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113198A - Touch sensor and touch input device thereof - Google Patents

Touch sensor and touch input device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3198A
KR20220113198A KR1020210017098A KR20210017098A KR20220113198A KR 20220113198 A KR20220113198 A KR 20220113198A KR 1020210017098 A KR1020210017098 A KR 1020210017098A KR 20210017098 A KR20210017098 A KR 20210017098A KR 20220113198 A KR20220113198 A KR 20220113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driving
electrodes
receiving
gu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0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26461B1 (en
Inventor
김세엽
김본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딥
Priority to KR1020210017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6461B1/en
Priority to PCT/KR2022/001398 priority patent/WO2022169185A2/en
Priority to US18/264,173 priority patent/US20240231532A1/en
Priority to CN202280013142.4A priority patent/CN116848502A/en
Publication of KR20220113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31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6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64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8Touchless 2D- 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without distance measurement in the Z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sensor and a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the same. The touch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each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pattern parts arranged along a first direction and a connection pattern electrically connecting two first pattern part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plurality of first pattern parts; a guard electrode including a plurality of guard pattern parts disposed to overlap under one or more first electrodes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nd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pattern parts, and a connection pattern connecting two guard patterns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guard pattern parts; and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each of which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pattern parts arranged along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a connection pattern electrically connecting two second pattern parts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pattern parts. The connection patterns of the guard electrode and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are disposed together on a first layer. The plurality of second pattern parts of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and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re disposed together on a second layer different from the first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overing touch sensing is possible.

Description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TOUCH SENSOR AND TOUCH INPUT DEVICE THEREOF}TOUCH SENSOR AND TOUCH INPUT DEVICE THEREOF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sensor and a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the same.

컴퓨팅 시스템의 조작을 위해 다양한 종류의 입력 장치들이 이용되고 있다. 예컨대, 버튼(button), 키(key), 조이스틱(joystick) 및 터치 스크린과 같은 입력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터치 스크린의 쉽고 간편한 조작으로 인해 컴퓨팅 시스템의 조작시 터치 스크린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Various types of input devices are used to operate a computing system. For example, input devices such as buttons, keys, joysticks, and touch screens are being used. Due to the easy and convenient operation of the touch screen, the use of the touch screen is increasing when operating a computing system.

터치 센서는 정보 입력 장치의 일종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에 부착되거나, 디스플레이 패널과 일체로 제작되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보면서 터치 센서를 누르거나 터치하여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A touch sensor is a type of information input device, and may be provided and used in a display device. For example, the touch sensor may be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or may be manufactured and used integrally with the display panel. The user may input information by pressing or touching the touch sensor while viewing the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터치 센서를 단일층 또는 이중층으로 구동전극과 수신전극을 구현하는 경우에, 터치 센서가 실장된 터치 입력 장치를 손으로 잡지 않은 상태(플로팅 상태)에서 터치할 때에 LGM(low ground mass)에 의해 정상적으로 감지되어야 하는 신호가 사라지거나, 감지되어야 하는 신호가 갈라져 두 지점 이상에서 터치된 것으로 신호가 나타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In the case of implementing the touch sensor as a single layer or a double layer as the driving electrode and the receiving electrode, when the touch input device on which the touch sensor is mounted is touched without holding it by hand (floating state), it is normally caused by LGM (low ground mass). In some cases, a signal to be sensed disappears, or a signal to be sensed is split so that a signal appears as a touch at two or more points.

KR 10-1979891 (2019.05.13)KR 10-1979891 (2019.05.13)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호버링 터치 센싱이 가능한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uch sensor capable of sensing a hovering touch and a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터치 센싱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uch sensor capable of improving touch sensing sensitivity and a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스타일러스 펜을 구동시킬 수 있는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를 포함한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uch sensor capable of driving a stylus pen and a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센서는, 각각이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제1 패턴부와 상기 다수의 제1 패턴부에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제1 패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패턴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1 전극;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하나 이상의 제1 전극 아래에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패턴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가드 패턴부를 다수로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가드 패턴부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가드 패턴부를 연결하는 연결 패턴을 포함하는, 가드 전극; 및 각각이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제2 패턴부와 상기 다수의 제2 패턴부에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제2 패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패턴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가드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제2 전극의 연결 패턴은 제1 층에 함께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1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제2 전극의 다수의 제2 패턴부는 상기 제1 층과 다른 제2 층에 함께 배치된다. A touch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pattern portions each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and a connection patter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wo first pattern portion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plurality of first pattern portions. comprising: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It is disposed to overlap under one or more first electrodes of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nd includes a plurality of guard pattern parts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pattern part, and two guard patterns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guard pattern parts. A guard electrode comprising a connection pattern connecting the parts; and a connection patter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plurality of second pattern portions each arrange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two second pattern portion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plurality of second pattern portions,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a connection pattern between the guard electrode and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is disposed together on a first layer, and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of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are included. The pattern portion is disposed together in a second layer different from the first lay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센서는, 각각이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구동 패턴부과 상기 다수의 구동 패턴부에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구동 패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패턴을 포함하는, 복수의 구동 전극; 상기 구동 전극의 연결 패턴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제1 수신 패턴부와 제2 수신 패턴부가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교번하며 배열되고, 상기 제1 수신 패턴부와 상기 제2 수신 패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패턴을 포함하는, 수신 전극; 및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 중 하나 이상의 구동 전극 아래에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구동 패턴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가드 패턴부를 다수로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가드 패턴부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가드 패턴부를 연결하는 연결 패턴을 포함하는, 가드 전극;을 포함한다.A touch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driving pattern parts each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and a connection patter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wo driving pattern part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plurality of driving pattern parts,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 first receiving pattern portion and a second receiving pattern portion disposed with the connection pattern of the driving electrode therebetween are alternately arrange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first receiving pattern portion and the second receiving pattern portion A receiving electrode comprising a connection patter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receiving pattern unit; and a plurality of guard pattern parts disposed to overlap under at least one driving electrode among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nd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pattern part, and connecting two guard pattern parts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guard pattern parts. and a guard electrode including a connection pattern to.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는, 복수의 제1 전극,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드 전극 및 복수의 제2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상기 터치 센서로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구동부; 상기 터치 센서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구동부 및 상기 감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은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제1 패턴부와 상기 다수의 제1 패턴부에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제1 패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가드 전극은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하나 이상의 제1 전극 아래에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패턴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가드 패턴부를 다수로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가드 패턴부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가드 패턴부를 연결하는 연결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 전극은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제2 패턴부와 상기 다수의 제2 패턴부에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제2 패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패턴을 포함한다.A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uch sensor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t least one or more guard electrodes, and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a driving unit for applying a driving signal to the touch sensor; a sensing unit sens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touch sensor;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and the sensing unit, wherein the first electrode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pattern units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and two first pattern unit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plurality of first pattern units. and a connection patter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wherein the guard electrode is disposed to overlap under one or more first electrodes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nd includes a plurality of guard pattern parts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pattern part, , a connection pattern for connecting two adjacent guard pattern portions among the plurality of guard pattern portions, wherein the receiving electrode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pattern portions and a plurality of second pattern portions arrange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a connection pattern electrically connecting two second pattern portion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second pattern portion of the .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는, 복수의 구동 전극,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드 전극 및 복수의 수신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상기 터치 센서로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구동부; 상기 터치 센서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구동부 및 상기 감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전극은,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구동 패턴부과 상기 다수의 구동 패턴부에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구동 패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 전극은, 상기 구동 전극의 연결 패턴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제1 수신 패턴부와 제2 수신 패턴부가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교번하며 배열되고, 상기 제1 수신 패턴부와 상기 제2 수신 패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가드 전극은,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 중 하나 이상의 구동 전극 아래에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구동 패턴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가드 패턴부를 다수로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가드 패턴부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가드 패턴부를 연결하는 연결 패턴을 포함한다.A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uch sensor including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t least one or more guard electrodes, and a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a driving unit for applying a driving signal to the touch sensor; a sensing unit sens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touch sensor;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and the sensing unit, wherein the driving electrode electrically connects a plurality of driving pattern units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and two driving pattern unit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plurality of driving pattern units a connection pattern, wherein the reception electrode is alternately arrange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with first reception pattern portions and second reception pattern portions disposed with the connection pattern of the driving electrode interposed therebetween, , a connection pattern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reception pattern part and the second reception pattern part, wherein the guard electrode is disposed to overlap under one or more driving electrodes among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nd the driving pattern part and a plurality of guard pattern portions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 and a connection pattern connecting two adjacent guard pattern portions among the plurality of guard pattern portions.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센서와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를 사용하면, 호버링 터치 센싱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When the touch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the same are us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hovering touch sensing is possible.

또한, 터치 센싱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improving the touch sensing sensitivity.

또한, 스타일러스 펜을 구동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tylus pen can be drive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센서를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터치 센서(10)의 일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터치 센서를 2개의 층으로 분리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센서의 일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터치 센서를 2개의 층으로 분리한 평면도이다.
도 6은 종래 터치 센서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센서의 상호 커패시턴스 변화량(dCm)의 차이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센서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터치 센서를 2개의 층으로 분리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터치 센서의 변형 예에 따른 터치 센서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터치 센서를 2개의 층으로 분리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4에 도시된 터치 센서의 또 다른 변형 예에 따른 터치 센서의 일부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터치 센서를 2개의 층으로 분리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터치 센서의 변형 예를 2개의 층으로 분리한 평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a touch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a part of the touch sensor 10 shown in FIG. 1 .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touch sensor shown in FIG. 2 separated into two layers.
4 is a plan view of a portion of a touch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of the touch sensor shown in FIG. 4 separated into two layers.
6 is a graph comparing the difference in mutual capacitance variation (dCm) between the conventional touch sensor and the touch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4 .
7 is a plan view of a touch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of the touch sensor shown in FIG. 7 separated into two layers.
9 is a plan view of a touch sensor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touch sensor illustrated in FIG. 4 .
10 is a plan view of the touch sensor shown in FIG. 9 separated into two layers.
11 is a plan view of a portion of a touch sensor according to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touch sensor shown in FIG. 4 .
12 is a plan view of the touch sensor shown in FIG. 11 separated into two layers.
13 is a plan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touch sensor shown in FIGS. 4 to 5 separated into two layers.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형태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형태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형태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형태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형태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10]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10]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Reference is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show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with respect to one embodiment.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proper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scope equivalents to those claimed.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various aspects.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형태들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는, 전자 디바이스로서,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예: 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n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a smartphone, a tablet personal computer (PC), a vehicle display device, a mobile phone, a video phon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e-book reader, a laptop personal computer, a netbook computer, a mobile medical device, a camera, or a wearable device. Here, the wearable device may be an accessory type (eg, watch, ring, bracelet, anklet, necklace, eyeglasses, contact lens, or head-mounted-device (HMD)), a textile or an integrated garment (eg, electronic garment). ), a body attachable type (eg, a skin pad or a tattoo), or a bioimplantable type (eg, an implantable circui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센서를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의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a touch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는 터치 센서(10), 감지부(11), 구동부(12) 및 제어부(13)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a touch input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ouch sensor 10 , a sensing unit 11 , a driving unit 12 , and a control unit 13 .

구동부(12)는 제어부(13)의 제어에 의해 터치 센서(10)로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감지부(11)는 터치 센서(10)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를 수신한다. The driving unit 12 applies a driving signal to the touch sensor 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3 , and the sensing unit 11 receives the sensing signal received from the touch sensor 10 .

구동부(12)는 터치 센서(10)의 복수의 구동 전극으로 순차적으로 구동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12 may sequentially supply driving signals to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of the touch sensor 10 .

감지부(11)는 터치 센서(10)의 복수의 수신 전극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에는 서로 인접한 구동 전극과 수신 전극 사이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의 정보, LGM 노이즈 신호 및 디스플레이 노이즈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11 receives signals output from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of the touch sensor 10 . Here, the signal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capacitance change between the driving electrode and the receiving electrode adjacent to each other, an LGM noise signal, and a display noise signal.

감지부(11)는 복수의 수신 전극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 중 두 개의 신호를 차감하여 차감 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출력된 차감 신호를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팅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감지부(11)는 비교기와 ADC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1 may output a subtracted signal by subtracting two signals among signals output from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and may output the subtracted signal by analog-to-digital conversion. To this end, the sensing unit 11 may include a comparator and an ADC.

제어부(13)는 감지부(11)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여부 및/또는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 may detect whether a touch has been made and/or a touch position based on a digital signal output from the sensing unit 11 .

도 1에서 감지부(11), 구동부(12) 및 제어부(13)를 설명의 편의상 분리하여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감지부(11), 구동부(12) 및 제어부(13) 중 적어도 둘 이상 또는 전부는 하나의 모듈, 유닛, 칩(chip)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FIG. 1 , the sensing unit 11 , the driving unit 12 , and the control unit 13 are illustrated separat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t least two or all of the sensing unit 11 , the driving unit 12 , and the control unit 13 may be implemented as one module, unit, or chip.

도 1에 도시된 터치 입력 장치(1)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센서(10)가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배치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센서(10)는 디스플레이 패널 아래에도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터치 센서(10)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 기판 및/또는 하부 기판의 외부면(예컨대, 상부 기판의 상부면 또는 하부 기판의 하부면) 또는 내부면(예컨대, 상부 기판의 하부면 또는 하부 기판의 상부면)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터치 센서(10)가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을 구성할 수 있다.The touch input device 1 illustrated in FIG. 1 may include a display panel. In this case, the touch sensor 10 may be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or may be disposed within the display panel. In some cases, the touch sensor 10 may also be disposed under the display panel. For example, the touch sensor 10 may include an outer surface (eg, an upper surface of an upper substrate or a lower surface of a lower substrate) or an inner surface (eg, a lower surface or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substrate) of the upper substrate and/or lower substrate of the display pane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A touch sensor 10 may be coupled to the display panel to constitute a touch screen.

터치 센서(10)는 소정의 형상의 전극들을 포함하고, 소정의 전극들은, 복수의 구동전극(TX0 내지 TXn) 및 복수의 수신전극(RX0 내지 RXm)을 포함할 수 있다.The touch sensor 10 may include electrodes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the predetermined electrodes may include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o TXn and a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0 to RXm.

