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118139A - Paper block play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Paper block play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8139A
KR20220118139A KR1020210021902A KR20210021902A KR20220118139A KR 20220118139 A KR20220118139 A KR 20220118139A KR 1020210021902 A KR1020210021902 A KR 1020210021902A KR 20210021902 A KR20210021902 A KR 20210021902A KR 20220118139 A KR20220118139 A KR 20220118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y equipment
block body
unit block
design
pap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19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67550B1 (en
Inventor
오경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스럽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스럽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스럽션
Priority to KR1020210021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7550B1/en
Publication of KR20220118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81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550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comprising magnetic interaction means, e.g. holding together by magnetic at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16Models made by folding pap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1/00Teaching hand-writing, shorthand, drawing, or painting
    • G09B11/10Teaching pai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per block playing apparatus, comprising: a unit block body which is formed from a planar development composed of first to sixth faces each being square-shaped, in which the unit block body forms a cuboid as the planar development is folded; and a mat on which a pre-determined shape of an image is drawn as a pattern and on which at least one or more of the unit block bodies are placed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A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ssembled even by infants or children, the creation process can enhance spatial perception, creativity, and concentration. Moreover,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mass production, can be recycled, and even if discarded, can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infants or children to learn in advance the knowledge taught in the curriculum through a play, and can reduce in advance any resistance towards education and learning.

Description

종이 블록 놀이 기구 { PAPER BLOCK PLAYING APPARATUS }Paper Block Play Equipment { PAPER BLOCK PLAYING APPARATUS }

본 발명은 놀이 기구에 관한 것으로, 종이 블록 놀이 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lay equipment and to paper block play equipment.

일반적으로 유아 또는 어린이들은 놀이를 통해 사회에 대한 지식과 사회성 등을 배우며, 이를 위해 다양한 놀이 기구가 개발된 바 있다.In general, infants or children learn social knowledge and social skills through play, and various play equipment has been developed for this purpose.

상기 놀이 기구로써 다양한 형태의 블록이 있다. 블록은 사면체부터 다면체까지 매우 다양한 형태를 가지며, 유아 또는 어린이들은 이러한 다양한 형태를 적재적소에 배치하여 여러가지 놀이를 실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블록을 통해 건축물의 형태를 만들 수 있고, 자동차나 탱크와 같은 구동체의 형태를 만들 수 있다. 즉, 유아 또는 어린이들은 평면적인 놀이에서 탈피하여 입체적인 놀이를 통해 공간지각능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There are various types of blocks as the play equipment. Blocks have a wide variety of shapes from tetrahedrons to polyhedrons, and infants or children can play various games by arranging these various shapes in the right place.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make a shape of a building through the block, and can make a shape of a driving body such as a car or a tank. That is, infants or children can break away from flat play and strengthen their spatial perception ability through three-dimensional play.

하지만, 상기 블록 놀이 기구는 대부분 합성수지를 재료로 제조되고 있어 독성물질이 포함될 수 있고, 버려지는 경우 잘 썩지 않아 환경오염의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most of the block play equipment is made of synthetic resin, toxic substances may be included, and when discarded, it does not rot easily, so there is a problem of environmental pollution.

근래에 들어 합성수지의 대체제로 친환경 소재인 나무를 재료로 블럭을 제조하고 있으나 개별적으로 블록 형태로 깎아 형성하므로 형틀에 넣어 대량생산가능한 합성수지에 비해 고가이고 가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Recently, blocks have been manufactured using wood, an eco-friendly material, as an alternative to synthetic resins. However, since they are individually cut into blocks and formed, they are expensive and difficult to process compared to synthetic resins that can be mass-produced by putting them in a mold.

내구성은 합성수지나 나무보다 떨어지지만, 보다 가공이 쉽고 제작비가 저렴하며 사용 후 버려지더라도 잘 썩어 친환경적인 종이를 이용한 블록이 개발되고 유행한 바 있다. Although durability is inferior to synthetic resin or wood, blocks using eco-friendly paper have been developed and popular because they are easier to process, have lower manufacturing costs, and rot easily even if discarded after use.

한편, 페이퍼 토이나 페이퍼 크래프트는 역사적 인물이나 고대 유적과 건축물, 그리고 곤충과 같은 각종 생물의 형태를 종이를 이용하여 제작가능하게 함으로써, 아동들의 교육 및 학습 효과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paper toys or paper craft can be used to produce various types of creatures such as historical figures, ancient ruins and buildings, and insects using paper, thereby improving the educational and learning effects of children.

하지만, 페이퍼 토이나 페이퍼 크래프트는 단순히 인형과 같은 역할을 하므로 제작하는 과정에서 공간지각능력 및 창의력을 향상시킬 수는 있으나, 제작과정을 제외하면 인형놀이에 한정되므로 다양한 교육적인 학습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However, since paper toys and paper craft simply play a role like a doll, spatial perception ability and creativity can be improv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but it is difficult to expect various educational learning effects because it is limited to playing with dolls except for the production process. .

