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5671A - Simple Sanitary Toilet Cleaner - Google Patents
Simple Sanitary Toilet Clea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15671A KR20220115671A KR1020210017973A KR20210017973A KR20220115671A KR 20220115671 A KR20220115671 A KR 20220115671A KR 1020210017973 A KR1020210017973 A KR 1020210017973A KR 20210017973 A KR20210017973 A KR 20210017973A KR 20220115671 A KR20220115671 A KR 2022011567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ilet
- washing
- auxiliary
- auxiliary washing
- wa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10 flushing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10—Hand tools for cleaning the toilet bowl, seat or cover, e.g. toilet brush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칫솔과 면도기를 일체로 구비한 것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brush and a razor integrally provided, and more particularly, to
도 1은 공지된 자가 세척 변기 어셈블리와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known self-cleaning toilet assembly and system.
공지된 변기 어셈블리는 변기 용기, 변기 탱크, 플러시 밸브, 림 유입 포트 및 플러시 밸브의 배출구로부터 림 유입포트까지 확장되는 림 흐름 경로(격리된 림 경로)를 구비한다. A known toilet assembly has a toilet bowl, a toilet tank, a flush valve, a rim inlet port, and a rim flow path (isolated rim path) extending from the outlet of the flush valve to the rim inlet port.
그런데, 상기 공기된 기술은 변기 탱크에 플러시 밸브와 림 유입 포트를 구비하여 세척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야외 또는 간이용 화장실 등에 설치된 변기 등에서는 구조를 변경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ir technology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toilet tank is equipped with a flush valve and a rim inlet port for washing, so it is very difficult to change the structure in a toilet installed outdoors or in a simple toilet.
또, 종래의 자가 세척 변기 어셈블리는 제조시에 상기 구조의 장치를 부가하여 제작하는 것으로, 제조 비용이 높을 뿐만 아니라 기존 설치된 가정용 및 업무용빌딩의 변기에는 적용이 어렵고, 소변이 튀어서 찌든 오염찌꺼기를 제거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self-cleaning toilet assembly is manufactured by adding the device of the above structure at the time of manufacture,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and it is difficult to apply to the toilet in the existing installed household and business buildings.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difficult to do.
본 발명은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야외 또는 간이용 화장실 등에 설치된 변기 등에서 구조를 간단하게 변경함으로써 변기에 묻거나 튄 오염물을 세척할 수 있는 간이 위생 변기 클리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simply change the structure of a toilet installed in an outdoor or simple toilet, etc., so that it is possible to wash contaminants on the toilet or spattered on it. To provide a toilet cleaner.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낮은 제조 비용으로 기존 설치된 가정용 및 업무용빌딩의 변기에 적용이 용이하고, 소변이 튀어서 찌든 오염찌꺼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간이 위생 변기 클리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mple sanitary toilet cleaner that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toilets of existing installed household and business buildings at a low manufacturing cost, and can effectively remove contaminants accumulated through urine splashing.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간이 위생 클리너는, 변좌 덮개의 하부를 통해 보조 세척용수를 공급함으로써 변기 내부에 분산되어 묻어 있는 오염체를 제거하는 구성을 갖는 것으로 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The simple sanitary clea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supplying auxiliary washing water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toilet seat cover to remove contaminants dispersed and buried inside the toilet seat.
이때, 상기 변좌 덮개(10)는, 그 하부에 변기세척용 탱크에서 별도로 공급되는 보조세척용 호스(20)를 내측 하부 둘레에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보조세척용 호스(20)는 상기 변기세척용 탱크에서 공급되는 세척용수를 분사하여 오염체를 씻어 내리기 위한 복수개의 세척수공급 구멍(20a,20b,20c,20d)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또, 상기 보조세척용 호스(20)는, 사용자가 상기 변기세척용 탱크에 설치된 손잡이(1)를 누르게 되면, 변기의 세척용으로 공급되는 메인 수로(WF1)외에, 별도로 보조세척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보조세척수 연결관(15)을 추가로 구비하되, 상기 보조세척수 연결관(15)의 단부에 상기 보조세척용 호스(20)로 보조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보조 수로(WF2)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main water channel WF1 supplied for washing the toilet, when the user presses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야외 또는 간이용 화장실 등에 설치된 변기 등에서 구조를 간단하게 변경함으로써 변기에 묻거나 튄 오염물을 세척할 수 있는 간이 위생 변기 클리너를 제공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effect of providing a simple sanitary toilet cleaner capable of cleaning contaminants buried or spattered on the toilet by simply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toilet installed outdoors or in a simple toilet.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낮은 제조 비용으로 기존 설치된 가정용 및 업무용빌딩의 변기에 적용이 용이하고, 소변이 튀어서 찌든 오염찌꺼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간이 위생 변기 클리너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imple sanitary toilet cleaner that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toilets of existing installed household and business buildings at low manufacturing cost, and can effectively remove pollutants accumulated by urine splashing.
