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9736A - 프로그래밍 가능한 변기 물내림 개시, 모니터링 및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프로그래밍 가능한 변기 물내림 개시, 모니터링 및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19736A KR20220119736A KR1020227026735A KR20227026735A KR20220119736A KR 20220119736 A KR20220119736 A KR 20220119736A KR 1020227026735 A KR1020227026735 A KR 1020227026735A KR 20227026735 A KR20227026735 A KR 20227026735A KR 20220119736 A KR20220119736 A KR 2022011973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ilet
- flush
- controller
- flushing
- slid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43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1010 flushing procedur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6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0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08010076504 Protein Sorting Signal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978 adap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34 dela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76 improv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519 trans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60 trigge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5473 Communicabl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80 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99 behavi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7052 cobal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1 cob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GUTLYIVDDKVIGB-UHFFFAOYSA-N cobalt atom Chemical compound [Co] GUTLYIVDDKVIG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135 deep lea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SZVJSHCCFOBDDC-UHFFFAOYSA-N iron(II,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Fe]O[Fe]O[Fe]=O SZVJSHCCFOBDD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01 machine lea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1 rare earth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910 rare earth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10 solid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2 weekl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03D5/105—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touchless, e.g. using sensor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3/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r the working of machines or other apparatus, other tha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Toilet Supplies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중 화장실과 같은 화장실에서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칸칸에 장착된 도어의 로킹 부재의 잠금 해제에 의해 개시되는 변기 물내림 개시, 모니터링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물내림 컨트롤러와 도어 하우징 컨트롤러로부터의 신호 패턴이 연관된 장애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기록 및 분석된다. 연관 장애 상태의 통지가 출력되어 시설 관리자와 같은 인가된 사용자에게 통신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변기,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공항, 대학 캠퍼스 건물, 공공 건물, 스포츠 경기장 및 엔터테인먼트 이벤트와 같이 다수의 사람들을 수용하는 장소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화장실 칸칸의 변기에서의 변기 물내림을 관리하고, 폐수 소비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사무실, 학교, 공항 및 공원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공중 화장실은 사용자의 사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변기가 칸칸 내에 위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들어온 다음 칸칸 도어를 잠그고, 나갈 때 칸칸 도어의 잠금을 해제한다.
다수의 사람에 제공하기 위해 설계된 변기에 있어서는 두 가지 표준 유형의 변기 물내림 메커니즘이 있다: 변기 손잡이, 레버 또는 버튼과 같은 수동 물내림과, 센서 및 자동 물내림 메커니즘에 의해 개시되는 자동 물내림.
수동 물내림에 있어서, 변기는 수동으로 작동되는 핸들, 레버 또는 버튼을 갖고, 작동시 변기 물을 내리는 물내림 메커니즘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방법은 전적으로 사용자에게 의존하여 의도적으로 변기 물을 내리게 하여, 높은 위생 기준이 요구되는 장소에서는 문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물을 내리는 것은 추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거나 또는 사용자를 오염시킬 위험이 있어서, 사용자에게는 개인적으로 무의미한 결과를 생성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종종 변기 물을 내리려는 동기가 부여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물을 내리지 않는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많은 시설에는 자동 물내림식 변기가 설치되어 있다. 자동 물내림식 변기에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와 변기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적외선 또는 초음파 센서가 있다. 사용자가 칸칸에 들어간 후, 변기로부터 떨어져 이동하면, 센서가 사용자와 변기 사이의 일정 거리가 충족되었음을 검출하고, 센서가 변기 물을 내리도록 촉발한다.
자동 변기 물내림 시스템은 매우 대중적이며, 소정 장소에서 요구되기도 한다. 이들 시스템은 변기를 청결하게 유지하게 하고, 세균 이동 및 전염성 질병의 전파 가능성을 저감시킨다. 불리하게도, 자동 물내림식 변기는 때때로 충분히 물내림되지 않거나, 또는 더욱 일반적으로는 너무 자주 물을 내린다. 코트를 걸거나, 백팩을 내려 놓거나, 또는 화장지를 시트에 깔아 놓는 것과 같은 동작으로 인해,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게 또는 불필요하게 자동 변기 물내림 시퀀스를 촉발할 수 있다. 특히 하루에 수백 번 또는 수천 번도 사용될 수 있는 공중 화장실의 변기의 과잉 물내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당히 축적되어 상당한 양의 폐수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요 이점은 기존의 자동 변기 물내림 시스템과 비교하여, 변기 물이 내려져야만 하는 시기와 변기가 사용된 빈도를 훨씬 더 정확하게 결정함으로써 물을 절약할 수 있다는 점이다. 종래 기술 시스템은 사용자가 실제로 변기를 사용했는지 또는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은 일부 관련 없는 거동에 관련된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함에 있어서 오류로 인해, 사용자가 변기를 사용한 시기와 사용 여부를 효과적으로 예측하지 못하는 변기로부터 사용자의 거리를 측정한다. 변기 사용 및 물 소비량의 가장 좋은 지표는 사용자가 칸칸에서 나갈 수 있도록 도어를 열기 위해 화장실 칸칸의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변기가 사용되었다는 유일한 지표로서 칸칸의 도어를 잠금 해제하는 사용자의 신뢰성에 기반하기 때문에, 본 발명은 변기 물을 내릴 시기를 결정하기 위해 칸칸의 도어 잠금 해제 동작을 사용한다. 따라서, 임의의 다른 사용자 거동이 의도하지 않은 물내림을 개시하지 않기 때문에, 변기 사용시마다 변기 물이 내려질 것이고 또한 필요에 따라 한 번만 물이 내려질 가능성이 향상된다. 기존 시스템에 비해 변기의 위생 수준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과잉의 바람직하지 않은 폐수를 초래하는 불필요한 물내림 횟수가 현저히 제한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주요 이점은 물내림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사용자는 프라이버시를 유지하기 위해 거의 항상 칸칸 도어를 잠그고 잠금을 해제하기 때문에, 변기 물을 내리도록 촉발하도록 잠금 해제 단계를 변형함으로써, 사용자 측에서는 어떤 추가 노력 없이 사용자가 화장실 칸칸을 떠날 때 변기 물이 내려갈 것이다.
