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121532A -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 치료제 - Google Patents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 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1532A
KR20220121532A KR1020210025723A KR20210025723A KR20220121532A KR 20220121532 A KR20220121532 A KR 20220121532A KR 1020210025723 A KR1020210025723 A KR 1020210025723A KR 20210025723 A KR20210025723 A KR 20210025723A KR 20220121532 A KR20220121532 A KR 20220121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state
prostatic hyperplasia
group
pharmaceutical composition
treat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5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효진
진보람
Original Assignee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25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1532A/ko
Publication of KR20220121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1532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37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the heterocyclic ring system containing a six-membered ring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atom, e.g. quinolizines, naphthyridines, berberine, vinca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prosta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베르베린 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전립성의 크기 감소, 전립선의 무게 감소, 전립선 조직 내 세포 사멸(apoptosis) 관련 인자의 단백질 발현 감소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 치료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 치료제{Colon diseas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its Treatment}
본 발명은 베르베린을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전립선 비대증(BPH: Benign prostatic hyperplasia)은 전립선의 크기가 증가하고 방광에서 소변의 저장과 배출 기능의 손상에 따른 하부요로 배뇨증상을 통칭하는 하부요로증상이다. 증상은 요도폐색에 따라 소변이 감소하고, 각종 방광자극 증상으로 빈뇨감, 잔뇨감, 절박뇨(소변을 참을 수 없는 증상) 등이 있다. 치료는 약물 요법, 비침습적 시술, 침습적 수술, 대체요법제제 등이 있다.
남성호르몬은 전립선에 있는 남성호르몬 수용체를 통해서 전립선의 성장, 발달 그리고 병적 상태에 깊이 관여한다. 전립선 비대증은 남성 호르몬에 의해 좌우되며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가 전립선에서 가장 중요한 남성호르몬이기 때문에 전립선 비대증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에는 기존의 전립선 비대증과 남성형 탈모를 치료하기 위한 합성약물 치료법의 부작용과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생약요법이 많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합성 화학 물질에 비해 안전성이 확보된 천연 유래 물질을 대상으로 전립선 비대증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 활성을 갖는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한 결과, 베르베린이 전립선 비대증 동물모델에 대해 우수한 예방 또는 치료활성을 가진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일 실시예는, 베르베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치료제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베르베린 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전립성의 크기 감소, 전립선의 무게 감소, 및 전립선 조직 내 세포 사멸(apoptosis) 관련 인자의 단백질 발현 감소를 나타낼 수 있다.
전술한 전립선 비대증 치료제는 베르베린 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전립성의 크기 감소, 전립선의 무게 감소, 및 전립선 조직 내 세포 사멸(apoptosis) 관련 인자의 단백질 발현 감소를 나타내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약제학적 조성물을 담는 담체를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 치료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립선 조직 내 세포 사멸(apoptosis) 관련 인자는 Bax, Bcl-2, p-AMPK일 수 있다.
전립성 비대증 치료제는 경구투여될 수 있다. 이 경구 투여는 0.1 mg/kg 내지1,000 mg/kg 의 용량으로 투여되는 것일 수 있다.
도 1은 테스토스테론 유도 BPH 쥐 모델에서 안드로겐 의존적 방식을 통한 전립선 비대에 대한 베르베린의 효과들 중 하나인 베르베린이 전립선 크기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도 1은 테스토스테론 유발 BPH 쥐 모델에서 전립선 조직의 대표적인 사진이다.
도 2는 테스토스테론 유도 BPH 쥐 모델에서 안드로겐 의존적 방식을 통한 전립선 비대에 대한 베르베린의 효과들 중 하나인 베르베린이 전립선 무게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제어군, BPH군, Fina군 및 BB 50군, BB 100군에 대해 쥐의 총 전립선 중량 변화, 상대적 전립선 중량 비율을 평가했다. 수치값은 평균 ± 표준편차(n = 6)이다. 대조군과 비교할 때 ### P <0.001이고, BPH 군과 비교할 때 *** P <0.001, ** P <0.01이다. ANOVA와 Dunnett의 사후 테스트를 사용하여 처리 실험군 간의 유의성을 결정했다.
