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112867A - P2x3 및/또는 p2x2/3 화합물 및 방법 - Google Patents

P2x3 및/또는 p2x2/3 화합물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2867A
KR20220112867A KR1020227026800A KR20227026800A KR20220112867A KR 20220112867 A KR20220112867 A KR 20220112867A KR 1020227026800 A KR1020227026800 A KR 1020227026800A KR 20227026800 A KR20227026800 A KR 20227026800A KR 20220112867 A KR20220112867 A KR 20220112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yridine
imidazo
carboxamide
methyl
triazo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6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콧 톰슨
아라나파캄 벤카테산
토니 프리스틀리
므리날 쿤두
아시스 사하
Original Assignee
에이비에스 디벨롭먼트 원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비에스 디벨롭먼트 원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에이비에스 디벨롭먼트 원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12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286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3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the heterocyclic ring system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indolizine, beta-carbo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7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six-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atom, e.g. amri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 A61K31/4523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5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six-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pipamperone, anabas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496Non-condensed piperazines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rifampin, thiothixene or sparfloxa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4965Non-condensed pyrazines
    • A61K31/497Non-condensed pyrazines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06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blad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3/00Anaesth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4Centrally acting analgesics, e.g. opi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6Antimigraine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2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s contains four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Dermat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신규한 화합물 및 이들 화합물의 제조 및 이용 방법을 제공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화합물은 화학식 I의 구조이며, 식 중 R1-R4는 본원에서 정의된다. 추가 구현예에서, 이들 화합물은 P2X3 또는 P2X2/3 수용체 중 하나 또는 모두의 조절 방법에서 유용하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이들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환자에게 투여함으로써 환자에서의 통증을 치료하기 위해 유용하다.
Figure pat00103

Description

P2X3 및/또는 P2X2/3 화합물 및 방법{P2X3 AND/OR P2X2/3 COMPOUNDS AND METHODS}
우선권 출원에 대한 교차 참조
본 출원은 P2X3 및/또는 P2X2/3 화합물 및 방법을 표제로 하여, 2013 년 12 월 16 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1/916,499호의 출원일의 이익을 청구하며, 그 개시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아데노신 트리포스페이트(ATP)는 살아있는 세포의 일차적 에너지 통화로서 널리 인지되지만, 또한 임의의 몇몇 '퓨린성' 막-연관 수용체 분자와 상호작용함으로써 생리적 및 병태생리적 공정을 형상화할 수 있는 중요한 신호전달 분자로 나타났다. 퓨린성 수용체 패밀리는 G-단백질-커플링된(GPCR) 수용체(P2Y 명명법으로 지정됨) 및 리간드-관문화된 이온 채널(P2X) 변이체를 모두 포함한다. ATP는 P2X 하위패밀리의 수용체와 상호작용을 통해 구심성 감각 신경에 흥분성 효과를 일으킨다. 이러한 과다흥분성의 결과는 ATP 효과가 피부, 뼈 또는 내장 조직에서 야기되는 경우 통증으로, 기도 조직에서 통증 및/또는 기침으로, 또는 방광에서 일어나는 경우 통증 및/또는 불안정성으로 해석될 수 있다. P2X3 및 P2X2/3으로 명명된 P2X 하위패밀리 내의 2 개의 특정한 수용체 변이체는 ATP에 의한 이들 수용체의 활성화가 상기 언급된 유해 사례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설치류에서 통증인지, 기도 또는 방광 기능을 측정하기 위해 설계된 다양한 연구에서 특히 관심 표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다 강력하고 선택적인 P2X3/P2X2/3 조정물질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하나의 측면에서, 화학식 I의 구조의 화합물(식 중, R1-R4는 본원에 기재됨),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이 제공된다.
Figure pat00001
또 하나의 측면에서, 화학식 I에 의해 포괄되는 화학식 II의 구조의 화합물(식 중, R1, R2, 및 R4는 본원에 기재됨),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이 제공된다.
Figure pat00002
추가 측면에서, 화학식 I에 의해 포괄되는 화학식 III의 구조의 화합물(식 중, R1, R2, 및 R4는 본원에 기재됨),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 또는 전구약물이 제공된다.
Figure pat00003
추가 측면에서, 화학식 I에 의해 포괄되는 화학식 IV의 구조의 화합물(식 중, R2 및 R4-R6은 본원에 기재됨),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이 제공된다.
Figure pat00004
추가 측면에서, 조성물이 제공되며 (i)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 및 (ii)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함유한다.
또 하나의 측면에서, 키트가 제공되며,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을 함유한다.
추가 측면에서, P2X3 또는 P2X2/3 수용체 중 하나 또는 모두의 활성 조절 방법이 제공되며,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조절은 저해이다.
추가 측면에서, P2X3 또는 P2X2/3 경로 중 하나 또는 모두의 조정 방법이 제공되며,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추가 측면에서, 환자에서의 통증 치료 방법이 제공되며,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 및 장점은 본 발명의 하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쉽게 자명해질 것이다.
도 1a는 래트 P2X2의 단백질 코딩 서열을 다중 클로닝 부위(MCS) 내에서 EcoRV-소화되고 탈인산화된 벡터 pIRES-puro3에 클로닝된 원형 클로닝 플라스미드 pIRESpuro3(Clontech Laboratories Inc., Mountain View, CA)의 맵이다.
도 1b는 래트 뇌 cDNA로부터 PCR에 의해 증폭된 래트 P2X3의 코딩 서열(NCBI 접근 번호: X91167)이 클로닝된 원형 플라스미드 pCDNA-Hygro(Invitrogen)의 맵이다. 래트 P2X3의 단백질 코딩 서열을 함유하는 수득된 PCR 산물을 다중 클로닝 부위(MCS) 내에서 EcoRV-소화되고 탈인산화된 벡터 pCDNA-Hygro 내로 클로닝하였다.
도 1c는 래트 P2X3을 함유하는 pcDNA-Hygro로부터 생성된 벡터로, 이후 벡터의 다중 클로닝 부위(MCS) 내의 HindIII(5') 및 XhoI(3') 부위에서 pcDNA-5/TO(Invitrogen/Life Technologies) 내로 서브클로닝하였다.
도 2는 완전 프로인트 아쥬반트(CFA)의 발바닥내 주사에 의해 유도된 염증성 열적 통각과민의 래트 모델에서 실시예 22의 화합물의 항통각과민성 효과를 예시한다. 열적 통각과민은 통증성 열 자극의 조사 동안 발-움츠림에 대한 시간 감소로서 발현된다. 실시예 22의 화합물을 CFA의 발바닥 주사 48 h 후 60 mg/kg의 용량으로 투여하였고, 각각 투여 1 h 및 2 h 후 평가한 경우 열적 통각과민의 상당한 역전(77% 및 68%)을 일으켰다.
도 3은 진행성 자발통의 래트 모델에서 실시예 22의 화합물의 항통증인지 효과를 예시한다. 실시예 22의 화합물을 100 mg/kg 용량의 구강 위관영양법에 의해 투여하고 30 분 후 묽은 포르말린 용액을 발바닥에 주사하였다. 포르말린은 5 분 시기에 걸쳐 계수되고 bin 처리되는 자발적 뒷다리 주춤으로 발현되는 전형적인 2 상 통증인지 반응을 야기한다. 실시예 22의 화합물은 포르말린에 반응하여 주춤하는 제2 상 - 항통증인지 작용과 일치하는 프로필을 약화시켰다.
도 4는 내장성 통증의 마우스 모델에서 실시예 22의 화합물의 항통증인지 효과를 예시한다. 실시예 22의 화합물을 묽은 아세트산 용액의 복강내 주사 30 분 전에 3 개 용량 수준(20, 40 및 60 mg/kg)으로 구강 위관영양법에 의해 투여하였다. 복강 내로 주사한 경우, 아세트산은 내장성 통증에 대한 반응을 반영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복부 및 적어도 하나의 뒷다리에서 독특한 스트레칭 반응을 유도한다. 실시예 22의 화합물은 아세트산 주사 후 총 15 분 동안 평가한 경우 통증 반응에서의 뚜렷한 용량-관련 감소를 일으켰다. 비히클 대조군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이 시사되며, 원 웨이 ANOVA에 이어 Dunnett의 다중 비교 테스트를 이용해서 수행하였다.
도 5는 CFA의 발바닥내 주사에 의해 유도되는 염증성 열적 통각과민의 래트 모델에서 실시예 38의 화합물의 항통각과민성 효과를 예시한다. 열적 통각과민은 통증성 열 자극을 이용한 조사 동안 발-움츠림에 대한 시간 감소로서 발현된다. 실시예 38의 화합물을 CFA의 발바닥 주사 48 h 후 60 mg/kg의 용량으로 투여하였고, 투여 1 h 후 평가한 경우 열적 통각과민의 상당한 역전(50%)을 일으켰다.
도 6은 CFA의 발바닥내 주사에 의해 유도되는 염증성 열적 통각과민의 래트 모델에서 실시예 52의 화합물의 항통각과민성 효과를 예시한다. 열적 통각과민은 통증성 열 자극을 이용한 조사 동안 발-움츠림에 대한 시간 감소로서 발현된다. 실시예 52의 화합물을 CFA의 발바닥 주사 48 h 후 60 mg/kg의 용량으로 투여하였고, 투여 1 h 후 평가한 경우 열적 통각과민의 상당한 역전(39%)을 일으켰다.
P2X3 또는 P2X2/3 경로 중 하나 또는 모두의 조정능을 가지는 신규한 화합물이 본원에 개시된다. 이들 화합물을 이용하여 P2X3 또는 P2X2/3 경로 중 하나 또는 모두의 조절이상에 의해 영향을 받는 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
본원에서 논의된 화합물은 화학식 I의 구조를 갖는다.
Figure pat00005
상기 구조에서, R1은 선택적으로 치환된 헤테로아릴 또는 NR5R6이다. 하나의 측면에서, R1은 선택적으로 치환된 헤테로아릴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R1은 선택적으로 치환된 헤테로아릴이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R1은 하나 이상의 할로겐, C1 내지 C6 알킬, C3 내지 C6 사이클로알킬, C3 내지 C6 사이클로알킬-C1 내지 C6 알킬, C1 내지 C6 하이드록시알킬, C1 내지 C6 알콕시, 1 개 내지 3 개의 불소 원자를 함유하는 C1 내지 C6 알킬, 또는 CH2CONH2로 치환된 헤테로아릴이다. 추가 구현예에서, R1은 옥사디아졸, 피라졸, 티오펜, 또는 이소옥사졸이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R1은 하나 이상의 C1 내지 C6 알킬로 치환된 옥사디아졸, 하나 이상의 C1 내지 C6 알킬로 치환된 피라졸, 하나 이상의 C3 내지 C6 사이클로알킬-C1 내지 C6 알킬로 치환된 피라졸, 1 개 내지 3 개의 불소 원자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C1 내지 C6 알킬로 치환된 피라졸, 하나 이상의 CH2CONH2 기로 치환된 피라졸, 하나 이상의 C1 내지 C6 알킬로 치환된 티오펜, 또는 하나 이상의 C1 내지 C6 알킬로 치환된 이소옥사졸이다. 추가 구현예에서, R1은 1 개의 C1 내지 C6 알킬로 치환된 옥사디아졸, 1 개의 C1 내지 C6 알킬로 치환된 피라졸, 1 개의 C3 내지 C6 사이클로알킬-C1 내지 C6 알킬로 치환된 피라졸, 1 개의 불소 원자를 함유하는 1 개의 C1 내지 C6 알킬로 치환된 피라졸, 하나 이상의 CH2CONH2 기로 치환된 피라졸, 1 개의 C1 내지 C6 알킬로 치환된 티오펜, 또는 1 개 또는 2 개의 C1 내지 C6 알킬로 치환된 이소옥사졸이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R1은 1 개의 에틸로 치환된 옥사디아졸, 1 개의 CH3 또는 CH2CH3로 치환된 피라졸, 1 개의 -CH2-사이클로프로필로 치환된 피라졸, 1 개의 CH2CH2F로 치환된 피라졸, 하나 이상의 CH2CONH2 기로 치환된 피라졸, 1 개의 CH3로 치환된 피라졸, 또는 2 개의 CH3로 치환된 이소옥사졸이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R1은 2-에틸-1,3,4-옥사디아졸, 1-메틸-피라졸, 1-에틸-피라졸, 1-사이클로프로필메탄-피라졸, 1-플루오로에탄-피라졸, 1-카복사미도메틸-피라졸, 2-메틸-티오펜, 또는 3,5,-디메틸-이소옥사졸이다.
또 하나의 측면에서, R1은 NR5R6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R5 및 R6은, 독립적으로, H, 선택적으로 치환된 C1 내지 C6 알킬, C3 또는 C6 사이클로알킬, 선택적으로 치환된 아릴, 선택적으로 치환된 헤테로아릴, 및 CO(C1 내지 C6 알킬)로부터 선택된다. 추가 구현예에서, R5 및 R6은 선택적으로 치환된 페닐이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R5 및 R6은 C1 내지 C6 알콕시 또는 불소로 치환된 페닐이다. 추가 구현예에서, R5 및 R6 중 하나 또는 모두는 선택적으로 치환된 티아졸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R5 및 R6 중 하나 또는 모두는 선택적으로 치환된 C1 내지 C6 알킬 또는 C3 내지 C6 사이클로알킬이다. 추가 구현예에서, R5 및 R6 중 하나 또는 모두는 4-플루오로-페닐 또는 2-메톡시-페닐이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R5 및 R6은 연결되어서, 하나 이상의 할로겐, C1 내지 C6 알킬, C1 내지 C6 알콕시, C1 내지 C6 하이드록시알킬, C3 내지 C6 사이클로알킬, C3 내지 C6 사이클로알킬-C1 내지 C6 알킬, 1 개 내지 3 개의 불소 원자를 함유하는 C1 내지 C6 알킬, 또는 CONH2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릭 고리를 형성한다. 추가 구현예에서, R5 및 R6은 연결되어서, 헤테로아릴을 형성한다. 추가 구현예에서, R5 및 R6은 연결되어서, 선택적으로 치환된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릭 고리를 형성한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R5 및 R6은 연결되어서, 선택적으로 치환된 피롤리딘, 이미다졸, 피라졸, 테트라졸, 트리아졸, 피페리딘, 또는 피페라진을 형성한다. 추가 구현예에서, R5 및 R6은 연결되어서, 하나 이상의 C1 내지 C6 알킬 또는 C1 내지 C6 알콕시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피롤리딘을 형성한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R5 및 R6은 연결되어서, 하나 이상의 C1 내지 C6 알킬로 치환된 이미다졸을 형성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R5 및 R6은 연결되어서, 하나 이상의 C1 내지 C6 알킬로 치환된 피라졸을 형성한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R5 및 R6은 연결되어서, 하나 이상의 C3 내지 C6 사이클로알킬, C1 내지 C6 알킬, C1 내지 C6 하이드록시알킬, 1-3 개의 불소 원자를 함유하는 C1 내지 C6 알킬, 및 C3 내지 C6 사이클로알킬-C1 내지 C6 알킬로 치환된 테트라졸을 형성한다. 추가 구현예에서, R5 및 R6은 연결되어서, 하나 이상의 C3 내지 C6 사이클로알킬, 1-3 개의 불소 원자를 함유하는 C1 내지 C6 알킬, 및 C1 내지 C6 알킬로 치환된 트리아졸을 형성한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R5 및 R6은 연결되어서, 하나 이상의 C1 내지 C6 알콕시, 할로겐, 1-3 개의 불소 원자를 함유하는 C1 내지 C6 알킬, C1 내지 C6 알킬, 또는 CONH2로 치환된 피페리딘을 형성한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R5 및 R6은 연결되어서, CONH2로 치환된 피페라진을 형성한다. 추가 구현예에서, R5 및 R6은 연결되어서, 3-메톡시-피롤리딘, 3-메틸-3-메톡시-피롤리딘, 2,5-디메틸-이미다졸, 5-에틸-피라졸, 5-프로필-테트라졸, 5-사이클로프로필-테트라졸, 5-프로필-테트라졸, 5-이소프로필-테트라졸, 5-에틸-테트라졸, 5-사이클로부틸-테트라졸, 5-사이클로프로필메틸-테트라졸, 5-메틸-테트라졸, 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졸, 5-디플루오로메틸-테트라졸, 5-(2,2,2-트리플루오로에틸)-테트라졸, 5-(1,1-디플루오로에틸)-테트라졸, 5-사이클로프로필-트리아졸, 5-디플루오로메틸-트리아졸, 5-트리플루오로메틸-트리아졸, 5-메틸-트리아졸, 5-이소프로필-트리아졸, 5-프로필-트리아졸, 5-에틸-트리아졸, 5-tert-부틸-트리아졸, 5-사이클로부틸-트리아졸, 5-(1,1-디플루오로에틸)-트리아졸, 5-(2,2,2-트리플루오로에틸)-트리아졸, 3,5-디메틸-1,2,4-트리아졸, 4-메틸-피페리딘, 4,4-디메틸-피페리딘, 4,4-디플루오로-피페리딘, 4-메틸-4-카복사미도-피페리딘, 4-플루오로-피페리딘, 4-트리플루오로메틸-피페리딘, 4-플루오로메틸-피페리딘, 4-메틸-4-메톡시-피페리딘, 4-메톡시-피페리딘, 3-메톡시-피페리딘, 또는 4-카복사미도-피페라진을 형성한다.
R2는 선택적으로 치환된 아릴, 선택적으로 치환된 헤테로아릴, C1 내지 C6 알킬, 또는 S-C1 내지 C6 알킬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R2는 선택적으로 치환된 아릴이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R2는 선택적으로 치환된 페닐이다. 추가 구현예에서, R2는 하나 이상의 C1 내지 C6 알킬로 치환된 페닐이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R2는 1 개의 CH3로 치환된 페닐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R2는 2-톨릴 또는 3-톨릴이다. 추가 구현예에서, R2는 C1 내지 C6 알킬이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R2는 부틸이다. 추가 구현예에서, R2는 -S-(C1 내지 C6 알킬)이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R2는 -SCH2CH2CH3이다. 추가 구현예에서, R2는 선택적으로 치환된 헤테로아릴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R2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 시아노, C1 내지 C6 알킬 또는 1-3 개의 불소 원자를 함유하는 C1 내지 C6 알킬로 치환된 헤테로아릴이다. 추가 구현예에서, R2는 티아졸, 티오펜, 또는 푸란이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R2는 C1 내지 C6 알킬로 치환된 티아졸이다. 추가 구현예에서, R2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 시아노, C1 내지 C6 알킬 또는 1-3 개의 불소 원자를 함유하는 C1 내지 C6 알킬로 치환된 티오펜이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R2는 C1 내지 C6 알킬로 치환된 푸란이다. 추가 구현예에서, R2는 2-클로로-티오펜, 2-메틸-티오펜, 2-시아노-티오펜, 2-트리플루오로메틸-티오펜, 5-메틸-티아졸, 2-메틸-티아졸, 또는 2-메틸-푸란이다.
R3은 H 또는 C1 내지 C6 알킬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R3은 H이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R3은 C1 내지 C6 알킬이다.
R4는 선택적으로 치환된 헤테로아릴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R4는 선택적으로 치환된 트리아졸, 선택적으로 치환된 피리딘, 선택적으로 치환된 피리돈, 선택적으로 치환된 옥사디아졸, 선택적으로 치환된 피라진, 또는 선택적으로 치환된 피리미딘이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R4는 C1 내지 C6 알킬, C3 내지 C6 사이클로알킬, C1 내지 C6 알콕시, 또는 C1 내지 C6 트리플루오로알킬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헤테로아릴이다. 추가 구현예에서, R4는 하나 이상의 C1 내지 C6 알킬, C3 내지 C6 사이클로알킬, C1 내지 C6 알콕시, 또는 C1 내지 C6 트리플루오로알킬로 치환된 피리딘이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R4는 피리딘이며, 상기 피리딘의 질소 원자는 O-원자에 결합된다. 추가 구현예에서, R4는 하나 이상의 C1 내지 C6 알킬로 치환된 피라진이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R4는 하나 이상의 C1 내지 C6 알킬 또는 C1 내지 C6 알콕시로 치환된 피리미딘이다. 추가 구현예에서, R4는 하나 이상의 C1 내지 C6 알킬로 치환된 피리돈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R4는 1,2,4-트리아졸, 2-메틸-피리딘, 2-메톡시-피리딘, 1-옥소-피리딘, 1-옥소-2-메틸-피리딘, 1-옥소-2-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 2-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 2-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 1,3,4-옥사디아졸, 1,2,4-옥사디아졸, 3-메틸-1,2,4-옥사디아졸, 2-메틸-1,3,4-옥사디아졸, 2-메틸-피라진, 2-메틸-피리미딘, 2-메톡시-피리미딘, 또는 1-메틸-피리돈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화합물은 화학식 II의 구조이다(식 중, R1, R2, 및 R4는 상기에서 정의됨).
Figure pat00006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화합물은 화학식 III의 구조이다(식 중, R1, R2, 및 R4는 상기에서 정의됨).
Figure pat00007
추가 구현예에서, 화합물은 화학식 IV의 구조이다(식 중, R2 및 R4-R6은 상기에서 정의됨).
Figure pat00008
대표적인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에는 비제한적으로 산 또는 염기의 염이 포함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약학적 염은 수용성 및 수불용성 염 중에서 선택된다. 염은, 예로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락트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숙신산, 푸마르산, 말레산, 말론산, 만델산, 말산, 프탈산, 염화수소산, 브롬화수소산, 인산, 질산, 황산, 메탄설폰산, 나프탈렌설폰산, 벤젠설폰산, 톨루엔설폰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및 캄포르설폰산으로부터 선택된 산의 염일 수 있다. 염은 또한, 예로 나트륨, 칼륨, 칼슘, 및 암모늄으로부터 선택된 염기의 염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자유 염기 형태를 모두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화학식 I의 전구약물일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전구약물은 당분야 숙련가에게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이용해서 제조될 수 있다. 예로,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는 [Rautio, Nature Reviews Drug Discovery, 7:255-270(2008) 및 Ettmayer, J. Med. Chem., 47:2393-2404(2004)]를 참고하라. 하이드록시 모이어티를 함유하는 약물의 경우, 아세틸 및 다른 에스테르 유사체가 전구약물로서 이용하기 위해 고려된다. 예로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는 [Beaumont, Current Drug Metabolism, 4:461-485(2003)]을 참고하라. 아민 모이어티를 함유하는 약물의 경우, 아미드 및 카바메이트를 함유하는 전구약물이 고려된다. 예로,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는 [Simplicio, Molecules, 13:519-547(2008)]을 참고하라. 구체예로서, (알콕시카보닐옥시)알킬 카바메이트, (아실옥시)알킬 카바메이트, 및 (옥소디옥솔레닐)알킬 카바메이트가 아민에 대한 효과적인 전구약물 전략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예로, 모두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는 [Li, Bioorg. Med. Chem. Lett., 7:2909-2912(1997); Alexander, J. Med. Chem., 34:78-81(1991); Alexander, J. Med. Chem., 31:318-322(1988); 및 Alexander, J. Med. Chem., 39:480-486(1996)]을 참고하라.
본원에 기재된 일부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키랄 중심을 보유한다. 따라서 각 화합물의 개시에는 그 별도의 거울상이성질체뿐만 아니라 거울상이성질체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화합물에 다중 키랄 중심이 존재하는 경우, 또한 화합물 내에서 키랄 중심의 각각의 가능한 조합뿐만 아니라 이들의 모든 가능한 거울상이성질체 및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이 제공된다. 특정한 입체화학 또는 이성질체 형태는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는 한, 구조의 모든 키랄, 부분입체이성질체 및 라세미체 형태가 의도된다. 광학 활성 형태를 어떻게 제조하는지, 예컨대 라세미체 형태의 분해에 의한 것인지 또는 광학 활성 원료로부터의 합성에 의한 것인지는 당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하기 정의가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과 함께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주어진 기에 존재하는 탄소 원자의 수는 "Cx 내지 Cy"로 명명되며, 여기서 x 및 y는 각각 하한 및 상한이다. 본원에서의 정의에서 이용되는 탄소수는 탄소 골격 및 탄소 분기를 나타내지만, 치환체, 예컨대 알콕시 치환 등의 탄소 원자는 포함되지 않는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본원에서 명시적으로 정의되지 않은 치환체의 명명법은 관능기의 말단 부분, 이어서 부착점을 향한 주변 관능기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명명하여 결정된다. 본원에서 이용되는 "선택적으로 치환된"은 선택적으로 치환된 기의 적어도 1 개의 수소 원자가 대체되었음을 의미한다.
"알킬"은 선형 또는 분기형일 수 있는 탄화수소쇄를 나타낸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알킬은 1 개 내지 6 개(경계 포함)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알킬은 1 개 내지 5 개(경계 포함)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추가 구현예에서, 알킬은 1 개 내지 4 개(경계 포함)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알킬은 1 개 내지 3 개(경계 포함)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추가 구현예에서, 알킬은 1 개 또는 2 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탄화수소쇄인 알킬 기의 예에는 비제한적으로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및 헥실이 포함되며, 여기서 이들 예의 모든 이성질체가 고려된다.
알킬 기는 또한 사이클릭 알킬 라디칼, 즉 "카보사이클릭 고리" 또는 "사이클로알킬"로 구성되거나 이를 함유할 수 있다. 카보사이클릭 고리의 예에는 비제한적으로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등이 포함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카보사이클릭 고리는 3- 내지 6-원이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카보사이클릭 고리는 3- 내지 5-원 고리이다. 추가 구현예에서, 카보사이클릭 고리는 4- 내지 6-원이다. 추가 구현예에서, 카보사이클릭 고리는 3- 또는 4-원, 즉 사이클로프로필 또는 사이클로부틸이다. 구체적으로 주지하지 않는 한, 알킬 기는 치환되지 않는다, 즉 이들은 탄소 및 수소 원자만 함유한다. 그러나 알킬기 또는 카보사이클릭 고리가 치환되는 경우, 여기에는 용어 "선택적으로 치환된" 또는 "치환된"이 앞에 붙는다. 알킬기 또는 카보사이클릭 고리의 선택적 치환체에는 비제한적으로 할로겐, CN, NO2, C1 내지 C6 알킬, OH, C1 내지 C6 알콕시, C1 내지 C6 알콕시-C1 내지 C6 알콕시, C1 내지 C6 알콕시-C1 내지 C6 알킬-C1 내지 C6 알콕시, 헤테로사이클릴옥시, C1 내지 C6 알킬티오, 아릴, 헤테로사이클, 헤테로아릴, C(O)(C1 내지 C6 알킬), C(O)(헤테로사이클), C(O)O(C1 내지 C6 알킬), C(O)NH2, C(O)NH(C1 내지 C6 알킬), C(O)N(C1 내지 C6 알킬)(C1 내지 C6 알킬), SO2(C1 내지 C6 알킬), SO2(C2 내지 C6 알키닐), SO2NH(C1 내지 C6 알킬), SO2(헤테로사이클), NHC(O)(C1 내지 C6 알킬), NHSO2(C1 내지 C6 알킬), N(C1 내지 C6 알킬)SO2(C1 내지 C6 알킬), NH2, NH(아릴), N(C1 내지 C6 알킬)(C1 내지 C6 알킬), 및 NHC(O)NH2가 포함된다.
"알콕시"는
Figure pat00009
O(알킬)을 나타내며, 식 중 알킬은 선택적으로 치환되고 상기에서 정의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알콕시는 1 개 내지 6 개(경계 포함)의 탄소 원자 또는 이들 사이의 정수 또는 범위를 함유한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알콕시는 1 개 내지 5 개(경계 포함)의 탄소 원자 또는 이들 사이의 범위를 함유한다. 추가 구현예에서, 알콕시는 1 개 내지 4 개(경계 포함)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추가 구현예에서, 알콕시는 1 개 내지 3 개(경계 포함)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추가 구현예에서, 알콕시는 1 또는 2 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알콕시의 예에는 비제한적으로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및 부톡시가 포함된다. 알콕시기의 알킬 라디칼는 "알킬"에 대해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이 치환되지 않을 수도 치환될 수도 있다.
"아릴"은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아릴은 6 개 내지 10 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즉 6-, 7-, 8-, 9- 또는 10-원이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아릴은 방향족 또는 부분 방향족 바이사이클릭기이다. 추가 구현예에서, 아릴은 페닐기이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아릴은 나프틸(예컨대 α-나프틸 또는 β-나프틸), 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틸, 또는 인다닐이다. 아릴 기는 치환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비제한적으로 할로겐, NO2, C1 내지 C6 알킬, OH, C1 내지 C6 알콕시, C1 내지 C6 알콕시-C1 내지 C6 알콕시, C1 내지 C6 알콕시-C1 내지 C6 알콕시-C1 내지 C6 알콕시, 헤테로사이클릴옥시, C1 내지 C6 알킬티오, 아릴, 헤테로사이클, 헤테로아릴, C(O)(C1 내지 C6 알킬), C(O)(헤테로사이클), C(O)O(C1 내지 C6 알킬), C(O)NH2, C(O)NH(C1 내지 C6 알킬), C(O)N(C1 내지 C6 알킬)(C1 내지 C6 알킬), SO2(C1 내지 C6 알킬), SO2(C2 내지 C6 알키닐), SO2NH(C1 내지 C6 알킬), SO2(헤테로사이클), NHSO2(C1 내지 C6 알킬), N(C1 내지 C6 알킬)SO2(C1 내지 C6 알킬), NH2, NH(아릴) 또는 NHC(O)NH2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기로 치환될 수도 있다.
"할로겐"은 F, Cl, Br 및 I를 나타낸다.
용어 "헤테로원자"는 황, 질소, 또는 산소 원자를 나타낸다. "헤테로아릴"은 적어도 1 개의 고리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모노사이클릭 방향족 5- 또는 6-원 고리를 나타낸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헤테로아릴은 1 개 내지 5 개의 탄소 원자(경계 포함) 또는 이들 사이의 정수 또는 범위를 함유한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헤테로아릴은 2 개 내지 5 개의 탄소 원자(경계 포함)를 함유한다. 추가 구현예에서, 헤테로아릴은 3 개 내지 5 개의 탄소 원자(경계 포함)를 함유한다. 추가 구현예에서, 헤테로아릴은 4 개 또는 5 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헤테로아릴"은 또한 바이사이클릭 방향족 고리 시스템을 나타내며, 여기서 지금 기재된 바와 같은 헤테로아릴기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이클릭 모이어티에 융합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페닐 라디칼은 5- 또는 6-원 모노사이클릭 헤테로아릴에 융합되어 바이사이클릭 헤테로아릴을 형성한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사이클릭 알킬은 모노사이클릭 헤테로아릴에 융합되어 바이사이클릭 헤테로아릴을 형성한다. 추가 구현예에서, 바이사이클릭 헤테로아릴은 5- 또는 6-원 모노사이클릭 헤테로아릴에 융합된 피리딘이다. 추가 구현예에서, 헤테로아릴 고리는 고리 내에 1 개 또는 2 개의 질소 원자를 갖는다. 추가 구현예에서, 헤테로아릴 고리는 1 개의 질소 원자 및 1 개의 산소 원자를 갖는다. 추가 구현예에서, 헤테로아릴 고리는 1 개의 질소 원자 및 1 개의 황 원자를 갖는다. 헤테로아릴기의 예에는 비제한적으로 푸란, 티오펜, 인돌, 아자인돌, 옥사졸, 티아졸, 이소옥사졸, 이소티아졸, 이미다졸, 피리딘, 피리돈, 피라졸, 피리미딘, 피라진, 피리다진, 피롤, 옥사디아졸, 예컨대 1,3,4-옥사디아졸, 트리아졸, 예컨대 1,2,4-트리아졸, 테트라졸, 벤족사졸, 벤조티아졸, 벤조푸란, 벤즈이소옥사졸, 벤즈이미다졸, 아자벤즈이미다졸, 인다졸, 퀴나졸린, 퀴놀린, 및 이소퀴놀린이 포함된다. 헤테로아릴은 치환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비제한적으로 할로겐, CN, NO2, C1 내지 C6 알킬, OH, C1 내지 C6 알콕시, C3 내지 C8 사이클로알킬, C1 내지 C6 알콕시-C1 내지 C6 알콕시, C1 내지 C6 알콕시-C1 내지 C6 알콕시-C1 내지 C6 알콕시, 1 개 내지 3 개의 불소 원자를 함유하는 C1 또는 C6 알킬, 1 개 내지 3 개의 불소 원자를 함유하는 C1 내지 C6 알콕시, C3 내지 C6 사이클로알킬-C1 내지 C6 알킬, C1 내지 C6 하이드록시알킬, 헤테로사이클릴옥시, C1 내지 C6 알킬티오, 아릴, 헤테로사이클, 헤테로아릴, C(O)(C1 내지 C6 알킬), C(O)(헤테로사이클), C(O)O(C1 내지 C6 알킬), C(O)NH2, C(O)NH(C1 내지 C6 알킬), C(O)N(C1 내지 C6 알킬)(C1 내지 C6 알킬), SO2(C1 내지 C6 알킬), SO2(C2 내지 C6 알키닐), SO2NH(C1 내지 C6 알킬), SO2(헤테로사이클), NHC(O)(C1 내지 C6 알킬), NHSO2(C1 내지 C6 알킬), N(C1 내지 C6 알킬)SO2(C1 내지 C6 알킬), NH2, NH(아릴), N(C1 내지 C6 알킬)(C1 내지 C6 알킬) 및 NHC(O)NH2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기로 치환될 수도 있다.
"헤테로사이클"은 모노사이클릭 또는 바이사이클릭기를 나타내며, 여기서 적어도 1 개의 고리 원자는 헤테로원자이다. 헤테로사이클은 포화되거나 부분 포화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헤테로사이클은 3 개 내지 7 개의 탄소 원자(경계 포함) 또는 이들 사이의 정수 또는 범위를 함유한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헤테로사이클은 4 개 내지 7 개의 탄소 원자(경계 포함)를 함유한다. 추가 구현예에서, 헤테로사이클은 4 개 내지 6 개의 탄소 원자(경계 포함)를 함유한다. 추가 구현예에서, 헤테로사이클은 5 개 또는 6 개의 탄소 원자(경계 포함)를 함유한다. 헤테로사이클의 예에는 비제한적으로 아지리딘, 옥시란, 티이란, 모르폴린, 티오모르폴린, 피롤린, 피롤리딘, 아제판, 디하이드로푸란,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하이드로티오펜, 테트라하이드로티오펜, 디티올란, 피페리딘, 1,2,3,6-테트라하이드로피리딘-1-일, 테트라하이드로피란, 피란, 티안, 티인, 피페라진, 호모피페라진, 옥사진, 아제칸, 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 퍼하이드로이소퀴놀린, 5,6-디하이드로-4H-1,3-옥사진-2-일, 2,5-디아자바이사이클로[2.2.1]헵탄, 2,5-디아자바이사이클로[2.2.2]옥탄, 3,6-디아자바이사이클로[3.1.1]헵탄, 3,8-디아자바이사이클로[3.2.1]옥탄, 6-옥사-3,8-디아자바이사이클로[3.2.1]옥탄, 7-옥사-2,5-디아자바이사이클로[2.2.2]옥탄, 2,7-디옥사-5-아자바이사이클로[2.2.2]옥탄, 2-옥사-5-아자바이사이클로[2.2.1]헵탄-5-일, 2-옥사-5-아자바이사이클로[2.2.2]옥탄, 3,6-디옥사-8-아자바이사이클로[3.2.1]옥탄, 3-옥사-6-아자바이사이클로[3.1.1]헵탄, 3-옥사-8-아자바이사이클로[3.2.1]옥탄-8-일, 5,7-디옥사-2-아자바이사이클로[2.2.2]옥탄, 6,8-디옥사-3-아자바이사이클로[3.2.1]옥탄, 6-옥사-3-아자바이사이클로[3.1.1]헵탄, 8-옥사-3-아자바이사이클로[3.2.1]옥탄-3-일, 2,5-디아자바이사이클로[2.2.1]헵탄-5-일, 6-아자바이사이클로[3.2.1]옥트-6-일, 8-아자바이사이클로[3.2.1]옥탄-8-일, 3-옥사-7,9-디아자바이사이클로[3.3.1]노난-9-일, 9-옥사-3-아자바이사이클로[3.3.1]노난-3-일, 3-옥사-9-아자바이사이클로[3.3.1]노난-9-일, 3,7-디옥사-9-아자바이사이클로[3.3.1]노난-9-일, 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7-일, 티아진, 디티안, 및 디옥산이 포함된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헤테로사이클은 1 개 또는 2 개의 질소 원자를 함유한다. 추가 구현예에서, 헤테로사이클은 1 개 또는 2 개의 질소 원자 및 3 개 내지 6 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추가 구현예에서, 헤테로사이클은 1 개 또는 2 개의 질소 원자, 3 개 내지 6 개의 탄소 원자, 및 1 개의 산소 원자를 함유한다. 추가 구현예에서, 헤테로사이클은 5- 내지 8-원이다. 추가 구현예에서, 헤테로사이클은 5-원이다. 추가 구현예에서, 헤테로사이클은 6-원이다. 추가 구현예에서, 헤테로사이클은 8-원이다. 헤테로사이클은 치환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비제한적으로 할로겐, CN, NO2, C1 내지 C6 알킬, OH, C1 내지 C6 알콕시, C1 내지 C6 알콕시-C1 내지 C6 알콕시, C1 내지 C6 알콕시-C1 내지 C6 알콕시-C1 내지 C6 알콕시, C1 내지 C6 하이드록시알킬, C3 내지 C6 사이클로알킬, 1 개 내지 3 개의 불소 원자를 함유하는 C1 내지 C6 알킬, C3 내지 C6 사이클로알킬-C1 내지 C6 알킬, 헤테로사이클릴옥시, C1 내지 C6 알킬티오, 아릴, 헤테로사이클, 헤테로아릴, C(O)(C1 내지 C6 알킬), C(O)(헤테로사이클), C(O)O(C1 내지 C6 알킬), C(O)NH2, C(O)NH(C1 내지 C6 알킬), C(O)N(C1 내지 C6 알킬)(C1 내지 C6 알킬), SO2(C1 내지 C6 알킬), SO2(C2 내지 C6 알키닐), SO2NH(C1 내지 C6 알킬), SO2(헤테로사이클), NHC(O)(C1 내지 C6 알킬), NHSO2(C1 내지 C6 알킬), N(C1 내지 C6 알킬)SO2(C1 내지 C6 알킬), NH2, NH(아릴), N(C1 내지 C6 알킬)(C1 내지 C6 알킬) 및 NHC(O)NH2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기로 치환될 수도 있다.
"알킬아미노"는 NH 또는 N 기를 나타내며, 기의 질소 원자는 각각 1 개 또는 2 개의 알킬 치환체에 부착되며, 여기서 알킬은 선택적으로 치환되고 상기에서 정의된다. 알킬아미노는 기의 질소 원자를 통해 결합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알킬아미노는
Figure pat00010
NH(알킬)을 나타낸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알킬아미노는
Figure pat00011
N(알킬)(알킬), 즉 "디알킬아미노"를 나타낸다. 추가 구현예에서, 알킬아미노는
Figure pat00012
N(C1 내지 C6 알킬)(C1 내지 C6 알킬)을 나타낸다. 추가 구현예에서, 알킬아미노는
Figure pat00013
N(알킬)(헤테로사이클)을 나타낸다. 추가 구현예에서, 알킬아미노는
Figure pat00014
N(알킬)(아릴)을 나타낸다. 추가 구현예에서, 알킬아미노는
Figure pat00015
N(알킬)(헤테로아릴)을 나타낸다. 추가 구현예에서, 알킬아미노는
Figure pat00016
N(알킬)(알케닐)을 나타낸다. 질소 원자가 2 개의 알킬 기에 결합되는 경우, 각각의 알킬기는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추가 구현예에서, 질소 원자 상의 2 개의 알킬기는 이들이 부착되는 질소와 함께 취해져서 3- 내지 4-원 질소-함유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할 수 있고, 여기서 헤테로사이클의 최대 2 개의 탄소 원자는 N(H), N(C1 내지 C6 알킬), N(아릴), N(헤테로아릴), O, S(O), 또는 S(O)2로 대체될 수 있다. 알킬아미노의 예에는 비제한적으로 N(CH3)2, N(CH2CH3)(CH3), N(CH2CH3)2, N(CH2CH2CH3)2, N(CH2CH2CH2CH3)2, 및 N(CH(CH3)2)(CH3)이 포함된다.
"아릴아미노"는 NH 또는 N 기를 나타내며, 기의 질소 원자는 각각 1 개 또는 2 개의 아릴 치환체에 부착되며, 여기서 아릴은 선택적으로 치환되고 상기에서 정의된다. 아릴아미노는 기의 질소 원자를 통해 결합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아릴아미노는
Figure pat00017
NH(아릴)을 나타낸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아릴아미노는
Figure pat00018
N(아릴)(아릴), 즉 "디아릴아미노"를 나타낸다. 질소 원자가 2 개의 아릴 기에 결합되는 경우, 각각의 아릴은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알킬카보닐아미노"는
Figure pat00019
NHC(O)(알킬) 또는
Figure pat00020
N(알킬)C(O)(알킬)을 나타내며, 여기서 알킬기는 상술된 바와 같이 독립적으로 정의되고 독립적으로 선택적으로 치환된다. 알킬카보닐아미노의 예에는 비제한적으로 CH3CONH, CH3CH2CONH, CH3CH2CH2CONH, 및 CH3CH(CH3)CONH가 포함된다.
"에스테르"는
Figure pat00021
C(O)O(알킬)을 나타내며, 이는 탄소 원자를 통해 결합된다. 알킬기는 상술된 바와 같이 정의되며 선택적으로 치환된다. 에스테르의 예에는 비제한적으로 C(O)OCH3, C(O)O(CH2CH3), C(O)O(CH2CH2CH3), 및 C(O)(O)(CH2CH2CH2CH3)가 포함된다.
"요소"는
Figure pat00022
NHC(O)NH
Figure pat00023
를 갖는 기를 나타내며, 여기서 질소 원자 중 1 개는 알킬 또는 헤테로아릴기에 결합된다. 알킬 또는 헤테로아릴기는 상술된 바와 같이 정의되고 선택적으로 치환된다. 요소의 예에는 비제한적으로 NHC(O)NHCH3, NHC(O)NHCH2CH3, NHC(O)NHCH2CH2CH3, 및 NHC(O)NHCH2CH2CH2CH3가 포함된다.
"알킬아미노카보닐"은
Figure pat00024
C(O)NH(알킬) 또는
Figure pat00025
C(O)N(알킬)(알킬)을 나타내며, 여기서 알킬기는 상술된 바와 같이 독립적으로 정의되고 독립적으로 선택적으로 치환된다. 알킬아미노카보닐의 예에는 비제한적으로 CH3NHCO, CH3CH2NHCO, CH3CH2CH2NHCO, 및 CH3CH(CH3)NHCO가 포함된다.
단수 용어가 하나 이상을 나타내는 것이 주지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용어 단수, "하나 이상", 및 "적어도 하나"는 본원에서 상호 교환적으로 이용된다.
단어 "포함한다",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은 배타적이 아니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어 "구성된다", "구성되는", 및 그 변형은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배타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원에서 이용되는 용어 "약"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주어진 참조로부터의 10% 변동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이용되는 용어 "조절" 또는 이들의 변형은 생물학적 경로의 하나 이상의 성분을 저해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능력을 나타낸다.
본원에서 이용되는 용어 "대상체" 및 "환자"는 상호 교환적으로 이용되며 포유동물, 예로 인간, 마우스, 래트, 기니아픽, 개, 고양이, 말, 소, 돼지 또는 비인간 영장류, 예컨대 원숭이, 침팬지, 비비원숭이 또는 고릴라가 포함된다.