선택적으로, 칸칸 도어가 잠금 해제될 때 자동으로 물을 내리는 변기가 장착된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표시가 칸칸의 도어의 내부 또는 외부에 추가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우발적인 수동 물내림을 회피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세 번째 주요 이점은 센서 기반 자동 변기 물내림 시스템과 연관된 동일한 위생상의 이점을 포함한다는 점이다.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화장실 칸칸에서의 변기 물내림을 관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시스템은 도어 로킹 부재, 변기 물내림 컨트롤러 및 변기 물내림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스템의 도어 로킹 부재는 일반적으로 칸칸 기둥에 부착된 도어록 챔버, 일반적으로 칸칸 도어에 부착되고 도어록 챔버와 정렬되는 슬라이더, 도어 로킹 부재와 연관된 신호 방출기를 봉입하고 있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신호 방출기는 변기 물내림 컨트롤러 및 변기 물내림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변기 물내림 메커니즘과 연관된 물내림 신호 수신기에 무선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로킹 부재는 슬라이더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센서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고 신호 방출기에 의해 물내림 신호 수신기로 신호 송신을 개시하기 위한 도어 하우징 컨트롤러, 및 일반적으로 덮개가 있는 하우징 내에 봉입된 하나 이상의 배터리 및 SD 카드를 추가로 포함한다. 도어 하우징 컨트롤러는 배터리와 SD 카드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SD 카드는 선택적으로 센서 입력 및 신호 방출기 출력을 제한 없이 포함하는 도어 하우징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슬라이더는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병진 이동할 수 있고, 또한 제 1 또는 근위 단부, 및 반대쪽의 제 2 또는 원위 단부를 포함한다. 슬라이더 제 1 위치에 있어서 슬라이더 제 1 단부는 도어록 챔버에 삽입되고, 제 2 위치에 있어서 슬라이더 제 1 단부는 도어록 챔버 외부에 위치되고, 즉 도어록 챔버를 벗어나 있다. 슬라이더가 제 2 위치 내에 있지 않으면, 칸칸 도어를 열 수 없다. 센서는 슬라이더가 제 2 위치 내에 있을 때 슬라이더를 감지하도록 구성되고, 신호 방출기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어, 슬라이더의 검출된 위치를 도어 하우징 컨트롤러에 통신한다. 도어 하우징 컨트롤러는 신호를 물내림 신호 수신기로 송신하도록 신호 방출기를 촉발한다. 변기 물내림 컨트롤러는 물내림 신호 수신기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다.
변기 물내림 액추에이터는 변기 물내림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된다.
신호 방출기는 슬라이더가 제 2 위치로 병진 이동되었음을 센서가 검출했다는 것을 센서로부터 도어 하우징 컨트롤러로 송신된 신호를 감지하면, 물내림 신호 수신기에 신호, 예를 들면 Bluetooth® 또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변기 물내림 컨트롤러는 칸칸 도어가 잠금 해제될 때, 단일 물내림을 개시하도록 물내림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스템은 물내림이 활성화될 수 있는 5초∼240초 의 시간 간격을 설정하도록 구성된 시스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한다. 시스템 컨트롤러는 무선으로 또는 하드와이어 연결을 통해 도어 하우징 컨트롤러 및 변기 물내림 컨트롤러 모두와 통신할 수 있다. 시스템 컨트롤러는 화장실의 모든 변기에 대한 물내림 간격의 지속 시간 및/또는 건물 내의 모든 변기에 대한 물내림 간격의 지속 시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이전 물내림 후 5∼240초의 기간 동안에 임의의 변기 물내림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스템은 변기 물을 수동으로 내리기 위한 변기 손잡이, 레버 또는 버튼, 및/또는 센서, 도어 하우징 컨트롤러, 신호 방출기, 물내림 신호 수신기, 변기 물내림 컨트롤러 및 변기 물내림 액추에이터 중 하나 이상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광전지 또는 배터리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화장실 칸칸에서 변기 물내림을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칸칸 도어 래치 내의 신호 방출기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신호는 칸칸 도어 로킹 부재 내의 슬라이더의 후퇴를 나타내고, 또한 무선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변기의 물내림을 개시하도록 물내림 액추에이터를 촉발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화장실 칸칸에서 변기 물내림을 관리하는 방법은 센서에 의해 칸칸 래치 슬라이더의 후퇴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슬라이더에 의한 후퇴의 감지에 응답하여 신호 방출기에 의해 무선 신호를 방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무선 신호는 물내림 신호 수신기에 매칭된다. 이 방법은 물내림 신호 수신기에 의해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물내림 신호 수신기에 의한 무선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물내림 신호 수신기와 통신하는 변기 물내림 컨트롤러에 의해 물내림 액추에이터를 촉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화장실 칸칸에서 변기 물내림을 관리하는 방법은 제 1 단부 및 제 1 단부에 반대쪽에 있는 제 2 단부를 갖는 슬라이더, 신호 방출기, 및 센서를 포함하는 도어 로킹 부재, 물내림 신호 수신기, 변기 물내림 컨트롤러, 및 변기 물내림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방법은 신호 방출기에 의해 물내림 신호 수신기로, 센서에 의해 슬라이더의 제 2 단부의 위치의 검출 시의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변기 물내림 컨트롤러에 의해 변기 물내림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단계, 슬라이더 제 2 단부 위치가 센서에 의해 검출되면, 변기 물내림 액추에이터에 의한 단일 변기 물내림을 변기 물내림 컨트롤러에 의해 개시하는 단계, 및 선택적으로 도어 하우징 컨트롤러에 의해 슬라이더 작동 빈도를 SD 카드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변기 물내림 시스템의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칸칸 도어 잠금 메커니즘의 일 실시형태의 예시적인 등각 투영도이고;
도 1c는 도 1b에 도시된 장치의 분해도이고;
도 1d는 도 1b에 도시된 잠금 메커니즘의 전자 부품을 봉입하는 예시적인 하우징의 개방 정면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b에 도시된 변기 물내림 시스템의 실시형태의 폐쇄(제 1) 위치에서의 칸칸 도어 슬라이더 록의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도 2b는 도 1b에 도시된 변기 물내림 시스템의 실시형태의 개방(제 2) 위치에서의 칸칸 도어 슬라이더 록의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b에 도시된 잠금 메커니즘의 실시형태의 하우징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4는 도 1b에 도시된 잠금 메커니즘의 실시형태의 슬라이더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5는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프로세스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른 변기 물내림 시설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프로세스 흐름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칸칸 도어 잠금 메커니즘의 일 실시형태의 예시적인 등각 투영도이고;
도 1c는 도 1b에 도시된 장치의 분해도이고;
도 1d는 도 1b에 도시된 잠금 메커니즘의 전자 부품을 봉입하는 예시적인 하우징의 개방 정면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b에 도시된 변기 물내림 시스템의 실시형태의 폐쇄(제 1) 위치에서의 칸칸 도어 슬라이더 록의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도 2b는 도 1b에 도시된 변기 물내림 시스템의 실시형태의 개방(제 2) 위치에서의 칸칸 도어 슬라이더 록의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b에 도시된 잠금 메커니즘의 실시형태의 하우징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4는 도 1b에 도시된 잠금 메커니즘의 실시형태의 슬라이더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5는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프로세스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른 변기 물내림 시설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프로세스 흐름도이다.