복수의 구동 전극(TX0, TX1, TX2,...)과 복수의 수신 전극(RX0, RX1, RX2,...)의 사이, 특히 이들의 교차부에는, 소정의 커패시턴스(14)(C00, C01, C10, C11,...)가 형성된다.A predetermined capacitance 14 (C00, C00, C01, C10, C11,...) are formed.

터치 센서(10)의 동작을 위해, 복수의 구동전극(TX0 내지 TXn)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구동부(12) 및 복수의 수신전극(RX0 내지 RXm)으로부터 터치 표면에 대한 터치에 따라 변화되는 커패시턴스 변화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감지 신호(또는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감지부(11)를 포함할 수 있다.For the operation of the touch sensor 10 , the capacitance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touch on the touch surface from the driving unit 12 and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0 to RXm for applying a driving signal to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o TXn It may include a sensing unit 11 for receiving a sensing signal (or a received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change.

도 1에서는 터치 센서(10)의 복수의 구동전극(TX0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RX0 내지 RXm)이 직교 어레이를 구성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구동전극(TX0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RX0 내지 RXm)이 대각선, 동심원 및 3차원 랜덤 배열 등을 비롯한 임의의 수의 차원 및 이의 응용 배열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n 및 m은 양의 정수로서 서로 같거나 다른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실시 형태에 따라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In FIG. 1 ,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o TXn and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0 to RXm of the touch sensor 10 are illustrated as forming an orthogonal arra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electrodes TX0 to TXn and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0 to RXm may have any number of dimensions and application arrangements thereof, including diagonal, concentric circles, and a three-dimensional random arrangement. Here, n and m are positive integers, and may have the same or different values and may have different sizes according to embodiments.

복수의 구동전극(TX0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RX0 내지 RXm)은, 각각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구동전극(TX)은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구동전극(TX0 내지 TXn)을 포함하고 수신전극(RX)은 제1축 방향과 교차하는 제2축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수신전극(RX0 내지 RXm)을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o TXn and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0 to RXm may be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The driving electrode TX includes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o TXn extending in a first axial direction, and the receiving electrode RX includes a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extending in a second axial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axial direction ( RX0 to RXm).

복수의 구동전극(TX0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RX0 내지 RXm)은, 동일층(1 layer)에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이중층(2 layer)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구동전극(TX0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RX0 내지 RXm)은 다이아몬드(diamond) 패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o TXn and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0 to RXm may be formed on the same layer (1 layer) or formed on different double layers (2 layers).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o TXn and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0 to RXm may have a diamond pattern shap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터치 센서(10)의 일부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터치 센서를 2개의 층으로 분리한 평면도이다.2 is a plan view of a part of the touch sensor 10 shown in FIG. 1 , and FIG. 3 is a plan view in which the touch sensor shown in FIG. 2 is divided into two layers.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센서는 터치 입력 장치의 활성 영역(101)에 배치될 수 있다. 활성 영역(101)은 터치가 입력되는 영역일 수 있고, 터치 입력 장치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touch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sposed in the active area 101 of the touch input device. The active area 101 may be an area to which a touch is input, or an area corresponding to a display area of a display panel included in the touch input device.

터치 센서는 복수의 제1 전극, 가드 전극(GX) 및 복수의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제1 전극은 복수의 구동 전극(TX0, TX1, TX2,...)과 복수의 수신 전극(RX0, RX1, RX2,...) 중 어느 하나이고, 복수의 제2 전극은 나머지 하나일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에서 복수의 제1 전극을 복수의 구동 전극(TX0, TX1, TX2,...)으로, 복수의 제2 전극을 복수의 수신 전극(RX0, RX1, RX2,...)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반대로 복수의 제1 전극이 복수의 수신 전극(RX0, RX1, RX2,...)일 수 있고, 복수의 제2 전극이 복수의 구동 전극(TX0, TX1, TX2,...)일 수 있다.The touch sensor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 guard electrode GX, and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Here,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is any one of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X1, TX2, ...) and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0, RX1, RX2, ...), and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is can be the other one. 2 to 3,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re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X1, TX2, ...), and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are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0, RX1, RX2,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onversely,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may be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0, RX1, RX2, ..., and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may be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X1. , TX2,...).

복수의 구동 전극(TX0, TX1, TX2,...)은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를 갖고, 복수의 수신 전극(RX0, RX1, RX2,...)은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를 갖는다.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X1, TX2,... have a shape extending along the first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0, RX1, RX2,...) have a firs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It has a shape extending along two directions.

복수의 구동 전극(TX0, TX1, TX2,...)과 복수의 수신 전극(RX0, RX1, RX2,...)의 사이, 특히 이들의 교차부에는 소정의 커패시턴스가 형성된다. 이러한 커패시턴스는 해당 지점 또는 그 주변에서 터치 입력이 발생할 시 변화된다. 따라서, 복수의 수신 전극(RX0, RX1, RX2,...)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커패시턴스의 변화량을 검출함으로써 터치 여부 및 터치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A predetermined capacitance is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X1, TX2, ... and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0, RX1, RX2, ..., particularly at their intersections. This capacitance is changed when a touch input occurs at or around the corresponding point. Accordingly, by detecting the amount of change in capacitance from the signals output from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0, RX1, RX2, ...,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a touch has been made and a touch input.

복수의 구동 전극(TX0, TX1, TX2,...) 각각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패턴부(111) 및 연결 패턴(115)를 포함한다. 구동 패턴부(111) 다수가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인접한 2개의 구동 패턴부(111) 사이에 연결 패턴(115)가 배치된다.Each of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X1, TX2, ... includes a driving pattern unit 111 and a connection pattern 115 as shown in FIG. 3 . A plurality of driving pattern parts 111 are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connection pattern 115 is disposed between two adjacent driving pattern parts 111 .

구동 패턴부(111)는 다이아몬드(diamond) 형상 또는 마름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구동 패턴부(111)가 다이아몬드 또는 마름모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 일뿐이고, 구동 패턴부(111)는 예를 들어, 다각형 또는 장방형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driving pattern unit 111 may have a diamond shape or a rhombus shape. Although the driving pattern part 111 is illustrated in a diamond or rhombus shape in the drawings,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driving pattern part 111 may have a polygonal or rectangular shape, for example.

연결 패턴(115)의 일 단은 일측에 배치된 구동 패턴부(111)과 연결되고, 타 단은 타 측에 배치된 제1 패턴부와 연결된다. 연결 패턴(115)는 바(bar)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One end of the connection pattern 115 is connected to the driving pattern part 111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pattern part disposed on the other side. The connection pattern 115 may have a bar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다수의 구동 패턴부(111) 및 다수의 연결 패턴(115)은 동일층(도 3의 2nd layer)에 함께 배치된다. 다수의 구동 패턴부(111) 및 다수의 연결 패턴(115)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구동 패턴부(111) 및 다수의 연결 패턴(115)은 메탈 메쉬(metal mesh)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탈 메쉬를 다수의 구동 패턴부(111) 및 다수의 연결 패턴(115)의 형상에 맞춰 패터닝함으로서, 복수의 구동 전극(TX0, TX1, TX2,...)을 형성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driving pattern units 111 and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atterns 115 are disposed together on the same layer (the 2nd layer of FIG. 3 ). The plurality of driving pattern units 111 and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atterns 115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driving pattern units 111 and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atterns 115 may be formed of a metal mesh. By patterning the metal mesh according to the shapes of the plurality of driving pattern portions 111 and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atterns 115 ,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X1, TX2, ... may be formed.

복수의 수신 전극(RX0, RX1, RX2,...) 각각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패턴부(131) 및 연결 패턴(135)를 포함한다. 수신 패턴부(131) 다수가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인접한 2개의 수신 패턴부(131) 사이에 연결 패턴(135)가 배치된다.Each of the plurality of reception electrodes RX0 , RX1 , RX2 , ... includes a reception pattern unit 131 and a connection pattern 135 as shown in FIG. 3 . A plurality of reception pattern units 131 are arrang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and a connection pattern 135 is disposed between two adjacent reception pattern units 131 .

수신 패턴부(131)는 다이아몬드(diamond) 형상 또는 마름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수신 패턴부(131)가 다이아몬드 또는 마름모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 일뿐이고, 수신 패턴부(131)는 예를 들어, 다각형 또는 장방형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reception pattern unit 131 may have a diamond shape or a rhombus shape. Although the receiving pattern unit 131 is illustrated in a diamond or rhombus shape in the drawing,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receiving pattern unit 131 may have, for example, a polygonal or rectangular shape.

연결 패턴(135)은 수신 패턴부(131)가 배치된 층(2nd layer)가 아닌 다른 층(1st layer)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 패턴(135)의 일 단은 일측에 배치된 수신 패턴부(111)과 전도성 비아를 통해 연결되고, 타 단은 타 측에 배치된 수신 패턴부와 전도성 비아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연결 패턴(115)는 바(bar)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nection pattern 135 may be disposed on a layer other than the second layer on which the reception pattern unit 131 is disposed ( 1st layer ). One end of the connection pattern 135 may be connected to the receiving pattern portion 111 disposed on one side through a conductive via,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receiving pattern portion disposed on the other side through a conductive via. The connection pattern 115 may have a bar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다수의 수신 패턴부(131)와 다수의 연결 패턴(135)은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된다. 다수의 수신 패턴부(131)는 복수의 구동 전극(TX0, TX1, TX2,...)과 동일층에 함께 배치된다. 다수의 수신 패턴부(131)는 복수의 구동 전극(TX0, TX1, TX2,...)과 함께 메탈 메쉬(metal mesh)로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reception pattern units 131 and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atterns 135 are disposed on different layers. The plurality of reception pattern units 131 are disposed on the same layer as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X1, TX2, .... The plurality of reception pattern units 131 may be formed of a metal mesh together with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X1, TX2, ....

가드 전극(GX)은 복수의 구동 전극(TX0, TX1, TX2,...)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가드 전극(GX)은 활성 영역(101)의 가장자리부에 인접한 구동 전극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guard electrode GX is disposed to overlap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X1, TX2,.... For example, the guard electrode GX may be disposed to overlap the driving electrode adjacent to the edge of the active region 101 .

가드 전극(GX)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구동 전극(TX0, TX1, TX2,...)이 배치된 층(2nd layer)과 다른 층(1st layer)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른 층(1st layer)은 복수의 구동 전극(TX0, TX1, TX2,...)이 배치된 층(2nd layer)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The guard electrode GX is, as shown in FIG. 3, to be disposed on a layer different from the layer (2 nd layer) on which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X1, TX2, ...) are disposed (1 st layer). can Here, the other layer (1 st layer) may be disposed under a layer (2 nd layer) on which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X1, TX2, ... are disposed.

가드 전극(GX)은, 일부 구동 전극(TX0)의 구동 패턴부(111)와 중첩되도록 배치된 가드 패턴부(151)를 다수로 포함하고, 다수의 가드 패턴부(151)들 사이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패턴(155)를 포함할 수 있다.The guard electrode GX includes a plurality of guard pattern units 151 disposed to overlap the driving pattern units 111 of some of the driving electrodes TX0, and connects between the plurality of guard pattern units 151 . A connection pattern 155 may be included.

가드 패턴부(151)와 연결 패턴(155)은 수신 전극(RX0, RX1,...)의 연결 패턴(135)과 동일층(1st layer)에 함께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가드 패턴부(151)와 연결 패턴(155)와 수신 전극(RX0, RX1,...)의 연결 패턴(135)은 메탈 메쉬로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드 전극(GX)은 복수의 수신 전극(RX0, RX1,...)의 일부 구성들(연결 패턴(135))이 형성된 층(1st layer)에서 사용되지 않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가드 전극(GX)을 위한 별도의 층을 마련할 필요가 없고, 메탈 메쉬로 복수의 수신 전극(RX0, RX1,...)의 일부 구성들(연결 패턴(135))을 제작할 때 가드 전극(GX)도 함께 제작할 수 있어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터치 입력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The guard pattern part 151 and the connection pattern 155 may be disposed together on the same layer as the connection pattern 135 of the reception electrodes RX0 , RX1, .... Accordingly, the guard pattern unit 151 and the connection pattern 155 and the connection pattern 135 of the receiving electrodes RX0, RX1, ... may be formed together of a metal mesh. As such, the guard electrode GX may be formed in an unused region in the layer 1 st layer in which some components (connection pattern 135) of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0, RX1, ... are formed. Therefore,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layer for the guard electrode GX, and when manufacturing some components (connection pattern 135) of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0, RX1, ... with a metal mesh Since the guard electrode GX can also be manufacture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and the touch input device can be miniaturized.

가드 패턴부(151)는 구동 패턴부(111)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이아몬드 또는 마름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가드 패턴부(151)는 구동 패턴부(111)를 커버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The guard pattern part 151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pattern part 111 . For example, it may have a diamond or rhombus shap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guard pattern unit 151 may have any shape as long as it can cover the driving pattern unit 111 .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센서와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는, 가드 전극(GX)을 이용하여 호버링 터치(hovering touch) 또는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를 센싱할 수 있다.A touch sensor and a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ense a hovering touch or a proximity touch by using the guard electrode GX.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센서와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는, 터치 센싱 모드 또는 호버링 센싱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터치 센싱 모드와 호버링 센싱 모드는 각 모드가 동작되는 시간 구간을 갖는다.A touch sensor and a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perate in a touch sensing mode or a hovering sensing mode. The touch sensing mode and the hovering sensing mode have a time period during which each mode is operated.

호버링 센싱 모드는 복수의 구동 전극(TX0, TX1,...) 자체의 커패시턴스(셀프 커패시턴스) 변화를 센싱하여 객체의 근접을 센싱하는 모드일 수 있다. 이러한 호버링 센싱 모드에서는 복수의 구동 전극(TX0, TX1,...)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가 가드 전극(GX)에 함께 인가된다. 도 1에 도시된 구동부(12)가 복수의 구동 전극(TX0, TX1,...)과 가드 전극(GX)에 동시에 같은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The hovering sensing mode may be a mode for sensing the proximity of an object by sensing a change in capacitance (self-capacitance) of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X1, .... In this hovering sensing mode, the driving signals applied to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X1, ... are also applied to the guard electrode GX. The driving unit 12 illustrated in FIG. 1 may simultaneously apply the same driving signal to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X1, ... and the guard electrode GX.

