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6526A - Multi-purpose cooking device - Google Patents
Multi-purpose cook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26526A KR20220126526A KR1020210030905A KR20210030905A KR20220126526A KR 20220126526 A KR20220126526 A KR 20220126526A KR 1020210030905 A KR1020210030905 A KR 1020210030905A KR 20210030905 A KR20210030905 A KR 20210030905A KR 20220126526 A KR20220126526 A KR 2022012652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cooking
- lifting plate
- lifting
- cookwa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0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8162 cooking oil Substances 0.000 claims 1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5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610 char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3351 chee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13601 egg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025 ste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6010017577 Gait disturba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8 A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41000467686 Eschscholzia lobb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73 but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634 fra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 frying pa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19 gre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IJDNQMDRQITEOD-UHFFFAOYSA-N n-butane Chemical compound CCCC IJDNQMDRQITEO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FBQJSOFQDEBGM-UHFFFAOYSA-N n-pentane Natural products CCCCC OFBQJSOFQDEBG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1—Integrated lid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8—Accessories, e.g. inserts, plates to hold food down during frying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구에 안착되거나, 화력을 제공하는 화기부재를 중공에 위치시켜 다양한 조리 기능을 가진 다용도 조리기기로서, 다용도 조리기기는, 별도로 내측으로 중공을 형성하며, 조리기구의 내측 둘레면에 안착되게 소정 높이를 가지는 삽입판과, 삽입판 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며, 절곡된 절곡면 상으로 조리기구에서 조리되는 조리물의 안착을 가능하게 하는 올림판 및 올림판의 단부에서 상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조리기구의 상측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는 차단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다용도 조리기기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purpose cooking appliance having various cooking functions by placing a heating element seated on a cooking utensil or providing heat in a hollow, wherein the multi-purpose cooking utensil separately forms a hollow inside, an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oking utensil. An insert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to be seated, a lifting plate that is bent outwardly from the end of the insert plate, and a lifting plate that enables the food cooked in the cookware to be seated on the bent curved surface, and the end of the lifting plate is bent in the upward direction It may include a blocking plate that extends and protrudes a predetermined height to the upper side of the cooking utensil.
In addition, the multi-purpose cooking appliance a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embodiments.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용도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고기 등과 같이 기름 비산이 용이하고 타기 쉬운 조리물의 조리 시 기름 비산을 방지하고, 조리기의 열기를 이용하여 조리물의 열기를 유지하면서 조리물을 타지 않도록 올려 놓을 수 있는 다용도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cooking appliance, which prevents oil scattering when cooking food that is easily scattering and burns with oil, such as meat, and maintains the heat of the food by using the heat of the cooker. It relates to a multi-purpose cooking appliance.
일반적으로, 조리물을 조리하는 조리기구는 다양하게 있으나, 육류나 생선류와 같은 조리물을 굽거나 볶을 때에는 프라이팬과 같이 조리기구가 사용된다. 이러한 프라이팬은 국물을 넣어 조리하는 기구에 비해 넓은 팬과, 넓은 팬의 둘레로 낮은 측벽을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In general, there are various cookware for cooking food, but when baking or frying food such as meat or fish, a cookware such as a frying pan is used. Such a frying pa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wide pan and a low sidewall around the wide pan compared to an appliance for cooking broth.
이러한 프라이팬은 덮개 없이 조리물을 조리하면 팬 내부의 기름이나 조리물의 파편이 외부로 비산하게 되어 요리하는 사람에게 위험이 발생하거나 또는 주변이 기름이나 조리물 파편이 묻어, 추후 별도로 기름이나 조리물 파편을 닦아 내주어야 하며, 정리되지 않은 기름기나 조리물 파편은 위생적이지 않은 환경을 제공할 수밖에 없게 된다. In such a frying pan, if you cook food without a cover, the oil or food debris inside the pan scatters to the outside, which poses a risk to the cook, or the surrounding area is covered with oil or food debris. should be wiped off, and unorganized grease or food debris will inevitably provide an unsanitary environment.
프라이팬으로 조리시 기름의 비산이나 조리물 파편의 튐을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는 유리나 프라이팬 재질 또는 철이나 알루미늄과 같은 덮개를 덮어 조리하거나, 종종 신문이나 종이 호일 등과 같은 별도의 커버를 덮어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덮개를 프라이팬에 덮어 음식을 조리할 경우, 수분이 배출되지 않아 조리물의 맛이 저하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고, 유리와 같은 투명 재질이 아닌 덮개의 경우에는 내부 조리물의 조리 상태가 보이지 않아 조리의 용이성이 저하될 수밖에 없다. To prevent scattering of oil or splashing of food debris when cooking with a frying pan, it is usually cooked with a cover such as glass, frying pan, iron or aluminum, or a separate cover such as newspaper or paper foil is often used. .However, when cooking food by covering a frying pan with a general cover, moisture may not be discharged and the taste of the food may deteriorate. Because it is not visible, the ease of cooking is inevitably reduced.
또한, 육류나 생선 또는 볶는 조리물의 경우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자주 뒤집어 주거나 잘 저어가면서 조리해야 함에 따라 덮개를 덮고 조리시 덮개를 자주 여닫어야 함은 물론 덮개를 덮고 조리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meat, fish, or stir-fried food, as it is often turned over or stirred well to prevent burning, the lid must be frequently opened and closed when cooking, as well as being difficult to cook with the lid on. .
또한, 육류나 생선 등 구이용 조리물의 경우, 굽는 중에 익은 조리물은 그릇에 옮기고 새로운 조리물을 추가로 프라이팬에 얹어 조리하게 되는데, 이 경우, 그릇에 옮겨 담은 조리물은 열기가 식어감에 따라 그 맛이 변할 수밖에 없고, 적절한 온기를 머금은 상태로 사용자에게 공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grilled food such as meat or fish, the cooked food is transferred to a bowl during baking and the new food is added to the frying pan to cook. The taste is inevitably chang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be supplied to the user in a state that retains appropriate warmth.