정의:
하기 목록은 본 설명의 전반에 걸쳐 사용된 소정 용어의 예시적인 비제한적 정의를 포함한다:
도어 로킹 부재: 칸칸 래치 메커니즘에 포함된 구성요소
슬라이더: 사용자가 칸칸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재하기 위해 사용하는 메커니즘. 슬라이더는 일반적으로 칸칸 도어에 부착되고 도어 록 챔버와 정렬됨
도어록 챔버: 잠긴 위치에 슬라이더를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된 구성요소
하우징: 센서, 신호 방출기, 도어 하우징 컨트롤러, 배터리, 배터리 홀더, SD 카드를 포함하고, 광전지를 가진 커버를 갖는 칸칸 도어에 부착된 리셉터클
센서: 슬라이더의 위치를 감지함
도어 하우징 컨트롤러: 하우징 내의 구성요소의 모두에 대한 마이크로컨트롤러. 센서와 신호 방출기의 기능을 조절함
신호 방출기: 하우징으로부터 물내림 신호 수신기로 무선 신호를 송신함
커버: 하우징 내의 도어 로킹 부재 구성요소를 덮고 광전지에 알맞은 위치일 수 있음
변기 물내림 메커니즘: 변기 물내림 컨트롤러, 변기 물내림 액추에이터, 물내림 신호 수신기 및 변기 핸들/레버/버튼을 포함하는 변기 물을 내리기 위한 시스템
변기 물내림 액추에이터: 자동 물내림 동작을 실행함
물내림 신호 수신기: 신호 방출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함
변기 물내림 컨트롤러: 변기 물내림 액추에이터가 물내림을 개시할 시기를 제어함
컴퓨터: 시설 관리자가 소정 작업을 개시하기 위해 시스템 컨트롤러로부터의 신호뿐만 아니라, 시스템 컨트롤러로의 신호를 볼 수 있는 랩톱, 데스크톱, 태블릿 또는 스마트 장치
시스템 컨트롤러: 도어 하우징 컨트롤러, 변기 물내림 컨트롤러 및 컴퓨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물내림 작동을 수행하고, 화장실의 하나의 변기, 모든 변기, 또는 전체 건물의 변기에 대한 물내림 간의 시간 지연을 조절하도록 도어 하우징 컨트롤러 및 변기 물내림 컨트롤러에 신호를 보낼 수 있는 전체 시스템의 중심 구성요소이고, 또한 시스템 컨트롤러는 물내림 수량을 결정하고 변경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다. 시스템 컨트롤러는 독립적인 모듈이거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컴퓨터에 일체화될 수 있음
피드백 루프: 도어 하우징 컨트롤러 및 변기 물내림 컨트롤러가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시스템 컨트롤러에 신호와 함께, 완료된 동작(즉, 변기 물이 내려짐), 그 날짜, 시간 및 배터리 수명이 기록된 지표를 발송하는 것이 발생함
사용 주기: 사용자가 칸칸에 들어가고, 변기를 사용한 후, 칸칸에서 나가는 과정. 이 사이클 동안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가능성이 있지만(즉, 사용자가 수동 물내림을 행하거나 또는 래치 잠금 해제로 인해 물내림이 발생함), 각 사용은 이러한 정확한 순서로 3단계를 가져야 한다. 이것은 시스템 컨트롤러가 모든 사용에 대해 피드백 루프 1, 그 다음 피드백 루프 2, 그 다음 피드백 루프 3로부터 정확한 순서로 정보를 우선 수신할 것으로 예상해야 함을 의미한다. 수신된 정보가 피드백 루프로부터 순서가 뒤바뀌었거나, 또는 하나 또는 다수의 루프로부터 정보가 없는 경우, 구성 요소가 오작동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시간 버킷: 1시간, 1일, 1주, 1개월, 1년, 수년의 범위일 수 있는 시간 간격. 시간 버킷은 임의의 시간 블록 또는 설정 시간 사이의 간격일 수 있다.
"x" 및 "y": 시스템에 프로그래밍될 수 있는 값을 나타내는 플레이스홀더 또는 변수
옵트아웃 버튼: 사용자가 자동 물내림을 방지하기 위해 누를 수 있는 도어 로킹 부재의 추가 구성요소(예를 들면, 사용자가 옷을 갈아입기 위해서만 칸칸을 사용하여, 변기 물내림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
거리 센서: 자동 변기로부터 사용자의 거리에 기반하여 물내림을 작동시키는 데 사용되는 센서. 이것은 적외선 기술을 자주 사용하는 기존의 기술을 사용한 자동 물내림을 위한 기본 방법이다. 이 적용에 있어서, 이것은 물 내릴 때를 결정하는 선택적이고 추가적인 방법이다.
본 솔루션은 사용자 기능성 또는 편의성을 희생하지 않고, 현재의 변기 물내림 메커니즘의 특징인 너무 적거나 너무 많은 물내림과 같은 결점을 해결한다. 본 솔루션은 화장실 칸칸 도어의 잠금 해제에 의해 변기 물내림 시퀀스를 개시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칸칸은 그 사용을 조장하기 위해 일반적인 변기 사용자에게 충분한 프라이버시를 제공하고,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직사각형, 피라미드형, 원통형 및 사다리꼴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는 도어 및 임의의 수의 변이 있는 지붕 또는 천장이 있거나 없는 임의의 벽으로 둘러싸인 인클로저일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발명은 변기의 수동 물내림을 필요로 하지 않는 변기 물내림 관리 시스템 및 자동 변기 물내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변기의 수동 물내림은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는 옵션이다.
도 1a∼도 1d는 변기 물내림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다. 변기 물내림 관리 시스템(10)의 전체 구성은 도 1a에 도시되어 있다. 시스템(10)은 변기(7)를 수용하는 칸칸(이하 화장실 칸칸)의 도어(100)에 부착된 칸칸 도어 로킹 부재(110)를 포함한다.
시스템(10)은 물내림 신호 수신기(3), 물내림 액추에이터(5) 및 변기(7)에 의해 물내림을 개시하기 위한 변기 물내림 액추에이터(5)와 연관된 변기 물내림 컨트롤러(16)를 포함하는 변기 물내림 메커니즘(112)을 더 포함한다.
도 1b∼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부재(110)는 슬라이더(12), 슬라이더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4)를 봉입하는 하우징(19), 변기 물내림 메커니즘(112)과 연관된 물내림 신호 수신기(3)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 방출기(1), 도어 하우징 컨트롤러(27), 하나 이상의 배터리(25)를 둘러싸는 배터리 구획부(26), SD 카드(28), 및 커버(22)를 포함한다. 로킹 부재(110)는 칸칸 기둥(8)에 위치된 록 챔버(6)를 추가로 포함한다. 록 챔버(6)는 슬라이더(12)와 정렬된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슬라이더(12)는 제 1(닫힘) 위치와 제 2(열림) 위치 사이에서 수동 왕복 운동이 가능하다. 도 2a에 도시된 제 1 위치에서, 슬라이더(12)의 근위 단부(15)는 칸칸 도어(100)가 닫히고 잠길 때, 록 챔버(6)에 삽입된다. 슬라이더(12)의 근위 단부(15)는 칸칸 도어(100)가 닫히지 않으면 록 챔버(6)에 삽입될 수 없다.
도 2b에 도시된 제 2 위치에서, 도 1a에 도시된 챔버(6)에 삽입되었던 슬라이더(12)의 근위 단부(15)는 록 챔버(6) 외부에, 즉 록 챔버(6)를 벗어나 있다. 제 2 위치에서, 슬라이더 근위 단부(15)의 반대쪽에 있는 슬라이더(12)의 원위 단부(17)는 칸칸 도어(100)가 열릴 때 변기 또는 연관 변기 배관에 위치된 물내림 신호 수신기(3)로 전송되는 신호를 방출하도록, 하우징(19)(도 1d) 내에 봉입된 신호 방출기(1)로부터 신호를 개시하는 센서(4)에 의해 접촉 및/또는 감지된다.
슬라이더(12)의 근위 단부(15)가 록 챔버(6) 내에 위치되는 제 1 위치로부터 슬라이더(12)의 근위 단부(15)가 챔버(6)를 벗어난 제 2 위치까지 슬라이더(12)가 이동함으로써 칸칸 도어가 잠금 해제될 때마다, 슬라이더(12)의 반대쪽 원위 단부(17)는 센서(4)에 의해 접촉 및/또는 감지된다. 슬라이더(12)의 원위 단부(17)와 접촉 및/또는 감지시 센서(4)는 물내림을 개시하기 위해 변기(7) 상의 물내림 액추에이터(5)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변기 물내림 컨트롤러(16)를 촉발하는 물내림 신호 수신기(3)에 무선 주파수 또는 블루투스® 신호 또는 하드와이어 신호와 같은 신호를 전송하도록 신호 방출기(1)를 촉발한다.
