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136819A - Clear coat composition for low temperature curing - Google Patents

Clear coat composition for low temperature cu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6819A
KR20220136819A KR1020210042976A KR20210042976A KR20220136819A KR 20220136819 A KR20220136819 A KR 20220136819A KR 1020210042976 A KR1020210042976 A KR 1020210042976A KR 20210042976 A KR20210042976 A KR 20210042976A KR 20220136819 A KR20220136819 A KR 20220136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resin
weight
coating film
composition
mgko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29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67438B1 (en
Inventor
김맹기
형우찬
최은성
이현주
강홍구
정윤섭
문성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210042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7438B1/en
Priority to CN202280025440.5A priority patent/CN117083352A/en
Priority to PCT/KR2022/004289 priority patent/WO2022211399A1/en
Publication of KR20220136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68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438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9Compounds containing one or more carbon-to-nitrogen double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r coat composition for low temperature curing, which includes an acrylic resin, a first polyester resin, a second polyester resin and an isocyanate-based curing agent. The first polyester resin has a hydroxyl value of 240 to 320 mgKOH/g, and the second polyester resin has a hydroxyl value of 100 to 180 mgKOH/g.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r paint composition capable of producing a coating film having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while being curable at a low temperature of 120 ℃ or less.

Description

저온 경화형 클리어 코트 조성물{CLEAR COAT COMPOSITION FOR LOW TEMPERATURE CURING}Low temperature curing type clear coat composition {CLEAR COAT COMPOSITION FOR LOW TEMPERATURE CURING}

본 발명은 저온 경화가 가능하여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제조된 도막의 외관 특성이 우수한 저온 경화형 클리어 코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w-temperature curing type clear coat composition that can be cured at a low temperature,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and the appearance characteristics of the prepared coating film are excellent.

일반적으로 차체 외판은 도막의 열화 및 녹 발생이 없어야 하고, 도막의 광택이나 색채를 유지할 수 있는 내구성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차량의 도장 공정은 통상적으로 전처리 공정을 거친 차체를 전착 도장한 후 밀착성 및 평활성의 향상을 위해 중도 도장을 실시하고, 차체의 미관을 위해 중도 도장된 차체에 베이스 도장을 실시한다. 이후 상기 베이스 도막의 색상을 보호하고 외관을 좋게 하며 외부로부터 베이스 도막을 보호하기 위해 클리어 도막을 도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general, the exterior plate of a vehicle body should not cause deterioration and rust of the coating film, and should have durability to maintain the luster or color of the coating film. Therefore, in the vehicle painting process, after electrodeposition painting of the vehicle body that has undergone the pretreatment process, intermediate painting is performed to improve adhesion and smoothness, and base painting is performed on the intermediately painted vehicle body for the aesthetics of the vehicle body. Thereafter, it is common to apply a clear coating film to protect the color of the base coating film, to improve the appearance, and to protect the base coating film from the outside.

종래 자동차용 클리어 도료로는 히드록실기를 포함하는 수지와 아미노수 지의 열경화성 코팅 조성물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열경화성 코팅 조성물을 사용할 경우, 범퍼, 백미러 등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되는 부품들은 고온 경화 조건에서 경화시 부품의 외관이 변형되거나 뒤틀림이 발생할 수 있어, 차체에서 분리되어 별도로 도장 공정을 수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차체에서 분리되어 별로도 도장한 플라스틱 소재 부품의 색상과 차체의 색상이 상이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플라스틱 소재 부품들이 차체에 결합된 일체로 도장 공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경화 온도를 낮춘 저온 경화형 클리어 도료 조성물이 주목받고 있다.Conventionally, as a clear paint for automobiles, a thermosetting coating composition of a resin containing a hydroxyl group and an amino resin is widely used. However, when using a conventional thermosetting coating composition, parts made of plastic materials such as bumpers and rearview mirrors may deform or distort the appearance of parts when cured under high temperature curing conditions. There was trouble. In addition, there w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color of the plastic material part separated from the body and painted separately and the color of the body were different. Accordingly, a low-temperature curing type clear paint composition in which the curing temperature is lowered so that the plastic material parts can be integrally combined with the vehicle body and the painting process can be performed is attracting attention.

이에 대한 대안으로 한국 등록특허 제1,655,621호(특허문헌 1)에는 2종의 아크릴릭 폴리올 수지, 폴리에스터 폴리올 수지, 반응성 실리콘 첨가제 및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를 포함하는 클리어 도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클리어 도료 조성물 등 종래 저온 경화형 클리어 도료 조성물은 이로부터 제조된 도막의 기계적 물성이 충분하지 않아 보수용 또는 부품류의 도장용으로만 적용될 수 있을 뿐, 차체 도장용으로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As an alternative to thi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655,621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clear paint composition comprising two types of acrylic polyol resin, polyester polyol resin, reactive silicone additive and isocyanate curing agent. However, the conventional low-temperature curing type clear paint composition, such as the clear paint composition of Patent Document 1, has insufficient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oating film prepared therefrom, so it can be applied only for repair or painting of parts, and is limited in application for body painting. there was

따라서, 120℃ 이하의 저온에서 경화 가능하면서도 이로부터 제조된 도막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여 차체 도장용으로 적용하기에 적합한 클리어 도료 조성물에 대한 연구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n a clear paint composition suitable for application to car body painting because it can be cured at a low temperature of 120° C. or less and has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of a coating film prepared therefrom.

한국 등록특허 제1,655,621호 (공개일: 2016. 6. 28.)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655,621 (published on: 2016. 6. 28.)

본 발명은 120℃ 이하의 저온에서 경화 가능하면서도,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도막을 제조할 수 있는 클리어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r paint composition capable of producing a coating film having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while being curable at a low temperature of 120° C. or less.

본 발명은 아크릴 수지, 제1 폴리에스터 수지, 제2 폴리에스터 수지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포함하고,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crylic resin, a first polyester resin, a second polyester resin, and an isocyanate-based curing agent,

상기 제1 폴리에스터 수지는 수산기가가 240 내지 320 mgKOH/g이며,The first polyester resin has a hydroxyl value of 240 to 320 mgKOH / g,

상기 제2 폴리에스터 수지는 수산기가가 100 내지 180 mgKOH/g인, 저온 경화형 클리어 코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The second polyester resin provides a low-temperature curable clear coat composition having a hydroxyl value of 100 to 180 mgKOH/g.

본 발명에 따른 클리어 도료 조성물은 120℃ 이하의 저온에서 경화 가능하여 도장 공정시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차체와 이에 결합된 소재 부품들을 일체로 도장할 수 있어서 도장 후 부품과 차체의 색상이 상이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한 번의 도장 공정으로 차체와 부품을 모두 도장할 수 있기 때문에 공정 상의 번거로움이나 비용의 손실을 절감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클리어 도료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도막은 경도, 부착성, 내수성, 내산성, 내스크래치성 및 내용제성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여 차체 도장용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The clear paint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ured at a low temperature of 120° C. or less, so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of the painting process, which is economical. The problem of different colors can be avoided. In addition, since both the car body and the parts can be painted in one painting proces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hassle or cost of the process. Furthermore, the coating film prepared from the clear paint composition has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hardness, adhesion, water resistance, acid resistance, scratch resistance and solvent resistance, and thus can be usefully used for car body painting.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중량평균분자량" 및 "수평균분자량"은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의 방법에 의해 측정된 것이며, 예를 들어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As used herein,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and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are measured by a conventional method known in the art, and may be measured by, for example, a gel permeation chromatograph (GPC) method.

또한, "유리전이온도"는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의 방법에 의해 측정된 것이며, 예를 들어 시차주사열량분석법(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으로 측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measured by a conventional method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it can be measured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산가" 및 "수산기가"와 같은 작용기가는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적정(titration)의 방법으로 측정한 값을 나타낼 수 있다.Functional groups such as "acid value" and "hydroxyl value" may be measured by a method well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may represent a value measured by a method of titra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메트)아크릴"은 "아크릴" 및/또는 "메타크릴"을 의미하고,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meth)acryl" means "acryl" and/or "methacrylic", and "(meth)acrylate" means "acrylate" and/or "methacrylate" .

본 발명에 따른 저온 경화형 클리어 코트 조성물은 아크릴 수지, 제1 폴리에스터 수지, 제2 폴리에스터 수지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포함한다. The low-temperature curable clear coat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crylic resin, a first polyester resin, a second polyester resin, and an isocyanate-based curing agent.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

아크릴 수지는 조성물에 도막 형성성 및 기계적 물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The acrylic resin serves to impart coating film form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to the composition.

상기 아크릴 수지는 공지된 방법에 따라 직접 합성된 것을 사용하거나, 시판되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크릴 수지는 비닐계 단량체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중 1종 이상을 중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The acrylic resin may be directly synthesized according to a known method, or a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may be used. For example, the acrylic resin may be prepared by polymerizing at least one of a vinyl-based monomer and a (meth)acrylate-based monomer.