등록특허공보 제10-1358638호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358638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아 또는 어린이로 하여금 쉬운 제작방법을 통해 대상물을 제작함으로써 공간지각능력, 창의력, 집중력의 향상시킬 수 있는 종이 블록 놀이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per block that can improve spatial perception ability, creativity, and concentration by making an object through an easy manufacturing method for infants or children to provide play equipmen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량으로 생산이 가능하고 재활용이 가능하며, 버려지더라도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종이 놀이 블럭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per play block device that can be mass-produced, can be recycled, and can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even when thrown awa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아 또는 어린이로 하여금 교육과정에서 배우는 지식을 놀이를 통해 선행으로 학습할 수 있고, 교육 및 학습에 대한 거부감을 미리 희석시킬 수 있는 종이 놀이 블럭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per play block device that can preemptively dilute the objection to education and learning, enabling infants or children to learn prior knowledge through play through play.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이 블록 놀이 기구는, 각각 정사각형의 제1면 내지 제6면이 이어진 전개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개도가 접히면서 정육면체를 형성하는 단위 블록체; 및 미리 정해진 형상의 그림이 도안으로 그려지고 상기 도안에 대응하여 상기 단위 블록체가 적어도 하나 이상 놓여지는 매트;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aper block pla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development view in which the first to sixth sides of a square are connected, respectively, and the development is a cube while folding unit blocks forming a; and a mat on which a picture of a predetermined shape is drawn as a design and at least one unit block body is placed in response to the desig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이 블록 놀이 기구에 있어서, 상기 단위 블록체는, 상기 전개도로 펼쳐진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6면 중 서로 이어지지 않는 불연장변 중 어느 일부에 외부로 돌출되고, 접혔을 때 정육면체 형상을 유지하도록 결속력을 강화하는 날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aper block pla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nit block body is unfolded in the unfolded view, any part of the non-extended sides that do not connect to each other among the first to sixth surfaces protrude to the outside and fold It may further include; when the wing portion for strengthening the binding force to maintain the cube shap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이 블록 놀이 기구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제1 내지 제6면 중 어느 하나와 어느 한 변을 공유하여 이어지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절개부; 및 상기 전개도가 접힐 경우 상기 공유된 변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마주하는 변에 형성되는 결속강화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속강화편부에는 상기 절개부에 삽입되는 보조 날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aper block pla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g portion is connected by sharing any one side with any one of the first to sixth surfaces, and the wing portion is a cutout c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 and a binding reinforcing piec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shared sides when the unfolded view is folded. hav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이 블록 놀이 기구에 있어서, 상기 보조 날개는, 상기 절개부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에 삽입된 후 상기 절개부보다 큰 길이로 인해 걸림으로써 이탈을 방지하는 보조 날개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aper block pla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wing is formed longer than the cutout and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cutout, the auxiliary wings are caught by a larger length than the cutout to prevent separa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chi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이 블록 놀이 기구에 있어서, 상기 단위 블록체는 상기 전개도가 접힐 경우 외부공간과 마주하는 상기 제1 내지 제6면의 외면에 형성되어 색칠가능하도록 그려진 도안이 그려질 수 있다.In the paper block pla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t block body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to sixth surfaces facing the external space when the unfolded view is folded, so that the painted design can be drawn. ca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이 블록 놀이 기구에 있어서, 상기 단위 블록체는, 상기 전개도가 접힐 경우 형성된 내부공간과 마주하는 상기 제1 내지 제6면의 내면 중앙에 마련되는 자력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력체는 서로 마주보는 내면 각각에 서로 다른 극이 배치될 수 있다.In the paper block pla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t block body is a magnetic body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to sixth surfaces facing the inner space formed when the unfolded view is folded; more Including, the magnetic body may have different poles disposed on each inner surface facing each oth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이 블록 놀이 기구에 있어서, 상기 자력체는 고무자석일 수 있다.In the paper block pla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gnetic body may be a rubber magne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이 블록 놀이 기구에 있어서, 상기 단위 블록체는, 상기 제1 내지 제6면에 상기 제1 내지 제6면보다 작은 닮은 꼴로 형성된 메인면; 및 상기 메인면의 주변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면이 외부 또는 내부를 향하여 볼록하거나 오목하도록 경사를 형성하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가압함으로써 외면 또는 내면이 볼록 또는 오목하게 가변가능하다.In the paper block pla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t block body, the first to the sixth surface, the main surface formed in a smaller resemblance than the first to the sixth surface; and an inclined surface formed on the periphery of the main surface and inclined so that the main surface is convex or concave toward the outside or the inside; and, by pressing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the outer surface or the inner surface is variable to be convex or concave.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이 블록 놀이 기구에 있어서, 상기 매트는, 상기 도안에 형성되고, 상기 단위 블록체가 미끄러져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적층되는 미끄럼 방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aper block pla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t is formed in the design, and the unit block body is slippery and an anti-slip layer laminated to prevent separation; may further includ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이 블록 놀이 기구에 있어서, 상기 매트는, 직각삼각형 도안 및 상기 직각삼각형의 각 변에 접하는 3개의 정사각형 도안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단위 블록체는 상기 정사각형 도안 위에 배치되며, 상기 직각삼각형 도안 위에 배치되는 직각삼각형 형상의 중심 블록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aper block pla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t includes a right-angled triangle design and three square designs in contact with each side of the right-angled triangle, and a plurality of the unit blocks are on the square design. It may further include a central block body of a right-angled triangle shape disposed on the right-angled triangle desig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이 블록 놀이 기구에 있어서, 상기 매트는, 상기 도안의 형상에 따라 상기 도안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상기 단위 블록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울타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aper block pla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t is formed on the edge of the design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design, the fence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unit block; may further includ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이 블록 놀이 기구에 있어서, 상기 울타리는 복수 개가 준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울타리는 양측단부에 각각 바닥과 수직방향으로 일부가 절개된 절개공;을 포함하고, 일단이 어느 한 울타리의 절개공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어느 한 울타리와 이웃하는 울타리의 절개공에 삽입됨으로써 복수 개의 울타리를 연결하는 연결편;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paper block pla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ences are prepared, and the plurality of fences includes a cut-out hole in which a part is cu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loor at both ends, respectively; It may include; a connection piece that is inserted into the cut-out of one of the fences,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cut-off of the fence adjacent to the one of the fences to connect the plurality of fences.