센서(4)는 다양한 상이한 센서 또는 센서의 조합일 수 있다. 가능한 센서의 예는 접촉 센서, 자기 근접 센서, 진동 센서, 적외선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접촉 센서(4)는 슬라이더(12)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할 때마다 슬라이더(12)가 센서(4)와 물리적 접촉을 하도록, 하우징(19) 또는 칸칸 도어(100) 내부 또는 상에 위치된다. 이러한 접촉은 물내림 작동을 신호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우징(19) 내에 또는 상에 위치된 또는 칸칸 도어(100) 상에 위치된 자기 근접 센서(4)는 자석 또는 자화성 재료, 예를 들면 슬라이더(12)에 부착된 금속편(14a, b)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슬라이더(12)가 제 2 위치로 이동하면, 자석 또는 자화성 금속편(14a,b)이 자기 근접 센서(4)를 촉발하여, 물내림 작동을 신호한다. 자석 또는 자화성 재료의 수는 예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접촉 센서와 유사한 진동 센서(4)는 슬라이더(12)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할 때마다, 슬라이더(12)가 센서(4)와 물리적 접촉을 하도록, 하우징(19) 또는 칸칸 도어(100) 내 또는 상에 위치된다. 진동 센서(4)는 슬라이더(12)의 충격을 검출하여, 물내림 작동을 신호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적외선 센서(4)는 하우징(19) 또는 칸칸 도어(100) 내에 또는 상에 부착된다. 적외선 센서(4)는 인근의 물체의 거리를 검출하도록 적외선 신호를 방출한다. 적외선 센서는 슬라이더(12)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할 때 물내림 작동을 촉발하도록 센서로부터 슬라이더(12)의 거리를 검출하도록 조정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초음파 센서(4)는 하우징(19) 또는 칸칸 도어(100) 내 또는 상에 부착된다. 센서(4)는 인근의 물체에 의해 다시 반사된 음파를 검출함으로써, 센서가 거리를 등록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센서(4)는 센서(4)로부터 슬라이더(12)의 거리에 따라 슬라이더(12)에 의해 다시 반사된 음파를 검출한다. 슬라이더(12)와 센서(4) 사이의 미리 결정된 거리에 기반하여, 물내림 작동은 슬라이더(12)의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병진 이동 후 개시된다.
각각의 로킹 부재 신호 방출기(1)는 대응하는 변기 물내림 신호 수신기(3)에 매칭되고, 다른 인근의 시스템(10), 예를 들면 동일한 화장실 내의 다른 시스템(10)에 있어서의 다른 신호 방출기(1) 및 물내림 신호 수신기(3)와는 상이한 고유 신호를 사용한다. 고유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하나의 신호 방출기(1)가 다른 변기의 물내림 시스템을 활성화하여 물을 내리게 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스템(10)은 변기(7)에서 물내림이 발생하도록 개시하는 변기 물내림 액추에이터(5)를 더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시스템(10)은 부착물로서 현재의 변기 및 화장실 칸칸에 새로 장착되거나 또는 새로운 변기로 직접 제작될 수 있고, 또한 화장실 변기 칸칸 또는 조립식 화장실 변기 칸칸에 적용될 수 있다. 한 구현에 있어서, 변기 물내림 액추에이터(5)는 수동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적합하도록 설계될 수 있고, 변기 물내림 액추에이터(5)는 기존의 변기 배관 상에 외부적으로 장착되도록 설계되어 기존의 수동의 물내림 메커니즘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구현은 시스템으로의 물을 차단할 필요가 없고, 어떤 흐르는 물과도 직접 상호 작용하지 않으므로, 전자 장치가 물에 노출될 신뢰성 위험이 적다. 변기 물내림 액추에이터의 이 실시형태는 기존의 수동 물내림 메커니즘에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배관공이 필요로 하지 않고 기존의 변기 장치에 비교적 쉽고 저렴하게 설치된다.
변기 물내림 컨트롤러(5)의 외부 구현을 사용하는 실시형태는 급수 흐름에 직접 연결되지 않으므로, 물의 흐름과 상호 작용함으로써 또는 예를 들면 다른 실시형태에서 사용된 물내림 액추에이터 솔레노이드로부터의 신호에 기반해서 계속적인 물내림을 검출할 수 없다. 그러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물내림 컨트롤러의 외부 구현은 사운드 패턴에 기반하여 계속적인 물내림을 검출하기 위한 사운드 센서 및/또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운드 센서 및/또는 초음파 센서는 다른 유동 센서에 추가하여 또는 그 대신에 상기 개시된 시스템의 다른 물내림 컨트롤러 실시형태에서 유사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슬라이더(12)의 삽입 가능한 단부(15)에 반대쪽에 있는 슬라이더(12)의 단부(17)와 대면하는 하우징(19)의 부분 상의 자석 또는 자화성 플레이트(18)의 위치를 도시한다. 플레이트의 형상은 도시된 형상에 제한되지 않고, 형상은 직사각형, 원형, 삼각형, 사다리꼴 또는 다른 형상일 수 있다. 자화성 재료는 철, 니켈, 코발트, 희토류 금속 및 자철석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하우징(19) 상의 자석 또는 자화성 재료의 위치 및 자석 또는 자화성 재료의 수는 도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슬라이더(12)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슬라이더(12)의 단부(17) 상의 슬라이더 자석 또는 자화성 재료(14a 및 14b)의 위치는 하우징(19) 상의 자석 또는 자화성 플레이트(18)와 자기적으로 상호작용하도록 위치된다. 슬라이더 자석 또는 자화성 재료(14a 및 14b)는, (i) 슬라이더(12)가 센서(4)와 정렬되도록 슬라이더(12)와 하우징(19) 사이에 적절한 접촉이 이루어지는 것을 보장하고, (ii) 칸칸 도어의 개폐 시 슬라이더(12)가 앞뒤로 튀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iii) 사용자가 슬라이더(12)를 하우징(19)을 향해서 충분히 슬라이딩시키지 않을 경우에, 슬라이더(12)를 하우징(19)으로 끌어당기도록, 하우징(19)의 자석 또는 자화성 플레이트(18)와 정렬된다.
자석 또는 자화성 재료의 강도는 잠금 해제 즉시 하우징(19)에 연결되도록 슬라이더(12)를 끌어당기기에 충분하지만, 자석 또는 자화성 재료는 슬라이더(12)가 연장된 잠금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방해할 정도로 강하지는 않다. 하우징(19)과 잠금 슬라이더(12)는 잠금 해제시 즉시, 즉 도 2a에 도시된 제 1 위치로부터 도 2b에 도시된 제 2 위치까지 슬라이더(12)의 이동시 즉시, 슬라이더(12)의 자석 또는 자화성 재료(14a, 14b)가 하우징(19)의 자석 또는 자화성 재료(18)와 접촉하도록, 미리 정해진 또는 조정 가능한 거리로 서로 떨어져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칸칸 도어(100)를 잠금 해제할 때, 슬라이더(12)가 제 2 위치로 완전히 이동하지 않을 가능성을 회피해서, 물내림을 유도하는 이벤트를 개시하기 위해 물내림 신호 수신기(3)에 의해 수신될 신호를 방출하는 신호 방출기(1)에 대한 프로세스를 슬라이더(12)가 개시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시 말해서, 자석으로 보장되는 제 2 위치에 완전히 도달함으로써, 사용되는 센서의 종류에 관계없이, 센서(4)는, 예를 들면 사용되는 상기 개시된 센서는 물내림 신호가 신호 방출기(1)에 의해 물내림 신호 수신기(3)로 방출되도록 제 2 위치에서의 슬라이더(12)의 존재를 적절히 감지한다.