띠라서, 프라이팬과 같은 조리기구에 육류나 생선류 등의 조리물을 굽거나 볶는 조리 과정에서 기름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리물의 온기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scattering of oil during a cooking process of grilling or frying food such as meat or fish in a cooking appliance such as a frying pan and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the food uniformly.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4-0015833호(2004.09.02)Korean Public Utility Model No. 20-2004-0015833 (2004.09.02)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프라이팬과 같은 볶음 또는 구이용 조리기구에서 조리물, 예를 들어 육류나 생선류를 조리할 때 조리기구에 용이하게 탈부착하여 기름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프라이팬에 착탈되는 다용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easi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cookware when cooking food, for example, meat or fish, in a frying or roasting cookware such as a frying pan, which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frying pan that can prevent scattering of oil We want to provide a multi-purpose device that can be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조리기구에서 조리가 완료된 조리물을 얹어 놓을 수 있도록 하여 조리물의 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조리기구의 열을 전달받아 얹어 놓은 조리물로 열기를 전달하여 조리물이 식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프라이팬에 착탈되는 다용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burning of the food by allowing the cooked food to be placed on the cooking utensil, as well as by transferring the heat from the cooking utensil to the cooked food by transferring the heat to the placed foo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purpose device detachable from a frying pan that can prevent this from cooling.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는, 조리기구에 안착되거나, 화력을 제공하는 화기부재를 중공에 위치시켜 다양한 조리 기능을 가진 조리기기로서, 상기 다용도 조리기기는, 조리기구에 안착되거나, 화력을 제공하는 화구 상에 놓여 다양한 조리 기능을 가진 다용도 조리기기로서, 상기 다용도 조리기기는,A multi-purpose coo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oking device having various cooking functions by being seated in the cooking device or by locating a heating member providing heat in a hollow, wherein the multi-purpose cooking device is seated on the cooking device, A multi-purpose cooking appliance having various cooking functions placed on a crater providing thermal power, the multi-purpose cooking device comprising:
별도로 내측으로 중공을 형성하며, 조리기구의 내측 둘레면에 안착되게 소정 높이를 가지는 삽입판;an insert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to be separately formed inwardly and to be sea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oking utensil;
상기 삽입판 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며, 절곡된 절곡면 상으로 상기 조리기구에서 조리되는 조리물의 안착을 가능하게 하는 올림판; 및a lifting plate that is bent outwardly from the end of the insert plate and enables the food cooked in the cookware to be seated on the bent curved surface; and
상기 올림판의 단부에서 상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조리기구의 상측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는 차단판을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 blocking plate that extends upwardly bent from the end of the lifting plate and protrudes a predetermined height to the upper side of the cooking utensil.
상기 삽입판은, The insert plate is
상기 삽입판의 하단에서 상기 올림판까지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 형상, 상기 삽입판의 하단에서 상기 올림판까지 넓어지도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 형상 및 상기 하단에서 상기 올림판까지 좁아지도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경사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A vertical shape formed vertically from the lower end of the insertion plate to the lifting plate, a first inclined shape formed to be inclined outwardly to widen from the lower end of the inserting plate to the lifting plate, and an inwardly narrowed shape from the lower end to the lifting plate. It may have at least one shape among the second inclined shapes formed to be inclined.
상기 차단판은, The blocking plate is
상기 올림판에서 상기 차단판의 상단까지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 형상, 상기 올림판에서 상기 차단판의 상단까지 넓어지도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 형상 및 상기 올림판에서 상기 차단판의 상단까지 좁아지도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경사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이 형상을 가질 수 있다.A vertical shape formed vertically from the lifting plate to the upper end of the blocking plate, a first inclined shape formed to be inclined outwardly from the lifting plate to the upper end of the blocking plate, and narrow from the lifting plate to the upper end of the blocking plate At least one of the second inclined shapes formed to be inclined inwardly so as to be inclined may have a shape.
상기 올림판은,The lifting board is
상기 차단판의 단부 사이에서 수평하게 형성되는 수평 형상, 상기 삽입판의 단부에서 상기 차단판의 단부로 낮아지도록 형성되는 올림 경사 형상 및 상기 삽입판의 단부에서 상기 차단판의 단부로 높아지도록 형성되는 내림 경사 형상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A horizontal shape formed horizontally between the ends of the blocking plate, a raised inclined shape formed to lower from an end of the insertion plate to an end of the blocking plate, and a rising from an end of the insertion plate to an end of the blocking plate It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of a descending inclined shape.
상기 올림판은, The lifting board is
상기 삽입판의 단부와 상기 올림판의 단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단차져 수용홈을 구비할 수 있다. It may be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groove stepped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insertion plate and the end of the lifting plate.
상기 삽입판에는 상기 조리기구의 내측 둘레면과 외측 둘레면을 감싸면서 상기 조리기구의 둘레면을 삽입하여 고정되는 끼움홈이 구비될 수 있다. The insert plate may be provided with a fitting groove that is fixed by inserting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cooking appliance while surroundi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okware.
상기 올림판의 소정 위치에는 조리물의 기름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oil of the food may be further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lifting plate.
상기 올림판은 그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lifting plate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grill.
상기 올림판 및 상기 차단판의 소정 위치는 오픈된 간섭방지구가 구비되어, 상기 조리기구 또는 별도의 조리기기와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An open interference prevention device may be provid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of the lifting plate and the blocking plate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cooking appliance or a separate cooking appliance.
상기 삽입판, 상기 올림판 및 상기 차단판에는 소정 위치에서 개방된 절단부가 구비되어, 상기 절단부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조리기구로 안착 시 크기 조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insert plate, the lifting plate, and the blocking plate may be provided with cut portions open at predetermined positions, so that the size can be adjusted when seated in the cookware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cut portions.
상기 올림판에는 조리물의 조리를 위한 조리 플레이트가 더 안착될 수 있다. A cooking plate for cooking food may be further seated on the lifting plate.
상기 올림판에는 상기 그릴의 복수의 구멍 중 하나에 끼워져 유동 방지를 위한 걸림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The lifting plate may be provided with a locking member inserted into one of the plurality of holes of the grill to prevent flow.