도 3은 테스토스테론 유도 BPH 쥐 모델에서 안드로겐 의존적 방식을 통한 전립선 비대에 대한 베르베린의 효과들 중 하나인 베르베린이 DHT(Dihydrotestosterone)의 생성량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ELISA 키트를 사용하여 혈청 DHT 수준을 분석했다. 수치값은 평균 ± 표준편차(n = 6)이다. 대조군과 비교할 때 ### P <0.001이고, BPH 군과 비교할 때 *** P <0.001이다. NOVA와 Dunnett의 사후 테스트를 사용하여 처리 실험군 간의 유의성을 결정했다.
도 4는 테스토스테론 유발 BPH 쥐 모델에서 안드로겐 의존적 방식을 통한 전립선 비대에 대한 베르베린의 효과들 중 하나인 베르베린이 5α-환원 효소 2 mRNA(5α-reductase 2 mRNA)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5α-환원 효소 2 mRNA(5α-reductase 2 mRNA) 수준은 qRT-PCR 분석을 사용하여 정량화되었다. 수치값은 평균 ± 표준편차(n = 6)이다. 대조군과 비교할 때 ### P <0.001이고, BPH 군과 비교할 때 *** P <0.001이다. NOVA와 Dunnett의 사후 테스트를 사용하여 처리 실험군 간의 유의성을 결정했다.
도 5는 테스토스테론 유발 BPH 쥐 모델에서 베르베린이 PCNA 및 PSA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전립선 조직 용해물(Prostatic tissue lysates)은 PCNA 및 PSA로 면역 블랏되었다. β- 액틴은 내부 대조군으로 사용되었다. 농도계 분석의 폴드-변화는 β- 액틴으로 정규화되었으며 평균 ± 표준편차로 표시되며 이미지 J가 획득되었다. 대조군과 비교할 때 ### P <0.001이고, BPH 군과 비교할 때 ** P <0.01, *** P <0.001이다.
도 6은 테스토스테론 유발 BPH 쥐 모델에서 베르베린이 세포 사멸(apoptosis) 관련 인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전립선 조직 용해물은 세포 사멸(apoptosis) 관련 인자인 Bax, Bcl-2, p-AMPK로 면역 블랏되었다. β- 액틴과 AMPK는 내부 통제로 사용되었다. 농도계 분석의 폴드-변화는 β- 액틴으로 정규화되었으며 평균 ± 표준편차로 표시되며 이미지 J가 획득되었다. 대조군과 비교할 때 ### P <0.001이고, BPH 군과 비교할 때 * P <0.01, *** P <0.001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유도체"란, 화합물의 구조 일부를 다른 원자나 원자단으로 치환하여 얻어지는 화합물을 의미하며, 첨가 반응 등으로 만들어진 생성물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의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전립선 비대증을 억제시키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 "억제" 및 "약화"란, 본 발명의 조성물을 개체에 사용하여, 특정 세포의 분화나, 특정 물질의 수준, 특정 질병 또는 질환의 진행을 감소시키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체"란,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립선 비대증에 사용하여 전립선 비대증에 우수한 치료 효과를 제공하는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 치료제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 치료제
발명자들은 전립선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 치료제에 대해 꾸준히 연구개발하였다.
일예로, 한국특허공개 제2018-015290호(발명의 명칭: 올레아놀산 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는 올레아놀산 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치료제를 개시하고 있다.
다른 예로, 한국특허 제2019676호(발명의 명칭: 시아릴락토오스(Sialyllactose)를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시아릴락토오스(Sialyllactos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 식품을 개시하고 있다.
또 다른 예로, 한국특허 제1964162호(발명의 명칭: 산수유, 보골지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용 조성물) 및 제1523586호(발명의 명칭: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은 산수유 및 보골지 등 한약제들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발명자들은 올레아놀산이나 시아릴락토오스(Sialyllactos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거나, 산수유 및 보골지 등 한약제들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및 그 치료제를 연구개발하여 좋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본 발명자들 및 많은 연구자들이 전립성 비대증에 효과가 있다고 판단되는 후보 물질들을 지속적으로 연구개발하고 있어, 새로운 후보 물질을 찾아내고, 그 후보 물질이 실질적으로 전립성 비대증에 실질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 및 입증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지난한 과정임을 알아야 한다.