본원에서 이용되는 용어 "질병", "장애" 및 "병태"는 상호 교환적으로 이용되어, 대상체에서의 비정상적 상태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본원에서 이용되는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당업자에 의해 그리고 당분야 숙련가에서 본 출원에서 이용되는 여러 용어에 대한 일반 지침을 제공하는 공개 텍스트를 참조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원에 기재된 약학적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다른 약학적으로 비활성 또는 불활성 성분과 함께, 화학식 I의 화합물(본원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화학식 II-IV의 화합물 포함)을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약학적 비활성 또는 불활성 성분은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이다. 또한, 하나 이상의 치료제, 즉 아래에 기재된 바와 같은 활성 성분과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조합이 고려된다. 추가 구현예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비활성/불활성 성분 및 하나 이상의 치료제와 조합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P2X3 또는 P2X2/3의 조절에서, 예컨대 대상체에서의 통증 치료에서 효과적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양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치료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투여형은 요인들, 예컨대 제형, 약물의 약리학적 효능, 환자의 연령, 체중 및 성별, 치료할 병태, 환자 증상의 중증도, 구체적인 화학식 I의 화합물, 전달 경로, 및 환자의 반응 패턴에 의존할 것이다. 또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투여형 및 치료는 단위 투여형 형태로 투여될 수 있고, 당분야 숙련가는 이에 따라 상대 활성 수준을 반영하도록 단위 투여형 형태를 조정할 것임이 고려된다. 채용할 특정 투여형(및 하루에 투여할 횟수)에 대한 결정은 당분야의 의사의 판단 범위 내이며, 치료 효과를 생성하기 위해 특정 상황에 대한 투여형의 적정에 의해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당분야 숙련가는 조성물 성분 또는 희석도에서의 변화로 인해, 조성물의 임의의 하나의 화합물의 효과적인 양에서 임의의 변화를 계산할 수 있을 것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2 배 희석될 수 있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4 배 희석될 수 있다. 추가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8 배 희석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은 약 0.0001% 내지 약 25% w/v(즉, 제형 mL 당 약물 중량)이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은 약 20% w/v, 약 15% w/v, 약 10% w/v, 약 5% w/v, 또는 약 1% w/v 미만이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은 약 0.0001% 내지 약 10% w/v이다. 추가 구현예에서,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은 약 0.005 내지 약 5% w/v이다. 추가 구현예에서,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운 약 0.01 내지 약 5% w/v이다. 추가 구현예에서,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은 약 0.01% w/v, 약 0.05% w/v, 약 0.1% w/v, 약 0.2% w/v, 약 0.3% w/v, 약 0.4% w/v, 약 0.5% w/v, 약 0.6% w/v, 약 0.7% w/v, 약 0.8% w/v, 약 0.9% w/v, 약 1% w/v, 약 2% w/v, 약 3% w/v, 약 4% w/v, 또는 약 5% w/v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은 약 0.2% w/v이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은 약 0.5% w/v이다.
따라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은 70 kg의 포유동물, 예를 들어 인간 대상체 기준으로 용량 당 약 1 mg 내지 약 1000 mg일 수 있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은 용량 당 약 2 mg 내지 약 250 mg이다. 추가 구현예에서,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은 약 5 mg 내지 약 100 mg이다. 추가 구현예에서,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은 약 25 mg 내지 50 mg, 약 20 mg, 약 15 mg, 약 10 mg, 약 5 mg, 약 1 mg, 약 0.1 mg, 약 0.01 mg, 약 0.001 mg이다.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은 규칙적 일정으로, 즉 날짜, 주, 개월 또는 년 기준으로 또는 다양한 투여 일, 주, 개월 등의 불규칙적 일정으로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투여할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은 변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제1 용량에 대해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은 하나 이상의 후속 용량에 대한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보다 높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제1 용량에 대해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은 하나 이상의 후속 용량에 대한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보다 낮다. 동등한 투여형은 비제한적으로 약 2 시간마다, 약 6 시간마다, 약 8 시간마다, 약 12 시간마다, 약 24 시간마다, 약 36 시간마다, 약 48 시간마다, 약 72 시간마다, 약 1 주마다, 약 2 주마다, 약 3 주마다, 약 1 개월마다, 약 2 개월마다, 약 3 개월마다, 그리고 약 6 개월마다를 포함하는 다양한 시기에 걸쳐 투여될 수 있다. 치료법의 전체 경과에 대응하는 투여형의 횟수 및 빈도는 건강 관리 실시자의 판단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본원에 기재된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은 주어진 시기 동안 투여되는 총량을 나타낸다; 즉, 하나를 초과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이 투여되는 경우,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은 투여되는 총량에 대응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선택된 특정 병태를 고려하여, 임의의 경로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다른 것들 중에서, 경구, 주사에 의해, 흡입(경구, 비강내 및 기관내 포함), 눈, 경피(단순 수동 확산 제형을 통해 또는 예를 들어 이온이동법, 마이크로바늘을 이용한 마이크로천공, 고주파 절제 등을 이용하는 촉진 전달을 통해), 혈관내, 피부, 피하, 근육내, 설하, 두개내, 경막외, 직장, 방광내 및 질로 전달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마이크로주사를 포함하는 주사에 의해, 경피 또는 국소로 투여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양은 투여 경로에 따라 제조물의 약 0.05% w/w 내지 약 10% w/w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약 0.1% w/w 내지 약 3% w/w의 농도로 존재한다. 이들 조성물은 또한 안정화제, 항균제, 완충제를 함유할 수 있고, 상이한 투여형 단위 앰플 또는 병에 제조될 수 있다. 눈 이용을 위한 경우,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양은 약 0.05% w/w 내지 약 2.5% w/w일 수 있다. 주사 또는 주입용 조성물은 수성 현탁액 또는 용액으로 제조될 수 있다.??
피부 마취를 위해 이용된 경우,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양은 약 0.1% w/w 내지 약 10% w/w일 수 있다. 비-안구, 국소(예로, 경구, 비강, 직장, 요도, 질) 투여를 위해 이용된 경우,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양은 약 0.5% w/w 내지 약 5% w/w일 수 있다. 주사로서 이용된 경우,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양은 주사를 위해 약 0.25% w/w 내지 약 3% w/w일 수 있다. 주입을 위해 이용된 경우(예로, 경막외, 척추 또는 부위 마취를 위한 경우),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양은 약 0.1% w/w 내지 약 3% w/w일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눈으로, 예로 용액, 현탁액 또는 연고로서 국소 투여될 수 있다. 이용될 수 있는 안과적으로 상용성인 담체의 예에는 비제한적으로 안과적으로 상용성인 보존제, 계면활성제, 완충제, 및 점도 조절물질을 함유하는 수용액, 예컨대 식염수 용액, 오일 용액 또는 연고가 포함된다. 이들 조성물은 또한 안정화제, 항균제를 함유할 수 있고, 눈 투여에 적합한 상이한 투여형 단위로 제조될 수 있다. 가용성이거나 불용성인 약물 삽입물이 또한 이용될 수 있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주사 또는 주입용 용액은 수용액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약 0.1% w/w 내지 약 3% w/w의 농도로 존재한다. 이들 용액은 또한 안정화제, 항균제, 완충제를 함유할 수 있고, 상이한 투여형 단위 앰플 또는 병에 제조될 수 있다.
추가 구현예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직장 투여될 수 있다. 직장 투여용 투여형 단위는 연고 또는 좌약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고, 이는 중성 지방 기재와의 혼합물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함유하거나, 이들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식물성 오일 또는 파라핀 오일과의 혼합물로 함유하는 젤라틴-직장 캡슐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연고, 좌약 또는 크림은 치질 치료를 위해 유용하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경피로 투여될 수 있다. 다양한 경피 전달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이들 시스템에서 이용하기 위해,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용액, 연고, 크림, 로션 또는 겔을 형성하기 위해, 예로 pH 조절제, 보존제 및/또는 침투 증강제를 포함할 수 있는 다양한 부형제와 혼합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경피 전달 시스템("패치" 등)의 구성성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피부층을 통한 그리고 표적화된 영역, 예컨대 근육 조직 또는 신경주위 공간으로의 통과를 허용하거나 보조하는 경피 전달 시스템이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는 피부 침투 증강제를 포함하는 제형이 포함될 수 있다. 피부 침투 증강제의 예에는 물리적 증강제(초음파, 이온이동법, 전기천공, 자기천공, 마이크로바늘), 소포, 미립자 시스템(리포좀, 니오좀, 트랜스퍼좀, 마이크로에멀젼, 고체 지질 나노입자), 및 화학적 증강제(설폭사이드, 아존, 글리콜, 알칸올, 테르펜 등)가 포함된다. 화학적 증강제의 추가 예에는, 예로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이소프로판올, 에탄올, 올레산, N-메틸피롤리돈이 포함되며, 이는 화합물에 대한 피부의 투과도를 증가시키고 화합물이 피부를 통해 더 심부 조직으로 침투하도록 허용한다. 화학적 증강제의 추가 예에 대해서는,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는 [Sagie & Kohane, "Prolonged Sensory-Selective Nerve Blockade", PNAS, 2010(8): 3740-3745, 2010]을 참고하라.
추가 구현예로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방광 및/또는 요로 내로의 직접적 점적을 통해 점적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하나 이상의 담체 또는 부형제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이 점적을 위해 제형화된다.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용액으로서 점적될 수 있다. 추가 예에서, 점적된 화합물은 연장 방출 제형으로 상기 방광 또는 요로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연장 방출 제형이 상기 목적을 위해 이용될 수 있고, 비제한적으로 다른 것들 중에서 용액, 현탁액, 겔 또는 저장소를 함유하는 다른 고체 투여형 형태, 약물 코팅된 물질, 약물 함침된 물질, 리포좀-약물 제형이 포함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희석되지 않고 또는 투여를 위한 하나 이상의 약학적 담체 및/또는 부형제와 함께 제형화될 수 있다. 약학적 담체(들)의 양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용해도 및 화학적 성질, 선택된 투여 경로 및 표준 약리 실시에 의해 결정된다. 약학적 담체(들)는 고체 또는 액체일 수 있고, 고체 및 액체 담체/매트릭스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적합한 액체 담체가 공지되어 있고, 당분야 숙련가가 쉽게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담체에는, 예로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식염수, 완충 식염수, 사이클로덱스트린, 하이드록시프로필사이클로덱스트린(HPβCD), n-도데실-β-D-말토사이드(DDM)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 유사하게, 다양한 고체(강성 또는 가요성) 담체 및 부형제는 당분야 숙련가에게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담체는 또한 방광 내로 주사된 경우 상 전이를 겪도록(예로, 액체에서 겔로, 액체에서 고체로, 겔에서 고체로)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은 당분야 숙련가에게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담체는 또한, 예를 들어 열가소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막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고체 또는 액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저장소를 정의한다. 이러한 담체는 또한 열가소성 중합체 매트릭스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구현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또한, 다른-막 안정화제(국소 마취제)와 함께 투여되어, 예를 들어 공융 혼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단독 투여될 수 있지만, 이는 또한 생리적으로 상용성인 하나 이상의 약학적 담체의 존재 하에 투여될 수 있다. 담체는 건조 또는 액체 형태일 수 있고,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해야 한다. 액체 약학적 조성물은 멸균 용액 또는 현탁액일 수 있다. 액체 담체가 이용된 경우, 이들은 멸균 액체일 수 있다. 액체 담체는 용액, 현탁액, 에멀젼, 시럽 및 엘릭서의 제조에서 이용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액체 담체 중에 용해된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액체 담체 중에 현탁된다. 제형 분야 숙련가는 투여 경로에 따라 적합한 액체 담체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대안적으로 고체 담체 중에 제형화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단위 용량 형태, 즉 정제 또는 캐플릿으로 압축될 수 있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단위 용량 형태, 즉 캡슐에 첨가될 수 있다. 추가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분말로서 투여를 위해 제형화될 수 있다. 고체 담체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후술되는 2 개 이상의 부형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체 담체는 또한 방향제, 윤활제, 가용화제, 현탁제, 충전제, 활택제, 압축 보조제, 결합제, 붕해제 또는 캡슐화 물질로서 작용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고체 담체는 윤활제, 가용화제, 현탁제, 결합제, 붕해제 또는 캡슐화 물질로서 작용한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담체는 최소한 고체 또는 액체 조성물로서 적어도 하나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저장소를 정의하는 열가소성 중합체를 포함한다. 추가 구현예에서, 이러한 담체는 열탄성 중합체 매트릭스를 포함하며, 여기서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이 구현된다.
조성물은 또한 적절한 양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함유하도록 세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위 투여형은 포장된 조성물, 예로 패킷화된 분말, 바이알, 앰플, 사전충전된 시린지 또는 액체 함유 사체트일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담체 및 하나 이상의 부형제, 그리고 하나 이상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함유한다. 적합한 부형제의 예에는 비제한적으로 계면활성제, 아쥬반트, 항산화제, 결합제, 완충제, 코팅, 착색제, 압축 보조제, 희석제, 붕해제, 유화제(예로,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연화제, 캡슐화 물질, 충전제, 방향제, 활택제, 제립화제, 윤활제, 금속 킬레이트제, 삼투압-조절물질, pH 조정물질(예로,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보존제, 가용화제, 흡착제, 안정화제, 감미제(예컨대 사카린), 계면활성제, 현탁제, 시럽, 증점제(예로, 카복시폴리메틸렌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침투 증강제(예로, 하이드록시폴리에톡시도데칸, DMSO, DMAC, DDM 등) 또는 점도 조절물질(예컨대 점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중합체)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는 ["Handbook of Pharmaceutical Excipients", 5th Edition, Eds.: Rowe, Sheskey, and Owen, APhA Publications(Washington, DC), December 14, 2005]에 기재된 부형제를 참고하라.
하나의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흡입제로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투여 경로에 있어서, 조성물은 통기법을 위한 건조 분말에 의해 또는 분무 펌프의 원자화에 의해 전달용 비히클 및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이용하여 유체 단위 용량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에어로졸로서, 즉 경구 또는 비강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투여 경로에 있어서, 조성물은 기체성 또는 액화된 추진제, 예로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탄소 디옥사이드, 질소, 프로판 등과 함께 가압된 에어로졸 용기에서의 이용을 위해 제형화된다. 또한 하나 이상의 구동에서 계량된 용량의 전달이 제공된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변형된-방출 전달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서 이용되는 "변형된-방출"은, 예를 들어 적어도 약 8 시간(예로, 연장된 전달) 내지 적어도 약 12 시간(예로, 지속된 전달)의 기간에 걸쳐 제어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전달을 나타낸다. 이러한 장치는 또한 즉시 방출을 허용할 수 있다(예로, 치료 수준이 약 1 시간 하에 또는 약 2 시간 미만에 달성됨). 당분야 숙련가는 적합한 변형된-방출 전달 장치를 안다. 이러한 변형된-방출 전달 장치에서 이용하기 위해,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형화된다.
적합한 변형된 방출 전달 장치에는 약물-용출 임플란트가 포함된다. 이러한 임플란트는 열탄성 중합체 매트릭스, 예컨대 실리콘 또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매트릭스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부형제와 함께 하나 이상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이 구현된다. 예로, 그 개시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는 US 특허 번호 7,736,665 및 US 특허 공개 번호 US-2011/0280922를 참고하라. 다른 약물-용출 임플란트는 장치 내에 함유된 하나 이상의 화학식 I의 화합물(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부형제와 함께)을 포함하는 용액이, 예를 들어 이것이 대상체 내에 임플란트되면 장치 내에 구축되는 삼투압에 의해 임플란트 벽을 통해 또는 하나 이상의 천공을 통해 힘을 받는 "삼투압 펌프" 또는 다른 기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 그 개시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는 US 특허 번호 5,035,891 및 6,464,688을 참고하라. 또 다른 약물-용출 임플란트는 하이드로겔, 예컨대 폴리메타크릴레이트-기재 중합체(예로, 그 개시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는 US 특허 번호 5,292,515 및 5,266,325), 또는 열탄성 중합체, 예컨대 폴리우레탄(예로, 그 개시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는 US 특허 번호 7,858,110 및 7,842,303)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부형제와 함께 하나 이상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고체 또는 액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저장소를 정의한다. 또 다른 약물-용출 임플란트는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부형제와 함께 생분해성 또는 생체부식성 중합체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 그 개시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는 US 특허 번호 4,906,474 및 5,633,002를 참고하라.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변형된 방출은 또한 방광 내로 삽입된 내시경을 통해 또는 경피로 채용될 수 있는 장치로 하나 이상의 이들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방광 조직 내로(예로, 요로 또는 고유판 내로) 주사하여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은 그 개시가 참조로 포함되는 US 특허 공개 번호 US-2011/0046600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바늘, 또는 무바늘 장치를 통해 방광 조직 내로 주사될 수 있다. 적합한 무바늘 주사 장치에는 JetTouch™ 플랫폼(American Medical Systems; Minnetonka, Minnesota)이 포함된다. 주사된 화합물은 데팟을 형성할 수 있고, 특정한 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그 개시가 참조로 포함되는 US 특허 번호 5,480,656 및 6,036,976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생분해성 또는 생체부식성 중합체에서 캡슐화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변형된 방출은 또한, 예를 들어 방광 내로 점적되거나 방광 요로와 접촉 시 방광 벽의 적어도 일부를 코팅하기 위해 고화되거나 겔화되는 물질 및 하나 이상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점적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어서 하나 이상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은 고화되거나 겔화된 물질로부터 용출될 수 있다. 예로, 그 개시가 참조로 포함되는 US 특허 번호 6,894,071; 5,575,815 및 6,039,967을 참고하라.
추가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경피로, 즉 약물-용출 패치의 이용을 통해 투여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패치는 하나 이상의 약제(들)가, 단순한 또는 보다 복잡한, 예를 들어 온-보드 배터리를 이용하는, 예로 마이크로프로세서-제어되는 전류를 이용해서 전달되는 "이온이동성" 경피 패치이다. 추가 구현예에서, 패치는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로 코팅되거나 이를 함유하는 마이크로바늘(용해성 또는 비-용해성 형태)을 함유하는 "마이크로바늘" 경피 패치이다. 예로, 그 개시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는 US 특허 번호 7,798,987 및 7,537,795를 참고하라. 마이크로바늘 자체는 용해성 또는 비용해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는 [Sullivan, "Dissolving Polymer Microneedle Patches for Influenza Vaccination", Nature Medicine, 16:915-920(July 18, 2010 online publication) 및 Lee, "Dissolving Microneedle Patch for Transdermal Delivery of Human Growth Hormone", Small, 7(4):531-539(January 4, 2011 online publication)]에 기재된 "마이크로바늘" 기술을 참고하라. 다른 적합한 경피 전달 시스템에는 그 개시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는 [Sintov, "Radiofrequency-Driven Skin Microchanneling as a New Way for Electrically Assisted Transdermal Delivery of Hydrophilic Drugs", Controlled Release 89: 311-320(2003), 및 US 특허 번호 7,558,625]에 기재된 고주파 절제 시스템이 포함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투여를 위해 유용한 경피 패치의 추가 예에는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는 [US 특허 번호 5,411,738 및 5,827,528 그리고 Prausnitz and Langer, "Transdermal drug delivery", Nature Biotechnology, 26(11):1261-1268, November 2006]에 기재된 것들이 포함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패치는 피부 상에 적합한 접착제를 통해 적용되며, 여기서 적어도 1 시간 동안 제 위치에 유지된다. 추가 구현예에서, 패치는 약 1 시간 동안 제 위치에 유지되며 매주, 총 약 2 또는 약 3 시간의 작용 시간 동안 대체된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패치는 약 2 시간 동안 제 위치에 유지된다. 추가 구현예에서, 패치는 약 3 시간 동안 제 위치에 유지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패치는 약 4 시간 동안 제 위치에 유지된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패치는 더 길거나 더 짧은 시간 동안 제 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다른 약제(들) 또는 치료제(들)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투여가 고려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단일 조성물에서 다른 약제 또는 치료제와 조합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후술되는 바와 같은 다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다른 약제 또는 치료제와 하나 이상의 별도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TRPV1 수용체 활성화제와 조합된 경우, P2X3 또는 P2X2/3의 조절(예컨대 통증 치료)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이용되는 용어 "TRPV1 수용체 활성화제"는 통증수용기 또는 퓨리셉터 상에서 TRPV1 수용체를 활성화하고 전압-관문화된 이온(예로, 나트륨 또는 칼슘) 채널의 적어도 하나의 저해제의 진입을 허용하는 임의의 제제 또는 자극을 나타낸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TRPVl 수용체 활성화제에는 비제한적으로 캡사이신, 디하이드로캡사이신 및 노르디하이드로캡사이신, 리도카인, 아르티카인, 프로카인, 테트라카인, 메피비카인, 부피비카인, 유게놀, 캄포르, 클로트리마졸, 아르바닐(N-아라키도노일바닐라민), 아난다미드, 2-아미노에톡시디페닐 보레이트(2APB), AM404, 레시니페라톡신, 포볼 12-페닐아세테이트 13-아세테이트 20-호모바닐레이트(PPAHV), 올바닐(NE 19550), OLDA(N-올레오일도파민), N-아라키도닐도파민(NADA), 6'-요오도레시니페라톡신(6'-IRTX), Cl 8 N-아실에탄올아민, 리폭시게나아제 유도체(예컨대 12-하이드로퍼옥시아이코사테트라엔산), 저해제 시스테인 결절(ICK) 펩타이드(바닐로톡신), MSKl 95(N-[2-(3,4-디메틸벤질)-3-(피발로일옥시)프로필]-2-[4-(2-아미노에톡시)-3-메톡시페닐]아세트아미드), JYL79(N-[2-(3,4-디메틸벤질)-3-(피발로일옥시)프로필]-N'-(4-하이드록시-3-메톡시벤질)티오우레아), 하이드록시-α-산슐, 2-아미노에톡시디페닐 보레이트, 10-쇼가올, 올레일진게롤, 올레일쇼가올, SU200(N-(4-tert-부틸벤질)-N'-(4-하이드록시-3-메톡시벤질)티오우레아) 노니바미드, 및 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의 지방 아실 아미드가 포함된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TRPVl 수용체 활성화제는 리도카인, 아프린딘, 벤조카인, 부타카인, 코카인, 디부카인, 유카이니드, 멕실레틴, 옥세타카인(옥세타진), 프릴로카인, 프로파라카인, 프로카인아미드, n-아세틸프로카인아미드, 클로로프로카인(네사카인, 네스카인), 다이클로닌, 에티도카인, 레보부피바카인, 로피바카인, 사이클로메티카인, 디메토카인(라로카인), 프로폭시카인, 트리메카인, 및 심포카인이다. 추가 구현예에서, TRPVl 수용체 활성화제는 리도카인이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TRPV1 활성화제는 세제 또는 계면활성제일 수 있고, 그 예는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위생 제품, 예컨대 비누 및 샴푸에서 확인될 수 있다(예로,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는 [Lilja, "Surfactant-Induced TRPV1 activity - A Novel Mechanism for Eye Irritation?" Technological Sciences, 99(1):174-180, 2007]을 참고하라.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TRPV1 수용체 활성화제는 열 또는 염증이다(TRPV1 수용체를 활성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하나의 구현예에서, TRPV1 수용체 활성화제의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은 약 0.0001% 내지 약 10% w/v이다. 당분야 숙련가는 언급된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이 TRPV1 수용체 활성화제의 자유 염기에 기반한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상기 정보 및 당분야에서의 기술을 이용해서,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 및 방법에서 이용하기 위해 대응하는 TRPV1 수용체 활성화제 염의 양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은 약 10% w/v, 약 9% w/v, 약 8% w/v, 약 7% w/v, 약 6% w/v, 약 5% w/v, 약 4% w/v, 약 3% w/v, 약 2% w/v, 또는 약 1% w/v 미만이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은 약 0.1% 내지 약 5% w/v이다. 추가 구현예에서,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은 약 0.5 내지 약 3% w/v이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은 약 0.5 내지 약 2% w/v이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TRPV1 수용체 활성화제의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은 약 2% w/v이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은 약 1% w/v이다. 추가 구현예에서,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은 약 0.5% w/v이다.
따라서 TRPV1 수용체 활성화제의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은 70 kg 포유동물 대상체를 기준으로 용량 당 약 0.001 mg 내지 약 100 mg일 수 있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은 용량 당 약 0.1 mg 내지 약 25 mg이다. 추가 구현예에서,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은 약 1 mg 내지 약 5 mg이다. 추가 구현예에서,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은 약 0.1 mg, 약 0.5 mg, 약 1 mg, 약 2 mg, 약 3 mg, 약 4 mg, 약 5 mg, 약 6 mg, 약 7 mg, 또는 약 8 mg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리도카인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또한 본원에서 제공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약 0.01% 내지 약 1% w/v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약 0.1% 내지 약 5% w/v의 리도카인을 함유한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약 0.1% 내지 약 0.7% w/v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약 1% 내지 약 3% w/v의 리도카인을 함유한다. 추가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약 0.2% 내지 약 0.5% w/v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약 1% 내지 약 3% w/v의 리도카인을 함유한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약 0.2% 내지 약 0.5% w/v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약 2% w/v의 리도카인을 함유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약 0.2% w/v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약 2% w/v의 리도카인을 함유한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약 0.5% w/v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약 2% w/v의 리도카인을 함유한다.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이들 조성물은 추가로 희석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이들 조성물은 2 배 희석될 수 있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이들 조성물은 4 배 희석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약학적 조합 및 방법에서 이용하기 위해 전압-관문화된 이온 채널의 저해제가 고려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전압-관문화된 이온 채널은 나트륨 또는 칼슘 이온 채널이다. 추가 구현예에서, 전압-관문화된 나트륨 채널 저해제에는 비제한적으로 QX-314, N-메틸-프로카인(QX-222), N-옥틸-구아니딘, 9-아미노아크리딘, 및 판쿠로늄이 포함된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전압-관문화된 칼슘 채널의 저해제에는 비제한적으로 D-890(사차 메톡시베라파밀) 및 CERM 1 1888(사차 베프리딜)이 포함된다. 추가 구현예에서, 전압-관문화된 이온 채널 저해제, 예컨대 릴루졸, 멕실리틴, 페니토인, 카르바마제핀, 프로카인, 토카이니드, 프릴로카인, 디이소피라미드, 벤사이클란, 퀴니딘, 브레틸륨, 리파리진, 라모트리진, 플루나리진, 아르티카인, 부피비카인, 베피비카인, 플루스피릴렌, 오르페나드린, 펜벤즈아민, 베프리딜, 피모지드, 펜플루리돌, 플루스피릴렌, 프로피베린, 이소피라미드, 메타돈, 톨테로딘, 트리디헥세틸 염, 프리펠렌아민, 메피라민, 브롬페니라민, 클로르페니라민, 덱스클로르페니라민, 카르비녹사민, 레보메타딜 아세테이트, 갈로파밀, 베라파밀, 데바파밀, 티아파밀, 에모파밀, 다이클로닌, 프라목신, 라모트리긴, 미베프라딜, 가바펜틴, 아밀로리드, 딜티아젬, 니페디핀, 니모디핀, 디트렌디핀, 코카인, 멕실레틴, 프로파페논, 퀴니딘, 옥세타자인, 아르티카인, 릴루졸, 벤사이클란, 리파리진 및 스트리키닌이 화학식 I의 화합물과 조합될 수 있다.
전압-관문화된 이온 채널의 막 투과성 저해제는 또한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 조합 또는 방법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과의 조합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전압-관문화된 이온 채널의 막 투과성 저해제에는 비제한적으로 코카인, 카르바마제핀, 디소피라미드, 라모트리긴, 프로카인아미드, 페니토인, 옥시카르바제핀, 토피라메이트, 조니스아미드, 테트라카인, 에틸 아미노벤조에이트, 프릴로카인, 디소피라미드 포스페이트, 플렌카이니드 아세테이트, 멕실레틴, 프로파페논, 퀴니딘 글루코네이트, 퀴니딘 폴리갈락투로네이트, 클로로프로카인, 디부카인, 다이클로닌, 메피바카인, 프라녹신, 프로카인, 테트라카인, 옥세타진, 프로피토카인, 레보부피바카인, 부피바카인, 리도카인, 모리시진, 토카이니드, 프로파라카인, 로피바카인, 퀴니딘 설페이트, 엔카이니드, 로피바카인, 에티도카인, 모리시진, 퀴니딘, 엔카이니드, 플레카이니드, 토카이니드, 포스페니토인, 클로로프로카인, 다이클로닌, L-(-)-1-부틸-2',6'-페페콜록실리다이드, 및 프라목신이 포함된다.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제제가 통증을 치료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즉 진통제가 본원에 기재된 방법, 조성물 및 키트에서 본 발명의 조합과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제에는 비제한적으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성 약물(NSAIDs), 오피오이드, 트리사이클릭 항우울제, 아민 트랜스포터 저해제, 및 항경련제(예컨대 가바펜티노이드)가 포함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주사용 용액에서 이용된 경우, 혈관수축제, 예로 에피네프린 또는 바소프레신과 함께 투여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주입을 위해 또는 부위 진통제 또는 항-소양제로서 이용된 경우 글루코오스 또는 덱스트로오스와 조합될 수 있다.
또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증점제와 조합되어 젤리를 형성할 수도 있고, 또는 국소 또는 피부 적용에서 이용하기 위해, 예컨대 비뇨생식기 국소 시술을 위해 침투 증강제를 또한 함유할 수도 있다.
입 및 입인두의 국소 마취용 스프레이는 화학식 I의 화합물, 사카린 및/또는 알코올을 함유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또한 접근 가능한 점막으로의 투여를 위한 연고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제형의 방식, 키트 또는 패키지가 또한 본원에서 제공된다. 키트는 지정된 시간 또는 시간들에서 취해질 단일 제형 또는 제형 조합을 나타내도록 조직될 수 있다.
키트는 전달 경로를 위해 제형화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패키지 또는 용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하게는, 키트는 화학식 I의 화합물에 관한 투여 지침 및 삽입물을 함유한다. 선택적으로, 키트는, 예컨대 시약, 웰 플레이트, 용기, 마커 또는 라벨 등을 포함하는 분석 수행용 자료 및 제품의 국소 또는 순환 수준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지침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키트는 적응증 치료에 적합한 방식으로 쉽게 패키지화된다. 예를 들어, 키트는 또한 패치, 분무 펌프 또는 다른 전달 장치의 이용 지침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키트에 포함되는 다른 적합한 성분은 적응증 및 전달 경로를 고려하여 당분야 숙련가에게 쉽게 자명할 것이며, 윤활제, 살균 용액 및 국소 마취제를 함유하여 전달 장치의 배치를 촉진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은 연속 또는 주기적인 불연속 투여를 위한 것이거나 단일 용량일 수 있다. 연속 투여에 있어서, 패키지 또는 키트에는 각각의 투여형 단위, 예로 용액, 로션, 정제, 알약, 약물-용출 단위/패치 또는 상술되거나 약물 전달에서 이용되는 다른 단위에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선택적으로 소정 시간 길이 동안 또는 처방된 바에 따라 매일보다 자주, 매일, 매주 또는 매월 용량 투여를 위한 지침이 포함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이 불연속 방식으로 주기적으로 전달되어야 하는 경우,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전달되지 않는 경우, 패키지 또는 키트에는 기간 동안 위약이 포함될 수 있다. 경시적으로 조성물, 조성물 성분, 또는 조성물 내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제제의 상대 비의 농도가 변하는 경우, 패키지 또는 키트는 변동을 제공하는 투여형 단위 순서를 함유할 수 있다.
여러 패키지 또는 키트가 주기적인 경구 용도를 위한 약학적 제제를 분배하기 위해 당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패키지는 각각의 기간에 대한 인디케이터를 갖는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패키지는 호일 또는 블리스터 패키지, 표지된 앰플, 바이알 또는 병이다.
흡입기, 시린지, 피펫, 점안제, 카테터, 사이토스코프, 투관침, 캐뉼라, 압력 사출 장치, 또는 이로부터 제형이 신체의 이환 영역, 예컨대 폐로 적용되거나, 대상체 내로 전달되거나, 방광 조직으로 주사되거나 또는 키트의 다른 성분에 적용되고 이와 혼합될 수 있는 그와 같은 다른 장치와 같은 키트의 패키지화 수단 자체가 투여를 위해 맞춰질 수 있다.
이들 키트의 하나 이상의 성분이 또한 건조되거나 동결건조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시약 또는 성분이 건조된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재구성은 일반적으로 적합한 용매의 첨가에 의한다. 용매가 또한 또 다른 패키지에 제공될 수 있음이 계획된다.
*키트에는 상업적 판매를 위해 가까이 속박되는 다른 적합한 패키지화 수단 또는 바이알을 함유하기 위한 수단, 예컨대 그 안으로 바이알이 보유되는 주사 또는 중공 성형 플라스틱 용기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패키지의 수 또는 유형과 무관하게, 키트에는 또한 동물의 신체 내로 조성물의 주사/투여 또는 배치를 보조하기 위한 별도의 기기를 포함하거나 이와 패키지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기는 흡입기, 시린지, 피펫, 핀셋, 측정 스푼, 점안제, 카테터, 사이토스코프, 투관침, 캐뉼라, 압력-전달 장치 또는 임의의 이러한 의학적으로 승인된 전달 수단일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키트가 제공되며,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상술된 하나 이상의 담체 또는 부형제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 있을 수 있다. 키트는 선택적으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통증을 갖는 대상체에 투여하기 위한 지침을 함유할 수 있다.
추가 구현예에서, 키트가 제공되며, 제2 투여형 단위에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제3 투여형 단위에서 상술된 하나 이상의 담체 또는 부형제를 포함한다. 키트는 선택적으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통증을 갖는 대상체에 투여하기 위한 지침을 함유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또한 추가 치료제 또는 비-약제 관련 치료법의 투여 전에, 이와 동시에, 또는 후에 투여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신경 자극, 예로 경피 전기 신경 자극(TENS) 또는 엉치 신경 자극과 함께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은 P2X3 및/또는 P2X2/3 경로에 연관되는 병태의 조절 또는 조정에서 유용하다. 본원에서 이용되는 용어 "조절", "조정" 또는 이들의 변형은 상호 교환적으로 이용되며, 생물학적 경로의 하나 이상의 성분의 활성을 저해하거나 감소시키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능력을 나타낸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조절"은 P2X3 활성의 저해를 나타낸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조절"은 P2X2/3 활성의 저해를 나타낸다. 추가 구현예에서, 조절은 P2X3 및 P2X2/3 활성의 이중 저해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 조성물, 및 키트는 여러 병태로 야기되는 통증을 치료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이용되는 용어 "통증"에는 모든 유형의 통증이 포함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통증은 급성 또는 만성일 수 있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통증은 통증인지성, 기능장애성, 특발성, 신경병성, 신체성, 중추성, 내장성, 염증성 및/또는 절차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증은 편두통, 등 통증, 목 통증, 부인과 통증, 산전 또는 출산 통증, 정형외과 통증, 뇌졸중-후 통증, 수술-후 또는 절차성 통증, 포진 후 신경통, 겸상 적혈구 급통증, 간질성 방광염, 비뇨기과 통증(예컨대 요도염), 치과 통증, 두통, 상처 또는 의학적 시술, 예컨대 수술(예컨대 엄지건막류절제술 또는 엉덩이, 무릎 또는 다른 관절 대체술), 봉합, 골절 고정, 생검 등으로부터의 통증에서 유래할 수 있다. 통증은 또한 암 환자에서 일어날 수 있고, 이는 여러 원인, 예컨대 염증, 신경 압축 및 종양에 의한 침습 및 뼈 또는 다른 조직 내로의 종양 전이 결과 조직 팽창에서 야기되는 기계적 힘에서 기인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암은 뼈암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통증은 신경병성 통증, 예컨대 포진 후 신경통이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통증은 염증성 통증이다. 추가 구현예에서, 통증은 통증인지성 통증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통증은 절차성 통증이다. 추가 구현예에서, 통증은 식도암, 결장염, 방광염, 자극성 장 증후군, 결장염 또는 특발성 신경병증에 의해 야기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통증은 기도, 방광 또는 내장 기관 기능장애에 의해 유도된다.
"신체성 통증"에는 뼈, 관절, 근육, 피부 또는 결합 조직으로부터의 통증이 포함된다.
"중추성 통증"에는 뇌 트라우마(trauma), 뇌졸중 또는 척수 손상의 결과로 일어나는 통증이 포함된다.
"내장성 통증"에는 내장 기관, 예컨대 호흡기 또는 위장관 및 췌장, 요로 및 생식 기관으로부터의 통증이 포함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내장성 통증은 기관 캡슐의 종양 관여로 야기된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내장성 통증은 중공 내장의 폐색으로 야기된다. 추가 구현예에서, 내장성 통증은 방광염 또는 역류성 식도염에서와 같은 염증으로 야기된다.
"특발성 통증"은 기저 원인이 없는 통증을 나타내거나 또는 진단되지 않는 병태에 의해 야기된 통증을 나타낸다.
"기능장애성 통증"은 독성 자극, 조직 손상 또는 신경계에 대한 병소 부재 하에 일어나는 통증을 나타낸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기능장애성 통증은 류마티스성 병태, 예컨대 관절염 및 섬유근통, 긴장형 두통, 자극성 장 장애 및 홍반증에서 야기된다.
"통증인지성 통증"에는 신체 조직을 위협하거나 실제로 손상시키는 독성 자극에 의해 야기된 통증이 포함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통증인지성 통증은 자상, 멍, 뼈 골절, 충돌 손상, 화상, 트라우마, 수술, 출산, 염좌, 혹, 주사, 치과 시술, 피부 생검 또는 폐색으로 야기된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통증인지성 통증은 피부, 근골격계 또는 내장 기관에 위치한다.
"신경병성 통증"은 말초 또는 중추 신경계에 대한 병소에 기인하는 이들 신경계에 의한 감각 입력의 비정상적 처리로 인한 통증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신경병성 통증은 만성 및 비-악성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신경병성 통증은 트라우마, 수술, 추간판 탈출, 척수 손상, 당뇨병, 대상 포진(띠헤르페스) 감염, HIV/AIDS, 후기 암, 절단(예컨대 유방절제술), 손목 굴 증후군, 만성 알코올 이용, 방사선에 대한 노출, 및 신경독성 치료제, 예컨대 특정 항-HIV 및 화학치료 약물의 의도치 않은 부작용에 기인한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신경병성 통증은 "타는 듯한", "전기적", "따끔한" 또는 "쏘는 듯한"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어구 "염증성 통증"에는 임의의 수의 요인에 의해 유도된 염증에서 야기된 통증이 포함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염증성 통증은 조직 손상 또는 염증으로 인해 일어난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염증성 통증은 부상(관절, 근육 및 힘줄 부상 포함), 수술적 시술, 감염 및/또는 관절염에 기인한다.
"절차성 통증"에는 의학적 시술로 일어나는 통증이 포함된다. 의학적 시술에는 임의의 유형의 의학적, 치과적 또는 수술적 시술이 포함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절차성 통증은 수술 후의 것이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통증은 주사, 농양 배액, 수술, 피부과, 치과 시술, 안과 시술, 관절경 및 다른 의학적 기기의 이용 및/또는 성형 수술에 연관된다.
"편두통"은 뇌의 수막에 신경분포하는 감각 섬유의 활성화에 기인하는 두통이다.
용어 "치료하다", "치료하는", 또는 이들의 임의의 변형은 환자 또는 대상체에서 건강 문제 또는 병태를 구제하기 위해 이용된 치료법을 포함하려는 것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건강 문제 또는 병태는 영구적으로 또는 짧은 시기 동안 제거될 수 있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건강 문제 또는 병태의 또는 건강 문제 또는 병태의 하나 이상의 증상 특징의 중증도는 영구적으로 또는 짧은 시기 동안 경감될 수 있다. 통증 치료의 효과는 임의의 표준 통증 지수, 예컨대 본원에 기재된 것들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도 있고, 또는 환자의 주관적 통증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환자는 통증에서의 감소가 보고되거나 통증을 유도하는 자극에 대한 감소된 반응이 존재하는 경우 "치료된" 것으로 간주된다.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방법, 조성물 또는 키트의 유효성을 측정하기 위해, 측정 지수가 이용될 수 있다. 근골격, 면역염증 및 신경병성 장애에 연관된 통증의 측정에 유용한 지수에는 각각 당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는 시각 아날로그 척도(VAS), Likert 척도, 카테고리별 통증 척도, 설명자, Lequesne 지수, WOMAC 지수, 및 AUSCAN 지수가 포함된다. 이러한 지수는 통증, 기능, 경직 또는 다른 변수를 측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간질성 방광염에 연관된 통증의 측정에 유용한 지수에는 간질성 방광염 증상 지수(ICSI), 간질성 방광염 문제 지수(ICPI), 통증-절박-빈도 스코어(PUF), 위스콘신 증상 기구(Wisconsin Symptom Instrument, UWI) 및 시각 아날로그 척도(VAS), 예컨대 Likert 척도 및 다른 카테고리별 통증 척도가 포함된다.
시각 아날로그 척도(VAS)는 일차원적인 양의 측정을 제공한다. VAS는 일반적으로 거리 표시, 예컨대 규칙적 거리 간격, 예로 10 개의 1 cm 간격으로 그려진 해시 마크를 갖는 선 그림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환자에게 통증 감각에 가장 잘 해당하는 선 상의 점을 선택하여 통증 감각의 순위를 산정하도록 요청할 수 있고, 여기서 선의 한 쪽 끝은 "통증 없음"(0 cm의 스코어)에 해당하며, 선의 다른 쪽 끝은 "참을 수 없는 통증"에 해당한다. 상기 절차는 환자가 통증을 어떻게 겪고 있는지에 대한 정량적 정보를 수득하기 위한 간단하고 신속한 절차를 제공한다. VAS 척도 및 이들의 이용은, 예로 관련 개시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는 US 특허 번호 6,709,406 및 6,432,937에 기재된다.
Likert 척도는 유사하게 일차원적인 양의 측정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Likert 척도는 하한치, 예로 통증 없음을 의미하는 0부터 상한치, 예로 극심한 통증을 의미하는 7까지 범위의 구별되는 정수 값을 갖는다. 통증을 겪고 있는 환자에게 경험하는 통증 정도를 나타내는 하한치 및 상한치 사이의 숫자를 선택하도록 요청한다. Likert 척도 및 이들의 이용은, 예로 관련 개시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는 US 특허 번호 6,623,040 및 6,766,319에 기재된다.
Lequesne 지수 및 Western Ontario and McMaster 대학(WOMAC) 골관절염(OA) 지수는 자체-관리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OA 환자의 무릎 및 엉덩이에서 통증, 기능 및 경직을 평가한다. 무릎 및 엉덩이가 모두 WOMAC에 의해 포괄되는 반면, Lequesne 설문지에는 무릎에 대한 것 하나와 엉덩이에 대한 별도의 하나가 있다. 이들 설문지는 이들이 VAS 또는 Likert 척도에 비해 더 많은 정보 컨텐츠를 함유하므로 유용하다. WOMAC 지수 및 Lequesne 지수 설문지는 모두 수술적 설정, 예로 무릎 및 엉덩이 관절성형술을 포함하는 OA에서 광범위하게 검증되었다. 이들의 계측 특징은 유의미하게 다르지 않다.
AUSCAN(호주인-캐나다인 손 관절염) 지수는 유효하고 신뢰성 있는 반응 환자의 자가 보고 설문지를 채용한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설문지는 3 차원 내에서 15 개 질문을 함유한다(통증, 5 개 질문; 경직, 1 개 질문; 및 신체 기능, 9 개 질문). AUSCAN 지수는, 예로 Likert 또는 VAS 척도를 이용할 수 있다.
O'Leary-Sant 스코어 및 IC 문제 지수는 하부 요도 증상을 측정하기 위한 자체 관리되는 지수이다.
통증-절박-빈도 증상 척도는 요로 기능장애, 골반 통증 및 성관계에 연관된 증상의 균형 잡힌 평가이며 방광내 칼륨 클로라이드 투여와 함께 빈번하게 이용된다.
UWI는 빈도, 절박, 야뇨증 및 통증에 관한 7 개의 IC-관련 질문을 이용한다.
통증 측정을 위해 유용한 다른 적합한 지수에는 통증 설명자 척도(PDS), 구두 설명자 척도(VDS), 수치 통증 강도 척도(NPIS), 신경병성 통증 척도(NPS), 신경병성 통증 증상 인벤토리(NPSI), 현존 통증 인벤토리(PPI), 노인 통증 척도(GPM), McGill 통증 설문지(MPQ), 평균 통증 강도(설명자 차별적 척도), 수치 통증 척도(NPS) 전반적 평가 스코어(GES) 약식 McGill 통증 설문지, Minnesota 다중상 개성 인벤토리, 통증 프로필 및 다차원 통증 인벤토리, 어린이 건강 설문지, 및 어린이 평가 설문지가 포함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치료 방법에는 환자에 대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투여 단계가 포함된다. 추가적인 선택적 제제, 예컨대 조합으로 이용하기 위해 상술된 것들이 화학식 I의 화합물 전에, 이와 동시에, 또는 후에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다양한 생체내 검정 및 동물 모델은 내부 나트륨 채널 저해를 통해 통증을 저해하는 화합물의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유용하다. 이들 모델은 물리적, 기계적 또는 화학적, 예로 캡사이신 수단을 통한 통증 유도를 통해 TRPV1 채널의 개방(활성화)이 관여될 수도 관여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적합한 모델의 예에는, 예로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는 [Binshtok, Anesthesiology, July 2009, 111(1):127-137; Reis, Anesthesiology, July 2009, 111(1):122-126; Gerner, Anesthesiology, November 2008, 109(5):872-878; 및 Binshtok, Nature, October 2007, 449:607-610]에 기재된 것들, 단리된 방광 배뇨근 제조물의 이용(Witte, Naunyn-Schmeideberg's Arch. Pharmacol. 2011, 384:555-563), 자유 운동 동물에서의 배뇨 빈도 및 부피의 측정(Clouse, 2012, Urology 79:1410e1-1410e6), 마취된 동물에서 방광내압측정을 이용한 방광 요동력학의 측정(Shimizu, 2000, British Journal of Pharmacology 131:610-616)이 포함된다. 그러나 당업자에게 쉽게 자명할 여러 이유에 있어서, 특성을 갖는 화합물의 확인을 허용하는 시험관내 검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몇몇 시험관내 검정이 본원에 기재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시험 화합물의 비특이적 대 hTRPV1-매개된 진입 간을 구별할 수 있는 변형된 FLIPR®(형광계측 조영 플레이트 판독기) 기반 검정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유리하게는, 검정 시스템은 hTRPV1 채널의 열 활성화된 개방에 이어 내부 나트륨 채널 차단의 평가를 이용한다. 검정은 영구 하전된 화합물이 개방된 hTRPV1 채널을 통해 선택적으로 진입하도록 허용하며, 동일한 세포의 세포질 쪽으로부터 나트륨 채널의 저해에서 그 화합물의 효능을 평가하고 정량할 수 있다.