상기 조리 플레이트는 그릴, 찜판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oking plate may include a grill and a steam plate.
상기 차단판의 상단부에는 조리물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플레이트가 안착될 수 있다.A cooking plate for cooking food may be seated on an upper end of the blocking plate.
상기 차단판의 상단부에는 상기 조리 플레이트의 안착을 위해 상기 차단판의 단부에서 외측 또는 내측으로 절곡된 받침판이 더 구비되고, A support plate bent outwardly or inwardly from an end of the blocking plate is further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blocking plate for seating the cooking plate,
상기 받침판에는 상기 조리 플레이트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The support plate may be provided with a locking member for preventing the cooking plate from flowing.
상기 올림판에는 일체형 또는 탈부착 타입의 손잡이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The lifting plate may further include an integral or detachable type handle.
상기 삽입판, 상기 올림판 및 상기 차단판은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폴딩되어 접히거나 펼쳐져 중공을 소정 형상을 형성하는 자바라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insertion plate, the lifting plate, and the blocking plate may be provided in a bellows shape to form a hollow by folding or unfolding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는, 삽입판을 통해 프라이팬 등의 조리기구 용이하게 안착됨은 물론 차단판을 통해 상기 조리기구에서 조리되는 고기류나 생선류 또는 볶음류 등의 조리 시 조리기구에서 튀는 조리물의 기름이나 조리파편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multi-purpos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not only easily seated in cooking utensils such as frying pans through the insert plate, but also cooks meat, fish, or stir-fried foods cooked in the cooking utensils through the blocking plate when cooking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oil or cooking debris from splashing out of the applianc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는, 삽입판과 차단판 사이에 단턱진 올림판으로 조리가 완료된 조리물, 예를 들어 고기류나 생선류 또는 볶음류를 올려 놓을 수 있어, 조리물의 열기는 유지하면서 타는 것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multi-purpos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oked food, for example, meat, fish, or stir-fry, can be placed between the insert plate and the blocking plate with a stepped lifting plate, so that the heat of the food is It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burning while maintaining i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는, 올림판의 형상에 따라 은근한 열을 통해 조리할 수 있는 조리물, 예컨대 계란, 치즈 등의 추가 조리를 구현할 수 있어, 다양한 활용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multi-purpose coo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additional cooking of food, for example, eggs and cheese, which can be cooked through subtle hea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lifting plate, thereby providing various utility There are advantages to being able to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는, 올림판 또는 차단판 상으로 조리 플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어, 직접 조리 또는 간접 조리를 구현할 수 있어 쓰임새가 다양한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multi-purpos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a cooking plate on a lifting plate or a blocking plate, so that direct cooking or indirect cooking can be implemented, and thus there are various advantages of us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는, 조리기구 뿐만 아니라, 화력을 가진 화구나 숯과 같이 화력을 가진 곳에 바로 장착함에 따라 상술한 기름 차단이나 조리물의 올림 용도 이외에도 캠핑장이나 조리기구가 없는 상태에서도 조리물을 굽거나 조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multi-purpos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a cooking appliance, but also is installed directly in a place having thermal power, such as a stove or charcoal having thermal power, so that,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oil blocking or raising food, a camping site or cooking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bake or cook food even in the absence of equipment.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가 조리기구에 장착되기 전 상태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가 조리기구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에서, 삽입판, 올림판 및 차단판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에서, 삽입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에서, 수용홈을 가진 삽입판이 조리기구에 안착되는 상태를 분리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에서, 올림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에서, 올림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에서, 올림판에 배출구가 구비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에서, 다용도 조리기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에서, 다용도 조리기기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에 착탈식 손잡이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에 일체형 손잡이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에서, 올림판에 실장되는 조리 플레이트를 구비한 다용도 조리기기의 실장 상태를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에서, 올림판에 실장되는 조리 플레이트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에서, 올림판에 실장되는 조리 플레이트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부재에 걸려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의 다른 사용 구조를 개시한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의 다른 사용 구조를 개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100)에서, 다른 사용 구조에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ulti-purpos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being mounted on a cooking appliance.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ulti-purpos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cooking appliance.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ulti-purpos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ross-section of a multi-purpos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various shapes of an insertion plate, a lifting plate, and a blocking plate in the multi-purpos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n insert plate in a multi-purpos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insert plate having a receiving groove is seated on the cooking appliance in the multi-purpos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lifting board in a multi-purpos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lifting plate in a multi-purpos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at a discharge port is provided on a lifting plate in a multi-purpos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multi-purpos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multi-purpos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multi-purpose cooking device in the multi-purpose coo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multi-purpose cooking device in the multi-purpose coo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removable handle is provided in a multi-purpos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integrated handle is provided in a multi-purpos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purpose cooking device having the cooking plate mounted on the lifting plate in the multi-purpose cook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xploded view.
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ocking member for preventing a flow of a cooking plate mounted on a lifting plate is provided in the multi-purpos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ulti-purpos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ught and fixed by a locking member for preventing the flow of the cooking plate mounted on the lifting plate.
