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122013A - 차량 탑재용 접이식 카라반 - Google Patents

차량 탑재용 접이식 카라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2013A
KR20220122013A KR1020210026103A KR20210026103A KR20220122013A KR 20220122013 A KR20220122013 A KR 20220122013A KR 1020210026103 A KR1020210026103 A KR 1020210026103A KR 20210026103 A KR20210026103 A KR 20210026103A KR 20220122013 A KR20220122013 A KR 20220122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avan
vehicle
roof
box
extend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6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원석
Original Assignee
동일화학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일화학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일화학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6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2013A/ko
Publication of KR20220122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2013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the living accommodation being expansible, collapsible or capable of rearrang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4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with hinged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06Tents at least partially supported b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초부재(10), 상기 기초부재(10)에 직각으로 접합되어 6면체의 공간을 형성하는 4개의 박스부재(20a, 20b, 20c, 20d), 상기 박스부재(20a)에 연장된 바닥부재(30), 상기 바닥부재(30)에 연장된 후미부재(40), 상기 박스부재(20d)에 연장된 좌측부재(50), 상기 박스부재(20b)에 연장된 우측부재(60), 및 상기 박스부재(20c)에 연장된 지붕부재(70)로 구성되는 차량 탑재용 접이식 카라반(100)을 개시한다. 상기 접이식 카라반(100)은 차량(200)의 지붕에 고정된 고정바(201)에 회전식으로 고정하기 위한 리프링 바(lifting bar)(101)에 의해 조립된다. 차량(200) 지붕에 탑재하는 경우, 바닥부재(30), 후미부재(40), 좌측부재(50), 우측부재(60), 및 지붕부재(70)는 차례로 접혀져서, 기초부재(10) 및 4개의 박스부재(20a, 20b, 20c, 20d)에 의해 형성된 6면체의 공간 내에 모두 수용된다. 바닥부재(30), 후미부재(40), 좌측부재(50), 우측부재(60), 및 지붕부재(70)는 모두 본체를 구성하는 벽체 패널(110)과 상기 벽체 패널(110)의 모서리에 조립되는 프레임(12)으로 구성된다. 벽체 패널(110)은 30∼40mm의 두께를 갖는 것으로, 두 장의 PC(폴리카보네이트) 중공 구조물(111a, 111b) 및 그 사이에 삽입되어 접합된 단열 시이트(112)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차량 탑재용 접이식 카라반{Foldable Caravan for Installing on Vehicles}
본 발명은 접이식 카라반(foldable caravan)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주로, 캠핑카(camping car), 봉고차, SUV 차량, 또는 밴(van)과 같은 승용차의 지붕에 탑재하여 이동 및 사용이 편리한 접이식 카라반에 관한 것이다.
캠핑카는 차량 내부에 각종 생활설비를 갖춤으로써 차량을 이용하는 사람이 쾌적한 환경을 누리면서 언제든지 원하는 곳으로 여행이나 캠핑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된 차량이다. 캠핑카는 소형 트럭부터 버스에 이르기까지 그 규모가 다양하다.
카라반은 내부에 각종 생활설비를 갖추고 있지만 자체적으로 이동할 수 없고 다른 차량에 의해 견인되어야 이동이 가능하다. 카라반에 비하여 자체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캠핑카를 모터 카라반(motor caravan)이라고도 한다.
캠핑카 또는 카라반을 이용한 여행이나 캠핑은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자유로운 여행과 자연에서의 레저생활을 누리고자 하는 현대인들에게 매력과 인기를 더해가고 있다. 그러한 욕구와 수요를 충족하도록 다양한 종류의 캠핑카 또는 카라반이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캠핑카는 캠핑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승용차와 같이 일반적인 수송 수단이 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캠핑카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캠핑카를 구입하거나 렌트하여 사용할 수밖에 없다. 이는 대중적인 수요자들에게는 경제적으로 큰 부담을 주게 된다.
카라반 역시 자체적으로 이동하지 못하기 때문에 견인을 위해 별도의 차량이 필요하다. 카라반은 또한 소정의 공간을 점유하는 건축물이기 때문에 보관 중에도 소정의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어느 정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카라반 또는 캠핑 하우스가 개발되고 있다.
한국특개특허 제2020-0103512호는 카라반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지하 주차장에 손쉽게 진입할 수 있고, 트럭에 적재하여 손쉽게 이동할 수 있는 접이식 캠핑 하우스를 개시한다. 그러나, 이 캠핑 하우스도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 별도의 트럭을 필요로 한다.