발명자들은 다양한 단일 물질이나 한약제들의 복합 추출물이 전립성 비대증에 효과가 있는지 지속적으로 연구개발한 결과 어렵게 베르베린 및 이의 유도체가 전립성 비대증에 효과가 있을 수 있다고 판단하고 오랫동안 실험을 실시하였다.
베르베린(Berberine; 5,6-dihydro-9,10-dimethoxybenzo[g]-1,3-[0019] benzodioxolo[5,6-a]quinolizinium)은 노란색의 알칼로이드 화합물로, 주로 유럽 매자, 골든씰, 황련, 구골나무매자, 황백, 매자나무에서 함유되어 있다. 오랜 역사 동안 천연항생제로 불려온 베르베린은, 항바이러스, 항염, 면역 증진의 기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베르베린은 전립성 비대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등으로 사용한 예들이 존재한다. 일예로, 한국특허공개 제2028-0033113호(발명의 명칭: 황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황련 추출물 내에 포함된 베르베린이 전립선 특이 항원, 안드로겐 수용체 및 5알파환원효소-2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전립선비대증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한국특허공개 제2028-0033113호는 전립선 조직내 세포 사멸(apoptosis)과 관련된 내용까지 밝히지 못하는 한계를 나타냈다.
일 실시예는, 베르베린 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 치료제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베르베린 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전립성의 크기 감소, 전립선의 무게 감소, 및 전립선 조직 내 세포 사멸(apoptosis) 관련 인자의 단백질 발현 감소를 나타낼 수 있다.
전술한 전립선 비대증 치료제는 베르베린 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전립성의 크기 감소, 전립선의 무게 감소, 및 전립선 조직 내 세포 사멸(apoptosis) 관련 인자의 단백질 발현 감소를 나타내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약제학적 조성물을 담는 담체를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 치료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립선 조직 내 세포 사멸(apoptosis) 관련 인자는 Bax, Bcl-2, p-AMPK일 수 있다.
전립성 비대증 치료제는 경구투여될 수 있다. 이 경구 투여는 0.1 mg/kg 내지1,000 mg/kg 의 용량으로 투여되는 것일 수 있다.
후술하는 실험예를 통해 이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 치료제가 전립선 비대증에 사용하여 전립선 비대증에 우수한 치료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후술하는 실험예에서 베르베린이 전립성의 크기 감소, 전립선의 무게 감소, 및 전립선 조직 내 세포 사멸(apoptosis) 관련 인자의 단백질 발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베르베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 치료제가 전립선 비대증에 사용하여 전립선 비대증에 우수한 치료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담체와 함께 제제화되어 식품, 의약품, 사료 첨가제 및 음용수 첨가제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란 생물체를 자극하지 않으면서, 투여되는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란 생물체를 자극하지 않고 투여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말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되는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적용가능하며, 경구용 또는 비경구용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약학적 제형은 구강(oral), 직장(rectal), 비강(nasal), 국소(topical; 볼 및 혀 밑을 포함), 피하, 질(vaginal) 또는 비경구(parenteral; 근육내, 피하 및 정맥내를 포함) 투여에 적당한 것 또는 흡입(inhalation) 또는 주입(insufflation)에 의한 투여에 적당한 형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 들어 정제, 트로키제, 로렌지, 수용성 또는 유성현탁액, 조제분말 또는 과립, 에멀젼, 하드 또는 소프트 캡슐, 시럽 또는 엘릭시르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정제 및 캡슐 등의 제형으로 제제화하기 위해, 락토오스, 사카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밀로펙틴, 셀룰로오스 또는 젤라틴과 같은 결합제, 디칼슘 포스페이트와 같은 부형제, 옥수수 전분 또는 고구마 전분과 같은 붕괴제, 스테아르산 마스네슘,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릴푸마르산 나트륨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왁스와 같은 윤활유를 포함할 수 있으며, 캡슐제형의 경우 상기 언급한 물질 외에도 지방유와 같은 