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5627A - Active noise control apparatus of vehicle - Google Patents
Active noise control apparatus of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25627A KR20220125627A KR1020210029732A KR20210029732A KR20220125627A KR 20220125627 A KR20220125627 A KR 20220125627A KR 1020210029732 A KR1020210029732 A KR 1020210029732A KR 20210029732 A KR20210029732 A KR 20210029732A KR 20220125627 A KR20220125627 A KR 2022012562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active noise
- noise control
- console
- control de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29920001470 polyketo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57 fla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28—Vehicles
- G10K2210/1282—Automobiles
- G10K2210/12821—Rolling noise; Wind and body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 내 구성되는 능동소음제어(Active Noise Control; ANC)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tive noise control (ANC) device configured in a vehicle.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각종 소음(엔진소음, 노면소음, 바람소리 등)은 능동소음제어(ANC)를 통해 상쇄된다.In general, various noises (engine noise, road noise, wind noise, etc.) flowing into the vehicle are canceled through active noise control (ANC).
여기서, 능동소음제어(ANC)는 소음원의 근처에서 측정된 신호를 제어기를 이용하여 그 음과 크기가 같은 역위상차의 상쇄파(역위상음)를 발생시켜 소음을 저감시키는 기술이다.Here, active noise control (ANC) is a technology for reducing noise by generating an offsetting wave (anti-phase sound) of an inverse phase difference of the same magnitude as the sound by using a signal measured in the vicinity of a noise source using a controller.
종래에는 이러한 능동소음제어를 수행하기 위하여 차량의 도어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역위상음을 송출했다. 특히, 전 좌석에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좌석과 가까운 도어 스피커가 각 좌석의 메인 능동소음제어 스피커로 사용됐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perform such an active noise control, an anti-phase sound is transmitted through a speaker installed in a door of a vehicle. In particular, to remove noise from all seats, door speakers close to the seats were used as the main active noise control speakers for each seat.
하지만, 그로 인하여 스피커의 수가 많아지고 제어 로직이 복잡해짐에 따라 데이터 연산량 및 원가가 증가하고, 나아가 데이터 처리 속도까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s the number of speakers increases and the control logic becomes more complicat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mount of data calculation and cost increase, and the data processing speed also decreases.
게다가, 도어 스피커는 통상적으로 탑승자의 허리 아래에 위치하기 때문에, 탑승자 귀의 위치와 상대적으로 멀어서 탑승자가 체감하는 능동소음제어 기능 구현에 어려움이 따를 수밖에 없었다.In addition, since the door speaker is usually located below the occupant's waist, it is relatively far from the position of the occupant's ear, so it is inevitably difficult to implement the active noise control function that the occupant feels.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차량 내 스피커로 구성되어 능동소음제어(ANC) 기능의 효율과 체감 성능을 높일 수 있는 능동소음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ctive noise control device that is composed of an in-vehicle speaker and can increase the efficiency and sensible performance of an active noise control (ANC) function.
특히, 본 발명은 차량내에 위치한 음향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능동소음제어를 수행함으로써, 데이터 처리 연산 및 제어 로직을 단순화시켜 원가를 절감함과 동시에 알고리즘 처리 속도를 높일 수 있는 능동소음제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ctive noise control using an acoustic actuator located in a vehicle, thereby simplifying data processing operations and control logic to reduce costs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an active noise control device capable of increasing algorithm processing speed. .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here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능동소음제어 장치는, 차량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소음원 신호를 생성하고 소음원 신호에 대한 역위상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기와, 소음원 신호를 상쇄하기 위하여, 제어기에서 생성된 역위상 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An active noise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ler that generates a noise source signal flowing in from outside the vehicle and generates an anti-phase signal with respect to the noise source signal, and in order to offset the noise source signal, the generated noise source signal is generated by the controller. and an acoustic actuator that outputs an anti-phase signal.
이때, 음향 액츄에이터는 소음원 신호를 상쇄하는 캔슬링 포인트(Canceling point)가 차량 내 중앙에 형성되도록 차량 내에 구비된 진동판에 진동을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acoustic actuator transmits vibration to the diaphragm provided in the vehicle so that a canceling point for canceling the noise source signal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vehicle.
제어기는 소음원 신호에 대한 역위상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FxLMS(Filtered-x Least Mean Square)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use a Filtered-x Least Mean Square (FxLMS) algorithm to generate an anti-phase signal with respect to the noise source signal.