본 발명에 따른 종이 블록 놀이 기구에 의하면, 유아 또는 어린이들이라도 제작이 쉬우므로 제작을 통해 공간지각능력, 창의력 및 집중력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aper block play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easy to manufacture even for infants or children, spatial perception ability, creativity and concentration can be improved through produc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종이 블록 놀이 기구에 의하면, 대량으로 생산이 가능하고 재활용이 가능하며, 버려지더라도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aper block play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ss-produce and recycle, it is possible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even if discarded.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종이 블록 놀이 기구에 의하면, 유아 또는 어린이로 하여금 교육과정에서 배우는 지식을 놀이를 통해 선행으로 학습할 수 있고, 교육 및 학습에 대한 거부감을 미리 희석시킬 수 있다.And, according to the paper block play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emptively learn the knowledge that infants or children learn in the educational process through play, and to dilute the resistance to education and learning in adva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이 블록 놀이 기구에 있어서, 단위 블록체와 매트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종이 블록 놀이 기구에 있어서, 중심 블록체와 단위 블록체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이 블록 놀이 기구에 있어서, 단위 블록체의 전개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의 (a)는 도 3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위 블록체의 전개도이다.
도 4의 (b)는 도 4의 (a)가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의 (c)는 도 4의 (a)의 변형예에 따른 단위 블록체의 전개도이다.
도 5의 (a)는 도 3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위 블록체의 전개도이다.
도 5의 (b)는 도 5의 (a)가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의 (a)는 도 3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위 블록체의 전개도이다.
도 6의 (b)는 도 6의 (a)가 단위 블록체가 조립되어 한 쌍의 단위 블록체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의 (a)는 도 3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위 블록체의 전개도이다.
도 7의 (b)는 도 7의 (a)의 단위 블록체가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의 (c)는 도 7의 (a)의 어느 한 면을 측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이 블록 놀이 기구에 있어서, 매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의 (a)는 도 8의 연결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의 (b)는 도 9의 (a)의 분리 사시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unit block body and a mat in a paper block pla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central block body and a unit block body in a paper block 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development view of a unit block body in a paper block pla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is an exploded view of a unit block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FIG. 3 .
Figure 4 (b)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he state of Figure 4 (a) is assembled.
Figure 4 (c) is an exploded view of the unit block body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of Figure 4 (a).
5A is an exploded view of a unit block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FIG. 3 .
Figure 5 (b)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Figure 5 (a) is assembled.
FIG. 6A is an exploded view of a unit block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FIG. 3 .
FIG. 6(b)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air of unit block bodies are combined by assembling the unit block body of FIG. 6(a).
7A is an exploded view of a unit block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FIG. 3 .
Figure 7 (b)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state that the unit block body of Figure 7 (a) is assembled.
FIG. 7(c)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when one side of FIG. 7(a) is viewed from the side.
8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at in the paper block pla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a) is a view showing the connection portion of Figure 8.
Figure 9 (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9 (a).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between each component another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이 블록 놀이 기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paper block pla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이 블록 놀이 기구에 있어서, 단위 블록체와 매트를 도시한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unit block body and a mat in a paper block pla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이 블록 놀이 기구는 단위 블록체(100)와 매트(1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paper block pla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unit block body 100 and a mat 10 .

단위 블록체(100)는 제1 내지 제6면(A, B, C, D, E, F)을 포함하는 정육면체일 수 있다. 단위 블록체(100)는 전개도로 이루어지고, 사용자에 의해 전개도가 접히면서 정육면체를 형성할 수 있다.The unit block body 100 may be a cube including the first to sixth surfaces A, B, C, D, E, and F. The unit block body 100 is made of a developed view, and a cube can be formed while the developed view is folded by a user.

매트(10)는 미리 정해진 형상의 그림이 도안(11)으로 그려질 수 있다. 매트(10)에 그려진 도안(11)에는 단위 블록체(100)가 적어도 하나 이상 놓여져 채워질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유클리트 기하학으로 나타낸 도안(11)이 나타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발명을 통한 종이 블록 놀이를 진행하면서도 피타고라스 정리를 이해할 수 있어 학습효과를 증진시키는 교육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 mat 10 may be drawn with a picture 11 of a predetermined shape. At least one unit block body 100 may be placed and filled in the design 11 drawn on the mat 10 . For example, FIG. 1 shows a diagram 11 showing the Pythagorean theorem in Euclidean geometry. Therefore, the user can understand the Pythagorean theorem while playing with paper blocks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can expect an educational effect to enhance the learning effect.

한편, 매트(10)는 도안(11)에 배치되는 단위 블록체(100)의 미끄러짐 또는 날림을 방지하기 위해 접착력이 약한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일 수 있다. 예컨대, 제품으로서 매트(10)가 출하될 때 매트(10)에는 접착제가 도포되고 접착제에 의한 접착층을 보호하기 위해 이형지(미도시)가 매트(10)의 상부에 부착된 상태일 수 있다. 즉, 매트(10)는 미끄럼 방지층(12)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mat 10 may be in a state in which an adhesive having a weak adhesive force is applied to prevent slipping or flying of the unit block body 100 disposed on the design 11 . For example, when the mat 10 is shipped as a product, an adhesive is applied to the mat 10 and a release paper (not shown) may be attached to the top of the mat 10 to protect the adhesive layer by the adhesive. That is, the mat 10 may include an anti-slip layer 12 .

단위 블록체(100)와 매트(10)는 종이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unit block body 100 and the mat 10 are preferably made of paper.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종이 블록 놀이 기구에 있어서, 중심 블록체와 단위 블록체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central block body and a unit block body in a paper block 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매트(10)에 도시된 직각삼각형 형상의 도안 위에 직각삼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중심 블록체(200)가 배치되고, 직각삼각형의 각 변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 개의 단위 블록체(100)가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단위 블록체가 중심 블록체(200)의 각 변에 결합되어 각 변마다 연장된 매트(100)의 정사각형(a, b, c) 형태를 모두 채우는 경우, 직각삼각형의 빗변에 대응하는 정사각형(c)에 위치한 단위 블록체(100)의 개수는 직각삼각형의 나머지 두 변에 대응하는 정사각형(a, b)에 위치한 단위 블록체(100)의 합과 같게 된다. 이러한 놀이 과정을 통해 피타고라스의 정리(c2=a2+b2)를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central block body 200 having the shape of a right triangle is disposed on the design of the right triangle shape shown on the mat 10 , and a plurality of unit blocks are dispos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side of the right triangle. (100) may be arranged in combination. Here, when the unit block body is coupled to each side of the central block body 200 and fills all the squares (a, b, c) forms of the mat 100 extended for each side, a square (c) corresponding to the hypotenuse of a right-angled triangle ), the number of unit blocks 100 is equal to the sum of the unit blocks 100 located in the squares (a, b)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two sides of the right-angled triangle. Through this play process, the Pythagorean theorem (c 2 =a 2 +b 2 ) can be learned naturally.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이 블록 놀이 기구에 있어서, 단위 블록체의 전개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단위 블록체(100)가 정육면체를 형성했을 때의 내면을 바라보도록 도시되었다.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development view of a unit block body in a paper block pla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inner surface of the unit block body 100 when the cube is formed.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날개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육면체 형상으로 접힌 단위 블록체(100)는 정육면체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결속력을 강화하도록 날개부(110)가 마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wing unit 110 . The unit block body 100 folded in the shape of a cube may be provided with a wing unit 110 to strengthen the binding force for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cube.

