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0039A - Automatic pipe cleaning device - Google Patents
Automatic pipe clean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20039A KR20220120039A KR1020210023673A KR20210023673A KR20220120039A KR 20220120039 A KR20220120039 A KR 20220120039A KR 1020210023673 A KR1020210023673 A KR 1020210023673A KR 20210023673 A KR20210023673 A KR 20210023673A KR 20220120039 A KR20220120039 A KR 2022012003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washing
- housing
- cleaning device
- automatic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0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3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749 cleanli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209 hair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8 plumb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3—Cleaning the external surfa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41—Cleaning travelling wor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배관 자동 세척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자동 세척 장치는 배관의 외부를 전진 또는 후진하며 청소하도록 형성되는 배관 자동 청소 장치에 있어서, 두 개의 몸체부재가 서로 결합하며 내부가 빈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결합하며 절단부를 이용하여 상기 배관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배관과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배관 세척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두 개의 몸체부재로 제1모터 및 제2모터를 각각 포함하는 제1몸체부재 및 제2몸채부재를 포함한다. An automatic pipe cleaning device is provided. An automatic pipe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ipe automatic cleaning device that is formed to clean the outside of a pipe while moving forward or backward, comprising: a housing in which two body members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formed in an empty cylindrical shape; and a pipe cleaning unit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and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pipe in a form that surrounds the pipe by using a cutout, wherein the housing unit includes a first motor and a second motor using the two body members. A first body member and a second body member each including a.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관 자동 세척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장 등의 높은 천장에 설치된 배관을 보다 편리하게 세척하기 위한 배관 자동 세척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pipe clean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pe automatic pipe cleaning device for more conveniently cleaning pipes installed on a high ceiling of a factory.
일반적으로 공장 내부에는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종류의 배관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화학 또는 식품 관련 공장에는 스테인리스 배관이 보온재 없이 겉으로 드러나 있는 경우가 많으며, 이 배관들은 주기적인 세척이 요구된다. 하지만, 공장에 설치되는 배관의 경우 공간 효율성 및 작업자들의 작업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높은 천장에 설치되는 경우가 존재하며, 이 경우에는 작업자가 세척을 위해 배관에 접근하기 위해 사다리를 이동시키면서 사다리를 타고 세척 작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배관 외관의 세척의 난이도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In general, various types of piping are used at various locations inside a factory. In particular, in chemical or food-related factories, stainless steel pipes are often exposed without insulation, and these pipes require periodic cleaning. However, in the case of plumbing installed in factories, there are cases where it is installed on a high ceiling to secure space efficiency and work space for worker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ifficulty of cleaning the exterior of the pipe increases because the cleaning operation must be performed.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접근하기 어려운 위치에 있는 배관의 외관을 보다 편리하게 청소할 수 있는 배관 자동 청소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pipe cleaning device that can more conveniently clean the exterior of a pipe in a location that is difficult to access by a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간단하게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의 휴대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배관 자동 청소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pipe cleaning apparatus that is formed to enable simple assembly and disassembly to increase portability of use.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관 자동 청소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배관 자동 청소 장치는 배관의 외부를 전진 또는 후진하며 청소하도록 형성되는 배관 자동 청소 장치에 있어서, 두 개의 몸체부재가 서로 결합하며 내부가 빈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결합하며 절단부를 이용하여 상기 배관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배관과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배관 세척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두 개의 몸체부재로 제1모터 및 제2모터를 각각 포함하는 제1몸체부재 및 제2몸채부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n automatic pipe cleaning apparatus is provided. The automatic pipe cleaning device is an automatic pipe cleaning device that is formed to clean the outside of a pipe while moving forward or backward, comprising: a housing in which two body members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empty inside; and a pipe cleaning unit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and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pipe in a form that surrounds the pipe by using a cutout, wherein the housing unit includes a first motor and a second motor using the two body members. A first body member and a second body member each including a.
상기 제1몸체부재는 전면 및 후면에 상기 제1모터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1회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회전부재의 회전을 조절하며, 상기 제1회전부재의 회전 방향을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의 전진 및 후진을 제어하도록 형성된다.The first body member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rotating member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motor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nd adjusting the rotation of the first rotating member by using the first motor, and the first It is formed to control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housing by us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ng member.