한국특허 제1595694호는 다수개의 평판을 축차적으로 펴고 접음으로써 캠핑 주거 공간을 손쉽게 확보할 수 있고, 이동 및 사용후 보관이 용이하고, 일반 대중 누구나 부담없이 구입하도록 저비용으로 제조되는 접이식 카라반을 개시한다. 이 특허의 접이식 카라반은 접은 상태에서 소형 차량으로 운반가능하다고 설명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운반 수단에 대해서는 개시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이 특허의 카라반은 구조가 복잡하고, 평판으로 6T 두께의 폴리카보네이트 패널이나 알루미늄 패널을 사용하기 때문에, 하중의 증가로 인하여 차량 지붕에 고정시켜 운반하는 경우 차량 전복 사고의 위험이 있다.
다른 공지된 카라반으로는 차량지붕에 설치하여 주거 공간을 형성하는 루프탑텐트(roof top tent)가 있다. 하지만, 이는 공간이 제한되어 있어서 이용이 불편하고, 특히 차량 지붕에 설치됨으로써 유아 및 노인에게는 사고의 우려가 있다.
본 발명자는 기존의 캠핑카나 카라반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생활공간을 확장할 수 있고, 1톤 소형트럭, 트레일러, 승용차 등으로 간단히 운반할 수 있으며,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공간 확장형 카라반을 개발하여 특허출원 제2018-135663호로 출원하여 특허받기도 하였다. 이 특허의 카라반은 카라반의 주거 공간을 확장하는 데에는 매우 유용하지만, 이동시 별도의 차량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기존의 캠핑카나 카라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캠핑카, 봉고차, SUV 차량, 밴(van) 등과 같은 승용차의 지붕에 탑재하여 이동 및 사용이 편리하고, 소재를 경량화함으로써 차량 운행시 안전을 담보하며, 캠핑 주거 공간을 제공하는 본 발명의 접이식 카라반을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캠핑카, 봉고차, SUV 차량, 밴(van) 등과 같은 승용차의 지붕에 탑재하여 이동 및 사용이 편리한 접이식 카라반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지붕에 탑재하더라도 차량 운행시 안전을 담보하도록 경량화된 접이식 카라반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소재를 경량화하더라도 건축물로서의 충분한 강도와 단열 기능을 갖는 접이식 카라반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차량의 지붕에 탑재하는 경우 추가적인 높이를 400mm 이내로 함으로써 지하 주차장과 같이 높이에 제한을 받는 장소에서도 아무런 문제없이 탑재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접이식 카라반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상세히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해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재용 접이식 카라반(100)은 기초부재(10), 상기 기초부재(10)에 직각으로 접합되어 6면체의 공간을 형성하는 4개의 박스부재(20a, 20b, 20c, 20d), 상기 박스부재(20a)에 연장된 바닥부재(30), 상기 바닥부재(30)에 연장된 후미부재(40), 상기 박스부재(20d)에 연장된 좌측부재(50), 상기 박스부재(20b)에 연장된 우측부재(60), 및 상기 박스부재(20c)에 연장된 지붕부재(70)로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이식 카라반(100)은 차량(200)의 지붕에 고정된 고정바(201)에 회전식으로 고정하기 위한 리프링 바(lifting bar)(101)에 의해 조립된다.
바닥부재(30), 좌측부재(50), 우측부재(60), 및 지붕부재(70)는 박스부재(20a, 20d, 20b, 20c)에 각각 연장되어 접혀져야 하기 때문에 경첩(15)과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조립된다. 바닥부재(30)에 연장되어 결합되는 후미부재(40)도 경첩(15)과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조립된다.
후미부재(40), 좌측부재(50), 우측부재(60), 및 지붕부재(70)에는 필요한 형태의 창문이 설치될 수 있다.
차량(200) 지붕에 탑재하는 경우, 바닥부재(30), 후미부재(40), 좌측부재(50), 우측부재(60), 및 지붕부재(70)는 차례로 접혀져서, 기초부재(10) 및 4개의 박스부재(20a, 20b, 20c, 20d)에 의해 형성된 6면체의 공간 내에 모두 수용된다. 접혀지는 경우에는, 후미부재(40)가 먼저 바닥부재(30)에 접혀진 후, 이 두 부재(40, 30)가 6면체의 공간 내로 접혀지고, 그 다음 좌측부재(50), 우측부재(60), 및 지붕부재(70) 순으로 접혀진다. 상기 부재들을 펼쳐서 주거 공간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역순으로 진행한다.
