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1700A - 갱생관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조정방법 - Google Patents
갱생관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조정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21700A KR20220121700A KR1020220016643A KR20220016643A KR20220121700A KR 20220121700 A KR20220121700 A KR 20220121700A KR 1020220016643 A KR1020220016643 A KR 1020220016643A KR 20220016643 A KR20220016643 A KR 20220016643A KR 20220121700 A KR20220121700 A KR 2022012170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dge
- shaped member
- pipe
- rehabilitation
- spac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 F16L55/1657—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lengths of rigid pipe being insert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4—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sealing fluid being introduced in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 Pipe Accessorie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설관과 이 기설관을 갱생하는 갱생관과의 틈새에 삽입되어 기설관에 대한 갱생관의 위치를 조절하는 갱생관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에 관한 것으로, 삽입방향의 안쪽이 높아지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지고, 소정 피치로 이가 형성되어 경사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홈을 구비한 제1쐐기형부재와, 상기 제1쐐기형부재에 경사면을 맞춰 포개지고, 스페이서 전체의 높이가 높아지는 삽입방향으로는 제1쐐기형부재에 대한 이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반대 방향으로는 이동이 저지되도록 상기 가이드홈의 이와 계합하는 이가 형성된 제2쐐기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쐐기형부재에는 기설관과 갱생관 사이 틈새에 주입되는 충전재를 통과시키는 충전재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쐐기형부재의 이가 형성된 부분은 상기 충전재 통과공 내로 탄성변형하는 것이 가능한 탄성변형편으로 구성되어 해당 탄성변형편을 충전재 통과공 내로 탄성변형시켰을 때에는 상기 제2쐐기형부재 이와 상기 가이드홈 이의 계합이 풀어져 상기 제2쐐기형부재가 삽입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생관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 2는 세그먼트를 둘레방향으로 연결하여 관유닛을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관유닛의 세그먼트를 연결볼트를 이용하여 관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는 관유닛을 조립하여 갱생관을 기설관내에 부설하는 상태를 설명한 설명도이다.
도 5는 부설된 갱생관의 외주면과 기설관의 내벽면 사이에 충전재를 주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갱생관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를 구성하는 제1쐐기형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갱생관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를 구성하는 제2쐐기형부재의 하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제2쐐기형부재를 제1쐐기형부재에 포개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제2쐐기형부재의 제1쐐기형부재에 대한 이동을 양쐐기형부재의 폭방향 중앙에서 단면하여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갱생관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에 의해 갱생관의 위치조정을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제1 및 제2쐐기형부재의 이의 계합을 해제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2쐐기형부재를 삽입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21: 기설관 40: 갱생관
50: 스페이서
51: 제1쐐기형부재
51a: 가이드홈 51b: 이
51c : 장공
52: 제2쐐기형부재 52a: 볼록부
52b: 이 52c: 탄성변형편
52d : 장공 52e: 충전재 통과공
Claims (4)
- 기설관과 이 기설관을 갱생하는 갱생관과의 틈새에 삽입되어, 기설관에 대한 갱생관의 위치를 조절하는 갱생관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로서,
삽입방향의 안쪽이 높아지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지고, 소정 피치로 이가 형성되어 경사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홈을 구비한 제1쐐기형부재와,
상기 제1쐐기형부재에 경사면을 맞춰 포개지고, 스페이서 전체의 높이가 높아지는 삽입방향으로는 상기 제1쐐기형부재에 대한 이동을 할 수 있음과 함께 역방향으로는 이동이 저지되도록 상기 가이드홈의 이와 계합하는 이가 형성된 제2쐐기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쐐기형부재에는 기설관과 갱생관의 틈새에 주입되는 충전재를 통과시키는 충전재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쐐기형부재의 이가 형성된 부분은 상기 충전재 통과공 내로 탄성변형 가능한 탄성변형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변형편을 상기 충전재 통과공 내로 탄성변형시켰을 때에는 상기 제2쐐기형부재의 이와 가이드홈의 이의 계합이 풀어져 상기 제2쐐기형부재가 삽입방향의 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생관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
- 제1항에서,
상기 충전재 통과공은 제2쐐기형부재의 폭방향 전역에 걸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생관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
- 제1항에서,
상기 제2쐐기형부재의 이 피치는 상기 가이드홈의 이 피치의 정수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생관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갱생관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를 기설관과 갱생관의 틈새에 삽입하여 갱생관의 위치조정을 수행하는 위치 조정방법으로서,
이가 계합하도록 상기 제1,2쐐기형부재를 포갠 상태에서 기설관과 갱생관의 틈에 삽입한 후, 상기 제2쐐기형부재를 삽입방향 또는 삽입방향의 역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스페이서 전체의 높이를 조정하여 기설관에 대한 갱생관의 위치조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조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21-029128 | 2021-02-25 | ||
JP2021029128A JP7577318B2 (ja) | 2021-02-25 | 2021-02-25 | 更生管の位置調整用スペーサー及びこれを用いた位置調整方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21700A true KR20220121700A (ko) | 2022-09-01 |
