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5653A - 적층 구조체 및 이를 사용하는 터치 센서 - Google Patents
적층 구조체 및 이를 사용하는 터치 센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25653A KR20220125653A KR1020210083133A KR20210083133A KR20220125653A KR 20220125653 A KR20220125653 A KR 20220125653A KR 1020210083133 A KR1020210083133 A KR 1020210083133A KR 20210083133 A KR20210083133 A KR 20210083133A KR 20220125653 A KR20220125653 A KR 2022012565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lver nanowire
- touch sensor
- nanowire layer
- silver
- lay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개시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체의 개략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를 준비하기 위한 단계들을 도시하는 도식적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를 준비하기 위한 단계들을 도시하는 도식적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를 준비하기 위한 단계들을 도시하는 도식적인 순서도이다.
Claims (20)
- 적층 구조체로서,
기판;
상기 기판의 상단 상에 제공되는 은 나노와이어 층; 및
상기 은 나노와이어 층의 상단 상에 제공되는 금속 층을 포함하며,
상기 은 나노와이어 층은,
복수의 은 나노와이어들, 및
상기 복수의 은 나노와이어들 상에 커버되는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을 포함하고,
상기 은 나노와이어 층은 상기 ITO의 두께보다 2.35-24 배 두꺼운 전체 두께를 갖는, 적층 구조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은 나노와이어 층의 전체 두께는 40 내지 120 nm의 범위인, 적층 구조체.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은 나노와이어 층 내의 상기 ITO의 두께는 5 내지 17 nm의 범위인, 적층 구조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은 나노와이어 층은 5 내지 100 제곱 당 옴(ohm per square; ops) 범위의 시트 저항을 갖는, 적층 구조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층 구조체는,
상기 기판의 밑면 상에 제공되는 제 2 은 나노와이어 층; 및
상기 제 2 은 나노와이어 층의 밑면 상에 제공되는 제 2 금속 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은 나노와이어 층은,
복수의 은 나노와이어들, 및
상기 복수의 은 나노와이어들 상에 커버되는 ITO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은 나노와이어 층은 상기 제 2 은 나노와이어 층의 상기 ITO의 두께보다 2.35-24 배 두꺼운 전체 두께를 갖는, 적층 구조체.
- 터치 센서로서,
청구항 1에 따른 적층 구조체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적층 구조체의 상기 은 나노와이어 층 및 상기 금속 층은 패턴화되는, 터치 센서.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는 청구항 1에 따른 적층 구조체들 중 2개를 포함하며, 상기 2개의 적층 구조체들의 상기 은 나노와이어 층들 및 상기 금속 층들은 패턴화되는, 터치 센서.
- 터치 센서로서,
청구항 5에 따른 적층 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은 나노와이어 층, 상기 제 2 은 나노와이어 층, 상기 금속 층, 및 상기 제 2 금속 층은 패턴화되는, 터치 센서.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은 나노와이어 층은 5 내지 100 제곱 당 옴(ohm per square; ops) 범위의 시트 저항을 갖는, 적층 구조체.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은 나노와이어 층은 5 내지 100 제곱 당 옴(ohm per square; ops) 범위의 시트 저항을 갖는, 적층 구조체.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적층 구조체는,
상기 기판의 밑면 상에 제공되는 제 2 은 나노와이어 층; 및
상기 제 2 은 나노와이어 층의 밑면 상에 제공되는 제 2 금속 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은 나노와이어 층은,
복수의 은 나노와이어들, 및
상기 복수의 은 나노와이어들 상에 커버되는 ITO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은 나노와이어 층은 상기 제 2 은 나노와이어 층의 상기 ITO의 두께보다 2.35-24 배 두꺼운 전체 두께를 갖는, 적층 구조체.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적층 구조체는,
상기 기판의 밑면 상에 제공되는 제 2 은 나노와이어 층; 및
상기 제 2 은 나노와이어 층의 밑면 상에 제공되는 제 2 금속 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은 나노와이어 층은,
복수의 은 나노와이어들, 및
상기 복수의 은 나노와이어들 상에 커버되는 ITO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은 나노와이어 층은 상기 제 2 은 나노와이어 층의 상기 ITO의 두께보다 2.35-24 배 두꺼운 전체 두께를 갖는, 적층 구조체.