도 1은 공지된 자가 세척 변기 어셈블리와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간이 위생 변기 클리너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간이 위생 변기 클리너를 활용한 변기의 수로 공급 체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연결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간이 위생 변기 클리너를 활용한 변기의 보조수로 연결관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known self-cleaning toilet assembly and system;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simple sanitary toilet clea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nection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water supply system for a toilet using a simple sanitary toilet clea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 enlarged configuration view showing an enlarged connection pipe for an auxiliary water pipe of a toilet using a simple sanitary toilet clea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고, 본 명세서에 설명된 예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나 형태 등을 한정하려는 의도에서 사용된 것은 아니다.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The invention disclosed herei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set forth herein. In addition, the terms used herei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r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실시예)(Examp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간이 위생 변기 클리너는, 변좌 덮개의 하부를 통해 보조 세척용수를 공급함으로써 변기 내부에 분산되어 묻어 있는 오염체를 제거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simple sanitary toile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function of removing contaminants dispersed in the toilet seat by supplying auxiliary washing water through a lower portion of the toilet seat cover.
이때, 상기 변좌 덮개(10)는, 그 하부에 변기세척용 탱크에서 별도로 공급되는 보조세척용 호스(20)를 내측 하부 둘레에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보조세척용 호스(20)는 상기 변기세척용 탱크에서 공급되는 세척용수를 분사하여 오염체를 씻어 내리기 위한 복수개의 세척수공급 구멍(20a,20b,20c,20d)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t this time, the
또, 상기 보조세척용 호스(20)는, 사용자가 상기 변기세척용 탱크에 설치된 손잡이(1)를 누르게 되면, 변기의 세척용으로 공급되는 메인 수로(WF1)외에, 별도로 보조세척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보조세척수 연결관(15)을 추가로 구비하되, 상기 보조세척수 연결관(15)의 단부에 상기 보조세척용 호스(20)로 보조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보조 수로(WF2)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main water channel WF1 supplied for washing the toilet, when the user presses the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간이 위생 변기 클리너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도면의 부호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configuration and effect of the simple sanitary toile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with reference to th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간이 위생 변기 클리너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구성도이고,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simple sanitary toilet clea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간이 위생 변기 클리너를 활용한 변기의 수로 공급 체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연결 구성도이며, 3 is a connection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water supply system for a toilet using a simple sanitary toilet clea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간이 위생 변기 클리너를 활용한 변기의 보조수로 연결관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 구성도이다.4 is a partially enlarged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n enlarged connection pipe for an auxiliary water pipe of a toilet using a simple sanitary toilet clea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간이 위생 변기 클리너는, 변좌 덮개(10)의 하부를 통해 보조 세척용수를 공급함으로써 변기 내부에 뛰거나 분산되어 묻어 있는 소변찌거기 또는 대변의 찌거기 등의 오염체 및 오염물을 제거하는 기능을 갖는다. First, referring to FIG. 2 , the simple sanitary toilet clea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lies auxiliary washing water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상기 보조 세척용수는 변기의 상부에 설치된 변기세척용 탱크에서 연결되는 보조세척수 연결관(15)을 통해, 상기 보조세척용 호스(20)를 통해 변기의 내측으로 세척용수를 분사함으로써 소변 또는 대변 등의 오염 찌거기를 씻어 내리게 된다. The auxiliary washing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auxiliary washing
이때, 상기 변좌 덮개(10)는, 그 하부에 상기 변기세척용 탱크(15)에서 별도로 공급되는 보조세척용 호스(20)를 내측 하부 둘레에 추가로 설치하여 구비한다. 이때, 상기 보조세척용 호스(20)는 세척용수가 용이하게 흐를 수 있도록 연질의 호스로 제작하는 것으로, 기 설치된 변기에도 간단하게 내측에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또, 상기 보조세척용 호스(20)는 상기 변기세척용 탱크에서 공급되는 세척용수를 분사하여 오염체를 씻어 내리기 위한 복수개의 세척수공급 구멍(20a,20b,20c,20d)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n addition, the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에서는 세척수공급 구멍(20a,20b,20c,20d)을 모서리 부분의 4 곳에 설치하는 것으로 구성하였으나, 실제 제조시에는 더욱 많은 갯수의 세척수공급 구멍을 뚫어 설치하여 오염찌거기를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the drawing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hing
다음으로, 상기 보조세척용 호스(20)는, 사용자가 상기 변기세척용 탱크에 설치된 손잡이(1)를 누르게 되면, 변기의 세척용으로 공급되는 메인 수로(WF1)외에, 별도로 보조세척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보조세척수 연결관(15)을 추가로 구비하되, 상기 보조세척수 연결관(15)의 단부에 상기 보조세척용 호스(20)로 보조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보조 수로(WF2)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Next, the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변기세척용 탱크에 설치된 손잡이(1)를 누르게 되면, 상기 손잡이(1)에 연속적인 구성으로 연결되는 손잡이 지지대(3)와, 거치대 연결체인(5), 사이펀 마개(7), 급수조절기(9)를 통해 메인 수로(WF1)를 통해 변기의 세척용수가 공급되어 세척 및 배출을 하게 된다. 3 to 4, when the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사이펀 마개(7)가 개방될 때 보조세척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보조세척수 연결관(15)을 추가로 구비하여 보조 수로(WF2)를 형성하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이룬다.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iphon stopper 7 is opened, the auxiliary washing