제어기는 차량의 앰프 내 오디오 프로세싱이 가능한 DSP(Digital Signal Processing)에 포함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be included in Digital Signal Processing (DSP) capable of audio processing in the vehicle's amplifi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능동소음제어 장치는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위치하는 플로어 콘솔 어셈블리; 플로어 콘솔 어셈블리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수납공간을 갖는 스토리지 박스; 및 스토리지 박스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차량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소음원 신호에 대한 역위상 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액츄에이터를 갖는 콘솔 커버를 포함한다.An active noise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oor console assembly positioned between a driver's seat and a passenger seat of the vehicle; a storage box disposed on the floor console assembly, the storage box having an open upper surface and having a storage space therein; and a console cover having a structure covering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box and having an acoustic actuator outputting an anti-phase signal to a noise source signal introduced from outside the vehicle.
콘솔 커버는 일부 구간에 음향 액츄에이터로부터 진동을 전달받아 소리를 증폭하는 진동판을 구비한다.The console cover is provided with a diaphragm that receives vibration from the acoustic actuator in some sections and amplifies the sound.
진동판은 내충격성을 갖는 연성의 폴리케톤(Polyketone; PK)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diaphragm may be made of a soft polyketone (PK) material having impact resistance.
진동판은 콘솔 커버에 형성된 커버 홀에 탈착 가능한 형태로 연결되고, 콘솔 커버의 커버 홀과 진동판 사이에는 진동판의 진동을 보정하는 서라운드가 배치될 수 있다.The diaphragm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a cover hole formed in the console cover, and a surround for compensating vibration of the diaphragm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over hole of the console cover and the diaphragm.
진동판은 차량 내에서 외부 소음에 대한 노이즈를 제거하는 캔슬링 포인트(Canceling point)가 차량 내 중앙에 위치하도록 콘솔 커버의 후방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The diaphragm may be disposed at the rear center of the console cover so that a canceling point for removing noise for external noise in the vehicle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능동소음제어 장치는,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배치되며 스토리지 박스와, 스토리지 박스를 덮는 콘솔 커버를 포함하는 콘솔 박스; 및 콘솔 커버의 하단에 부착되어 차량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소음원 신호에 대한 역위상 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An active noise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sole box disposed between a driver's seat and a passenger seat of a vehicle and including a storage box and a console cover covering the storage box; and an acoustic actuator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sole cover and outputting an anti-phase signal with respect to a noise source signal introduced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콘솔 커버는 음향 액츄에이터로부터 진동을 전달받아 소리를 증폭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sole cover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vibration from the acoustic actuator and amplify the sound.
콘솔 커버는 음향 액츄에이터와 닿는 일부 구간이 내충격성을 갖는 연성의 폴리케톤(Polyketone; PK)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sole cover may be made of a soft polyketone (PK) material having impact resistance in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acoustic actuator.
본 발명에 따르면, 능동소음제어 장치는 차량 내 스피커로 구성되어 능동소음제어(ANC)의 캔슬링 포인트를 차량 내 중앙에 위치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ctive noise control device may be configured as an in-vehicle speaker to position the canceling point of the active noise control (ANC) in the center of the vehicle.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하나의 스피커 구성만으로도 종래에 사용된 복수의 도어 스피커 기능과 유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effect similar to the function of a plurality of door speakers used in the prior art using only one speaker configuration.
