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3078A - Head lining for vehicle - Google Patents
Head lining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13078A KR20220113078A KR1020210016820A KR20210016820A KR20220113078A KR 20220113078 A KR20220113078 A KR 20220113078A KR 1020210016820 A KR1020210016820 A KR 1020210016820A KR 20210016820 A KR20210016820 A KR 20210016820A KR 20220113078 A KR20220113078 A KR 2022011307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dlining
- vehicle
- plate
- skin plate
- desig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4—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roof pan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12—Roof or head l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021/2316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t least two passengers, e.g. preventing them from hitting each oth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7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connections between panels
- B60R2021/23576—Se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헤드라이닝의 디자인 컨셉이 유지되고, 디자인이 형성된 부분으로 에어백이 전개됨에 따라 에어백이 원활히 전개되는 차량용 헤드라이닝이 소개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ign concept of the headlining is maintained, and as the airbag is deployed to the part where the design is formed, a headlining for a vehicle in which the airbag is smoothly deployed is introduc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라이닝에 관한 것으로, 헤드라이닝의 디자인 컨셉을 유지하면서 에어백이 원활히 전개되도록 하는 차량용 헤드라이닝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lining for a vehicle, and to a headlining for a vehicle that allows an airbag to be smoothly deployed while maintaining the design concept of the headlining.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충돌, 전복 등의 사고로부터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안전장치가 설치되며, 이러한 안전장치로는 탑승자의 신체를 구속하는 안전벨트와 탑승자가 차체에 부딪히는 충격으로부터 충격을 완화시키는 에어백이 있다. 이러한 에어백은 스티어링 휠에 설치되는 운전석 에어백, 조수석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는 조수석 에어백 등 필요에 따라 차량 각 부위에 다양하게 설치되고 있다.In general, safety devices are installed in vehicles to safely protect occupants from accidents such as collisions and rollovers. These safety devices include a seat belt that restrains the occupant's body and an airbag that relieves the occupant's impact from collision with the vehicle body. have. Such airbags are being installed in various parts of the vehicle as needed, such as a driver's seat airbag installed on a steering wheel and a passenger's seat airbag installed on an instrument panel of the passenger's seat.
한편, 차량은 앞좌석 탑승자가 있는 전방 공간과 뒷좌석 탑승자가 있는 후방 공간으로 구분되는데, 차량 충돌시 뒷좌석 탑승자가 관성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어 내부 탑승자간 충돌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탑승자간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차량용 헤드라이닝에는 루프에어백이 설치되며, 루프에어백은 헤드라이닝에서 하방으로 전개되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vehicle is divided into a front space with a front seat occupant and a rear space with a rear seat occupant.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the rear seat occupant is moved forward by inertia, thereby causing a collision between internal occupants. In order to prevent such collision between occupants, a roof airbag is installed in the vehicle headlining, and the roof airbag is configured to deploy downward from the headlining.
그러나 차량용 헤드라이닝의 디자인을 위한 디자인요소가 마련될 경우 에어백이 디자인요소에 의해 미전개되거나 오전개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에어백의 전개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에어백의 전개 공간에는 디자인요소를 적용하지 않으나, 이에 따른 디자인 컨셉이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when a design element for the design of a vehicle headlining is provided, a problem in that the airbag is not deployed or opened may occur due to the design element. In order to secure the deployment performance of the airbag, design elements are not applied to the deployment space of the airbag,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esign concept cannot be maintained.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The matters described as the background art above are only for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taken as acknowledging that they correspond to the prior art already know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헤드라이닝의 디자인 컨셉이 유지되면서 에어백이 원활히 전개되는 차량용 헤드라이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is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headlining in which an airbag is smoothly deployed while maintaining the design concept of the headlining.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라이닝은 루프에어백이 설치되고, 루프에어백과 매칭되는 위치에 절개부가 형성된 보드판; 및 보드판의 하부에 결합되고, 이미지를 갖는 디자인부가 형성되되 디자인부는 일부 영역이 절개부에 매칭되며 루프에어백의 전개력에 의해 파단되도록 구성된 스킨판;을 포함한다.A vehicle headli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board plate on which a roof airbag is installed, and a cutout is formed at a position matching the roof airbag; and a skin plate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board plate, the design part having an image being formed, the design part matching the cutout part, and being broken by the deployment force of the roof airbag.
절개부는 보드판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함몰된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utou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groove recessed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ard plate.
절개부는 보드판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폭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ut-ou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is gradually reduc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ard plate to the lower side.