변형된 FLIPR® 검정은 hTRPV1을 기능적으로 발현하는 세포를 이용한다. 본원에서 이용되는 용어 "기능적으로 발현한다"에는 인간 TRPV1 단백질을 발현하고, 예로 본원에 기재된 열적(열) 또는 화학적(다른 것들 중에서 캡사이신, 리도카인) 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채널을 자연적으로 개방하는 자극에 반응하는 세포가 포함된다. 적합한 검정에는 본원, 예로 실시예 49에 기재된 칼슘 또는 막 전위 검정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기능적 검정, 예컨대 [Binshtok, Nature 449(4) 607-610, 2007]에 의해 이용되는 전압-클램프 전기생리가 당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적합한 세포는 공지된 기법을 이용하여 구축된 시스 또는 트랜스 TRPV1의 발현에 대해 선택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신경모세포종 세포주, 예컨대 N1E115[CRL-2263] 또는 ND7/23[ECACC 카탈로그 코드: 92090903]이 hTRPV1의 발현에 대해 선택된다. 그러나 또 다른 신경모세포종 세포주, 예컨대 IMR-32[CRL-127]; Neuro-2a[CRL-131]; NB41A3[CRL-147]; B104-1-1[CRL-1887]; SK-N-AS[CRL-2137]; SK-N-F1[CRL-2142]; SK-N-DZ[CRL-2149]; SH-SY5Y[CRL-2266]; BE(2)-M17[CRL-2267]; BE(2)-C[CRL-2268]; MC-IXC[CRL-2270]; SK-N-BE(2)(CRL-2271); CHP-212(CRL-2273]; B35[CRL-2754]가 선택될 수 있으며, 이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Manassas, Virginia(US)에서 이용 가능하다. 또 다른 세포주가 선택될 수 있다.
세포가 어떻게 생산되는지에 대한 일반 설명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예로 [Sambrook,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Press, Cold Spring Harbor, NY(US) 2001]을 참고하라. 하나의 구현예에서, 안정한 세포주는 야생형(wt) 또는 재조합 hTRPV1 코딩 서열을 이용하여 Sambrook에서의 기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세포주의 하나의 제조가 본원에 상세히 기재된다(실시예 32 참고). 또 다른 세포주의 제조는 국제 특허 공개 번호 WO 2007/0066068에 기재되어 있다; 제조업체의 프로토콜(Gibco)에 따라 인간 배아 신장 세포(HEK293) 내로 TRPV1 및 hTRPV1의 전달감염을 위해 Lipofectamine®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영구 발현 세포주를 생성하기 위해, wt-TRPV1 전달감염된 HEK 세포를 제네티신(0.6 mg/mL) 함유 배지(10% FCS, 100 U/mL 페니실린, 100 ㎍/mL 스트렙토마이신, 및 250 ng/mL 암포테리신 B 함유 DMEM) 중에 서브클로닝하고 선택을 허용하기 위해 2 주 동안 증식시킬 수 있다. TRPV1 영구 발현 단일 세포주를 수득하기 위해, 전달감염된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웰 당 1 개 세포)에 플레이팅하고, 이어서 단일 세포로부터 성장시킨 콜로니를 세포내 칼슘 증가를 측정하여 캡사이신 반응성에 대해 시험하였다. 선택된 최종 클론은 세포주가 단일 세포로부터 유래되는 것을 확실히 하기 위해 추가 3 회의 단일 세포 클로닝을 거쳐 취한다. 상기 방법론에서의 변형은 당분야 숙련가에게 쉽게 자명할 것이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세포를 트랜스로, 예로 바이러스 벡터 또는 또 다른 적합한 유전적 요소로부터 hTRPV1을 발현하도록 안정한 세포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하기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모든 원료 물질은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일반 공급업체로부터 구매한다. 1H-NMR 스펙트럼은 CDCl3 용해된 화합물에 대한 내부 참조로서 트리메틸실란(TMS)을 이용하여 기록하였다. DMSO-d6 및 CD3OD 용해된 화합물에 있어서, 기기는 각각 δ 2.5 및 3.3 ppm에서 교정하였다. 화학적 전이값은 δ(ppm)로 인용한다.
LCMS 분석에 있어서, LCMS/MS API 2000(Applied Biosystem) 기기를 이용하였다. 칼럼에는 하기가 포함되었다:
칼럼 U: YMC, 4.6 x 50 mm, 5μ
칼럼 V: Zorbax® C18 칼럼, 4.6 x 50 mm, 5μ
칼럼 W: Zorbax® Extend C18 칼럼, 4.6 x 50 mm, 5μ
칼럼 X: Gemini® NX C18 칼럼, 4.6 x 50 mm, 5μ
칼럼 Y: Xbridge® C18 칼럼, 4.6 x 50 mm, 5μ
칼럼 Z: Reprosil® 칼럼, 4.6 x 50 mm, 5μ
용출액(용매)에는 전형적으로 하기가 포함되었다(수성상으로서 산성 또는 염기성 완충액):
A 채널: (i) 수중 0.05% 포름산;
(ii) 수중 10 mM 암모늄 아세테이트; 또는
(iii) 수중 0.05% TFA.
B 채널: 아세토니트릴(유기상).
검출기는 이중 파장: 220 및 260 nm에서 측정된 UV였다.
LCMS 구배는 하기 중 하나였다:
1. LCMS 반응 모니터링 및 최종 화합물 분석 방법(일반 극성 화합물에 있어서)
구배 조건: 5 분 수행 시간
시간 프로그램: P1: 물/아세토니트릴 중 10 mM 암모늄 아세테이트
Q1: 물/아세토니트릴 중 0.05% TFA,
R1: 물/아세토니트릴 중 0.05% 포름산.
구배는 아세토니트릴을 10%에서 90%로, 다시 10%로 변화시켰다.
유속: 1.2 mL/분.
2. 12 분 수행에서 LCMS 반응 모니터링 및 최종 화합물 분석 방법(가깝게 용출되는 화합물에 있어서):
구배 조건: 12 분 수행 시간
시간 프로그램: P2: 물/아세토니트릴 중 10 mM 암모늄 아세테이트
Q2: 물/아세토니트릴 중 0.05% TFA
R2: 물/아세토니트릴 중 0.05% 포름산
구배는 아세토니트릴을 5%에서 90%로, 다시 5%로 변화시켰다.
유속: 1.0 mL/분.
3. HPLC-구배 조건에서 방법 전개 후 LCMS는 HPLC에서와 같다.
질량 스펙트럼 데이터는 하기를 이용해서 수득하였다:
이온화 기법: API(대기압 이온화) 원을 이용한 ESI(전자 분무 이온화)
탈클러스터링 전위: 화합물의 이온화에 따라 10-70 V
질량 범위: 100-800 amu
스캔 유형: Q1
극성: +/-ve
이온원: Turbo 분무
이온 분무 전압: +ve 모드에 대해 +5500 및 -ve 모드에 대해 -4500
질량원 온도: 200℃
중간체의 제조 -- 아래 실시예에 기재되는 하기 16 개 경로에 의해 합성된 화합물의 합성을 위해 몇몇 중간체를 이용하였다.
제조 1: 1-피라진-2-일-에틸아민
Figure pat00026
메탄올(20 mL) 중 화합물 I(2 g; 16.4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암모늄 아세테이트(12.6 g; 164 mmol; 10 당량) 및 나트륨 시아노보로하이드라이드(1 g; 16.4 mmol; 1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7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로 켄칭하고(50 mL)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2 x 200 mL). 합한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여 조정제 화합물을 산출하고, 이를 10% MeOH/CH2Cl2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230-4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산출하였다(0.8 g, 40%). 1H NMR(CDCl3) δ 8.60(s, 1H), 8.49(m, 1H), 8.43(d, 1H, J = 2 Hz), 4.20(m, 1H), 1.45(d, 3H, J = 7 Hz).
제조 2: 4-아미노메틸-1-메틸-1H-피리딘-2-온
Figure pat00027
단계 1: 4-시아노-1-메틸-1H-피리딘-2-온
DMF(5 mL) 중 화합물 I(0.25 g; 2.08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나트륨 하이드라이드(0.12 g; 3.12 mmol; 1.5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0℃에서 10 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에 메틸 요오다이드(0.4 mL; 6.25 mmol; 3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2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50 mL)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2 x 200 mL). 합한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0.18 g, 67%). 1H NMR(DMSO-d 6 ) δ 7.93(d, 1H, J = 7 Hz), 7.00(s, 1H), 6.52(dd, 1H, J = 2, 7 Hz), 3.45(s, 3H).
단계 2: 4-아미노메틸-1-메틸-1H-피리딘-2-온
메탄올(80 mL) 중 화합물 II(1.67 g; 11.9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진한 HCl(1 mL)에 이어 10% Pd/C(1.6 g)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Parr 오토클레이브에서 4 h 동안 50 psi의 압력에서 수소 분위기 하에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Celite® 층을 통해 여과하고, 메탄올로 세척하고, 여액의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2 g, 92%). 1H NMR(DMSO-d 6 ) δ 8.55(brs, 1H), 7.72(d, 1H, J = 7 Hz), 6.46(s, 1H), 6.31(dd, 1H, J = 2, 7 Hz,), 3.86(m, 2H), 3.40(s, 3H).
제조 3: 6-메틸-1-옥시피리딘-3-일)메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
Figure pat00028
단계 1: 6-메틸-니코틴산 메틸 에스테르
메탄올(0.75 L) 중 화합물 I(40 g; 290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황산을 첨가하고(40 mL) 생성 혼합물을 17 시간 동안 환류하며 가열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증발 건조하고 pH를 포화 빙냉 수성 NaHCO3 용액 및 고체 NaHCO3을 이용하여 7로 조정하였다.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해서 수성층으로부터 추출하고(3 x 500 mL),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33 g, 75%). 1H NMR(CDCl3) δ 9.06(s, 1H), 8.13(dd, 1H, J = 2, 8 Hz), 7.20(d, 1H, J = 8 Hz), 3.89(s, 3H), 2.58(s, 3H). LCMS: m/z = 152.4 [M+H] +, RT = 2.36 분, (프로그램 P1, 칼럼 W).
단계 2: (6-메틸-피리딘-3-일)메탄올
건조 THF(150 mL) 중 화합물 II(21 g; 140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THF(210 mL; 210 mmol; 1.5 당량) 중 1M LiAlH4 용액을 -5℃에서 적가하고, 첨가 종료 후 이를 2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10℃로 냉각하고 비등이 정지될 때까지 나트륨 설페이트 데카하이드레이트 및 에틸 아세테이트로 켄칭하였다. 혼합물을 Celite® 층을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산출하였다(17 g, 100%). 1H NMR(DMSO-d 6 ) δ 8.37(s, 1H), 7.59(dd, 1H, J = 2, 8 Hz), 7.19(d, 1H, J = 8 Hz), 5.22(t, 1H, J = 6 Hz), 4.47(d, 2H, J = 6 Hz), 2.45(s, 3H).
단계 3: 메탄설폰산 (6-메틸-피리딘-3-일)메틸 에스테르
CH2Cl2(0.5 L) 중 화합물 III(25 g; 200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TEA(42.5 mL; 300 mmol; 1.5 당량) 및 메탄 설포닐 클로라이드(23.5 mL; 300 mmol; 1.5 당량)를 적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100 mL) 유기 성분을 CH2Cl2(2 x 20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산출하였다(41 g, 100%).
단계 4: 3-아지도메틸-6-메틸피리딘
건조 DMF(150 mL) 중 화합물 IV(43 g; 0.21 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나트륨 아지드를 첨가하고(139 g; 2.13 mol; 10 당량) 생성 혼합물을 17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로 켄칭하고(500 mL)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2 x 200 mL). 합한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이어서 진공 중에 농축하여 화합물을 조정제 물질로서 수득하였다(31.6 g, 100%).
단계 5: (6-메틸-피리딘-3-일)메틸아민
THF(250 mL) 및 물(5.7 mL) 중 화합물 V(8 g; 50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트리페닐 포스핀을 첨가하고(28 g; 100 mmol; 2 당량), 생성 혼합물을 4 h 동안 환류하며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증발 건조하여 조정제 물질을 수득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10% MeOH/CH2Cl2로 용출하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산출하였다(3 g, 46%). 1H NMR(DMSO-d 6 ) δ 8.36(s, 1H), 7.61(dd, 1H, J = 2, 8 Hz), 7.16(d, 1H, J = 8 Hz), 3.67(s, 2H), 2.49(s, 3H). LCMS: m/z = 123.0 [M+H] +, RT = 0.45 분, (프로그램 R1, 칼럼 X).
단계 6: N-(6-메틸-피리딘-3-일)메틸)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
건조 CH2Cl2(10 mL) 중 화합물 VI(0.75 g; 6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TEA(2.59 mL; 18 mmol; 3 당량), boc 무수물(1.55 mL; 6 mmol; 1.1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7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50 mL), 유기 성분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2 x 100 mL). 합한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1.36 g, 100%). 1H NMR(CDCl3) δ 8.39(s, 1H), 7.51(d, J = 8 Hz, 1H), 7.10(d, J = 8 Hz, 1H), 4.84(brs, 1H), 4.27(d, J = 4 Hz, 2H), 2.52(s, 3H), 1.44(s, 9H); LCMS: m/z = 222.8 [M+H] +, RT = 2.69 분, (프로그램 P1, 칼럼 W).
단계 7: N-(6-메틸-1-옥시-피리딘-3-일메틸)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
클로로포름(30 mL) 중 화합물 VII(1.36 g; 6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메타 클로로퍼벤조산(1.32 g; 7 mmol; 1.25 당량) 및 2,6-디 3 차 부틸-4-메틸 페놀(6 mg; 0.3 mmol; 0.05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2 일 동안 환류하며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50 mL) 유기 성분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2 x 100 mL). 합한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1.1 g, 76%). 1H NMR(CDCl3) δ 8.21(s, 1H), 7.19(d, 1H, J = 8 Hz), 7.11(d, 1H, J = 8 Hz), 5.00(brs, 1H), 4.24(d, 2H, J = 5 Hz), 2.48(s, 3H), 1.47(s, 9H). LCMS: m/z = 239.0 [M+H] +, RT = 2.06 분, (프로그램 P1, 칼럼 W).
단계 8: (6-메틸-1-옥시-피리딘-3-일)메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1,4-디옥산(5 mL) 중 화합물 VIII(1.1 g; 4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1,4-디옥산(20 mL) 중 4 M HCl을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4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산출하였다(0.71 g, 89%). 1H NMR(DMSO-d 6 ) δ 8.50(m, 3H), 7.57(d, 1H, J = 8 Hz), 7.48(d, 1H, J = 8 Hz,), 4.02(q, 2H, J = 11 Hz), 2.38(s, 3H). LCMS: m/z = 139.0 [M+H] +, RT = 0.45 분, (프로그램 P1, 칼럼 W).
하기 아민을 또한 상기 언급된 절차를 이용해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29
제조 4: (2-메톡시피리미딘-5-일)메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at00030
단계 1: 5-시아노-2-메톡시피리미딘
반응 튜브 내의 화합물 I(5 g; 26 mmol; 1 당량)의 교반 DMF(80 mL) 용액에 아연 시아나이드를 첨가하고(5 g; 53 mmol; 2 당량) 생성 혼합물을 5 분 동안 아르곤으로 탈기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에 Pd(PPh3)4를 첨가하고(5 g; 5.20 mmol; 0.2 당량), 생성 혼합물을 다시 5 분 동안 아르곤으로 탈기하였다. 반응 튜브를 밀봉하고, 3 h 동안 115℃에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Celite® 층을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포화 수성 NaHCO3 용액에 이어 염수로 세척하였다. 그 뒤 유기층을 무수 Na2SO4에 걸쳐 건조하고 증발 건조하여 조정제 물질을 수득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50% EtOAc/헥산으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100-2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3.5 g, 100%). 1H NMR(DMSO-d 6 ) δ 9.11(s, 2H), 4.00(s, 3H). LCMS: m/z = 136.0 [M+H] +, RT = 1.74 분, (프로그램 P1, 칼럼 V).
단계 2: N-((2-메톡시-피리미딘-5-일)메틸)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
메탄올(230 mL) 중 화합물 II(4.5 g; 33.3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니켈 클로라이드 헥사하이드레이트(3.15 g; 13.3 mmol; 0.4 당량) 및 boc 무수물(14.4 g; 66.66 mmol; 2 당량)을 0℃에서 첨가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에 분말화된 NaBH4(8.7 g; 233 mmol; 7 당량)를 일부씩 첨가하고 17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증발 건조하고, 물로 희석하고,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2 x 100 mL).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여 건조 잔여물을 수득하고 이를 용출액으로 2-5% 메탄올/디클로로메탄을 이용하는 실리카 겔(230-4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산출하였다(3.8 g, 48%). 1H NMR(DMSO-d 6 ) δ 8.46(s, 2H), 4.06(d, 2H, J = 6 Hz), 3.88(s, 3H), 1.36(s, 9H). LCMS: m/z = 240.0 [M+H] +, RT = 2.67 분, (프로그램 P1, 칼럼 W).
단계 3: 2-메톡시피리미딘-5-일)메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1,4-디옥산(20 mL) 중 화합물 III(4 g; 28.98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1,4-디옥산 중 4 M HCl(30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4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산출하였다(2.8 g, 95%). 1H NMR(DMSO-d 6 ) δ 8.73(s, 2H), 4.03(m, 2H), 3.89(s, 3H). LCMS: m/z = 140.0 [M+H]+, RT = 0.59 분, (프로그램 P1, 칼럼 V).
제조 5: (2-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5-일)메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at00031
단계 1: 2-사이클로프로필-5-시아노피리딘
반응 튜브 내의 톨루엔(20 mL) 및 물(1 mL) 중 화합물 I(0.5 g; 3.62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사이클로프로필 붕산을 첨가하고(0.46g; 5.43 mmol; 1.5 당량) 생성 혼합물을 5 분 동안 아르곤으로 탈기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에 K3PO4(2.7 g; 12.7 mmol; 3.5 당량), Pd(OAc)2(0.04 g; 0.18 mmol; 0.05 당량), 트리사이클로헥실 포스핀(0.10 g; 0.36 mmol; 0.1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다시 5 분 동안 아르곤으로 탈기한 후, 반응 튜브를 밀봉하고, 3 h 동안 110℃에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Celite® 층을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포화 수성 NaHCO3 용액에 이어 염수로 세척하였다. 그 뒤 유기층을 무수 Na2SO4에 걸쳐 건조하고 증발 건조하여 조정제 물질 산물을 수득하였다. 조정제 물질을 5-30% EtOAc/헥산으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100-2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0.28 g, 56%). 1H NMR(CDCl3) δ 8.67(s, 1H), 7.75(dd, 1H, J = 2, 8 Hz), 7.23(m, 1H), 2.06(m, 1H), 1.09(m, 4H).
단계 2: (2-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5-일)메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메탄올(80 mL) 중 화합물 II(1.5 g; 11.11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진한 HCl(1 mL)에 이어 10% Pd/C(1.6 g)를 첨가하고, Parr 오토클레이브에서 4 h 동안 50 psi의 압력에서 수소 분위기 하에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Celite® 층을 통해 여과하고, 메탄올로 세척하고, 여액으로부터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산출하였다(1.2 g, 78%). 1H NMR(DMSO-d 6 ) δ 8.33(s, 1H), 7.64(dd, 1H, J = 2, 8 Hz), 7.27(d, 1H, J = 8 Hz), 1.89(m, 1H), 0.92(m, 4H).
제조 6: 1-(2-메틸-피리미딘-5-일)-에틸아민
Figure pat00032
단계 1: 3,3-디메톡시-2-메톡시카보닐-1-프로펜-1-올 나트륨 염
1,2-디메톡시 에탄(0.2 L) 중 화합물 I(50 g; 337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메틸 포르메이트를 첨가하고(50 mL; 809 mmol; 2.4 당량) 혼합물을 -5℃로 냉각하였다. 혼합물에 나트륨 하이드라이드를 일부씩 첨가하고(미네랄 오일 중 60%, 17.5 g; 438 mmol; 1.3 당량) 비등이 정지할 때까지 생성 혼합물을 50℃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17 h 동안 23℃에서 교반하며 방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고체 잔여물을 수집하고, 에테르로 세척하고 감압 하에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63 g, 100%). 1H NMR(CD3OD) δ 8.88(s, 1H), 8.54(s, 1H), 5.30(s, 1H), 3.51(s, 3H), 3.30(s, 6H).
단계 2: 2-메틸피리미딘-5-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건조 DMF(1 L) 중 화합물 II(60 g; 340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아세트아미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첨가하고(38.6 g; 409 mmol; 1.2 당량) 생성 혼합물을 3 h 동안 100℃에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물로 켄칭하고(500 mL)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2 x 200 mL). 합한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27 g, 53%). 1H NMR(CDCl3) δ 9.13(s, 2H), 3.93(s, 3H), 2.77(s, 3H).
하기 아민을 화합물 III으로부터 제조 3, 단계 2-5의 절차에 따라 합성하였다.
Figure pat00033
제조 7: (S)-1-(4H-[1,2,4]-트리아졸-3-일)에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at00034
단계 1: (S)-(E)-벤질 (1-(((디메틸아미노)메틸렌)아미노)-1-옥소프로판-2-일)카바메이트
(S)-벤질 (1-아미노-1-옥소프로판-2-일)카바메이트 I(20 g, 90 mmol)에 DMF-DMA를 첨가하고(100 mL) 생성 혼합물을 40 분 동안 40℃에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여 화합물 II(조정제물)을 제공하였다.
단계 2: [(S)-1-(4H-[1,2,4]-트리아졸-3-일)에틸]카르밤산 벤질 에스테르
건조 DMF(109 mL) 중 화합물 II(조정제물)의 교반 용액에 하이드라진을 첨가하고(THF 중 1 M 용액)(135 mL, 135 mmol) 생성 혼합물을 1.5 h 동안 100℃에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여 조정제 산물을 수득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15-20% 아세톤/CH2Cl2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III을 흰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5 g, 41%, 2 단계). 1H NMR(DMSO-d 6 ) δ 13.7(s, 1H), 8.43(s, 1H), 7.83(s, 1H), 7.35-7.30(m, 5H), 5.01-4.98(m, 2H), 4.80(brs, 1H), 1.40(s, 3H). LCMS: m/z = 246.8 [M+H]+, RT = 2.51 분(프로그램 P1, 칼럼 V). 키랄 SFC: 99.07%(210 nm), RT 12.54 분(이동상: A: ACN, B: MeOH)
단계 3: (S)-1-(4H-[1,2,4]-트리아졸-3-일)에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HCl(1,4-디옥산 중 4 M, 20 mL) 중 화합물 III(1 g; 4.06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10% Pd/C를 첨가하고(1 g) 생성 혼합물을 16 h 동안 60 psi의 압력에서 수소 분위기 하에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Celite® 층을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하여 화합물 IV를 수득하였다(0.6 g, 100%). 1H NMR(DMSO-d 6 ) δ 8.71(brs, 3H), 8.65(s, 1H), 4.48(m, 1H), 1.55(d, 3H, J = 6 Hz,). LCMS: m/z = 113.2 [M+H]+, RT = 0.47 분, (프로그램 P1, 칼럼 W). 키랄 SFC: 99.07%(210 nm), RT 12.54 분(이동상: A: ACN, B: MeOH).
제조 8: (S)-2-메틸-1-(4H-[1,2,4]트리아졸-3-일)-프로필아민
Figure pat00035
단계 1: ((S)-1-카바모일-2-메틸-프로필)-카르밤산 벤질 에스테르
DMF(100 mL) 중 화합물 I(10 g, 39.84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DIPEA(19.7 mL, 119.5 mmol, 3 당량) 및 HATU(18.17 g, 47.8 mmol, 1.2 당량)를 0℃에서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5 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에 암모늄 클로라이드를 첨가하고(10.7 g, 199.2 mmol, 5 당량) 생성 혼합물을 다시 16 h 동안 23℃에서 교반하며 방치하였다. 혼합물을 빙냉수 내로 붓고(500 mL), 유기 성분을 EtOAc로 추출하고(3 x 500 mL) 합한 유기층을 수성 암모늄 클로라이드 용액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에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9.8 g, 98%). 1H NMR(400 MHz, DMSO-d 6 ) δ 7.35(m, 6H), 7.12(d, 1H, J = 9 Hz), 7.01(s, 1H), 5.03(s, 2H), 3.80(t, 1H, J = 8 Hz), 1.95(m, 1H), 0.85(m, 6H). LCMS: m/z = 251.2 [M+H] +, RT = 2.81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단계 2: ((S)-2-메틸-1-티오카바모일-프로필)-카르밤산 벤질 에스테르
23℃에서 건조 CH2Cl2(100 mL) 중 화합물 II(5.5 g, 22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Lawesson 시약을 첨가하고(5.5 g, 13.2 mmol, 0.7 당량) 혼합물을 2-3 h 동안 환류하며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진공 중에 농축하여 조정제 물질을 수득하고 이를 1.5% MeOH/CH2Cl2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100-200 메시)을 이용하는 중력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8 g, 31%). 1H NMR(400 MHz, DMSO-d 6 ) δ 9.63(s, 1H), 9.21(s, 1H), 7.32(m, 5H), 7.13(d, 1H, J = 9 Hz), 5.03(s, 2H), 4.03(m, 1H), 2.06(m, 1H), 0.95(m, 6H). LCMS: m/z = 267.2 [M+H]+, RT = 3.10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단계 3: [(S)-2-메틸-1-(4H-[1,2,4]트리아졸-3-일)-프로필]-카르밤산 벤질 에스테르
에탄올(80 mL) 중 화합물 III(1.8 g; 6.7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포름산 하이드라지드(2 g; 33 mmol; 5 당량), 수은(II) 클로라이드(2.38 g; 8.7 mmol; 1.3 당량)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15 분 동안 아르곤으로 탈기한 후 17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Celite® 시약을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하였다. 잔여물을 EtOAc로 희석하고(200 mL) 20% 수성 나트륨 카보네이트 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유기층을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여 조정제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조정제 물질을 에탄올 중에 용해시키고(100 mL) 17 h 동안 환류하며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조정제 화합물을 제공하고, 이를 3% MeOH/CH2Cl2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100-200 메시) 중력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흰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4 g, 74%). 1H NMR(400 MHz, DMSO-d 6 ) δ 13.76(brs, 1H), 8.44(s, 1H), 7.51(m, 1H), 7.34(m, 5H), 5.03(m, 2H), 4.51(m, 1H), 2.12(m, 1H), 0.90(m, 3H), 0.79(m, 3H).
단계 4: (S)-2-메틸-1-(4H-[1,2,4]트리아졸-3-일)-프로필아민
아르곤으로 탈기한 EtOH 중 화합물 IV(0.5 g; 1.84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10% Pd/C(1.5 g) 및 디옥산 중 HCl(4.0 M 용액, 10 mL)을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0 h 동안 Parr 진탕기에서 50 psi 압력의 수소 분위기 하에 23℃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Celite® 시약을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0.23 g, 90%). 1H NMR(400 MHz, DMSO-d 6 ) δ 8.10(brs, 3H), 7.86(s, 1H), 7.56(s, 1H), 3.52(m, 1H), 2.10(m, 1H), 0.94(m, 6H).
제조 9: (R)-1-(3-메틸-[1,2,4]옥사디아졸-5-일)-에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
Figure pat00036
단계 1: [(R)-1-(3-메틸-[1,2,4]옥사디아졸-5-일)-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
DMF(15 mL) 중 화합물 I(3 g, 15.9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TEA(6.7 mL, 47.6 mmol, 3 당량), N-하이드록시 아세트아미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1.5 g, 20.6 mmol, 1.3 당량) 및 T3P(에틸 아세테이트 중 50%, 7 mL, 23.8 mmol, 1.5 당량)를 23℃에서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3 h 동안 110℃에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물로 켄칭하였다.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2 x 200 mL) 합한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진공 중에 농축 건조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10-50% EtOAc/헥산으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100-200 메시) 중력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점성 액체로서 수득하였다(3 g, 83%). 1H NMR(400 MHz, CDCl3) δ 5.06(m, 1H), 2.38(s, 3H), 1.43(s, 9H).
단계 2: (R)-1-(3-메틸-[1,2,4]옥사디아졸-5-일)-에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
1,4-디옥산(15 mL) 중 화합물 II(3 g; 13.2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1,4-디옥산 중 4 M HCl(53 mL)을 0℃에서 30 분의 기간에 걸쳐 적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24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1 g, 100%). 1H NMR(400 MHz, DMSO-d 6 ) δ 9.02(brs, 3H), 4.86(q, 1H, J = 7 Hz), 2.39(s, 3H), 1.60(d, 3H, J = 7 Hz). 분석용 키랄 HPLC 크로마토그램은 화합물이 키랄적으로 순수하지 않음을 나타내었다.
제조 10: (R)-1-(5-메틸-[1,3,4]옥사디아졸-2-일)-에틸아민 트리플루오로 아세트산 염
Figure pat00037
단계 1: (R)-2-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메탄올(160 mL) 중 화합물 I(10 g, 112.24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티오닐 클로라이드(16.3 mL, 224.5 mmol, 2 당량)를 0℃에서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0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하고 빙냉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 용액으로 희석하였다(300 mL). 유기 성분을 EtOAc로 추출하고(3 x 300 mL) 합한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진공 중에 농축하여 조정제 표제 화합물을 반고체 물질로서 수득하였다(17.9 g, 15.6 g, 100%). 1H NMR(400 MHz, DMSO-d 6 ) δ 8.56(brs, 3H), 4.05(m, 1H), 3.73(s, 3H), 1.41(d, 3H, J = 7 Hz).
단계 2: (R)-2-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CH2Cl2(60 mL) 중 화합물 II(16.0 g, 114.7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TEA(48.1 mL, 344.1 mmol, 3 당량) 및 BOC-무수물(30 g 137.6 mmol, 1.2 당량)을 0℃에서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6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빙냉수 내로 붓고(500 mL), EtOAc로 추출하고(2 x 300 mL) 합한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하여 조정제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0.0 g 72%). 1H NMR(400 MHz, DMSO-d 6 ) δ 7.25(d, 1H, J = 7 Hz), 3.99(m, 1H), 3.30(s, 3H), 1.37(m, 9H), 1.22(d, 3H, J = 7 Hz).
단계 3: ((R)-1-하이드라지노카보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
반응 튜브 내의 THF(30 mL) 중 화합물 III(10 g; 41.84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하이드라진 하이드레이트를 첨가하였다(6.08 mL; 125.52 mmol; 3 당량). 반응 튜브를 밀봉하고, 10 h 동안 110℃에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조정제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1 g, 100%). 1H NMR(400 MHz, DMSO-d 6 ) δ 8.98(brs, 1H), 7.10(brs, 1H), 6.82(d, 1H, J = 7 Hz), 6.48(brs, 1H), 4.11(m, 1H), 1.30(m, 9H), 1.10(m, 3H).
단계 4: {(R)-1-[1-에톡시-에트-(E)-일리덴-하이드라지노카보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
트리에틸 오르소아세테이트(10.4 mL; 55 mmol; 6 당량) 중 화합물 IV(2.5 g; 9.16 mmol; 1 당량)의 용액을 2-3 h 동안 환류하며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빙냉수 내로 붓고(100 mL) 유기 성분을 EtOAc(2 x 100 mL)로 추출하고, 합한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진공 중에 농축하여 조정제 표제 화합물을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6 g, 100%).
단계 5: [(R)-1-(5-메틸-[1,3,4]옥사디아졸-2-일)-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
아세트산(7.3 mL, 128 mmol, 10 당량) 중 화합물 V(3.5 g, 12.8 mmol, 1 당량)의 용액을 5 h 동안 교반 하에 60℃에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아세트산을 제거하고 잔여물을 빙냉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 용액으로 중화하였다. 유기 성분을 EtOAc로 추출하고(2 x 200 mL) 합한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65 g, 23%). 1H NMR(400 MHz, DMSO-d 6 ) δ 7.56(d, 1H, J = 8 Hz), 4.82(m, 1H), 2.46(s, 3H), 4.40(m, 12H).
단계 6: (R)-1-(5-메틸-[1,3,4]옥사디아졸-2-일)-에틸아민 트리플루오로 아세트산 염
CH2Cl2(10 mL) 중 화합물 VI(0.5 g, 2.2 mmol, 1 당량)의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첨가하고(0.4 mL, 4.4 mmol, 2 당량) 생성 혼합물을 18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하여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제거하고 잔여물을 헥산으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을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28 g, 100%). 1H NMR(400 MHz, DMSO-d 6 ) δ 8.72(brs, 3H), 4.18(m, 1H), 2.54(s, 3H), 1.56(d, 3H, J = 7 Hz).
제조 11: 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로란-2-일)-피라졸-1-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at00038
반응 튜브 내의 아세토니트릴(150 mL) 중 화합물 I(5 g, 25.7 mmol; 1 당량)의 용액에 브로모 아세트아미드(5.68 g, 41.2 mmol; 1.6 당량) 및 세슘 카보네이트(33.5 g, 102 mmol; 4 당량)를 첨가하고, 반응 튜브를 밀봉하고, 3 h 동안 90℃에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Celite® 층을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조정제 산물로서 수득하고(4.2 g, 65%),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직접 이용하였다. 1H NMR(400 MHz, DMSO-d 6 ) δ 7.67(d, 1H, J = 2 Hz), 7.57(m, 1H), 7.48(brs, 1H), 7.42(s, 1H), 4.76(s, 2H), 0.89(s, 12H)
제조 12: 5,5,5-트리플루오로-3-옥소-펜탄산 메틸 에스테르 합성
Figure pat00039
건조 CH2Cl2(5 mL) 중 Meldrum 산(5 g, 34.7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0℃에서 피리딘(3.07 mL; 38.2 mmol; 1.1 당량)에 이어 3,3,3-트리플루오로프로피오닐 클로라이드 I(5.5 g; 38.2 mmol; 1.1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 h 동안 0℃에서 교반하며 방치하였다. 이어서 반응 온도를 23℃로 증가시키고 교반을 다시 2 h 동안 계속하였다.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하여 휘발물질을 제거하고 생성 페이스트-유사 물질을 메탄올 중에 용해시키고 5 h 동안 80℃에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고, 수성 암모늄 클로라이드 용액으로 희석하였다. 유기 성분을 EtOAc로 추출하고, 1 N HCl 용액,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조정제 산물로서 수득하고(3.1 g, 50%),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직접 이용하였다. 1H NMR(DMSO-d 6 ) δ 3.87(m, 2H), 3.70(s, 3H), 3.64(s, 3H).
제조 13: 4,4-디플루오로-3-옥소-펜탄산 메틸 에스테르
Figure pat00040
건조 THF(150 mL) 중 디이소프로필 아민의 교반 용액에 n-부틸리튬(헥산 중 2.3 M, 161 mL; 370.9 mmol; 2 당량)을 -78℃에서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40 분 동안 0℃에서 교반하며 방치하였다. 혼합물을 -78℃로 냉각하고, 건조 THF 중 에틸 아세테이트를 적가하고 교반을 1 h 동안 -78℃에서 계속하였다. 혼합물에, 건조 THF 중 화합물 I(23 g; 185.4 mmol; 1 당량)을 천천히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78℃에서 다시 1 h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16 h 동안 23℃에서 교반하며 방치하였다. 혼합물을 수성 암모늄 클로라이드 용액으로 켄칭하고(200 mL) 유기 성분을 EtOAc(2 x 70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1 N HCl 용액,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한 후 여과하였다. 이어서 여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조정제 물질로서 수득하고(23 g, 75%)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직접 이용하였다. 1H NMR(DMSO-d 6 ) δ 4.21(m, 4H), 3.93(s, 4H), 2.17(s, 2H), 1.77(t, 3H), 1.187(m, 6H).
제조 14: 트리부틸-(5-메틸-티오펜-2-일)스탄난
Figure pat00041
-78℃로 냉각된 건조 THF(60 mL) 중 2-브로모-5-메틸 티오펜 I(6 g, 33.9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n-BuLi(14.7 mL, THF 중 2.3 M, 1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78℃에서 45 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에 트리부틸주석 클로라이드(11 g, 33.9 mmol, 1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다시 1 h 동안 -78℃에서 교반하며 방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포화 수성 암모늄 클로라이드 용액으로 희석하고, 유기 성분을 CH2Cl2(2 x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하여 조정제 트리부틸-(5-메틸-티오펜-2-일)스탄난(13.1 g)을 수득하고, 이를 임의의 정제 없이 후속 반응에서 직접 이용하였다. 1H NMR(CDCl3) δ 6.95(d, 1H, J = 3 Hz), 6.87(d, 1H, J = 2 Hz), 2.53(s, 3H), 1.54(m, 6H), 1.30(m, 6H), 1.06(m, 6H), 0.88(m, 9H).
동일한 프로토콜을 따라, 하기 화합물을 또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42
제조 15: 트리부틸-(5-메틸-푸란-2-일)-스탄난
Figure pat00043
-78℃로 냉각된 건조 THF(20 mL) 중 2-메틸푸란 I(3 g, 36.5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n-부틸리튬을 첨가하고(15.9 mL, THF 중 2.3 M, 1 당량) 생성 혼합물을 0℃에서 1 h 동안 교반하였다. 그 뒤 혼합물을 -78℃로 냉각하고 트리부틸주석 클로라이드를 첨가하고(11.9 g, 36.5 mmol, 1 당량) 생성 혼합물을 18 h 동안 23℃에서 교반하며 방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포화 수성 암모늄 클로라이드 용액으로 희석하고,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2 x 50 mL). 합한 유기층을 물,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조정제 산물로서 수득하여(4.5 g) 이를 임의의 정제 없이 다음 반응에서 직접 이용하였다. 1H NMR(400 MHz, CDCl3) δ 6.43(d, 1H, J = 3 Hz), 5.97(d, 1H, J = 3 Hz), 2.32(s, 3H), 1.70-1.40-1.28(m, 6H), 1.32(m, 12H), 0.91(m, 9H).
제조 16: 8-(사이클로프로필-프로피오닐-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Figure pat00044
실시예 8에 기재된 실험 절차에 따라, 화합물 IV를 제조하였다. 화합물 VIa를 실시예 20에 기재된 일반 절차를 이용해서 실시예 188로 전환하였다.
단계 3a: 8-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반응 튜브 내의 화합물 IV(1.5 g; 5.57 mmol; 1 당량)의 교반 톨루엔 용액에 사이클로프로필 아민(0.47g; 8.36 mmol; 1.5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5 분 동안 아르곤으로 탈기한 후 Cs2CO3(2.72 g; 8.36 mmol; 1.5 당량), Pd2(dba)3(0.25g; 0.28 mmol; 0.05 당량) 및 잔트포스(0.32g; 0.56 mmol; 0.1 당량)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5 분 동안 아르곤으로 다시 탈기한 후 반응 튜브를 밀봉하고 2 h 동안 110℃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Celite® 층을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포화 수성 NaHCO3 용액에 이어 염수로 세척하였다. 그 뒤 유기층을 무수 Na2SO4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증발 건조하여 조정제 물질을 수득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20% EtOAc/헥산으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100-2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밝은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31 g, 23%). 1H NMR(400 MHz, CDCl3) δ 8.35(s, 1H), 7.54(s, 1H), 7.50(s, 1H), 6.95(s, 1H), 5.51(s, 1H), 4.39(q, 2H, J = 7 Hz), 2.59(m, 1H), 1.40(t, 3H, J = 7 Hz), 0.83(m, 2H), 0.64(m, 2H). LCMS: m/z = 246.2 [M+], RT = 3.13 분, (프로그램 P1, 칼럼 V).
단계 4a: 8-(사이클로프로필-프로피오닐-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건조 THF(50 mL) 중 화합물 Va(1 g, 4.08 mmol, 1 당량)의 용액에 피리딘(0.67 mL, 8.16 mmol, 2 당량) 및 프로피오닐 클로라이드(0.73 mL, 8.16 mmol, 2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7 h 동안 아르곤 분위기 하에 교반하에 환류하며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 용액으로 켄칭하고(100 mL)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2 x 200 mL).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100 mL),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여 조정제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5% 메탄올/디클로로메탄으로 용출하는 Combiflash™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83 g, 68%). 1H NMR(400 MHz, CDCl3) δ 8.87(s, 1H), 7.69(s, 2H), 7.47(s, 1H), 4.40(q, 2H, J = 7 Hz), 3.35(m, 1H), 2.47(m, 2H), 1.40(t, 3H, J = 7 Hz), 1.12(t, 3H, J = 7 Hz), 0.81(m, 2H), 0.63(m, 2H). LCMS: m/z = 302.2 [M+], RT = 2.75 분, (프로그램 P1, 칼럼 W).
실시예 1: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5-에틸-1,3,4-옥사디아졸-2-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Figure pat00045
단계 1: 2-아미노니코틴산 에틸 에스테르
에탄올(150 mL) 중 화합물 I(10 g; 72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티오닐 클로라이드(15.7 mL; 217 mmol; 3 당량)를 60℃에서 적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7 h 동안 환류하며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증발 건조하고 빙냉 포화 수성 NaHCO3 용액 및 고체 NaHCO3을 첨가함으로써 pH를 7로 조정하였다.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해서 수성층으로부터 추출하고(3 x 500 mL), 합한 유기층을 염수 용액으로 세척하고 용액,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8 g, 66%). 1H NMR(DMSO-d 6 ) δ 8.20(m, 1H), 8.05(m, 1H), 7.13(s, 2H), 6.62(m, 1H), 4.28(q, 2H, J = 7 Hz), 1.30(t, 3H, J = 7 Hz).
단계 2: 2-아미노-5-브로모니코틴산 에틸 에스테르
건조 THF(150 mL) 중 화합물 II(15 g; 90.36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0℃에서 NBS(16 g; 90.36 mmol; 1 당량)를 일부씩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8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빙냉 포화 수성 NaHCO3 용액 내로 붓고,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3 x 200 mL). 이어서 합한 유기층을 염수 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증발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22 g, 100%). 1H NMR(DMSO-d 6 ) δ 8.29(d, 1H, J = 3 Hz), 8.12(d, 1H, J = 2 Hz), 7.31(s, 2H), 4.29(q, 2H, J = 7 Hz), 1.30(t, 3H, J = 7 Hz). LCMS: m/z = 245.0 [M+], 247.0 [M+2], RT = 3.34 분, (프로그램 P1, 칼럼 W).
단계 3: 6-브로모-이미다조[1,2-a]피리딘-8-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에탄올(500 mL) 중 화합물 III(22 g; 90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13 g; 179 mmol; 2 당량) 및 클로로아세트알데하이드 용액(~50% 수용액, 60 mL; 449 mmol; 5 당량)을 적가하고, 혼합물을 8 h 동안 환류하며 가열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증발 건조하고 빙냉 포화 수성 NaHCO3 용액 및 고체 NaHCO3을 이용하여 pH를 7로 조정하였다.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해서 수성층으로부터 추출하고(3 x 700 mL)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여 건조 잔여물을 수득하고 이를 10-5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을 이용하여 실리카 겔(230-4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갈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14.5 g, 60%). 1H NMR(DMSO-d 6 ) δ 9.16(s, 1H), 8.02(s, 1H), 7.84(s, 1H), 7.70(s, 1H), 4.38(q, 2H, J = 7 Hz), 1.30(t, 3H, J = 7 Hz). LCMS: m/z = 268.8 [M+], 270.8 [M+2], RT = 2.77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단계 4: 6-브로모-이미다조[1,2-a]피리딘-8-카복실산 하이드라지드
에탄올(50 mL) 중 화합물 IV(5 g; 18.6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하이드라진 하이드레이트를 첨가하고(9.3 g; 186 mmol; 10 당량) 생성 혼합물을 5 h 동안 환류하며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냉각하고, 여과하고, 고체 잔여물을 헥산으로 세척하고, 감압 하에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흰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4.5 g, 95%). 1H NMR(DMSO-d 6 ) δ 10.91(s, 1H), 9.13(d, 1H, J = 2 Hz), 8.07(s, 1H), 7.96(d, 1H, J = 2 Hz), 7.74(s, 1H) 4.86(s, 2H).
