Society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ESGE) Guideline - 2014년 6월 업데이트됨. Endoscopy. 2014 Sep; 46 (9): 799-815]. 이 방법의 단점은 고도로 전문화된 센터에서만 스텐트 수술을 수행할 수 있고, 일부 경우 환자의 관 시스템의 해부학적 특성으로 인해 수술을 전혀 수행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는 점이다. 또한 이 수술은 십이지장 마비와 관련된 췌장액 유출 장애로 인한 췌장염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
또한, 복강 장기에 대한 수술 후 환자의 평균 1-3%에서 장 누공이 발생한다(참조문헌: Smotrin I.S. Obturating agents for treating gastrointestinal fistulas. Journal of the State Medical University for Practicing Physicians. - 2007. - No. 4). 이 병리와 관련된 전체 사망률은 16.5% 내지 57.5%의 범위이고, 이 병리와 관련된 수술 후 사망률은 10% 내지 21.4%의 범위이며, 여기서 가장 큰 사망률은 비체화 장 누공에서 관찰되며 36% 내지 71.7%의 범위를 갖는다. 체화된 장 누공의 사망률은 겨우 4%에 이른다.
음압을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을 사용하여 위장관 누공을 치료하는 방법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여기서 이 방법은 복강으로부터의 모든 병리학적 분비물을 지속적으로 배출하여 결손을 치유하는 것을 기반으로 한다[참조문헌: Bobkiewicz A, Walczak D, Smoliρski S. 외. Management of enteroatmospheric fistula with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in open abdomen treatment: a multicenter observational study. Int Wound J. 2017 Feb; 14 (1): 255-264; D'Hondt M., Devriendt D., Van Rooy F. 외. Treatment of small-bowel fistulae in the open abdomen with topical negative-pressure therapy. Am J Surg. 2011; 202 (2): e20-4]. 또한, 이 방법을 사용한 경우 동일한 저자가 수집한 통계에 따르면 중공 장기의 내강에서 지속적으로 생성 및 수용되는 내용물로 인해 30-47%의 경우에서 이러한 결손이 폐쇄되지 않은(치유되지 않은) 경우가 나타난다.
또한, 벽에 결손이 있는 중공 장기의 내강을 단절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다양한 폐쇄 장치와 유사한 장치가 다수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가 매우 다양하여 바람직한 효과를 구현하고 달성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잘 공지되어 있는 이러한 모든 장치는 벽에 결손이 있는 중공 장기의 내강을 단절시키는 것만을 목표로 하며, 벽 결손에 인접한 구역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목표로 하지 않는다(참조문헌: Vitsyn B.A., Blagitko E.M. Formed and unformed external intestinal fistulas. - Novosibirsk: Nauka. -1983. - 142 p.; Makarenko T.P., Bogdanov A.V. Gastrointestinal fistulas. - M.: Medicine. - 1986. - 144 pp. USSR AS 764685, M. class A 61 M 27/00. Obturator for temporary closure of a gastrointestinal fistula / VM Udod and E. G. Karsten. By application 2723729 / 28-13. Declared 12/22/78. Publ. 09/23/80. BI 35).
내시경 방법, 클리핑(clipping), 결찰(ligation), 점막층에 경화제 또는 혈관활성 약물 주입, 및 열 및 전기 방법을 사용한 응고의 사용을 기반으로 하는 위장관 출혈을 치료하는 방법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참조문헌: Anjiki H, Kamisawa T, Sanaka M , Ishii T, Kuyama Y. Endoscopic hemostasis techniques for upper gastrointestinal hemorrhage: A review. World J Gastrointest Endosc. 2010; 2 (2): 54-60]. 또한, 부패성 종양, 괴사성 식도염 또는 비특이적 미란성 대장염으로 인한 출혈의 경우, 즉, 명백한 원인 없이 미만성 점막 출혈이 발생하는 경우 이러한 공지된 방법은 여전히 효과적이지 않고 지혈을 안정성있게 객관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스텐트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관내 혈관내 카테터를 투여함으로써 혈관의 동맥류 확장을 진단하는 방법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데, 이 방법은 형광투시를 제어하여 카테터를 안내하고 스텐트로 동맥류를 폐쇄하는 것을 포함한다[참조문헌: Roszelle BN, Nair P, Gonzalez LF, Haithem Babiker M, Ryan J, Frakes D. Comparison among different high porosity stent configurations: hemodynamic effects of treatment in a large cerebral aneurysm. J Biomech Eng. 2014 Feb; 136 (2): 021013]. 그러나, 이러한 공지된 방법을 시행할 경우, 카테터를 정확한 위치에 위치시키고 결손을 식별하는 과정에서 원주방향의 혈류가 악화될 수 있고 동맥류강으로부터의 출혈이 계속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유사문헌들은 청구된 기술과 상이하다.
중공 장기에 다양한 착색 또는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을 투여하여 중공 장기의 부상을 감지하는 방법이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참조문헌: Ozimok CJ, Mellnick VM, Patlas MN. An international survey to assess use of oral and rectal contrast in CT protocols for penetrating torso trauma. Emerg Radiol. 2019 Apr; 26 (2): 117-121; Broder JS, Hamedani AG, Liu SW, Emerman CL. Emergency department contrast practices for abdominal / pelvic computed tomography-a national survey and comparison with the american college of radiology appropriateness criteria (J Emerg Med. 2013 Feb; 44 (2): 423-33)]. 그러나 이러한 조작 자체는 부상을 확인하는 것만 허용하며, 부상 확인의 성공은 부상의 위치와 물질 투여의 세부 사항에 크게 좌우되기 때문에 부상 확인이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하면, 이 공지된 방법은 중공 장기의 부상을 항상 정확하게 찾아내는 것은 아니며 이 부상을 치료하지는 않는다.
인간의 중공 장기 내 영역을 격리하기 위한 유사한 예가 2015년 6월 30일에 공개된 미국 특허 번호 제9,526,874호에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번호 제9,526,874호에 개시된 카테터는 인간 중공 장기의 내강에 삽입되고 2개의 벌룬이 장착되도록 설계된연장 본체를 포함하고, 벌룬은 벌룬 사이의 중공 강기의 내부를 격리하기 위해 팽창하도록 구성되며,여기서 본체에서 연장된 기능성 채널은 벌룬 사이의 본체에 제공된 기능성 개구를 가지며, 여기서 기능성 채널은, 격리된 내부에 음압이 생성되도록 하여 이로부터 중공 장기에 특이적인 생물학적 유체 또는 액체 또는 기체 매질을 채취하여 격리된 내부로 공급되도록 설계되었다.
미국 특허 번호 제9,526,874호에 개시된 카테터의 단점은 팽창된 벌룬에 의해 격리된 중공 장기 영역에 인접한 중공 장기의 섹션 사이의 생리학적 연결성 부족으로 인해 포유동물의 중공 장기 내강에 장기간 삽입될 수 없다는 점이다.
따라서, 포유동물의 중공 장기 내 영역 격리용 카테터가 더욱 개발되어 특히 포유동물의 중공 장기 내에서 이러한 카테터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되어야 하는 기술적 문제는 종래 기술의 카테터의 상기 단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할, 즉 포유동물의 중공 장기의 내강에 카테터를 삽입하여 오랫동안 카테터를 유지하면서도 포유동물의 중공 장기의 기능을 유지할 가능성이 부족한 문제를 제거하기 위한 포유동물의 중공 장기 내 영역 격리용 카테터를 개발하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카테터 및 포유동물의 중공 장기 내 영역을 격리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며, 상기 카테터는 전술한 기술적인 문제를 적어도 해결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구체화되고 광범위하게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포유동물의 중공 장기 내 영역 격리용 카테터가 제공되며, 상기 카테터는 포유동물의 중공 장기의 내강에 삽입되도록 설계된 연장 본체 및 2개의 벌룬이 장착되며, 벌룬은 벌룬 사이의 중공 장기의 내부를 격리하기 위해 팽창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본체에서 연장되고 벌룬 사이에 본체에 제공된 기능성 개구를 포함하는 기능성 채널을 포함하고, 여기서, 기능성 채널은, 격리된 내부에 음압이 생성되도록 하여 기능성 개구를 통해 생물학적 유체 또는 생물학적 기체 매질을 채취하고/채취하거나 액체 또는 기체 매질이 기능성 개구를 통해 격리된 내부로 공급되도록 설계되며, 여기서 본체에서 연장되는 다른 채널은 벌룬의 측면에 있는 본체 부분의 양 말단에서 본체에 제공되는 입구 및 출구가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유동물의 중공 장기 내 영역 격리용 카테터에 의해 제공되는 기술적 효과는 팽창된 격리하는 벌룬 중 하나의 외부에서 문제의 중공 장기에 특이적인 점액 및 기타 생물학적 내용물의 축적으로 인해 중공 장기에서 울혈 및/또는 염증 과정의 형성을 방지하거나 배제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중공 장기에서의 울혈 및/또는 염증 과정의 형성은, 문제의 중공 장기의 특이적인 점액 및 기타 생물학적 내용물이 중공 장기에 축적된 경우 카테터 벌룬 중 하나의 외부에서 카테터 본체에 제공된 입구로 들어갈 수 있고, 다른 카테터 벌룬의 외부에서 카테터 본체에 제공된 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는 사실로 인하여 중공 장기에서의 울혈 및/또는 염증 과정의 형성을 방지하거나 배제한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 중 하나에서, 본체에서 연장되는 추가 채널은 카테터의 벌룬에 유체 또는 기체 매질을 전달하여 벌룬의 팽창을 제공할 수 있다. 벌룬의 팽창을 제공하기 위해 카테터 본체에 제공된 추가 채널을 통해 카테터 벌룬 내로 유체를 전달하는 것은 추가적인 기술적 효과를 제공하는데, 이는 카테터가 삽입되는 중공 장기의 내강 내부를 격리하는데 필요한 벌룬 크기를 유지하는 단순화와 카테터 벌룬의 크기 또는 팽창 정도 조절을 단순화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 중 하나에서, 카테터 본체에서 연장되는 추가 채널은 액체를 공급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고, 카테터를 포유동물의 중공 장기의 내강에 삽입하기 위해 사용되는 카테터의 원위단에 추가 출구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추가적인 채널에 의해 제공되는 추가의 기술적 효과는 포유동물의 중공 장기의 살균(특히, 식도, 위, 십이지장, 소장, 대장 뿐만 아니라 호흡기의 공기, 요로의 소변 또는 혈관의 혈액의 살균)을 제공함과 동시에 의료 제품을 제공하게 한다. 기본 영양소, 에너지, 비타민, 다량 영양소, 미량 영양소 및/또는 기타 등등을 유기체에 완전히 제공할 수 있는 장 영양 혼합물이 또한 중공 장기의 내부에 제공될 수 있으며, 중공 장기의 격리된 영역으로부터 생물학적 유체 또는 생물학적 기체 매질을 샘플링하거나 중공 장기의 격리된 영역에 액체 또는 기체 매질을 공급한다. 