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0891A - Communication patch cord and patch cord tester - Google Patents
Communication patch cord and patch cord tes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10891A KR20220110891A KR1020210013852A KR20210013852A KR20220110891A KR 20220110891 A KR20220110891 A KR 20220110891A KR 1020210013852 A KR1020210013852 A KR 1020210013852A KR 20210013852 A KR20210013852 A KR 20210013852A KR 20220110891 A KR20220110891 A KR 2022011089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munication
- tester
- patch cord
- test
-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5—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identification of connection, e.g. right plug to the right socket or full engagement of the mating par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2—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5—Accessories for testing or observation of connector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7—Connectors fixed to housings, casing, frames or circuit board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15—Cables for special applications
- G02B6/4416—Heterogeneous cab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05—Power cables including optical transmission element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3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with non solid core or cladding
- G02B2006/0325—Fluid core or clad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 Of Telephone Exch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통신망과 연결되는 네트워크 스위치,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와 연결되는 패치패널 및 패치패널과 연결되는 통신수구로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실 내에서의 네트워크 스위치와 패치패널(또는 패치패널과 다른 패치패널)을 연결하며, 통신용 패치코드가 연결되어 통신 사용중인 상태에서도 특정 통신용 패치코드의 연결 위치를 쉽게 식별할 수 있는 통신용 패치코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work switch and a patch panel (or a patch different from a patch panel) in a communication room in a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network switch connected to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a patch panel connected to the network switch, and a communication device connected to the patch panel. panel), and it relates to a communication patch cord that can easily identify the connection location of a specific communication patch cord even when the communication patch cord is connected and communication is in use.
Description
본 발명은 통신용 패치코드 및 패치코드 테스터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통신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실 내에서 통신용 패치코드가 네트워크 스위치와 패치패널(또는 패치패널과 다른 패치패널) 간 연결되어 통신 운영중인 상태에서도 특정 통신용 패치코드의 연결 위치를 쉽게 식별할 수 있는 통신용 패치코드 및 패치코드 테스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tchcord for communication and a patchcord tester. More specific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atch cord for communication is connected between a network switch and a patch panel (or a patch panel and another patch panel) in a communication room constituting th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patch cord for a specific communication is determined even in a communication operation state. It relates to patchcords and patchcord testers for easily identifiable communications.
옥내 통신 시스템은 외부 통신망과 연결되는 네트워크 스위치, 네트워크 스위치에 연결되는 패치패널 및 각각의 패치패널과 연결되는 수요자측 통신수구를 제공할 수 있다.The indoor communication system may provide a network switch connected to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a patch panel connected to the network switch, and a consumer-side communication device connected to each patch panel.
이러한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스위치와 패치패널은 일반적으로 광케이블, UTP, FTP 또는 STP 케이블(이하, '케이블 유닛'이라 함) 및 통신케이블 양단에 커넥터를 포함하는 통신용 패치코드로 연결될 수 있다.In such a communication system, a network switch and a patch panel may be generally connected with an optical cable, UTP, FTP, or STP cab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able unit') and a communication patch cord including connectors at both ends of the communication cable.
이와 같은 통신 시스템은 그 설치, 유지 또는 보수 과정에서 스위치, 라우터, 게이트웨이 등의 네트워크 장비, 패치패널 및 통신수구 간의 연결상태 또는 각각을 연결하는 통신선로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게 된다.In the process of instal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such a communication system,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network equipment such as switches, routers, and gateways, patch panels, and communication tools, or the presence or absence of abnormalities in communication lines connecting each are checked.
특히 통신실 내부에서의 통신 선로 유지 또는 보수 작업의 전제로서 통신실의 네트워크 장비와 패치패널 등을 연결하는 통신용 패치코드의 연결 위치가 먼저 확인 또는 특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통신실 규모에 따라 통신실 내부에는 대량의 통신용 패치코드가 각각 네트워크 장비들 간, 패치패널들 간, 또는 네트워크 장비와 패치패널 간을 연결하며 복잡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통신실 내부 환경에서 작업자는 각각의 통신용 패치코드의 커넥터의 연결위치를 특정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In particular, as a premise for communication line maintenance or repair work inside the communication room, the connection location of the communication patch cord connecting the network equipment in the communication room and the patch panel, etc. must first be confirmed or specified. However,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communication room, a large amount of patch cords for communication are installed in a complex manner in the communication room, connecting each network equipment, between patch panels, or between network equipment and patch panels. Therefore, it is very difficult for the operator to specify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connector of each communication patch cord in the communication room internal environment.
통신실 내부에서 어느 하나의 통신용 패치코드의 양 커넥터의 연결위치를 특정하기 위해서는 양 커넥터 중 어느 하나의 커넥터를 분리하여 테스터기 등을 통해 테스트 전압을 인가하고 그에 따라 반대편 커넥터가 장착된 패치패널 측의 LED 조명의 점등 여부를 확인하여 연결위치를 확인하였다.In order to specify the connection position of both connectors of any one of the communication patch cords inside the communication room, one of the connectors is separated and a test voltage is applied through a tester, etc. The connection location was confirmed by checking whether the LED light was on.
그러나, 통신용 패치코드의 연결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위와 같은 작업은 통신용 패치코드의 어느 하나의 커넥터를 장비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전제하며, 통신용 패치코드 분리로 인하여 통신이 단절된 상태에서 위와 같은 유지 보수 작업이 수행되면 통신 수요자의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다.However, the above operation for specifying the connection location of the communication patch cord is premised on disconnecting any one connector of the communication patch cord from the equipment, and the above maintenance work is performed in a state where communication is cut due to the communication patch cord separation. If performed, it may cause inconvenience to communication consumers.
본 발명은 통신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실 내에서 통신용 패치코드가 네트워크 장비와 패치패널 간 (또는 네트워크 장비들 간, 패치패널들 간) 연결되어 통신 운영중인 상태에서도 특정 통신용 패치코드의 연결 위치를 쉽게 식별할 수 있는 통신용 패치코드 및 패치코드 테스터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mmunication room constituting the communication system, the patch cord for communication is connected between the network equipment and the patch panel (or between the network equipment, between the patch panels) so that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patch cord for a specific communication is easily established even in the state of communication operation. It is a task to be solved to provide an identifiable patchcode for communication and a patchcode tester.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와이어; 한 쌍 이상의 테스트 와이어 및 상기 통신 와이어와 상기 테스트 와이어를 감싸는 케이블 자켓을 구비하는 케이블 유닛; 및, 상기 통신 와이어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자; 상기 테스트 와이어에 연결되는 한 쌍 이상의 패치코드 테스트 단자; 한 쌍의 상기 패치코드 테스트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광소자 및 상기 통신 단자 및 상기 패치코드 테스트 단자가 장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유닛의 양단에 구비되는 한 쌍의 커넥터 유닛;을 포함하는 통신용 패치코드를 제공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t least one communication wire; a cable unit having at least one pair of test wires and a cable jacket surrounding the communication wire and the test wire; and at least on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wire. one or more pair of patchcord test terminals connected to the test wire; Communication including a pair of connector unit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able unit, including an optical element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air of the patchcord test terminals, and a housing to which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patchcord test terminal are mounted. You can provide patchcodes.