상기 비닐계 단량체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스티렌, 메틸스티렌, 디메틸스티렌, 플루오로스티렌, 에톡시스티렌, 메톡시스티렌, 페닐렌 비닐 케톤, 비닐 t-부틸 벤조에이트, 비닐 사이클로 헥사노에이트,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피롤리돈, 비닐 클로라이드, 비닐 알코올, 아세톡시스티렌, t-부틸스티렌 및 비닐톨루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The type of the vinyl mono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for example, styrene, methylstyrene, dimethylstyrene, fluorostyrene, ethoxystyrene, methoxystyrene, phenylene vinyl ketone, vinyl t-butyl benzoate, vinyl cyclohexa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oate, vinyl acetate, vinyl pyrrolidone, vinyl chloride, vinyl alcohol, acetoxystyrene, t-butylstyrene and vinyltoluene may be used.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하이드록시기 미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하이드록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meth)acrylate-based monomer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hydroxyl group-free (meth)acrylate-based monomer and a hydroxy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 monomer.

상기 하이드록시기 미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메틸(메트)아크릴산,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헵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hydroxyl group-free (meth) acrylate monomer is, for example, (meth) acrylic acid, methyl (meth) acrylic acid, (meth) acrylate, methyl (meth) acrylate, ethyl (meth) acrylate, propyl ( Meth) acrylate, isopropyl (meth) acrylate, butyl (meth) acrylate, isobutyl (meth) acrylate, t-butyl (meth) acrylate, pentyl (meth) acrylate, hexyl (meth) acrylate , heptyl (meth) acrylate, isooctyl (meth) acrylate, octyl (meth) acrylate, 2-ethylhexyl (meth) acrylate, isodecyl (meth) acrylate, decyl (meth) acrylate, dodecyl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acrylate, isobornyl (meth)acrylate, and lauryl (meth)acrylate.

상기 하이드록실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알킬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2-하이드록시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 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및 2-하이드록시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hydroxy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 monomer may be, for example, a hydroxyalkyl-containing (meth)acrylate, specifically, 2-hydroxymethyl (meth)acrylate, 2-hydroxyethyl (meth)acrylate )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ate, 2-hydroxypropyl (meth)acrylate and 2-hydroxybutyl (meth)acrylate.

예를 들어, 상기 아크릴 수지는, 라디칼 중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개시제 및 중합 시간에 따라 물성, 즉 중량평균분자량(Mw), 수산기가(OHv), 산가(Av) 등을 조절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crylic resin can be prepared using a radical polymerization method, and the physical properties, i.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hydroxyl value (OHv), acid value (Av), etc.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initiator and polymerization time. have.

상기 아크릴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0 내지 40,000 g/mol, 15,000 내지 35,000 g/mol, 또는 20,000 내지 30,000 g/mol일 수 있다. 아크릴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제조된 도막의 경도가 우수할 수 있다. 또한, 아크릴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의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분자량이 작아 제조된 도막의 내수성 및 내화학성이 부족해지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분자량의 증가에 따라 점도도 증대되어 이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의 작업성이 불량해지고 레벨링성도 좋지 않아 우수한 외관을 갖는 도막을 제조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The acrylic resin may hav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10,000 to 40,000 g/mol, 15,000 to 35,000 g/mol, or 20,000 to 30,000 g/mol. Whe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acrylic resin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hardness of the prepared coating film may be excellent. In addition, whe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acrylic resin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 water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of the prepared coating film are insufficient due to the small molecular weight, and whe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acrylic resin is higher than the above range, the viscosity is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he molecular weight. Since workability is poor and leveling property is also poor, it may be difficult to manufacture a coating film having an excellent appearance.

또한, 상기 아크릴 수지는 수산기가(OHv)가 100 내지 200 mgKOH/g, 또는 145 내지 170 mgKOH/g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의 수산기가가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도막의 내후성 개선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 수지의 수산기가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경화제와의 가교 반응에 의한 도막 형성이 불충분하여 도막의 경도 및 내수성 등이 저하되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과경화 되어 도막이 브리틀(Brittle)해져 탄성이 떨어지고, 제조된 도막의 외관 및 내후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rylic resin may have a hydroxyl value (OHv) of 100 to 200 mgKOH/g, or 145 to 170 mgKOH/g. When the hydroxyl value of the acrylic resin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weather resistance of the coating film. In addition, when the hydroxyl value of the acrylic resin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 coating film formation by the crosslinking reaction with the curing agent is insufficient, and the hardness and water resistance of the coating film are reduced. ), resulting in poor elasticity, and deterioration of the appearance and weather resistance of the prepared coating film.

상기 아크릴 수지는 산가(Av)가 5 내지 15 mgKOH/g, 또는 8 내지 11 mgKOH/g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의 산가가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도료 조성물의 수분산성 및 저장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내수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 수지의 산가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경화반응 속도가 저하되어 제조된 도막의 외관 및 수지의 수분산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조성물의 점도가 증가하여 작업성 및 도막의 내수성이 불량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The acrylic resin may have an acid value (Av) of 5 to 15 mgKOH/g, or 8 to 11 mgKOH/g. When the acid value of the acrylic resin is within the above range, water dispersibility and storage stability of the coating composition are improved, and water resistance is improved. In addition, when the acid value of the acrylic resin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uring reaction rate is lowered,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prepared coating film and the water dispersion stability of the resin are lowered. There may be a problem in that the water resistance and water resistance of the coating film are poor.

또한, 상기 아크릴 수지는 유리전이온도(Tg)가 20 내지 100 ℃, 40 내지 70 ℃, 또는 52 내지 58 ℃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의 유리전이온도가 상기 범위 내일 경우, 조성물의 도막 형성성과 소포성, 및 도막의 광택 특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 수지의 유리전이온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도막의 건조 속도 및 가교 밀도가 저하되어 제조된 도막의 내충격성 및 내수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도막이 브리틀(Brittle) 해지면서 도막의 외관 및 경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rylic resin may have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20 to 100 °C, 40 to 70 °C, or 52 to 58 °C. Whe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acrylic resin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coating film formation and defoaming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nd the gloss properties of the coating film. In addition, whe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acrylic resin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rying rate and crosslinking density of the coating film are lowered, thereby reducing the impact resistance and water resistance of the prepared coating film. Brittle), the appearance and hardness of the coating film may deteriorate.

상기 아크릴 수지는 고형분 함량(NV)이 수지 총 중량에 대하여 60 내지 80 중량%, 65 내지 75 중량%, 또는 68 내지 73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의 고형분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수지의 저장 안정성 및 도료 조성물의 저장 안정성이 개선되고 작업성이 우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 수지의 고형분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점도가 지나치게 낮아져 이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의 작업성이 부족해지는 문제가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아크릴 수지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 반응 중 안정성이 떨어지며, 분산 안정성이 나빠져 시간이 지나면 응집이 발생할 수 있다.The acrylic resin may have a solid content (NV) of 60 to 80 wt%, 65 to 75 wt%, or 68 to 73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resin. When the solid content of the acrylic resin is within the above range, storage stability of the resin and storage stability of the coating composition may be improved, and workability may be excellent. In addition, when the solid content of the acrylic resin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iscosity is too low and the workability of the coating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is insufficient. falls, and dispersion stability deteriorates, and agglomeration may occur over time.

또한, 상기 아크릴 수지는 도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 내지 35 중량%, 또는 20 내지 3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가 상기 함량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우, 도막의 부착성 및 내충격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 수지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건조성이 저하되어 도막의 부착력 및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도료 점도가 높아져 도장 작업성, 칠흐름성 및 내수성이 저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rylic resin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15 to 35% by weight, or 20 to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ating composition. When the acrylic resin is included within the content range,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adhesion and impact resistance of the coating film. In addition, when the content of the acrylic resin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 dryness may be lowered, so that the adhesion and durability of the coating film may be reduced. can be

제1 폴리에스터 수지first polyester resin

제1 폴리에스터 수지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와 화학적 결합을 통해 제조된 도막의 외관 특성 및 기계적 물성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polyester resin serves to form the appearance characteristic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oating film prepared through chemical bonding with an isocyanate-based curing agent.

상기 제1 폴리에스터 수지는 공지된 방법에 따라 직접 합성된 것을 사용하거나, 시판되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폴리에스터 수지는 제1 카르복실산과 제1 폴리올을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The first polyester resin may be directly synthesized according to a known method, or a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may be used. For example, the first polyester resin may be prepared by reacting the first carboxylic acid with the first polyol.

이때, 상기 제1 카르복실산은 예를 들어, 아디프산(AA), 이소프탈산(IPA), 트리말레트산 무수물(TMA), 지환족산, 프탈산 무수물,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숙신산, 아디프산, 푸마르산, 말레산 무수물,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무수물(HHPA), 헥사히드로프탈산 무수물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carboxylic acid is, for example, adipic acid (AA), isophthalic acid (IPA), trimmaletic anhydride (TMA), alicyclic acid, phthalic anhydride, isophthalic acid, terephthalic acid, succinic acid, adipic acid, I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umaric acid, maleic anhydride, tetrahydrophthalic anhydride (HHPA), hexahydrophthalic anhydride, and derivatives thereof.