2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use structure of the multi-purpos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combin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other use structure of the multi-purpos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combin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in a different use structure in the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Accordingly, in some embodiments, well-known process steps, well-known structures, and well-known techniques have not been specifically described in order to avoid obscuring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includes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other than the recited elem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It is used in the sense of not being excluded.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items.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and/or schematic diagrams that are ideal illustrative view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hape of the illustrative drawing may be modified due to manufacturing technology and/or tolerance.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the form generat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addition, in each of the drawing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may be enlarged or reduced to some extent in consideration of convenience of descrip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다용도 조리기기(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100)가 조리기구(10)에 장착되기 전 상태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100)가 조리기구(10)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100)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100)는 조리기구(10)에 안착되거나, 화력을 가진 화구 상에 놓여 상기 조리기구(10)가 놓여 다양한 조리 기능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1 to 4 , the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용도 조리기기(100)는 프라이팬과 같은 조리기구(10)에 안착되어 기름 비산을 방지하면서 조리기구(10)에서 조리 완료된 조리물이 올려질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화력을 가진 화구, 예를 들어 버너 등이나 숯과 같은 화기부재가 중공에 위치되도록 하고, 이러한 화구 또는 화기부재를 통해 조리물을 조리하기 위한 기기로서 구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100)는 중앙으로 중공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상기 다용도 조리기기(100)는 삽입판(110), 올림판(120) 및 차단판(1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다용도 조리기기(100)는 원통 형상을 가지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중에 제공되는 조리기구(10, 본 발명에서 조리기구(10)는 프라이팬을 예를 하나, 프라이팬 뿐만 아니라, 냄비 종류, 조리물을 조리하기 위한 구성이라면 얼마든지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을 것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다용도 조리기기(100)가 안착되는 프라이팬(10)의 형상이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형상인 경우, 상기 다용도 조리기기도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용도 조리기기(100)는 중공을 가진 형상이라면 그 형상은 얼마든지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상기 삽입판(110)은 그 내측으로 중공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조리기구(10)의 내측 둘레면에 안착되게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삽입판(110)은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판(110)의 지름은, 상기 다용도 조리기기(100)가 안착되는 조리기구(10)의 내측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The
상기 올림판(120)은 상기 삽입판(110) 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수평 또는 소정의 경사를 가진 절곡면으로서, 절곡된 절곡면은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조리기구(10)에서 조리된 조리물을 올려놓을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The lifting
상기 차단판(130)은 상기 올림판(120)의 단부에서 상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조리기구(10)의 상측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판(130)은 상기 조리기구(10)의 둘레면보다 상측 방향으로 높게 구비되어, 조리기구(10)에서 기름이나 조리물 파편이 조리기구의 외측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blocking
상기의 구조를 가진 다용도 조리기기(100)는 특히 프라이팬과 같은 구이용 조리기구(10)에 안착되어, 차단판(130)을 통해 프라이팬에서 조리되는 고기류나 생선류 또는 볶음류 등의 조리물에서 기름이나 조리 파편이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올림판(120)을 통해 조리기구(10)에서 조리 완료된 조리물을 올려놓을 수 있음은 물론 조리 전 조리물도 올려놓을 수 있고, 은근한 열로 조리되는 조리물을 조리할 수도 있음은 물론, 조리기구(10)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조리기구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게 된다.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100)는 알루미늄 재질이나, 알류미늄 합금 재질 또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회용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일회성으로 사용을 위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스테인레스나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세척하여 재사용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The
상기 다용도 조리기기(100)가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프라이팬과 같은 열기 있는 조리기구(10)에 놓였을 때, 또는 화기부재의 주변 둘레를 따라 놓였을 때, 프라이팬에서 발생되는 열기 또는 화기부재에서 발생되는 열기는 다용도 조리기기(100)로 전달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조리기구(10) 또는 화기부재의 열이 상기 다용도 조리기기(100)로 전달되면, 상기 다용도 조리기기(100)가 일정한 온도로 열기를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프라이팬과 같은 조리기구(10)에서 조리가 완료된 조리물을 올림판(120)에 올려 놓을 수 있다. 상기 올림판(120)은 상기 조리기구(10)보다 낮은 열을 유지함에 따라 조리기구(10)에서는 탈 수 있는 조리물을 상기 올림판(120)에 올려놓아 조리물의 오버 쿡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올림판(120)에 올려진 조리가 완료된 조리물을 일정한 열기로 온도를 유지하여 금방 식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As the
또한, 조리 전 조리물이 상기 올림판(120)에 올려질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조리물의 해동도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 일정한 열기로 조리를 요하는 조리물, 예를 들어 계란이나 치즈와 같은 조리물의 은근한 조리도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food before cooking may be placed on 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100)에서, 삽입판(110), 올림판(120) 및 차단판(130)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5 is a view showing various shapes of the inserting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100a~100h)에서, 삽입판(110a~110h)과, 올림판(120a~120h) 및 차단판(130a~130h)은 다양한 형상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in the