이와 같이 함으로써, 용변을 보는 사용자가 상기 변기세척용 탱크에 설치된 손잡이(1)를 누르게 되면 메인 수로(WF1)를 통해 변기의 세척용수가 공급되어 세척 및 배출을 하는 동시에 상기 보조세척수 연결관(15)을 통해 연결되는 상기 보조세척용 호스(20)로 보저세척용수를 투입하게 됨으로써 변기의 깊숙한 곳까지 튀어 있을 수 있는 소변, 대변 등의 오염찌거기를 추가로 세척하여 화장실의 위생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In this way, when a user who is toileting presses the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야외 또는 간이용 화장실 등에 설치된 변기 등에서 구조를 간단하게 변경함으로써 변기에 묻거나 튄 오염물을 세척할 수 있는 간이 위생 변기 클리너를 제공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By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ect of providing a simple sanitary toilet cleaner that can wash contaminants buried or spattered on the toilet can be realized by simply changing the structure of a toilet installed in an outdoor or simple toilet, etc. can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낮은 제조 비용으로 기존 설치된 가정용 및 업무용빌딩의 변기에 적용이 용이하고, 소변이 튀어서 찌든 오염찌꺼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간이 위생 변기 클리너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imple sanitary toilet cleaner that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toilets of existing installed household and business buildings at low manufacturing cost, and can effectively remove pollutants accumulated by urine splashing.
본 발명은 그 일부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해당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그 기술적인 사상이 동일함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형, 및 부가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것들은 모두 본원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ome embodiments thereof, various modifications, variations, and addi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technical idea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s well as all these are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be considered to be included in
1: 손잡이
3: 손잡이 지지대
5: 거치대 연결체인
7: 사이펀 마개
9: 급수조절기
10: 변좌 커버 하부프레임
15: 보조세척수 연결관
20: 보조세척용 호스
20a,20b,20c,20d: 세척수공급 구멍
WF1: 메인 수로
WF2: 보조 수로1: handle
3: handle support
5: Cradle Link Chain
7: Siphon plug
9: Water regulator
10: toilet seat cover lower frame
15: auxiliary washing water connector
20: auxiliary cleaning hose
20a, 20b, 20c, 20d: washing water supply hole
WF1: Main Channel
WF2: Auxiliary Channel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7973A KR20220115671A (en) | 2021-02-09 | 2021-02-09 | Simple Sanitary Toilet Clea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7973A KR20220115671A (en) | 2021-02-09 | 2021-02-09 | Simple Sanitary Toilet Clean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15671A true KR20220115671A (en) | 2022-08-18 |
Family
ID=83112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17973A Ceased KR20220115671A (en) | 2021-02-09 | 2021-02-09 | Simple Sanitary Toilet Clea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115671A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31014A (en) | 2013-07-15 | 2016-03-21 | 에이에스 아이피 홀드코 엘엘씨 | Self-cleaning toilet assembly and system |
-
2021
- 2021-02-09 KR KR1020210017973A patent/KR20220115671A/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31014A (en) | 2013-07-15 | 2016-03-21 | 에이에스 아이피 홀드코 엘엘씨 | Self-cleaning toilet assembly and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30023600A (en) | Tankless toilet, western style flush toilet, private part washing device, and spud for flush toilet | |
EA002493B1 (en) | Liquid waste outlet device | |
JP5592617B2 (en) | Toilet device | |
JP2007314975A (en) | Western-style toilet bowl equipment | |
KR101401231B1 (en) | Drain apparatus for a washbowl | |
KR20220115671A (en) | Simple Sanitary Toilet Cleaner | |
KR200361194Y1 (en) | bubble cleansing apparatus for toilet stool | |
CN205116345U (en) | Install in washing unit of closestool | |
CN111321786B (en) | A water-saving toilet | |
JPH1143975A (en) | Bathtub drainage structure for bathroom unit | |
JP3191765B2 (en) | Toilet equipment | |
JP2002266412A (en) | Flush toilet | |
JP3684230B2 (en) | Drainage float structure | |
CN215211373U (en) | Pipeline cleaning device | |
JP3062403U (en) | Urinal with handwash | |
CN213086975U (en) | Desk type squatting pan | |
CN113529890B (en) | Closestool device for improving noise | |
KR0122543Y1 (en) | Tank for storing sewage for an urinal | |
JP2005207222A (en) | Flush toilet system | |
CN213572230U (en) | Toilet cleaner dispenser and toilet | |
KR101038061B1 (en) | Installation structure of bidet integrated sanitary ware | |
JP2000234374A5 (en) | ||
KR20100004077A (en) | Urinal for man using of the home | |
JP2003313925A (en) | Water drain socket | |
JP2000234374A (en) | Washing-off type flush toilet bow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5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207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5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