상기 제2몸체부재는 내부면에 상기 제2모터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2회전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2회전부재의 회전을 조절하고, 상기 제2회전부재의 회전 방향을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을 상기 하우징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second body member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rotating members connected to the second motor on the inner surface, and adjusting the rotation of the second rotating member by using the second motor, and the second rotating member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housing to rotat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housing by us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
상기 배관 세척부의 일 면에는 복수개의 세척모가 형성되며, 상기 세척모는 상기 배관 세척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직경이 감소하고, 상기 배관 세척부와 연결된 연결 부위에는 피스톤 형태로 상기 세척모의 일 측이 일부 수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일정 길이만큼 수축 또는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washing bristles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ipe washing unit, and the washing bristles gradually decrease in diameter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pipe washing unit, and at a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pipe washing unit, one side of the washing bristles is in the form of a piston. It is formed to be partially accommodated, and may be formed to contract or extend by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배관 세척부의 일 면에는 거품 토출구, 세척수 분사구, 배수 흡입구 및 건조풍 송풍구가 각각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거품 토출구는 세척용 거품을 상기 배관의 외부에 분사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세척수 분사구는 상기 거품 및 상기 배관의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세척수를 상기 배관의 외부에 분사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배수 흡입구는 상기 거품 및 상기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상기 세척수인 오염수의 배수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오염수를 흡입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건조풍 송풍구는, 세척이 완료된 상기 배관 외부의 건조를 위한 온풍을 상기 배관에 배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bubble outlets, washing water jets, drain suction ports and dry wind blowers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pipe washing part, and the bubble outlets are formed to spray the washing foam to the outside of the pipe, and the washing water jets are the foam and It is formed to spray washing water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the pipe to the outside of the pipe, and the drain inlet sucks the polluted water to drain the polluted water, which is the washing water including the bubbles and the pollutants. The drying wind tuyere may be formed to discharge the hot air for drying the outside of the pipe, which has been washed, to the pipe.
상기 거품 토출구의 개수는 상기 세척수 분사구 및 상기 배수 흡입구의 각각의 개수보다 적게 형성되며, 상기 거품 토출구에서 상기 세척용 거품을 분사한 후, 상기 세척수 분사구에서 상기 세척수를 분사하고, 이후 상기 배수 흡입구에서 상기 오염수를 흡입하며, 상기 오염수 흡입이 종료된 후 상기 건조풍 송풍구에서 건조풍을 배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number of the foam outlets is formed to be less than the respective number of the washing water jetting port and the drain inlet, and after spraying the washing foam from the bubble outlet,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from the washing water jetting port, and then at the drain suction port The polluted water may be sucked, and the dry wind may be discharged from the drying wind tuyere after the polluted water suction is finish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자동 청소 장치는, 사용자가 접근하기 어려운 위치에 있는 배관의 외관을 보다 편리하게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automatic pipe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more conveniently cleaning the exterior of a pipe in a location that is difficult for a user to access.
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자동 청소 장치는, 간단하게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의 휴대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automatic pipe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enable simple assembly and disassembly, thereby increasing portability of u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자동 청소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배관 자동 청소 장치 중 제1몸체부재 및 제2몸체부재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1몸체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2몸체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배관 자동 청소 장치 중 배관 세척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배관 자동 청소 장치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pipe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first body member and a second body member of the automatic pipe clea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body member of FIG. 2 .
4 is a plan view of the second body member of FIG. 2 .