예컨대, 상기 삽입판(110a~110h)은 수직 형상, 외측의 경상 형상 및 내측의 경사 형상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삽입판(110a, 110b, 110e, 110f)의 하단에서 상기 올림판(120a, 120b, 120e, 120f)까지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 형상(도 5의 (a), (b), (e) 및 (f) 참조)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상기 삽입판(110c, 110d, 110g, 110h)의 하단에서 상기 올림판(120c, 120d, 120g, 120h)까지 넓어지도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 형상(도 (c). (d), (g) 및 (h) 참조)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삽입판(110)의 하단에서 상기 올림판(120)까지 좁아지도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경사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또한, 상기 올림판(120a~120h)은 수평 형상, 올림 경사 형상 및 내림 경사 형상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올림판(120a, 120c, 120e, 120g)은 상기 삽입판(110a, 110c, 110e, 110g)의 단부와 상기 차단판(130a, 130c, 130e, 130g)의 단부 사이에서 수평하게 형성되는 수평 형상(도 5의 (a), (c), (e) 및 (g) 참조)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올림판(120b, 120d, 120f, 120h)은 상기 삽입판(110b, 110d, 110f, 110h)의 단부에서 상기 차단판(130b, 130d, 130f, 130h)의 단부로 낮아지도록 형성되는 올림 경사 형상(도 5의 (b), (d), (f) 및 (h) 참조)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삽입판(110)의 단부에서 상기 차단판(130)의 단부로 높아지도록 형성되는 내림 경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차단판(130a-130h)은 수직 형상, 외측의 경사 형상 및 내측의 경사 형상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단판(130a, 130b, 130c, 130d)은 상기 올림판(120a, 120b, 120c, 120d)에서 상기 차단판(130a, 130b, 130c, 130d)의 상단까지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 형상(도 (a), (b), (c) 및 (d) 참조)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차단판(130e, 130f, 130g, 130h)은 상기 올림판(120e, 120f, 120g, 120h)에서 상기 차단판(130e, 130f, 130g, 130h)의 상단까지 넓어지도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 형상(외측의 경사 형상으로, 도 5의 (e), (f), (g) 및 (h) 참조)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차단판(130)은 상기 올림판(120)에서 상기 차단판(130)의 상단까지 좁아지도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경사 형상(내측의 경사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blocking
상기와 같이 상기 삽입판(110)과 상기 올림판(120) 및 상기 차단판(130)이 다양한 형상을 가짐에 따라 조리기구(10)와의 결합성, 조기기구에서 조리되는 조리물의 내용, 또는 조리물이 올림판(120)에 올려지는 상태나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한 선택 사항이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s th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100)에서, 삽입판(11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100)에서, 수용홈(125)을 가진 삽입판(110)이 조리기구(10)에 안착되는 상태를 분리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삽입판(110)에는 상기 조리기구(10)의 내측 둘레면과 외측 둘레면을 감싸면서 상기 조리기구(10)의 둘레면을 삽입하여 고정되는 끼움홈(113)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삽입판(110)은 상기 조리기구(10)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내측판(112)과, 상기 조리기구(10)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외측판(111) 및 상기 내측판(112)과 상기 외측판(111) 사이로 끼움홈(113)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조리기구(10)의 둘레의 측벽(11)은 상기 다용도 조리기기(100)의 끼움홈(113)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끼움홈(113)으로 조리기기(10)의 측벽(11)이 끼워짐에 따라 상기 다용도 조리기기(100)는 상기 조리기구(10)에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6 and 7 , th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100)에서, 올림판(12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8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올림판(120)이 상기 삽입판(110)과 상기 차단판(130)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삽입판(110)의 단부와 상기 올림판(120)의 단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단차져 수용홈(125)을 구비할 수 있게 된다. Referring to FIG. 8 , a
이에 따라, 상기 수용홈(125)에 수용성의 조리물 또는 은근한 열기로 조리가 가능한 조리물, 예컨대 계란이나, 치즈 등과 같은 조리물을 올려놓을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125)에 계란이나 치즈와 같은 조리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다용도 조리기기(100)는 조리기구(10)에서 발생되는 열을 전달받을 수 있고, 전달받은 열을 통해 상기 수용홈(125)에 안착된 조리물을 은근하게 조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ly, water-soluble food or food that can be cooked with subtle heat, for example, food such as eggs or cheese, may be placed in the receiving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100)에서, 올림판(12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9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올림판(120)은 그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올림판(120)이 구멍이 있는 그릴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조리기구(10), 예를 들어 프라이팬에서 조리된 고기나 생선류의 조리물을 올려놓으면, 상기 그릴의 구멍들을 통해 상기 생선류 또는 고기의 기름이 하부로 배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Referring to FIG. 9 , the lifting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삽입판(110) 둘레로 상기 올림판(120)의 하부에는 상기 올림판(120)에서 흘러내리는 기름을 받기 위한 기름 받이부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름 받이부는 가 'U'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a lower portion of the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100)에서, 올림판(120)에 배출구(121)가 구비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0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at the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올림판(120)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121)를 형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예를 들어, 상기 올림판(120)으로 조리물, 예를 들어 고기류나 생선류 등의 조리물이 올려지면, 상기 조리물에서 배출되는 기름이 상기 배출구(121)를 통해 상기 올림판(120)에서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배출구(121)는 동그란 홀 형상을 가진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올림판(120)의 단부 사이드를 따라 소정 길이를 가지면서 일정 간격을 가지는 홀로 형성될 수도 있는 것과 같이 상기 배출구(121)의 형상은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For example, when food such as meat or fish is placed on the
본 발명에서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부가 오픈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한 도넛 형상의 조리부재가 상기 올림판(120)에 놓여지거나 빠질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리부재는 상기 올림판(120)의 크기에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리부재의 수용공간으로 조리가 완료된 조리물이나, 조리 전 조리물(예: 해동이 필요한 고기류 등) 또는 은근한 열에 조리가 되는 조리물(예: 계란 치즈) 등이 놓여져 상기 올림판(120)에 올려질 수 있는 것이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a donut-shaped cooking member having an open upper portion and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may be provided so as to be placed on or removed from the lifting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1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1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100)에는 프라이팬과 같은 조리기구(10) 또는 버너와 같은 별도의 화기부재에서 가스통(부탄가스)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간섭방지구(140)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간섭방지구(140)는 원통형상의 상기 올림판(120) 및 상기 차단판(130)의 소정 위치에 일정 간격 잘려진 형상처럼 오픈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11 and 12 , in the