이러한 특징들은 카테터가 포유동물의 중공 장기의 내강에 오랫동안 삽입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서, 카테터의 채널은 각각은 서로 완전히 격리될 수 있다. 카테터 내 완전히 격리된 채널은 특히 다른 내용물이 다른 카테터 채널로부터 기능성 채널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생물학적 유체 또는 생물학적 기체 매질에 대해 얻은 실험실 기구 분석 결과의 신뢰성 또는 표현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생물학적 유체 또는 생물학적 기체 매질과의 혼합을 방지하거나 또는 포유동물 중공 장기의 격리된 영역에 공급되는 액체 또는 기체 매질과 혼합되는 것을 방지한다는 점에서 추가적인 기술적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양태에서, 카테터의 기능성 개구는 카테터 본체 상에 2개의 둘러싸는 돌기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카테터 본체에 제공된 기능성 개구를 둘러싸는 돌기는 중공 장기 조직, 특히 중공 장기의 점막 조직이 기능성 개구에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추가적인 기술적 효과를 제공하는데, 그 이유는 둘러싸는 돌기는, 카테터 벌룬에 의해 격리된 중공 장기 내부에 음압이 생성될 때 기능성 개구가 조직과 직접 접촉하거나 흡입하기에 적절한 거리만큼 조직에 접근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서, 카테터 본체의 둘러싸는 돌기는 링-형상일 수 있고, 기능성 개구에 인접 또는 대항하여 위치될 수 있다. 둘러싸는 돌기의 형상 및 기능성 개구와 관련된 이들의 위치는 중공 장기 조직이 기능성 개구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기능성 개구의 차단 또는 폐색을 방지하는 추가적인 기술적 효과에 추가로 기여한다.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양태에서, 2개의 벌룬 사이의 카테터 본체에 제공된 기능성 개구는 네트로 커버될 수 있다. 기능성 개구를 커버하고 있는 네트는 기능성 개구 내로 중공 장기 조직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기능성 개구의 차단 또는 폐색을 방지하는 추가적인 기술적 효과에 추가로 기여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카테터의 본체에는 벌룬에 의해 한정된 카테터 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본체에 제공된 기능성 개구를 커버하도록 설계된 그리드 인클로저가 더 제공될 수 있다. 기능성 개구를 커버하고 있는 그리드 인클로저는 기능성 개구 내로 중공 장기 조직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기능성 개구의 차단 또는 폐색을 방지하는 추가적인 기술적 효과에 추가로 기여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카테터 본체에 제공된 그리드 인클로저는 벌룬이 팽창될 때 인클로저가 변형되도록 카테터의 벌룬에 부착될 수 있다. 벌룬을 팽창시키는 동안 그리드 인클로저를 변형시키는 것은 그리드 인클로저의 부분의 섹션이 기능성 개구 내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기능성 개구의 차단 또는 폐색을 방지하는 추가적인 기술적 효과에 추가로 기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구체화되고 광범위하게 기술된 바와 같이, 포유동물의 중공 장기의 영역 격리용 시스템이 제공되며, 시스템은 공기가 배출되거나 액체 또는 기체 매질이 공급될 수 있도록 기능성 채널에 연결된 기능성 장치를 가지고 있고; 및 전술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포유동물의 중공 장기의 영역 격리용 카테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구체화되고 광범위하게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포유동물의 중공 장기 내 영역을 격리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카테터를 삽입하는 단계; 벌룬 사이의 중공 장기의 내부를 격리하도록 벌룬을 팽창시키는 단계; 및 카테터 기능성 채널을 사용하여 기능성 개구를 통해 생물학적 유체 또는 생물학적 기체 매질을 채취하기 위해 격리된 내부에 음압을 생성하거나 또는 카테터 기능성 채널을 사용하여 액체 또는 기체 매질을 격리된 내부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카테터 삽입은 내시경 또는 방사선 촬영 장비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내시경 또는 방사선 촬영 장비에 의해 제공되는 카테터 삽입 제어는 카테터가 중공 장기의 내강에서 필요한 위치로 전진될 때, 포유동물의 중공 장기의 내강에 카테터 배치의 정확도를 높이고 카테터 벌룬의 팽창 정도를 시각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중공 장기 조직, 특히 중공 장기의 점막 조직의 손상을 방지하는 추가적인 기술적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포유동물의 중공 장기의 영역 격리용 카테터는 위염, 췌장염, 췌장암, 담관암, 쓸개관암, 간세포암, 담관염, 담석증, 중공 장기벽 결손, 자가면역 간염, 감염성 간염, 중공 장기벽의 동맥류 또는 게실 돌출, 중공 장기 내부로의 출혈, 중공 장기의 협착 및 장 신경근 장애, 위 신경근 장애, 십이지장 신경근 장애, 소장 및 대장의 신경근 장애, 담관의 신경근 장애, 요배설로의 신경근 장애 및 호흡기의 신경근 장애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질환의 발병을 진단하거나 모니터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포유동물의 중공 장기의 영역 격리용 카테터는 췌장염, 담관염, 위장벽 결손, 혈관 동맥류, 정맥 혈전, 요관 결손, 호흡기 결손, 위장관 출혈, 기관(기도) 출혈, 기관지 출혈, 폐출혈 및 자궁 출혈, 나팔관 협착증 및 척추관 병리학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포유동물의 중공 장기의 영역 격리용 카테터는 외과 수술 수행시 혈관 구역을 격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을 특별히 지목하고 명확하게 주장하는 청구범위로 결론을 내리지만,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해 현재 고려되는 최상의 방식을 비제한적인 방식으로 나타내는 첨부 도면과 함께 다음의 기술내용으로부터 동일한 내용들이 보다 잘 이해될 것이라고 고려되어지며, 여기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참조 번호는 유사한 부분을 가리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유동물의 중공 장기 내 영역 격리용 카테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2는 도 1의 카테터의 일부에 제공된 기능성 개구를 도시하고;
도 3은 벌룬이 수축 또는 블로우 오프된 상태에서 그리드 인클로저가 있는 카테터를 도시하며;
도 4는 벌룬이 팽창된 상태에서 그리드 인클로저가 있는 카테터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유동물의 중공 장기 내 영역 격리용 카테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2는 도 1의 카테터의 일부에 제공된 기능성 개구를 도시하고;
도 3은 벌룬이 수축 또는 블로우 오프된 상태에서 그리드 인클로저가 있는 카테터를 도시하며;
도 4는 벌룬이 팽창된 상태에서 그리드 인클로저가 있는 카테터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의 문맥에서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환자"라는 용어는 우선, 질환을 진단 및/또는 치료를 받기 위해 의학적 조언을 구하거나 의학적 관찰을 받는 잠재적으로 아픈 사람(포유동물 계열의 멤버)을 의미하고, 여기서 "환자"라는 용어는 또한 질환을 진단 및/또는 치료하기 위해 의학적 관찰 하에 남아 있는 잠재적으로 아픈 포유동물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문맥에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포유동물"라는 용어는 인간 또는 동물, 특히 유인원 및 비인간 영장류, 개, 고양이, 말, 낙타, 당나귀, 소, 양, 돼지 및 기타 잘 알려진 포유동물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문맥에서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사용자"라는 용어는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를 포유동물의 중공 장기(특히, 인간의 중공 장기)에 삽입하고, 포유동물의 중공 장기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를 제거하고/하거나 포유동물의 중공 장기에 삽입된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를 조작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 임의의 적절하게 숙련된 의료 전문가를 의미하며, 여기서 의료 전문가는 예를 들어 외과의, 종양 전문의, 내시경 전문의, 흉부외과 전문의, 혈관외과 전문의, 비뇨기과 전문의, 수의사 등일 수 있다.
현재 포유동물의 중공 장기에서 발생하는 또는 이들 장기와 연결된 염증성, 자가면역성, 감염성, 양성 및/또는 악성 질환, 특히 췌장, 담관, 간, 위장관의 질환, 및 또한 포유동물의 중공 장기의 결손 및 부상, 누공, 협착, 동맥류 및 게실 확장 및/또는 등을 진단 및/또는 치료하는 최신 방법은 중공 장기에 특이적이거나 또는 포유동물의 장기와 연결된 유기체의 생물학적 액체 또는 생물학적 유체에서 질환-특이적 특징의 결정을 기반으로 하는 액체 생검이다. 특히, 포유동물의 췌장암의 초기 단계 및 전암성 형질전환을 진단 및/또는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액체 생검은 순환하는 병리학적 세포, 순환하는 종양 DNA, RNA, 단백질, 펩타이드, 대사산물, 뿐만 아니라 포유동물 유기체의 생물학적 액체(예를 들어, 혈액 및 췌장액)에서 순환하는 종양 엑소좀의 검출을 기반으로 한다.
액체 생검에서 하나의 중요한 국면은 샘플링된 물질의 양이며, 따라서 진단을 수행하려면 충분한 양의 샘플링된 물질이 요구된다. 액체 생검의 또 다른 중요한 국면은 포유동물 유기체 내 질환의 국소화, 특히 종양 국소화로, 샘플에서 격리된 병리학적 유전적 또는 기타 진단 물질은 포유동물의 다른 중공 장기의 암의 전형일 수 있거나 포유동물의 장기와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위와 같은 이유에서 살펴보면, 췌장의 암, 점액성 및 상피내 신생물의 진단에 있어 췌장액은 그 안에 순환하는 종양세포, DNA, RNA, 단백질, 펩타이드, 대사산물, 엑소좀을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가장 적합한 진단액이다. 그러나, 췌장액을 샘플링하는 것이 가장 어려운 문제이며, 이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카테터(100)에 의해 효과적으로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100)의 구조적 및 설계 특징 및 기능은 십이지장 유두로부터 췌장액을 수집하는 예시적인 과제를 해결하는 맥락으로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주지할 점은 소십이지장 유두와 대십이지장 유두(당업계에서 각각 Santorini의 유두 및 Fateri의 유두라고도 지칭함) 각각은 십이지장의 하강 부분 중간, 특히 유문 아래 약 12-14 cm에 있는 점막의 세로 주름 끝에 위치한 반구형, 원추형 또는 평평한 입면 형태의 해부학적 구조를 나타내며, 여기서 대부분의 경우 담관과 췌관에 공통적인 하나의 개구가 십이지장 내강에 노출되고, 다른 경우에는 췌관이 십이지장 유두보다 2-4 cm 위로 노출된다. 간-췌장 앰플은 십이지장 유두에 위치하며 췌장의 담즙과 소화액을 수득하는데 사용되는 앰플이며, 십이지장으로의 담즙 또는 췌장액의 흐름을 조절하고 장 내용물이 담관과 췌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디 괄약근(Oddi sphincter)을 함유한다. 따라서, 포유동물의 십이지장에서 대십이지장 유두는 일반적으로 유문 아래 12-14 cm에 위치하고, 소십이지장 유두는 대십이지장 유두보다 2-4 cm 위에 있다.