또한, 상기 커넥터 유닛의 하우징은 광투과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Also, the housing of the connector unit may be made of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그리고, 상기 커넥터 유닛의 하우징은 상기 광소자의 빛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of the connector unit may have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light of the optical device is exposed to the outside.
여기서, 상기 커넥터 유닛의 하우징 내에 상기 광소자를 포함되는 광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Here, it may include an optical module including the optical device in the housing of the connector unit.
이 경우, 한 쌍의 상기 패치코드 테스트 단자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패치코드 테스트 단자가 노출되도록 장착하기 위한 단자 노출부에 장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air of patch cord test terminals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and mounted on the terminal exposed portion for mounting so that the patch cord test terminals are exposed.
그리고, 상기 단자 노출부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오목한 개구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 exposed portion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oncave opening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housing.
또한, 상기 통신 케이블이 인입되는 상기 하우징의 후방의 측면을 따라 상기 단자 노출부까지 가이드홈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guide groove may be provided up to the terminal exposed portion along the rear side surface of the housing into which the communication cable is introduced.
그리고, 상기 광소자는 제1 색상의 제1 발광소자 및 제2 색상의 제2 발광소자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병렬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optical device, a first light emitting device of a first color and a second light emitting device of a second color may be configured in parallel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여기서, 상기 제1 발광소자 및 제2 발광소자는 하나의 모듈 내에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provided in one module.
이 경우, 상기 테스트 와이어는 절연층이 구비된 도체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est wire may be formed of a conductor provided with an insulating layer.
그리고, 상기 통신 와이어는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 단자는 광단자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wire may include at least one optical fiber,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an optical terminal.
그리고, 상기 광섬유는 해킹방지용 광섬유일 수 있다.And, the optical fiber may be an optical fiber for preventing hacking.
여기서, 상기 해킹방지용 광섬유는 광 차단제 또는 광 흡수제 재질의 코팅층 형태의 해킹 방지층을 포함하거나 광섬유의 클래드층 내에 공기층을 구비할 수 있다.Here, the hacking prevention optical fiber may include a hacking prevention layer in the form of a coating layer made of a light blocking agent or a light absorber material, or may include an air layer in the clad layer of the optical fiber.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테스터기 하우징;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가 구비된 외측 단부가 상기 테스터기 하우징 외측으로 노출되되, 상기 테스터기 하우징 내에 구비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레버부재; 상기 테스터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레버부재의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상기 레버부재의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 간격을 좁히는 방향으로 상기 레버부재를 탄성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탄성부; 및, 상기 레버부재의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 간격을 넓히는 방향으로 상기 레버부재의 후단을 가압하는 한 쌍의 전개버튼;을 포함하며, 전술한 패치코드에 구비되는 어느 하나의 커넥터 유닛의 한 쌍의 패치코드 테스트 단자에 한 쌍의 상기 레버부재의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부재의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를 통해 상기 전원부의 전력을 공급하여 한 쌍의 상기 커넥터 유닛의 광소자를 점등시키기 위한 패치코드 테스터기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ster housing; a pair of lever members having an outer end provided with a tester test terminal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ester housing and rotatably mounted around a hinge shaft provided in the tester housing; a power supply unit provided in the tester housing to supply power to the tester test terminal of the lever member; an elastic part provid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lever member in a direction of narrowing the test terminal interval of the lever member; and a pair of deployment buttons for pressing the rear end of the lever member in a direction to widen the distance between the tester test terminals of the lever member, and a pair of patch cords of any one connector unit provided in the aforementioned patch cord. In a state in which the test terminal of the pair of testers of the lever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test terminal,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is supplied through the test terminal of the tester of the lever member to light the pair of optical elements of the connector unit. can provide
그리고, 한 쌍의 상기 레버부재의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는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pair of test terminals of the lever member may be provid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여기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테스터기 하우징과 힌지축에 의해 장착되어 한 쌍의 상기 레버부재의 후단 내주면 사이에서 반발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Here, the elastic part may be a torsion coil spring mounted by the tester housing and a hinge shaft to provide a repulsive force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rear end of the pair of lever members.
이 경우, 상기 전개버튼은 한 쌍의 레버부재의 후단 외주면에 장착되고, 상기 테스터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eployment button may be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pair of lever members, and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ester housing.
그리고, 상기 전원부에서 상기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에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switch for selectively cutting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tester test terminal from the power supply unit; may further include.
그리고, 상기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이 간헐적으로 공급되어 상기 통신용 패치코드의 광소자가 반복 점멸 방식으로 발광하도록 하기 위한 전원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is intermittently supplied to the optical element of the patch cord for communication may further include a power control unit to emit light in a repeated flashing manner.
여기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전력단자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또는 외부전원 공급부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Here, the power supply unit may be at least one of a battery or an external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wer terminal.
이 경우, 상기 레버부재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가 구비되고 인출 또는 삽입이 가능한 슬라이딩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ever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tester test terminal to enable length adjustment, and may include a sliding part that can be drawn out or inserted.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패치코드 및 패치코드 테스터기에 의하면, 통신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실 내에서 통신용 패치코드가 네트워크 장비와 패치패널 간(또는 네트워크 장비들 간, 패치패널들 간) 또는 패치패널과 통신 수구에 연결되어 통신 운영 중인 상태에서도 특정 통신용 패치코드의 연결 위치를 쉽게 식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atch cord and patch cord tester for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tch cord for communication in the communication room constituting the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es with the network equipment and the patch panel (or between the network equipment, between the patch panels) or the patch panel It is possible to easily identify the connection location of a specific communication patch cord even when it is connected to the water polo and communication is in opera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종류의 통신 케이블에 테스트 와이어를 부가하고 커넥터 유닛에 패치코드 테스트 단자를 부가하여 다양한 종류의 통신용 패치코드에 상기 식별 기능 부여가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a test wire to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cables and adding a patch cord test terminal to a connector unit,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identification function to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patch cord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 테스터기에 의하면, 네트워크 스위치와 패치패널 등에 통신용 패치코드가 밀집되어 설치된 경우에도 테스터기의 레버부재 외측 단부에 구비된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가 통신용 패치코드를 구성하는 커넥터 유닛의 패치코드 테스트 단자에 장착될 수 있으므로, 테스트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atch cord t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patch cords for communication are densely installed on network switches and patch panels, etc., the tester test terminal provided at the outer end of the lever member of the tester unit constitutes the patch cord for communication. Patch of the connector unit Since it can be mounted on a code test terminal, test work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 테스터기에 의하면,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가 탄성 지지되는 레버부재의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의 장착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atch cord t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mounting process of the tester test terminal of the lever member on which the tester test terminal is elastically supported.