하우징(19) 내부의 전자 구성요소를 위한 전자 회로는, 예를 들면 하우징(19)에 수용된 하나 이상의 광전지(23) 또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25)에 의해 동력이 공급될 수 있다. 물내림 신호 수신기(3), 변기 물내림 컨트롤러(16), 및 변기 물내림 액추에이터(5)를 포함하는 물내림 메커니즘(112)을 위한 전자 회로는 하나 이상의 광전지 또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에 의해 동력이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변기 물내림 컨트롤러(16) 및/또는 도어 하우징 컨트롤러(27)는 바람직하게는 1-5초, 1-10초, 5-25초, 5-50초, 25-50초, 50-100초, 100-200초, 150-250초, 바람직하게는 5-240초 범위의 물내림 사이의 최소 간격을 설정하기 위해 도입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시간 지연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물내림 사이의 최소 간격을 설정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시간 지연은 5초 미만 또는 240초 초과로 설정될 수 있다. 프로그래밍 가능한 시간 지연은 최적의 시간 간격을 결정하기 위해 수동으로 프로그래밍되거나, 또는 머신 러닝 또는 딥 러닝 기술을 사용한 알고리즘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프로그래밍 가능한 시간 지연은 사용자가 칸칸 로킹 부재(110)의 슬라이더(12)를 잠금 위치(제 1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제 2 위치) 사이에서 앞뒤로 반복적으로 스위칭함으로써 짧은 시간 간격으로 변기 물을 반복적으로 내리는 것을 방지한다. 화장실 관리자는 시스템 컨트롤러(114), 예를 들면 컴퓨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또는 다양한 전자 및/또는 컴퓨터 기반 기술의 조합으로 사용하여 임의로 시간 지연 범위를 조작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스템 컨트롤러(114)는 하나의 변기에 대해 특정적으로, 동일한 화장실의 모든 변기에 대해 교대로, 또는 전체 건물의 모든 변기에 대해 중앙에 있을 수 있지만, 각각 또는 모든 개별 변기에서의 시간 지연을 조절하는 능력이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장애인 화장실은 비장애인 화장실과 다르게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일반 화장실과 대조적으로 장애인 화장실에 대해 다른 시간 지연이 적절할 수 있다. 시스템 컨트롤러(114)는 변기 물을 내리는 횟수를 측정하여 시설 관리자가 데이터를 수집하고 물 효율성을 최대화하기 위해 설정을 조정할 수 있게 한다. 시스템 컨트롤러(114)는, 예를 들면 블루투스® 또는 무선 주파수를 통해 무선으로 물내림 신호 수신기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사용되지 않은 변기에 필요한 일일 물내림은 변기를 깨끗하게 유지하기 위해 시스템(10)에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시스템 컨트롤러(114)는 슬라이더 작동의 빈도를 기록하고, 선택적으로, 예를 들면 시스템의 모든 작업 또는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신호와 관련된 추가 기능 데이터 및 타임스탬프를 기록 및 저장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물내림 작동 시스템을 이용하여 변기 물내림을 자동으로 작동하는 방법에 대해서 기재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시스템은 칸칸 도어의 래칭 해제가 변기 물내림 액추에이터를 촉발하여 물내림을 개시하는 변기 물내림 컨트롤러에 무선 신호를 송신하도록 프로그래밍 및/또는 구성될 수 있다. 개시된 시스템 및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통상의 사용 사이클(502)은 사용자가 화장실 칸칸(504)에 들어간 다음, 사용자가 도어(506)를 잠근 다음, 사용자가 변기(508)를 사용한 다음, 사용자가 도어(510)를 잠금 해제한 다음, 사용자가 칸칸을 떠날 때 시작한다. 통상의 사용 사이클 동안, 사용자에 의한 칸칸 도어(510)의 잠금 해제는 변기(512)의 물내림을 촉발한다. 통상의 사이클은 실질적인 절수 기술로서 효과적이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개시된 시스템 및 방법은 통상의 사용 사이클을 포함하지 않는 화장실 칸칸 사용을 허용 및/또는 수용하도록 프로그래밍 및/또는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떤 경우에는, 사용자는 변기를 사용하지 않고 단지 옷을 갈아입기 위해 화장실 칸칸을 사용한다. 다른 경우에, 남성 사용자는, 예를 들면 변기를 소변기인 것처럼 변기를 사용하기 위해 칸칸 도어를 래치로 잠그지 않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다른 경우에는, 칸칸 도어 래치가 물내림을 개시한다는 사실을 알지 못하는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수동 물내림을 촉발할 수 있다. 다른 경우에는, 유지 보수 작업자가, 예를 들면 변기를 청소하기 위해 수동 물내림을 촉발할 수 있다.
이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물내림 작동 시스템은 통상의 사용 사이클을 포함하지 않는 화장실 칸칸 사용을 인식하고 수용하도록 구성된 프로그래밍 논리 회로와 통신하는 거리 센서를 포함한다. 통상의 사용 사이클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이러한 적합화는 물 절약을 실질적으로 개선하고, 또한 개선된 관리 기술을 촉진시킨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거리 센서 및 프로그래밍 논리 회로 기능 적합화는, 예를 들면 시설 관리자에 의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타임스탬프는 소정 이벤트의 인식 시 피드백 루프에 의해 기록될 수 있다. 발생한 이벤트 유형의 식별은 대응하는 타임스탬프와 함께 피드백 루프에 의해 기록될 수 있다.
피드백 루프 1 동안 발생하는 이벤트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사용자가 칸칸 도어를 잠그지 않음"과 같은 일부 이벤트는 피드백 루프 1에 의해 반드시 기록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러한 이벤트는, 예를 들면 후속 피드백 루프 2 및 3으로부터의 피드백의 발생과 같은 일반적으로 뒤따르는 이벤트의 발생 시 그 부재에 의해 인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이벤트는 시스템에서 소급적으로 기록될 수 있다. 이 이벤트가 자주 발생하는 경우, 시설 관리자는, 예를 들면 피드백 루프 1로부터 피드백을 지속적으로 수신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대해 경고를 받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변기 물을 내리지 않음" 이벤트가 피드백 루프 3에서 신호의 전송을 능동적으로 촉발하지 않을 수 있지만, "사용자가 옵트아웃 버튼을 누름" 이벤트 후에 예상되는 "변기 물내림" 이벤트의 부재는, 예를 들면 소정 기간 후에 주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통상의 사용자 사이클은 다양한 시스템 장애를 수용하도록 보완 또는 적합화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시스템 장애 처리의 제 1 예에 있어서,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가 작동을 중단하면 시스템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이 상황에서, 시스템 컨트롤러는, 예를 들면 피드백 루프 2 및 피드백 루프 3으로부터 정보를 수신만 하고, 피드백 루프 1로부터는 정보를 수신하지 않는다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컴퓨터는 모든 피드백 루프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지 않을 때를 인식하고, 이에 응답하여 시설 관리자가 데이터를 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플랫폼에 경고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경고는 의심되는 장애 유형의 식별 및 장애 인식의 타임 스탬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른 시스템 장애 처리의 제 2 예에 있어서, 시스템 장애는 시스템의 모든 구성요소가 고장난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컴퓨터는 피드백 루프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저장한다.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은 물내림 데이터의 빈도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다중 시간 버킷으로 분류한다. 시간 버킷은, 예를 들면 시간, 일, 주, 월 및 년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컴퓨터는 각각의 버킷 내에서의 새로운 물내림의 빈도를 계산할 수 있고, 계산된 빈도를 동일한 시간 버킷에 대한 이력 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컴퓨터는 현재 빈도가 이력 값의 백분율 범위 내에 있는지, 그 보다 높은지 또는 낮은지의 여부를 계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백분율 범위는 시설 관리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스템은 현재 빈도가 선택된 범위 밖에 있으면 시설 관리자에게 통지된다.