보드판과 스킨판 사이에는 접착층이 구비되어 보드판과 스킨판이 접착층을 매개로 상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dhesive layer is provided between the board plate and the skin plate, and the board plate and the skin plate ar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adhesive layer.
스킨판에는 디자인부의 이미지와 매칭되는 슬릿이 형성되고, 디자인부는 슬릿에 삽입되어 스킨판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lit matching the image of the design part is formed on the skin plate, and the design part is inserted into the slit and fixed to the skin plate.
스킨판은 디자인부의 이미지 형상을 가지는 슬릿에서 절개부의 매칭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디자인부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고정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kin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fixed ribs are formed in which the design part is seated and fixed in the area other than the matching area of the cutout in the slit having the image shape of the design part.
디자인부는 스킨판이 절개된 후 상측으로 봉제됨에 따라 이미지를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esign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have an image as the skin plate is cut and sewn upward.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헤드라이닝은 헤드라이닝의 디자인 컨셉이 유지되고, 디자인이 형성된 부분으로 에어백이 전개됨에 따라 에어백이 원활히 전개된다.In the vehicle headlining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design concept of the headlining is maintained, and the airbag is smoothly deployed as the airbag is deployed to the portion where the design is form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라이닝을 나타낸 도면.
도 2 내지 3은 본 발명의 차량용 헤드라이닝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용 헤드라이닝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라이닝의 전개를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a vehicle headli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to 3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vehicle headli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vehicle headli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development of a vehicle headli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라이닝에 대하여 살펴본다.Hereinafter, a headlining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라이닝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3은 본 발명의 차량용 헤드라이닝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용 헤드라이닝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라이닝의 전개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vehicle headli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to 3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vehicle headli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vehicle headli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igure 5 is a view showing the development of the vehicle headli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라이닝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에어백(10)이 설치되고, 루프에어백(10)과 매칭되는 위치에 절개부(21)가 형성된 보드판(20); 및 보드판(20)의 하부에 결합되고, 이미지를 갖는 디자인부(31)가 형성되되 디자인부(31)는 일부 영역이 절개부(21)에 매칭되며 루프에어백(10)의 전개력에 의해 파단되도록 구성된 스킨판(3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headlining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루프에어백(10)은 하우징(H)에 내장되어 헤드라이닝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인플레이터(I)의 가스를 공급받아 전개시 헤드라이닝을 파단하면서 헤드라이닝의 하방으로 전개된다.The
본 발명의 헤드라이닝은 보드판(20)과 스킨판(3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보드판(20)의 경우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스킨판(30)의 경우 플라스틱 재질뿐만 아니라 실내에서 요구하는 원단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The headli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이러한 보드판(20)과 스킨판(30) 사이에는 접착층(22)이 구비되어 보드판(20)과 스킨판(30)이 접착층(22)을 매개로 상호 결합되어 일물로 구성될 수 있다.An
한편, 보드판(20)에는 루프에어백(10)과 매칭되는 위치에 절개부(21)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루프에어백(10)의 전개시 보드판(20)은 절개부(21)를 통해 파단되어 루프에어백(10)이 보드판(20)을 통과하여 원활히 전개되도록 한다.Meanwhile, a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부(21)는 보드판(20)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함몰된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보드판(20)의 상측으로 루프에어백(10)이 마련되고, 루프에어백(10)은 보드판(20)을 통과하여 하방으로 전개되어야 함에 따라, 보드판(20)의 상면에는 홈으로 이루어지는 절개부(21)가 형성된다. 특히, 보드판(20)은 홈으로 이루어진 절개부(21)가 형성됨에 따라 루프에어백(10)의 전개시 절개부(21)를 기점으로 보드판(20)의 파단이 수행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이러한 절개부(21)는 보드판(20)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폭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절개부(21)는 하방으로 폭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됨으로써, 루프에어백(10)의 전개시 절개부(21)에 의해 보드판(20)의 변형이 유도되고, 그에 따른 보드판(20)의 파단이 수행될 수 있다. The