도 1은 본 발명의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패치코드의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패치코드를 구성하는 케이블 유닛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패치코드를 구성하는 커넥터 유닛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패치코드에 구비되는 패치코드 테스트 단자, 광소자 및 테스트 와이어의 연결상태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패치코드의 커넥터 유닛에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 테스터기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 테스터기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 테스터기가 커넥터 유닛에 장착되기 전 상태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 테스터기가 커넥터 유닛에 장착된 상태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 테스터기의 레버부재의 슬라디잉부가 인출 또는 삽입되어 3단계로 길이 조절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3 내지 도 15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치코드 테스터기의 레버부재의 슬라디잉부가 인출 또는 삽입되어 3단계로 길이 조절된 상태에서 패치코드 테스터기가 다양한 조건에서의 패치코드 커넥터 유닛에 장착되는 과정을 도시한다.1 shows a block diagram of a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patch cord for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ble unit constituting a patch cord for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unit constituting a patch cord for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 connection state of a patch cord test terminal, an optical element, and a test wire provided in the patch cord for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patch cord t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connector unit of the patch cord for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atch cord t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view of the patch cord t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being mounted on the connector unit.
9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atch cord t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connector unit.
10 to 12 show a state in which the sliding portion of the lever member of the patch cord t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rawn out or inserted and the length is adjusted in three steps.
13 to 15 are patch cord connectors in various conditions of the patch cord tester in a state in which the sliding part of the lever member of the patch cord tester is drawn out or inserted and the length is adjusted in three steps, as shown in FIGS. 10 to 12 . The process of mounting to the unit is show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may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e spirit of the invention may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Like referenc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의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1)의 구성도를 도시한다.1 shows a block diagram of a
본 발명의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1)은 외부 통신망(60)과 연결되는 네트워크 스위치(10),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10)에 연결되는 패치패널(20) 및 패치패널(20)과 연결되는 통신수구(30)로 구성될 수 있다.The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10)는 근거리외부 통신망(LAN)을 구성할 때 단말기간 집선 장치로 자료교환(스위칭) 기능을 가진 장치로서, 외부 통신망(60)과 연결된 라우터(50) 등에 연결되거나, OSI 7계층의 네트워크 계층의 기능을 수행하는 L3 스위치로서 직접 외부 통신망과 연결될 수도 있다.Here, the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10)는 여러 개의 통신수구(30)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프레임 속에 저장되어 있는 수신 단말기의 주소 번지(MAC 주소)를 판단하고 그 단말기가 접속하고 있는 포트에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 스위치(10)와 통신수구(30)는 패치패널(20)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The
이러한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1)의 네트워크 스위치(10) 및 패치패널(20)은 일반적으로 통신실에 위치하고, 각각의 통신수구(30)는 이격된 통신 수요자 공간에 구비되어 PC, 전화기 또는 프린터 등에 네트워크 통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상기 패치패널(20)은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1)에서 통신수구(30)를 연장시킨 포트들의 집합체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유닛을 말한다. 즉,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10)와 통신수구(30)는 패치패널(20)을 매개로 접속될 수 있으며, 패치패널(20)과 통신수구(30)는 퍼머넌트 링크 (Permanent Link) 형태의 통신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다.The
도 1에서는 통신수구(30)와 네트워크 스위치(10) 사이에 하나의 패치패널(20)이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상기 패치패널(20)은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1 shows that one
종래에는 통신실 내부에서 통신용 패치코드(300)가 대량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연결여부 또는 연결위치를 육안으로 구별 또는 특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었다.Conventionally, in the communication room, a large amount of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패치코드(300)는 통신실 내부에서 각각의 통신용 패치코드(300)의 양방향 연결 위치를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조명 인덱싱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케이블과 통신용 패치코드(3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검토한다.However, the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패치코드(300)의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도를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패치코드(300)를 구성하는 케이블 유닛(200)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패치코드(300)를 구성하는 커넥터 유닛(10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Figure 2 shows a configuration diagram of one embodiment of the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패치코드(300)는 케이블 유닛(200)과 상기 케이블 유닛(200) 양단에 연결된 한 쌍의 커넥터 유닛(100a, 10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한 설명에서, 통신용 패치코드(300)는 광케이블 형태의 통신 와이어(210)와 광커넥터 형태의 커넥터 유닛(100a, 100b)을 구비하는 광통신용 패치코드(300)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광통신용 패치코드(300) 이외에 UTP, FTP 또는 STP 케이블 형태의 통신 와이어(210)와 RJ45 플러그 형태의 커넥터 유닛에도 적용이 가능하다.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 the patch cord for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케이블 유닛(2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와이어(210); 한 쌍 이상의 테스트 와이어(230) 및 상기 통신 와이어(210)와 상기 테스트 와이어(230)를 감싸는 케이블 자켓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통신 와이어(210)는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211)로 구성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211) 및 상기 광섬유(211)를 수용하는 타이트 버퍼(2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통신 와이어(210)는 상기 광섬유(211)를 수용하는 타이트 버퍼 이외에 광섬유를 수용하는 튜브부재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각각의 통신 와이어가 광섬유를 구비하는 경우 후술하는 해킹 방지 기능 제공을 위하여 광섬유(211) 외측에 외측에 후술하는 탭핑에 의한 해킹을 방지하기 위한 해킹 방지층(21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each communication wire is provided with an optical fiber, a
상기 해킹 방지층(213)은 광차단제 또는 광흡수제 등을 포함하는 코팅층일 수 있고, 해킹 방지층(213)를 광섬유 외측에 부가하지 않아도, 광섬유(211)를 구성하는 클래드층 내에 공기층을 구비하는 형태의 특수 목적(광신호 누설 방지) 광섬유가 적용될 수도 있다. 이와 관련된 설명은 후술한다. The
상기 케이블 유닛(200)은 상기 통신 와이어(210)와 함께 한 쌍 이상의 테스트 와이어(2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테스트 와이어(230)는 전력 공급을 위한 테스트 도체(231) 및 절연체(2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한 쌍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The
상기 케이블 유닛(200)은 통신 와이어(210)와 테스트 와이어(230)를 수용하는 케이블 자켓(2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이와 같이 구성된 케이블 유닛(200)의 양단에 커넥터 유닛(100)이 구비되어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패치코드(300)가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케이블 유닛(200)의 양단에 연결되는 커넥터 유닛(100)은 상기 통신 와이어(210)에 연결되는 통신 단자(111), 상기 테스트 와이어(230)에 연결되는 한 쌍의 패치코드 테스트 단자(119); 한 쌍의 상기 패치코드 테스트 단자(119)를 연결하도록 장착되는 광소자(118) 및 상기 통신 단자(111) 및 상기 패치코드 테스트 단자(119)가 노출될 수 있도록 장착되는 하우징(1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커넥터 유닛(100)은 하우징(110) 내로 통신 와이어(210)와 테스트 와이어(230)를 구비한 케이블 유닛(200)이 인입되고, 상기 하우징(110) 내에서 케이블 유닛(200)을 구성하는 통신 와이어(210)와 테스트 와이어(230)는 각각 통신 단자(111)와 패치코드 테스트 단자(119)에 접속될 수 있다.In the
이 경우, 상기 통신 와이어(210)가 광섬유 형태 또는 광섬유를 수용하는 튜브부재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넥터 유닛(100)에 구비된 통신 단자(111)는 광섬유를 수용하는 페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커넥터 유닛(100)에 광전 변환기 등이 구비된 경우 상기 통신 단자(111)는 일반 도체 단자로 구성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통신 유닛이 UTP, FTP 또는 STP 케이블 형태인 경우 상기 통신 단자는 RJ45 플러그의 핀단자일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mmunication unit is in the form of a UTP, FTP, or STP cable, th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a pin terminal of an RJ45 plug.