도 3과 같이 단위 블록체(100)가 전개도로 펼쳐진 경우, 제1면 내지 제4면(A, B, C, D) 사이와 제3면과 제5면(C, E) 또는 제3면과 제6면(C, F) 사이의 연장변(111)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내지 제6면이 상호 연장되지 않는 부분의 불연장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덧붙여서, 도 3 이외의 방법으로 단위 블록체(100)의 전개도가 마련되는 경우에는 연장변(111) 및 불연장변(112)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제5면(E)과 제6면(F)은 일렬로 형성된 제1 내지 제4면(A, B, C, D)중 일렬의 길이방향의 양단을 제외하고 상측변에 어느 하나, 하측변에 다른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5면(E)은 제1면(A)의 상측변에 배치되고, 제6면(F)은 제2면(B)의 하측변에 배치될 수 있으며, 특별히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When the unit block body 100 is unfolded in a developed view as shown in FIG. 3 , between the first and fourth surfaces A, B, C, D, and between the third and fifth surfaces C, E or the third surface It may include an extended edge 111 between the and the sixth surfaces C and F, and may include a non-extended edge 112 of a portion where the first to sixth surfaces do not extend to each other. In addition, when the developed view of the unit block body 100 is prepared by a method other than FIG. 3 , the positions of the extended side 111 and the non-extended side 112 may be changed. For example, the fifth surface (E) and the sixth surface (F) are any one on the upper side except for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to fourth surfaces (A, B, C, D) formed in a line, Another one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ide. That is,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fifth surface (E)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urface (A), and the sixth surface (F)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surface (B), 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o any one.

날개부(110)는 단위 블록체(100)가 전개도로 펼쳐진 경우에 제1 내지 제6면(A, B, C, D, E, F) 중 서로 이어지지 않는 불연장변(112) 중 어느 일부에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날개부(110)는 단위 블록체(100)가 접혀져 정육면체를 이루는 경우, 제1 내지 제6면(A, B, C, D, E, F)이 접히면서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될 때 주변의 제1 내지 제6면(A, B, C, D, E, F)과 간섭되지 않도록 모따기된 형태일 수 있다.The wing unit 110 is located on any part of the non-extending side 112 that is not connected to each other among the first to sixth surfaces (A, B, C, D, E, F) when the unit block body 100 is unfolded in a developed view. It may be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For reference, when the unit block body 100 is folded to form a cube, the wing unit 110 is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first to sixth surfaces A, B, C, D, E, F. The first to sixth surfaces (A, B, C, D, E, F) may be chamfered so that they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도 4의 (a)는 도 2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위 블록체의 전개도이고, 도 4의 (b)는 도 4의 (a)가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4의 (c)는 도 4의 (a)의 변형예에 따른 단위 블록체의 전개도이다. 도 4의 (a)와 (c)는 단위 블록체(100')가 정육면체를 형성했을 때의 내면을 바라보도록 도시되었다.Fig. 4 (a) is an exploded view of a unit block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Fig. 2, Fig. 4 (b)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Fig. 4 (a), Fig. 4 (c) is an exploded view of a unit block body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FIG. 4 (a). 4 (a) and (c) are shown to face the inner surface when the unit block body 100' forms a cube.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절개부(120)와 결속강화편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utout 120 and a binding reinforcing piece 130 .

절개부(120)는 날개부(11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날개부(110)는 제1 내지 제6면(A, B, C, D, E, F) 중 어느 하나와 어느 한 변을 공유하여 이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절개부(120)는 날개부(110)에 상기 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될 수 있다. 이때, 절개부(120)의 일측은 상기 변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절개부(120)는 날개부(110)가 이어진 어느 한 변으로부터 날개부(110)의 돌출방향을 따라 폭이 형성되고, 상기 어느 한 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가 형성될 수 있다.The cutout 120 may be formed in the wing part 110 . That is, the wing part 110 may be formed to share any one side with any one of the first to sixth surfaces A, B, C, D, E, and F, and the cutout 120 may The wing part 110 may be c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In this case, one side of the cutout 120 may include the side. In other words, the cutout 120 may have a width formed along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wing unit 110 from one side to which the wing unit 110 is connected, and a length may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ne side.

결속강화편부(130)는 단위 블록체(100)의 전개도가 접힐 경우, 상기 공유된 변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마주하는 변에 형성될 수 있다. 결속강화편부(130)는 보조 날개(13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결속강화편부(130)는 일부가 접힘가능한 보조 날개(131)를 포함하고, 접혀진 보조 날개(131)는 단위 블록체(100)의 전개도가 정육면체로 접힐 경우, 마주하도록 대응되는 날개부(110)에 형성된 절개부(120)에 삽입될 수 있다. 보조 날개(131)가 절개부(120)에 삽입되면서 날개부(110) 하나만으로 정육면체를 이루는 단위 블록체의 결속력은 더욱 강화될 수 있다.When the unfolded view of the unit block body 100 is folded, the binding reinforcing piece 130 may be formed on a side facing the shared side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shared sides. The binding reinforcing piece 130 may include an auxiliary wing 131 . That is, the binding reinforcing piece part 130 includes an auxiliary wing 131 that is partially foldable, and the folded auxiliary wing 131 has a corresponding wing portion ( It may be inserted into the cutout 120 formed in 110 . As the auxiliary wing 131 is inserted into the cutout 120 , the binding force of the unit block body forming a cube with only the wing part 110 may be further strengthened.