이처럼, 보드판(20)은 루프에어백(10)과 매칭되는 위치에 절개부(21)가 형성됨으로써, 루프에어백(10)의 전개시 루프에어백(10)을 통해 작용되는 힘에 의해 파단될 수 있다As such, the
한편, 보드판(20)의 하부에는 스킨판(30)이 결합된다. 이러한 스킨판(30)에는 이미지를 갖는 디자인부(31)가 형성되며, 디자인부(31)는 일부 영역이 절개부(21)에 매칭되며 루프에어백(10)의 전개력에 의해 파단되도록 구성된다. 즉, 스킨판(30)은 루프에어백(10)의 전개시, 이미지를 구현하는 디자인부(31)를 통해 파단되어 루프에어백(10)이 하방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디자인부(31)의 경우 특정 이미지를 형상화함에 따라 스킨판(30)의 일부 면적에 형성되는데, 디자인부(31)의 전체 영역 중 절개부(21)에 매칭되는 일부 영역이 파단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루프에어백(10)은 디자인부(31)를 통해 스킨판(30)을 통과하여 전개될 수 있다. 물론, 스킨판(30)에서 디자인부(31)의 경우 모든 영역에 대해 파단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스킨판(30)에서 디자인부(31)의 모든 영역이 파단되도록 구성될 경우, 루프에어백(10)의 전개시 디자인부(31)가 비산되어 탑승자에게 2차 상해를 발생시킬 수 있는바, 디자인부(31)는 보드판(20)의 절개부(21)와 매칭되는 일부 영역에서만 파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디자인부(31)의 형성에 대해서 실시예를 설명하면, 스킨판(30)에는 디자인부(31)의 이미지와 매칭되는 슬릿(32)이 형성되고, 디자인부(31)는 슬릿(32)에 삽입되어 스킨판(30)에 고정될 수 있다.When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formation of the
이는, 일실시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킨판(30)에는 디자인부(31)의 이미지와 매칭되는 슬릿(32)이 상하방향으로 개통되게 형성되고, 디자인부(31)가 슬릿(32)에 삽입되어 스킨판(30)에 고정됨으로써, 스킨판(30)에는 디자인부(31)를 통해 디자인 컨셉을 구현할 수 있다.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2 , a
여기서, 디자인부(31)의 경우 스킨판(30)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거나 다른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별물로 이루어진 디자인부(31)가 스킨판(30)의 슬릿(32)에 삽입되어 고정됨에 따라 스킨판(30)은 디자인부(31)를 통해 이미지에 따른 디자인 컨셉이 구현된다.Here, the
또한, 디자인부(31)는 스킨판(30)의 슬릿(32)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킨판(30)과 함께 접착층(22)에 접착되어 고정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킨판(30)은 디자인부(31)의 이미지 형상을 가지는 슬릿(32)에서 절개부(21)의 매칭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디자인부(31)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고정리브(32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리브(32a)는 스킨판(30)의 하면에서 슬릿(32)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됨으로써, 슬릿(32)에 삽입된 디자인부(31)가 고정리브(32a)에 안착되어 슬릿(32)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이러한 고정리브(32a)는 슬릿(32)에서 복수개로 이격되어 배치되되 보드판(20)의 절개부(21)와 매칭되는 위치는 회피되어 배치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3 , the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자인부(31)는 스킨판(30)이 절개된 후 상측으로 봉제됨에 따라 이미지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스킨판(30)을 절개한 후 하면을 상측으로 삽입시키면서 봉제할 경우, 해당 봉제 부위(33)는 스킨판(30)의 하면과 다른 이미지를 형성하게 된다. 이를 이용하여, 스킨판(30)에서 봉제 부위(33)를 구현하고자 하는 이미지로 연장시켜 디자인부(31)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스킨판(30)의 봉제 부위(33)는 접착제에 함께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스킨판(30)에서 봉제에 의한 디자인부(31)는 보드판(20)의 절개부(21)와 매칭되는 위치에 형성하여, 루프에어백(10)의 전개시 루프에어백(10)이 보드판(20)의 절개부(21)와 스킨판(30)의 봉제 부위(33)를 파단시키면서 전개되도록 한다.Meanwhile, as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 the
이를 통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 헤드라이닝은 스킨판(30)의 디자인부(31)에 의한 이미지에 의해 디자인 컨셉이 유지된다.Through this, as shown in FIG. 1 , the design concept of the headlining is maintained by the image by the
한편, 사고 발생에 따른 루프에어백(10)의 전개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에어백(10)은 보드판(20)의 절개부(21)와 스킨판(30)의 디자인부(31)의 파단을 통해 보드판(20)과 스킨판(30)을 통과하여 하방으로 전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헤드라이닝은 헤드라이닝의 디자인 컨셉이 유지되고, 디자인이 형성된 부분으로 에어백이 전개됨에 따라 에어백이 원활히 전개된다.In the vehicle headlining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design concept of the headlining is maintained, and the airbag is smoothly deployed as the airbag is deployed to the portion where the design is formed.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it is with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improv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루프에어백
20:보드판
21:절개부
22:접착층
30:스킨판
31:디자인부
32:슬릿
32a:고정리브10: roof air bag
20: board
21: incision
22: adhesive layer
30: skin plate
31: design department
32: slit
32a: fixed rib
Claims (7)
보드판의 하부에 결합되고, 이미지를 갖는 디자인부가 형성되되 디자인부는 일부 영역이 절개부에 매칭되며 루프에어백의 전개력에 의해 파단되도록 구성된 스킨판;을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라이닝.a board plate on which a roof airbag is installed and a cutout is formed at a position matching the roof airbag; and
A headlining for a vehicle comprising a; a skin plate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board plate, the design part having an image is formed, the design part matching the cutout part, and being broken by the deployment force of the roof airbag.