바닥부재(30), 후미부재(40), 좌측부재(50), 우측부재(60), 및 지붕부재(70)는 모두 본체를 구성하는 벽체 패널(110)과 상기 벽체 패널(110)의 모서리에 조립되는 프레임(12)으로 구성된다. 벽체 패널(110)이 서로 결합되는 모서리에는 암수의 프레임(120a, 120b)이 결합하여 서로 밀착되도록 한다.
벽체 패널(110)은 30∼40mm의 두께를 갖는 것으로, 두 장의 PC(폴리카보네이트) 중공 구조물(hollow structure)(111a, 111b) 및 그 사이에 삽입되어 접합된 단열 시이트(112)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캠핑카, 봉고차, SUV 차량, 밴(van) 등과 같은 승용차의 지붕에 탑재하여 이동 및 사용이 편리하고, 차량의 지붕에 탑재하더라도 차량 운행시 안전을 담보하도록 경량화하고, 소재를 경량화하더라도 건축물로서의 충분한 강도와 단열 기능을 갖고, 차량의 지붕에 탑재하는 경우 추가적인 높이를 400mm 이내로 함으로써 지하 주차장과 같이 높이에 제한을 받는 장소에서도 아무런 문제없이 탑재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접이식 카라반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접이식 카라반(100)이 차량(200)에 탑재된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카라반(100)이 리프팅 바(101)의 회전에 의하여 언로딩(unloading) 되는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언로딩된 카라반(100)으로부터 바닥부재(30), 후미부재(40), 좌측부재(50), 우측부재(60), 및 지붕부재(70)가 펼쳐진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바닥부재(30), 후미부재(40), 좌측부재(50), 우측부재(60), 및 지붕부재(70)가 조립된 카라반(1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지붕부재(7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지붕부재(70)와 우측부재(60)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벽체 패널(110)에 관한 도면으로, (A)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B)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접이식 카라반에 관한 것으로, 주로, 캠핑카, 봉고차, SUV 차량, 또는 밴(van)과 같은 승용차의 지붕에 탑재하여 이동 및 사용이 편리한 접이식 카라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접이식 카라반(100)이 차량(200)에 탑재된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카라반(100)이 리프팅 바(101)의 회전에 의하여 언로딩(unloading) 되는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카라반(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6면체의 접혀진 상태에서 차량(200)의 지붕에 고정된다. 접혀진 상태의 접이식 카라반(100)은 높이가 약 400mm이고, 폭이 차량의 폭과 거의 동일한 1,800∼2,000mm이며, 길이가 약 1,500∼2,000mm의 사이즈를 갖는다.
접혀진 상태의 접이식 카라반(100)은 리프팅 바(101)에 의하여 차량의 지붕에 고정된 한 쌍의 고정 바(fixed bar)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차량 운행시의 안전을 고려하여 접이식 카라반(100)은 차량의 지붕에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한다. 카라반(100)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리프팅 바(101)를 회전시켜 접혀진 카라반(100)을 언로딩(unloading) 한다. 리프팅 바(101)는 모터, 리모콘(도시되지 않음) 등을 사용하여 접혀진 카라반(100)을 쉽게 로딩(loading) 또는 언로딩(unloading) 할 수 있다. 즉, 리프링 바(101)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하여 접이식 카라반(100)을 로딩 또는 언로딩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접혀진 카라반(100)을 언로딩(unloading) 한 후, 카라반 구조물 벽체를 차례로 펼친다. 도 3은 언로딩된 카라반(100)으로부터 바닥부재(30), 후미부재(40), 좌측부재(50), 우측부재(60), 및 지붕부재(70)가 펼쳐진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접이식 카라반(100)은 기초부재(10), 상기 기초부재(10)에 직각으로 접합된 4개의 박스부재(20a, 20b, 20c, 20d), 상기 박스부재(20a)에 연장된 바닥부재(30), 상기 바닥부재(30)에 연장된 후미부재(40), 상기 박스부재(20d)에 연장된 좌측부재(50), 상기 박스부재(20b)에 연장된 우측부재(60), 및 상기 박스부재(20c)에 연장된 지붕부재(70)로 구성된다. 기초부재(10) 및 상기 기초부재(10)에 직각으로 접합된 4개의 박스부재(20a, 20b, 20c, 20d)는 6면체의 공간을 형성하는데, 그 공간 내에 바닥부재(30), 후미부재(40), 좌측부재(50), 우측부재(60), 및 지붕부재(70)가 접혀져서 수용된다.