KR102673457B1 KR102673457B1 (ko) | 2024-06-07 |
Family
ID=82901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16643A Active KR102673457B1 (ko) | 2021-02-25 | 2022-02-09 | 갱생관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조정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220268388A1 (ko) |
JP (1) | JP7577318B2 (ko) |
KR (1) | KR102673457B1 (ko) |
CN (1) | CN114962850A (ko) |
AU (1) | AU2022200279A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890265A (en) * | 1995-12-13 | 1999-04-06 | Tyton Hellermann Corporation | Parallel entry tie |
JP2005265070A (ja) | 2004-03-19 | 2005-09-29 | Shonan Plastic Mfg Co Ltd | 更生管の位置調整用スペーサ及びこれを用いた位置調整方法 |
JP2006015781A (ja) * | 2004-06-30 | 2006-01-19 | Nippon Pop Rivets & Fasteners Ltd | 窓ガラスと車体の間にモールを取付けるモール取付具 |
KR20160113008A (ko) * | 2015-03-20 | 2016-09-28 | 가부시키가이샤 쇼난 고세이쥬시 세이사쿠쇼 | 위치 조정 스페이서 및 그를 사용한 갱생관의 위치 조정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452777A (en) * | 1922-03-14 | 1923-04-24 | William Hackett | Locking bolt |
US3836118A (en) * | 1973-09-20 | 1974-09-17 | Usm Corp | Adjustable work support assembly |
US4557455A (en) * | 1981-08-04 | 1985-12-10 | Schmelzer Corporation | Releasable and adjustable securing device |
CA2027720A1 (en) * | 1990-10-16 | 1992-04-17 | Claude Mauffette | Belt |
US5644819A (en) * | 1996-08-30 | 1997-07-08 | Duro Dyne Corporation | Reusable metallic banding assembly |
US6823566B2 (en) * | 2002-04-11 | 2004-11-30 | Logan D. Coffey | Releasable retaining clip apparatus and method |
US7100248B2 (en) * | 2003-01-27 | 2006-09-05 | Crook Dale J | Flexible tie strap |
GB2423328B (en) * | 2005-04-09 | 2007-02-28 | Louver Lite Ltd | Window blind system |
USD604154S1 (en) * | 2006-01-30 | 2009-11-17 | Louver-Lite Limited | Clip guide for window blind frame |
CN103863699A (zh) * | 2012-12-14 | 2014-06-18 |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 可重复使用的束带 |
JP2018109433A (ja) | 2017-01-05 | 2018-07-12 | 株式会社湘南合成樹脂製作所 | 管更生工法 |
-
2021
- 2021-02-25 JP JP2021029128A patent/JP7577318B2/ja active Active
-
2022
- 2022-01-17 AU AU2022200279A patent/AU2022200279A1/en active Pending
- 2022-02-09 KR KR1020220016643A patent/KR102673457B1/ko active Active
- 2022-02-10 US US17/668,589 patent/US20220268388A1/en not_active Abandoned
- 2022-02-17 CN CN202210148407.3A patent/CN114962850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890265A (en) * | 1995-12-13 | 1999-04-06 | Tyton Hellermann Corporation | Parallel entry tie |
JP2005265070A (ja) | 2004-03-19 | 2005-09-29 | Shonan Plastic Mfg Co Ltd | 更生管の位置調整用スペーサ及びこれを用いた位置調整方法 |
JP2006015781A (ja) * | 2004-06-30 | 2006-01-19 | Nippon Pop Rivets & Fasteners Ltd | 窓ガラスと車体の間にモールを取付けるモール取付具 |
KR20160113008A (ko) * | 2015-03-20 | 2016-09-28 | 가부시키가이샤 쇼난 고세이쥬시 세이사쿠쇼 | 위치 조정 스페이서 및 그를 사용한 갱생관의 위치 조정 방법 |
JP2016176571A (ja) | 2015-03-20 | 2016-10-06 | 株式会社湘南合成樹脂製作所 | 更生管の位置調整用スペーサ及びこれを用いた位置調整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4962850A (zh) | 2022-08-30 |
KR102673457B1 (ko) | 2024-06-07 |
JP2022130134A (ja) | 2022-09-06 |
US20220268388A1 (en) | 2022-08-25 |
JP7577318B2 (ja) | 2024-11-05 |
AU2022200279A1 (en) | 2022-09-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555957B2 (ja) | 管更生工法 | |
RU2699892C2 (ru) | Распорка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положения и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положения реабилитационно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с ее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 |
JP2005308100A (ja) | 更生管の敷設方法 | |
JP4482373B2 (ja) | 既設管更生用セグメント部材及びそのセグメント部材を用いた更生管 | |
JP2017227255A (ja) | 管更生工法 | |
US9746121B2 (en) | Spacer for positioning a rehabilitating pipe | |
US11226060B2 (en) | Pipe rehabilitation method | |
US9052052B2 (en) | Segment for a rehabilitation pipe, and pipe rehabilitation method | |
JP4392275B2 (ja) | 更生管の位置調整用スペーサ及びこれを用いた位置調整方法 | |
KR20220121700A (ko) | 갱생관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조정방법 | |
JP2018109433A (ja) | 管更生工法 | |
KR20140109268A (ko) | 관 갱생공법 | |
US9068686B2 (en) | Rehabilitation pipe and pipe rehabilitation method | |
JP7598663B2 (ja) | 管更生工法 | |
JPWO2006046477A1 (ja) | 更生管及び該更生管を用いた管路施設修復工法 | |
JP7260185B2 (ja) | 更生管の位置調整用スペーサー及びこれを用いた管更生工法 | |
EP4137730A1 (en) | Pipe rehabilitation construction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2204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0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5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6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6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