상기 다용도 조리기기(100)에서, 상기 올림판(120)은 측면으로 돌출되는데, 상기 다용도 조리기기(100)가 프라이팬이나 버너와 같은 화기부재에 안착된 경우, 프라이팬의 손잡이와 간섭이 발생되거나, 버너의 가스 실장 부분을 막아서 안정상의 위험성이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다용도 조리기기(100)의 사용 형상에 따라 측면 방향으로 돌출된 올림판(120) 및 이와 연결된 부분의 차단판(130)을 제거한 형상으로 구비하여, 조리기구(10)와의 간섭을 방지하거나, 가스를 가림은 물론 올림판(120)의 열기가 가스로 전달되어 위험성이 발생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In the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100)에서, 다용도 조리기기(1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100)에는 중공을 가진 형태에서 소정 위치가 절단되어 서로 이격된 절단부(1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단부(150)는 상기 삽입판(110), 상기 올림판(120) 및 상기 차단판(130)에 수직 방향으로 잘려진 것과 같이 연결된 개방부이다. 상기 절단부(150)로 인해, 상기 다용도 조리기기(100)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용도 조리기기(100)가 상기 프라이팬과 같은 조리기구(10)에 안착 시, 상기 절단부(150)의 폭의 크기가 넓어지거나 좁아짐에 따라 크기 조절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Referring to FIG. 13 , the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100)에서, 다용도 조리기기(100)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100)는 폴딩 타입으로 접혀진 자바라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용도 조리기기(100)는 상술한 절단부(150)와 같이 단부와 타단부가 서로 떨어진 상태로 구비되되, 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상기 삽입판(110), 상기 올림판(120) 및 상기 차단판(130)은 자바라 형상으로 폴딩 타입으로 일정하게 늘어나거나 축소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자바라 형상을 가진 상기 다용도 조리기기(100)는 폴딩되어 축소된 상태에서는 수납성과 휴대성이 좋음은 물론 사용시에 펼쳐져 사용할 수 있게 된다. Referring to FIG. 14 , the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100)에 착탈식 손잡이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100)에 일체형 손잡이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1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removable handle is provided in the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100)에는 상기 다용도 조리기기(100)의 사용의 용이성을 위한 손잡이부(17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손잡이부(170)는 도 15에서와 같이 상기 다용도 조리기기(100)와 별개로 구성되어 집게 형식으로 상기 다용도 조리기기(10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70)가 상기 차단판(130)에 착탈되면서 필요한 경우 상기 차단판(130)에 부착되어 상기 다용도 조리기기(100)를 용이하게 집을 수 있게 구비되고, 상기 다용도 조리기기에서 조리기구(10)에서 분리하거나 안착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용도 조리기기(10)에 열기가 있는 상태에서 또는 뜨거운 조리기구에 상기 다용도 조리기기를 안착 시 열기를 사용자에게 바로 전달하지 않아 사용자에게 사용상 편리성은 물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조리 중에는 손잡이부(170)가 별도로 필요하지 않음에 따라 상기 손잡이부(170)를 분리시켜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되도록 별도 수납되게 할 수 있다. 15 and 16 , the
또한,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손잡이부(170)는 도 16에서와 같이 상기 다용도 조리기기(100)에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다용도 조리기기(100)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게 하여, 사용자에게 사용상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상기 다용도 조리기기(100)는 상기 조리기구(10)나 별개의 화기부재에서 열을 전달받을 수 있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나, 상기 손잡이부(170)는 상기 다용도 조리기기(100)에서 열 전달이 용이하지 않은 재질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안전을 구현할 수 있다. The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100)에서, 올림판(120)에 실장되는 조리 플레이트(180)를 구비한 다용도 조리기기(100)의 실장 상태를 분리한 사시도이다.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in which the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100)의 상기 올림판(120)에는 조리를 구현할 수 있는 조리 플레이트(180)가 올려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7 , a
상기 조리 플레이트(180)는 고기류나 생선류를 올려 구울 수 있는 그릴, 중탕을 구현하거나 찜을 구현하기 위한 찜기 등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The
예를 들어 상기 다용도 조리기구(10)가 만두와 같은 찜용 조리물을 찌기 위해 물이 수용된 냄비에 안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조리 플레이트(180) 상에는 만두와 같은 조리물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상기 올림판(120)에 걸리는 찜기 형태일 수 있다. 또한, 프라이팬이나 냄비와 같은 조리기구(10)의 열기로 고기류나 생선류를 조리하기 위한 구성일 경우, 상기 조리 플레이트(180)는 그릴과 같이 조리물의 기름기를 뺄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리 플레이트(180)는 그릴이나 찜기 형태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다용도 조리기기(100)가 올려지는 조리기구(10)나, 상기 조리 플레이트(180)에서 조리되는 조리물에 따라 그 형상이나 형태 및 구조 등은 얼마든지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For example, the
또한, 상기 조리 플레이트(180)를 통해 조리물을 조리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상기 다용도 조리기기(100)는 상기 조리 플레이트(180)를 지지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다용도 조리기기(100)는 프라이팬과 같은 조리기구(10)에 안착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별도의 화력을 가진 화기부재 상에 바로 안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용도 조리기기(100)의 중공 내측으로 숯을 놓고, 상기 올림판(120)에 놓인 상기 조리 플레이트(180)에 숯을 이용하여 조리할 수 있는 조리물을 놓고 조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다용도 조리기기(100)의 삽입판(110)의 내측으로 버너나 화력을 제공하는 화구가 놓이게 하고, 상기 올림판(120)에 상기 조리 플레이트(180)에 화력을 이용하여 조리할 수 있는 조리물을 놓고 조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다용도 조리기기(100)의 중공에 놓일 수 있는 숯이나 화구를 이용한 화력으로 조리물을 조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올림판(120) 측으로 익은 조리물을 이동시켜 올려 놓아 조리 플레이트(180)에서 조리물을 조리하고, 올림판(120) 측에서 조리물의 열기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어, 조리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올림판(120)으로 상술한 별도의 조리부재가 추가적으로 놓여 다양한 기능으로 활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food can be cooked through the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100)에서, 올림판(120)에 실장되는 조리 플레이트(18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부재(127)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100)에서, 올림판(120)에 실장되는 조리 플레이트(18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부재(127)에 걸려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8 is a sepa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올림판(120)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조리 플레이트(180)와 걸려 상기 조리 플레이트(18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부재는 걸림돌기(127)와 걸림홀(구멍이 뚤린 그릴로서, 별도의 번호를 부여하지 않음)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올림판(120)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127)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조리 플레이트(180)에는 걸림홀이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조리 플레이트(180 190)가 그릴 형태라서, 별도의 걸림홀이 형성되지 않고, 그릴 상의 소정 홀에 상기 걸림돌기(127)가 걸리도록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조리 플레이트(180)가 상기 올림판(120)에 안착 시, 상기 조리 플레이트(180)의 걸림홀 또는 그릴에 형성된 홀이 상기 올림판(120)의 걸림돌기(127)에 걸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리 플레이트(180)는 상기 올림판(120) 상에서 안착된 후, 유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18 and 19 , a locking member for preventing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부재는 걸림돌기(127)와 걸림홀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조리 플레이트(18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얼마든지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member has been described with the locking