단계 5: 6-브로모-이미다조 [1,2-a]피리딘-8-카복실산 N'-프로피오닐-하이드라지드
0℃에서 건조 CH2Cl2(50 mL) 중 화합물 V(4.5 g; 17.6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TEA(7.6 mL; 52.9 mmol; 3 당량) 및 프로피오닐 클로라이드를 적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2 h 동안 23℃에서 교반하며 방치하였다. 혼합물을 포화 빙냉 수성 NaHCO3 용액 내로 붓고,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3 x 250 mL).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여 건조 잔여물을 수득하고 이를 용출액으로 0-5% 메탄올/디클로로메탄을 이용하여 실리카 겔(230-4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1.2 g, 23%). 1H NMR(DMSO-d 6 ) δ 11.97(d, 1H, J = 4 Hz), 10.73(d, 1H, J = 4 Hz), 9.19(d, 1H, J = 2 Hz), 8.10(s, 1H), 8.01(d, 1H, J = 2 Hz), 7.77(s, 1H), 2.27(q, 2H, J = 8 Hz), 1.07(t, 3H, J = 8 Hz). LCMS: m/z = 311.0 [M+], 313.0 [M+2], RT = 2.29 분, (프로그램 P1, 칼럼 W).
단계 6: 6-브로모-8-(5-에틸-[1,3,4]옥사디아졸-2-일)-이미다조[1,2-a]피리딘
건조 POCl3(20 mL) 중 화합물 VI(1.2 g; 3.8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을 2 h 동안 환류하며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증발 건조하고 포화 수성 NaHCO3 용액으로 희석하였다.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3 x 100 mL) 합한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진공 중에 농축하여 건조 잔여물을 수득하였다. 조정제 물질을 용출액으로 0-5% 메탄올/디클로로메탄을 이용하는 실리카 겔(230-4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밝은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6 g, 53%). 1H NMR(DMSO-d 6 ) δ 9.18(s, 1H), 8.09(s, 1H), 7.99(s, 1H), 7.76(s, 1H), 3.32(s, 3H), 3.02(q, 2H), 1.36(t, 3H). LCMS: m/z = 293.0 [M+], 295.0 [M+2], RT = 2.46 분, (프로그램 P1, 칼럼 W).
단계 7: 8-(5-에틸-[1,3,4]옥사디아졸-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메탄올(20 mL) 중 화합물 VII(0.6 g; 2.1 mmol; 1 당량)의 용액에 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1.05 mL; 6.0 mmol; 3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 용액을 5 분 동안 아르곤으로 탈기한 후 PdCl2(dppf)(0.16 g; 0.21 mmol; 0.1 당량)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5 분 동안 아르곤으로 다시 탈기하고, 탄소 모노옥사이드 분위기 하에 50 psi의 압력에서 오토클레이브에서 16 h 동안 90℃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Celite® 층을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포화 수성 NaHCO3 용액에 이어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Na2SO4에 걸쳐 건조하고, 최종적으로 증발 건조하여 조정제 물질을 수득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용출액으로 0-10% 메탄올/디클로로메탄으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100-2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밝은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3 g, 55%). LCMS: m/z = 272.8 [M+H] +, RT = 2.46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단계 8: 3-브로모-8-(5-에틸-[1,3,4]옥사디아졸-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건조 THF(15 mL) 중 화합물 VIII(0.32 g; 1.17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0℃에서 NBS(0.12 g; 0.71 mmol; 0.6 당량)를 일부씩 첨가하고, 혼합물을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빙냉 포화 수성 NaHCO3 용액 내로 붓고,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3 x 50 mL). 그 뒤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증발 건조하여 조정제 물질을 수득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0-5% 메탄올/디클로로메탄으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100-2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21 g, 51%). 1H NMR(DMSO-d 6 ) δ 8.94(s, 1H), 8.36(s, 1H), 8.04(s, 1H), 3.97(s, 3H), 3.03(q, 2H, J = 8 Hz), 1.36(t, 3H). LCMS: m/z = 350.8 [M+], 352.8 [M+2], RT = 2.70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단계 9: 8-(5-에틸-[1,3,4]옥사디아졸-2-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반응 튜브 내의 건조 톨루엔 중 화합물 IX(0.21 g; 0.6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화합물 VIa(0.27g; 0.72 mmol; 1.2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5 분 동안 아르곤으로 탈기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에 Pd(PPh3)4(0.06g; 0.06 mmol; 0.1 당량)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5 분 동안 아르곤으로 추가 탈기하였다. 반응 튜브를 밀봉하고, 4 h 동안 교반하며 115℃에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Celite® 층을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포화 수성 NaHCO3 용액에 이어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Na2SO4에 걸쳐 건조하고 용매를 증발 건조하여 조정제 물질을 수득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0-5% 메탄올/디클로로메탄으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230-4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고(0.22 g, 100%) 이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를 위해 이용하였다. LCMS: m/z = 368.8 [M+H]+, RT = 3.07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단계 10: 8-(5-에틸-[1,3,4]옥사디아졸-2-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THF:메탄올:H2O(12 mL, 3:2:1) 중 화합물 X(0.26 g, 0.7 mmol, 1 당량)의 용액에 0℃에서 리튬 하이드록사이드 모노하이드레이트(0.09 g, 2.12 mmol, 3 당량) 수용액(1 mL)을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3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의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잔여물을 물로 희석하고, 1 N HCl로 산성화하여 pH를 3으로 조정하였다. 침전한 고체를 여과하고 잔여물을 진공 하에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산출하였다(0.12 g, 48%). 1H NMR(DMSO-d 6 ) δ 9.08(s, 1H), 8.37(s, 1H), 7.94(s, 1H), 7.36(d, 1H, J = 4 Hz), 7.03(m, 1H), 3.03(q, 2H, J = 8 Hz), 2.56(s, 3H), 1.36(t, 3H, J = 8 Hz). LCMS: m/z = 355.0 [M+H]+, RT = 2.06 분, (프로그램 P1, 칼럼 V).
단계 11: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5-에틸-1,3,4-옥사디아졸-2-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DMF(5 mL) 중 화합물 XI(80 mg, 0.22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DIPEA(0.12 mL, 0.7 mmol, 3 당량) 및 HATU(0.10 g, 0.3 mmol, 1.2 당량)를 0℃에서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5 분 동안 교반하며 방치하였다. 혼합물에 (S)-1-(4H-[1,2,4]트리아졸-3-일)-에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0.101 g, 0.7 mmol, 3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다시 16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로부터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고 잔여물을 EtOAc로 희석하고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 용액, 수성 암모늄 클로라이드 용액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최종적으로 0-5% 메탄올/CH2Cl2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230-4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4 mg, 4%). 1H NMR(DMSO-d 6 ) δ 13.86(s, 1H), 9.39(s, 1H), 9.19(s, 1H), 8.53(s, 1H), 7.65(s, 1H), 7.75(m, 1H), 7.43(d, 1H, J = 4 Hz), 7.04(d, 1H, J = 3 Hz), 5.36(m, 1H), 3.05(q, 2H, J = 8 Hz), 2.55(s, 3H), 1.56(d, 3H, J = 7 Hz), 1.38(t, 3H, J = 8 Hz). LCMS: m/z = 449.2 [M+H]+, RT = 2.76 분, (프로그램 P1, 칼럼 V).
실시예 2: 8-(2,5-디메틸-1H-이미다졸-1-일)-N-((6-메틸피리딘-3-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Figure pat00046
단계 1: 6-브로모이미다조-[1,2-a]피리딘-8-일아민
에탄올(2 L) 중 화합물 I(50 g; 0.26 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46 g; 0.53 mol; 2 당량) 및 클로로아세트알데하이드 용액(~50% 수용액, 86 mL; 0.66 mol; 2.5 당량)을 적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7 h 동안 환류하며 가열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증발 건조하고 빙냉 포화 수성 NaHCO3 용액 및 고체 NaHCO3을 이용하여 pH를 7로 조정하였다.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해서 수성층으로부터 추출하고(3 x 1000 mL)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여 건조 잔여물을 수득하고 이를 용출액으로 10-5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을 이용하는 실리카 겔(230-4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갈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40 g, 71%). 1H NMR(DMSO-d 6 ) δ 8.04(s, 1H), 7.77(s, 1H), 7.44(s, 1H), 6.31(s, 1H), 5.99(s, 2H). LCMS: m/z = 212.0 [M+], 214.0 [M+2], RT = 2.55 분, (프로그램 P1, 칼럼 V).
단계 2: 8-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메탄올(200 mL) 중 화합물 II(10 g; 47 mmol; 1 당량)의 용액에 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41 mL; 236 mmol; 5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5 분 동안 아르곤으로 탈기하였다. 혼합물에 PdCl2(dppf)(4 g; 4.72 mmol; 0.1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용액을 다시 5 분 동안 아르곤으로 탈기한 후 16 h 동안 50 psi의 탄소 모노옥사이드 압력에서 90℃에서 오토클레이브에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Celite® 층을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포화 수성 NaHCO3 용액에 이어 염수로 세척하였다. 그 뒤 유기층을 무수 Na2SO4에 걸쳐 건조하고 증발 건조하여 조정제 물질을 수득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용출액으로 0-10% 메탄올/디클로로메탄으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100-2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밝은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5 g, 55%). 1H NMR(DMSO-d 6 ) δ 8.57(s, 1H), 7.97(s, 1H), 7.5135(s, 1H), 6.67(s, 1H), 5.86(s, 2H), 3.84(s,3H). LCMS: m/z = 191.8 [M+H]+, RT = 2.03 분, (프로그램 P1, 칼럼 V).
단계 3: 8-[비스-(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건조 THF(200 mL) 중 화합물 III(3 g; 15.6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0℃에서 TEA(6.52 mL; 46 mmol; 3 당량), boc 무수물(4.32 mL, 18.8 mmol; 1.2 당량)를 방울씩 그리고 촉매량의 DMAP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7 h 동안 환류하며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300 mL)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3 x 200 mL).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여 건조 잔여물을 수득하고 이를 용출액으로 10-5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을 이용하는 실리카 겔(230-4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고체로서 산출하였다(2.9 g, 49%). 1H NMR(DMSO-d 6 ) δ 9.36(s, 1H), 8.15(s, 1H), 7.67(s, 1H), 7.50(s, 1H), 3.89(s, 3H), 1.33(s, 18H). LCMS: m/z = 391.8 [M+H]+, RT = 3.18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단계 4: 3-브로모-8-[비스-(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건조 THF(80 mL) 중 화합물 IV(2.88 g; 7.3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NBS(1.31 g; 7.3 mmol; 1 당량)를 0℃에서 일부씩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0℃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의 온도를 23℃로 천천히 높이고 혼합물을 2 h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빙냉 포화 수성 NaHCO3 용액 내로 붓고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3 x 50 mL). 이어서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진공 중에 농축하여 건조 잔여물을 수득하고 이를 용출액으로 10-5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을 이용하는 실리카 겔(230-4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고체로서 산출하였다(3.46 g, 100%). 1H NMR(DMSO-d 6 ) δ 8.79(s, 1H), 7.88(s, 1H), 7.68(s, 1H), 3.93(s, 3H), 1.34(s, 18H). LCMS: m/z = 469.8 [M+], 471.8 [M+2], RT = 3.54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단계 5: 8-아미노-3-브로모-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메탄올(50 mL) 중 화합물 V(3.5 g; 7.4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0℃에서 4 M 메탄올계 HCl(100 mL)을 30 분의 기간에 걸쳐 적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24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빙냉 포화 수성 NaHCO3 용액 내로 붓고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3 x 500 mL).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 g, 100%). LCMS: m/z = 269.8 [M+], 271.8 [M+2], RT = 2.91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단계 6: 3-브로모-8-[1-디메틸아미노-에틸리덴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디메틸 아세트아미드 디메틸 아세탈(1.5 mL) 중 화합물 VI(0.42 g; 2.19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을 1 h 동안 환류하며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증발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산출하였다(0.74 g, 100%). LCMS: m/z = 339.0 [M+], 341.0 [M+2], RT = 2.69 분, (프로그램 P1, 칼럼 W).
단계 7: 3-브로모-8-(2, 5-디메틸-이미다졸-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화합물 VII(0.73 g; 2.15 mmol; 1 당량)에 수성 HCl를 방울씩 0℃에서 이어서 프로파르길 아민(1.18 g; 21.53 mmol; 10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30 분 동안 0℃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온도를 100℃로 높이고 다시 3 h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빙냉 포화 수성 NaHCO3 용액으로 희석하고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3 x 50 mL). 이어서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0-5% 메탄올/CH2Cl2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230-4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38 g, 51%). 1H NMR(CDCl3) δ 8.99(s, 1H), 7.72(s, 2H), 6.82(s, 1H), 4.01(s, 3H), 2.20(s, 3H), 2.00(s, 3H). LCMS: m/z = 349.0 [M+], 351.0 [M+2], RT = 2.79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단계 8: 8-(2,5-디메틸-이미다졸-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반응 튜브 내의 화합물의 교반 건조 톨루엔 용액(0.38 g; 1.08 mmol; 1 당량)에 화합물 VIa(0.63 g; 1.63 mmol; 1.5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5 분 동안 아르곤으로 탈기하였다. 혼합물에 Pd(PPh3)4(0.12 g; 0.1 mmol; 0.1 당량)를 첨가하고 아르곤을 이용한 탈기를 추가 5 분 동안 반복하였다. 반응 튜브를 밀봉하고, 4 h 동안 115℃에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Celite® 층을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포화 수성 NaHCO3 용액에 이어 염수로 세척하였다. 그 뒤 유기층을 무수 Na2SO4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여 조정제 물질을 수득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0-5% 메탄올/CH2Cl2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230-4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밝은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18 g, 46%). 1H NMR(DMSO-d 6 ) δ 9.09(s, 1H), 7.89(s, 1H), 7.74(s, 1H), 7.43(d, 1H, J = 3 Hz,), 7.04(d, 1H, J = 3 Hz), 6.71(s, 1H), 3.91(s, 3H), 2.56(s, 3H), 2.10(s, 3H), 1.96(s, 3H). LCMS: m/z = 366.8 [M+H] +, RT = 3.04 분, (프로그램 P1, 칼럼 W).
단계 9: 8-(2,5-디메틸-이미다졸-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THF:메탄올:H2O(15 mL, 3:2:1) 중 화합물 IX(0.18 g, 0.5 mmol, 1 당량)의 용액에 0℃에서 물(1 mL) 중 리튬 하이드록사이드 모노하이드레이트(0.062 g, 1.5 mmol, 3 당량)의 용액을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3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잔여물을 물로 희석하고 1 N HCl로 산성화하여 pH를 3으로 조정하였다. 침전한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진공 하에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산출하였다(0.15 g, 88%). 1H NMR(DMSO-d 6 ) δ 9.83(s, 1H), 9.09(s, 1H), 7.89(s, 1H), 7.74(s, 1H), 7.43(d, 1H, J = 3 Hz), 7.04(d, 1H, J = 3 Hz), 6.71(s, 1H), 2.50(s, 3H), 2.10(s, 3H), 1.96(s, 3H). LCMS: m/z = 353.0 [M+H] +, RT = 2.03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단계 10: 8-(2,5-디메틸-1H-이미다졸-1-일)-N-((6-메틸피리딘-3-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CH2Cl2(5 mL) 중 화합물 X(0.07 g, 0.2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DIPEA(0.1 mL, 0.6 mmol, 3 당량) 및 HATU(0.092 g, 0.24 mmol, 1.2 당량)를 0℃에서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5 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에 C-(6-메틸-피리딘-3-일)-메틸아민(0.048 g, 0.30 mmol, 1.5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다시 16 h 동안 23℃에서 교반하며 방치하였다. 혼합물로부터,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고 잔여물을 EtOAc로 희석하고,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 용액, 수성 암모늄 클로라이드 용액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0-5% 메탄올/CH2Cl2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230-4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01 g, 11%). 1H NMR(DMSO-d 6 ) δ 9.30(t, 1H, J = 6 Hz), 9.11(s, 1H), 8.44(s, 1H), 7.85(d, 2H, J = 8 Hz), 7.64(dd, 1H, J = 2, 8 Hz), 7.43(d, 1H, J = 3 Hz,), 7.21(d, 1H, J = 8 Hz), 7.03(d, 1H, J = 3 Hz), 6.71(s, 1H), 4.48(d, 2H, J = 6 Hz), 2.55(s, 3H), 2.42(s, 3H), 2.11(s, 3H), 1.97(s, 3H). LCMS: m/z = 457.2 [M+H] +, RT = 2.96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실시예 3: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3,5-디메틸-4H-1,2,4-트리아졸-4-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Figure pat00047
실시예 2에 기재된 실험 절차에 따라, 화합물 VI을 제조하였다.
단계 6: 3-브로모-8-(3,5-디메틸-[1,2,4]트리아졸-4-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디메틸 아세트아미드 디메틸 아세탈(6 mL) 중 화합물 VI(0.6 g; 2.22 mmol; 1 당량)의 용액을 1 h 동안 교반 하에 환류하며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증발 건조하고 잔여물을 0℃로 냉각한 후, HCl(1 mL)을 방울씩, 이어서 아세트산 하이드라지드(0.98 g; 13.33 mmol; 6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30 분 동안 0℃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온도를 130℃로 높이고 교반을 다시 2 h 동안 계속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빙냉 포화 수성 NaHCO3 용액으로 희석하고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3 x 50 mL). 이어서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농축 건조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0-5% 메탄올/CH2Cl2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230-4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34 g, 44%). 1H NMR(DMSO-d 6 ) δ 8.90(s, 1H), 8.03(s, 1H), 7.94(s, 1H), 3.94(s, 3H), 2.14(s, 6H). LCMS: m/z = 350.0 [M+], 352.0 [M+2], RT = 2.42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단계 7: 8-(3,5-디메틸-[1,2,4]트리아졸-4-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반응 튜브 내의 화합물 VII(0.34 g; 0.97 mmol; 1 당량)의 교반 건조 DMF 용액에 화합물 VIa(0.57 g; 1.46 mmol; 1.5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5 분 동안 아르곤으로 탈기하였다. 혼합물에 Pd(PPh3)4(0.12g; 0.09 mmol; 0.1 당량)를 첨가하고, 아르곤을 이용한 탈기를 약 5 분 동안 반복한 후, 반응 튜브를 밀봉하고, 4 h 동안 130℃에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빙냉수로 켄칭하고 유기 성분을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 용액, 수성 암모늄 클로라이드 용액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0-5% 메탄올/CH2Cl2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100-2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29 g, 80%). LCMS: m/z = 368.0 [M+H] +, RT = 2.97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단계 8: 8-(3,5-디메틸-[1,2,4]트리아졸-4-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THF:메탄올:H2O(15 mL, 3:2:1) 중 화합물 VIII(0.29 g, 0.79 mmol, 1 당량)의 용액에 0℃에서 물(1 mL) 중 리튬 하이드록사이드 모노하이드레이트(0.1 g, 2.37 mmol, 3 당량) 용액을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30 분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잔여물을 물로 희석하고 1 N HCl로 산성화하여 pH를 3으로 조정하고 유기 성분을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0.28 g, 99%). 1H NMR(DMSO-d 6 ) δ 9.11(s, 1H), 8.01(s, 1H), 7.91(s, 1H), 7.41(d, 1H, J = 4 Hz), 7.03(m, 1H), 2.25(s, 6H). LCMS: m/z = 354.2 [M+H] +, RT = 2.08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단계 9: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3,5-디메틸-4H-1,2,4-트리아졸-4-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DMF(50 mL) 중 화합물 IX(0.3 g, 0.85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TEA(0.8 mL, 4.25 mmol, 5 당량), T3P(0.4 mL , 1.30 mmol, 1.5 당량) 및 (S)-1-(4H-[1,2,4]트리아졸-3-일)-에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0.15 g, 1.30 mmol, 1.5 당량)를 23℃에서 첨가한 후, 생성 혼합물을 4 h 동안 130℃에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빙냉수로 켄칭하고 유기 성분을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 용액, 수성 암모늄 클로라이드 용액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처음에는 0-10% 메탄올/CH2Cl2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100-2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고 제조용 TL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015 g, 4%). 1H NMR(DMSO-d 6 ) δ 13.86(d, 1H, J = 2.4 Hz), 9.16(m, 2H), 8.48(s, 1H), 8.04(s, 1H), 7.86(s, 1H), 7.43(s, 1H), 7.04(s, 1H), 5.33(m, 1H), 2.55(s, 3H), 2.20(s, 6H), 1.55(m, 3H). LCMS: m/z = 448.2 [M+H] +, RT = 2.45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실시예 4: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5-(디플루오로메틸)-1H-1,2,3-트리아졸-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Figure pat00048
단계 1: 6-브로모-이미다조[1,2-a]피리딘-8-일아민
에탄올(2 L) 중 화합물 I(50 g; 0.26 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46 g; 0.53 mol; 2 당량) 및 클로로아세트알데하이드 용액(~50% 수용액, 86 mL; 0.66 mol; 2.5 당량)을 적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7 h 동안 환류하며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증발 건조하고 빙냉 포화 수성 NaHCO3 용액 및 고체 NaHCO3를 이용하여 pH를 7로 조정하였다.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해서 수성층으로부터 추출하고(3 x 1000 mL)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여 건조 잔여물을 수득하여 이를 용출액으로 10-5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을 이용하는 실리카 겔(230-4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갈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40 g, 71%). 1H NMR(DMSO-d 6 ) δ 8.04(s, 1H), 7.77(s, 1H), 7.44(s, 1H), 6.31(s, 1H), 5.99(s, 2H). LCMS: m/z = 212.0 [M+], 214.0 [M+2], RT = 2.55 분, (프로그램 P1, 칼럼 V).
단계 2: 8-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메탄올(200 mL) 중 화합물 II(10 g; 47.2 mmol; 1 당량)의 용액에 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41 mL; 236 mmol; 5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 용액을 5 분 동안 아르곤으로 탈기하였다. 혼합물에 PdCl2(dppf)(4 g; 4.72 mmol; 0.1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용액을 아르곤으로 다시 5 분 동안 탈기하였다. 이어서 용액을 16 h 동안 50 psi의 탄소 모노옥사이드 압력에서 90℃에서 오토클레이브에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Celite® 층을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포화 수성 NaHCO3 용액에 이어 염수로 세척하였다. 그 뒤 유기층을 무수 Na2SO4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증발 건조하여 조정제 물질을 수득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용출액으로 0-10% 메탄올/디클로로메탄으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100-2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밝은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5 g, 55%). 1H NMR(DMSO-d 6 ) δ 8.57(s, 1H), 7.97(s, 1H), 7.51(s, 1H), 6.67(s, 1H), 5.86(s, 2H), 3.84(s, 3H). LCMS: m/z = 191.8 [M+H]+, RT = 2.03 분, (프로그램 P1, 칼럼 V).
단계 3: 8-아지도-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건조 THF(600 mL) 중 화합물 III(10 g; 52.36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3 차 부틸니트라이트(32 mL; 230 mmol; 4.4 당량)를 방울씩, 그리고 트리메틸실릴아지드(16 mL, 115 mmol, 2.2 당량)를 0℃에서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7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증발 건조하여 조정제 물질을 수득하고 이를 용출액으로 0-50% 에틸아세테이트/헥산으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100-2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밝은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9 g, 80%). 1H NMR(DMSO-d 6 ) δ 9.17(s, 1H), 8.19(s, 1H), 7.71(s, 1H), 7.11(s, 1H), 3.87(s, 3H). LCMS: m/z = 218.2 [M+H] +, RT = 2.69 분, (프로그램 P1, 칼럼 V).
단계 4: 8-(5-디플루오로메틸-4-에톡시카보닐-[1,2,3]트리아졸-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건조 DMF:THF(1 L; 1:1) 중 DBU(25 mL; 166 mmol; 1.2 당량)의 교반 용액에 4,4-디플루오로-3-옥소-부티르산 에틸 에스테르(22 mL; 207 mmol; 1.5 당량)를 천천히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30 분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0℃로 냉각하고 DMF:THF 용액 중 화합물 IV(30 g; 138.2 mmol; 1 당량)를 적가하고, 혼합물을 17 h 동안 23℃에서 교반하며 방치하였다.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1 L)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3 x 700 mL).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여 건조 잔여물을 수득하고 용출액으로 10-5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을 이용하는 실리카 겔(230-4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고체로서 산출하였다(32 g, 65%). 1H NMR(DMSO-d 6 ) δ 9.65(s, 1H), 8.33(s, 1H), 8.10(s, 1H), 7.74(s, 1H), 7.46(m, 1H), 4.43(q, J = 7 Hz, 2H), 3.96(s, 3H), 1.36(t, J = 7 Hz, 3H). LCMS: m/z = 365.8 [M+H] +, RT = 2.97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단계 5: 3-브로모-8-(5-디플루오로메틸-4-에톡시카보닐-[1,2,3]트리아졸-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건조 THF(150 mL) 중 화합물 V(10 g; 27.4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0℃에서 NBS(7.4 g; 41.1 mmol; 1.5 당량)를 일부씩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30 분 동안 0℃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빙냉 포화 수성 NaHCO3 용액 내로 붓고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3 x 500 mL). 그 뒤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여 건조 잔여물을 수득하고 용출액으로 10-5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을 이용하는 실리카 겔(230-400 메시) 중력 칼럼으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고체로서 산출하였다(10 g, 82%). 1H NMR(DMSO-d 6 ) δ 9.00(s, 1H), 8.27(s, 1H), 7.96(s, 1H), 7.44(m, 1H), 4.43(q, 2H, J = 5 Hz), 3.96(s, 3H), 1.35(t, 3H, J = 7 Hz). LCMS: m/z = 443.8 [M+], 445.8 [M+2], RT = 3.20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단계 6: 3-브로모-8-(4-카복시-5-디플루오로메틸-[1,2,3]트리아졸-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THF:메탄올:H2O(115 mL, 3:2:1) 중 화합물 VI(7 g, 15.8 mmol, 1 당량)의 용액에 0℃에서 물(5 mL) 중 리튬 하이드록사이드 모노하이드레이트(2 g, 47.3 mmol, 3 당량) 용액을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3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잔여물을 물로 희석하고 1 N HCl로 산성화하여 pH를 3으로 조정하였다. 침전한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진공 하에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산출하였다(5 g, 80%). 1H NMR(DMSO-d 6 ) δ 14.01(s, 2H), 8.97(s, 1H), 8.19(s, 1H), 7.93(s, 1H), 7.46(m, 1H). LCMS: m/z = 402.0 [M+], 403.8 [M+2], RT = 0.84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단계 7: 3-브로모-8-(5-디플루오로메틸-[1,2,3]트리아졸-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화합물 VII(5 g; 12.4 mmol; 1 당량)을 1 h 동안 200℃에서 가열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3.5 g; 80%). 1H NMR(DMSO-d 6 ) δ 14.01(s, 1H), 8.96(s, 1H), 8.43(s, 1H), 8.15(s, 1H), 7.94(s, 1H), 7.38(m, 1H). LCMS: m/z = 357.8 [M+], 359.8 [M+2], RT = 1.71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단계 8: 3-브로모-8-(5-디플루오로메틸-[1,2,3]트리아졸-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S)-1-(4H-[1,2,4]트리아졸-3-일)-에틸]-아미드
DMF(20 mL) 중 화합물 VIII(2 g, 5.6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DIPEA(3 mL, 16.8 mmol, 3 당량) 및 HATU(3.2 g, 8.40 mmol, 1.5 당량)를 0℃에서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5 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에 (S)-1-(4H-[1,2,4]트리아졸-3-일)-에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0.94 g, 8.40 mmol, 1.2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다시 16 h 동안 23℃에서 교반하며 방치하였다. 혼합물로부터,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고 잔여물을 EtOAc로 희석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 용액, 수성 암모늄 클로라이드 용액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0-5% 메탄올/CH2Cl2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230-4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 g, 49%). 1H NMR(DMSO-d 6 ) δ 13.94(d, 1H), 9.48(dd, 1H, J = 8 Hz), 9.36(d, 1H), 8.45(d, 2H), 8.29(d, 1H, J = 12 Hz), 7.93(m, 1H), 7.52(m, 1H), 5.35(q, 1H, J = 8 Hz), 1.55(d, 3H, J = 7 Hz). LCMS: m/z = 452.2 [M+], 454.2 [M+2], RT = 2.40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단계 9: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5-(디플루오로메틸)-1H-1,2,3-트리아졸-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반응 튜브 내의 화합물 IX(0.7 g; 1.55 mmol; 1 당량)의 교반, 건조 DMF 용액에 화합물 VIa(0.9g; 2.32 mmol; 1.5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5 분 동안 아르곤으로 탈기하였다. 혼합물에 Pd(PPh3)4(0.2 g; 0.15 mmol; 0.1 당량)를 첨가하고, 아르곤을 이용한 탈기를 5 분 동안 반복하였다. 반응 튜브를 밀봉하고, 4 h 동안 115℃에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Celite® 층을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포화 수성 NaHCO3 용액에 이어 염수로 세척하였다. 그 뒤 유기층을 무수 Na2SO4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여 조정제 물질을 수득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0-5% 메탄올/CH2Cl2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230-4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밝은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29 g, 40%). 1H NMR(DMSO-d 6 ) δ 13.56(s, 1H), 9.20(s, 1H), 9.00(d, 1H), 8.32(s, 1H), 8.23(s, 1H), 7.85(s, 1H), 7.41(m, 3H), 7.03(s, 1H), 5.37(q, 1H), 2.50(s, 3H), 1.60(s, 3H). LCMS: m/z = 470.2 [M+H] +, RT = 2.87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실시예 5: 8-(5-(디플루오로메틸)-1H-1,2,3-트리아졸-1-일)-3-(5-메틸-1,3,4-티아디아졸-2-일)-N-((6-메틸피리딘-3-일)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Figure pat00049
실시예 4에 기재된 실험 절차에 따라, 화합물 VIII을 제조하였다.
단계 8: 3-브로모-8-(5-디플루오로메틸-[1,2,3]트리아졸-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6-메틸-피리딘-3-일메틸)-아미드
DMF(10 mL) 중 화합물 VIII(1 g, 2.8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DIPEA(5 mL, 26 mmol, 8 당량) 및 HATU(1.6 g, 4.20 mmol, 1.5 당량)를 23℃에서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5 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에 C-(6-메틸-피리딘-3-일)-메틸아민(520 mg, 4.20 mmol, 1.5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다시 16 h 동안 23℃에서 교반하며 방치하였다. 혼합물을 빙냉수로 켄칭하고(100 mL) 유기 성분을 EtOAc(2 x 40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 용액, 수성 암모늄 클로라이드 용액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하였다. 조정제 잔여물을 0-4% 메탄올/CH2Cl2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100-2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73 g, 57%). 1H NMR(DMSO-d 6 ) δ 9.51(t, 1H, J = 6 Hz), 9.11(s, 1H), 8.46(m, 2H), 8.23(s, 1H), 7.93(s, 1H), 7.65(dd, 1H, J = 8, 2 Hz), 7.39(t, 1H, J = 54 Hz), 7.23(d, 1H, J = 8 Hz), 4.52(d, 2H, J = 5.6 Hz), 2.44(s, 3H). LCMS: m/z = 462.0 [M+], 464.2 [M+2], RT = 2.80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단계 9: 8-(5-(디플루오로메틸)-1H-1,2,3-트리아졸-1-일)-3-(5-메틸-1,3,4-티아디아졸-2-일)-N-((6-메틸피리딘-3-일)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반응 튜브 내의 화합물 IX(50 mg; 0.11 mmol; 1 당량)의 교반, 건조 DMF 용액에 2-브로모-5-메틸-[1,3,4]티아디아졸(20 mg; 0.11 mmol; 1 당량), 헥사메틸디주석(50 mg; 0.16 mmol; 1.5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5 분 동안 아르곤으로 탈기하였다. 혼합물에 Pd(PPh3)4(10 mg; 0.01 mmol; 0.1 당량)를 첨가하고 아르곤을 이용한 탈기를 약 5 분 동안 반복하고, 반응 튜브를 밀봉한 후 2 h 동안 130℃에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빙냉수로 켄칭하고(50 mL) 유기 성분을 EtOAc(2 x 1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 용액, 수성 암모늄 클로라이드 용액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처음에는 0-2% 메탄올/CH2Cl2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100-2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고 제조용 TLC를 이용해서 추가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0 mg, 13%). 1H NMR(DMSO-d 6 ) δ 10.27(s, 1H), 9.47(t, 1H, J = 6 Hz), 8.53(s, 1H), 8.49(s, 1H), 8.45(m, 2H), 7.66(dd, 1H, J = 8, 2 Hz), 7.41(t, 1H, J = 53 Hz), 7.23(d, 1H, J = 8 Hz), 4.53(d, 2H, J = 6 Hz), 2.84(s, 3H), 2.44(s, 3H). LCMS: m/z = 482.2 [M+H] +, RT = 2.94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실시예 6: 8-(5-에틸-1H-피라졸-1-일)-N-((6-메틸피리딘-3-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Figure pat00050
단계 1: 6-브로모-이미다조[1,2-a]피리딘-8-일아민
에탄올(2 L) 중 화합물 I(50 g; 0.26 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46 g; 0.53 mol; 2 당량) 및 클로로아세트알데하이드 용액(~50% 수용액, 86 mL; 0.66 mol; 2.5 당량)을 적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7 h 동안 환류하며 가열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증발 건조하고 빙냉 포화 수성 NaHCO3 용액 및 고체 NaHCO3를 이용하여 pH를 7로 조정하였다.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해서 수성층으로부터 추출하고(3 x 1000 mL)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여 건조 잔여물을 수득하고 이를 용출액으로 10-5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을 이용하는 실리카 겔(230-4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갈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40 g, 71%). 1H NMR(DMSO-d 6 ) δ 8.04(s, 1H), 7.77(s, 1H), 7.44(s, 1H), 6.31(s, 1H), 5.99(s, 2H). LCMS: m/z = 212.0 [M+], 214.0 [M+2], RT = 2.55 분, (프로그램 P1, 칼럼 V).
단계 2: 8-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메탄올(200 mL) 중 화합물 II(10 g; 47.2 mmol; 1 당량)의 용액에 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41 mL; 236 mmol; 5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5 분 동안 아르곤으로 탈기하였다. 혼합물에 PdCl2(dppf)(4 g; 4.7 mmol; 0.1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다시 5 분 동안 아르곤으로 탈기한 후 16 h 동안 50 psi의 탄소 모노옥사이드 압력에서 90℃에서 오토클레이브에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Celite® 층을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포화 수성 NaHCO3 용액에 이어 염수로 세척하였다. 그 뒤 유기층을 무수 Na2SO4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증발 건조하여 조정제 물질을 수득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용출액으로 0-10% 메탄올/디클로로메탄으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100-2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밝은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5 g, 55%). 1H NMR(DMSO-d 6 ) δ 8.57(s, 1H), 7.97(s, 1H), 7.5135(s, 1H), 6.67(s, 1H), 5.86(s, 2H), 3.84(s, 3H). LCMS: m/z = 191.8 [M+H] +, RT = 2.03 분, (프로그램 P1, 칼럼 V).
단계 3: 8-[비스-(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건조 THF(200 mL) 중 화합물 III(3 g; 15.6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0℃에서 TEA(6.52 mL; 46 mmol; 3 당량), boc 무수물(4.32 mL, 18.8 mmol; 1.2 당량)을 방울씩 및 촉매량의 DMAP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7 h 동안 환류하며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300 mL)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3 x 200 mL).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여 건조 잔여물을 수득하고 이를 용출액으로 10-5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을 이용하는 실리카 겔(230-4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고체로서 산출하였다(2.9 g, 49%). 1H NMR(DMSO-d 6 ) δ 9.36(s, 1H), 8.15(s, 1H), 7.67(s, 1H), 7.50(s, 1H), 3.89(s, 3H), 1.33(s, 18H). LCMS: m/z = 391.8 [M+H] +, RT = 3.18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단계 4: 3-브로모-8-[비스-(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건조 THF(80 mL) 중 화합물 IV(2.88 g; 7.3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NBS(1.31 g; 7.3 mmol; 1 당량)를 일부씩 0℃에서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0℃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의 온도를 23℃로 천천히 높이고 혼합물을 2 h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빙냉 포화 수성 NaHCO3 용액 내로 붓고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3 x 50 mL). 이어서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진공 중에 농축하여 건조 잔여물을 수득하고 이를 용출액으로 10-5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을 이용하는 실리카 겔(230-4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고체로서 산출하였다(3.46 g, 100%). 1H NMR(DMSO-d 6 ) δ 8.79(s, 1H), 7.88(s, 1H), 7.68(s, 1H), 3.93(s, 3H), 1.34(s, 18H). LCMS: m/z = 469.8 [M+], 471.8 [M+2], RT = 3.54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단계 5: 8-아미노-3-브로모-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메탄올(50 mL) 중 화합물 V(3.5 g; 7.4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0℃에서 4 M 메탄올계 HCl(100 mL)을 30 분의 기간에 걸쳐 적가하고 생성 용액을 23℃에서 24 h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빙냉 포화 수성 NaHCO3 용액 내로 붓고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3 x 500 mL).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 g, 100%). LCMS: m/z = 269.8 [M+], 271.8 [M+2], RT = 2.91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단계 6: 3-브로모-8-하이드라지노-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진한 HCl(7 mL) 중 화합물 VI(0.7 g; 2.5 mmol; 1 당량)의 교반, 냉각(-10℃) 용액에 나트륨 니트라이트(0.35 g; 5.1 mmol; 2 당량)의 수용액을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 h 동안 -10℃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주석 클로라이드 탈수화물(1.69 g; 7.51 mmol; 3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 h 동안 23℃에서 교반하며 방치하였다. 혼합물을 빙냉 포화 수성 NaHCO3 용액 및 고체 NaHCO3으로 처리하여 pH를 7로 조정하였다. 수성상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3 x 500 mL)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진공 중에 농축하여 건조 잔여물을 수득하고 이를 용출액으로 10-5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을 이용하는 실리카 겔(230-4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0.3 g, 43%). LCMS: m/z = 285.0 [M+], 286.8 [M+2], RT = 2.69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단계 7: 3-브로모-8-(3-에톡시카보닐-5-에틸-피라졸-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에탄올 중 화합물 VII(0.3 g; 1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2-[1-디메틸아미노-메틸리덴]-3-옥소-펜탄산 에틸 에스테르(0.41 g; 2.1 mmol; 2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4 h 동안 환류하며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빙냉 포화 수성 NaHCO3 용액을 첨가하고,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3 x 50 mL). 이어서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농축 건조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0-5% 메탄올/CH2Cl2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230-4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0.32 g, 73%). LCMS: m/z = 421.0 [M+], 423.0 [M+2], RT = 3.30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단계 8: 8-(3-에톡시카보닐-5-에틸-피라졸-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반응 튜브 내의 화합물 VIII(0.4 g; 0.91 mmol; 1 당량)의 교반 건조 DMF 용액에 화합물 VIa(0.53g; 1.3 mmol; 1.5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5 분 동안 아르곤으로 탈기하였다. 혼합물에 Pd(PPh3)4(0.1 g; 0.09 mmol; 0.1 당량)를 첨가하고 아르곤을 이용한 탈기를 약 5 분 동안 반복하였다. 반응 튜브를 밀봉하고, 4 h 동안 115℃에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Celite® 층을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포화 수성 NaHCO3 용액에 이어 염수로 세척하였다. 그 뒤 유기층을 무수 Na2SO4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여 조정제 물질을 수득한다. 조정제 산물을 0-5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으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230-4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0.25 g, 61%). 1H NMR(DMSO-d 6 ) δ 9.12(s, 1H), 8.09(s, 1H), 7.90(s, 1H), 7.85(s, 1H), 7.43(d, 1H, J = 3 Hz), 7.05(d, 1H), 4.37(q, 2H, J = 7 Hz), 4.28(q, 2H, J = 7 Hz), 2.82(q, 2H, J = 1 Hz), 2.56(s, 3H), 1.30(m, 6H), 1.00(t, 3H, J = 7 Hz). LCMS: m/z = 439.0 [M+H]+, RT = 3.56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단계 9: 8-(3-카복시-5-에틸-피라졸-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THF:메탄올:H2O(15 mL, 3:2:1) 중 화합물 IX(0.25 g, 0.5 mmol, 1 당량)의 용액에 0℃에서 물(1 mL) 중 리튬 하이드록사이드 모노하이드레이트(46 mg, 1.1 mmol, 3 당량)의 용액을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3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잔여물을 물로 희석하고 1 N HCl로 산성화하여 pH를 3으로 조정하였다. 침전한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진공 하에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산출하였다(0.2 g, 87%). 1H NMR(DMSO-d 6 ) δ 9.11(s, 1H), 8.04(s, 1H), 7.89(s, 1H), 7.80(s, 1H), 7.42(d, 1H, J = 3 Hz), 7.03(d, 1H, J = 3 Hz), 2.87(q, 2H, J = 7 Hz), 2.56(s, 3H), 0.88(t, 3H, J = 7 Hz). LCMS: m/z = 397.0 [M+H]+, RT = 1.57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단계 10: 8-(5-에틸-피라졸-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화합물 X(0.17 g; 0.42 mmol; 1 당량)를 1 h 동안 200℃에서 가열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0.13 g; 86%).
단계 11: 8-(5-에틸-1H-피라졸-1-일)-N-((6-메틸피리딘-3-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CH2Cl2:DMF(1:5, 20 mL) 중 화합물 XI(0.15 g, 0.42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DIPEA(0.22 mL, 1.2 mmol, 3 당량) 및 HATU(0.2 g, 0.54 mmol, 1.3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5 분 동안 0℃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에 C-(6-메틸-피리딘-3-일)-메틸아민(0.13 g, 0.85 mmol, 2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다시 16 h 동안 23℃에서 교반하며 방치하였다. 혼합물로부터,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여, 잔여물을 EtOAc로 희석하고,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 용액, 수성 암모늄 클로라이드 용액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0-10% 메탄올/CH2Cl2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230-4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0 mg, 16%). 1H NMR(DMSO-d 6 ) δ 9.37(t, 1H, J = 6 Hz), 9.10(d, 1H, J = 1 Hz), 8.42(d, 1H, J = 2 Hz), 7.90(d, 1H, J = 1 Hz), 7.84(s, 1H), 7.68(d, 1H, J = 1 Hz), 7.63(dd, 1H, J = 2, 8 Hz), 7.43(d, 1H, J = 4 Hz), 7.22(d, 1H, J = 8 Hz), 7.03(d, 1H, J = 3 Hz), 6.35(s, 1H), 4.48(d, 2H, J = 6 Hz), 2.62(q, 2H, J = 8 Hz), 2.55(s, 3H), 2.50(s, 3H), 1.11(t, 3H, J = 8 Hz). LCMS: m/z = 457.0 [M+H] +, RT = 3.21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실시예 7: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3-(5-메틸티오펜-2-일)-8-(페닐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Figure pat00051
단계 1: 6-아미노-니코틴산 에틸 에스테르
에탄올(1.5 L) 중 화합물 I(150 g; 108.5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티오닐 클로라이드를 60℃에서 적가하고(236 mL; 325 mmol; 3 당량) 생성 혼합물을 17 h 동안 환류하며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증발 건조하고 빙냉 포화 수성 NaHCO3 용액 및 고체 NaHCO3을 이용하여 pH를 7로 조정하였다. 유기 성분을 수성상으로부터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3 x 500 mL),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152 g, 84%). 1H NMR(CDCl3) δ 8.71(s, 1H), 7.99(d, 1H, J = 12 Hz), 6.45(d, 1H, J = 8 Hz), 4.95(s, 2H), 4.31(q, 2H, J = 8 Hz); 1.35(t, 3H, J = 8 Hz). LCMS: m/z = 167.3 [M+H]+, RT = 2.32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단계 2: 6-아미노-5-요오도-니코틴산 에틸 에스테르
에탄올(1 L) 중 요오드(55 g, 219 mmol, 1.4 당량)의 교반 용액에 은 설페이트(48.7 g, 312 mmol, 2 당량)를 첨가하고, 5 분 후 화합물 II(26 g; 156.4 mmol; 1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24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증발 건조하고 20% 수성 나트륨 티오설페이트 용액으로 희석하였다. 유기 성분을 수성상으로부터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3 x 1000 mL)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갈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45 g, 100%).