상기 패치코드 테스트 단자(119)는 상기 케이블 유닛(200)을 구성하는 테스트 와이어(230)의 테스트 도체(231)와 접속되는 금속 단자일 수 있고, 상기 패치코드 테스트 단자(119)는 상기 커넥터 유닛(100)을 구성하는 하우징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The
한 쌍의 상기 패치코드 테스트 단자(119)는 후술하는 패치코드 테스터기(500)의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521)와 접속된 상태에서 전력이 공급되는 단자로 통신용 패치코드(3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커넥터 유닛(100)에 구비된 광소자(118)로 전력을 공급하여 광소자(118)를 점등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뒤로 미룬다.The pair of patch
한 쌍의 상기 패치코드 테스트 단자(119)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패치코드 테스트 단자(119)가 노출되도록 장착하기 위한 단자 노출부(116)에 장착될 수 있다.A pair of the
상기 단자 노출부(116)는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오목한 개구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terminal exposed
상기 패치코드 테스트 단자(119)가 장착되는 단자 노출부(116)를 오목한 개구부 형태로 구성하는 이유는 단자가 하우징 외주면으로 돌출되어 발생되는 단자 손상 문제를 방지하고, 후술하는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521)의 장착시 위치 결정 기능을 제공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that the terminal exposed
또한, 오목한 개구부 형태로 구성되는 단자 노출부(116)에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521)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통신 케이블이 인입되는 상기 하우징의 후방의 측면을 따라 상기 단자 노출부(116)까지 가이드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mounting of the
또한, 패치패널 또는 네트워크 스위치는 복층으로 배열되고 각각의 접속구 역시 일렬로 근접 배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통신실 환경에서 통신용 패치코드(300)의 커넥터 유닛이 각각의 장비의 접속구가 밀집되어 장착되는 경우 커넥터 간의 간격도 좁아져 테스터기를 이용한 테스트가 쉽지 않다.In addition, the patch panel or network switch is arranged in multiple layers, and each connection port is also arranged adjacently in a line. Therefore, in such a communication room environment, when the connector unit of the
따라서, 통신실 네트워크 스위치 또는 패치패널의 접속구에 다수의 통신용 패치코드(300)의 커넥터 유닛(100)이 밀집되어 인접하게 접속된 상태에서도 후술하는 패치코드 테스터기(500)의 레버부재(520) 외측단에 구비된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521)가 특정 패치코드의 커넥터 유닛(100)의 후방으로 접근하여 그 하우징의 측면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114)을 통해 단자 노출부(116)로 쉽게 접근이 가능하고, 오목한 개구부 형태의 단자 노출부(116)에 안착되어 특정 통신용 패치코드(300)에 패치코드 테스터기(500)를 쉽게 장착할 수 있으므로 테스트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상기 하우징(110)의 후방에는 부츠부재(120)가 구비되어 하우징 내로 인입되는 케이블 유닛(200)의 꺾임 등을 방지할 수 있다.A
상기 커넥터 유닛(100)을 구성하는 하우징에는 네트워크 스위치 또는 패치패널의 접속구에 접속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래치부(113)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The housing constituting the
또한, 상기 커넥터 유닛(100) 내부에 광소자(11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소자(118)는 LED 광원 등 조명장치일 수 있고, 상기 광소자(118)은 상기 패치코드 테스터기(500)에서 전력이 공급되면 점등되는 구성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하우징 내에 상기 광소자(118)를 포함하는 PCB 형태의 광모듈(117)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패치코드 테스트 단자(119)와 상기 광모듈(117)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상기 광소자(118)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개구부가 형성되거나, 상기 하우징이 광투과성 재질로 구성되어 광소자(118) 점등시 빛이 외부에서 식별되도록 할 수 있다.An opening is formed in the housing so that th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패치코드(300)에 구비되는 패치코드 테스트 단자(119), 광소자(118) 및 테스트 와이어(230)의 연결상태를 도시한다.5 shows the connection state of the patch
한 쌍의 커넥터 유닛(100a, 100b)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패치코드 테스트 단자(119a-1, 119a-2 또는 119b-1, 119b-2) 사이에 각각 광모듈(117a, 117b)이 구비되고, 한 쌍의 커넥터 유닛(100a, 100b)의 한 쌍의 광모듈(117a, 117b)은 한 쌍의 테스트 와이어(230)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커넥터 유닛(100)에 구비된 한 쌍의 패치코드 테스트 단자(119a-1, 119a-2 또는 119b-1, 119b-2)는 광소자(118)를 포함하는 광모듈(117)과 별도의 배선 등으로 연결되나, 단자 자체가 연장된 형태의 배선 등으로 연결되거나 광모듈에 포함될 수도 있다.And, as shown in FIG. 5 , a pair of patch
따라서, 한 쌍의 커넥터 유닛(100a, 100b)의 패치코드 테스트 단자(119a, 119b)가 테스트 와이어(230)로 연결되는 경우, 하나의 통신용 패치코드(300)에 구비된 한 쌍의 커넥터 유닛(100a, 100b)의 광소자(118)와 한 쌍의 테스트 와이어(230)는 폐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patch