아울러, 본 발명은 데이터 처리 연산 및 제어 로직을 단순화시킴에 따라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알고리즘 처리 속도를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cost by simplifying the data processing operation and control logic, and at the same time increase the algorithm processing spe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소음제어 장치가 차량 내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소음제어 장치의 활용 예를 개략적으로 도식화 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소음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소음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소음제어 장치에 있어서, 음향 액츄에이터와 진동판의 구성 간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active nois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vehicle;
2 and 3 are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an active nois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ctive nois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ctive nois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of an acoustic actuator and a diaphragm in an active nois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Meanwhile,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other than the stated elements, steps, acts and/or elements. addition is not exclud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급적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on different drawings, and in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components or function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f i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소음제어 장치가 차량 내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소음제어 장치의 활용 예를 개략적으로 도식화 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ctive nois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vehicle, and FIGS. 2 and 3 schematically show an example of application of an active nois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with
먼저, 도 1을 살펴보면 능동소음제어 장치(100)는 기존에 능동소음제어로 사용된 도어 스피커 대신에,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위치한 콘솔 박스에 스피커로 구성되어 능동소음제어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는 하나의 일례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설치 위치는 콘솔 박스에 제한되지 않는다.First, referring to FIG. 1 , the active
가령, 능동소음제어 장치(100)는 차량 내 위치하는 시트의 백보드, 도어 트림, 필러, 창문 유리, 헤드라이닝 등에 스피커로 구성되어 능동소음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ctive
능동소음제어 장치(100)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차량 내 중앙에 위치하기 때문에 각 좌석을 노이즈 캔슬링 타겟으로 하는 도어 스피커를 사용하는 것과 전반적으로 비슷한 효과를 낼 수 있다.Since the location of the active
다시 말해, 능동소음제어 장치(100)는 차량 내에서 외부 소음에 대한 노이즈를 제거하는 캔슬링 포인트가 차량 내 중앙에 위치하여 데이터 처리 연산 속도를 높이고 제어 로직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In other words, in the active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을 살펴보면, 능동소음제어 장치(100)는 제어기(미도시)를 통해 차량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소음원 신호(소음원 1, 소음원 2)를 생성하고, 이 소음원 신호에 대한 역위상 신호를 생성한다.Next, referring to FIGS. 2 and 3 , the active
그 후에 능동소음제어 장치(100)의 음향 액츄에이터(140)는 소음원 신호를 상쇄하기 위하여, 제어기에서 생성된 역위상 신호를 출력한다.Thereafter, the
여기서 제어기는, 소음원 신호에 대한 역위상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FxLMS(Filtered-x Least Mean Square) 알고리즘을 이용한다. 이 알고리즘을 통해 생성된 출력이 발생된 소음을 상쇄시키고, 잔여 오차는 마이크로폰(미도시)을 통해 취득되어 다시 ANC 알고리즘을 피드백된다.Here, the controller uses a Filtered-x Least Mean Square (FxLMS) algorithm to generate an out-of-phase signal with respect to the noise source signal. The output generated through this algorithm cancels the generated noise, and the residual error is acquired through a microphone (not shown) and fed back to the ANC algorithm.
ANC 알고리즘은 차량에 설치된 앰프 내의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회로의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The ANC algorithm may be implemented as part of a Digital Signal Processing (DSP) circuit in an amplifier installed in the vehicle.
기존의 ANC 기능은 차량의 도어 스피커(4개)에서 소음을 제거하는 역위삼을 송출하게 되는데, 4개의 스피커에서 발생하는 소리가 적절히 믹스되어 노이즈가 캔슬링된다. 이때, 스피커의 출력을 믹싱하는 과정에서 각 스피커의 위치와 탑승자 귀 위치(각 좌석의 허드레스트 위치)간의 거리를 보상해주는 로직이 필요하기 때문에 사용하는 스피커의 수가 증가할수록 알고리즘의 복잡도가 증가한다.The existing ANC function transmits an inverted wave that removes noise from the vehicle's door speakers (4), and the noise from the 4 speakers is mixed appropriately to cancel the noise. At this time, as the number of speakers used increases, the complexity of the algorithm increases because logic is needed to compensate the distance between the position of each speaker and the position of the occupant's ear (the position of the headrest of each seat) in the process of mixing the output of the speaker.
하지만,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 액츄에이터(140)를 사용하면, 차량 내 도어 스피커를 사용하지 않고 1개의 스피커로 ANC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However, if the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은 데이터 처리를 위한 로직과 연산이 단순화되어 알고리즘 처리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능동소음제어 장치(100)는 도어 스피커에 비해 음향 액츄에이터(140)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탑승자의 귀와 더 가깝기 때문에 출력 신호를 제어하는데 용이하다.Due to this, in the present invention, logic and operation for data processing are simplified, so that the algorithm processing speed can be increased. In addition, the activ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소음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소음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소음제어 장치에 있어서, 음향 액츄에이터와 진동판의 구성 간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ctive nois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ctive nois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ctive nois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agram, it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figuration of the acoustic actuator and the diaphragm.