바닥부재(30), 좌측부재(50), 우측부재(60), 및 지붕부재(70)는 박스부재(20a, 20d, 20b, 20c)에 각각 연장되어 접혀져야 하기 때문에 경첩(15)과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조립된다. 바닥부재(30)에 연장되어 결합되는 후미부재(40)도 경첩(15)과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조립된다. 경첩(15)과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조립되는 각 부재의 모서리는 단열 및 실링(sealing)을 위한 부재(도시되지 않음)가 부가될 수 있으며, 이러한 부재의 부가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후미부재(40), 좌측부재(50), 및 우측부재(60)에는 필요한 형태의 창문(41, 51, 61)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지붕부재(70)에도 필요한 경우 창문이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바닥부재(30), 후미부재(40), 좌측부재(50), 우측부재(60), 및 지붕부재(70)가 조립되어 주거 공간이 형성된 카라반(1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설치된 주거 공간은 폭이 차량의 폭과 거의 동일한 1,800∼2,000mm이고, 높이와 길이가 약 1,500∼2,000mm인 공간이다.
차량(200) 지붕에 탑재하기 위하여 카라반을 접는 경우에는, 펼치는 경우의 역순으로 진행한다. 바닥부재(30), 후미부재(40), 좌측부재(50), 우측부재(60), 및 지붕부재(70)를 차례로 접어서, 기초부재(10) 및 4개의 박스부재(20a, 20b, 20c, 20d)에 의해 형성된 6면체의 공간 내에 수용한다. 접혀지는 경우에는, 후미부재(40)가 먼저 바닥부재(30)에 접혀진 후, 이 두 부재(40, 30)가 6면체의 공간 내로 접혀지고, 그 다음 좌측부재(50), 우측부재(60), 및 지붕부재(70) 순으로 접혀진다.
기초부재(10) 및 4개의 박스부재(20a, 20b, 20c, 20d)를 비롯하여 각 부재(30, 40, 50, 60, 70)는 카라반의 바닥, 벽체 및 지붕을 형성하는 것으로 약 30∼40mm의 두께를 갖는다. 각 부재(30, 40, 50, 60, 70)는 차례로 접혀져서 기초부재(10) 및 4개의 박스부재(20a, 20b, 20c, 20d)로 형성된 공간 내에 수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박스부재(20a, 20b, 20c, 20d)의 폭은 동일하지 않다. 도 3 및 도 4에는 박스부재(20a, 20b, 20c, 20d)의 폭이 편의상 동일하게 도시되어 있지만, 박스부재(20c)의 폭이 가장 크고, 박스부재(20b, 20d)의 폭은 박스부재(20c)의 폭보다 부재 두께(30∼40mm) 만큼 작게 설계되고, 박스부재(20a)의 폭은 박스부재(20b, 20d)의 폭보다 더 작게 설계되어야 한다.
바닥부재(30), 후미부재(40), 좌측부재(50), 우측부재(60), 및 지붕부재(70)는 모두 본체를 구성하는 벽체 패널(110)과 상기 벽체 패널(110)의 모서리에 조립되는 프레임(12)으로 구성된다.
도 5는 지붕부재(7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카라반(100)의 벽체를 구성하는 다른 부재들(30, 40, 50, 60)도, 도 5와 같이, 벽체 패널(110)과 그 모서리에 조립되는 프레임(12)으로 구성된다. 고정된 형태로 제작되는 기초부재(10) 및 4개의 박스부재(20a, 20b, 20c, 20d)는 반드시 벽체 패널(110)과 그 모서리에 조립되는 프레임(12)으로 구성될 필요는 없다. 이들은 직접 접합 방식에 의해 접합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접합 방식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도 6은 지붕부재(70)와 우측부재(60)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벽체 패널(110)이 서로 결합되는 모서리에는 암수의 프레임(120a, 120b)이 결합하여 서로 밀착되도록 한다. 도 6은 지붕부재(70)와 우측부재(60)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하는 한 예로서, 예를 들어, 바닥부재(30)와 우측부재(60)가 조립되는 모서리도 동일한 단면을 갖는다. 프레임(120)은 중량과 강도를 고려한다면 알루미늄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강화 플라스틱도 사용가능하다.