도 4의 (c)를 참조하면, 결속강화편부(130)는 보조 날개(132)를 포함할 수 있고, 보조 날개(132)는 보조 날개턱(132a)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c) of FIG. 4 , the binding reinforcing piece 130 may include an auxiliary wing 132 , and the auxiliary wing 132 may have an auxiliary wing jaw (132a).

보조 날개턱(132a)은 절개부(131)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보조 날개턱(132a)의 길이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보조 날개턱(132a)는 절개부(131)보다 1 ∼ 2㎜ 더 긴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보조 날개(132)가 우그러지며 절개부(131)를 관통하여 정육면체의 단위 블록체(100') 내부공간으로 삽입되고, 보조 날개(132)가 상기 내부공간에서 다시 펼쳐질 때, 절개부(131)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 보조 날개턱(132a)이 제1 내지 제6면의 내면에 걸려 외부로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The auxiliary wing jaw (132a) may be formed longer than the cutout (131). At this time, although the length of the auxiliary wing 132a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auxiliary wing 132a is preferably 1 to 2 mm longer than the cutout 131 . That is, the auxiliary wing 132 is crooked and penetrates the cutout 131 and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ube unit block body 100', and when the auxiliary wing 132 is unfolded again in the inner space, the cutout ( 131), the auxiliary wing jaws 132a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may be caught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to sixth surfaces to prevent departure to the outside.

도 5의 (a)는 도 2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위 블록체의 전개도이고, 도 5의 (b)는 도 5의 (a)가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의 (a)는 단위 블록체(100")가 정육면체를 형성했을 때의 외면을 바라보도록 도시되었다.Fig. 5 (a) is an exploded view of a unit block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Fig. 2, and Fig. 5 (b)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Fig. 5 (a). Figure 5 (a) is shown to look at the outer surface when the unit block body (100") forms a cube.

도 5를 참조하면, 단위 블록체(100")는 전개도가 접힐 경우 외부공간과 마주하는 제1 내지 제6면(A, B, C, D, E, F)의 외면에 형성되어 색칠가능하도록 그려진 도안(140)이 그려질 수 있다. 도 5에서는 도안(140)으로 캐릭터를 도시하였지만, 도안(140)은 캐릭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도안(140)이 마련될 수 있으며, 6면 모두 또는 6면 중 일부를 동일한 도안(140)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안(14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놀이 기구로써 사용시 색채를 입힘으로써 미술에 대한 교육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도안(140)의 형태를 통해 해당 단위 블록체(100")와 다른 단위 블록체(100")의 동일성 및 개별성을 구분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5, the unit block body 100"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to sixth surfaces A, B, C, D, E, F facing the external space when the unfolded view is folded so that it can be colored. A drawn design 140 can be drawn. In Fig. 5, a character is shown as a design 140, but the design 140 is not limited to a character and various designs 140 can be provided, and all six sides or six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part of the surface with the same design 140. The design 140 can be expected to have an educational effect on art by applying colors when us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play equipment, and the design 140 The effect of distinguishing the identity and individuality of the corresponding unit block body 100 ″ and the other unit block body 100 ″ can be expected through the form of .

도 6의 (a)는 도 2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위 블록체의 전개도이고, 도 6의 (b)는 도 6의 (a)가 단위 블록체가 조립되어 한 쌍의 단위 블록체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의 (a)는 단위 블록체(100"')가 정육면체를 형성했을 때의 내면을 바라보도록 도시되었다.Fig. 6 (a) is an exploded view of a unit block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Fig. 2, and Fig. 6 (b) is a unit block body assembly of Fig. 6 (a) is a pair of unit block body is combined It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appearance. Figure 6 (a) is shown to face the inner surface when the unit block body (100"') forms a cube.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자력체(150)를 포함할 수 있다. 자력체(150)는 단위 블록체(100"')가 정육면체를 이룰시 내측공간에 위치하도록 제1 내지 제6면(A, B, C, D, E, F)의 내면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gnetic body 150 . The magnetic body 150 may be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to sixth surfaces (A, B, C, D, E, F) so that the unit block body 100 "' is located in the inner space when forming a cube. have.

자력체(150)는 서로 마주보는 내면 각각에 서로 다른 극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력체(150)는 서로 다른 극이 마주함으로써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단위 블록체(100)는 서로 자력으로 인해 결합될 수 있고,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참고로 자력체(150)는 고무자석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magnetic body 150 has different poles disposed on each of the inner surfaces facing each other. As the magnetic body 150 has different poles facing each other, as shown in FIG. 5B , the plurality of unit block bodies 10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due to magnetic force, and separation may be prevented. For reference, the magnetic body 150 is preferably a rubber magnet.

도 7의 (a)는 도 2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위 블록체의 전개도이고, 도 7의 (b)는 도 7의 (a)의 단위 블록체가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7의 (c)는 도 7의 (a)의 어느 한 면을 측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의 (a)는 단위 블록체(100"")가 조립되었을 때의 내면을 바라보도록 도시되었다.Figure 7 (a) is an exploded view of the unit block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Figure 2, Figure 7 (b)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unit block body of Figure 7 (a), Figure 7 (c)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ide view of either side of (a) of FIG. 7 . 7 (a) is shown to face the inner surface when the unit block body (100"") is assembled.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단위 블록체(100"")의 제1 내지 제6면(A, B, C, D, E, F)이 메인면(160)과 경사면(170)을 포함하는 울퉁불퉁한 형태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7,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o sixth surfaces (A, B, C, D, E, F) of the unit block body 100 "" are the main surface 160 and the inclined surface ( 170) may be in the shape of an uneven shape.