- 터치 센서로서,
청구항 2에 따른 적층 구조체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
- 터치 센서로서,
청구항 3에 따른 적층 구조체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
- 터치 센서로서,
청구항 4에 따른 적층 구조체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
- 터치 센서로서,
청구항 10에 따른 적층 구조체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
- 터치 센서로서,
청구항 11에 따른 적층 구조체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
- 터치 센서로서,
청구항 12에 따른 적층 구조체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
- 터치 센서로서,
청구항 13에 따른 적층 구조체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2110244128.2 | 2021-03-05 | ||
CN202110244128.2A CN115016663A (zh) | 2021-03-05 | 2021-03-05 | 叠构结构及触控感应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25653A true KR20220125653A (ko) | 2022-09-14 |
Family
ID=83065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3133A Ceased KR20220125653A (ko) | 2021-03-05 | 2021-06-25 | 적층 구조체 및 이를 사용하는 터치 센서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2022135862A (ko) |
KR (1) | KR20220125653A (ko) |
CN (1) | CN115016663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4101723A (ja) | 2023-01-18 | 2024-07-30 |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 導電性材料組成物、導電膜、および導電膜の形成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777793B (zh) * | 2012-10-17 | 2017-05-31 | 宸鸿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 触控面板及其制备方法 |
CN105320330B (zh) * | 2014-07-29 | 2018-09-14 | 南京瀚宇彩欣科技有限责任公司 | 光电调变堆叠 |
KR20170113033A (ko) * | 2016-03-31 | 2017-10-12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필름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
-
2021
- 2021-03-05 CN CN202110244128.2A patent/CN115016663A/zh not_active Withdrawn
- 2021-06-24 JP JP2021104790A patent/JP2022135862A/ja active Pending
- 2021-06-25 KR KR1020210083133A patent/KR20220125653A/ko not_active Ceas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22135862A (ja) | 2022-09-15 |
CN115016663A (zh) | 2022-09-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838131B2 (ja) | タッチオンレンズデバイス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 |
CN108345407B (zh) | 高性能膜型触摸传感器及其制造方法 | |
US11561657B2 (en) |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touch display device | |
KR101683373B1 (ko) | 전도성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 |
WO2017104573A1 (ja) | 金属層積層透明導電性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タッチセンサ | |
US20110063232A1 (en) | Projective-capacitive touch panel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 |
CN102819367B (zh) | 触控面板的制造方法 | |
US9736934B2 (en) | Touch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nductive layer for touch panel | |
CN107209595B (zh) | 薄膜触摸传感器及其制造方法 | |
CN102446019B (zh) | 触控面板的制造方法 | |
US10104770B2 (en) | Touch panel, preparing method thereof, and Ag—Pd—Nd alloy for touch panel | |
KR20220125653A (ko) | 적층 구조체 및 이를 사용하는 터치 센서 | |
US11494040B2 (en) | Stacking structure and touch sensor using same | |
KR20160121663A (ko) |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80093339A (ko) | 터치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 |
CN215006595U (zh) | 叠构结构及触控感应器 | |
KR101551859B1 (ko) | 금속 레이어를 에칭 레지스트로 이용하는 에칭 방법 | |
TWI783404B (zh) | 疊構結構及觸控感應器 | |
JP5834488B2 (ja) | タッチパネルセンサー付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1199047B1 (ko) |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 |
WO2014185403A1 (ja) | 電子部品を作製するために用いられる積層体および積層体製造方法、フィルムセンサおよびフィルムセンサを備えるタッチパネル装置、並びに、濃度勾配型の金属層を成膜する成膜方法 | |
KR102551528B1 (ko) | 적층 구조체 및 터치 센서 | |
TW202013159A (zh) | 觸控面板及其製造方法 | |
JP6242710B2 (ja) | 入力装置の製造方法 | |
JP2010040424A (ja) | タッチセンサ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304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301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