구동 신호가 복수의 구동 전극(TX0, TX1,...)과 가드 전극(GX)에 동시에 인가되면, 구동부(12)는 복수의 구동 전극(TX0, TX1,...)으로부터 객체의 근접에 의한 커패시턴스 변화량 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로부터 객체의 근접에 의한 커패시턴스 변화량 정보를 검출하여 제어부(13)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3)는 수신된 객체의 근접에 의한 커패시턴스 변화량 정보를 기초로 객체의 근접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When a driving signal is simultaneously applied to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X1, ... and the guard electrode GX, the driving unit 12 moves from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X1, ... to the proximity of the object. It is possible to receive a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change in capacitance by , and detect information on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change in capacitance due to proximity of an object from the received signal to the controller 13 . The controller 13 may sense whether the object is close to the object based on the received capacitance change amount information due to the proximity of the object.

구동 신호가 복수의 구동 전극(TX0, TX1,...)과 가드 전극(GX)에 동시에 인가되면, 가드 전극(GX)은 자신과 중첩되도록 배치된 해당 구동 전극(TX0)과 등전위가 되므로, 해당 구동 전극(TX0)과 가드 전극(GX) 사이에는 커패시턴스가 형성되지 못한다. 또한, 가드 전극(GX)은 해당 구동 전극(TX0)와 가드 전극(GX) 아래에 위치한 터치 입력 장치의 접지(ground) 사이의 커패시턴스 형성을 차단할 수 있다.When a driving signal is simultaneously applied to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X1, ... and the guard electrode GX, the guard electrode GX becomes equipotential with the corresponding driving electrode TX0 disposed to overlap itself, A capacitance is not formed between the corresponding driving electrode TX0 and the guard electrode GX. In addition, the guard electrode GX may block formation of a capacitance between the corresponding driving electrode TX0 and the ground of the touch input device located under the guard electrode GX.

가드 전극(GX)가 없는 경우, 복수의 구동 전극(TX0, TX1,...)과 터치 입력 장치의 접지 사이의 셀프 커패시턴스 값이, 복수의 구동 전극(TX0, TX1,...)과 근접하는 객체 사이의 셀프 커패시턴스 값보다 상대적으로 크다. 따라서, 복수의 구동 전극(TX0, TX1,...)과 근접하는 객체 사이의 셀프 커패시턴스 값의 변화를 센싱하기 어렵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같이, 가드 전극(GX)이 복수의 구동 전극 중 일부 구동 전극(TX0)과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서로 중첩되는 가드 전극(GX)과 구동 전극(TX0)에 같은 구동 신호가 인가되므로, 해당 구동 전극(TX0)은 터치 입력 장치의 접지와 커패시턴스 형성이 차단된다. 따라서, 해당 구동 전극(TX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는 근접하는 객체와의 커패시턴스 변화량 정보만이 포함하므로, 도 1에 도시된 제어부(13)은 상기 신호로부터 객체의 근접 여부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In the absence of the guard electrode GX, the self-capacitance value between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X1, ... and the ground of the touch input device is close to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X1, ... It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self-capacitance value between objects. Accordingly, it is difficult to sense a change in the self-capacitance value between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X1, ... and an object adjacent thereto. However,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ard electrode GX is disposed to overlap some driving electrodes TX0 among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nd the guard electrode GX and the driving electrode TX0 overlapping each other are driven in the same manner. Since the signal is applied, the corresponding driving electrode TX0 is blocked from forming a capacitance with the ground of the touch input device. Accordingly, since the signal output from the corresponding driving electrode TX0 includes only capacitance change amount information with the adjacent object, the controller 13 shown in FIG. 1 can detect whether the object is close from the signal.

또는, 호버링 센싱 모드는 가드 전극(GX)과 구동 전극(TX0) 사이의 상호 커패시턴스 변화를 센싱하여 객체의 근접을 센싱하는 모드일 수 있다. 호버링 센싱 모드에서는 가드 전극(GX)에 구동 신호가 인가되고, 구동 전극(TX0)으로부터 상호 커패시턴스 변화량 정보가 포함된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구동부(12)는 복수의 구동 전극(TX0, TX1,...)으로부터 객체의 근접에 의한 커패시턴스 변화량 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로부터 객체의 근접에 의한 커패시턴스 변화량 정보를 검출하여 제어부(13)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3)는 수신된 객체의 근접에 의한 커패시턴스 변화량 정보를 기초로 객체의 근접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hovering sensing mode may be a mode for sensing the proximity of an object by sensing a change in mutual capacitance between the guard electrode GX and the driving electrode TX0. In the hovering sensing mode, a driving signal may be applied to the guard electrode GX, and a signal including mutual capacitance variation information may be output from the driving electrode TX0. The driver 12 receives a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capacitance change due to proximity of an object from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X1, ..., and detects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change in capacitance due to proximity of an object from the received signal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3 . The controller 13 may sense whether the object is close to the object based on the received capacitance change amount information due to the proximity of the obje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같이, 가드 전극(GX)이 복수의 구동 전극 중 일부 구동 전극(TX0)과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서로 중첩되는 가드 전극(GX)에 구동 신호가 인가되므로, 해당 구동 전극(TX0)은 터치 입력 장치의 접지와 커패시턴스 형성이 차단된다. 따라서, 해당 구동 전극(TX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는 근접하는 객체와의 커패시턴스 변화량 정보만이 포함하므로, 도 1에 도시된 제어부(13)은 상기 신호로부터 객체의 근접 여부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ard electrode GX is disposed to overlap some driving electrodes TX0 among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nd a driving signal is applied to the guard electrodes GX overlapping each other, so the corresponding driving electrode ( TX0) is cut off from grounding and capacitance formation of the touch input device. Accordingly, since the signal output from the corresponding driving electrode TX0 includes only capacitance change amount information with the adjacent object, the controller 13 shown in FIG. 1 can detect whether the object is close from the signal.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센서의 일부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터치 센서를 2개의 층으로 분리한 평면도이다.4 is a plan view of a portion of a touch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lan view of the touch sensor shown in FIG. 4 separated into two layers.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센서는 터치 입력 장치의 활성 영역(101)에 배치될 수 있다. 활성 영역(101)은 터치가 입력되는 영역일 수 있고, 터치 입력 장치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a touch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may be disposed in the active area 101 of the touch input device. The active area 101 may be an area to which a touch is input, or an area corresponding to a display area of a display panel included in the touch input device.

터치 센서는 복수의 구동 전극(TX0, TX1, TX2,...), 하나 또는 다수의 가드 전극(GX) 및 복수의 수신 전극(RX0', RX1', RX2',...)을 포함한다.The touch sensor includes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X1, TX2,..., one or more guard electrodes GX, and a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0', RX1', RX2',...). .

복수의 구동 전극(TX0, TX1, TX2,...)은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를 갖고, 복수의 수신 전극(RX0', RX1', RX2',...)은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를 갖는다.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X1, TX2, ... have a shape extending along the first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0', RX1', RX2', ... It has a shape extending along the second vertical direction.

복수의 구동 전극(TX0, TX1, TX2,...)과 복수의 수신 전극(RX0', RX1', RX2',...)의 사이, 특히 이들의 교차부에는 소정의 커패시턴스가 형성된다. 이러한 커패시턴스는 해당 지점 또는 그 주변에서 터치 입력이 발생할 시 변화된다. 따라서, 복수의 수신 전극(RX0', RX1', RX2',...)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커패시턴스의 변화량을 검출함으로써 터치 여부 및 터치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A predetermined capacitance is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X1, TX2, ... and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0', RX1', RX2', ..., particularly at their intersections. This capacitance is changed when a touch input occurs at or around the corresponding point. Accordingly, by detecting the amount of change in capacitance from signals output from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0', RX1', RX2', ...,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or not a touch has been made and a touch input.

도 4에 도시된 복수의 구동 전극(TX0, TX1, TX2,...) 각각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패턴부(311), 더미 패턴부(313) 및 연결 패턴(315)를 포함한다. 여기서, 더미 패턴부(313)은 부가적인 구성으로서 없어도 무방하다. 더미 패턴부(313)가 없을 경우, 복수의 구동 전극(TX0, TX1, TX2,...) 각각은 구동 패턴부(311)와 연결 패턴(315)으로 구성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X1, TX2, ... shown in FIG. 4 is, as shown in FIG. 5 , a driving pattern part 311 , a dummy pattern part 313 , and a connection pattern 315 . includes Here, the dummy pattern part 313 may be omitted as an additional configuration. When there is no dummy pattern part 313 , each of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 TX1 , TX2 , ... may include a driving pattern part 311 and a connection pattern 315 .

구동 패턴부(311)는 다이아몬드(diamond) 형상 또는 마름모 형상을 가지며, 내부가 개구된 개구부(O)를 갖는다. 개구부(O)는 구동 패턴부(311)의 외부 형상에 대응되는 다이아몬드 형상 또는 마름모 형상을 갖는다. 개구부(O)에 의해 구동 패턴부(311)는 다이아몬드 또는 마름모의 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driving pattern part 311 has a diamond shape or a rhombus shape, and has an opening O having an opened inside. The opening O has a diamond shape or a rhombus shape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shape of the driving pattern part 311 . Due to the opening O, the driving pattern unit 311 may have a diamond or rhombus band shape.

도면에서는 구동 패턴부(311)가 다이아몬드 또는 마름모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 일뿐이고, 구동 패턴부(311)는 예를 들어, 다각형 또는 장방형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the drawings, the driving pattern unit 311 is illustrated in a diamond or rhombus shape,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driving pattern unit 311 may have, for example, a polygonal or rectangular shape.

구동 패턴부(311)의 개구부(O) 내에 더미 패턴부(313)가 배치된다.A dummy pattern part 313 is disposed in the opening O of the driving pattern part 311 .

더미 패턴부(313)는 다이아몬드 형상 또는 마름모 형상을 갖는다. 더미 패턴부(313)의 외관 형상은 구동 패턴부(311)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더미 패턴부(313)은 구동 패턴부(311)와 달리 내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The dummy pattern part 313 has a diamond shape or a rhombus shape. The external shape of the dummy pattern part 313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driving pattern part 311 . Unlike the driving pattern part 311 , the dummy pattern part 313 may not have an opening therein.

구동 패턴부(311)과 더미 패턴부(313)는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어 구동 패턴부(311)과 더미 패턴부(313)는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다.The driving pattern part 311 and the dummy pattern part 313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driving pattern part 311 and the dummy pattern part 313 are electrically insulated from each other.

내부에 더미 패턴부(313)가 배치된 구동 패턴부(311)는, 다수로 제1 방향(또는 수평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다수의 구동 패턴부(311)들 사이사이에 배치된 연결 패턴(315)이 구동 패턴부(311)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A plurality of driving pattern units 311 in which the dummy pattern units 313 are disposed are arranged along the first direction (or horizontal direction). A connection pattern 315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driving pattern parts 311 electrically connects the driving pattern parts 311 to each other.

연결 패턴(315)은 인접한 두 개의 구동 패턴부(311)을 연결한다. 일 단은 일측에 배치된 구동 패턴부(311)과 연결되고, 타 단은 타 측에 배치된 제1 패턴부와 연결된다. 연결 패턴(315)는 바(bar)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nection pattern 315 connects two adjacent driving pattern parts 311 . One end is connected to the driving pattern part 311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pattern part disposed on the other side. The connection pattern 315 may have a bar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다수의 구동 패턴부(311), 다수의 더미 패턴부(313) 및 다수의 연결 패턴(315)은 동일층(도 5의 2nd layer)에 함께 배치된다. 다수의 구동 패턴부(311), 다수의 더미 패턴부(313) 및 다수의 연결 패턴(315)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구동 패턴부(311), 다수의 더미 패턴부(313) 및 다수의 연결 패턴(315)은 메탈 메쉬(metal mesh)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탈 메쉬를 다수의 구동 패턴부(311), 다수의 더미 패턴부(313) 및 다수의 연결 패턴(315)의 형상에 맞춰 패터닝함으로서, 복수의 구동 전극(TX0, TX1, TX2,...)을 형성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driving pattern portions 311 , the plurality of dummy pattern portions 313 , and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atterns 315 are disposed together on the same layer (the 2nd layer of FIG. 5 ). The plurality of driving pattern portions 311 , the plurality of dummy pattern portions 313 , and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atterns 315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driving pattern portions 311 , the plurality of dummy pattern portions 313 , and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atterns 315 may be formed of a metal mesh. By patterning the metal mesh according to the shapes of the plurality of driving pattern portions 311 , the plurality of dummy pattern portions 313 , and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atterns 315 ,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X1, TX2, ... ) can be formed.

도 4 내지 도 5에서는 더미 패턴부(313)가 구동 패턴부(311) 내부의 개구부(O) 내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각 구동 전극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동 패턴부(311)와 더미 패턴부(313)가 다이아몬드 또는 마름모 형상이 아닌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동 패턴부(311)와 더미 패턴부(313)가 다양한 형상으로 서로 조합되어 구동 전극을 구성할 수 있다.4 to 5 , the dummy pattern part 313 is illustrated as being disposed in the opening O inside the driving pattern part 311, but each driving electrod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riving pattern part ( 311 and the dummy pattern part 313 may have shapes other than diamond or rhombus shapes. The driving pattern unit 311 and the dummy pattern unit 313 may be combined in various shapes to form a driving electrode.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가드 전극(GX)은 복수의 구동 전극(TX0, TX1, TX2,...)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The guard electrode GX shown in FIGS. 4 to 5 is disposed to overlap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X1, TX2,....

가드 전극(GX)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구동 전극(TX0, TX1, TX2,...)이 배치된 층(2nd layer)과 다른 층(1st layer)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른 층(1st layer)은 복수의 구동 전극(TX0, TX1, TX2,...)이 배치된 층(2nd layer)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The guard electrode GX is, as shown in FIG. 5, to be disposed on a layer different from the layer (2 nd layer) on which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X1, TX2, ...) are disposed (1 st layer). can Here, the other layer (1 st layer) may be disposed under a layer (2 nd layer) on which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X1, TX2, ... are disposed.

가드 전극(GX)은, 복수의 구동 전극(TX0, TX1, TX2,...) 중 일부 구동 전극(TX0)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드 전극(GX)은 활성 영역(101)의 가장자리부에 인접한 구동 전극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guard electrode GX may be disposed to overlap some of the driving electrodes TX0, TX1, TX2, ..., and the driving electrodes TX0. For example, the guard electrode GX may be disposed to overlap the driving electrode adjacent to the edge of the active region 101 .