메인면(160)은 제1 내지 제6면(A, B, C, D, E, F)에 형성될 수 있다. 메인면(160)은 제1 내지 제6면(A, B, C, D, E, F)보다 작은 닮은 꼴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면(160)은 제1 내지 제6면(A, B, C, D, E, F)의 각각의 중앙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인면(160)이 제1 내지 제6면(A, B, C, D, E, F)의 각 변으로부터의 가장 가까운 거리가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main surface 160 may be formed on the first to sixth surfaces A, B, C, D, E, and F. The main surface 160 may be formed to have a smaller resemblance than the first to sixth surfaces A, B, C, D, E, and F. The main surface 160 is preferably disposed in the center of each of the first to sixth surfaces (A, B, C, D, E, F), more preferably the main surface 160 is the first to sixth surfaces (A, B, C, D, E, F). The closest distances from each side of the six sides (A, B, C, D, E, F) may be equally disposed.

경사면(170)은 메인면(160)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170)은 경사를 형성하며 메인면(160)이 외부 또는 내부를 향하여 볼록하거나 오목하게 할 수 있다. 메인면(160)의 주변에 배치되는 경사면(170)은 모두 동일한 형태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The inclined surface 170 may be formed around the main surface 160 . The inclined surface 170 forms a slope, and the main surface 160 may be convex or concave toward the outside or the inside. All inclined surfaces 170 disposed around the main surface 160 may have the same shape and size.

즉, 메인면(160)과 경사면(170)을 포함하는 단위 블록체(100"")는 육면체로 조립될 때, 제1 내지 제6면(A, B, C, D, E, F) 중 어느 면은 볼록하고 다른 면은 오목할 수 있다. 일례로, 도 7의 (b)를 참조하면, 어느 한 단위 블록체(100"")의 일면은 외부를 향하여 오목하고 다른 단위 블록체(100"")의 일면은 외부를 향하여 볼록하며, 상기 오목한 일면과 상기 볼록한 일면이 서로 마주하며 접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단위 블록체(100"")는 상호 볼록한 부분이 오목한 부분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고, 이로써 이동이 제한될 수 있으며 매트(10) 상에서 보다 안정적인 배치가 가능하다.That is, when the unit block body 100 "" including the main surface 160 and the inclined surface 170 is assembled into a hexahedron, among the first to sixth surfaces A, B, C, D, E, F. One side may be convex and the other side may be concave.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7 (b), one surface of one unit block body 100"" is concave toward the outside, and one surface of the other unit block body 100"" is convex toward the outside, and the The concave one surface and the convex one surface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to contact each other. That is, the plurality of unit blocks 100 "" may be combined in a form in which mutually convex portions are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s, thereby limiting movement and enabling a more stable arrangement on the mat 10 .

한편, 도 7의 (c)를 참조하면, 제1 내지 제6면(A, B, C, D, E, F) 중 일면은 사용자의 가압방향에 따라 볼록과 오목의 방향이 바뀔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어느 한 단위 블록체(100"")의 일면과 다른 단위 블록체의 일면이 서로 접면시키려는 경우, 어느 한 단위 블록체(100"")의 일면과 다른 단위 블록체의 일면이 서로 동일하게 볼록하거나 오목하다면, 사용자는 접면하고자 하는 면 중 어느 하나를 반대 방향으로 가압하여 볼록 또는 오목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가압 방향은 외부 또는 내부로 볼록한 면으로부터 외부 또는 내부로 오목한 면을 향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7C , one of the first to sixth surfaces A, B, C, D, E, and F may have convex and concave directions depending on the user's pressing direction. That is, when the user intends to make one surface of any one unit block body 100"" and one surface of the other unit block body contact each other, the one surface of any one unit block body 100"" and the one surface of the other unit block body mutually contact each other. If they are equally convex or concave, the user may change the convex or concave state by pressing any one of the surfaces to be in contact with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this case, the pressing direction may be directed from the convex surface to the outside or the inside to the surface concave to the outside or inside.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이 블록 놀이 기구에 있어서, 매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9의 (a)는 도 7의 연결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9의 (b)는 도 9의 (a)의 분리 사시도이다.Figure 8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at in the paper block pla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a) is a view showing the connection portion of Figure 7, Figure 9 ( 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9 (a).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울타리(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매트(10)는 도안(11)의 형상에 따라 도안(11)의 테두리에 형성된 울타리(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울타리(13)는 매트(10)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단위 블록체(1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는 울타리(13) 내측으로 그려진 도안(11)에 단위 블록체(100)를 복수 개 배치가능하다. 이는 도 2에서 설명하는 중심 블록체(200)와 단위 블록체(100)의 배치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ence 13 . That is, the mat 10 may further include a fence 13 formed on the edge of the pattern 11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attern 11 . The fence 13 can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plurality of unit blocks 100 disposed on the mat 10 , and the user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blocks 100 on the design 11 drawn inside the fence 13 . Dogs can be placed This can be effectively used for the arrangement of the central block body 200 and the unit block body 100 described in FIG. 2 .