액체 담체를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피하주사, 정맥주사 또는 근육내 주사 등의 주사용 형태, 좌제 주입방식 또는 호흡기를 통하여 흡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에어로졸제 등 스프레이용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주사용 제형으로 제제화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안정제 또는 완충제와 함께 물에서 혼합하여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앰플 또는 바이알의 단위 투여용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좌제로 주입하기 위해서는, 코코아버터 또는 다른 글리세라이드 등 통상의 좌약 베이스를 포함하는 좌약 또는 관장제와 같은 직장투여용 조성물로 제제화할 수 있다. 에어로졸제 등의 스프레이용으로 제형화하는 경우, 수분산된 농축물 또는 습윤 분말이 분산되도록 추진제 등이 첨가제와 함께 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 치료제의 투여방법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흡입, 피부도포, 패치제 또는 국소적용과 같이 비경구 투여하거나 경구 투여할 수 있다.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일일 투여량은 치료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됨으로써 경감된 질병 상태에 대한 치료에 충분한 본 발명의 치료용 물질의 양을 의미한다. 치료용 물질의 효과적인 양은 특정 화합물, 질병 상태 및 그의 심각도, 치료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따라 달라지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비제한적 예로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인체에 대한 투여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 형태, 건강 상태 및 질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하, 실험예를 기술함으로써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험예는 본 발명의 일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실험예: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1. 재료 및 방법
1) 실험동물
대한바이오링크(Daejeon, Republic of Korea)에서 6주령 수컷 Wistar rats (160± 20 g)을 구입하여 실험하였다. 실험동물은 상지대학교의 동물실험윤리위원회에서 정한 실험동물 가이드라인에 따라 사육하였다. 실험이 시작하기 전 1주 동안 적응기간을 둔 후 실험하는 6주간 사료와 물은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12시간 간격으로 빛을 조절해주는 환경에서 온도 22 ± 2ㅀC, 습도 55% ± 9%의 환경을 유지해주었다. 사료와 물은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실험동물은 무작위로 총 5개의 군(n=6): 제어군(sharm-operated group); BPH군(BPH model group); Fina군(finasteride 5 mg/kg-treated group); BB 50군(Berberine-treated group 50 mg/kg); BB 100군(Berberine-treated group 100 mg/kg)으로 나누었다.
보고된 이전 논문에 따라 동물을 거세하였으며, 1주간의 회복기를 가진 뒤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10 mg/kg)을 피하주사 하여 전립선 비대를 유도하였다. Fina군은 양성대조군으로써 전립선 비대 유발과 동시에 피나스테리드를 경구투여하였고 BB 50군 및 BB 100군 역시 경구투여하였다(표 1 참조).
6주간의 실험이 끝나는 마지막 날 몸무게를 측정하고 모든 실험동물을 12시간 동안 절식시켰다. 다음날 Zoletil (Virbac; Carros Cedex, France) 0.5 ml 투여하여 마취시킨 후 심장 채혈기(cardiac puncture)로 심장에서 채혈하였다. 채혈한 혈액은 분석 전까지 ??80ㅀC에 보관했다. 전립선조직은 절제 후 무게를 측정하고, 생리식염수에 씻어낸 후 무게를 측정한 뒤 실험하기 전까지 ??80ㅀC에 보관했다.
Figure pat00001
2. 실험 방법
1) 실험재료
Testosterone propionate는 Wako Chemicals (Chuo-Ku, Osaka, Japan)에서 구입하였으며, 베르베린(Berberin)은 Sigma Aldrich (St. Louis, MO, USA) 에서 구입하였다. 양성대조물질로 사용된 피나스테리드는 Merck & Co., Inc. (NJ, USA)에서 구입하였다. 그 밖에 시약들은 Sigma Aldrich (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였다.
2) 투여 및 복용량
테스토스테론 프로피오네이트(Testosterone propionate)을 corn oil : EtOH (9:1)에 녹여 제어군을 제외한 BPH군, Fina군, BB 50군, BB 100군에 10 mg/kg의 농도로 하루에 한번 4주간 피하 주사하여 BPH를 유도하였다. 피나스테리드(Finasteride)는 물에 녹여 5 mg/kg으로 하루에 한번 4주간 경구투여 하였으며, 베르베린은 물에 녹여 50, 100 mg/kg로 하루에 한번 4주간 경구투여 하였다.