여기서, 상기 광소자(118)는 일 실시 예로서 제1 색상의 제1 발광소자(118x) 및 제2 색상의 제2 발광소자(118y)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병렬로 구성되어, 패치코드 테스트 단자(119a, 119b)를 통해 공급되는 직류 전력의 방향과 무관하게 어느 하나의 발광소자가 점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제1 색상의 상기 제1 발광소자(118x) 및 제2 색상의 상기 제2 발광소자(118y)는 별도의 분리된 모듈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1 발광소자(118x) 및 제2 발광소자(118y)는 하나의 패키지 내에 구비될 수 있다.Here, in the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광소자(118)은 하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패치코드 테스트 단자(119a, 119b)를 통해 공급되는 양전압과 음전압이 반복적으로 교차되는 직류 전력을 공급하거나 교류 전력을 공급하여 극성과 무관하게 발광소자가 점멸을 반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th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폐회로가 구성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커넥터 유닛(100)의 한 쌍의 패치코드 테스트 단자(119a-1, 119a-2 또는 119b-1, 119b-2)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면, 상기 폐회로 상의 한 쌍의 광소자(118)가 그 공급 전력의 방향과 무관하게 발광하게 된다. 따라서, 통신실 등에서 통신망 유지 보수를 수행하는 작업자는 특정 통신용 패치코드(300)의 접속 위치를 판단하기 위해서 해당 통신용 패치코드(300)의 어느 하나의 커넥터 유닛(100)의 패치코드 테스트 단자(119a-1, 119a-2 또는 119b-1, 119b-2)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테스터기를 연결하여 광소자(118)의 불빛을 통해 반대편 커넥터 유닛(10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Power is supplied through a pair of patch
이 경우, 하나의 커넥터 유닛(100)의 패치코드 테스트 단자(119)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면, 해당 커넥터 유닛(100) 및 반대편 커넥터 유닛(100)의 광소자(118)가 함께 점등하게 되어 하나의 통신용 패치코드(300)의 양종단의 접속위치를 쉽게 식별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patch
더 나아가, 광소자(118)이 제1 색상의 제1 발광소자(118x) 및 제2 색상의 제2 발광소자(118y)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병렬로 구성되어, 패치코드 테스터기(500)에 커넥터 유닛(100)이 장착된 방향에 따라 테스트 전력 공급시 광소자(118)의 색상이 달라질 수 있다.Furthermore, the
따라서, 통신실 내부에서 2인의 작업자가 동시에 작업하는 경우, 테스트 대상 통신용 패치코드(300)의 커넥터 유닛(100)의 테스터기 장착방향(커넥터의 방향 등)을 상호 협의하여 결정하는 방법으로 반대편 커넥터 유닛(100)의 발광 색상을 달리하여 통신용 패치코드(300)들을 구별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wo workers work simultaneously inside the communication room, the opposite connector unit is a method of determining the tester mounting direction (direction of the connector, etc.) of the
즉, 제1 작업자는 테스트하는 통신용 패치코드(300)의 일측의 광소자(118)에서 제1 발광소자인 예를 들면 녹색 발광소자가 발광하도록 테스트 대상 통신용 패치코드(300)의 커넥터 유닛(100)을 본인의 테스터기에 장착하고, 제2 작업자는 테스트하는 통신용 패치코드(300)의 타측의 광소자(118)에서 제2 발광소자인 예를 들면 적색 발광소자가 발광하도록 테스트 대상 통신용 패치코드(300)의 커넥터 유닛(100)을 테스터기에 장착하여 각자 테스트 작업을 수행하면 각각 본인이 찾는 색상으로 발광하는 반대편 커넥터 유닛(100)을 식별하여 각각의 작업자가 테스트하는 통신용 패치코드(300)의 반대편 연결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operator is the
즉,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패치코드(300)는 이를 네트워크 장비 또는 패치패널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정상적으로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각각의 통신용 패치코드(300)에 구비된 패치코드 테스트 단자(119)에 전력을 공급하여 조명 기능을 통해 접속 위치를 정확하게 특정하고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다.That is,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패치코드(300)는 커넥터를 패치패널 또는 네트워크 장비 등의 접속기기에서 분리하지 않고도 양방향 접속위치를 특정할 수 있으므로 유지 보수 과정에서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이와 같이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1)이 운영중인 상태에서 특히 조명 기능을 통해 접속 위치를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는 기능은 해킹 방지를 위한 보안 분야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광 통신 시스템에서 광케이블의 해킹은 광케이블의 특정 영역에서 케이블 자켓을 제거하고 광섬유를 굴곡시켜 굴곡부에서 전반사되지 않고 누설되는 광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터를 취득하는 탭핑(tapping) 방식 해킹이 시도되고 있다.In this way, the function of accurately specifying the connection location through the lighting func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탭핑 발생시 네트워크 장비에서는 특정 포트에서 탭핑으로 인해 누설되는 광신호만큼 수신되는 광신호의 파워가 낮게 수신됨을 감지하게 되면, 해당 포트에 연결된 패치코드의 커넥터 유닛에 전술한 방법으로 테스트 전력을 인가하여 네트워크 구성 상에서 물리적으로 어느 경로에서 해킹이 이뤄지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When the network equipment detects that the power of the received optical signal is low as much as the optical signal leaked due to tapping at a specific port when tapping occurs, the test power is applied to the connector unit of the patch cord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port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to apply the test power to the network. In the configuration, you can check which path is being hacked physically.
종래의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에서는 특정 경로상에 문제가 발생하면 해당 경로의 종단부를 찾기 위해서는 선번장/꼬리표를 확인하여 찾아야 했고 만일 꼬리표가 없을 경우에는 연결 구간을 쉽게 확인할 수 없었으나, 본 발명의 통신용 패치코드 및 패치코드 테스터기를 사용하면 조명 기능을 통해 연결 위치를 특정하여 해킹이 이뤄지는 경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In the conventional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when a problem occurs on a specific path, in order to find the end of the path,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number/tag to find it, and if there is no tag, the connection section cannot be easily checked. Code and patchcord testers can be used to easily identify hacking paths by specifying the location of connections via lighting features.