가드 전극(GX)은, 일부 구동 전극(TX0)의 구동 패턴부(311)와 중첩되도록 배치된 가드 패턴부(351)를 다수로 포함하고, 다수의 가드 패턴부(351)들 사이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패턴(355)를 포함할 수 있다.The guard electrode GX includes a plurality of guard pattern parts 351 disposed to overlap the driving pattern part 311 of some of the driving electrodes TX0, and connects between the plurality of guard pattern parts 351 . A connection pattern 355 may be included.

가드 패턴부(351)와 연결 패턴(355)은 수신 전극(RX0, RX1,...)의 제1 및 제2 연결 패턴(335, 337)과 동일층(1st layer)에 함께 배치될 수 있다.The guard pattern part 351 and the connection pattern 355 may be disposed together on the same layer as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atterns 335 and 337 of the reception electrodes RX0 , RX1, ... have.

가드 패턴부(351)는 구동 패턴부(311)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이아몬드 또는 마름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가드 패턴부(351)는 구동 패턴부(311)를 커버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The guard pattern part 351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pattern part 311 . For example, it may have a diamond or rhombus shap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guard pattern part 351 may have any shape as long as it can cover the driving pattern part 311 .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센서와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는, 가드 전극(GX)을 이용하여 호버링 터치(hovering touch) 또는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를 센싱할 수 있다.A touch sensor and a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ense a hovering touch or a proximity touch by using the guard electrode GX.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센서와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는, 터치 센싱 모드 또는 호버링 센싱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터치 센싱 모드와 호버링 센싱 모드는 각 모드가 동작되는 시간 구간을 갖는다.A touch sensor and a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perate in a touch sensing mode or a hovering sensing mode. The touch sensing mode and the hovering sensing mode have a time period during which each mode is operated.

호버링 센싱 모드는 복수의 구동 전극(TX0, TX1,...) 자체의 커패시턴스(셀프 커패시턴스) 변화를 센싱하여 객체의 근접을 센싱하는 모드이다. 호버링 센싱 모드에서, 복수의 구동 전극(TX0, TX1,...)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가 가드 전극(GX)에 함께 인가된다. 도 1에 도시된 구동부(12)가 복수의 구동 전극(TX0, TX1,...)과 가드 전극(GX)에 동시에 같은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The hovering sensing mode is a mode for sensing the proximity of an object by sensing changes in capacitance (self-capacitance) of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X1, .... In the hovering sensing mode, driving signals applied to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X1, ... are applied together to the guard electrode GX. The driving unit 12 illustrated in FIG. 1 may simultaneously apply the same driving signal to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X1, ... and the guard electrode GX.

구동 신호가 복수의 구동 전극(TX0, TX1,...)과 가드 전극(GX)에 동시에 인가되면, 구동부(12)는 복수의 구동 전극(TX0, TX1,...)으로부터 객체의 근접에 의한 커패시턴스 변화량 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로부터 객체의 근접에 의한 커패시턴스 변화량 정보를 검출하여 제어부(13)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3)는 수신된 객체의 근접에 의한 커패시턴스 변화량 정보를 기초로 객체의 근접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When a driving signal is simultaneously applied to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X1, ... and the guard electrode GX, the driving unit 12 moves from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X1, ... to the proximity of the object. It is possible to receive a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change in capacitance by , and detect information on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change in capacitance due to proximity of an object from the received signal to the controller 13 . The controller 13 may sense whether the object is close to the object based on the received capacitance change amount information due to the proximity of the object.

구동 신호가 복수의 구동 전극(TX0, TX1,...)과 가드 전극(GX)에 동시에 인가되면, 가드 전극(GX)은 자신과 중첩되도록 배치된 해당 구동 전극(TX0)과 등전위가 되므로, 해당 구동 전극(TX0)과 가드 전극(GX) 사이에는 커패시턴스가 형성되지 못한다. 또한, 가드 전극(GX)은 해당 구동 전극(TX0)와 가드 전극(GX) 아래에 위치한 터치 입력 장치의 접지(ground) 사이의 커패시턴스 형성을 차단할 수 있다.When a driving signal is simultaneously applied to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X1, ... and the guard electrode GX, the guard electrode GX becomes equipotential with the corresponding driving electrode TX0 disposed to overlap itself, A capacitance is not formed between the corresponding driving electrode TX0 and the guard electrode GX. In addition, the guard electrode GX may block formation of a capacitance between the corresponding driving electrode TX0 and the ground of the touch input device located under the guard electrode GX.

가드 전극(GX)가 없는 경우, 복수의 구동 전극(TX0, TX1,...)과 터치 입력 장치의 접지 사이의 셀프 커패시턴스 값이, 복수의 구동 전극(TX0, TX1,...)과 근접하는 객체 사이의 셀프 커패시턴스 값보다 상대적으로 크다. 따라서, 복수의 구동 전극(TX0, TX1,...)과 근접하는 객체 사이의 셀프 커패시턴스 값의 변화를 센싱하기 어렵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같이, 가드 전극(GX)이 복수의 구동 전극 중 일부 구동 전극(TX0)과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서로 중첩되는 가드 전극(GX)과 구동 전극(TX0)에 같은 구동 신호가 인가되므로, 해당 구동 전극(TX0)은 터치 입력 장치의 접지와 커패시턴스 형성이 차단된다. 따라서, 해당 구동 전극(TX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는 근접하는 객체와의 커패시턴스 변화량 정보만이 포함하므로, 도 1에 도시된 제어부(13)은 상기 신호로부터 객체의 근접 여부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In the absence of the guard electrode GX, the self-capacitance value between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X1, ... and the ground of the touch input device is close to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X1, ... It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self-capacitance value between objects. Accordingly, it is difficult to sense a change in the self-capacitance value between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X1, ... and an object adjacent thereto. However,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ard electrode GX is disposed to overlap some driving electrodes TX0 among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nd the guard electrode GX and the driving electrode TX0 overlapping each other are driven in the same manner. Since the signal is applied, the corresponding driving electrode TX0 is blocked from forming a capacitance with the ground of the touch input device. Accordingly, since the signal output from the corresponding driving electrode TX0 includes only capacitance change amount information with the adjacent object, the controller 13 shown in FIG. 1 can detect whether the object is close from the signal.

또는, 호버링 센싱 모드는 가드 전극(GX)과 구동 전극(TX0) 사이의 상호 커패시턴스 변화를 센싱하여 객체의 근접을 센싱하는 모드일 수 있다. 호버링 센싱 모드에서는 가드 전극(GX)에 구동 신호가 인가되고, 구동 전극(TX0)으로부터 상호 커패시턴스 변화량 정보가 포함된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구동부(12)는 복수의 구동 전극(TX0, TX1,...)으로부터 객체의 근접에 의한 커패시턴스 변화량 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로부터 객체의 근접에 의한 커패시턴스 변화량 정보를 검출하여 제어부(13)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3)는 수신된 객체의 근접에 의한 커패시턴스 변화량 정보를 기초로 객체의 근접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hovering sensing mode may be a mode for sensing the proximity of an object by sensing a change in mutual capacitance between the guard electrode GX and the driving electrode TX0. In the hovering sensing mode, a driving signal may be applied to the guard electrode GX, and a signal including mutual capacitance variation information may be output from the driving electrode TX0. The driver 12 receives a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capacitance change due to proximity of an object from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X1, ..., and detects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change in capacitance due to proximity of an object from the received signal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3 . The controller 13 may sense whether the object is close to the object based on the received capacitance change amount information due to the proximity of the obje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같이, 가드 전극(GX)이 복수의 구동 전극 중 일부 구동 전극(TX0)과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서로 중첩되는 가드 전극(GX)에 구동 신호가 인가되므로, 해당 구동 전극(TX0)은 터치 입력 장치의 접지와 커패시턴스 형성이 차단된다. 따라서, 해당 구동 전극(TX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는 근접하는 객체와의 커패시턴스 변화량 정보만이 포함하므로, 도 1에 도시된 제어부(13)은 상기 신호로부터 객체의 근접 여부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ard electrode GX is disposed to overlap some driving electrodes TX0 among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nd a driving signal is applied to the guard electrodes GX overlapping each other, so the corresponding driving electrode ( TX0) is cut off from grounding and capacitance formation of the touch input device. Accordingly, since the signal output from the corresponding driving electrode TX0 includes only capacitance change amount information with the adjacent object, the controller 13 shown in FIG. 1 can detect whether the object is close from the signal.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가드 전극(GX)은 복수의 수신 전극(RX0', RX1',...)의 일부 구성들(제1 및 제2 연결 패턴(335, 337))이 형성된 층(1st layer)에서 사용되지 않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가드 전극(GX)을 위한 별도의 층을 마련할 필요가 없고, 메탈 메쉬로 복수의 수신 전극(RX0', RX1',...)의 일부 구성들(제1 및 제2 연결 패턴(335, 337))을 제작할 때 가드 전극(GX)도 함께 제작할 수 있어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터치 입력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ard electrode GX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ayer in which some components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atterns 335 and 337 ) of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0 ′, RX1 ′, ... are formed. Since it can be formed in an area not used in (1 st layer),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layer for the guard electrode GX, and a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0', RX1', .. .) when manufacturing some components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atterns 335 and 337 ), the guard electrode GX can also be manufactured,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 and reducing the size of the touch input device.

도 4에 도시된 복수의 수신 전극(RX0', RX1', RX2',...) 각각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신 패턴부(331), 제2 수신 패턴부(333), 제1 연결 패턴(335) 및 제2 연결 패턴(337)을 포함할 수 있다. Each of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0', RX1', RX2', ... shown in FIG. 4 is, as shown in FIG. 5 , a first receiving pattern unit 331 and a second receiving pattern unit 333 . ), a first connection pattern 335 and a second connection pattern 337 may be included.

제1 수신 패턴부(331)와 제2 수신 패턴부(333)는 각 구동 전극(TX0, TX1, TX2,...)에서 인접한 두 개의 구동 패턴부(311) 사이에 배치된다. The first reception pattern part 331 and the second reception pattern part 333 are disposed between two adjacent driving pattern parts 311 in each of the driving electrodes TX0, TX1, TX2,....

제1 수신 패턴부(331)은 역삼각형 형상을 가지며, 제2 수신 패턴부(333)은 제1 수신 패턴부(331)와 대칭되는 삼각형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제1 및 제2 수신 패턴부(331, 333)가 삼각형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 및 제2 수신 패턴부(331, 333) 각각이 하나의 구동 패턴부(331)의 외곽을 둘러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구동 패턴부(331)의 외곽을 둘러싼 제1 및 제2 수신 패턴부는 전체적으로 사각형 또는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reception pattern part 331 has an inverted triangular shape, and the second reception pattern part 333 has a triangular shape symmetrical to the first reception pattern part 331 . Here, the first and second reception pattern units 331 and 333 are not limited to triangular shapes. 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eception pattern units 331 and 333 may have a shape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y of one driving pattern unit 331 , and the driving pattern unit 331 may have a shape. The first and second reception pattern portions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may have a rectangular or polygonal shape as a whole.

제1 수신 패턴부(331)과 제2 수신 패턴부(333)는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수신 패턴부(331)과 제2 수신 패턴부(333)는 서로 동일한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The first reception pattern unit 331 and the second reception pattern unit 333 may have the same size and shape. The first reception pattern unit 331 and the second reception pattern unit 333 may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제2 수신 패턴부(333)는 제1 수신 패턴부(331) 아래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는, 제2 수신 패턴부(333)은 제1 수신 패턴부(331)에서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 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The second reception pattern unit 333 is disposed below the first reception pattern unit 331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lternatively, the second reception pattern unit 333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eception pattern unit 33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제1 수신 패턴부(331)와 제2 수신 패턴부(333) 사이에 각 구동 전극(TX0, TX1, TX2,...)의 연결 패턴(315)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수신 패턴부(331)은 연결 패턴(315) 상에 배치되고, 제2 수신 패턴부(333)은 연결 패턴(315) 아래에 배치된다.A connection pattern 315 of each of the driving electrodes TX0, TX1, TX2, ...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reception pattern part 331 and the second reception pattern part 333 . The first reception pattern part 331 is disposed on the connection pattern 315 , and the second reception pattern part 333 is disposed below the connection pattern 315 .

제1 수신 패턴부(331)과 제2 수신 패턴부(333)이 교번하면서 제2 방향을 따라 다수로 배열된다. A plurality of first reception pattern units 331 and second reception pattern units 333 are alternately arrang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제2 방향을 따라 교번하여 배열된 다수의 제1 수신 패턴부(331)들과 다수의 제2 수신 패턴부(333)들은 제1 연결 패턴(335)와 제2 연결 패턴(337)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제1 연결 패턴(335)와 제2 연결 패턴(337)은 전도성 비아를 통해 다수의 제1 수신 패턴부(331)들과 다수의 제2 수신 패턴부(333)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irst reception pattern portions 331 and the plurality of second reception pattern portions 333 alternately arrang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335 and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 337 . is connected to Here,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335 and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 337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reception pattern portions 331 and the plurality of second reception pattern portions 333 through conductive vias. have.

제1 연결 패턴(335)와 제2 연결 패턴(337)은 제1 수신 패턴부(331)와 제2 수신 패턴부(333)가 위치한 층(2nd layer)과 다른 층(1st layer)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제2 수신 패턴부(333)가 위치한 층(2nd layer)에 위치한 구동 전극(TX0, TX1, TX2,...)과의 전기적 단락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1 수신 패턴부(331)와 제2 수신 패턴부(333)가 위치한 층(2nd layer)과 다른 층(1st layer) 사이에는 절연층이 배치될 수도 있다.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335 and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 337 are formed on a different layer (1 st layer) from the layer (2 nd layer) in which the first reception pattern part 331 and the second reception pattern part 333 are located. can be placed. This is to prevent an electrical short circuit with the driving electrodes TX0 , TX1, TX2, ... located on the second layer where the second reception pattern part 333 is located. An insulating lay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ayer ( 2nd layer) in which the first reception pattern part 331 and the second reception pattern part 333 are located and the other layer ( 1st layer).