상기의 조리 플레이트(180)가 상기 다용도 조리기기(100)에 안착되어 조리물을 요리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다용도 조리기기(100)는 다양한 조리기구(10)에 놓일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다용도 조리기기(100)가 프라이팬과 같은 조리기구(10)는 물론 폭이 큰 냄비와 같은 조리기구(10)에도 안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As the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100)의 다른 사용 구조를 개시한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100)의 다른 사용 구조를 개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2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use structure of the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용도 조리기기(100)에는 조리 플레이트(190)가 올려져 사용될 수 있는데, 상술한 도 16 내지 도 19와 같이 상기 조리 플레이트(180)가 올림판(120)에 놓여 사용될 수 있고, 도 20 및 도 21과 같이, 상기 조리 플레이트(190)가 상기 차단판(130)에 올려져 사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0 and 21 , a
상기 조리 플레이트(190)가 상기 올림판(120)에 놓여 사용되는 것과 구조와 쓰임새 등은 매우 유사하나, 놓이는 위치에서 차이점이 있다.The structure and use of the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리 플레이트(190)는 상기 차단판(130) 상에 놓일 수 있다. 이에, 상기 조리 플레이트(190)는 상기 차단판(130)의 크기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용도 조리기기(100)는 상기 프라이팬과 같은 조리기구(10) 상에 놓여서 사용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상기 다용도 조리기기(100)의 높이에 따라 열기가 상기 조리 플레이트(190)까지 전달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상기 다용도 조리기기(100)는 프라이팬과 같은 조리기구(10) 상에 놓여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의 용도 보다는 중공에 숯이나 화력을 가진 화기부재에 직접 놓인 상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at i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술하였듯이 상기 차단판(130)의 크기보다 크게 구비되는 상기 조리 플레이트(190)가 상기 차단판(130)의 상부에 놓여 조리물을 조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기(100)에서, 다른 사용 구조에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2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조리 플레이트(190)가 상기 차단판(130)의 상부에 그냥 얹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으나, 상기 조리 플레이트(190)의 유동을 방지하거나 위치를 지정하기 위해 걸림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2 , the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차단판(130)의 상단부에서 돌출되는 걸림 돌기(132)와, 상기 조리 플레이트(190)에서 상기 걸림돌기(132)에 맞물리는 걸림홀로 구비될 수 있다. The locking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locking
또한, 상기 걸림돌기(132)는 상기 차단판(130)의 단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고, 이와 달리 상기 차단판(130)의 단부에서 소정 폭을 가지도록 외측 및/또는 내측으로 절곡된 받침판(131) 상에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cking
상기 조리 플레이트(190)가 상기 차단판(130)에 놓였을 때, 상기 걸림홀은 상기 걸림돌기(132)에 걸리면서 상기 조리 플레이트(190)가 상기 차단판(130)에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되어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When the
또한, 상기 조리 플레이트(190)가 상기 차단판(130)의 크기 대비하여 여유가 있는 크기를 가지는 경우, 상.기 걸림돌기(132)에 걸리는 상기 걸림홀에 따라 상기 조리 플레이트(180 190)의 장착 위치를 가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understand that there i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 조리기구
100: 다용도 조리기기
110: 삽입판
111: 외측판
112: 내측판
113: 끼움홈
120: 올림판
125: 수용홈
127: 걸림돌기
130: 차단판
131: 받침판
132: 걸림돌기
140: 간섭방지부
150: 절단부
180, 190: 조리 플레이트10: cookware
100: multi-purpose cooking device
110: insert plate
111: outer plate
112: inner plate
113: fitting groove
120: lifting board
125: receiving groove
127: stumbling block
130: blocking plate
131: base plate
132: stumbling block
140: interference prevention unit
150: cut part
180, 190: cooking plate
Claims (17)
별도로 내측으로 중공을 형성하며, 조리기구의 내측 둘레면에 안착되게 소정 높이를 가지는 삽입판;
상기 삽입판 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며, 절곡된 절곡면 상으로 상기 조리기구에서 조리되는 조리물의 안착을 가능하게 하는 올림판; 및
상기 올림판의 단부에서 상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조리기구의 상측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는 차단판을 포함하는,
다용도 조리기기.A multi-purpose cooking device seated on a cooking utensil or having a variety of cooking functions by locating a heating member providing heat in a hollow, the multi-purpose cooking device comprising:
an insert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to be separately formed inwardly and to be sea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oking utensil;
a lifting plate that is bent outwardly from the end of the insert plate and enables the food cooked in the cookware to be seated on the bent curved surface; and
Containing a blocking plate that extends upwardly bent from the end of the lifting plate and protrudes a predetermined height upwards of the cooking appliance,
Multipurpose cookware.
상기 삽입판의 하단에서 상기 올림판까지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 형상, 상기 삽입판의 하단에서 상기 올림판까지 넓어지도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 형상 및 상기 하단에서 상기 올림판까지 좁아지도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경사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가지는,
다용도 조리기기.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sert plate,
A vertical shape formed vertically from the lower end of the insertion plate to the lifting plate, a first inclined shape formed to be inclined outwardly to widen from the lower end of the inserting plate to the lifting plate, and an inwardly narrowed shape from the lower end to the lifting plate. Having at least one shape of the second inclined shape formed to be inclined,
Multipurpose cookware.
상기 올림판에서 상기 차단판의 상단까지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 형상, 상기 올림판에서 상기 차단판의 상단까지 넓어지도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 형상 및 상기 올림판에서 상기 차단판의 상단까지 좁아지도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경사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이 형상을 가지는,
다용도 조리기기.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locking plate,
A vertical shape formed vertically from the lifting plate to the upper end of the blocking plate, a first inclined shape formed to be inclined outwardly from the lifting plate to the upper end of the blocking plate, and narrow from the lifting plate to the upper end of the blocking plate At least one of the second inclined shapes formed to be inclined inwardly so as to have a shape,
Multipurpose cookware.
상기 차단판의 단부 사이에서 수평하게 형성되는 수평 형상, 상기 삽입판의 단부에서 상기 차단판의 단부로 낮아지도록 형성되는 올림 경사 형상 및 상기 삽입판의 단부에서 상기 차단판의 단부로 높아지도록 형성되는 내림 경사 형상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는,
다용도 조리기기.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fting board,
A horizontal shape formed horizontally between the ends of the blocking plate, a raised inclined shape formed to lower from an end of the insertion plate to an end of the blocking plate, and a rising from an end of the insertion plate to an end of the blocking plate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descending inclined shapes,
Multipurpose cookware.