상기 제1 폴리올은 예를 들어, 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 1,6-헥산디올(1,6-HD), 네오펜틸글리콜(NPG), 트리메틸올 프로판(TMP),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부탄디올 1,4-헥산디올 및 3-메틸펜탄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The first polyol is, for example, methoxypolyethylene glycol, 1,6-hexanediol (1,6-HD), neopentyl glycol (NPG), trimethylol propane (TMP), eth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diethylene I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lycol, butanediol 1,4-hexanediol, and 3-methylpentanediol.

상기 제1 폴리에스터 수지는 수산기가(OHv)가 240 내지 320 mgKOH/g, 또는 260 내지 290 mgKOH/g일 수 있다. 제1 폴리에스터 수지의 수산기가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도막의 퍼짐성을 향상시키고 우레탄 반응에 의한 내화학성을 향상시키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폴리에스터 수지의 수산기가의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와의 가교 밀도가 부족하여 제조된 도막의 내구성 및 내화학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과경화 되어 도막이 브리틀(Brittle)해져 내충격성 및 내한치핑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The first polyester resin may have a hydroxyl value (OHv) of 240 to 320 mgKOH/g, or 260 to 290 mgKOH/g. When the hydroxyl value of the first polyester resin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spreadability of the coating film and improving the chemical resistance by the urethane reaction. In addition, when the hydroxyl value of the first polyester resin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urability and chemical resistance of the prepared coating film are reduced due to insufficient crosslinking density with the isocyanate-based curing agent. The coating film may be brittle, resulting in deterioration of impact resistance and cold chipping resistance.

또한, 상기 제1 폴리에스터 수지는 수평균분자량(Mn)이 100 내지 1,000 g/mol, 200 내지 900 g/mol, 또는 300 내지 800 g/mol일 수 있다. 제1 폴리에스터 수지의 수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도료의 평활성 및 부드러운(SOFT) 도막을 형성하는 효과가 있다. 제1 폴리에스터 수지의 수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분자량이 작아 제조된 도막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분자량 증가에 따른 흐름성이 저하되어 외관 저하 및 도막이 브리틀(Brittle)해져서 내한치핑성 및 내충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olyester resin may have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of 100 to 1,000 g/mol, 200 to 900 g/mol, or 300 to 800 g/mol. When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first polyester resin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re is an effect of forming a smooth and soft (SOFT) coating film of the coating material. When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first polyester resin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 molecular weight is small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repared coating film are reduced. There may be problems in which cold chipping resistance and impact resistance are deteriorated due to being brittle.

상기 제1 폴리에스터 수지는 산가(Av)가 5 내지 35 mgKOH/g, 또는 15 내지 25 mgKOH/g일 수 있다. 제1 폴리에스터 수지의 산가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열처리에 의한 급격한 경화가 방지되어 도막의 외관 불량을 방지하고 기포(popping)가 생기는 것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제1 폴리에스터 수지의 산가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경화 반응 속도가 저하되어 제조된 도막의 경도와 외관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친수성이 향상됨에 따라 내수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The first polyester resin may have an acid value (Av) of 5 to 35 mgKOH/g, or 15 to 25 mgKOH/g. When the acid value of the first polyester resin is within the above range, rapid hardening by heat treatment is prevented, thereby preventing poor appearance of the coating film and reducing the occurrence of popping. When the acid value of the first polyester resin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uring reaction rate is lowered and the hardness and appearance characteristics of the prepared coating film are lowered, and when it exceeds the above range, the water resistance is lowered as the hydrophilicity is improved. may occur.

또한, 상기 제1 폴리에스터 수지는 고형분 함량(NV)이 수지 총 중량에 대하여 50 내지 80 중량%, 또는 60 내지 70 중량%일 수 있다. 제1 폴리에스터 수지의 고형분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높은 고형분에 의한 총 휘발성 유기 화합물(TVOC)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제1 폴리에스터 수지의 고형분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조성물의 고형분 저하로 경화 반응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제조된 도료의 작업성 열세가 발생하여 외관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olyester resin may have a solid content (NV) of 50 to 80% by weight, or 60 to 7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resin. When the solid content of the first polyester resin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content of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TVOC) due to the high solid content. When the solid content of the first polyester resin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uring reactivity is lowered due to a decrease in the solid content of the composition, and when it exceeds the above range, the workability of the prepared paint is inferior and the appearance is deteriorated. can occur

또한, 상기 제1 폴리에스터 수지는 도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15 중량%, 또는 8 내지 12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폴리에스터 수지가 상기 함량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우, 외관, 내스크래치성 및 도막 평활성 향상의 효과가 있다. 조성물 내 제1 폴리에스터 수지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가교 밀도가 저하되어 기계적 물성 및 외관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조성물의 점도가 과도하게 높아져 작업성 및 건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olyester resin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5 to 15% by weight, or 8 to 12%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ating composition. When the first polyester resin is included within the content range,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appearance, scratch resistance and smoothness of the coating film. When the content of the first polyester resin in the composition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rosslinking density is lowered and mechanical properties and appearance are deteriorated. There may be problems with degradation.

상기 조성물은 제1 폴리에스터 수지 및 제2 폴리에스터 수지를 1.5:1 내지 2.5:1, 또는 1.8:1 내지 2.2: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폴리에스터 수지 및 제2 폴리에스터 수지의 혼합 중량비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제조된 도막의 내구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제1 폴리에스터 수지 및 제2 폴리에스터 수지의 혼합 중량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제조된 도막의 가교밀도가 저하되어 내구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져 건조성 및 경화 반응성이 저하되어 제조된 도막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The composition may include the first polyester resin and the second polyester resin in a weight ratio of 1.5:1 to 2.5:1, or 1.8:1 to 2.2:1. When the mixing weight ratio of the first polyester resin and the second polyester resin is within the above range, durability and scratch resistance of the prepared coating film are improved. When the mixing weight ratio of the first polyester resin and the second polyester resin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rosslinking density of the prepared coating film is lowered to lower durability and scratch resistance, and when it exceeds the above range, the viscosity of the composition This may cause a problem in that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repared coating film are deteriorated due to the decrease in dryness and curing reactivity.

제2 폴리에스터 수지Second polyester resin

제2 폴리에스터 수지는 조성물의 고형분 함량을 높이고, 제조된 도막의 외관, 평활성, 내스크래치성 및 슬립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second polyester resin serves to increase the solid content of the composition and improve the appearance, smoothness, scratch resistance and slip properties of the prepared coating film.

상기 제2 폴리에스터 수지는 공지된 방법에 따라 직접 합성된 것을 사용하거나, 시판되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폴리에스터 수지는 제2 카르복실산과 제2 폴리올을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The second polyester resin may be directly synthesized according to a known method, or a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may be used. For example, the second polyester resin may be prepared by reacting the second carboxylic acid with the second polyol.

이때, 상기 제2 카르복실산은 예를 들어, 아디프산(AA), 이소프탈산(IPA), 트리말레트산 무수물(TMA), 지환족산, 프탈산 무수물,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숙신산, 아디프산, 푸마르산, 말레산 무수물,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무수물, 헥사히드로프탈산 무수물(HHPA), 이소노난산(INA)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cond carboxylic acid is, for example, adipic acid (AA), isophthalic acid (IPA), trimmaletic anhydride (TMA), cycloaliphatic acid, phthalic anhydride, isophthalic acid, terephthalic acid, succinic acid, adipic acid, I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umaric acid, maleic anhydride, tetrahydrophthalic anhydride, hexahydrophthalic anhydride (HHPA), isononanoic acid (INA), and derivatives thereof.

상기 제2 폴리올은 1,6-헥산디올(1,6-HD), 펜타에리스리톨(pentaerythritol), 솔비톨(sorbitol),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NPG), 트리메틸올 프로판(TMP),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부탄디올 1,4-헥산디올 및 3-메틸펜탄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The second polyol is 1,6-hexanediol (1,6-HD), pentaerythritol, sorbitol, methoxy polyethylene glycol, neopentyl glycol (NPG), trimethylol propane (TMP), ethylene I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lycol, propylene glycol, diethylene glycol, butanediol 1,4-hexanediol and 3-methylpentanediol.

상기 제2 폴리에스터 수지는 수산기가(OHv)가 100 내지 180 mgKOH/g, 또는 130 내지 150 mgKOH/g일 수 있다. 제2 폴리에스터 수지의 수산기가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도막의 퍼짐성을 향상시키고 우레탄 반응에 의한 내화학성을 향상시키 효과가 있다. 또한, 제2 폴리에스터 수지의 수산기가의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와의 가교 밀도가 부족하여 제조된 도막의 외관, 내구성 및 내화학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과경화되어 도막이 브리틀(Brittle)해져서 도장 작업성 및 내한치핑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The second polyester resin may have a hydroxyl value (OHv) of 100 to 180 mgKOH/g, or 130 to 150 mgKOH/g. When the hydroxyl value of the second polyester resin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spreadability of the coating film and improving the chemical resistance due to the urethane reaction. In addition, when the hydroxyl value of the second polyester resin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 crosslinking density with the isocyanate-based curing agent is insufficient,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ppearance, durability and chemical resistance of the prepared coating film are lowered. This may cause a problem in that the coating film becomes brittle and the coating workability and cold-resistant chipping properties are deteriorated.