본 발명의 패치코드 내에 해킹방지 광섬유를 적용하면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의 해킹을 차단하면서도 해킹 시도가 이뤄지는 경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부수적 효과도 얻을 수 있다.By applying the anti-hacking optical fiber in the patch cor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side effect of easily identifying the path through which the hacking attempt is made while blocking the hacking of the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패치코드(300)의 커넥터 유닛(100)에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 테스터기(500)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 테스터기(50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 테스터기(500)가 커넥터 유닛(100)에 장착되기 전 상태의 정면도를 도시하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 테스터기(500)가 커넥터 유닛(100)에 장착된 상태의 정면도를 도시한다.6 shows a state in which the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 테스터기(500)는 통신용 패치코드(300)의 커넥터 유닛(100)이 네트워크 스위치 또는 패치패널의 접속구에 밀집하여 일렬로 장착된 경우에도 통신용 패치코드(300)의 커넥터 유닛(100)을 분리하지 않고 패치코드 테스터기(500)를 구성하는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521)를 커넥터 유닛(100)의 패치코드 테스트 단자(119)에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패치코드(300)의 커넥터 유닛(100)에 구비된 패치코드 테스트 단자(119)는 커넥터 유닛의 하우징 측면에 구비되고, 커넥터 유닛(100)이 일렬로 접속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 테스터기(500)는 한 쌍의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521)를 한 쌍의 레버부재(520)에 장착하는 구조를 채용한다.The patch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 테스터기(500)는 테스터기 하우징(510);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521)가 구비된 외측 단부가 상기 테스터기 하우징(510) 외측으로 노출되되, 상기 테스터기 하우징(510) 내에 구비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레버부재(520); 상기 테스터기 하우징(510)에 구비되어 상기 레버부재(520)의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52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상기 레버부재(520)의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521) 간격을 좁히는 방향으로 상기 레버부재(520)를 탄성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탄성부(580); 상기 레버부재(520)의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521) 간격을 넓히는 방향으로 상기 레버부재(520)의 후단을 가압하는 한 쌍의 전개버튼(530);을 포함하며, 전술한 통신용 패치코드(300)에 구비되는 어느 하나의 커넥터 유닛(100)의 한 쌍의 패치코드 테스트 단자(119)에 한 쌍의 상기 레버부재(520)의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521)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부재(520)의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521)를 통해 상기 전원부의 전력을 공급하여 한 쌍의 상기 커넥터 유닛(100)의 광소자(118)를 점등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the
상기 패치코드 테스터기(500)는 한 쌍의 레버부재(520)가 구비되고 외측 단부에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521)가 구비되어 커네터 유닛의 패치코드 테스트 단자(119)에 접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레버부재(5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내에서 힌지축(550)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 the
따라서, 상기 레버부재(520)는 상기 힌지축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되, 레버부재(520)의 후단을 양측에서 누르면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521)가 구비된 레버부재(520)의 외측 단부는 벌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refore, the
또한, 상기 레버부재(520)는 한 쌍의 상기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521) 간격을 좁히는 방향으로 상기 레버부재(520)를 탄성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탄성부(580)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그리고, 한 쌍의 상기 레버부재(520)의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521)는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상기 레버부재(520)의 외측 단부에서 돌출되어 구비된다.In addition, a pair of
따라서, 테스터기를 통신용 패치코드(300)의 커넥터 유닛(100)에 장착하는 경우 레버부재(520)의 외측 단부를 벌려 장착하되, 상기 탄성부(580)의 탄성력으로 단자 접속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tester is mounted on the
상기 탄성부(580)는 상기 하우징의 힌지축(550)에 장착되어 한 쌍의 상기 레버부재(520)의 후단 내주면 사이에서 반발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The
따라서, 상기 레버부재(520)의 후단 간격을 좁히도록 한 쌍의 상기 레버부재(520)의 후단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레버부재(520)를 변위시키면 레버부재(520)의 외측단의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521)의 간격은 벌어지되 레버부재(520)를 변위시키는 외력을 제거하면 탄성 반발력에 의하여 상기 레버부재(520)의 후단 간격이 벌어지며 레버부재(520)의 외측단의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521)의 간격은 좁아져,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521)와 패치코드 테스트 단자(119)의 접속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레버부재(520)를 변위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레버부재(520)의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521) 간격을 넓히는 방향으로 상기 레버부재(520)의 후단을 가압하는 한 쌍의 전개버튼(530);을 포함하며, 상기 전개버튼(530)은 한 쌍의 레버부재(520)의 후단 외주면에 장착되고, 상기 테스터기 하우징(510)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In order to displace the
한 쌍의 전개버튼(530)은 상기 레버부재(520)의 후단 외주면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고, 상기 탄성부(580)는 상기 힌지축(550)에 비틀림 스프링의 코일부가 장착되고 양단은 각각 레버부재(520)의 후단 내주면에 각각 안착될 수 있다.A pair of
그리고, 도 10 이하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기 레버부재(520)는 인출되어 다양한 위치의 커넥터 유닛(100)의 패치코드 테스트 단자(119)에 장착될 수 있다.And, a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or less, the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 테스터기(500)는 레버부재(520)의 길이가 가변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o this end, the
이를 위하여, 상기 레버부재(520)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힌지축(550)에 장착되어 전개버튼(530)에 의하여 눌려 회전되는 전개부(525), 상기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521)가 장착되어 상기 전개부(525) 내측으로 인출 또는 삽입되는 슬라이딩부(523) 및 상기 전개부(525)와 슬라이딩부(523)를 연결하는 연결부(524)를 포함하여 분할 구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상기 전개부(525)는 외주면에 상기 전개버튼(530)이 장착되고 내주면에 상기 힌지축(550)이 관통되는 축관통홀이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580)를 구성하는 스프링과 함께 상기 힌지축(550)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에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연결부(524)는 상기 슬라이딩부(523)와 체결되고 상기 전원부를 상기 슬라이딩부(523)에 내부 배선(미도시)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전개부(525) 내측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부(523)는 상기 전개부(525) 내주면에 구비된 슬라이딩 가이드(미도시) 등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전개부(525) 내부에서 인출 또는 삽입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부재(520)를 구성하는 상기 연결부(524) 및 상기 슬라이딩부(523)는 통전성 금속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딩부(523)의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521)는 슬라이딩부(523)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레버부재(520)의 슬라이딩부(523)의 삽입 또는 인출 구조에 따른 다양한 검사 방법은 도 10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 테스터기(500)를 패치코드의 커넥터 유닛(100)에 장착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테스터기를 커넥터 유닛(100)에 장착하는 경우 전개버튼(530)을 눌러 레버부재(520)에 구비된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521)의 간격을 넓혀 커넥터 유닛(100)의 하우징의 가이드홈(114)에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521)가 안착시키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개버튼(530)의 전개 상태를 해제하면 상기 가이홈에 상기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521)가 안착되고, 상기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521)가 단자 노출부(116)까지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패치코드 테스터기(500)를 변위시켜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521)와 패치코드 테스트 단자(119)의 접속을 완료할 수 있다.Looking at the process of mounting the
상기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521)와 패치코드 테스트 단자(119)의 접속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패치코드 테스터기(500)에 구비된 전원부로부터 상기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521)를 통해 전력을 공급하면 상기 통신용 패치코드(300)을 구성하는 한 쌍의 커넥터 유닛(100)의 광소자(118)을 점등시켜 전술한 커넥터 유닛(100)의 식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of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 테스터기(500)는 상기 전원부의 전력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스위치(540)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즉, 상기 스위치(540)는 전개버튼(530) 또는 단자의 접촉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이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521)로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That is, the