벽체를 구성하는 부재들(30, 40, 50, 60, 70)을 조립할 때, 마지막으로 조립되는 부재는 후미부재(40)이다. 즉 후미부재(40)는 출입문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카라반(100) 내부에서 후미부재(40)를 닫을 수 있고 또한 열 수 있다. 후미부재(40)를 닫은 후에, 후미부재(40)를 잠그는 시건장치(도시되지 않음)가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벽체 패널(110)은 30∼40mm의 두께를 갖는 것으로, 두 장의 PC(폴리카보네이트) 중공 구조물(hollow structure)(111a, 111b) 및 그 사이에 삽입되어 접합된 단열 시이트(112)로 이루어진다.
도 7은 벽체 패널(110)에 관한 도면으로, (A)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B)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벽체 패널(110)은 카라반(100)의 경량화를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벽체 패널(110)은 건축물 벽체로서의 충분한 강도와 단열 기능을 가져야 하고, 동시에 경량화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접이식 카라반(100)은 차량의 지붕에 탑재하기 때문에, 중량이 무거우면 차량 운행시 전복사고의 위험이 있다. 특히 60km/h 이상의 속도로 커브 길을 운행할 때 차량 지붕 위의 물체가 100kg 이상이면 전복사고의 위험이 매우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카라반(100)의 전체 중량이 60kg을 초과하지 않도록 경량화된 벽체 패널(110)을 개발하였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 패널(110)은 30∼40mm의 두께를 갖는 것으로, 두 장의 PC(폴리카보네이트) 중공 구조물(hollow structure)(111a, 111b) 및 그 사이에 삽입되어 접합된 단열 시이트(112)로 이루어진다. PC(폴리카보네이트) 구조물(111a, 111b)은 중공(hollow) 구조물로서 경량화는 물론 강도를 고려하여 설계된 것이다. 단열 시이트(112)는 합성수지 발포 시이트, 부직포, 유리섬유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단열 시이트(112)의 한쪽 또는 양쪽 면에 알루미늄 박막(aluminium foil)을 부착시켜 단열 및 난연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PC 중공 구조물(111a, 111b)과 그 사이에 삽입되어 접합되는 단열 시이트(112)는 통상적인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카라반(100)은 차량 지붕에 탑재하는 경우 추가적인 높이를 400mm 이내로 함으로써 지하 주차장과 같이 높이에 제한을 받는 장소에서도 아무런 문제없이 탑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접혀진 상태의 접이식 카라반(100)은 높이가 약 400mm이고, 폭이 차량의 폭과 거의 동일한 1,800∼2,000mm이며, 길이가 약 1,500∼2,000mm의 사이즈를 갖기 때문에, 차량의 지붕 길이가 2,000mm 이상인 봉고차, SUV 차량 등이 바람직하다. 차량의 지붕 길이가 2,000mm 이하인 일반 승용차인 경우에는 카라반의 길이를 1,500mm 정도로 줄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접이식 카라반(100)을 기존의 캠핑카에 탑재하면, 캠핑카의 주거 공간 외에 별도의 주거 공간을 더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주거 공간을 그만큼 확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이식 카라반(100)은 미관상 또는 안전을 위하여 커버(도시되지 않음)로 씌운 후에 차량 지붕에 탑재할 수 있다. 접이식 카라반(100)을 수용하는 커버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200: 차량 201: 고정 바(fixed bar)
100: 접이식 카라반 101: 리프팅 바(lifting bar)
10: 기초부재(base member) 15: 경첩(hinge)
20a∼20d: 박스 부재(box member) 30: 바닥부재(bottom member)
40: 후미부재(rear member) 50: 좌측부재(left member)
60: 우측부재(right member) 70: 지붕부재(roof member)
41, 51, 61: 창문 110: 벽체 패널(wall panel)
111: PC 중공 구조물 120: 프레임
112: 단열 시이트

Claims (12)

  1. 차량의 지붕에 탑재하기 위한 차량 탑재용 접이식 카라반(100)으로, 기초부재(10), 상기 기초부재(10)에 직각으로 접합되어 6면체의 공간을 형성하는 4개의 박스부재(20a, 20b, 20c, 20d), 상기 박스부재(20a)에 연장된 바닥부재(30), 상기 바닥부재(30)에 연장된 후미부재(40), 상기 박스부재(20d)에 연장된 좌측부재(50), 상기 박스부재(20b)에 연장된 우측부재(60), 및 상기 박스부재(20c)에 연장된 지붕부재(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접이식 카라반(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카라반(100)은 차량(200)의 지붕에 고정된 고정바(201)에 회전식으로 고정하기 위한 리프링 바(lifting bar)(101)에 의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접이식 카라반(10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카라반(100)은 리프링 바(101)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하여 로딩(loading) 또는 언로딩(unloading)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접이식 카라반(100).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30), 좌측부재(50), 우측부재(60), 및 지붕부재(70)는 박스부재(20a, 20d, 20b, 20c)에 각각 연장되어 복수개의 경첩(15)에 의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접이식 카라반(10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30)에 연장되어 결합되는 후미부재(40)가 복수개의 경첩(15)에 의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접이식 카라반(100).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미부재(40), 좌측부재(50), 우측부재(60), 또는 지붕부재(70)에는 창문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접이식 카라반(100).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30), 후미부재(40), 좌측부재(50), 우측부재(60), 및 지붕부재(70)는 접혀져서, 기초부재(10) 및 4개의 박스부재(20a, 20b, 20c, 20d)에 의해 형성된 6면체의 공간 내에 모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접이식 카라반(100).