연결 패턴(315)를 사이에 두고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제1 수신 패턴부(331)와 제2 수신 패턴부(333)를 하나의 그룹(group)으로 정의하면, 제2 방향을 따라 교번하여 배열된 다수의 제1 수신 패턴부(331)들과 다수의 제2 수신 패턴부(333)들은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그룹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정의 아래에서, 제1 연결 패턴(335)은 위에서부터 홀수 번째 그룹들 각각의 제1 수신 패턴부(0-0-1, 2-0-1,...)와 제2 수신 패턴부(0-0-2, 2-0-2,...)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제2 연결 패턴(337)은 위에서부터 짝수 번째 그룹들 각각의 제1 수신 패턴부(331)와 제2 수신 패턴부(333)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When the first receiving pattern units 331 and the second receiving pattern units 333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connection pattern 315 therebetween are defined as one group, they are arranged alternately in the second direction. The plurality of first reception pattern units 331 and the plurality of second reception pattern units 333 may be defined as a plurality of groups arrang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Under this definition,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335 includes a first reception pattern part (0-0-1, 2-0-1, ...) and a second reception pattern part ( 0-0-2, 2-0-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 337 electrically connects the first reception pattern part 331 and the second reception pattern part 333 of each of the even-numbered groups from the top.

제1 연결 패턴(335)은 홀수 번째의 구동 전극(TX0, TX2,...)에서 좌우 방향으로 인접한 두 개의 구동 패턴부(311) 사이에 위치한 제1 수신 패턴부(0-0-1, 2-0-1,...)와 제2 수신 패턴부(0-0-2, 2-0-2,...)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또한, 제1 연결 패턴(335)은 홀수 번째에 위치한 하나의 구동 전극(TX0)에서 좌우 방향으로 인접한 두 개의 구동 패턴부(311) 사이에 위치한 제2 수신 패턴부(0-0-2)와, 상기 하나의 구동 전극(TX0) 다음의 홀수 번째에 위치한 다른 구동 전극(TX3)에서 좌우 방향으로 인접한 두 개의 구동 패턴부 사이에 위치한 제1 수신 패턴부(2-0-1)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제1 연결 패턴(335)에 의해서, 홀수번째 구동 전극들(TX0, TX2,...)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first connection pattern 335 is a first reception pattern portion (0-0-1, 2-0-1,...) and the second reception pattern unit (0-0-2, 2-0-2,...) are electrically connected. In addition,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335 includes a second reception pattern unit 0-0-2 located between two driving pattern units 311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one driving electrode TX0 located at an odd-numbered position; ,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receiving pattern unit 2-0-1 located between two driving pattern unit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n the other driving electrode TX3 located at an odd-numbered position after the one driving electrode TX0 do. The odd-numbered driving electrodes TX0, TX2, ...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335 .

제2 연결 패턴(337)은 짝수 번째의 구동 전극(TX1,...)에서 좌우 방향으로 인접한 두 개의 구동 패턴부(311) 사이에 위치한 제1 수신 패턴부(331)와 제2 수신 패턴부(333)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2 연결 패턴(337)은 짝수 번째에 위치한 하나의 구동 전극(TX1)에서 좌우 방향으로 인접한 두 개의 구동 패턴부(311) 사이에 위치한 제2 수신 패턴부(333)와, 상기 하나의 구동 전극(TX1) 다음의 짝수 번째에 위치한 다른 구동 전극에서 좌우 방향으로 인접한 두 개의 구동 패턴부 사이에 위치한 제1 수신 패턴부(3-0-1)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제2 연결 패턴(337)에 의해서, 짝수번째 구동 전극들(TX1, TX3,...)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second connection pattern 337 includes a first reception pattern part 331 and a second reception pattern part located between two driving pattern parts 311 adjacen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t the even-numbered driving electrodes TX1, ... 333 is electrically connected. 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 337 includes a second reception pattern unit 333 located between two driving pattern units 311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one driving electrode TX1 located at an even-numbered position; In another driving electrode positioned at an even-numbered position after the driving electrode TX1, the first receiving pattern units 3-0-1 positioned between two driving pattern unit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e even-numbered driving electrodes TX1 , TX3 , ...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 337 .

제1 연결 패턴(335)를 통해 제1 신호가 출력되고, 제2 연결 패턴(337)을 통해 제2 신호가 출력된다. 따라서, 각 수신 전극(RX0', RX1', RX2',...)은 2개 채널의 신호가 출력된다. A first signal is output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335 , and a second signal is output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 337 . Accordingly, signals of two channels are output to each of the receiving electrodes RX0', RX1', RX2', ....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구동 전극(TX0, TX1, TX2,...)에 따라 제1 신호와 제2 신호 중 어느 하나는 액티브 채널의 신호가 될 수 있고, 나머지 다른 하나는 더미 채널의 신호가 될 수 있다. 홀수번째 구동 전극(TX0, TX2,...)에 구동 신호가 인가되면, 제1 연결 패턴(335)을 통해 출력되는 제1 신호가 액티브 채널 신호가 되고, 제2 연결 패턴(337)을 통해 출력되는 제2 신호가 더미 채널 신호가 된다. 반면, 짝수번째 구동 전극(TX1,...)에 구동 신호가 인가되면, 제2 연결 패턴(337)을 통해 출력되는 제2 신호가 액티브 채널 신호가 되고, 제1 연결 패턴(335)을 통해 출력되는 제1 신호가 더미 채널 신호가 된다.Depending on the driving electrodes TX0, TX1, TX2,... can When a driving signal is applied to the odd-numbered driving electrodes TX0, TX2, ..., the first signal output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335 becomes an active channel signal, and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 337 The output second signal becomes a dummy channel signal. On the other hand, when a driving signal is applied to the even-numbered driving electrodes TX1 , ... , the second signal output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 337 becomes an active channel signal and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335 . The output first signal becomes a dummy channel signal.

구체적인 예를 들어, 도 3에서, 제1 구동 전극(TX1)에 구동 신호(TX signal)가 인가되고, 객체(점선)가 제1 구동 전극(TX1)과 제0 수신 전극(RX0')의 교차 지점에 접촉된 것을 가정한다. For a specific example, in FIG. 3 , a driving signal TX signal is applied to the first driving electrode TX1 , and an object (dotted line) crosses the first driving electrode TX1 and the 0th receiving electrode RX0 ′. It is assumed that the point is in contact.

제1 구동 전극(TX1)에 구동 신호가 인가되고, 제1 구동 전극(TX1)과 제0 수신 전극(RX0')의 교차 지점을 포함한 일부 영역에 객체(점선)가 위치되면, 제1 구동 전극(TX1)의 구동 패턴부(311)와 제0 수신 전극(RX0')의 제1 수신 패턴부(331) 사이에 형성된 커패시턴스(또는, 액티브 커패시턴스)가 변화된다. 커패시턴스 변화량 정보를 포함한 제2 신호는 제2 연결 패턴(337)을 통해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신호에는 LGM 노이즈 신호와 디스플레이 패널에 의한 디스플레이 노이즈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When a driving signal is applied to the first driving electrode TX1 and an object (dotted line) is located in a partial region including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driving electrode TX1 and the zero receiving electrode RX0', the first driving electrode The capacitance (or active capacitance) formed between the driving pattern part 311 of TX1 and the first reception pattern part 331 of the zero-th reception electrode RX0' is changed. The second signal including the capacitance change amount information is output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 337 . Here, the second signal may include an LGM noise signal and a display noise signal by the display panel.

그리고, 제1 구동 전극(TX1)의 구동 패턴부(311)와 제0 수신 전극(RX0')의 제2 수신 패턴부(0-0-2) 사이에 형성된 커패시턴스(또는, 더미 커패시턴스)도 변화된다. 커패시턴스 변화량 정보를 포함한 제1 신호는 제1 연결 패턴(335)을 통해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신호에는 LGM 노이즈 신호와 디스플레이 패널에 의한 디스플레이 노이즈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pacitance (or dummy capacitance) formed between the driving pattern part 311 of the first driving electrode TX1 and the second reception pattern part 0-0 - 2 of the zero receiving electrode RX0' also changes. do. The first signal including the capacitance change amount information is output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335 . Here, the first signal may include an LGM noise signal and a display noise signal by the display panel.

여기서, 객체(점선)와 접촉된 제1 수신 패턴부(331)와 제2 수신 패턴부(0-0-2)는 단면적이 동일하므로, 각각으로 거의 동일 또는 유사한 LGM 노이즈 신호가 입력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에 의한 디스플레이 노이즈 신호도 거의 동일하게 입력될 수 있다. Here, sinc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reception pattern part 331 and the second reception pattern part 0-0-2 that are in contact with the object (dotted line) is the same, almost the same or similar LGM noise signal may be input to each, and , a display noise signal by the display panel may be input in almost the same way.

도 1에 도시된 감지부(11)는, 제2 연결 패턴(337)을 통해 출력되는 제1 신호에서, 제1 연결 패턴(335)을 통해 출력되는 제2 신호를 차감함으로서, 제1 수신 패턴부(331)와 제2 수신 패턴부(0-0-2)로 입력된 LGM 노이즈 신호와 디스플레이 노이즈 신호를 상쇄시킬 수 있다. 차감에 의해서 액티브 채널 신호인 제2 신호에 포함된 액티브 커패시턴스 변화량이 줄어들지만, 제1 신호에 포함된 더미 커패시턴스 변화량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터치 여부 또는/및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데 있어서 문제가 되지 않는다.The sensing unit 11 illustrated in FIG. 1 subtracts the second signal output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335 from the first signal output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 337 , and thus the first reception pattern The LGM noise signal and the display noise signal input to the unit 331 and the second reception pattern unit 0-0-2 may be canceled. Although the amount of change in the active capacitance included in the second signal, which is the active channel signal, is reduced by subtraction, since the amount of change in the dummy capacitance included in the first signal is relatively small, there is no problem in detecting whether or not there is a touch and/or the touch position. .

또한, 제1 수신 패턴부(331)가 구동 패턴부(311)와 제2 수신 패턴부(0-0-2) 사이에서 AC 그라운드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제1 수신 패턴부(331)를 통해 출력되는 제2 신호에 포함된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2 수신 패턴부(0-0-2)로 출력되는 제1 신호에 포함된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6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reception pattern unit 331 serves as an AC ground between the driving pattern unit 311 and the second reception pattern unit 0-0-2, the first reception pattern unit 331 is The amount of change in capacitance included in the output second signal may be improved, and the amount of change in capacitance included in the first signal output to the second reception pattern unit 0-0-2 may be reduced. In this regard,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

도 6은 종래 터치 센서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센서의 상호 커패시턴스 변화량(dCm)의 차이를 비교한 그래프이다.6 is a graph comparing the difference in mutual capacitance variation (dCm) between the conventional touch sensor and the touch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4 .

도 6을 참조하면, 종래 터치 센서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터치 센서로서, 구동 전극뿐만 아니라 수신 전극 내부에도 더미(dummy) 전극이 배치된 구조이다.Referring to FIG. 6 , the conventional touch sensor is a touch sensor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 dummy electrode is disposed inside a receiving electrode as well as a driving electrode.

도 6에 도시된 그래프는, PET 두께(Thickness)에 따른 종래 터치 센서의 임의의 수신 전극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포함된 커패시턴스 변화량 값(①)과 상기 임의의 수신 전극 내부에 배치된 더미 수신 전극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포함된 커패시턴스 변화량 값(②), 도 4에 도시된 터치 센서의 임의의 제2 수신 패턴부(33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포함된 액티브 커패시턴스 변화량 값(③)과 제2 수신 패턴부(333) 아래에 배치된 제1 수신 패턴부(331)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포함된 더미 커패시턴스 변화량 값(④)을 도시한다.The graph shown in FIG. 6 shows a capacitance change value (①) included in a signal output from an arbitrary reception electrode of a conventional touch sensor according to PET thickness and a dummy reception electrode disposed inside the arbitrary reception electrode. The capacitance variation value (②) included in the output signal, the active capacitance variation value (③) included in the signal output from the arbitrary second reception pattern unit 333 of the touch sensor shown in FIG. 4 and the second reception pattern A dummy capacitance variation value (④) included in a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reception pattern unit 331 disposed under the unit 333 is shown.

도 6의 그래프에서, PET는 종래 터치 센서와 도 4의 터치 센서 상에 위치하는 윈도우층에 대응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PET가 400 (um)에서 ①값, ②값, ③값, ④값을 비교해 보면, 도 4에 도시된 터치 센서의 ③값이 종래의 터치 센서의 ①값보다 더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터치 센서의 ④값이 종래의 터치 센서의 ②값보다 더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n the graph of FIG. 6 , PET has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a conventional touch sensor and a window layer positioned on the touch sensor of FIG. 4 . For example, when PET compares the ① value, ② value, ③ value, and ④ value at 400 (um), it can be seen that the ③ value of the touch sensor shown in FIG. 4 is increased more than the ① value of the conventional touch sensor. It can be seen that the value of the touch sensor shown in FIG. 4 is further reduced than the value of the conventional touch sensor.

특히, PET 두께(Thickness)가 400(um)에서, 도 4에 도시된 터치 센서의 ④값이 ③값의 대략 20~30% 수준에 해당되므로, ③값에서 ④값을 차감하더라도 70~80% 수준의 상대적으로 높은 커패시턴스 변화량 값을 통해 터치 여부와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PET thickness (Thickness) is 400 (um), the ④ value of the touch sensor shown in FIG. 4 corresponds to approximately 20-30% of the ③ value, so even if the ④ value is subtracted from the ③ value, 70 to 80%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touch and the touch position can be detected through a relatively high capacitance change value of the level.

반면, 종래의 터치 센서는 ②값이 ①값의 70-80% 수준에 해당되므로, ①값에서 ②값을 차감하면 20-30%의 커패시터스 변화량 값만 남게 되므로, 터치 여부와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데 있어서 센싱 감도가 낮아 검출 정밀도가 떨어진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touch sensor, the value of ② corresponds to 70-80% of the value of ①, so if the value of ② is subtracted from the value of ①, only 20-30% of the capacitance change value is left, so it is necessary to detect the touch and the touch position. Therefore, the sensing sensitivity is low and the detection accuracy is lowered.