또한, 전력 공급시 통신용 패치코드(300)을 구성하는 한 쌍의 커넥터 유닛(100)의 광소자(118)가 단순 점등되지 않고 반복 점멸 방식으로 발광하도록 하기 위한 전원 제어부(미도시)와 상기 저원 제어부의 전력 공급 방법에 따른 발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버튼(5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제어부는 전력의 간헐적 공급을 통해 광소자(118)이 단순 점등되지 않고 반복 점멸 방식으로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power is supplied, a power control unit (not shown) and the power source for allowing the
상기 스위치(540), 상기 전원 제어부 및 상기 모드 버튼(560)은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광모듈(117) 상에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스위치(540)와 상기 모드 버튼(560)은 상기 테스터기 하우징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장착될 수도 있으며, 상기 광모듈(117)은 상기 전원부와 배선(미도시)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전력단자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또는 전력 공급용 커넥터 형태의 외부전원 공급부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외부전원 공급부는 종래의 네트워크 테스터기와 연결되어 약 5V 시험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RJ45 규격의 모듈러잭일 수도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수은 전지 형태의 배터리(b)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may be configured as at least one of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wer terminal or an external power supply unit in the form of a power supply connector. The external power supply unit may be a modular jack of RJ45 standard so that it can be connected to a conventional network tester and receive about 5V test power, and as shown in FIG. 7 , it may be a battery (b) in the form of at least one mercury battery .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 테스터기(500)의 레버부재(520)의 슬라이딩부(523)가 인출 또는 삽입되어 3단계로 길이 조절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13 내지 도 15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치코드 테스터기(500)의 레버부재(520)의 슬라이딩부(523)가 인출 또는 삽입되어 3단계로 길이 조절된 상태에서 패치코드 테스터기(500)가 다양한 조건에서의 패치코드 커넥터 유닛(100)에 장착되는 과정을 도시한다.10 to 12 show a state in which the sliding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부재(520)의 슬라이딩부(523)는 그 전개부(525)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523)가 전개부(525)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523)가 전개부(525) 외측으로 완전히 인출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필요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523)가 전개부(525) 내측에서 반정도만 인출될 수 있다.10 to 12, since the sliding
각각의 모든 경우 레버부재(520)의 슬라이딩부(523) 단부에 구비된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521)는 상기 전원부에서 테스트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In each case, the
따라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트 대상 커넥터 유닛(100) 상부에 간섭물이 없는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523)가 전개부(525)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도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521)를 커넥터 유닛(100)에 장착할 수 있고, 도 14 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트 대상 커넥터 유닛(100) 상부에 1층 또는 2층의 커넥터 유닛(100)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레버부재(520)의 슬라이딩부(523)를 협소한 패치패널 또는 네트워크 스위치 접속구 공간에서 삽입하여 도 11 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523)가 전개부(525) 외측으로 인출된 상태에서도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521)를 커넥터 유닛(100)에 장착할 수 있으므로 식별을 위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13 , when there is no interferenc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따라서, 패치패널 또는 네트워크 스위치는 복층으로 배열되고 각각의 커넥터 유닛 접속구도 일렬로 근접 배치되는 통신실 환경에서 통신용 패치코드(300)의 커넥터가 각각의 장비의 접속구가 밀집되어 장착되는 경우에도 테스터기의 전개 가능하고 슬림한 형태의 레버부재(520) 외측 단부에 구비된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521)가 통신용 패치코드(300)를 구성하는 커넥터 유닛(100)의 패치코드 테스트 단자(119)에 장착될 수 있으므로, 테스트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in a communication room environment in which the patch panel or network switch is arranged in multiple layers and the connection ports of each connector unit are also arranged adjacently in a line, the connector of the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described below. will be able to carry out Therefore, if the modified implementation basically includes the elements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m should be considered to be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
10 : 네트워크 스위치
20 : 패치패널
100 : 커넥터
300 : 통신용 패치코드
600 : 커넥터 유닛1: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10: network switch
20: patch panel 100: connector
300: patch cord for communication 600: connector unit
Claims (21)
상기 통신 와이어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자; 상기 테스트 와이어에 연결되는 한 쌍 이상의 패치코드 테스트 단자; 한 쌍의 상기 패치코드 테스트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광소자 및 상기 통신 단자 및 상기 패치코드 테스트 단자가 장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유닛의 양단에 구비되는 한 쌍의 커넥터 유닛;을 포함하는 통신용 패치코드.at least one communication wire; a cable unit having at least one pair of test wires and a cable jacket surrounding the communication wire and the test wire; and,
at least on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wire; one or more pair of patchcord test terminals connected to the test wire; Communication including a pair of connector unit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able unit, including an optical elemen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air of patchcord test terminals, and a housing to which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patchcord test terminal are mounted. patch code.
상기 커넥터 유닛의 하우징은 광투과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패치코드.According to claim 1,
A communication patch cord, characterized in that the housing of the connector unit is made of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상기 커넥터 유닛의 하우징은 상기 광소자의 빛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패치코드.According to claim 1,
Communication patch cord, characterized in that the housing of the connector unit is formed with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light of the optical device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커넥터 유닛의 하우징 내에 상기 광소자를 포함되는 광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패치코드.According to claim 1,
and an optical module including the optical element in the housing of the connector unit.
한 쌍의 상기 패치코드 테스트 단자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패치코드 테스트 단자가 노출되도록 장착하기 위한 단자 노출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패치코드.According to claim 1,
A pair of the patch cord test terminals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housing and are mounted on the terminal exposed portion for mounting so that the patch cord test terminals are exposed.
상기 단자 노출부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오목한 개구부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치코드.6. The method of claim 5,
The patch cord, characterized in that the terminal exposed portion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oncave opening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housing.
상기 통신 케이블이 인입되는 상기 하우징의 후방의 측면을 따라 상기 단자 노출부까지 가이드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패치코드.7. The method of claim 6,
A communication patch cord, characterized in that a guide groove is provided up to the terminal exposed portion along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into which the communication cable is introduced.