특히, 십이지장의 내강으로 췌장액의 흐름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십이지장의 연동 운동에 의해 달성되는 40-100 mmH2O 수준에서 Fateri의 유두 또는 대십이지장 유두 주위에 생리적 음압을 생성하는 것이 필요하다(참조문헌: Physiology of digestion. S. Teesalu. 1987. Tartu. Tartu State University. p. 84; The pancreas. Third edition. 2018. Blackwell. UK. 1300). 또 다른 기준은 위액 및 십이지장액 및 내용물이 없이 비활성 소화 효소가 있는 췌장액의 격리된 샘플링의 필요성으로, 위액 및 십이지장액 및 내용물의 존재는 진단에 필요한 효소의 활성화 및 세포, DNA, RNA, 단백질, 펩타이드, 대사산물, 엑소좀의 소화를 야기하기 때문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공 장기 내 영역 격리용 카테터(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카테터(100)는 사용자가 중공 장기의 내강에 삽입하는 카테터이며, 카테터(100)의 하우징 또는 본체는 중공 장기의 내강 내에서 배치 부위를 향한 사용자-보조 삽입 또는 이의 전진에 적합한 치수, 특히 길이 및 두께를 갖는 가요성 중공 튜브로서 형성된다. 카테터(100)를 조작하는 사용자는 예를 들어 외과의, 종양 전문의, 내시경 전문의, 흉부 외과 전문의, 혈관외과 전문의, 비뇨기과 전문의, 수의사 등과 같이 적절하게 숙련된 의료 전문가일 수 있다. 중공 장기 내 영역 격리용 카테터(100)는 임의의 환자, 특히 임의의 인간 또는 동물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의 카테터(100)는 원위단에 축방향 개구(11)가 제공되며, 원위단은 카테터(100)를 환자에게 투여하거나 삽입한 후 환자의 중공 장기, 특히 위장관, 담관, 기도, 비뇨기계, 환자 혈관, 자궁 및 질과 관련된 공동 등의 내강 내의 배치 부위로 카테터(100)를 전진시키는데 사용된다. 또한, 카테터(100)는 카테터(100)의 원위단에 대향하는 카테터의 근위단(proximal end)에 3방향 커넥터(12)가 끼워져 있고, 여기서 근위단은 카테터(100)가 환자의 중공 장기의 내강에 삽입될 때 환자의 신체 외부에 위치된다. 특히, 카테터(100)가 환자의 십이지장 내의 영역을 격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카테터(100)는 원위단에 의해 환자의 비강 내로 투여되거나 삽입된 후 삽입된 카테터(100)가 환자의 십이지장을 따라 환자의 십이지장의 배치 부위로 전진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100)의 3방향 커넥터(12)는 3개의 분기 또는 단자: 중앙 단자(9), 및 중앙 단자(9)로부터 완전히 격리된 2개의 측면 단자(8, 10)가 제공된 파이프 또는 튜브일 수 있고, 여기서 단자(8, 9, 10)에는 각각 자유 단부에 대응하는 개구가 제공되고 각각은 적절한 기능성 기기 또는 장치에 연결하거나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3방향 커넥터(12)의 측면 단자(8, 10) 사이에 위치된 중앙 단자(9)는 적절한 (제1) 기능성 기기 또는 장치에 연결하거나 결합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1 기능성 장치는 예를 들어 장 영양 혼합물과 같은 기체 매질 또는 유체(도시되지 않음)를 공급하기 위한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중앙 단자(9)에 연결된 기체 매질 또는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는, 예를 들어 환자의 유기체에 기본 영양소, 에너지, 비타민, 다량 영양소, 미량 영양소 등을 제공하기 위한 장 영양 혼합물로 채워진 주입 주사기, 또는 예를 들어, 장 영양 혼합물로 채워진 의료 점적기, 또는 기타 장치 및 기기일 수 있으며, 중앙 단자(9)를 연결하고 기체 매질 또는 유체, 예를 들어 장 영양 혼합물을 중앙 단자(9)에 공급하는데 적합한 자동 또는 반자동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중앙 단자(9)에 연결되거나 부착된 기체 매질 또는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는 예를 들어 카테터(100)가 십이지장 내강(또는 위장관의 다른 부분) 내에 삽입될 때 환자에게 영양 지원 또는 임상 영양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액체 또는 기체 매질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는 중앙 단자(9)에 연결되거나 부착될 때 예를 들어 위와 환자의 십이지장을 소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3방향 커넥터(12)의 2개의 측면 단자 중 하나인 측면 단자(8)는 적절한 (제 2) 기능성 기기 또는 장치에 연결하거나 부착하도록 설계되며, 여기서 제2 기능성 장치는 예를 들어 생물학적 기체 매질, 생물학적 액체 및/또는 생물학적 유체를 수집하기 위한 저장 저장소 또는 저장 용기(도시되지 않음) 및 공기 또는 다른 적절한 기체 매질을 흡인하거나 배기하기 위한 공기 압축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는 의료 흡입 기구, 흡인 장치 또는 흡인기(도시되지 않음)로서 구현될 수 있다. 공기 또는 다른 적절한 기체 매질을 흡인 또는 배기하기 위한 압력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번호 제6712798호에서 선행 기술 문서에 개시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응하는 중공 장기에 대해 당업자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또한, 3방향 커넥터(12)에서 측면 단자(8)에 부착되는 제2 기능성 장치는 기체 매질 또는 유체(예를 들어, 의료 제품)를 공급하기 위한 특수 장치 또는 장치, 예를 들어 공급될 액체로 채워진 주입 주사기, 공급될 액체로 채워진 의료 점적기, 또는 기타 장치 및 기기로, 측면 단자(8)를 장치에 연결하고 기체 매질 또는 유체를 측면 단자(8)에 공급하는데 적합한 자동 또는 반자동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3방향 커넥터(12)의 다른 측면 단자(10)는 적절한 (제3) 기능성 기기 또는 장치에 연결 또는 부착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3 기능성 장치는 압력 하에서 액체 또는 기체 매질(도시되지 않음), 예를 들어 물 또는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특수 장치 또는 장치, 특히 공급될 액체 또는 기체 매질(예를 들어, 물 또는 공기)로 채워진 주입 주사기, 또는 공급할 액체(예를 들어, 물)로 채워진 의료 점적기 또는 기타 장치 및 기기로, 측면 단자(10)를 장치에 연결하고 유체 또는 기체 매질을 측면 단자(10)에 공급하는데 적합한 자동 또는 반자동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주지할 점은, 도 1 내지 4에 도시된 카테터(100)와 조합하여, 장 영양 혼합물과 같은 액체를 공급하기 위해 카테터(100)의 중앙 단자(9)에 연결가능한 상술한 제1 기능성 장치(도시되지 않음), 및 생물학적 유체 또는 생물학적 기체 매질을 샘플링하거나 액체 또는 기체 매질을 공급하기 위해 카테터(100)의 측면 단자(8)에 연결가능한 상술한 제2 기능성 장치(도시되지 않음), 및/또는 액체, 예를 들어 물을 공급하기 위해 카테터(100)의 측면 단자(10)에 연결가능한 제3 기능성 장치(도시되지 않음)는 포유동물의 특정 중공 장기에 특이적인 생물학적 유체 또는 생물학적 기체 매질(예를 들어, 생물학적 액체)을 샘플링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포유동물(도시되지 않음)의 중공 장기 내 영역을 격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시스템의 해당 부분을 구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시스템은 췌장액 및/또는 담즙을 샘플링하기 위해 포유동물의 십이지장 영역을 격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100)의 본체는 외측에 2개의 격리 벌룬(4)이 제공되고, 각각은 확장 또는 팽창하는 연질 저장소로서 형성되며, 여기서 격리 벌룬(4)은 카테터(100)의 원위단 및 서로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다. 카테터(100) 본체에 격리 벌룬(4) 사이에 기능성 오리피스 또는 개구(7)가 제공된다. 카테터(100)가 환자의 중공 장기의 내강에 삽입되면, 격리 벌룬(4) 중 하나, 즉 카테터(100)의 원위단으로부터 가장 먼 벌룬이 중공 장기의 관심 구역보다 더 멀리 위치하게 되고, 다른 격리 벌룬(4)은 중공 장기의 관심 구역까지 격리되며, 여기서 기능성 개구(7)는 관심 구역에 반대편 또는 그 옆에 위치하며, 예를 들어, 소십이지장 유두와 대십이지장 유두 중 하나에 반대편 또는 인접한 곳, 소십이지장 유두와 대십이지장 유두 사이, 장 누공의 반대편 또는 인접한 곳, 벽 손상의 반대편 또는 인접한 곳, 종양의 반대편 또는 인접한 곳 등이다.
또한, 중공 장기 내 영역 격리용 카테터(100)는 카테터(100)의 연장 본체에 제공된 3개의 개별 기능성 채널: 메인 채널(1), 액체 또는 기체 매질을 격리 벌룬(4)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 채널(2) (공급 채널(2)은 메인 채널(1)과 완전히 격리되고 카테터 본체(100)에 제공되고 각각이 대응하는 격리 벌룬(4) 중 하나의 내부로 개방된 홀을 가진다), 및 공급 채널(2)과 분리되고 메인 채널(1)과 완전히 격리된 기능성 채널(3)을 포함한다. 공급 채널(2) 및 기능성 채널(3)은 그 길이를 따라 메인 채널(1)의 일부 내에서 연장된다.
실질적으로 카테터(100)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메인 채널(1)은 3방향 커넥터(12)의 중앙 단자(9)와 연통하고, 여기서 메인 채널(1)은 카테터(100)의 근위단에서 중앙 단자(9)에 제공된 개구에 대응하는 입구 홀 또는 입구 및 카테터(100)의 원위단에서 축방향 홀(11)에 대응하는 출구 홀 또는 출구를 갖는다. 카테터(100)가 환자의 중공 장기의 내강에 삽입되면 메인 채널(1)의 입구가 환자의 신체 외부에 위치하여 주변 대기 또는 환경과 연통하며, 메인 채널(1)의 출구는 장기, 예를 들어 식도, 위 및 십이지장, 소장 또는 대장, 또한 호흡기관, 담도관, 요로, 혈관 등의 내강과 연통한다. 따라서, 전술한 제1 기능성 장치(도시되지 않음)가 3방향 커넥터(12)의 중앙 단자(9)에 연결되는 경우, 의료 제품, 특히 장용 또는 비경구용 영양 혼합물은 초기에 압력 하에 제1 기능성 장치로부터 내부에 형성된 홀을 통해 중앙 단자(9)로 공급된 다음, 중앙 단자(9)에서 메인 채널(1)로 공급되며, 최종적으로 메인 채널(1)에서 도 1에 도시된 축방향 홀(11)을 통해 중공 장기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카테터(100)의 길이의 일부를 따라 실질적으로 연장되는 공급 채널(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100)의 본체에 제공된 대응하는 출구(13, 14) 중 하나를 통해 각각의 격리 벌룬(4)과 연통하고, 3방향 커넥터(12)의 측면 단자(10)와 연통하며, 여기서 공급 채널(2)은 상기 카테터(100)의 근위단에서 측면 단자(10)에 구비된 개구에 대응하는 입구 홀 또는 입구를 갖는다. 카테터(100)가 환자의 중공 장기의 내강에 삽입되면 공급 채널(2)의 입구가 환자 신체 외부에 위치하여 주변 대기 또는 환경과 연통한다. 따라서, 상술한 제2기능성 장치(도시되지 않음)가 3방향 커넥터(12)의 측면 단자(10)에 연결되는 경우, 주어진 부피의 기체 매질 또는 유체, 예를 들어 공기 또는 물은 초기에는 압력을 받아 제2 기능성 장치로부터 내부에 형성된 홀을 통해 측면 단자(10)로 공급된 다음, 측면 단자(10)에서 공급 채널(2)로 공급되며, 최종적으로 공급 채널(2)에서 카테터 본체(100)에 형성된 대응하는 홀을 통해 두 격리 벌룬(4)으로 공급될 수 있고, 이로써 특히 카테터(100)의 공급 채널(2)을 사용하여 격리 벌룬(4)을 팽창시키거나 물 또는 가스로 채워서 각각이 증가된 크기 또는 부피를 갖는 집합적으로 채워지거나 팽창된 벌룬(4)을 제공한다. 임의의 특정 중공 장기를 위한 유체 또는 기체로 격리 벌룬(4)을 채우거나 팽창시키는데 사용되는 압력은 선행 기술 문서, 예를 들어 미국 특허 번호 제7,722,568호에 개시된 정보에 기초하여 당업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주지할 점은 격리 벌룬(4)의 크기 또는 부피가 증가하면 카테터(100)가 삽입되는 환자의 중공 장기 내강, 예를 들어, 환자의 십이지장 내강이 양측 폐쇄되거나 차단될 수 있으며, 이로써 기능성 개구(7)가 있는 카테터(100)의 일부가 환자의 중공 장기의 팽창된 격리 벌룬(4) 사이에서 격리될 수 있다. 따라서, 팽창된 격리 벌룬(4)은 환자의 중공 장기의 섹션, 예를 들어 십이지장의 대십이지장 및 소십이지장 유두, 동맥류, 중공 장기의 벽 결손 등을 중공 장기의 근위단 및 원위단 섹션으로부터 격리할 수 있게 하고, 따라서, 벌룬은 표적화된 생물학적 액체가 다른 생물학적 액체와 혼합되는 것을 배제하거나 방지하고 카테터(100)가 환자의 중공 장기의 내강 내에, 예를 들어 환자의 십이지장의 내강 내에 고정되는데, 그 이유는 벌룬(4)의 외측이 중공 장기의 내벽 표면에 밀접하게 인접하기 때문이다. 