도 7은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센서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터치 센서를 2개의 층으로 분리한 평면도이다.7 is a plan view of a touch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plan view of the touch sensor shown in FIG. 7 separated into two layers.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센서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터치 센서와 비교하여, 도전성 패턴(At0, At1, At2,...)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전성 패턴(At0, At1, At2,...)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들은 앞서 설명한 내용으로 대체한다.The touch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7 to 8, compared with the touch sensor shown in Figs. 4 to 5, conductive patterns (At0, At1, At2, ...) more include Accordingly, hereinafter, the conductive patterns At0, At1, At2, ...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d the remaining components will be replaced with the contents described above.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센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전성 루프(At1-At0, At1-At2)를 가질 수 있다. 7 to 8 , a touch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t least one or more conductive loops At1-At0 and At1-At2.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전성 루프(At1-At0, At1-At2)는, 스타일러스 펜을 구동하기 위한 자기장 신호를 생성한다. 생성된 자기장 신호는 스타일러스 펜 내부의 공진부를 공진시켜 스타일러스 펜을 구동시킬 수 있다.At least one or more conductive loops At1-At0 and At1-At2 generate a magnetic field signal for driving the stylus pen. The generated magnetic field signal may drive the stylus pen by resonating the resonator inside the stylus pen.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전성 루프(At1-At0, At1-At2)는, 제1 루프(At1-At0)와 제2 루프(At1-At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에서는 2개의 루프가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센서는 셋 이상의 도전성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2개의 도전성 루프(At1-At0, At1-At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The at least one or more conductive loops At1-At0 and At1-At2 may include a first loop At1-At0 and a second loop At1-At2. Although it is illustrated that two loops are formed in FIGS. 7 to 8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ouch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orm three or more conductive loops.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wo conductive loops At1-At0 and At1-At2 will be used.

제1 루프(At1-At0)는 제0 도전성 패턴(At0)과 제1 도전성 패턴(At01)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The first loops At1-At0 are formed by electrically connecting the zeroth conductive pattern At0 and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At01.

제0 도전성 패턴(At0)은 각 수신 전극(RX0', RX1', RX2', ...)이 배열된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각 구동 전극(TX0, TX1, TX2, ...)별로 하나의 구동 더미 패턴부(3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0 도전성 패턴(At0)은 제2 구동 전극(TX2)의 첫번째 구동 더미 패턴부에 연결되고, 제2 구동 전극(TX2)의 첫번째 구동 더미 패턴부와 제1 구동 전극(TX1)의 첫번째 구동 더미 패턴부를 연결하며, 제1 구동 전극(TX1)의 첫번째 구동 더미 패턴부와 제0 구동 전극(TX0)의 첫번째 구동 더미 패턴부를 연결한다. 그리고, 제0 구동 전극(TX0)의 첫번째 구동 더미 패턴부(313)로부터 제2 방향으로 연장된다.The zeroth conductive pattern At0 is form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in which each of the receiving electrodes RX0', RX1', RX2', ... is arranged, and each of the driving electrodes TX0, TX1, TX2, ...) Each driving dummy pattern part 313 is electrically connect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7 to 8 , the zeroth conductive pattern At0 is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dummy pattern portion of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TX2 and the first driving of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TX2 is The dummy pattern part and the first driving dummy pattern part of the first driving electrode TX1 are connected, and the first driving dummy pattern part of the first driving electrode TX1 and the first driving dummy pattern part of the 0th driving electrode TX0 are connected. And, it extends from the first driving dummy pattern part 313 of the zeroth driving electrode TX0 in the second direction.

제1 도전성 패턴(At1)은 각 수신 전극(RX0', RX1', RX2', ...)이 배열된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제0 도전성 패턴(At0)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각 구동 전극(TX0, TX1, TX2,...)별로 하나의 구동 더미 패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전성 패턴(At1)은 제2 구동 전극(TX2)의 두번째 구동 더미 패턴부에 연결되고, 제2 구동 전극(TX2)의 두번째 구동 더미 패턴부와 제1 구동 전극(TX1)의 두번째 구동 더미 패턴부를 연결하며, 제1 구동 전극(TX1)의 두번째 구동 더미 패턴부와 제0 구동 전극(TX0)의 두번째 구동 더미 패턴부를 연결한다. 그리고, 제0 구동 전극(TX0)의 두번째 구동 더미 패턴부로부터 제2 방향으로 연장된다.The first conductive pattern At1 is form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in which the receiving electrodes RX0', RX1', RX2', ... are arranged, and is disposed parallel to the zeroth conductive pattern At0, and each Each driving electrode TX0, TX1, TX2, ...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driving dummy pattern part.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7 to 8 ,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At1 is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dummy pattern portion of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TX2 and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TX2 is driven second. The dummy pattern part and the second driving dummy pattern part of the first driving electrode TX1 are connected, and the second driving dummy pattern part of the first driving electrode TX1 and the second driving dummy pattern part of the 0th driving electrode TX0 are connected. And, it extends from the second driving dummy pattern portion of the zeroth driving electrode TX0 in the second direction.

제2 루프(At1-At2)는 제1 도전성 패턴(At1)과 제2 도전성 패턴(At02)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된다.The second loops At1-At2 are formed by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At1 and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At02.

제2 도전성 패턴(At2)은 각 수신 전극(RX0', RX1', RX2', ...)이 배열된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제0 도전성 패턴(At0)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각 구동 전극(TX0, TX1, TX2,...)별로 하나의 구동 더미 패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도전성 패턴(At2)은 제2 구동 전극(TX2)의 세번째 구동 더미 패턴부에 연결되고, 제2 구동 전극(TX2)의 세번째 구동 더미 패턴부와 제1 구동 전극(TX1)의 세번째 구동 더미 패턴부를 연결하며, 제1 구동 전극(TX1)의 세번째 구동 더미 패턴부와 제0 구동 전극(TX0)의 세번째 구동 더미 패턴부를 연결한다. 그리고, 제0 구동 전극(TX0)의 세번째 구동 더미 패턴부로부터 제2 방향으로 연장된다.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At2 is form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in which the receiving electrodes RX0', RX1', RX2', ... are arranged, and is disposed parallel to the zeroth conductive pattern At0, each Each driving electrode TX0, TX1, TX2, ...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driving dummy pattern part.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7 to 8 ,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At2 is connected to the third driving dummy pattern portion of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TX2 and the third driving of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TX2 is The dummy pattern part and the third driving dummy pattern part of the first driving electrode TX1 are connected, and the third driving dummy pattern part of the first driving electrode TX1 and the third driving dummy pattern part of the 0th driving electrode TX0 are connected. And, it extends from the third driving dummy pattern portion of the zeroth driving electrode TX0 in the second direction.

다수의 도전성 패턴(At0, At1, At2) 각각의 일 단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One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tterns At0, At1, and At2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다수의 도전성 패턴(At0, At1, At2) 중 어느 하나의 도전성 패턴으로는 루프 구동 신호(loop TX)가 인가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도전성 패턴의 양 측에 각각 인접하여 배치된 두 개의 도전성 패턴은 접지(ground)될 수 있다. 여기서, 루프 구동 신호는 스타일러스 펜을 공진시킬 수 있는 공진주파수를 갖는 신호로서, 도 1에 도시된 제어부(13)의 제어에 따라 구동부(12)가 제공하는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두 개의 도전성 패턴으로는 접지가 아닌 루프 구동 신호와 위상이 정반대인 신호가 인가될 수도 있다. 상기 두 개의 도전성 패턴에 루프 구동 신호와 위상이 정반대인 신호가 인가되면, 전류 루프의 크기(amplitude)를 2배로 높일 수 있고, 터치 입력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발생될 수 있는 플리커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A loop driving signal loop TX is appli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tterns At0, At1, and At2, and the two conductive pattern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one conductive pattern are may be grounded. Here, the loop driving signal is a signal having a resonant frequency capable of resonating the stylus pen, and may be a signal provided by the driving unit 12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3 shown in FIG. 1 . In addition, a signal having a phase opposite to that of a loop driving signal other than ground may be applied to the two conductive patterns. When a signal having a phase opposite to that of the loop driving signal is applied to the two conductive patterns, the amplitude of the current loop can be doubled, and flicker that may occur in the display panel of the touch input device can be eliminated. have.

예를 들어, 제1 도전성 패턴(At1)에 루프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제1 도전성 패턴(At1) 양 측에 각각 인접하여 배치된 제0 도전성 패턴(At0)과 제2 도전성 패턴(At2)은 접지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도전성 패턴(At1)에 루프 구동 신호가 인가됨으로서, 제1 도전성 패턴(At1)과 제0 도전성 패턴(At0)은 반시계 방향의 전류 방향이 형성되고, 제1 도전성 패턴(At1)과 제2 도전성 패턴(At2)은 시계 방향의 전류 방향이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2개의 전류 루프가 형성된다. 형성된 전류 루프에 의해서 소정의 자기장 신호가 생성되며, 생성된 자기장 신호는 스타일러스 펜이 전류 루프 안에 위치할 경우에 스타일러스 펜의 공진부를 공진시키고, 공진에 의해 스타일러스 펜이 구동될 수 있다.For example, a loop driving signal is applied to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At1 , and the zeroth conductive pattern At0 and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At2 disposed adjacent to both sides of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At1, respectively, are It can be connected to ground. When the loop driving signal is applied to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At1 , a counterclockwise current direction is formed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At1 and the zeroth conductive pattern At0 , and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At1 and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At1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At2 has a clockwise current direction. This forms two current loops. A predetermined magnetic field signal is generated by the formed current loop, and when the stylus pen is positioned in the current loop, the generated magnetic field signal resonates the resonance part of the stylus pen, and the stylus pen may be driven by the resonance.

이와 같이,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터치 센서와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는, 가드 전극(GX)을 이용하여 호버링 터치 센싱이 가능하고, 제1 및 제2 수신 패턴부(331, 333)에 의해 터치 센싱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도전성 패턴(At0, At1, At2)을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을 구동시키기 위한 자기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touch sensor shown in FIGS. 7 to 8 and the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the same, hovering touch sensing is possible using the guard electrode GX, and the first and second reception pattern units 331 and 333 are provided. Thus, the touch sensing sensitivity may be improved, and a magnetic field signal for driving the stylus pen may be generated using the conductive patterns At0, At1, and At2.

또한, 도전성 패턴(At0, At1, At2)을 복수의 수신 전극(RX0', RX1',...)의 일부 구성들(제1 및 제2 연결 패턴(335, 337))과 가드 전극(GX)이 형성된 층(1st layer)에서 사용되지 않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도전성 패턴(At0, At1, At2)을 위한 별도의 층을 마련할 필요가 없고, 메탈 메쉬로 복수의 수신 전극(RX0', RX1',...)의 일부 구성들(제1 및 제2 연결 패턴(335, 337))과 가드 전극(GX)을 제작할 때 도전성 패턴(At0, At1, At2)도 함께 제작할 수 있어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고, 터치 입력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ductive patterns At0, At1, At2 are combined with some components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atterns 335 and 337) of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0', RX1', ... and the guard electrode GX ) can be formed in an area not used in the formed layer (1 st layer), so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layer for the conductive patterns (At0, At1, At2), and a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 When manufacturing some components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atterns 335 and 337) of RX0', RX1', ...) and the guard electrode GX, the conductive patterns At0, At1, At2 can also be produced together. Therefore,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and the touch input device can be miniaturized.

도 9는 도 4에 도시된 터치 센서의 변형 예에 따른 터치 센서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터치 센서를 2개의 층으로 분리한 평면도이다.9 is a plan view of a touch sensor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touch sensor illustrated in FIG. 4 , and FIG. 10 is a plan view in which the touch sensor illustrated in FIG. 9 is divided into two layers.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터치 센서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터치 센서와 비교하여, 복수의 구동 전극(TX0, TX1, TX2,...)은 동일하지만, 복수의 수신 전극(RX0'', RX1'', RX2'',...)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복수의 수신 전극(RX0'', RX1'', RX2'',...)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고, 복수의 구동 전극(TX0, TX1, TX2,...)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으로 대체한다. 또한, 복수의 수신 전극(RX0'', RX1'', RX2'',...)에서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터치 센서의 복수의 수신 전극(RX0', RX1', RX2',...)과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도 상술한 내용으로 대체한다. The touch sensor shown in FIGS. 9 to 10 has the sam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X1, TX2, ..., but a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 There is a difference in RX0'', RX1'', RX2'',...). Therefore, hereinafter,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0'', RX1'', RX2'', ...)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d the description of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X1, TX2, ...) will be Replace with the above.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0', RX1', RX2', of the touch sensor shown in FIGS. 4 to 5 in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0'', RX1'', RX2'', ...). ..) and the description of the same part is also replaced with the above.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터치 센서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터치 센서와 비교하여,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된 제1 및 제2 수신 패턴부와 제1 및 제2 연결 패턴 사이에서 발생되는 커패시턴스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RC 시정수 값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touch sensor shown in FIGS. 9 to 10 is gener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pattern units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atterns formed on different layers, compared to the touch sensor shown in FIGS. 4 to 5 . Since the used capacitance can be reduc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C time constant value can be reduced.

일부 제1 및 제2 수신 패턴부(331-1, 333-1, 331-2, 333-2, 331-3)의 형상은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터치 센서의 제1 및 제2 수신 패턴부(331, 333)의 형상과 다르다.The shapes of some of the first and second reception pattern parts 331-1, 333-1, 331-2, 333-2, and 331-3 are the first and second reception patterns of the touch sensor illustrated in FIGS. 4 to 5 . It is different from the shape of the pattern parts 331 and 333 .

복수의 수신 전극(RX0'', RX1'', RX2'',...)은 다수의 제1 수신 패턴부(331-0, 331-1, 331-2,...)와 다수의 제2 수신 패턴부(333-0, 333-1, 333-2,...)를 포함하고, 다수의 제1 수신 패턴부331-0, 331-1, 331-2,...)와 다수의 제2 수신 패턴부(333-0, 333-1, 333-2,...)가 교번하면서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0'', RX1'', RX2'',...)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receiving pattern units 331-0, 331-1, 331-2,... and a plurality of second receiving patterns. 2 reception pattern units 333-0, 333-1, 333-2, ..., and a plurality of first reception pattern units 331-0, 331-1, 331-2, ...) and a plurality of first reception pattern units 331-0, 331-1, 331-2, ...) The second reception pattern units 333-0, 333-1, 333-2, ... are alternately arrang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하나의 제1 수신 패턴부(331-0)와 하나의 제2 수신 패턴부(333-0)가 하나의 그룹을 구성하는 경우, 다수의 그룹이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When one first reception pattern unit 331 - 0 and one second reception pattern unit 333 - 0 constitute one group, a plurality of groups may be arrang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다수의 제1 수신 패턴부(331-0, 331-1, 331-2) 중 하나의 제1 수신 패턴부(331-1)는, 상기 하나의 제1 수신 패턴부(331-1)가 속한 그룹과 인접한 다른 그룹의 제2 수신 패턴부(333-0)의 돌출 패턴부(333p)와 대응되는 함몰 패턴부를 포함한다. One first reception pattern unit 331-1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reception pattern units 331-0, 331-1, and 331-2 is to which the first reception pattern unit 331-1 belongs. and a depression pattern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pattern portion 333p of the second receiving pattern portion 333 - 0 of the other group adjacent to the group.