3) 웨스턴 블랏(Western blot) 분석
절개한 전립선조직을 용해 시약인 PRO-PREPㄾ (Intron Biotechnology Inc., 경기도, 대한민국)을 사용하여 균질화한 뒤, 13000 rpm(4℃) 조건에서 5분간 원심 분리하고 상층액을 수집하여 깨끗한 1.5ml 튜브에 옮겼다. Bio-Rad 단백질 분석 시약을 사용하여 단백질을 정량하였다.
각 단백질 시료를 트리스-글리신 SDS 폴리아크릴아미드(Tris-glycine SDS polyacrylamide)로 분리하고 PVDF막(polyvinylidene difluoride membrane)(Millipore, MA, USA)으로 옮긴 뒤, 0.1 % Tween 20(TBST)을 포함하는 트리스 버퍼 식염수에 함유된 5% 스킴 밀크(5% skim milk in Trisbuffered saline containing 0.1% Tween 20 (TBST))을 사용하여 상온에서 1시간동안 차단(blocking)하였다. 1차 항체를 1:1000 비율로 부착한 뒤 밤새 반응시켰다.
다음날 TTBS 용액을 사용하여 막(membrane)을 10분 간격으로 3번씩 세척한 뒤, 2차 항체를 실온에서 2시간동안 1:2500 비율로 반응시켰다. 막(membrane)을 씻어준 다음 enhanced chemiluminescence (Santa Cruz Biotechnology)용액과 막을 반응시켜 밴드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4) 통계분석
데이터는 실험 개체수의 평균 ± 표준 편차 (SD)로 나타내었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은 ANOVA와 Dunnett의 사후 테스트(post hoc test)를 사용하여 결정하였으며, 0.05 이하의 P 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간주되었다.
3. 실험 결과
1) 베르베린이 전립선 크기에 미치는 영향
전립선 비대를 유도한 BPH군에서 제어군에 비해 전립선이 비대해지며 붉어진 혈관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양성대조약물인 피나스테리드(finasteride)를 투여한 Fina군과 마찬가지로 베르베린을 투여한 BB에서는 BPH군에 비해 전립선 크기가 줄어들며 붉은 빛이 줄어든 것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도 1 참조).
2) 베르베린이 전립선 무게에 미치는 영향
전립선 비대를 유도한 BPH군의 경우 제어군에 비해 전립선 무게가 유의성 있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양성대조군인 Fina군을 비롯한 BB 50군, BB 100군에서는 BPH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전립선 무게 감소를 확인할 수 있다(도 2 참조).
3) 베르베린이 DHT(Dihydrotestosterone)의 생성량에 미치는 영향
BPH군에서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 Dihydrotestosterone)의 생성량은 제어군에 비교하여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Fina군과 BB 50군 및 BB 100군에서는 DHT의 생성량이 BPH군 대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도 3 참조).
4) 베르베린이 5α-환원 효소 2 mRNA(5α-reductase 2 mRNA)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BPH군에서 5α-환원 효소 2 mRNA(5α-reductase 2 mRNA)의 발현은 제어군에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Fina군과 BB 50군 및 BB 100군에서는 5α-환원 효소 2 mRNA(5α-reductase 2 mRNA)의 발현량이 BPH군 대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도 4 참조).
5) 베르베린이 PCNA 및 PSA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BPH군에서 PCNA(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및 PSA(Prostate-specific antigen)의 단백질 발현은 제어군에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Fina군과 BB 50군 및 BB 100군에서는 PNCA 및 PSA의 단백질 발현량이 BPH군 대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도 5 참조).
6) 베르베린이 세포 사멸(apoptosis) 관련 인자의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BPH군에서 세포 사멸(apoptosis) 관련 인자인 Bax, Bcl-2, p-AMPK의 단백질 발현은 제어군에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Fina군과 BB 50군 및 BB 100군에서는 이들 인자의 단백질 발현량이 BPH군 대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도 6 참조).
이러한 실험예를 통해, 실험예에서 베르베린이 전립성의 크기 감소, 상기 전립선의 무게 감소, 및 상기 전립선 조직 내 세포 사멸(apoptosis) 관련 인자의 단백질 발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베르베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 치료제가 전립선 비대증에 사용되어 전립선 비대증에 우수한 치료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치료제의 제조예들을 설명한다.