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재(10), 4개의 박스부재(20a, 20b, 20c, 20d), 바닥부재(30), 후미부재(40), 좌측부재(50), 우측부재(60), 및 지붕부재(70)는 벽체 패널(110)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재(30), 후미부재(40), 좌측부재(50), 우측부재(60), 및 지붕부재(70)는 벽체 패널(110)의 모서리에 조립되는 프레임(1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접이식 카라반(100).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 패널(110)이 서로 결합되는 모서리에는 암수의 프레임(120a, 120b)이 조립되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접이식 카라반(10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 패널(110)은 30∼40mm의 두께를 갖는 것으로, 두 장의 PC(폴리카보네이트) 중공 구조물(hollow structure)(111a, 111b) 및 그 사이에 삽입되어 접합된 단열 시이트(11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접이식 카라반(100).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시이트(112)는 합성수지 발포 시이트, 부직포, 또는 유리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접이식 카라반(100).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카라반(100)을 보호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접이식 카라반(100).
KR1020210026103A 2021-02-26 2021-02-26 차량 탑재용 접이식 카라반 Ceased KR202201220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103A KR20220122013A (ko) 2021-02-26 2021-02-26 차량 탑재용 접이식 카라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103A KR20220122013A (ko) 2021-02-26 2021-02-26 차량 탑재용 접이식 카라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2013A true KR20220122013A (ko) 2022-09-02

Family

ID=83280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6103A Ceased KR20220122013A (ko) 2021-02-26 2021-02-26 차량 탑재용 접이식 카라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201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7596A (ko) * 2022-10-25 2024-05-03 동일화학공업 주식회사 차량 탑재용 접이식 카라반
KR102716413B1 (ko) * 2023-11-28 2024-10-11 주식회사 코아스 확장형 트럭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7596A (ko) * 2022-10-25 2024-05-03 동일화학공업 주식회사 차량 탑재용 접이식 카라반
KR102716413B1 (ko) * 2023-11-28 2024-10-11 주식회사 코아스 확장형 트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8962A (en) Security trunk for sport utility vehicles
US6764123B1 (en) Folding tailgate extension
US7017975B2 (en) Equipment-hauling expandable shelter
US5765892A (en) Extension apparatus for a vehicle cargo area
US7431366B2 (en) Crossover motor vehicle with a cargo bed
US4960299A (en) Mobile accommodation structure with extension unit
US3817545A (en) Vehicle
US20160236724A1 (en) Tailgate with load area extender for utility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KR20220122013A (ko) 차량 탑재용 접이식 카라반
US4139229A (en) Enclosure extension for vehicle
US11584289B2 (en) Tent for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US20200391650A1 (en) Rugged overland camper trailer with convertible a-frame
AU2014201236A1 (en) A Portable Sleeping Assembly
US5114202A (en) Multipurpose trailer
CN115489279A (zh) 一种汽车多功能背门系统总成及车辆
WO1997039914A1 (fr) Vehicule de transport de fret
ES2254617T3 (es) Vehiculo automovil de tipo break convertible en vehiculo con caja descubierta denominado pick-up.
JP7338092B1 (ja) キャンピングトレーラー
KR102695302B1 (ko) 차량 탑재용 접이식 카라반
US11498375B2 (en) Trailer hitch system and designs
JPH09123825A (ja) 後部伸張機能付き自動車
WO2003041979A1 (en) Structure to enlarge trunk floor of cars
AU2016204995B2 (en) Dual Purpose Trailer
KR20240137353A (ko) 차박용 접이식 구조물
JP2574536Y2 (ja) ダブルキャブ機能を備えたシングルキャブ・トラ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9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10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9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10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100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2301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12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101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10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220920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