또한, 상기 제2 폴리에스터 수지는 수평균분자량(Mn)이 1,200 내지 5,000 g/mol, 1,300 내지 4,500 g/mol, 또는 1,500 내지 4,000 g/mol일 수 있다. 제2 폴리에스터 수지의 수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도료의 평활성 및 부드러운(SOFT) 도막을 형성하는 효과가 있다. 제2 폴리에스터 수지의 수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분자량이 작아 제조된 도막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분자량 증가에 따른 흐름성이 저하되어 외관 저하 및 도막이 딱딱해져 내한치핑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polyester resin may have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of 1,200 to 5,000 g/mol, 1,300 to 4,500 g/mol, or 1,500 to 4,000 g/mol. When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second polyester resin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re is an effect of forming a smooth and soft (SOFT) coating film of the paint. When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second polyester resin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 molecular weight is small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repared coating film are reduced. This may cause a problem of deterioration of cold chipping resistance due to hardening.

또한, 상기 제2 폴리에스터 수지는 산가(Av)가 10 내지 40 mgKOH/g, 또는 20 내지 30 mgKOH/g일 수 있다. 제2 폴리에스터 수지의 산가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열처리에 의한 급격한 경화가 방지되어 도막의 외관 불량을 방지하고 기포(popping)가 생기는 것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제2 폴리에스터 수지의 산가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경화 반응 속도가 저하되어 제조된 도막의 경도와 외관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친수성이 향상됨에 따라 내수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polyester resin may have an acid value (Av) of 10 to 40 mgKOH/g, or 20 to 30 mgKOH/g. When the acid value of the second polyester resin is within the above range, rapid hardening by heat treatment is prevented, thereby preventing poor appearance of the coating film and reducing the occurrence of popping. When the acid value of the second polyester resin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uring reaction rate is lowered and the hardness and appearance characteristics of the prepared coating film are lowered, and when it exceeds the above range, the water resistance is lowered as the hydrophilicity is improved. may occur.

상기 제2 폴리에스터 수지는 고형분 함량(NV)이 수지 총 중량에 대하여 60 내지 80 중량%, 또는 65 내지 75 중량%일 수 있다. 제2 폴리에스터 수지의 고형분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높은 고형분에 의한 총 휘발성 유기 화합물(TVOC)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제2 폴리에스터 수지의 고형분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조성물의 고형분 함량이 낮아져 경화 반응성이 저하되어 제조된 도막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제조된 도료의 작업성이 열세해져 도막의 외관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The second polyester resin may have a solid content (NV) of 60 to 80% by weight, or 65 to 7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resin. When the solid content of the second polyester resin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content of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TVOC) due to the high solid content. When the solid content of the second polyester resin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olid content of the composition is lowered and the curing reactivity is lowered to lower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repared coating film, and when it exceeds the above range, the workability of the prepared paint This deterioration may cause a problem in that the appearance characteristics of the coating film are deteriorated.

또한, 상기 제2 폴리에스터 수지는 도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 또는 3 내지 7 중량%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 폴리에스터 수지가 상기 함량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우, 외관, 내스크래치성 및 도막 평활성 향상의 효과가 있다. 조성물 내 제2 폴리에스터 수지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도막의 가교밀도가 저하되어 내한치핑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조성물의 점도가 과도하게 높아져 작업성 및 건조성이 저하되어 외관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polyester resin may be included in the composition in an amount of 1 to 10% by weight, or 3 to 7%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ating composition. When the second polyester resin is included within the content range,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appearance, scratch resistance and smoothness of the coating film. When the content of the second polyester resin in the composition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rosslinking density of the coating film is lowered to lower the cold chipping resistance and scratch resistance, and when it exceeds the above range, the viscosity of the composition becomes excessively high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appearance is deteriorated due to deterioration of properties and drying properties.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Isocyanate-based curing agent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수지의 수산기와 반응하여 우레탄 결합을 형성하여 조성물을 경화시킴으로써 도막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The isocyanate-based curing agent acts to form a coating film by reacting with the hydroxyl group of the resin as described above to form a urethane bond to cure the composition.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황변 현상이 없는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사이클로헥실 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The type of the isocyanate-based curing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n aliphatic polyisocyanate compound without yellowing. Specifically, the isocyanate-based curing agent may include hexamethylene diisocyanate, isophorone diisocyanate, 4,4'-dicyclohexyl methane diisocyanate, tetramethyl xylene diisocyanate, or a mixture thereof.

또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경화제 총 중량에 대하여 미반응 이소시아네이트기의 함량(NCO%)이 15 내지 30 중량%, 또는 19 내지 24 중량%일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NCO%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도막의 가교 밀도가 저하되어 도막의 내충격성, 내수성 및 내한치핑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경화 속도가 증대되고 수지가 응집되어 도막의 외관 특성, 광택 및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socyanate-based curing agent may have a content of unreacted isocyanate groups (NCO%) of 15 to 30% by weight, or 19 to 24%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uring agent. When the NCO% of the isocyanate-based curing agent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rosslinking density of the coating film is lowered and the impact resistance, water resistance and cold chipping resistance of the coating film are lowered. As a result, the appearance characteristics, glos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oating film may be deteriorated.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도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35 중량%, 또는 24 내지 29 중량%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조성물의 반응성이 부족하여 가교 밀도가 저하되어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경화 후 도막 내에 미반응 이소시아네이트기가 발생하여 도막의 외관 및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The isocyanate-based curing agent may be included in the composition in an amount of 20 to 35% by weight, or 24 to 29%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ating composition. When the content of the isocyanate-based curing agent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rosslinking density is lowered and mechanical properties are lowered due to insufficient reactivity of the composition. And workability may be deteriorated.

상기 클리어 코트 조성물은 용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clear coat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solvent.

용제solvent

용제는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고, 건조성을 개선하며, 제조된 도막의 외관 특성 및 퍼짐성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solvent controls the viscosity of the composition, improves dryness, and serves to improve the appearance characteristics and spreadability of the prepared coating film.

상기 용제는 통상적으로 클리어 코트 조성물에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방향족, 아세테이트계, 알콜계 및 프로피오네이트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제는 톨루엔 및 크실렌 등의 방향족 용제; 1-메톡시-2-프로필아세테이트,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n-프로필아세테이트, n-부틸아세테이트, 메틸 글루타레이트, 메틸 석신에이트, 메틸 아디페이트, 디메틸 글루타레이트, 디메틸 석신에이트, 디메틸 아디페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PMA), 부틸 카르비톨 아세테이트, 부틸 셀로솔브 아세테이트 등의 아세테이트계 용제; n-부탄올, 프로판올, 1-메톡시-2-프로판올, 2-부톡시에탄올 등의 알콜계 용제;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부틸케톤 및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계; 및 에틸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 등의 프로피오네이트계 용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족 용제의 시판품으로는 코코졸 #100, 코코졸 #150 등을 들 수 있다.The solv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commonly used in the clear coat composition,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romatics, acetates, alcohols, and propionates. Specifically, the solvent is an aromatic solvent such as toluene and xylene; 1-Methoxy-2-propyl acetate, methyl acetate, ethyl acetate, n-propyl acetate, n-butyl acetate, methyl glutarate, methyl succinate, methyl adipate, dimethyl glutarate, dimethyl succinate, dimethyl adipate acetate-based solvents such as pate, 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acetate (PMA), butyl carbitol acetate, and butyl cellosolve acetate; alcohol solvents such as n-butanol, propanol, 1-methoxy-2-propanol, and 2-butoxyethanol; ketones such as acetone, methyl ethyl ketone, methyl butyl ketone and methyl isobutyl ketone; and propionate solvents such as ethyl ethoxypropionate; and the like. Moreover, Cocosol #100, Cocosol #150, etc. are mentioned as a commercial item of the said aromatic solvent.

또한, 상기 용제는 도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 내지 45 중량%, 또는 25 내지 35 중량%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용제가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우, 조성물의 점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작업성 및 건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olvent may be included in the composition in an amount of 15 to 45% by weight, or 25 to 3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ating composition. When the solvent is included within the above range, the viscosity of the composition is appropriately adjusted to improve workability and dryness.

첨가제additive

본 발명에 따른 클리어 코트 조성물은 경화 촉매, 자외선 흡수제, 표면 평활제 및 흐름성 조절제 등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첨가제는 통상적으로 도료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The clear coat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dditives such as a curing catalyst, a UV absorber, a surface smoothing agent, and a flow control agent. In this case, the additiv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be added to the coating composition in general.