5 is a plan view of a pipe cleaning unit in the automatic pipe clea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automatic pipe clea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자동 청소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배관 자동 청소 장치 중 제1몸체부재 및 제2몸체부재를 나타낸 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제1몸체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제2몸체부재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배관 자동 청소 장치 중 배관 세척부의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자동 청소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pipe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first body member and a second body member among the automatic pipe clea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body member, FIG. 4 is a plan view of the second body member of FIG. 2, and FIG. 5 is a plan view of a pipe washing unit in the automatic pipe clea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n automatic pipe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자동 청소 장치(100)는 하우징부(110)와 배관 세척부(130)로 형성되며, 배관의 외부를 전진 또는 후진하며 청소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하우징부(110)는 두 개의 몸체부재(110a 및 110b)가 서로 결합하여 내부가 빈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배관 세척부(13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결합하며, 절단부를 이용해 배관을 감싸는 형태로 배관과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automatic
하우징부(110)를 구성하는 두 개의 몸체부재(110a 및 110b)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고 있다. 제1몸체부재(110a)는 제1모터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며 제2몸체부재(110b)는 제2모터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제1모터는 본 발명의 배관 자동 세척 장치(100)의 전진 및 후진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며, 제2모터는 배관 자동 세척 장치(100)의 회전 운동을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wo
제1몸체부재(110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및 후면에 제1모터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1회전부재(111)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회전부재(111)는 하우징부(110)의 전진 또는 후진을 수행하기 위해 구비되며, 제1회전부재(111)의 회전 방향에 따라 하우징부(110)는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다. 제1회전부재(111)는 제1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 방향이 결정될 수 있으며, 제1모터의 회전 방향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어 가능하다.The
제2몸체부재(110b)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면에 복수개의 제2회전부재(113)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몸체부재(110b)에 구비되는 제2회전부재(113)는 제2모터와 연결되며, 하우징부(110)의 회전을 수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회전부재(113)는 제2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 방향이 결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하우징부(110)는 중심 축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
하우징부(110)의 이동 속도 또는 회전 속도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모터의 속도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고, 기 설정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획득되는 배관 외부의 청결도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일 예로 기 설정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획득한 배관 외부의 청결도가 기준 청결도 이하이면 제1모터의 회전 속도는 낮아지고 제2모터의 회전 속도는 증가하여 하우징이 같은 거리에서 보다 많은 회전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The moving speed or rotation speed of the housing 11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motor according to a user's setting, or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leanliness of the outside of the pipe obtained using a preset algorithm. For example, if the cleanliness of the outside of the pipe obtained using a preset algorithm is less than the standard cleanliness, the rotation speed of the first motor is lowered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second motor is increased so that the housing can perform more rotations at the same distance. have.
하우징부(110)의 회전은 후술되는 배관 세척부(130)를 이용하여 세척을 수행하기 위해 수행된다. 배관 세척부(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세척모(131)가 일 면에 구비되며, 양 단의 절단부(130a)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하여 내부면에 복수개의 세척모(131)가 형성되는 속이 빈 원기둥 형태로 배관에 결합할 수 있다.Rotation of the housing 110 is performed to perform cleaning using a
복수개의 세척모(131)는 배관 세척부(130)에 일 측이 결합하고, 타 측이 배관 세척부(130)의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또, 복수개의 세척모(131)는 배관 세척부(130)와 결합한 일 측의 일정 길이가 피스톤 형태로 형성되어, 타 측으로부터 힘을 받으면 피스톤이 삽입되어 세척모(131)의 일 측이 일부 수납되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한편, 배관 세척부(130)의 일 면, 다시 말해 복수개의 세척모(131)가 형성된 면에는 거품 토출구(133a), 세척수 분사구(133b), 배수 흡입구(133c) 및 건조풍 송풍구(133d)가 각각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배관 세척부(130)는 하우징부(110) 내부에서 배관을 둘러싸도록 결합하며, 배관 외부를 세척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배관 외부의 세척을 위해 거품 토출구(133a), 세척수 분사구(133b), 배수 흡입구(133c) 및 건조풍 송풍구(133d)가 내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on one surface of the
거품 토출구(133a)는 세척용 거품을 배관의 외부에 분사하도록 형성된다. 거품 토출구(133a)는 배관의 세척을 위해 세척용 세제 용액을 거품화 하여 배관에 분사함으로써 배관의 외부에 묻은 오염 물질에 세척용 세제가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The foam outlet (133a) is formed to spray the cleaning foam to the outside of the pipe. The foam outlet (133a) may bubble the cleaning detergent solution for cleaning the pipe and spray it onto the pipe, thereby allowing the washing detergent to bind to the contaminants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pipe.