절개부는 보드판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함몰된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라이닝.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headlining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utout is a groove recessed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ard plate.
절개부는 보드판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폭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라이닝.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Headlining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utout portion is formed such that the width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ard plate to the lower side.
보드판과 스킨판 사이에는 접착층이 구비되어 보드판과 스킨판이 접착층을 매개로 상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라이닝.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adhesive layer is provided between the board plate and the skin plate, and the headlining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ard plate and the skin plate are mutually coupled through the adhesive layer.
스킨판에는 디자인부의 이미지와 매칭되는 슬릿이 형성되고, 디자인부는 슬릿에 삽입되어 스킨판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라이닝.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headlining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kin plate has a slit matching the image of the design part, and the design part is inserted into the slit and fixed to the skin plate.
스킨판은 디자인부의 이미지 형상을 가지는 슬릿에서 절개부의 매칭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디자인부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고정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라이닝.6. The method of claim 5,
A headlining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kin plate is provided with a fixed rib in which the design part is seated and fixed in the area other than the matching area of the cutout in the slit having the image shape of the design part.
디자인부는 스킨판이 절개된 후 상측으로 봉제됨에 따라 이미지를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라이닝.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Headlining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design portion is formed to have an image as the skin plate is cut and sewn upwar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6820A KR20220113078A (en) | 2021-02-05 | 2021-02-05 | Head lining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6820A KR20220113078A (en) | 2021-02-05 | 2021-02-05 | Head lining for vehic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13078A true KR20220113078A (en) | 2022-08-12 |
Family
ID=82803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16820A Pending KR20220113078A (en) | 2021-02-05 | 2021-02-05 | Head lining for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113078A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33743A (en) | 2010-09-30 | 2012-04-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Roof airbag apparatus for vehicle |
-
2021
- 2021-02-05 KR KR1020210016820A patent/KR20220113078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33743A (en) | 2010-09-30 | 2012-04-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Roof airbag apparatus for vehic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879215B2 (en) | Knee airbag and its folding method | |
US7712781B2 (en) | Protective cushion wrap with slip feature | |
US7213837B2 (en) | Airbag module | |
US9333937B1 (en) | Airbag cover with stress relief features | |
CN112874465B (en) | knee airbag device | |
US7390013B2 (en) | Airbag module | |
JP6056695B2 (en) | Center airbag device for vehicle and occupant protection device for vehicle | |
US20050225062A1 (en) | Integrated passenger airbag and instrument panel and assembly method | |
JP7312669B2 (en) | Airbag | |
US11318907B2 (en) | Curtain airbag assembly | |
KR100938327B1 (en) | Knee airbag | |
KR20220113078A (en) | Head lining for vehicle | |
US12337787B2 (en) |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having front airbag and side airbag | |
KR100244543B1 (en) | Protection device of car passenger | |
KR102604711B1 (en) | airbag device | |
JP2014213749A (en) | Air bag | |
KR100527779B1 (en) | Envelopment separation device of curtain air bag in vehicle | |
JP2001260796A (en) | Automobile occupant head crash protection device | |
US11192512B2 (en) | Airbag arrangement | |
KR100778589B1 (en) | Car Driver Airbag | |
EP1602533B1 (en) | Airba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vehicle's airbag | |
WO2020054207A1 (en) | Airbag device | |
KR100750403B1 (en) | Side airbag of car | |
KR20240045428A (en) | Structure for Air-bag Door | |
KR20230151277A (en) | Passenger seat airbag apparatus for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0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402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102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