또한,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통상적으로 클리어 코트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범위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첨가제는 도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 또는 3 내지 7 중량%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ent of the additiv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be included in the clear coat composition. For example, the additive may be included in the composition in an amount of 1 to 10% by weight, or 3 to 7%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ating composition.

2액형 도료 조성물Two-component paint composition

상기 클리어 도료 조성물은 주제부 및 경화제부를 포함하는 2액형 도료 조성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클리어 도료 조성물은 아크릴 수지, 제1 폴리에스터 수지, 제2 폴리에스터 수지, 용제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주제부;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포함하는 경화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리어 도료 조성물은 도포 전 상기 주제부와 경화제부를 혼합한 후 사용할 수 있다. The clear paint composition may be a two-component paint composition including a main part and a curing agent part. For example, the clear paint composition may include a main part including an acrylic resin, a first polyester resin, a second polyester resin, a solvent, and an additive; and a curing agent unit including an isocyanate-based curing agent. In addition, the clear paint composition may be used after mixing the main part and the curing agent part before application.

상기 클리어 도료 조성물은 고형분 함량이 40 내지 60 중량%, 또는 45 내지 5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클리어 도료 조성물의 고형분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조성물의 도장 작업성이 적절해지는 장점이 있다.The clear paint composition may have a solid content of 40 to 60% by weight, or 45 to 55% by weight. When the solid content of the clear coating composition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oating workability of the composition is appropriate.

상기 클리어 도료 조성물은 60℃ 내지 120℃, 70℃ 내지 110℃, 또는 80℃ 내지 110℃에서 경화될 수 있다. 상기 클리어 도료 조성물은 상기 온도 범위 내에서 경화 가능하므로, 도장 공정시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차체와 이에 결합된 소재 부품들을 일체로 도장할 수 있어서 도장 후 부품과 차체의 색상이 상이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한 번의 도장 공정으로 차체와 부품을 모두 도장할 수 있기 때문에 공정 상의 번거로움이나 비용의 손실을 절감할 수 있다.The clear paint composition may be cured at 60°C to 120°C, 70°C to 110°C, or 80°C to 110°C. Since the clear paint composition can be cured within the above temperature rang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required for the painting process, which is economical, and since the car body and the material parts coupled thereto can be painted integrally, the color of the parts and the car body after painting is changed. Different problems can be avoided. In addition, since both the car body and the parts can be painted in one painting proces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hassle or cost of the process.

상기 클리어 도료 조성물은 25℃에서의 포드컵 4번을 기준으로 40 내지 70 초, 또는 50 내지 60 초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클리어 도료 조성물의 25℃에서의 점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수직면 흘러내림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 이로부터 제조된 도막의 외관 특성이 저하거나 도장기에 부하가 걸려 도장기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The clear paint composition may have a viscosity of 40 to 70 seconds, or 50 to 60 seconds based on Pod Cup No. 4 at 25°C. When the viscosity at 25° C. of the clear paint composition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problems such as vertical flow down may occur. A load may be applied to the machine and cause a failure of the sprayer.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리어 도료 조성물은 120℃ 이하의 저온에서 경화 가능하여 도장 공정시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차체와 이에 결합된 소재 부품들을 일체로 도장할 수 있어서 도장 후 부품과 차체의 색상이 상이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한 번의 도장 공정으로 차체와 부품을 모두 도장할 수 있기 때문에 공정 상의 번거로움이나 비용의 손실을 절감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클리어 도료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도막은 경도, 부착성, 내수성, 내산성, 내스크래치성 및 내용제성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여 차체 도장용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lear paint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ured at a low temperature of 120° C. or less, thereby reducing the cost required during the painting process, and thus is economical, and the vehicle body and the material parts coupled thereto can be integrally painted. It is possible to avoid the problem that the color of the rear parts and the body are different. In addition, since both the car body and the parts can be painted in one painting proces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hassle or cost of the process. Furthermore, the coating film prepared from the clear paint composition has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hardness, adhesion, water resistance, acid resistance, scratch resistance and solvent resistance, and thus can be usefully used for car body painting.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떠한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amples. However, these examples are only for helping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in any sense.

[실시예][Example]

실시예 1 내지 15 및 비교예 1 내지 7. 클리어 코트 조성물의 제조Examples 1 to 15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7. Preparation of clear coat composition

표 1 내지 3과 같은 함량의 성분을 혼합하여 25℃에서의 점도가 포드컵 4호를 기준으로 55초의 클리어 코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A clear coat composition having a viscosity at 25°C of 55 seconds based on Podcup No. 4 was prepared by mixing the components in the content shown in Tables 1 to 3.

구성(중량%)Composition (wt%) 실시예Example 1One 22 33 44 55 66 77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 2525 2525 2525 2525 2525 2525 2525 제1폴리에스터 수지-1First polyester resin-1 9.89.8 -- -- 9.89.8 9.89.8 88 1212 제1폴리에스터 수지-2First polyester resin-2 -- 9.89.8 -- -- -- -- -- 제1폴리에스터 수지-31st polyester resin-3 -- -- 9.89.8 -- -- -- -- 제1폴리에스터 수지-41st polyester resin-4 -- -- -- -- -- -- -- 제1폴리에스터 수지-51st polyester resin-5 -- -- -- -- -- -- -- 제2폴리에스터 수지-1Second polyester resin-1 4.84.8 4.84.8 4.84.8 -- -- 4.84.8 4.84.8 제2폴리에스터 수지-2Second polyester resin-2 -- -- -- 4.84.8 -- -- -- 제2폴리에스터 수지-32nd polyester resin-3 -- -- -- -- 4.84.8 -- -- 제2폴리에스터 수지-42nd polyester resin-4 -- -- -- -- -- -- -- 제2폴리에스터 수지-52nd polyester resin-5 -- -- -- -- -- -- --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Isocyanate-based curing agent 2626 2626 2626 2626 2626 2626 2626 경화 촉매curing catalyst 0.10.1 0.10.1 0.10.1 0.10.1 0.10.1 0.10.1 0.10.1 자외선 흡수제UV absorber 1.61.6 1.61.6 1.61.6 1.61.6 1.61.6 1.61.6 1.61.6 표면 평활제surface leveling agent 0.50.5 0.50.5 0.50.5 0.50.5 0.50.5 0.50.5 0.50.5 흐름성 조절제flow regulator 2.92.9 2.92.9 2.92.9 2.92.9 2.92.9 2.92.9 2.92.9 용제solvent 29.329.3 29.329.3 29.329.3 29.329.3 29.329.3 31.131.1 27.127.1 총합total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구성(중량%)Composition (wt%) 실시예Example 88 99 1010 1111 1212 1313 1414 1515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 2525 2525 2525 2525 1717 3333 1212 3838 제1폴리에스터 수지-1First polyester resin-1 66 1313 33 1818 9.89.8 9.89.8 9.89.8 9.89.8 제1폴리에스터 수지-2First polyester resin-2 -- -- -- -- -- -- -- -- 제1폴리에스터 수지-3First polyester resin-3 -- -- -- -- -- -- -- -- 제1폴리에스터 수지-41st polyester resin-4 -- -- -- -- -- -- -- -- 제1폴리에스터 수지-51st polyester resin-5 -- -- -- -- -- -- -- -- 제2폴리에스터 수지-1Second polyester resin-1 4.84.8 4.84.8 4.84.8 4.84.8 4.84.8 4.84.8 4.84.8 4.84.8 제2폴리에스터 수지-2Second polyester resin-2 -- -- -- -- -- -- -- -- 제2폴리에스터 수지-32nd polyester resin-3 -- -- -- -- -- -- -- -- 제2폴리에스터 수지-42nd polyester resin-4 -- -- -- -- -- -- -- -- 제2폴리에스터 수지-52nd polyester resin-5 -- -- -- -- -- -- -- --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Isocyanate-based curing agent 2626 2626 2626 2626 2626 2626 2626 2626 경화 촉매curing catalyst 0.10.1 0.10.1 0.10.1 0.10.1 0.10.1 0.10.1 0.10.1 0.10.1 자외선 흡수제UV absorber 1.61.6 1.61.6 1.61.6 1.61.6 1.61.6 1.61.6 1.61.6 1.61.6 표면 평활제surface leveling agent 0.50.5 0.50.5 0.50.5 0.50.5 0.50.5 0.50.5 0.50.5 0.50.5 흐름성 조절제flow regulator 2.92.9 2.92.9 2.92.9 2.92.9 2.92.9 2.92.9 2.92.9 2.92.9 용제solvent 33.133.1 26.126.1 36.136.1 21.121.1 37.337.3 21.321.3 42.342.3 16.316.3 총합total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구성(중량%)Composition (wt%)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One 22 33 44 55 66 77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 2525 2525 2525 2525 -- 2525 2525 제1폴리에스터 수지-1First polyester resin-1 -- -- 9.89.8 9.89.8 1515 -- 9.89.8 제1폴리에스터 수지-2First polyester resin-2 -- -- -- -- -- -- -- 제1폴리에스터 수지-3First polyester resin-3 -- -- -- -- -- -- -- 제1폴리에스터 수지-41st polyester resin-4 9.89.8 -- -- -- -- -- -- 제1폴리에스터 수지-51st polyester resin-5 9.89.8 -- -- -- -- -- 제2폴리에스터 수지-1Second polyester resin-1 4.84.8 4.84.8 -- -- 77 4.84.8 -- 제2폴리에스터 수지-2Second polyester resin-2 -- -- -- -- -- -- -- 제2폴리에스터 수지-32nd polyester resin-3 -- -- 4.84.8 -- -- -- -- 제2폴리에스터 수지-42nd polyester resin-4 -- -- 4.84.8 -- -- -- 제2폴리에스터 수지-52nd polyester resin-5 -- -- -- -- -- -- --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Isocyanate-based curing agent 2626 2626 2626 2626 2929 2626 2626 경화 촉매curing catalyst 0.10.1 0.10.1 0.10.1 0.10.1 0.10.1 0.10.1 0.10.1 자외선 흡수제UV absorber 1.61.6 1.61.6 1.61.6 1.61.6 1.61.6 1.61.6 1.61.6 표면 평활제surface leveling agent 0.50.5 0.50.5 0.50.5 0.50.5 0.50.5 0.50.5 0.50.5 흐름성 조절제flow regulator 2.92.9 2.92.9 2.92.9 2.92.9 2.92.9 2.92.9 2.92.9 용제solvent 29.329.3 29.329.3 29.329.3 29.329.3 43.943.9 39.139.1 34.134.1 총합total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이하, 비교예 및 실시예에서 사용한 각 성분들의 제조사 및 제품명, 또는 성분명 등은 표 4에 나타냈다.Hereinafter, the manufacturers and product names, or component names, etc. of each component used in Comparative Examples and Examples are shown in Table 4.