도 4 내지 도 6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능동소음제어 장치(100)는 플로어 콘솔 어셈블리(110), 스토리지 박스(120), 콘솔 커버(130), 음향 액츄에이터(140) 및 진동판(150)을 포함한다.4 to 6 , the active
플로어 콘솔 어셈블리(110)는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위치하며, 내부적으로 전장과 관련한 내부 부품을 내장한다.The
스토리지 박스(120)는 플로어 콘솔 어셈블리(110)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스토리지 박스(120)는 내부에 수납공간을 가지며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스토리지 박스(120)는 상, 하면이 관통된 상태로 플로어 콘솔 어셈블리(110)의 상단에 일부 구간에 탈착 가능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The
콘솔 커버(130)는 스토리지 박스(120)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다. 이러한 콘솔 커버(130)는 커버 내측프레임(131)과, 커버 외측프레임(132)을 구비하고, 일부 구간에 커버 내측프레임(131) 및 커버 외측프레임(132)을 관통하는 커버 홀(131a, 132a)을 구비할 수 있다.The
음향 액츄에이터(140)는 콘솔 커버(130)의 커버 내측프레임(131)과 커버 외측프레임(132) 사이에 배치되어, 차량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소음원 신호에 대한 역위상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액츄에이터(140)는 진동스피커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진동판(150)은 콘솔 커버(130)에 형성된 커버 홀(131a, 132a)상에 위치하여, 음향 액츄에이터(140)로부터 진동을 전달받아 소리를 증폭한다.The
이때, 진동판(150)은 내충격성을 갖는 연성의 폴리케톤(Polyketone; PK)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그리고 진동판(150)은 콘솔 커버(130)의 커버 홀(131a, 132a)에 탈착 가능한 형태로 연결된다. 이때, 콘솔 커버(130)의 커버 홀(131a, 132a)과 진동판(150) 사이에는 진동판의 진동을 보정하는 서라운드(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진동판(150)은 차량 내에서 외부 소음에 대한 노이즈를 제거하는 캔슬링 포인트(Canceling point)가 차량 내 중앙에 위치하도록 콘솔 커버(130)의 후방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The
한편, 다른 실시예로 콘솔 박스의 스토리지 박스(120)를 덮는 콘솔 커버(130)가 진동판(150) 대신에 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음향 액츄에이터(140)의 상단에 콘솔 커버(130)가 배치되어, 소리를 증폭시킬 수도 있다.Meanwhile, in another embodiment, the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능동소음제어 장치
110: 플로어 콘솔 어셈블리
120: 스토리지 박스
130: 콘솔 커버
131: 커버 내측프레임
131a, 132a: 커버 홀
132: 커버 외측프레임
140: 음향 액츄에이터
150: 진동판100: active noise control device
110: floor console assembly
120: storage box
130: console cover
131: cover inner frame
131a, 132a: cover hole
132: cover outer frame
140: acoustic actuator
150: diaphragm
Claims (11)
상기 소음원 신호를 상쇄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기에서 생성된 역위상 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음향 액츄에이터는
상기 소음원 신호를 상쇄하는 캔슬링 포인트(Canceling point)가 차량 내 중앙에 형성되도록 차량 내에 구비된 진동판에 진동을 전달하는 것인 차량의 능동소음제어 장치.
a controller for generating a noise source signal flowing in from outside the vehicle and generating an anti-phase signal with respect to the noise source signal;
and an acoustic actuator outputting an anti-phase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ler in order to cancel the noise source signal,
The acoustic actuator is
An active noise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that transmits vibrations to a diaphragm provided in the vehicle so that a canceling point for canceling the noise source signal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vehicle.
상기 제어기는
상기 소음원 신호에 대한 역위상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FxLMS(Filtered-x Least Mean Square)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것인 차량의 능동소음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ler
An active noise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that uses a Filtered-x Least Mean Square (FxLMS) algorithm to generate an antiphase signal with respect to the noise source signal.
상기 제어기는
차량의 앰프 내 오디오 프로세싱이 가능한 DSP(Digital Signal Processing)에 포함되는 것인 차량의 능동소음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ler
An active noise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that is included in DSP (Digital Signal Processing) capable of audio processing in the vehicle's amplifier.
상기 플로어 콘솔 어셈블리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수납공간을 갖는 스토리지 박스; 및
상기 스토리지 박스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차량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소음원 신호에 대한 역위상 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액츄에이터를 갖는 콘솔 커버를 포함하는 차량의 능동소음제어 장치.
a floor console assembly positioned between a driver's seat and a passenger seat of the vehicle;
a storage box disposed on the floor console assembly, the storage box having an open upper surface, and having a storage space therein; and
and a console cover having a structure covering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box and having an acoustic actuator outputting an anti-phase signal with respect to a noise source signal introduced from outside the vehicle.
상기 콘솔 커버는
상단 일부 구간에 상기 음향 액츄에이터로부터 진동을 전달받아 소리를 증폭하는 진동판을 구비하는 것인 차량의 능동소음제어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sole cover
An active noise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that includes a diaphragm that receives vibration from the acoustic actuator and amplifies the sound in a portion of the upper section.