특히, 카테터(100)가 십이지장의 내강에 삽입되는 경우, 팽창된 격리 벌룬(4)은 환자의 십이지장의 소십이지장 유두 및/또는 대십이지장 유두가 위장관의 근위 및 원위 섹션으로부터 격리되도록 하며, 따라서 표적 생물학적 액체의 혼합을 방지하고, 여기서 표적 생물학적 액체는 위액 및 내용물 및/또는 십이지장 내용물과 같은 다른 생물학적 액체와 함께 췌장액 및 담즙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이는 췌장액에 함유된 소화 효소가 비활성 상태를 유지하도록 보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격리 벌룬(4)은 공급 채널(2)을 통해 벌룬 사이에서 연통할 수 있으며, 이로써 예를 들어, 장 또는 식도의 연동파가 통과하는 동안 벌룬을 확장시키거나 팽창시키는데 사용되는 액체 또는 기체 매질의 균일한 재분배를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서, 격리 벌룬(4)은, 예를 들어 자가-팽창벌룬 또는 3-방향 커넥터(12)의 측면 단자(10)의 홀을 통해 카테터(100)의 공급 채널(2)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되는 벌룬,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팽창되는 벌룬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3방향 커넥터(12)의 측면 단자(10)에는 기체 매질 또는 유체, 특히 격리 벌룬(4), 공급 채널(2) 및 측면 단자(10)에 위치한 가스 또는 물의 역류 또는 탈출을 방지하기 위해 수동으로 작동되는 차단 밸브(도시되지 않음)가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격리 밸브는 격리 벌룬(4)의 팽창 정도를 조정하기 위해 카테터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고, 여기서 사용자는 내시경을 사용하여 팽창 정도를 시각적으로 제어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특히, 사용자는 체크 밸브를 수동으로 개방함으로써 공급 채널(4)로부터 기체 매질 또는 유체, 특히 기체 또는 물을 편향시키거나 배출함으로써 팽창된 격리 벌룬(4)의 크기 또는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카테터(100)의 길이의 일부를 따라 실질적으로 연장되는 기능성 채널(3)은 3방향 커넥터(12)의 측면 단자(8)와 연통하고, 여기서 기능성 채널(3)은 기능성 개구(7)에 대응하는 입구 또는 입구 포트, 및 카테터(100)의 근위단에서 측면 단자(8)에 제공된 개구에 대응하는 출구 또는 출구 포트를 갖는다. 따라서, 흡인기로 구현된 상술한 제3 기능성 장치(도시되지 않음)가 3방향 커넥터(12)의 측면 단자(8)에 연결되는 경우, 기능성 채널(3)은 실질적으로 흡인 채널로서 역할을 수행할 것이고, 기능성 개구는 실질적으로 흡인 개구로서 역할을 할 것이며, 여기서 음 기압 또는 음 기압 매질이 중공 장기의 내부에 생성되거나 지지될 것이며, 중공 장기 내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팽창된 격리 벌룬(4)에 의해 격리된다. 환자의 중공 장기의 격리된 내부에서 생성된 음압(당업계에서는 기술적 진공이라고도 지칭됨)은 생물학적 기체 매질 또는 생물학적 유체, 특히 담즙 및 췌장액 또는 췌장 분비물 또는 고름, 또는 혈액 또는 기관지 분비물과 같은 생물학적 액체의 배출 또는 제거를 촉진하여 상기 기체 매질 또는 유체를 초기에는 격리된 내부에서 기능성 개구(7)를 통해 기능성 채널(3)로, 이 후 기능성 채널(3)에서 측면 단자(8)로, 최종적으로 측면 단자(8)에서 측면 단자(8)에 형성된 해당 홀을 통해 흡인기의 보관 용기로 배출한다. 전술한 제3 기능성 장치(도시되지 않음)가 기체 매질 또는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 예를 들어 의료 주사기 또는 의료 점적기로 구현되고 3방향 커넥터(12)의 측면 단자(8)에 연결되는 경우, 기능성 개구(7)가 있는 기능성 채널(3)은 특정 중공 장기에 특이적인 생물학적 기체 매질 또는 생물학적 유체를 샘플링할 뿐만 아니라 필요한 유체 또는 기체 매질, 예를 들어 액체 또는 기체 형태의 약물 또는 착색제를 격리된 내부에 공급하기위해 사용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흡인기는 3방향 커넥터(12)의 측면 단자(8)에 연결 가능한 전술한 제3 기능성 장치의 가능한 구현 중 하나이며,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때 흡인기의 일부인 공기 압축기를 작동시킴을 주지해야한다. 작동된 공기 압축기는 환자의 중공 장기의 내부, 예를 들어 전술한 방식으로 팽창된 격리 벌룬(4)에 의해 격리된 환자의 십이지장 내부, 및 생물학적 기체 매질 또는 생물학적 유체(예를 들어, 담즙 및 췌장액과 같은 생물학적 유체 또는 췌장 분비물)로 채워지지 않은 흡인기 보관 용기 내 가용 공간으로부터 공기 매질 또는 공기의 흡인 또는 배출을 제공하여 중공 장기의 격리된 내부, 예를 들면, 환자의 십이지장 내강에 음압을 생성하고, 이로써 기능성 개구(7)를 통해 생물학적 배지를 채취하고, 채취한 생물학적 배지를 소정의 기간 동안 축적 또는 수집을 위해 기능성 채널(3)에 의해 저장 용기로 공급 또는 제거한다.
실시양태 중 하나에서 3방향 커넥터(12)의 측면 단자(8)는 기능성 채널(3)에 의해 운반되고 기능성 개구(7)를 통해 격리 벌룬(4) 사이의 내부로 들어가는 액체 또는 기체 물질을 측면 단자를 통해 투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투여된 기체 또는 액체 물질, 예를 들어 약물 또는 착색제는 벌룬(4)에 의해 격리된 중공 장기의 영역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이에 대한 진단 및/또는 치료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 중 하나에서는 전술한 측면 단자(10)와 연통되는 격리 벌룬(4) 및 전술한 측면 단자(8)와 연통되는 전술한 기능성 채널(3)에 유체(예를 들어, 물)를 공급하기 위한 전술한 공급 채널(2)만이 카테터 본체(100)에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카테터(100)의 본체는 외측에 2개의 일반적으로 동일한 벌지(6)가 제공되며, 벌지 각각은 카테터(100)의 본체의 반경보다 크거나, 팽창된 격리 벌룬(4) 중 임의의 하나보다 작은 반경을 갖는 링-형상 돌기 또는 링으로 형성되고, 여기서 각각의 벌지(6)는 그 옆에 있거나 가까이에 있는 기능성 개구(7)와 관련하여 일 측에서 카테터(100)의 본체의 길이를 따라 위치되고, 벌지(6)는 바람직하게는 격리 벌룬(4) 사이의 기능성 개구(7)와 관련하여 균등하게 이격된다. 주지할 점은 카테터(100)를 환자의 중공 장기의 내강에 삽입하는 경우, 기능성 개구(7)를 둘러싸는 돌출 측면으로서 실질적으로 역할을 하는 벌지(6)는, 카테터(100)의 기능성 채널(3)에 연결된 흡인기가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고 이에 따라 중공 장기 내강의 격리된 내부에 있는 흡인기에 의해 음압이 제공될 때 중공 장기의 점막 조직을 손상시킬 수 있는 기능성 개구(7)가 환자의 중공 장기의 점막과 접촉하거나 기능성 개구(7) 내로 점막 조직의 흡입에 적절한 거리만큼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벌지(6)는, 기능성 개구(7)와 연통하는 중공 장기의 격리된 내부에 음압을 생성할 때 기능성 개구(7)가 환자의 중공 장기의 점막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기능성 개구(7) 내로 점막의 흡입에 적절한 거리만큼 기능성 개구(7)가 환자의 중공 장기의 점막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는 형태를 제공하는 한, 링 또는 링-형상 형태와 상이한 임의의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카테터(100)의 본체는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에 2개의 돌출 또는 돌기(15)가 제공되고, 여기서 각각의 돌기(15)는 대응하는 벌룬(4) 중 하나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 격리 벌룬(4)에 의해 한정된 카테터 본체 부분 외부에 제공되며, 여기서 탄성 네트 또는 그리드 인클로저(16)는 격리 벌룬(4)과 벌룬(4)에 의해 한정된 카테터(100) 본체의 일부 둘 다를 완전히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하고, 이로써 기능성 개구(7)를 완전히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거나 커버하도록 돌기(15)에 부착된다. 벌룬(4)이 팽창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드 인클로저(16)는 변형되거나 신장되어 기능성 개구(7)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중공 장기 내 내벽 조직을 이동시키거나 변위시킨다. 완전히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형된 상태의 그리드 인클로저(16)는 벌룬(4)에 의해 한정되거나 벌룬(4) 사이에 위치된 카테터 본체 부분을 완전히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이로써 기능성 개구(7)를 완전히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거나 커버하는 탄성 외부 케이싱 또는 프레임을 형성한다. 그리드 인클로저(16)에 의해 형성되는 외부 프레임은 원통형이며 세포 구조로 인해 액체가 관통될 수 있고, 이로써 포유동물의 특정 중공 장기에 특이적인 생물학적 유체가 그리드 인클로저(16)의 재료를 관통하거나 통과하고 기능성 개구(7)에 유입된다. 특히, 측면 단자(8)에 흡인장치(도시되지 않음)가 연결되어 카테터(100)의 기능성 채널(3)과 기능성 개구(7)에 의해 격리 벌룬(4) 사이의 격리된 구역에 음압을 제공하는 경우, 신장되거나 변형된 그리드 인클로저(16)는 중공 장기(예를 들어, 혈관 벽, 장 점막, 기관지, 위, 요관 등)의 내벽 조직이 기능성 개구(7)에 접착되거나 밀착되는 것을 방해하고, 이로써 생물학적 물질 또는 생물학적 유체, 예를 들어, 담즙, 췌장액, 기관지 분비물 등을 흡인 장치의 용기로 지속적으로 흡인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그리드 인클로저(16)는 격리 벌룬(4)에 의해 한정되거나 벌룬(4) 사이에 위치된 카테터 본체 부분을 완전히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두 격리 벌룬(4)에 부착되고, 이로써 기능성 개구(7)를 완전히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거나 커버할 수 있다. 벌룬(4)이 팽창될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드 인클로저(16)는 변형되거나 신장되어 기능성 개구(7)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중공 장기 내 내벽 조직의 제거 또는 오프셋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서, 그리드 인클로저(16)는 변형된 상태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형된 상태로 벌지(6) 상에 예비 고정된 네트 또는 네트형 재료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벌룬(4)에 의해 한정되거나 벌룬(4) 사이에 위치된 카테터 본체 부분을 완전히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게 함으로써 기능성 개구(7)를 완전히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거나 커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양태에서, 그리드 인클로저(16)는 카테터(100)의 본체에 예비 변형된 상태에서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적절한 체결 수단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벌룬(4)에 의해 한정되거나 벌룬(4) 사이에 위치된 카테터 본체 부분을 완전히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게 함으로써 기능성 개구(7)를 완전히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거나 커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서, 그리드 인클로저(16)는 그리드 인클로저(16)가 카테터(100)의 본체 상에 벌지(6) 또는 격리 벌룬(4)에 고정되어 기능성 개구(7)를 완전히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거나 커버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3개의 보조 홀(5.1, 5.2)이 격리 벌룬(4) 외부의 카테터 본체(100)에 제공되고, 따라서 기능성 개구(7)가 제공되고 격리 벌룬(4)에 의해 한정되는 카테터 본체 부분의 외부에 제공된다. 카테터(100)가 환자의 중공의 내강에 삽입되면, 카테터(100)의 원위단에서 더 멀리 위치하는 보조 홀(5.2)은 입구 역할을 하고, 카테터(100)의 원위단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보조 홀(5.1)은 출구 역할을 한다. 보조 홀(5.1, 5.2)은 비활성 소화 발효물과 공기, 소변, 혈액, 위 또는 장 내용물과 같은 중공 장기 내용물이 카테터(100)의 팽창된 격리 벌룬(4)에 의해 한정된 구역에 유입되지 않고 중공 장기의 원위 섹션으로 통과하도록 하고, 이로써 특히 카테터(100)의 원위단으로부터 더 멀리 위치하거나 또는 가장 먼 팽창된 격리 벌룬(4) 외부의 환자의 중공 장기에 혈액, 소변, 공기, 점액 및 기타 내용물을 축적하여 유발되는 환자의 중공 장기에서 울혈 및/또는 염증 과정의 형성을 방지하거나 제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100)의 용도 및 중공 장기의 해부학적 매개변수에 따라, 카테터(100)의 길이 및 직경, 카테터(100)의 벽 두께, 카테터(100)의 격리 벌룬(4)의 위치 및 직경, 및 홀의 위치는 다양할 수 있다. 당업자는 특정 중공 장기의 치수에 따라 카테터(100)의 임의의 매개변수를 쉽게 조정할 수 있다.