구성composition 제조사 및 제품명, 물성 또는 화합물명Manufacturer and product name, physical property or compound name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 Mw: 25,000g/mol, OHv: 155mgKOH/g, Av: 9mgKOH/g, Tg: 56℃, NV: 70중량%Mw: 25,000 g/mol, OHv: 155 mgKOH/g, Av: 9 mgKOH/g, Tg: 56°C, NV: 70 wt% 제1폴리에스터 수지-1First polyester resin-1 Mn: 500g/mol, OHv: 275mgKOH/g, Av: 20mgKOH/g, NV: 65중량Mn: 500 g/mol, OHv: 275 mgKOH/g, Av: 20 mgKOH/g, NV: 65 weight 제1폴리에스터 수지-2First polyester resin-2 Mn: 500g/mol, OHv: 250mgKOH/g, Av: 20mgKOH/g, NV: 65중량Mn: 500 g/mol, OHv: 250 mgKOH/g, Av: 20 mgKOH/g, NV: 65 weight 제1폴리에스터 수지-31st polyester resin-3 Mn: 500g/mol, OHv: 310mgKOH/g, Av: 20mgKOH/g, NV: 65중량Mn: 500 g/mol, OHv: 310 mgKOH/g, Av: 20 mgKOH/g, NV: 65 weight 제1폴리에스터 수지-41st polyester resin-4 Mn: 500g/mol, OHv: 228mgKOH/g, Av: 20mgKOH/g, NV: 65중량Mn: 500 g/mol, OHv: 228 mgKOH/g, Av: 20 mgKOH/g, NV: 65 weight 제1폴리에스터 수지-51st polyester resin-5 Mn: 500g/mol, OHv: 330mgKOH/g, Av: 20mgKOH/g, NV: 65중량Mn: 500 g/mol, OHv: 330 mgKOH/g, Av: 20 mgKOH/g, NV: 65 weight 제2폴리에스터 수지-1Second polyester resin-1 Mn: 1,950g/mol, OHv: 135mgKOH/g, Av: 25mgKOH/g, NV: 69중량Mn: 1,950 g/mol, OHv: 135 mgKOH/g, Av: 25 mgKOH/g, NV: 69 weight 제2폴리에스터 수지-2Second polyester resin-2 Mn: 1,950g/mol, OHv: 115mgKOH/g, Av: 25mgKOH/g, NV: 69중량Mn: 1,950 g/mol, OHv: 115 mgKOH/g, Av: 25 mgKOH/g, NV: 69 weight 제2폴리에스터 수지-32nd polyester resin-3 Mn: 1,950g/mol, OHv: 170mgKOH/g, Av: 25mgKOH/g, NV: 69중량Mn: 1,950 g/mol, OHv: 170 mgKOH/g, Av: 25 mgKOH/g, NV: 69 weight 제2폴리에스터 수지-42nd polyester resin-4 Mn: 1,950g/mol, OHv: 91mgKOH/g, Av: 25mgKOH/g, NV: 69중량Mn: 1,950 g/mol, OHv: 91 mgKOH/g, Av: 25 mgKOH/g, NV: 69 wt. 제2폴리에스터 수지-52nd polyester resin-5 Mn: 1,950g/mol, OHv: 187mgKOH/g, Av: 25mgKOH/g, NV: 69중량Mn: 1,950 g/mol, OHv: 187 mgKOH/g, Av: 25 mgKOH/g, NV: 69 weight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Isocyanate-based curing agent NCO 함량: 22중량%,NCO content: 22% by weight, 경화 촉매curing catalyst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dibutyltin dilaurate 자외선 흡수제UV absorber 제조사: BASF사, 제품명: Tinuvin 384Manufacturer: BASF, product name: Tinuvin 384 표면 평활제surface leveling agent 제조사: BASF사, 제품명: BYK-325Manufacturer: BASF, Product Name: BYK-325 흐름성 조절제flow regulator 제조사: Akzo Nobel, 제품명: Setalux 81198 SS-55Manufacturer: Akzo Nobel, product name: Setalux 81198 SS-55 용제solvent 코코졸 #100, 크실렌, 부틸아세테이트를 1: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Cocosol #100, xylene, and butyl acetate a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1:1:1

실험예. 도막의 특성 평가experimental example. Characteristic evaluation of coating film

시편에 상도 도료(제조사: KCC, 제품명: WT3090)를 도포하고 건조하여 두께 15㎛의 상도 도막을 형성하였다. 이후 상도 도막 상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클리어 도료 조성물을 도장하고 100℃에서 25분 동안 경화하여 두께 40㎛의 클리어 도막을 형성하여 최종 도막을 제조하였다. 상기 시편을 대상으로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냈다.A top coat (manufacturer: KCC, product name: WT3090) was applied to the specimen and dried to form a top coat with a thickness of 15 µm. Thereafter, the clear paint compositions prepa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coated on the top coat and cured at 100° C. for 25 minutes to form a clear coat having a thickness of 40 μm to prepare a final coat.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pecimens were measured in the following manner,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5.

구체적으로, 상기 클리어 도막은 핸드건 스프레이(노즐 구경: 1.5mm, 공기압: 4.5kgf/㎠ 내외로 일정 유지)를 이용하고, 노즐 입구와 시편 사이의 거리를 30cm로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수평으로 40~50 cm/sec 속도로 움직이며 도장하였다.Specifically, the clear coating film uses a handgun spray (nozzle diameter: 1.5mm, air pressure: keep constant around 4.5kgf/cm2), and horizontally 40~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nozzle inlet and the specimen at 30cm It was painted while moving at a speed of 50 cm/sec.

(1) 도장 작업성(1) Painting workability

핸드건 스프레이로 도료의 토출시 실시예 및 비교예의 클리어 도료 조성물을 왕복 2회 도장하여 도장시 도료의 무화 정도, 평활성의 정도 및 도막 살오름성을 비교하였다.At the time of discharging the paint by handgun spray, the clear paint composition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coated twice reciprocally to compare the degree of atomization, the degree of smoothness and the rise of the paint film during painting.

구체적으로, 육안상 표면 내 칠퍼짐성이 양호하며 살오름성이 우수한 경우 우수(◎), 육안상 살오름성은 양호하나 칠퍼짐성이 부족한 경우 양호(○), 육안상 살오름성 및 칠퍼짐성이 부족하며 도장이물이 3점 미만으로 발생한 경우 보통(△), 도장이물이 3점 이상이며 크레터링이 발생한 경우 불량(×)으로 평가하였다.Specifically, visually good skin spreadability on the surface and excellent spreadability is excellent (◎), visually good riseability but insufficient paint spreadability is good (○), and visual riseability and spreadability are insufficient. And if the foreign coating was less than 3 points, it was evaluated as normal (Δ), and if the foreign coating was 3 or more points and cratering occurred, it was evaluated as bad (×).

(2) 외관(2) Appearance

제조된 최종 도막을 대상으로 자동차 외관 측정기인 Wave Scan DOI(BYK Gardner)를 이용하여 광택(LU), 선명도(SH) 및 오렌지필(OP)을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물성을 이용하여 종합 외관 평가 수치(CF)을 하기 수학식 1로 계산하였다.Gloss (LU), sharpness (SH), and orange peel (OP) were measured using Wave Scan DOI (BYK Gardner), an automobile exterior measuring instrument, on the manufactured final coating film, and comprehensive appearance evaluation values using the measured properties (CF) was calculated by Equation 1 below.