세척수 분사구(133b)는 배관의 외부에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형성된다. 세척수 분사구(133b)는 세척용 세제 거품이 배관의 외부에 도포되면, 세척수를 분사하여 배관의 외부에 묻은 거품과 오염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The washing
배수 흡입구(133c)는 세척수의 분사가 종료된 후 거품과 오염 물질이 포함된 세척수인 오염수를 배수하기 위해 형성된다. 배수 흡입구(133c)는 오염수가 배관에서 떨어지게 되면, 오염수를 흡입하기 위해 일 예로 공기를 흡입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건조풍 송풍구(133d)는 배관의 외부에 남은 잔여 세척수를 건조시키기 위해 형성된다. 세척수가 남아 있는 경우, 본 발명의 배관 자동 세척 장치(100)가 이동하게 되면, 잔여 세척수는 상황에 따라 중력에 의해 배관 아래로 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아래에 있는 작업자 또는 상품에 피해를 끼칠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건조풍 송풍구(133d)는 배관에 건조풍을 배출하여 잔여 세척수를 건조 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drying
또,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건조풍 송풍구(133d)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 세척부(130)의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됨으로써 배관 자동 세척 장치(100)가 이동할 때 잔여 세척수가 배관 자동 세척 장치(100)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에어커튼과 동일한 효과를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drying
한편, 상술한 도 1 내지 도 5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배관 자동 세척 장치(100)는 도 6에 도시된 순서도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관 자동 세척 장치(100)는 배관에 결합하게 되면 거품 토출구(133a)를 이용하여 배관의 외부에 세척을 위한 거품을 토출한다(단계 S610). 거품 토출구(133a)에서 거품이 기 설정된 양 만큼 토출되면, 배관 자동 세척 장치(100)는 이후, 제2회전부재(113)를 이용하여 하우징부(110)를 시계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복수개의 세척모(131)들이 거품을 이용하여 배관 외부의 청소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단계 S620).Meanwhile, the automatic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거나 기 설정된 회전 횟수만큼 하우징부(110)가 회전을 완료하면, 배관 자동 세척 장치(100)는 세척수 분사구(133b)를 이용하여 세제가 포함되지 않은 맑은 물을 분사하여 배관에 묻은 오염 물질 및 세제 거품을 제거한다(단계 S630). 이와 동시에, 보다 높은 효율로 배관을 청소하기 위해 배관 자동 세척 장치(100)는 제2회전부재(113)를 이용하여 하우징부(110)를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단계 S640), 복수개의 세척모(131)들은 세척수를 이용하여 배관에 묻은 잔여 오염 물질 및 세제 거품을 세척할 수 있다.When the preset time elapses or the housing 110 completes the rotation for the preset number of rotations, the automatic
세척수의 분사가 종료되면, 배관 자동 세척 장치(100)는 회전을 종료하고, 오염수를 흡입하여 배수를 수행할 수 있다(단계 S650).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세척수의 분사가 종료된 이후 배수를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실제 사용 과정에서는 세척수가 분사와 동시에 배수되지 않으면 장치(100)의 내부에 오염수가 채워지게 되고, 따라서 무게가 증가하여 배관에 이상을 발생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오염수가 채워지게 되면 세척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설정에 따라 세척수의 분사 및 하우징의 회전(단계 S630 및 단계 S640)과 동시에 배수를 수행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When the spraying of the washing water is finished, the automatic
배수가 완료되면, 배관 자동 세척 장치(100)는 배관에 남은 잔여 세척수를 제거하기 위해 건조풍을 배출하며 하우징을 회전시킨다(S660). 하우징이 회전함에 따라 배출되는 건조풍은 배관에 골고루 전달되며, 건조풍의 낮은 습도로 인해 배관에 남아있는 잔여 세척수가 증발할 수 있으며, 이를 마지막으로 배관 자동 세척 장치(100)는 세척 장치(100)에 포함된 배관의 외부 청소를 완료할 수 있다.When the drainage is completed, the automatic
배관의 일부 청소를 완료한 배관 자동 세척 장치(100)는 제1회전부재(111)를 이용하여 전진 또는 후진을 수행하며, 이를 통해 청소가 완료되지 않은 배관으로 이동한 후 다시 단계 S610 내지 S660을 수행하여 배관 청소를 진행할 수 있다.The automatic
한편, 단계 S670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건조풍 송풍구(133d)는 지속적으로 건조풍을 배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건조풍 송풍구(133d)는 미처 건조되지 못한 잔여 세척수가 배관 자동 세척 장치(100)가 지나간 이후에도 배관에 남아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잔여 세척수가 배관 자동 세척 장치(100)와 함께 이동하도록 하는 에어커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step S670, the drying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 changes, deletions, additions, etc. may eas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but this will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배관 자동 세척 장치
110a: 제1몸체부재
110b: 제2몸체부재
111: 제1회전부재
113: 제2회전부재
130: 배관 세척부
130a: 절단부
131: 세척모
133a: 거품 토출구
133b: 세척수 분사구
133c: 배수 흡입구
133d: 건조풍 송풍구100: automatic
110b: second body member 111: first rotating member
113: second rotating member 130: pipe cleaning unit
130a: cut 131: washing hair
133a:
133c:
Claims (6)
두 개의 몸체부재가 서로 결합하며 내부가 빈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결합하며 절단부를 이용하여 상기 배관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배관과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배관 세척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두 개의 몸체부재로 제1모터 및 제2모터를 각각 포함하는 제1몸체부재 및 제2몸채부재를 포함하는 배관 자동 청소 장치.In the automatic pipe cleaning device formed to clean the outside of the pipe moving forward or backward,