카테터(100)의 채널의 두께 및 격리 벌룬(4)의 크기는 당업계에 개시된 정보, 예를 들어, 미국특허번호 제9526874호, 미국특허번호 제6692465호, 미국특허번호 제5843050호, 미국특허번호 제5919163호, 국제공보 WO 2009/035581, 미국특허번호 제5397305호, 미국특허번호 제8398589호, 미국특허번호 제7722568호, 미국특허번호 제6712798호, 미국특허번호 제6638245호, 미국특허번호 제1009865호 및/또는 기타 선행 기술 정보원에 기초하여 당업자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카테터(100)의 길이, 격리 벌룬(4) 사이의 거리, 격리 벌룬(4)에서 원위단까지의 거리는 당업계에 개시된 정보, 예를 들어, 미국특허번호 제5314409호, 미국특허번호 제5658264호, 미국특허출원번호 제20150150572호, 미국특허번호 제5843050호, 미국특허번호 제5397305호, 미국특허번호 제7070606호, 미국특허번호 제671279호, 미국특허번호 제1009865호 및/또는 기타 선행 기술 정보원에 기초하여 당업자에 의해 매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 중 하나에서, 카테터(100)는 췌장-소화 카테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130 c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본 실시양태에서, 격리 벌룬(4)은 카테터(100)의 원위단으로부터 15 sm 및 25 sm로 상응하여 이격되며, 원위단은 카테터(100)를 위강 및 환자의 십이지장의 내강에 삽입하는데 사용되어서, 격리 벌룬(4)의 확장 또는 팽창은 적어도 10cm의 길이를 갖는 십이지장 구역의 격리를 허용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양태에서, 기능성 개구(7)는 격리 벌룬(4) 사이의 중간, 즉 카테터 (100)의 격리 벌룬(4) 각각으로부터 5 cm의 거리에 있고 원위단으로부터 20 cm의 거리에 있을 수 있다.
환자의 중공 장기의 영역을 격리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100)의 용도는 환자의 십이지장과 관련하여 위에서 예시적으로 기술되었다. 그러나 카테터(100)의 용도는 환자의 십이지장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임의의 전술한 실시양태에 따른 카테터(100)가 환자, 특히 포유동물의 임의의 다른 중공(관형) 내부 장기, 예를 들어 식도, 위, 십이지장, 소장, 대장, 호흡기관, 요로(비뇨생식기 계통), 정맥, 동맥, 질, 자궁, 난관(나팔관), 척추관 또는 환자의 임의의 적절한 내부 관형 장기의 내강 내로 유사하게 삽입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며, 여기서 환자 관형 장기는 소화기 계통, 호흡기 계통, 비뇨 생식 계통(비뇨 생식기 계통 또는 요 생식 계통에 결합됨), 내분비계, 순환계 및 면역계, 및 골격계를 포함하는 계통 그룹에서 포유동물 유기체의 해당 기능 계통(장기의 기구)과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100)는 내시경(도시되지 않음) 또는 방사선 촬영 장비(예를 들어, 형광투시 장비)의 제어하에 사용자에 의해 환자의 십이지장 내강에 삽입될 수 있어서 카테터(100)의 원위단으로부터 가장 먼 대응하는 격리 벌룬(4) 중 하나는 환자의 십이지장 벌브에 위치되며, 여기서 내시경은 사용자 또는 사용자를 보조하는 내시경 전문의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특히, 환자의 십이지장 내강에 카테터(100)를 삽입하는 과정, 필요한 양의 생물학적 액체를 샘플링한 후 환자의 십이지장의 내강에서 카테터(100)를 제거하는 과정, 및 흡인 과정은 비외상성이며 환자와 신생물 모두의 해부학적 특징에 좌우되지 않음을 주목해야 한다. 사용자가 카테터(100)를 환자의 십이지장 내강으로 삽입시 격리 벌룬(4)은 수축된 상태에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하나의 예에 따르면, 카테터(100)는 생검 겸자로 잡도록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루프가 예비 장착될 수 있다. 환자의 십이지장 내 원하는 배치 장소에 카테터(100)를 삽입하기 위해 카테터(100)의 원위단을 바셀린 오일로 잘 윤활시키고 비강을 통해 투여하고 위강으로 전진시킨 다음, 내시경 생검 겸자를 사용하여 카테터(100)의 루프(들)를 포획하기 위해 내시경이 환자 구강을 통해 환자의 위강으로 카테터(100)와 병행하여 추가로 투여되거나 전진되고; 최종적으로 포획된 카테터(100)는 내시경과 함께 환자의 십이지장으로 안내되거나 전진된다. 다음으로, 내시경의 제어하에 카테터(100)의 원위단에서 가장 먼 카테터(100)의 해당 격리 벌룬(4) 중 하나를 환자의 십이지장 벌브에 위치시킨다.
다른 예에 따르면, 금속 가이드와이어는 카테터(100)의 메인 채널(1)에 미리 투여되거나 삽입될 수 있다. 환자의 십이지장 내 원하는 배치 장소에 카테터(100)를 삽입하기 위해 카테터(100)의 원위단을 바셀린 오일로 잘 윤활시키고 카테터(100)의 금속 가이드와이어를 이용하여 비강을 통해 삽입한 후 위강으로 전진시킨 다음; 내시경 생검 겸자를 사용하여 카테터(100)의 원위단의 검출시 제1 결찰자를 포획하고 포획된 제1 결찰자를 이용하여 카테터(100)를 당겨 올려 카테터(100)를 내시경으로 가압하기 위해 내시경은 카테터(100)와 병행하여 환자 구강을 통해 환자 위강으로 삽입되거나 전진된다. 다음으로, 내시경과 내시경에 가압된 카테터(100)는 유문을 통해 환자의 십이지장으로 안내되고, 카테터(100)의 원위단에서 가장 먼 카테터(100)의 상응하는 격리 벌룬(4) 중 하나를 내시경의 제어하여 환자의 십이지장 벌브 안에 배치한다.
이 후, 사용자는 3방향 커넥터(12)의 측면 단자(10)에 상술한 제2 기능성 장치(도시되지 않음)를 연결하거나 부착하고, 여기서 제2 기능성 장치는 액체 또는 기체 매질, 예를 들어 기체 또는 물을 필요한 양 또는 부피, 특히 40-70 ml 부피의 물에서 카테터(100)의 공급 채널(2)에 공급하도록 의도되어 격리 벌룬(4)의 확장 및 팽창을 허용하여 십이지장의 점막에 밀접하게 인접시키고, 이로써 대십이지장 유두 및 소십이지장 유두를 함유하는 환자의 십이지장의 필요한 구역을 격리시키고, 특히 비활성 소화 발효물과 위 내용물 및/또는 십이지장 내용물이 격리된 구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본 발명자들이 실험적으로 수득한 결과, 카테터(100)가 삽입될 수 있는 환자의 십이지장 내강의 양측 폐쇄 또는 폐색에 필요한 크기로 격리 벌룬(4)을 충분히 팽창시키기 위해 40-70 ml의 공기가 필요함을 예시로 보여주고 있음에 주지해야 한다.
이 후, 사용자는 흡인기로 구현된 전술한 제3 기능성 장치(도시되지 않음)를 기능성 채널(3)에 결합하거나 연결하며, 여기서 흡인기는 특정 작업에 따라 요구되는 작동 압력을 제공하는 일정하거나 가변적인 작동 모드를 위해 예비 구성된다.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는 흡인기는 환자 십이지장의 격리된 내부, 십이지장의 팽대부 구획에 대응하는 격리된 내부로부터 기능성 개구(7) 및 이와 연통하는 기능성 채널(3)을 통해 공기 매질 또는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며, 이로써 십이지장의 연동 운동에 의해 정상적으로 생성되는 압력, 특히 40-100 mmH2O (9-14kPa)의 음압에 상응하는 내부 음압을 생성한다. 환자의 십이지장의 격리된 내부에 제공되는 음압은 담즙과 함께 췌장액 또는 췌장 분비물의 형태의 생물학적 액체가 대십이지장 유두 및 소십이지장 유두를 통해 췌장에서 배출되거나 회수되도록 하며, 이로써 기능성 개구(7) 및 기능성 채널(3)을 통해 환자의 십이지장의 격리된 구역으로부터 상기 생물학적 액체를 제거하고 이를 흡인기의 저장 용기(도시되지 않음)에 수집하게 된다. 일부 경우에는, 담관 및 췌관의 점막 분비물이 용기에 추가로 수집될 수 있으며, 점막 분비물은 십이지장에 특이적인 생물학적 액체의 종류 중 하나 및/또는 역류의 결과로 담관 및 췌관으로 유입되고 유기체에 의해 생성되고 인간 십이지장에 특이적인 액체를 함유하는 일부 생물학적 내용물이다. 다음으로, 기능성 장치(도시되지 않음)의 저장 용기에 수집된 생물학적 액체는 세포학적 검사 및/또는 분자 유전자 검사 또는 기타 분석을 위해 전달되어 췌장 분비의 세포 요소, 예를 들어 관내 신생물, 신경내분비 종양 또는 췌장암과 같은 특이적인 병리학적 과정을 감지하거나 나타나도록 하는 세포 요소의 형태학적 구조의 특성을 평가하고 발달 초기 단계에서 신생물을 감지하며, 특정 마커의 발현을 결정하여 다른 유형의 종양 사이의 감별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NKX2, S100P, CEA, EFR3A / B, MUC1, MUC2, MUC5, ANXA1, A2, KRT7, MMP7, MMP9, IGFBP3, PSCA, PRSS2, SHh, KRas, TP53, SMAD4, BRCA1, miRNA 21, and miRNA 155).