<제조예 1> : 치료제의 제조
<1-1> 산제의 제조
녹각 추출물 300 ㎎
유당 100 ㎎
탈크 10 ㎎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1-2> 정제의 제조
녹각 추출물 50 ㎎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1-3> 캡슐제의 제조
녹각 추출물 50 ㎎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1-4> 주사제의 제조
녹각 추출물 50 ㎎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pH 조절제 적량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 당(2 ㎖) 상기의 성분함량으로 제조한다.
<1-5> 액제의 제조
녹각 추출물 1,000 ㎎
설탕 20 g
이성화 당 20 g
레몬향 적량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0 ㎖로 맞추었다.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갈색병에 충전하고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하였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베르베린 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전립성의 크기 감소, 상기 전립선의 무게 감소, 및 상기 전립선 조직 내 세포 사멸(apoptosis) 관련 인자의 단백질 발현 감소를 나타내는,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립선 조직 내 세포 사멸(apoptosis) 관련 인자는 Bax, Bcl-2, p-AMPK인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3. 베르베린 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전립성의 크기 감소, 상기 전립선의 무게 감소, 및 상기 전립선 조직 내 세포 사멸(apoptosis) 관련 인자의 단백질 발현 감소를 나타내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을 담는 담체를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 치료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립성 비대증 치료제는 경구투여 되는 것인 전립선 비대증 치료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구 투여는 0.1 mg/kg 내지1,000 mg/kg 의 용량으로 투여되는 것인, 전립선 비대증 치료제.
KR1020210025723A 2021-02-25 2021-02-25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 치료제 Ceased KR202201215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723A KR20220121532A (ko) 2021-02-25 2021-02-25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 치료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723A KR20220121532A (ko) 2021-02-25 2021-02-25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 치료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532A true KR20220121532A (ko) 2022-09-01

Family

ID=83282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5723A Ceased KR20220121532A (ko) 2021-02-25 2021-02-25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 치료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153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42364A (ko) 펜플루라민을 사용하여 두즈 증후군을 치료하는 방법
CA2794798C (en) Treatment of gout
TWI826395B (zh) 以藥草萃取物及其組成物抑制雄性素受體
BRPI0712139A2 (pt) uso de agonistas receptores de canabinóide como fármacos indutores de hipotermia para o tratamento da isquemia
EA007287B1 (ru) Усилители гамк при лечении заболеваний, связанных со сниженной активностью нейростероидов
JP6850499B2 (ja) 排尿障害を予防又は改善させる医薬組成物、排尿障害関連受容体に関する拮抗剤又はその医薬組成物又は拮抗剤を用いた排尿障害を予防又は改善させる方法
JP2021169534A (ja) 化学療法の改善
WO2013037843A1 (en) Formulation for the treatment of benign prostate hyperplasia
KR20220121532A (ko)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 치료제
RU2485956C2 (ru) Нов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лечения побочных эффектов противораковой терапии
JP2008503566A (ja) デカーシン及び/またはデカーシノールアンゼレート、またはデカーシン及び/またはデカーシノールアンゼレート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当帰抽出物を含む排尿障碍及び浮腫の治療剤用組成物
AU754719B2 (en) Method of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eases
Siris et al. The problem of psychopharmacotherapy in the medically ill
RU2812129C1 (ru) Гормональ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регуляции половой охоты у мелких домашних животных
JP2010530226A (ja) Egcgを含むトランスグルタミナーゼ抑制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251360B1 (ko) 오로볼을 함유하는 설사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755846B1 (ko) Itga7을 포함하거나 조절하는 파킨슨병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 치료제
Jelinek et al. Gynaecomastia in a tom-cat caused by cyproterone acetate: a case report
KR102303154B1 (ko) 실데나필 및 rock 저해제를 포함하는 뇌졸중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RU2818453C2 (ru) Комбинация ингибитора mcl-1 и мидостаурина, ее применения и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е композиции
EP2461682A1 (en) Methods of treat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compositions for same
CN109364067B (zh) 一种化合物在制备提高血脑屏障通透性药物中的用途
AU2005232511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hair loss and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DK2399583T3 (en) The use of insulin-sensitizing agents administered vaginally
KR20220121526A (ko) 대장 질환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 치료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9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02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9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