단계 3: 8-요오도-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에탄올(2 L) 중 화합물 III(45 g; 154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25.9 g; 308 mmol; 2 당량) 및 클로로아세트알데하이드 용액(~50% 수용액, 121 mL; 770 mmol; 5 당량)을 적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8 h 동안 환류하며 가열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증발 건조하고 빙냉 포화 수성 NaHCO3 용액 및 고체 NaHCO3을 이용하여 pH를 7로 조정하였다. 유기 성분을 수성상으로부터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3 x 500 mL)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여 건조 잔여물을 수득하고 이를 용출액으로 10-5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을 이용하는 실리카 겔(230-4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갈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40 g, 83%). 1H NMR(DMSO-d 6 ) δ 9.34(s, 1H), 8.27(s, 1H), 8.05(s, 1H), 7.71(s, 1H), 4.35(q, 2H, J = 7 Hz), 1.34(t, 3H, J = 7 Hz). LCMS: m/z = 317.0 [M+H] +, RT = 2.96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단계 4: 3-브로모-8-요오도-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건조 THF(200 mL) 중 화합물 IV(30 g; 95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0℃에서 NBS(16.8 g; 94.9 mmol; 1 당량)를 일부씩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빙냉 포화 NaHCO3 수용액 내로 붓고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3 x 500 mL). 이어서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여 건조 잔여물을 수득하였다. 조정제 물질을 용출액으로 10-5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을 이용하는 실리카 겔(230-4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을 갈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38 g, 100%). 1H NMR(DMSO-d 6 ) δ 8.75(s, 1H), 8.16(s, 1H), 7.93(s, 1H), 4.39(q, 2H, J = 7 Hz), 1.36(t, 3H, J = 7 Hz). LCMS: m/z = 395.0 [M+], 397.0 [M+2], RT = 3.35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단계 5: 3-브로모-8-페닐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반응 튜브 내의 화합물 V(1 g; 2.55 mmol; 1 당량)의 교반 1,4-디옥산 용액에 아닐린(280 mg; 3.03 mmol; 1.2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5 분 동안 아르곤으로 탈기한 후, K2CO3(1.05 g; 7.59 mmol; 3 당량), Pd(OAc)2(57 mg; 0.25 mmol; 0.1 당량), 잔트포스(0.46g; 0.51 mmol; 0.2 당량)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5 분 동안 아르곤으로 다시 탈기하고, 반응 튜브를 밀봉하고, 5 h 동안 110℃에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Celite® 층을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포화 수성 NaHCO3 용액에 이어 염수로 세척하였다. 그 뒤 유기층을 무수 Na2SO4에 걸쳐 건조하고 증발 건조하여 조정제 물질을 수득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5-30% EtOAc/헥산으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100-2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1.5 g, 82%). LCMS: m/z = 360.2 [M+], 362.0 [M+2], RT = 3.84 분, (프로그램 P1, 칼럼 W).
단계 6: 3-(5-메틸-티오펜-2-일)-8-페닐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반응 튜브 내의 화합물 VI(0.75 g; 2.1 mmol; 1 당량)의 교반 건조 톨루엔 용액에 화합물 VIa(0.96 g; 2.5 mmol; 1.2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5 분 동안 아르곤으로 탈기하였다. 혼합물에 Pd(PPh3)4(0.24 g; 0.21 mmol; 0.1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추가 5 분 동안 아르곤으로 탈기하였다. 반응 튜브를 밀봉하고, 4 h 동안 115℃에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Celite® 층을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포화 수성 NaHCO3 용액에 이어 염수로 세척하고, 유기층을 무수 Na2SO4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증발 건조하여 조정제 물질을 수득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50% EtOAc/헥산으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230-4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밝은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48 g, 61%). 1H NMR(CDCl3) δ 8.63(s, 1H), 7.63(s, 1H), 7.42(m, 1H), 7.38(d, 2H, J = 7 Hz), 7.34(d, 2H, J = 8 Hz), 7.20(m, 1H), 6.86(m, 1H), 6.68(d, 2H, J = 8 Hz), 4.38(q, 2H, J = 7 Hz), 2.57(s, 3H) 1.37(t, 3H, J = 7 Hz). LCMS: m/z = 378.2 [M+H] +, RT = 4.20 분, (프로그램 P1, 칼럼 W).
단계 7: 3-(5-메틸-티오펜-2-일)-8-페닐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THF:메탄올:H2O(12 mL, 3:2:1) 중 화합물 VII(0.48 g, 1.27 mmol, 1 당량)의 용액에 0℃에서 물(1 mL) 중 리튬 하이드록사이드 모노하이드레이트(0.161 g, 3.81 mmol, 3 당량) 용액을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3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잔여물을 물로 희석하고, 1 N HCl로 산성화하여 pH를 3으로 조정하였다. 침전한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진공 하에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산출하였다(0.38 g, 86%). 1H NMR(DMSO-d 6 ) δ 8.44(s, 1H), 8.26(s, 1H), 7.69(s, 1H), 7.41(m, 1H), 7.35(m, 4H), 7.23(d, 1H, J = 4 Hz), 6.98(m, 2H), 2.54(s, 3H). LCMS: m/z = 350.0 [M+H] +, RT = 2.71 분, (프로그램 P1, 칼럼 W).
단계 8: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3-(5-메틸티오펜-2-일)-8-(페닐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DMF(10 mL) 중 화합물 VIII(0.38 g, 1.1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DIPEA(0.6 mL, 3.3 mmol, 3 당량) 및 HATU(0.49 g, 1.3 mmol, 1.2 당량)를 0℃에서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5 분 동안 교반하며 방치하였다. 혼합물에 (S)-1-(4H-[1,2,4]트리아졸-3-일)-에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0.48 g, 3.3 mmol, 3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다시 16 h 동안 23℃에서 교반하며 방치하였다. 혼합물로부터,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고 잔여물을 EtOAc로 희석한 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 용액, 수성 암모늄 클로라이드 용액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0-5% 메탄올/CH2Cl2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230-4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18 g, 38%). 1H NMR(DMSO-d 6 ) δ 13.78(m, 1H), 9.14-9.00(m, 1H), 8.50(m, 3H), 7.86(s, 1H), 7.40(d, 1H, J = 6 Hz), 7.35(m, 6H), 7.01(m, 2H), 5.29(m, 1H), 2.54(s, 3H), 1.53(m, 3H). LCMS: m/z = 444.0 [M+H] +, RT = 3.00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실시예 8: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1-메틸-1H-피라졸-4-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Figure pat00052
단계 1: 6-아미노-니코틴산 에틸 에스테르
에탄올(1.5 L) 중 화합물 I(150 g; 108.5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60℃에서 티오닐 클로라이드를 적가하고(236 mL; 325 mmol; 3 당량) 생성 혼합물을 17 h 동안 환류하며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증발 건조하고 빙냉 포화 수성 NaHCO3 용액 및 고체 NaHCO3를 이용하여 pH를 7로 조정하였다. 유기 성분을 수성상으로부터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5 x 1000 mL)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152 g, 84%). 1H NMR(CDCl3) δ 8.71(s, 1H), 7.99(d, 1H, J = 12 Hz), 6.45(d, 1H, J = 8 Hz), 4.95(s, 2H), 4.31(q, 2H, J = 8 Hz), 1.35(t, 3H, J = 8 Hz). LCMS: m/z = 167.3 [M+H] +, RT = 2.32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단계 2: 6-아미노-5-브로모-니코틴산 에틸 에스테르
건조 THF(500 mL) 중 화합물 II(50 g; 30.1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0℃에서 NBS(53.6 g; 30.1 mmol; 1 당량)를 일부씩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7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빙냉 포화 수성 NaHCO3 용액 내로 붓고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3 x 1000 mL). 이어서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증발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71 g, 96%). 1H NMR(DMSO-d 6 ) δ 8.49(s, 1H), 8.07(s, 1H), 7.15(s, 2H), 4.22(q, 2H, J = 8 Hz), 1.30(t, 3H, J = 8 Hz). LCMS: m/z = 245 [M+], 247 [M+2], RT = 2.97 분, (프로그램 P1, 칼럼 W).
단계 3: 8-브로모-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에탄올(1 L) 중 화합물 III(80 g; 32.6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54.83 g; 65.2 mmol; 2 당량) 및 클로로아세트알데하이드 용액(~50% 수용액, 212 mL; 163.2 mmol; 5 당량)을 적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7 h 동안 환류하며 가열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증발 건조하고 빙냉 포화 수성 NaHCO3 용액 및 고체 NaHCO3을 이용하여 pH를 7로 조정하였다. 유기 성분을 수성상으로부터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3 x 500 mL)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여 건조 잔여물을 수득하고 이를 용출액으로 10-5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을 이용하는 실리카 겔(230-4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갈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55 g, 63%). 1H NMR(DMSO-d 6 ) δ 9.33(s, 1H), 8.24(s, 1H), 7.84(s, 1H), 7.73(s, 1H), 4.34(q, 2H, J = 8 Hz), 1.34(t, 3H, J = 8 Hz). LCMS: m/z = 268.8 [M+], 270.8 [M+2], RT = 2.90 분, (프로그램 P1, 칼럼 W).
단계 4: 8-(1-메틸-1H-피라졸-4-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반응 튜브 내의 톨루엔:에탄올(20 mL; 7:3) 중 화합물 IV(1 g; 3.73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1-메틸-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로란-2-일)-1H-피라졸(0.93 g; 4.47 mmol; 1.2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 용액을 5 분 동안 아르곤으로 탈기한 후 Cs2CO3(3.03 g; 9.32 mmol; 2.5 당량), Pd(PPh3)4(0.43 g; 0.37 mmol; 0.1 당량)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동안 아르곤으로 다시 5 분 동안 탈기한 후, 반응 튜브를 밀봉하고 3 h 동안 115℃에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Celite® 층을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포화 수성 NaHCO3 용액에 이어 염수로 세척하였다. 그 뒤 유기층을 무수 Na2SO4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증발 건조하여 조정제 물질을 수득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50% EtOAc/헥산으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100-2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을 표제 화합물로서 수득하였다(1.2 g, 60%). 1H NMR(CDCl3) δ 8.79(s, 1H), 8.62(s, 1H), 8.12(s, 1H), 7.90(s, 1H), 7.69(s, 1H), 7.66(s, 1H), 4.40(q, 2H, J = 7 Hz), 3.98(s, 3H), 1.40(t, 3H, J = 7 Hz). LCMS: m/z = 271.0 [M+H] +, RT = 2.83 분, (프로그램 P1, 칼럼 W).
단계 5: 3-브로모-8-(1-메틸-1H-피라졸-4-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건조 THF(20 mL) 중 화합물 V(0.8 g; 2.90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0℃에서 NBS(520 mg; 2.9 mmol; 1 당량)를 일부씩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30 분 동안 0℃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빙냉 포화 수성 NaHCO3 용액 내로 붓고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3 x 50 mL). 이어서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증발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0.5 g, 50%). 1H NMR(DMSO-d 6 ) δ 8.75(s, 1H), 8.64(s, 1H), 8.36(s, 1H), 7.97(s, 1H), 7.93(s, 1H), 4.40(q, 2H, J = 7 Hz), 3.94(s, 3H), 1.38(t, 3H, J = 7 Hz). LCMS: m/z = 349.0 [M+], 351.0 [M+2], RT = 3.28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단계 6: 8-(1-메틸-1H-피라졸-4-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반응 튜브 내의 건조 톨루엔 중 화합물 VI(0.5 g; 1.49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화합물 VIa(0.63 g; 1.64 mmol; 1.1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5 분 동안 아르곤으로 탈기하였다. 혼합물에 Pd(PPh3)4(0.17 g; 0.14 mmol; 0.1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약 5 분 동안 다시 아르곤으로 탈기하였다. 이어서, 반응 튜브를 밀봉하고 4 h 동안 115℃에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Celite® 층을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포화 수성 NaHCO3 용액에 이어 염수로 세척하였다. 그 뒤 유기층을 무수 Na2SO4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여 조정제 물질을 수득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50% EtOAc/헥산으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230-4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0.32g, 63%). 1H NMR(DMSO-d 6 ) δ 8.87(s, 1H), 8.78(s, 1H), 8.37(s, 1H), 7.94(s, 1H), 7.90(s, 1H), 7.34(d, 1H, J = 4 Hz), 7.02(d, 1H, J = 3 Hz), 4.38(q, 2H, J = 7 Hz), 3.95(s, 3H), 2.56(s, 3H), 1.35(t, 3H, J = 7 Hz). LCMS: m/z = 367.0 [M+H] +, RT = 3.58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단계 7: 8-(1-메틸-1H-피라졸-4-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THF:메탄올:H2O(12 mL, 3:2:1) 중 화합물 VII(0.25 g, 0.68 mmol, 1 당량)의 용액에 0℃에서 물(1 mL) 중 리튬 하이드록사이드 모노하이드레이트(57 mg, 1.30 mmol, 2 당량) 용액을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3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잔여물을 물로 희석하고 1 N HCl로 산성화하여 pH를 3으로 조정하였다. 침전한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진공 중에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산출하였다(0.2 g, 100%). 1H NMR(DMSO-d 6 ) δ 8.87(s, 1H), 8.77(s, 1H), 8.35(s, 1H), 7.96(s, 1H), 7.91(s, 1H), 7.34(d, 1H, J = 4 Hz), 7.01(d, 1H, J = 3 Hz), 3.94(s, 3H), 2.56(s, 3H). LCMS: m/z = 339.0 [M+H] +, RT = 2.43 분, (프로그램 P1, 칼럼 W).
단계 8: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1-메틸-1H-피라졸-4-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DMF(10 mL) 중 화합물 VIII(0.2 g, 0.59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DIPEA(0.3 mL, 1.70 mmol, 3 당량) 및 HATU(0.26 g, 0.71 mmol, 1.2 당량)를 0℃에서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23℃에서 15 분 동안 교반하며 방치하였다. 혼합물에 (S)-1-(4H-[1,2,4]트리아졸-3-일)-에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0.10 g, 0.71 mmol, 1.2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다시 16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로부터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고, 잔여물을 EtOAc로 희석하고,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 용액, 수성 암모늄 클로라이드 용액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0-5% 메탄올/CH2Cl2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230-4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07 g, 30%). 1H NMR(DMSO-d 6 ) δ 13.85(m, 1H), 9.20(m, 1H), 8.87(d, 1H, J = 16 Hz), 8.75(s, 1H), 8.49(s, 1H), 8.34(s, 1H), 8.16(d, 1H, J = 8 Hz), 7.86(m, 1H), 7.37(s, 1H), 7.01(s, 1H), 5.35(m, 1H), 3.96(s, 3H), 2.54(s, 3H), 1.58(m, 3H). LCMS: m/z = 433.2 [M+H] +, RT = 2.78 분, (프로그램 P1, 칼럼 V).
실시예 9: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3-부틸-8-(4-메틸피페리딘-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Figure pat00053
단계 1: 6-아미노-니코틴산 에틸 에스테르
에탄올(1.5 L) 중 화합물 I(150 g; 1.08 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티오닐 클로라이드를 60℃에서 적가하고(236 mL; 3.25 mol; 3 당량) 생성 혼합물을 17 h 동안 환류하며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증발 건조하고 빙냉 포화 수성 NaHCO3 용액 및 고체 NaHCO3을 이용하여 잔여물의 pH를 7로 조정하였다. 유기 성분을 수성상으로부터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5 x 1000 mL), 합한 유기층을 염수 용액으로 세척하고 용액,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152 g, 84%). 1H NMR(CDCl3) δ 8.71(s, 1H), 7.99(d, 1H, J = 8 Hz), 6.45(d, 1H, J = 8 Hz), 4.95(s, 2H), 4.31(q, 2H, J = 8 Hz); 1.35(t, 3H, J = 8 Hz). LCMS: m/z = 167.3 [M+H]+, RT = 2.32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단계 2: 6-아미노-5-브로모-니코틴산 에틸 에스테르
건조 THF(500 mL) 중 화합물 II(50 g; 301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0℃에서 NBS(53.6 g; 301 mmol; 1 당량)를 일부씩 첨가하고, 혼합물을 17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빙냉 포화 수성 NaHCO3 용액 내로 붓고 유기 성분을 수성상으로부터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3 x 1000 mL). 그 뒤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증발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71 g, 96%). 1H NMR(DMSO-d 6 ) δ 8.49(s, 1H), 8.07(s, 1H), 7.15(s, 2H), 4.22(q, 2H, J = 8 Hz,), 1.30(t, J = 8 Hz, 3H). LCMS: m/z = 245 [M+], 247 [M+2], RT = 2.97 분, (프로그램 P1, 칼럼 W).
단계 3: 8-브로모-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에탄올(1 L) 중 화합물 III(80 g; 326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54.8 g; 652 mmol; 2 당량) 및 클로로아세트알데하이드 용액(~50% 수용액, 212 mL; 1.63 mol; 5 당량)을 적가하고, 혼합물을 17 h 동안 환류하며 가열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증발 건조하고 pH를 포화 빙냉 수성 NaHCO3 용액 및 고체 NaHCO3을 이용하여 7로 조정하였다. 유기 성분을 수성상으로부터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3 x 1000 mL)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여 건조 잔여물을 수득하고 이를 10-5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을 이용하는 실리카 겔(230-4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갈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55 g, 63%). 1H NMR(DMSO-d 6 ) δ 9.33(s, 1H), 8.24(s, 1H), 7.84(s, 1H), 7.73(s, 1H), 4.34(q, 2H, J = 8 Hz), 1.34(t, 3H, J = 12 Hz). LCMS: m/z = 268.8 [M+], 270.8 [M+2], RT = 2.90 분, (프로그램 P1, 칼럼 W).
단계 4: 8-(4-메틸-피페리딘-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반응 튜브 내의 화합물 IV(1 g; 3.71 mmol; 1 당량)의 교반 1,4-디옥산 용액에 4-메틸 피페리딘(0.73 g; 7.43 mmol; 2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5 분 동안 아르곤으로 탈기한 후 Cs2CO3(1.81 g; 5.56 mmol; 1.5 당량), Pd2(dba)3(0.16 g; 0.018 mmol; 0.05 당량), 및 잔트포스(0.21 g; 0.37 mmol; 0.1 당량)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5 분 동안 아르곤으로 다시 탈기한 후, 반응 튜브를 밀봉하고, 5 h 동안 115℃에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Celite® 층을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포화 수성 NaHCO3 용액에 이어 염수로 세척하였다. 그 뒤 유기층을 무수 Na2SO4에 걸쳐 건조하고 증발 건조하여 조정제 물질을 수득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50% EtOAc/헥산으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100-2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밝은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25 g, 23%). 1H NMR(DMSO-d 6 ) δ 8.84(s, 1H), 8.03(s, 1H), 7.55(s, 1H), 6.75(s, 1H), 4.31(m, 4H), 2.73(q, 2H, J = 8 Hz), 1.73(d, 2H, J = 12 Hz), 1.56(m, 1H), 1.3(m, 5H), 0.9(t, 3H, J = 4 Hz). LCMS: m/z = 288 [M+H] +, RT = 3.56 분, (프로그램 P1, 칼럼 W).
단계 5: 3-((E)-부트-1-에닐)-8-(4-메틸-피페리딘-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아세트산(2 mL) 중 화합물 V(0.15 g; 0.52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밀봉된 튜브 내에서 나트륨 아세테이트(0.17 g; 2 mmol; 4 당량) 및 부타르알데하이드(0.46 mL; 5.22 mmol; 10 당량)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4 h 동안 150℃에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빙냉 포화 수성 NaHCO3 용액 내로 붓고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3 x 50 mL).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증발 건조하여 조정제 물질을 수득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50% EtOAc/헥산으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230-4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0.12 g, 70%). 1H NMR(DMSO-d 6 ) δ 8.60(s, 1H), 7.75(s, 1H), 6.90-6.70(m, 2H), 6.45-6.20(m, 1H), 4.40-4.38(m, 4H), 2.73(t, 2H, J = 10 Hz), 2.31-2.24(m, 2H), 1.75(m, 2H), 1.56-1.48(m, 3H), 1.12(t, 3H, J = 4 Hz), 0.97-0.95(m, 3H), 0.81-0.79(m, 3H). LCMS: m/z = 343.2 [M+H]+, RT = 2.44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단계 6: 3-부틸-8-(4-메틸-피페리딘-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건조 메탄올 중 화합물 VI(0.12 g; 0.36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10% Pd/C를 첨가하고(40 mg) 생성 혼합물을 2 h 동안 수소 분위기 하에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Celite® 층을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0.115 g, 92%). 1H NMR(DMSO-d 6 ) δ 8.36(s, 1H), 7.36(s, 1H), 6.77(s, 1H), 4.40-4.25(m, 4H), 2.88(t, 2H, J = 8 Hz), 2.75(t, 2H, J = 10 Hz), 1.75-1.64(m, 4H), 1.56(m, 2H), 1.45-1.38(m, 3H), 1.32(t, 3H, J = 4 Hz), 0.97-0.95(m, 3H), 0.81-0.79(m, 3H). LCMS: m/z = 344.6 [M+H]+, RT = 2.55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단계 7: 3-부틸-8-(4-메틸-피페리딘-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THF:메탄올:H2O(9 mL, 3:2:1) 중 화합물 VII(0.11 g, 0.32 mmol, 1 당량) 용액에 물(0.5 mL) 중 리튬 하이드록사이드 모노하이드레이트(45 mg, 0.96 mmol, 3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3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잔여물을 물로 희석하고 1 N HCl로 산성화하여 pH를 3으로 조정하였다. 유기 성분을 수성상으로부터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3 x 50 mL).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증발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0.07 g, 70%). 1H NMR(DMSO-d 6 ) δ 8.53(s, 1H), 7.66(s, 1H), 7.12(s, 1H), 3.93(m, 2H), 2.93(t, 2H, J = 15 Hz), 2.75(t, 2H, J = 12 Hz), 1.80-1.74(m, 4H), 1.60(m, 1H), 1.45-1.32(m, 4H), 0.97-0.90(m, 6H). LCMS: m/z = 316.2 [M+H]+, RT = 2.60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단계 8: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3-부틸-8-(4-메틸피페리딘-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CH2Cl2(10 mL) 중 화합물 VIII(40 mg, 0.12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DIPEA(0.06 mL, 0.38 mmol, 3 당량) 및 HATU(58 mg, 0.15 mmol, 1.2 당량)를 0℃에서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5 분 동안 교반하며 방치하였다. 혼합물에 (S)-1-(4H-[1,2,4]트리아졸-3-일)-에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0.022 g, 0.15 mmol, 1.2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다시 16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로부터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고, 잔여물을 EtOAc로 희석하고, 수성 포화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 용액, 수성 암모늄 클로라이드 용액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분리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0-5% 메탄올/CH2Cl2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230-4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015 g, 30%). 1H NMR(DMSO-d 6 ) δ 13.83(m, 1H), 8.86(m, 1H), 8.44(m, 2H), 7.87(s, 1H), 7.34(m, 1H), 6.86(s, 1H), 5.34(m, 1H), 4.32(m, 2H), 2.85(t, 2H, J = 7 Hz), 2.71(t, 2H, J = 11 Hz), 1.73(m, 4H), 1.55(m, 4H), 1.44-1.32(m, 4H), 0.97-0.90(m, 6H). LCMS: m/z = 409.6 [M+H] +, RT = 2.60 분, (프로그램 R1, 칼럼 Y).
실시예 10: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4-메틸피페리딘-1-일)-3-(프로필티오)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Figure pat00054
단계 1: 6-아미노-니코틴산 에틸 에스테르
에탄올(1.5 L) 중 화합물 I(150 g, 1.08 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티오닐 클로라이드를 60℃에서 적가하고(236 mL; 3.25 mol; 3 당량) 생성 혼합물을 17 h 동안 환류하며 가열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증발 건조하고 잔여물의 pH를 빙냉 포화 수성 NaHCO3 용액 및 고체 NaHCO3을 이용하여 7로 조정하였다. 유기 성분을 수성상으로부터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5 x 1000 mL) 합한 유기층을 염수 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152 g, 84%). 1H NMR(CDCl3) δ 8.71(s, 1H), 7.99(d, 1H, J = 12 Hz), 6.45(d, 1H, J = 8 Hz), 4.95(s, 2H), 4.31(q, 2H, J = 8 Hz), 1.35(t, 3H, J = 8 Hz). LCMS: m/z = 167.3 [M+H]+, RT = 2.32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단계 2: 6-아미노-5-브로모-니코틴산 에틸 에스테르
건조 THF(500 mL) 중 화합물 II(50 g; 301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0℃에서 NBS(53.6 g; 301 mmol; 1 당량)를 일부씩 첨가하고, 혼합물을 17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빙냉 포화 수성 NaHCO3 용액 내로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3 x 1000 mL). 이어서 합한 유기물을 염수 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증발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71 g, 96%). 1H NMR(DMSO-d 6 ) δ 8.49(s, 1H), 8.07(s, 1H), 7.15(s, 2H), 4.22(q, 2H, J = 8 Hz), 1.30(t, 3H, J = 8 Hz). LCMS: m/z = 245 [M+], 247 [M+2], RT = 2.97 분, (프로그램 P1, 칼럼 W).
단계 3: 8-브로모-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에탄올(1 L) 중 화합물 III(80 g; 326 mmol; 1 당량) 및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54.83 g; 652 mmol; 2 당량)의 교반 용액에 클로로아세트알데하이드 용액(~50% 수용액, 212 mL; 1.6 mol; 5 당량)을 적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7 h 동안 환류하며 가열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증발 건조하고 pH를 빙냉 포화 수성 NaHCO3 용액 및 고체 NaHCO3을 이용하여 7로 조정하였다. 유기 성분을 수성상으로부터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3 x 1000 mL)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여 건조 잔여물을 수득하고 이를 용출액으로 10-5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을 이용하는 실리카 겔(230-4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갈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55 g, 63%). 1H NMR(DMSO-d 6 ) δ 9.33(s, 1H), 8.24(s, 1H), 7.84(s, 1H), 7.73(s, 1H), 4.34(q, 2H, J = 8 Hz), 1.34(t, 3H, J = 12 Hz). LCMS: m/z = 268.8 [M+], 270.8 [M+2], RT = 2.90 분, (프로그램 P1, 칼럼 W).
단계 4: 8-(4-메틸-피페리딘-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반응 튜브 내의 화합물 IV(1 g; 3.71 mmol; 1 당량)의 교반 1,4-디옥산 용액에 4-메틸 피페리딘(0.73g; 7.43 mmol; 2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5 분 동안 아르곤으로 탈기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에 Cs2CO3(1.81 g; 5.56 mmol; 1.5 당량), Pd2(dba)3(0.16g; 0.018 mmol; 0.05 당량), 잔트포스(0.21g; 0.37 mmol; 0.1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다시 5 분 동안 아르곤으로 탈기하고 반응 튜브를 밀봉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115℃로 가열하고 5 h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Celite® 층을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포화 수성 NaHCO3 용액에 이어 염수로 세척하였다. 그 뒤 유기층을 무수 Na2SO4에 걸쳐 건조하고 증발 건조하여 조정제 물질을 수득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50% EtOAc/헥산으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100-2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밝은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25 g, 23%). 1H NMR(DMSO-d 6 ) δ 8.84(s, 1H), 8.03(s, 1H), 7.55(s, 1H), 6.75(s, 1H), 4.31(m, 4H), 2.73(q, 2H, J = 8 Hz), 1.73(d, 2H, J = 12 Hz), 1.56(m, 1H), 1.3(m, 5H), 0.9(t, 3H, J = 4 Hz). LCMS: m/z = 288 [M+H] +, RT = 3.56 분, (프로그램 P1, 칼럼 W).
단계 5: 3-브로모-8-(4-메틸-피페리딘-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건조 THF(30 mL) 중 화합물 V(1.6 g; 5.5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0℃에서 NBS(0.99 g; 5.5 mmol; 1 당량)를 일부씩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30 분 동안 0℃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빙냉 포화 수성 NaHCO3 용액 내로 붓고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3 x 500 mL). 이어서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증발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1.7 g, 83%). 1H NMR(DMSO-d 6 ) δ 8.34(s, 1H), 7.75(s, 1H), 6.87(s, 1H), 4.35(m, 4H), 2.79(q, 2H, J = 12 Hz), 1.73(d, 2H, J = 12 Hz), 1.58(s, 1H), 1.3(m, 5H), 0.95(t, 3H, J = 4 Hz). LCMS: m/z = 366.2 [M+], 368.2 [M+2], RT = 2.51 분, (프로그램 P1, 칼럼 W).
단계 6: 8-(4-메틸-피페리딘-1-일)-3-프로필설파닐-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반응 튜브 내의 화합물 VI(0.15 g; 0.40 mmol; 1 당량)의 교반 1,4-디옥산 용액에 프로판티올(73 mg; 0.81 mmol; 2 당량)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5 분 동안 아르곤으로 탈기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에 Cs2CO3(195 mg; 0.6 mmol; 1.5 당량), Pd2(dba)3(18 mg; 0.02 mmol; 0.05 당량), 잔트포스(23 mg; 0.04 mmol; 0.1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다시 5 분 동안 아르곤으로 탈기하고 반응 튜브를 밀봉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115℃로 가열하고 5 h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Celite® 층을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포화 수성 NaHCO3 용액에 이어 염수로 세척하였다. 그 뒤 유기층을 무수 Na2SO4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증발 건조하여 조정제 물질을 수득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50% EtOAc/헥산으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100-2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0.14 g, 91%). 1H NMR(DMSO-d 6 ) δ 8.63(s, 1H), 7.80(s, 1H), 6.89(s, 1H), 4.37(q, 2H, J = 4 Hz), 4.33(m, 2H), 2.78(t, 2H, J = 12 Hz), 2.69(m, 2H), 1.76(m, 2H), 1.60(m, 1H), 1.42-1.39(m, 7H), 0.96(d, 3H, J = 6 Hz,), 0.83(t, 3H, J = 7 Hz). LCMS: m/z = 375.8 [M+H] +, RT = 2.97 분, (프로그램 P1, 칼럼 W).
단계 7: 8-(4-메틸-피페리딘-1-일)-3-프로필설파닐-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THF:메탄올:H2O(12 mL, 3:2:1) 중 화합물 VII(150 mg, 0.41 mmol, 1 당량)의 용액에 0℃에서 물(0.5 mL) 중 리튬 하이드록사이드 모노하이드레이트(34 mg, 0.83 mmol, 2 당량) 용액을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3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잔여물을 물로 희석하고 1 N HCl로 산성화하여 pH를 3으로 조정하였다. 고체 침전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진공 하에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산출하였다(0.11 g, 79%). 1H NMR(DMSO-d 6 ) δ 13.30(s, 1H), 8.63(s, 1H), 7.79(s, 1H), 6.91(s, 1H), 4.27(d, 2H, J = 12 Hz), 2.77(t, 2H, J = 8 Hz), 2.66(t, 2H, J = 8 Hz), 1.73(d, 2H, J = 12 Hz), 1.58(m, 1H), 1.40-1.47(m, 2H), 1.35-1.27(m, 2H), 0.95-0.91(m, 6H). LCMS: m/z = 334 [M+H] +, RT = 2.64 분, (프로그램 P1, 칼럼 W).
단계 8: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4-메틸피페리딘-1-일)-3-(프로필티오)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CH2Cl2(10 mL) 중 화합물 VIII(0.05 g, 0.14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DIPEA(0.075 mL, 0.42 mmol, 3 당량) 및 HATU(0.069 g, 0.18 mmol,1.3 당량)를 0℃에서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5 분 동안 교반하며 방치하였다. 혼합물에 (S)-1-(4H-[1,2,4]트리아졸-3-일)-에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0.025 g, 0.17 mmol, 1.2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다시 16 h 동안 23℃에서 교반하며 방치하였다. 혼합물로부터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여, EtOAc로 희석하고,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 용액, 수성 암모늄 클로라이드 용액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하여 조정제 산물을 수득하였다. 조정제 물질을 0-5% 메탄올/CH2Cl2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230-4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0.015 g, 23%). 1H NMR(CDCl3) δ 11.79(s, 1H), 8.52(s, 1H), 8.04(s, 1H), 7.72(s, 1H), 6.85(s, 1H), 6.70(s, 1H), 5.46(q, 1H, J = 8 Hz), 4.19(d, 2H, J = 12 Hz), 2.79(t, 2H, J = 12 Hz), 2.56(t, 2H, J = 8 Hz), 1.78(d, 4H, J = 4 Hz), 1.53-1.46(m, 5H), 1.0-0.93(m, 6H). LCMS: m/z = 428.4 [M+H]+, RT = 3.15 분, (프로그램 P1, 칼럼 W).
실시예 11: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4-메틸피페리딘-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Figure pat00055
단계 1: 6-아미노-니코틴산 에틸 에스테르
에탄올(1.5 L) 중 화합물 I(150 g; 1.09 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티오닐 클로라이드를 60℃에서 적가하고(236 mL; 3.26 mol; 3 당량) 생성 혼합물을 17 h 동안 환류하며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증발 건조하고 pH를 빙냉 포화 수성 NaHCO3 용액 및 고체 NaHCO3를 이용하여 7로 조정하였다. 유기 성분을 수성상으로부터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5 x 1000 mL)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152 g, 84%). 1H NMR(CDCl3) δ 8.71(s, 1H), 7.99(d, 1H, J = 12 Hz), 6.45(d, 1H, J = 8 Hz), 4.95(s, 2H), 4.31(q, 2H, J = 8 Hz), 1.35(t, 3H, J = 12 Hz,). LCMS: m/z = 167.3 [M+H] +, RT = 2.32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단계 2: 6-아미노-5-브로모-니코틴산 에틸 에스테르
건조 THF(500 mL) 중 화합물 II(50 g; 301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0℃에서 NBS(53.6 g; 301 mmol; 1 당량)를 일부씩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7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빙냉 포화 수성 NaHCO3 용액 내로 붓고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3 x 1000 mL). 합한 유기층을 염수 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농축하고, 증발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71 g, 96%). 1H NMR(DMSO-d 6 ) δ 8.49(s, 1H), 8.07(s, 1H), 7.15(s, 2H), 4.22(q, 2H, J = 8 Hz), 1.30(t, 3H, J = 8 Hz). LCMS: m/z = 245 [M+], 247 [M+2], RT = 2.97 분, (프로그램 P1, 칼럼 W).
단계 3: 8-브로모-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에탄올(1 L) 중 화합물 III(80 g; 326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54.8 g; 652 mmol; 2 당량) 및 수성 클로로아세트알데하이드 용액(~50% 수용액, 212 mL; 1.63 mol; 5 당량)을 적가하고, 혼합물을 17 h 동안 환류하며 가열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증발 건조하고 잔여물의 pH를 빙냉 포화 수성 NaHCO3 용액 및 고체 NaHCO3를 이용하여 7로 조정하였다. 유기 성분을 수성상으로부터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3 x 1000 mL)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건조 잔여물을 수득하고 이를 용출액으로 10-5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을 이용하는 실리카 겔(230-4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갈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55 g, 63%). 1H NMR(DMSO-d 6 ) δ 9.33(s, 1H), 8.24(s, 1H), 7.84(s, 1H), 7.73(s, 1H), 4.34(q, 2H, J = 8 Hz), 1.34(t, 3H, J = 8 Hz). LCMS: m/z = 268.8 [M+], 270.8 [M+2], RT = 2.90 분, (프로그램 P1, 칼럼 W).
단계 4: 8-(4-메틸-피페리딘-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반응 튜브 내의 화합물 IV(1 g; 3.71 mmol; 1 당량)의 교반 1,4-디옥산 용액에 4-메틸 피페리딘(0.73 g; 7.43 mmol; 2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5 분 동안 아르곤으로 탈기한 후 Cs2CO3(1.81 g; 5.56 mmol; 1.5 당량), Pd2(dba)3(0.16 g; 0.018 mmol; 0.05 당량) 및 잔트포스(0.21 g; 0.37 mmol; 0.1 당량)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5 분 동안 아르곤으로 다시 탈기하고, 반응 튜브를 밀봉하고, 5 h 동안 115℃에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Celite® 층을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포화 수성 NaHCO3 용액에 이어 염수로 세척하였다. 그 뒤 유기층을 에 걸쳐 건조하고 무수 Na2SO4, 여과하고 증발 건조하여 조정제 물질을 수득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50% EtOAc/헥산으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100-2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밝은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25 g, 23%). 1H NMR(DMSO-d 6 ) δ 8.84(s, 1H), 8.03(s, 1H), 7.55(s, 1H), 6.75(s, 1H), 4.31(m, 4H), 2.73(q, 2H, J = 8 Hz), 1.73(d, 2H, J = 12 Hz), 1.56(m, 1H), 1.3(m, 5H), 0.9(t, 3H, J = 4 Hz). LCMS: m/z = 288 [M+H] +, RT = 3.56 분, (프로그램 P1, 칼럼 W).
단계 5: 3-브로모-8-(4-메틸-피페리딘-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건조 THF(30 mL) 중 화합물(1.6 g; 5.5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0℃에서 NBS(0.99 g; 5.5 mmol; 1 당량)를 일부씩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30 분 동안 0℃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빙냉 포화 수성 NaHCO3 용액 내로 붓고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3 x 500 mL). 그 뒤, 합한 유기층을 염수 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증발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1.7 g, 83%). 1H NMR(DMSO-d 6 ) δ 8.34(s, 1H), 7.75(s, 1H), 6.87(s, 1H), 4.35(m, 4H), 2.79(q, 2H, J = 12 Hz), 1.73(d, 2H, J = 12 Hz), 1.58(s, 1H), 1.3(m, 5H), 0.95(t, 3H, J = 4 Hz). LCMS: m/z = 366.2 [M+], 368.2 [M+2], RT = 2.51 분, (프로그램 P1, 칼럼 W).
단계 6: 8-(4-메틸-피페리딘-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반응 튜브 내의 건조 톨루엔 중 화합물 VI(1 g; 2.7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화합물 VIa(1.58 g; 4 mmol; 1.5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5 분 동안 아르곤으로 탈기하였다. Pd(PPh3)4(0.31 g; 0.27 mmol; 0.1 당량)를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5 분 동안 아르곤으로 다시 탈기하였다. 반응 튜브를 밀봉하고 혼합물을 4 h 동안 교반하면서 115℃에서 가열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Celite® 층을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포화 수성 NaHCO3 용액에 이어 염수로 세척하였다. 그 뒤 유기층을 무수 Na2SO4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증발 건조하여 조정제 물질을 수득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50% EtOAc/헥산으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230-4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밝은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8 g, 80%). 1H NMR(DMSO-d 6 ) δ 8.57(s, 1H), 7.72(s, 1H), 7.27(d, 1H, J = 4 Hz), 6.98(d, 1H, J = 2 Hz), 6.85(s, 1H), 4.3(m, 4H), 2.79(q, 2H, J = 12 Hz), 2.53(s, 3H), 1.75(d, 2H, J = 8 Hz), 1.58(s, 1H), 1.32(m, 5H), 0.96(d, 3H). LCMS: m/z = 384 [M+H] +, RT = 4.50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단계 7: 8-(4-메틸-피페리딘-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THF:메탄올:H2O(12 mL, 3:2:1) 중 화합물 VII(0.8 g, 2.08 mmol, 1 당량) 용액에 0℃에서 물(1 mL) 중 리튬 하이드록사이드 모노하이드레이트(0.175 g, 4.1 mmol, 2 당량) 용액을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3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잔여물을 물로 희석하고 1 N HCl로 산성화하여 pH를 3으로 조정하였다. 침전한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진공 하에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산출하였다(0.74 g, 100%). 1H NMR(DMSO-d 6 ) δ 8.55(s, 1H), 7.68(s, 1H), 7.23(d, 1H, J = 3 Hz), 6.97(d, 1H, J = 2 Hz), 6.94(s, 1H), 4.27(d, 2H, J = 12 Hz), 2.76(m, 2H), 2.52(s, 3H), 1.74(d, 2H, J = 8 Hz), 1.67(m, 1H), 1.37(m, 2H); 0.96(m, 3H). LCMS: m/z = 356.3 [M+H] +, RT = 2.69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단계 8: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4-메틸피페리딘-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DMF(10 mL) 중 화합물 VIII(0.2 g, 0.56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DIPEA(0.3 mL, 1.6 mmol, 3 당량) 및 HATU(0.27 g, 0.72 mmol, 1.3 당량)를 0℃에서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5 분 동안 교반하며 방치하였다. 혼합물에 (S)-1-(4H-[1,2,4]트리아졸-3-일)-에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0.1 g, 0.67 mmol, 1.2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다시 16 h 동안 23℃에서 교반하며 방치하였다. 혼합물로부터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고, 잔여물을 EtOAc로 희석하고,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 용액, 수성 암모늄 클로라이드 용액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0-5% 메탄올/CH2Cl2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230-4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12 g, 48%). 1H NMR(CDCl3) δ 8.46(s, 1H), 8.00(s, 1H), 7.62(s, 1H), 7.04(d, 1H, J = 2 Hz), 6.82(m, 2H), 6.61(s, 1H), 5.42(m, 1H), 4.15(m, 2H), 2.77(t, 2H, J = 12 Hz), 2.48(s, 3H), 1.75(m, 5H), 1.52(m, 3H), 0.99(d, 3H, J = 8 Hz). LCMS: m/z = 450.0 [M+H]+, RT = 3.20 분, (프로그램 P1, 칼럼 W).
실시예 12: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4-카바모일-4-메틸피페리딘-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Figure pat00056
실시예 11에 기재된 실험 절차에 따라, 화합물 IV 를 제조하였다.
단계 4: 8-(4-벤질옥시카보닐-4-메틸-피페리딘-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반응 튜브 내의 화합물 IV(1 g; 3.71 mmol; 1 당량)의 교반 1,4-디옥산(40 mL) 용액에 4-메틸-피페리딘-4-카복실산 벤질 에스테르(1.5 g; 5.6 mmol; 1.5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5 분 동안 아르곤으로 탈기한 후 Cs2CO3(3.63 g; 11.15 mmol; 3 당량), Pd2(dba)3(0.17 g; 0.019 mmol; 0.05 당량) 및 잔트포스(0.21 g; 0.37 mmol; 0.1 당량)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5 분 동안 아르곤으로 다시 탈기하고, 튜브를 밀봉하고 5 h 동안 130℃에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Celite® 층을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물로 희석하고(200 mL),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200 mL). 유기층을 포화 수성 NaHCO3 용액,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에 걸쳐 건조한 후 여과하였다. 이어서 여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고 조정제 물질을 수득하여, 이를 50% EtOAc/헥산으로 용출하는 Combiflash™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밝은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33 g, 23%). 1H NMR(CDCl3) δ 8.52(s, 1H), 7.59(s, 1H), 7.55(s, 1H), 7.33(m, 5H), 6.91(s, 1H), 5.16(s, 2H), 4.37(q, 2H, J = 7 Hz), 3.92(m, 2H), 3.06(t, 2H, J = 10 Hz), 2.34(d, 2H, J = 14 Hz), 1.77(m, 2H), 1.39(t, 3H, J = 7 Hz), 1.29(s, 3H). LCMS: m/z = 422.2 [M+H] +, RT = 3.77 분, (프로그램 P1, 칼럼 W).
단계 5: 8-(4-벤질옥시카보닐-4-메틸-피페리딘-1-일)-3-브로모-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건조 THF(20 mL) 중 화합물 V(1 g; 2.37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0℃에서 NBS(0.29 g; 1.66 mmol; 0.7 당량)를 일부씩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5 분 동안 0℃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빙냉 포화 수성 NaHCO3 용액 내로 붓고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3 x 100 mL). 합한 유기층을 염수 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증발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0.67 g, 56%). 1H NMR(CDCl3) δ 8.48(s, 1H), 7.57(s, 1H), 7.33(m, 5H), 6.99(s, 1H), 5.16(s, 2H), 4.40(q, 2H, J = 7 Hz), 3.90(m, 2H), 3.06(t, 2H, J = 11 Hz), 2.34(d, 2H, J = 13 Hz), 1.77(m, 2H), 1.41(t, 3H, J = 7 Hz), 1.29(s, 3H). LCMS: m/z = 500.2 [M+], 502.4 [M+2], RT = 4.06 분, (프로그램 P1, 칼럼 V).
단계 6: 8-(4-벤질옥시카보닐-4-메틸-피페리딘-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반응 튜브 내의 건조 DMF(5 mL) 중 화합물 VI(0.67 g; 1.34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화합물 VIa(0.66 g; 1.60 mmol; 1.2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5 분 동안 아르곤으로 탈기하였다. 이어서 Pd(PPh3)4(0.15g; 0.13 mmol; 0.1 당량)를 혼합물에 첨가하고, 5 분 동안 아르곤으로 다시 탈기하였다. 반응 튜브를 밀봉하고 혼합물을 4 h 동안 교반하며 140℃에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Celite® 층을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에틸 아세테이트(200 mL) 및 물(200 mL)로 희석하였다. 유기층을 물(200 mL) 및 염수로 세척한 후 무수 Na2SO4에 걸쳐 건조하여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하에 증발시켜 조정제 물질을 수득하고 이를 50% EtOAc/헥산으로 용출하는 Combiflash™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밝은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65 g, 94%). 1H NMR(CDCl3) δ 8.71(s, 1H), 7.63(s, 1H), 7.34(m, 5H), 7.06(d, 1H, J = 4 Hz), 6.96(s, 1H), 6.84(d, 1H, J = 4 Hz), 5.17(s, 2H), 4.38(q, 2H, J = 7 Hz), 3.92(m, 2H), 3.07(t, 2H, J = 10 Hz), 2.55(s, 3H), 2.35(d, 2H, J = 14 Hz), 1.77(m, 2H), 1.38(t, 3H, J = 7 Hz), 1.30(s, 3H). LCMS: m/z = 518.4 [M+H] +, RT = 4.31 분, (프로그램 P1, 칼럼 V).