a housing portion in which two body members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formed in an empty cylindrical shape; and
It includes; a pipe cleaning unit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and formed to be coupled with the pipe in a form that surrounds the pipe by using a cut part;
The housing portion is an automatic pipe cleaning device including a first body member and a second body member each including a first motor and a second motor as the two body members.
상기 제1몸체부재는 전면 및 후면에 상기 제1모터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1회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회전부재의 회전을 조절하며, 상기 제1회전부재의 회전 방향을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의 전진 및 후진을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배관 자동 청소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body member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rotating member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motor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nd adjusting the rotation of the first rotating member by using the first motor, and the first An automatic pipe cleaning device formed to control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housing by usi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member.
상기 제2몸체부재는 내부면에 상기 제2모터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2회전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2회전부재의 회전을 조절하고, 상기 제2회전부재의 회전 방향을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을 상기 하우징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배관 자동 청소 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body member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rotating members connected to the second motor on the inner surface, and adjusting the rotation of the second rotating member by using the second motor, and the second rotating member A pipe automatic clean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housing to rotat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housing us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housing.
상기 배관 세척부의 일 면에는 복수개의 세척모가 형성되며, 상기 세척모는 상기 배관 세척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직경이 감소하고, 상기 배관 세척부와 연결된 연결 부위에는 피스톤 형태로 상기 세척모의 일 측이 일부 수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일정 길이만큼 수축 또는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배관 자동 청소 장치.4. The method of claim 3,
A plurality of washing bristles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ipe washing unit, and the washing bristles gradually decrease in diameter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pipe washing unit, and at a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pipe washing unit, one side of the washing bristles is in the form of a piston. A pipe automatic cleaning device that is formed to be partially accommodated and is formed to be contracted or extended by a certain length.
상기 배관 세척부의 일 면에는
거품 토출구, 세척수 분사구, 배수 흡입구 및 건조풍 송풍구가 각각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거품 토출구는 세척용 거품을 상기 배관의 외부에 분사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세척수 분사구는 상기 거품 및 상기 배관의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세척수를 상기 배관의 외부에 분사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배수 흡입구는 상기 거품 및 상기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상기 세척수인 오염수의 배수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오염수를 흡입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건조풍 송풍구는, 세척이 완료된 상기 배관 외부의 건조를 위한 온풍을 상기 배관에 배출하도록 형성되는 배관 자동 청소 장치.5. The method of claim 4,
On one side of the pipe washing part,
A plurality of foam outlets, washing water spray holes, drainage inlets, and drying wind vents are provided, respectively.
The foam outlet is formed to spray the cleaning foam to the outside of the pipe,
The washing water injection port is formed to spray the washing water for removing the bubbles and contaminants of the pipe to the outside of the pipe,
The drain inlet is formed to suck the contaminated water in order to drain the contaminated water that is the washing water including the foam and the contaminants,
The drying wind vent is an automatic pipe cleaning device configured to discharge hot air for drying the outside of the pipe, which has been washed, to the pipe.