또한, 기능성 채널(3)에 흡인기를 연결한 후 또는 흡인기 대신에 기체 또는 유체를 공급하는 장치(예를 들어, 주입 주사기 또는 의료 점적기)를 기능성 채널(3)에 연결하여 환자의 십이지장의 격리된 내부에 필요한 유체 또는 기체 매질, 예를 들어 액체 또는 기체 형태의 약물을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100)는 충분히 긴 시간 동안, 예를 들어 최대 7일(즉, 최대 168시간) 동안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어 췌장 분비물이 병리학적 종양 물질의 신뢰할 수 있는 식별 및 검증을 위한 적절한 양으로 수집될 수 있고, 이로써 일반적으로 진단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따라서 췌장암의 후속 치료를 향상시킨다는 점을 주지해야 한다. 더욱이, 장기간 샘플링은 췌장암뿐만 아니라 담관암 및/또는 간세포암을 포함한 담관 및 간의 악성 상태에 대한 병리학적 세포 및 기타 바이오마커를 검출할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카테터(100)를 사용하는 경우 췌장액 및 담즙 분비의 자극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수집된 생물학적 물질은 췌장, 간, 담관, 담낭의 수축성의 실제 기능 상태를 나타내는 진정한 생화학적 및 생리학적 프로파일을 갖는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필요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100)를 이용하여 담즙과 조합하여 보관용기(도시되지 않음)에 위와 같은 방식으로 수집된 췌장액의 생화학적 조성을 검사하여 췌장의 배설기능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췌장액과 담즙의 정성 및 정량 분석을 통해 생물학적 물질의 실제 생화학적 프로파일과 일일 분비량을 평가하고, 이로써 장기의 기능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기술한 본 발명의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카테터(100)는 다음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질환의 발병을 진단하거나 모니터링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위염, 췌장염, 췌장암, 담관암, 쓸개관암, 간세포암, 담관염, 담석증, 중공 장기벽 결손, 자가면역 간염, 감염성 간염, 중공 장기벽의 동맥류 또는 게실 돌출, 중공 장기 내부로의 출혈, 중공 장기의 협착 및 식도, 위, 십이지장, 소장 및 대장, 담관, 요배설로 및 호흡기 신경근 장애.
또한, 기술한 본 발명의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카테터(100)는 다음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질환의 발병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췌장염, 담관염, 위장벽 결손, 혈관 동맥류, 정맥 혈전, 요관 결손, 호흡기 결손, 위장관 출혈, 기관(기도) 출혈, 기관지 출혈, 폐출혈 및 자궁 출혈.
또한,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카테터(100)는 특히 혈관 내벽의 조직과 관련하여 외과 수술을 수행하거나 외과 조작을 수행할 때 혈관의 구역을 격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카테터(100)를 사용하는 경우 해당 관으로부터 십이지장으로의 담즙 또는 췌장액의 배출을 복원하고 촉진함으로써 처리 또는 치료 효과를 달성하게 된다. 췌장염 및 담관염과 같은 급성 염증성 질환의 발병기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췌장액 및 담즙 유출의 장애 또는 중단에 의해 유발되는데, 유출 장애는 특히 포유동물의 십이지장의 손상된 운동성(연동)에 의해 유발되고, 이에 따라 카테터(100)를 사용하여 췌장액과 담즙의 흡인을 생성하는 조절 가능한 음압(예를 들어, 40-100 mmH2O)으로 격리된 구역은 이러한 의학적 문제를 해결하고 상기 급성질환의 치료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카테터(100)를 사용하는 경우, 위장관의 벽 결손에 관계된 영역의 내용물을 배출시킴으로써 처리 또는 치료 효과를 달성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어가능한 음압을 갖는 격리된 영역(예를 들어, 수위 70 - 100 mm 수주)은 결손 구역으로부터 모든 생물학적 액체를 배출하고 이러한 의학적 문제를 해결하게 됨에 따라 환자의 상기 의학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100)는 선행 기술, 예를 들어 미국 특허 번호 제7,722,568호 또는 미국특허번호 제6,638,245호에 개시된 정보에 기초하여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카테터(100)는 바람직하게는 고분자 재료로 제조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실시예
실시예 1. 1번 환자는 상복부의 거들 통증으로 내원하였다. 혈액 내 아밀라아제는 1150 U/L이었다. 초음파 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췌장의 크기가 증가하였고; 헤드는 35 mm이었고; 바디는 32 mm이었고; 테일은 21 mm이었고; 강하게 이질적이고; 윤곽은 흐렸으며; 췌장 주위 조직은 부종성이었으며; 액체가 검출되지 않았다. MSCT 사진은 급성 수성 췌장염에 해당한다. 환자는 러시아 외과학회(Russian Society of Surgeons)의 권고에 따라 치료를 시작하였고,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100)를 환자의 십이지장에 24시간 동안 삽입하고 능동흡인을 시행하였다. 24시간 후 혈액 내 아밀라아제 수치가 230 U/L로 떨어졌고 통증 증후군을 관리하였다.
실시예 2. 2번 환자는 폐쇄성 황달의 임상사진으로 내원하였다. 검사 결과 백혈구 수치가 14.1 x 109까지 증가했으며 총 빌리루빈은 145 mmol/L, 포합형 빌리루빈은 113.2 mmol/L이었다. 혈액 내 아밀라아제는 57 U/L,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ALT)는 391 U/L이었고, 아스파테이트 아미노전이효소(AST)는 90 U/L이었다. 초음파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담낭에서 최대 직경 1.3 cm의 여러 결석이 발견되었고 담관이 11 mm까지 확장되었다. 자기공명영상(MRI) 결과는 다음과 같다: 6 mm의 결석에 해당하는 음영이 총담관의 말단 섹션에서 감지되었다. 내시경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ERCP)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단일 8 mm 결석이 확인된 후 내시경으로 제거하였다. 급성 췌장염을 예방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100)를 환자의 십이지장에 24시간 동안 삽입하고 능동흡인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기간에는, 혈액 내 아밀라아제 수치는 87 U/L 이상 증가하지 않았다.
실시예 3. 3번 환자는 정기적인 검사 및 치료를 위해 내원하였다. 앞서 수행된 MSCT로 췌장에서 이상체의 형성을 감지했다. 내시경 초음파에서 2 cm x 3 cm 크기의 이상체 형성을 감지하였고, 미세 바늘 생검은 기술적으로 불가능하였다. 췌장액을 선택적으로 샘플링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100)를 환자의 십이지장에 삽입하였다. 세포 및 분자 검사를 통해 수득한 췌장액에서 선암종 세포와 드라이버 유전자, 엑소좀 및 단백질 마커의 돌연변이가 검출되었다.
실시예 4. 4번 환자는 폐쇄성 황달의 임상사진으로 내원하였다. 자기공명영상(MRI) 결과: 엽성 좌우 간관이 합류하는 수준의 블록이 나타났으며, 여기서 블록은 유형 IIA의 담관(Klatskin: 클라츠킨) 종양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공 장기 영역 격리용 카테터(100)를 환자의 십이지장에 삽입하고 능동흡인을 시행하였다. 세포 및 분자 검사를 통해 수득한 담즙에서 비정상적인 세포와 악성 신생물의 마커가 검출되었다.
실시예 5. 5번 환자는 만성 췌장염으로 진단을 받았다. 위장병 전문의의 치료 및 환자에게 처방된 효소제에도 불구하고 체중감소, 배변장애, 및 설사가 관찰되었다. 췌장의 기능적 상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중공 장기 내 영역 격리용 카테터(100)를 환자의 십이지장에 24시간 동안 삽입한 후 능동흡인을 시행하였다. 수득된 췌장액에 대한 생화학적 검사 결과 알파 아밀라아제와 리파아제의 수치가 감소하였고, 췌장액과 담즙의 일일 배설량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환자가 복용하는 효소제의 용량을 증량하고 우르소데옥시콜린산 약물 및 담즙대체제를 추가로 처방하였다.
실시예 6. 6번 황달 환자가 시내 감염병 클리닉에 내원하였다. 신체검사 결과 간이 비대해진 소견을 보였고 생화학적 혈액검사 결과 다음과 같은 소견을 보였다: 총 빌리루빈은 329 mmol/L, 포합형 빌리루빈은 141 mmol/L, ALT는 1040 U/L, AST는 804 U/L이었다. HCV 항원, HBsAg에 대한 혈액의 혈청학적 분석은 음성이었다. 중공 장기 내 영역 격리용 카테터를 환자에게 삽입하고, 활성 흡인의 결과로 100 ml의 담즙을 수득하였고, 담즙의 PCR 분석을 통해 HCV 바이러스의 높은 복제 수를 검출하였다.
실시예 7. 7번 환자는 확인된 바이러스성 간염으로 감염병 클리닉에서 치료를 받았다. 인터페론을 투여한 후 혈액의 반복적인 PCR 분석은 활성 바이러스 과정을 나타내지 않았다. 중공 장기 내 영역 격리용 카테터(100)를 환자에게 삽입하고, 능동 흡인의 결과로 200 ml의 담즙을 수득하였고, 수득한 담즙을 PCR 분석하여 바이러스 과정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하여 치료법의 계획과 치료 기간이 변경되었다.
실시예 8. 8번 환자는 장 누공 및 복막염으로 진단을 받았다. 복강의 수술, 위생 및 배액은 응급으로 수행되었다. 장벽 결손을 격리하고 장 내용물과의 접촉을 줄이고 치유 과정을 개선하며 또한 복강과 병리학적 기질을 분리하여 복막염을 치료하는 추가 양상을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중공 장기 영역 격리용 카테터(100)를 장의 손상 구역에 삽입하여 격리 벌룬(4)을 결손 위와 아래에 위치시켰다. 벌룬을 팽창시킨 후, 격리된 구역을 생성하고, 다른 채널을 흡입 기구에 연결하여 장 누공 구역의 살균을 제공하고 결손 치유를 촉진한다. 또한, 카테터(100)를 통해 환자에게 장 영양제를 투여하였다.
실시예 9. 9번 환자는 복부의 거들 통증으로 응급으로 입원하였다. 검사 결과를 기반으로, 환자는 애틀랜타(Atlanta) 분류에 따라 중등도의 급성 췌장염으로 진단받았다. 내원 당시 아밀라아제 수치는 1320 U/L이었다. 본 발명에 따른 중공 장기 내 영역 격리용 카테터(100)를 환자에게 삽입하였고, 여기서 기능성 채널은 조절 가능한 음압을 생성하기 위한 펌프에 연결되고, 동일한 카테터(100)를 통해 환자에게 장 영양제 및 의약품을 투여하였다. 그 결과 24시간 이내에 BISAP 척도에 따라 생화학적 매개변수의 역학이 양성이 되었으며, 환자는 7일 후에 회복되었다.
실시예 10. 10번 환자는 우측 계륵부의 통증, 극심한 형태의 발열 및 주기적인 피부 황변으로 응급으로 입원하였다. 현재 입원 3개월 전에 환자가 담관에서 결석을 제거하기 위해 담관과 관련하여 내시경 조작을 받은 병력이 나타났다. 초음파, MSCT에서 간, 관 또는 농양의 존재에 변화가 없었다. 담관염을 진단하기 위해, 중공 장기 내 영역 격리용 카테터(100)를 환자에게 삽입하고 담즙 50.0ml를 샘플링하여 세균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클렙시엘라 종이 다량 성장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항균제에 대한 감수성이 확인되었다. 병원성 항생제 요법을 선택한 후, 담관염 증상이 사라지고 환자는 외래 치료를 위해 퇴원하였다.