단계 7: 8-(4-카복시-4-메틸-피페리딘-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건조 메탄올 중 화합물 VII(0.65 g; 1.25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10% Pd/C를 첨가하고(650 mg) 생성 혼합물을 수소 분위기 하에 15 h 동안 압력 하에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Celite® 층을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농축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0.45 g, 85%). 1H NMR(DMSO-d 6 ) δ 8.58(s, 1H), 7.74(s, 1H), 7.28(d, 1H, J = 3 Hz), 7.00(m, 1H), 6.87(s, 1H), 4.32(q, 2H, J = 7 Hz), 4.15(m, 1H), 3.92(m, 2H), 2.87(t, 2H, J = 7 Hz), 2.54(s, 3H), 2.33(m, 2H), 1.70(m, 2H), 1.37(m, 3H), 1.30(s, 3H). LCMS: m/z = 428.2 [M+H] +, RT = 2.96 분, (프로그램 P1, 칼럼 W).
단계 8: 8-(4-카바모일-4-메틸-피페리딘-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DMF(5 mL) 중 화합물 VIII(0.45 g, 1.05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DIPEA(0.54 mL, 3.16 mmol, 3 당량) 및 HATU(0.48 g, 1.26 mmol, 1.2 당량)를 0℃에서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5 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에 암모늄 클로라이드를 첨가하고(0.17 g, 3.16 mmol, 3 당량) 생성 혼합물을 다시 18 h 동안 23℃에서 교반하며 방치하였다. 혼합물을 물로 켄칭하고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3 x 100 mL) 염수로 세척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하여 조정제 물질을 수득하고, 이를 0-5% 메탄올/CH2Cl2로 용출하는 Combiflash™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28 g, 63%). 1H NMR(DMSO-d 6 ) δ 8.57(s, 1H), 7.73(s, 1H), 7.28(d, 1H, J = 4 Hz), 7.24(m, 1H), 7.00(m, 1H), 6.91(brs, 1H), 6.85(s, 1H), 4.33(q, J = 11 Hz, 2H), 3.87(m, 2H), 3.20(t, J = 10 Hz, 2H), 2.54(s, 3H), 2.14(m, 2H), 1.55(m, 2H), 1.31(m, 3H), 1.16(s, 3H). LCMS: m/z = 427.2 [M+H] +, RT = 3.27 분, (프로그램 P1, 칼럼 V).
단계 9: 8-(4-카바모일-4-메틸-피페리딘-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THF:메탄올:H2O(14 mL, 5:1:1) 중 화합물 IX(0.28 g, 0.9 mmol, 1 당량)의 용액에 0℃에서 물(1 mL) 중 리튬 하이드록사이드 모노하이드레이트(0.108 g, 2.6 mmol, 3 당량) 용액을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2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유기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잔여물을 물로 희석하고 6 N HCl로 산성화하여 pH를 3으로 조정하였다. 침전한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고체를 진공 하에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산출하였다(0.20 g, 76%). 1H NMR(DMSO-d 6 ) δ 8.52(s, 1H), 7.66(s, 1H), 7.22(m, 2H), 6.90(m, 3H), 3.77(m, 2H), 3.18(m, 2H), 2.53(s, 3H), 2.15(m, 2H), 1.55(m, 2H), 1.16(s, 3H). LCMS: m/z = 399.0 [M+H] +, RT = 2.08 분, (프로그램 P1, 칼럼 W).
단계 10: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4-카바모일-4-메틸피페리딘-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DMF(5 mL) 중 화합물 X(0.1 g, 0.25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TEA(2 mL, 0.4 mmol, 3 당량), (S)-1-(4H-[1,2,4]트리아졸-3-일)-에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0.06 g, 0.4 mmol, 1.5 당량)의 DMF(2 mL) 용액 및 T3P(0.2 mL, 0.4 mmol, 1.5 당량)를 23℃에서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6 h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로 켄칭하고 유기 성분을 10% 메탄올/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2 x 200 mL).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하였다. 조정제 잔여물을 0-10% 메탄올/CH2Cl2로 용출하는(시작 시 8% 화합물에서) 실리카 겔(100-2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012 g, 10%). 1H NMR(DMSO-d 6 - 80℃) δ 13.61(brs, 1H), 8.77(s, 1H), 8.54(s, 1H), 8.14(brs, 1H), 7.64(s, 1H), 7.26(s, 1H), 6.96(s, 2H), 6.78(brs, 2H), 5.34(m, 1H), 3.86(m, 2H), 3.36(m, 2H), 2.54(s, 3H), 2.17(m, 2H), 1.63(m, 2H), 1.57(m, 3H), 1.21(s, 3H). LCMS: m/z = 493.4 [M+H] +, RT = 2.60 분, (프로그램 P1, 칼럼 V).
실시예 13: 8-(4-카바모일피페라진-1-일)-N-((6-메틸피리딘-3-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Figure pat00057
단계-4에서 4-메틸 피페리딘을 N-BOC 피페라진으로, 단계 8에서 트리아졸 아민 유사체를 피리딘 아민 유사체로 대체하여, 반응식 28에서 화합물 IX가 제조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화합물 IXb를 합성하였다. 이후 단계-A 및 단계-B를 수행하여 화합물 XIb를 합성하였다.
단계 A: 3-(5-메틸-티오펜-2-일)-8-피페라진-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S)-1-(1H-[1,2,4]트리아졸-3-일)-에틸]-아미드
CH2Cl2(8 mL) 중 IXb(240 mg, 0.44 mmol, 1 당량)의 용액에 TFA를 첨가하고(0.33 mL, 4.4 mmol, 10 당량) 생성 혼합물을 16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TFA를 제거하고 물로 희석하였다. 수성 NaHCO3를 첨가하고 유기 성분을 5% MeOH/CH2Cl2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Na2SO4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40 mg, 72%). 1H NMR(DMSO-d 6 ) δ 9.24(t, 1H, J = 5 Hz), 8.60(s, 1H), 8.42(s, 1H), 7.69(s, 1H), 7.62-7.60(m, 1H), 7.30(d, 1H, J = 3 Hz), 7.21-7.20(m, 1H), 6.99-6.97(m, 2H), 4.45(d, 2H, J = 5 Hz), 3.57(s, 4H), 3.02(s, 4H), 2.53(s, 3H), 2.43(s, 3H). LCMS: m/z = 447.3 [M+H] +, RT = 2.54 분, (프로그램 P1, 칼럼 V).
단계 B: 8-(4-카바모일피페라진-1-일)-N-((6-메틸피리딘-3-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THF(5 mL) 중 Xb(80 mg, 0.18 mmol, 1 당량)의 용액에 TMS-이소시아네이트를 23℃에서 첨가하고(0.05 ml, 0.36 mmol, 2 당량) 생성 혼합물을 4 h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수성 NaHCO3로 희석하고 유기 성분을 15% MeOH/CH2Cl2로 추출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조정제 잔여물을 17% MeOH/CH2Cl2로 용출하는 100-200 메시 실리카 겔을 이용하는 플래시 Combiflash™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4 mg, 16%). 1H NMR(DMSO-d 6 ) δ 9.20(t, 1H, J = 6 Hz), 8.60(s, 1H), 8.42(s, 1H), 7.70(s, 1H), 7.62-7.60(m, 1H), 7.30(d, 1H, J = 3 Hz), 7.22-7.20(m, 1H), 6.98(m, 2H), 4.46(d, 2H, J = 6 Hz), 3.51(s, 8H), 2.53(s, 3H), 2.43(s, 3H). LCMS: m/z = 490.2 [M+H] +, RT = 2.65 분, (프로그램 P1, 칼럼 W).
실시예 14: (S)-N-(1-(1,3,4-옥사디아졸-2-일)에틸)-8-(5-(디플루오로메틸)-1H-1,2,3-트리아졸-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Figure pat00058
단계 1: 6-브로모-이미다조[1,2-a]피리딘-8-일아민
에탄올(2 L) 중 화합물 I(50 g; 0.26 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46 g; 0.53 mol; 2 당량) 및 클로로아세트알데하이드 용액(~50% 수용액, 86 mL; 0.66 mol; 2.5 당량)을 적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7 h 동안 환류하며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증발 건조하고 pH를 빙냉 포화 수성 NaHCO3 용액 및 고체 NaHCO3를 이용하여 7로 조정하였다. 유기 성분을 수성상으로부터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3 x 1000 mL)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여 건조 잔여물을 수득하고 이를 용출액으로 10-5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을 이용하는 실리카 겔(230-4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갈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40 g, 71%). 1H NMR(DMSO-d 6 ) δ 8.04(s, 1H), 7.77(s, 1H), 7.44(s, 1H), 6.31(s, 1H), 5.99(s, 2H). LCMS: m/z = 212.0 [M+], 214.0 [M+2], RT = 2.55 분, (프로그램 P1, 칼럼 V).
단계 2: 8-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메탄올(200 mL) 중 화합물 II(10 g; 47.20 mmol; 1 당량)의 용액에 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41 mL; 236 mmol; 5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5 분 동안 아르곤으로 탈기하였다. 혼합물에 PdCl2(dppf)(4 g; 4.72 mmol; 0.1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다시 5 분 동안 아르곤으로 탈기한 후 16 h 동안 50 psi의 탄소 모노옥사이드 압력에서 90℃에서 오토클레이브에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Celite® 층을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포화 수성 NaHCO3 용액에 이어 염수로 세척하였다. 그 뒤 유기층을 무수 Na2SO4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증발 건조하여 조정제 물질을 수득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용출액으로 0-10% 메탄올/디클로로메탄으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100-2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밝은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5 g, 55%). 1H NMR(DMSO-d 6 ) δ 8.57(s, 1H), 7.97(s, 1H), 7.51(s, 1H), 6.67(s, 1H), 5.86(s, 2H), 3.84(s, 3H). LCMS: m/z = 191.8 [M+H] +, RT = 2.03 분, (프로그램 P1, 칼럼 V).
단계 3: 8-아지도-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건조 THF(600 mL) 중 화합물 III(10 g; 52.36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3 차 부틸니트라이트(32 mL; 230 mmol; 4.4 당량)를 방울씩 그리고 트리메틸실릴아지드(16 mL, 115 mmol, 2.20 당량)를 0℃에서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7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증발 건조하여 조정제 물질을 수득하고 이를 용출액으로 0-50% 에틸아세테이트/헥산으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100-2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밝은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9 g, 80%). 1H NMR(DMSO-d 6 ) δ 9.17(s, 1H), 8.19(s, 1H), 7.71(s, 1H), 7.11(s, 1H), 3.87(s, 3H). LCMS: m/z = 218.2 [M+H]+, RT = 2.69 분, (프로그램 P1, 칼럼 V).
단계 4: 8-(5-디플루오로메틸-4-에톡시카보닐-[1,2,3]트리아졸-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건조 DMF:THF(1000 mL; 1:1) 중 DBU(25 mL; 166 mmol; 1.2 당량)의 교반 용액에 4,4-디플루오로-3-옥소-부티르산 에틸 에스테르(22 mL; 207.3 mmol; 1.5 당량)를 23℃에서 천천히 첨가하고 혼합물을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0℃로 냉각하고 화합물 IV(30 g; 138.2 mmol; 1 당량)의 DMF:THF(200 ml, 1:1) 용액을 적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7 h 동안 23℃에서 교반하며 방치하였다.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1000 mL)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3 x 500 mL).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여 건조 잔여물을 수득하고 이를 용출액으로 10-5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을 이용하는 실리카 겔(230-4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고체로서 산출하였다(32 g, 65%). 1H NMR(DMSO-d 6 ) δ 9.65(s, 1H), 8.33(s, 1H), 8.10(s, 1H), 7.74(s, 1H), 7.46(m, 1H), 4.43(q, 2H, J = 7 Hz), 3.96(s, 3H), 1.36(t, 3H, J = 7 Hz). LCMS: m/z = 365.8 [M+H] +, RT = 2.97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단계 5: 3-브로모-8-(5-디플루오로메틸-4-에톡시카보닐-[1,2,3]트리아졸-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건조 THF(150 mL) 중 화합물 V(10 g; 27.4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0℃에서 NBS(7.4 g; 41.1 mmol; 1.5 당량)를 일부씩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30 분 동안 0℃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빙냉 포화 수성 NaHCO3 용액 내로 붓고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3 x 500 mL). 이어서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여 건조 잔여물을 수득하고 용출액으로 10-5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을 이용하는 실리카 겔(230-400 메시) 중력 칼럼으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고체로서 산출하였다(10 g, 82%). 1H NMR(DMSO-d 6 ) δ 9.00(s, 1H), 8.27(s, 1H), 7.96(s, 1H), 7.44(m, 1H), 4.43(q, 2H, J = 7 Hz), 3.96(s, 3H), 1.35(t, 3H, J = 7 Hz). LCMS: m/z = 443.8 [M+], 445.8 [M+2], RT = 3.20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단계 6: 8-(5-디플루오로메틸-4-에톡시카보닐-[1,2,3]트리아졸-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반응 튜브 내의 화합물 VI(0.5 g; 1.13 mmol; 1 당량)의 교반 건조 DMF 용액에 화합물 VIa(0.7 g; 1.70 mmol; 1.5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5 분 동안 아르곤으로 탈기하였다. 혼합물에 Pd(PPh3)4(0.13 g; 0.11 mmol; 0.1 당량)를 첨가하고, 아르곤을 이용한 탈기를 5 분 동안 반복하였다. 반응 튜브를 밀봉하고, 4 h 동안 115℃에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Celite® 층을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포화 수성 NaHCO3 용액에 이어 염수로 세척하였다. 그 뒤 유기층을 무수 Na2SO4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여 조정제 물질을 수득한다. 조정제 산물을 0-5% 메탄올/CH2Cl2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230-4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밝은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25 g, 50%). 1H NMR(DMSO-d 6 ) δ 9.18(s, 1H), 8.21(s, 1H), 7.93(s, 1H), 7.47(m, 2H), 7.05(s, 1H), 4.44(q, 2H, J = 7 Hz), 3.93(s, 3H), 2.56(s, 3H), 1.37(t, 3H, J = 7 Hz). LCMS: m/z = 461.8 [M+H] +, RT = 3.56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단계 7: 8-(4-카복시-5-디플루오로메틸-[1,2,3]트리아졸-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THF:메탄올:H2O(55 mL, 3:2:1) 중 화합물 VII(0.5 g, 1.10 mmol, 1 당량)의 용액에 0℃에서 물(5 mL) 중 리튬 하이드록사이드 모노하이드레이트(0.14 g, 3.25 mmol, 3 당량)의 용액을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3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잔여물을 물로 희석하고 1 N HCl로 산성화하여 pH를 3으로 조정하였다. 침전한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진공 하에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산출하였다(0.35 g, 70%)).
단계 8: 8-(5-디플루오로메틸-[1,2,3]트리아졸-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화합물 VIII(0.35 g; 0.83 mmol; 1 당량)을 1 h 동안 200℃에서 가열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0.31 g, 95%).
단계 9: N'-((S)-2-{[8-(5-디플루오로메틸-[1,2,3]트리아졸-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보닐]-아미노}-프로피오닐)-하이드라진 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DMF(30 mL) 중 화합물 IX(0.31 g, 0.83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DIPEA(0.5 mL, 2.50 mmol, 3 당량) 및 HATU(0.47 g, 1.24 mmol, 1.5 당량)를 0℃에서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5 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에 (S)-1-(4H-[1,2,4]트리아졸-3-일)-에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0.25 g, 1.24 mmol, 1.5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다시 16 h 동안 23℃에서 교반하며 방치하였다. 혼합물로부터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고 잔여물을 EtOAc로 희석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 용액, 수성 암모늄 클로라이드 용액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0-5% 메탄올/CH2Cl2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230-4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3 g, 65%). 1H NMR(DMSO-d 6 ) δ 9.76(s, 1H), 9.21(s, 1H), 9.07(d, 1H, J = 7 Hz), 8.78(s, 1H), 8.46(s, 1H), 8.28(s, 1H), 7.90(s, 1H), 7.47(m, 2H), 7.06(s, 1H), 4.57(m, 1H), 2.56(s, 3H), 1.37(m, 12H). LCMS: m/z = 561.2 [M+H]+, RT = 3.20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단계 10: 8-(5-디플루오로메틸-[1,2,3]트리아졸-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S)-1-하이드라지노카보닐-에틸)-아미드
1,4-디옥산(20 mL) 중 화합물 X(0.3 g; 0.53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0℃에서 1,4-디옥산 중 4 M HCl(10 mL)을 30 분의 기간에 걸쳐 적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24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휘발물질을 진공 중에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2 g, 80%). 1H NMR(DMSO-d 6 ) δ 11.26(s, 1H), 10.40(brs, 3H), 9.26(d, 1H, J = 6 Hz), 9.22(s, 1H), 8.47(s, 1H), 8.29(s, 1H), 7.93(s, 1H), 7.47(m, 2H), 7.06(s, 1H), 4.57(m, 1H), 2.56(s, 3H), 1.43(d, 3H, J = 7 Hz). LCMS: m/z = 461.4 [M+H] +, RT = 2.80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단계 11: (S)-N-(1-(1,3,4-옥사디아졸-2-일)에틸)-8-(5-(디플루오로메틸)-1H-1,2,3-트리아졸-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아세트산(16 mL) 중 화합물 XI(0.18 g; 0.40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0℃에서 트리에틸 오르소포르메이트를 적가하고(0.5 mL, 2.40 mmol, 6 당량) 생성 혼합물을 2 h 동안 환류하며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빙냉 포화 수성 NaHCO3 용액 내로 붓고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3 x 50 mL). 이어서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진공 중에 농축하여 건조 잔여물을 수득하고 이를 용출액으로 0-5% 메탄올/디클로로메탄을 이용하는 실리카 겔(230-4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고체로서 산출하였다(0.11 g, 60%). 1H NMR(DMSO-d 6 ) δ 9.50(d, 1H, J = 7 Hz), 9.20(s, 1H), 8.46(s, 1H), 8.25(s, 1H), 7.91(s, 1H), 7.45(m, 3H), 7.05(d, 1H, J = 1 Hz), 5.48(m, 1H), 2.56(s, 3H), 1.64(d, 3H, J = 7 Hz). LCMS: m/z = 471.0 [M+H]+, RT = 3.08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실시예 15: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4-메틸피페리딘-1-일)-3-(o-톨릴)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Figure pat00059
단계 1: 6-아미노-니코틴산 에틸 에스테르
에탄올(1.5 L) 중 화합물 I(150 g; 1.09 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티오닐 클로라이드를 60℃에서 적가하고(236 mL; 3.26 mol; 3 당량) 생성 혼합물을 17 h 동안 환류하며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증발 건조하고 pH를 빙냉 포화 수성 NaHCO3 용액 및 고체 NaHCO3를 이용하여 7로 조정하였다. 유기 성분을 수성상으로부터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5 x 1000 mL)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152 g, 84%). 1H NMR(CDCl3) δ 8.71(s, 1H), 7.99(d, 1H, J = 12 Hz), 6.45(d, 1H, J = 8 Hz), 4.95(s, 2H), 4.31(q, 2H, J = 8 Hz); 1.35(t, 3H, J = 8 Hz). LCMS: m/z = 167.3 [M+H]+, RT = 2.32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단계 2: 6-아미노-5-브로모-니코틴산 에틸 에스테르
건조 THF(500 mL) 중 화합물 II(50 g; 301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0℃에서 NBS(53.6 g; 301 mmol; 1 당량)를 일부씩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7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빙냉 포화 수성 NaHCO3 용액 내로 붓고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3 x 1000 mL). 합한 유기층을 염수 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증발 건조하여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71 g, 96%). 1H NMR(DMSO-d 6 ) δ 8.49(s, 1H), 8.07(s, 1H), 7.15(s, 2H), 4.22(q, 2H, J = 8 Hz), 1.30(t, 3H, J = 8 Hz). LCMS: m/z = 245 [M+], 247 [M+2], RT = 2.97 분, (프로그램 P1, 칼럼 W).
단계 3: 8-브로모-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에탄올(1 L) 중 화합물 III(80 g; 326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54.8 g; 652 mmol; 2 당량) 및 수성 클로로아세트알데하이드 용액(~50% 수용액, 212 mL; 1.63 mol; 5 당량)을 적가하고, 혼합물을 17 h 동안 환류하며 가열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증발 건조하고 pH를 빙냉 포화 수성 NaHCO3 용액 및 고체 NaHCO3를 이용하여 7로 조정하였다. 유기 성분을 수성상으로부터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3 x 1000 mL)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였다. 유기층으로부터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고 건조 잔여물을 수득하여 이를 용출액으로 10-5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을 이용하는 실리카 겔(230-4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갈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55 g, 63%). 1H NMR(DMSO-d 6 ) δ 9.33(s, 1H), 8.24(s, 1H), 7.84(s, 1H), 7.73(s, 1H), 4.34(q, 2H, J = 8 Hz), 1.34(t, 3H, J = 8 Hz). LCMS: m/z = 268.8 [M+], 270.8 [M+2], RT = 2.90 분, (프로그램 P1, 칼럼 W).
단계 4: 8-(4-메틸-피페리딘-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반응 튜브 내의 화합물 IV(1 g; 3.71 mmol; 1 당량)의 교반 1,4-디옥산 용액에 4-메틸 피페리딘(0.73 g; 7.43 mmol; 2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5 분 동안 아르곤으로 탈기한 후 Cs2CO3(1.81 g; 5.56 mmol; 1.5 당량), Pd2(dba)3(0.16 g; 0.018 mmol; 0.05 당량) 및 잔트포스(0.21 g; 0.37 mmol; 0.1 당량)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5 분 동안 아르곤으로 다시 탈기하고, 반응 튜브를 밀봉하고, 5 h 동안 115℃에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Celite® 층을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포화 수성 NaHCO3 용액에 이어 염수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유기층을 수집하고 무수 Na2SO4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증발 건조하여 조정제 물질을 수득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50% EtOAc/헥산으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100-2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밝은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25 g, 23%). 1H NMR(DMSO-d 6 ) δ 8.84(s, 1H), 8.03(s, 1H), 7.55(s, 1H), 6.75(s, 1H), 4.31(m, 4H), 2.73(q, 2H, J = 8 Hz), 1.73(d, 2H, J = 12 Hz), 1.56(m, 1H), 1.3(m, 5H), 0.9(t, 3H, J = 4 Hz). LCMS: m/z = 288 [M+H] +, RT = 3.56 분, (프로그램 P1, 칼럼 W).
단계 5: 3-브로모-8-(4-메틸-피페리딘-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건조 THF(30 mL) 중 화합물 V(1.6 g; 5.5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0℃에서 NBS(0.99 g; 5.5 mmol; 1 당량)를 일부씩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30 분 동안 0℃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빙냉 포화 수성 NaHCO3 용액 내로 붓고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3 x 500 mL). 합한 유기층을 염수 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증발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1.7 g, 83%). 1H NMR(DMSO-d 6 ) δ 8.34(s, 1H), 7.75(s, 1H), 6.87(s, 1H), 4.35(m, 4H), 2.79(q, 2H, J = 12 Hz), 1.73(d, 2H, J = 12 Hz), 1.58(s, 1H), 1.3(m, 5H), 0.95(t, 3H, J = 4 Hz). LCMS: m/z = 366.2 [M+], 368.2 [M+2], RT = 2.51 분, (프로그램 P1, 칼럼 W).
단계 6: 8-(4-메틸-피페리딘-1-일)-3-o-톨릴-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건조 톨루엔:에탄올(7:3, 20 mL) 중 화합물 VI(0.6 g; 1.63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화합물 VIa(0.33 g; 2.45 mmol; 1.5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5 분 동안 아르곤으로 탈기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에 Pd(PPh3)4(0.18 g; 0.16 mmol; 0.1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다시 5 분 동안 아르곤으로 탈기한 후 4 h 동안 교반하며 115℃에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Celite® 층을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포화 수성 NaHCO3 용액에 이어 염수로 세척하였다. 그 뒤 유기층을 무수 Na2SO4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증발 건조하여 조정제 물질을 수득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50% EtOAc/헥산으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230-4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밝은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3 g, 55%). 1H NMR(DMSO-d 6 ) δ 7.93(s, 1H), 7.65(s, 1H), 7.47(d, 2H, J = 3 Hz), 7.40(d, 2H, J = 3 Hz), 6.83(s, 1H), 4.36(d, 2H, J = 12 Hz), 4.28(q, 2H, J = 7 Hz), 2.81(t, 2H, J = 11 Hz), 2.10(s, 3H), 1.77(d, 2H, J = 12 Hz), 1.60(m, 1H), 1.36(m, 2H), 1.25(t, 3H, J = 7 Hz), 0.98(d, 3H, J = 6 Hz). LCMS: m/z = 378.4 [M+H] +, RT = 4.11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단계 7: 8-(4-메틸-피페리딘-1-일)-3-o-톨릴-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THF:메탄올:H2O(12 mL, 3:2:1) 중 화합물 VII(0.34 g, 0.90 mmol, 1 당량)의 용액에 0℃에서 물(1 mL) 중 리튬 하이드록사이드 모노하이드레이트(0.75 g, 1.80 mmol, 2 당량)의 용액을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3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잔여물을 물로 희석한 뒤, 1 N HCl로 산성화하여 pH를 3으로 조정하였다. 침전한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진공 중에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0.28 g, 88%). 1H NMR(DMSO-d 6 ) δ 8.15(s, 1H), 8.02(s, 1H), 7.55-7.37(m, 4H), 7.34(s, 1H), 3.83(d, 2H, J = 11 Hz), 2.86(t, 2H, J = 11 Hz), 2.18(s, 3H), 1.78(d, 2H, J = 12 Hz), 1.62(m, 1H), 1.48(m, 2H), 1.00(d, 3H, J = 6 Hz). LCMS: m/z = 350.0 [M+H] +, RT = 2.80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단계 8: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4-메틸피페리딘-1-일)-3-(o-톨릴)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CH2Cl2(10 mL) 중 화합물 VIII(0.05 g, 0.14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DIPEA(0.07 mL, 0.42 mmol, 3 당량) 및 HATU(0.06 g, 0.18 mmol, 1.3 당량)를 0℃에서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5 분 동안 교반하며 방치하였다. 혼합물에 (S)-1-(4H-[1,2,4]트리아졸-3-일)-에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0.02 g, 0.17 mmol, 1.2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다시 16 h 동안 23℃에서 교반하며 방치하였다. 혼합물로부터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고, 잔여물을 EtOAc로 희석하고,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 용액, 수성 암모늄 클로라이드 용액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0-5% 메탄올/CH2Cl2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230-4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02 g, 40%). 1H NMR(DMSO-d 6 )(100℃) δ 13.78(brs, 1H), 8.54(s, 1H), 7.93(s, 1H), 7.53-7.37(s, 1H), 7.37(m, 4H), 6.92(s, 1H), 5.30(m, 1H), 4.42(d, 2H, J = 12 Hz), 2.88(t, 2H, J = 11 Hz), 1.81(s, 3H), 1.79(d, 2H, J = 12 Hz), 1.55(m, 1H), 1.43(d, 3H, J = 12 Hz), 1.39(m, 2H), 1.02(d, 3H, J = 5 Hz). LCMS: m/z = 444.4 [M+H] +, RT = 3.03 분, (프로그램 P1, 칼럼 V).
실시예 16: 8-(5-사이클로프로필-1H-테트라졸-1-일)-N-((6-메틸피리딘-3-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Figure pat00060
단계 1: tert-부틸-(3-니트로-피리딘-2-일)-아민
N-메틸-2-피롤리딘(100 mL, 1.04 mol, 8.2 당량) 중 화합물 I(20 g, 127 mmol, 1 당량)의 용액에 tert-부틸 아민(100 mL, 950 mmol, 7.5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5 h 동안 60℃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빙냉 1N 수성 HCl 용액(500 mL) 내로 붓고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3 x 300 mL). 합한 유기층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 용액(400 mL) 및 염수(2 x 30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여 조정제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2%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을 이용하는 실리카 겔(100-2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노란색 점성 액체로서 수득하였다(18 g, 73%). 1H NMR(400 MHz, DMSO-d 6 ) δ 8.48(dd, 1H, J = 1, 4 Hz), 8.41(dd, 1H, J = 2, 8 Hz), 8.20(brs, 1H), 6.76(dd, 1H, J = 4, 8 Hz), 1.51(s, 9H).
단계 2: 2-tert-부틸아미노-3-아미노피리딘
아르곤으로 탈기한 에탄올(300 mL) 중 화합물 II(18 g, 92.3 mmol, 1 당량)의 용액에 10% Pd/C를 첨가하고(12 g), 생성 혼합물을 다시 15 분 동안 아르곤으로 탈기하였다. 반응 용기를 Parr 진탕기에 부착하고 16 h 동안 수소 분위기 하에서 50 psi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Celite® 층을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표제 화합물을 진한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3 g, 85%). 1H NMR(400 MHz, DMSO-d 6 ) δ 7.36(dd, 1H, J = 1, 5 Hz), 6.65(dd, 1H, J = 2, 7 Hz), 6.29(dd, 1H, J = 5, 7 Hz), 4.80(s, 1H), 4.66(s, 2H), 1.41(s, 9H). LCMS: m/z = 166.4 [M+H], RT = 0.79 분; (프로그램 R1, 칼럼 Y).
단계 3: 사이클로프로판카복실산(2-tert-부틸아미노-피리딘-3-일)-아미드
THF(300 mL) 중 화합물 III(7 g, 42.4 mmol, 1 당량)의 용액에 0℃에서 DIPEA(22.2 mL, 127.2 mmol, 3 당량)를 적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0 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사이클로프로판 카보닐 클로라이드(3.9 mL, 42.4 mmol, 1 당량)를 적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5 h 동안 0℃에서 교반하고, 혼합물을 빙수(200 mL)로 희석하고,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3 x 100 mL).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150 mL),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여 조정제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조정제 물질을 2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을 이용하는 실리카 겔(100-2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8 g, 81%). 1H NMR(400 MHz, DMSO-d 6 ) δ 9.50(s, 1H), 7.85(d, 1H, J = 4 Hz), 7.46(d, 1H, J = 7 Hz), 6.50(dd, 1H, J = 5, 8 Hz), 5.22(s, 1H), 1.89-1.76(m, 1H), 1.42(s, 9H), 0.85-0.75(m, 4H). LCMS: m/z = 234.2 [M + H], RT = 3.09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단계 4: tert-부틸-[3-(5-사이클로프로필-테트라졸-1-일)-피리딘-2-일]-아민
아세토니트릴(240 mL) 중 화합물 IV(8.0 g, 34.3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나트륨 아지드를 0℃에서 첨가하였다(44 g, 686 mmol, 20 당량). 실리콘 테트라클로라이드(12 mL, 103 mmol, 3 당량)를 혼합물에 0℃에서 첨가하였다. 첨가 종료 후, 혼합물을 9 h 동안 90℃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빙냉수 내로 붓고 고체 NaHCO3를 일부씩 첨가하여 pH를 8로 조정하였다. 생성 혼합물을 Celite® 플러그를 통해 여과한 후 여액을 수집하였다.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500 mL) 염수로 세척하였다(300 mL). 유기층을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진공 중에 농축하여 조정제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조정제 물질을 1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을 이용하는 실리카 겔(100-2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조정제 표제 화합물을 갈색 점성 고체로서 수득하였다(8 g). LCMS: m/z = 259.2 [M + H], RT = 3.52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단계 5: [5-브로모-3-(5-사이클로프로필-테트라졸-1-일)-피리딘-2-일]-tert-부틸-아민
THF(300 mL) 중 화합물 V(8 g, 31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0℃에서 N-브로모숙신이미드(5 g, 27.9 mmol, 0.9 당량)를 작은 부분씩 첨가하였다. 첨가 종료 후, 혼합물을 2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여물을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 용액으로 희석하여(200 mL) pH를 8로 조정하였다.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2 x 200 mL), 염수로 세척하고(150 mL),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여 조정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조정제 물질을 1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을 이용하는 실리카 겔(100-2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5.8 g, 50%). 1H NMR(400 MHz, DMSO-d 6 ) δ 8.36(d, 1H, J = 2 Hz), 7.90(d, 1H, J = 2 Hz), 5.89(s, 1H), 1.82-1.76(m, 1H), 1.37(s, 9H), 1.14-1.06(m, 4H). LCMS: m/z = 337.5 [M +], RT = 3.72 분; (프로그램 P1, 칼럼 V).
단계 6: 5-브로모-3-(5-사이클로프로필-테트라졸-1-일)-피리딘-2-일-아민
메탄올(150 mL) 중 화합물 VI(5.8 g, 17.2 mmol, 1 당량)의 용액에 0℃에서 교반하면서 6 N HCl을 적가하였다(150 mL). 첨가 후, 혼합물을 2 h 동안 환류하며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여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 용액으로 희석하여 pH를 8로 조정하였다. 유기 성분을 10% MeOH/CH2Cl2(3 x 20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200 mL),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4.6 g, 95%). 1H NMR(400 MHz, DMSO-d 6 ) δ 8.28(d, 1H, J = 2 Hz), 7.98(d, 1H, J = 2 Hz), 6.58(s, 2H), 1.84-1.77(m, 1H), 1.11-1.06(m, 4H). LCMS: m/z = 281.0 [M+], 283.2 [M+2], RT = 2.69 분; (프로그램 P1, 칼럼 V).
단계 7: 6-아미노-5-(5-사이클로프로필-테트라졸-1-일)-니코틴산 메틸 에스테르
메탄올(140 mL) 중 화합물 VII(4.6 g, 16.4 mmol, 1 당량)의 용액에 DIPEA(18.6 mL, 106.4 mmol, 6.5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Parr 오토클레이브 용기에서 아르곤 하에 탈기하였다. 10 분 후, PdCl2(dppf).CH2Cl2(1.6 g, 2 mmol, 0.12 당량)를 혼합물에 첨가하고, 다시 10 분 동안 아르곤을 이용한 탈기를 계속하였다. 혼합물을 16 h 동안 Parr 오토클레이브에서 50 psi 압력의 CO 기체 하에 90℃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Celite® 층을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조정제 산물을 수득하였다. 조정제 물질을 5% MeOH/CH2Cl2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100-2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8 g, 89%). 1H NMR(400 MHz, DMSO-d 6 ) δ 8.72(d, 1H, J = 2 Hz), 8.08(d, 1H, J = 2 Hz), 7.24(brs, 2H), 3.80(s, 3H), 1.83-1.75(m, 1H), 1.08-1.06(m, 4H). LCMS: m/z = 261.4 [M + H], RT = 2.44 분; (프로그램 R1, 칼럼 Y).
단계 8: 8-(5-사이클로프로필-테트라졸-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에탄올(140 mL) 중 화합물 VIII(3.8 g, 14.6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12.4 g, 146 mmol, 10 당량), 클로로아세트알데하이드(38 mL, 584 mmol, 40 당량)의 55% 수용액을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6 h 동안 환류하며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Celite® 층을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빙냉수(100 mL)로 희석하고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2 x 100 mL) 및 5% MeOH/CH2Cl2(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150 mL),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진공 중에 농축하였다. 조정제 물질을 10% MeOH/CH2Cl2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100-2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갈색 점성 고체로서 수득하고(7 g, 순수하지 않음), 이를 다음 단계로 보냈다. LCMS: m/z = 285.2 [M + H], RT = 2.42 분; (프로그램 P1, 칼럼 W)
단계 9: 3-브로모-8-(5-사이클로프로필-테트라졸-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THF(300 mL) 중 화합물 IX(7 g, 순수하지 않음)의 교반 용액에 N-브로모숙신이미드(3.1 g, 17.3 mmol, 0.7 당량)를 0℃에서 일부씩 첨가하였다. 첨가 종료 후, 혼합물을 1.5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하고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로 희석하여 pH를 8로 조정하였다.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2 x 150 mL)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150 mL),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진공 중에 농축하여 조정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조정제 물질을 20% EtOAc/헥산을 이용하는 실리카 겔(100-2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갈색 점성 고체로서 수득하였다(4 g, 75%). 1H NMR(400 MHz, DMSO-d 6 ) δ 8.98(d, 1H, J = 1 Hz), 8.24(d, 1H, J = 1 Hz), 7.98(s, 1H), 3.96(s, 3H), 1.99-1.94(m, 1H), 1.10-1.04(m, 4H). LCMS: m/z = 363.1 [M +], 365.0 [M + 2], RT = 3.33 분; (프로그램 R1, 칼럼 Y).
단계 10: 3-브로모-8-(5-사이클로프로필-테트라졸-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THF(200 mL) 중 화합물 X(4 g, 11 mmol, 1 당량)의 용액에 LiOH.H2O(1.4 g, 33 mmol, 3 당량)의 수용액을 적가한 후, 메탄올(6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2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고 고체 잔여물을 물로 희석하였다(100 mL). 수성층을 EtOAc로 세척하고(50 mL) 시트르산의 포화 수용액을 수성상에 첨가하여 pH를 1로 조정하였다. 이어서 유기 성분을 수성층으로부터 10% MeOH/CH2Cl2(100 mL)로 추출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진한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5 g, 91%). 1H NMR(400 MHz, DMSO-d 6 ) δ 13.87(brs, 1H), 8.96(d, 1H, J = 1 Hz), 8.18(d, 1H, J = 1 Hz), 7.97(s, 1H), 1.99-1.96(m, 1H), 1.10-1.04(m, 4H). LCMS: m/z = 349.0 [M +], 351.0 [M + 2], RT = 2.77 분; (프로그램 R1, 칼럼 Y).
단계 11: 3-브로모-8-(5-사이클로프로필-테트라졸-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6-메틸-피리딘-3-일메틸)-아미드
DMF(100 mL) 중 화합물 XI(1 g, 2.86 mmol, 1 당량)의 용액에 HATU(1.41 g, 3.72 mmol, 1.3 당량) 및 DIPEA(4 mL)를 0℃에서 아르곤 하에 첨가하였다. 10 분 후, C-(6-메틸-피리딘-3-일)-메틸아민(524 mg, 4.3 mmol, 1.5 당량)의 DMF 용액을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6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빙냉수(50 mL)로 희석하고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2 x 50 mL) 및 10% MeOH/CH2Cl2(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100 mL),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여 조정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9% MeOH/CH2Cl2로 용출하는 100-200 메시 실리카 겔을 이용하는 플래시 Combiflash™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오렌지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660 mg, 52%). 1H NMR(400 MHz, DMSO-d 6 ) δ 9.48(t, 1H, J = 5 Hz), 9.13(s, 1H), 8.47(s, 1H), 8.25(s, 1H), 7.94(s, 1H), 7.67(d, 1H, J = 8 Hz), 7.23(d, 1H, J = 8 Hz), 4.53(d, 2H, J = 5 Hz), 2.44(s, 3H), 2.02-1.93(m, 1H), 1.11-1.01(m, 4H). LCMS: m/z = 453.2 [M +], 455.0 [M + 2], RT = 2.13 분; (프로그램 R1, 칼럼 Y)
단계 12: 8-(5-사이클로프로필-1H-테트라졸-1-일)-N-((6-메틸피리딘-3-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반응 튜브 내의 아르곤으로 탈기한 화합물 XII(650 mg, 1.44 mmol, 1 당량)의 DMF(30 mL) 용액에 화합물 VIa(832 mg, 2.2 mmol, 1.5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0 분 동안 아르곤으로 탈기한 후 Pd(PPh3)4(162 mg, 0.14 mmol, 0.1 당량)를 첨가하였다. 아르곤을 이용한 탈기를 다시 15 분 동안 수행하고 반응 튜브를 밀봉한 후 4 h 동안 120℃에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Celite® 층을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여 고체 잔여물을 제공하였다. 이어서 유기 성분을 EtOAc(2 x 100 mL) 및 10% MeOH/CH2Cl2(100 mL)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100 mL),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조정제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4% MeOH/CH2Cl2로 용출하는 100-200 메시 실리카 겔을 이용하는 플래시 Combiflash™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400 mg, 59%). 1H NMR(400 MHz, DMSO-d 6 ) δ 9.39(m, 1H), 9.22(s, 1H), 8.44(s, 1H), 8.21(s, 1H), 7.91(s, 1H), 7.64(d, 1H, J = 8 Hz), 7.46(d, 1H, J = 3 Hz), 7.21(d, 1H, J = 8 Hz), 7.05(d, 1H, J = 3 Hz), 4.50(d, 2H, J = 6 Hz), 2.56(s, 3H), 2.44(s, 3H), 2.06-1.96(m, 1H), 1.11-1.06(m, 4H). LCMS: m/z = 471.0 [M+H]+, RT = 6.07 분; (프로그램 R1, 칼럼 Y).
실시예 17: 8-(5-(하이드록시메틸)-1H-테트라졸-1-일)-N-((6-메틸피리딘-3-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Figure pat00061
화합물 III를 반응식 32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단계 1: 아세트산 (2-tert-부틸아미노-피리딘-3-일카바모일)-메틸 에스테르
CH2Cl2(100 mL) 중 화합물 III(3 g, 18.2 mmol, 1 당량)의 용액에 DIPEA(9.52 mL, 54.5 mmol, 3 당량)를 0℃에서 적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0 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에 CH2Cl2(5 mL) 중 아세톡시 아세틸클로라이드(1.95 mL, 18.2 mmol, 1 당량)의 용액을 적가하고 3 h 동안 0℃에서 교반을 계속하였다. 혼합물을 빙냉수(50 mL)로 희석하고 유기 성분을 CH2Cl2(2 x 7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100 mL),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여 조정제 화합물을 얻었다. 조정제 물질을 3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을 이용하는 실리카 겔(100-2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 g, 60%). 1H NMR(400 MHz, DMSO-d 6 ) δ 9.39(s, 1H), 7.90(d, 1H, J = 5 Hz), 7.36(d, 1H, J = 7 Hz), 6.52(dd, 1H, J = 5, 7 Hz), 5.10(s, 1H), 4.66(s, 2H), 2.12(s, 3H), 1.41(s, 9H). LCMS: m/z = 266.0 [M+H], RT = 1.20 분; (프로그램 R1, 칼럼 Y).
단계 2: 아세트산 1-(2-tert-부틸아미노-피리딘-3-일)-1H-테트라졸-5-일메틸 에스테르
아세토니트릴(100 mL) 중 화합물 IV(3 g, 11.3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나트륨 아지드(7.35 g, 113 mmol, 10 당량) 및 실리콘 테트라클로라이드(3.9 mL, 33.9 mmol, 3 당량)를 0℃에서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6 h 동안 90℃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빙냉수 내로 붓고 고체 NaHCO3를 일부씩 첨가하여 pH를 8로 조정하였다. 생성 혼합물을 Celite® 층을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수집하였다.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200 mL) 염수로 세척하였다(100 mL). 유기층을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진공 중에 농축하여 조정제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점성 고체로서 제공하였다(4 g). 1H NMR(400 MHz, DMSO-d 6 ) δ 8.27(dd, 1H, J = 2, 5 Hz), 7.54(dd, 1H, J = 2, 8 Hz), 6.71(dd, 1H, J = 5, 8 Hz), 5.56(s, 1H), 5.28(s, 2H), 1.91(s, 3H), 1.38(s, 9H). LCMS: m/z = 291.1 [M+H], RT = 3.82 분; (프로그램 R1, 칼럼 Y).
단계 3: 아세트산 1-(5-브로모-2-tert-부틸아미노-피리딘-3-일)-1H-테트라졸-5-일메틸 에스테르
THF(100 mL) 중 화합물 V(4 g, 13.8 mmol, 1 당량)의 용액에 N-브로모숙신이미드(2.2 g, 12.4 mmol, 0.9 당량)을 소량씩 0℃에서 교반하며 첨가하였다. 첨가 종료 후, 혼합물을 2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여물을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로 희석하여 pH를 8로 조정하였다.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2 x 100 mL), 합한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고(100 mL),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여 조정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조정제 물질을 2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을 이용하는 실리카 겔(100-2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0 g, 72%, 2 단계). 1H NMR(400 MHz, DMSO-d 6 ) δ 8.37(d, 1H, J = 2 Hz), 7.89(d, 1H, J = 2 Hz), 5.88(s, 1H), 5.30(s, 2H), 1.93(s, 3H), 1.36(s, 9H). LCMS: m/z = 371.0 [M + 2], RT = 4.11 분; (프로그램 R1, 칼럼 Y).
단계 4: 아세트산 1-(2-아미노-5-브로모-피리딘-3-일)-1H-테트라졸-5-일메틸 에스테르
CH2Cl2(100 mL) 중 화합물 VI(3 g, 8.13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23℃에서 적가하고(100 mL) 생성 혼합물을 16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0℃로 냉각하고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 용액으로 희석하여 pH를 8로 조정하였다. 유기 성분을 CH2Cl2(2 x 70 mL)로 추출하고 합한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였다(75 mL). 유기층을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7 g, 68%). 1H NMR(400 MHz, DMSO-d 6 ) δ 8.29(d, 1H, J = 2 Hz), 7.94(d, 1H, J = 2 Hz), 6.60(s, 2H), 5.32(s, 2H), 1.93(s, 3H). LCMS: m/z = 313.0 [M +], 315.2 [M + 2], RT = 3.09 분; (프로그램 R1, 칼럼 Y).