상기 광소자는 제1 색상의 제1 발광소자 및 제2 색상의 제2 발광소자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병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패치코드.According to claim 1,
In the optical device, a first light emitting device of a first color and a second light emitting device of a second color are parallel to each other in opposite directions.
상기 제1 발광소자 및 제2 발광소자는 하나의 모듈 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패치코드.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device are patch cord for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one module.
상기 테스트 와이어는 절연층이 구비된 도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패치코드.According to claim 1,
The test wire is a patch cord for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conductor provided with an insulating layer.
상기 통신 와이어는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 단자는 광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패치코드.According to claim 1,
The communication wire includes at least one optical fiber,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an optical terminal.
상기 광섬유는 해킹방지용 광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패치코드.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optical fiber is a patch cord for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n optical fiber for preventing hacking.
상기 해킹방지용 광섬유는 광 차단제 또는 광 흡수제 재질의 코팅층 형태의 해킹 방지층을 포함하거나 광섬유의 클래드층 내에 공기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패치코드.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hacking prevention optical fiber includes a hacking prevention layer in the form of a coating layer made of a light blocking agent or a light absorber, or an air layer in the clad layer of the optical fiber.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가 구비된 외측 단부가 상기 테스터기 하우징 외측으로 노출되되, 상기 테스터기 하우징 내에 구비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레버부재;
상기 테스터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레버부재의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상기 레버부재의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 간격을 좁히는 방향으로 상기 레버부재를 탄성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탄성부; 및,
상기 레버부재의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 간격을 넓히는 방향으로 상기 레버부재의 후단을 가압하는 한 쌍의 전개버튼;을 포함하며,
제1항 내지 제13항의 패치코드에 구비되는 어느 하나의 커넥터 유닛의 한 쌍의 패치코드 테스트 단자에 한 쌍의 상기 레버부재의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부재의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를 통해 상기 전원부의 전력을 공급하여 한 쌍의 상기 커넥터 유닛의 광소자를 점등시키기 위한 패치코드 테스터기.tester housing;
a pair of lever members having an outer end provided with a tester test terminal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ester housing and rotatably mounted about a hinge shaft provided in the tester housing;
a power supply unit provided in the tester housing to supply power to the tester test terminal of the lever member;
an elastic part provid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lever member in a direction of narrowing the test terminal interval of the lever member; and,
A pair of deployment buttons for pressing the rear end of the lever member in a direction to widen the distance between the tester test terminals of the lever member;
Through the tester test terminal of the lever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pair of tester test terminals of the lever member are in contact with the pair of patchcord test terminals of any one connector unit provided in the patch cord of claim 1 to 13 A patch cord tester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wer supply to turn on the optical element of the pair of connector units.
한 쌍의 상기 레버부재의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는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치코드 테스터기.15. The method of claim 14,
A pair of tester test terminals of the lever member are patch cord teste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상기 탄성부는 상기 테스터기 하우징과 힌지축에 의해 장착되어 한 쌍의 상기 레버부재의 후단 내주면 사이에서 반발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치코드 테스터기.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elastic part is a patch cord test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torsion coil spring mounted by the tester housing and the hinge shaft to provide a repulsive force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pair of lever members.
상기 전개버튼은 한 쌍의 레버부재의 후단 외주면에 장착되고, 상기 테스터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치코드 테스터기.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deployment button is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pair of lever members, patch cord tester, characterized in that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ester housing.
상기 전원부에서 상기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에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치코드 테스터기.15. The method of claim 14,
A switch for selectively cutting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tester test terminal from the power supply unit; Patch cord tester further comprising a.
상기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이 간헐적으로 공급되어 상기 통신용 패치코드의 광소자가 반복 점멸 방식으로 발광하도록 하기 위한 전원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치코드 테스터기.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patch cord tester further comprising a power control unit for intermittently supplying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so that the optical element of the patch cord for communication emits light in a repeated flashing manner.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전력단자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또는 외부전원 공급부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치코드 테스터기.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power supply unit is a patch cord teste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a battery or an external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wer terminal.
상기 레버부재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테스터기 테스트 단자가 구비되고 인출 또는 삽입이 가능한 슬라이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치코드 테스터기.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lever member is provided with a tester test terminal to enable length adjustment, and a patch cord test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liding part that can be drawn out or insert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3852A KR20220110891A (en) | 2021-02-01 | 2021-02-01 | Communication patch cord and patch cord tes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3852A KR20220110891A (en) | 2021-02-01 | 2021-02-01 | Communication patch cord and patch cord test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10891A true KR20220110891A (en) | 2022-08-09 |
Family
ID=82844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13852A Pending KR20220110891A (en) | 2021-02-01 | 2021-02-01 | Communication patch cord and patch cord tes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110891A (en) |
-
2021
- 2021-02-01 KR KR1020210013852A patent/KR20220110891A/en active Pen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11119B2 (en) | Smart cable provisioning for a patch cord management system | |
US10374921B2 (en) | Systems, equipment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tracking cable connections and for identifying work area devices and related methods of operating communications networks | |
JP4972426B2 (en) | Patch panel patch cord documentation and revision method and apparatus | |
KR101540982B1 (en) | Patch cord with insertion detection and light illumination capabilities | |
CN102106157B (en) |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hysical layer connectivity | |
EP2399400B1 (en) | Cross connect patch guidance system | |
US7327278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ing remote ends of networking cables | |
US20100120264A1 (en) | Intelligent Patching System | |
US8033873B2 (en) | Patch cable physical link identification device | |
KR102478530B1 (en) | Led patch panel having the function of network status diagnosis | |
CN212134923U (en) | Fault detection device | |
KR20220110891A (en) | Communication patch cord and patch cord tester | |
KR20220124981A (en) | modular jack | |
KR200492368Y1 (en) | red LED recognition Circuit for detecting a connection error of cable used in a LAN modular jack and an active patch panel and active patch panel having the same | |
KR101634125B1 (en) | Patch Panel | |
GB2527310A (en) | Patchmate cable tracer and continuity tester | |
KR20210020757A (en) | Communication patch cord | |
KR102611471B1 (en) | Plug for communication and patch cord having the same | |
KR200473532Y1 (en) | Lan cable tester | |
KR102418183B1 (en) | Patch panel system with network monitoring function, and communication cable management systems using the same | |
KR20210023775A (en) | Communication cable and communication patch cord having the same | |
KR20220119804A (en) | Modular jack | |
KR20220124980A (en) | modular jack | |
KR102098725B1 (en) | Patch panel for connecting communication equipments | |
KR102011711B1 (en) | Patch panel with function of port extens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0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