피드백 루프 중 어느 것도 신호를 제공하지 않으면, 컴퓨터는 물내림 빈도가 0%라고 결정한다. 이 빈도가 이력 데이터가 훨씬 더 높은 물내림 빈도가 있어야 한다고 표시하는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 동안 일관된 경우, 시설 관리자에게 자동으로 통지된다. 이 장애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통해 시설 관리자는 대응하는 칸칸에 있는 장치에 대해 적시에 점검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비 관리자는 빈도 결정 및 장애 분석이 발생하는 시간 버킷을 변경하도록 시스템을 프로그래밍 및/또는 구성할 수 있고, 또는 컴퓨터가, 예를 들면 이 프로세스를 자동으로 완료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른 시스템 장애 처리의 제 3 예에 있어서, 하나의 구성요소가 예상보다 더 자주 신호를 보내는 경우 시스템 장애가 인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르면, 시스템 컨트롤러는 임의의 모든 피드백 루프로부터 지정된 시간 버킷 내에 수신된 신호의 빈도를 이력 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다. 단지 1회의사용자 잠금 및 잠금 해제 시퀀스에 대해 기록된 다수의 변기 물내림과 같은 예상된 결과와 현저한 불일치가 인식되면, 시스템 컨트롤러는 관련 데이터를 캡처하여 컴퓨터로 송신한다. 그 다음, 컴퓨터는 시설 관리자에게 적절하고 특정한 장애 경고를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시스템 장애 처리의 제 4 예에 있어서, 하나의 구성요소가 예기치 않게 신호를 보내는 경우, 시스템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시스템 컨트롤러가, 사용자가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하기 전에 변기 물을 내리는 것과 같은 순서가 뒤바뀐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시스템은 시설 관리자에게 경고하기 위해 컴퓨터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것은 시설 관리자가 지속적으로 물을 내려서 다량의 물을 낭비하는 변기를 신속하게 인식하고 수리하는 데 특히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르면, 이러한 지속적인 물내림은 시스템 컨트롤러에 송신되는 일정한 피드백 신호에 기반하여 신속하게 인식된다.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르면, 다양한 경고가 설비 관리자에게 선택적으로 통신될 수 있다. 경고는 시스템 구성요소의 실시간 및 이력 기능과 전반적인 화장실 사용에 대한 광범위한 통찰을 제공했다. 경고는 시스템 컨트롤러 또는 시스템 컨트롤러와 통신하는 플랫폼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시설 관리자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시설 관리자는, 예를 들면 변기 물내림을 가장 잘 관리하기 위한 패턴을 결정하기 위해 매일, 매주, 매월, 매년 또는 다년간 변기 물내림 기록을 볼 수 있다. 이 정보는, 변기 물이 이력적으로 내려지지 않았던 시간, 예를 들면 시설이 폐쇄되어 있는 시간을 식별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시설 관리자는 사용자가 있을 때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센티넬 플러시(Sentinel flush)가 발생하도록 스케줄링할 수 있다. "센티넬 플러시"는 변기를 청결하게 유지하기 위해 발생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자동 물내림을 지칭하는 업계 표준 용어이다.
이러한 데이터가 유용할 수 있는 다른 예에 있어서, 데이터는 시설 관리자가 물내림 메커니즘이 고체 폐기물을 제거할 만큼 충분히 강력하지 않을 때를 인식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데이터는 다수의 사용자가 화장실을 사용하기 전에 수동으로 물을 내리고, 또한 화장실을 떠날 때 다시 물을 내리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이 패턴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속되거나 증가하는 경우, 시설 관리자는 물내림 메커니즘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물내림 메커니즘을 적시에 교체 또는 조정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통상의 시스템이 동작하는 동안, 시설 관리자는 피드백 루프 1-3으로부터의 신호가 기록되는 실시간 빈도 또는 이력 빈도를 표시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빈도는, 예를 들면 숫자나 그래픽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건물, 화장실 또는 특정 변기/칸칸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기록과 이력 기록 사이에서 분류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통상의 시스템이 동작하는 동안, 시설 관리자는 사용 빈도가 다른 기간보다 높거나 낮은 기간의 통지를 제공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통상의 시스템이 동작하는 동안, 시설 관리자는 시스템을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또는 시스템은 임의의 시스템 구성요소에 대한 낮은 배터리 수명의 통지를 자동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스템은 임의의 구성요소에 대한 배터리 수명이 낮고, 그 구성요소는 특정 일수 내에 교체되어야 하며, 배터리가 방전된 것을 표시할 수 있어서, 구성요소를 재충전하거나 또는 적절한 시간에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통상의 시스템이 동작하는 동안, 시설 관리자는 시스템을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또는 시스템은 예기치 않은 신호 또는 신호 시퀀스의 통지를 자동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스템은 시스템 컨트롤러가 피드백 루프 1, 2, 3을 순서대로 수신하지 않을 때 통지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에 있어서, 시스템 컨트롤러는 단일 사용 사이클 내에서 피드백 루프 1, 2 또는 3으로부터 다중 신호를 수신할 때 통지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에 있어서, 시스템은 시스템 컨트롤러가 피드백 루프의 일부 또는 전부로부터 신호를 일관되게 수신하고 있지 않을 때 통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예상치 못한 신호 또는 신호 시퀀스의 발생을 기록하고, 이러한 발생의 빈도를 시설 관리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르면, 시설 관리자는 원격으로 소정 경고에 응답할 수 있다. 이러한 원격 응답은 응답 시간을 단축하고, 임의의 기술에서 발생하는 치명적인 문제의 가능성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르면, 설비 관리자는, 예를 들면 시스템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시스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시스템 컨트롤러와 통신하는 컴퓨터를 통해 시스템 컨트롤러를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설비 관리자의 일부 프로그래밍 능력은, 예를 들면 물내림 방지, 물내림 지연, 물내림 작동, 물내림 수량 감소, 칸칸 사용 방지, 및/또는 경고 제어를 포함한다.