단계 5: 아세트산 1-(6-브로모-이미다조[1,2-a]피리딘-8-일)-1H-테트라졸-5-일메틸 에스테르
에탄올(100 mL) 중 화합물 VII(1.7 g, 5.4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4.6 g, 54 mmol, 10 당량) 및 클로로아세트알데하이드(26 mL, 216 mmol, 40 당량)의 55% 수용액을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6 h 동안 환류하며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Celite® 층을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여액을 빙냉수(100 mL)로 희석하고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2 x 70 mL) 및 5% MeOH/CH2Cl2(7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100 mL),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진공 중에 농축하였다. 조정제 물질을 10% MeOH/CH2Cl2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100-2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갈색 점성 고체로서 수득하고(1.4 g, 75%), 이를 다음 단계로 보냈다. 1H NMR(400 MHz, DMSO-d 6 ) δ 9.24(d, 1H, J = 1 Hz), 8.16(s, 1H), 8.02(d, 1H, J = 2 Hz), 7.70(s, 1H), 5.45(s, 2H), 1.84(s, 3H). LCMS: m/z = 337.0 [M +], 339.0 [M + 2], RT = 2.94 분; (프로그램 R1, 칼럼 Y)
단계 6: 8-(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졸-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MeOH(100 mL) 중 화합물 VIII(1.4 g, 4.15 mmol, 1 당량)의 용액에 DIPEA(5 mL, 27 mmol, 6.5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0 분 동안 아르곤으로 탈기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에 PdCl2(dppf) 및 CH2Cl2(408 mg, 0.5 mmol, 0.12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다시 10 분 동안 아르곤으로 탈기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16 h 동안 Parr 오토클레이브에서 50 psi의 압력으로 CO 분위기 하에 90℃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Celite® 층을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조정제 산물을 수득하였다. 조정제 물질을 5% MeOH/CH2Cl2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100-2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8 g, 71%). 1H NMR(400 MHz, DMSO-d 6 ) δ 9.62(s, 1H), 8.34(s, 1H), 8.04(s, 1H), 7.94-7.85(m, 1H), 7.77(s, 1H), 4.82(d, 2H, J = 6 Hz), 3.93(s, 3H). LCMS: m/z = 275.4 [M + H], RT = 2.44 분; (프로그램 R1, 칼럼 Y).
단계 7: 8-(5-아세톡시메틸-테트라졸-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CH2Cl2(50 mL) 중 화합물 IX(0.8 g, 2.92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TEA(0.82 mL, 5.84 mmol, 2 당량)를 0℃에서 적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5 분 동안 교반하였다. 아세틸 클로라이드(0.42 mL, 5.84 mmol, 2 당량)를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2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하고 물로 희석하였다(30 mL).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2 x 20 mL) 합한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였다(30 mL). 유기층을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조정제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2 g). LCMS: m/z = 317.2 [M + H], RT = 2.76 분; (프로그램 R1, 칼럼 Y)
단계 8: 8-(5-아세톡시메틸-테트라졸-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THF(100 mL) 중 화합물 X(1.2 g, 3.8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N-브로모숙신이미드(0.61 g, 3.4 mmol, 0.9 당량)를 0℃에서 일부씩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5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하고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로 희석하여 pH를 8로 조정하였다.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2 x 50 mL) 합한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고(70 mL),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진공 중에 농축하여 조정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조정제 물질을 20% EtOAc/헥산을 이용하는 실리카 겔(100-2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녹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8 g, 69%). 1H NMR(400 MHz, DMSO-d 6 ) δ 9.00(s, 1H), 8.26(s, 1H), 7.99(s, 1H), 5.41(s, 2H), 3.97(s, 3H), 1.87(s, 3H). LCMS: m/z = 395.1 [M +], 397.0 [M + 2], RT = 3.31 분; (프로그램 R1, 칼럼 Y).
단계 9: 8-(5-아세톡시메틸-테트라졸-1-일)-3-브로모-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반응 튜브 내의 아르곤으로 탈기한 화합물 XI(0.8 g, 2.02 mmol, 1 당량)의 DMF(50 mL) 용액에 화합물 VIa(1.17 g, 3.03 mmol, 1.5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0 분 동안 아르곤으로 탈기하였다. 혼합물에 Pd(PPh3)4(0.23 g, 0.2 mmol, 0.1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다시 15 분 동안 아르곤으로 탈기하였다. 이어서, 반응 튜브를 밀봉하고 4 h 동안 120℃에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Celite® 층을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여 고체 잔여물을 제공하였다. 이어서 유기 성분을 EtOAc(2 x 50 mL) 및 10% MeOH/CH2Cl2(50 mL)로 추출하고, 합한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였다(100 mL). 유기층을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조정제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4% MeOH/CH2Cl2로 용출하는 100-200 메시 실리카 겔을 이용하는 플래시 Combiflash™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64 g, 75%). 1H NMR(400 MHz, DMSO-d 6 ) δ 9.17(d, 1H, J = 1 Hz), 8.20(s, 1H), 7.97(s, 1H), 4.45(d, 1H, J = 4 Hz), 7.06(d, 1H, J = 3 Hz), 5.44(s, 2H), 3.94(s, 3H), 2.57(s, 3H), 1.89(s, 3H). LCMS: m/z = 413.0 [M + H], RT = 3.73 분; (프로그램 R1, 칼럼 Y).
단계 10: 8-(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졸-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THF(50 mL) 중 화합물 XII(0.64 g, 1.55 mmol, 1 당량)의 용액에 LiOH.H2O(0.2 g, 4.66 mmol, 3 당량) 수용액을 적가한 후 메탄올(3 mL)을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2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의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고 고체 잔여물을 물로 희석하였다(40 mL). 수성층을 EtOAc로 세척하고(30 mL) 시트르산 포화 수용액을 수성부에 첨가하여 pH를 1로 조정하였다. 이어서 유기 성분을 수성층으로부터 10% MeOH/CH2Cl2(100 mL)로 추출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35 g, 63%). 1H NMR(400 MHz, DMSO-d 6 ) δ 12.30(brs, 1H), 9.15(s, 1H), 8.08(s, 1H), 7.95(s, 1H), 7.44(d, 1H, J = 3 Hz), 7.05(s, 1H), 5.79-5.69(m, 1H), 4.85(d, 2H, J = 5 Hz), 2.57(s, 3H). LCMS: m/z = 357.2 [M+H], RT = 3.04 분; (프로그램 R1, 칼럼 W)
단계 11: 8-(5-(하이드록시메틸)-1H-테트라졸-1-일)-N-((6-메틸피리딘-3-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DMF(30 mL) 중 화합물 XIII(0.35 g, 0.98 mmol, 1 당량)의 용액에 HATU(0.48 g, 1.27 mmol, 1.3 당량) 및 DIPEA(2 mL)를 0℃에서 아르곤 분위기 하에 첨가하였다. 10 분 후, C-(6-메틸-피리딘-3-일)-메틸아민(0.18 g, 1.47 mmol, 1.5 당량)의 DMF 용액을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6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빙냉수로 희석하고(30 mL)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2 x 50 mL) 및 10% MeOH/CH2Cl2(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80 mL),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여 조정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9% MeOH/CH2Cl2로 용출하는 100-200 메시 실리카 겔을 이용하는 플래시 Combiflash™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25 g, 55%). 1H NMR(400 MHz, DMSO-d 6 ) δ 9.46-9.38(m, 1H), 9.21(s, 1H), 8.45(s, 1H), 8.18(s, 1H), 7.90(s, 1H), 7.68-7.63(m, 1H), 7.46(d, 1H, J = 3 Hz), 7.26-7.20(m, 1H), 7.05(d, 1H, J = 3 Hz), 5.80-5.70(m, 1H), 4.87(d, 2H, J = 5 Hz), 4.50(d, 2H, J = 5 Hz), 2.56(s, 3H), 2.44(s, 3H). LCMS: m/z = 461.2 [M+H]+, RT = 2.30 분; (프로그램 R1, 칼럼 W).
실시예 18: 8-(5-(디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1-일)-N-((6-메틸피리딘-3-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Figure pat00062
단계 1: 6-브로모-이미다조[1,2-a]피리딘-8-일아민
에탄올(200 mL) 중 화합물 I(10 g, 53 mmol, 1 당량)의 용액에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8.92 g, 106 mmol, 2 당량) 및 클로로아세트알데하이드(8.6 mL, 133 mmol, 2.5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6 h 동안 120℃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고체 잔여물을 수득하였다. 이어서 잔여물을 물로 세척하고(200 mL)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800 mL),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여 조정제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2% MeOH/CH2Cl2로 용출하는 100-200 메시 실리카 겔을 이용하는 플래시 Combiflash™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6 g, 53%). 1H NMR(400 MHz, DMSO-d 6 ) δ 8.05(d, 1H, J = 2 Hz), 7.77(d, 1H, J = 1 Hz), 7.41(d, 1H, J = 1 Hz), 6.30(d, 1H, J = 2 Hz), 5.98(s, 2H). LCMS: m/z = 213.6 [M + 2], RT = 0.79 분; (프로그램 R1, 칼럼 Y).
단계 2: 8-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MeOH(100 mL) 중 화합물 II(6 g, 28 mmol, 1 당량)의 용액에 DIPEA(26 mL, 140 mmol, 5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0 분 동안 아르곤으로 탈기한 후, PdCl2(dppf).CH2Cl2(2.3 g, 2.8 mol, 0.1 당량)를 첨가하였다. 아르곤을 이용한 탈기를 10 분 동안 반복하고 반응 용기를 16 h 동안 CO 분위기 하에 50 psi에서 90℃에서 교반하며 Parr 오토클레이브에 부착하였다. 혼합물을 Celite® 층을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고체 잔여물을 수득하였다. 이어서 잔여물을 물로 세척하고(100 mL)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800 mL),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여 조정제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40% EtOAc/헥산으로 용출하는 100-200 메시 실리카 겔을 이용하는 플래시 Combiflash™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5g, 65%). 1H NMR(400 MHz, DMSO-d 6 ) δ 8.57(d, 1H, J = 1 Hz), 7.97(s, 1H), 7.51(s, 1H), 6.67(d, 1H), 5.87(s, 2H), 3.84(s, 3H). LCMS: m/z = 191.8 [M + H], RT = 0.78 분; (프로그램 R1, 칼럼 Y).
단계 3: 8-(2,2-디플루오로-아세틸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DMF(100 mL) 중 화합물 III(4 g, 20 mmol, 1 당량), 디플루오로아세트산(17.16 mL, 272 mmol, 13 당량) 및 TEA(8.82 mL, 62.8 mmol, 3 당량)의 용액에 T3P(16 mL, 26.8 mmol, 1.3 당량)를 질소 분위기 하에 적가하고 혼합물을 5 h 동안 환류하며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100 mL)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800 mL).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300 mL),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여 조정제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35% EtOAc/헥산으로 용출하는 100-200 메시 실리카 겔을 이용하는 플래시 Combiflash™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 g, 53%). 1H NMR(400 MHz, DMSO-d 6 ) δ 11.09(s, 1H), 9.19(d, 1H, J = 1 Hz), 8.40(d, 1H, J = 1 Hz), 8.18(d, 1H, J = 1 Hz), 7.72(d, 1H, J = 1 Hz), 6.79-6.16(m, 1H), 3.90(s, 3H). LCMS: m/z = 269.7 [M+H], RT = 2.40 분; (프로그램 R1, 칼럼 W).
단계 4: 8-(5-디플루오로메틸-테트라졸-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경로 1
아세토니트릴(100 mL) 중 화합물 IV(3 g, 11.15 mmol, 1 당량)의 용액에 나트륨 아지드를 첨가하고(29 g, 446.1 mmol, 40 당량) 생성 혼합물을 0℃로 냉각하였다. 실리콘 테트라클로라이드(13 mL, 111.5 mmol, 10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9 h 동안 90℃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빙냉수 내로 붓고 고체 NaHCO3를 일부씩 첨가하여 pH를 8로 조정하였다. 그 뒤, 생성 혼합물을 Celite® 층을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수집하였다. 이어서 유기 성분을 물로 세척한 후(100 mL)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400 mL). 이어서 유기층을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여 조정제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40% EtOAc/헥산으로 용출하는 100-200 메시 실리카 겔을 이용하는 플래시 Combiflash™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갈색 점성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 g, 30%). 1H NMR(400 MHz, DMSO-d 6 ) δ 9.66(d, 1H, J = 1 Hz), 8.36(s, 1H), 8.26(d, 1H, J = 1 Hz), 7.77(d, 1H, J = 1 Hz), 7.60(t, 1H, J = 51 Hz), 3.94(s, 3H). LCMS: m/z = 295.1 [M + H], RT = 3.11 분; (프로그램 R1, 칼럼 Y).
경로 2
Figure pat00063
8-(2,2-디플루오로-티오아세틸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V
1,4-디옥산(1.4 L) 중 화합물 IV(26.5 g, 98.5 mmol, 1 당량)의 용액에 헥사메틸디실록산(84.19 mL, 394 mmol, 4 당량) 및 인 펜타설파이드(21.89 g, 98.5 mmol, 1 당량)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6-8 h 동안 교반 하에 환류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 용액으로 켄칭하여 pH를 8로 조정하였다. 이어서 유기 성분을 물로 세척한 후(1 L),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2 L). 그 뒤 유기층을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여 조정제 화합물을 얻었다. 조정제물을 에탄올로 세척하여 화합물 V를 갈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21 g, 75%). 1H NMR(400 MHz, DMSO-d 6 ) δ 9.31(s, 1 H), 8.57(s, 1 H), 8.21(s, 1 H), 7.73(t, J = 95 Hz, 1 H), 6.67(m, 1 H), 5.87(m, 1 H), 3.90(s, 3 H); LCMS: m/z = 286.0 [M + H], RT = 2.58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8-(5-디플루오로메틸-테트라졸-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VI
THF(300 mL) 중 화합물 V(21 g, 73.6 mmol, 1 당량)의 용액에 0℃에서 수은(II) 아세테이트(46.96 g, 147 mmol, 2 당량) 및 트리메틸실릴아지드(24.3 mL, 184 mmol, 2.5 당량)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1 h 동안 0℃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포화 수성 암모늄 클로라이드 용액으로 켄칭하고, 여과하고, 여액을 수집하였다. 이어서 여액의 유기 성분을 물로 세척한 후(1 L),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1 L). 그 뒤 유기층을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여 조정제 화합물을 얻었다. 조정제 화합물을 에탄올로 세척하여 화합물 V를 회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21 g, 97%). 1H NMR(400 MHz, DMSO-d 6 ) δ 9.66(s, 1 H), 8.35(s, 1 H), 8.26(s, 1 H), 7.77(s, 1 H), 7.60(t, J = 52 Hz, 1 H), 3.93(s, 3 H); LCMS: m/z = 295.1 [M + H], RT = 2.77 분; (프로그램 P1, 칼럼 V).
단계 5: 3-브로모-8-(5-디플루오로메틸-테트라졸-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THF(100 mL) 중 화합물 V(1 g, 3.4 mmol, 1 당량)의 용액에 N-브로모숙신아미드(0.6 g, 3.4 mmol, 1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3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의 휘발물질을 감압 하에 제거하고 잔여물을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로 희석하여 pH를 8로 조정하였다. 유기 성분을 물로 세척한 후(50 mL)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150 mL). 유기층을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여 조정제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30% EtOAc/헥산으로 용출하는 100-200 메시 실리카 겔을 이용하는 플래시 Combiflash™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8 g, 63%). 1H NMR(400 MHz, DMSO-d 6 ) δ 9.01(d, 1H, J = 1 Hz), 8.40(d, 1H, J = 1 Hz), 7.99(s, 1H), 7.56(t, 1H, J = 51 Hz), 3.97(s, 3H). LCMS: m/z = 372.9 [M +], 375.0 [M + 2], RT = 3.52 분; (프로그램 R1, 칼럼 Y).
단계 6: 3-브로모-8-(5-디플루오로메틸-테트라졸-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THF(50 mL) 및 MeOH(4 mL) 중 화합물 VI(0.8 g, 2.14 mmol, 1 당량)의 용액에 LiOH,H2O(0.27 g, 6.42 mmol, 3 당량) 수용액을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의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고 고체 잔여물을 물로 희석하였다(50 mL). 잔여물을 EtOAc로 세척하고(30 mL) 수성층을 시트르산으로 산성화하여 pH를 1로 조정하였다. 이어서 유기 성분을 10% MeOH/CH2Cl2(100 mL)로 추출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갈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0.5 g, 66%). 1H NMR(400 MHz, DMSO-d 6 ) δ 9.95(s, 1H), 8.98(d, 1H, J = 1 Hz,), 8.35(d, 1H, J = 1 Hz,), 7.97(s, 1H), 7.56(t, 1H, J = 47 Hz). LCMS: m/z = 359.0 [M+], 361.1 [M+2], RT = 3.03 분; (프로그램 R1, 칼럼 Y).
단계 7: 3-브로모-8-(5-디플루오로메틸-테트라졸-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6-메틸-피리딘-3-일메틸)-아미드
DMF(50 mL) 중 화합물 VII(0.5 g, 1.39 mmol, 1 당량)의 용액에 HATU(0.7 g, 1.8 mmol, 1.3 당량) 및 DIPEA(0.74 mL, 4.17 mmol, 3 당량)를 아르곤 분위기 하에 0℃에서 첨가하였다. C-(6-메틸-피리딘-3-일)-메틸아민(0.25 g, 2.09 mmol, 1.5 당량)의 DMF 용액을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6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빙수로 희석하고(40 mL) 유기 성분을 EtOAc(2 x 50 mL) 및 10% MeOH/CH2Cl2(50 mL)로 추출하고, 합한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였다(50 mL). 유기층을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여 조정제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5% MeOH/CH2Cl2로 용출하는 100-200 메시 실리카 겔을 이용하는 플래시 Combiflash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을 오렌지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4 g, 62%). 1H NMR(400 MHz, DMSO-d 6 ) δ 9.53(t, 1H, J = 6 Hz), 9.18(s, 1H), 8.47(s, 1H), 8.37(s, 1H), 7.94(s, 1H), 7.70-7.44(m, 2H), 7.23(d, 1H, J = 8 Hz), 4.53(d, 2H, J = 5 Hz), 2.45(s, 3H). LCMS: m/z = 463.0 [M+], 465.0 [M+2], RT = 1.94 분; (프로그램 R1, 칼럼 W).
단계 8: 8-(5-(디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1-일)-N-((6-메틸피리딘-3-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반응 튜브 내의 아르곤으로 탈기한 화합물 VIII(0.4 g, 0.86 mmol, 1 당량)의 DMF(20 mL) 용액에 화합물 VIa(0.50 g, 1.29 mmol, 1.5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0 분 동안 아르곤으로 탈기한 후 Pd(PPh3)4(0.1 g, 0.086 mmol, 0.1 당량)를 첨가하였다. 아르곤을 이용한 추가 탈기를 다시 15 분 동안 수행하고, 반응 튜브를 밀봉한 후 5 h 동안 120℃에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Celite® 층을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여 고체 잔여물을 제공하였다. 이어서 유기 성분을 EtOAc(2 x 40 mL) 및 10% MeOH/CH2Cl2(50 mL)로 추출하고 합한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였다(50 mL). 유기층을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조정제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4% MeOH/CH2Cl2로 용출하는 100-200 메시 실리카 겔을 이용하는 플래시 Combiflash™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18 g, 44%). 1H NMR(400 MHz, DMSO-d 6 ) δ 9.45-9.36(m, 1H), 9.21(s, 1H), 8.42(s, 1H), 8.30(s, 1H), 7.88(s, 1H), 7.73-7.46(m, 3H), 7.19(d, 1H, J = 8 Hz), 7.03(s, 1H), 4.48(d, 2H, J = 5 Hz), 2.53(s, 3H), 2.41(s, 3H). LCMS: m/z = 481.0 [M+H]+, RT = 2.80 분; (프로그램 R1, 칼럼 W).
실시예 19: (R)-8-(5-(디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1-일)-N-(1-(3-메틸-1,2,4-옥사디아졸-5-일)에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Figure pat00064
실시예 18에 기재된 실험 절차에 따라, 화합물 VI을 제조하였다.
단계 6: 8-(5-디플루오로메틸-테트라졸-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아르곤으로 탈기한 화합물 VI(1.8 g, 4.82 mmol, 1 당량)의 톨루엔-DMF(10:1, 170 mL) 용액에 화합물 VIa(2.80 g, 7.23 mmol, 1.5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0 분 동안 아르곤으로 탈기한 후 Pd(PPh3)4(0.55 g, 0.48 mmol, 0.1 당량)를 첨가하였다. 아르곤을 이용한 추가 탈기를 다시 15 분 동안 수행하고, 생성 혼합물을 30 분 동안 120℃에서 교반하였다. TLC가 원료의 존재를 나타내었으므로, 15 분 간격으로 계속 TLC를 모니터링하면서 가열을 계속하였다. 1 h 후, 원료가 완전 소비된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혼합물이 실온으로 냉각되도록 방치하고, Celite® 층을 통해 여과하였다. 여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여 고체 잔여물을 제공하고, 이로부터 유기 성분을 EtOAc로 추출하였다(2 x 100 mL).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100 mL),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농축하여 조정제 고체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조정제 고체 물질을 20% EtOAc/헥산(2 x 50 mL)에 이어 펜탄(2 x 50 mL)으로 세척하고, 잔여물을 진공 중에 건조하여 순수한 산물을 수득하였다. 합한 유기 세척물을 20% EtOAc/헥산으로 용출하는 100-200 메시 실리카 겔을 이용하는 플래시 Combiflash™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순수한 산물을 수득하고, 이를 고체 잔여물과 합하여 표제 화합물을 노란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1.4 g, 74%). 1H NMR(400 MHz, DMSO-d 6 ) δ 9.18(s, 1H), 8.35(s, 1H), 7.96(s, 1H), 7.61(t, 1H, J = 51 Hz), 7.46(d, 1H, J = 3 Hz), 7.06(d, 1H, J = 3 Hz), 3.94(s, 3H), 2.57(s, 3H). LCMS: m/z = 391.1 [M + H], RT = 3.46 분; (프로그램 P1, 칼럼 V)
단계 7: 8-(5-디플루오로메틸-테트라졸-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THF(60 mL) 중 화합물 VII(0.6 g, 1.54 mmol, 1 당량)의 용액에 LiOH.H2O(0.19 g, 4.61 mmol, 3 당량)의 포화 수용액을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0 분 동안 10℃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에 MeOH(2 mL)을 첨가하여 혼합물을 균질한 용액으로 만들고, 다시 2 h 동안 교반을 23℃에서 계속하였다. 혼합물의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고 고체 잔여물을 물로 희석하고 EtOAc로 세척하였다. 수성층을 시트르산으로 산성화하여 pH를 1로 조정하고 유기 성분을 20% MeOH/CH2Cl2(2 x 30 mL)로 추출하였다. 이어서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갈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0.45 g, 78%). 1H NMR(400 MHz, DMSO-d 6 ) δ 13.88(brs, 1H), 9.18(s, 1H), 8.30(s, 1H), 7.95(s, 1H), 7.61(t, 1H, J = 51 Hz,), 7.45(d, 1H, J = 3 Hz), 7.05(d, 1H, J = 3 Hz), 2.57(s, 3H). LCMS: m/z = 376.9 [M + H], RT = 2.52 분; (프로그램 P1, 칼럼 V)
단계 8: (R)-8-(5-(디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1-일)-N-(1-(3-메틸-1,2,4-옥사디아졸-5-일)에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DMF(10 mL) 중 화합물 VIII(0.15 g, 0.4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HATU(0.2 g, 0.52 mmol, 1.3 당량) 및 DIPEA(0.7 mL)를 0℃에서 아르곤 분위기 하에 첨가하고, 10 분 후, 1-(3-메틸-[1,2,4]옥사디아졸-5-일)-에틸아민(0.76 g, 0.6 mmol, 1.5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6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빙수로 희석하고 유기 성분을 EtOAc 및 10% MeOH/CH2Cl2로 추출한 후,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여 조정제 화합물을 얻고, 이를 5% MeOH/CH2Cl2로 용출하는 100-200 메시 실리카 겔을 이용하는 플래시 Combiflash™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라세믹 화합물을 키랄 HPLC를 이용한 정제로 분해하여 순수한 (R)-거울상이성질체를 노란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10 g, 5.2%). 1H NMR(400 MHz, DMSO-d 6 ) δ 9.60(d, 1H, J = 7 Hz), 9.25(s, 1H), 8.36(s, 1H), 7.92(s, 1H), 7.63(t, 1H, J = 51 Hz), 7.49(d, 1H, J = 3 Hz), 7.07(m, 1H), 5.46-5.33(m, 1H), 2.56(s, 3H), 2.33(s, 3H), 1.62(d, 3H, J = 7 Hz). LCMS: m/z = 486.3 [M + H]+, RT = 3.31 분; (프로그램 P1, 칼럼 V).
실시예 20: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N-메틸이소부티르아미도)-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Figure pat00065
실시예 2에 기재된 실험 절차에 따라, 화합물 III을 제조하였다.
단계 3: 8-이소부티릴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건조 THF(50 mL) 중 화합물 III(2 g, 10.47 mmol, 1 당량)의 용액에 피리딘(1.6 mL, 20.94 mmol, 2 당량) 및 이소부티릴 클로라이드(2.2 mL, 20.94 mmol, 2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 h 동안 아르곤 분위기 하에서 0℃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로 켄칭하고(100 mL)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2 x 200 mL).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100 mL),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여 조정제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35% EtOAc/헥산으로 용출하는 Combiflash™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 g, 37%). 1H NMR(DMSO-d 6 ) δ 9.97(s, 1H), 9.06(s, 1H), 8.45(s, 1H), 8.13(s, 1H), 7.66(s, 1H), 3.88(s, 3H), 3.02(m, 1H), 1.11(d, 6H, J = 7 Hz). LCMS: m/z = 261.9 [M+H] +, RT = 2.90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단계 4: 8-(이소부티릴-메틸-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건조 DMF(10 mL) 중 화합물 IV(1 g; 3.83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나트륨 하이드라이드(미네랄 오일 중 60%, 0.13 g; 5.74 mmol; 1.5 당량)를 일부씩 0℃에서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0℃에서 5 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에 메틸 요오다이드(0.47 mL; 7.66 mmol; 2 당량)를 첨가하고 교반을 2 h 동안 0℃에서 계속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의 온도를 23℃로 천천히 높이고 혼합물을 다시 2 h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로 켄칭하고(100 mL)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2 x 200 mL).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100 mL),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여 조정제 화합물을 고체로서 제공하였다(0.8 g, 76%). 조정제 산물을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직접 이용하였다. 1H NMR(DMSO-d 6 ) δ 9.37(s, 1H), 8.20(s, 1H), 7.71(s, 1H), 7.62(s, 1H), 3.90(s, 3H), 3.21(s, 3H), 2.30(m, 1H), 0.90(m, 6H). LCMS: m/z = 276.2 [M+], RT = 2.40 분, (프로그램 P1, 칼럼 V).
단계 5: 3-브로모-8-(이소부티릴-메틸-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THF(20 mL) 중 화합물 V(0.8 g, 2.9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N-브로모숙신아미드(0.51 g, 2.9 mmol, 1 당량)를 0℃에서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로 켄칭하고(100 mL)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2 x 200 mL).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100 mL),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여 조정제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조정제 산물을 30% EtOAc/헥산으로 용출하는 100-200 메시 실리카 겔을 이용하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 g, 98%). 1H NMR(DMSO-d 6 ) δ 8.77(s, 1H), 7.91(s, 1H), 7.77(s, 1H), 3.93(s, 3H), 3.21(s, 3H), 2.38(m, 1H), 090(m, 6H). LCMS: m/z = 354.0 [M +], 356.0 [M + 2], RT = 2.86 분; (프로그램 P1, 칼럼 V).
단계 6: 8-(이소부티릴-메틸-아미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반응 튜브 내의 화합물 VI(1 g; 2.82 mmol; 1 당량)의 교반, 건조 DMF 용액에 화합물 VIa(1.6 g; 4.23 mmol; 1.5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5 분 동안 아르곤으로 탈기하였다. 혼합물에 Pd(PPh3)4(0.32 g; 0.28 mmol; 0.1 당량)를 첨가하고 아르곤을 이용한 탈기를 약 5 분 동안 반복한 후, 반응 튜브를 밀봉하고, 2 h 동안 140℃에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물로 켄칭하고(100 mL)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2 x 200 mL). 합한 유기층을 물(200 mL),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에 걸쳐 건조한 후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하에 증발시켜 조정제 물질을 수득하고, 이를 10-5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으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230-4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95 g, 91%). 1H NMR(DMSO-d 6 ) δ 8.98(s, 1H), 7.89(s, 1H), 7.72(s, 1H), 7.38(d, 1H, J = 3 Hz,), 7.03(d, 1H, J = 3 Hz), 3.90(s, 3H), 3.23(s, 3H), 2.55(s, 3H), 2.50(m, 1H), 0.93(m, 6H). LCMS: m/z = 372.4 [M+], RT = 3.24 분, (프로그램 P1, 칼럼 V).
단계 7: 8-(이소부티릴-메틸-아미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실산
THF:메탄올:H2O(40 mL, 5:1:1) 중 화합물 VII(0.95 g, 2.56 mmol, 1 당량)의 용액에 23℃에서 물(5 mL) 중 리튬 하이드록사이드 모노하이드레이트(0.16 g, 3.84 mmol, 1.5 당량)의 용액을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1 h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유기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잔여물을 물로 희석하고 6 N HCl로 산성화하여 pH를 약 5-6으로 조정하였다. 침전한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고체를 진공 하에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0.8 g, 82%). 1H NMR(DMSO-d 6 ) δ 13.5(brs, 1H), 8.97(s, 1H), 7.88(s, 1H), 7.69(s, 1H), 7.37(d, 1H, J = 4 Hz), 7.02(s, 1H), 3.23(s, 3H), 2.55(s, 3H), 2.50(m, 1H), 0.93(m, 6H). LCMS: m/z = 358.0 [M+], RT = 2.35 분, (프로그램 P1, 칼럼 Y).
단계 8: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N-메틸이소부티르아미도)-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DMF(2 mL) 중 화합물 VIII(0.18 g, 0.50 mmol, 1 당량)의 교반 용액에 TEA(0.21 mL, 1.51 mmol, 3 당량), (S)-1-(4H-[1,2,4]트리아졸-3-일)-에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0.09 g, 0.60 mmol; 1.2 당량)의 DMF(2 mL) 용액 및 T3P(0.23 mL, 0.75 mmol, 1.5 당량)를 23℃에서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2 h 동안 120℃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물로 켄칭하였다. 유기 성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2 x 100 mL) 합한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하여 조정제 물질을 제공하고, 이를 0-5% 메탄올/CH2Cl2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100-200 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12 g, 53%). 1H NMR(DMSO-d 6 ) δ 13.85(brs, 1H), 9.13(brs, 1H), 9.01(s, 1H), 8.48(s, 1H), 7.84(m, 2H), 7.40(m, 1H), 7.02(s, 1H), 5.32(m, 1H), 3.17(s, 3H), 2.54(s, 3H), 2.43(m, 1H), 1.55(m, 3H), 0.95(m, 6H). LCMS: m/z = 452.3 [M+], RT = 2.61 분, (프로그램 P1, 칼럼 V).
Figure pat00066
Figure pat00067
Figure pat00068
Figure pat00069
Figure pat00070
Figure pat00071
Figure pat00072
Figure pat00073
Figure pat00074
Figure pat00075
Figure pat00076
Figure pat00077
Figure pat00078
Figure pat00079
Figure pat00080
Figure pat00081
Figure pat00082
Figure pat00083
Figure pat00084
Figure pat00085
Figure pat00086
Figure pat00087
Figure pat00088
Figure pat00089
Figure pat00090
Figure pat00091
Figure pat00092
Figure pat00093
실시예 189: 시험관내 연구
A. 클로닝
FLIPR® 검정은 인간 또는 래트 P2X3 또는 P2X2/3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를 이용한다. hP2X3(Cat# 6188) 및 hP2X2/3(Cat# 6179)을 발현하는 재조합 세포를 Chantest Corp에서 얻었다. 래트 P2X2(NCBI 접근 번호: U14414)를 PC12 cDNA(래트 부신 수질 세포주)로부터 PCR에 의해 증폭하였다. 래트 P2X2의 단백질 코딩 서열을 함유하는 수득된 PCR 산물을 다중 클로닝 부위(MCS) 내에서 EcoRV- 소화되고 탈인산화된 벡터 pIRES-puro3 내로 클로닝하였다. 도 1a를 참고하라.
래트 P2X3(NCBI 접근 번호: X91167)을 래트 뇌 cDNA로부터 PCR에 의해 증폭하였다. 래트 P2X3의 단백질 코딩 서열을 함유하는 수득된 PCR 산물을 다중 클로닝 부위(MCS) 내에서 EcoRV-소화되고 탈인산화된 벡터 pCDNA-Hygro 내로 클로닝하였다(도 1b). 이어서 pcDNA-Hygro 내로 클로닝된 래트 P2X3을 벡터의 다중 클로닝 부위(MCS) 내 HindIII(5') 및 XhoI(3') 부위에서 pcDNA-5/TO 내로 서브클로닝하였다(도 1c).
재조합 벡터 DNA를 산출하는 모든 구축물을 서열 확인 후 전달감염 및 세포주 생성을 위해 이용하였다.
B. rP2X2/3을 발현하는 재조합 TRex293 세포 및 rP2X3을 발현하는 CHO-TRex 세포의 개발
Lipofectamine® 2000(Invitrogen) 전달감염제를 이용하여 항생제 비함유, 혈청 비함유 DMEM 중 수퍼코일링된 구축물(QIAGEN 키트를 이용해서 정제됨)을 이용해서 전달감염을 수행하였다. rP2X2/3의 안정한 세포주를 생성하기 위해 DNA 구축물 pIRES-Puro3 중 래트 P2X2 및 pCDNA5/TO 중 래트 P2X3을 TRex293 세포 내로 공동-전달감염시켰다. 50 ㎍/mL 하이그로마이신(Invitrogen) 및 0.5 ㎍/mL 퓨로마이신(Fermentek)을 rP2X2/3의 안정한 클론 선택을 위해 이용하였다. pCDNA5/TO DNA 구축물 중 래트 P2X3을 CHO-TRex 세포로 전달감염시켜 rP2X3의 안정한 세포주를 생성하고, 500 ㎍/mL 하이그로마이신(Invitrogen)을 선택 항생제로서 이용하였다. 이어서 전달감염된 안정한 콜로니를 기능적으로 확인하고, 검정을 위해 적합한 강력한 클론을 희석을 통해 클론 별로 정제하였다.
C. 검정 프로토콜
(i) 화합물을 스크리닝하기 위한 세포내 칼슘 검정 프로토콜
6 x 106 개 세포(인간 P2X3-HEK/인간 P2X2/3-TRex293/래트 P2X2/3-TRex293/래트 P2X3 TRex-CHO)를 함유하는 냉동 바이알을 37℃ 수조에서 해동하였다. 세포를 50 mL 원심분리 튜브에서 20 mL의 각각의 세포 플레이팅 배지(조성에 대해 첨부 확인) 중에 현탁하였다. 세포 생활성을 Trypan Blue 염료를 이용해서 확인하였다. 세척 시, 세포를 각각의 웰이 30 ㎕의 세포 플레이팅 배지 중 10,000 개의 세포(hP2X3에 대해 15,000 개/웰)를 함유하도록 검은색 384-웰의 투명 바닥, 멸균 폴리-D-라이신 코팅된 플레이트에 플레이팅하였다. 플레이트를 24 h 동안 37℃에서 5% CO2 인큐베이터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다음 날 검정 전에, 세포 플레이팅 배지를 경사분리하고 간단히 두드려서 각각의 웰로부터 제거하였다. 30 ㎕의 FLIPR 칼슘 4 염료 용액을 각 웰에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45 분(hP2X3에 대해 60 분) 동안 37℃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다음으로 플레이트를 15 분 동안 실온에서 평형화한 후, 검정을 위해 384 웰 FLIPR에 배치하였다.
화합물을 DMSO 중에 용해시키고 시작 농도 2 mM로 11.5 log(3.16 배) 희석에 따라 연속 희석하였다. 희석액을 검정 수행 직전에 검정 완충액과 혼합하였다.
화합물을 FLIPR을 이용해서 검정-준비된 세포 플레이트의 각 웰로 첨가하고, 형광 판독을 5 분 동안 포획하여 화합물의 임의의 가능한 작동 특성을 관찰하였다. 이어서 플레이트를 15 분 동안 실온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세포를 각각의 작동제 EC75 농도로 자극하고, 형광 판독을 FLIPR에 의해 다시 5 분 동안 포획하였다. 화합물의 존재 하 형광 판독에서의 차이를 대조군 웰(화합물 비함유 웰)에서와 비교하여 화합물의 저해 효능을 계산하였다. 화합물의 IC50 값을 Graph pad Prism 소프트웨어를 이용해서 결정하였다.
(ii) hP2X3-HEK 및 hP2X2/3-TRex293 세포에 대한 세포 플레이팅 배지
* DMEM/F12(1:1) HAM 배지(Invitrogen; Cat# 11039)
* 1X NEAA(Invitrogen; Cat#11140)
* 25 mM HEPES(Invitrogen; Cat#15630)
* 1 mM 나트륨 피루베이트(Invitrogen; Cat# 11360)
* 10% 테트라사이클린 음성 FBS(PAA; Cat# A15-209)
* 1 ㎍/mL 독시사이클린(Clontech; Cat#63131)[hP2X2/3-TRex293 세포에 대해서만]
(iii) rP2X2/3-TRex293 세포에 대한 세포 플레이팅 배지
* DMEM 배지(Invitrogen; Cat# 11965)
* 25 mM HEPES(Invitrogen; Cat#15630)
* 10% 테트라사이클린 음성 FBS(PAA; Cat# A15-209)
* 1 ㎍/mL 독시사이클린(Clontech; Cat#63131)
(iv) rP2X3-CHOTRex 세포에 대한 세포 플레이팅 배지
* F-12 영양소 혼합물(HAM) 1X(Invitrogen; Cat# 11765)
* 1X Glutamax™(Invitrogen; Cat#35050)
* 10% 테트라사이클린 음성 FBS(PAA; Cat# A15-209)
* 1 ㎍/mL 독시사이클린(Clontech; Cat#63131)
(v) 검정 완충액 조성물
* HBSS(Invitrogen Cat#14025)
* 20 mM HEPES(Invitrogen Cat# 15630)
* 0.01% F127(Sigma Cat# P2443)
* 1.8 mM CaCl2(Sigma Cat# C5080)
* pH 7.4로 조정됨
(vi) 염료 용액 조성물
* 검정 완충액 중 1X FLIPR 칼슘 4 염료(Molecular devices Cat# R8141)
* 1.8 mM 프로베네시드(Sigma Cat# P8761)
* pH 7.4로 조정됨
실시예 1-188에 대한 P2X3 및 P2X2/3 FLIPR 검정으로부터의 데이터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94
Figure pat00095
Figure pat00096
Figure pat00097
Figure pat00098
A: IC50 = 1-100 nM
B: IC50 = > 100-1000 nM
C: IC50 = > 1000-10,000 nM
D: IC50 > 10,000 nM
실시예 190: 래트에서의 생체내 열적 통각과민(하그리브스 시험) 연구
어린 성체 연령군의 180-200 g 체중 범위 수컷 Sprague Dawley 래트를 연구에 포함시켰다. 동물을 음식 및 물을 자유롭게 제공하며 12 h 명/암 주기 하에 수용하였다. 연구 개시 전 매회 45-60 분 동안 1 일 2 회, 2 일 동안 하그리브스 기구의 관찰 챔버로 동물을 순응시켰다. 동물을 또한 각각의 시험 전에 15-30 분 동안 기구에 길들였다. 변형된 하그리브스 방법(1988, "A new and sensitive method for measuring thermal nociception in cutaneous hyperalgesia", Pain 32: 77-88)을 따라 래트 발바닥 시험을 이용하여 열적 통각과민을 평가하였다(Ugo Basile, Italy).
발 움츠림 잠복기(paw withdrawal latency, PWL) 값 측정을 위해, 래트 뒷발의 발바닥 표면 바로 아래에 적용되는 이동식 적외선 열원으로 래트를 노출시켰다. 발 움츠림 잠복기(PWL)는 래트가 그 뒷발을 열원으로부터 움츠리는데 걸린 시간(초)으로 정의하였다. 기기의 33% IR을 이용해서 PWL을 측정하였다. 미처리 발에서 8-14 초 사이의 기본 반응을 나타내는 동물을 연구에 포함시켰다. 20 초의 컷오프 포인트를 이용해서 조직 손상을 방지하였다.
열 자극에 대한 PWL 값의 기본 판독 후(PWL 측정은 전술된 바와 같음), 50 ㎕의 완전 프로인트 아쥬반트(CFA - 1 mg/mL 현탁액 - Sigma, USA, Cat # F5881)를 가벼운 이소플루란 마취 하에 동물의 오른쪽 뒷(같은쪽) 발의 발바닥 표면 내로 피하 주사하였다. 주사를 위해 1 mL 시린지 및 26 g1/2-인치 바늘을 이용하였다. CFA 현탁액을 각각의 주사 전에 철저히 혼합하였다. 주사 부위로부터 아쥬반트 오일의 임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바늘을 발로부터 제거한 직후 10 s 동안 주사 부위를 가볍게 눌렀다. 이어서 래트를 이들의 우리로 되돌려서 회복시키고 부드러운 베딩에서 유지하였다.
다음 날(1 일) CFA 주사 20-22 h 후, 동물의 PWL을 기록하였다. 3 회 판독의 평균을 CFA 이전 및 이후 기본 판독을 위해 각 동물의 같은 쪽 발의 PWL 기록으로 취한다. CFA 주사 후 1 일에 6 초 이하의 PWL 값을 갖는 동물을 통각과민성으로 간주하여 치료군으로 무작위화 및 단회 맹검 프로토콜을 따라 추가 시험 세션을 위해 선택하였다.
시험 세션에서, PWL을 CE 시험 물품, 비히클(20% 폴리에틸렌 글리콜, 1% Tween™ 80, 79% 물) 및 나프록센(양성 대조군)의 경구 투여 후 1 h에 평가하였다. 예로, 도 2(실시예 22의 화합물), 도 5(실시예 38의 화합물) 및 도 6(실시예 52의 화합물)을 참고하라.
통계 분석을 원 웨이 ANOVA에 이어 Dunnett의 다중 비교 후 테스트로 수행하였다. 처리 후 PWL 값을 처리 전 PWL 값과 비교하고, p<0.05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각 군은 8 마리 동물로 이루어졌다.
실시예 191: 래트에서 포르말린 유도된 통증(자동화된 통증인지 분석기 시험)
어린 성체 연령군의 200-250 g 체중 범위 수컷 Sprague Dawley 래트를 연구에 포함시켰다. 동물을 음식 및 물을 자유롭게 제공하며 12 h 명/암 주기 하에 수용하였다. 연구 전 2 일 동안 1 일 2 회 45-60 분 동안 자동화 통증인지 분석기(ANA)의 관찰 챔버에서 동물을 순응시켰다. 연구 당일에 금속 밴드를 연구 세트에 등록된 각 동물의 오른쪽 뒷발 발바닥 표면에 붙이고, 10-15 분 동안 플라스틱 관찰 챔버에서 유지하였다. 시험 화합물 또는 비히클(20% 폴리에틸렌 글리콜, 1% Tween™ 80 시약, 79% 물)을 이용한 경구 처리 0.5 또는 1 h 후 동물에 포르말린 주사를 수행하였다. 동물의 포르말린 주사를 오른쪽 뒷발등 내로 피하 주사된 50 ㎕의 2.5% 포르말린(포름알데하이드 용액으로 새로 제조, Sigma, USA, Cat # F8775)으로 수행하였다. 동물을 주사 직후 이들 각각의 ANA 기록 챔버로 다시 돌려놓았다. 각각의 동물에 대한 주춤 계수 데이터를 ANA 운동 분석 소프트웨어를 이용해서 포르말린 주사 후 1 내지 60 분에 기록하였다. 연구를 0-10 분부터 연장되는 초기 상과 포르말린 주사 후 11-60 분부터 연장되는 제2 상의 2 개 상에서 분석하였다. 데이터를 5 분 시간 bin으로 수집하였고, 각각의 bin의 계수를 상의 총 계수에 대해 부가하였다. 예로, 도 3을 참고하라(실시예 22의 시험 화합물).
통계 분석을 페어링되지 않은 t 테스트로 수행하였다. 치료군 및 비히클군의 총 계수 간 비교를 수행하였고, p<0.05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전형적으로 시험 물품 및 비히클 처리군 각각에서 8 마리 동물을 이용하였다.
실시예 192: 마우스에서 아세트산 유도된 몸부림 테스트
30-40 g의 Swiss 알비노 마우스를 연구에 포함시켰다. 마우스에 비히클 또는 시험 물품 대조군의 경구 투여 후 30 분에, 10 mL/kg의 주사 부피로 0.7% v/v 아세트산 용액의 복강내 주사를 제공하였다. 시험 물품을 전형적으로 20 내지 60 mg/kg 용량으로 국소 투여하였다. 마우스를 유리 챔버 내로 개별 배치하였다. 이들 동물에서 생성된 몸부림의 수를 아세트산 투여 후 15 분 동안 계수하였다. 스코어 산정의 목적으로, 몸부림은 적어도 하나의 뒷다리의 동시 스트레칭을 갖는 복부 스트레칭으로 나타났다. 예로, 도 4를 참고하라.