또한, 다수의 제2 수신 패턴부(333-0, 333-1, 333-2) 중 하나의 제2 수신 패턴부(333-1)는, 상기 하나의 제2 수신 패턴부(333-1)가 속한 그룹과 인접한 또 다른 그룹의 제1 수신 패턴부(331-2)의 돌출 패턴부와 대응되는 함몰 패턴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one second reception pattern unit 333-1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reception pattern units 333-0, 333-1, and 333-2 includes the one second reception pattern unit 333-1. and a concave pattern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pattern portion of the first receiving pattern portion 331 - 2 of another group adjacent to the group to which is belongs.

다른 그룹의 제2 수신 패턴부(333-0)의 돌출 패턴부(333p)와 또 다른 그룹의 제1 수신 패턴부(331-2)의 돌출 패턴부에 의해서, 다른 그룹의 제2 수신 패턴부(333-0)과 또 다른 그룹의 제1 수신 패턴부(331-2) 사이의 최소 간격이 도 2에 도시된 터치 센서에서의 대응되는 간격보다 더 짧아진다. 따라서, 다른 그룹의 제2 수신 패턴부(333-0)과 또 다른 그룹의 제1 수신 패턴부(331-2)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연결 패턴(335')의 길이를 줄일 수 있고, 나아가 제1 연결 패턴(335')과 중첩되지만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제1 및 제2 수신 패턴부(331-1, 333-1) 사이에 형성되는 커패시턴스를 줄일 수 있다. By the protrusion pattern part 333p of the second reception pattern part 333-0 of another group and the protrusion pattern part of the first reception pattern part 331-2 of another group, the second reception pattern part of another group The minimum distance between 333 - 0 and the first receiving pattern part 331 - 2 of another group becomes shorter than the corresponding distance in the touch sensor shown in FIG. 2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ength of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335 ′ connecting between the second reception pattern unit 333-0 of another group and the first reception pattern unit 331-2 of another group, and further Capacitance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eception pattern portions 331-1 and 333-1 overlapping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335 ′ but not electrically connected may be reduced.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에도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가드 전극(GX)을 그대로 적용하여 호버링 센싱이 가능하고, 도 7에 도시된 도전성 패턴(At0, At1, At2)을 그대로 적용하여 스타일러스 펜을 구동시킬 수 있다.Hovering sensing is possible by applying the guard electrode GX shown in FIGS. 4 to 5 to the touch sensor shown in FIGS. 9 to 10 and a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the same as it is, and the conductive pattern At0 shown in FIG. , At1, At2) can be applied as it is to drive the stylus pen.

도 11는 도 4에 도시된 터치 센서의 다른 변형 예에 따른 터치 센서의 일부의 평면도이고, 도 12은 도 11에 도시된 터치 센서를 2개의 층으로 분리한 평면도이다.11 is a plan view of a portion of a touch sensor according to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touch sensor illustrated in FIG. 4 , and FIG. 12 is a plan view in which the touch sensor illustrated in FIG. 11 is divided into two layers.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터치 센서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터치 센서와 비교하여, 복수의 구동 전극(TX0, TX1, TX2,...)은 동일하지만, 복수의 수신 전극(RX0''', RX1''', RX2''',...)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복수의 수신 전극(RX0''', RX1''', RX2''',...)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고, 복수의 구동 전극(TX0, TX1, TX2,...)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으로 대체한다. 또한, 복수의 수신 전극(RX0''', RX1''', RX2''',...)에서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터치 센서의 복수의 수신 전극(RX0', RX1', RX2',...)과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도 상술한 내용으로 대체한다. The touch sensor shown in FIGS. 11 to 12 has the sam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X1, TX2, ..., but a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 There is a difference in RX0''', RX1''', RX2''',...). Therefore, in the following,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0''', RX1''', RX2''', ...)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d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X1, TX2, ...) The description is replaced with the above.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0', RX1', RX2 of the touch sensor shown in FIGS. 4 to 5 in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0''', RX1''', RX2''', ... ',...) and the description of the same part is also replaced with the above.

제1 및 제2 수신 패턴부들(331-0, 333-0, 331-1, 333-1, 331-2, 333-2, 331-3)의 형상 및 배치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터치 센서의 제1 및 제2 수신 패턴부(331, 333)들의 형상 및 배치와 같다.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reception pattern units 331-0, 333-0, 331-1, 333-1, 331-2, 333-2, and 331-3 are shown in FIGS. 4 to 5 .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reception pattern units 331 and 333 of the touch sensor are the same.

하나의 제1 수신 패턴부(331-0)와 하나의 제2 수신 패턴부(333-0)가 하나의 그룹을 구성하는 경우, 다수의 그룹이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When one first reception pattern unit 331 - 0 and one second reception pattern unit 333 - 0 constitute one group, a plurality of groups may be arrang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제1 연결 패턴(335'')는 다수의 그룹 중 홀수번째 그룹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패턴으로서, 짝수번째 그룹의 제1 및 제2 수신 패턴부(331-1, 333-1)와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으며, 짝수번째 그룹의 제1 및 제2 수신 패턴부(331-1, 333-1)와 대응되는 형상의 대응 패턴(335-a)을 갖는다. 또한, 제1 연결 패턴(335'')은 상기 대응 패턴(335-a)에서 홀수번째 그룹의 제1 및 제2 수신 패턴부(331-0, 333-0, 331-2, 333-2)측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 패턴(335-c)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attern 335 ″ is a patter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odd-numbered groups among a plurality of groups, and overlaps with the first and second reception pattern units 331-1 and 333-1 of the even-numbered group. It is disposed in the , not electrically connected, and has a corresponding pattern 335 - a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first and second reception pattern portions 331-1 and 333-1 of the even-numbered group. In addition,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335 ″ includes the first and second reception pattern portions 331-0, 333-0, 331-2, and 333-2 of odd-numbered groups in the corresponding pattern 335-a. It may include an extension pattern 335 - c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제2 연결 패턴(337')은 다수의 그룹 중 짝수번째 그룹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패턴으로서, 홀수번째 그룹의 제1 및 제2 수신 패턴부(331-2, 333-2)와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으며, 홀수번째 그룹의 제1 및 제2 수신 패턴부(331-2, 333-2)와 대응되는 형상의 대응 패턴을 갖는다. 그리고, 제2 연결 패턴(337'')은 상기 대응 패턴에서 짝수번째 그룹의 제1 및 제2 수신 패턴부(331-1, 333-1, 331-3)측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 패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pattern 337' is a patter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even-numbered groups among a plurality of groups, and is located at a position overlapping the first and second reception pattern units 331-2 and 333-2 of the odd-numbered group. It is disposed and not electrically connected, and has a corresponding patter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pattern units 331 - 2 and 333 - 2 of the odd-numbered group. 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 337 ″ may include an extension pattern extending in the direction toward the first and second reception pattern portions 331-1, 333-1, and 331-3 of the even-numbered group in the corresponding pattern. can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터치 센서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터치 센서와 비교하여, 대응 패턴(335-a) 및 대응 패턴(335-1)와 중첩하되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제1 및 제2 수신 패턴부(331-1, 331-1) 사이의 커패시턴스가 다소 증가하지만, 제1 연결 패턴(335'')의 단면적이 넓어지므로 저항이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The touch sensor shown in FIGS. 11 to 12 overlaps the corresponding pattern 335-a and the corresponding pattern 335-1, but is no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ouch sensor shown in FIGS. 4 to 5 . Although the capaci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eception pattern parts 331-1 and 331-1 is slightly increase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335'' increases, so that resistance is reduced.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에도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가드 전극(GX)을 그대로 적용하여 호버링 센싱이 가능하고, 도 7에 도시된 도전성 패턴(At0, At1, At2)을 그대로 적용하여 스타일러스 펜을 구동시킬 수 있다.The touch sensor shown in FIGS. 11 to 12 and the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the same can also be used for hovering sensing by applying the guard electrode GX shown in FIGS. 4 to 5 as it is, and the conductive pattern At0 shown in FIG. , At1, At2) can be applied as it is to drive the stylus pen.

도 13은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터치 센서의 변형 예를 2개의 층으로 분리한 평면도이다.13 is a plan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touch sensor shown in FIGS. 4 to 5 separated into two layers.

도 13을 참조하면, 가드 전극(GX)은 복수로 제공되고, 복수의 가드 전극(GX)은 복수의 구동 전극(TX0, TX1, TX2,...) 전체에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 a plurality of guard electrodes GX may b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guard electrodes GX may be disposed to overlap the entir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X1, TX2, ....

복수의 가드 전극(GX)이 복수의 구동 전극(TX0, TX1, TX2,...) 전체에 중첩되도록 배치되면, 터치 입력 장치의 활성 영역 전체에서 호버링 센싱 또는 근접 센싱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When the plurality of guard electrodes GX are disposed to overlap the entir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X1, TX2, ...,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hovering sensing or proximity sensing is possible in the entire active region of the touch input device.

각 가드 전극(GX)의 연결 패턴(355)들은 복수의 수신 전극(RX0', RX1, RX2',...)의 제1 및 제2 연결 패턴(335, 337)과 단락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patterns 355 of each guard electrode GX may be disposed so as not to be short-circuited with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atterns 335 and 337 of the plurality of reception electrodes RX0', RX1, RX2', ... have.

도 13에 도시된 복수의 가드 전극(GX)이 복수의 구동 전극(TX0, TX1, TX2,...) 전체에 중첩되도록 배치된다는 구성은, 도 2, 도 7,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터치 센서에도 적용될 수 있다.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guard electrodes GX illustrated in FIG. 13 are disposed to overlap the entir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0, TX1, TX2, ... is illustrated in FIGS. 2, 7, 9 and 11 . It can also be applied to a touch sensor.

이상에서 실시 형태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형태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형태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형태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Features, structures, effects, etc.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one embodiment. Furthermor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etc. illustrated in each embodiment can be combined or modified for other embodiments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Accordingly, the contents related to such combinations and modification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상에서 실시 형태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형태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형태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embodiment has been mainly described in the above, this is only an example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o the above in a range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not illustrated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by deformation|transformation. And the differences related to these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Claims (18)