시설 관리자라는 용어는 개시된 시스템을 운영하고 관리하는 책임이 있는 개체를 설명하기 위해 본 출원 전체에 걸쳐 사용되지만, 그러한 개체가 시설 관리자와 같은 직함이나 직분을 반드시 가질 필요는 없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시스템의 일부 구현에서, 사실상 임의의 인가된 사용자를 포함한 시설 관리자가 아닌 사람이 시스템을 동작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인가된 사용자는, 예를 들면 시설 직원 또는 원격 서비스 제공자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설 관리자는 변기 물내림 액추에이터가 물내림을 작동시키는 신호를 보내는 것을 중지하도록 변기 물내림 컨트롤러를 프로그래밍함으로써, 물내림을 방지하도록 시스템을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시설 관리자는 물내림 신호 수신기로 신호를 방출하도록 신호 방출기가 신호를 보내는 것을 중지하도록 도어 하우징 컨트롤러를 프로그래밍함으로써, 물내림을 방지하도록 시스템을 프로그래밍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르면, 물내림 방지는 실질적으로 언제든지 수동으로 구현될 수 있고, 또는 설비 관리자가 예를 들면 이것이 규칙적인 간격으로 발생하도록 이것에 대한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물내림을 방지하는 이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능은 변기 물이 내려지지 않아야만 할 때, 예를 들면 밤에 건물이 폐쇄되어, 시설 관리자가 그 시간 동안 물내림 기능을 차단하기를 원할 때, 장기적인 간격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시설 관리자는, 제한되지는 않지만, 특정 피드백 루프의 신호 부재와 같은 특정 유형의 피드백 후에 발생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설 관리자는 변기 물내림 컨트롤러가 물내림을 작동하도록 변기 물내림 액추에이터에 신호를 보내도록 시스템을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설비 관리자는 도어 하우징 컨트롤러가 물내림을 작동시키기 위해 물내림 신호 수신기에 신호를 방출하도록 신호 방출기에 신호를 보내도록 시스템 컨트롤러를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한 양태에 따르면, 물내림의 작동은 언제든지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고, 또는 설비 관리자는 예를 들면 이것이 규칙적인 간격으로 발생하도록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설 관리자는 통상의 동작을 위한 디폴트 물내림 수량을 설정하고, 특정 물내림 수량 및 그 수량으로 변기 물이 내려져야만 하는 기간을 설정하도록 시스템을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스템은 설비 관리자가, 예를 들면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방지하기 위해 칸칸 래치 슬라이더의 위치를 원격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기능은 시설 관리자가 비정상적인 활동을 의식했지만, 즉시 문제를 해결할 시간이 없을 때 구현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스템 컨트롤러는, 예를 들면 슬라이더가 잠금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것을 도어록 챔버에 지시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가 칸칸을 잠가서 사생활 보호를 달성할 수 없게 하으므로, 칸칸 사용을 교묘하게 단념시킨다.
대안적으로, 시스템은 하우징이 슬라이더 병진 이동을 방해하도록 하여, 예를 들면 슬라이더가 잠금 해제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스템 컨트롤러는, 예를 들면 시스템이 시간 간격이 경과할 때까지 다른 물내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물내림의 경우 후에 시작하는 선택된 시간 간격을 설정함으로써 물내림을 지연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설 관리자는, 예를 들면 시간 버킷 내에서 예상되거나 예상치 못한 물내림의 특정 백분율 임계값이 발생할 때 수신될 통지를 설정할 수 있다.
여러 상황에 있어서, 변기는 보통의 수량으로 물을 내릴 필요가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보통의 물내림 수량으로의 물내림은 상당량의 물이 낭비된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물내림 수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사전 예방적 방법을 포함한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시스템은 변기가 처음에 필요한 것보다 더 낮은 물 내림 수량을 갖도록 구성된다. 그 다음, 시스템은 사용자 활동을 기반으로 물내림 수량을 조정하기 위해 반응한다. 일례에 있어서, 이 기능은 남성용 소변기에 대한 인원 초과로 인해 종종 칸칸의 변기가 남성용 소변기로 사용되게 되는 스포츠의 하프타임과 같은 시설 사용량이 많을 때에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설비 관리자는 물을 절약하기 위해 이러한 경우에는 각 변기의 물내림 수량을 일시적으로 낮춘 다음, 하프타임 후에 물내림 수량을 정상 수준으로 되돌리도록 시스템 컨트롤러를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시설 관리자는 또한 예를 들면 하프타임의 끝에서 한 번에 모든 변기의 물내림을 개시하도록 관리 시스템을 통해 시스템 컨트롤러를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자가 칸칸을 잠그지 않는 한 감소된 물내림 수량으로 변기가 계속 동작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소변을 보는 대신에 배변을 하기 위해 변기를 사용할 가능성이 더 크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신호 방출기가 잠금 위치에 있는 슬라이더를 검출하거나 잠금 위치로 전환하는 것을 검출하면, 신호 방출기는 원래의 수신기로 전송하고, 이것에 의해 변기 물내림 컨트롤러에 물내림 수량을 다시 정상 수준으로 증가시키도록 명령한다.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르면, 설비 관리자는, 예를 들면 사용자 동작에 기반하여 선택된 시간 간격 동안, 일정 시간 간격으로, 또는 자동으로 단일 인스턴스와 같은 선택된 시간 또는 시간 범위 동안 감소된 수량의 물내림을 선택적으로 촉발할 수 있다. 광범위한 물내림 수량이 특정 시간 또는 조건에 대해 촉발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물내림 수량은, 예를 들면 0갤런∼5갤런의 물로 설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물내림 수량은 보울에 들어가는 것이 허용되는 수량 및/또는 물내림에 사용되는 수량에 기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물내림 수량은, 예를 들면 피드백 루프 동안에도 기록될 수 있다.