실시예 11. 11번 환자는 대량 병변의 존재로 인해 S상 결장 절제술을 받았다. 장 가동화 과정에서, 형성물이 장의 모든 층을 침범하였고, 여기서 후복막 조직의 침범을 동반한 국소 림프절병증이 있었음이 밝혀졌다. 종양이 있는 장을 가동화할 때, 왼쪽 신장의 손상된 요관과 통신을 설정하였다. 수술실에 비뇨기과 의사를 불러 요관 결손을 수술로 치료했다. 합병증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중공 장기 영역 격리용 크기 조절 카테터(100)를 가이드 와이어를 따라 역행하여 투여하고, 벌룬 중 하나는 왼쪽 신장의 골반에서 팽창되고 다른 벌룬(하부 벌룬)은 방광에서 팽창되며, 여기서 기능성 채널은 제어 가능한 음압을 생성하기 위한 흡입 기구에 연결되었다. 카테터(100)는 14일 후 제거되었으며, 왼쪽 신장의 배설 기능은 손상되지 않았다. 환자는 외래 치료를 위해 퇴원했다.
실시예 12. 12번 환자는 폐출혈로 입원하였다. 기관지경 검사에서 우측 주기관지의 부패성 출혈성 종양이 발견되었다. 지혈 및 기관지 개통의 보존을 목적으로, 또한 폐 무기폐 방지를 위한 목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중공 장기 영역 격리용 카테터(100)를 우측 기관지에 투여하였다. 카테터(100)는 종양이 벌룬 사이에 있도록 삽입되었고, 여기서 벌룬의 팽창은 혈액이 기관지의 다른 부분으로 흐르는 것을 중단시켰다. 출혈을 멈추게 하기 위해, 카테터(100)의 기능적 통로를 통해 지혈제를 투여하였다. 그 결과, 관찰 3일 동안 출혈이 재발하지 않았다. 이후에 카테터(100)는 제거되었다. 환자는 10일 후 외래 치료를 위해 퇴원했다.
실시예 13. 13번 환자는 기구 확진 판정을 받은 종격동염으로 응급 입원하였다. 검사 결과, 고기 조각에 의한 괴사로 인한 식도 결손이 발견되었다. 식도 치료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중공 장기 내 영역 격리용 카테터(100)를 삽입하였다. 카테터(100)의 벌룬은 결손을 격리하기 위해 팽창되었고, 기능성 채널은 제어 가능한 음압을 제공하기 위해 흡입 기구에 연결되었다. 그 결과, 환자는 1.5개월 후 외래 치료를 위해 퇴원했다.
실시예 14. 14번 환자는 두통과 전신뇌증상으로 응급 입원하였다. 정맥 조영제를 사용한 MSCT로 우측 중대뇌동맥 분지에서 압출 징후와 함께 동맥류가 발견되었다. 환자를 혈관조영술실로 이송하였고, 본 발명에 따른 중공 장기 내 영역 격리용 카테터(100)를 대퇴골 접근을 통해 투여하였다. 카테터(100)의 위치는 벌룬이 동맥류의 구역을 격리하도록 형광투시 제어하에 수행되었으며, 여기서 기능성 채널은 동맥류 반대편에 위치하였다. 동맥류 공동을 채우는 충전 용액을 기능성 채널을 통해 투여하였다. 필요한 노출 후에, 카테터(100)는 원주방향 혈류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이어서 카테터(100)를 제거하였다. 환자는 21일 후 퇴원하였다.
실시예 15. 15번 환자는 췌장암의 외과 치료를 위해 정기적으로 입원하였다. 검사 결과 하대정맥을 침범한 두부 종양이 나타났다. 혈액 손실을 줄이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중공 장기 내 영역 격리용 카테터(100)를 정맥에 삽입하고, 벌룬이 췌장두부 종양의 위와 아래를 팽창시켜 혈액을 우회시켜 심장으로 혈액을 되돌렸다. 분비선을 절제하는 동안, 하지 복재 정맥의 자가 성형술로 하대정맥 섹션을 절제하였다. 혈액 손실은 500 ml이었다. 따라서 환자와 외과 의사 모두에게 최적의 임시 및 생리적 조건이 생성되었다.
실시예 16. 16번 환자는 S상 결장암의 외과 치료를 위해 입원하였다. 수술후 기간에, 환자는 둘레의 1/3에 해당하는 결장-직장 문합 실패가 발병하였다. 결장을 치료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중공 장기 내 영역 격리용 카테터(100)를 직장 내로 역행 삽입하여 카테터(100)의 벌룬 중 하나는 결손과 관련하여 가장 근위에 위치되고 카테터(100)의 다른 벌룬은 결손과 관련하여 가장 원위에 위치되도록 하였다. 카테터(100)의 벌룬을 팽창시켰을 때 결손 구역이 대장의 다른 섹션과 격리되었다. 메인 채널로 인해 장의 근위 섹션을 물로 세척했다. 결과적으로 결손은 3주 후 폐쇄되었다.
실시예 17. 17번 환자는 간종양이 의심되어 입원하였다. 액체 생검을 수행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중공 장기 내 영역 격리용 카테터(100)를 삽입하였고; 대십이지장유두와 소십이지장유두와 관련된 구역은 카테터(100)의 벌룬에 의해 격리되고 담즙흡인이 시작되었다. 카테터(100)가 제거되었을 때, 유전 및 세포학적 검사를 위해 담즙 흡인물이 전달되었고, 병리학적 표지 및 세포는 검출되지 않았다. 담즙 채취 시 카테터(100)의 벌룬을 커버하고 있는 스타킹을 제거하고 완충용액으로 세척한 후 물을 수집하여 원심분리하여 세포 펠렛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세포 침전물의 세포학적 검사를 통해 간세포암 세포의 존재가 발견되었다.
실시예 18. 18번 환자는 자궁출혈로 응급으로 입원하였다. 질경 검사에서 퇴행성 자궁경부암이 발견되었다. 지혈을 위해 카테터(100)를 질 및 자궁강에 삽입하고 카테터(100)의 벌룬으로 종양 구역을 격리하였다. 카테터(100)의 기능성 채널을 통해 종양에 대해 지혈제를 점적하였다. 출혈이 멈추고 환자는 퇴원하였다.
따라서, 상술한 카테터(100)는 임의의 중공 장기에 대한 기능적 조사를 수행하거나 시행할 수 있고, 또한 적절한 치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카테터(100)를 이용하여 수집된 생물학적 액체의 검사 및/또는 실험실 분석을 통해 염증 형성, 양성 형성 및 악성 성장, 또한 감염성 질환을 높은 정확도로 감별진단할 수 있다. 특정 액체를 배출함으로써 카테터(100)는 염증성 질환, 출혈 및 중공 장기 벽의 결손의 치료를 허용한다. 외과 조작 동안 우회(바이패스: bypass) 기능이 있는 격리된 구역을 생성하면 지혈을 제어할 수 있고 외과 조작, 특히 후속 성형으로 혈관 부위의 절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100) 또는 상기 카테터(100)를 포함할 수 있는 포유동물의 중공 장기의 영역 격리용 시스템(도시되지 않음)은, 특히 카테터(100)가 삽입된 내강 내로, 예를 들어 장의 연동운동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생리학적 음압에 대응하는 음압의 중공 장기의 격리된 구역 내 생성으로 인해, 중공 장기와 연결된 장기 중 중공 장기의 배설 기능에 대한 추가적인 자극 없이 정상적인 생리학적 및 생화학적 상태에서 다량의 생물학적 물질을 수집하는 능력을 제공함을 주지해야 한다.
Claims (12)
- 포유동물의 중공 장기 내 영역 격리용 카테터(100)로서,
- 포유동물의 중공 장기의 내강에 삽입되도록 설계된 연장 본체: 및
- 연장 본체를 따라 개별적으로 및 별도로 배치되고 벌룬 사이의 중공 장기의 내부를 격리하기 위해 팽창되도록 구성된 2개의 벌룬(4),
- 본체에서 연장되고 벌룬(4) 사이에 본체에 제공된 기능성 개구(7)를 포함하는 기능성 채널(3)을 포함하고, 및
- 여기서, 기능성 채널(3)은,
- 격리된 내부에 음압이 생성되도록 하여 생물학적 유체 또는 생물학적 기체 매질을 채취하고/채취하거나;
- 액체 또는 기체 매질이 격리된 내부로 공급되도록 설계되며,
- 본체에서 연장되는 제2 채널(1)은 벌룬(4)에 의해 한정되는 격리된 내부의 외부에서 본체에 모두 제공되는 입구(5.2) 및 출구(5.1)가 양 말단에 제공되며,
카테터(100)에는
벌룬(4)에 의해 한정된 카테터 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기능성 개구(7)를 커버하도록 설계된 그리드 인클로저(16)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그리드 인클로저(16)는 벌룬(4)이 팽창될 때 그리드 인클로저(16)가 변형되도록 벌룬(4)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100). - 제1항에 있어서, 유체 또는 기체 매질을 벌룬(4)에 전달하여 벌룬의 팽창을 제공하도록 본체 내에서 연장되는 추가(팽창) 채널(2)을 더 포함하는, 카테터(100).
-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채널(1)은 액체를 공급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카테터(100)를 포유동물의 중공 장기의 내강에 삽입하기 위해 사용되는 카테터 원위단에 제공된 추가 출구(11)가 더 제공되는, 카테터(100).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능성 채널, 제2 채널 및 팽창 채널(3, 1, 2) 각각은 서로 완전히 격리되는, 카테터(100).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카테터(100)의 본체 상에 2개의 둘러싸는 돌기를 더 포함하고, 기능성 개구(7)는 2개의 둘러싸는 돌기(6) 사이에 위치되는, 카테터(100).
- 제5항에 있어서, 둘러싸는 돌기(6)는 링-형상 및 기능성 개구(7)에 인접 또는 대항하여 위치되는 것인, 카테터(100).
- 포유동물의 중공 장기 내 영역 격리용 시스템으로,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카테터(100); 및
- 공기가 배출되거나 또는 액체 또는 기체 매질을 공급하도록 하는 기능성 채널(3)에 연결된 기능성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 포유동물의 중공 장기 내 영역을 격리하는 방법으로서,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카테터(100)를 포유동물 중공 장기의 내강에 삽입하는 단계,
- 벌룬 사이의 포유동물 중공 장기의 내부를 격리하고 벌룬(4) 사이의 그리드 인클로저(16)를 변형하도록 하여, 이로써 벌룬(4)에 의해 정의된 카테터 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기능성 개구(7)를 커버하도록 벌룬(4)을 팽창시키는 단계, 및
- 카테터(100)의 기능성 채널(3)을 통해 중공 장기에 특이적인 생물학적 유체 또는 생물학적 기체 매질을 채취하기 위해 격리된 내부에 음압을 전달하거나 또는 카테터(100)의 기능성 채널(3)을 사용하여 액체 또는 기체 매질을 격리된 내부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카테터 삽입은 내시경 또는 방사선 촬영 장비에 의해 제어되는 것인, 방법.
- 위염(gastritis), 췌장염(pancreatitis), 췌장암(pancreatic cancer), 담관암(bile duct cancer), 쓸개관암(cholangiocarcinoma), 간세포암(hepatocellular cancer), 담관염(cholangitis), 담석증(cholelithiasis), 중공 장기벽 결손(defects of a hollow organ wall), 자가면역 간염(autoimmune hepatitis), 감염성 간염(infectious hepatitis), 중공 장기벽의 동맥류 또는 게실 돌출(aneurismal or diverticular protrusions of a hollow organ wall), 중공 장기 내부로의 출혈(bleeding to a hollow organ interior), 중공 장기의 협착(strictures of hollow organs), 장 신경근 장애(intestine neuromuscular disorders), 위 신경근 장애(stomach neuromuscular disorders), 십이지장 신경근 장애(duodenum neuromuscular disorders), 소장 및 대장의 신경근 장애(neuromuscular disorders of the small intestine and large intestine), 담관의 신경근 장애(neuromuscular disorders of bile ducts), 요배설로의 신경근 장애(neuromuscular disorders of urinoexcretory ways) 및 호흡기의 신경근 장애(neuromuscular disorders of respiratory tracts)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질환의 발병을 진단하거나 모니터링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카테터(100)의 용도.