울타리(13)는 복수 개가 준비될 수 있다. 즉, 도안(11)의 테두리는 직선 또는 곡선을 이룰 수 있고, 테두리를 따라 전체적으로 연장되지 않으며 부분적인 연장되어 복수 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울타리(13)는 복수 개가 마련되고, 울타리(13)를 조립하기 전까지는 매트(10)에 눕혀진 상태일 수 있다. 만약, 울타리(13)가 도안(11)의 테두리 전체를 연장하여 형성된 것이라면, 매트(10)의 상방으로 돌출된 울타리(13)에 의해 부피가 늘어나고 보관이 어려워질 것이다. 따라서, 매트(10)에 눕혀진 상태의 울타리(13)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매트(10)로부터 세우는 것이 보관에 있어서 더욱 효율적이다.A plurality of fences 13 may be prepared. That is, the edge of the design 11 may form a straight line or a curved line, and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the edges are partially extended rather than entirely extended along the edge. Accordingly, a plurality of fences 13 may be provided, and may be in a state laid down on the mat 10 until the fence 13 is assembled. If the fence 13 is formed by extending the entire rim of the design 11, the volume increases by the fence 13 protruding upward of the mat 10 and storage will be difficult. Therefore, it is more efficient in storage to erect the fence 13 in a state laid down on the mat 10 from the mat 10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울타리(13)는 절개공(14)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울타리(13)는 양측단부에 각각 바닥과 수직방향으로 일부가 절개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울타리(13)는 후술하는 연결편(15)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고, 도안(11)의 테두리를 감쌀 수 있다.The fence 13 may have an incision hole 14 formed therein. A plurality of fences 13 may be partially cut at both 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floor, respectively. The plurality of fences 13 may be interconnected by a connecting piece 15 to be described later, and may surround the edge of the design 11 .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연결편(15)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편(15)은 일단이 어느 한 울타리(13)의 절개공(14)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어느 한 울타리(13)와 이웃하는 울타리(13)의 절개공(14)에 삽입됨으로써 복수 개의 울타리를 연결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necting piece (15). The connecting piece 15 has one end inserted into the cutout 14 of one of the fences 13,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cutout 14 of the fence 13 adjacent to the one of the fences 13, so that a plurality of Fences can be connected.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 블록 놀이 기구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only an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e paper block play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devia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will say tha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exists to the extent that it can be implement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10 : 매트 11 : 도안
12 : 미끄럼 방지층 13 : 울타리
14 : 절개공 15 : 연결편
100, 100', 100" ,100"', 100"" : 단위 블록체
110 : 날개부 111 : 연장변
112 : 불연장변 120 : 절개부
130 : 결속강화편부 131, 132: 보조 날개
131a : 보조 날개턱 140 : 캐릭터 도안
150 : 자력체 160 : 메인면
170 : 경사면 200 : 중심 블록체
10: Matt 11: Pattern
12: anti-slip layer 13: fence
14: cut hole 15: connection piece
100, 100', 100",100"',100"" : unit block
110: wing 111: extended side
112: non-extended side 120: cutout
130: binding reinforcement piece 131, 132: auxiliary wing
131a: auxiliary wings 140: character design
150: magnetic body 160: main side
170: slope 200: central block body

Claims (12)

각각 정사각형의 제1면 내지 제6면이 이어진 전개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개도가 접히면서 정육면체를 형성하는 단위 블록체; 및
미리 정해진 형상의 그림이 도안으로 그려지고 상기 도안에 대응하여 상기 단위 블록체가 적어도 하나 이상 놓여지는 매트;
를 포함하는 종이 블록 놀이 기구.
a unit block body composed of a developed view in which the first to sixth sides of each square are connected, and the development view is folded to form a cube; and
a mat on which a picture of a predetermined shape is drawn as a design and on which at least one unit block body is placed corresponding to the design;
Paper block play equipment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블록체는,
상기 전개도로 펼쳐진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6면 중 서로 이어지지 않는 불연장변 중 어느 일부에 외부로 돌출되고, 접혔을 때 정육면체 형상을 유지하도록 결속력을 강화하는 날개부;
를 더 포함하는 종이 블록 놀이 기구.
According to claim 1,
The unit block body,
a wing portion protruding to the outside on any part of the non-extended sides that do not connect to each other among the first to sixth surfaces when unfolded in the unfolded view, and strengthening the binding force to maintain a cube shape when folded;
Paper block play equipment further compris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제1 내지 제6면 중 어느 하나와 어느 한 변을 공유하여 이어지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절개부; 및
상기 전개도가 접힐 경우 상기 공유된 변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마주하는 변에 형성되는 결속강화편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속강화편부에는 상기 절개부에 삽입되는 보조 날개;
를 더 포함하는 종이 블록 놀이 기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wing portion is connected by sharing any one side with any one of the first to sixth surfaces, and the wing portion includes a cutout c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and
a binding reinforcing piece formed on an opposite side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shared sides when the development view is folded;
further comprising,
Auxiliary wings inserted into the cutout portion in the binding reinforcement piece;
Paper block play equipment further compris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날개는,
상기 절개부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에 삽입된 후 상기 절개부보다 큰 길이로 인해 걸림으로써 이탈을 방지하는 보조 날개턱;
을 더 포함하는 종이 블록 놀이 기구.
4. The method of claim 3,
The auxiliary wing is
an auxiliary wing jaw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cutout and inserted into the cutout and then caught by a larger length than the cutout to prevent separation;
Paper block play equipment further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블록체는 상기 전개도가 접힐 경우 외부공간과 마주하는 상기 제1 내지 제6면의 외면에 형성되어 색칠가능하도록 그려진 도안이 그려진 종이 블록 놀이 기구.
According to claim 1,
The unit block body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to sixth surfaces facing the external space when the unfolded view is folded, and a paper block play equipment with a design drawn so as to be able to be color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블록체는,
상기 전개도가 접힐 경우 형성된 내부공간과 마주하는 상기 제1 내지 제6면의 내면 중앙에 마련되는 자력체;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력체는 서로 마주보는 내면 각각에 서로 다른 극이 배치되는 종이 블록 놀이 기구.
According to claim 1,
The unit block body,
a magnetic body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to sixth surfaces facing the inner space formed when the unfolded view is folded;
further comprising,
The magnetic body is a paper block play equipment in which different poles are arranged on each inner surface facing each oth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체는 고무자석인 종이 블록 놀이 기구.
6. The method of claim 5,
The magnetic body is a paper block play equipment that is a rubber magn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블록체는,
상기 제1 내지 제6면에 상기 제1 내지 제6면보다 작은 닮은 꼴로 형성된 메인면; 및
상기 메인면의 주변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면이 외부 또는 내부를 향하여 볼록하거나 오목하도록 경사를 형성하는 경사면;
을 포함하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가압함으로써 외면 또는 내면이 볼록 또는 오목하게 가변가능한 종이 블록 놀이기구.
According to claim 1,
The unit block body,
a main surface formed on the first to sixth surfaces to be smaller than the first to sixth surfaces; and
an inclined surface formed around the main surface and inclined so that the main surface is convex or concave toward the outside or the inside;
including,
A paper block play equipment whose outer or inner surface can be convexly or concavely variable by pressing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는,
상기 도안에 형성되고, 상기 단위 블록체가 미끄러져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적층되는 미끄럼 방지층;
을 더 포함하는 종이 블록 놀이 기구.
According to claim 1,
The mat is
an anti-slip layer formed on the design and stacked to prevent the unit block from slipping away;
Paper block play equipment further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는,
직각삼각형 도안 및 상기 직각삼각형의 각 변에 접하는 3개의 정사각형 도안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단위 블록체는 상기 정사각형 도안 위에 배치되며,
상기 직각삼각형 도안 위에 배치되는 직각삼각형 형상의 중심 블록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블록 놀이 기구.
According to claim 1,
The mat is
It includes a right-angled triangle design and three square designs in contact with each side of the right-angled triangle,
A plurality of the unit blocks are arranged on the square design,
Paper block play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entral block body of a right-angled triangle shape disposed on the right-angled triangle design.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는,
상기 도안의 형상에 따라 상기 도안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상기 단위 블록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울타리;
를 더 포함하는 종이 블록 놀이 기구.
11. The method of claim 1 or 10,
The mat is
a fence formed on the edge of the design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design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unit block body;
Paper block play equipment further comprising.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울타리는 복수 개가 준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울타리는 양측단부에 각각 바닥과 수직방향으로 일부가 절개된 절개공;
을 포함하고,
일단이 어느 한 울타리의 절개공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어느 한 울타리와 이웃하는 울타리의 절개공에 삽입됨으로써 복수 개의 울타리를 연결하는 연결편;
을 포함하는 종이 블록 놀이 기구.
12. The method of claim 11,
A plurality of the fences are prepared,
Each of the plurality of fences has an incision hole in which a portion is cut in a vertical direction to the floor at both ends;
including,
a connecting piece connecting a plurality of fences by inserting one end into the cut-out of one fence and the other end into the cut-out of the fence adjacent to the one of the fences;
Paper block play equipment comprising.
KR1020210021902A 2021-02-18 2021-02-18 Paper block playing apparatus Active KR1025675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902A KR102567550B1 (en) 2021-02-18 2021-02-18 Paper block play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902A KR102567550B1 (en) 2021-02-18 2021-02-18 Paper block play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139A true KR20220118139A (en) 2022-08-25
KR102567550B1 KR102567550B1 (en) 2023-08-16