Claims (16)
- (i) 도어록 챔버,
제 1 단부 및 상기 제 1 단부 반대쪽에 있는 제 2 단부를 포함하는,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병진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더로서, 상기 제 1 위치에서의 슬라이더 제 1 단부는 상기 도어록 챔버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위치에서의 슬라이더 제 1 단부는 상기 도어록 챔버를 벗어나 있는 슬라이더,
도어 록킹 부재와 연관된 신호 방출기로서, 상기 슬라이더가 제 2 위치에 있을 때, 물내림 신호 수신기로 무선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신호 방출기,
상기 슬라이더가 제 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슬라이더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센서로서, 상기 신호 방출기에 동작 가능하게 접속된 센서를 포함하는 도어 하우징 컨트롤러;
(ii) 물내림 신호 수신기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변기 물내림 컨트롤러;
(iii) 상기 변기 물내림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변기 물내림 액추에이터로서, 상기 신호 방출기는 상기 슬라이더가 제 2 위치로 병진 이동되었음을 감지했을 때 신호를 물내림 신호 수신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변기 물내림 컨트롤러는 도어가 잠금 해제될 때 단일 변기 물내림을 개시하도록 변기 물내림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변기 물내림 액추에이터; 및
(iv) 상기 변기 물내림 컨트롤러 및 상기 도어 하우징 컨트롤러와 통신하는 시스템 컨트롤러로서, 상기 변기 물내림 컨트롤러 및 상기 도어 하우징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된 대응하는 신호 패턴에 응답하여 특정 장애 통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시스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화장실 칸칸에서 변기 물내림을 관리하는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장애 통지는 대응하는 신호 패턴이 상기 시스템 컨트롤러에 의해 수신된 시간을 식별하는 타임 스탬프를 포함하는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컨트롤러는, 시스템에 의해 대응하는 신호 패턴에 응답하여 시스템에 의해 식별 가능한 다양한 유형의 시스템 장애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선택된 유형의 장애 통지가 출력되도록, 인가된 사용자에 의해 설정 가능한 시스템.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컨트롤러는 다른 센서로부터 예상되는 신호를 수신하지 않고, 또 다른 센서와 연관된 순서로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의 수신 신호에 응답하여 오작동 구성요소 장애 통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컨트롤러는 물내림 정보의 빈도를 복수의 시간 버킷으로 분류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컨트롤러는 각각의 시간 버킷 내에서 물내림 빈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빈도를 대응하는 버킷에 대한 이력 빈도와 비교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 제 6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버킷에 대한 물내림 빈도가 미리 결정된 빈도 범위 밖에 있음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물내림 빈도가 미리 결정된 범위 밖에 있음을 나타내는 통지를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 - 변기 물내림 시스템의 변기 물내림 컨트롤러 및 도어 하우징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된 대응하는 신호 패턴에 응답하여 특정 장애 통지를 변기 물내림 시스템에 의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실 칸칸에서 변기 물내림을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변기 물내림 시스템은:
(i) 도어록 챔버,
제 1 단부 및 상기 제 1 단부 반대쪽에 있는 제 2 단부를 포함하는,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병진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더로서, 상기 제 1 위치에서의 슬라이더 제 1 단부는 상기 도어록 챔버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위치에서의 슬라이더 제 1 단부는 상기 도어록 챔버를 벗어나 있는 슬라이더,
도어 록킹 부재와 연관된 신호 방출기로서, 상기 슬라이더가 제 2 위치에 있을 때, 물내림 신호 수신기로 무선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신호 방출기,
상기 슬라이더가 제 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슬라이더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센서로서, 상기 신호 방출기에 동작 가능하게 접속된 센서를 포함하는 도어 하우징 컨트롤러;
(ii) 물내림 신호 수신기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변기 물내림 컨트롤러;
(iii) 상기 변기 물내림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변기 물내림 액추에이터로서, 상기 신호 방출기는 상기 슬라이더가 제 2 위치로 병진 이동되었음을 감지했을 때 신호를 물내림 신호 수신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변기 물내림 컨트롤러는 도어가 잠금 해제될 때 단일 변기 물내림을 개시하도록 변기 물내림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변기 물내림 액추에이터; 및
(iv) 상기 변기 물내림 컨트롤러 및 상기 도어 하우징 컨트롤러와 통신하는 시스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화장실 칸칸에서 변기 물내림을 관리하는 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장애 통지는 대응하는 신호 패턴이 시스템 컨트롤러에 의해 수신된 시간을 식별하는 타임 스탬프를 포함하는 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컨트롤러는, 시스템에 의해 대응하는 신호 패턴에 응답하여 시스템에 의해 식별 가능한 다양한 유형의 시스템 장애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선택된 유형의 장애 통지가 출력되도록, 인가된 사용자에 의해 설정 가능한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컨트롤러는 다른 센서로부터 예상되는 신호를 수신하지 않고, 또 다른 센서와 연관된 순서로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의 수신 신호에 응답하여 오작동 구성요소 장애 통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컨트롤러는 물내림 정보의 빈도를 복수의 시간 버킷으로 분류하도록 구성되는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컨트롤러는 각각의 시간 버킷 내에서 물내림 빈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빈도를 대응하는 버킷에 대한 이력 빈도와 비교하도록 구성되는 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버킷에 대한 물내림 빈도가 미리 결정된 빈도 범위 밖에 있음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물내림 빈도가 미리 결정된 범위 밖에 있음을 나타내는 통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US2020/013866 WO2021145879A1 (en) | 2020-01-16 | 2020-01-16 | Programmable toilet flush initiating,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19736A true KR20220119736A (ko) | 2022-08-30 |
Family
ID=69570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7026735A Ceased KR20220119736A (ko) | 2020-01-16 | 2020-01-16 | 프로그래밍 가능한 변기 물내림 개시, 모니터링 및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EP (1) | EP4090801A1 (ko) |
JP (1) | JP7610604B2 (ko) |
KR (1) | KR20220119736A (ko) |
AU (1) | AU2020423098A1 (ko) |
CA (1) | CA3166563A1 (ko) |
WO (1) | WO202114587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903124B (zh) * | 2021-09-22 | 2024-02-02 | 蓬创数字科技(深圳)有限公司 | 一种区块链服务装置和区块链服务系统及通信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177725B2 (en) * | 2004-02-02 | 2007-02-13 | Nortier Richard A | System for the monitor and control of rest rooms |
EP2220611A4 (en) * | 2007-11-05 | 2014-01-15 | Sloan Valve Co | SUPRERETTE OF PUBLIC TOILET |
JP2012022367A (ja) | 2010-07-12 | 2012-02-02 | Seiko Epson Corp | トイレ利用管理装置、トイレ利用管理システム及びトイレ利用管理装置の制御方法 |
JP2014214594A (ja) | 2013-04-30 | 2014-11-17 | 株式会社Nttファシリティーズ | トイレシステム |
EP3337933A4 (en) | 2015-08-19 | 2019-05-22 | Satellite Industries, Inc. | INTELLIGENT PORTABLE TOILETS WITH DATA COLLECTION AND COMMUNICATION FUNCTIONS |
JP7315586B2 (ja) | 2018-01-22 | 2023-07-26 | ハイドレ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プログラム可能なトイレの水洗の起動、監視、及び管理システム、並びに、その方法 |
JP6917323B2 (ja) | 2018-02-20 | 2021-08-11 | 株式会社Lixil | トイレ管理システム、管理装置及び便器装置 |
-
2020
- 2020-01-16 WO PCT/US2020/013866 patent/WO2021145879A1/en unknown
- 2020-01-16 AU AU2020423098A patent/AU2020423098A1/en active Pending
- 2020-01-16 CA CA3166563A patent/CA3166563A1/en active Pending
- 2020-01-16 JP JP2022538901A patent/JP7610604B2/ja active Active
- 2020-01-16 KR KR1020227026735A patent/KR20220119736A/ko not_active Ceased
- 2020-01-16 EP EP20704981.8A patent/EP4090801A1/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23518638A (ja) | 2023-05-08 |
JP7610604B2 (ja) | 2025-01-08 |
AU2020423098A1 (en) | 2022-07-14 |
EP4090801A1 (en) | 2022-11-23 |
WO2021145879A1 (en) | 2021-07-22 |
CA3166563A1 (en) | 2021-07-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40151017A1 (en) | Programmable Toilet Flush Initiating,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 |
KR102780998B1 (ko) | 프로그래밍 가능한 변기 플러시의 개시, 모니터링 및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
AU2016341463B2 (en) | Electronic keypad lock for furniture, cabinets or lockers | |
US7177725B2 (en) | System for the monitor and control of rest rooms | |
US12139901B2 (en) | Programmable toilet flush initiating,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 |
CN105189879B (zh) | 卫生间系统 | |
US11768473B2 (en) | IoT network with BACnet communication for various sensors in a building management system (BMS) platform | |
CA3106994A1 (en) | Connected sanitaryware systems and methods | |
US12129637B2 (en) | Urinal system, water consumer system having a urinal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urinal system | |
EP1955300A2 (en) | Apparatus for actuating a safety device | |
KR20220119736A (ko) | 프로그래밍 가능한 변기 물내림 개시, 모니터링 및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
US12006731B2 (en) | Touchless, pushbutton exit devices, systems and methods thereof | |
KR101975273B1 (ko) | 양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 | |
US20240301667A1 (en) | A water consumer system having a water consumer, and method for operating a water consumer system | |
CA2091180C (en) | Power conserving door holder | |
WO2024189617A1 (en) | Door system and module theref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2080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502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