[수학식 1][Equation 1]

CF = LU X 0.15 + SH X 0.35 + OP X 0.5CF = LU X 0.15 + SH X 0.35 + OP X 0.5

이때, CF는 수평 및 수직으로 측정 및 계산하였다.At this time, CF was measured and calculat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계산된 CF가 65 이상일 경우 우수(◎), 60 이상 65 미만일 경우 양호(○), 55 이상 60 미만일 경우 보통(△), 55 미만일 경우 불량(×)으로 평가하였다.When the calculated CF was 65 or more, it was evaluated as excellent (◎), when it was 60 or more and less than 65, it was good (○), when it was 55 or more and less than 60, it was evaluated as normal (Δ), and when it was less than 55, it was evaluated as bad (×).

(3) 광택(3) gloss

도장된 시편을 대상으로 광택기(Gloss Meter)를 이용하여 20° 광택을 측정하였으며, 20° 광택이 90 이상인 경우 우수(◎), 85 이상 90 미만일 경우 양호(○), 80 이상 85 미만일 경우 보통(△), 80 미만일 경우 불량(×)으로 평가하였다. The gloss of 20° was measured using a gloss meter on the coated specimen. If the 20° gloss was 90 or higher, excellent (◎), 85 or more and less than 90 good (○), and 80 to less than 85 average ( △), less than 80 was evaluated as bad (×).

(4) 재도장 부착성(4) Repainting adhesion

상도 도막 및 클리어 도막을 모두 제거하고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도 도료 및 클리어 도료 조성물을 도장한 후 바둑목법으로 재도장 부착성을 평가하였다.After removing both the top coat and the clear coat, the top coat and the clear paint composition were coat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and then repainting adhesion was evaluated by a checkerboard method.

구체적으로, 상기 바둑목법은 클리어 도막 표면을 칼로 가로 2mm 및 세로 2mm의 정사각형 100개를 만든 후 테이프를 사용하여 정사각형을 떼어내어 부착성을 측정하였다. 이때, 측정된 부착성은 100개의 정사각형이 100% 온전히 붙어있는 경우 우수(◎), 남은 정사각형이 70% 이상 100% 미만인 경우 양호(○), 50% 이상 70% 미만인 경우 보통(△), 50% 미만인 경우 불량(×)으로 평가하였다.Specifically, in the checkered method, 100 squares of 2 mm in width and 2 mm in length were made on the surface of the clear coating film with a knife, and then the square was removed using a tape to measure adhesion. At this time, the measured adhesion is excellent (◎) when 100 squares are 100% completely attached, good (○) when the remaining squares are 70% or more and less than 100%, good (○) when 50% or more and less than 70%, normal (△), 50% If less than, it was evaluated as defective (×).

(5) 내충격성(5) Impact resistance

도장된 시편을 대상으로 내충격성을 ASTM D2794에 의거하여 평가하였다. 이때, 듀퐁식 충격시험기를 이용하였으며, 추의 낙하 높이를 30cm부터 50cm까지 변화시키면서 500g의 추를 시편에 떨어뜨렸을 때, 도막의 외관을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 추의 낙하 높이 50cm에서 상도 도막에 균열 및 박리 현상이 발상하지 않은 경우 우수(◎), 40cm 이상 50cm 미만일 경우 양호(○), 30cm 이상 40cm 미만일 경우 인 경우 보통(△), 30 cm 미만 인 경우 불량(×)으로 평가하였다.Impact resistance of the coated specimen was evaluated according to ASTM D2794. At this time, a DuPont type impact tester was used, and the appearance of the coating film was observed when a 500 g weight was dropped on the specimen while changing the drop height of the weight from 30 cm to 50 cm. As a result of observation, if no cracks and peeling occurred in the top coat at 50cm drop height of the weight, excellent (◎), between 40cm and less than 50cm good (○), when between 30cm and less than 40cm, average (△), 30cm If less than, it was evaluated as bad (×).

(6) 내수성(6) water resistance

최종 도막을 40℃ 항온수조에 240시간 동안 침적하고 1시간 동안 상온에서 방치한 후 항목 (4)의 바둑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부착성 평가를 수행했으며, 평가 기준도 동일하게 적용하였다.After the final coating film was immersed in a constant temperature water bath at 40° C. for 240 hours and left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adhesion evaluation wa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item (4).

(7) 칠흐름성(7) Chill flow

직경 5 mm 홀이 뚫린 강판에 상도 도막이 형성된 시편을 수직으로 걸어놓고 실시예 및 비교예의 클리어 도료 조성물을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도장하고 건조 및 경화한 후 제조된 도막의 표면을 관찰하여 조성물의 칠흐름성을 평가하였다.A specimen with a top coating film is hung vertically on a steel plate with a hole of 5 mm in diameter, and the clear paint composition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re coat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dried and cured, and then the surface of the prepared film is observed to apply the composition. Flowability was evaluated.

구체적으로, 홀 하단부에 칠이 맺히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흐름 발생이 관찰되는 시작점의 도막의 두께(㎛)를 흐름 한계 막 두께로 기록하였다. 이때, 측정된 흐름 한계 막 두께의 수치가 낮을수록 칠흐름성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했다. 이때, 흐름 한계 막 두께가 40㎛ 이상일 경우 우수(◎), 35㎛ 이상 40㎛ 미만일 경우 양호(○), 30㎛ 이상 35㎛ 미만일 경우 보통(△), 30㎛ 미만일 경우 불량(Х)으로 평가하였다.Specifically, it was observed that paint was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hole. The thickness (μm) of the coating film at the starting point at which flow generation was observed was recorded as the flow limiting film thickness. At this time, it was determined that the flowability was insufficient as the numerical value of the measured flow limit film thickness was lower. At this time, if the flow limit film thickness is 40㎛ or more, it is evaluated as excellent (◎), if it is 35㎛ or more and less than 40㎛, it is good (○), if it is 30㎛ or more and less than 35㎛, it is evaluated as normal (Δ), and if it is less than 30㎛, it is evaluated as bad (Х) did.

(8) 내한치핑성(8) Cold-resistant chipping resistance

크기 150mmX70mm의 도장 시편을 -20±3℃에 3시간 동안 방치한 후 내치핑 시험기(제조사: 그레브로메타, 모델명: SAE J 400)를 이용하여 내한치핑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최종 도장 상에 4bar의 압력으로 50g의 치핑 스톤(직경: 4mm)을 45°의 각도로 분사하였다. 이후 시편을 꺼내 셀로판 점착 테이프로 도막에 남아있는 박리된 도막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After leaving the painted specimen of size 150mmX70mm at -20±3°C for 3 hours, the cold chipping resistance was measured using a chipping resistance tester (manufacturer: Grebrometa, model name: SAE J 400). Specifically, 50 g of chipping stones (diameter: 4 mm) were sprayed at an angle of 45° at a pressure of 4 bar on the final coating. Thereafter, the specimen was taken out and foreign substances such as the peeled coating film remaining on the coating film were removed with a cellophane adhesive tape.

이때, 최종 도막의 손상부위가 1mm 이하일 경우 우수(◎), 1mm 초과 2mm 이하일 경우 양호(○), 2mm 초과 3mm 이하일 경우 보통(△), 3mm 초과일 경우 불량(×)으로 평가하였다.At this time, when the damaged area of the final coating film was 1 mm or less, it was evaluated as excellent (◎), when it was more than 1 mm and less than 2 mm, it was good (○), when it was more than 2 mm and less than 3 mm, it was normal (Δ), and when it was more than 3 mm, it was evaluated as bad (×).

  도장
작업성
stamp
Workability
외관Exterior 광택Polish 재도장 부착성Repainting Adhesion 내충격성impact resistance 내수성water resistance 칠흐름성seven flow 내한치핑성Cold-resistant chipping resistance
실시예Example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1111 1212 1313 1414 1515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One XX XX XX 22 XX XX XX XX 33 XX XX XX XX 44 XX XX XX XX 55 XX XX XX XX XX 66 XX XX XX XX 77 XX XX XX XX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조성물은 비교예의 조성물보다 도장 작업성 및 칠흐름성이 우수하고, 실시예의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도막은 비교예의 도막보다 외관, 광택, 재도장 부착성, 내충격성 및 내한치핑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As can be seen in Table 5, the composition of Examples is superior to the composition of Comparative Example in paint workability and paint flow, and the coating film prepared from the composition of Example has appearance, gloss, repainting adhesion, impact resistance and better than the coating film of Comparative Example. It was found that the cold chipping resistance was excellent.