- 췌장염(pancreatitis), 담관염(cholangitis), 위장벽 결손(gastrointestinal wall defects), 혈관 동맥류(vascular aneurisms), 정맥 혈전(venous thrombs), 요관 결손(ureter defects), 호흡기 결손(respiratory tract defects), 위장관 출혈(gastrointestinal hemorrhages), 기관(기도) 출혈(bleeding from the windpipe (trachea)), 기관지 출혈(bronchial bleeding), 폐출혈(pulmonary hemorrhage) 및 자궁 출혈(uterine bleeding)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카테터(100)의 용도.
- 외과 수술 수행시 혈관 구역을 격리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카테터(100)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RU2020100187A RU2743144C1 (ru) | 2019-12-31 | 2019-12-31 | Катетер и способ для забора биологических жидкостей из дуоденальных сосочков, а также система на основе такого катетера и применение такого катетера |
RU2020100187 | 2019-12-31 | ||
RU2020140524A RU2761080C1 (ru) | 2020-12-09 | 2020-12-09 | Катетер и способ для создания изолированной зоны в полом органе млекопитающего, а также система на основе такого катетера и применение такого катетера |
RU2020140524 | 2020-12-09 | ||
PCT/RU2020/050399 WO2021137739A1 (en) | 2019-12-31 | 2020-12-28 | Catheter and method for isolating a region in a hollow organ of a mammal, and system based on the catheter, and use of the cathet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37642A true KR20220137642A (ko) | 2022-10-12 |
Family
ID=75108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7026552A Pending KR20220137642A (ko) | 2019-12-31 | 2020-12-28 | 포유동물의 중공 기관의 영역을 분리하기 위한 카테터 및 방법, 및 카테터를 기반으로 하는 시스템, 및 카테터의 용도 |
Country Status (11)
Country | Link |
---|---|
US (1) | US20230037101A1 (ko) |
EP (1) | EP4084695A1 (ko) |
JP (1) | JP2023514802A (ko) |
KR (1) | KR20220137642A (ko) |
CN (1) | CN115243623A (ko) |
BR (1) | BR112022012983A2 (ko) |
CA (1) | CA3166497A1 (ko) |
MX (1) | MX2022008113A (ko) |
PH (1) | PH12022551614A1 (ko) |
WO (1) | WO2021137739A1 (ko) |
ZA (1) | ZA202208475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259858B1 (en) * | 2018-02-06 | 2022-03-01 | Jason RAHIMZADEH | Endoscopy tube and device for cryotherapy |
CA3236823A1 (en) * | 2021-11-01 | 2023-05-04 | Aleksei Arievich KASHINTSEV | Stent-like catheter for isolating a region in a hollow organ of a mammal, and system based on the catheter |
AU2023260843A1 (en) | 2022-04-29 | 2024-12-12 | Arctx Medical,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cooling and/or heating an organ |
WO2024033700A1 (en) * | 2022-08-12 | 2024-02-15 | Pandica Ltd | Use of a catheter for isolating a region in a hollow organ of a mammal (variants) |
WO2024054234A1 (en) * | 2022-09-09 | 2024-03-14 | Bard Peripheral Vascular, Inc. | Coaxial needles and biopsy devices for performing a biopsy |
CN116747413A (zh) * | 2023-06-27 | 2023-09-15 | 无锡帕母医疗技术有限公司 | 导管装置及心衰治疗器械 |
CN117982197B (zh) * | 2023-12-21 | 2024-08-09 | 中国人民解放军海军第九七一医院 | 一种结石粉碎收集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09865A (en) | 1910-12-19 | 1911-11-28 | James H Sherman | Hollow metal tile. |
US4781677A (en) * | 1985-07-17 | 1988-11-01 | Wilcox Gilbert M | Method of treatment utilizing a double balloon nasobiliary occlusion catheter |
SU1461471A1 (ru) * | 1985-11-19 | 1989-02-28 | А. Ф. Малышев и В. И. Пуздаев | Катетер |
US5222941A (en) * | 1990-01-12 | 1993-06-29 | Don Michael T Anthony | Method of dissolving an obstruction in a vessel |
US5460610A (en) * | 1990-01-12 | 1995-10-24 | Don Michael; T. Anthony | Treatment of obstructions in body passages |
EP0492361B1 (en) | 1990-12-21 | 1996-07-31 |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 Fixed-wire dilatation catheter with rotatable balloon assembly |
US5135535A (en) | 1991-06-11 | 1992-08-04 |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 Catheter system with catheter and guidewire exchange |
US5314409A (en) | 1993-03-11 | 1994-05-24 | Uva Patents Foundation | Catheter for esophageal perfusion |
US5658264A (en) | 1994-11-10 | 1997-08-19 | Target Therapeutics, Inc. | High performance spiral-wound catheter |
US5843050A (en) | 1995-11-13 | 1998-12-01 | Micro Therapeutics, Inc. | Microcatheter |
US5951514A (en) * | 1997-03-07 | 1999-09-14 | Sahota; Harvinder | Multi-lobe perfusion balloon |
US5919163A (en) | 1997-07-14 | 1999-07-06 | Delcath Systems, Inc. | Catheter with slidable balloon |
AU764480B2 (en) * | 1999-07-17 | 2003-08-21 | Cook Group (Uk) Limited | Devices for extracting biliary or urinary stones |
US6638245B2 (en) | 2001-06-26 | 2003-10-28 | Concentric Medical, Inc. | Balloon catheter |
US6712798B2 (en) | 2002-03-18 | 2004-03-30 | Corazon Technologies, Inc. | Multilumen catheters and methods for their use |
AU2003245344A1 (en) | 2002-05-28 | 2003-12-12 | Endobionics, Inc. | Methods and apparatus for aspiration and priming of inflatable structures in catheters |
US7722568B2 (en) | 2007-01-29 | 2010-05-25 | Onset Medical Corporation | Expandable intra-aortic balloon pump sheath |
WO2009035581A1 (en) | 2007-09-10 | 2009-03-19 | Ziad Anwar Ali | Intra-aortic multi-balloon catheter for improving coronary and visceral perfusion |
EP2344230B1 (en) | 2008-11-03 | 2016-04-27 | Advanced Catheter Therapies, Inc. | Occlusion perfusion catheter |
US20150150572A1 (en) | 2013-12-04 | 2015-06-04 |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 Dual Balloon Biliary Stone Extraction Device |
RU2607929C2 (ru) * | 2015-06-30 | 2017-01-11 |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педиатрический медицин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ГБОУ ВПО СПбГПМУ Минздрава России)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панкреатита |
JP6704277B2 (ja) * | 2016-03-29 | 2020-06-03 | テルモ株式会社 | 医療用長尺体 |
US11524148B2 (en) * | 2016-12-06 | 2022-12-13 | University Of Maryland, Baltimore | Balloon catheter flow device |
-
2020
- 2020-12-28 CN CN202080097873.2A patent/CN115243623A/zh active Pending
- 2020-12-28 CA CA3166497A patent/CA3166497A1/en active Pending
- 2020-12-28 MX MX2022008113A patent/MX2022008113A/es unknown
- 2020-12-28 US US17/790,320 patent/US20230037101A1/en active Pending
- 2020-12-28 EP EP20866922.6A patent/EP4084695A1/en active Pending
- 2020-12-28 KR KR1020227026552A patent/KR20220137642A/ko active Pending
- 2020-12-28 BR BR112022012983A patent/BR112022012983A2/pt unknown
- 2020-12-28 JP JP2022541016A patent/JP2023514802A/ja active Pending
- 2020-12-28 PH PH1/2022/551614A patent/PH12022551614A1/en unknown
- 2020-12-28 WO PCT/RU2020/050399 patent/WO2021137739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2
- 2022-07-28 ZA ZA2022/08475A patent/ZA202208475B/en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23514802A (ja) | 2023-04-11 |
CN115243623A (zh) | 2022-10-25 |
WO2021137739A1 (en) | 2021-07-08 |
CA3166497A1 (en) | 2021-07-08 |
EP4084695A1 (en) | 2022-11-09 |
MX2022008113A (es) | 2022-09-19 |
BR112022012983A2 (pt) | 2022-09-13 |
PH12022551614A1 (en) | 2023-11-06 |
ZA202208475B (en) | 2023-03-29 |
WO2021137739A4 (en) | 2021-10-07 |
US20230037101A1 (en) | 2023-02-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20137642A (ko) | 포유동물의 중공 기관의 영역을 분리하기 위한 카테터 및 방법, 및 카테터를 기반으로 하는 시스템, 및 카테터의 용도 | |
May et al. | Double-balloon enteroscopy: preliminary experience in patients with obscure gastrointestinal bleeding or chronic abdominal pain | |
JP3884079B2 (ja) | 泌尿生殖路炎症状態診断装置及びシステム | |
US20110208022A1 (en) | Device and methods for sampling prostate fluid | |
EP4444189A1 (en) | Stent-like catheter for isolating a region in a hollow organ of a mammal, and system based on the catheter | |
RU2743144C1 (ru) | Катетер и способ для забора биологических жидкостей из дуоденальных сосочков, а также система на основе такого катетера и применение такого катетера | |
Ologun et al. | Successful retrieval of a retained rectal foreign body in the emergency department | |
RU2761080C1 (ru) | Катетер и способ для создания изолированной зоны в полом органе млекопитающего, а также система на основе такого катетера и применение такого катетера | |
RU2783089C1 (ru) | Применения катетера для создания изолированной зоны в полом органе млекопитающего (варианты) | |
RU2805216C1 (ru) | Применения катетера для создания изолированной зоны в полом органе млекопитающего (варианты) | |
Crema et al. | Proposal of a new technique for bile duct reconstruction after iatrogenic injury: study in dog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 |
RU57123U1 (ru) | Баллонный катетер с метками для интраоперационной эндобилиарной дилатации | |
EA045140B1 (ru) | Катетер и способ для создания изолированной области в полом органе млекопитающего, а также система на основе такого катетера и применение такого катетера | |
RU2569026C1 (ru) | Способ выбора тактики лечения кишечной непроходимости, вызванной опухолью левой половины ободочной и прямой кишки | |
RU2807166C1 (ru) | Применения катетера для создания изолированной области в полом органе млекопитающего для лечения повреждения стенки тощей кишки или подвздошной кишки (варианты) | |
WO2024033700A1 (en) | Use of a catheter for isolating a region in a hollow organ of a mammal (variants) | |
Altomare | Anal and rectal trauma | |
RU2621168C1 (ru) |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перфоративного дивертикула сигмовидного отдела толстой кишки | |
Han et al. | Bronchopleural fistula | |
Mie et al. | Serial pancreatic juice aspiration cytologic examination with balloon‐assisted enteroscopy in surgically altered anatomy. | |
Narasimhan et al. | Gallstone ileus following therapeutic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 |
Takahashi et al. | Successful endoscopic closure with endoscopic clips for endoscopic ultrasound related large duodenal perforation | |
RU2252041C1 (ru) | Гемостатический дуоденальный зонд | |
Kong et al. | Clinical Application of the Reverse Puncture Technique for Total Laparoscopic Colorectal Resection with Natural Orifice Specimen Extraction | |
RU2229314C2 (ru) |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пищеводно-желудочно-кишечный зонд максимов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2072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