상기 삽입판의 단부와 상기 올림판의 단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단차져 수용홈을 구비하는,
다용도 조리기기.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fting board,
Having a receiving groove stepped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insertion plate and the end of the lifting plate,
Multipurpose cookware.
상기 삽입판에는 상기 조리기구의 내측 둘레면과 외측 둘레면을 감싸면서 상기 조리기구의 둘레면을 삽입하여 고정되는 끼움홈이 구비되는,
다용도 조리기기.The method of claim 1,
The insert plate is provided with a fitting groove for inserti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oking appliance while enclosi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oking appliance is fixed,
Multipurpose cookware.
상기 올림판의 소정 위치에는 조리물의 기름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더 구비하는,
다용도 조리기기.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cooking oil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lifting plate,
Multipurpose cookware.
상기 올림판은 그릴 형상으로 구비되는,
다용도 조리기기.The method of claim 1,
The lifting plate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grill,
Multipurpose cookware.
상기 올림판 및 상기 차단판의 소정 위치는 오픈된 간섭방지구가 구비되어, 상기 조리기구 또는 별도의 조리기기와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다용도 조리기기.The method of claim 1,
An open interference prevention device is provid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of the lifting plate and the blocking plate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cooking appliance or a separate cooking appliance,
Multipurpose cookware.
상기 삽입판, 상기 올림판 및 상기 차단판에는 소정 위치에서 개방된 절단부가 구비되어, 상기 절단부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조리기구로 안착 시 크기 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는,
다용도 조리기기.The method of claim 1,
The insert plate, the lifting plate, and the blocking plate are provided with cut portions open at predetermined positions, so that the size can be adjusted when seated in the cooking utensil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cut portions,
Multipurpose cookware.
상기 올림판에는 조리물의 조리를 위한 조리 플레이트가 더 안착되는,
다용도 조리기기.The method of claim 1,
A cooking plate for cooking food is further seated on the lifting plate,
Multipurpose cookware.
상기 올림판에는 상기 그릴의 복수의 구멍 중 하나에 끼워져 유동 방지를 위한 걸림 부재가 구비되는,
다용도 조리기기.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lifting plate is fitt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holes of the grill provided with a locking member for preventing flow,
Multipurpose cookware.
상기 조리 플레이트는 그릴, 찜판을 포함하는,
다용도 조리기기.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oking plate includes a grill and a steam plate,
Multipurpose cookware.
상기 차단판의 상단부에는 조리물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다용도 조리기기.The method of claim 1,
A cooking plate for cooking food is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blocking plate,
Multipurpose cookware.
상기 차단판의 상단부에는 상기 조리 플레이트의 안착을 위해 상기 차단판의 단부에서 외측 또는 내측으로 절곡된 받침판이 더 구비되고,
상기 받침판에는 상기 조리 플레이트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 부재가 구비되는,
다용도 조리기기.15. The method of claim 14,
A support plate bent outwardly or inwardly from an end of the blocking plate is further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blocking plate for seating the cooking plate,
The support plate is provided with a locking member for preventing the flow of the cooking plate,
Multipurpose cookware.
상기 올림판에는 일체형 또는 탈부착 타입의 손잡이부가 더 구비되는,
다용도 조리기기.The method of claim 1,
The lifting plate is further provided with an integral or detachable type handle portion,
Multipurpose cookware.
상기 삽입판, 상기 올림판 및 상기 차단판은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폴딩되어 접히거나 펼쳐져 중공을 소정 형상을 형성하는 자바라 형상으로 구비되는,
다용도 조리기기.The method of claim 1,
The insertion plate, the lifting plate, and the blocking plate are folded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to be folded or unfolded to form a hollow hole in a bellows shape,
Multipurpose cookwar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0905A KR20220126526A (en) | 2021-03-09 | 2021-03-09 | Multi-purpose cook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0905A KR20220126526A (en) | 2021-03-09 | 2021-03-09 | Multi-purpose cooking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26526A true KR20220126526A (en) | 2022-09-16 |
Family
ID=83445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30905A Pending KR20220126526A (en) | 2021-03-09 | 2021-03-09 | Multi-purpose cook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126526A (en) |
-
2021
- 2021-03-09 KR KR1020210030905A patent/KR20220126526A/en active Pen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293271B1 (en) | Multifunctional cooking pot | |
US5758569A (en) | Poultry frying apparatus | |
US20130298781A1 (en) | Portable Passive Convection Cooking Oven | |
KR20070000383U (en) | Oven Easy Cooker | |
US20120031918A1 (en) | Interchangeable pan | |
US6196120B1 (en) | Steamer insert, steamer assembly and method | |
KR102263362B1 (en) | Barbecue Rrill | |
US20130213242A1 (en) | Infrared charcoal grill | |
KR20200125101A (en) | Portable Barbeque Apparatus | |
US8381642B2 (en) | Container with suspended rack | |
KR20110021541A (en) | Multipurpose Cooking Vessel | |
KR101530070B1 (en) | Multipurpose cookware for roasting and soup | |
US20230292956A1 (en) | Griddle for barbecue grill or smoker | |
KR20220126526A (en) | Multi-purpose cooking device | |
KR20160112425A (en) | Indoor and Outdoor Steak Pan | |
US20190069353A1 (en) | Dimpled Wok | |
JP2006029622A (en) | Pan set for cooking and heating cooker | |
KR102142681B1 (en) | Baking pan | |
KR20110006479U (en) | Direct heat induction oven | |
KR200245632Y1 (en) | A cookpot combining plate | |
CN211022175U (en) | Multifunctional cooking utensil | |
KR200335328Y1 (en) | Double-faced Cookware | |
KR102347762B1 (en) | Fire plate for both direct and indirect grilling | |
JPH0556965B2 (en) | ||
KR102506559B1 (en) | Multifunctional roasting device with detachable far-infrared emitting par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4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