한편, 수산기가가 낮은 제1 폴리에스터 수지-4를 포함하는 비교예 1 및 수산기가가 낮은 제2 폴리에스터 수지-4를 포함하는 비교예 3의 도막은 내충격성, 내수성 및 내한치핑성이 부족했다. 특히, 비교예 3의 도막은 외관 특성도 부족했다.On the other hand, the coating film of Comparative Example 1 including the first polyester resin-4 having a low hydroxyl value and Comparative Example 3 including the second polyester resin-4 having a low hydroxyl value lacks impact resistance, water resistance and cold chipping resistance. did. In particular, the coating film of Comparative Example 3 was also poor in appearance characteristics.

또한, 수산기가가 높은 제1 폴리에스터 수지-5를 포함하는 비교예 2 및 수산기가가 높은 제2 폴리에스터 수지-5를 포함하는 비교예 4의 도막은 외관 특성, 광택 및 내한치핑성이 부족했다. 특히, 비교예 2의 도막은 내충격성도 부족하고, 비교예 4의 조성물은 도장 작업성도 부족했다.In addition, the coating film of Comparative Example 2 containing the first polyester resin-5 having a high hydroxyl value and Comparative Example 4 containing the second polyester resin-5 having a high hydroxyl value lacked appearance characteristics, gloss and cold chipping resistance. did. In particular, the coating film of Comparative Example 2 was also poor in impact resistance, and the composition of Comparative Example 4 was also poor in coating workability.

아크릴 수지를 미포함하는 비교예 5의 도막은 외관 특성, 재도장 부착성, 내충격성, 내수성 및 내한치핑성이 부족했다.The coating film of Comparative Example 5 which did not contain the acrylic resin was poor in appearance characteristics, repainting adhesion, impact resistance, water resistance and cold chipping resistance.

또한, 제1 폴리에스터 수지를 미포함하여 1종의 제2 폴리에스터 수지만 포함하는 비교예 6의 조성물은 칠흐름성이 부족하고, 이로부터 제조된 도막은 외관 특성, 내충격성 및 내한치핑성이 부족했다.In addition, the composition of Comparative Example 6 including only one kind of second polyester resin without the first polyester resin lacks chill flow properties, and the coating film prepared therefrom has excellent appearance characteristics, impact resistance and cold chipping resistance. lacked

제2 폴리에스터 수지를 미포함하여 1종의 제1 폴리에스터 수지만 포함하는 비교예 7의 도막은 광택, 내충격성, 내수성 및 내한치핑성이 부족했다.The coating film of Comparative Example 7 including only one kind of the first polyester resin without the second polyester resin lacked gloss, impact resistance, water resistance and cold chipping resistance.

Claims (6)

아크릴 수지, 제1 폴리에스터 수지, 제2 폴리에스터 수지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폴리에스터 수지는 수산기가가 240 내지 320 mgKOH/g이며,
상기 제2 폴리에스터 수지는 수산기가가 100 내지 180 mgKOH/g인, 저온 경화형 클리어 코트 조성물.
An acrylic resin, a first polyester resin, a second polyester resin, and an isocyanate-based curing agent,
The first polyester resin has a hydroxyl value of 240 to 320 mgKOH / g,
The second polyester resin has a hydroxyl value of 100 to 180 mgKOH/g, a low temperature curable clear coat composi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40,000 g/mol이고, 수산기가가 100 내지 200 mgKOH/g이며, 산가가 5 내지 15 mgKOH/g이고, 유리전이온도가 20 내지 100 ℃인, 저온 경화형 클리어 코트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crylic resin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0 to 40,000 g/mol, a hydroxyl value of 100 to 200 mgKOH/g, an acid value of 5 to 15 mgKOH/g, and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20 to 100° C., a low-temperature curing type clear coat composi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에스터 수지는 수평균분자량이 100 내지 1,000 g/mol이고,
상기 제2 폴리에스터 수지는 수평균분자량이 1,200 내지 5,000 g/mol인, 저온 경화형 클리어 코트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polyester resin has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 to 1,000 g / mol,
The second polyester resin has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200 to 5,000 g/mol, a low temperature curable clear coat composi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폴리에스터 수지 및 제2 폴리에스터 수지를 1.5 : 1 내지 2.5 : 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저온 경화형 클리어 코트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low temperature curable clear coat composition comprising the first polyester resin and the second polyester resin in a weight ratio of 1.5:1 to 2.5: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경화제 총 중량에 대하여 미반응 이소시아네이트기의 함량이 15 내지 30 중량%인, 저온 경화형 클리어 코트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w-temperature curable clear coat composition, wherein the isocyanate-based curing agent has an unreacted isocyanate group content of 15 to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uring agent.
청구항 1에 있어서,
도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아크릴 수지 15 내지 35 중량%, 제1 폴리에스터 수지 5 내지 15 중량%, 제2 폴리에스터 수지 1 내지 10 중량%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20 내지 35 중량%를 포함하는, 저온 경화형 클리어 코트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ating composition, 15 to 35% by weight of an acrylic resin, 5 to 15% by weight of a first polyester resin, 1 to 10% by weight of a second polyester resin, and 20 to 35% by weight of an isocyanate-based curing agent comprising , a low-temperature curing type clear coat composition.
KR1020210042976A 2021-04-01 2021-04-01 Clear coat composition for low temperature curing Active KR1025674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976A KR102567438B1 (en) 2021-04-01 2021-04-01 Clear coat composition for low temperature curing
CN202280025440.5A CN117083352A (en) 2021-04-01 2022-03-28 Low temperature curable clearcoat composition
PCT/KR2022/004289 WO2022211399A1 (en) 2021-04-01 2022-03-28 Low-temperature curing type clear coat com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976A KR102567438B1 (en) 2021-04-01 2021-04-01 Clear coat composition for low temperature cur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6819A true KR20220136819A (en) 2022-10-11
KR102567438B1 KR102567438B1 (en) 2023-08-16

Family

ID=83456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976A Active KR102567438B1 (en) 2021-04-01 2021-04-01 Clear coat composition for low temperature curing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567438B1 (en)
CN (1) CN117083352A (en)
WO (1) WO2022211399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225730A1 (en) * 2023-04-28 2024-10-31 주식회사 케이씨씨 Coating composition for prim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0584A (en) * 2009-11-30 2011-06-08 유한회사 피피지코리아 Dual Curing Two-Component Clear Coat Composition for Automotive
KR101655621B1 (en) 2014-12-18 2016-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 clear coat composition with antipollution
KR20200078117A (en) * 2018-12-21 2020-07-01 주식회사 케이씨씨 Top coat composition
KR20200082837A (en) * 2018-12-31 2020-07-08 주식회사 케이씨씨 Clear coat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38162A (en) * 2010-04-20 2015-02-26 日本ビー・ケミカル株式会社 Polyester resin and application of the same
KR102567352B1 (en) * 2018-09-07 2023-08-16 주식회사 케이씨씨 Clear paint composition
KR102291233B1 (en) * 2019-06-03 2021-08-20 주식회사 케이씨씨 Clear coat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0584A (en) * 2009-11-30 2011-06-08 유한회사 피피지코리아 Dual Curing Two-Component Clear Coat Composition for Automotive
KR101655621B1 (en) 2014-12-18 2016-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 clear coat composition with antipollution
KR20200078117A (en) * 2018-12-21 2020-07-01 주식회사 케이씨씨 Top coat composition
KR20200082837A (en) * 2018-12-31 2020-07-08 주식회사 케이씨씨 Clear coat composi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225730A1 (en) * 2023-04-28 2024-10-31 주식회사 케이씨씨 Coating composition for prim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083352A (en) 2023-11-17
WO2022211399A1 (en) 2022-10-06
KR102567438B1 (en) 2023-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6647B1 (en) Clear coat composition for refinishing automobiles
EP0676431B1 (en) Coating compositions comprising 1,4-cyclohexane dimethanol
US5869566A (en) Rapid drying, isocyanate cured coating composition with improved adhesion
JP2009511253A (en) Method for forming a multilayer coating without primer baking on the car body
US6984693B2 (en) Two stage cure two component 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hydroxylbutyl acrylate polymers
KR102259013B1 (en) Water-soluble primer composition
CN111093841A (en) Method for forming multilayer coating film
JP2017101233A (en) Intermediate coating composition
KR20200082837A (en) Clear coat composition
KR102567440B1 (en) Single-liquid type clear coat composition for low temperature curing
KR20210108800A (en) Clear coat composition for refinishing automobiles
KR102567438B1 (en) Clear coat composition for low temperature curing
KR102567354B1 (en) Clear coat composition
KR102656627B1 (en) Clear coat composition
KR102811097B1 (en) Clear coat composition
KR102634336B1 (en) Base coat composition
KR102583106B1 (en) Clear coat composition
KR102583105B1 (en) Clear coat composition
KR102796393B1 (en) Clear coat composition for refinishing automobiles
KR102716365B1 (en) Base coat composition
KR102825419B1 (en) Clear coat composition
KR102340547B1 (en) Oil paint composition for automobiles surface coating
KR102384378B1 (en) Oil paint composition for automobiles surface coating
KR20240100132A (en) Clear coat composition
KR20240159226A (en) Coat composition for prim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8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8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