상기 진동판은
내충격성을 갖는 연성의 폴리케톤(Polyketone; PK)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인 차량의 능동소음제어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diaphragm is
An active noise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that is made of a soft polyketone (PK) material having impact resistance.
상기 진동판은
상기 콘솔 커버에 형성된 커버 홀에 탈착 가능한 형태로 연결되고, 상기 콘솔 커버의 커버 홀과 상기 진동판 사이에는 상기 진동판의 진동을 보정하는 서라운드가 배치되는 것인 차량의 능동소음제어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diaphragm is
The active noise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is detachably connected to a cover hole formed in the console cover, and a surround for compensating vibration of the diaphragm is disposed between the cover hole of the console cover and the diaphragm.
상기 진동판은
차량 내에서 외부 소음에 대한 노이즈를 제거하는 캔슬링 포인트(Canceling point)가 차량 내 중앙에 위치하도록 상기 콘솔 커버의 후방 중앙에 배치되는 것인 차량의 능동소음제어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diaphragm is
An active noise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that is disposed at the rear center of the console cover so that a canceling point for removing noise for external noise in the vehicle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vehicle.
상기 콘솔 커버의 하단에 부착되어 차량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소음원 신호에 대한 역위상 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차량의 능동소음제어 장치.
a console box disposed between a driver's seat and a passenger seat of the vehicle, the console box including a storage box and a console cover covering the storage box; and
and an acoustic actuator attached to a lower end of the console cover and outputting an anti-phase signal with respect to a noise source signal introduced from outside the vehicle.
상기 콘솔 커버는
상기 음향 액츄에이터로부터 진동을 전달받아 소리를 증폭하는 것인 차량의 능동소음제어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sole cover
An active noise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that receives vibration from the acoustic actuator and amplifies the sound.
상기 콘솔 커버는
상기 음향 액츄에이터와 닿는 일부 구간이 내충격성을 갖는 연성의 폴리케톤(Polyketone; PK)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인 차량의 능동소음제어 장치.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sole cover
An active noise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in which a part of the section in contact with the acoustic actuator is made of a soft polyketone (PK) material having impact resistan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9732A KR20220125627A (en) | 2021-03-05 | 2021-03-05 | Active noise control apparatus of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9732A KR20220125627A (en) | 2021-03-05 | 2021-03-05 | Active noise control apparatus of vehic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25627A true KR20220125627A (en) | 2022-09-14 |
Family
ID=83279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29732A Pending KR20220125627A (en) | 2021-03-05 | 2021-03-05 | Active noise control apparatus of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125627A (en) |
-
2021
- 2021-03-05 KR KR1020210029732A patent/KR20220125627A/en active Pen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2874400B (en) | Noise-canceling head restraints for vehicle seats | |
EP3188181B1 (en) | Active noise-control system with source-separated reference signal | |
CN108140377B (en) | Road and engine noise control | |
US11183166B1 (en) | Virtual location noise signal estimation for engine order cancellation | |
JP6296300B2 (en) | Noise control device and noise control method | |
WO2007013281A1 (en) | Active vibration/noise controller | |
US5987144A (en) | Personal active noise cancellation method and device having invariant impulse response | |
EP2695159B1 (en) | Active buffeting control in an automobile | |
JP2019520724A (en) | Placement of vehicle speakers | |
US8184820B2 (en) | Indirect acoustic transfer control of noise | |
KR101822970B1 (en) | Active sound quality control system and method against operation noise due to motor-driven power window systems of opening units in vehicles | |
JP2014065375A (en) | Active noise suppressor | |
JP2007253799A (en) | Active vibration and noise control device | |
JP2004214852A (en) | Structure for suppressing propagation of vibration | |
JP4881896B2 (en) | Noise canceling device and noise canceling method | |
KR20220125627A (en) | Active noise control apparatus of vehicle | |
JP2000280831A (en) | Active noise control device | |
JP2010228641A (en) | Noise reducing device in vehicle | |
JP4561429B2 (en) | Intake system sound propagation structure | |
Oh et al. | Development of an active road noise control system | |
JP3146489B2 (en) | Active vehicle interior noise reduction device | |
JP7486038B2 (en) | Noise reduction device | |
JPH11133981A (en) | Silencer | |
EP4343753A1 (en) | Vehicle interior panel, corresponding vehicle door, and vehicle having such panel | |
JP7383944B2 (en) | Sound equipment and vehicl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0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403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103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