Family

ID=83111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902A Active KR102567550B1 (en) 2021-02-18 2021-02-18 Paper block play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7550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966U (en) * 1992-04-09 1994-02-04 瀧夫 小野 Teaching Materials for "The Pythagorean Theorem"
JP2008054777A (en) * 2006-08-29 2008-03-13 Yanoman:Kk Assembly mat also serving as storage holder for jigsaw puzzle
JP2011010785A (en) * 2009-07-01 2011-01-20 Masayuki Fukaya Object made of sheet, and block toy made of sheet
KR20130088306A (en) * 2012-01-31 2013-08-08 이종구 Assembling type cube-block for chilren
JP3189033U (en) * 2013-02-08 2014-02-20 金唐▲紙▼品有限公司 Building unit, building combination structure using the building unit, and base material of the building unit
JP3210117U (en) * 2017-02-13 2017-04-27 株式会社嶋田紙器製作所 Picture matching puzzle assembly kit
KR20180052343A (en) * 2016-11-10 2018-05-18 (주)브레인숲 Paper toy brock
KR20200094860A (en) * 2019-01-30 2020-08-10 고명애 A planar figure model for creating a regular polyhedr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9033B2 (en) * 1996-03-14 2001-07-1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Vehicle lighting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966U (en) * 1992-04-09 1994-02-04 瀧夫 小野 Teaching Materials for "The Pythagorean Theorem"
JP2008054777A (en) * 2006-08-29 2008-03-13 Yanoman:Kk Assembly mat also serving as storage holder for jigsaw puzzle
JP2011010785A (en) * 2009-07-01 2011-01-20 Masayuki Fukaya Object made of sheet, and block toy made of sheet
KR20130088306A (en) * 2012-01-31 2013-08-08 이종구 Assembling type cube-block for chilren
KR101358638B1 (en) 2012-01-31 2014-02-05 이종구 Assembling type cube-block for chilren
JP3189033U (en) * 2013-02-08 2014-02-20 金唐▲紙▼品有限公司 Building unit, building combination structure using the building unit, and base material of the building unit
KR20180052343A (en) * 2016-11-10 2018-05-18 (주)브레인숲 Paper toy brock
JP3210117U (en) * 2017-02-13 2017-04-27 株式会社嶋田紙器製作所 Picture matching puzzle assembly kit
KR20200094860A (en) * 2019-01-30 2020-08-10 고명애 A planar figure model for creating a regular polyhedr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7550B1 (en) 2023-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2353B2 (en) Unit block having integrally provided coupling portion and insertion portion and coupling or using method using same
WO2007021090A1 (en) Wooden block set
ES2993158T3 (en) Activity box
US7922556B2 (en) Interlocking crossbar device and system
KR101565092B1 (en) Three-Dimensional Educational Toy
KR20220118139A (en) Paper block playing apparatus
KR102519226B1 (en) Toy Block Elements
RU169936U1 (en) Magnetic Constructor
US3417505A (en) Space panels
KR101410674B1 (en) Self-assembly intergrated toy block set
KR200249756Y1 (en) Puzzle set
KR20130007930A (en) Block toy
CN204601632U (en) Diverse intelligence-developing splicing combination
KR102689014B1 (en) Brick block
KR101626253B1 (en) Assemply-type LED block toy
KR102026835B1 (en) Math cube Educational tools
KR200380938Y1 (en) A solid panel of toy
JP3239368U (en) Box-shaped three-dimensional puzzle
JPH0233837Y2 (en)
KR100740408B1 (en) Learning Assembly Block
US20240108997A1 (en) Block Toy
KR200174448Y1 (en) Block set for pleasure
KR200250896Y1 (en) a globuler shaped fabrication toy
RU188435U1 (en) GAME CONSTRUCTOR UNIT
KR200230954Y1 (en) Solid figure puzzle b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1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8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8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