통계 분석을 원 웨이 ANOVA에 이어 Dunnett의 다중 비교 테스트로 수행하였다. 총 몸부림 횟수에 대해 처리군 및 비히클 간에 비교를 수행하고, p<0.05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각 군은 6 마리 동물로 이루어졌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모든 공보는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이 특정 구현예를 참조로 기재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에서 벗어나지 않고 개질이 수행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개질은 첨부되는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53)

  1. 화학식 I의 구조의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 또는 전구약물을 포함하는 방광 기능장애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Figure pat00099

    상기에서,
    R1은 선택적으로 치환된 헤테로아릴 또는 NR5R6이고;
    R2는 선택적으로 치환된 아릴, 선택적으로 치환된 헤테로아릴, C1 내지 C6 알킬, 또는 S-C1 내지 C6 알킬이고;
    R3은 H 또는 C1 내지 C6 알킬이고;
    R4는 선택적으로 치환된 헤테로아릴이고;
    R5 및 R6은, 독립적으로, H, 선택적으로 치환된 C1 내지 C6 알킬, C3 내지 C6 사이클로알킬, 선택적으로 치환된 아릴, 선택적으로 치환된 헤테로아릴 및 CO(C1 내지 C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5 및 R6은 연결되어서, 하나 이상의 할로겐, C1 내지 C6 알킬, C1 내지 C6 알콕시, C1 내지 C6 하이드록시알킬, C3 내지 C6 사이클로알킬, 1 개 내지 3 개의 불소 원자를 함유하는 C1 내지 C6 알킬, C3 내지 C6 사이클로알킬-C1 내지 C6 알킬, 또는 CONH2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된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릭 고리를 형성한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화학식 II의 구조의 화합물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Figure pat00100
    .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화학식 III의 구조의 화합물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Figure pat00101
    .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화학식 IV의 구조의 화합물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Figure pat00102
    .
  5. 청구항 1에 있어서,
    R1은 선택적으로 치환된 헤테로아릴인 약학적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R1은 하나 이상의 할로겐, C1 내지 C6 알킬, C3 내지 C6 사이클로알킬, C3 내지 C6 사이클로알킬-C1 내지 C6 알킬, C1 내지 C6 하이드록시알킬, C1 내지 C6 알콕시, 1 개 내지 3 개의 불소 원자를 함유하는 C1 또는 C6 알킬, 또는 CH2CONH2로 치환된 헤테로아릴인 약학적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R1은 옥사디아졸, 피라졸, 티오펜, 또는 이소옥사졸인 약학적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R1은 하나 이상의 C1 내지 C6 알킬로 치환된 옥사디아졸, 하나 이상의 C1 내지 C6 알킬로 치환된 피라졸, 하나 이상의 C3 내지 C6 사이클로알킬-C1 내지 C6 알킬로 치환된 피라졸, 1 개 내지 3 개의 불소 원자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C1 내지 C6 알킬로 치환된 피라졸, 하나 이상의 CH2CONH2 기로 치환된 피라졸, 하나 이상의 C1 내지 C6 알킬로 치환된 티오펜, 또는 하나 이상의 C1 내지 C6 알킬로 치환된 이소옥사졸인 약학적 조성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R1은 1 개의 C1 내지 C6 알킬로 치환된 옥사디아졸, 1 개의 C1 내지 C6 알킬로 치환된 피라졸, 1 개의 C3 내지 C6 사이클로알킬-C1 내지 C6 알킬로 치환된 피라졸, 1 개의 불소 원자를 함유하는 1 개의 C1 내지 C6 알킬로 치환된 피라졸, 1 개의 CH2CONH2 기로 치환된 피라졸, 1 개의 C1 내지 C6 알킬로 치환된 티오펜, 또는 1 개 또는 2 개의 C1 내지 C6 알킬로 치환된 이소옥사졸인 약학적 조성물
  10. 청구항 1에 있어서,
    R1은 1 개의 에틸로 치환된 옥사디아졸, 1 개의 CH3 또는 CH2CH3로 치환된 피라졸, 1 개의 -CH2-사이클로프로필로 치환된 피라졸, 1 개의 CH2CH2F로 치환된 피라졸, 1 개의 CH2CONH2 기로 치환된 피라졸, 1 개의 CH3로 치환된 티오펜, 또는 2 개의 CH3로 치환된 이소옥사졸인 약학적 조성물.
  11. 청구항 1에 있어서,
    R1은 2-에틸-1,3,4-옥사디아졸, 1-메틸-피라졸, 1-에틸-피라졸, 1-사이클로프로필메탄-피라졸, 1-플루오로에탄-피라졸, 1-카복사미도메틸-피라졸, 2-메틸-티오펜, 또는 3,5-디메틸-이소옥사졸인 약학적 조성물.
  12. 청구항 1에 있어서,
    R2는 선택적으로 치환된 아릴인 약학적 조성물.
  13. 청구항 1에 있어서,
    R2는 선택적으로 치환된 페닐인 약학적 조성물.
  14. 청구항 1에 있어서,
    R2는 하나 이상의 C1 내지 C6 알킬로 치환된 페닐인 약학적 조성물.
  15. 청구항 1에 있어서,
    R2는 1 개의 CH3으로 치환된 페닐인 약학적 조성물.
  16. 청구항 1에 있어서,
    R2는 2-톨릴 또는 3-톨릴인 약학적 조성물.
  17. 청구항 1에 있어서,
    R2는 C1 내지 C6 알킬인 약학적 조성물.
  18. 청구항 1에 있어서,
    R2는 부틸인 약학적 조성물.
  19. 청구항 1에 있어서,
    R2는 -S-(C1 내지 C6 알킬)인 약학적 조성물.
  20. 청구항 1에 있어서,
    R2는 -SCH2CH2CH3인 약학적 조성물.
  21. 청구항 1에 있어서,
    R2는 선택적으로 치환된 헤테로아릴인 약학적 조성물.
  22. 청구항 1에 있어서,
    R2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 시아노, C1 내지 C6 알킬, 또는 1-3 개의 불소 원자를 함유하는 C1 내지 C6 알킬로 치환된 헤테로아릴인 약학적 조성물.
  23. 청구항 1에 있어서,
    R2는 티아졸, 티오펜, 또는 푸란인 약학적 조성물.
  24. 청구항 1에 있어서,
    R2는 C1 내지 C6 알킬로 치환된 티아졸인 약학적 조성물.
  25. 청구항 1에 있어서,
    R2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 시아노, C1 내지 C6 알킬, 또는 1-3 개의 불소 원자를 함유하는 C1 내지 C6 알킬로 치환된 티오펜인 약학적 조성물.
  26. 청구항 1에 있어서,
    R2는 C1 내지 C6 알킬로 치환된 푸란인 약학적 조성물.
  27. 청구항 1에 있어서,
    R2는 2-클로로-티오펜, 2-메틸-티오펜, 2-시아노-티오펜, 2-트리플루오로메틸-티오펜, 5-메틸-티아졸, 2-메틸-티아졸, 또는 2-메틸-푸란인 약학적 조성물.
  28. 청구항 1에 있어서,
    R4는 선택적으로 치환된 트리아졸, 선택적으로 치환된 피리딘, 선택적으로 치환된 피리돈, 선택적으로 치환된 옥사디아졸, 선택적으로 치환된 피라진, 또는 선택적으로 치환된 피리미딘인 약학적 조성물.
  29. 청구항 1에 있어서,
    R4는 C1 내지 C6 알킬, C3 내지 C6 사이클로알킬, C1 내지 C6 알콕시, 또는 C1 내지 C6 트리플루오로알킬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헤테로아릴인 약학적 조성물.
  30. 청구항 1에 있어서,
    R4는 하나 이상의 C1 내지 C6 알킬, C3 내지 C6 사이클로알킬, C1 내지 C6 알콕시, 또는 C1 내지 C6 트리플루오로알킬로 치환된 피리딘인 약학적 조성물.
  31. 청구항 1에 있어서,
    R4는 피리딘이고, 상기 피리딘의 질소 원자는 O-원자에 결합되는 약학적 조성물.
  32. 청구항 1에 있어서,
    R4는 하나 이상의 C1 내지 C6 알킬로 치환된 피라진인 약학적 조성물.
  33. 청구항 1에 있어서,
    R4는 하나 이상의 C1 내지 C6 알킬 또는 C1 내지 C6 알콕시로 치환된 피리미딘인 약학적 조성물.
  34. 청구항 1에 있어서,
    R4는 하나 이상의 C1 내지 C6 알킬로 치환된 피리돈인 약학적 조성물.
  35. 청구항 1에 있어서,
    R4는 1,2,4-트리아졸, 2-메틸-피리딘, 2-메톡시-피리딘, 1-옥소-피리딘, 1-옥소-2-메틸-피리딘, 1-옥소-2-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 2-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 2-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 1,3,4-옥사디아졸, 1,2,4-옥사디아졸, 3-메틸-1,2,4-옥사디아졸, 2-메틸-1,3,4-옥사디아졸, 2-메틸-피라진, 2-메틸-피리미딘, 2-메톡시-피리미딘, 또는 1-메틸-피리돈인 약학적 조성물.
  36. 청구항 1에 있어서,
    R5 및 R6 중 하나 또는 모두는 선택적으로 치환된 페닐인 약학적 조성물.
  37. 청구항 1에 있어서,
    R5 및 R6 중 하나 또는 모두는 불소 또는 C1 내지 C6 알콕시로 치환된 페닐인 약학적 조성물.
  38. 청구항 1에 있어서,
    R5 및 R6 중 하나 또는 모두는 선택적으로 치환된 티아졸인 약학적 조성물.
  39. 청구항 1에 있어서,
    R5 및 R6 중 하나 또는 모두는 선택적으로 치환된 C1 내지 C6 알킬 또는 C3 내지 C6 사이클로알킬인 약학적 조성물.
  40. 청구항 1에 있어서,
    R5 및 R6 중 하나 또는 모두는 4-플루오로-페닐 또는 2-메톡시-페닐인 약학적 조성물.
  41. 청구항 1에 있어서,
    R5 및 R6이 연결되어서, 선택적으로 치환된 헤테로아릴 또는 선택적으로 치환된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릭 고리를 형성하는 약학적 조성물.
  42. 청구항 1에 있어서,
    R5 및 R6이 연결되어서, 선택적으로 치환된 피롤리딘, 피페라진 또는 피페리딘을 형성하는 약학적 조성물.
  43. 청구항 1에 있어서,
    R5 및 R6이 연결되어서, 선택적으로 치환된 이미다졸, 피라졸, 테트라졸, 또는 트리아졸을 형성하는 약학적 조성물.
  44. 청구항 1에 있어서,
    R5 및 R6이 연결되어서, 하나 이상의 C1 내지 C6 알킬 또는 C1 내지 C6 알콕시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피롤리딘을 형성하는 약학적 조성물.
  45. 청구항 1에 있어서,
    R5 및 R6이 연결되어서, 하나 이상의 C1 내지 C6 알킬로 치환된 이미다졸을 형성하는 약학적 조성물.
  46. 청구항 1에 있어서,
    R5 및 R6이 연결되어서, 하나 이상의 C1 내지 C6 알킬로 치환된 피라졸을 형성하는 약학적 조성물.
  47. 청구항 1에 있어서,
    R5 및 R6이 연결되어서, 하나 이상의 C3 내지 C6 사이클로알킬, C1 내지 C6 알킬, C1 내지 C6 하이드록시알킬, 1-3 개의 불소 원자를 함유하는 C1 내지 C6 알킬, 및 C3 내지 C6 사이클로알킬-C1 내지 C6 알킬로 치환된 테트라졸을 형성하는 약학적 조성물.
  48. 청구항 1에 있어서,
    R5 및 R6이 연결되어서, 하나 이상의 C3 내지 C6 사이클로알킬, 1-3 개의 불소 원자를 함유하는 C1 내지 C6 알킬, 및 C1 내지 C6 알킬로 치환된 트리아졸을 형성하는 약학적 조성물.
  49. 청구항 1에 있어서,
    R5 및 R6이 연결되어서, 하나 이상의 C1 내지 C6 알콕시, 할로겐, 1-3 개의 불소 원자를 함유하는 C1 내지 C6 알킬, C1 내지 C6 알킬, 또는 CONH2로 치환된 피페리딘을 형성하는 약학적 조성물.
  50. 청구항 1에 있어서,
    R5 및 R6이 연결되어서, 1 개의 CONH2로 치환된 피페라진을 형성하는 약학적 조성물.
  51. 청구항 1에 있어서,
    R5 및 R6이 연결되어서, 3-메톡시-피롤리딘, 3-메틸-3-메톡시-피롤리딘, 2,5-디메틸-이미다졸, 5-에틸-피라졸, 5-프로필-테트라졸, 5-사이클로프로필-테트라졸, 5-프로필-테트라졸, 5-이소프로필-테트라졸, 5-에틸-테트라졸, 5-사이클로부틸-테트라졸, 5-사이클로프로필메틸-테트라졸, 5-메틸-테트라졸, 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졸, 5-디플루오로메틸-테트라졸, 5-(2,2,2-트리플루오로에틸)-테트라졸, 5-(1,1-디플루오로에틸)-테트라졸, 5-사이클로프로필-트리아졸, 5-디플루오로메틸-트리아졸, 5-트리플루오로메틸-트리아졸, 5-메틸-트리아졸, 5-이소프로필-트리아졸, 5-프로필-트리아졸, 5-에틸-트리아졸, 5-tert-부틸-트리아졸, 5-사이클로부틸-트리아졸, 5-(1,1-디플루오로에틸)-트리아졸, 5-(2,2,2-트리플루오로에틸)-트리아졸, 3,5-디메틸-1,2,4-트리아졸, 4-메틸-피페리딘, 4,4-디메틸-피페리딘, 4,4-디플루오로-피페리딘, 4-메틸-4-카복사미도-피페리딘, 4-플루오로-피페리딘, 4-트리플루오로메틸-피페리딘, 4-플루오로메틸-피페리딘, 4-메틸-4-메톡시-피페리딘, 4-메톡시-피페리딘, 또는 3-메톡시-피페리딘, 또는 4-카복사미도-피페라진을 형성하는 약학적 조성물.
  52. 다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광 기능장애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5-에틸-1,3,4-옥사디아졸-2-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2,5-디메틸-1H-이미다졸-1-일)-N-((6-메틸피리딘-3-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3,5-디메틸-4H-1,2,4-트리아졸-4-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5-(디플루오로메틸)-1H-1,2,3-트리아졸-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5-(디플루오로메틸)-1H-1,2,3-트리아졸-1-일)-3-(5-메틸-1,3,4-티아디아졸-2-일)-N-((6-메틸피리딘-3-일)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5-에틸-1H-피라졸-1-일)-N-((6-메틸피리딘-3-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3-(5-메틸티오펜-2-일)-8-(페닐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1-메틸-1H-피라졸-4-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3-부틸-8-(4-메틸피페리딘-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4-메틸피페리딘-1-일)-3-(프로필티오)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4-메틸피페리딘-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4-카바모일-4-메틸피페리딘-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4-카바모일피페라진-1-일)-N-((6-메틸피리딘-3-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1,3,4-옥사디아졸-2-일)에틸)-8-(5-(디플루오로메틸)-1H-1,2,3-트리아졸-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4-메틸피페리딘-1-일)-3-(o-톨릴)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5-사이클로프로필-1H-테트라졸-1-일)-N-((6-메틸피리딘-3-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5-(하이드록시메틸)-1H-테트라졸-1-일)-N-((6-메틸피리딘-3-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5-(디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1-일)-N-((6-메틸피리딘-3-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R)-8-(5-(디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1-일)-N-(1-(3-메틸-1,2,4-옥사디아졸-5-일)에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N-메틸이소부티르아미도)-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5-에틸-1,3,4-옥사디아졸-2-일)-N-((6-메틸피리딘-3-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5-에틸-1H-1,2,3-트리아졸-1-일)-N-((6-메틸피리딘-3-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5-에틸-1H-1,2,3-트리아졸-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5-에틸-1H-1,2,3-트리아졸-1-일)-N-((5-메틸피라진-2-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5-사이클로프로필-1H-1,2,3-트리아졸-1-일)-N-((6-메틸피리딘-3-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3-(5-메틸티오펜-2-일)-8-(5-(트리플루오로메틸)-1H-1,2,3-트리아졸-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5-(디플루오로메틸)-1H-1,2,3-트리아졸-1-일)-N-((6-메틸피리딘-3-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5-메틸-1H-1,2,3-트리아졸-1-일)-N-((6-메틸피리딘-3-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5-메틸-1H-1,2,3-트리아졸-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N-((6-메틸피리딘-3-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8-(5-(트리플루오로메틸)-1H-1,2,3-트리아졸-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5-(디플루오로메틸)-1H-1,2,3-트리아졸-1-일)-N-((2-메틸피리미딘-5-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5-(디플루오로메틸)-1H-1,2,3-트리아졸-1-일)-N-((5-메틸피라진-2-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5-에틸-1H-1,2,3-트리아졸-1-일)-N-((2-메틸피리미딘-5-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5-사이클로프로필-1H-1,2,3-트리아졸-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5-(디플루오로메틸)-1H-1,2,3-트리아졸-1-일)-N-((2-메톡시피리미딘-5-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5-(디플루오로메틸)-1H-1,2,3-트리아졸-1-일)-N-((6-메틸피리딘-3-일)메틸)-3-(5-메틸티아졸-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5-이소프로필-1H-1,2,3-트리아졸-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3-(5-클로로티오펜-2-일)-8-(5-(디플루오로메틸)-1H-1,2,3-트리아졸-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N-((2-메틸피리미딘-5-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8-(5-(트리플루오로메틸)-1H-1,2,3-트리아졸-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5-이소프로필-1H-1,2,3-트리아졸-1-일)-N-((2-메틸피리미딘-5-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5-사이클로프로필-1H-1,2,3-트리아졸-1-일)-N-((2-메틸피리미딘-5-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5-사이클로프로필-1H-1,2,3-트리아졸-1-일)-N-((2-메톡시피리미딘-5-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5-사이클로부틸-1H-1,2,3-트리아졸-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N-((2-메톡시피리미딘-5-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8-(5-(트리플루오로메틸)-1H-1,2,3-트리아졸-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5-이소프로필-1H-1,2,3-트리아졸-1-일)-N-((6-메틸피리딘-3-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5-(tert-부틸)-1H-1,2,3-트리아졸-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5-(디플루오로메틸)-1H-1,2,3-트리아졸-1-일)-N-((2-메틸피리미딘-5-일)메틸)-3-(5-메틸티아졸-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5-(디플루오로메틸)-1H-1,2,3-트리아졸-1-일)-3-(5-메틸푸란-2-일)-N-((6-메틸피리딘-3-일)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5-사이클로부틸-1H-1,2,3-트리아졸-1-일)-N-((2-메틸피리미딘-5-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1,3,4-옥사디아졸-2-일)에틸)-8-(5-(디플루오로메틸)-1H-1,2,3-트리아졸-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3-(5-시아노티오펜-2-일)-8-(5-(디플루오로메틸)-1H-1,2,3-트리아졸-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프로필)-8-(5-(디플루오로메틸)-1H-1,2,3-트리아졸-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5-(디플루오로메틸)-1H-1,2,3-트리아졸-1-일)-3-(5-메틸티아졸-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8-(5-(디플루오로메틸)-1H-1,2,3-트리아졸-1-일)-N-(2-메틸-1-(4H-1,2,4-트리아졸-3-일)프로필)-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5-사이클로부틸-1H-1,2,3-트리아졸-1-일)-N-((2-메틸피리미딘-5-일)메틸)-3-(5-메틸티아졸-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N-((6-메틸피리딘-3-일)메틸)-3-(5-메틸티아졸-2-일)-8-(5-(트리플루오로메틸)-1H-1,2,3-트리아졸-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5-(tert-부틸)-1H-1,2,3-트리아졸-1-일)-3-(5-메틸티아졸-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프로필)-8-(5-에틸-1H-1,2,3-트리아졸-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5-(디플루오로메틸)-1H-1,2,3-트리아졸-1-일)-3-(5-(트리플루오로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5-(디플루오로메틸)-1H-1,2,3-트리아졸-1-일)-3-(5-메틸푸란-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프로필)-8-(5-이소프로필-1H-1,2,3-트리아졸-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5-에틸-1H-1,2,3-트리아졸-1-일)-3-(5-메틸푸란-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3-(5-메틸티오펜-2-일)-8-(5-프로필-1H-1,2,3-트리아졸-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N-((2-메틸피리미딘-5-일)메틸)-3-(5-메틸티아졸-2-일)-8-(5-프로필-1H-1,2,3-트리아졸-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5-(디플루오로메틸)-1H-1,2,3-트리아졸-1-일)-3-(5-메틸푸란-2-일)-N-((2-메틸피리미딘-5-일)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5-(디플루오로메틸)-1H-1,2,3-트리아졸-1-일)-N-((2-메틸피리미딘-5-일)메틸)-3-(2-메틸티아졸-5-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프로필)-8-(5-(tert-부틸)-1H-1,2,3-트리아졸-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N-((2-메틸피리미딘-5-일)메틸)-3-(5-메틸티아졸-2-일)-8-(5-(트리플루오로메틸)-1H-1,2,3-트리아졸-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프로필)-3-(5-클로로티오펜-2-일)-8-(5-이소프로필-1H-1,2,3-트리아졸-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5-(1,1-디플루오로에틸)-1H-1,2,3-트리아졸-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5-(1,1-디플루오로에틸)-1H-1,2,3-트리아졸-1-일)-N-((2-메틸피리미딘-5-일)메틸)-3-(5-메틸티아졸-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5-(1,1-디플루오로에틸)-1H-1,2,3-트리아졸-1-일)-N-((2-메틸피리미딘-5-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8-(5-에틸-1H-1,2,3-트리아졸-1-일)-N-(2-메틸-1-(4H-1,2,4-트리아졸-3-일)프로필)-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2-메틸-1-(4H-1,2,4-트리아졸-3-일)프로필)-8-(5-메틸-1H-1,2,3-트리아졸-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5-에틸-1H-1,2,3-트리아졸-1-일)-N-((2-메틸피리미딘-5-일)메틸)-3-(5-메틸티아졸-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3-(5-클로로티오펜-2-일)-8-(5-(1,1-디플루오로에틸)-1H-1,2,3-트리아졸-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5-(디플루오로메틸)-1H-1,2,3-트리아졸-1-일)-N-((5-메틸피라진-2-일)메틸)-3-(5-메틸티아졸-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5-(디플루오로메틸)-1H-1,2,3-트리아졸-1-일)-3-(5-메틸푸란-2-일)-N-((5-메틸피라진-2-일)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3-(5-클로로티오펜-2-일)-8-(5-(트리플루오로메틸)-1H-1,2,3-트리아졸-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N-((2-메틸피리미딘-5-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8-(5-(2,2,2-트리플루오로에틸)-1H-1,2,3-트리아졸-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3-(5-메틸티오펜-2-일)-8-(5-(2,2,2-트리플루오로에틸)-1H-1,2,3-트리아졸-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N-((2-메틸피리미딘-5-일)메틸)-3-(5-메틸티아졸-2-일)-8-(5-(2,2,2-트리플루오로에틸)-1H-1,2,3-트리아졸-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5-(디플루오로메틸)-1H-1,2,3-트리아졸-1-일)-N-((6-메톡시피리딘-3-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R)-8-(5-(디플루오로메틸)-1H-1,2,3-트리아졸-1-일)-N-(1-(2-메틸피리미딘-5-일)에틸)-3-(5-메틸티아졸-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R)-8-(5-(디플루오로메틸)-1H-1,2,3-트리아졸-1-일)-N-(1-(3-메틸-1,2,4-옥사디아졸-5-일)에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N-((2-메톡시피리미딘-5-일)메틸)-3-(5-메틸티아졸-2-일)-8-(5-(트리플루오로메틸)-1H-1,2,3-트리아졸-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5-(1,1-디플루오로에틸)-1H-1,2,3-트리아졸-1-일)-N-((6-메틸피리딘-3-일)메틸)-3-(5-메틸티아졸-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R)-8-(5-에틸-1H-1,2,3-트리아졸-1-일)-N-(1-(3-메틸-1,2,4-옥사디아졸-5-일)에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2-메틸-5-((3-(5-메틸티오펜-2-일)-8-(페닐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도)메틸)피리딘 1-옥사이드,
    N-((1-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4-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8-(페닐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N-((6-메틸피리딘-3-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8-(페닐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3-(5-메틸티오펜-2-일)-8-(티아졸-2-일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N-((1-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4-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8-(티아졸-2-일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5-메틸티아졸-2-일)아미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4-플루오로페닐)아미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2-메톡시페닐)아미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2-메틸-5-((8-(1-메틸-1H-피라졸-4-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도)메틸)피리딘 1-옥사이드,
    8-(1-메틸-1H-피라졸-4-일)-N-((6-메틸피리딘-3-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1-메틸-1H-피라졸-4-일)-N-((1-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4-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1-메틸-1H-피라졸-5-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3,8-비스(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N-((S)-1-(4H-1,2,4-트리아졸-3-일)에틸)-8-(3,5-디메틸이소옥사졸-4-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1-에틸-1H-피라졸-5-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1-(사이클로프로필메틸)-1H-피라졸-4-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1-(2-플루오로에틸)-1H-피라졸-4-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3,5-디메틸이소옥사졸-4-일)-N-((6-메틸피리딘-3-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N-((S)-1-(4H-1,2,4-트리아졸-3-일)에틸)-3-(5-클로로티오펜-2-일)-8-(3,5-디메틸이소옥사졸-4-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N-((S)-1-(4H-1,2,4-트리아졸-3-일)프로필)-8-(3,5-디메틸이소옥사졸-4-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N-((S)-1-(4H-1,2,4-트리아졸-3-일)에틸)-8-(3,5-디메틸이소옥사졸-4-일)-3-(5-메틸티아졸-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N-((S)-1-(4H-1,2,4-트리아졸-3-일)에틸)-8-(3,5-디메틸-1H-피라졸-4-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3,5-디메틸-1H-피라졸-4-일)-N-((2-메틸피리미딘-5-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1-(2-아미노-2-옥소에틸)-1H-피라졸-4-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1-에틸-1H-피라졸-5-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2-메틸-5-((8-(4-메틸피페리딘-1-일)-3-(프로필티오)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도)메틸)피리딘 1-옥사이드,
    8-(4-메틸피페리딘-1-일)-N-((6-메틸피리딘-3-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4-메틸피페리딘-1-일)-N-((5-메틸피라진-2-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2-메틸-5-((8-(4-메틸피페리딘-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도)메틸)피리딘 1-옥사이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3-(5-클로로티오펜-2-일)-8-(4-메틸피페리딘-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5-((3-(5-클로로티오펜-2-일)-8-(4-메틸피페리딘-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도)메틸)-2-메틸피리딘 1-옥사이드,
    5-((8-(사이클로헥실아미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도)메틸)-2-메틸피리딘 1-옥사이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사이클로헥실아미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5-((8-(4,4-디메틸피페리딘-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도)메틸)-2-메틸피리딘 1-옥사이드,
    5-((8-(4,4-디플루오로피페리딘-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도)메틸)-2-메틸피리딘 1-옥사이드,
    5-((8-(사이클로헥실아미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도)메틸)-2-(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 1-옥사이드,
    2-메틸-5-((8-(4-메틸피페리딘-1-일)-3-(5-메틸티아졸-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도)메틸)피리딘 1-옥사이드,
    5-((8-(사이클로헥실(메틸)아미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도)메틸)-2-메틸피리딘 1-옥사이드,
    5-((8-(4-플루오로피페리딘-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도)메틸)-2-메틸피리딘 1-옥사이드,
    N-((1-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4-일)메틸)-8-(4-메틸피페리딘-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4,4-디메틸피페리딘-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4,4-디플루오로피페리딘-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2-메틸-5-((3-(5-메틸티오펜-2-일)-8-(4-(트리플루오로메틸)피페리딘-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도)메틸)피리딘 1-옥사이드,
    5-((8-(4-(플루오로메틸)피페리딘-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도)메틸)-2-메틸피리딘 1-옥사이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4-(플루오로메틸)피페리딘-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3-(5-메틸티오펜-2-일)-8-(4-(트리플루오로메틸)피페리딘-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사이클로펜틸아미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4,4-디플루오로피페리딘-1-일)-3-(4-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4-플루오로피페리딘-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N-((S)-1-(4H-1,2,4-트리아졸-3-일)에틸)-8-(3-메톡시피롤리딘-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4-메톡시-4-메틸피페리딘-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4-메톡시피페리딘-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N-((S)-1-(4H-1,2,4-트리아졸-3-일)에틸)-8-(3-메톡시피페리딘-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N-((S)-1-(4H-1,2,4-트리아졸-3-일)에틸)-8-(3-메톡시-3-메틸피롤리딘-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1H-피라졸-3-일)에틸)-8-(4,4-디플루오로피페리딘-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프로필)-8-(4,4-디플루오로피페리딘-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8-(4,4-디플루오로피페리딘-1-일)-N-(2-메틸-1-(4H-1,2,4-트리아졸-3-일)프로필)-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3-((8-(4-메틸피페리딘-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도)메틸)피리딘 1-옥사이드,
    (S)-N-(1-(4H-1,2,4-트리아졸-3-일)프로필)-8-(4-메톡시피페리딘-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4-카바모일-4-메틸피페리딘-1-일)-N-((6-메틸피리딘-3-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1H-1,2,4-트리아졸-5-일)에틸)-8-(4-메틸피페리딘-1-일)-3-(m-톨릴)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2-메틸-5-((8-(4-메틸피페리딘-1-일)-3-(o-톨릴)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도)메틸)피리딘 1-옥사이드,
    8-(5-이소프로필-1H-테트라졸-1-일)-N-((6-메틸피리딘-3-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5-이소프로필-1H-테트라졸-1-일)-3-(5-메틸티오펜-2-일)-N-((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일)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5-에틸-1H-테트라졸-1-일)-N-((6-메틸피리딘-3-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N-((6-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3-일)메틸)-8-(5-에틸-1H-테트라졸-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5-사이클로부틸-1H-테트라졸-1-일)-N-((6-메틸피리딘-3-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5-(사이클로프로필메틸)-1H-테트라졸-1-일)-N-((6-메틸피리딘-3-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5-메틸-1H-테트라졸-1-일)-N-((6-메틸피리딘-3-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N-((6-메틸피리딘-3-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8-(5-프로필-1H-테트라졸-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5-이소프로필-1H-테트라졸-1-일)-3-(5-메틸티오펜-2-일)-N-(1-(피라진-2-일)에틸)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5-사이클로부틸-1H-테트라졸-1-일)-3-(5-메틸티오펜-2-일)-N-(1-(피라진-2-일)에틸)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5-사이클로부틸-1H-테트라졸-1-일)-N-((1-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4-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5-에틸-1H-테트라졸-1-일)-3-(5-메틸티오펜-2-일)-N-(1-(피라진-2-일)에틸)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5-사이클로부틸-1H-테트라졸-1-일)-N-((6-메톡시피리딘-3-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5-사이클로부틸-1H-테트라졸-1-일)-N-((5-메틸피라진-2-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5-사이클로부틸-1H-테트라졸-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5-(사이클로프로필메틸)-1H-테트라졸-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5-사이클로프로필-1H-테트라졸-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5-(디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5-(디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1-일)-N-((2-메톡시피리미딘-5-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3-(5-클로로티오펜-2-일)-8-(5-(디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프로필)-8-(5-(디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5-(디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1-일)-N-((2-메틸피리미딘-5-일)메틸)-3-(5-메틸티아졸-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5-(디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1-일)-N-((6-메틸피리딘-3-일)메틸)-3-(5-메틸티아졸-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프로필)-3-(5-클로로티오펜-2-일)-8-(5-(디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3-(5-클로로티오펜-2-일)-8-(5-사이클로프로필-1H-테트라졸-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3-(5-클로로티오펜-2-일)-8-(5-(디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1-일)-N-((2-메틸피리미딘-5-일)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5-(디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1-일)-N-((2-메틸피리미딘-5-일)메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5-에틸-1H-테트라졸-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3-(5-메틸티오펜-2-일)-8-(5-프로필-1H-테트라졸-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R)-8-(5-(디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1-일)-N-(1-(5-메틸-1,3,4-옥사디아졸-2-일)에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3-(5-메틸티오펜-2-일)-8-(5-(2,2,2-트리플루오로에틸)-1H-테트라졸-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5-(1,1-디플루오로에틸)-1H-테트라졸-1-일)-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5-(디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1-일)-3-(5-메틸푸란-2-일)-N-((2-메틸피리미딘-5-일)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3-(5-클로로티오펜-2-일)-8-(5-(1,1-디플루오로에틸)-1H-테트라졸-1-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8-(5-(디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1-일)-N-((5-메틸피라진-2-일)메틸)-3-(5-메틸티아졸-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R)-8-(5-(1,1-디플루오로에틸)-1H-테트라졸-1-일)-N-(1-(3-메틸-1,2,4-옥사디아졸-5-일)에틸)-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N-메틸프로피온아미도)-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S)-N-(1-(4H-1,2,4-트리아졸-3-일)에틸)-8-(N-사이클로프로필프로피온아미도)-3-(5-메틸티오펜-2-일)이미다조[1,2-a]피리딘-6-카복사미드.
  5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의 효과적인 양 및 선택적으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20227026800A 2013-12-16 2014-12-16 P2x3 및/또는 p2x2/3 화합물 및 방법 Ceased KR202201128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916499P 2013-12-16 2013-12-16
US61/916,499 2013-12-16
PCT/US2014/070497 WO2015095128A1 (en) 2013-12-16 2014-12-16 P2x3 and/or p2x2/3 compounds and methods
KR1020167018016A KR102430072B1 (ko) 2013-12-16 2014-12-16 P2x3 및/또는 p2x2/3 화합물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8016A Division KR102430072B1 (ko) 2013-12-16 2014-12-16 P2x3 및/또는 p2x2/3 화합물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2867A true KR20220112867A (ko) 2022-08-11

Family

ID=5234741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8016A Active KR102430072B1 (ko) 2013-12-16 2014-12-16 P2x3 및/또는 p2x2/3 화합물 및 방법
KR1020227026800A Ceased KR20220112867A (ko) 2013-12-16 2014-12-16 P2x3 및/또는 p2x2/3 화합물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8016A Active KR102430072B1 (ko) 2013-12-16 2014-12-16 P2x3 및/또는 p2x2/3 화합물 및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7) US9944637B2 (ko)
EP (1) EP3083619B1 (ko)
JP (2) JP6616772B2 (ko)
KR (2) KR102430072B1 (ko)
CN (1) CN106029660B (ko)
AU (1) AU2014365823B2 (ko)
BR (1) BR112016013734A2 (ko)
CA (1) CA2933811C (ko)
HK (1) HK1226718A1 (ko)
IL (1) IL246191B (ko)
WO (1) WO20150951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K1226718A1 (zh) * 2013-12-16 2017-10-06 Asana Biosciences, Llc P2x3及/或p2x2/3化合物及方法
RU2019112740A (ru) 2016-09-30 2020-11-02 АСАНА БАЙОСАЙЕНСИЗ, ЭлЭлСи P2x3 и/или p2x2/3 соединения и способы
CN112351978A (zh) 2018-06-29 2021-02-09 先正达参股股份有限公司 杀有害生物活性的唑-酰胺化合物
TW202023386A (zh) 2018-09-13 2020-07-01 瑞士商先正達合夥公司 殺有害生物活性唑-醯胺化合物
UY38366A (es) 2018-09-13 2020-04-30 Syngenta Participations Ag Compuestos de azol-amida pesticidamente activos
JP2022505376A (ja) 2018-10-19 2022-01-14 シンジェンタ パーティシペーションズ アーゲー 殺有害生物活性アゾール-アミド化合物
WO2020094363A1 (en) 2018-11-05 2020-05-14 Syngenta Participations Ag Pesticidally active azole-amide compounds
CN111253402B (zh) * 2018-11-30 2021-08-03 广州白云山医药集团股份有限公司白云山制药总厂 一种trk激酶抑制剂化合物的中间体化合物及制备方法
MA54386B1 (fr) 2018-12-06 2023-08-31 Constellation Pharmaceuticals Inc Modulateurs de trex1
EP3696175A1 (en) 2019-02-18 2020-08-19 Syngenta Crop Protection AG Pesticidally active azole-amide compounds
EP3935053B1 (en) 2019-03-08 2023-06-07 Syngenta Crop Protection AG Pesticidally active azole-amide compounds
US20220306599A1 (en) 2019-03-20 2022-09-29 Syngenta Crop Protection Ag Pesticidally active azole amide compounds
BR112021018501A2 (pt) 2019-03-20 2021-11-30 Syngenta Crop Protection Ag Compostos de azolamida ativos em termos pesticidas
JP2022525809A (ja) 2019-03-22 2022-05-19 シンジェンタ クロップ プロテクション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殺虫剤としてのn-[1-(5-ブロモ-2-ピリミジン-2-イル-1,2,4-トリアゾール-3-イル)エチル]-2-シクロプロピル-6-(トリフルオロメチル)ピリジン-4-カルボキサミド誘導体及び関連化合物
KR20220035916A (ko) * 2019-07-23 2022-03-22 콘스텔레이션 파마슈티칼스, 인크. Trex1의 조절제
CN111892585A (zh) * 2020-08-05 2020-11-06 杭州维坦医药科技有限公司 作为p2x3受体拮抗剂的n-甲酰胺基吡唑啉类衍生物及应用
CN115884970A (zh) * 2020-09-24 2023-03-31 中国医药研究开发中心有限公司 芳基甲酰胺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医药用途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11692B1 (de) 1978-11-27 1982-04-07 Bruno Granella Mobile Aufreisservorrichtung zur Behandlung eines Baugrundes
US4906474A (en) 1983-03-22 1990-03-06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Bioerodible polyanhydrides for controlled drug delivery
US5035891A (en) 1987-10-05 1991-07-30 Syntex (U.S.A.) Inc. Controlled release subcutaneous implant
US5575815A (en) 1988-08-24 1996-11-19 Endoluminal Therapeutics, Inc. Local polymeric gel therapy
US5633002A (en) 1988-10-04 1997-05-27 Boehringer Ingelheim Gmbh Implantable, biodegradable system for releasing active substance
US5411738A (en) 1989-03-17 1995-05-02 Hind Health Care, Inc. Method for treating nerve injury pain associated with shingles (herpes-zoster and post-herpetic neuralgia) by topical application of lidocaine
MY107937A (en) 1990-02-13 1996-06-29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Prolonged release microcapsules.
US5266325A (en) 1990-09-28 1993-11-30 Hydro Med Science Division Of National Patent Development Corp. Preparation of homogeneous hydrogel copolymers
AU651654B2 (en) 1992-01-14 1994-07-28 Endo Pharmaceuticals Solutions Inc. Manufacture of water-swellable hydrophilic articles and drug delivery devices
JP3471122B2 (ja) 1995-04-26 2003-11-25 アルケア株式会社 医療用粘着配合物
CA2192782C (en) 1995-12-15 2008-10-14 Nobuyuki Takechi Production of microspheres
SE508357C2 (sv) 1996-01-02 1998-09-28 Kay Laserow Mätinstrument för mätning av smärta jämte ett förfarande för att med ett mätinstrument mäta smärta
SE9604751D0 (sv) 1996-12-20 1996-12-20 Astra Ab New therapy
KR20010006027A (ko) 1997-04-03 2001-01-15 포인트 바이오메디칼 코퍼레이션 방광내 약물 송달 시스템
US6623040B1 (en) 1997-09-03 2003-09-23 Recot, Inc. Method for determining forced choice consumer preferences by hedonic testing
SE9801526D0 (sv) 1998-04-29 1998-04-29 Astra Ab New compounds
US6464688B1 (en) 2000-02-15 2002-10-15 Microsolutions, Inc. Osmotic pump delivery system with flexible drug compartment
AU2001296828B2 (en) 2000-10-13 2005-11-24 Alz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iercing skin with microprotrusions
MXPA03003815A (es) 2000-10-26 2004-08-12 Johnson & Johnson Dispositivos de suministro transdermico de farmaco que tienen microrresaltos recubiertos.
US6766319B1 (en) 2000-10-31 2004-07-20 Robert J. Might Method and apparatus for gathering and evaluating information
ES2341922T3 (es) 2001-11-01 2010-06-29 Spectrum Pharmaceuticals, Inc. Composiciones medicas para el tratamiento intravesical de cancer de vejiga.
US7736665B2 (en) 2002-05-31 2010-06-15 Titan Pharmaceuticals, Inc. Implantable polymeric device for sustained release of buprenorphine
US7812303B2 (en) 2007-12-06 2010-10-1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n image using quantum properties of light based upon spatial information from a second light beam which does not illuminate the subject
US7858110B2 (en) 2003-08-11 2010-12-28 Endo Pharmaceuticals Solutions, Inc. Long term drug delivery devices with polyurethane based polymers and their manufacture
CA2437639C (en) 2003-08-11 2016-07-05 Valera Pharmaceuticals, Inc. Long term drug delivery devices with polyurethane based polymers and their manufacture
JP2008520331A (ja) 2004-11-18 2008-06-19 トランスファーマ メディカル リミテッド 薬剤の経皮的送達のためのマイクロチャネル形成と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の組合せ
DOP2006000051A (es) 2005-02-24 2006-08-31 Lilly Co Eli Inhibidores de vegf-r2 y métodos
AR056290A1 (es) 2005-03-31 2007-10-03 Nippon Soda Co Metodo para inhibir la produccion de de micotoxina
CN101300235B (zh) * 2005-09-01 2011-12-07 弗·哈夫曼-拉罗切有限公司 作为p2x3和p2x2/3调节剂的二氨基嘧啶类化合物
GB0525029D0 (en) 2005-12-08 2006-01-18 Univ Hull Receptor Antagonist
US8598209B2 (en) * 2008-10-31 2013-12-03 Merck Sharp & Dohme Corp. P2X3, receptor antagonists for treatment of pain
US20110280922A1 (en) 2008-11-07 2011-11-17 Combinent Biomedical Systems, Inc.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ing and/or preventing diseases
US9974844B2 (en) 2008-11-17 2018-05-2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Cancer vaccin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20110046600A1 (en) 2008-12-05 2011-02-24 Crank Justin M Devices, systems, and related methods for delivery of fluid to tissue
US9238647B2 (en) * 2009-03-23 2016-01-19 Merck Sharp & Dohme Corp. P2X3 receptor antagonists for treatment of pain
CA2755768A1 (en) * 2009-03-23 2010-09-30 Merck Sharp & Dohme Corp. P2x3, receptor antagonists for treatment of pain
WO2010149634A1 (en) 2009-06-22 2010-12-29 F. Hoffmann-La Roche Ag Novel indole, indazole and benzimidazole arylamides as p2x3 and/or p2x2/3 antagonists
DE102009030377A1 (de) 2009-06-25 2010-12-30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Schallabsorber für Fahrzeugräder
HK1226718A1 (zh) * 2013-12-16 2017-10-06 Asana Biosciences, Llc P2x3及/或p2x2/3化合物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33811C (en) 2021-02-09
US10544145B2 (en) 2020-01-28
US20160296501A1 (en) 2016-10-13
CN106029660A (zh) 2016-10-12
US9944637B2 (en) 2018-04-17
EP3083619A1 (en) 2016-10-26
JP6616772B2 (ja) 2019-12-04
JP7182526B2 (ja) 2022-12-02
JP2016540027A (ja) 2016-12-22
KR102430072B1 (ko) 2022-08-10
CA2933811A1 (en) 2015-06-25
US10590127B2 (en) 2020-03-17
US9908879B2 (en) 2018-03-06
US20180141945A1 (en) 2018-05-24
US11685736B2 (en) 2023-06-27
US20230219954A1 (en) 2023-07-13
BR112016013734A2 (pt) 2017-08-08
KR20160097250A (ko) 2016-08-17
US20160318927A1 (en) 2016-11-03
US20180186793A1 (en) 2018-07-05
US10316039B2 (en) 2019-06-11
AU2014365823A1 (en) 2016-07-07
CN106029660B (zh) 2019-11-15
WO2015095128A1 (en) 2015-06-25
IL246191B (en) 2021-03-25
HK1226718A1 (zh) 2017-10-06
AU2014365823B2 (en) 2019-05-02
JP2020007322A (ja) 2020-01-16
EP3083619B1 (en) 2021-11-03
IL246191A0 (en) 2016-08-02
US20200109143A1 (en) 2020-04-09
US20190248789A1 (en) 2019-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0072B1 (ko) P2x3 및/또는 p2x2/3 화합물 및 방법
US11339169B2 (en) P2X3 and/or P2X2/3 compounds and methods
AU2016256819C1 (en) Aminoindane compounds and use thereof in treating p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4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A01041R01D

Patent event date: 20220802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67018016

Filing date: 201607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8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4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0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09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