상기 거품 토출구의 개수는 상기 세척수 분사구 및 상기 배수 흡입구의 각각의 개수보다 적게 형성되며,
상기 거품 토출구에서 상기 세척용 거품을 분사한 후, 상기 세척수 분사구에서 상기 세척수를 분사하고, 이후 상기 배수 흡입구에서 상기 오염수를 흡입하며, 상기 오염수 흡입이 종료된 후 상기 건조풍 송풍구에서 건조풍을 배출하도록 형성되는 배관 자동 청소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number of the foam outlet is formed less than the respective number of the washing water spray hole and the drain inlet,
After spraying the washing foam from the foam outlet,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from the washing water jetting port, and then the contaminated water is sucked from the drain inlet, and after the polluted water suction is finished, the drying air is blown from the drying wind tuyere. Pipe automatic cleaning device that is formed to discharg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3673A KR102564565B1 (en) | 2021-02-22 | 2021-02-22 | Automatic pipe clean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3673A KR102564565B1 (en) | 2021-02-22 | 2021-02-22 | Automatic pipe cleaning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20039A true KR20220120039A (en) | 2022-08-30 |
KR102564565B1 KR102564565B1 (en) | 2023-08-07 |
Family
ID=83114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23673A Active KR102564565B1 (en) | 2021-02-22 | 2021-02-22 | Automatic pipe clean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64565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045808A (en) * | 2024-04-16 | 2024-05-17 | 鄄城瑞鼎科技有限公司 | Washing device for processing active alumina dry glu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398461A (en) * | 1990-01-26 | 1995-03-21 | E. B. Thomas |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a pipeline |
KR20070064047A (en) | 2005-12-16 | 2007-06-20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Car audio device provides biorhythm information |
CN210045705U (en) * | 2019-05-29 | 2020-02-11 | 四川神光石英科技有限公司 | Flushing device for ultraviolet fused quartz glass |
CN210966197U (en) * | 2019-11-21 | 2020-07-10 | 赖丽华 | Building pipe cleaning and maintaining device |
-
2021
- 2021-02-22 KR KR1020210023673A patent/KR10256456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398461A (en) * | 1990-01-26 | 1995-03-21 | E. B. Thomas |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a pipeline |
KR20070064047A (en) | 2005-12-16 | 2007-06-20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Car audio device provides biorhythm information |
CN210045705U (en) * | 2019-05-29 | 2020-02-11 | 四川神光石英科技有限公司 | Flushing device for ultraviolet fused quartz glass |
CN210966197U (en) * | 2019-11-21 | 2020-07-10 | 赖丽华 | Building pipe cleaning and maintaining devic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045808A (en) * | 2024-04-16 | 2024-05-17 | 鄄城瑞鼎科技有限公司 | Washing device for processing active alumina dry glu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64565B1 (en) | 2023-08-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48474B1 (en) | Spraying washing device of drum washing machine, washing method thereof and the drum washing machine | |
JP2008259665A (en) | Drum type washing/drying machine | |
KR20120034333A (en) | An apparatus for cleaning embedded air-conditioner in ceiling | |
KR20220120039A (en) | Automatic pipe cleaning device | |
JP4026252B2 (en) | Dishwasher | |
JP2006239142A (en) | Drum type washing machine | |
CN112869632A (en) | Base station, cleaning method thereof and intelligent machine system | |
KR20150091832A (en) | Washing machine having sterilization module | |
KR101481596B1 (en) | Laundry treating machine | |
KR102093062B1 (en) | Body drying equipment | |
KR100712277B1 (en) | Drying direction control structure of dish washer | |
CN111350053B (en) | Washing machine inner and outer barrel cleaning control method and washing machine | |
KR101422033B1 (en) | Laundry machine | |
KR100857380B1 (en) | Car Mat Washing Device | |
KR20180027046A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
EP4053324B1 (en) | Clothes processing machine | |
KR101962711B1 (en) | Window structure of veranda | |
JP2002022393A (en) | Washing device for indoor machine of air-conditioner for home use | |
KR20180027043A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KR20090070865A (en) | Euro connection structure of the dishwasher | |
KR20180048513A (en) | Laundry treating machine | |
JP2014014756A (en) | Indoor washing device | |
KR20150114755A (en) | Cleansing device for fan of air conditioner | |
JP6998101B2 (en) | Drum type washing machine | |
KR101350258B1 (en) | An apparatus for cleaning embedded air-conditioner in ceil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8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8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