각각이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제1 패턴부와 상기 다수의 제1 패턴부에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제1 패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패턴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1 전극;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하나 이상의 제1 전극 아래에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패턴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가드 패턴부를 다수로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가드 패턴부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가드 패턴부를 연결하는 연결 패턴을 포함하는, 가드 전극; 및
각각이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제2 패턴부와 상기 다수의 제2 패턴부에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제2 패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패턴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가드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제2 전극의 연결 패턴은 제1 층에 함께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1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제2 전극의 다수의 제2 패턴부는 상기 제1 층과 다른 제2 층에 함께 배치된, 터치 센서.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each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pattern portions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and a connection patter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wo first pattern portion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plurality of first pattern portions;
It is disposed to overlap under one or more first electrodes of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nd includes a plurality of guard pattern parts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pattern part, and two guard patterns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guard pattern parts. A guard electrode comprising a connection pattern connecting the parts; and
A plurality of each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pattern portions arrange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a connection patter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wo second pattern portion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plurality of second pattern portions a second electrode of
The connection patterns of the guard electrode and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are disposed together on the first layer,
A plurality of second pattern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are disposed together in a second layer different from the first layer, the touch sensor.
각각이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구동 패턴부과 상기 다수의 구동 패턴부에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구동 패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패턴을 포함하는, 복수의 구동 전극;
상기 구동 전극의 연결 패턴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제1 수신 패턴부와 제2 수신 패턴부가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교번하며 배열되고, 상기 제1 수신 패턴부와 상기 제2 수신 패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패턴을 포함하는, 수신 전극; 및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 중 하나 이상의 구동 전극 아래에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구동 패턴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가드 패턴부를 다수로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가드 패턴부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가드 패턴부를 연결하는 연결 패턴을 포함하는, 가드 전극;
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each of which includes a plurality of driving pattern units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and a connection patter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wo driving pattern unit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plurality of driving pattern units;
A first receiving pattern portion and a second receiving pattern portion disposed with the connection pattern of the driving electrode therebetween are alternately arrange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first receiving pattern portion and the second receiving pattern portion A receiving electrode comprising a connection patter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receiving pattern unit; and
It is disposed to overlap under one or more driving electrodes among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includes a plurality of guard pattern parts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pattern part, and connects two guard pattern parts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guard pattern parts. A guard electrode comprising a connection pattern;
Including, a touch senso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신 전극의 상기 제1 및 제2 수신 패턴부는,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과 동일층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수신 전극의 상기 연결 패턴은, 상기 가드 전극과 함께 상기 동일층 아래의 층에 배치된, 터치 센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pattern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are disposed on the same layer as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he connection pattern of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is disposed in a layer under the same layer together with the guard electrode, a touch senso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 패턴부와 상기 제2 수신 패턴부는, 상기 구동 전극의 연결 패턴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터치 센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reception pattern part and the second reception pattern part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based on the connection pattern of the driving electrode, a touch senso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전극의 상기 연결 패턴은 제1 연결 패턴과 제2 연결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전극의 연결 패턴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상기 제1 수신 패턴부와 상기 제2 수신 패턴부가 하나의 그룹을 구성하고,
상기 제1 연결 패턴은, 상기 다수의 그룹 중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홀수번째에 위치한 그룹들 각각의 제1 수신 패턴부와 제2 수신 패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홀수번째에 위치한 그룹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제2 연결 패턴은, 상기 다수의 그룹 중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짝수번째에 위치한 그룹들 각각의 제1 수신 패턴부와 제2 수신 패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짝수번째에 위치한 그룹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터치 센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nection pattern of the receiving electrode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attern and a second connection pattern,
The first receiving pattern portion and the second receiving pattern portion disposed with the connection pattern of the driving electrode therebetween constitute a group,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electrically connects the first reception pattern part and the second reception pattern part of each of the odd-numbered groups along the second direction among the plurality of groups, and electrically connects the odd-numbered group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 electrically connects the first reception pattern part and the second reception pattern part of each of the even-numbered groups along the second direction among the plurality of groups, and electrically connects the even-numbered groups Connected with a touch senso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그룹 중 하나의 그룹의 제1 수신 패턴부는, 상기 하나의 그룹의 제1 수신 패턴부와 인접하는 다른 그룹의 제2 수신 패턴부의 돌출 패턴부와 대응되는 함몰 패턴부를 갖고,
상기 하나의 그룹의 제2 수신 패턴부는, 상기 하나의 그룹의 제2 수신 패턴부와 인접하는 또 다른 그룹의 제1 수신 패턴부의 돌출 패턴부와 대응되는 함몰 패턴부를 갖고,
상기 제1 연결 패턴은, 상기 다른 그룹의 제2 수신 패턴부의 돌출 패턴부와 상기 또 다른 그룹의 제1 수신 패턴부의 돌출 패턴부를 연결하는, 터치 센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receiving pattern portion of one of the plurality of groups has a recessed pattern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pattern portion of the second receiving pattern portion of the other group adjacent to the first receiving pattern portion of the one group,
The second receiving pattern part of the one group has a recessed pattern part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pattern part of the first receiving pattern part of another group adjacent to the second receiving pattern part of the one group,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connects the protruding pattern part of the second receiving pattern part of the other group and the protruding pattern part of the first receiving pattern part of the another group, the touch senso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패턴은, 상기 다수의 그룹 중 짝수번째 그룹의 제1 및 제2 수신 패턴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중첩되도록 배치된 대응 패턴; 및 상기 대응 패턴으로부터 홀수번째에 위치한 그룹 측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 패턴;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may include a corresponding pattern arrange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and overlap with the first and second reception pattern portions of the even-numbered group among the plurality of groups; and an extension pattern extending in an odd-numbered direction from the corresponding pattern toward the group.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극은, 상기 구동 패턴부 내부에 형성된 개구부 내에 배치된 더미 패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 별로 하나의 더미 패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전성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패턴이 둘 이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타일러스 펜에 자기장 신호를 제공하는 전류 루프를 구성하고,
상기 도전성 패턴은 상기 가드 전극 및 상기 제1 및 제2 연결 패턴과 동일층에 배치된, 터치 센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driving electrode further includes a dummy pattern portion disposed in an opening formed inside the driving pattern portion,
a conductive pattern extending along the second directio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dummy pattern part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wo or more of the conductive pattern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configure a current loop that provides a magnetic field signal to the stylus pen,
The conductive pattern is disposed on the same layer as the guard electrode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atterns, the touch sensor.
복수의 제1 전극,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드 전극 및 복수의 제2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상기 터치 센서로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구동부;
상기 터치 센서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구동부 및 상기 감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은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제1 패턴부와 상기 다수의 제1 패턴부에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제1 패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가드 전극은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하나 이상의 제1 전극 아래에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패턴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가드 패턴부를 다수로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가드 패턴부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가드 패턴부를 연결하는 연결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 전극은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제2 패턴부와 상기 다수의 제2 패턴부에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제2 패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패턴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a touch sensor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t least one or more guard electrodes, and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a driving unit for applying a driving signal to the touch sensor;
a sensing unit sens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touch sensor; and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and the sensing unit;
The first electrode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pattern portions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and a connection patter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wo first pattern portion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plurality of first pattern portions,
The guard electrode is disposed to overlap under one or more first electrodes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nd includes a plurality of guard pattern parts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pattern part, and is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guard pattern parts. Containing a connection pattern connecting the two guard pattern parts,
The receiving electrode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pattern portions arrange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a connection patter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wo second pattern portion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plurality of second pattern portions , touch input devices.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가 상기 복수의 제1 전극과 상기 가드 전극에 함께 구동 신호를 인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포함된 자기 커패시턴스 변화량 정보로부터 객체의 근접 여부를 판정하는, 터치 입력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ing unit to apply a driving signal together to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nd the guard electrode, and determines whether an object is close from self-capacitance change amount information included in a signal output from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which is a touch input devic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가 상기 가드 전극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포함된 상호 커패시턴스 변화량 정보로부터 객체의 근접 여부를 판정하는, 터치 입력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ing unit to apply a driving signal to the guard electrodes, and determines whether an object is close from mutual capacitance vari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signals output from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복수의 구동 전극,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드 전극 및 복수의 수신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상기 터치 센서로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구동부;
상기 터치 센서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구동부 및 상기 감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전극은,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구동 패턴부과 상기 다수의 구동 패턴부에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구동 패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 전극은, 상기 구동 전극의 연결 패턴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제1 수신 패턴부와 제2 수신 패턴부가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교번하며 배열되고, 상기 제1 수신 패턴부와 상기 제2 수신 패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가드 전극은,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 중 하나 이상의 구동 전극 아래에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구동 패턴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가드 패턴부를 다수로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가드 패턴부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가드 패턴부를 연결하는 연결 패턴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a touch sensor including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t least one or more guard electrodes, and a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a driving unit for applying a driving signal to the touch sensor;
a sensing unit sens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touch sensor; and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and the sensing unit;
The driving electrode includes a plurality of driving pattern units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and a connection patter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wo driving pattern unit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plurality of driving pattern units,
In the receiving electrode, a first receiving pattern portion and a second receiving pattern portion disposed with the connection pattern of the driving electrode therebetween are alternately arrange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first receiving pattern and a connection pattern electrically connecting the unit and the second receiving pattern unit,
The guard electrode is disposed to overlap under at least one driving electrode among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nd includes a plurality of guard pattern parts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pattern part, and two adjacent ones of the plurality of guard pattern parts. A touch input device comprising a connection pattern connecting the guard pattern unit.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신 전극의 상기 제1 및 제2 수신 패턴부는,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과 동일층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수신 전극의 상기 연결 패턴은, 상기 가드 전극과 함께 상기 동일층 아래의 층에 배치된, 터치 입력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pattern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are disposed on the same layer as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he connection pattern of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is disposed on a layer under the same layer together with the guard electrode, the touch input devic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 패턴부와 상기 제2 수신 패턴부는, 상기 구동 전극의 연결 패턴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터치 입력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first reception pattern part and the second reception pattern part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based on the connection pattern of the driving electrode, a touch input devic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전극의 연결 패턴은 제1 연결 패턴과 제2 연결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전극의 연결 패턴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상기 제1 수신 패턴부와 상기 제2 수신 패턴부가 하나의 그룹을 구성하고,
상기 제1 연결 패턴은, 상기 다수의 그룹 중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홀수번째에 위치한 그룹들 각각의 제1 수신 패턴부와 제2 수신 패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홀수번째에 위치한 그룹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제2 연결 패턴은, 상기 다수의 그룹 중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짝수번째에 위치한 그룹들 각각의 제1 수신 패턴부와 제2 수신 패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짝수번째에 위치한 그룹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터치 입력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connection pattern of the receiving electrode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attern and a second connection pattern,
The first receiving pattern portion and the second receiving pattern portion disposed with the connection pattern of the driving electrode therebetween constitute a group,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electrically connects the first reception pattern part and the second reception pattern part of each of the odd-numbered groups along the second direction among the plurality of groups, and electrically connects the odd-numbered group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 electrically connects the first reception pattern part and the second reception pattern part of each of the even-numbered groups along the second direction among the plurality of groups, and electrically connects the even-numbered groups Connected with a touch input device.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그룹 중 하나의 그룹의 제1 수신 패턴부는, 상기 하나의 그룹의 제1 수신 패턴부와 인접하는 다른 그룹의 제2 수신 패턴부의 돌출 패턴부와 대응되는 함몰 패턴부를 갖고,
상기 하나의 그룹의 제2 수신 패턴부는, 상기 하나의 그룹의 제2 수신 패턴부와 인접하는 또 다른 그룹의 제1 수신 패턴부의 돌출 패턴부와 대응되는 함몰 패턴부를 갖고,
상기 제1 연결 패턴은, 상기 다른 그룹의 제2 수신 패턴부의 돌출 패턴부와 상기 또 다른 그룹의 제1 수신 패턴부의 돌출 패턴부를 연결하는, 터치 입력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first receiving pattern portion of one of the plurality of groups has a recessed pattern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pattern portion of the second receiving pattern portion of the other group adjacent to the first receiving pattern portion of the one group,
The second receiving pattern part of the one group has a recessed pattern part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pattern part of the first receiving pattern part of another group adjacent to the second receiving pattern part of the one group,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connects the protruding pattern part of the second receiving pattern part of the other group and the protruding pattern part of the first receiving pattern part of the another group, the touch input device.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패턴은, 상기 다수의 그룹 중 짝수번째 그룹의 제1 및 제2 수신 패턴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중첩되도록 배치된 대응 패턴; 및 상기 대응 패턴으로부터 홀수번째에 위치한 그룹 측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 패턴;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may include a corresponding pattern arrange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and overlap with the first and second reception pattern portions of the even-numbered group among the plurality of groups; and an extension pattern extending in an odd-numbered group direction from the corresponding pattern.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극은, 상기 구동 패턴부 내부에 형성된 개구부 내에 배치된 더미 패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 별로 하나의 더미 패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전성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패턴이 둘 이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타일러스 펜에 자기장 신호를 제공하는 전류 루프를 구성하고,
상기 도전성 패턴은 상기 가드 전극 및 상기 제1 및 제2 연결 패턴과 동일층에 배치된, 터치 입력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driving electrode further includes a dummy pattern portion disposed in an opening formed inside the driving pattern portion,
a conductive pattern extending along the second directio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dummy pattern part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wo or more of the conductive pattern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configure a current loop that provides a magnetic field signal to the stylus pen,
The conductive pattern is disposed on the same layer as the guard electrode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atterns, the touch input device.
KR1020210017098A 2021-02-04 2021-02-05 Touch sensor and touch input device thereof KR1025264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098A KR102526461B1 (en) 2021-02-05 2021-02-05 Touch sensor and touch input device thereof
PCT/KR2022/001398 WO2022169185A2 (en) 2021-02-04 2022-01-26 Touch sensor and touch input device comprising same
US18/264,173 US20240231532A1 (en) 2021-02-04 2022-01-26 Touch sensor and touch input device comprising same
CN202280013142.4A CN116848502A (en) 2021-02-04 2022-01-26 Touch sensor and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098A KR102526461B1 (en) 2021-02-05 2021-02-05 Touch sensor and touch input device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3198A true KR20220113198A (en) 2022-08-12
KR102526461B1 KR102526461B1 (en) 2023-04-28

Family

ID=82803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098A KR102526461B1 (en) 2021-02-04 2021-02-05 Touch sensor and touch input device thereof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26461B1 (en)
CN (1) CN11684850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248343A1 (en) * 2023-05-31 2024-12-05 주식회사 하이딥 Electronic device and proximity sensing method thereof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28855A (en) * 2012-04-25 2013-11-07 Asahi Kasei Electronics Co Ltd Touch panel
US20160188029A1 (en) * 2013-04-07 2016-06-30 Boe Technology Group Co., Ltd. Capacitive in-cell touch screen and display device
JP2016540317A (en) * 2013-12-20 2016-12-22 シャープ株式会社 Discriminating capacitive touch panel
CN206627937U (en) * 2017-03-23 2017-11-10 北京集创北方科技股份有限公司 A kind of touch induction device
KR101979891B1 (en) 2018-08-29 2019-05-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touch sensor
KR20200033362A (en) * 2018-09-19 2020-03-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ouch sensing unit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200116655A (en) * 2019-04-02 2020-10-13 주식회사 하이딥 Touch input device
KR20210010714A (en) * 2019-07-17 2021-01-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Insup sens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28855A (en) * 2012-04-25 2013-11-07 Asahi Kasei Electronics Co Ltd Touch panel
US20160188029A1 (en) * 2013-04-07 2016-06-30 Boe Technology Group Co., Ltd. Capacitive in-cell touch screen and display device
JP2016540317A (en) * 2013-12-20 2016-12-22 シャープ株式会社 Discriminating capacitive touch panel
CN206627937U (en) * 2017-03-23 2017-11-10 北京集创北方科技股份有限公司 A kind of touch induction device
KR101979891B1 (en) 2018-08-29 2019-05-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touch sensor
KR20200033362A (en) * 2018-09-19 2020-03-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ouch sensing unit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200116655A (en) * 2019-04-02 2020-10-13 주식회사 하이딥 Touch input device
KR20210010714A (en) * 2019-07-17 2021-01-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Insup sens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248343A1 (en) * 2023-05-31 2024-12-05 주식회사 하이딥 Electronic device and proximity sens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848502A (en) 2023-10-03
KR102526461B1 (en) 2023-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2022B2 (en) Sensor array with edge pattern
US9547031B2 (en) Flipped cell sensor pattern
US10073563B2 (en) Touch sensor pattern
US9292138B2 (en) Single layer sensor pattern
EP3183637B1 (en) Electrode arrangement for touch detection and touchless gesture detection and tracking
US9405408B2 (en) Trace pattern for touch-sensing application
US8410795B1 (en) Serpentine touch sensor pattern
US8901944B2 (en) Lattice structure for capacitance sensing electrodes
US8723818B2 (en) Touch screen poly layer electrode distribution
US20140362030A1 (en) Capacitive touch scree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829523B1 (en) Offset sensor pattern
US20110090154A1 (en) Touch panel
US20240231532A1 (en) Touch sensor and touch input device comprising same
US20190064969A1 (en) Adaptive electrode arrangement in a capacitive sense array
JP2014170334A (en) Capacitance touch panel, and handhel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US9140737B2 (en) Capacitive touch sensor
KR20120094984A (en) Touch sensing panel
KR102526461B1 (en) Touch sensor and touch input device thereof
KR102453868B1 (en) Touch sensor and touch input device thereof
US9141240B2 (en) Capacitive touch sensor
KR102050448B1 (en) Touch sens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20220112551A (en) Touch sensor and touch input device thereof
US20240152239A1 (en) Capacitance Module with Sensor on an Inside Substrate Surface
KR20240172553A (en) Touch sensor and touch input device thereof
KR20240041290A (en) Touch sensor and touch input devic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206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9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4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4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